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38083Y1 - 자전거의 안전발광장치 - Google Patents

자전거의 안전발광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38083Y1
KR200438083Y1 KR2020070015061U KR20070015061U KR200438083Y1 KR 200438083 Y1 KR200438083 Y1 KR 200438083Y1 KR 2020070015061 U KR2020070015061 U KR 2020070015061U KR 20070015061 U KR20070015061 U KR 20070015061U KR 200438083 Y1 KR200438083 Y1 KR 20043808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emitting
light
safety
saddle
emitting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7001506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재용
Original Assignee
이재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재용 filed Critical 이재용
Priority to KR202007001506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3808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3808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38083Y1/ko
Priority to PCT/KR2008/005344 priority patent/WO2009035261A2/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JCYCLE SADDLES OR SEATS; AUXILIARY DEVICE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TO CY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ARTICLE CARRIERS OR CYCLE PROTECTORS
    • B62J6/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on cycles;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Circuits therefor
    • B62J6/22Warning or information ligh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JCYCLE SADDLES OR SEATS; AUXILIARY DEVICE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TO CY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ARTICLE CARRIERS OR CYCLE PROTECTORS
    • B62J1/00Saddles or other seats for cycles; Arrangement thereof; Component parts
    • B62J1/28Other additional equipment, e.g. back-rests for childre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JCYCLE SADDLES OR SEATS; AUXILIARY DEVICE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TO CY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ARTICLE CARRIERS OR CYCLE PROTECTORS
    • B62J6/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on cycles;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Circuits therefor
    • B62J6/04Rear ligh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ghting Device Outwards From Vehicle And Optical Signal (AREA)

Abstract

자전거의 안장봉에 건전지의 전원을 이용한 LED와 같은 다수의 발광체를 설치하여 후방 및 측방에 빛을 조사함으로써, 자전거의 야간 주행시 주변의 차량 탑승자들이 쉽게 인식할 수 있기 때문에 안전을 도모할 수 있으며, 이들 건전지 및 발광체들을 안장봉의 내부에 설치되어 자전거의 외부로 돌출된 부분이 없기 때문에 분실 및 파손의 우려가 적은 개량된 자전거의 안전발광장치가 개시된다. 자전거에 설치되는 안전발광장치는 내부가 빈 중공의 안장봉을 포함한다. 발광부재는 안장봉의 내부에 설치되어 빛을 외부로 조사시킨다. 발광부재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부재는 안장봉의 내부에서 발광부재에 전기적으로 연결 가능하게 설치된다. 측광부재는 발광부재에 근접되도록 안장부재의 외주면 일측에 제공된다.
자전거, 안장봉, 발광체, 안전발광장치 및 전원부재

Description

자전거의 안전발광장치{Safety flashing device for a bicycle}
본 고안은 자전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자전거의 안장봉에 건전지의 전원을 이용한 LED와 같은 다수의 발광체를 설치하여 후방 및 측방에 빛을 조사함으로써, 자전거 야간 주행시 주변의 차량 탑승자들이 쉽게 인식할 수 있기 때문에 안전을 도모할 수 있으며, 이들 건전지 및 발광체들이 안장봉의 내부에 설치되어 있어서 자전거의 외부로 돌출된 부분이 없기 때문에 분실 및 파손의 우려가 적은 개량된 자전거의 안전발광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전거에는 전조등이 구비되어 있어서 야간에 운행하는 경우 전방의 진행상황을 알 수 있으나, 후방의 경우에는 통상적으로 반사경만이 구비되어 있어서 주행하는 자전거 주변의 사람이나 차량 운전자 등에게 자전거의 주행상태를 인식시키는데 있어서 한계가 있었다. 즉, 자전거의 후방에 배치된 반사경은 스스로 불빛을 발하는 것이 아니라 외부에서 불빛이 비추어지는 경우에만 반사되므로 그 밝기에 제한이 있기 때문에 안전성에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야간 주행의 경우 주행 중 주변 차량 운전자의 시야에 잘 나타나지 않아서 교통사고를 유발하는 원인이 되기도 하였다.
이를 해결하기 위한 방편으로, 상기한 반사경 대신에 별개의 조명장치를 사용하는 연구가 다방면으로 진행되고 있다. 이 중 대표적인 종래 기술로는 2005년 8월 30일자로 등록된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 0512754 호(발명의 명칭: 자가발전에 의해 작동되는 안전발광장치가 장착된 자전거)를 들 수 있다. 도 9를 참조하여 개략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 기술에 따른 자가발전에 의해 작동되는 안전발광장치가 장착된 자전거는, 앞바퀴(11)와 뒷바퀴(12)의 양 프레임(14)에 설치된 발전기(21)의 회전축(22)에 접촉캡(24)이 씌워져 각 바퀴(11)(12)의 휠(15)에 닿게 하고, 양 발전기(21)의 측부에 끼움홈(23)이 형성되어 발전기(21)와 휠(15)의 접촉력을 높이기 위해 탄성고리(25)가 장착된 자가발전장치(20); 강탄성의 투명수지를 사용하여 긴 바(bar)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자가발전장치(20)와 전선(40)으로 연결하되, 일측이 개방된 공간부(110)에 다수개의 발광다이오드(122)가 전선(40)으로 연결된 발광체(120)를 삽입하도록 이루어진 지지대(100)가 앞바퀴(11)와 뒷바퀴(12)의 양쪽 축(13)에 각각 설치되고, 모터(214)에 의해 회전하는 회전판(212)을 구비한 전구(210)에 투명캡(220)을 씌워 단파장의 빛을 발하도록 한 경광등(200)이 상기 지지대(100) 외측에 설치되는 안전발광장치(30)를 자전거(10)에 장착하여 자가발전으로 발광할 수 있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었다.
상술된 구성을 갖는 종래 기술의 자전거는, 앞바퀴와 뒷바퀴의 프레임에 각각 장착된 자가발전장치에 의해 안전발광장치가 작동되도록 하여 자가발전장치에서 발생되는 동력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고, 발광물체의 화려한 연출 효과 로 야간 주행 시 먼 거리에서도 눈에 띄어 안전한 운행을 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미적으로 아름다워 보이는 효과가 있었다.
그러나 종래의 안전발광장치를 사용하기 위하여, 발전기를 가동시켜야 하는 데 이 경우 발전기가 뒷바퀴와 접촉되면서 전원을 공급받게 되어 있었다. 이 과정에서 자전거의 뒷바퀴에 발전기가 접촉됨으로 인해 많은 힘이 소모되기 때문에 탑승자의 체력이 쉽게 소진되는 등 어려움이 예상되었다. 게다가, 종래의 기술에서는 발광체가 삽입된 지지체들을 다수개 구입하여 자전거의 앞바퀴 및 뒷바퀴에 돌출된 상태로 설치해야 하기 때문에 자전거의 복잡해지는 문제가 예상되었다. 또한 이와 같이 돌출된 지지체들은 외부의 힘 등에 의해 쉽게 파손되는 등의 문제가 예상되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자전거의 안장봉에 LED와 같은 다수의 발광체를 제공함으로써 후방 및 측방에 빛을 조사하여 야간 주행시 안전을 도모하기 위한 개량된 자전거의 안전발광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건전지 및 발광체들을 안장봉의 내부에 제공하여 분실 및 파손의 위험을 예방할 수 있는 개량된 자전거의 안전발광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은,
자전거에 설치되는 안전발광장치로서,
내부가 빈 중공의 안장봉;
상기 안장봉의 내부에 설치되어 빛을 외부로 조사시키기 위한 발광부재; 및
상기 안장봉의 내부에서 상기 발광부재에 전기적으로 연결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발광부재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전거의 안전발광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안장봉에는 적어도 하나의 외부 광투과공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발광부재는, 양단이 개방되며 일측면이 길이 방향으로 개방되며, 외주면의 길이 방향을 따라 상기 외부 광투과공과 상응한 위치에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 의 내부 광투과공이 형성되는 제1 보관 하우징; 상기 제1 보관 하우징의 내부에 설치되는 발광체 회로기판; 상기 발광체 회로기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설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발광체; 및 상기 발광체 회로기판의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발광체의 빛을 온/오프 제어하는 조작버튼;을 포함하여 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 보관 하우징의 내벽에는 상기 발광체 회로기판의 고정홈이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 보관 하우징에는 상기 발광체들을 외부에서 커버하도록 발광체 보호렌즈가 더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전원부재는, 상기 발광체 회로기판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일단이 개방되는 중공의 제2 보관 하우징; 상기 제2 보관 하우징의 내부에 끼워지는 적어도 하나의 건전지; 및 상기 건전지가 자중(自重)에 의해서 하강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제2 보관 하우징에 결합되는 전극 브라켓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2 보관 하우징의 개방된 단부에는 끼움공이 적어도 두개소에 형성되되, 상기 끼움공에는 상기 전극 브라켓의 양단이 끼움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건전지는 상기 안장봉의 개방된 하측 단부로 끼워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발광체는 LED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발광체는 상기 발광체 회로기판에 제공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발광체는 상기 안장봉의 외주면으로 노출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발광체와 발광체 회로기판은 상기 안장봉의 외주면에 제공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안장봉의 외주면 일측에는 상기 발광부재에 근접되도록 측광부재가 더 제공되며, 상기 측광부재는 상기 발광부재의 빛이 측면으로 조사되도록 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측광부재는, 상기 안장봉의 외주면에 대하여 수직으로 돌출되어 상기 발광체의 빛을 측면으로 향하도록 안내하는 측광체; 및 상기 측광체의 일측에 제공되어 상기 측광체를 안장봉에 고정시키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고정밴드; 를 포함한 것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의 자전거의 안전발광장치는, 자전거의 안장봉에 LED와 같은 다수의 발광체를 제공함으로써, 후방 및 측방에 빛을 조사하여 야간 주행시 후방 및 측방의 사람이나 차량 운전자등이 쉽게 인식할 수 있도록 하여 안전사고의 위험을 예방할 수 있다.
또한, 이들 발광체들 및 건전지 등은 자전거의 외부에 노출되는 대신, 안장봉의 내부에 제공하기 때문에 외부로 돌출된 부분이 없어 분실 및 파손의 위험이 예방된다.
이하에서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통해 본 고안의 내용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술한다. 하기 실시 예는 예시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고안을 제한하지 않는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안전발광장치가 구비된 자전거 안장봉(100)의 전체 사시이다. 도 2는 도 1의 안장봉(100)에 측광부재(140)가 결합된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안장봉(100)으로부터 안전발광장치의 구성품들의 분해한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에서 발광부재(110)의 결합상태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3에서 전원부재(130)의 결합상태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4에서 제1 보관 하우징(112)의 내부를 보여주는 평단면도이다. 도 7은 도 4의 제1 보관 하우징(112)의 내부에 발광부재(110)를 설치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참고로, 상기한 도 9에서의 도면 부호와 도 1 내지 도 8c에 도시된 도면 부호가 동일하다 하더라도, 서로 다른 부품임을 이해해야 할 것이다.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본 고안에 따른 자전거에 설치되는 안전발광장 치는 내부가 빈 중공의 안장봉(100)에 발광부재(110)와 전원부재(130)를 설치하여 구성된다.
발광부재(110)는 안장봉(100)의 내부에 설치되어 빛을 외부로 조사시킨다. 안장봉(100)에는 적어도 하나의 외부 광투과공(102)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발광부재(110)는 제1 보관 하우징(112), 발광체 회로기판(116), 발광체(118) 및 조작버튼(12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제1 보관 하우징(112)은 양단이 종방향으로 개방되며 일측면이 길이 방향으로 개방되며, 외주면의 길이 방향을 따라 외부 광투과공(102)과 상응한 위치에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내부 광투과공(124)이 형성된다. 발광체 회로기판(116)은 제1 보관 하우징(112)의 내부에 설치된다. 적어도 하나의 발광체(118)가 발광체 회로기판(116)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설치된다. 조작버튼(120)은 발광체 회로기판(116)의 일측에 설치되어 발광체(118)의 빛을 온/오프 제어한다. 제1 보관 하우징(112)의 내벽에는 발광체 회로기판(116)의 고정홈(114)이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된다. 제1 보관 하우징(112)에는 발광체(118)들을 외부에서 커버하도록 발광체 보호렌즈(122)가 더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발광체 보호렌즈(122)는 빛을 투과할 수 있는 재질로 형성된다.
도 8은 도 3에서 발광체 회로기판 및 발광체의 설치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으로, 도 8a는 발광체 회로기판 및 발광체가 안장봉의 내부에 설치된 것이며, 도 8b는 발광체가 안장봉의 외부에 설치된 것이며, 도 8c는 발광체 회로기판 및 발광체가 안장봉의 외부에 설치된 것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발광체(118)는 LED인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발광체(118)는 발광체 회로기판(116)에 제공될 수 있다. 발광체(118)는 안장봉(100)의 외주면으로 노출될 수 있다. 발광체(118)와 발광체 회로기판(116)은 안장봉(100)의 외주면에 제공될 수 있다.
전원부재(130)는 안장봉(100)의 내부에서 발광부재(110)에 전기적으로 연결 가능하게 설치되어 발광부재(110)에 전원을 공급한다. 전원부재(130)는 제2 보관 하우징(132)에 건전지(134)와 전극 브라켓(136)을 제공하여 구성된다. 중공의 제2 보관 하우징(132)은 발광체 회로기판(116)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일단이 개방된다. 제2 보관 하우징(132)의 개방된 단부에는 끼움공(138)이 두 개소가 형성된다. 끼움공(138)에는 건전지(134)가 자중(自重)에 의해서 하강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전극 브라켓(136)의 양단이 끼움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적어도 하나의 건전지(134)가 제2 보관 하우징(132)의 내부에 끼워진다. 여기서, 안장봉(100)의 소정 위치에는 제1 보관 하우징(132)이 더 이상 하강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스토퍼가 구비될 수 있다.
측광부재(140)는 발광부재(110)에 근접되도록 안장봉(100)의 외주면 일측에 추가로 제공될 수 있다. 측광부재(140)는 발광부재(110)의 빛이 측면으로 조사되도록 할 수 있다. 측광부재(140)는 측광체(142) 및 고정밴드(14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측광체(142)는 발광체(118)의 빛을 측면으로 향하도록 안내한다. 측광체(142)의 일측에는 적어도 하나의 고정밴드(144)가 제공되어 측광체(142)를 안장봉(100)에 고정시킨다. 특히, 상술한 고정밴드(144) 외에 다른 여러가지 방법에 의해 측광 체(142)를 안장봉(100)에 고정시킬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은 구조를 가지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자전거의 안전발광장치의 작용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다시 도 1 내지 도 8c를 참조하면, 먼저, 자전거의 안장봉(100)의 내부에는 발광부재(110)가 설치된다. 즉, 발광부재(110)의 제1 보관 하우징(112)의 내부에는 발광체 회로기판(116)이 설치된다. 이때, 제1 보관 하우징(112)의 고정홈(114)에는 발광체 회로기판(116)의 양단이 끼워져 고정된다. 여기서, 제1 보관 하우징(112)은 약간 탄성을 갖고 있어서, 발광체 회로기판(116)을 끼울 때 약간 벌어졌다가 자체의 복원력에 의해 원래대로 오므려져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제1 보관 하우징(112)의 전면에는 발광체 보호렌즈(122)가 끼워져 고정되도록 윗부분은 좁고 아랫부분은 넓게 형성된 홈을 형성할 수 있다. 이러한 홈 역시 최초에는 발광체 보호렌즈(122)를 쉽게 끼울 수 있게 하며, 나중에는 억지 끼움되어 쉽게 빠지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
발광체 회로기판(116)의 일측에는 조작버튼(120)이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발광체(118)를 점등 및/또는 소등시키게 된다. 즉, 조작버튼(120)에 의해 발광체(118)들의 점등 및/또는 소등을 제어하게 된다.
여기서, 발광체 회로기판(116)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발광체(118)는 제1 보관 하우징(112)에 형성된 내부 광투과공(124)에 각각 위치된다. 이에 더하여, 발광체(118)는 안장봉(100)의 외부 광투과공(102)에 각각 위치된다.
이러한 발광체(118)들은 발광체 회로기판(116)의 표면에 직접 제공될 수 있 으며, 이들은 안장봉(100)의 내부에 위치될 수 있다. 또, 발광체(118)와 함께 발광체 회로기판(116)은 안장봉(100)의 외부에 위치될 수 있다. 이렇게 함으로써, 발광체(118)와 발광체 회로기판(116)은 안장봉(100)의 내부에 위치되어 있기 때문에 외부의 충격에 의한 파손의 우려를 예방함은 물론, 분실의 우려를 예방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발광체(118) 만이 안장봉(100)의 외부에 위치될 수 있다(도 8a, 도 8b, 도 8c).
한편, 전원부재(130)의 제2 보관 하우징(132)에는 건전지(134)들이 차례로 직렬 연결된다. 이들 건전지(134)의 수량은 필요에 따라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어, 전극 브라켓(136)은 건전지(134)가 제2 보관 하우징(132)으로부터 빠지지 않도록 제2 보관 하우징(132)의 개방된 단부, 즉 각각의 양단이 끼워져 고정되는 것이다. 이때, 제2 보관 하우징(132)의 건전지(134)들의 전원은 발광체 회로기판(116)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앞서 설명된 바를 종합해보면, 전원부재(130)는 건전지(134)를 안장봉(100)의 하부의 개방 단부에 삽입시키기 위해 필요한 것으로서, 건전지(134)의 양극을 회로와 연결할 수 있는 장치와, 삽입된 건전지(134)가 안장봉(100)의 내부에서 고정할 수 있도록 된 장치로 구성된다. 경우에 따라, 제2 보관 하우징(132)이 필요없이 건전지(134)를 안장봉(100) 내에 직접 끼워 보관시킬 수 있다.
다른 한편으로, 안장봉(100)의 외주면 일측에는 측광부재(140)가 제공된다. 즉, 측광부재(140)의 고정밴드(144)들을 안장봉(100)에 끼우게 되면, 측광체(142)는 발광체 보호렌즈(122)의 표면을 커버하도록 위치된다. 다시 말해, 측광체(142) 는 안장봉(100)에 대하여 수직으로 돌출된 상태가 된다. 측광체(142)는 광투과 재질로 형성됨으로써, 발광체(118)들로부터 조사된 빛은 측광체(142)에 부딪혀 난반사를 일으키기 때문에 측면에서도 발광체(118)들의 빛을 인식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여기서, 측광부재(140)의 고정방법은 상술한 방법 이외에 일반적으로 널리 알려진 공지의 방법 등을 적용할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고안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고안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안전발광장치가 구비된 자전거 안장봉의 전체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안장봉에 측광부재가 결합된 상태의 사시도;
도 3은 도 2의 안장봉으로부터 안전발광장치의 구성품들의 분해한 상태의 사시도;
도 4는 도 3에서 발광부재의 결합상태 사시도;
도 5는 도 3에서 전원부재의 결합상태 사시도;
도 6은 도 4에서 제1 보관 하우징의 내부를 보여주는 평단면도;
도 7은 도 4의 제1 보관 하우징의 내부에 발광부재를 설치한 상태의 평단면도;
도 8은 도 3에서 발광체 회로기판 및 발광체의 설치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으로, 도 8a는 발광체 회로기판 및 발광체가 안장봉의 내부에 설치된 것이며, 도 8b는 발광체가 안장봉의 외부에 설치된 것이며, 도 8c는 발광체 회로기판 및 발광체가 안장봉의 외부에 설치된 것이다.
도 9은 종래 기술에 따른 자가발전에 의해 작동되는 안전발광장치가 장착된 자전거의 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안장봉 102: 외부 광투과공
110: 발광부재 112: 제1 보관 하우징
114: 고정홈 116: 발광체 회로기판
118: 발광체 120: 조작버튼
122: 발광체 보호렌즈 124: 내부 광투과공
130: 전원부재 132: 제2 보관 하우징
134: 건전지 136: 전극 브라켓
138: 끼움공 140: 측광부재
142: 측광체 144: 고정밴드

Claims (14)

  1. 자전거에 설치되는 안전발광장치로서,
    내부가 빈 중공의 안장봉;
    상기 안장봉의 내부에 설치되어 빛을 외부로 조사하기 위한 발광부재; 및
    상기 안장봉의 내부에서 상기 발광부재에 전기적으로 연결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발광부재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전거의 안전발광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안장봉에는 적어도 하나의 외부 광투과공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 발광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발광부재는,
    양단이 개방되며 일측면이 길이 방향으로 개방되며, 외주면의 길이 방향을 따라 상기 외부 광투과공과 상응한 위치에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내부 광투과공이 형성되는 제1 보관 하우징;
    상기 제1 보관 하우징의 내부에 설치되는 발광체 회로기판;
    상기 발광체 회로기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설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발광체; 및
    상기 발광체 회로기판의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발광체의 빛을 온/오프 제어 하기 위한 조작버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전거의 안전발광장치.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제1 보관 하우징의 내벽에는 상기 발광체 회로기판의 고정홈이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전거의 안전발광장치.
  5.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제1 보관 하우징에는 상기 발광체들을 외부에서 커버하도록 발광체 보호렌즈가 더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전거의 안전발광장치.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전원부재는,
    상기 발광체 회로기판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일단이 개방되는 중공의 제2 보관 하우징;
    상기 제2 보관 하우징의 내부에 끼워지는 적어도 하나의 건전지; 및
    상기 건전지가 자중(自重)에 의해서 하강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제2 보관 하우징에 결합되는 전극 브라켓;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전거의 안전발광장치.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제2 보관 하우징의 개방된 단부에는 끼움공이 적어도 두 개소에 형성되고, 상기 끼움공에는 상기 전극 브라켓의 양단이 끼움 고정되 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전거의 안전발광장치.
  8.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건전지는 상기 안장봉의 개방된 하측 단부로 끼워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전거의 안전발광장치.
  9.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발광체는 LED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전거의 안전발광장치.
  10.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발광체는 상기 발광체 회로기판에 제공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전거의 안전발광장치.
  11.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발광체는 상기 안장봉의 외주면으로 노출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전거의 안전발광장치.
  12.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발광체와 발광체 회로기판은 상기 안장봉의 외주면에 제공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전거의 안전발광장치.
  13.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12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안장봉의 외주면 일측에는 상기 발광부재에 근접되도록 측광부재가 더 제공되며, 상기 측광부재는 상기 발광부재의 빛이 측면으로 조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전거의 안전발광장 치.
  14.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측광부재는,
    상기 안장봉의 외주면에 대하여 수직으로 돌출되어 상기 발광체의 빛을 측면으로 향하도록 안내하는 측광체; 및
    상기 측광체의 일측에 제공되어 상기 측광체를 안장봉에 고정시키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고정밴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전거의 안전발광장치.
KR2020070015061U 2007-09-10 2007-09-10 자전거의 안전발광장치 KR200438083Y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15061U KR200438083Y1 (ko) 2007-09-10 2007-09-10 자전거의 안전발광장치
PCT/KR2008/005344 WO2009035261A2 (en) 2007-09-10 2008-09-10 Safety flashing device for a bicycl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15061U KR200438083Y1 (ko) 2007-09-10 2007-09-10 자전거의 안전발광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38083Y1 true KR200438083Y1 (ko) 2008-01-21

Family

ID=413444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70015061U KR200438083Y1 (ko) 2007-09-10 2007-09-10 자전거의 안전발광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38083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10402B1 (ko) 2009-04-24 2009-08-04 엄경희 자전거용 방향 지시장치
KR100989957B1 (ko) * 2009-11-04 2010-10-26 이재용 자전거 안전등
CN104192231A (zh) * 2014-08-19 2014-12-10 吴小江 具有夜间警示功能的自行车坐垫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10402B1 (ko) 2009-04-24 2009-08-04 엄경희 자전거용 방향 지시장치
WO2010123194A1 (ko) * 2009-04-24 2010-10-28 Eom Gyeong Hee 자전거용 방향 지시장치
KR100989957B1 (ko) * 2009-11-04 2010-10-26 이재용 자전거 안전등
WO2011055981A2 (ko) * 2009-11-04 2011-05-12 Lee Jae Yong 자전거 안전등
WO2011055981A3 (ko) * 2009-11-04 2011-09-15 Lee Jae Yong 자전거 안전등
CN104192231A (zh) * 2014-08-19 2014-12-10 吴小江 具有夜间警示功能的自行车坐垫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192061B2 (en) Annular lighting fixture and method for illumination
CN111332191B (zh) 带顺序闪光信号灯的车辆小翼
KR200438083Y1 (ko) 자전거의 안전발광장치
KR101712734B1 (ko) 엘이디를 이용한 헬멧용 안전표시장치
US6923561B2 (en) Vehicle wheel illumination device
TW201100694A (en) Light device for a motor vehicle
KR20080000890U (ko) 자가발전기 및 방향표시등이 부착된 자전거
KR200448490Y1 (ko) 자전거의 안전발광장치
JP3146255U (ja) 発光グリップ
JP2009508762A (ja) 燐光を発する車輪を有する車輪付き乗り物の燐光荷電システム
KR200427663Y1 (ko) 자동차용 발광표시장치
KR100512754B1 (ko) 자가발전에 의해 작동되는 안전발광장치가 장착된 자전거
KR20100063350A (ko) 발광 자동차휠
CN109340692A (zh) 一种摩托车大灯及其导光条
JP3113630U (ja) 補助照明装置付き乗り物
KR101447175B1 (ko) 엘이디 델리니에이터
KR20110008111U (ko) 자전거 휠 라이트
US20170291656A1 (en) Bicycle trailer with integrated lighting
KR100564384B1 (ko) 신호봉
KR20100010639U (ko) 반사경 타입의 자전거용 안전발광장치
KR200298599Y1 (ko) 어린이용 세발자전거
JP3096983U (ja) 誘導灯
KR101159295B1 (ko) 휴대용 조명기구 및 이를 이용한 차량용 안전 유닛
JPH1178674A (ja) 自転車用ランプ
KR200298860Y1 (ko) 차량의 안전주차를 유도하기 위한 주차확인용 발광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1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1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1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11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