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66259B1 - 전기기기용 광변류기 - Google Patents

전기기기용 광변류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66259B1
KR101366259B1 KR1020137003308A KR20137003308A KR101366259B1 KR 101366259 B1 KR101366259 B1 KR 101366259B1 KR 1020137003308 A KR1020137003308 A KR 1020137003308A KR 20137003308 A KR20137003308 A KR 20137003308A KR 101366259 B1 KR101366259 B1 KR 10136625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tical
optical fiber
current transformer
conducting conductor
magnetic fiel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70033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29812A (ko
Inventor
히데아키 우치야마
웨이 장
다츠시 야마구치
다이고로 시오자와
Original Assignee
도꼬 덴끼 가부시끼가이샤
가부시키가이샤 히타치세이사쿠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도꼬 덴끼 가부시끼가이샤, 가부시키가이샤 히타치세이사쿠쇼 filed Critical 도꼬 덴끼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300298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2981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662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6625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5/00Details of measuring arrangements of the types provided for in groups G01R17/00 - G01R29/00, G01R33/00 - G01R33/26 or G01R35/00
    • G01R15/14Adaptations providing voltage or current isolation, e.g. for high-voltage or high-current networks
    • G01R15/22Adaptations providing voltage or current isolation, e.g. for high-voltage or high-current networks using light-emitting devices, e.g. LED, optocoupler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5/00Details of measuring arrangements of the types provided for in groups G01R17/00 - G01R29/00, G01R33/00 - G01R33/26 or G01R35/00
    • G01R15/14Adaptations providing voltage or current isolation, e.g. for high-voltage or high-current networks
    • G01R15/24Adaptations providing voltage or current isolation, e.g. for high-voltage or high-current networks using light-modulating devices
    • G01R15/245Adaptations providing voltage or current isolation, e.g. for high-voltage or high-current networks using light-modulating devices using magneto-optical modulators, e.g. based on the Faraday or Cotton-Mouton effect
    • G01R15/246Adaptations providing voltage or current isolation, e.g. for high-voltage or high-current networks using light-modulating devices using magneto-optical modulators, e.g. based on the Faraday or Cotton-Mouton effect based on the Faraday, i.e. linear magneto-optic, effect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5/00Details of measuring arrangements of the types provided for in groups G01R17/00 - G01R29/00, G01R33/00 - G01R33/26 or G01R35/00
    • G01R15/14Adaptations providing voltage or current isolation, e.g. for high-voltage or high-current networks
    • G01R15/24Adaptations providing voltage or current isolation, e.g. for high-voltage or high-current networks using light-modulating devic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easuring Instrument Details And Bridges, And Automatic Balancing Devices (AREA)
  • Gas-Insulated Switchgears (AREA)

Abstract

간단한 구조로 자계의 영향을 적게 하고, 통전 도체에 흐르는 전류의 측정 정밀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전기기기용 광변류기를 제공한다. 전기기기의 용기 내에 통전 도체(1)를 배치하고, 이 통전 도체(1)의 축 방향에 대하여 직교하도록 광파이버(2)를 권회 배치하며, 이 광파이버(2)의 일단에 설치하는 광학 부재(3) 및 타단에 설치하는 반사 부재(4)를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적어도 광학 부재(3)는, 이 영구 자석(3A)의 자계 축이 통전 도체(1)의 중심 축을 지나는 임의의 평면 내에 위치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Description

전기기기용 광변류기{OPTICAL CURRENT TRANSFORMER FOR ELECTRICAL EQUIPMENT}
본 발명은 전기기기용 광변류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전류의 측정 정밀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전기기기용 광변류기에 관한 것이다.
통상, 가스 절연 개폐 장치나 가스 차단기나 가스 절연 모선 등의 전기기기는, 송배전 설비로서 사용되고 있다. 이들 전기기기에서는, 밀봉하는 용기 내에 배치된 통전 도체를 흐르는 전류를 계측하기 위하여, 광변류기를 사용하는 것이 제안되어 있다.
일반적으로, 광변류기는, 주지의 납유리제의 광파이버를 전류 센서로서 사용하고 있다. 그리고, 반사형의 광변류기의 경우에는, 도 9(a), 도 9(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원통 형상으로 형성된 전기기기의 용기(도시 생략)의 내부에, 전류가 흐르는 통전 도체(1)를 배치할 때, 통전 도체(1)를 둘러싸도록 광파이버(2)를 권회 배치하여, 통전 도체(1)와 광파이버(2)가 직교(교차)하도록 하고 있다.
이 광파이버(2)의 일방의 단부(端部)에 영구 자석을 가지는 광학 부재(3)를, 또한 타방의 단부에 반사 부재(4)를 배치하고 있으며, 이들 광학 부재(3) 및 반사 부재(4)는, 광파이버(2)의 권회 원 상에 배치, 즉 통전 도체(1)의 축선에 대하여 직교(교차)하도록 권회하는 광파이버(2)의 권회 연장선상에 배치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예를 들면 도 9(a), 도 9(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통전 도체(1)의 하방으로부터 상방을 향하여 전류 I가 흘렀을 때, 전류 I에 의해 직각 방향으로 생기는 자계 H가, 광파이버(2)에 가하여지는 구성으로 하고 있다.
이 반사형의 광변류기에서는, 발광부(도시 생략)로부터 직선 편광을, 광파이버(2)의 일단(一端) 측의 광학 부재(3)를 통하여 내부에 입사시키고, 광파이버(2)의 타단(他端) 측의 반사 부재(4)에서 반사되어 되돌아가, 외부에 설치한 계측부(도시 생략)에 이르도록 하고 있다. 입사된 직선 편광은, 광파이버의 패러데이 효과에 의해 회전한 출사광이 되기 때문에, 이 출사광의 회전각을 계측부에서 검출하여, 통전 전류를 계측하고 있다.
광변류기를 전기기기에 장착하여 사용하는 경우, 통전 도체에 권회하는 광파이버를 배치하기 위하여, 축 방향 단면(端面)에 주회 홈을 가지는 고리 형상 프레임체를 사용하는 것이 일본의 특허공개공보 제2000-314751호(특허문헌 1)에 제안되어 있다.
특허문헌 1에 기재된 광변류기는, 광파이버를 고리 형상 프레임체의 주회 홈 내에 수납 고정하여 통전 도체와 교차시키고 있고, 주회 홈 내의 광파이버의 양단부에, 주회 방향으로 연장되는 편광자부와 검광자를 배치하고 있다. 이 광변류기의 구조로 함으로써, 고리 형상 프레임체의 외주면(外周面)에 광파이버를 권회하는 것과 비교하여, 전체 길이를 짧게 하여 광 전송 손실을 적게 할 수 있다.
또, 통전 도체에 권회하는 광파이버를 정(正)의 정수 턴 주회시켜, 광파이버의 주회 직경이 작아도, 통전 도체에 흐르는 전류에 의한 자계의 영향을 없애, 계측 오차가 생기지 않는 고정밀도의 광변류기가 일본의 특허공개공보 제2000-121676호(특허문헌 2)에 제안되어 있다.
특허문헌 2에 기재된 광변류기에서는, 광파이버의 권회 단부를 바깥 방향으로 구부려, 편광자를 배치하는 입력단 및 검광자를 배치하는 출력단을 인출할 때, 주회시킨 위치로부터 입력단 및 출력단까지 자기 실드로 덮는 것에 의해, 자계의 영향을 방지하여 계측 오차가 없는 고정밀도로 할 수 있다.
상기한 도 9에 나타내는 종래의 광변류기나 특허문헌 1에 기재된 광변류기에서는, 광학 부재 등은 통전 도체(1)의 축 방향에 대하여 직교(교차)시키는 광파이버의 권회 원 상에 배치, 즉 통전 도체(1)의 축 방향과 교차하는 광파이버의 권회 연장선상에 광학 부재(3)나 반사 부재(4)를 배치하고, 전류 I에 의해 생기는 자계 H의 방향과 동일 방향으로 하고 있다.
이러한 광변류기에서는, 통전 도체를 흐르는 전류가 만드는 자계에서, 광학 부재 내의 영구 자석에 주는 영향이 커져, 측정 오차의 원인이 된다. 즉, 이것은 이하와 같은 이유이다. 광학 부재 내의 영구 자석은, 그 자계의 효과로 직선 편파의 각도를 포화시켜, 광신호로서 사용하고 있다. 통전 도체에 전류가 흐르면 자계가 발생하나, 광학 부재 내의 영구 자석의 자계와 통전 도체에 흐르는 전류에 의한 자계 방향이 일치하는 경우에는, 더욱 외부로부터 자계가 가하여져도, 직선 편파광은 이미 포화되어 있기 때문에 영향을 받지 않는다. 그런데, 영구 자석의 자계 방향과 통전 도체(1)를 흐르는 전류 I에 의한 자계 H의 방향이 반대인 경우에는, (영구 자석에 의한 자계)-(통전 도체를 흐르는 전류가 만드는 자계)<(수직 편파광 포화 자계)가 되면, 직선 편파는 포화될 수 없게 되어, 광학 부재(3) 내의 영구 자석의 자계가 포화되어 있는 것을 전제로 전류값을 산출하고 있는 측정기의 오차의 원인이 된다.
또, 특허문헌 2와 같은 광변류기와 같이, 광파이버의 권회 단부의 편광자를 배치하는 입력단 및 검광자를 배치하는 출력단을, 자기 실드로 덮어 자계에 의한 영향을 없애도록 하는 경우에는, 광파이버의 권회 단부의 구조가 복잡해져 제작하기 어려워진다.
본 발명의 목적은, 간단한 구조로 자계의 영향을 적게 하고, 통전 도체에 흐르는 전류의 측정 정밀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전기기기용 광변류기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전기기기용 광변류기는, 전기기기의 용기 내에 배치하는 통전 도체와, 상기 통전 도체의 축 방향에 대하여 직교하도록 권회 배치하는 광파이버와, 상기 광파이버의 일단에 설치하는 광학 부재 및 타단에 설치하는 반사 부재를 적어도 구비하여 구성할 때에, 적어도 상기 광학 부재는, 이 영구 자석의 자계 축이 상기 통전 도체의 중심 축을 지나는 임의의 가상 평면 내에 위치하도록 배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광학 부재와 상기 반사 부재의 쌍방은, 동일 축선 상에 배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또 바람직하게는, 상기 광학 부재와 상기 반사 부재의 쌍방은, 서로 근접시켜 병치(竝置)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또 본 발명의 전기기기용 광변류기는, 전기기기의 용기 내에 배치하는 통전 도체와, 상기 통전 도체의 축 방향에 대하여 직교하도록 권회 배치하는 광파이버와, 상기 광파이버의 일단에 설치하는 영구 자석을 가지는 광학 부재 및 타단에 설치하는 반사 부재를 적어도 구비하여 구성할 때에, 상기 용기의 외면에 형성한 플랜지에 적어도 두 개의 프레임체 단위가 조합되고, 또한 홈과 수납 자리를 가지는 고리 형상 프레임체를 착탈 가능하게 고정하며, 상기 고리 형상 프레임체의 홈 내에 상기 광파이버를 배치함과 함께, 상기 고리 형상 프레임체의 수납 자리에 상기 광학 부재 및 반사 부재를 근접시켜 병치하고, 상기 광학 부재는, 이 영구 자석의 자계 축이 상기 통전 도체의 중심 축을 지나는 임의의 가상 평면 내에 위치하도록 배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고리 형상 프레임체의 수납 자리는, 상기 통전 도체의 축 방향에 대해 경사지게 하여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발명의 효과]
본 발명의 전기기기용 광변류기와 같이 구성하면, 통전 도체의 주위에 광파이버를 권회 배치할 때, 광파이버의 단부에 배치하는 광학 부재 내의 영구 자석에 자계 축은, 통전 도체의 축이 만드는 가상 평면 내에 배치하였기 때문에, 영구 자석의 자계가 통전 도체에 흐르는 전류가 만드는 자계의 영향을 받는 것이 현저히 적어진다. 이 때문에, 본 발명의 전기기기용 광변류기는 간단한 구성으로 전류의 측정 정밀도를 종래의 광변류기에 비해 한층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인 전기기기용 광변류기의 개략 사시도, 도 1(b)는 도 1(a)의 평면도이다.
도 2(a)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인 전기기기용 광변류기의 개략 사시도, 도 2(b)는 도 1(a)의 개략 평면도이다.
도 3(a)는, 도 1 및 도 2의 전기기기용 광변류기에 사용하는 광학 부재의 개략 종단면도, 도 3(b)는 도 1 및 도 2의 전기기기용 광변류기에 사용하는 반사 부재의 개략 종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전기기기용 광변류기를 적용한 가스 차단기의 개략 구성도이다.
도 5(a)는 본 발명을 적용한 전기기기용 광변류기를 일부 단면하여 나타내는 정면도, 도 5(b)는 일부 단면하여 나타내는 도 5(a)의 평면도, 도 5(c)는 일부 단면하여 나타내는 도 5(b)의 우측면도이다.
도 6은, 도 5의 전기기기용 광변류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7(a)는, 본 발명을 적용한 다른 전기기기용 광변류기를 일부 단면하여 나타내는 정면도, 도 7(b)는 일부 단면하여 나타내는 도 7(a)의 평면도, 도 7(c)는 일부 단면하여 나타내는 도 7(b)의 우측면도이다.
도 8은, 도 7의 전기기기용 광변류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9(a)는, 종래의 전기기기용 광변류기를 나타내는 개략 사시도, 도 9(b)는 도 9(a)의 평면도이다.
본 발명의 전기기기용 광변류기는, 전기기기의 용기 내에 통전 도체를 배치하고, 이 통전 도체의 축 방향에 대하여 직교하도록 광파이버를 권회 배치하는 것이며, 광파이버의 일단에는 영구 자석을 가지는 광학 부재를 설치함과 함께 타단에는 반사 부재를 설치하고 있다. 광학 부재는, 이 영구 자석의 자계 축이 상기 통전 도체의 중심 축을 지나는 임의의 가상 평면 내에 위치하도록 배치하고 있다.
[실시예 1]
이하, 본 발명의 전기기기용 광변류기에 대하여, 종래와 동일 부분을 동일한 부호로 나타내는 도 1에서 도 8을 이용하여 순서대로 설명한다. 도 1(a) 및 도 1(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전류가 흐르는 통전 도체(1)는, 원통 형상으로 형성한 전기기기의 용기(도시 생략)의 내부에 배치되고, 절연 가스를 봉입하여 사용된다. 이 통전 도체(1)에는, 이것을 둘러싸도록 광파이버(2)를 적어도 1회 권회하여 배치하고 있다.
권회 배치한 광파이버(2)의 양단은, 통전 도체(1)의 길이 방향(축 방향)과 동일해지는 동일 방향으로 구부러져 있고, 종래와 동일하게 직선 편광이 입사하는 광파이버(2)의 일방의 단부에 광학 부재(3)를 설치하며, 또한 광파이버(2)의 타방의 단부에 반사 부재(4)를 설치하고 있다. 광학 부재(3)에는, 외부에 배치하는 광원이나 전류를 측정하는 계측부가 이어져 있다. 게다가, 이들 광학 부재(3) 및 반사 부재(4)의 쌍방은, 도 1(a)에 일점 쇄선으로 나타내는 동일 축선 상에 배치하여, 통전 도체(1)의 축 방향과 동일한 방향이 되도록 하고 있다.
광파이버(2)의 일단에 설치하는 광학 부재(3)는, 도 3(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자계 H를 발생시켜 포화 상태에서 사용하는 영구 자석(3A)과 복굴절 소자(3B)를 가지고 구성되며, 직선 편광이 입사하는 측의 광파이버(2)의 단면에 배치하여 사용된다. 또, 광파이버(2)의 타단에 설치하는 반사 부재(4)는, 도 3(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경면(鏡面)(4A)을 가지고 구성되며, 직선 편광을 반사시켜 광파이버(2) 안을 되돌리도록 배치하여 사용된다.
그리고, 본 발명에 의해 광학 부재(3) 및 반사 부재(4)는, 통전 도체(1)의 중심 축을 지나는 임의의 가상 평면 내에 배치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광학 부재(3)에 가지는 영구 자석(3A)의 자계 축을, 통전 도체(1)의 중심 축을 지나는 임의의 가상 평면 내에 위치시키고 있다. 바꿔 말하면, 도 1(a)의 전기기기용 광변류기에서는, 전류 I가 흘러 자계 H를 발생시키는 통전 도체(1)의 축 방향과, 광학 부재(3) 및 반사 부재(4)는 평행하게 배치되며, 이것들은 광파이버(2)의 권회 원의 부분과는 교차하는 상태로 되어 있다.
또한, 통전 도체(1)의 중심 축을 지나는 임의의 가상 평면이란, 통전 도체(1)의 중심 축을 지나고, 통전 도체(1)의 전체 외주면의 측방에 평면을 형성했다고 가정하였을 때, 이들 복수의 평면 중의 하나의 평면을 의미하고 있다.
이 결과, 본 발명의 전기기기용 광변류기는, 통전 도체(1)에 흐르는 전류 I에 의해 생기는 자계 H가, 광파이버(2) 안을 지나는 직선 편광에 가하여져, 자계 H의 강도에 따라 패러데이 회전각 크기를 바꿀 수 있다. 그러나, 광파이버(2)의 단부의 광학 부재(3)는, 이 영구 자석(3A)의 자계 축을, 통전 도체(1)의 중심 축을 지나는 임의의 가상 평면 내에 위치시키고 있기 때문에, 간단한 구성으로 광학 부재(3) 및 반사 부재(4)가 통전 도체(1)에 흐르는 전류 I로 생기는 자계 H에 의한 영향을 받기 어려워진다. 이 때문에, 계측부에서 측정하는 전류의 계측 정밀도를 종래의 것과 비교하여, 한층 더 향상시킬 수 있다.
[실시예 2]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인 도 2(a) 및 도 2(b)에 나타내는 전기기기용 광변류기에 있어서도, 광파이버(2)는 상기한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통전 도체(1)를 둘러싸도록 권회 배치되고, 이 양단을 통전 도체(1)의 축 방향과 동일해지는 동일 방향으로 구부리고 있다.
그리고, 광파이버(2)의 일방의 단부에 설치하는 광학 부재(3)와, 타방의 단부에 설치하는 반사 부재(4)의 쌍방은, 근접하여 접촉하도록 배치하고, 게다가 광학 부재(3) 및 반사 부재(4)는, 통전 도체(1)의 중심 축을 지나는 임의의 가상 평면 내에 배치하며, 광학 부재(3)에 가지는 영구 자석(3A)의 자계 축을, 통전 도체(1)의 중심 축을 지나는 임의의 가상 평면 내에 위치시키고 있다. 바꿔 말하면, 통전 도체(1)의 축 방향과 광학 부재(3) 및 반사 부재(4)의 축 방향과는 평행하게 배치되어, 광학 부재(3)와 반사 부재(4)는 광파이버(2)의 권회 원과는 교차하는 상태가 된다.
상기와 같이 광학 부재(3) 및 반사 부재(4)를 배치한 전기기기용 광변류기이어도, 통전 도체(1)에 흐르는 전류 I로 생기는 자계 H에 의한 영향을 받기 어려워지기 때문에, 상기한 예와 동일한 효과를 달성할 수 있다.
도 4에는, 내부의 차단부(도시 생략)를 개폐 조작하는 조작기를 측방에 설치하고 있는 가스 차단기(10)에, 상기한 각 전기기기용 광변류기를 각각 적용한 예를 나타내고 있다. 가스 차단기(10)의 차단부에 이어져 전류 I가 흐르는 통전 도체는, 상방으로 인출되는 원통 형상의 용기(12A, 12B) 내에 배치되어 있다.
이 가스 차단기(10)는, 용기(12A)의 외면 부분에 광파이버(2)를 권회 배치 함으로써, 도 1(a), 도 1(b)에 나타내는 광학 부재(3) 및 반사 부재(4)를 동일 축선 상에 배치한 전기기기용 광변류기를 구성하고, 또한 용기(12A, 12B)의 외면 부분에 광파이버(2)를 권회 배치하며, 도 2(a), 도 2(b)에 나타내는 광학 부재(3) 및 반사 부재(4)를 근접시켜 배치한 전기기기용 광변류기를 구성한 것이다.
상기한 도 2(a) 및 도 2(b)에 나타내는 전기기기용 광변류기를 적용한 구체적인 구조를, 도 5(a), 도 5(b), 도 5(c) 및 도 6에 나타내고 있다. 통전 도체(1)를 내부에 배치하고 있는 전기기기의 용기(20)는, 외면에 플랜지(20A)를 설치하고 있고, 이 플랜지(20A)의 복수 지점에 장착 금구(金具)(24)를 볼트(25) 등의 고정 수단으로, 고리 형상 프레임체(21)를 착탈 가능하게 장착하고 있다.
고리 형상 프레임체(21)는, 이 제작이나 장착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예를 들면 적어도 2분할하여 원호 형상으로 형성한 프레임체 단위(21A, 21B)를 조합시키고, 연결 볼트(21C) 등의 결합 수단에 의해 일체로 한 것이다. 이 고리 형상 프레임체(21)에는, 용기(20)를 일주(一周)하는 홈(22)과, 홈(22) 내의 일부에 통전 도체의 축 방향과 대략 평행하게 되는 평탄한 수납 자리(23)를 형성하고 있다.
고리 형상 프레임체(21)에 구비하는 홈(22) 내에, 통전 도체(1)에 권회하는 광파이버(2)를 배치하여 계측부가 있는 외부로 인출하도록 하고, 또한 수납 자리(23) 내에 광파이버(2)의 각 단(端)에 설치하는 광학 부재(3) 및 반사 부재(4)를 근접시켜 배치하며, 보호 커버(26)를 장착하고 있다. 보호 커버(26)는, 자계 H를 차폐할 수 있는 예를 들면 비자성체의 재료로 제작하여 사용하면, 광학 부재(3) 및 반사 부재(4)는 통전 도체(1)에 흐르는 전류 I로 생기는 자계 H에 의한 영향을 방지하는 데 더욱 효과가 있다. 또한, 고리 형상 프레임체(21)의 홈(22)에는, 폐쇄판을 장착할 수 있고, 폐쇄판으로 광파이버(2)나 광학 부재(3)와 반사 부재(4)를 덮도록 한다.
이와 같이, 고리 형상 프레임체(21)에 구비하는 홈(22)과 수납 자리(23)를 활용하여 광파이버(2)나 광학 부재(3) 및 반사 부재(4)를 배치하면, 간단히 원하는 위치에 용이하게 배치할 수 있고, 광학 부재(3) 내의 영구 자석(3A)의 자계 축을, 통전 도체(1)의 중심 축을 지나는 임의의 가상 평면 내에 위치시키고 있다.
고리 형상 프레임체(21)의 홈(22) 내의 일부에 설치하는 수납 자리(23)는, 도 7(a), 도 7(b), 도 7(c) 및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통전 도체(1)의 축선에 대해 경사지게 하여 설치할 수도 있다. 이 경사진 수납 자리(23) 부분에, 광학 부재(3)와 반사 부재(4)를 근접시켜 병치한 것이며, 다른 부분은 도 5(a), 도 5(b), 도 5(c) 및 도 6의 예와 동일한 구조이다. 이것에 의해, 통전 도체(1)의 축선에 대하여 광학 부재(3)와 반사 부재(4)를 일정한 각도로 경사지게 하여 배치하고, 광학 부재 내의 영구 자석의 자계 축은, 통전 도체(1)의 중심 축을 지나는 임의의 가상 평면 내에 위치시켜 전기기기용 광변류기를 구성하였기 때문에, 동일한 효과를 달성할 수 있다.
고리 형상 프레임체(21)의 수납 자리(23)의 경사 각도는, 적절히 정할 수 있으나, 수납 자리(23)의 경사 각도를 크게 하면, 광학 부재(3)와 반사 부재(4)의 배치를 위해 홈(22)의 직경 방향 치수를 크게 해야 하기 때문에, 고리 형상 프레임체(21)의 전체가 대형이 되는 문제가 있다. 이 때문에, 수납 자리(23)는 통전 도체(1)의 축선에 대하여 예를 들면 ±5도 정도의 경사 각도로 형성되고, 광학 부재(3) 및 반사 부재(4)의 배치도 용이하게 행할 수 있어, 통전 도체(1)의 축 방향과 평행한 성분을 크게 한 배치로 하여 사용한다.
또한, 상기한 각 실시예의 전기기기용 광변류기에서는, 모두 광학 부재(3) 및 반사 부재(4)의 쌍방을, 동일 위치에 배치한 예로 설명하였으나, 광학 부재(3)만을 통전 도체(1)의 중심 축을 지나는 임의의 평면 내에 배치하고, 광학 부재(3) 내에 가지는 영구 자석(3A)의 자계 축을 위치시켜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전기기기용 광변류기는, 가스 차단기나 가스 절연 개폐 장치 등의 가스 절연하는 전기기기에 널리 적용할 수 있기 때문에 적합하다.

Claims (5)

  1. 전기기기의 용기 내에 배치하는 통전 도체와, 상기 통전 도체의 축 방향에 대하여 직교하도록 권회 배치하는 광파이버와, 상기 광파이버의 일단에 설치하는 영구 자석을 가지는 광학 부재 및 타단에 설치하는 반사 부재를 구비하는 전기기기용 광변류기에 있어서,
    적어도 상기 광학 부재는, 이 영구 자석의 자계 축이 상기 통전 도체의 중심 축을 지나는 임의의 가상 평면 내에 위치하도록 배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기기용 광변류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광학 부재와 상기 반사 부재의 쌍방은, 동일 축선 상에 배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기기용 광변류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광학 부재와 상기 반사 부재의 쌍방은, 서로 근접시켜 병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기기용 광변류기.
  4. 전기기기의 용기 내에 배치하는 통전 도체와, 상기 통전 도체의 축 방향에 대하여 직교하도록 권회 배치하는 광파이버와, 상기 광파이버의 일단에 설치하는 영구 자석을 가지는 광학 부재 및 타단에 설치하는 반사 부재를 적어도 구비하는 전기기기용 광변류기에 있어서,
    상기 용기의 외면에 형성한 플랜지에 적어도 두 개의 프레임체 단위가 조합되고, 또한 홈과 수납 자리를 가지는 고리 형상 프레임체를 착탈 가능하게 고정하며, 상기 고리 형상 프레임체의 홈 내에 상기 광파이버를 배치함과 함께, 상기 고리 형상 프레임체의 수납 자리에 상기 광학 부재 및 반사 부재를 근접시켜 병치하고, 상기 광학 부재는, 이 영구 자석의 자계 축이 상기 통전 도체의 중심 축을 지나는 임의의 가상 평면 내에 위치하도록 배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기기용 광변류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고리 형상 프레임체의 수납 자리는, 상기 통전 도체의 축 방향에 대해 경사지게 하여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기기용 광변류기.
KR1020137003308A 2010-08-31 2011-08-04 전기기기용 광변류기 KR10136625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0193653A JP5461347B2 (ja) 2010-08-31 2010-08-31 電気機器用光変流器
JPJP-P-2010-193653 2010-08-31
PCT/JP2011/068337 WO2012029524A1 (ja) 2010-08-31 2011-08-04 電気機器用光変流器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29812A KR20130029812A (ko) 2013-03-25
KR101366259B1 true KR101366259B1 (ko) 2014-02-20

Family

ID=457726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7003308A KR101366259B1 (ko) 2010-08-31 2011-08-04 전기기기용 광변류기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JP (1) JP5461347B2 (ko)
KR (1) KR101366259B1 (ko)
CN (1) CN103109195B (ko)
TW (1) TWI432739B (ko)
WO (1) WO2012029524A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8567A (ja) * 1992-04-07 1994-01-25 Nissin Electric Co Ltd 光ファイバ電流センサ
JPH0634669A (ja) * 1992-07-14 1994-02-10 Mazda Motor Corp 電流センサ
KR970059761A (ko) * 1996-01-22 1997-08-12 니시무로 다이조 광응용 측정장치와 그 제조방법 및 광응용 전류측정장치
JP2000314751A (ja) 1999-03-04 2000-11-14 Mitsubishi Electric Corp 光変成器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219951B2 (ja) * 1994-12-21 2001-10-15 東京電力株式会社 電流測定装置
JPH09215135A (ja) * 1996-02-07 1997-08-15 Hitachi Ltd ガス絶縁機器及び絶縁スペーサ
JPH10142265A (ja) * 1996-11-13 1998-05-29 Mitsubishi Electric Corp 光変流器
JPH1175693A (ja) * 1997-09-04 1999-03-23 Duskin Co Ltd 冷温コーヒー飲料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8567A (ja) * 1992-04-07 1994-01-25 Nissin Electric Co Ltd 光ファイバ電流センサ
JPH0634669A (ja) * 1992-07-14 1994-02-10 Mazda Motor Corp 電流センサ
KR970059761A (ko) * 1996-01-22 1997-08-12 니시무로 다이조 광응용 측정장치와 그 제조방법 및 광응용 전류측정장치
JP2000314751A (ja) 1999-03-04 2000-11-14 Mitsubishi Electric Corp 光変成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2052837A (ja) 2012-03-15
CN103109195B (zh) 2015-06-10
CN103109195A (zh) 2013-05-15
WO2012029524A1 (ja) 2012-03-08
TWI432739B (zh) 2014-04-01
KR20130029812A (ko) 2013-03-25
TW201209421A (en) 2012-03-01
JP5461347B2 (ja) 2014-04-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48128B1 (ko) 광변류기
JPH10185961A (ja) 光変流器
US20120182708A1 (en) enclosure for a conductor of electricity, the enclosure being provided with current sensors
AU766689B2 (en) Pole of a circuit breaker with an integrated optical current sensor
KR101366259B1 (ko) 전기기기용 광변류기
US8847084B2 (en) Insulating spacer with built-in optical fiber
KR100996138B1 (ko) 광파이버 전류센서를 이용하는 3상 일괄형 gis 스페이서
JP3836146B2 (ja) タービン発電機における電流測定方法
JP3270234B2 (ja) 光学式電流計測装置
JPH10142265A (ja) 光変流器
US8933686B2 (en) Single-phase optical current transformer
JP3347449B2 (ja) 光学式電流計測装置
JPH0763790A (ja) 光ファイバ電流測定装置
JPH0650994A (ja) 電気機器の零相電流検出装置
JP2018179570A (ja) 電流センサ
JPH04307370A (ja) 光電流電圧センサ
JPH0546161B2 (ko)
JPS60207071A (ja) ガス絶縁変流器
JPH03225282A (ja) 光電流センサ
JPS61213772A (ja) 電流検出装置
JPS62276468A (ja) ガス絶縁変流器
JPS6396566A (ja) ガス絶縁変流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1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19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