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08223U - 공중걷기운동기구용 안전장치 - Google Patents

공중걷기운동기구용 안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08223U
KR20120008223U KR2020110004434U KR20110004434U KR20120008223U KR 20120008223 U KR20120008223 U KR 20120008223U KR 2020110004434 U KR2020110004434 U KR 2020110004434U KR 20110004434 U KR20110004434 U KR 20110004434U KR 20120008223 U KR20120008223 U KR 20120008223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wing arm
shaft
swing arms
foot
sw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1000443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연숙
윤병철
김세진
김희찬
김진호
박주현
안성현
박미희
Original Assignee
(주)유니온랜드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유니온랜드,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주)유니온랜드
Priority to KR202011000443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008223U/ko
Publication of KR2012000822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08223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ndition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aining agility or co-ordination of movements
    • A63B22/04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ndition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aining agility or co-ordination of movements with movable multiple steps, i.e. more than one step per limb, e.g. steps mounted on endless loops, endless ladder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ndition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aining agility or co-ordination of movements
    • A63B22/0048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ndition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aining agility or co-ordination of movements with cantilevered support elements pivoting about an axis
    • A63B22/0056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ndition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aining agility or co-ordination of movements with cantilevered support elements pivoting about an axis the pivoting movement being in a vertical plane, e.g. steppers with a horizontal axi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ardiolog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주로 노인들이 사용하는 공중걷기운동기구에 안전장치를 부가하여 사용시에만 운동기구의 작동이 이루어지게 구성함으로써 노인들에게 더욱 안전한 사용성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한 공중걷기운동기구용 안전장치에 관한 것으로,
스윙암(2,2')이 회전축부(4,4')를 통해 지주대(1)에 자유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스윙암(2,2') 하부에는 발을 올려놓을 수 있는 발판(3,3')이 형성되어 공중에서 양 발을 걷기운동할 수 있도록 구성된 공중걷기운동기구에 있어서, 상기 회전축부(4,4')에 미사용시에는 스윙암(2,2')이 미작동의 고정상태를 유지하고 발판(3,3')에 체중이 실리는 경우에는 스윙암(2,2')이 회전가능한 작동상태로 전환되도록 구성한 것에 특징이 있다.

Description

공중걷기운동기구용 안전장치{SAFETY DEVICE OF THE WALKING MACHINE}
본 고안은 공중걷기운동기구용 안전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주로 노인들이 사용하는 공중걷기운동기구에 안전장치를 부가하여 사용시에만 운동기구의 작동이 이루어지게 구성함으로써 노인들에게 더욱 안전한 사용성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한 공중걷기운동기구용 안전장치에 관한 것이다.
현대인은 건강, 미용 등을 위하여 여러 운동과 스포츠를 즐기고 있으며, 그중에서 야외 가볍게 유산소운동을 할 수 있는 운동기구 역시 공중걷기운동기구, 노젖기운동기구 등으로 다양하게 개발되고 있다.
그 중에서 공중걷기운동기구는 지주대 양측에 스윙암이 설치되고 스윙암 하부에 발판이 결합되어 사용자가 양 스윙암의 발판 위에 양 발을 올려놓고 공중에서 걷는 동작으로 운동이 이루어지는 운동기구로서 몸의 하중이 무릎에 직접 전달되지 않는 상태에서 반복적인 걷기동작으로 전신운동, 심폐기능강화, 근력강화 등의 효과를 얻을 수 있어 주로 노인층에서 사용하고 있는 주요 운동기구 중의 하나이다.
이러한 공중걷기운동기구는 무전원에 의한 친환경 운동기구로서 야외유원지, 산책로, 공원 등에 설치되고 있으며 하기와 같이 다양한 개발이 이루어지고 있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393343호에 U자형 프레임에 상단이 회동가능하게 고정된 1쌍의 J형 스윙암 하단부의 발판에 올라서서 양손은 프레임 상부에 수평으로 고정된 손잡이를 꼭 잡고 가슴을 편 상태에서 보행하듯이 양다리를 움직이며 공중에서 걷기운동을 할 수 있도록 한 운동기구가 게재되어 있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349184호에 U자형으로 형성되고 양측에 지지부재가 배치된 지지프레임의 내측에 대칭형으로 결합부재와 힌지결합된 수직부재와, 상기 수직부재 하단과 직각방향으로 연결된 수평부재로 이루어져 대칭형으로 배치되는 회동장치와 지지프레임 상단에 설치되는 팔걸이로 구성된 제자리 달리기 운동기구가 게재되어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0-0117551호에는 바닥에 자리하는 프레임에 상단에 수평면에 대하여 회전방향이 경사지게 회전되는 회전축부를 통하여 고정된 J자형 스윙암과, 스윙암 하단부에 부착된 발판과 프레임 상부의 핸들로 구성된 유산소근력강화기구가 게재되어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6932032호에는 사람의 겨드랑이에 끼워지는 지지봉이 형성된 지지대의 회전축에 U형 실린더와 페달부로 된 페달장치로 구성되어 사용자가 겨드랑이를 지지봉에 걸고 두 발로 페달을 밟아 걷기운동을 할 수 있도록 한 허리강화 걷기운동기구가 게재되어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4-0003733호에 받침봉에 수개의 축설관을 일정한 간격이 유지되게 지주로 고정하고 축설관에 손잡이와 지지봉을 결합하고, 지지봉의 끝에 발판을 설치하여 그네처럼 흔들리게 발판에 올라서서 다리운동을 할 수 있도록 한 다리운동구가 게재되어 있다.
상기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기존 공중걷기운동기구는 지주대에 아이들(IDLE) 결합된 스윙암에 발판이 마련되어 사용자가 임의로 자유회전작동되는 스윙암의 발판 위로 양 발을 올려놓고 걷기운동이 이루어지는 것이다.
이러한 기존 공중걷기운동기구는 회전상태로 있는 스윙암의 발판에 한 발을 올려놓고 다른 일측 스윙암 발판에 다른 한쪽 발을 올려서 양 발을 모두 스윙암의 발판에 올려놓은 상태에서 반복되는 걷기동작으로 운동이 이루어지는 것으로, 상기와 같이 자유회전상태의 스윙암 발판에 양발을 차례로 올려놓는 과정과 사용후 발판으로부터 발을 내려놓는 과정에서 자유회전상태의 스윙암이 임의로 요동하여 흔들리게 됨으로써 운동신경이 둔한 노인의 경우 발판에 발을 올리는 과정에서 무게중심을 잃고 넘어질 염려가 높고 또 발을 올리는 과정에서 상당한 주의력이 요구됨으로써 이러한 위험성과 사용상의 불편은 공중걷기운동기구의 적극적인 사용을 기피하는 문제점을 야기하였다.
또한 발판이 마련된 스윙암은 미사용시에도 항시 자유회전상태에 있게 됨으로써 외부의 불필요한 동작이나 물리적 충격으로 인해 사용자가 발판에 올라서지 않은 상태에서도 스윙암이 헛돌아 주위 사람들에게 위해를 가하는 경우 역시 우려할 만한 안전사고를 유발하였던 것으로 이를 해결할 수 있는 안전장치의 개발이 요구되었다.
이에 본 고안에서는 미사용시에는 스윙암이 임의로 자유회전되지 않고 고정된 미작동상태로 있게 하고 사용자가 사용을 위해 발판에 올라선 경우에만 고정상태가 해제되어 자유회전상태의 작동이 가능한 상태로 전환되게 함으로써 사용자가 발판에 발을 올리고 내리는 과정을 안전하게 수행할 수 있게 하고 이와 함께 스윙암이 헛돌아 발생될 수 있는 안전사고 위험성을 근본적으로 방지할 수 있 공중걷기 운동기구를 제공하고자 한다.
즉, 본 고안은 발판의 스윙암이 고정된 상태에서 발을 올려놓고 사용할 수 있게 함으로써 사용자가 발판에 운동을 위해 발을 올리는 과정은 물론 내리는 과정에서도 스윙암이 헛돌지 않고 안정적으로 고정되어 발을 올리고 내릴 수 있게 함으로써 노인들이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는 안전성을 확보하고자 한다.
또, 본 고안은 스윙암 발판이 헛돌지 않는 안정된 고정상태로 있다가 사용자가 발판에 올라선 사용시에만 스윙암 발판이 자유회전되게 하여 여러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하고자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고안은
[청구항 1]에 기재된 고안에 따르면; 스윙암이 회전축부를 통해 지주대에 자유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스윙암 하부에는 발을 올려놓을 수 있는 발판이 형성되어 공중에서 걷기운동할 수 있도록 구성된 공중걷기운동기구에 있어서, 상기 회전축부에 미사용시에는 스윙암이 미작동의 고정상태를 유지하고 발판에 체중이 실리는 경우에는 스윙암이 회전가능한 작동상태로 전환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2]에 기재된 고안에 따르면;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축부는; 샤프트를 지주대에 고정시키고 샤프트는 베어링으로 하우징을 자유회전가능하게 결합하며, 상기 스윙암은 하우징의 조립관을 통해 결합하여 스윙암 상부 고정핀이 상기 샤프트의 핀홀에 분리결합되게 하며, 상기 스윙암의 고정핀은 하우징의 조립관 내측에서 스프링으로 샤프트의 핀홀에 탄력지지되게 결합시킨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3]에 기재된 고안에 따르면;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조립관을 통해 결합된 스윙암의 고정핀은 고정편으로 샤프트의 핀홀측으로 스프링을 탄력지지시키고 상기 고정핀에는 조립관의 고정편에 탄력지지시킨 스프링에 탄력지지되고 스윙암에 하중이 작용되면 스프링을 압축시키는 걸림편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은 미사용시(평상시)에 미작동의 고정상태로 있게 하고 사용자가 발판에 올라선 경우에만 작동이 이루어져 스윙암이 자유회전상태로 자동 전환되는 공중걷기운동기구용 안전장치를 제공하여 헛돌지 않고 고정된 발판 위에 발을 올리거나 내릴 수 있게 됨으로써 노인 사용자에게 더욱 안전한 사용성을 제공할 수 있으며, 또한 이로인해 공중걷기운동기구의 사용을 기피하는 문제를 해결하여 노인 사용자의 보다 적극적인 친환경 운동기구의 사용확대를 도모할 수 있는 등의 이익을 기대할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를 보인 일부 단면 정면도이다.
도 2, 2a는 본 고안의 요부 발췌 확대 단면도 및 작용상태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측면도이다.
도 4, 4a는 본 고안의 작용상태 단면도이다.
도 5는 기존 공중걷기운동기구의 일례를 보인 단면도이다.
본 고안은 미사용시에 미작동의 고정상태를 유지하도록 하고 사용자가 스윙암의 발판에 발을 올려놓은 이후에 작동상태로 전환되어 사용이 가능하게 되도록 걷기운동기구를 구성한 것에 특징이 있다.
양 지주대에 스윙암이 자유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스윙암 하부에는 발판이 마련된다.
상기 스윙암은 상단의 회전축부가 양 지주대에 결합되어 설치되고, 양 지주대 사이에는 핸드바아가 형성된다.
또, 상기 회전축부는 스윙암 상단을 지주대에 자유회전가능하게 지지시키는 것으로, 상기 회전축부를 통해 지주대에 설치된 스윙암은 적정한 보폭의 전후 회전(Swing)각도를 갖도록 구성된다.(예: 대략 53°내외)
상기한 구성의 공중걷기운동기구의 구성은 공지된 것이다.
본 고안은 상기 스윙암의 회전축부에 미사용시에는 스윙암이 미작동되고 발판에 체중이 실리는 경우에는 스윙암의 고정핀이 샤프트의 핀홀로부터 분리되어 스윙암의 회전이 가능한 작동상태로 전환되도록 록킹장치를 구성한 것이다.
이하에 본 고안의 구체적인 구성을 상세히 살펴보면 이하와 같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를 보인 일부 단면 정면도, 도 2, 2a는 본 고안의 요부 발췌 확대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측면도, 도 4, 4a는 본 고안의 작용상태 단면도이다.
발판(3,3')이 마련된 스윙암(2,2')은 회전축부(4,4')를 통해 지주대(1)에 자유회전가능하게 결합한다. 상기 스윙암(2,2')은 하부에 발을 올려놓을 수 있는 발판(3,3')을 형성하고 상부 회전축부(4,4')를 지주대(1)에 회전가능하게 결합하여 설치하며, 상기 지주대(1)에는 손으로 잡을 수 있는 핸드바아(5)를 형성한다.
상기 회전축부(4,4')는 샤프트(41)를 지주대(1)에 고정시키고, 지주대(1)에 고정된 샤프트(41) 외측에는 베어링(42)으로 하우징(43)을 자유회전가능하게 결합한다.
상기 하우징(43) 일측에는 샤프트(41)로부터 분리되지 않도록 체결너트(44)와 아웃커버(45)로 고정시킨다.
상기 하우징(43)내의 샤프트(41)에는 스윙암(2,2')의 고정핀(21)이 분리결합되는 핀홀(46)을 형성하고, 스윙암(2,2')은 하우징(43)의 조립관(47)을 통해 결합한다.
상기 스윙암(2,2') 상단부는 고정핀(21)과 연결하고, 상기 고정핀(21)과 연결된 스윙암(2,2') 상단 연결부는 하우징(43)의 조립관(47)내에 위치되게 하여 외부로 노출되지 않게 한다.
상기 스윙암(2,2')의 고정핀(21)은 조립관(47)내에서 고정편(49)으로 샤프트(41)의 핀홀(46) 측으로 스프링(48)을 탄력지지시키고, 상기 고정핀(21)에는 조립관(47)의 고정편(49)에 탄력지지시킨 스프링(48)에 탄력지지되고 스윙암(2,2')에 하중이 작용할 경우 스프링(48)을 압축시킬 수 있도록 걸림편(22)을 형성한다.
상기 고정핀(21)과 스윙암(2,2')은 연결핀과 용착결합으로 연결시킨 구조를 도시하고 있으나 고정핀(21)과 스윙암(2,2')은 도시한 예 외에도 직접 연결 구조 등으로 다양하게 실시할 수 있다.
상기한 구성의 본 고안은 스윙암(2,2')의 발판(3,3')에 발을 올려 그 체중이 실린 스윙암(2,2')이 하중을 받으면 회전축부(4)의 록킹장치에 의해 고정핀(21)이 샤프트(41)의 핀홀(46)로부터 분리되어 회전가능한 작동상태로 전환되는 것으로, 이하 이에 대하여 살펴보면 이하와 같다.
미사용시 스윙암(2,2')의 고정핀(21)은 지주대(1)에 고정시킨 샤프트(41)의 핀홀(46)에 삽입되어 스윙암(2,2')의 회전이 샤프트(41)에 의해 제동됨으로써 스윙암(2,2')은 자유회전되지 않는 미작동상태를 유지한다.
상기한 미작동상태에서 사용자가 일측 스윙암(2,2')의 발판(3,3')에 한쪽 발을 올려놓고 다른 한쪽 발을 역시 미작동상태의 다른 일측 스윙암(2,2') 발판(3,3')에 발을 올려 사용을 하게 된다. 이와 같이 사용자가 스윙암(2,2')의 발판(3,3')에 발을 올려놓는 과정에서는 스윙암(2,2')이 고정핀(21)에 의해 샤프트(41)에 고정상태를 유지함으로써 사용자는 안전하게 발을 발판(3,3')에 올려놓을 수 있다.
상기 과정을 통해 양 발을 양 스윙암(2,2') 발판(3,3')에 완전히 올려놓게 되면 사용자의 체중이 발판(3,3')에 하중을 가하여 스윙암(2,2')의 고정핀(21)이 스프링(48)을 압축시키면서 핀홀(46)로부터 분리되고 스윙암(2,2')은 샤프트(41)로 분리되어 자유회전이 가능한 작동상태로 전환됨으로써 사용자가 걷기운동을 행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와 같은 작동상태에서 사용자가 한 쪽 발을 한 쪽 발판(3,3')으로부터 들어올리게 되면 하중이 상실된 발판(3,3')의 스윙암(2,2')은 스프링(48)의 복원력으로 고정핀(21)이 샤프트(41)의 핀홀(46)에 삽입되어 고정됨으로서 정지된 발판(3,3')으로부터 한쪽 발을 땅에 내려놓을 수 있게 된다.
또 내려놓은 발에 무게중심을 옮기고 발판(3,3')위의 다른 한쪽 발을 내리기 위하여 살짝 들어올리면 발판(3,3')의 스윙암(2,2') 역시 고정핀(21)이 스프링(48)의 복원력으로 핀홀(46)에 삽입되어 고정됨으로써 정지된 발판(3,3')으로부터 안전하게 다른 한쪽 발을 내릴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이 사용자는 양발을 차례로 발판(3,3')에 올리고 내리는 과정에서 고정 정지된 발판(3,3')을 이용하게 됨으로써 안전한 사용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미사용시의 미작동상태로 있는 스윙암(2,2')은 외부의 물리력에 의해 헛돌지 않는 고정상태를 유지함으로써 스윙암(2,2')이 헛돌아 발생될 수 있는 안전사고의 위험을 근본적으로 예방할 수 있다.
본 고안의 내용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하여 첨부한 도면에 사용된 주요 부호에 대하여 설명하면 이하와 같다.
1: 지주대 2,2': 스윙암
21: 고정핀
3,3':발판 4: 회전축부
41:샤프트 46:핀홀
48:스프링
5: 핸드바아
상기한 부호의 설명을 포함하여 본 고안의 상세한 설명과 청구범위에 기재된 용어는 본 고안을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사용한 것으로, 상세한 설명과 청구범위는 물론 도면을 포함한 전체 기재내용으로 보아서 그 기술사상에 부합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하여야 하는 것이지 반드시 사전적인 의미로만 해석하여 사용된 용어의 의미와 개념을 불분명하게 하여서는 아니 될 것이다.

Claims (3)

  1. 스윙암(2,2')이 회전축부(4,4')를 통해 지주대(1)에 자유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스윙암(2,2') 하부에는 발을 올려놓을 수 있는 발판(3,3')이 형성되어 공중에서 양 발을 걷기운동할 수 있도록 구성된 공중걷기운동기구에 있어서,
    상기 회전축부(4,4')에 미사용시에는 스윙암(2,2')이 미작동의 고정상태를 유지하고 발판(3,3')에 체중이 실리는 경우에는 스윙암(2,2')이 회전가능한 작동상태로 전환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중걷기운동기구용 안전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축부(4,4')는; 샤프트(41)를 지주대(1)에 고정시키고 샤프트(41) 는 베어링(42)으로 하우징(43)을 자유회전가능하게 결합하며,
    상기 스윙암(2,2')은 하우징(43)의 조립관(47)을 통해 결합하여 스윙암(2,2') 상부 고정핀(21)이 상기 샤프트(41)의 핀홀(46)에 분리결합되게 하며,
    상기 스윙암(2,2')의 고정핀(21)은 하우징(43)의 조립관(47) 내측에서 스프링(48)으로 샤프트(41)의 핀홀(46)에 탄력지지되게 결합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중걷기운동기구용 안전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43)의 조립관(47)을 통해 결합된 스윙암(2,2')의 고정핀(21)은 고정편(49)으로 샤프트(41)의 핀홀(46) 측으로 스프링(48)을 탄력지지시키고, 상기 고정핀(21)에는 조립관(47)의 고정편(49)에 탄력지지시킨 스프링(48)에 탄력지지되고 스윙암(2,2')에 하중이 작용되면 스프링(48)을 압축시키는 걸림편(22)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중걷기운동기구용 안전장치.
KR2020110004434U 2011-05-23 2011-05-23 공중걷기운동기구용 안전장치 KR20120008223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10004434U KR20120008223U (ko) 2011-05-23 2011-05-23 공중걷기운동기구용 안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10004434U KR20120008223U (ko) 2011-05-23 2011-05-23 공중걷기운동기구용 안전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8223U true KR20120008223U (ko) 2012-12-03

Family

ID=475177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10004434U KR20120008223U (ko) 2011-05-23 2011-05-23 공중걷기운동기구용 안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20008223U (ko)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225872A (zh) * 2014-10-14 2014-12-24 李科廷 室外腿部力量训练器
CN107050753A (zh) * 2017-05-23 2017-08-18 江苏圣泰防腐设备东台有限公司 一种便于修理的太空漫步器
CN107866028A (zh) * 2017-12-14 2018-04-03 苏州胤宗智能科技有限公司 一种高度可调式双人漫步机
CN109603087A (zh) * 2018-11-30 2019-04-12 南安市商宏机械科技有限公司 一种基于重力回拉限位的太空漫步机
WO2019114003A1 (zh) * 2017-12-14 2019-06-20 李翠花 一种高度可调式双人漫步机
CN111388953A (zh) * 2020-03-30 2020-07-10 河海大学常州校区 一种具有防撞伤功能的安全漫步机
CN111773618A (zh) * 2020-07-31 2020-10-16 中山市牛泉运动器材有限公司 一种安全漫步机
KR102352260B1 (ko) * 2021-02-22 2022-01-17 명성이앤비 주식회사 운동기구의 안전장치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225872A (zh) * 2014-10-14 2014-12-24 李科廷 室外腿部力量训练器
CN107050753A (zh) * 2017-05-23 2017-08-18 江苏圣泰防腐设备东台有限公司 一种便于修理的太空漫步器
CN107866028A (zh) * 2017-12-14 2018-04-03 苏州胤宗智能科技有限公司 一种高度可调式双人漫步机
WO2019114003A1 (zh) * 2017-12-14 2019-06-20 李翠花 一种高度可调式双人漫步机
CN109603087A (zh) * 2018-11-30 2019-04-12 南安市商宏机械科技有限公司 一种基于重力回拉限位的太空漫步机
CN111388953A (zh) * 2020-03-30 2020-07-10 河海大学常州校区 一种具有防撞伤功能的安全漫步机
CN111388953B (zh) * 2020-03-30 2021-09-28 河海大学常州校区 一种具有防撞伤功能的安全漫步机
CN111773618A (zh) * 2020-07-31 2020-10-16 中山市牛泉运动器材有限公司 一种安全漫步机
KR102352260B1 (ko) * 2021-02-22 2022-01-17 명성이앤비 주식회사 운동기구의 안전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20008223U (ko) 공중걷기운동기구용 안전장치
KR101218316B1 (ko) 안전장치를 갖는 하늘걷기 운동기구
WO2011021757A1 (ko) 의자를 앞뒤로 젖혀 타는 그네
CN205649773U (zh) 一种多功能组合式家用康复健身器
US9707449B2 (en) Waist twisting apparatus
CN205494803U (zh) 一种折叠式家用多功能健身器
KR100937440B1 (ko) 의자를 앞뒤로 젖혀 타는 그네
KR101230029B1 (ko) 안전장치를 갖는 역기내리기 운동기구
KR20130053612A (ko) 복합실내운동기구
US8567800B2 (en) Pair of runners for walking and/or travel movement
CN211357585U (zh) 康复科用平衡锻炼装置
CN209828117U (zh) 一种新型坐推器
KR101182117B1 (ko) 다기능 복합 스트레칭기구
KR200322633Y1 (ko) 신체 운동기구
KR102478840B1 (ko) 스텝 운동기구
CN215960982U (zh) 一种老年人护理用助行器
KR102673261B1 (ko) 하체를 부축하는 보행 안전장치
CN210991591U (zh) 一种恢复护理用助行器
CN210447962U (zh) 一种公园新型漫步机
CN220899468U (zh) 一种康复运动防跌倒支撑装置
CN112999032B (zh) 一种康复医疗用助行器
CN219423250U (zh) 一种多功能医疗康复护理训练装置
CN209286578U (zh) 一种多功能健身减肥跑步机
CN2477221Y (zh) 翘翘架
KR200215451Y1 (ko) 체력단련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