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66306B1 - 레이저빔을 이용한 도로 경계대 설치형 안전유도 조명장치 - Google Patents

레이저빔을 이용한 도로 경계대 설치형 안전유도 조명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66306B1
KR101366306B1 KR1020110106851A KR20110106851A KR101366306B1 KR 101366306 B1 KR101366306 B1 KR 101366306B1 KR 1020110106851 A KR1020110106851 A KR 1020110106851A KR 20110106851 A KR20110106851 A KR 20110106851A KR 101366306 B1 KR101366306 B1 KR 10136630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ser beam
bracket
road
mounting portion
light emit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068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42774A (ko
Inventor
박종화
이성종
Original Assignee
이성종
박종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성종, 박종화 filed Critical 이성종
Priority to KR10201101068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66306B1/ko
Publication of KR201300427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4277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663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6630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20/00Energy efficient lighting technologies, e.g. halogen lamps or gas discharge lamps
    • Y02B20/72Energy efficient lighting technologies, e.g. halogen lamps or gas discharge lamps in street ligh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Road Signs Or Road Markings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Non-Portable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도로 경계대 상부에 설치한 후 경계대 측부를 따라 바닥까지 뻗는 형태로 비추게 되고 뛰어난 시인성을 갖는 레이저빔을 방출함으로써, 도로를 주행하는 차량의 운전자, 특히 야간 운전자의 안전 운전을 유도하고,
태양광을 이용하여 생산된 전력 또는 이가 저장된 축전지로부터 전원을 인가받은 레이저발광모듈에서 레이저빔을 방출하도록 한 자체 발전 시스템을 갖춘 안전유도 조명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를 구현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레이저빔을 이용한 도로 경계대 설치형 안전유도 조명장치는, 도로 경계대 상부에 설치되고, 도로 측에 위치한 단부(端部)에서 경계대 측부보다 더 돌출되는 장착부를 갖는 브래킷; 상기 브래킷 상부에 장착되고, 내부 수용부를 갖는 커버; 상기 커버의 수용부에 내장되는 전원공급부; 및 상기 브래킷의 장착부에 설치되고, 상기 전원공급부로부터 전원을 인가받아 레이저빔을 방출하되, 레이저빔이 경계대 측부를 따라 바닥까지 비추게 되는 레이저발광모듈;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도록 구현한다.

Description

레이저빔을 이용한 도로 경계대 설치형 안전유도 조명장치{A LIGHTING APPARATUS FOR SAFETY GUIDE}
본 발명은 도로의 경계대 상부에 설치하고, 자체 발전을 통해 얻은 전력으로 동작하는 레이저발광모듈의 레이저빔을 이용하여 시인성을 높여 줌으로써, 특히 야간 시 도로 주행 운전자의 안전 운전에 기여할 수 있는 조명장치에 관한 기술이다.
도로의 경계대에 설치하여 운전자로 하여금 안전 운전을 유도하기 위한 장치로는,
대한민국특허등록 제10-1024691호(2011.03.17.등록, 이하 '선행기술'이라고 함) 『충격흡수와 발광안내 기능을 갖는 도로의 중앙분리대』가 제시되어 있는바,
상기 선행기술은 도로의 중앙을 따라 연속적으로 구비되는 몸체와, 상기 몸체의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게 상기 몸체의 측면 중 일부가 개방된 수납부와, 상기 수납부의 공간 내에서 직립한 상태로 회전되게 회전축이 설치되고, 상기 회전축을 중심으로 방사상의 형상을 갖으며 완충재질로 이루어진 블레이드가 형성되되 상기 블레이드의 일부가 상기 수납부에서 벗어나 상기 몸체의 측면보다 돌출되게 설치된 풍차와, 상기 풍차의 회전축과 연결된 상태로 상기 몸체의 내부에 매립 설치되며 상기 회전축으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아 발전하는 발전부와, 상기 발전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발전부에서 생산된 전력을 저장하는 축전기 및 상기 축전기로부터 전력을 전달받아 도로를 주행하는 차량의 운전자에게 도로의 상황을 시각적으로 안내하는 상기 몸체에 설치된 전광판을 포함하는 충격흡수와 발광안내 기능을 갖는 도로의 중앙분리대에 관한 기술이다.
그러나 상기 선행기술은 몸체, 즉 중앙분리대 내부에 별도 공간인 수납부를 형성하고, 이 내부에 회전축과 풍차 등을 수납하여야 하기에, 이미 설치되어 있는 중앙분리대에 적용하기 어렵고, 상기 선행기술의 구성들이 구현될 수 있도록 이에 맞게 설계된 중앙분리대를 별도로 제작하여야 하는 문제가 있고,
또 몸체 측부에 노출되어 있는 풍차의 블레이드나 전광판은 차량 충돌 등에 의해서 쉽게 손상되는 문제가 있으며,
또 회전축과 풍차 간의 결합 부위에 각종 이물질이 흡착되어 고형화 되는 경우, 풍차의 회전 동작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못하는 등의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시인성이 뛰어난 레이저빔을 이용하여 도로 주행 운전자의 안전 운전에 기여할 수 있는 조명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나아가 본 발명은 태양광을 이용하여 얻은 전력으로 레이저발광모듈을 동작시키도록 하는 자체 발전 구조의 조명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은 도로나 주변 환경 등을 고려하여 레이저빔에 대한 다양한 색상 발현을 구현한 조명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해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레이저빔을 이용한 도로 경계대 설치형 안전유도 조명장치는,
도로 경계대 상부에 설치되고, 도로 측에 위치한 단부(端部)에서 경계대 측부보다 더 돌출되는 장착부를 갖는 브래킷;
상기 브래킷 상부에 장착되고, 내부 수용부를 갖는 커버;
상기 커버의 수용부에 내장되는 전원공급부; 및
상기 브래킷의 장착부에 설치되고, 상기 전원공급부로부터 전원을 인가받아 레이저빔을 방출하되, 레이저빔이 경계대 측부를 따라 바닥까지 비추게 되는 레이저발광모듈;
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레이저발광모듈의 회전 동작을 가능케 하기 위하여,
상기 브래킷의 장착부는 하부 개구부를 갖는 내부 구형(球形) 결합부가 구비되어 있고,
상기 결합부에 상기 레이저발광모듈이 회전 가능하게 피벗(pivot) 결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레이저발광모듈에서 방출되는 레이저빔에 대한 다양한 색상 발현을 위하여,
상기 레이저발광모듈은 방출되는 레이저빔에 대한 색상발현체가 구비되어 있고,
상기 색상발현체는 저면상에서 바라보았을 때 상기 결합부의 개구부 원주 내에 배열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레이저발광모듈을 외부로부터 보호하고, 측부에서 바라보았을 때 육안으로 확인되지 않도록 하면서 외관상 보기 좋게 하기 위하여,
상기 브래킷의 장착부는 상기 레이저발광모듈을 보호하기 위한 스커트가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태양광을 이용하여 상기 레이저발광모듈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하여,
상기 전원공급부는 태양광 집전모듈 및 이에 의한 전력 저장용 축전지로 이루어지고,
상기 커버는 투광성(透光性) 재질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브래킷의 장착부에 대한 측방 길이 조절을 가능케 하기 위하여,
상기 브래킷의 장착부는 길이조절수단에 의해 상기 브래킷의 단부와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마지막으로, 정상 주행하는 운전자에게 보이는 레이저빔 색상과 역주행하는 운전자에게 보이는 레이저빔 색상을 서로 상이하게 하여 역주행 운전자로 하여금 역주행을 인식시켜 줄 수 있는 안전 유도 기능을 더 부가하기 위하여,
상기 브래킷의 장착부는 상기 브래킷의 단부에 이의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을 두고 한 쌍이 구비되어 있고,
상기 브래킷은 한 쌍의 상기 장착부 사이에서 경계대 측부를 따라 하방 연장되는 가림부재가 구비되어 있으며,
한 쌍의 상기 장착부 각각에 마련된 한 쌍의 상기 색상발현체를 투과한 레이저빔의 색상이 서로 상이(相異)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레이저빔을 이용한 도로 경계대 설치형 안전유도 조명장치는,
태양광 집전모듈이나 이에 의한 전력 저장용 축전지로부터 전원을 인가 받아 동작하게 되는 레이저발광모듈의 레이저빔을 이용함으로써, 시인성이 뛰어나 특히 야간 운전자로 하여금 안전 운전을 유도할 수 있는 가장 큰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도로 경계대 설치형 안전유도 조명장치가 경계대에 설치된 것을 나타낸 정단면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도로 경계대 설치형 안전유도 조명장치를 나타낸 정단면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도로 경계대 설치형 안전유도 조명장치에서 브래킷과 커버를 나타낸 입체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도로 경계대 설치형 안전유도 조명장치에서 길이조절수단을 보여주기 위한 입체 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도로 경계대 설치형 안전유도 조명장치에서 두 장착부와 두 레이저발광모듈 및 가림부재를 구현한 입체 구성도,
도 6은 도 5에 구현한 조명장치가 경계대에 설치된 것을 나타낸 입체 구성도.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 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3을 기준으로 커버 측을 상부 또는 상방, 브래킷 측을 하부 또는 하방, 장착부 측을 측부 또는 측방, 플레이트의 체결공 중 앞쪽에 위치한 체결공 측을 전부(前部) 또는 전방, 뒤쪽에 위치한 체결공 측을 후부(後部) 또는 후방이라 방향을 특정하기로 한다.
이하에서 설명될 '도로 경계대'는 도로의 한쪽 편(예 : 도로의 커브길 등의 바깥 쪽)에만 설치되는 경계대나 도로의 중앙 영역에 설치되는 중앙분리대를 포함하는 의미로 통칭하기로 한다.
도 1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레이저빔을 이용한 도로 경계대 설치형 안전유도 조명장치는,
브래킷(10), 커버(20), 전원공급부(30) 및 레이저발광모듈(40)로 이루어진다.
각 구성에 대해 살펴보면,
브래킷(10)은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단부(前端部)와 후단부(後端部) 각각에 도로 경계대(1) 상부와의 상호 결합을 위한 볼트 체결공(111)을 갖는 플레이트(11), 그리고
상기 플레이트(11)의 일단부(一端部) 또는 타단부(他端部), 또는 이들 모두에서 경계대(1) 측부보다 더 돌출되는 장착부(12)
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장착부(12)는 상기 플레이트(11)의 일단부나 타단부 중 한 단부에 돌출 형성될 수 있는데, 이는 전술한 바와 같이, 도로의 한쪽 편에만 위치한 경계대(1) 상부에 상기 브래킷(10)이 장착될 경우 일방 운전자에게만 안전유도가 필요하므로,
결국 상기 플레이트(11)에서 도로 측에 위치한 한 쪽 단부에 상기 장착부(12)가 마련되는 것이다.
아울러 상기 장착부(12)는 상기 플레이트(11)의 양단부 모두에 돌출 형성될 수 있는데, 이는 전술한 바와 같이, 도로의 중앙 영역에 위치한 중앙분리대인 경계대(1) 상부에 상기 브래킷(10)이 장착될 경우 양방 운전자에게 안전유도가 모두 필요하므로,
결국 상기 플레이트(11)에서 도로 측, 즉 중앙분리대에 의해 나누어진 양쪽 도로 측에 위치한 양쪽 단부에 상기 장착부(12)가 마련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플레이트(11)는 중앙 영역에 배선 등이 지나갈 수 있는 관통부(112)가 형성되고,
또 상기 관통부(112) 양단부에 볼트 체결홀(113)이 형성된다.
그리고 도 2에서와 같이, 상기 브래킷(10)의 장착부(12)는 하부 개구부(121a)를 갖는 내부 구형(球形) 결합부(121)가 구비되고,
상기 결합부(121)에 상기 레이저발광모듈(40)이 회전 가능하게 피벗(pivot) 결합된다.
결국 상기 결합부(121)에 결합된 상기 레이저발광모듈(40)은 상기 결합부(121) 내에서 자유롭게 회전 가능하게 되고,
아울러 상기 레이저발광모듈(40)의 레이저빔은 상기 결합부(121)의 개구부(121a)를 통해 외부로 방출된다.
이때 상기 결합부(121) 내에서 상기 레이저발광모듈(40)의 회전 동작 시 상기 개구부(121a)를 통해 레이저빔이 방출되는 범위 내에서 회전 조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도 2에서와 같이, 상기 브래킷(10)의 장착부(12)는 상기 레이저발광모듈(40)을 보호하기 위한 스커트(122)가 구비되는데,
상기 스커트(122)는 상기 장착부(12) 측방 둘레 일부가 하방 절곡되는 형태로 이루어진다.
결국 상기 스커트(122)는 상기 레이저발광모듈(40)을 외부로부터 보호하고, 외관상 보기 좋게 하며, 빗물이나 이물질 등이 상기 레이저발광모듈(40)로 침입하는 것을 방지하는데 기여한다.
그리고 도 4에서와 같이, 상기 브래킷(10)의 장착부(12)는 길이조절수단(13)에 의해 상기 브래킷(10)의 플레이트(11) 단부와 연결되는데,
상기 길이조절수단(13)은
상기 브래킷(10)의 플레이트(11) 단부에 상하 관통 형성되는 체결부(131),
상기 장착부(12) 단부에 돌출 형성되는 판재(132), 그리고
상기 판재(132)에 측방으로 일정 간격을 두고 상하 관통 형성되는 다수의 대응체결부(132)
로 이루어진다.
결국 상기 체결부(131)에 상기 다수의 대응체결부(132) 중 하나의 대응체결부(132)를 위치시킨 후 볼트를 체결함으로써, 사용자가 원하는 적정 길이에 맞게 상기 플레이트(11)에서 상기 장착부(12)의 측방 길이 조절이 가능하게 된다.
그리고 도 5에서와 같이,
상기 브래킷(10)의 장착부(12)는 상기 브래킷(10)의 플레이트(11) 단부에 이의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을 두고 한 쌍이 구비되고,
이때 상기 브래킷(10)은 한 쌍의 상기 장착부(12) 사이에서 경계대(1) 측부를 따라 하방 연장되는 가림부재(14)가 구비된다.
아울러 한 쌍의 상기 장착부(12) 각각에 마련된 한 쌍의 상기 색상발현체(41)를 투과한 레이저빔의 색상이 서로 상이(相異)하도록 구현한다.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가림부재(14)는 정상 주행 운전자에게 보이는 레이저빔이 역주행 운전자에 노출되지 않도록 하고, 또 역주행 운전자에게 보이는 레이저빔이 정상 주행 운전자에게 보이지 않도록 가리는 역할을 하게 된다.
일 구현예로, 정상 주행 운전자에게 보이는 레이저빔이 상기 색상발현체(41)를 투과한 후 청색이 발현되도록 하고, 역주행 운전자에게 보이는 레이저빔이 상기 색상발현체(41)를 투과한 후 적색이 발현되도록 함으로써, 역주행 운전자로 하여금 역주행을 인식시켜 줄 수 있고, 정상 주행 운전자는 상기 가림부재(14)에 의해서 적색을 볼 수 없고, 역주행 운전자는 상기 가림부재(14)에 의해서 청색을 볼 수 없도록 구현할 수 있을 것이다.
커버(20)는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브래킷(10) 상부에 장착되는 것으로,
내부 수용부(211)를 갖는 커버몸체(21), 그리고
상기 커버몸체(21) 하부 둘레를 따라 형성되는 플랜지(22)
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커버몸체(21)는 투광성(透光性) 재질로 이루어지고,
상기 플랜지(22)에는 상기 플레이트(11) 체결홀(113)과의 대응체결홀(221)이 형성된다.
전원공급부(3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커버(20)의 수용부(211)에 내장되는 것으로,
태양광 집전모듈(31), 그리고
상기 태양광 집전모듈(31)에 의한 전력을 저장하기 위한 축전지(32)
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태양광 집전모듈(31)은 투광성 재질의 상기 커버몸체(21)를 투과한 태양광 에너지를 흡수하고 전기로 바꾸는 장치이다.
이때 상기 커버(20)에서 커버몸체(21)의 수용부(211)에는 컨트롤러(33)가 더 구비될 수 있는데,
상기 컨트롤러(33)는 상기 태양광 집전모듈(31) 및 상기 축전지(32)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이들을 제어하게 된다.
레이저발광모듈(40)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브래킷(10)의 장착부(12)에 설치되고, 상기 전원공급부(30)로부터 전원을 인가받아 레이저빔을 방출하되, 레이저빔이 경계대(1) 측부를 따라 바닥까지 비추게 되는 것으로,
낮은 에너지상태(에너지준위)에 있는 분자(또는 원자ㅇ이온)의 수보다 높은 에너지 상태에 있는 분자의 수가 많은 비열평형분포(非熱平衡分布 ; 반전분포) 상태의 물질계에 공명(共鳴)하는 빛을 작용시켜 유도 방출되는 과정에 의해 빛을 증폭시키는 통상의 레이저(laser : light amplification by stimulated emission of radiation) 장치로 이루어진다.
이때 도 2에서와 같이, 상기 레이저발광모듈(40)은 방출되는 레이저빔에 대한 색상발현체(41)가 구비되는데,
상기 색상발현체(41)는 옵틱(optic) 렌즈로 이루어져, 상기 레이저발광모듈(40)의 레이저빔이 투과된 후 렌즈에 의해 다양한 색상이 발현된다.
아울러 상기 색상발현체(41)는 저면상에서 바라보았을 때 상기 결합부(121)의 개구부(121a) 원주 내에 배열되고, 저면상에서 바라보았을 때 상기 개구부(121a) 보다 상기 색상발현체(41)의 직경이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결국 상기 결합부(121) 내에서 상기 레이저발광모듈(40)의 회전 동작 시 상기 색상발현체(41)와 상기 개구부(121a) 내벽까지의 거리 범위 내에서 상기 레이저발광모듈(40)의 회전 동작이 가능하게 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특정 형상과 구조를 갖는 "레이저빔을 이용한 도로 경계대 설치형 안전유도 조명장치"를 위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고, 이러한 변형 및 변경은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 브래킷
11 : 플레이트 111 : 체결공
112 : 관통부 113 : 체결홀
12 : 장착부 121 : 결합부
121a : 개구부 122 : 스커트
13 : 길이조절수단 131 : 체결부
132 : 판재 133 : 대응체결부
14 : 가림부재
20 : 커버
21 : 커버몸체 211 : 수용부
22 : 플랜지 221 : 대응체결홀
30 : 전원공급부
31 : 태양광 집전모듈 32 : 축전지
33 : 컨트롤러
40 : 레이저발광모듈
41 : 색상발현체

Claims (7)

  1. 도로 경계대(1) 상부에 설치되고, 도로 측에 위치한 단부(端部)에서 경계대(1) 측부보다 더 돌출되는 장착부(12)를 갖는 브래킷(10);
    상기 브래킷(10) 상부에 장착되고, 내부 수용부(211)를 갖는 커버(20);
    상기 커버(20)의 수용부(211)에 내장되는 전원공급부(30); 및
    상기 브래킷(10)의 장착부(12)에 설치되고, 상기 전원공급부(30)로부터 전원을 인가받아 레이저빔을 방출하되, 레이저빔이 경계대(1) 측부를 따라 바닥까지 비추게 되는 레이저발광모듈(40);
    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브래킷(10)의 장착부(12)는 하부 개구부(121a)를 갖는 내부 구형(球形) 결합부(121)가 구비되어 있고,
    상기 결합부(121)에 상기 레이저발광모듈(40)이 회전 가능하게 피벗(pivot) 결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이저빔을 이용한 도로 경계대 설치형 안전유도 조명장치.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레이저발광모듈(40)은 방출되는 레이저빔에 대한 색상발현체(41)가 구비되어 있고,
    상기 색상발현체(41)는 저면상에서 바라보았을 때 상기 결합부(121)의 개구부(121a) 원주 내에 배열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이저빔을 이용한 도로 경계대 설치형 안전유도 조명장치.
  4. 제 1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브래킷(10)의 장착부(12)는 상기 레이저발광모듈(40)을 보호하기 위한 스커트(122)가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이저빔을 이용한 도로 경계대 설치형 안전유도 조명장치.
  5. 제 1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공급부(30)는 태양광 집전모듈(31) 및 이에 의한 전력 저장용 축전지(32)로 이루어지고,
    상기 커버(20)는 투광성(透光性) 재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이저빔을 이용한 도로 경계대 설치형 안전유도 조명장치.
  6. 제 1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브래킷(10)의 장착부(12)는 길이조절수단(13)에 의해 상기 브래킷(10)의 단부와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이저빔을 이용한 도로 경계대 설치형 안전유도 조명장치.
  7. 제 1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브래킷(10)의 장착부(12)는 상기 브래킷(10)의 단부에 이의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을 두고 한 쌍이 구비되어 있고,
    상기 브래킷(10)은 한 쌍의 상기 장착부(12) 사이에서 경계대(1) 측부를 따라 하방 연장되는 가림부재(14)가 구비되어 있으며,
    한 쌍의 상기 장착부(12) 각각에 마련된 한 쌍의 상기 색상발현체(41)를 투과한 레이저빔의 색상이 서로 상이(相異)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이저빔을 이용한 도로 경계대 설치형 안전유도 조명장치.
KR1020110106851A 2011-10-19 2011-10-19 레이저빔을 이용한 도로 경계대 설치형 안전유도 조명장치 KR10136630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06851A KR101366306B1 (ko) 2011-10-19 2011-10-19 레이저빔을 이용한 도로 경계대 설치형 안전유도 조명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06851A KR101366306B1 (ko) 2011-10-19 2011-10-19 레이저빔을 이용한 도로 경계대 설치형 안전유도 조명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42774A KR20130042774A (ko) 2013-04-29
KR101366306B1 true KR101366306B1 (ko) 2014-02-20

Family

ID=484412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06851A KR101366306B1 (ko) 2011-10-19 2011-10-19 레이저빔을 이용한 도로 경계대 설치형 안전유도 조명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66306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336228A (ja) * 2002-05-20 2003-11-28 Hanyo Frame Kk 道路標識装置
KR200387051Y1 (ko) * 2005-03-22 2005-06-20 정성길 레이저 발광 중앙 분리대
KR20100115536A (ko) * 2009-04-20 2010-10-28 엔플랜 주식회사 차량 유도장치를 갖는 중앙분리대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336228A (ja) * 2002-05-20 2003-11-28 Hanyo Frame Kk 道路標識装置
KR200387051Y1 (ko) * 2005-03-22 2005-06-20 정성길 레이저 발광 중앙 분리대
KR20100115536A (ko) * 2009-04-20 2010-10-28 엔플랜 주식회사 차량 유도장치를 갖는 중앙분리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42774A (ko) 2013-04-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66026B1 (ko) 태양열을 이용한 엘이디 교통안전 표지판
KR101251071B1 (ko) 매립형 차선 표시 장치
KR101253972B1 (ko) 도로경계석용 발광 보호커버
KR101366306B1 (ko) 레이저빔을 이용한 도로 경계대 설치형 안전유도 조명장치
KR20190003002U (ko) 교통경고기둥
KR100806209B1 (ko) 발광 과속 방지턱
KR101429083B1 (ko) Abs강화플라스틱틀, 태양전지모듈, led전구 해충퇴치기, led전구 전조등, 모래를 이용한 충돌충격완화 전기생산 해충퇴치 도로 전조등 중앙분리대
KR101145765B1 (ko) 풍력발전기를 구비한 델리네이터
KR200448402Y1 (ko) 쏠라부를 구비한 도로표지병
JP5747347B2 (ja) コーンカバー
KR20140015029A (ko) 차량용 헤드 램프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
KR101156506B1 (ko) 하이브리드형 데리네이터
CN206606291U (zh) 电动车尾灯及电动车
KR200438083Y1 (ko) 자전거의 안전발광장치
KR102297986B1 (ko) Led부가 구비된 차선분리대
JP5220052B2 (ja) 誘導標識
CN203786840U (zh) 电力设备警示器
US20130314909A1 (en) Self-luminous and reflective pavement marker
KR20110116432A (ko) 태양발전식 자전거 도로 매설용 안전유도등
KR20110082817A (ko) 도로의 차선식별장치
KR200453268Y1 (ko) 쏠라 볼라드
KR100512754B1 (ko) 자가발전에 의해 작동되는 안전발광장치가 장착된 자전거
KR101661105B1 (ko) 조도센서를 이용한 발광 헬멧
CN215289810U (zh) 一种发光式路锥
CN213334222U (zh) 一种摩托车前照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1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26

Year of fee payment: 6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