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69467B1 - 복합실내운동기구 - Google Patents

복합실내운동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69467B1
KR101369467B1 KR1020110119033A KR20110119033A KR101369467B1 KR 101369467 B1 KR101369467 B1 KR 101369467B1 KR 1020110119033 A KR1020110119033 A KR 1020110119033A KR 20110119033 A KR20110119033 A KR 20110119033A KR 101369467 B1 KR101369467 B1 KR 10136946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tating plate
elastic member
footrest
indoor exercise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190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53612A (ko
Inventor
유익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휴테크산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휴테크산업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휴테크산업
Priority to KR10201101190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69467B1/ko
Publication of KR201300536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5361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694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6946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02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using resilient force-resisters
    • A63B21/023Wound spring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02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using resilient force-resisters
    • A63B21/05Linearly-compressed element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40Interfaces with the user related to strength training; Details thereof
    • A63B21/4027Specific exercise interfaces
    • A63B21/4033Handles, pedals, bars or platforms
    • A63B21/4034Handles, pedals, bars or platforms for operation by feet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40Interfaces with the user related to strength training; Details thereof
    • A63B21/4041Interfaces with the user related to strength training; Detail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movements of the interface
    • A63B21/4045Reciprocating movement along, in or on a guide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71/00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 A63B71/0054Features for injury prevention on an apparatus, e.g. shock absorbers
    • A63B2071/0063Shock absorbe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physics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복합실내운동기구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베이스부와, 상기 베이스부에 수용되어 회전이 자유롭게 설치되는 회전판과, 상기 회전판 상에 세워져 설치되는 쇽업쇼버를 구비하는 소정 길이의 우측 탄성부재와, 상기 회전판 상에 세워져 설치되고 상기 우측 탄성부재와 일정 거리 이격되어 설치되는 쇽업쇼버를 구비하는 소정 길이의 좌측 탄성부재와, 상기 우측 탄성부재의 상단에 결합되는 우측 발판부와, 상기 좌측 탄성부재의 상단에 결합되는 좌측 발판부를 포함하여 좌우 상하운동, 상하운동 또는 회전운동을 하거나, 이들 운동을 복합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실내운동기구가 제시된다.

Description

복합실내운동기구{A complex indoor fitness equipment}
본 발명은 복합실내운동기구에 관한 것이다. 더 상세하게는 실내에서 공간을 많이 차지하지 않는 헬스 기구로서, 워킹, 점핑 및 회전운동을 할 수 있는 복합 운동기구에 관한 것이다.
최근 휘트니스 클럽 등에서 사용하는 사이즈가 큰 헬스 기구 대신, 가정에서 쉽게 설치하고 설치 공간도 많이 차지하지 않는 운동기구가 많이 개발되어 있다. 걷기 운동 기구, 비틀기 운동기구, 점프 운동기구 등이 다양하게 개발되어 있다.
대한민국 특허번호 제10-0625014호(등록일 2006년9월11일)의 ‘트위스트 운동기구’가 개시되어 있다.
상기 특허발명은 베이스와 회전판과 회전축으로 구성하여 회전판 위에 올라서서 허리 운동과 다리운동을 하는 트위스트 운동기구에 있어서, 사용자가 회전판에 올라서서 구르게 되면 회전판은 체중과 이에 대향하는 스프링 또는 압축공기의 힘을 받아 하방향 또는 상방향으로 움직이게 하되, 이 회전판의 상하운동에 연동하여, 회전판이 하방향으로 내려가면서 좌회전(하방-좌회전 행정), 상방향으로 올라가면서 우회전(상방-우회전 행정), 하방향으로 내려가면서 우회전(하방-우회전 행정), 상방향으로 올라가면서 좌회전(상방-좌회전 행정)의 4개의 행정 순서를 1사이클로 완료하는 작동을 반복할 수 있도록 하는 4행정좌우회전수단을 적어도 1개소 이상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위스트 운동기구에 관한 것이다.
그러나 상기 특허발명은 회전운동을 주로 하는 구성이다. 상기 특허발명과 같이, 현재 개발되어 있는 운동기구는 1가지 운동 기능이 주를 이루고 있다.
또한, 2가지 이상 운동을 할 수 있는 복합실내운동기구로서, 특허 제10-0828099호(등록일 2008년4월30일)의 “회전운동기구”가 공개되어 있다.
상기 특허발명은, 사용자의 건강을 유지, 관리 및 증진하기 위한 회전운동기구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회전운동기구는 바닥에 밀착되고 그 중심에 상측으로 돌출된 롤러부가 구비된 회전축이 구비되고, 전면에 마사지봉이 구비되고 좌우측면과 전면에는 상하로 높낮이가 조절되는 손잡이부가 고정설치되어 있는 지지판과 상기 지지판의 회전축의 상측으로 돌출된 롤러부에 연결결합되며, 그 상측면에 소정 개수의 결합공이 중심축에 대칭되게 형성되는 회전판과 상기 회전축의 상측면에 형성된 결합공에 연결결합되며 상하로 움직이는 암수 부재로 구성되는 내부에 복귀수단이 구비된 승강부와 상기 승강부의 상측에 고정결합되는 상측면에 지압돌기가 형성되어 있는 복수개의 고정발판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으로 회전운동과 함께 걷기, 제자리뛰기, 계단오르기 등의 운동효과를 얻을 수 있으며, 스프링과 자성체를 이용함으로써 상하운동시 무릎관절등에 무리가 가지 않도록 충격완화 효과를 얻을 수 있는 발명이다.
그러나 상기 특허발명은 점프운동(제자리 뛰기)을 할 경우, 2개의 발판이 간격을 두고 있기 때문에 발이 빠질 위험성이 있고, 스프링과 자성체를 이용하여 충격완화 효과를 얻을 수 있으나, 충격완화의 효과를 얻기 위해서는 자성체의 자력이 강해야 하는데, 그럴 경우 자성체의 반발력이 강해 운동기구의 하강이 매우 어려워지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실내에서 작은 사이즈의 하나의 헬스기구로 걷기, 점핑 및 회전운동을 안전하게 할 수 있고, 안전한 충격 흡수장치를 구비하는 복합실내운동기구의 발명이 요망된다.
대한민국 특허번호 제10-0625014호(등록일 2006년9월11일) 대한민국 특허번호 제10-0828099호(등록일 2008년4월30일)
본 발명의 상기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하나의 운동기구에서 걷기운동, 점핑운동 또는 회전운동을 안전하게 수행하거나 이들 운동을 복합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복합실내운동기구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해결 수단으로서, 본 발명에서는 운동기구를 수용하고 바닥면에 미끄럼방지수단을 구비하고 있는 베이스부와, 상기 베이스부의 내측 중앙 위치에 회전판 피스를 매개로 설치되는 베어링부와, 상기 베이스부의 내측으로 수용되고 상기 회전판 피스를 매개로 상기 베어링부 위에 설치되는 회전판과, 상기 회전판의 상면에 일단이 고정 설치되는 쇽업쇼버를 포함하는 적어도 한 쌍의 좌우 탄성부재와, 상기 적어도 한 쌍의 좌우 탄성부재의 상단부에 각각 고정 설치되는 분리된 좌우 발판부를 포함하는 복합실내운동기구가 제시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좌우 분리되고 서로 인접해 있는 발판부에 각각 쇽업쇼버를 포함하는 탄성부재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탄성부재의 타단에 회전판이 설치되고, 상기 회전판이 베어링부를 매개로 베이스부에 설치됨으로써, 상기 분리된 좌우 발판부로 걷기(또는 런닝) 운동 효과를 낼 수 있고, 상기 분리된 좌우 발판부를 잠금부재를 이용하여 고정시키면 분리되지 않는 좌우발판부와 상기 탄성부재를 이용하여 점핑 운동 효과를 낼 수 있고, 상기 베이스부 내에서 회전하는 회전판을 이용하여 회전운동(트위스트)의 효과를 낼 수 있다. 또한, 상기 걷기(또는 런닝)운동, 점핑운동 및 트위스트 운동을 각각 안전하게 수행할 수도 있고, 걷기 및 트위스트, 점핑 및 트위스트 등을 동시에 복합적으로 안전하게 수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복합실내운동기구의 실시예에 관한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복합실내운동기구의 실시예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A-A의 발판부, 탄성부재 및 회전판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B-B의 베이스부와 회전판의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회전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평면에 관한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저면에 관한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정면에 관한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측면에 관한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사용상태의 설명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한 발명의 구성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복합실내운동기구의 실시예에 관한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복합실내운동기구는, 바닦면에 미끄럼 방지구가 설치되어 있고 상면이 개방되어 있는 베이스부(100)와, 상기 베이스부에 수용되어 베어링부를 매개로 회전할 수 있는 회전판(200)과, 일단이 상기 회전판(200)의 상면에 고정 설치되는 2개의 쇽업쇼바(300a, 310a) 및 1개의 스프링(320a)을 포함하는 우측 탄성부재와, 일단이 상기 우측 탄성부재와 일정거리 이격되어 상기 회전판(200)의 상면에 고정 설치되는 2개의 쇽업쇼바(300b, 310b)및 1개의 스프링(320b)을 포함하는 좌측 탄성부재와, 상기 우측 탄성부재의 타단에 고정 설치되는 우측 발판부(400a)와, 상기 좌측 탄성부재의 타단에 고정 설치되는 좌측 발판부(400b)를 포함하는 구성이다.
상기 본 발명의 복합실내운동기구는 상기 베이스부(100)에 고정 설치되는 손잡이부(5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복합실내운동기구는 상기 회전판(200)의 회전을 잠금 또는 해제를 위한 미도시된 잠금장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복합실내운동기구는 상기 베이스부(100)와 상기 회전판(200)에 설치되는 회전각도 규제장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삭제
도 2는 도 1의 본 발명의 복합실내운동기구의 실시예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복합실내운동기구는 하면이 폐쇄되고 상면이 개방된 소정 높이의 원통형의 베이스부(100)와, 상기 베이스부(100)의 바닦면에 부착되는 미끄럼 및 소음 방지를 위한 미끄럼방지부(110)와, 상기 베이스부(100)의 중앙 부위에 형성된 관통홀(122)을 통해 바닦면으로부터 끼워지는 소정 길이의 회전판 피스부(120)와, 상기 회전판 피스부(120)를 축으로 상기 베이스부(100)의 저면에 고정 설치되는 중앙에 홀이 형성되어 있고, 둘레에 일정 간격으로 베어링볼(140)의 수용홈을 갖는 베어링부재(130)와, 상기 베이스부(100)의 상부로 수용되고 상기 베어링부재(130)위에 재치됨과 동시에 상기 회전판 피스부(120)의 상단부와 결합되는 회전판(200)과, 상기 회전판의 지름 선을 중심으로 우측으로 일정거리 이격된 위치에 일단이 고정 설치되어 세워진 소정 길이의 우측 제1쇽업쇼바(300a), 우측 스프링부재(320a) 및 우측 제2쇽업쇼바(310a)와, 상기 우측 제1쇽업쇼바(300a), 우측 스프링부재(320a) 및 우측 제2쇽업쇼바(310a)의 상단부에 결합되는 우측 발판부(400a)와, 상기 회전판의 지름 선을 중심으로 좌측으로 일정거리 이격된 위치에 일단이 고정 설치되어 세워진 소정 길이의 좌측 제1쇽업쇼바(300b), 좌측 스프링부재(320b) 및 좌측 제2쇽업쇼바(310b)와, 상기 좌측 제1쇽업쇼바(300b), 좌측 스프링부재(320b) 및 좌측 제2쇽업쇼바(310b)의 상단부에 결합되는 좌측 발판부(400a)와, 상기 베이스부(100)에 결합되어 세워진 소정 길이의 손잡이부(500)를 포함하는 구성이다.
또한, 상기 본 발명의 복합실내운동기구는 상기 베이스부(100)의 내측벽에 서로 마주보도록 형성되는 회전 스토퍼(150a, 150b)를 더 포함하고, 상기 회전판(200)의 측부에 상기 베이스부(100)의 회전 스토퍼(150a, 150b)에 대응되는 한 쌍의 돌기부(220a, 220b)를 더 포함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복합실내운동기구는 상기 베이스부(100)와 상기 회전판(200)을 결속하여 회전을 잠금 및 잠금의 해제를 할 수 있는 잠금장치(123, 1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복합실내운동기구는 상기 분리되어 있는 우측 발판부(400a)와 좌측 발판부(400b)가 분리되지 않도록 하기 위한 미도시된 분리방지장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분리방지장치는 예를 들면, 우측 발판부(400a)와 좌측 발판부(400b)의 측면의 동일 위치에 각각 관통홀을 형성하고, 상기 관통홀에 핀을 삽입하여 고정시킴으로써, 사용자가 점핑 운동을 하거나, 트위스트 운동만을 하고자 할 경우에 상기 우측 발판부(400a)와 상기 좌측 발판부(400b)를 결속시켜 분리되지 않고 함께 상하 이동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장치이다.
삭제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인 도 1에서 A-A부의 단면 구성도이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베이스부(100)의 내측으로 수용되는 회전판(200), 상기 회전판(200)의 상면에 고정 설치되어 세워진 우측 제1쇽업쇼바(300a), 우측 제2쇽업쇼바(310a) 및 상기 우측 제1쇽업쇼바(300a)와 상기 우측 제2쇽업쇼바(310a)의 사이에 고정 설치되어 세워진 우측 스프링부재(320a)를 포함하는 우측 탄성부재와, 상기 우측 탄성부재의 상단에 결합되는 소정 길이 및 소정 폭을 갖는 우측 발판부(400a)와, 상기 우측 발판부(400a)의 저면에 형성된 우측 발판부 측벽(410a)를 포함하는 구성이다.
상기 도 3의 구성에서 우측 탄성부재는 상기 우측 스프링부재(320a)를 생략할 수 있고, 상기 우측 제1쇽업쇼바(300a) 및 우측 제2쇽업쇼바(310a) 대신 모두 스프링부재로 대체할 수 있고, 스프링부재 2개만을 사용할 수도 있다. 좌측 발판부(400b)에 속하는 구성도 상기 도 3과 동일하다. 상기 우측 발판부 측벽(410a)의 상기 좌측 발판부 측벽과 대응하는 면은 사용자가 걷기 또는 런닝 운동을 할 때 분리된 상기 좌우측 발판부(400a, 400b)에 발끼임 현상을 방지하기 위한 구성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복합실내운동기구의 실시예인 도 1의 B-B 선이 나타내는 베이스부(100)와 회전판(200)의 단면 구성도이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면이 개방되고 저면이 폐쇄된 소정 높이의 원통형의 베이스부(100)와, 상기 베이스부(100)의 바닦면에 미끄럼 방지, 소음 방지 및 충격 완충 기능을 하기 위한 고무 등의 재질로 된 미끄럼방지부(110)와, 베어링볼(140)을 수용하고 상기 베이스부(100) 내에 설치되는 베어링부재(130)와, 상기 베어링부재(130)위에 재치되는 회전판(200)과, 상기 베이스부(100)의 내에서 상기 회전판(200)이 회전이 자유롭게 결합하기 위한 회전판 피스부(120)와, 상기 회전판(200)의 저면에 설치되어 충격의 완충작용을 위한 충격흡수부(210)와, 상기 베이스부(100)의 내측벽에 서로 마주보도록 설치된 한 쌍의 회전 스토퍼(150a, 150b), 상기 회전판(200)의 측벽에 상기 한 쌍의 회전 스토퍼(150a, 150b)와 대응되는 위치에 설치되는 한 쌍의 돌기부(220a, 220b)를 포함하는 구성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복합실내운동기구의 회전 각도를 규제하기 위한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상기 도 4의 개략적인 평면 구성도이다.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베이스부(100)의 내측벽에 서로 마주보도록 한 쌍의 회전 스토퍼(150a, 150b)가 설치되고, 상기 회전판(200)의 외측벽의 상기 한 쌍의 회전 스토퍼(150a, 150b)와 대응되는 위치에 한 쌍의 돌기부(220a, 220b)가 설치된 구성이다. 사용자가 트위스트 운동을 할 때 A방향으로 회전을 하면 상기 회전판(200)의 돌기부(220a)가 180도 회전하면 상기 베이스부(100)의 회전 스토퍼(150b)에 걸리고, 돌기부(220b)는 180도 회전하여 상기 회전 스토퍼(150a)에 걸려 회전을 멈추게 된다. 또한, 이 상태에서 B방향으로 회전을 하면 상기 회전판(200)의 돌기부(220a)가 180도 회전하여 상기 베이스부(100)의 회전 스토퍼(150a)에 걸리고, 돌기부(220b)는 180도 회전하여 상기 회전 스토퍼(150b)에 걸려 회전을 멈추게 된다. 좌우 회전을 180도로 규제하기 위한 구성이다. 상기 도 4, 도 5의 실시예에서 상기 회전판(200)의 돌기부를 2개 설치한 예를 설명했지만, 돌기부를 1개만 설치해도 동일한 효과를 가질 수 있다. 같은 이치로 상기 회전판(200)에 한 쌍의 돌기부(220a, 220b)를 설치하고, 상기 베이스부(100)의 내측벽에 1개의 회전 스토퍼만을 구비해도 동일한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복합실내운동기구의 평면에서 본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베이스부(100)에 회전이 자유롭게 설치되는 회전판(200)과, 상기 회전판(200)의 상면에 우측 탄성부재 및 좌측 탄성부재를 매개로 분리 설치되는 우측 발판부(400a)와 좌측 발판부(400b)의 평면도이다. 상기 우측 발판부(400a)와 상기 좌측 발판부(400b)의 서로 마주보는 부분에 서로 맞물리는 부분(420a, 420b)을 가지고 있다. 이는 사용자의 운동 중에 상기 분리된 상기 우측 발판부(400a)와 상기 좌측 발판부(400b)가 전후로 벗어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구성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복합실내운동기구의 실시예의 바닥면(베이스부(100)의 바닦면)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미끄럼 방지, 소음 방지 및 충격완화 기능을 수행하는 소정 개수의 미끄럼방지부(110)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 베이스부(100)와 상기 회전판(200)이 회전이 자유롭도록 결합시키는 회전판 피스부(121)가 설치된 구성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의 정면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베이스부(100), 상기 베이스부(100)의 바닦면에 설치되는 미끄럼방지부(110), 상기 베이스부(100)에 수용되어 회전이 자유롭게 설치된 회전판(200), 상기 회전판(200)의 상면에 세워져 설치되는 우측 탄성부재(300a, 320a) 및 좌측 탄성부재(300b, 320b), 상기 우측 탄성부재(300a, 320a) 및 좌측 탄성부재(300b, 320b)의 상단에 각각 분리되어 설치되는 우측 발판부(400a) 및 좌측 발판부(400b)의 구성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복합실내운동기구의 측면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베이스부(100), 상기 베이스부(100)의 바닦면에 설치되는 미끄럼방지부(110), 상기 베이스부(100)에 수용되어 회전이 자유롭게 설치된 회전판(200), 상기 회전판(200)의 상면에 세워져 설치되는 우측 탄성부재(300a, 310a, 320a) 및 상기 우측 탄성부재(300a, 310a, 320a)의 상단에 설치되는 우측 발판부(400a)를 나타내는 구성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복합실내운동기구의 실시예의 사용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다. 도 10a는 걷기 또는 런닝 운동시 상기 우측 발판부(400a)에 힘을 가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 10b는 걷기 또는 런닝 운동시 상기 좌측 발판부(400b)에 힘을 가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 10a 및 도 10b의 걷기 또는 런닝 운동은 잠금장치를 이용하여 상기 베이스부(100)에서 상기 회전판(200)이 회전하지 않도록 하고 수행할 수 있다.
도 10 c는 상기 우측 발판부(400a)와 좌측 발판부(400b)가 분리되지 않도록 미도시한 분리방지장치를 이용하여 고정시킨 후, 점핑 운동을 하는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 10d는 상기 우측 발판부(400a)와 좌측 발판부(400b)가 분리되지 않도록 미도시한 분리방지장치를 이용하여 고정시킨 후, 좌우로 회전시키는 트위스트 운동을 하는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 10e는 상기 우측 발판부(400a)와 좌측 발판부(400b)가 분리되지 않도록 미도시한 분리방지장치를 이용하여 고정시킨 후, 상하 운동 또는 점핑 운동과 동시에 좌우로 회전시키는 트위스트 운동을 하는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 중 하나에 불과하다. 본 발명의 걷기 또는 런닝 운동을 위한 분리된 좌우 발판부와, 회전판 상면에 결합된 좌우측 탄성부재 및 상기 회전판을 수용하여 회전이 자유롭게 설치되도록 하기 위한 베이스부를 포함하여, 걷기 또는 런닝운동, 점핑운동, 트위스트운동을 할 수 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포함되는 다양한 실시예가 본 발명의 보호 범위에 포함되는 것은 당연하다 하겠다.
100 : 베이스부
200 : 회전판
300a, 310a, 320a : 우측 탄성부재
300b, 310b, 320b : 좌측 탄성부재
400a : 우측 발판부
400b : 좌측 발판부
500 : 손잡이부

Claims (14)

  1. 베이스부와,
    상기 베이스부에 수용되어 회전이 자유롭게 설치되는 회전판과,
    상기 회전판 상에 세워져 설치되는 소정 길이의 우측 탄성부재와,
    상기 회전판 상에 세워져 설치되고 상기 우측 탄성부재와 일정 거리 이격되어 설치되는 소정 길이의 좌측 탄성부재와,
    상기 우측 탄성부재의 상단에 결합되는 우측 발판부와,
    상기 좌측 탄성부재의 상단에 결합되는 좌측 발판부와,
    상기 우측탄성부재 및 상기 좌측 탄성부재는 충격완화장치로서 각각 쇽업쇼버를 포함하고, 상기 우측 발판부와 상기 좌측 발판부의 서로 마주보는 부분에 맞물리는 부분이 형성되어 있고, 좌우 상하운동, 상하운동 또는 회전운동을 하거나, 이들 운동을 복합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실내운동기구.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우측 발판부와 상기 좌측 발판부의 분리를 방지하기 위한 분리방지장치를 더 포함하는 복합실내운동기구.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회전판의 회전을 잠금 또는 잠금의 해제를 할 수 있는 잠금장치를 더 포함하는 복합실내운동기구.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부에 고정 설치되는 일정 길이의 손잡이부를 더 포함하는 복합실내운동기구.
  6. 삭제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우측 발판부와 상기 좌측 발판부에는 서로 대면하는 부분에 발끼임 방지를 위한 측벽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실내운동기구.
  8. 삭제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회전판의 회전 각도를 규제하기 위한 회전 각도 규제수단을 더 포함하는 복합실내운동기구.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KR1020110119033A 2011-11-15 2011-11-15 복합실내운동기구 KR10136946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19033A KR101369467B1 (ko) 2011-11-15 2011-11-15 복합실내운동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19033A KR101369467B1 (ko) 2011-11-15 2011-11-15 복합실내운동기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53612A KR20130053612A (ko) 2013-05-24
KR101369467B1 true KR101369467B1 (ko) 2014-03-04

Family

ID=486627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19033A KR101369467B1 (ko) 2011-11-15 2011-11-15 복합실내운동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6946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11758A (ko) 2022-01-11 2022-01-28 주영훈 스텝 머신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085192A1 (ko) * 2014-11-24 2016-06-02 정연옥 다기능 운동기구
KR20150085773A (ko) 2014-11-24 2015-07-24 정연옥 다기능 운동기구
WO2022139024A1 (ko) * 2020-12-22 2022-06-30 브이알카버주식회사 운동기구에 사용하는 원복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632711A (en) 1996-07-02 1997-05-27 Hwang; Yu-Yeh Twister
KR20040014613A (ko) * 2004-01-15 2004-02-14 박봉훈 트위스트 운동기구
KR100828099B1 (ko) * 2007-04-13 2008-05-08 원광대학교산학협력단 회전운동기구
KR20110002785A (ko) * 2009-07-02 2011-01-10 정연옥 다기능 트위스트 운동 기구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632711A (en) 1996-07-02 1997-05-27 Hwang; Yu-Yeh Twister
KR20040014613A (ko) * 2004-01-15 2004-02-14 박봉훈 트위스트 운동기구
KR100828099B1 (ko) * 2007-04-13 2008-05-08 원광대학교산학협력단 회전운동기구
KR20110002785A (ko) * 2009-07-02 2011-01-10 정연옥 다기능 트위스트 운동 기구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11758A (ko) 2022-01-11 2022-01-28 주영훈 스텝 머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53612A (ko) 2013-05-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605857B (zh) 具有可拆卸的把手的跑步機及其組裝方法
US9327155B2 (en) Device and method for performing exercises using a freely rotating ball
KR101369467B1 (ko) 복합실내운동기구
US7621861B1 (en) Rotational exercise apparatus
KR101218316B1 (ko) 안전장치를 갖는 하늘걷기 운동기구
JP2010504802A (ja) 多目的運動器具
US20130337984A1 (en) Abdomen Exerciser
KR100828099B1 (ko) 회전운동기구
KR20230017085A (ko) 스윙식 훌라후프
KR20120008223U (ko) 공중걷기운동기구용 안전장치
KR101244716B1 (ko) 허리운동이 가능한 회전판형 트위스트 스텝퍼
CN106039636B (zh) 户外健身器材
KR101698885B1 (ko) 다목적 하체 운동기구
KR102264153B1 (ko) 둔근 강화용 운동기구
KR101837100B1 (ko) 수평 슬라이딩 운동기구
KR101298337B1 (ko) 공중걷기 운동기구
KR200466305Y1 (ko) 회전형 운동기구
EP1609510A2 (en) Gymnastic device
JP3145983U (ja) 歩行運動と左右開閉運動兼用器具
KR101634065B1 (ko) 하체 근력 강화용 운동기
KR20150067651A (ko) 뜀뛰기 운동기구
KR101404053B1 (ko) 굴림식 운동기구
KR200489544Y1 (ko) 걷기 및 허리 운동기구
KR102560169B1 (ko) 공중걷기 운동기구
KR101031091B1 (ko) 철봉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1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2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2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14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