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69327B1 - 인공바위 조형물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인공바위 조형물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69327B1
KR101369327B1 KR1020130014855A KR20130014855A KR101369327B1 KR 101369327 B1 KR101369327 B1 KR 101369327B1 KR 1020130014855 A KR1020130014855 A KR 1020130014855A KR 20130014855 A KR20130014855 A KR 20130014855A KR 101369327 B1 KR101369327 B1 KR 10136932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ellfish
shell
artificial rock
sculptures
coating ag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148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재명
Original Assignee
임재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임재명 filed Critical 임재명
Priority to KR10201300148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6932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693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6932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4DECORATIVE ARTS
    • B44FSPECIAL DESIGNS OR PICTURES
    • B44F9/00Designs imitating natural patter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4DECORATIVE ARTS
    • B44CPRODUCING DECORATIVE EFFECTS; MOSAICS; TARSIA WORK; PAPERHANGING
    • B44C5/00Processes for producing special ornamental bodies
    • B44C5/06Natural ornaments; Imitations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4DECORATIVE ARTS
    • B44FSPECIAL DESIGNS OR PICTURES
    • B44F9/00Designs imitating natural patterns
    • B44F9/04Designs imitating natural patterns of stone surfaces, e.g. marble

Landscapes

  • Application Of Or Painting With Fluid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티로폼과 포트를 이용해 전체 조형물의 뼈대를 제작하고 그 상부면에 조개류의 껍데기 중 하나인 굴 껍데기를 부착시킨 다음 코팅제와 도료를 도포하여 실제 바위의 느낌으로 연출하고 인공이끼와 식물로 장식해 마무리함으로써 기존의 인공바위 및 천연바위를 대체해 산수분경 및 물내림 폭포 조형물을 소비자가 원하는 크기와 모양으로 제조할 수 있으며, 천연바위와 흡사한 느낌으로 연출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제조과정이 간단하고 그 무게가 가벼워 제조 및 운반이 용이함은 물론 스티로폼과 포트를 재활용할 수 있어 경제적인 인공바위 조형물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인공바위 조형물의 제조방법은 다수의 스티로폼 조각과 포트를 폴리우레탄수지 및 글루건을 이용해 조형물 형상으로 접합하는 제 1 단계와, 상기 제 1 단계에서 접합 된 스티로폼 조각과 포트 상에 폴리우레탄수지 및 글루건을 이용해 조개류의 껍데기를 부착하는 제 2 단계와, 상기 제 2 단계에서 부착 완료된 상기 조개류의 껍데기 전체에 코팅제를 도포하는 제 3 단계와, 상기 제 3 단계에서 코팅제가 도포 된 상기 조개류의 껍데기 상에 도색염료를 도포하는 제 4 단계와, 상기 제 4 단계에서 도색 된 상기 조개류의 껍데기 상에는 인공이끼를 부착하고 상기 포트 내에는 식물을 식재하는 제 5 단계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인공바위 조형물의 제조방법은 다수의 스티로폼 조각과 포트를 폴리우레탄수지 및 글루건을 이용해 조형물 형상으로 접합하는 제 1 단계와, 상기 제 1 단계에서 접합 된 스티로폼 조각과 포트 상에 폴리우레탄수지 및 글루건을 이용해 조개류의 껍데기를 부착하는 제 2 단계와, 상기 제 1 단계 및 제 2 단계에서 스티로폼 조각, 포트 및 조개류의 껍데기를 부착하는데 사용된 폴리우레탄수지에 코팅제를 도포하는 제 3 단계와, 상기 제 2 단계에서 상기 스티로폼 조각 및 포트 상에 부착된 조개류의 껍데기와 제 3 단계에서 코팅제가 도포 된 폴리우레탄수지 상에 도색염료를 도포하는 제 4 단계와, 상기 제 4 단계에서 도색 된 상기 조개류의 껍데기 상에는 인공이끼를 부착하고 상기 포트 내에는 식물을 식재하는 제 5 단계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인공바위 조형물의 제조방법{Manufacturing method for artificial rock}
본 발명은 인공바위 조형물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스티로폼과 포트를 이용해 전체 조형물의 뼈대를 제작하고 그 상부면에 조개류의 껍데기 중 하나인 굴 껍데기를 부착시킨 다음 코팅제와 도료를 도포하여 실제 바위의 느낌으로 연출하고 인공이끼와 식물로 장식해 마무리함으로써 기존의 인공바위 및 천연바위를 대체해 산수분경 및 물내림 폭포 조형물을 소비자가 원하는 크기와 모양으로 제조할 수 있으며, 천연바위와 흡사한 느낌으로 연출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제조과정이 간단하고 그 무게가 가벼워 제조 및 운반이 용이함은 물론 스티로폼과 포트를 재활용할 수 있어 경제적인 인공바위 조형물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인구증가, 도심지 개발의 가속화 및 각종 과학기술의 발전은 지나친 인공 조형물의 범람을 초래하여 자연환경을 향한 사람들의 갈망을 증폭시켰고, 시각적으로나마 대리만족을 느낄 수 있는 조경을 요구하기에 이르렀다.
이러한 요구에 따라 새롭게 설치되는 인공 조형물은 자연환경과 어우러지도록 제작 및 시공되고 있고, 기 설치된 인공 조형물은 새롭게 리모델링하거나 교체해서 도심 속의 자연이 아닌 자연 속의 도심을 표방하는 생활환경을 조성하는데 힘쓰고 있다.
이에 따라 자연환경 묘사를 위한 다양한 소품들이 더불어 제작되고 있는데, 이러한 소품들 중에는 자연석의 느낌을 주는 인공바위가 있다. 초기에는 발포수지를 이용해 불규칙한 바위의 거친 표면을 표현하면서 제작하였으나, 이러한 초기 형태의 인공바위는 자연 바위의 형태를 따라한 정도에 불과하여 쉽게 인공바위임이 명확하게 구분되고, 질감 또한 자연 바위와는 거리가 있어서 널리 활용되지 못한 문제가 있었다.
이후, 모래와 자갈 등의 골재를 혼합한 콘크리트를 주재료로 하고, 이러한 콘크리트를 고압으로 양생시켜서 자연 바위에 가까운 인공바위를 제작하였으나, 이러한 인공바위는 지나치게 무거워 운반에 불리함이 있었고, 비교적 많은 골재를 필요로 하므로 경제성이 좋지 못한 문제가 있었다.
또한 이와 같은 문제점을 근본적으로 해결하기 위해 실제 천연 바위를 사용해 조형물을 제조할 경우 소비자가 원하는 크기와 모양으로 가공하는 것이 쉽지 않을 뿐만 아니라 무게가 무거워 운반이 용이하지 못해 제조단가가 상승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스티로폼과 포트를 이용해 전체 조형물의 뼈대를 제작하고 그 상부면에 조개류의 껍데기 중 하나인 굴 껍데기를 부착시킨 다음 코팅제와 도료를 도포하여 실제 바위의 느낌으로 연출하고 인공이끼와 식물로 장식해 마무리함으로써 기존의 인공바위 및 천연바위를 대체해 산수분경 및 물내림 폭포 조형물을 소비자가 원하는 크기와 모양으로 제조할 수 있도록 한 인공바위 조형물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천연바위와 흡사한 느낌으로 연출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제조과정이 간단하고 그 무게가 가벼워 제조 및 운반이 용이함은 물론 스티로폼과 포트를 재활용할 수 있어 경제적인 인공바위 조형물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다수의 스티로폼 조각과 포트를 폴리우레탄수지 및 글루건을 이용해 조형물 형상으로 접합하는 제 1 단계와, 상기 제 1 단계에서 접합 된 스티로폼 조각과 포트 상에 폴리우레탄수지 및 글루건을 이용해 조개류의 껍데기를 부착하는 제 2 단계와, 상기 제 2 단계에서 부착 완료된 상기 조개류의 껍데기 전체에 코팅제를 도포하는 제 3 단계와, 상기 제 3 단계에서 코팅제가 도포 된 상기 조개류의 껍데기 상에 도색염료를 도포하는 제 4 단계와, 상기 제 4 단계에서 도색 된 상기 조개류의 껍데기 상에는 인공이끼를 부착하고 상기 포트 내에는 식물을 식재하는 제 5 단계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공바위 조형물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조개류의 껍데기로는 굴 껍데기를 사용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제 3 단계에서 도포하는 상기 코팅제는 규산소다 아크릴 바인더와 물을 1:5 부피비로 혼합한 제 1 혼합물과, 탈크, 시멘트 및 수성페인트를 6:2:2 부피비로 혼합한 제 2 혼합물을 1:1 내지 3:1 부피비로 혼합하여 제조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제 3 단계(S105)에서 도포 한 상기 코팅제(50)가 건조된 다음, 상기 코팅제(50)에 수성안료 및 모래를 8:1:1 내지 7:1.5:1.5 부피비로 혼합하여 상기 조개류의 껍데기 상에 2차 도포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제 4 단계에서 도포한 상기 도색염료는 락카 스프레이, 아크릴물감, 스테인 및 외부용 수성페인트 중 선택된 하나 이상인 것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제 4 단계에서 도포한 상기 도색염료가 건조된 다음 상기 도색염료를 물과 습기로부터 보호하기 위해 발수제를 더 도포한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또한 다수의 스티로폼 조각과 포트를 폴리우레탄수지 및 글루건을 이용해 조형물 형상으로 접합하는 제 1 단계와, 상기 제 1 단계에서 접합 된 스티로폼 조각과 포트 상에 폴리우레탄수지 및 글루건을 이용해 조개류의 껍데기를 부착하는 제 2 단계와, 상기 제 1 단계 및 제 2 단계에서 스티로폼 조각, 포트 및 조개류의 껍데기를 부착하는데 사용된 폴리우레탄수지에 코팅제를 도포하는 제 3 단계와, 상기 제 2 단계에서 상기 스티로폼 조각 및 포트 상에 부착된 조개류의 껍데기와 제 3 단계에서 코팅제가 도포 된 폴리우레탄수지 상에 도색염료를 도포하는 제 4 단계와, 상기 제 4 단계에서 도색 된 상기 조개류의 껍데기 상에는 인공이끼를 부착하고 상기 포트 내에는 식물을 식재하는 제 5 단계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공바위 조형물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조개류의 껍데기로는 굴 껍데기를 사용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제 3 단계에서 도포하는 상기 코팅제는 무광의 국방색 또는 흑색의 락카스프레이인 것으로 하되, 도포 5분 뒤 도포 부위에 붓을 이용해 신나로 상기 코팅제 일부를 씻어 제거한 다음, 남아있는 상기 코팅제를 물과 습기로부터 보호하기 위해 발수제를 더 도포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제 4 단계에서 도포한 상기 도색염료는 락카 스프레이, 아크릴물감, 스테인 및 외부용 수성페인트 중 선택된 하나 이상인 것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제 4 단계에서 도포한 도색염료가 건조된 다음 상기 도색염료를 물과 습기로부터 보호하기 위해 발수제를 더 도포한다.
이상에서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인공바위 조형물의 제조방법은 첫째 스티로폼과 포트를 이용해 전체 조형물의 뼈대를 제작하고 그 상부면에 조개류의 껍데기 중 하나인 굴 껍데기를 부착시킨 다음 코팅제와 도료를 도포하여 실제 바위의 느낌으로 연출하고 인공이끼와 식물로 장식해 마무리함으로써 기존의 인공바위 및 천연바위를 대체해 산수분경 및 물내림 폭포 조형물을 소비자가 원하는 크기와 모양으로 제조할 수 있는 탁월한 장점을 갖는다.
둘째 천연바위와 흡사한 느낌으로 연출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제조과정이 간단하고 그 무게가 가벼워 제조 및 운반이 용이함은 물론 스티로폼과 포트를 재활용할 수 있어 경제적인 탁월한 장점을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인공바위 조형물의 제조방법에 대한 순서도.
도 2a 내지 도 2f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인공바위 조형물의 제조방법을 제조순서에 따라 촬영한 이미지.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인공바위 조형물의 제조방법에 대한 순서도.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이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이지, 이로 인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및 범주가 한정되는 것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인공바위 조형물의 제조방법에 대한 순서도이고, 도 2a 내지 도 2e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인공바위 조형물의 제조방법을 제조순서에 따라 촬영한 이미지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인공바위 조형물의 제조방법은 다수의 스티로폼 조각(10)과 포트(20)를 폴리우레탄수지(30) 및 글루건을 이용해 조형물 형상으로 접합하는 제 1 단계(S101)와, 상기 제 1 단계(S101)에서 접합 된 스티로폼 조각(10)과 포트(20) 상에 폴리우레탄수지(30) 및 글루건을 이용해 조개류의 껍데기를 부착하는 제 2 단계(S103)와, 상기 제 2 단계(S103)에서 부착 완료된 상기 조개류의 껍데기 전체에 코팅제(50)를 도포하는 제 3 단계(S105)와, 상기 제 3 단계(S105)에서 코팅제(50)가 도포 된 상기 조개류의 껍데기 상에 도색염료(60)를 도포하는 제 4 단계(S107)와, 상기 제 4 단계(S107)에서 도색 된 상기 조개류의 껍데기 상에는 인공이끼(70)를 부착하고 상기 포트(20) 내에는 식물을 식재하는 제 5 단계(S109)가 포함된다.
이하에는 도 1 내지 도 2e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대한 인공바위 조형물의 제조방법 각각의 단계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제 1 단계(S101)는 도 2a에서와 같이 다수의 스티로폼 조각(10)과 포트(20)를 폴리우레탄수지(30)(polyurethane resin) 및 글루건(glue gun)을 이용해 조형물 형상으로 접합하는 단계이다. 이때 스티로폼 조각(10)은 형상하고자 하는 조형물 형상에 따라 각각 다르게 접합할 수 있다. 그리고 포트(20)의 위치 또한 선택적으로 접합할 수 있는데 포트(20)의 경우 다양한 크기의 포트(20)를 사용할 수 있으며 추후 제 5 단계(S109)에서 살아있는 식물 또는 인공식물을 선택해 식재할 수도 있고, 살아있는 식물과 인공식물을 혼재해 식재할 수도 있으며, 식재되어 있는 또 다른 포트를 삽입할 수도 있다. 이때 스티로폼 조각(10)과 포트(20)를 접합하는 폴리우레탄수지(30)와 글루건은 종래기술에 따른 우레탄폼과 글루건이 사용되는 것으로 하며 전체적으로 발포한 다음 10분 내지 15분 후 작업자가 손으로 눌러 압축 강화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제 2 단계(S103)는 도 2b 및 도 2c에서와 같이 전술한 제 1 단계(S101)에서 접합 된 스티로폼 조각(10)과 포트(20) 상에 폴리우레탄수지(30) 및 글루건을 이용해 조개류의 껍데기를 부착하는 단계로, 전술한 조개류의 껍데기로는 굴 껍데기(40)를 사용하는 것으로 하되, 굴 껍데기(40) 외에도 다양한 종류의 조개류의 껍데기를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그리고 굴 껍데기(40)의 내측 가장자리에 폴리우레탄수지(30)를 발포해 굴 껍데기(40)끼리 서로 고정시킨 상태에서 스티로폼 조각(10)과 포트(20) 상에 부착할 수도 있고, 독립된 굴 껍데기(40) 하나하나를 스티로폼 조각(10)과 포트(20) 상에 부착할 수도 있으며, 작업자가 원하는 위치에 원하는 개수만큼을 선택적으로 부착할 수 있다. 그리고 전술한 폴리우레탄수지(30)는 전술한 제 1 단계(S101)에서와 마찬가지로 종래기술에 따른 우레탄폼이 사용되는 것으로 하며 전체적으로 발포한 다음 돌출된 부분은 10분 내지 15분 후 작업자가 손으로 눌러 압축 강화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제 3 단계(S105)는 도 2d에서와 같이 전술한 제 2 단계(S103)에서 부착 완료한 굴 껍데기(40) 전체에 코팅제(50)를 도포하는 단계이다. 이때 도포 되는 코팅제(50)는 규산소다 아크릴 바인더와 물이 1:5 부피비로 혼합한 제 1 혼합물과, 탈크(talc), 시멘트(cement) 및 수성페인트(distemper)를 6:2:2 부피비로 혼합한 제 2 혼합물을 1:1 내지 3:1 부피비로 혼합하여 제조하는 것으로 하며, 이와 같이 제조된 코팅제(50)는 붓을 이용해 직접 도포하거나 분무기를 이용해 도포할 수 있다.
한편 도포한 코팅제(50)를 건조한 다음에는 전술한 코팅제(50)에 수성안료와 모래를 첨부하되 코팅제(50), 수성안료 및 모래가 8:1:1 내지 7:1.5:1.5 부피비가 되도록 혼합하여 조개류의 껍데기 상에 2차 도포한다. 이때 수성안료를 첨가하는 것은 인공바위 조형물(1)의 전체적인 바탕색을 형성하기 위함이며 모래를 첨가하는 것은 인공바위 조형물(1) 특유의 거친 표면을 연출하기 위함인데, 모래 외에도 1mm 내지 5mm 지름을 갖으며 화강암이 풍화되어 생성된 흙인 마사토가 추가적으로 첨가되어 사용될 수 있다.
다음으로 제 4 단계(S107)는 도 2e에서와 같이 전술한 제 3 단계(S105)에서 코팅제(50)가 도포 된 조개류의 껍데기 상에 도색염료(60)를 도포하는 단계이다. 이때 제 4 단계(S107)에서 도포하는 도색염료(60)는 락카 스프레이, 아크릴물감, 스테인 및 외부용 수성페인트 중 선택된 하나 이상인 것으로 하며 색상은 흑색, 회색, 청색, 녹색 등 인공바위를 표현할 수 있는 색상 한 가지만을 사용하거나 두 가지 이상을 혼합해서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전술한 도색염료(60)가 건조된 다음에는 도포한 도색염료(60)를 물과 습기로부터 보호하기 위해 발수제를 더 도포한다. 이때 사용되는 발수제는 종래기술에 따른 발수제 중 선택된 하나인 것으로 하여 더 이상의 상세한 설명은 명세서의 간략화를 위해서 생략하기로 한다.
다음으로 제 5 단계(S109)에서는 도 2e 및 도 2f에서와 같이 전술한 제 4 단계(S107)에서 도색 된 굴 껍데기(40) 상에는 인공이끼(70)를 부착하고 포트(20) 내에는 식물을 식재하는 단계이다. 이때 인공이끼(70)는 작업자가 원하는 위치에 적당량을 부착하고 포트(20) 내부에는 전술한 제 1 단계(S101)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다양한 종류의 살아있는 식물 또는 인공식물을 식재할 수도 있고 살아있는 식물과 인공식물을 혼재해 식재할 수도 있으며, 이미 식재가 되어 있는 또 다른 포트를 삽입할 수도 있다. 그리고 산수분경이나 물내림 폭포의 형상으로 추가 가공한 다음 정원, 아파트, 사무실 등 실, 다양한 실, 내외 장소에 배치하여 인테리어 용도로 활용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인공바위 조형물의 제조방법에 대한 순서도이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인공바위 조형물의 제조방법은 다수의 스티로폼 조각과 포트를 폴리우레탄수지 및 글루건을 이용해 조형물 형상으로 접합하는 제 1 단계(S201)와, 제 1 단계(S201)에서 접합 된 스티로폼 조각과 포트 상에 폴리우레탄수지 및 글루건을 이용해 조개류의 껍데기를 부착하는 제 2 단계(S203)와, 제 1 단계(S201) 및 제 2 단계(S203)에서 스티로폼 조각, 포트 및 조개류의 껍데기를 부착하는데 사용된 폴리우레탄수지에 코팅제를 도포하는 제 3 단계(S205)와, 제 2 단계(S203)에서 스티로폼 조각 및 포트 상에 부착된 조개류의 껍데기와 제 3 단계(S205)에서 코팅제가 도포 된 폴리우레탄수지 상에 도색염료를 도포하는 제 4 단계(S207)와, 제 4 단계(S207)에서 도색 된 조개류의 껍데기 상에는 인공이끼를 부착하고 상기 포트 내에는 식물을 식재하는 제 5 단계(S209)가 포함된다.
그리고 전술한 조개류의 껍데기로는 굴 껍데기를 사용한다.
그리고 전술한 제 3 단계(S205)에서 도포되는 코팅제는 무광의 국방색 또는 흑색의 락카스프레이인 것으로 하되, 도포 5분 뒤 도포 부위에 붓을 이용해 신나로 코팅제 일부를 씻어 제거한 다음, 남아있는 코팅제를 물과 습기로부터 보호하기 위해 발수제를 더 도포한다.
그리고 전술한 제 4 단계(S207)에서 도포한 도색염료는 락카 스프레이, 아크릴물감, 스테인 및 외부용 수성페인트 중 선택된 하나 이상인 것으로 한다.
그리고 전술한 제 4 단계(S207)에서 도포한 도색염료가 건조된 다음 도색염료를 물과 습기로부터 보호하기 위해 발수제를 더 도포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인공바위 조형물의 제조방법은 제 3 단계(S205)에서 조개류의 껍데기 전체에 코팅제를 도포하는 것이 아니라 스티로폼 조각, 포트 및 조개류의 껍데기를 부착하는데 사용된 폴리우레탄수지에 코팅제를 도포한다는 점과, 제 4 단계(S207)에서 코팅제가 도포 된 조개류의 껍데기 상에 도색염료를 도포하는 것이 아니라 스티로폼 조각 및 포트 상에 부착된 조개류의 껍데기와 코팅제가 도포 된 폴리우레탄수지 상에 도색염료를 도포한다는 점만 다를 뿐 전체적인 발명의 제조방법은 전술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인공바위 조형물의 제조방법과 동일하여 전술한 설명으로부터 충분히 유추될 수 있는바 더 이상의 상세한 설명은 명세서의 간략화를 위해 생략하기로 한다.
위에서 몇몇의 실시예가 예시적으로 설명되었음에도 불구하고, 본 발명이 이의 취지 및 범주에서 벗어남 없이 다른 여러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다는 사실은 해당 기술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이들에게는 자명한 것이다. 따라서 상술 된 실시예는 제한적인 것이 아닌 예시적인 것으로 여겨져야 하며, 첨부된 청구항 및 이의 동등 범위 내의 모든 실시에는 본 발명의 범주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1 : 인공바위 조형물
10 : 스티로폼 조각
20 : 포트
30 : 폴리우레탄수지
40 : 굴 껍데기
50 : 코팅제
60 : 도색염료
70 : 인공이끼

Claims (11)

  1. 다수의 스티로폼 조각(10)과 포트(20)를 폴리우레탄수지(30) 및 글루건을 이용해 조형물 형상으로 접합하는 제 1 단계(S101);
    상기 제 1 단계에서 접합 된 스티로폼 조각(10)과 포트(20) 상에 폴리우레탄수지(30) 및 글루건을 이용해 조개류의 껍데기를 부착하는 제 2 단계(S103);
    상기 제 2 단계(S103)에서 부착 완료된 상기 조개류의 껍데기 전체에 코팅제(50)를 도포하는 제 3 단계(S105);
    상기 제 3 단계(S105)에서 코팅제(50)가 도포 된 상기 조개류의 껍데기 상에 도색염료(60)를 도포하는 제 4 단계(S107); 및
    상기 제 4 단계(S107)에서 도색 된 상기 조개류의 껍데기 상에는 인공이끼(70)를 부착하고 상기 포트(20) 내에는 식물을 식재하는 제 5 단계(S109)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공바위 조형물의 제조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조개류의 껍데기로는 굴 껍데기(40)를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공바위 조형물의 제조방법.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 3 단계(S105)에서 도포하는 상기 코팅제(50)는 규산소다 아크릴 바인더와 물을 1:5 부피비로 혼합한 제 1 혼합물과, 탈크, 시멘트 및 수성페인트를 6:2:2 부피비로 혼합한 제 2 혼합물을 1:1 내지 3:1 부피비로 혼합하여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공바위 조형물의 제조방법.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제 3 단계(S105)에서 도포 한 상기 코팅제(50)가 건조된 다음, 상기 코팅제(50)에 수성안료 및 모래를 8:1:1 내지 7:1.5:1.5 부피비로 혼합하여 상기 조개류의 껍데기 상에 2차 도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공바위 조형물의 제조방법.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 4 단계(S107)에서 도포한 상기 도색염료(60)는 락카 스프레이, 아크릴물감, 스테인 및 외부용 수성페인트 중 선택된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공바위 조형물의 제조방법.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제 4 단계(S107)에서 도포한 상기 도색염료(60)가 건조된 다음 상기 도색염료(60)를 물과 습기로부터 보호하기 위해 발수제를 더 도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공바위 조형물의 제조방법.
  7. 다수의 스티로폼 조각과 포트를 폴리우레탄수지 및 글루건을 이용해 조형물 형상으로 접합하는 제 1 단계(S201);
    상기 제 1 단계에서 접합 된 스티로폼 조각과 포트 상에 폴리우레탄수지 및 글루건을 이용해 조개류의 껍데기를 부착하는 제 2 단계(S203);
    상기 제 1 단계(S201) 및 제 2 단계(S203)에서 스티로폼 조각, 포트 및 조개류의 껍데기를 부착하는데 사용된 폴리우레탄수지에 코팅제를 도포하는 제 3 단계(S205);
    상기 제 2 단계(S203)에서 상기 스티로폼 조각 및 포트 상에 부착된 조개류의 껍데기와 제 3 단계(S205)에서 코팅제가 도포 된 폴리우레탄수지 상에 도색염료를 도포하는 제 4 단계(S207); 및
    상기 제 4 단계(S207)에서 도색 된 상기 조개류의 껍데기 상에는 인공이끼를 부착하고 상기 포트 내에는 식물을 식재하는 제 5 단계(S209)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공바위 조형물의 제조방법.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조개류의 껍데기로는 굴 껍데기를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공바위 조형물의 제조방법.
  9. 청구항 7 또는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제 3 단계(S205)에서 도포되는 상기 코팅제는 무광의 국방색 또는 흑색의 락카스프레이인 것으로 하되, 도포 5분 뒤 도포 부위에 붓을 이용해 신나로 상기 코팅제 일부를 씻어 제거한 다음, 남아있는 상기 코팅제를 물과 습기로부터 보호하기 위해 발수제를 더 도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공바위 조형물의 제조방법.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제 4 단계(S207)에서 도포한 상기 도색염료는 락카 스프레이, 아크릴물감, 스테인 및 외부용 수성페인트 중 선택된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공바위 조형물의 제조방법.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제 4 단계(S207)에서 도포한 도색염료가 건조된 다음 상기 도색염료를 물과 습기로부터 보호하기 위해 발수제를 더 도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공바위 조형물의 제조방법.
KR1020130014855A 2013-02-12 2013-02-12 인공바위 조형물의 제조방법 KR10136932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14855A KR101369327B1 (ko) 2013-02-12 2013-02-12 인공바위 조형물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14855A KR101369327B1 (ko) 2013-02-12 2013-02-12 인공바위 조형물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69327B1 true KR101369327B1 (ko) 2014-03-04

Family

ID=506473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14855A KR101369327B1 (ko) 2013-02-12 2013-02-12 인공바위 조형물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69327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15495B1 (ko) 2014-09-19 2016-04-26 마진이 벽천용 이끼블럭 마감재의 제조공법
KR20200046893A (ko) 2018-10-26 2020-05-07 배철호 대형 입체조형물 제작을 위한 실리콘 몰드 제조방법 및 실리콘 몰드
KR102212727B1 (ko) * 2020-08-28 2021-02-05 (주)창조이앤씨 재활용품을 활용하는 친환경 시멘트 조형물의 제조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800U (ja) * 1992-12-10 1995-01-06 有限会社井上貝細工製作所 観賞用置物
US6248411B1 (en) 1999-04-26 2001-06-19 Robert C. Warfel Decorative rock product
KR20100095192A (ko) * 2009-02-20 2010-08-30 이즈피아 주식회사 인조 바위 제조방법, 그 인조 바위 및 인조 바위 시설물
KR101152712B1 (ko) 2009-07-20 2012-06-15 김동문 어구용 폐스티로폼을 이용한 인공 조형물 및 이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800U (ja) * 1992-12-10 1995-01-06 有限会社井上貝細工製作所 観賞用置物
US6248411B1 (en) 1999-04-26 2001-06-19 Robert C. Warfel Decorative rock product
KR20100095192A (ko) * 2009-02-20 2010-08-30 이즈피아 주식회사 인조 바위 제조방법, 그 인조 바위 및 인조 바위 시설물
KR101152712B1 (ko) 2009-07-20 2012-06-15 김동문 어구용 폐스티로폼을 이용한 인공 조형물 및 이의 제조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15495B1 (ko) 2014-09-19 2016-04-26 마진이 벽천용 이끼블럭 마감재의 제조공법
KR20200046893A (ko) 2018-10-26 2020-05-07 배철호 대형 입체조형물 제작을 위한 실리콘 몰드 제조방법 및 실리콘 몰드
KR102212727B1 (ko) * 2020-08-28 2021-02-05 (주)창조이앤씨 재활용품을 활용하는 친환경 시멘트 조형물의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804661A (zh) 用水泥建造仿真、仿古建筑的方法
KR101369327B1 (ko) 인공바위 조형물의 제조방법
CN105484455A (zh) 获得多彩质感涂层的施工方法
KR101167609B1 (ko) 인조 바위 제조방법, 그 인조 바위 및 인조 바위 시설물
CN106585258A (zh) 柔性仿洞石贴片石及其制备方法
KR101508169B1 (ko) 나무 형태 경관 조형물 및 그 제조방법
CN103482903B (zh) 仿花岗岩贴片石的制备方法
KR20110071558A (ko) 폐자재를 이용한 조형건축물 및 조형물 시공방법과 그 구조 및 조성물
KR20110058609A (ko) 인조화산암 석재
JP2007283608A (ja) 擬態造形物の製造方法
CN104387115B (zh) 一种砂岩石的仿真方法
CN203452224U (zh) 一种建筑墙体
KR100741166B1 (ko) 인조석재 제조 방법
KR101172007B1 (ko) 인조석의 제조방법
JP2018118436A (ja) 自然石風な造形体の製造方法及び造形体
JP3935772B2 (ja) 建築物の吹き付け塗装方法
CN206328980U (zh) 一种带吸音砂浆的洞体结构
CN205170680U (zh) 一种真石水泥彩瓦
JP5026803B2 (ja) 模様面の形成方法
CN103161280A (zh) 装饰砖及其制作方法
KR102540674B1 (ko) 내외장재용 탄소 패널 건축마감재 및 그 제조 방법
CN107675880A (zh) 装饰线条及双滴水线的施工工艺
CN106626944A (zh) 一种塑石假山完工后的挑杆修补工艺
CN207245048U (zh) 一种仿文化石装饰墙
CN207959615U (zh) 混凝土砖幕墙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