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40674B1 - 내외장재용 탄소 패널 건축마감재 및 그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내외장재용 탄소 패널 건축마감재 및 그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40674B1
KR102540674B1 KR1020200131634A KR20200131634A KR102540674B1 KR 102540674 B1 KR102540674 B1 KR 102540674B1 KR 1020200131634 A KR1020200131634 A KR 1020200131634A KR 20200131634 A KR20200131634 A KR 20200131634A KR 102540674 B1 KR102540674 B1 KR 10254067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rface portion
drying
building finishing
finishing material
manufactu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316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48583A (ko
Inventor
박향자
이희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직지
박향자
최익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직지, 박향자, 최익준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직지
Priority to KR10202001316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40674B1/ko
Publication of KR202200485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4858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406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4067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04F13/0875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having a basic insulating layer and at least one covering layer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83/00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a linkage containing silicon, with or without sulfur, nitrogen, oxygen, or carbon only; 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Finishing Wal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내외장재용 탄소 패널 건축마감재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 나무를 포함하는 원판에 문양을 형성하는 (1)과정과; 형성된 문양을 갖는 문양틀의 표면에 코팅한 후 건조하는 (2)과정과; 상기 형성된 문양틀 상부에 실리콘을 부은 후 건조하여 실리콘 금형을 형성하는 (3)과정과; 상기 실리콘 금형에 연성, 방오성, 방수성, 내구성을 갖는 표면부용 소재를 부은 후 건조하여 표면부를 형성하는 (4)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본 발명에 따르면, 건축마감재의 표면이 연성을 유지하면서도 내구성, 방수성, 방화성을 가지고, 건축마감재의 표면부가 충분한 강도를 가지면서 인장력, 배수성 보강, 뒤틀림을 예방할 수 있는 내외장재용 탄소 패널 건축마감재 및 그 제조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내외장재용 탄소 패널 건축마감재 및 그 제조 방법 {Carbon Panel Building Finishing Material for Interion or Exterior Material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내외장재용 탄소 패널 건축마감재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건축물의 표면에 노출되는 마감재가 방오성, 내진석, 내구성 및 방화성을 가질 수 있도록 구조를 개선한 내외장재용 탄소 패널 건축마감재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보편적으로 시공되는 건축물의 내·외벽은 기둥과 보 및 콘크리트로 시공된 벽체를 이루고 있으며, 이 벽체를 외부에서 바라볼 시 밋밋하여 벽체를 감추고 건물의 미를 부각시키기 위해 도료용 페인트로 도색하거나 커튼 월 시공방법으로 건축용 외장패널 또는 유리, 건축용 마감장식재 등으로 결합 고정하여 건물의 외·내벽을 아름답게 장식한다.
이러한 건축용 마감재는 페인트, 대리석, 목재, 벽지 또는 타 자재와의 조합 형태로 된 내장재와 대리석, 목재, 벽돌, 스카코, 징크, 목재패널, 노출 콘크리트, 샌드위치패널, 사이딩, 타일 형태의 외장재로 구분된다.
상기 건축용 마감재들은 실내나 실외의 미관을 고려한 재질로 선택되어 적용고 있으나 미관 표출의 한계뿐만 아니라 기능적 측면에서, 방오성, 방수성, 내구성 및 방화성 기능의 면에서 취약한 단점을 갖는다.
상기 건축용 마감장식재는 안락하고 웅장하게 실내·외 분위기를 연출하기 위해 천연대리석을 주로 사용하고 있으나 고가로 무게가 무거워 이동 및 시공하기 불편하고, 외부 충격이 약하므로 이동 및 시공 중에 파손되는 경우가 일상다반사로 파손된 천연대리석은 사용할 수 없어 재사용이 불가능하여 손상된 부위를 가공하여 다른 제품으로 사용하거나 폐기 처분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참고문헌]
등록특허공보 제10-0741480호 (2007.07.20. 공고)
등록특허공보 제10-1061524호 (2011.09.01. 공고)
등록특허공보 제10-1397676호 (2014.05.23. 공고)
본 발명의 목적은, 건축마감재의 표면이 연성을 유지하면서도 내구성, 방수성, 방화성을 갖는 표면부를 구비한 내외장재용 탄소 패널 건축마감재 및 그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건축마감재의 표면부가 충분한 강도를 가지면서 인장력, 배수성 보강, 뒤틀림을 예방할 수 있는 내외장재용 탄소 패널 건축마감재 및 그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건축마감을 필요로 하는 대상의 다양한 형상에도 적용이 가능하며, 현장에서 절단하여 취부가 용이하여 시공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내외장재용 탄소 패널 건축마감재 및 그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대리석 등에 비하여 무게가 가벼워 건축물에 시공시 하중을 경량화시킬 수 있는 내외장재용 탄소 패널 건축마감재 및 그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복수의 칼라를 활용하여 투톤 내지 다색의 톤을 구현할 수 있는 내외장재용 탄소 패널 건축마감재 및 그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나무를 포함하는 원판에 문양을 형성하는 (1)과정과; 형성된 문양을 갖는 문양틀의 표면에 코팅한 후 건조하는 (2)과정과; 상기 형성된 문양틀 상부에 실리콘을 부은 후 건조하여 실리콘 금형을 형성하는 (3)과정과; 상기 실리콘 금형에 연성, 방오성, 방수성, 내구성을 갖는 표면부용 소재를 부은 후 건조하여 표면부를 형성하는 (4)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마감재 제조 방법에 의하여 달성된다.
또한, 표면부 상측에 다른 색의 표면부용 소재를 도포하고 건조하여 표면부를 형성하는 (5)단계와; 표면부의 표면을 샌딩을 포함하는 표면처리하는 (6)과정;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표면부용 소재는 변성에멀젼 수지에 물, 탄소섬유, 난연재, 동결방지제, 건조지연제, 분산제, pH 조절제, 분말점도조절제, 액상점도조절제, 거품제거제, 실리카, 송진을 포함하여 혼합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변성에멀젼 수지는 220~230g, 상기 물은 98~103g, 상기 탄소섬유는 10~10.5g, 상기 난연재는 229~239g, 상기 동결방지제는 4g, 상기 건조지연제는 1g, 상기 분산제는 1.2g, 상기 pH 조절제는 0.1g, 상기 분말점도조절제는 1.2g, 상기 액상점도조절제는 0.6g, 상기 거품제거제는 1.7g, 상기 실리카는 500~550g, 상기 송진은 1g 범위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변성에멀젼 수지는, A-13을 109.6~115g, AX-41을 26.4~28g, 2-EHAM을 1285~1300g, MMA를 1515~1590g, 2-HEMA를 112.5~117g, M-AC를 45.3~47g, TEXANOL을 88.5~92g, 중탄을 7.2g, SPS를 11.4g, TBHPO를 1.2g, RONGALITE를 1.2g, NH4OH를 47.3~49g, 10% NaNO2를 63~66g, 방부재를 2g, NP-40을 21~22g, 물을 3347~3490g 범위로 혼합하여 제조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1)과정은 나무의 표면을 Brush로 부러싱하여 연질의 나무 표면을 삭제되고 나무결을 포함하는 경질의 무늬는 돌출되도록 작은 크기의 원판에 문양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1)과정을 거치는 작은 크기의 원판을 상호 접착하여 설정된 크기의 원판을 형성하며, 상호 접착되어 상기 경질의 무늬가 연속되지 않는 부분에는 상기 무늬를 연속되게 하거나 인위적으로 새긴 줄눈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2)과정은 복수 회 실시하고 상기 코팅은 세라믹 코팅을 포함하고 각 코팅의 회수마다 코팅 후 건조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표면부 후방에 메쉬 형상의 보강부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의 목적은, 나무를 포함하는 원판의 문양을 형성하는 (1)과정과; 형성된 문양을 갖는 문양틀에 코팅한 후 건조하는 (2)과정과; 상기 형성된 문양틀 상부에 실리콘을 부은 후 건조하여 실리콘 금형을 형성하는 (3)과정과; 상기 실리콘 금형에 연성, 방오성, 방수성, 내구성을 갖는 표면부용 소재를 부은 후 건조하여 표면부를 형성하는 (4)과정;을 포함하여 제조되되, 상기 표면부용 소재는, 변성에멀젼 수지, 물, 탄소섬유, 난연재, 동결방지제, 건조지연제, 분산제, pH 조절제, 분말점도조절제, 액상점도조절제, 거품제거제, 실리카, 송진을 포함하여 혼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마감재에 의해서도 달성된다.
이에, 본 발명에 따르면, 건축마감재의 표면이 연성을 유지하면서도 내구성, 방수성, 방화성을 갖는 표면부를 구비한 내외장재용 탄소 패널 건축마감재 및 그 제조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건축마감재의 표면부가 충분한 강도를 가지면서 인장력, 배수성 보강, 뒤틀림을 예방할 수 있는 내외장재용 탄소 패널 건축마감재 및 그 제조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건축마감을 필요로 하는 대상의 다양한 형상에도 적용이 가능하며, 현장에서 절단하여 취부가 용이하여 시공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내외장재용 탄소 패널 건축마감재 및 그 제조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대리석 등에 비하여 무게가 가벼워 건축물에 시공시 하중을 경량화시킬 수 있는 내외장재용 탄소 패널 건축마감재 및 그 제조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칼라를 활용하여 투톤 내지 다색의 톤을 구현할 수 있는 내외장재용 탄소 패널 건축마감재 및 그 제조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탄소패널 건축마감재의 제조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 2는 도 1에 따라 제조된 건축마감재의 사시도 및 부분단면도,
도 3a 내지 도 3h는 탄소패널 건축마감재의 제조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측면도 또는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내외장재용 탄소 패널 건축마감재 및 그 제조 방법에 대하여 도 1 내지 도 3h를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탄소패널 건축마감재의 제조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고, 도 2는 도 1에 따라 제조된 건축마감재의 사시도 및 부분단면도이며, 도 3a 내지 도 3h는 탄소패널 건축마감재의 제조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측면도 또는 단면도이다.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에 앞서,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구현예(態樣, aspect)(또는 실시
예)들을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부호, 특히 십의 자리 및 일의 자리 수, 또는 십의 자리, 일의 자리 및 알파벳이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 또는 유사한 기능을 갖는 부재를 나타내고, 특별한 언급이 없을 경우 도면의 각 참조부호가 지칭하는 부재는 이러한 기준에 준하는 부재로 파악하면 된다.
또 각 도면에서 구성요소들은 이해의 편의 등을 고려하여 크기나 두께를 과장되게 크거나(또는 두껍게) 작게(또는 얇게) 표현하거나, 단순화하여 표현하고 있으나 이에 의하여 본 발명의 보호범위가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구현예(태양, 態樣, aspect)(또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이루어진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우선 본 발명에 따른 내외장재용 탄소 패널 건축마감재 및 그 제조 방법(이하에서 '탄소 패널 건축마감재' 및 '건축마감재 제조 방법'이라 칭함) 중에서 건축마감재 제조 방법은 다음과 같다.
먼저, 건축마감재 제조 방법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나무를 포함하는 원판(이하에서 '소형베이스목재' 또는 '베이스목재'라 함)의 문양(무늬 모양으로 이하에서 '무늬' 또는 '줄눈'을 포함함)을 형성하는 (1)과정과; 형성된 문양을 갖는 문양틀(10)에 코팅한 후 건조하는 (2)과정과; 상기 형성된 문양틀(10) 상부에 실리콘을 부은 후 건조하여 실리콘 금형(30)을 형성하는 (3)과정과; 상기 실리콘 금형(30)에 연성, 방오성, 방수성, 내구성을 갖는 표면부용 소재를 부은 후 건조하여 표면부(110)를 형성하는 (4)과정;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건축마감재 제조 방법은, 표면부(110) 상측에 다른 색의 표면부용 소재(다른색 수지, 19)를 도포하고 건조하여 표면부(110)를 형성하는 (5)단계와; 표면부의 표면을 샌딩을 포함하는 표면처리하는 (6)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표면부용 소재는 변성에멀젼 수지에 물, 탄소섬유, 난연재, 동결방지제, 건조지연제, 분산제, pH 조절제, 분말점도조절제, 액상점도조절제, 거품제거제, 실리카, 송진을 혼합하여 제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변성에멀젼 수지는 220~230g, 상기 물은 98~103g, 상기 탄소섬유는 10~10.5g, 상기 난연재는 229~239g, 상기 동결방지제는 4g, 상기 건조지연제는 1g, 상기 분산제는 1.2g, 상기 pH 조절제는 0.1g, 상기 분말점도조절제는 1.2g, 상기 액상점도조절제는 0.6g, 상기 거품제거제는 1.7g, 상기 실리카는 500~550g, 상기 송진은 1g 범위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변성에멀젼 수지는 후술하는 바와 같은 조성물을 구비하여 연성, 내구성, 방수성 등을 구비할 수 있도록 해 주며, 탄소섬유는 천연 셀룰로오스계로 아주 미세한 실과 같은 구조를 구비하여 특히 내구성, 연성을 구비할 수 있도록 하고, 난연재는 화재 등이 발생하여 불이 붙어도 연소가 잘 되지 않도록 하며 특히 수산화알루미늄을 포함한다.
또한, 동결방지제는 특히 동절기에 얼지 않도록 에멀젼 글리콜(EG)를 포함하고, 건조지연제는 보습 기능을 향상시키고 건조가 빨리 되어 크랙 등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며, 분산제는 조성물이 뭉쳐지는 것을 예방할 수 있도록 예를 들면 제품명 44S를 포함하고, pH 조절제는 중성화를 유도하여 안정화를 시키며 예를 들면 암모니아를 포함하며, 분말점도조절제는 침전이나 침감을 예방하고 예를 들면 목분을 포함하고, 액상점도조절제는 아크릴 에멀젼을 포함하며, 실리카는 실리카의 미분(약 180메쉬 정도)을 포함하고, 송진은 방수 성능과 뒤틀림 방지 등의 기능을 한다.
그리고, 상기 변성에멀젼 수지는, A-13을 109.6~115g, AX-41을 26.4~28g, 2-EHAM을 1285~1300g, MMA를 1515~1590g, 2-HEMA를 112.5~117g, M-AC를 45.3~47g, TEXANOL을 88.5~92g, 중탄을 7.2g, SPS를 11.4g, TBHPO를 1.2g, RONGALITE를 1.2g, NH4OH를 47.3~49g, 10% NaNO2를 63~66g, 방부재를 2g, NP-40을 21~22g, 물을 3347~3490g 범위로 혼합하여 제조된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A-13 및 AX-41는 유화제이다.
2-EHAM은 2-에틸 헥실아크릴산(2-Ethyl Hexyl Acrylate)을, MMA는 메틸 메타크릴산(Methyl Methacrylate)의 약자로 MMA수지란 MMA를 주 반응희석제로 한 열경화성 아크릴 수지(Thermosetting Acrylic Resin)를 의미한다.
또한, 2-HEMA은 2 하이드록시에틸 메타크릴산(2-Hydroxyethyl Methacrylate)을. M-AC는 메타아크롤레인(메타아크로레인, MetaACrolein)을, TEXANOL은 텍사놀(2,2,4-Trimethyl-1,3-Pentanedioi-Monoisobutyrate)을, 중탄은 중질탄산칼슘(Ground Calcium Carbonate)을, TBHPO는 T-부틸하이드로퍼옥사이드(Tert - Butyl Hydroperoxide)를, RONGALITE는 술폭실산 포름알데히드염(formaldehyde sulphoxylate)의 상품명을, NH4OH는 수산화암모늄(ammonuum hydroxide)를, 10% NaNO2는 10% 농도의 아질산 나트륨(sodium nitrite)을 각각 의미한다.
이러한 표면부용 소재는 변성에멀젼 수지에 물, 탄소섬유, 난연재, 동결방지제, 건조지연제, 분산제, pH 조절제, 분말점도조절제, 액상점도조절제, 거품제거제, 실리카, 송진을 포함하는 부가성분을 혼합하여 점도가 20,000 ~ 30,000cps 범위가 되도록 한다.
이렇게 제조된 탄소 섬유 건축마감재(10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면에 문양틀(10)에 의하여 형성된 무늬(3)가 표면에 형성된 표면부(110)와, 표면부(110)의 후방에 표면부(110)의 강도,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메쉬 형태의 보강재를 포함하는 보강부(130)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조성물로 된 탄소 섬유 건축마감재(100)를 제조하는 과정을 도 1 내지 도 3h를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소 큰 판재를 폭이 좁고 폭에 비하여 길이가 길게 절단한 목재로 된 복수의(본 실시예에서는 4개로 가정한다) 베이스목재(11a, 11b, 11c, 11d)를 구비하여 브러쉬(brush)로 베이스목재(11a, 11b, 11c, 11d)의 표면을 삭제한다. 이러한 브러쉬의 브러슁 작업에 의하여 각 베이스목재(11a, 11b, 11c, 11d)의 표면 중에서 연질의 목재 표면을 삭제되고, 경질의 무늬(3)는 삭제되지 않아 상대적으로 무늬(3)가 표면으로부터 돌출되게 된다.
이러한 네 개의 베이스목재(11a, 11b, 11c, 11d)를 하나로 접착하여 도 2와 같은 형태의 베이스목재(11)를 만든다.
다음 도 3c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베이스목재(11, 각 베이스목재를 구분하지 않고 접착된 경우를 의미)를 연결한 부분에 무늬(3)가 연속되지 않는 경우 무늬(3)가 연속되도록 하거나 인접한 무늬(3)가 매우 상이한 경우 필요에 따라 사용자가 임의로 전체적인 무늬(3)의 분위기를 해치지 않은 범위에서 자연스러움을 유지할 수 있는 줄눈(13)을 추가적으로 생성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인접된 베이스목재(11)와의 결합으로 무늬(3)의 형상이 자연스럽지 못한 것을 자연미를 살릴 수 있도록 인위적인 줄눈(13)을 형성시킨다. 물론 이러한 줄눈(13)도 경질의 무늬(3)와 동일한 높이를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S1100). 문양은 무늬 모양을 의미하고 '무늬(3)'와 '줄눈(13)'을 포함한다.
다음, 도 3d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목재(11)에 형성된 기공 등을 메꾸고 베이스목재(11)로부터 수분이 특히 무늬(3)와 줄눈(13)이 있는 표면으로 유출되지 않도록 세라믹 코팅(15)을 한다. 이러한 1차 세라믹 코팅(15)은 대부분 베이스목재(11)가 흡수하는 경향이 있다. 세라믹 1차 코팅을 한 수 건조한다(약 60도에서 24시간 정도). 그런 후 2차 코팅을 하고 마찬가지로 건조를 하며, 2차 코팅 및 건조 후 3차 코팅 및 건조를 한다. 이러한 작업에 의하여 베이스목재(11)의 표면이 깨끗함과 동시에 베이스목재(11)로부터 수분이 외부로 유출되지 않을 수 있다(S1200).
다음, 도 3e와 같이 베이스목재(11)의 표면에 실리콘 재질을 포함하는 실리콘 금형(30)을 형성할 수 있는 소재를 부어 전체적으로 표면부용 소재가 동일한 높이를 유지할 수 있게 한다. 그런 다음 베이스목재(11)와 실리콘 금형(30)이 합체된 채로 건조실 등에서 건조를 시킨다. 건조된 베이스목재(11)와 실리콘 금형(30)을 분리한다(S1300).
그런 다음 도 3f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합판과 같이 넓은 판재 위에 실리콘 금형(30)을 음각의 무늬, 줄눈이 상측으로 향하도록 놓고(이 경우 베이스목재(11)에서 형성된 양각의 무늬, 줄눈 등은 실리콘 금형에서는 음각으로 됨) 전술한 표면부용 소재를 실리콘 금형(30)위로 고르게 일정한 높이를 유지하도록 붓는다. 이 경우에도 표면부용 소재의 상측 높이가 동일하게 유지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S1400). 그런 후 실리콘 금형(30)위에 부어진 표면부용 소재와 함께 건조실에서 건조를 시킨다. 이러한 건조에 의하여 표면부용 소재가 서서히 건조되고 실리콘 금형(30)에서 건조된 표면부용 소재를 분리하면 표면부(110)가 형성된다. 이러한 표면부(110)의 표면에는 베이스목재(11)의 무늬(3), 줄눈(13)이 돌출된 형상으로 표현된다(S1500).
그런 다음, 도 3g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술한 표면부용 소재에 색깔을 표현할 수 있는 안료를 추가(이색수지, 17)하여 도 3f에서 생성된 표면부(110)에 붓, 브러쉬 등을 이용하여 도포한다(S1600). 이러한 도포는 무늬(3), 줄눈(13)을 덮을 수 있는 두께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런 다음, 건조실에서 이색수지(17)가 도포된 표면부(110)를 건조시킨다.
그런 후 도 건조된 이색수지(17)가 도포된 표면부(110)을 도 3h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샌딩 등을 통해 표면부(110)의 무늬. 줄눈(13)이 노출될 수 있도록 이색수지(17)를 제거한다. 이러한 작업을 통해 이색수지(17)의 높이와 노출된 무늬(3), 줄눈(13) 등의 높이가 동일하게 되면서 이색수지(17)의 색깔과 노출된 무늬(3), 줄눈(13)의 색깔이 상이하여 투톤의 표면부(110)가 형성될 수 있다(S1800).
그리고, 다양한 재질(PP 등)로 된 메쉬 형태의 보강재를 표면부(110) 후방에 접착하여 건조를 하여 표면부(110)와 보강부(130)를 갖는 건축마감재(100)가 만들어 질 수 있다.
이러한 건축마감재(100)는 연성을 가지고 있어 잘 구부러지고, 방오성, 내구성, 방수성 및 난연성을 구비하고 있으면서도 대리석, 목재 등과 비교하여 무게도 가볍다.
또한, 필요로 하는 규격으로 절단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이러한 건축마감재(100)는 다소 큰 규격(1200 * 3200)으로 만들어져 포장, 운반되어 현장에서 필요로 하는 사이즈로 간단하고 편리하게 절단되어 접착제를 사용하여 마감하고자 하는 시멘트 벽체, 유리, 나무, 철제 등에 결합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건축마감재(100)는 잘 구부러져 원형 등의 기둥에도 간단하고 편리하게 접착시킬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는 목재를 포함하는 원판을 기준으로 설명하였으나 일반 화강암과 같은 석재의 표면 문양을 기초로 한 원판을 하는 경우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해치지 않은 범위에서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탄소 패널 건축마감재는 건물, 사무소, 공장 등의 외장재뿐만 아니라 내장재에도 적용됨은 물론이다.
이에, 본 발명에 따르면, 건축마감재의 표면이 연성을 유지하면서도 내구성, 방수성, 방화성을 갖는 표면부를 구비한 내외장재용 탄소 패널 건축마감재 및 그 제조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건축마감재의 표면부가 충분한 강도를 가지면서 인장력, 배수성 보강, 뒤틀림을 예방할 수 있는 내외장재용 탄소 패널 건축마감재 및 그 제조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건축마감을 필요로 하는 대상의 다양한 형상에도 적용이 가능하며, 현장에서 절단하여 취부가 용이하여 시공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내외장재용 탄소 패널 건축마감재 및 그 제조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대리석 등에 비하여 무게가 가벼워 건축물에 시공시 하중을 경량화시킬 수 있는 내외장재용 탄소 패널 건축마감재 및 그 제조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칼라를 활용하여 투톤 내지 다색의 톤을 구현할 수 있는 내외장재용 탄소 패널 건축마감재 및 그 제조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도시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원칙이나 정신에서 벗어나지 않으면서 본 실시예를 변형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과 그 균등물에 의해 정해질 것이다.
100 : 탄소 섬유 건축마감재 3 : 무늬
10 : 문양틀 11 : 베이스목재
11a, 11b, 11c, 11d : 소형베이스목재
13 : 줄눈 15 : 세라믹코팅
17 : 이색수지 30 : 실리콘 금형
110 : 표면부 130 : 보강부

Claims (14)

  1. 나무를 포함하는 원판에 문양을 형성하는 (1)과정과;
    형성된 문양을 갖는 문양틀의 표면에 코팅한 후 건조하는 (2)과정과;
    상기 형성된 문양틀 상부에 실리콘을 부은 후 건조하여 실리콘 금형을 형성하는 (3)과정과;
    상기 실리콘 금형에 연성, 방오성, 방수성, 내구성을 갖는 표면부용 소재를 부은 후 건조하여 표면부를 형성하는 (4)과정;을 포함하되,
    상기 표면부용 소재는, 변성에멀젼 수지에 물, 탄소섬유, 난연재, 동결방지제, 건조지연제, 분산제, pH 조절제, 분말점도조절제, 액상점도조절제, 거품제거제, 실리카, 송진을 포함하여 혼합하며,
    상기 변성에멀젼 수지는 220~230g, 상기 물은 98~103g을 포함하고,
    상기 변성에멀젼 수지는,
    2-EHAM을 1285~1300g, MMA를 1515~1590g, 2-HEMA를 112.5~117g, M-AC를 45.3~47g, TEXANOL을 88.5~92g, 중탄을 7.2g, TBHPO를 1.2g, NH4OH를 47.3~49g, 10% NaNO2를 63~66g, 방부재를 2g, NP-40을 21~22g, 물을 3347~3490g 범위로 혼합하여 제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마감재 제조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표면부 상측에 다른 색의 표면부용 소재를 도포하고 건조하여 표면부를 형성하는 (5)단계와;
    표면부의 표면을 샌딩을 포함하는 표면처리하는 (6)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마감재 제조 방법.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탄소섬유는 10~10.5g, 상기 난연재는 229~239g, 상기 동결방지제는 4g, 상기 건조지연제는 1g, 상기 분산제는 1.2g, 상기 pH 조절제는 0.1g, 상기 분말점도조절제는 1.2g, 상기 액상점도조절제는 0.6g, 상기 거품제거제는 1.7g, 상기 실리카는 500~550g, 상기 송진은 1g 범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마감재 제조 방법.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1)과정은 나무의 표면을 Brush로 부러싱하여 연질의 나무 표면을 삭제되고 나무결을 포함하는 경질의 무늬는 돌출되도록 작은 크기의 원판에 문양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마감재 제조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1)과정을 거치는 작은 크기의 원판을 상호 접착하여 설정된 크기의 원판을 형성하며,
    상호 접착되어 상기 경질의 무늬가 연속되지 않는 부분에는 상기 무늬를 연속되게 하거나 인위적으로 새긴 줄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마감재 제조 방법.
  8. 제1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상기 (2)과정은 복수 회 실시하고 상기 코팅은 세라믹 코팅을 포함하고 각 코팅의 회수마다 코팅 후 건조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마감재 제조 방법.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표면부 후방에 메쉬 형상의 보강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마감재 제조 방법.
  10. 나무를 포함하는 원판의 문양을 형성하는 (1)과정과;
    형성된 문양을 갖는 문양틀에 코팅한 후 건조하는 (2)과정과;
    상기 형성된 문양틀 상부에 실리콘을 부은 후 건조하여 실리콘 금형을 형성하는 (3)과정과;
    상기 실리콘 금형에 연성, 방오성, 방수성, 내구성을 갖는 표면부용 소재를 부은 후 건조하여 표면부를 형성하는 (4)과정;을 포함하여 제조되되,
    상기 표면부용 소재는,
    변성에멀젼 수지, 물, 탄소섬유, 난연재, 동결방지제, 건조지연제, 분산제, pH 조절제, 분말점도조절제, 액상점도조절제, 거품제거제, 실리카, 송진을 포함하여 혼합하되,
    상기 변성에멀젼 수지는 220~230g, 상기 물은 98~103g을 포함하되,
    상기 변성에멀젼 수지는,
    2-EHAM을 1285~1300g, MMA를 1515~1590g, 2-HEMA를 112.5~117g, M-AC를 45.3~47g, TEXANOL을 88.5~92g, 중탄을 7.2g, TBHPO를 1.2g, NH4OH를 47.3~49g, 10% NaNO2를 63~66g, 방부재를 2g, NP-40을 21~22g, 물을 3347~3490g 범위로 혼합하여 제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마감재,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탄소섬유는 10~10.5g, 상기 난연재는 229~239g, 상기 동결방지제는 4g, 상기 건조지연제는 1g, 상기 분산제는 1.2g, 상기 pH 조절제는 0.1g, 상기 분말점도조절제는 1.2g, 상기 액상점도조절제는 0.6g, 상기 거품제거제는 1.7g, 상기 실리카는 500~550g, 상기 송진은 1g 범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마감재.
  12. 삭제
  13. 제10항에 있어서,
    표면부 상측에 다른 색의 표면부용 소재를 도포하고 건조하여 표면부를 형성하는 (5)단계와;
    표면부의 표면을 샌딩을 포함하는 표면처리하는 (6)과정;을 포함하여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마감재.
  14.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표면부 후방에 메쉬 형상의 보강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마감재.
KR1020200131634A 2020-10-13 2020-10-13 내외장재용 탄소 패널 건축마감재 및 그 제조 방법 KR10254067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31634A KR102540674B1 (ko) 2020-10-13 2020-10-13 내외장재용 탄소 패널 건축마감재 및 그 제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31634A KR102540674B1 (ko) 2020-10-13 2020-10-13 내외장재용 탄소 패널 건축마감재 및 그 제조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48583A KR20220048583A (ko) 2022-04-20
KR102540674B1 true KR102540674B1 (ko) 2023-06-05

Family

ID=814037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31634A KR102540674B1 (ko) 2020-10-13 2020-10-13 내외장재용 탄소 패널 건축마감재 및 그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40674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013628A (ja) * 2007-07-03 2009-01-22 Hitachi Housetec Co Ltd 表面に軟質材を備えた浴室成形品及びその製造方法
JP2017119949A (ja) * 2015-12-28 2017-07-06 鹿島木材株式会社 床用板材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20245B1 (ko) * 2007-08-31 2009-10-05 주식회사 비앤비코리아 콘크리트 구조물의 표면 코팅방법
CN103108923B (zh) * 2010-07-12 2016-03-23 韩华石油化学株式会社 导电涂料组合物及使用其制备导电膜的方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013628A (ja) * 2007-07-03 2009-01-22 Hitachi Housetec Co Ltd 表面に軟質材を備えた浴室成形品及びその製造方法
JP2017119949A (ja) * 2015-12-28 2017-07-06 鹿島木材株式会社 床用板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48583A (ko) 2022-04-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60270B1 (ko) 시멘트를 이용한 인공 조각품의 제작방법
US5634307A (en) Imitation stone surface apparatus and method
US5735094A (en) Method for producing an ornamental concrete surface
US7735277B1 (en) Simulated brick building panel
US6810632B2 (en) Simulated stone block and aged artist's canvas articles and method
US20020100241A1 (en) Sheet of articulated masonry-like units and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US20100005733A1 (en) Fractionable Cement Veneer
KR20060113617A (ko) 자연석을 이용한 건축물 내외장용 마감패널 및 그 제조방법
KR102540674B1 (ko) 내외장재용 탄소 패널 건축마감재 및 그 제조 방법
KR20110071558A (ko) 폐자재를 이용한 조형건축물 및 조형물 시공방법과 그 구조 및 조성물
US20210372123A1 (en) Concrete panel board
US20100005753A1 (en) Composition and method for installing a simulated natural surface
CN2934449Y (zh) 组合式天然砂岩板墙面
KR20040040227A (ko) 건축물 내, 외장용 인조석 판재 및 제조방법
CN201809928U (zh) 一种密缝冰裂纹的纹理规划模块单元
KR20160016350A (ko) 콘크리트 스테인을 이용한 바닥 마감재 시공방법
Onderdonk The Ferro-concrete Style: Reinforced Concrete in Modern Architecture, with Four Hundred Illustrations of European and American Ferro-concrete Design
RU2708296C1 (ru) Строительная защитно-декоративная стеновая панель
KR101761757B1 (ko) 부조벽화 제작방법 및 부조벽화용 조성물
KR102541435B1 (ko) 천연 세립 잔자갈을 이용한 내, 외벽 시공용 친환경 불연타일 및 그 제조방법
CN214941854U (zh) 一种用于建筑物外墙或者地面的新型材料板装置
JP3243837U (ja) 突板による石垣模様を呈している化粧壁材。
JP2013049980A (ja) Frp防水構造体の施工方法及びそのfrp防水構造体
KR200186814Y1 (ko) 폐자재를 이용한 실내,외 조형장식물시공 구조
KR200301790Y1 (ko) 건축물 내, 외장용 인조석 판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