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67490B1 - 연료 전지를 사용한 비상 전원 시스템 - Google Patents
연료 전지를 사용한 비상 전원 시스템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367490B1 KR101367490B1 KR1020087023074A KR20087023074A KR101367490B1 KR 101367490 B1 KR101367490 B1 KR 101367490B1 KR 1020087023074 A KR1020087023074 A KR 1020087023074A KR 20087023074 A KR20087023074 A KR 20087023074A KR 101367490 B1 KR101367490 B1 KR 101367490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ower
- fuel cell
- emergency
- power supply
- load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04—Auxiliary arrangements, e.g. for control of pressure or for circulation of fluids
- H01M8/04223—Auxiliary arrangements, e.g. for control of pressure or for circulation of fluids during start-up or shut-down; Depolarisation or activation, e.g. purging; Means for short-circuiting defective fuel cells
- H01M8/04225—Auxiliary arrangements, e.g. for control of pressure or for circulation of fluids during start-up or shut-down; Depolarisation or activation, e.g. purging; Means for short-circuiting defective fuel cells during start-up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6/00—Structural combinations of different types of electrochemical generators
- H01M16/003—Structural combinations of different types of electrochemical generators of fuel cells with other electrochemical devices, e.g. capacitors, electrolysers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3/00—Circuit arrangements for ac mains or ac distribution networks
- H02J3/38—Arrangements for parallely feeding a single network by two or more generators, converters or transformer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04—Auxiliary arrangements, e.g. for control of pressure or for circulation of fluids
- H01M8/04223—Auxiliary arrangements, e.g. for control of pressure or for circulation of fluids during start-up or shut-down; Depolarisation or activation, e.g. purging; Means for short-circuiting defective fuel cells
- H01M8/04228—Auxiliary arrangements, e.g. for control of pressure or for circulation of fluids during start-up or shut-down; Depolarisation or activation, e.g. purging; Means for short-circuiting defective fuel cells during shut-down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04—Auxiliary arrangements, e.g. for control of pressure or for circulation of fluids
- H01M8/04298—Processes for controlling fuel cells or fuel cell systems
- H01M8/043—Processes for controlling fuel cells or fuel cell systems applied during specific periods
- H01M8/04302—Processes for controlling fuel cells or fuel cell systems applied during specific periods applied during start-up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04—Auxiliary arrangements, e.g. for control of pressure or for circulation of fluids
- H01M8/04298—Processes for controlling fuel cells or fuel cell systems
- H01M8/043—Processes for controlling fuel cells or fuel cell systems applied during specific periods
- H01M8/04303—Processes for controlling fuel cells or fuel cell systems applied during specific periods applied during shut-down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04—Auxiliary arrangements, e.g. for control of pressure or for circulation of fluids
- H01M8/04298—Processes for controlling fuel cells or fuel cell systems
- H01M8/04313—Processes for controlling fuel cells or fuel cel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detection or assessment of variables; characterised by the detection or assessment of failure or abnormal function
- H01M8/04537—Electric variables
- H01M8/04604—Power, energy, capacity or load
- H01M8/04626—Power, energy, capacity or load of auxiliary devices, e.g. batteries, capacitor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04—Auxiliary arrangements, e.g. for control of pressure or for circulation of fluids
- H01M8/04298—Processes for controlling fuel cells or fuel cell systems
- H01M8/04694—Processes for controlling fuel cells or fuel cell systems characterised by variables to be controlled
- H01M8/04858—Electric variables
- H01M8/04925—Power, energy, capacity or load
- H01M8/04947—Power, energy, capacity or load of auxiliary devices, e.g. batteries, capacitor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04—Auxiliary arrangements, e.g. for control of pressure or for circulation of fluids
- H01M8/04298—Processes for controlling fuel cells or fuel cell systems
- H01M8/04694—Processes for controlling fuel cells or fuel cell systems characterised by variables to be controlled
- H01M8/04955—Shut-off or shut-down of fuel cells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34—Parallel operation in networks using both storage and other dc sources, e.g. providing buffering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9/00—Circuit arrangements for emergency or stand-by power supply, e.g. for emergency lighting
- H02J9/04—Circuit arrangements for emergency or stand-by power supply, e.g. for emergency lighting in which the distribution system is disconnected from the normal source and connected to a standby source
- H02J9/06—Circuit arrangements for emergency or stand-by power supply, e.g. for emergency lighting in which the distribution system is disconnected from the normal source and connected to a standby source with automatic change-over, e.g. UPS system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250/00—Fuel cell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Specific features of fuel cell system
- H01M2250/10—Fuel cells in stationary systems, e.g. emergency power source in plant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90/00—Enabling technologies or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B90/10—Applications of fuel cells in buildings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30—Hydrogen technology
- Y02E60/50—Fuel cel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Fuel Cell (AREA)
- Stand-By Power Supply Arrangements (AREA)
Abstract
연료 전지 시스템을 가짐과 함께 계통 전원에 연계되고, 계통 전원이 정전된 경우에 연료 전지 시스템으로부터 전력을 부하에 공급하는 비상 전원 시스템에 있어서, 연료 전지 시스템 내의 연료 전지와 파워 컨디셔너 사이의 직류 전력의 경로에 2 차 전지를 접속시킨다. 파워 컨디셔너가 계통 전원의 정전을 검출하여 연료 전지가 정지되었을 때에, 2 차 전지에 축적된 직류 전력에 의해 연료 전지를 재시동시킬 수 있도록 한다. 재시동 후의 연료 전지로부터 공급되는 직류 전력은, 파워 컨디셔너에서 교류 전력으로 변환되고, 계통 전원으로부터 분리된 상태에서 비상 부하 등에 공급된다.
연료 전지 시스템, 계통 전원, 비상 전원 시스템, 2 차 전지, 비상 부하
Description
기술분야
본 발명은, 연료 전지를 사용한 비상 전원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통상시에는 부하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해 계통 전원에 연계되어 사용되고, 계통 전원측에서의 정전시에는 계통 전원으로부터 해열 (解列) 하여 연료 전지로부터의 전력을 부하에 공급할 수 있는 비상 전원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배경기술
최근, 전력 소비자 즉 전력 수요자의 경우에 있어서, 분산 전원 장치로서 연료 전지를 배치하여 설비하고, 전기 사업자로부터의 배전되는 전력 즉 계통 전원으로부터의 전력과 연료 전지로부터의 전력을 조합하여 그 전력 소비자에 있어서의 전력 소비를 조달하도록 한 분산형 전원 시스템이 주목을 끌고 있다. 전력 사업자측에서는 복수의 발전 설비와 복수의 변전 설비와 이들 발전 설비 및 변전 설비를 접속시켜 전력을 다수의 수요자에게 공급하기 위한 배전 설비가 설치되고, 발전 설비, 변전 설비 및 배전 설비가 전체적으로 조화를 유지하도록 운용되고 있으며, 전력 사업자측의 이들 설비를 전체적으로 계통 전원이라고 부르고 있다.
연료 전지는 직류 전력을 발생시키는데, 전력 소비자의 택내 (宅內) 에 있어서는 계통 전원으로부터의 교류 전력에 중첩하여 부하에 배전할 필요가 있으므로, 분산 전원인 연료 전지를 계통 전원에 연계시킬 필요가 있다. 연료 전지를 계통 전원에 연계시키기 위해, 연료 전지가 출력하는 직류 전력을 교류 전력으로 변환하여, 그 주파수나 전압을 계통 전원으로부터의 전력에 적합하게 하는 파워 컨디셔너 (PCS) 가 사용된다. 일반적으로, 파워 컨디셔너로부터의 교류 전력의 출력선은 전력 소비자의 택내에 설치되는 분전반에 있어서 계통 전원측으로부터의 배전선에 접속되고, 이로써, 전력 소비자의 택내에 있는 부하에 대하여 연료 전지로부터의 교류 전력과 계통 전원으로부터의 교류 전력이 함께 공급되게 된다.
도 1 은, 이와 같이 연료 전지에 의한 분산 전원을 계통 전원에 연계시켜 사용하기 위한 종래의 전원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내고 있다.
분산 전원으로서 연료 전지를 포함하고 교류 전력을 출력하는 연료 전지 시스템 (81) 이 설치되어 있고, 연료 전지 시스템 (81) 의 출력은 분전반 (82) 에 접속되어 있다. 분전반 (82) 은 계통 전원에도 접속되어, 계통 전원으로부터의 교류 전력과 연료 전지 시스템 (81) 의 교류 전력을 동일한 배전선을 통하여 부하에 공급한다.
연료 전지 시스템 (81) 은, 연료 전지 (91) 와 연료 전지 (91) 에서 발전된 직류 전력을 교류 전력으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파워 컨디셔너 (PCS) (92) 를 구비하고 있다. 연료 전지 (91) 는, 도 1 에는 나타내지 않지만, 탄화수소로 이루어지는 연료, 예를 들어 등유나 LPG (액화 석유 가스) 등의 연료를 개질하여 수소를 생성시키는 개질기와, 이 수소와 산소 (또는 공기) 가 공급되어 발전되는 연료 전지 본체를 구비하고 있다. 연료 전지 본체는, 전형적인 연료 전지로서, 수소 및 산소가 각각 공급되는 부극 (負極) 및 정극 (正極) 과, 부극 및 정극 사이에 배치되어 수소 이온이 투과할 수 있는 전해질막을 구비하고 있다.
파워 컨디셔너 (92) 는, 분전반 (82) 을 통하여 입력되는 계통 전원측의 교류 전력에 연계되도록, 연료 전지 (91) 로부터의 직류 전력을 교류 전력으로 변환한다. 또한, 연료 전지 즉 개질기나 연료 전지 본체를 동작시키기 위해서는, 히터에 의해 이들을 소정의 온도 범위로까지 승온시킬 필요가 있고, 또한 개질기에 연료를 공급하기 위해서는 펌프를 동작시킬 필요가 있다. 이와 같이 연료 전지 시스템 (81) 의 운전을 위해서는 히터나 펌프 등의 각종 보기 (補機) 류를 동작시킬 필요가 있으며, 히터나 펌프 등을 동작시키기 위한 전력은 파워 컨디셔너 (92) 로부터 연료 전지에 공급되도록 되어 있다. 연료 전지 시스템 (81) 이 정상 운전 상태에 들어가면, 히터나 펌프를 위한 전력으로는 연료 전지 (91) 가 발전시킨 전력의 일부를 사용할 수 있다. 그러나, 연료 전지 시스템 (81) 자체의 시동 (동작 개시) 시에는 연료 전지 (91) 는 아직 발전을 개시하지 않았기 때문에, 계통 전원으로부터 분전반 (82) 을 통하여 파워 컨디셔너 (92) 에 입력되는 교류 전력으로부터 히터나 펌프를 동작시키기 위한 전력을 얻도록 한다.
그런데 계통 전원에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하여 분산 전원을 연계시키는 경우, 분산 전원에서 발생시킨 전력에 의해 계통 전원측에 악영향이 미치지 않도록 해야 한다. 계통 전원에 대하여 악영향이 미치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는 어떻게 해야 하는지는, 예를 들어, 일본의 경제 산업성 자원 에너지청이 정리한 「계통 연계 가이드라인」에 나타나 있는데, 특히, 계통 전원측에 있어서 정전 사고가 발생 한 경우에는, 분산 전원을 계통 전원으로부터 해열해야 한다는 것이 정해져 있다. 계통 전원측에 있어서의 정전 사고시에 분산 전원이 동작하고 있으면, 정전 중이므로 본래에는 충전되어 있지 않아야 할 계통 전원측의 배전선이나 배전망이 분산 전원에 의해 충전되게 되어, 정전 복구 등의 작업에 있어서의 감전 사고나, 계통 전원이 정상 상태로 복귀될 때, 계통 전원측에서의 교류 전력의 위상과 배전선측에서의 위상이 일치하지 않는 것에 의한 고장 발생의 우려가 발생하기 때문이다. 또한, 분산 전원으로부터 전력이 계통 전원측에 공급되고 있으면, 계통 전원 내에서의 고장 발생 위치의 탐색이 어려워진다. 계통 전원측의 정전 사고시에 분산 전원을 계통 전원으로부터 해열하기 위해, 분산 전원의 파워 컨디셔너는, 계통 전원측으로부터의 전력 공급이 끊어졌다는 것을 검출한 경우에 신속하게 그 분산 전원의 동작을 정지시키고, 또한 필요에 따라 분산 전원을 배전선으로부터 기계적인 스위치 또는 차단기에 의해 분리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발명의 개시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
연료 전지는 기상 조건 등에 상관없이 연료가 계속 있는 한 동작하는 것이기 때문에, 지진 등의 재해가 발생하여 계통 전원에 있어서의 정전이 지속되는 것이 상정되는 경우에 있어서의 비상용 전원으로서 유망한 것이다. 그러나, 분산 전원을 계통 전원에 연계시켜 사용하고 있는 경우에는,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보안상 등의 이유에 의해, 계통 전원측에서 정전이 있는 경우에는 분산 전원을 정지시켜야 하기 때문에, 연료 전지를 사용하는 분산 전원이어도 그대로 비상용 전원으로서 사용할 수 있는 것은 아니다. 또한, 연료 전지를 일단 정지시킨 후에 그 연료 전지를 재기동시키려고 해도, 일반적으로는 연료 전지의 재기동에 필요한 전력으로서 계통 전원으로부터 공급되는 전력을 사용하고 있으므로, 계통 전원의 정전시에는 연료 전지의 재기동도 실시할 수 없게 된다.
그래서 본 발명의 목적은, 연료 전지를 가짐과 함께 계통 전원에 연계되는 분산형의 전원 시스템으로서, 계통 전원이 통상적으로 가동하고 있는 경우에는 분산 전원으로서 동작함과 함께, 계통 전원이 정전이 된 경우에서도 비상용 전원으로서 사용할 수 있는 비상 전원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
본 발명의 비상 전원 시스템은, 계통 전원에 연계되고 연료 전지와 파워 컨디셔너를 구비하는 연료 전지 시스템을 갖는 비상 전원 시스템으로서, 연료 전지와 파워 컨디셔너 사이의 직류 전력의 경로에 2 차 전지를 접속시킬 수 있는 비상 전원 시스템이고, 2 차 전지에 축적된 직류 전압에 의해 연료 전지를 시동시킬 수 있는 비상 전원 시스템이다.
이와 같은 비상 전원 시스템은, 예를 들어, 계통 전원에 연계되고 연료 전지와 파워 컨디셔너를 구비하는 연료 전지 시스템을 갖는 비상 전원 시스템으로서, 계통 전원에 접속됨과 함께 부하에 전력을 공급하는 분전반과, 계통 전원과 분전반 사이에 설치된 차단기와, 연료 전지와 파워 컨디셔너 사이의 직류 전력의 경로에 접속되는 2 차 전지를 구비하고, 파워 컨디셔너에 있어서 계통 전원의 정전을 검출하였을 때, 파워 컨디셔너는 연료 전지의 동작을 정지시킴과 함께, 정전 검출 신호를 차단기에 송출하여 차단기를 개방 상태로 하고, 차단기가 개방 상태일 때 2 차 전지로부터의 전력에 의해 연료 전지를 시동시킬 수 있고, 연료 전지의 시동 후에는 연료 전지 시스템으로부터 분전반에 교류 전력이 공급되도록 한 비상 전원 시스템이다.
상기 서술한 비상 전원 시스템은, 계통 전원의 정전시에, 연료 전지 시스템을 시동시켜 연료 전지 시스템으로부터의 전력만을 부하에 공급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그러나, 연료 전지 시스템의 정격 출력에는 한계가 있기 때문에, 분전반에 접속되는 부하가 통상 부하와 비상 부하일 경우에는, 계통 전원이 통상 동작하고 있을 때에는 양쪽 부하에 전력이 공급되고, 차단기가 개방 상태에 있어 연료 전지 시스템이 시동된 후에는, 비상 부하에만 전력이 공급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비상 부하의 부하 용량은 연료 전지 시스템의 정격 출력 미만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차단기가 개방 상태에 있을 때 계통 전원이 복구된 경우에, 연료 전지 시스템의 운전을 정지시키고, 그 후, 차단기를 도통 상태로 되돌리고, 차단기가 도통 상태로 되돌려진 후에 연료 전지 시스템을 재시동시키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재시동을 실현하기 위해, 차단기의 개방 상태에서 도통 상태로의 복귀를 제어하고, 파워 컨디셔너에 대한 지령을 발생시키는 제어 회로를 추가로 설치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연료 전지 시스템으로는, 탄화수소를 연료로 하는 연료 전지를 갖는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는, 연료 전지와 파워 컨디셔너로 이루어지는 연료 전지 시스템을 계통 전원에 연계시킨 전원 시스템에 있어서, 계통 전원이 정전된 경우에는 일단은 연료 전지도 정지되지만, 그 후, 연료 전지 시스템에 접속된 2 차 전지로부터의 전력을 사용하여 연료 전지를 시동시킬 수 있도록 하고 있으므로, 이 연료 전지 시스템으로부터의 발전된 전력을 부하에 공급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비상 전원 시스템은, 평상시에는 계통 전원에 연계됨과 함께, 재해 등의 비상시에 있어서는 비상용 전원으로서 운전이 가능하여, 평상시 및 비상시 양방에 있어서 유용하다.
도면의 간단한 설명
도 1 은 종래의 전원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 는 본 발명의 실시의 일 형태의 비상 전원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3 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의 비상 전원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선의 형태
다음으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2 는 본 발명의 실시의 일 형태의 비상 전원 시스템을 나타내고 있다. 이 비상 전원 시스템은, 계통 전원에 대하여 연계되는 것으로서, 분산 전원으로서, 교류 전력을 출력하는 연료 전지 시스템 (11) 을 구비함과 함께, 계통 전원으로부터의 전력과 연료 전지 시스템 (11) 으로부터의 전력을 부하에 공급하기 위한 분전반 (14) 과 2 차 전지 (16) 를 구비하고 있다.
분전반 (14) 은, 연료 전지 시스템 (11) 의 출력이 접속되는 모선 (31) 과, 계통 전원에 접속되는 배전선 (39) 과 모선 (31) 사이에 설치된 차단기 (32) 와, 모선 (31) 과 부하 사이에 설치되는 스위치 (34, 35) 를 구비하고 있다. 차단기 (32) 는, 연료 전지 시스템 (11) 내의 후술하는 파워 컨디셔너 (PCS) (13) 로부터 정전 검출 신호를 수신한 경우에 개방 상태 (즉 차단 상태) 로 트립하는, 바꿔 말하면 차단기 (32) 는, 모선 (31) 을 자동적으로 계통 전원측으로부터 분리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전력 소비자의 택내의 부하로서, 계통 전원의 가동시에만 전력이 공급되고 있으면 되는 통상 부하 (41) 와, 계통 전원의 가동시뿐만 아니라 계통 전원의 정전시에도 전력이 공급되어야 하는 비상 부하 (42) 의 2 종류가 있는 것으로 한다. 통상 부하 (41) 는 스위치 (34) 를 통하여 모선 (31) 에 접속되고, 비상 부하 (42) 는 스위치 (35) 를 통하여 모선 (31) 에 접속되어 있다. 이 비상 전원 시스템에서는, 계통 전원으로부터의 교류 전력과 연료 전지 시스템 (11) 으로부터의 교류 전력이, 분전반 (14) 를 통하여 동일한 택내 배전선을 통하여 각 부하 (41, 42) 에 공급되도록 되어 있다.
연료 전지 시스템 (11) 은, 연료를 개질하여 수소를 생성시키는 개질기와 이 수소와 산소 (공기) 가 공급되어 발전되는 연료 전지 본체로 이루어지는 연료 전지 (12) 와, 연료 전지 (12) 에서 발전된 직류 전력을 교류 전력으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파워 컨디셔너 (13) 를 구비하고 있다. 연료로는, 예를 들어, 등유 또는 LPG (액화 석유 가스) 또는 천연 가스가 사용되고, 따라서 이 연료 전지 시스템 (11) 은 탄화수소를 연료로 하는 연료 전지를 갖게 된다. 개질기나 연료 전지 본체로는, 도 1 에 나타낸 종래의 시스템에 있어서의 것과 동일한 것이 사용되는데, 특히 이 실시형태에서는, 연료 전지의 각종 보기 (펌프나 히터류) 는 직류 전력에 의해 구동되도록 되어 있다.
파워 컨디셔너 (13) 로는, 도 1 에 나타낸 종래의 전원 시스템에 있어서 사용되는 파워 컨디셔너 (92) 와 동일한 것이 사용되는데, 도 2 에 나타내는 비상 전원 시스템에 있어서의 파워 컨디셔너 (13) 는, 계통 전원측에 있어서의 정전을 검출한 경우에, 연료 전지 시스템 (11) 의 동작을 정지시킴과 함께, 계통 전원에 있어서의 정전을 검출하였다는 내용의 신호 즉 정전 검출 신호를 분전반 (14) 에 출력하는 기능을 구비하고 있다는 점에서, 도 1 에 나타낸 것과 상이하다. 또한, 계통 전원측에 있어서의 정전을 파워 컨디셔너 (13) 에서 검출하는 방법으로는, 계통 전원에 연계되는 분산 전원의 파워 컨디셔너에 있어서, 현재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2 차 전지 (16) 는, 연료 전지 (12) 와 파워 컨디셔너 (13) 사이에서 직류 전력이 전송되는 도선에 대하여 접속되어 있고, 연료 전지 (12) 또는 파워 컨디셔너 (13) 로부터 공급되는 직류 전력에 의해 충전되는 것이다. 연료 전지 (12) 자체는 부하의 급변에 대하여 대응하는 것이 어려운 것이므로, 부하가 급증하였을 때에는, 연료 전지 (12) 로부터의 직류 전력 외에 2 차 전지 (16) 에 축적되어 있는 직류 전력도 파워 컨디셔너 (13) 에서 교류 전력으로 변환하여 부하에 공급하 고, 부하가 급감하였을 때에는 연료 전지 (12) 로부터의 직류 전력의 일부로 2 차 전지 (16) 를 충전하도록 함으로써, 계통 전원이 통상 상태일 때 이 비상 전원 시스템을 효율적으로 운전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2 차 전지 (16) 에 축적된 직류 전력은, 연료 전지 (12) 를 시동시킬 때의 전력으로서도 사용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바꿔 말하면,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계통 전원측으로부터의 전력 공급이 없어, 파워 컨디셔너 (13) 에 의해서는 연료 전지 (12) 를 시동시킬 수 없는 경우에서도, 2 차 전지 (16) 에 축적된 전력을 연료 전지 (12) 의 각 보기 (펌프나 히터 등) 에 공급함으로써 연료 전지 (12) 를 기동시켜, 연료 전지 (12) 로부터 직류 전력을 얻을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와 같은 2 차 전지 (16) 로는, 예를 들어, 리튬 이온 배터리, 니켈 수소 전지 또는 납 축전지 등이 사용된다.
다음으로, 이 비상 전원 시스템의 동작을 설명한다.
계통 전원이 정상적으로 기능하고 있는 경우에는, 차단기 (32), 각 스위치 (34, 35) 가 모두 닫혀 도통 상태로 되어 있고, 계통 전원으로부터의 교류 전력과 연료 전지 시스템 (11) 으로부터의 교류 전력이 분전반 (14) 을 통하여 부하 (41, 42) 에 공급된다. 연료 전지 시스템 (11) 이 시동되고 있지 않은 경우에는, 연료 전지 시스템 (11) 을 시동시키기 위한 전력이 계통 전원으로부터 파워 컨디셔너 (13) 에 공급된다. 또한, 2 차 전지 (16) 는, 소정의 충전 레벨 이상이도록 충방전이 제어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소정의 충전 레벨이란, 연료 전지 (12) 의 시동에 필요한 전력 전부를 2 차 전지 (16) 로부터 공급할 수 있는 이 상의 충전 레벨로 한다.
계통 전원이 정지 즉 정전되었다고 가정하자. 연료 전지 시스템 (11) 의 파워 컨디셔너 (13) 에 의해 이 정전이 검출되고, 그 결과, 파워 컨디셔너 (13) 는, 직류 전력을 교류 전력으로 변환하는 동작을 중지하여, 연료 전지 (12) 의 운전을 자동적으로 정지시키고, 또한 연료 전지 시스템 (11) 을 필요에 따라 분전반 (14) 으로부터 전기적으로 분리시킴과 함께, 정전 검출 신호를 분전반 (14) 에 송출한다. 그 결과, 차단기 (32) 가 개방측으로 트립하여, 분전반 (14) 의 모선 (31) 과 계통 전원에 접속되는 배전선 (39) 이 분리되게 된다.
이와 같이 분전반 (14) 의 모선 (31) 으로부터 계통 전원이 분리되어, 연료 전지 시스템 (11) 으로부터의 전력 공급이 정지됨으로써, 부하 (41, 42) 에 대한 교류 전력의 공급도 정지된다. 이 상태에서 연료 전지 시스템 (11) 을 비상용 전원으로서 기능시키기 위해서는, 먼저 스위치 (34, 35) 를 개방 상태로 하여 부하 (41, 42) 를 분전반 (14) 으로부터 분리시키고, 연료 전지 시스템 (11) 의 파워 컨디셔너 (13) 를 조작하여 2 차 전지 (16) 로부터의 전력에 의해 연료 전지 (12) 를 시동시킨다. 즉, 연료 전지 (12) 의 각 보기의 운전을 개시시킨다. 연료 전지 (12) 가 시동되어 소정의 직류 전력을 출력하게 되면, 파워 컨디셔너 (13) 는 직류 전력의 교류 전력으로의 변환을 재개하고, 그 결과, 연료 전지 (12) 로부터의 직류 전력은 교류 전력으로 변환되어 분전반 (14) 의 모선에 공급되게 된다. 이 시점에서, 비상 부하 (42) 에 연결되는 스위치 (35) 를 닫아 비상 부하 (42) 에 교류 전력이 공급되도록 한다.
이상과 같이 하여, 연료 전지 (12) 의 재기동이 실시되어, 비상 부하 (42) 에 대한 교류 전력의 공급이 재개된다.
다음으로, 계통 전원이 정전으로부터 복구된 경우의 동작을 설명한다. 분전반 (14) 에 있어서 차단기 (32) 보다 계통 전원측의 위치에, 계통 전원측으로부터의 전력으로 발광하는 파일럿 램프를 설치해 두면, 파일럿 램프가 재점등됨으로써, 계통 전원이 정전으로부터 복구되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그 경우에는, 수동으로 연료 전지 시스템 (11) 을 정지시킨다. 즉 연료 전지 (12) 를 정지시켜, 파워 컨디셔너 (13) 에서의 직류-교류 변환 동작을 정지시킨다. 다음으로, 차단기 (32) 를 닫아, 분전반 (14) 의 모선 (31) 에 계통 전원으로부터의 전력이 공급되도록 한다. 그 후, 연료 전지 시스템 (11) 을 재시동시키고, 또한 스위치 (34) 를 닫음으로써, 맨 처음에 설명한 통상 운전 상태로 되돌아온다.
이상의 동작에 있어서, 계통 전원측이 정전이 되어 차단기 (32) 가 개방 상태로 된 후, 계통 전원이 복구된 경우에 차단기 (32) 를 다시 투입하여 차단기 (43) 를 도통 상태로 하는데, 차단기 (32) 를 투입하는 시점에서는 연료 전지 시스템 (11) 은 정지되어 있어야만 한다. 그래서, 연료 전지 시스템 (11) 이 동작하고 있거나, 또는 연료 전지 (12) 가 그 시동 과정에 있을 때에는, 개방 상태의 차단기 (32) 가 재투입되지 않도록 하는 인터로크 장치를 분전반 (14) 에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서술한 절차에 있어서는, 연료 전지 시스템 (11) 의 시동이나 각 스위치 (34, 35) 의 온 오프, 파워 컨디셔너 (13) 의 조작 등은 조작원에 의한 수동으로 실시되는 것으로 하고 있지만, 이들 프로세스를 자동으로 실시할 수 있도록 분전반 (14) 에 제어 회로를 설치하도록 해도 된다. 도 3 은 이와 같은 제어 회로를 구비한 비상 전원 시스템을 나타내고 있다.
도 3 에 나타내는 비상 전원 시스템은, 도 2 에 나타내는 비상 전원 시스템과는, 분전반 (14) 내에 제어 회로 (36) 가 설치되어 있다는 점에서 상이하다. 제어 회로 (36) 는, 분전반 (14) 내의 차단기 (32) 를 도통 상태로 복귀시키거나, 분전반 (14) 내의 각 스위치 (34, 35) 를 제어할 수 있음과 함께, 연료 전지 시스템 (11) 내의 파워 컨디셔너 (13) 에 대하여 지령을 내릴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파워 컨디셔너 (13) 에 대하여 제어 회로 (36) 로부터의 지령을 전달하기 위해, 분전반 (14) 과 파워 컨디셔너 (13) 사이에는 신호선 (37) 이 형성되어 있다.
제어 회로 (36) 는, 예를 들어, 비상 운전 모드 이행을 위한 누름 버튼 스위치인 비상 운전 스위치와, 통상 운전 모드 이행을 위한 누름 버튼 스위치인 통상 운전 스위치를 구비하고 있다. 계통 전원측이 정전이 되어,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차단기 (32) 가 개방 상태로 트립하고, 연료 전지 시스템 (11) 및 2 차 전지 (16) 로부터의 전력 공급이 정지된 상태에서 비상 운전 스위치가 조작되면, 제어 회로 (36) 는, 스위치 (34, 35) 를 개방 상태로 하는 시점부터 연료 전지 시스템 (11) 을 시동시키고, 스위치 (35) 를 온 상태로 하는 시점까지의 상기 서술한 처리를 자동적으로 실행한다. 또한, 비상 운전 모드에 있을 때 통상 운전 스위치가 조작된 경우에는, 제어 회로 (36) 는 계통 전원이 복구된 것을 확인한 후, 연료 전 지 시스템 (11) 의 정지와 차단기 (32) 의 투입에서 연료 전지 시스템의 재시동, 스위치 (34) 의 투입까지의 처리를 자동적으로 실행한다. 이와 같은 제어 회로 (36) 를 설치함으로써, 본 발명에 기초한 비상 전원 시스템의 운전 조작을 간단하게 실시할 수 있게 된다.
Claims (8)
- 삭제
- 계통 전원에 연계되고 연료 전지와 파워 컨디셔너를 구비하는 연료 전지 시스템을 갖는 비상 전원 시스템으로서,상기 계통 전원에 접속됨과 함께 모선을 통하여 부하에 전력을 공급하는 분전반과,상기 계통 전원과 상기 분전반에 있어서의 상기 모선 사이에 설치된 차단기와,상기 연료 전지와 상기 파워 컨디셔너 사이의 직류 전력의 경로에 접속되는 2 차 전지를 구비하고,상기 파워 컨디셔너에 있어서 상기 계통 전원의 정전을 검출하였을 때, 상기 파워 컨디셔너는 상기 연료 전지의 동작을 정지시킴과 함께, 정전 검출 신호를 상기 차단기에 송출하여 상기 차단기를 개방 상태로 하고,상기 차단기가 개방 상태일 때, 상기 2 차 전지로부터 공급된 전력에 의해 상기 연료 전지를 시동시킬 수 있고, 상기 연료 전지의 시동 후에는 상기 연료 전지 시스템으로부터 상기 분전반의 상기 모선을 통하여 상기 부하에 교류 전력이 공급되도록 한, 비상 전원 시스템.
- 제 2 항에 있어서,상기 분전반에 접속되는 부하는 통상 부하와 비상 부하이고, 상기 계통 전원이 통상 동작하고 있을 때에는 상기 통상 부하 및 상기 비상 부하에 전력이 공급되고, 상기 차단기가 개방 상태에 있고 상기 연료 전지가 시동된 후에는 상기 비상 부하에만 전력이 공급되는, 비상 전원 시스템.
- 제 3 항에 있어서,상기 비상 부하의 부하 용량은 상기 연료 전지 시스템의 정격 출력 미만인, 비상 전원 시스템.
- 제 2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상기 차단기가 개방 상태에 있을 때 상기 계통 전원이 복구된 경우에, 상기 연료 전지 시스템의 운전이 정지되고, 그 후, 상기 차단기가 도통 상태로 되돌려지고, 상기 차단기가 도통 상태로 되돌려진 후에, 상기 연료 전지 시스템이 재시동되는, 비상 전원 시스템.
- 제 5 항에 있어서,상기 차단기의 상기 개방 상태에서 상기 도통 상태로의 복귀를 제어하고, 상기 파워 컨디셔너에 대한 지령을 발생시키는 제어 회로를 추가로 구비하는, 비상 전원 시스템.
- 제 5 항에 있어서,상기 분전반 내에 있어서 상기 통상 부하에 대한 도선에 설치된 제 1 스위치와,상기 분전반 내에 있어서 상기 비상 부하에 대한 도선에 설치된 제 2 스위치와,상기 차단기의 상기 개방 상태에서 상기 도통 상태로의 복귀를 제어하고, 상기 제 1 및 제 2 스위치에 있어서의 개폐를 제어하고, 상기 파워 컨디셔너에 대한 지령을 발생시키는 제어 회로를 추가로 구비하는, 비상 전원 시스템.
- 제 2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상기 연료 전지 시스템은, 탄화수소를 연료로 하는 연료 전지를 갖는, 비상 전원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2006047005A JP4868884B2 (ja) | 2006-02-23 | 2006-02-23 | 燃料電池を用いた非常電源システム |
JPJP-P-2006-00047005 | 2006-02-23 | ||
PCT/JP2007/053063 WO2007097314A1 (ja) | 2006-02-23 | 2007-02-20 | 燃料電池を用いた非常電源システム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80104018A KR20080104018A (ko) | 2008-11-28 |
KR101367490B1 true KR101367490B1 (ko) | 2014-02-25 |
Family
ID=384373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87023074A KR101367490B1 (ko) | 2006-02-23 | 2007-02-20 | 연료 전지를 사용한 비상 전원 시스템 |
Country Status (5)
Country | Link |
---|---|
JP (1) | JP4868884B2 (ko) |
KR (1) | KR101367490B1 (ko) |
CN (1) | CN101390268A (ko) |
TW (1) | TWI399011B (ko) |
WO (1) | WO2007097314A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9)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DE102008020356A1 (de) * | 2008-04-23 | 2009-10-29 | Fraport Ag Frankfurt Airport Services Worldwide | Notstromversorgungsanlage mit Brennstoffzelle |
KR101047022B1 (ko) * | 2008-12-24 | 2011-07-06 | 주식회사 효성 | 계통연계형 연료전지시스템의 전원제어방법 및 장치 |
CN102130470A (zh) * | 2010-01-15 | 2011-07-20 | 扬光绿能股份有限公司 | 燃料电池的供电方法与供电装置 |
CN101814768A (zh) * | 2010-03-11 | 2010-08-25 | 昆山弗尔赛能源有限公司 | 一种基于燃料电池的备用电源系统 |
CN101860074B (zh) * | 2010-04-12 | 2012-05-09 | 昆山弗尔赛能源有限公司 | 一种基于燃料电池备用电源系统的控制方法 |
JP5730990B2 (ja) | 2011-04-18 | 2015-06-10 | 京セラ株式会社 | 制御装置、電力制御システム、及び電力制御方法 |
EP2717370B1 (en) * | 2011-05-30 | 2020-04-22 | Kyocera Corporation | Fuel cell device |
JP2014239558A (ja) * | 2011-09-28 | 2014-12-18 |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 電力供給システム |
JP5983997B2 (ja) * | 2012-06-11 | 2016-09-06 | 京セラ株式会社 | 電源システムおよび電源システムの運転方法 |
KR101448757B1 (ko) | 2012-12-31 | 2014-10-08 |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 연료전지자동차의 비상시동장치 |
JP6209337B2 (ja) * | 2013-02-21 | 2017-10-04 | 東京瓦斯株式会社 | 給電システム、給電プログラムおよび給電方法 |
KR101855268B1 (ko) * | 2016-03-24 | 2018-06-26 | 에스퓨얼셀(주) | 연료 전지 시스템 및 그 운전 방법 |
TWI609553B (zh) * | 2016-08-08 | 2017-12-21 | 中國鋼鐵股份有限公司 | 自動化緊急供電系統 |
CN107086658B (zh) * | 2016-09-06 | 2020-07-10 | 东深金属燃料动力实验室有限责任公司 | 基于金属-空气电池组成的在线ups后备电源系统 |
JP7113693B2 (ja) * | 2018-07-31 | 2022-08-05 | 大阪瓦斯株式会社 | 電力供給システム |
CN111130153A (zh) * | 2018-10-30 | 2020-05-08 | 中国科学院大连化学物理研究所 | 一种铝空气燃料电池在通信基站使用过程的监控系统 |
KR102308046B1 (ko) * | 2019-11-27 | 2021-10-01 | 에이치앤파워(주) | 계통 비정상 상황에서 독립부하운전이 가능한 연료전지 시스템 |
JP7472479B2 (ja) * | 2019-12-09 | 2024-04-23 | 富士電機株式会社 | 発電システムおよび電力変換装置 |
CN114285145A (zh) * | 2021-11-19 | 2022-04-05 | 国网浙江省电力有限公司江山市供电公司 | 一种特殊设备的备用电源系统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0184601A (ja) | 1998-12-16 | 2000-06-30 | Kansai Electric Power Co Inc:The | 系統連系電源装置 |
JP2003017096A (ja) | 2001-06-29 | 2003-01-17 | Fuji Electric Co Ltd | 原燃料切替設備を有する燃料電池発電装置とその運転方法 |
JP2006042548A (ja) | 2004-07-29 | 2006-02-09 | Hitachi Ltd | 系統連系装置 |
Family Cites Familie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S6217958A (ja) * | 1985-07-16 | 1987-01-26 | Sanyo Electric Co Ltd | 燃料電池発電システムの制御装置 |
JP3358903B2 (ja) * | 1995-02-02 | 2002-12-24 | 三菱重工業株式会社 | 燃料電池の電力供給装置 |
US7250231B2 (en) * | 2003-06-09 | 2007-07-31 | Idatech, Llc | Auxiliary fuel cell system |
-
2006
- 2006-02-23 JP JP2006047005A patent/JP4868884B2/ja active Active
-
2007
- 2007-02-20 KR KR1020087023074A patent/KR101367490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 2007-02-20 WO PCT/JP2007/053063 patent/WO2007097314A1/ja active Application Filing
- 2007-02-20 CN CNA2007800065042A patent/CN101390268A/zh active Pending
- 2007-02-26 TW TW096106435A patent/TWI399011B/zh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0184601A (ja) | 1998-12-16 | 2000-06-30 | Kansai Electric Power Co Inc:The | 系統連系電源装置 |
JP2003017096A (ja) | 2001-06-29 | 2003-01-17 | Fuji Electric Co Ltd | 原燃料切替設備を有する燃料電池発電装置とその運転方法 |
JP2006042548A (ja) | 2004-07-29 | 2006-02-09 | Hitachi Ltd | 系統連系装置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WO2007097314A1 (ja) | 2007-08-30 |
CN101390268A (zh) | 2009-03-18 |
JP4868884B2 (ja) | 2012-02-01 |
KR20080104018A (ko) | 2008-11-28 |
TW200805856A (en) | 2008-01-16 |
TWI399011B (zh) | 2013-06-11 |
JP2007228728A (ja) | 2007-09-06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367490B1 (ko) | 연료 전지를 사용한 비상 전원 시스템 | |
KR101294522B1 (ko) | 연료 전지를 사용한 비상 전원 시스템, 및 분전반 | |
JP6013565B2 (ja) | 電源切替装置及び電源切替システム | |
JP5372313B2 (ja) | 燃料電池装置を有する電源システム | |
US20110187194A1 (en) | Emergency power supply system comprising a fuel cell | |
JP2014212659A (ja) | 電力供給システム及びその方法 | |
JP6503095B2 (ja) | 充放電装置 | |
EP1561270A2 (en) | Proton exchange membrane based power system for a telecommunication facility | |
JP2013168224A (ja) | 燃料電池システム | |
JP2020127357A (ja) | 充放電装置及び電源切替システム | |
JP4251287B2 (ja) | 燃料電池発電装置における自立負荷への給電方法 | |
RU2410816C2 (ru) | Устройство гарантированного электроснабжения ответственных потребителей | |
US20090029194A1 (en) | Uninterrupted power supply circuit | |
JP2019129650A (ja) | 電力供給回路および燃料電池発電システム | |
JP2019145374A (ja) | 燃料電池発電システム | |
JP4442228B2 (ja) | 燃料電池発電装置の運転方法 | |
JP2015053842A (ja) | 分散電源の接続装置 | |
JP6272971B2 (ja) | 電源切替装置及び住宅 | |
JP6452022B2 (ja) | 制御装置および燃料電池システム | |
JP6440056B2 (ja) | 制御装置および燃料電池システム | |
KR20140049160A (ko) | 해양 구조물용 연료전지 공급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연료전지 공급 방법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90F |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