KR101370186B1 - 노브구조체 및 이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노브구조체 및 이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70186B1
KR101370186B1 KR1020130115140A KR20130115140A KR101370186B1 KR 101370186 B1 KR101370186 B1 KR 101370186B1 KR 1020130115140 A KR1020130115140 A KR 1020130115140A KR 20130115140 A KR20130115140 A KR 20130115140A KR 101370186 B1 KR101370186 B1 KR 10137018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main body
agent
selective
knob struc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151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권일
Original Assignee
김권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권일 filed Critical 김권일
Priority to KR10201301151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7018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701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7018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1/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f electric switche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GCONTROL DEVICES OR SYSTEMS INSOFAR AS CHARACTERISED BY MECHANICAL FEATURES ONLY
    • G05G1/00Controlling members, e.g. knobs or handles; Assemblies or arrangements thereof; Indicating position of controlling members
    • G05G1/08Controlling members for hand actuation by rotary movement, e.g. hand wheels
    • G05G1/10Details, e.g. of discs, knobs, wheels or handles
    • G05G1/105Details, e.g. of discs, knobs, wheels or handles comprising arrangements for illumina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02Details
    • H01H13/023Light-emitting indica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02Details
    • H01H13/12Movable parts; Contacts mounted thereon
    • H01H13/14Operating parts, e.g. push-butt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9/00Details of switching devices, not covered by groups H01H1/00 - H01H7/00
    • H01H9/18Distinguishing marks on switches, e.g. for indicating switch location in the dark; Adaptation of switches to receive distinguishing marks
    • H01H9/182Illumination of the symbols or distinguishing mark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229/00Manufactur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Switch Cases, Indication, And Lock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노브구조체를 제공하는 방법은 발광소자로부터 제공되는 광을 외부에서 특정의 식별기호 형태로 인식되도록 하는 노브구조체를 제조하는 방법으로, 광이 투과되는 본체부 및 상기 본체부에 적층 가능하고 상기 본체부에 투과된 광이 선택적으로 투과되도록 하는 광투과부가 형성 가능한 선택적투과부를 제공하는 제1 단계; 상기 선택적투과부에 상기 광투과부를 가공한 후 상기 선택적투과부를 상기 본체부에 적층하거나, 상기 선택적투과부를 상기 본체부에 적층한 후 상기 광투과부를 가공하는 제2 단계; 상기 광투과부에 이물질의 유입을 방지하도록 상기 광투과부에 상기 본체부에 투과된 광이 투과되는 매립제를 매립하는 제3 단계; 및 상기 매립제가 상기 본체부를 투과한 전자기파에 의해 경화되도록 상기 전자기파를 상기 본체부의 외측에서 조사하는 제4 단계; 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노브구조체 및 이의 제조방법{Knob structur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노브구조체 및 이의 제조방법에 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자동차, 각종 전자제품 또는 건설자재 등에 적용 가능한 노브구조체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노브구조체는 자동차의 변속기어 상의 체인지노브와 같은 표시형 노브구조체, 자동차의 시동버튼과 같은 푸쉬형 노브구조체, 오디오의 볼륨조절다이얼과 같은 회전형 노브구조체 등과 같이 자동차 또는 전자제품 등에 매우 다양하게 적용된다.
이러한 노브구조체는 단순히 합성수지로만 제조되는 일반 노브구조체도 많이 사용되지만, 최근에는 미려하면서도 고급스러운 디자인을 제공함과 동시에 시인성이 증대될 수 있도록 하부의 발광소자로부터 제공되는 광을 문자 또는 기호 형태의 광발산표시창을 통해 외부로 발산시키는 광발산 노브구조체가 각광을 받고 있다.
종래의 광발산 노브구조체는 합성수지재로 제조된 노브본체의 상부면에 문자 또는 기호 형태의 광발산표시창이 형성되도록 광발산표시창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에 광차단층이 도장 또는 증착에 의해 적층형성되는 구성을 가진다.
그러나, 종래의 광발산 노브구조체의 경우에는 광차단층이 도장 또는 증착에 의해 노브본체의 상부면에 적층형성됨에 따라 오랜 기간동안 사용하는 경우에는 광차단층이 변색되거나 또는 사용자의 손과의 마찰에 의해 광차단층이 벗겨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광발산 노브구조체 경우에는 반복적인 사용에 의해 광발산표시층에 이물질이 유입되어 하부의 발광소자로부터 제공되는 광이 점점 희미해지게 되어 결국, 사용기간을 단축시킨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일 목적은 반복적인 사용에도 불구하고 변색되거나 벗겨질 염려없이 오랜 기간 동안 사용가능한 노브구조체 및 이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일 목적은 이물질의 유입을 미연에 차단하여 오랜 사용에도 광이 점점 희미해져가는 것(예: 이물질에 의한 광차단 현상 등)을 방지하는 노브구조체 및 이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노브구조체를 제공하는 방법은 발광소자로부터 제공되는 광을 외부에서 특정의 식별기호 형태로 인식되도록 하는 노브구조체를 제조하는 방법으로, 광이 투과되는 본체부 및 상기 본체부에 적층 가능하고 상기 본체부에 투과된 광이 선택적으로 투과되도록 하는 광투과부가 형성 가능한 선택적투과부를 제공하는 제1 단계; 상기 선택적투과부에 상기 광투과부를 가공한 후 상기 선택적투과부를 상기 본체부에 적층하거나, 상기 선택적투과부를 상기 본체부에 적층한 후 상기 광투과부를 가공하는 제2 단계; 상기 광투과부에 이물질의 유입을 방지하도록 상기 광투과부에 상기 본체부에 투과된 광이 투과되는 매립제를 매립하는 제3 단계; 및 상기 매립제가 상기 본체부를 투과한 전자기파에 의해 경화되도록 상기 전자기파를 상기 본체부의 외측에서 조사하는 제4 단계; 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노브구조체를 제공하는 방법의 상기 제3 단계에서 사용되는 상기 매립제는 자외선 경화제이며, 상기 제4단계에서 사용되는 상기 전자기파는 자외선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노브구조체를 제공하는 방법의 상기 자외선 경화제는, UV레진(UV Resin)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노브구조체를 제공하는 방법의 상기 제4 단계는, 상기 본체부를 통과한 자외선에 의해 경화된 상기 자외선 경화제의 상면이 상기 본체부에 대하여 균일하게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노브구조체를 제공하는 방법의 상기 제4 단계는, 상기 본체부를 통과한 자외선에 의해 경화된 상기 자외선 경화제의 상면이 상기 선택적투과부의 상면과 동일 평면 상 에 위치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노브구조체를 제공하는 방법의 상기 제4 단계는, 상기 자외선의 세기 및 조사 시간을 상기 자외선 경화제의 종류 및 양에 따라 다르게 설정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노브구조체를 제공하는 방법의 상기 제2 단계는, 상기 광투과부를 상기 선택적투과부의 적어도 일부가 관통되어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노브구조체를 제공하는 방법의 상기 제2 단계는, 상기 선택적투과부를 상기 본체부에 적층한 후 상기 광투과부를 가공하는 단계이며, 상기 광투과부를 가공하는 단계는 상기 본체부에 상기 광투과부와 연속적으로 함입되는 함입부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노브구조체를 제공하는 방법은 상기 본체부를 통과한 전자기파에 의해 경화되지 않은 상기 매립제의 일부를 제거하는 제5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노브구조체를 제공하는 방법의 상기 제3 단계는, 상기 광투과부에 상기 매립제를 매립한 후, 상기 매립제의 점성으로 인하여 생기는 볼록한 부분을 상기 광투과부의 외측으로 분산시키도록 가압부를 이용하여 상기 매립제를 가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노브구조체를 제공하는 방법의 상기 가압부는 상기 선택적투과부의 상면에 안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노브구조체를 제공하는 방법은 상기 본체부를 통과한 전자기파에 의해 경화되지 않은 상기 외측으로 분산된 상기 매립제를 제거하는 제5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노브구조체를 제공하는 방법의 상기 제2 단계는, 상기 본체부와 상기 선택적투과부과 서로 접착되도록 상기 본체부 및 상기 선택적투과부가 서로 대향하는 적어도 하나의 일면에 접착제를 도포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노브구조체는 발광소자로부터 제공되는 광을 외부에서 특정의 식별기호 형태로 인식되도록 하는 노브구조체로, 광이 투과되는 본체부; 상기 본체부에 적층되며, 상기 본체부에 투과된 광이 선택적으로 투과되도록 하는 광투과부를 구비하는 선택적투과부; 및 상기 광투과부에 매립되고 상기 본체부에 투과된 광이 투과되며, 상기 본체부를 통과한 전자기파에 의해 경화되는 매립제;를 포함하며, 상기 본체부를 통과한 전자기파에 의해 경화되는 상기 매립제의 상면은 상기 본체부에 대하여 균일하게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노브구조체의 상기 매립제는 자외선 경화제이며, 상기 전자기파는 자외선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노브구조체의 상기 자외선 경화제는, UV레진(UV Resin)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노브구조체의 상기 본체부를 통과한 전자기파에 의해 경화되는 상기 매립제의 상면은 상기 선택적투과부의 상면과 동일 평면 상에 위치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노브구조체의 상기 광투과부는, 상기 선택적투과부의 적어도 일부가 관통되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노브구조체의 상기 본체부는, 상기 광투과부와 연속적으로 함입되어 형성되는 함입부를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노브구조체의 상기 선택적투과부는 상기 본체부와 미리 정해진 거리만큼 이격되어 적층되며, 상기 본체부를 통과한 전자기파에 의해 경화되는 상기 매립제의 두께는 상기 선택적투과부의 두께와 상기 미리 정해진 거리의 합 이하의 범위 내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노브구조체의 상기 본체부는 상기 광투과부를 형성시키는 과정에서 상기 광투과부의 범위 내에 함입되어 형성되는 미세홈을 구비하며, 상기 미세홈은 상기 매립제에 의해 매립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노브구조체는 상기 본체부와 상기 선택적투과부 사이에 도포되어 상기 본체부와 상기 선택적투과부를 서로 고정시키는 접착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접착부는 상기 광투과부를 형성시키는 과정에서 상기 광투과부의 범위 내로 연장되는 비정형돌출부를 구비하고, 상기 비정형돌출부는 상기 본체부를 통과한 전자기파에 의해 경화되는 상기 매립제에 의해 육안으로 구별되지 않을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노브구조체는 발광소자로부터 제공되는 광을 외부에서 특정의 식별기호 형태로 인식되도록 하는 노브구조체로, 광이 투과되는 본체부; 상기 본체부에 적층되며, 상기 본체부에 투과된 광이 선택적으로 투과되도록 하는 제1 광투과부와 제2 광투과부를 구비하는 선택적투과부; 상기 제1 광투과부에 매립되고 상기 본체부에 투과된 광이 투과되며, 상기 본체부를 통과한 전자기파에 의해 경화되는 제1 매립제; 및 상기 제2광투과부에 매립되고 상기 본체부에 투과된 광이 투과되며, 상기 본체부를 통과한 전자기파에 의해 경화되는 제2 매립제;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매립제를 투과하는 광의 파장은 상기 제2 매립제를 투과하는 광의 파장과 상이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노브구조체 및 이의 제조방법에 의하면, 반복적인 사용에도 불구하고 변색되거나 벗겨질 염려없이 오랜 기간 동안 반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이물질의 유입을 미연에 차단하여 오랜 사용에도 광이 점점 희미해져가는 것(예: 이물질에 의한 광차단 현상 등)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광에 의해 제공되는 특정의 식별기호를 서로 다른 색으로 구현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에게 부드러운 촉감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노브구조체가 적용된 자동차의 시동버튼의 사용상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노브구조체가 적용된 자동차의 시동버튼을 도시한 개략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노브구조체 및 발광부를 도시한 개략 분해 사시도.
도 4는 도 2의 AA선에 따른 개략단면도(발광부 포함).
도 5는 도 4의 B에 대한 개략확대도.
도 6은 도 4의 B의 변형예를 도시한 개략확대도.
도 7은 도 4의 B의 다른 변형예를 도시한 개략확대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노브구조체를 제조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노브구조체를 제조하는 다른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사상은 제시되는 실시예에 제한되지 아니하고,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른 구성요소를 추가, 변경, 삭제 등을 통하여, 퇴보적인 다른 발명이나 본 발명 사상의 범위 내에 포함되는 다른 실시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원 발명 사상 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또한, 각 실시예의 도면에 나타나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의 기능이 동일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노브구조체가 적용된 자동차의 시동버튼의 사용상태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노브구조체가 적용된 자동차의 시동버튼을 도시한 개략 사시도이다.
또한,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노브구조체 및 발광부를 도시한 개략 분해 사시도이며, 도 4는 도 2의 AA선에 따른 개략단면도(발광부 포함)이고, 도 5는 도 4의 B에 대한 개략확대도이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노브구조체(100)는 자동차의 변속기어 상의 체인지노브와 같은 표시형 노브구조체, 오디오의 볼륨조절다이얼과 같은 회전형 노브구조체 및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동차의 시동버튼(10)과 같은 푸쉬형 노브구조체 등과 같이 자동차 또는 전자제품 등에 매우 다양하게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노브구조체(100)는 발광소자(200)로부터 제공되는 광을 외부에서 특정의 식별기호 형태로 인식되도록 하는 일종의 구조물로, 본체부(110), 선택적투과부(120) 및 매립제(13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식별기호는 다양한 문자, 숫자, 기호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캐릭터 등의 모양도 포함할 수 있는 개념이다.
상기 본체부(110)는 본 발명에 따른 노브구조체(100)의 몸체를 형성하는 구성요소로, 발광다이오드(LED) 등과 같은 발광소자(200)에 의해 조사된 광이 투과될 수 있도록 투명 또는 반투명 합성수지재로 제조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발광소자(200)는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부(110) 내에서 광투과부(122)와 대응되는 하측에 배치되어 직상방으로 광을 조사하도록 구성될 수 있고, 경우에 따라서는 본체부(110)의 내측면에 배치되어도 무방하다.
상기 본체부(110)의 형상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측이 개방된 원통형상일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에 따른 노브구조체(100)가 사용되는 환경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할 수 있다.
선택적투과부(120)는 상기 본체부(110)에 적층될 수 있으며, 상기 발광소자(200)로부터 조사된 광이 상기 본체부(110)에 투과된 후 선택적으로 투과될 수 있도록 하는 광투과부(122)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광투과부(122)는 선택적투과부(120)의 적어도 일부가 관통되어 형성될 수 있으며, 발광소자(200)로부터 제공되는 광을 외부에서 특정의 식별기호 형태로 인식되도록 상기 식별기호와 대응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한편, 관통되어 형성되는 상기 광투과부(122)를 제외한 상기 선택적투과부(120)의 나머지 영역은 발광소자(200)로부터 제공되는 광을 차단하는 광차단부(124)일 수 있으며, 결국, 상기 선택적투과부(120)는 상기 발광소자(200)로부터 조사되는 광을 선택적으로 투과시켜 특정의 식별기호를 구현토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선택적투과부(120)는 스테인리스 또는 알루미늄 등과 같은 금속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외측으로 노출되는 일면은 표면 가공처리(도금, 증착, 아노다이징 및 헤어라인가공 등)가 되어 부드러운 촉감을 구현토록 하는 동시에 외부 환경에 의한 변질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노브구조체(100)는 반복적인 사용에도 불구하고 변색되거나 벗겨질 염려 없이 오랜 기간 동안 반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선택적투과부(120)는 접착제에 의해 본체부(110)의 상면에 접착될 수 있고, 상황에 따라서는 본체부(110)와 일체로 인서트사출 공정에 의해 상기 본체부(110)의 상면에 적층될 수도 있다.
다만, 상기 선택적투과부(120)가 본체부(110)의 상면에 적층되는 방식은 접착 또는 인서트사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가열접합 등 다양한 방법이 적용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선택적투과부(120)에 형성되는 광투과부(122)는 상기 광투과부(122)가 형성되기 이전의 선택적투과부(120)를 상기 본체부(110)에 접착제에 의한 접착 등의 방법으로 적층된 이후에 형성될 수 있으며, 레이져가공 또는 CNC가공(드릴가공 등)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다만, 상기 광투과부(122)는 상기 선택적투과부(120)를 본체부(110)에 적층시키기 이전에 선택적투과부(120)의 적어도 일부를 레이져가공 또는 CNC가공(드릴가공 등) 등을 통해 형성시켜도 무방하다.
매립제(130)는 관통되어 형성되는 광투과부(122)에 매립되어 상기 광투과부(122)를 메울 수 있으며, 상기 발광소자(200)로부터 조사된 광이 상기 본체부(110)에 투과된 후 외측으로 발산되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매립제(130)는 광투과부(122)를 메움으로써 상기 광투과부(122)로의 이물질 유입을 미연에 차단할 수 있으며, 이로써, 오랜 사용에도 광이 점점 희미해져가는 것(예: 이물질에 의한 광차단 현상 등)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매립제(130)는 상기 발광소자(200)로부터 조사된 광이 상기 본체부(110)에 투과된 후 외측으로 발산될 수 있도록 광이 투과될 수 있는 재질일 수 있다.
상기 매립제(130)는 상기 본체부(110)를 통과한 전자기파에 의해 경화되어 매립층을 형성할 수 있으며, 상기 본체부(110)를 통과한 전자기파에 의해 경화되는 상기 매립제(130)의 상면은 균일하게 형성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상기 매립제(130)를 광투과부(122)에 매립한 후 매립한 방향에서 전자기파를 조사(직접조사)하는 것이 아닌 전자기파가 본체부(110)를 통과한 후 상기 매립제(130)에 조사(간접조사)되도록 하여 상기 매립제(130)의 상면을 상기 본체부(110)에 대하여 균일하게 형성시킬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매립제(130)는 자외선 경화제인 3000cps 이하의 UV레진(UV Resin)일 수 있으며, 상기 전자기파는 자외선일 수 있다.
한편, 상기 본체부(110)를 통과한 전자기파에 의해 경화되는 상기 매립제(130)의 상면은 상기 선택적투과부(120)의 상면, 즉, 광차단부(124)의 상면과 동일 평면 상에 위치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본체부(110)를 통과한 전자기파에 의해 경화되는 상기 매립제(130)의 상면이 광차단부(124)의 상면을 기준으로 오목(마이너스)하거나 볼록(플러스)하게 형성시킬 수 도 있다.
이는, 상기 매립제(130)를 경화하는 전자기파의 조사 방향을 매립제(130)의 매립 방향이 아닌 반대 방향으로 함으로써 구현될 수 있으며, 구체적인 이유는 다음과 같다.
일반적으로, 자외선 경화제인 UV레진(UV Resin)을 광투과부(122)에 매립하는 경우 상기 UV레진(UV Resin)의 상면은 광차단부(124)의 상면과 동일 평면 상에 위치하도록 하는 것이 거의 불가능하다.
다시 말하면, 자외선 경화제인 UV레진(UV Resin)은 점성으로 인하여 상기 광투과부(122)에 매립하는 경우 상기 광투과부(122)의 외측으로 노출된 볼록한 형상을 띨 수 밖에 없으며, 이로 인하여 UV레진(UV Resin)을 경화시키기 위해 상기 자외선을 매립 방향에서 조사하게 되면, 볼록한 부분이 1차적으로 경화되어 경화된 상기 UV레진(UV Resin)의 상면은 광차단부(124)의 상면과 동일 평면 상에 위치되도록 하거나 오목(마이너스) 또는 볼록(플러스)하게 형성시킬 수 없는 것이다.
이는 결국 경화된 매립제가 광차단부(124) 보다 돌출되는 동시에 상기 광차단부(124)의 일부를 덮는 결과를 낳게 되며, 사용자에게 부드러운 촉감을 제공하는 노브구조체(100)를 제공하는데 한계를 발생시키게 된다.
상기와 같은 이유로, 전자기파인 자외선의 조사 방향을 매립제(130)의 매립 방향과 반대로 하여 1차적으로 경화되는 부분을 본체부(110)에 접촉된 부분으로 함으로써, 상기 매립제(130)의 상면을 상기 본체부(110)에 대하여 균일하게 형성시킬 수 있는 것이다.
또한, 경화된 상기 UV레진(UV Resin)의 상면이 광차단부(124)의 상면과 동일 평면 상에 위치하도록 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본체부(110)를 통과한 전자기파에 의해 경화되는 상기 매립제(130)의 상면이 광차단부(124)의 상면을 기준으로 오목(마이너스)하거나 볼록(플러스)하게 형성시킬 수도 있는 것이다.
이를 방법적인 측면에서 설명하면, 전자기파인 자외선의 세기 및 조사시간을 조절하여 UV레진(UV Resin)인 매립제(130)가 경화되는 부분을 광차단부(124)의 상면과 동일 평면 상으로 구현하거나 오목(마이너스) 또는 볼록(플러스)하게 형성시킬 수 있으며, 경화가 완료되면, 경화되지 않은 매립제(130)를 손쉽게 제거하여 최종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노브구조체(100)를 구현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선택적투과부(120)가 접착제에 의한 접착 방식에 의해 본체부(110)에 적층되는 경우 상기 접착제로 인하여 상기 선택적투과부(120)와 상기 본체부(110) 사이는 이격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본체부(110)와 선택적투과부(120) 사이에 도포된 접착제인 접착부(미도시)에 의해 상기 본체부(110)와 상기 선택적투과부(120)는 서로 적층되어 고정될 수 있으며, 상기 접착부에 의해 상기 선택적투과부(120)와 상기 본체부(110) 사이는 이격될 수 있는 것이다.
즉, 상기 선택적투과부(120)는 상기 본체부(110)와 미리 정해진 거리만큼 이격되어 상기 본체부(110)에 적층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상기 본체부(110)를 통과한 전자기파에 의해 경화되는 상기 매립제(130)의 두께는 상기 선택적투과부(120)의 두께와 상기 미리 정해진 거리의 합 이하의 범위 내일 수 있다.
그리고, 광투과부(122)를 상기 광투과부(122)가 형성되기 이전의 선택적투과부(120)를 상기 본체부(110)에 접착부로 적층된 이후에 레이져가공 또는 CNC가공(드릴가공 등) 등으로 형성시키는 경우, 상기 접착부는 상기 광투과부(122)를 형성시키는 과정에서 상기 광투과부(122)의 범위 내로 연장되는 비정형돌출부(burr)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비정형돌출부(burr)는 상기 본체부(110)를 통과한 전자기파에 의해 경화되는 상기 매립제(130)에 의해 육안으로 구별되지 않을 수 있으며, 이로 인해 본 발명에 따른 노브구조체(100)는 레이져가공 또는 CNC가공(드릴가공 등) 등에 의해 필연적으로 발생되는 비정형돌출부(burr)를 제거하는 효과를 낳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접착부와 경화된 매립제(130)의 굴절율 및/또는 상기 본체부(110)와 경화된 매립제(130)의 굴절율은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다.
여기서, 굴절율이 실질적으로 동일하다는 의미는 굴절율이 완벽하게 동일하다는 것을 의미하는 것 뿐만 아니라 굴절율의 차이가 미리 설정된 이하의 범위 내인 것까지 포함하는 개념일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노브구조체(100)는 식별기호 별로 다른 색으로 구현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본체부(110)에 적층되는 선택적투과부(120)는 식별기호 별로 제1 광투과부 및 제2 광투과부를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광투과부 및 제2 광투과부는 앞서 설명한 광투과부(122)를 사용자의 의도에 맞게 식별기호 별로 분류한 것을 의미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노브구조체(100)는 제1 광투과부에 매립되고 상기 본체부(110)에 투과된 광이 투과되며, 상기 본체부(110)를 통과한 전자기파에 의해 경화되는 제1 매립제 및 상기 제2광투과부에 매립되고 상기 본체부(110)에 투과된 광이 투과되며, 상기 본체부(110)를 통과한 전자기파에 의해 경화되는 제2 매립제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 매립제를 투과하는 광의 파장은 상기 제2 매립제를 투과하는 광의 파장과 상이할 있다.
이로써, 제1 광투과부 및 제2 광투과부를 투과하는 광의 색은 서로 다르게 구현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 매립제를 투과하는 광의 파장이 상기 제2 매립제를 투과하는 광의 파장과 상이하도록 하기 위해 상기 제1 매립제를 투과하는 광과 상기 제2 매립제를 투과하는 광이 서로 다르게 하여 구현할 수 있으며, 다른 방법으로, 상기 제1 매립제와 상기 제2 매립제를 서로 다른 재질로 하여 구현할 수도 있다.
도 6은 도 4의 B의 변형예를 도시한 개략확대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체부(110)는 광투과부(122)를 형성시키는 과정에서 상기 광투과부(122)의 범위 내에 함입되어 형성되는 미세홈(112)을 구비할 수 있으며, 상기 미세홈(112)은 매립제(130)에 의해 매립될 수 있다.
상기 미세홈(112)은 광투과부(122)를 상기 광투과부(122)가 형성되기 이전의 선택적투과부(120)를 상기 본체부(110)에 접착부로 적층된 이후에 레이져가공 또는 CNC가공(드릴가공 등) 등으로 형성시키는 경우, 레이져가공 또는 CNC가공(드릴가공 등) 등에 의해 필연적으로 발생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본 발명에 따른 노브구조체(100)는 레이져가공 또는 CNC가공(드릴가공 등) 등에 의해 필연적으로 발생되는 미세홈(112)을 제거하는 효과를 낳게 된다.
도 7은 도 4의 B의 다른 변형예를 도시한 개략확대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본체부(110)는 광투과부(122)와 연속적으로 함입되어 형성되는 함입부(114)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함입부(114)는 상기 광투과부(122)가 형성되기 이전의 선택적투과부(120)를 상기 본체부(110)에 접착제에 의한 접착 등의 방법으로 적층된 이후에 상기 광투과부(122)를 레이져가공 또는 CNC가공(드릴가공 등) 등에 의해 형성시키는 경우 동시에 형성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상기 함입부(114)는 매립제(130)에 의해 매립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노브구조체를 제조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발광소자로부터 제공되는 광을 외부에서 특정의 식별기호 형태로 인식되도록 하는 노브구조체를 제조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은 단계가 진행되어 제조될 수 있다.
우선, 도 8(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광이 투과되는 본체부(110) 및 상기 본체부(110)에 적층 가능하고 상기 본체부(110)에 투과된 광이 선택적으로 투과되도록 하는 광투과부(122)가 형성 가능한 선택적투과부(120)를 제공하는 제1 단계를 진행한다.
여기서, 상기 본체부(110)는 발광다이오드(LED) 등과 같은 발광소자(200)에 의해 조사된 광이 투과될 수 있도록 투명 또는 반투명 합성수지재로 제조될 수 있으며, 상기 선택적투과부(120)는 스테인리스 또는 알루미늄 등과 같은 금속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도 8(b-1) 및 도 8(c)를 참조하면, 상기 선택적투과부(120)를 상기 본체부(110)에 적층한 후 상기 광투과부(122)를 가공하는 제2 단계를 진행한다.
여기서, 상기 광투과부(122)를 가공하는 과정에서 본체부(110)에는 함입부(114) 또는 미세홈(112)이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함입부(114) 및 상기 미세홈(112)은 다음 단계에서 사용되는 매립제(130)에 의해 매립될 수 있다.
상기 제2 단계는 도 8(b-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선택적투과부(120)에 상기 광투과부(122)를 가공한 후 상기 선택적투과부(120)를 상기 본체부(110)에 적층할 수도 있다.
상기 선택적투과부(120)는 접착제에 의해 본체부(110)의 상면에 접착될 수 있고, 상황에 따라서는 본체부(110)와 일체로 인서트사출 공정에 의해 상기 본체부(110)의 상면에 적층될 수도 있다.
다만, 상기 선택적투과부(120)가 본체부(110)의 상면에 적층되는 방식은 접착 또는 인서트사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가열접합 등 다양한 방법이 적용될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선택적투과부(120)는 접착제에 의해 본체부(110)의 상면에 접착되는 경우, 상기 제2 단계는 상기 본체부(110)와 상기 선택적투과부(120)과 서로 접착되도록 상기 본체부(110) 및 상기 선택적투과부(120)가 서로 대향하는 적어도 하나의 일면에 접착제를 도포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광투과부(122)는 레이져가공 또는 CNC가공(드릴가공 등) 등에 의해 관통되어 형성될 수 있다.
도 8(d)를 참조하면, 상기 광투과부(122)에 이물질의 유입을 방지하도록 상기 광투과부(122)에 상기 본체부(110)에 투과된 광이 투과되는 매립제(130)를 매립하는 제3 단계를 진행한다.
여기서, 상기 매립제(130)는 관통되어 형성되는 광투과부(122)에 매립되어 상기 광투과부(122)를 메울 수 있으며, 상기 발광소자(200)로부터 조사된 광이 상기 본체부(110)에 투과된 후 외측으로 발산되도록 광이 투과될 수 있는 재질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매립제(130)는 자외선 경화제인 3000cps 이하의 UV레진(UV Resin)일 수 있다.
한편, 상기 매립제(130), 즉, 자외선 경화제인 UV레진(UV Resin)은 점성으로 인하여 상기 광투과부(122)에 매립하는 경우 상기 광투과부(122)의 외측으로 노출된 볼록한 형상을 띠게 된다.
도 8(e)를 참조하면, 상기 매립제(130)가 상기 본체부(110)를 투과한 전자기파(E)에 의해 경화되도록 상기 전자기파(E)를 상기 본체부(110)의 외측에서 조사하는 제4 단계를 진행한다.
상기 전자기파(E)는 상기 매립제(130), 즉, 자외선 경화제인 UV레진(UV Resin)을 경화시킬 수 있는 자외선일 수 있으며, 상기 자외선의 세기 및 조사 시간은 상기 자외선 경화제의 종류 및 양에 따라 다르게 설정될 수 있다.
한편, 전자기파인 자외선의 조사 방향을 매립제(130)의 매립 방향과 반대로 하여 1차적으로 경화되는 부분을 본체부(110)에 접촉된 부분으로 함으로써, 상기 매립제(130)의 상면을 상기 본체부(110)에 대하여 균일하게 형성시킬 수 있다.
또한, 경화된 상기 UV레진(UV Resin)의 상면이 광차단부(124)의 상면과 동일 평면 상에 위치하도록 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본체부(110)를 통과한 전자기파에 의해 경화되는 상기 매립제(130)의 상면이 광차단부(124)의 상면을 기준으로 오목(마이너스)하거나 볼록(플러스)하게 형성시킬 수도 있다.
이는 전자기파인 자외선의 세기 및 조사시간을 조절하여 UV레진(UV Resin)인 매립제(130)가 경화되는 부분을 광차단부(124)의 상면과 동일 평면 상으로 구현할 수 있으며, 경화가 완료되면, 도 8(f)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경화되지 않은 매립제(130)를 손쉽게 제거하는 제5 단계를 진행하여 최종적으로 노브구조체(100)를 구현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노브구조체를 제조하는 다른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우선, 도 9(a) 내지 도 9(d)에 도시된 단계는 도 8(a) 내지 도 8(d)를 참조로 설명한 단계와 동일하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9(e)를 참조하면, 노브구조체(100) 제조방법은 매립제(130)가 상기 본체부(110)를 투과한 전자기파(E)에 의해 경화되도록 상기 전자기파(E)를 상기 본체부(110)의 외측에서 조사하기 이전에, 상기 매립제(130)를 광투과부(122)에 매립한 후 상기 매립제(130)의 점성으로 인하여 생기는 볼록한 부분을 상기 광투과부(122)의 외측으로 분산시키도록 가압부(P)를 이용하여 상기 매립제(130)를 가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단계는 제3 단계에 포함될 수 있으며, 상기 가압부(P)는 상기 선택적투과부(120)의 상면에 안착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가압부(P)는 단일개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사용자의 의도에 맞게 상기 광투과부(122) 마다 별개로 구비하거나, 선택적투과부(120)의 상면을 임의로 분할하여 분할된 부분마다 서로 다른 가압부(P)를 사용할 수도 있다.
상기 가압부(P)는 시트 또는 지그일 수 있으며, 상기 가압부(P)에 의한 상기 매립제(130) 가압 단계는 일종의 수평마스킹과 대응될 수 있다.
따라서, 가압부(P)를 이용하여 상기 매립제(130)를 가압하는 단계를 진행함으로써 상기 매립제(130)가 경화되는 부분을 경화가 되기 이전 단계에서 미리 규정할 수 있다.
이후에는 상기 매립제(130)가 상기 본체부(110)를 투과한 전자기파(E)에 의해 경화되도록 상기 전자기파(E)를 상기 본체부(110)의 외측에서 조사한다.
도 9(f)를 참조하면, 상기 본체부(110)를 투과한 전자기파(E)에 의해 상기 광투과부(122)에 매립된 매립제(130)가 경화되면, 가압부(P)를 선택적투과부(120)의 상면으로부터 분리시킨 후 도 9(g)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경화되지 않은 매립제(130)를 손쉽게 제거하는 제 5단계를 진행하여 최종적으로 노브구조체(100)를 구현할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기준으로 본 발명의 구성과 특징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경 또는 변형할 수 있음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에게 명백한 것이며, 따라서 이와 같은 변경 또는 변형은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을 밝혀둔다.
일예로, 상기에서 설명한 매립제(130)의 종류 및 상기 매립제(130)를 경화시키기 위한 전자기파의 종류는 전자기파에 의해 경화되는 상기 매립제(130)의 상면이 상기 본체부(110)에 대하여 균일하게 형성될 수 있도록 하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100: 노브구조체
110: 본체부
120: 선택적투과부
130: 매립제
200: 발광소자

Claims (23)

  1. 발광소자로부터 제공되는 광을 외부에서 특정의 식별기호 형태로 인식되도록 하는 노브구조체를 제조하는 방법에 있어서,
    광이 투과되는 본체부 및 상기 본체부에 적층 가능하고 상기 본체부에 투과된 광이 선택적으로 투과되도록 하는 광투과부가 형성 가능한 선택적투과부를 제공하는 제1 단계;
    상기 선택적투과부에 상기 광투과부를 가공한 후 상기 선택적투과부를 상기 본체부에 적층하거나, 상기 선택적투과부를 상기 본체부에 적층한 후 상기 광투과부를 가공하는 제2 단계;
    상기 광투과부에 이물질의 유입을 방지하도록 상기 광투과부에 상기 본체부에 투과된 광이 투과되는 매립제를 매립하는 제3 단계; 및
    상기 매립제가 상기 본체부를 투과한 전자기파에 의해 경화되도록 상기 전자기파를 상기 본체부의 외측에서 조사하는 제4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제2 단계는,
    상기 본체부와 상기 선택적투과부과 서로 접착되도록 상기 본체부 및 상기 선택적투과부가 서로 대향하는 적어도 하나의 일면에 접착제를 도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노브구조체 제조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3 단계에서 사용되는 상기 매립제는 자외선 경화제이며,
    상기 제4단계에서 사용되는 상기 전자기파는 자외선인 노브구조체 제조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자외선 경화제는,
    UV레진(UV Resin)인 노브구조체 제조방법.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4 단계는,
    상기 본체부를 통과한 자외선에 의해 경화된 상기 자외선 경화제의 상면이 상기 본체부에 대하여 균일하게 형성되도록 하는 노브구조체 제조방법.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4 단계는,
    상기 본체부를 통과한 자외선에 의해 경화된 상기 자외선 경화제의 상면이 상기 선택적투과부의 상면과 동일 평면 상에 위치되도록 하는 노브구조체 제조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4 단계는,
    상기 자외선의 세기 및 조사 시간을 상기 자외선 경화제의 종류 및 양에 따라 다르게 설정되도록 하는 노브구조체 제조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단계는,
    상기 광투과부를 상기 선택적투과부의 적어도 일부가 관통되어 형성되도록 하는 노브구조체 제조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단계는,
    상기 선택적투과부를 상기 본체부에 적층한 후 상기 광투과부를 가공하는 단계이며,
    상기 광투과부를 가공하는 단계는 상기 본체부에 상기 광투과부와 연속적으로 함입되는 함입부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노브구조체 제조방법.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를 통과한 전자기파에 의해 경화되지 않은 상기 매립제의 일부를 제거하는 제5 단계;를 더 포함하는 노브구조체 제조방법.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3 단계는,
    상기 광투과부에 상기 매립제를 매립한 후, 상기 매립제의 점성으로 인하여 생기는 볼록한 부분을 상기 광투과부의 외측으로 분산시키도록 가압부를 이용하여 상기 매립제를 가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노브구조체 제조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부는 상기 선택적투과부의 상면에 안착되는 노브구조체 제조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를 통과한 전자기파에 의해 경화되지 않은 상기 외측으로 분산된 상기 매립제를 제거하는 제5 단계;를 더 포함하는 노브구조체 제조방법.
  13. 삭제
  14. 발광소자로부터 제공되는 광을 외부에서 특정의 식별기호 형태로 인식되도록 하는 노브구조체에 있어서,
    광이 투과되는 본체부;
    상기 본체부에 적층되며, 상기 본체부에 투과된 광이 선택적으로 투과되도록 하는 광투과부를 구비하는 선택적투과부;
    상기 광투과부에 매립되고 상기 본체부에 투과된 광이 투과되며, 상기 본체부를 통과한 전자기파에 의해 경화되는 매립제; 및
    상기 본체부와 상기 선택적투과부 사이에 도포되어 상기 본체부와 상기 선택적투과부를 서로 고정시키는 접착부;를 포함하며,
    상기 본체부를 통과한 전자기파에 의해 경화되는 상기 매립제의 상면은 상기 본체부에 대하여 균일하게 형성되는 노브구조체.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매립제는 자외선 경화제이며, 상기 전자기파는 자외선인 노브구조체.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자외선 경화제는,
    UV레진(UV Resin)인 노브구조체.
  17.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를 통과한 전자기파에 의해 경화되는 상기 매립제의 상면은 상기 선택적투과부의 상면과 동일 평면 상에 위치되도록 하는 노브구조체.
  18.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광투과부는,
    상기 선택적투과부의 적어도 일부가 관통되어 형성되는 노브구조체.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는,
    상기 광투과부와 연속적으로 함입되어 형성되는 함입부를 구비하는 노브구조체.
  20.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적투과부는 상기 본체부와 미리 정해진 거리만큼 이격되어 적층되며,
    상기 본체부를 통과한 전자기파에 의해 경화되는 상기 매립제의 두께는 상기 선택적투과부의 두께와 상기 미리 정해진 거리의 합 이하의 범위 내인 노브구조체.
  21.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는 상기 광투과부를 형성시키는 과정에서 상기 광투과부의 범위 내에 함입되어 형성되는 미세홈을 구비하며,
    상기 미세홈은 상기 매립제에 의해 매립되는 노브구조체.
  22.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부는 상기 광투과부를 형성시키는 과정에서 상기 광투과부의 범위 내로 연장되는 비정형돌출부를 구비하고,
    상기 비정형돌출부는 상기 본체부를 통과한 전자기파에 의해 경화되는 상기 매립제에 의해 육안으로 구별되지 않는 노브구조체.
  23. 발광소자로부터 제공되는 광을 외부에서 특정의 식별기호 형태로 인식되도록 하는 노브구조체에 있어서,
    광이 투과되는 본체부;
    상기 본체부에 적층되며, 상기 본체부에 투과된 광이 선택적으로 투과되도록 하는 제1 광투과부와 제2 광투과부를 구비하는 선택적투과부;
    상기 제1 광투과부에 매립되고 상기 본체부에 투과된 광이 투과되며, 상기 본체부를 통과한 전자기파에 의해 경화되는 제1 매립제; 및
    상기 제2광투과부에 매립되고 상기 본체부에 투과된 광이 투과되며, 상기 본체부를 통과한 전자기파에 의해 경화되는 제2 매립제;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매립제를 투과하는 광의 파장은 상기 제2 매립제를 투과하는 광의 파장과 상이한 노브구조체.
KR1020130115140A 2013-09-27 2013-09-27 노브구조체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37018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15140A KR101370186B1 (ko) 2013-09-27 2013-09-27 노브구조체 및 이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15140A KR101370186B1 (ko) 2013-09-27 2013-09-27 노브구조체 및 이의 제조방법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0133247A Division KR20150035344A (ko) 2013-11-05 2013-11-05 노브구조체 및 이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70186B1 true KR101370186B1 (ko) 2014-03-05

Family

ID=506475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15140A KR101370186B1 (ko) 2013-09-27 2013-09-27 노브구조체 및 이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70186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61000B1 (ko) 2015-01-14 2015-10-15 주식회사 우신엠에스 광발산 노브의 제조방법
KR101560998B1 (ko) 2015-01-14 2015-10-15 주식회사 우신엠에스 광발산 노브의 제조방법
KR101673910B1 (ko) * 2015-05-14 2016-11-09 박치열 버튼 시동용 스위치의 캡
KR101737210B1 (ko) * 2015-08-07 2017-05-17 홍순우 노브구조체 및 이의 제조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983348A (en) 1974-04-16 1976-09-28 Westinghouse Electric Corporation Switch operator
US20050061111A1 (en) 2003-08-29 2005-03-24 Angell-Demmel Gmbh Method for producing buttons, ornamental and instrument panels with fine symbols, and a button produced with the method
US20070147063A1 (en) 2003-12-17 2007-06-28 Schneider Electric Industries Sas Luminous turning button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983348A (en) 1974-04-16 1976-09-28 Westinghouse Electric Corporation Switch operator
US20050061111A1 (en) 2003-08-29 2005-03-24 Angell-Demmel Gmbh Method for producing buttons, ornamental and instrument panels with fine symbols, and a button produced with the method
US20070147063A1 (en) 2003-12-17 2007-06-28 Schneider Electric Industries Sas Luminous turning button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61000B1 (ko) 2015-01-14 2015-10-15 주식회사 우신엠에스 광발산 노브의 제조방법
KR101560998B1 (ko) 2015-01-14 2015-10-15 주식회사 우신엠에스 광발산 노브의 제조방법
WO2016114499A1 (ko) * 2015-01-14 2016-07-21 주식회사 우신엠에스 광발산 노브의 제조방법
KR101673910B1 (ko) * 2015-05-14 2016-11-09 박치열 버튼 시동용 스위치의 캡
KR101737210B1 (ko) * 2015-08-07 2017-05-17 홍순우 노브구조체 및 이의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70186B1 (ko) 노브구조체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315396B1 (ko) 자동차용 제어 노브 제조방법
JP6467416B2 (ja) 少なくとも1つのシンボルを表示するための装置及び少なくとも1つのシンボルを表示するための装置を製造するための方法
KR101390452B1 (ko) 비아 패턴을 갖도록 드릴 가공되는 재료를 구조적으로 박육화하는 방법
TW200613066A (en) Resin layer forming method, resin layer forming apparatus, disc and disc manufacturing method
DE102011102532B4 (de) Verfahren zum Herstellen einer Abdeckung für eine Leuchteneinheit
KR101370256B1 (ko) 광발산 조절노브 및 이의 제조방법
JP6764240B2 (ja) 加飾シート、加飾成形品、及び加飾モジュール
WO2004099460A3 (de) Verfahren zur herstellung ggf. durchleuchtbarer, galvanisch veredelter formkörper aus thermoplast, duroplast, elastomer oder silicon und ggf. durchleuchtbare formkörper aus thermoplast, duroplast, elastomer oder silicom mit galvanisch veredelter oberfläche
CN112781006A (zh) 透明车辆部件的制造方法
KR20190077009A (ko) 복합판유리와, 복합판유리를 제조하는 방법
KR20150035344A (ko) 노브구조체 및 이의 제조방법
US8853577B1 (en) Keycap for use in backlit keyboards
KR101737210B1 (ko) 노브구조체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70127124A (ko) 발광 버튼키 제조 방법
TW200623114A (en) Method of manufacturing optical information recording medium
KR20130014941A (ko) 리얼소재를 이용한 자동차용 무드 조명장치
KR20180024170A (ko) 패턴 구조체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00041911A (ko) 백라이트유니트용 라이트 가이드 및 그 제조방법
DE102007034110A1 (de) Bedienknopf für ein Bedienelement eines Kraftfahrzeuges
KR20150143390A (ko) 발광 노브의 제조방법
KR101843548B1 (ko) 복합패턴이 구현된 유리 선팅용 필름의 제조방법
KR20080101436A (ko) 몰딩 키 패드 조립체 제조방법 및 그에 의한 키 패드조립체
KR101644089B1 (ko) 레이저 가공을 이용한 금속버튼 및 그 제조방법
US20180180795A1 (en) Light guide and method of creating a light guide by screen-printi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