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66148B1 - 농약의 생력적 시용방법 - Google Patents

농약의 생력적 시용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66148B1
KR101366148B1 KR1020137028391A KR20137028391A KR101366148B1 KR 101366148 B1 KR101366148 B1 KR 101366148B1 KR 1020137028391 A KR1020137028391 A KR 1020137028391A KR 20137028391 A KR20137028391 A KR 20137028391A KR 101366148 B1 KR101366148 B1 KR 10136614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queous
active ingredient
pesticide
aqueous solution
solu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70283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125841A (ko
Inventor
히로유키 후루사와
나카코 하수누마
타카시 혼다
Original Assignee
닛산 가가쿠 고교 가부시키 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닛산 가가쿠 고교 가부시키 가이샤 filed Critical 닛산 가가쿠 고교 가부시키 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301258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2584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661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66148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25/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haracterised by their forms, or by their non-active ingredients or by their methods of application, e.g. seed treatment or sequential application; Substances for reducing the noxious effect of the active ingredients to organisms other than pes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25/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haracterised by their forms, or by their non-active ingredients or by their methods of application, e.g. seed treatment or sequential application; Substances for reducing the noxious effect of the active ingredients to organisms other than pests
    • A01N25/02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haracterised by their forms, or by their non-active ingredients or by their methods of application, e.g. seed treatment or sequential application; Substances for reducing the noxious effect of the active ingredients to organisms other than pests containing liquids as carriers, diluents or solven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25/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haracterised by their forms, or by their non-active ingredients or by their methods of application, e.g. seed treatment or sequential application; Substances for reducing the noxious effect of the active ingredients to organisms other than pests
    • A01N25/02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haracterised by their forms, or by their non-active ingredients or by their methods of application, e.g. seed treatment or sequential application; Substances for reducing the noxious effect of the active ingredients to organisms other than pests containing liquids as carriers, diluents or solvents
    • A01N25/04Dispersions, emulsions, suspoemulsions, suspension concentrates or gel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Dentistry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Plant Pathology (AREA)
  • Toxic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Agricultural Chemicals And Associated Chemicals (AREA)
  • Catching Or Destruction (AREA)

Abstract

새로운 농약 시용방법을 제공한다. 농약 유효성분 수용액 또는 수성분산액을 농작물의 묘목 육성 구획에 묘목 정식 전까지 관주 또는 산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약 시용방법. 100그루의 묘목당 20 ml~2100 ml, 특히 20 ml~1600 ml의 용량으로 농약 유효성분 수용액 또는 수성분산액을 관주 또는 산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Description

농약의 생력적 시용방법{LABORSAVING METHOD OF APPLYING PESTICIDE}
본 발명은 농작물의 묘목에 대한 농약의 생력적 시용방법에 관한 것이다.
뿌리혹병, 뿌리썩이병 또는 입고병으로 대표되는 토양병해의 방제방법은 분제를 토양에 혼화처리 하는 방법이 일반적이다. 하지만, 그 투하 제제량은 20~40kg/10아르(1000m2)로 굉장히 많아 시용 작업자에 대한 부담이 크다. 이 때문에 보다 생력적인 방제방법의 개발을 원하고 있다(예를 들면 비특허 문헌1 및 2 참조.).
또한 토양 혼화처리에 사용되는 분제는 300 메시이상(46㎛이하)의 미세한 입경을 가지기 때문에 시용되면 미풍에도 목적 논밭 이외의 근접한 논밭, 가옥 등에 날아가기 쉽다. 이 때문에 방제 대상 이외의 논밭에서 재배되고 있는 유용작물에 약해 피해나 시용 작업자 등의 안전성에 악영향인 날아온 분제에 의한 환경오염이 종종 문제가 되고 있다. 따라서, 분제가 날아오는 것을 저감한 새로운 농약 제제 또는 시용방법의 개발도 원하고 있다.
비특허 문헌1:신판 토양 병해의 지침 편집위원회편, 「신판 토양병해의 지침」, (사)일본 식물 방역 협회, 1984년 10월 1일, p.175-184
비특허 문헌2:농약 산포 기술 편집위원회편, 「농약 분산 기술」, (사)일본 식물 방역 협회, 1998년, p.125-126, 202-207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문제는 분제의 토양 혼화처리 보다도 생력적이고, 환경과 시용 작업자에 대해 안전성이 높은 농약의 시용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자들은 예의연구한 결과 농작물의 묘목에 대해 농약 유효성분의 수용액 또는 수성분산액을 시용함으로써 종래에 행해져 온 토양 혼화처리에 비해 우수한 토양 병해의 방제효과를 발견하였으며 작업능력이나 환경오염을 경감하고 시용 작업자에 대한 안전성을 높일 수 있다는 것을 발견했다.
특히, 본 발명자들은 단위 그루 수 또는 묘목 육성 구획 면적당 농약 유효성분의 시용량이 동일해도 단위 그루 수 또는 묘목 육성 구획 면적당 농약 유효성분의 수용액 또는 수성분산액 시용량이 적어질수록 토양병해의 방제효력이 높아지는 것을 발견하고 본 발명을 완성했다.
즉, 본 발명은 하기〔1〕에서〔17〕에 기재된 농약 시용방법, 하기〔18〕에 기재된 유해생물 방제방법(이하, 하기〔1〕에서〔18〕에 기재된 방법을「본 발명 방법」이라 한다.) 및 〔19〕에 기재된 농약 유효성분 수용액 또는 수성분산액에 관한 것이다.
〔1〕농약 유효성분 수용액 또는 수성분산액을 농작물의 묘목 육성 구획에 묘목 정식 전까지 관주 또는 산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약 시용방법.
〔2〕농약 유효성분 수용액 또는 수성분산액을 농작물의 묘목 육성용 용기에 묘목 정식 전까지 관주 또는 산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약 시용방법.
〔3〕농약 유효성분 수용액 또는 수성분산액을 농작물의 묘목 육성용 용기에 상토충진 후에서 묘목 정식 전까지의 기간에 관주 또는 산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약 시용방법.
〔4〕농약 유효성분 수용액 또는 수성분산액이 농약 제제를 물로 희석해서 조제한 것인 상기〔1〕 내지 〔3〕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시용방법.
〔5〕100그루의 묘목당 20ml~2100ml의 용량으로 농약 유효성분 수용액 또는 수성분산액을 관주 또는 산포하는 상기〔1〕 내지 〔4〕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시용방법.
〔6〕100그루의 묘목당 20ml~1600ml의 용량으로 농약 유효성분 수용액 또는 수성분산액을 관주 또는 산포하는 상기〔1〕 내지 〔4〕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시용방법.
〔7〕100그루의 묘목당 20ml~1100ml의 용량으로 농약 유효성분 수용액 또는 수성분산액을 관주 또는 산포하는 상기〔1〕 내지 〔4〕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시용방법.
〔8〕100그루의 묘목당 20ml~600ml의 용량으로 농약 유효성분 수용액 또는 수성분산액을 관주 또는 산포하는 상기〔1〕 내지 〔4〕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시용방법.
〔9〕묘목 육성 구획 면적 1800㎠당 20ml~2100ml의 용량으로 농약 유효성분 수용액 또는 수성분산액을 관주 또는 산포하는 상기〔1〕 내지 〔4〕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시용방법.
〔10〕묘목 육성 구획 면적 1800㎠당 20ml~1600ml의 용량으로 농약 유효성분 수용액 또는 수성분산액을 관주 또는 산포하는 상기〔1〕 내지 〔4〕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시용방법.
〔11〕묘목 육성 구획 면적 1800㎠당 20ml~1100ml의 용량으로 농약 유효성분 수용액 또는 수성분산액을 관주 또는 산포하는 상기〔1〕 내지 〔4〕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시용방법.
〔12〕묘목 육성 구획 면적 1800㎠당 20ml~600ml의 용량으로 농약 유효성분 수용액 또는 수성분산액을 관주 또는 산포하는 상기〔1〕 내지 〔4〕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시용방법.
〔13〕농약 유효성분이 살충제 또는 살균제인 상기〔1〕 내지 〔12〕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시용방법.
〔14〕농약 유효성분이 살균제인 상기〔1〕 내지 〔12〕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시용방법.
〔15〕농약 유효성분이 토양병해에 대해 방제활성을 갖는 것인 상기〔1〕 내지 〔12〕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시용방법.
〔16〕농약 유효성분이 뿌리혹병균에 대해 방제활성을 갖는 것인 상기〔1〕 내지 〔12〕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시용방법.
〔17〕뿌리혹병균에 대해 방제활성을 갖는 것이 3-(3-브로모-6-플루오로-2-메틸인돌-1-일술포닐)-N,N-디메틸-1H-1,2,4-트리아졸-1-술폰아미드, 시아조파미드, 플루아지남, 플루술파미드 또는 에타복삼인 상기〔16〕에 기재된 시용방법.
〔18〕상기〔1〕 내지 〔17〕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시용방법에 의한 유해생물 방제방법.
〔19〕상기〔1〕 내지 〔17〕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시용방법에서 이용되는 농약 유효성분 수용액 또는 수성분산액.
본 발명 방법에 의하면 종래에 행해졌던 토양 혼화 처리에 비해 우수한 토양병해 방제효과를 발견할 수 있었다. 또한 작업노력이나 환경오염을 경감하고, 시용 작업자에 대한 안전성을 높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농작물 묘목 육성 구획은 농작물의 묘목이 육성되고 있는 장소 또는 농작물의 묘목이 육성되고 있는 용기를 의미한다.
본 발명에서 이용되는 농작물의 묘목육성용 용기는 묘목상자, 플라스틱포트, 셀트레이, 셀묘목트레이, 플러그트레이, 종이 포트(등록상표, 일본첨채제당(주)) 및 체인포트(등록상표, 일본첨채제당(주))로 대표되는 농작물의 묘목을 육성하기 위해 이용되는 용기이다.
본 발명 방법에서 이용되는 농약 유효성분 수용액은 주성분으로 물을 포함하는 용매 중에 농약 유효성분이 용해된 것이며 용매 중에 다른 성분이 용해, 유탁 또는 현탁되어 있어도 된다.
본 발명 방법에서 이용되는 농약 유효성분 수성분산액은 주성분으로 물을 포함하는 분산매 중에 농약 유효성분이 유탁 또는 현탁된 것이며 분산매 중에는 다른 성분이 용해, 유탁 또는 현탁되어 있어도 된다. 농약 유효성분의 마이크로에멀젼도 본 발명의 농약 유효성분 수성분산액에 포함된다.
또한 「농약 유효성분 수용액 또는 수성분산액」을 이하 간단히「약액」이라한다.
본 발명 방법에서 사용할 수 있는 농약 유효성분으로는 제초제, 살충제, 살응애제, 살선충제, 살박테리아제, 항바이러스제, 식물성장조절제, 살균제, 공력제, 유인제, 기피제 및 생물농약 등을 들 수 있다. 바람직한 농약 유효성분으로 구체적으로 그 일반명(또는 화학명)을 예시하면 다음과 같으나 반드시 이들 만으로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살균제:3-(3-브로모-6-플루오로-2一메틸인돌-1-일술포닐)-N,N-디메틸-1H-1,2,4-트리아졸-1-술폰아미드(WO99/21851에 기재된 화합물이고 이하에서는 화합물 A라고 표기함.), 아시벤조랄-S-메틸(acibenzolar-S-methyl), 아실아미노벤자미드(acylaminobenzamide), 아시페탁스(acypetacs), 알디모르프(aldimorph), 아모밤(amobam), 암프로피포스(ampropyfos), 아닐라진(anilazine), 알릴알콜(allyl alcohol), 오레오푼긴(aureofungin), 아자코나졸(azaconazole), 아지티람(azithiram), 아족시스트로빈(azoxystrobin), 바륨폴리술피드(barium polysulfide), 베날락실(benalaxyl), 베노다닐(benodanil), 베노밀(benomyl), 벤퀴녹스(benquinox), 벤탈루론(bentaluron), 벤티아발리카르브(benthiavalicarb), 벤티아졸(benthiazole), 벤잘코늄클로라이드(benzalkonium chloride), 벤자마크릴(benzamacril), 벤자모르프(benzamorf), 벤조히드록사믹산(benzohydroxamic acid), 비나파크릴(binapacryl), 비페닐(biphenyl), 비터타놀(bitertanol), 비티오놀(bithionol), 베톡사진(bethoxazine), 보르드 혼합물(Bordeaux mixture), 보스칼리드(boscalid), 블라스티시딘-S(blasticidin-S), 브로모코나졸(bromoconazole), 부피리메이트(bupirimate), 부티오베이트(buthiobate), 부틸아민(butylamine), 칼슘폴리술피드(calcium polysulfide), 캡타폴(captafol), 캡탄(captan), 쿠퍼옥시클로라이드(copper oxychloride), 카프로파미드(carpropamid), 카바모르프(carbamorph), 카벤다짐(carbendazim), 카르복신(carboxin), 카르본(carvone), 체션트혼합물(Cheshunt mixture), 치노메티오나트(chinomethionat), 클로벤티아존(chlobenthiazone), 클로라니포르메탄(Chloraniformethane), 클로라닐(Chloranil), 클로르페나졸(chlorfenazol), 5-클로르-7-(4-메틸-피페리딘-1-일)-6(2,4,6-트리플루오로-페닐)-[1,2,4]트리아조로[1,5-a]피리미딘(5-Chlor-7-(4-methyl-piperidin-1-yl)-6-(2,4,6-trifluor-phenyl)-[1,2,4]triazolo[1,5-a]pyrimidin), 클로로넵(chloroneb), 클로로피크린(Chloropicrin), 클로로탈로닐(chlorothalonil), 클로르퀴녹스(Chlorquinox), 클로졸리네이트(chlozolinate), 클림바졸(Climbazole), 클로트리마졸(Clotrimazole), 쿠퍼아세테이트(copper acetate), 염기성탄산구리(copper carbonate, basic), 수산화제2구리(copper hydroxide), 쿠퍼나프테네이트(copper naphthenate), 쿠퍼올레이트(copper oleate), 염기성염화구리(copper oxychloride), 황산구리(copper sulfate), 염기성황산구리(copper sulfate, basic), 쿠퍼징크클로메이트(copper zinc chromate), 크레졸(cresol), 쿠프라넵(cufraneb), 쿠프로밤(cuprobam), 시아조파미드(cyazofamid), 사이클라푸라미드(cyclafuramid), 시클로헥사미드(cycloheximide), 사이플루페미나드(cyflufenamid), 사이목사닐(cymoxanil), 사이펜다졸(cypendazole), 사이프로코나졸(cyproconazol), 시프로디닐(cyprodinil), 사이프로푸람(cyprofuram), 다조메트(dazomet), 디비씨피(DBCP), 데바카르브(debacarb), 디카펜틴(Decafentin), 디하이드로아세트산(dehydroaceticacid), 디클론(dichlone)디클로로펜(dichlorophen), 디클로졸린(dichlozoline), 디클로부트라졸(diclobutrazol), 디클로플루아니드(dichlofluanid), 디클로메딘(diclomedine), 디클로란(dicloran), 디에토펜가르브(diethofencarb), 디에틸피로카보네이트(diethyl pyrocarbonate), 디클로시메트(diclocymet), 디페노코나졸(difenoconazole), 디플루메토림(diflumetorim), 디메티리몰(dimethirimol), 디메토모르프(dimethomorph), 디목시스트로빈(dimoxystrobin), 디니코나졸(diniconazole), 디니코나졸-M(diniconazole-M), 디노부톤(dinobuton)디노캅(dinocap), 디노캅-4(dinocap-4), 디노캅-6(dinocap-6), 디녹톤(dinocton), 디노술폰(dinosulfon), 디노테르본(dinoterbon), 디페닐아민(diphenylamine), 디피리티온(dipyrithione), 디술피람(disulfiram), 디탈림포스(ditalimfos), 디티아논(dithianon), 디엔오씨(DNOC), 도데모르프(dodemorph), 도딘(dodine), 드라족솔론(drazoxolon), 에디펜포스(edifenphos), 에폭시코나졸(epoxiconazole), 에타코나졸(etaconazole), 에타복삼(ethaboxam), 에티리몰(ethirimol), 에트리디아졸(etridiazole), 에템(Etem), 에톡시퀸(Ethoxyquin), 에틸머큐리아세테이트(ethylmercury acetate), 에틸머큐리브로미드(ethylmercury bromide), 에틸머큐리클로라이드(ethylmercury chloride), 에틸머큐리포스페이트(ethylmercury phosphate), 파목사돈(famoxadone), 페나리몰(fenarimol), 페부코나졸(febuconazole), 페나미돈(fenamidone), 펜다조술람(fendazosulam), 펜푸람(fenfuram), 펜헥사미드(fenhexamid), 페녹사닐(fenoxanil), 펜피클로닐(fenpiclonil), 펜프로피딘(fenpropidin), 펜프로피모르프(fenpropimorph), 펜틴(fentin), 퍼밤(ferbam), 페림존(ferimzone), 플루아지남(fluazinam), 플루디옥소닐(fludioxonil), 플루오피콜라이드(fluopicolide), 플루오로이미드(fluoroimide), 플루퀸코나졸(fluquinconazole), 플루실라졸(flusilazole), 플루술파미드(flusulfamide), 플루톨라닐(flutolanil), 플루트리아폴(flutriafol), 폴펫(folpet), 포세틸-알루미늄(fosetyl-aluminium), 푸베리다졸(fuberidazole), 푸랄락실(furalaxyl), 푸라메트피르(furametpyr), 페나미노술프(fenaminosulf), 페나파닐(fenapanil), 페니트로판(fenitropan), 페녹사닐(fenoxanil), 플루메토버(flumetover), 플루모르프(flumorph), 플루오트리마졸(fluotrimazole), 플루옥사스트로빈(fluoxastrobin), 푸르카르바닐(furcarbanil), 푸르코나졸(furconazole), 푸르코나졸-시스(furconazole-cis), 푸르메시클록스(furmecyclox), 푸로파네이트(furophanate), 구아자틴(guazatine), 글리오딘(glyodin), 글리세오풀빈(griseofulvin), 헥사클로로벤젠(hexachlorobenzene), 헥사코나졸(hexaconazole), 하이멕사졸(hymexazol), 할라크리네이트(halacrinate), 헥사클로로부타디엔(hexachlorobutadiene), 헥실티오포스(hexylthiofos), 히드록시퀴놀린술페이트(8-hydroxyquinoline sulfate), 이마잘릴(imazalil), 이미벤코나졸(imibenconazole), 이미녹타딘(iminoctadine), 입코나졸(ipconazole), 이프로벤포스(iprobenfos), 이프로디온(iprodione), 이소프로티올란(isoprothiolane), 이프로발리카브(iprovalicarb), 이소발레디온(isovaledione), 카스가마이신(kasugamycin), 크레속심메틸(kresoxim-methyl), 만쿠퍼(mancopper), 만코제브(mancozeb), 만디프로파미드(mandipropamid), 마네브(maneb), 페파니피림(mepanipyrim), 메프로닐(mepronil), 메탈락실(metalaxyl), 메트코나졸(metconazole), 메타술포카르브(methasulfocarb), 메티람(metiram), 메토미노스트로빈(metominostrobin), 마이클로부타닐(myclobutanil), MTF-753(시험명), 메베닐(mebenil), 메카르빈지드(mecarbinzid), 염화제2수은(mercuri chloride), 산화제2수은(mercuric oxide), 염화제1수은(mercurous chloride), 메타락실-M(metalaxyl-M), 메탐(metam), 메타족솔론(metazoxolon), 메트프록삼(methfuroxam), 메틸브로마이드(methyl bromide), 메틸이소티오시아네이트(methyl isothiocyanate), 메틸머큐리벤조에이트(methylmercuu benzoate), 메틸머큐리디시안디아미드(methylmercuy dicyandiamide), 메트라페논(metrafenone), 메트술포박스(metsulfovax), 미클로졸린(myclozolin), 메톡시에틸머큐리클로라이드(2-methoxyethyimercury chloride), 나밤(nabam), 니켈비스(디메틸디티오카바메이트) (nickelbis(dimethyldithiocarbamate)), 니트로탈이소프로필(nitrothal-isopropyl), 누아리몰(nuarimol), 나타마이신(natamycin), 니코비펜(nicobifen), 니트로스틸렌(nitrostyrene), 옥틸리논(octhilinone), 오푸레이스(ofurace), 옥사딕실(oxadixyl), 옥시카르복신(oxycarboxin), 옥스포코나졸푸마레이트(oxpoconazole fumarate), 오씨에이치(OCH), 오리사스트로빈(Orysastrobin), 옥신구리(oxinecopper), 페푸라조에이트(pefurzoate), 펜코나졸(penconazole), 펜시쿠론(pencycuron), 펜티오피라드(penthiopyrad), 프탈리드(phthalide), 피페랄린(piperalin), 폴리옥신(polyoxins), 탄산수소칼륨(potassium hydrogen carbonate), 프로베나졸(probenazole) , 프로클로라즈(prochloraz), 프로시미돈(procymidone), 프로파모카르브염산염(propamocarb hydrochloride), 프로피코나졸(propiconazole), 프로피넵(propineb) , 피라조포스(pyrazophos), 피리페녹스(pyrifenox), 피리메타닐(pyrimethanil), 피로퀼론(pyroquilon), 펜타클로로페놀(pentachlorophenol(PCP)), 요소페닐수은(phenylmercuriurea), 페닐머큐리아세테이트(phenylmercury acetate), 페닐머큐리클로라이드(phenylmercury chloride), 페닐머큐리니트레이트(phenylmercury nitrate), 페닐머큐리살시실레이트(phenyimercury salicyiate), 포스디펜(phosdiphen), 피콕시스트로빈(picoxystrobin), 폴리카바메이트(polycarbamate), 폴리옥소림(polyoxorim), 포타시움아지드(potassiumazide), 포타시움폴리술피드(potassium polysulfide), 프로퀴나지드(proquinazid), 프로티오카르브(prothiocarb), 프로티오코나졸(prothioconazole), 피라카볼리드(pyracarbolid), 피라클로스트로빈(pyraclostrobin), 피리디니트릴(pyridinitril), 피록시클로르(pyroxychlor), 피록시프르(pyroxyfur), 페닐페놀(2-phenylphenol), 퀴노메티오네이트(quinomethionate), 퀴녹시펜(quinoxyfen), 퀸토젠(quintozene)퀴나세톨(quinacetol), 퀴나자미드(quinazamid), 퀸코나졸(quinconazole), 라벤자졸(rabenzazole), 탄산수소나트륨(sodium hydrogen carbcnate), 차아염소산나트륨(sodium hypochlorite), 황(sulfur), 스피록사민(spiroxamine), 살리실아닐리드(salicylanilide), 실티오팜(silthiofam), 시메코나졸(simeconazole), 아지드화나트륨(sodium azide), 소디움오르토페닐페녹시드(sodium orthophenylphenoxide), 소디움펜타클로로페녹시드(sodiu mpentachlorophenoxide), 소디움폴리술피드(sodiumpolysulfide), 스트렙토마이신(streptomycin), 테부코나졸(tebuconazole), 테크나젠(tecnazene), 테트라코나졸(tetraconazole), 티아벤다졸(thiabendazole), 티아디아진(thiadiazin/milneb), 티플루자미드(thifluzamide), 티오파네이트메틸(thiophanate-methyl), 티람(thiram), 톨클로포스메틸(tolclofos-methyl), 톨릴플루아니드(tolylfluanid), 트리아디메폰(triadimefon), 트리아디메놀(toriadimenol), 트리아족시드(triazoxide), 트리사이클라졸(tricyclazole), 트리데모르프(tridemorph), 트리플루미졸(triflumizole), 트리포린(triforine), 트리티코나졸(triticonazole), 티씨엠티비(TCMTB), 테크로프탈람(tecloftalam), 테코람(tecoram), 티아디플루오르(thiadifluor), 티사이오펜(thicyofen), 티오클로르펜핌(thiochlorfenphim), 티오메르살(thiomersal), 티오파네이트(thiophanate), 티오퀴녹스(thioquinox), 티아디닐(tiadinil), 티옥시미드(tioxymid), 톨릴머큐리아세테이트(tolyl mercury acetate), 트리아미포스(triamiphos), 트리아리몰(triarimol), 트리아즈부틸(triazbutil), 트리부틸틴옥시드(tributyltinoxide), 트리클라미드(trichlamide), 트리플록시스트로빈(trifloxystrobin), 발리다마이신(validamycin), 빈클로졸린(vinclozolin), 황산아연(zinc sulfate), 지네브(zineb), 지람(ziram), 족사미드(zoxamide), 자릴아미드(zarilamid), 징크나프테네이트(zinc naphthenate), 에클로메졸 및 표고버섯균사체 추출물.
살박테리아제:스트렙토마이신(streptomycin), 테클로프탈람(tecloftalam), 옥시테트라사이클린(oxyterracycline) 및 옥소리닉에시드(oxolinic acid) 등.
살선충제:알독시카르브(aldoxycarb), 카두사포스(cadusafos), 포스티아제이트(fosthiazate), 포스티에탄(fosthietan), 옥사밀(oxamyl) 및 페나미포스(fenamiphos) 등.
살응애제:아세퀴노실(acequinocyl), 아미트라즈(amitraz), 비페나제이트(bifenazate), 브로모프로필레이트(bromopropylate), 치노메티오네이트(chinomethionat), 클로로벤질레이트(chlorobenzilate), 클로펜테진(clofentezine), 사이헥사틴(cyhexatin), 디코폴(dicofol), 디에노클로르(dienochlor), 에톡사졸(etoxazole), 페나자퀸(fenazaquin), 펜부타틴옥시드(fenbutatin oxide), 펜프로파트린(fenpropathrin), 펜프록시메이트(fenproximate), 할펜프록스(halfenprox), 헥시티아족스(hexythiazox), 밀베멕틴(milbemectin), 프로파지트(propargite), 피리다벤(pyridaben), 피리미디펜(pyrimidifen) 및 테부펜피라드(tebufenpyrad) 등.
살충제:아바멕틴(abamectin), 아세페이트(acephate), 아세타미피리드(acetami pirid), 알디카르브(aldicarb), 알레트린(allethrin), 아진포스-메틸(azinphos-methyl), 벤디오카르브(bendiocarb), 벤푸라카르브(benfuracarb), 벤술탑(bensultap), 비펜트린(bifenthrin), 부프로페진(buprofezin), 부토카르복심(butocarboxim), 카바릴(carbaryl), 카르보푸란(carbofuran), 카보술판(carbosulfan), 카르탑(cartap), 클로르페나피르(chlorfenapyr), 클로르피리포스(chlorpyrifos), 클로르펜빈포스(chlofenvinphos), 클로르플루아주론(chlorfluazuron), 클로티아니딘(clothianidin), 크로마페노자이드(chromafenozide), 클로르피리포스-메틸(chlorpyrifos-methyl), 사이클로프로트린(cycloprothrin), 사이플루트린(cyfluthrin), 베타-사이플루트린(beta-cyfluthrin), 사이퍼메트린(cypermethrin), 사이로마진(cyromazine), 사이할로트린(cyhalothrin), 람다-사이할로트린(lambda -cyhalothrin), 델타메트린(deltamethrin), 다이아펜티유론(diafenthiuron), 다이아지논(diazinon), 다이아클로덴(diacloden), 디플루벤주론(diflubenzuron), 디메틸빈포스(dimethylvinphos), 디오페놀란(diofenolan), 디술포톤(disulf oton), 디메토에이트(dimethoate), 에마멕틴벤조에이트(emamectin-benzoate), EPN, 에스펜발러레이트(esfenvalerate), 에티오펜카르브(ethiofencarb), 에티프롤(ethiprole), 에토펜프록스(etofenprox), 에트림포스(etrimfos), 페니트로티온(fenitrothion), 페노브카르브(fenobucarb), 페녹시카르브(fenoxycarb), 펜프로파트린(fenpropathrin), 펜발러레이트(fenvalerate), 피프로닐(fipronil), 플루아크리피림(fluacrypyrim), 풀루사이트리네이트(flucythrinate), 플루페녹수론(flufenoxuron), 플루펜프록스(flufenprox), 타우-플루발리네이트(tau-fluvalinate), 포노포스(fonophos), 포르메타네이트(formetanate), 포르모티온(formothion), 푸라티오카르브(furathiocarb), 할로페노자이드(halofenozide), 헥사플루무론(hexanumuron), 히드라메틸논(hydramethylnon), 이미다클로프리드(imidacloprid), 이소펜포스(isofenphos), 인독사카르브(indoxacarb), 이소프로카르브(isoprocarb), 이속사티온(isoxathion), 루페누론(lufenuron), 말라티온(malathion), 메트알데히드(metaldehyde), 메타미도포스(methamidophos), 메티다티온(methidathion), 메타크리포스(methacrifos), 메탈카르브(metalcarb), 메토밀(methomyl), 메토프렌(methoprene), 메톡시클로르(methoxychlor), 메톡시페노자이드(methoxyfenozide), 모노크로토포스(monocrotophos), 무스칼루어(muscalure), 니디노테푸란(nidinotefuran), 니텐피람(nitenpyram), 오메토에이트(omethoate), 옥시데메톤-메틸(oxydemeton-methyl), 옥사밀(oxamyl), 파라티온(parathion), 파라티온-메틸(parathion-methyl), 퍼메트린(permethrin), 펜토에이트(phenthoate), 폭심(phoxim), 포레이트(phorate), 포살론(phosalone), 포스메트(phosmet), 포스파미돈(phosphamidon), 피리미카르브(pirimicarb), 피리미포스-메틸(pirimiphos-methyl), 프로페노포스(profenofos), 프로트리펜부트(protrifenbute), 피메트로진(pymetrozine), 피라클로포스(pyraclofos), 피리프로폭시펜(pyriproxfen), 로테논(rotenone), 술프로포스(sulprofos), 실라플루오펜(silafluofen), 스피노사드(spinosad), 술포텝(sulfotep), 테부페노자이드(tebfenozide), 테플루벤주론(teflubenzuron), 테플루토린(tefluthorin),터부포스(terbufos), 테트라클로르빈포스(tetrachlorvinphos), 티아클로프리드(thiacloprid), 티오시클람(thiocyclam), 티오디카르브(thiodicarb), 티아메톡삼(thiamethoxam), 티오파녹스(thiofanox), 티오메톤(thiometon), 톨펜피라드(tolfenpyrad), 트랄로메트린(tralomethrin), 트리클로르폰(trichlorfon), 트리아주론(triazuron), 트리플루무론(triflumuron) 및 바미도티온(vamidothion) 등.
생물농약:아그로박테리움라디오박터(Agrobacterium radiobacter), 슈도모나스플루오르센스(Pseudomonas fluorescens), 슈도모나스족균CAB-02(Pseudomonas spp.), 바실러스서브틸리스(Bacillus subtilis), 비병원성 어위니아카로토보라(Erwinia carotovora subsp. carotovora), 트리코더마(Trichoderma atroviride), 탈라로마이세스플라부스(Talaromyces flavus), 산토모나스캄페스트리스(Xanthomonas campestris pv. poae), 슈타이너네마카르포갑사에(Steinernema carpocapsae), 슈타이너네마글라세리(Steinernema glaseri), 버티실리움레카니(Verticillium lecanii), 패실로마이세스푸모소로세우스(Paecilomyces fumosoroseus), 보베리아브롱니아르티(Beauveria brongniartii), 파스테우리아페네트란스(Pasteuria penetrans), 모나크로스포리움파이마토파굼(Monacrosporiumphyma tophagum) 등.
이들 농약 유효성분은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을 혼합해서 사용할 수 있다.
이들 농약 유효성분 중에서 본 발명 방법에 가장 적합한 것은 토양병해에 대해 방제활성을 갖는 것이고, 보다 적합한 것은 뿌리혹병균에 대해 방제활성을 갖는 것이고, 구체적으로 예시하면 3-(3-브로모-6-플루오로-2-메틸인돌-1-일술포닐)-N, N-디메틸-1H-1,2,4-트리아졸-1-술폰아미드, 시아조파미드, 플루아지남, 플루술파미드 및 에타복삼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 방법은 바람직하게는 이하 4기간을 대상으로 하고 각 기간에서의 약액 시용방법은 다음과 같다.
*·제1기간:파종 전
농작물의 묘목 육성 구획의 토양 또는 농작물의 묘목 육성용 용기에 충전시킨 토양에 약액을 관주 또는 산포한다.
·제2기간:파종 후 단, 복토 전
토양에 파종한 씨 위에 약액을 관주 또는 산포한 후 복토한다.
·제3기간:파종 후이며 복토 직후
복토한 토양 표면에 약액을 관주 또는 산포한다.
·제4기간:묘목 육모중
농작물의 묘목 육성 구획의 토양 표면 또는 농작물의 묘목 육성용 용기 중의 토양 표면에 약액을 관주 또는 산포한다.
약액의 관주 또는 산포는 물뿌리개나 분무기 등의 적당한 용구를 사용해서 행할 수 있다.
단위 그루 수의 묘목당 약액 시용량은 특히 제한하지 않으나 통상적으로 100그루의 묘목당 20~2100ml이다. 단위 그루 수의 묘목당 농약 유효성분 시용량이 동일해도, 단위 그루 수의 묘목당 약액시용량이 적어질수록 토양병해의 방제효력이 높아지기 때문에, 100그루의 묘목당 약액 시용량은 바람직하게는 20~1600ml, 보다 바람직하게는 20~1100ml, 더욱 바람직하게는 20~600ml이다.
농작물의 묘목 육성 구획 또는 농작물의 묘목 육성용 용기의 단위면적당 약액 시용량은 특히 제한하지 않으나 통상적으로 1800㎠당 20~2100ml이다. 단위면적당 농약 유효성분 시용량이 동일해도, 단위면적당 약액시용량이 적어질수록 토양병해의 방제효력이 높아지기 때문에, 1800㎠당 약액시용량은 바람직하게는 20~1600ml, 보다 바람직하게는 20~1100ml, 더욱 바람직하게는 20~600ml이다. 그 외의 약액시용량의 예로는 20~2000ml, 20~1500ml, 20~1000ml 및 20~500ml를 들 수 있다.
상기 농약 유효성분 시용량은 한정되는 것이 아니나, 100그루의 묘목당 통상적으로 0.05~20g, 바람직하게는 0.1~10g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0.1~5g이다. 또한 1800㎠당에서는 통상적으로 0.05~20g, 바람직하게는 0.1~10g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0.1~5g이다.
본 발명 방법에서 이용하는 약액(농약 유효성분의 수용액 또는 수성분산액)은 농약 제제를 물로 희석해서 제조한 것이어도 된다. 약액을 조제하기 위해 사용되는 농약 제제로는 예를 들면 액제(soluble concentrate), 유제(emulsifiable concentrate), 수화제(wattable powder), 수용제(water soluble powder), 입상수화제(water dispersible granule), 입상수용제(water soluble granule), 현탁제(suspension concentrate), 유탁제(concentrated emulsion), 유현탁제(suspoemulsion), 마이크로에멀젼(microemulsion) 및 겔제(gel)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농약 제제는 통상적으로 적당한 고체담체 또는 액체담체와 혼합하고 또한 희망에 따라 계면활성제 및 농약 제제 조제시에 이용되는 관용의 침투제, 전착제, 증점제, 동결방지제, 결합제, 고결방지제, 붕괴제, 소포제, 방부제 및 분해방지제 등을 첨가해 얻을 수 있다.
고체담체로는 예를 들면 석영, 카올리나이트, 파이로필라이트, 세리사이트,활석, 벤토나이트, 산성백토, 애타풀자이트, 제올라이트 및 규소토 등의 천연광물질류, 탄산칼슘, 황산암모늄, 황산나트륨 및 염화칼륨 등의 무기염류, 합성실리카 및 합성실리케이트, 소맥분, 녹말, 결정셀룰로오스,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 젤라틴 등의 천연고분자, 글루코오스, 만노오스, 락토오스, 수크로오스 등의 당류, 요소 등을 들 수 있다.
액체담체로는 예를 들면 에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및 이소프로판올 등의 알콜류, 자일렌, 알킬벤젠 및 알킬나프탈렌 등의 방향족탄화수소류, 부틸셀로솔브 등의 에테르류, 시클로헥사논 등의 케톤류, γ-부티로락톤 등의 에스테르류, N-메틸피롤리돈 및 N-옥틸피롤리돈 등의 산아미드류, 대두유, 채종유, 면실유 및 피마자유 등의 식물성 기름 및 물을 들 수 있다.
이들 고체 및 액체담체는 단독으로 사용해도 되고 2종류 이상을 병용해도 된다.
계면활성제로는 예를 들면 폴리옥시에틸렌알킬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알킬(모노 또는 디)페닐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모노, 디 또는 트리)스티릴페닐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폴리옥시프로필렌블럭코폴리머, 폴리옥시에틸렌지방산(모노 또는 디)에스테르, 솔비탄지방산에스테르, 폴리옥시에틸렌솔비탄지방산에스테르, 피마자유에틸렌옥시드부가물, 아세틸렌글리콜, 아세틸렌알콜, 아세틸렌글리콜의 에틸렌옥시드부가물, 아세틸렌알콜의 에틸렌옥시드부가물 및 알킬글리코시드 등의 비이온성계면활성제, 알킬황산에스테르염, 알킬벤젠술폰산염, 리그닌술폰산염, 알킬술포숙신산염, 나프탈렌술폰산염, 알킬나프탈렌술폰산염, 나프탈렌술폰산의 포르말린결합물의 염, 알킬나프탈렌술폰산의 포르말린축합물의 염, 폴리옥시에틸렌알킬에테르황산 또는 인산에스테르염, 폴리옥시에틸렌(모노 또는 디)알킬페닐에테르황산 또는 인산에스테르염, 폴리옥시에틸렌(모노, 디 또는 트리)스티릴페닐에테르황산 또는 인산에스테르염, 폴리카르본산염(예를 들면, 폴리아크릴산염, 폴리말레인산염 및 말레인산과 올레핀의 공중합물 등) 및 폴리스틸렌술폰산염 등의 음이온성계면활성제, 알킬아민염 및 알킬4급암모늄염 등의 양이온성계면활성제, 아미노산형 및 베타인형 등의 양성계면활성제, 실리콘계계면활성제 및 불소계계면활성제를 들 수 있다.
이들 계면활성제는 단독으로 사용해도 되고 2종류 이상을 병용해도 된다.
이하에 본 발명 방법에 사용하는 약액을 조제하기 위해 사용할 수 있는 농약 제제의 배합예를 나타낸다. 또한, 이하의 배합예에서 「부」는 질량부를 의미한다.
〔수화제(wettable powder)〕
농약 유효성분 0.1~80부
고체담체 5~98.9부
계면활성제 1~10부
그 외 0~5부
그 외로 예를 들면 고결방지제, 분해방지제 등을 들 수 있다.
〔유제(emulsifiable concentrate)〕
농약 유효성분 0.1~30부
액체담체 45~95부
계면활성제 4.9~15부
그 외 0~10부
그 외로 예를 들면 전착제, 분해방지제 등을 들 수 있다.
〔현탁제(suspension concentrate)〕
농약 유효성분 0.1~70부
액체담체 15~98.89부
계면활성제 1~12부
그 외 0.01~30부
그 외로 예를 들면 동결방지제, 증점제 등을 들 수 있다.
〔입상수화제(water dispersible granule)〕
농약 유효성분 0.1~90부
고체담체 0~98.9부
계면활성제 1~20부
그 외 0~10부
그 외로 예를 들면 결합제, 분해방지제 등을 들 수 있다.
〔액제(soluble concentrate)〕
농약 유효성분 0.01~70부
액체담체 20~99.99부
그 외 0~10부
그 외로 예를 들면 동결방지제, 전착제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농약 제제의 사용에 있어서는 통상적으로 물로 1~2000 배로 희석해 관주 또는 산포에 이용한다.
또한 본 발명 방법에 있어서는 상기 약액의 시용과 동시에 그 외 살균제, 제초제, 살충제, 식물성장조절제 또는 비료를 시용할 수 있다.
본 발명 방법은 특히 농작물을 가해하는 병해나 해충의 방제에 적합하다. 방제할 수 있는 병해 및 해충에는 구체적으로 다음에 나타내는 것이 있으나 이것만으로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즉, 병해로는,
오이류의 노균병(Pseudoperenospora cubensis), 탄저병(Colletotrichum orbicula), 흰가루병(Sphaerotheca fuliginea), 덩굴마름병(Didlymella bryoniae), 구근부패병(Fusarium oxysporum), 잿빛곰팡이병(Botrytis cinerea), 균핵병(Sclerotinia sclerotiorum), 입고병(Fusarium solani), 백견병(Sclerotium rolfsii),
오이의 갈반병(Corynespora cassiicola), 묘입고병(Pythium cucurbitacearum, P. debaryanum, Rhizoctonia solani), 근부병(Pythium myriotylum, P. volutum), 역병(P hytophthora meronis, P. nicotianae), 반점세균병(Pseudomonas syringae pv, 1achrymans), 자주빛날개무늬병(Helicobasidium mompa),
수박의 갈색부패병(Phytophthora capsici), 역병(Phytophthora cryptogea),
멜론의 입고병(Pythium debaryanum), 역병(Phytophthora nicotianae),
호박의 역병(Phytophthora capsici),
가지과의 청고병(Ralstonia solancearum), 위조병(Fusarium oxysporum), 잿빛곰팡이병(Botrytis cinerea), 균핵병(Sclerotinia sclerotiorum), 백견병(Sclerotium rolfsii),
토마토의 역병(Phytophthora infestans), 근부역병(Phytophthora cryptogea), 잿빛역병(Phytophthora capsici), 윤문병(Alternaria solani), 잎곰팡이병(Fulvia fulva), 흰가루병(Oidium sp. 및 Oidiopsisi sicula), 갈색부패병(Phytophthora nicotianae), 궤양병(Clavibacter michiganensis), 갈색근부병(Pyrenochaeta lycopersici), 탄저병(Colletotrichum gloeosporioides), 묘입고병(Pythium vexans, Rhizoctonia solani), 반신위조병(Verticillium dahliae), 반점병(Stemphylium lycopersici),
피망의 역병(Phytophthora capsici), 흰가루병(Oidiopsissicula), 묘입고병(Rhi zoctoniasolani), 반점병(Cercospora capsici),
가지의 역병(Phytophthora infestans), 갈색부패병(Phytophthora capsici), 갈문병(Phomopsis vexans), 흰가루병(Erysiphe cichoracerum 및 Oidiopsis sicula),
파류의 백색역병(Phytophthora porri), 역병(Phytophthora nicotianae), 백견병(Sclerotium rolfsii), 묘입고병(Rhizoctonia solani), 흑반병(Alternaria porri), 난부병(Erwinia carotovora 및 E. chrysanthmi), 노균병(Peronospora destructor), 녹병(Puccinia allii),
파의 위조병(Fusarium oxysporum), 황반병(Heterosporium allii), 홍색근부병(Pyrenochaeta terrestris), 소균핵부패병(Botrytis squamosa),
양파의 건부병(Fusarium oxysporum), 흑수병(Urocystis cepulae), 소균핵병(Ciborinia alli), 잿빛곰팡이병(Botrytis cinerea), 잿빛부패병(Botrytis allii), 부패병(Erwinia rhapontici), 인편부패병(Burkholderia gladiol),
유채과 야채의 노균병(Peronospora parasitica), 뿌리혹병(Plasmodiophora brassicae), 흰녹병(Albugomacrospora), 흑반병(Alternaria japonica 및 A. brassicae), 백반병(Cercosporella brassicae), 난부병(Erwinia carotovora), 균핵병(Sclerotinia sclerotiorum),
양배추의 그루썩음병(Thanatephorus cucumeris), 버티실리움위조병(Verticillium dahliae),
배추의 황화병(VeIlicillium dahliae), 고부병(Rhizoctonia solami), 뿌리잘록병(Aphanomyces raphani), 잿빛곰팡이병(Botrytis cinerea), 피시움부패병(Pythium ultimum),
무의 탄저병(Colletotrichum higginsianum), 버티실리움흑점병(Verticilliu albo-atrum),
콩류의 청고병(Ralstonia solanacearum), 위조병(Verticiiiium dahliae), 균핵병(Sclerotinia sclerotiorum), 흑근병(Thielaviopsis sp.), 녹병(Phakopsora pachyrhizi), 백견병(Sclerotium rolfsii), 입고병(Fusarium oxyspomm), 탄저병(Colletotrichum truncatum, C. trifolii, Glomerellaglycines, Gloeosporium sp.), 잿빛곰팡이병(Botrytis cinerea),
대두의 노균병(Peronospora manshurica), 줄기역병(Phytophthora sojae), 엽소병(Xanthomona campestris pv. glycines), 자반병(Cercospora kikuchii), 흑두병(Elsinoe glycines), 흑점병(Diaporthe phaseolonlm),
땅콩의 흑삽병(Mycosphaerella personata), 갈반병(Mycosphaerella arachidis),
완두콩의 흰가루병(Erysiphe pisi),
딸기의 흰가루병(Sphaerotheca aphanis), 위황병(Fusarium oxysporum), 위조병(Verticillium dahliae), 역병(Phytophthora cactorum), 각반세균병(Xanthomonascam pestris 및 X. fragariae), 흑반병(Alternaria alternate), 뱀눈무늬병(Mycosphaerella fragariae), 탄저병(Colletotrichum acutatum, C. frariae 및 Glomerella cingulata), 근부병(Phytophthora fragariae), 잿빛곰팡이병(Botrytis cinerea), 아고병(Rhizoctonia solani), 윤반병(Drenerophoma obscurans),
양상치의 균핵병(Sclerotinia sclerotiorum), 끝마름병(Rhizbacter solani), 난부병(Erwinia cartovora), 입고병(Pythium sp.), 근부병(Fusarium oxysporum), 잿빛곰팡이병(Botrytis cinerea), 반점세균병(Xanthomonas campestris pv. Vitians), 빅베인병(Lettuce bib-Vein virus), 부패병(Pseudomonas cichorii, P. marginalis pv. Marginalis 및 P. viridiflava), 노균병(Bremia lactucae),
우엉의 위조병(Fusarium oxysporum), 흑지병(Rhizoctoni asolani), 흑조병(Itersonilia perplexans), 흑반세균병(Xanthomonas campestris pv nigromaculans), 흑반병(Ascochyta phaseolorum), 근부병(Pythium irregulare), 자주빛날개무늬병(Helicobasidium mo mpa),
당근의 위조병(Fusarium oxysporum), 흰가루병(Erysiphe heheraclei), 검은잎마름병(Alternaria dauci), 혹병(Rhizoctonia dauci), 얼룩썩음병(Pythium sulcatum), 백견병(Sclerotium rolfsii), 난부병(Erwinia carotovora), 근부병(Rhizoctonia solani), 반점병(Cercosporacarotae), 자주빛날개무늬병(Helicobasidium mompa), 담배의 적성병(Alternaria alternata), 흰가루병(Erysiphe cichoracearum), 탄저병(Colletotrichum cichoracearum),]
첨채의 갈반병(Cercospora beticola), 총근병(Beet necrotic yellow vein virs),
장미의 흑성병(Diplocarpon rosae), 흰가루병(Sphaerotheca pannosa),
국화의 갈반병(Septoria chrysanthemiindici), 흰녹병(Puccinia horiana)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 방법을 이용해 방제할 수 있는 곤충류, 진드기류, 선충류, 연체동물또는 갑각류로는,
배추좀나방(Plutella xylostella), 검거세미나방(Agrotis ipsilon), 거세미나방(Agrotis segetum), 왕담배나방(Helicoverpa armigera), 담배나방(Helicoverpa assulta), 왕담배나방 애벌레(Helicoverpa zea), 도둑나방(Mamestra brassicae), 검은무늬밤나방(Plusia nigrisigna), 멸강나방(Pseudaletia separata), 파밤나방(Spodoptera exigua), 담배거세미나방(Spodoptera litura), 배추순나방(Hellula undalis), 양배추은무늬밤나방(Trichoplusia ni), 배추흰나비(Pieris rapae crucivora) 등의 인시목해충,
이십팔점박이무당벌레(Henosepilachna vigintioctopunctata), 오이잎벌레(Aulacophora femoralis), 벼룩잎벌레(Phyllotreta striolata) 등의 초시목해충,
가루이(Bemisia argentifolii), 담배가루이(Bemisia tabaci), 온실가루이(Trialeurodes vaporariorum), 목화진딧물(Aphis gossypii), 복숭아진딧물(Myzus persicae) 등의 반시목해충,
꽃노랑총채벌레(Frankliniella occidentalis), 대만총채벌레(Frankliniella intonsa), 볼록총채벌레(Scirtothrips dorsalis), 오이총채벌레(Thrips palmi), 파총채벌레(Thrips tabaci) 등의 총시목해충,
가지잎굴파리(Liriomyza bryoniae), 아메리카잎굴파리(Liriomyza trifolii), 씨고자리파리(Hylemya platura) 등의 쌍시목해충,
차응애(Tetranychus kanzawai), 점막이응애(Tetranychus urticae) 등의 잎응애류,
차먼지응애(Polyphaotarsonemus latus), 시클라멘먼지응애(Steneotarsonemus pallidus) 등의 먼지응애류,
긴털가루응애(Tyrophagus putrescentiae) 등의 가루응애류,
딸기뿌리썩이선충(Prathylenchus penetrans), 사과뿌리썩이선충(Prathylenchus vulnus), 감자시스트선충(Globodera rostochiensis), 콩시스트선충(Heterodera glycines), 당근뿌리혹선충(Meloidogyne hapla), 고구마뿌리혹선충(Meloidogyne incognita)의 선충류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 방법을 적용할 수 있는 농작물로는 예를 들면 식용작물으로는 쌀, 연맥, 대맥, 소맥, 나맥 등의 맥류, 옥수수 등의 쌀과작물, 팥, 강낭콩,
완두콩 등의 콩과작물, 잠두, 대두, 땅콩 등의 콩류, 감자, 고구마, 메밀 등,
야채류로는 시금치, 순무, 콜리플라워, 양배추, 코마쯔나, 무, 배추, 브록커리, 청경채, 와사비, 호박, 오이, 시로우리, 수박, 멜론, 우엉, 쑥갓, 상추, 머위, 토란, 생강, 양하, 미나리, 셀로리, 당근, 파세리, 삼엽체, 고추, 피망, 토마토, 가지, 딸기, 아스파라거스, 양파, 파, 부추, 마늘, 파, 랏쿄, 쪽파 등,
특용작물로는 목화, 첨채, 유채씨, 사탕수수, 깨, 담배, 곤약 등,
화초류에서는, 국화, 카네이션, 장미, 스톡, 용담, 숙근안개초, 양란류, 스타티스, 거베라, 꽃도라지, 튤립, 백합, 글라디올러스, 후리지아, 아이리스, 수선화, 금잔화, 마가렛 등을 들 수 있다.
[실시예]
본 발명의 유용성에 대해 이하의 실험예에서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단, 본 발명은 이들만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또한, 이하의 실시예에서 이용한 공시토양(오염토양) 및 공시식물 및 화합물 A의 입상수화제 제조예는 이하와 같다
·공시토양:건전토양에 유채과 뿌리혹병균 휴면포자를 2X105개/g의 비율로 첨가
·공시식물:셀트레이(묘 목98그루/트레이, 1800㎠/트레이)내에서 3~4엽기까지 육성한 배추(품종:무쌍)
·화합물A의 입상수화제:
〔배합조성〕
(1)화합물A 50.0질량부
(2)알킬나프탈렌술폰산나트륨 3.0질량부
(3)리그닌술폰산나트륨 15.0질량부
(4)황산암모늄 밸런스
상기(1)~(4)를 혼합 분쇄한 후 조립수(造粒水)를 첨가해 반죽했다. 0.8mm의 스크린을 붙힌 압출조립기에서 조립 후 건조 정립(整粒)해 입상수화제를 얻었다.
〔시험예1〕산포약액량 별: 배추 뿌리혹병 방제효과 시험
상기 화합물A의 입상수화제를 물로 희석하고 화합물A의 투하 약량이 동량이 되도록 농도를 조정한 약액을 상기 공시식물의 각 셀트레이별로 5ml, 10ml 또는 20ml의 산포약액량으로 뿌리에 분무하고 산포했다.
시아조파미드현탁제(란만플로아브르〔상품명〕, 이시하라산업(주)제)도물로 희석해서 약액을 조제하고 화합물A와 같이 처리했다.
분무하고 산포한 다음날 셀트레이에서 묘목을 뽑아 직경 10㎝의 포트에 상기 공시토양을 이용해 정식했다.
온실내(20℃조정)에서 4주간 식물을 육성한 후 포트에서 토양별 식물을 뽑아 건전토양을 넣은 12.12㎝정도의 화분에 이식했다. 이식 3주 후에 근부의 뿌리혹 착생 정도를 조사해 발병도 및 방제가를 평가했다.
또한 발병도 및 방제가는 하기의 식에 따라 산출했다.
발병도=〔∑(발병지수X정도별 발병그루 수)/(조사그루 수X3)〕X100
방제가=〔1-(처리구 발병도/무처리구 발병도)〕X100
[발병지수]
0:뿌리혹의 착색 없음
0.5:측근에 뿌리혹을 형성
1:주근에 작은 뿌리혹을 형성
2:주근에 큰 뿌리혹을 형성
3:주근과 측근에 뿌리혹을 형성
시험예1에 의해 얻어진 결과를 표1에 나타낸다.
약제 유효성분농도
(ppm)
산포약액량
(L/트레이)
투하약량
(mg ai/트레이)
발병도
(%)
방제가
(%)
화합물A 입상수화제 1000 0.5 500 8.3 91.7
화합물A 입상수화제 500 1.0 500 33.3 66.7
화합물A 입상수화제 250 2.0 500 83.3 16.7
시아조파미드현탁제 800 0.5 400 16.7 83.3
시아조파미드현탁제 400 1.0 400 33.3 66.7
시아조파미드현탁제 200 2.0 400 45.8 54.2
무처리 100.0 -
표1에 나타낸 것과 같이 화합물A의 입상수화제 또는 시아조파미드현탁제 중어느 한 약제를 이용한 경우에도 산포약액량을 0.5L/트레이로 한 것이 가장 발병도가 낮고 우수한 방제가를 나타냈다.
〔시험예2〕처리방법별:배추뿌리혹병 방제효과 시험
(1)셀묘목관주법
상기 공시식물에 상기화합물A의 입상수화제를 물로 500배로 희석한 약액을셀트레이당 0.5L 관주했다. 다음날 약제처리한 묘목을 유채과 뿌리혹병 오염 논밭에 정식했다.
(2)토양혼화법
화합물A의 토양혼화처리는 정식 당일에 화합물A의 분제를 30kg/10a가 되도록 약제를 유채과 뿌리혹병 오염 논밭의 토양표면에 산포하고 잘 혼화한 후 셀묘목을 정식했다.
정식하고 60일 후에 근부의 뿌리혹 착색정도별 그루수를 조사해 하기의 식에 따라 발병도를 산출했다.
발병도=〔∑(발병지수X정도별 발병그루 수)/(조사그루 수X4)〕X100
방제가=〔1-(처리구 발병도/무처리구 발병도)〕X100
[발병지수]
0:뿌리혹의 착색 없음
1:전체의 25%이하에 뿌리혹 형성
2:전체의 25-50%에 뿌리혹 형성
3:전체의 50-75%에 뿌리혹 형성
4:전체의 75%이상에 뿌리혹 형성
얻어진 결과를 표2에 나타낸다.
약제 처리방법 처리량 방제가(%)
화합물A입상수화제 셀묘목관주 400mg ai/트레이
800ppm 0.5L/트레이
(15.6g ai/10a 상당)
64.5
화합물A분제 토양혼화 150g ai/10a 60.4
표2와 같이, 처리방법으로 셀묘목관주법을 채용하면, 토양혼화법과 비교해약제 처리양을 약1/10이나 적게 할 수 있고 또한 방제가에 우수하다는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산업상 이용 가능성]
본 발명에 의해 농약의 생력적 시용을 할 수 있다.

Claims (14)

  1. 3-(3-브로모-6-플루오로-2-메틸인돌-1-일술포닐)-N,N-디메틸-1H-1,2,4-트리아졸-1-술폰아미드 및 시아조파미드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농약 유효성분의 수용액 또는 수성 분산액을, 상기 농약 유효성분의 시용량이 1800㎠당 0.1g~5g이 되도록, 100 그루의 묘목당 20ml~1100ml의 용량으로, 또한, 묘목 육성 구획 면적 1800㎠당 20ml~1100ml의 용량으로, 농작물의 묘목 육성 구획에 묘목 정식 전까지 관주 또는 산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뿌리혹병의 방제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농약 유효성분의 수용액 또는 수성 분산액을 농작물의 묘목 육성용 용기에 묘목 정식 전까지 관주 또는 산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뿌리혹병의 방제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농약 유효성분의 수용액 또는 수성 분산액을 농작물의 묘목 육성용 용기에 상토충진 후부터 묘목 정식 전까지의 기간에 관주 또는 산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뿌리혹병의 방제방법.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농약 유효성분의 수용액 또는 수성 분산액이 농약 제제를 물로 희석해서 조제한 것인 뿌리혹병의 방제방법.
  5.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100 그루의 묘목당 20ml~600ml의 용량으로, 농약 유효성분의 수용액 또는 수성 분산액을 관주 또는 산포하는 뿌리혹병의 방제방법.
  6. 제4항에 있어서,
    100 그루의 묘목당 20ml~600ml의 용량으로 농약 유효성분의 수용액 또는 수성 분산액을 관주 또는 산포하는 뿌리혹병의 방제방법.
  7.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묘목 육성 구획 면적 1800㎠ 당 20ml~600ml의 용량으로 농약 유효성분의 수용액 또는 수성 분산액을 관주 또는 산포하는 뿌리혹병의 방제방법.
  8. 제4항에 있어서,
    묘목 육성 구획 면적 1800㎠ 당 20ml~600ml의 용량으로 농약 유효성분 수용액 또는 수성 분산액을 관주 또는 산포하는 뿌리혹병의 방제방법.
  9.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방법에 이용되는 농약 유효성분의 수용액 또는 수성분산액.
  10. 제4항에 기재된 방법에 이용되는 농약 유효성분의 수용액 또는 수성분산액.
  11. 제5항에 기재된 방법에 이용되는 농약 유효성분의 수용액 또는 수성분산액.
  12. 제6항에 기재된 방법에 이용되는 농약 유효성분의 수용액 또는 수성분산액.
  13. 제7항에 기재된 방법에 이용되는 농약 유효성분 수용액 또는 수성분산액.
  14. 제8항에 기재된 방법에 이용되는 농약 유효성분의 수용액 또는 수성분산액.
KR1020137028391A 2005-06-01 2006-05-22 농약의 생력적 시용방법 KR10136614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5-160812 2005-06-01
JP2005160812 2005-06-01
JPJP-P-2006-118088 2006-04-21
JP2006118088 2006-04-21
PCT/JP2006/310143 WO2006129510A1 (ja) 2005-06-01 2006-05-22 農薬の省力的施用方法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7030476A Division KR20080032040A (ko) 2005-06-01 2006-05-22 농약의 생력적 시용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25841A KR20130125841A (ko) 2013-11-19
KR101366148B1 true KR101366148B1 (ko) 2014-02-24

Family

ID=37481439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7030476A KR20080032040A (ko) 2005-06-01 2006-05-22 농약의 생력적 시용방법
KR1020137028391A KR101366148B1 (ko) 2005-06-01 2006-05-22 농약의 생력적 시용방법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7030476A KR20080032040A (ko) 2005-06-01 2006-05-22 농약의 생력적 시용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EP (1) EP1908347A4 (ko)
KR (2) KR20080032040A (ko)
WO (1) WO200612951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050686B2 (ja) * 2007-06-27 2012-10-17 セントラル硝子株式会社 トマト病害の防除剤及び防除方法
UA109282C2 (xx) * 2010-07-09 2015-08-10 Пестицидна суспензія на водній основі
TWI548343B (zh) * 2010-07-23 2016-09-11 石原產業股份有限公司 軟腐病之防除劑及防除方法
JP2012158585A (ja) * 2011-01-11 2012-08-23 Ishihara Sangyo Kaisha Ltd 根こぶ病の防除方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082479A (ja) 2003-09-04 2005-03-31 Nissan Chem Ind Ltd スルファモイル化合物を用いる根こぶ病防除方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489843B2 (ja) * 1992-01-14 2004-01-26 北興化学工業株式会社 稲病害の省力防除方法
JP2582045B2 (ja) * 1994-06-16 1997-02-19 タキイ種苗株式会社 アブラナ科作物の育苗方法
JPH09124402A (ja) * 1995-10-27 1997-05-13 Takeda Chem Ind Ltd 害虫防除方法
JP4384750B2 (ja) * 1999-05-19 2009-12-16 北興化学工業株式会社 イネいもち病の省力的防除方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082479A (ja) 2003-09-04 2005-03-31 Nissan Chem Ind Ltd スルファモイル化合物を用いる根こぶ病防除方法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Pest Manag. Sci., Vol. 59, pp. 287-293(2003)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32040A (ko) 2008-04-14
EP1908347A4 (en) 2013-03-13
EP1908347A1 (en) 2008-04-09
EP1908347A8 (en) 2008-07-23
KR20130125841A (ko) 2013-11-19
WO2006129510A1 (ja) 2006-12-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S2789582T3 (es) Composiciones fungicidas
JP2008189658A (ja) 植物病害の防除方法
JP6748735B2 (ja) 植物病害の防除能を有する微生物
JP2015044791A (ja) 農園芸用有害生物防除剤及び有害生物の防除方法
KR20090117639A (ko) 살균제 조성물
JP4092591B2 (ja) 農薬の省力的施用方法
JP7279297B2 (ja) アリールフェニルケトン系殺菌剤の植物病害防除効果の増強方法及び植物病害の防除方法
WO2019065483A1 (ja) 1,3,5,6-テトラ置換チエノ[2,3-d]ピリミジン-2,4(1H,3H)ジオン化合物および農園芸用殺菌剤
WO2019031384A1 (ja) 1,3,5,6-テトラ置換チエノ[2,3-d]ピリミジン-2,4(1H,3H)ジオン化合物および農園芸用殺菌剤
JP2007308482A (ja) 農薬の施用方法
US20160278381A1 (en) Agricultural And Horticultural Fungicidal Composition And Method Of Use Of the Same
WO2019107393A1 (ja) 1,3,5,6-テトラ置換チエノ[2,3-d]ピリミジン-2,4(1H,3H)ジオン化合物および農園芸用殺菌剤
KR101366148B1 (ko) 농약의 생력적 시용방법
RU2739947C2 (ru) Способ усиления эффектов борьбы изофетамида с болезнями растений и способ борьбы с болезнями растений
JP2004059569A (ja) 殺菌剤組成物
KR20190096995A (ko) 시클라닐리프롤 또는 그의 염을 함유하는 유해 생물 방제용 고형 조성물
CN110367252A (zh) 一种含有对伞花烃的增效农药组合物
JP2009120577A (ja) 農薬の施用方法
JP2008013576A (ja) 農薬の省力的施用方法
KR102646989B1 (ko) 농원예용 조성물
JP7156659B2 (ja) 植物病害防除剤
JP2017214366A (ja) ヒドラゾン化合物及び有害生物防除剤
JP2023003357A (ja) オキサジアゾール化合物および農園芸用殺菌剤
JP2022134284A (ja) オキサジアゾール化合物および農園芸用殺菌剤
WO2020189525A1 (ja) 複素環化合物および農園芸用殺菌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2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2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24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