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69741B1 - 리셋 기능을 갖는 클러치 액츄에이터 - Google Patents

리셋 기능을 갖는 클러치 액츄에이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69741B1
KR101369741B1 KR1020130033555A KR20130033555A KR101369741B1 KR 101369741 B1 KR101369741 B1 KR 101369741B1 KR 1020130033555 A KR1020130033555 A KR 1020130033555A KR 20130033555 A KR20130033555 A KR 20130033555A KR 101369741 B1 KR101369741 B1 KR 10136974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lutch actuator
nut
hole
reset function
ro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335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세정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평화발레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평화발레오 filed Critical 주식회사평화발레오
Priority to KR10201300335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6974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697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6974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23/00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devices for vehicle transmissions, or part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K23/02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devices for vehicle transmissions, or part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main transmission clutch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23/00Details of mechanically-actuated clutches not specific for one distinct type
    • F16D23/12Mechanical clutch-actuating mechanisms arranged outside the clutch as such
    • F16D23/14Clutch-actuating sleeves or bearings; Actuating members directly connected to clutch-actuating sleeves or bear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Transmission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의한 리셋 기능을 갖는 클러치 액츄에이터는 클러치 액츄에이터의 하우징 내에 마련된 채 일측이 하우징 외측으로 연장된아웃풋 로드 어셈블리의 중앙에 포설된 형태로 마련되는 너트부와, 클러치 액츄에이터의 하우징 일측부에 형성된 홀과, 상기 홀에 삽입되어 상기 너트 외주연의 일측단에 기립된 상태로 마려되는 로드부와, 상기 로드의 타단에 형성된 체결공에 삽입 고정된 채 너트를 일측 방향으로 회전케 하는 샤프트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리셋 기능을 갖는 클러치 액츄에이터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에 의해 본 발명은, 시험 목적 또는 A/S등을 수행함에 있어 클러치 디스크의 마모 보상시, 클러치 액츄에이터에 마련된 각 내부 부품의 마모 이전의 특정 위치 및 초기 위치를 클러치 액츄에이터 분해 없이 조절한 효과를 갖는다.

Description

리셋 기능을 갖는 클러치 액츄에이터{Clutch Actuator For Reset}
본 발명은 리셋 기능을 갖는 클러치 액츄에이터에 관한 것으로서, 리셋 장치를 통하여, 클러치 액츄에이터 분해 없이 내부 부품의 초기 위치나 마모 이전의 특정 위치로 이동이 가능하게 조절하는 리셋 기능을 갖는 클러치 액츄에이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수동변속기는 클러치 릴리스 실린더 또는 컨센트릭 슬리브 실린더 타입의 클러치 컨트롤 시스템을 사용한다.
이 경우, 운전자가 클러치 페달을 밟음으로써 클러치 마스트 실린더에서 발생한 유압이 클러치 릴리스 실린더의 태핏을 통하여 힘을 전달하고, 태핏을 통해서 전달된 힘은 클러치 릴리스 포크를 밀어, 릴리스 베어링을 축 방향으로 움직임으로써 클러치 다이어프램 스프링에 힘을 전달하게 된다.
그런데, 이러한 클러치 페달 및 유압 실린더의 경우, 운전자가 클러치 페달을 직접 작동 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고, 운전자의 숙련도에 따라 주행감 및 주행 안정성에 커다란 영향을 주게 되므로, 최근에는 자동형 수동 변속기가 널리 사용되고 있는 추세이다.
이때, 자동형 수동 변속기에서의 클러치 단속 작용은 클러치 액츄에이터에 의해 이루어진다.
한편, 클러치 장치는 엔진의 동력을 변속기를 통해 바퀴로 전달하는 과정에서, 변속시 동력을 단속하는 수단으로 사용되고 있는데, 엔진의 크랭크 축에 설치된 플라이 휠의 일측면과 변속기 입력축의 일측면에 디스크를 마주하게 설치하여, 그 마찰력으로 동력을 전달하도록 되어 있다.
이러한 클러치 디스크는, 반복되는 단속 작용으로 심한 마모가 발생하게 되며, 디스크의 마모는 클러치 작동을 불완전하게 하기 때문에 클러치의 유격 조정이 필요하게 된다.
따라서, 클러치 디스크의 마모 발생에 대응하여 자동적으로 유격이 조정되는 클러치 액츄에이터의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그리하여, 마모 보상을 이루기 위한 종래 기술로서, 스크류와 너트를 이용한 마모 보상 장치가 클러치 액츄에이터 내부에 장착되어 있으며, 페이싱(facing)의 마모량 및 클러치 각 부품의 마모량에 따라 필요한 양만큼의 마모 보상을 할 수 있는 구조를 지니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구조는 마모 보상만 가능한 구조이기 때문에, 마모 보상 장치의 초기 위치나 마모 이전의 특정 위치로 조정하기 위해서는 클러치 액츄에이터를 분해하여 내부 각 부품의 위치를 조정한 후 재조립을 해야만 했다.
한편, 마모 보상 기능을 갖는 클러치 액츄에이터의 기술로서, 안출된 기술은 특허출원 제2011-0064877호(특허문헌 1)가 개시된 바 있다.
상기 특허문헌 1의 경우, 클러치 디스크의 마모 발생시 이를 보상할 수 있는 마모 보상 기능을 가진 클러치 액츄에이터에 관한 것으로, 내부에 공간부를 가지며 공간부와 연통되도록 출입구가 형성되는 하우징과, 하우징의 일측에 설치되는 구동모터와, 공간부에 설치되며 구동모터에 의해 슬라이드 이동하는 슬라이드부와, 일단이 슬라이드부의 일측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타단이 출입구를 통해 하우징의 외측으로 연장되며 외주면 일측에 치형이 원주방향으로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되는 아웃풋 로드 어셈블리, 및 하우징의 출입구 일측에 소정 각도 탄성적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아웃풋 로드 어셈블리의 치형에 대응하여 내주면에 원주방향으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치형이 형성되는 한 쌍의 링부재를 포함하는 마모 보상 기능을 가진 클러치 액츄에이터를 제공한 바 있다.
따라서, 상기 특허문헌 1은 제1링부재와 제2링부재로 이루어지는 한 쌍의 링부재가 하우징의 출입구 일측에 소정 각도 탄성적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전술한 너트부재의 치형부와 상호 작용함으로써, 클러치 디스크의 마모를 보상하게 된다.
즉, 일반적으로 구동모터의 작동에 의한 아웃풋 로드의 이동거리는 임의의 값으로 제한되며(예를 들어, 26mm), 따라서 클러치 디스크의 마모 발생시에는 다른 수단에 의해 아웃풋 로드를 마모된 간격만큼 더 이동시켜야 하는데, 이러한 마모 보상이 너트부재의 치형부와 한 쌍의 링부재의 상호 작용에 의해 이루어지는 것이다.
제2링부재의 회전방향으로는 제2링부재의 돌출부가 수용홈의 일측에 걸려 있으므로 제2링부재는 회전하지 못하고, 너트부재의 치형이 제2링부재의 치형 경사면을 따라 올라가면서 치형부와 함께 너트부재의 회전이 이루어진다.
이때, 숫나사부에 의해 너트부재의 너트부에 나사 결합된 아웃풋 로드는, 헤드부가 클러치 디스크의 일측(예를 들어, 클러치 릴리스 포크)에 결합되어 회전이 구속되어 있는 상태이므로, 너트부재와 함께 회전하지 못하고 숫나사부가 너트부를 따라 슬라이드 이동하게 되며, 이에 따라 마모 보상을 위한 스트로크(예를 들어, 0.075mm) 이동이 이루어진다.
하지만, 아웃풋 로드를 작동시켜 단순히 마모 보상을 이루기만 하지, 내부 부품의 초기 위치나 마모 이전의 특정 위치로 이동시킬 수 없는 불편함이 있고, 이러한 초기 위치나 마모 이전의 특정 위치로 이동시키기 위해서는 클러치 액츄에이터를 분해해야만 하는 작업의 번거로움이 여전히 발생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허출원 제2011-0064877호
전술된 문제점을 해소함에 있어 본 발명에 의한 리셋 기능을 갖는 클러치 액츄에이터는, 클러치 디스크의 마모 보상 시, 클러치 액츄에이터의 내부 부품에 대한 마모 이전의 특정 위치 및 초기 위치로 조절함에 있어 클러치 액츄에이터를 분해함 없이 조절 가능하도록 함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전술된 목적을 달성함에 있어 본 발명에 의한 리셋 기능을 갖는 클러치 액츄에이터는 클러치 액츄에이터의 하우징 내에 마련된 채 일측이 하우징 외측으로 연장된 아웃풋 로드 어셈블리의 중앙에 포설된 형태로 마련되는 너트부와, 클러치 액츄에이터의 하우징 일측부에 형성된 홀과, 상기 홀에 삽입되어 상기 너트 외주연의 일측단에 기립된 상태로 마려되는 로드부와, 상기 로드의 타단에 형성된 체결공에 삽입 고정된 채 너트를 일측 방향으로 회전케 하는 샤프트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리셋 기능을 갖는 클러치 액츄에이터임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너트부는 원통 형상으로 일측 외주연을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함몰된 형태의 치형부가 형성되는 리셋 기능을 갖는 클러치 액츄에이터임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홀은 로드부 항타시 일정한 깊이에서 로드부를 멈춤케 하는 스토퍼부가 내부에 형성되는 리셋 기능을 갖는 클러치 액츄에이터임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로드부는 일단에 항타를 가하기 위한 두부와, 타단에 샤프트를 삽입 고정하기 위한 체결공을 더 포함하게 되는 리셋 기능을 갖는 클러치 액츄에이터임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로드부는 일단에 형성된 두부에 항타를 가함으로써 하우징의 홀 내부 형성된 스토퍼부까지 삽입되며 너트의 회전을 구현하게 되는 리셋 기능을 갖는 클러치 액츄에이터임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샤프트는 너트부의 치형부에 걸림될 수 있게 일측단이 절삭되어 걸림부를 형성하게 되는 리셋 기능을 갖는 클러치 액츄에이터임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샤프트는 너트부의 치형부에 걸림부가 걸림되어 로드부의 항타시 너트부를 일측 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되는 리셋 기능을 갖는 클러치 액츄에이터임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홀은 클러치 액츄에이터의 누유 성능 확인을 위한 홀로 이용되는 리셋 기능을 갖는 클러치 액츄에이터임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리셋 기능을 갖는 클러치 액츄에이터는 시험 목적 또는 A/S등 마모 보상시, 클러치 액츄에이터의 내부 부품에 대한 마모 이전의 특정 위치 및 초기 위치를 클러치 액츄에이터 분해 없이 조절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리셋 기능을 갖는 클러치 액츄에이터를 도시한 단면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너트의 상세 사시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로드와 샤프트의 상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리셋 기능을 갖는 클러치 액츄에이터의 작동을 도시한 정단면도.
본 발명에 있어 첨부된 도면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를 위해 과장되어 도시됨을 밝히고,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청구범위에 제시된 구성요소의 예시적 사항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명세서 전반에 걸친 기술적 사상을 토대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발명에 의한 리셋 기능을 갖는 클러치 액츄에이터는 하우징에 마련되는 리셋 장치가 클러치 디스크의 마모 보상시, 클러치 액츄에이터의 내부 부품에 대한 마모 이전의 특정 위치 및 초기 위치로 조절함에 있어 클러치 액츄에이터를 분해할 필요 없이 조절 가능함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종래기술인 특허출원 제2011-0064877호에서 제시한 마모 보상만을 구현하기 위한 아웃풋 로드 어셈블리와, 상기 아웃풋 로드 어셈블리를 구성하는 구성요소와, 링부재 등은 당연 마련될 수 있기 때문에 본 발명에서는 구체적 설명 및 도면을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설명에 앞서, 너트는 WAD 형태로서 하기에서는 WAD의 명칭을 생략하기로 한다.
설명에 앞서, 일반적으로 클러치 디스크의 마모 발생시, 아웃풋 로드 어셈블리의 아웃풋 로드가 마모된 간격만큼 이동하며 마모 보상을 이루게 되는데 이때 너트부재와 링부재의 상호 작용도 마모 보상에 기여한다.
본 발명에 의한 리셋 기능을 갖는 클러치 액츄에이터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클러치 액츄에이터(100)의 하우징(100)에 리셋 장치가 마련된다.
상기 리셋 장치는, 클러치 액츄에이터(100)의 하우징(100a) 내에 마련된 채 하우징(100a)의 외측으로 연장되는 아웃풋 로드 어셈블리(101)의 중앙에서 일측으로 치우친 부위에 너트부(200)가 포설된 형태로 마련되고, 상기 하우징(100a)의 일측부에는 홀(102)이 형성되며, 상기 홀(102)에 삽입되어 상기 너트부(200) 외주연의 일측단에 기립된 상태를 갖는 로드부(300)가 마련되며, 상기 로드부(300)의 타단에 형성된 체결공(302)에 삽입 고정된 채 너트부(200)를 일측 방향으로 회전케 하는 샤프트(400)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여기서, 상기 너트부(200) 는 일측 외주연을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함몰된 형태의 치형부(201)을 다수개 형성한다.
또한, 여기서 상기 로드부(300)는 일단에 항타를 가하기 위하여 형성된 두부(301)와, 타단에 샤프트(400)를 삽입 고정하기 위하여 형성된 체결공(302)을 더 포함하게 된다.
상기 샤프트(400)는 로드(300)의 체결공(302)에 양측부가 관통된 형태로 삽입 고정되어 좌우로 돌출됨을 이루게 되는데, 이때 샤프트(400)의 일측부가 너트부(200)의 치형부(201)에 걸림된 상태를 이루게 된다.
여기서, 상기 샤프트(400)의 양측부에는 너트부(200)의 치형부(201)에 보다 나은 걸림을 이루기 위하여 양측부의 일측부를 절삭하여 형성된 걸림부(400a)를 형성하게 된다.
클러치 액츄에이터(100)의 하우징(100)에 마련되는 리셋 장치의 연결 구성을 좀 더 상세히 살펴보기로 한다.
상기 클러치 액츄에이터(100)의 하우징(100) 일측부에는 로드부(300)를 삽입하기 위한 홀(102)을 형성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홀(102)은 기름액의 누수 성능을 확인하기 위한 구멍으로서, 로드부(300)를 삽입하기 위하여 별도의 삽입공을 하우징(100a)에 가공 형성할 필요 없이 상기 홀(102)을 로드부(300)의 삽입공으로 대용할 수도 있고, 누유 성능 확인을 위한 구멍으로 이용할 수도 있다.
따라서, 상기 로드부(300)는 상기 홀(102)에 삽입되어 기립됨을 이루게 되는데, 이때 로드부(300)를 항타하기 위한 두부(301)에 항타를 가하게 되면 로드부(300)는 상기 홀(102) 내부 방향으로 더 진입하게 되고, 지속적인 진입을 방지하기 위하여 홀(102) 내부에 두부(301)의 걸림을 이룰 수 있는 스토퍼부(102a)를 더 형성하게 된다.
상기 로드부(300)의 체결공(302)에는 샤프트(400)가 가로 방향으로 삽입되는데, 이때 샤프트(400)의 양측 단부가 상기 체결공(302)에서 좌우로 돌출됨을 이룬 상태로 고정된다.
한편, 상기 샤프트(400)의 양측 단부 중 일단부는 너트부(200)의 치형부(201) 중 어느 하나의 치형부(201)에 삽입된 상태를 이루게 된다.
하기에서는 본 발명에 의한 리셋 기능을 갖는 클러치 액츄에이터의 작동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클러치 액츄에이터(100)에 있어서, 하우징(100a)의 홀(102)에 기립된 로드부(300)의 두부(301)를 항타하게 되면, 로드부(300)는 홀(102) 내부로 진입하게 된다.
이때, 홀(102) 내부에 마련된 스토퍼부(102a)에 의해서 로드부(300)의 두부(301)가 걸림으로써 로드부(300)의 진입은 멈추게 된다.
상기 로드부(300)가 홀(102) 내부로 진입될 때, 로드부(300)의 체결공(302)에 삽입 고정된 샤트프(400) 또한 상기 로드부(300)의 진입 거리만큼 이동하게 된다.
이때, 샤프트(400)의 이동에 의해 너트부(200)가 일측 방향으로 회전됨을 이루게 된다. 즉, 샤프트(400)의 일측 단부에 형성된 걸림부(400a)가 너트부(200)의 치형부(201)에 삽입된 상태로 걸림되어 너트부(200)를 샤프트(400)의 이동 거리만큼 일측 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되는 것이다.
이때 너트부(200)와 회전각도는 일례로서 22.5이며, 로드부(300)의 항타 이동거리는 3.6mm일 수 있다.
따라서, 너트부(200)의 회전으로 클러치 액츄에이터(100)에 마련된 내부 부품의 마모 이전의 특정 위치 및 초기 위치를 클러치 액츄에이터(100)의 분해 없이 조절 가능하게 된다.
100 : 클러치 액츄에이터 100a : 하우징
101 : 아웃풋 로드 어셈블리 102 : 홀
102a : 스토퍼부
200 : 너트부 201 : 치형부
300 : 로드부 301 : 두부
302 : 체결공
400 : 샤프트 400a: 걸림부

Claims (8)

  1. 클러치 액츄에이터의 하우징 내에 마련된 채 일측이 하우징 외측으로 연장된아웃풋 로드 어셈블리의 중앙에 포설된 형태로 마련되는 너트부;
    클러치 액츄에이터의 하우징 일측부에 형성된 홀;
    상기 홀에 삽입되어 상기 너트 외주연의 일측단에 기립된 상태로 마려되는 로드부;
    상기 로드의 타단에 형성된 체결공에 삽입 고정된 채 너트를 일측 방향으로 회전케 하는 샤프트;
    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리셋 기능을 갖는 클러치 액츄에이터.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너트부는,
    원통 형상으로 일측 외주연을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함몰된 형태의 치형부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리셋 기능을 갖는 클러치 액츄에이터.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홀은,
    로드부 항타시 일정한 깊이에서 로드부를 멈춤케 하는 스토퍼부가 내부에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리셋 기능을 갖는 클러치 액츄에이터.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로드부는,
    일단에 항타를 가하기 위한 두부;
    타단에 샤프트를 삽입 고정하기 위한 체결공;
    을 더 포함하게 됨을 특징으로 하는 리셋 기능을 갖는 클러치 액츄에이터.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로드부는,
    일단에 형성된 두부에 항타를 가함으로써 하우징의 홀 내부 형성된 스토퍼부까지 삽입되며 너트의 회전을 구현하게 됨을 특징으로 하는 리셋 기능을 갖는 클러치 액츄에이터.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샤프트는,
    너트부의 치형부에 걸림될 수 있게 일측단이 절삭되어 걸림부를 형성하게 됨을 특징으로 하는 리셋 기능을 갖는 클러치 액츄에이터.
  7. 제1 항 또는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샤프트는,
    너트부의 치형부에 걸림부가 걸림되어 로드부의 항타시 너트부를 일측 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됨을 특징으로 하는 리셋 기능을 갖는 클러치 액츄에이터.
  8.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홀은,
    클러치 액츄에이터의 누유 성능 확인을 위한 홀로 이용됨을 특징으로 하는 리셋 기능을 갖는 클러치 액츄에이터.
KR1020130033555A 2013-03-28 2013-03-28 리셋 기능을 갖는 클러치 액츄에이터 KR10136974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33555A KR101369741B1 (ko) 2013-03-28 2013-03-28 리셋 기능을 갖는 클러치 액츄에이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33555A KR101369741B1 (ko) 2013-03-28 2013-03-28 리셋 기능을 갖는 클러치 액츄에이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69741B1 true KR101369741B1 (ko) 2014-03-06

Family

ID=506474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33555A KR101369741B1 (ko) 2013-03-28 2013-03-28 리셋 기능을 갖는 클러치 액츄에이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6974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01482B1 (ko) * 2014-09-15 2016-03-10 주식회사평화발레오 클러치 액추에이터의 마모보상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340185A (ja) * 2003-05-13 2004-12-02 Honda Motor Co Ltd ディスクブレーキ装置の間隙調整装置
US20060032721A1 (en) * 2002-10-19 2006-02-16 Olaf Langwald Actuating device for a clutch
KR20090010085A (ko) * 2006-05-29 2009-01-28 발레오 앙브라이아쥐 자동차 클러치용 이동 보상 액츄에이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60032721A1 (en) * 2002-10-19 2006-02-16 Olaf Langwald Actuating device for a clutch
JP2004340185A (ja) * 2003-05-13 2004-12-02 Honda Motor Co Ltd ディスクブレーキ装置の間隙調整装置
KR20090010085A (ko) * 2006-05-29 2009-01-28 발레오 앙브라이아쥐 자동차 클러치용 이동 보상 액츄에이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01482B1 (ko) * 2014-09-15 2016-03-10 주식회사평화발레오 클러치 액추에이터의 마모보상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637788B2 (ja) クラッチ装置
US8840348B2 (en) Self-locking screwing attachment device and assembly provided with same
US20210123482A1 (en) Clutch device
KR102543379B1 (ko) 전기 유압식 서보 브레이크의 통합형 유압 모듈
JP2017503129A (ja) センサ装置およびセンサ装置を備えたディスクブレーキ
KR101369741B1 (ko) 리셋 기능을 갖는 클러치 액츄에이터
US7353921B2 (en) Self aligning brake kit
KR101235975B1 (ko) 마모 보상 기능을 가진 클러치 액츄에이터
JP5112957B2 (ja) 回転伝達装置
KR101292623B1 (ko) 마모 보상 기능을 갖는 클러치 액츄에이터
JP6486089B2 (ja) 回転伝達装置
CN104295620B (zh) 离合器系统和手持式电动工具
KR101816451B1 (ko) 마찰클러치의 마모보상장치
CA2980415C (en) Linear travel friction clutch
JP2009014100A (ja) 駆動力伝達装置及びその組み付け方法
JP2008291968A (ja) 電磁クラッチ及び電磁クラッチのエアギャップ調整方法
KR20160077492A (ko) 동력 전달장치
RU2537063C2 (ru) Регулятор тормоза транспортного средства
ATE428867T1 (de) Ueberlastkupplung
JP4480483B2 (ja) ブレーキアジャスタの調整装置
KR200468660Y1 (ko) 인덱스 드라이브 장치
KR102015190B1 (ko) 클러치 액츄에이터의 마모보상장치
JP6604160B2 (ja) 遊星ローラ式変速機の組立装置及び組立方法
KR101530088B1 (ko) 각도 분할 클러치 장치
JP2017057872A (ja) 自動クラッチ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0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0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0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21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