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87051Y1 - 레이저 발광 중앙 분리대 - Google Patents

레이저 발광 중앙 분리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87051Y1
KR200387051Y1 KR20-2005-0007699U KR20050007699U KR200387051Y1 KR 200387051 Y1 KR200387051 Y1 KR 200387051Y1 KR 20050007699 U KR20050007699 U KR 20050007699U KR 200387051 Y1 KR200387051 Y1 KR 20038705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ser
central separator
separator
illuminance
reflec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0769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성길
Original Assignee
정성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성길 filed Critical 정성길
Priority to KR20-2005-000769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8705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8705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87051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15/00Safety arrangements for slowing, redirecting or stopping errant vehicles, e.g. guard posts or bollards; Arrangements for reducing damage to roadside structures due to vehicular impact
    • E01F15/003Individual devices arranged in spaced relationship, e.g. buffer bollar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3/00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 F21V23/04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switches
    • F21V23/0442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switches activated by means of a sensor, e.g. motion or photodetectors
    • F21V23/0464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switches activated by means of a sensor, e.g. motion or photodetectors the sensor sensing the level of ambient illumination, e.g. dawn or dusk sensor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18Status alarm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16Anti-collision systems
    • G08G1/167Driving aids for lane monitoring, lane changing, e.g. blind spot detec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W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USES OR APPLICATION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21W2131/00Use or application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not provided for in codes F21W2102/00-F21W2121/00
    • F21W2131/10Outdoor lighting
    • F21W2131/103Outdoor lighting of streets or road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Non-Portable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레이저 발광 중앙 분리대에 관한 것으로, 야간에도 능동적 조광을 통해 중앙선의 식별을 용이하게 하고 중앙선 침범을 운전자에게 소리로 알려주기 위하여, 차선 중앙에 설치된 봉타입 중앙 분리대에 있어서, 상기 중앙 분리대의 상단에 결합되어 외부의 조도를 측정하여 소정 조도 이하인 경우 저(底)조도 신호를 발생하는 감광부; 상기 감광부의 저조도 신호를 기반으로 레이저 발생부의 동작을 명령하는 처리부 및 상기 처리부의 동작 신호에 따라 동작하는 레이저 발생부를 포함하고, 상기 레이저 발생부는 상기 중앙 분리대에 하나 이상이 설치되되, 이웃한 중앙 분리대를 향하여 레이저를 발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레이저 발광 중앙 분리대{A laser lighting median strip}
본 고안은 레이저 발광 중앙 분리대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야간에도 능동적 조광을 통해 중앙선의 식별을 용이하게 하고 중앙선 침범을 운전자에게 소리로 알려주는 중앙 분리대에 관한 것이다.
중앙선 침범으로 인한 교통 사고는 일반 사고보다 위험이 크기 때문에, 도로의 중앙에는 황색 실선으로 된 중앙선과 함께 중앙 분리대를 설치한다.
도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중앙 분리대의 측면도이다.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중앙 분리대(10)는 봉형으로 형성되되, 몸체(12)에 소정의 간격마다 반사체(14)가 코팅 또는 부착된다. 중앙 분리대(10)의 하부는 고정대(16)가 형성되며, 고정구(20)를 이용하여 고정홀(18)을 관통하여 중앙 분리대(10)를 도로에 고정한다.
운전자는 야간에, 차량의 헤드라이트를 반사한 반사체(14)를 통해 중앙선의 위치를 가늠할 수 있게 된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중앙 분리대(10)는 반사체(14)를 이용한 수동적 발광 방법을 사용하기 때문에, 반사체(14)가 대기의 먼지 또는 매연 등에 의해 더러워지는 경우 반사체(14)의 반사 효율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
또한, 차량이 중앙 분리대(10)를 미처 확인하지 못하여 중앙 분리대(10)와 충돌하는 경우에도, 차량의 중량 및 속도에 대비하여 중앙 분리대(10)의 중량 및 강도가 크지 않기 때문에, 운전자가 중앙선 침범 여부를 인식하지 못하여 중앙선 침범 사고가 발생하는 문제가 있다.
본 고안은 전술된 종래 기술에 따른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도출된 것으로, 중앙 분리대에 레이저 발광부를 사용하여 능동적 경고 표현이 가능한 중앙 분리대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중앙 분리대 사이로 차량이 침범하는 경우에 경고음을 발생하여 운전자가 중앙선 침범 여부를 청각으로도 확인할 수 있는 중앙 분리대를 제공하는 것이다.
전술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 따른 레이저 발광 중앙 분리대는 차선 중앙에 설치된 봉타입 중앙 분리대에 있어서, 상기 중앙 분리대의 상단에 결합되어 외부의 조도를 측정하여 소정 조도 이하인 경우 저(底)조도 신호를 발생하는 감광부; 상기 감광부의 저조도 신호를 기반으로 레이저 발생부의 동작을 명령하는 처리부 및 상기 처리부의 동작 신호에 따라 동작하는 레이저 발생부를 포함하고, 상기 레이저 발생부는 상기 중앙 분리대에 하나 이상이 설치되되, 이웃한 중앙 분리대를 향하여 레이저를 발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레이저 발광 중앙 분리대는 레이저 반사경을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레이저 반사경은 이웃한 중앙 분리대로부터 발생된 레이저를 다시 이웃한 중앙 분리대의 레이저를 발생한 위치가 아닌 소정 위치로 레이저를 반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레이저 발광 중앙 분리대는 레이저 집광부와 신호음 발생부를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레이저 반사경에서 반사된 레이저를 상기 레이저 집광부에서 집광하고, 레이저 집광부로 레이저가 집광되지 않는 경우, 상기 처리부에서 상기 신호음 발생부로 동작 명령을 발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레이저 발광 중앙 분리대의 전술된 레이저 발생부는 일렬로 설치된 중앙 분리대의 첫번째 중앙 분리대에만 설치되고, 나머지 중앙 분리대들을 향해 관통되어 발생되거나, 상기 레이저 발생부는 중앙 분리대의 상부에 설치되어 서로 이웃하는 중앙 분리대의 하부를 향하여 발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실시형태가 기술된다.
하기에서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고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될 것이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고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설정된 용어들로서 이 용어들은 제품을 생산하는 생산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며, 용어들의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먼저 첨부된 도면 도2를 참조로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중앙 분리대의 구성 요소를 설명한다.
도2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중앙 분리대의 블럭도이다.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중앙 분리대(100)는 레이저 발생부(130), 레이저 반사경(140), 레이저 집광부(150), 감광부(160), 처리부(170) 및 신호음 발생부(18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레이저 발생부(130)는 처리부(170)로부터의 동작 신호에 따라 레이저를 발생한다.
레이저 반사경(140)는 레이저 발생부(130)에서 발생된 레이저를 레이저 집광부(150)까지 반사하여 유도한다.
레이저 집광부(150)는 레이저 발생부(130)의 레이저 광선이 레이저 집광부(150)에 도달하지 않을 경우 처리부(170)로 미도착 신호를 발생한다.
감광부(160)는 중앙 분리대(100) 외부의 조도를 측정하여 소정 조도이하인 경우 저(抵)조도 신호를 발생한다.
처리부(170)는 감광부(160)로부터 저조도 신호가 발생하면 레이저 발생부(130)를 동작시키고, 레이저 집광부(150)에서 미도착 신호가 발생하면 신호음 발생부를 동작시킨다.
신호음 발생부(180)는 처리부(170)의 명령에 따라 신호음을 발생한다.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 도3을 참조로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중앙 분리대(100)의 형상을 설명한다.
도3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중앙 분리대의 측면도이다.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중앙 분리대(100)는 상단에 집광부(160)가 설치된다. 집광부(160)가 상부에 설치되는 것에 의해, 야간에 차량의 전조등에 의한 집광부(160)의 오동작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몸체(112)의 측면에는 레이저 발광부(130)가 이웃하는 중앙 분리대를 향하여 설치된다. 또한 몸체(112)의 측면에는 이웃하는 중앙 분리대와의 반사에 따라 레이저 발광부(130)에서 발생된 레이저가 레이저 집광부(150)로 전달될 수 있도록 복수개의 반사경(140,142,144,146)이 설치된다. 이와 같이 복수개의 반사경(140,142, 144,146)이 사용되는 것에 의해 서로 이웃하는 두개의 중앙 분리대 사이에 레이저가 지그재그형상으로 형성되어 식별성이 높아지게 된다.
미설명 부호 116,118,120은 각각 '고정대','고정홀','고정구'로서 종래의 중앙 분리대의 것들과 동일한 구성 및 기능을 담당한다.
또한, 본 고안의 실시예를 구성하는 처리부(170)와 신호음 발생부(180)는 중앙 분리대(100)의 몸체(112)의 소정 공간에 설치되고 필요한 전원은 배터리, 태양열 충전지 및/또는 교류 전원이 사용됨에 유의한다.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 도4를 참조로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중앙 분리대의 사용예를 설명한다.
도4는 본 고안의 사용예를 보인 것이다.
제1단계, 다수개의 중앙 분리대(100)들이 소정의 간격으로 도로의 중앙선을 따라 설치된다.
제2단계, 밤이 되어 어두워지면, 감광부(160)는 저조도 신호를 처리부(170)로 전달한다.
제3단계, 감광부(160)의 저조도 신호에 따라 처리부(170)는 레이저 발생부(130)를 동작시키고, 레이저 발생부(130)에서 발생된 레이저는 이웃하는 제1레이저 반사경(140), 레이저가 최초로 발생된 중앙 분리대의 제2레이저 반사경(142), 이웃하는 제3레이저 반사경(144), 레이저가 최초로 발생된 중앙 분리대의 제4레이저 반사경(146) 및 이웃하는 레이저 집광부(150)의 경로를 따라 레이저 발생부(130)에서 레이저 집광부(150)로 전달된다.
제4단계, 차량이 중앙 분리대(100)를 침범하면, 전술된 레이저 광선의 경로가 차단되어, 레이저 집광부(150)에 레이저가 도달하지 못하게 되며, 레이저 집광부(150)는 이를 처리부(170)로 전달한다.
제5단계, 처리부(170)는 신호음 발생부(180)를 가동시켜 경고음이 발생한다.
다음으로 첨부된 도면 도5를 참조로 본 고안의 다른 사용예를 설명한다.
도5는 본 고안의 다른 사용예를 보인 것이다.
도5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앙 분리대(100)의 레이저는 별도의 반사경 없이 이웃하는 중앙 분리대(100)로 발생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경우, 레이저 발생부에서 발생된 레이저가 반사경을 통한 경로없이 직접 이웃하는 중앙 분리대로 전달되기 때문에 보다 선명하고 밝은 레이저 식별이 가능해 진다.
도5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앙 분리대(100)의 레이저는 일렬로 연결된 중앙 분리대(100) 들을 통과하여 발생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경우, 일렬로 설치된 중앙 분리대(100)의 일단에만 레이저 발생부를 설치하면 되기 때문에 설치 비용이 줄어드는 장점이 있다.
도5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앙 분리대(100)의 레이저는 이웃하는 중앙 분리대의 하부를 향하여 생성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경우, 운전자의 눈을 향해 레이저가 발생되는 위험을 제거할 수 있다.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 도6을 참조로 매립형 중앙 분리대에 적용한 예를 설명한다.
도6은 매립형 중앙 분리대에 대한 사용예를 보인 것이다.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봉형 중앙 분리대 뿐만 아니라 매립형 중앙 분리대(105)에도 적용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운전자는 바닥 근처에서 발생된 레이저를 통해 중앙선을 보다 용이하게 식별할 수 있게 된다.
이상으로 본 고안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기술하였다.
그러나 본 고안은 전술된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필요에 따라, 당업자에 의해 첨부된 청구범위의 정신과 사상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경이 가능함에 유의해야 한다.
예를 들면, 레이저 발생부는 하나 이상이 설치될 수 있고, 레이저 반사경은 생략될 수도 있다.
또한 신호음 발생부 대신 경광등을 동작시켜 운전자의 주의를 환기시킬 수도 있다.
전술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르면, 능동적으로 중앙선을 표시할 수 있는 중앙 분리대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르면, 차량의 중앙선 침범시 경고음을 발생하여 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중앙 분리대를 제공할 수 있다.
도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중앙 분리대의 측면도이다.
도2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중앙 분리대의 블럭도이다.
도3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중앙 분리대의 측면도이다.
도4는 본 고안의 사용예를 보인 것이다.
도5는 본 고안의 다른 사용예를 보인 것이다.
도6은 매립형 중앙 분리대에 대한 사용예를 보인 것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중앙 분리대 12: 몸체
14: 반사체 16: 고정대
18: 고정홀 20: 고정구
100,105: 중앙 분리대 112: 몸체
114: 반사체 116: 고정대
118: 고정홀 120: 고정구
130: 레이저 발광부 140: 제1레이저 반사경
142: 제2레이저 반사경 144: 제3레이저 반사경
146: 제4레이저 반사경 150: 레이저 집광부
160: 감광부 170: 처리부
180: 신호음 발생부

Claims (4)

  1. 차선 중앙에 설치된 봉타입 중앙 분리대에 있어서,
    상기 중앙 분리대의 상단에 결합되어 외부의 조도를 측정하여 소정 조도 이하인 경우 저(底)조도 신호를 발생하는 감광부;
    상기 감광부의 저조도 신호를 기반으로 레이저 발생부의 동작을 명령하는 처리부; 및
    상기 처리부의 동작 신호에 따라 동작하는 레이저 발생부를 포함하고,
    상기 레이저 발생부는 상기 중앙 분리대에 하나 이상이 설치되되, 이웃한 중앙 분리대를 향하여 레이저를 발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이저 발광 중앙 분리대.
  2. 제1항에 있어서, 레이저 반사경을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레이저 반사경은 이웃한 중앙 분리대로부터 발생된 레이저를 다시 이웃한 중앙 분리대의 레이저를 발생한 위치가 아닌 소정 위치로 레이저를 반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이저 발광 중앙 분리대.
  3. 제1항에 있어서, 레이저 집광부와 신호음 발생부를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레이저 반사경에서 반사된 레이저를 상기 레이저 집광부에서 집광하고, 레이저 집광부로 레이저가 집광되지 않는 경우, 상기 처리부에서 상기 신호음 발생부로 동작 명령을 발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이저 발광 중앙 분리대.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레이저 발생부는 일렬로 설치된 중앙 분리대의 첫번째 중앙 분리대에만 설치되고, 나머지 중앙 분리대들을 향해 관통되어 발생되거나,
    상기 레이저 발생부는 중앙 분리대의 상부에 설치되어 서로 이웃하는 중앙 분리대의 하부를 향하여 발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이저 발광 중앙 분리대.
KR20-2005-0007699U 2005-03-22 2005-03-22 레이저 발광 중앙 분리대 KR20038705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07699U KR200387051Y1 (ko) 2005-03-22 2005-03-22 레이저 발광 중앙 분리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07699U KR200387051Y1 (ko) 2005-03-22 2005-03-22 레이저 발광 중앙 분리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87051Y1 true KR200387051Y1 (ko) 2005-06-20

Family

ID=436883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07699U KR200387051Y1 (ko) 2005-03-22 2005-03-22 레이저 발광 중앙 분리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87051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93075B1 (ko) * 2007-06-05 2009-04-14 조용성 레이저를 이용한 도로의 진행방향 표시 시스템
KR101366306B1 (ko) * 2011-10-19 2014-02-20 이성종 레이저빔을 이용한 도로 경계대 설치형 안전유도 조명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93075B1 (ko) * 2007-06-05 2009-04-14 조용성 레이저를 이용한 도로의 진행방향 표시 시스템
KR101366306B1 (ko) * 2011-10-19 2014-02-20 이성종 레이저빔을 이용한 도로 경계대 설치형 안전유도 조명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333743B2 (en) Lamp device, sensor system, and sensor device
US10486584B2 (en) Headlamp device for vehicle
US9784839B2 (en) Automotive lighting device and a vehicle having the same
US7000721B2 (en) Optical object detection apparatus designed to monitor front and lateral zones of vehicle
KR20020067553A (ko) 블라인드 스팟 검출기
KR101897620B1 (ko) 스마트 iot 조명 장치 및 시스템
JPWO2019026437A1 (ja) 車両用照明システム及び車両
KR101428583B1 (ko) 횡단보도 조명등 및 횡단보도 조명장치
JP5584023B2 (ja) 前照灯
KR200387051Y1 (ko) 레이저 발광 중앙 분리대
KR102389134B1 (ko) 차량용 램프 장치
KR102313980B1 (ko) 볼라드형 조명 장치
US11198480B2 (en) Headlamp with sensor
KR20130123199A (ko) 자동차의 조명 장치
CN110848635A (zh) 照明模组
JPH09243729A (ja) 車両搭載用光学的計測装置および光学的計測方法
WO2022024688A1 (ja) 被検知体および周辺監視システム
KR20200033373A (ko) 송광축과 수광축이 일치된 구조를 갖는 라이다
KR101041632B1 (ko) 초음파 센서가 달린 보행자신호등
JPH06294870A (ja) 車両用レーザレーダ装置
US11285863B2 (en) Lighting apparatus of autonomous vehicle having a mounted lamp box with lamp units and sensing units
JP2006510523A (ja) 多機能照明装置
JPH076782U (ja) 距離測定装置
KR20230172714A (ko) 사각지대 경보 시스템
JPH0153752B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21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22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