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65998B1 - 정제어유를 함유한 짜먹는 젤리형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정제어유를 함유한 짜먹는 젤리형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65998B1
KR101365998B1 KR1020120052807A KR20120052807A KR101365998B1 KR 101365998 B1 KR101365998 B1 KR 101365998B1 KR 1020120052807 A KR1020120052807 A KR 1020120052807A KR 20120052807 A KR20120052807 A KR 20120052807A KR 101365998 B1 KR101365998 B1 KR 10136599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sh oil
jelly
weight
refined fish
gu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528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128785A (ko
Inventor
양주환
박금덕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서흥캅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서흥캅셀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서흥캅셀
Priority to KR10201200528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65998B1/ko
Publication of KR201301287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2878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659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65998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1/00Marmalades, jams, jellies or the like; Products from apiculture;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21/10Marmalades; Jams; Jellies; Other similar fruit or vegetable compositions; Simulated fruit produc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9/00Foods or foodstuffs containing additiv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29/20Foods or foodstuffs containing additiv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containing gelling or thickening agen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9/00Foods or foodstuffs containing additiv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29/30Foods or foodstuffs containing additiv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containing carbohydrate syrups; containing sugars; containing sugar alcohols, e.g. xylitol; containing starch hydrolysates, e.g. dextrin
    • A23L29/35Degradation products of starch, e.g. hydrolysates, dextrins; Enzymatically modified starch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15Fatty acids or derivatives thereof; Fats or oil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18Lipids
    • A23V2250/186Fatty acids
    • A23V2250/1868Docosahexaenoic acid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18Lipids
    • A23V2250/186Fatty acids
    • A23V2250/187Eicosapentaenoic acid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50Polysaccharides, gums
    • A23V2250/51Polysaccharide
    • A23V2250/5112Cyclodextrin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Mycology (AREA)
  • Jellies, Jams, And Syrups (AREA)
  • Meat, Egg Or Seafood Produc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ⅰ)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20∼200 중량부, 정제수 20∼200 중량부를 혼합 균질화시킨 후 정제어유 100 중량부를 첨가하여 정제어유 수화액을 제조하는 단계; 및 ⅱ) 상기 정제어유 수화액 5∼30 중량%, 검류 0.5∼5 중량%, 정제수 65∼80 중량% 및 적량의 향료, 감미료, 색소 등을 혼합 용해시킨 후 농축, 살균시켜 젤리를 제조하는 단계;로 이루어진 정제어유 함유 짜먹는 젤리 조성물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Description

정제어유를 함유한 짜먹는 젤리형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Squeezing jelly composition containing purified fish oil and its preparation method}
본 발명은 정제어유를 함유하는 짜먹는 젤리형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정제어유의 이취 및 이미를 제거하기 위해 정제어유를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및 정제수로 수화시킨 후, 시클로덱스트린류의 거대 분자구조 내에 포접시켜 균질화함으로써 이취 및 이미를 제거시킨 짜먹는 젤리형 건강기능식품 및 그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젤리는 펙틴, 젤라틴, 한천, 알긴산 등과 같은 다양한 검류와 산을 사용하여 제조된 저장성이 우수한 반고형 당질의 식품이다. 이와 같은 젤리 내에는 부유하는 고형체 입자가 없어야 하고 일정량의 당 성분과 과즙을 포함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젤리는 가용성 고체성분이 일정량 이상 되도록 농축한 후, 향미 착색물질을 첨가하며 보통 젤리화의 검류의 최적농도는 0.5~2.0 중량%, 산도는 pH 3~4, 당 농도는 30~85 중량%가 바람직하다.
통상의 건강기능식품으로 이용되는 젤리는 다양한 기능성을 갖는 식품 원료 소재를 다양한 겔화제와 감미제, 산미조절제, 착향제, 조직개량제, 보존제를 함께 배합하여 성형틀에 넣고 겔화시켜 고체의 일정한 형태를 갖추는 구미형 젤리와 봉지에 넣고 겔화시켜 반고체상을 이루는 짜먹는 스틱형 젤리로 이루어져 있다.
최근 개발된 다양한 식품 소재를 이용한 젤리 제품 등이 특허 기술로 개시되어있다.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0-0649693호 '머루 젤리 및 이의 제조방법'에서는 젤리의 제조에 있어서 한천을 정제수에 용해하여 한천 용액을 얻는 단계, 한천 용액에 부재료를 첨가하고 가열하여 젤리화 시키는 단계, 젤리화가 이루어진 한천 용액에 머루 농축액을 첨가하고 가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머루 젤리의 제조방법을 개시하고 있다.
또한 대한민국 특허공개 제10-2010-0034528호 '한방소재를 이용한 생약젤리 및 그 제조방법'에서는 생약 성분인 삼칠, 숙지황 및 가시오가피를 주성분으로 하고, 겔화 성분, 감미제, 천연 항균제 등을 혼합하여 겔화시켜 젤리로 제조된 생약젤리를 개시하고 있다.
한편 대한민국 특허공개 제10-2003-0072282호 '다시마추출물을 첨가한 다시마 젤리 제조방법'에서는 다량의 알긴산이 함유된 해조류 즉 다시마 추출물에 한천, 구연산, 설탕을 첨가하여 제조된 해조류 젤리를 개시하고 있으며 이때 원료인 건조 다시마를 건조 분쇄 후 13배 중량의 물을 가하여 50℃에서 2시간 추출하여 상등액을 5 Brix로 감압 농축하여 얻은 다시마 농축물에 펙틴과 구연산을 첨가, 산성으로 조절한 후 설탕을 첨가하여 당도가 65 내지 70 Brix가 될 때까지 가열 농축한후 성형 냉각시켜 다시마 젤리를 제조하는 방법을 개시하고 있다.
또한, 대한민국 특허공개 제10-2011-0121986호 '어유 함유 젤리형 건강기능식품 및 그 제조방법 '에서는 어유의 산화와 비린내를 억제시키기 위한 방법으로 알긴산을 이용하여 1차 어유 함유 알긴산을 제조한 다음에 2차 겔화용액에 포함시켜 어유 함유 이중 젤리를 성형하는 기술을 소개하고 있다.
한편 대한민국 특허공개 제10-2006-0095417호 '어유의 이취 제거 방법'에서는 어유가 함유하는 비린내 등의 어취 성분을 효과적으로 제거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원재료인 어유에 열을 가하거나 화학반응을 이용한 추출용매 등을 사용하는 종래 방법과 달리, 가압 기체를 추출용매로 사용하여 상기 가압 기체가 어유의 이취 성분을 흡착하게 함으로서 이취 성분의 제거 과정 중에 어유의 물리적, 화학적 변화를 수반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술을 개시하고 있다.
어유의 특유의 냄새의 주요 원인으로는 지질의 산화나 트리메틸아민 옥사이드(TMAO)가 환원되어 생성되는 양전하를 지닌 염기성 아민인 트리메틸아민(TMA)으로 알려져 있다. 이를 제거하기 위한 어유의 정제는 탈검, 탈산, 탈색 및 탈취등의 공정을 거치게 된다.
따라서 어유의 특유의 냄새를 제거하기 위하여 많은 탈취 공정이 연구되어 왔지만, 어유가 열과 공기에 노출로 인하여 산패되거나 과산화물이 형성됨에 따라 비린내와 비린맛이 급속하게 증가하기 때문에 효과적인 탈취 공정의 개발이 실현되지 않고 있다.
정제어유에 함유되어 있는 활성 성분인 오메가 3의 일종인 에이코사펜타엔산(EPA)과 도코사헥사엔산(DHA)은 다가 불포화 지방산으로 혈중 콜레스테롤 저하에 효과적이고 혈행을 원활히 할 뿐만 아니라 두뇌 망막의 구성성분의 일종으로 뇌영양 공급에 효과적이기 때문에 노약자뿐만 아니라 성장기 어린이 등 남녀노소에 모두 섭취의 중요성이 강조되어져 왔다.
이에 따라 1일 섭취량으로 에이코사펜타엔산(EPA)과 도코사헥사엔산(DHA) 합을 500mg 이상으로 하여 여러 제형의 정제어유 함유 건강기능식품이 개발되어왔으나 비린내와 비린맛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없는 기술적 한계 때문에 경구용 제형인 연질캡슐제로만 한정적으로 제조하여 왔다.
한편 정제어유를 함유한 젤리형 건강기능식품의 개발이 요구되어 왔으나 상기 특허문헌에 개시된 젤리의 제조방법 또는 어유의 이취를 제거하는 방법으로는 정제어유를 주성분으로 함유한 젤리를 제조시 충분히 어유의 이취 및 이미를 제거할 수 없어 그 상용화에 문제가 있었던 것이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상기와 같은 선행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노력하던 중 정제어유에 함유된 이취와 이미를 효과적으로 제거하기 위해서 정제어유를 비이온화 계면활성제를 사용하여 수용화하고, 시클로덱스트린과 같은 거대 분자에 수용화시킨 어유 성분을 포접시켜 균질화시킨 후 짜먹는 젤리를 제조하는 방법을 개발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된 것이다.
이에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정제어유에 함유된 이취와 이미를 효과적으로 제거하기 위해서 정제어유를 비이온화 계면활성제를 사용하여 수용화하고, 시클로덱스트린과 같은 거대 분자에 수용화시킨 어유 성분을 포접시켜 균질화시킨 후 짜먹는 젤리를 제조하는 방법을 개발코자 한 것이다. 또한 어린이가 선호하는 제형인 젤리 형태로 에이코사펜타엔산(EPA)과 도코사헥사엔산(DHA) 합을 1일 500mg이상 섭취할 수 있도록 제형화한 비린내와 비린맛을 마스킹하여 불쾌감을 없앨 수 있는 정제어유 함유 짜먹는 젤리를 개발코자 한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ⅰ)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20∼200 중량부, 정제수 20∼200 중량부를 혼합 균질화시킨 후 정제어유 100 중량부를 첨가하여 정제어유 수화액을 제조하는 단계; 및 ⅱ) 상기 정제어유 수화액 5∼30 중량%, 검류 0.5∼5 중량%, 정제수 65∼80 중량% 및 적량의 향료, 감미료, 색소 등을 혼합 용해시킨 후 농축, 살균시켜 젤리를 제조하는 단계;로 이루어진 정제어유 함유 짜먹는 젤리 조성물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때 상기 단계 ⅱ)에 시클로덱스트린류 0.1∼8 중량%를 더욱 첨가시킴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정제어유는 에이코사펜타엔산(EPA)과 도코사헥사엔산(DHA)을 주성분으로 포함한 것임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는 레시틴, 자당지방산에스테르, 소르비탄지방산에스테르,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지방산에스테르, 글리세린지방산에스테르 및 그의 유도체 또는 폴리글리세린지방산에스테르에서 선택된 1종 이상임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검류는 한천, 산탄검, 로커스트콩검, 젤라틴, 카라기난, 구아검, 젤란검, 알긴산, 펙틴, 차전자피 또는 아라비아검의 천연 검류에서 선택된 1종 이상임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상기 방법에 따라 제조된 정제어유 함유 짜먹는 젤리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효과는 정제어유에 함유된 이취와 이미를 효과적으로 제거하기 위해서는 시클로덱스트린과 같은 거대 분자에 계면활성제를 이용하여 유화시킨 어유 성분을 포접시켜 균질화시킨 후 짜먹는 젤리를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에이코사펜타엔산(EPA)과 도코사헥사엔산(DHA)이 절대적으로 필요한 성장기 어린이들이 거부감 없이 섭취할 수 있는 정제어유 함유 짜먹는 젤리를 제공하는 것이다.
정제어유의 에이코사펜타엔산(EPA)과 도코사헥사엔산(DHA)은 특유의 비린내와 비린맛 때문에 에이코사펜타엔산(EPA)과 도코사헥사엔산(DHA) 합이 1일 500mg 이상을 배합하여야 하는 건강기능식품에서는 경구용 연질캡슐로만 한정적으로 제조할 수 밖에 없었고 한편으로는 사용량 제한이 없는 일반식품의 용도로 제조하여 왔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는 정제어유를 비이온 계면활성제로 수용화시키고 시클로덱스트린으로 포접함으로써 에이코사펜타엔산(EPA)과 도코사헥사엔산(DHA)의 비린내와 비린맛을 제거할 수가 있었고, 이 결과 정제어유의 에이코사펜타엔산(EPA)과 도코사헥사엔산(DHA) 함유량을 증가시킬 수가 있어 건강기능식품 용도의 정제어유 함유 짜먹는 젤리를 완성하였다.
본 발명은 에이코사펜타엔산(EPA)과 도코사헥사엔산(DHA)이 절대적으로 필요한 성장기 어린이들이 거부감 없이 섭취할 수 있는 건강기능식품 용도의 정제어유 함유 짜먹는 젤리를 제공할 수 있게 된 것이다.
건강기능식품의 제형은 정제, 연질캡슐제, 경질캡슐제 등과 같이 고형상의 형태로 갖추어진 제형은 대부분이 물과 같이 경구로 섭취하여야 한다. 이중에서도 정제어유와 같은 오일 성분은 정제와 경질캡슐제와 같은 제형으로는 직접적으로 제조가 용이하지 않기 때문에 연질캡슐제로 하여 많이 개발되어 상용화되어 왔다.
그러나 어린이들이 정제어유 함유 연질캡슐제를 경구용으로 섭취하기에는 하루에 정제어유 중의 에이코사펜타엔산(EPA)과 도코사헥사엔산(DHA) 합이 1일 500mg 이상이 되도록 할 경우에 정제어유 원료의 함량을 고려한다면 어린이용으로 연질캡슐제의 상용화는 어려움이 있다.
즉 일반적으로 정제어유의 제조업자가 제조하여 판매되는 에이코사펜타엔산(EPA)과 도코사헥사엔산(DHA) 함유비율의 30 중량%임을 고려한다면 최소 1,667mg의 정제어유를 2 내지 3개의 캡슐로 나누어 섭취하여야 하며 또한 어린이가 삼키기에는 문제가 있다.
이와 같이 어린이가 삼키기 어려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서 정제어유를 함유한 츄어블 연질캡슐로 개발되기도 하였고 또다른 형태로는 액상 겔 타입의 형태로도 개발되기도 하였다.
그러나 정제어유를 함유하는 츄어블 연질캡슐은 캡슐 피막을 최대한 부드럽게 한다 하더라도 시간이 경과하면서 경화되는 한계가 있으며 액상 겔 타입은 휴대가 불편할 뿐 아니라 개봉 후 냉장 보존하여야 하는 한계가 있다.
따라서 물 없이 섭취가 가능하고 씹었을 때의 식감과 맛과 풍미를 다양하게 발현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휴대가 간편하고 보존이 용이한 제형으로써는 젤리 제형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젤리 제형은 씹어 먹거나 짜먹는 형태이기 때문에 식품 자체의 맛이 매우 쓰거나, 떫거나, 시거나, 비리거나 하게 되어 거부감을 느낄 수 있는 맛이 되면 상품 가치가 떨어지기 때문에 젤리 제형으로써는 적합하지가 않다.
따라서 어린이 두뇌 성장에 좋은 효과를 지닌 정제어유의 경우는 어린이가 좋아하는 제형인 젤리로 개발함에 있어서 그 고유의 비린내와 비린맛을 제거하여야 하는 기술적 문제가 제기되어 왔다.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점을 착안하여 정제어유의 비린내와 비린맛을 마스킹하는 방법을 정제어유를 비이온화 계면활성제를 사용하여 수용화하고 포접체에 포접한 후 수용성 성질의 젤리 매질에 균질화시키는 방법을 발명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이하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ⅰ)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20∼200 중량부, 정제수 20∼200 중량부를 혼합 균질화시킨 후 정제어유 100 중량부를 첨가하여 정제어유 수화액을 제조하는 단계; 및 ⅱ) 상기 정제어유 수화액 5∼30 중량%, 검류 0.5∼5 중량%, 정제수 65∼80 중량% 및 적량의 향료, 감미료, 색소 등을 혼합 용해시킨 후 농축, 살균시켜 젤리를 제조하는 단계;로 이루어진 정제어유 함유 짜먹는 젤리 조성물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사용하는 정제어유는 어느 특정 원료를 한정하고 있지는 않으며 단지 정제어유를 선택할 때 원료의 제조 공정에 따라 비린내와 비린맛 차이가 심하므로 가급적이면 탈취 공정을 잘 거쳐서 비린내와 비린맛이 없거나, 적은 원료를 선택하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원료로서는 HiDHA25N(NU Mega Ingredients Pty Ltd, 호주산), Omevital 1812TG(BASF, 독일), Vivomega 1812TG(GC Rieber, 노르웨이) 등의 원료를 선택할 수 있으며 어느 한 원료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비이온 계면활성제로는 레시틴, 자당지방산에스테르, 소르비탄지방산에스테르,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지방산에스테르, 글리세린지방산에스테르 및 그의 유도체, 폴리글리세린지방산에스테르 중 1종 이상을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고 어느 한 원료를 한정하지는 않는다. 다만 HLB가를 10 이상인 것을 선택적으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사용한 시클로덱스트린류는 감마시클로덱스트인, 베타시클로덱스트린 등을 사용할 수 있는데 본 발명에서는 감마시클로덱스트린(WACKER, 독일)을 사용하였지만, 특별히 한정하지는 않는다.
본 발명에 사용하는 검류로서는 일반적으로 젤리 제조에 사용되어지는 검류를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데 어느 특정 검류로 한정하지는 않는다. 이에 사용할 수 있는 검류로는 한천, 산탄검, 로커스트콩검, 젤라틴, 카라기난, 구아검, 젤란검, 알긴산, 펙틴, 차전자피, 아라비아검의 천연 검류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검류이다.
하지만 본 발명에서는 어느 특정 검류를 국한하고 있지는 않으나,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제조 사용하기 편리하게 하기 위하여 일부 검류를 혼합하여 미리 제조된 검 믹스(MSC, 국산)를 사용하였다.
이하 본 발명을 제조실시예, 제조비교예 및 실시예를 통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이러한 실시예들로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제조실시예 1) 정제어유 함유 젤리의 제조
제조실시예 1의 정제어유 함유 젤리는 다음과 같이 제조하였다.
1포에 15g 젤리로 하여 에이코사펜타엔산(EPA)과 도코사헥사엔산(DHA) 합이 250mg 이상이 되도록 하여 1일 2포 섭취할 때 500mg 이상이 되도록 설계하였다.
먼저 정제어유를 수화시키는 단계로 정제수 23.7 중량%에 비이온 계면활성제 30 중량%를 넣고 고속유화기(Homo-mixer)에서 균질화시킨 후에 비타민E 2 중량%, 산탄검 0.3 중량%, 정제어유 40 중량%를 순차적으로 투입한다. 최종적으로 30분간 고속유화기로 유화하여 정제어유 수화액을 만든다.
상기와 같이 제조한 정제어유 수화액 100 중량%를 사용하여 정제어유 함유 젤리의 14 중량%에 해당하는 양으로 사용한다.
표 1은 제조실시예 1에서 제조된 정제어유 수화액의 조성을 나타낸 표이다.
성분 조성비(%) 제조량(g)
정제어유
(VIVOMEGA 1812TG)
40 6,000
정제수 23.7 3,555
글리세린지방산에스테르
(폴리글리세린지방산에스테르 100%, Almax-9081)
30 4,500
글리세린지방산에스테르 혼합제제
(Almax-9064)
4 600
비타민E
(d-a-tocopherol)
2 300
산탄검 0.3 45
합계 100 15,000
다음은 젤리 제조 탱크(main tank)에서 정제수 일정량에 아가베시럽 5 중량%, 포도농축액 3.3 중량%, 블루베리농축액 1.5 중량%와 상기의 정제어유 수화액 14 중량%를 쉐어 믹서(share mixer)로 혼합한다. 여기에 감마-시클로덱스트린 2 중량%, 결정과당 1 중량%, 수크랄로스 0.05 중량%, 젖산칼슘 0.03 중량%, 바이올렛칼라지 0.03 중량%를 투입하여 용해한다.
다음으로 검믹스 1.5 중량%를 서서히 투입하면서 뭉치지 않게 하고, 온도를 70∼90℃까지 올려 용해시킨다. 마지막으로 정제어유 수화액 14 중량%에 구연산 0.6 중량%, 블루베리향 0.4 중량%, 요구르트향 0.3 중량%, 크림소다향 0.3 중량%를 혼합 용해한 후 젤리 제조 탱크에 투입하고 탈포, 살균 공정을 거친다.
다음으로 젤리 스틱 포장장치로 젤리 제조물을 이송한 후 젤리 스틱 포장기에서 1포당 15g씩 자동 충진을 하여 냉장실로 이동하고 일정시간 냉각하여 제조를 완료하였다.
표 2는 제조실시예 1에서 제조된 정제어유 함유 젤리의 조성을 나타낸 표이다.
제조실시예 1에서 제조된 젤리의 조성
성분 조성비(%) 1포당(mg) 제조량(g)
정제어유 수화액 14 2,100 14,000
정제수 69.99 10,498.5 69,990
아가베시럽 5 750 5,000
포도농축액 3.3 495 3,300
감마-시클로텍스트린 2 300 2,000
검믹스 1.5 225 1,500
블루베리농축액 1.5 225 1,500
결정과당 1 150 1,000
구연산 0.6 90 600
요구르트향 0.3 45 300
블루베리향 0.4 60 400
크림소다향 0.3 45 300
수크랄로스 0.05 7.5 50
젖산칼슘 0.03 4.5 30
바이올렛칼라지 0.03 4.5 30
합계 100 15,000 100,000
(제조실시예 2) 정제어유 함유 젤리의 제조
제조실시예 2의 정제어유 함유 젤리는 다음과 같이 제조하였다.
제조실시예 1에서 사용된 정제어유 수화액 14 중량%를 11 중량%로 감소시키고 그 대신 정제수를 72.99 중량%로 제조실시예 1의 정제수보다 3 중량% 증량시킨 것을 제외하고는 제조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제조하였고 1포당 20g씩 자동 충진을 하여 냉장실로 이동하고 일정시간 냉각하여 제조를 완료하였다.
표 3은 제조실시예 2에서 제조된 정제어유 함유 젤리의 조성을 나타낸 표이다.
제조실시예 2에서 제조된 젤리의 조성
성분 조성비(%) 1포당 (mg) 제조량(g)
정제어유 수화액 11 2,200 11,000
정제수 72.99 14,598 72,990
아가베시럽 5 1,000 5,000
포도농축액 3.3 660 3,300
감마-시클로텍스트린 2 400 2,000
검믹스 1.5 300 1,500
블루베리농축액 1.5 300 1,500
결정과당 1 200 1,000
구연산 0.6 120 600
요구르트향 0.3 60 300
블루베리향 0.4 80 400
크림소다향 0.3 60 300
수크랄로스 0.05 10 50
젖산칼슘 0.03 6 30
바이올렛칼라지 0.03 6 30
합계 100 20,000 100,000
(제조실시예 3) 정제어유 함유 젤리의 제조
제조실시예 3의 정제어유 함유 젤리는 다음과 같이 제조하였다.
제조실시예 1에서 사용된 정제어유 수화액 14 중량%를 7 중량%로 감소시키고 그 대신 정제수를 76.99 중량%로 제조실시예 1의 정제수보다 7 중량% 증량시킨 것을 제외하고는 제조실시예1과 동일한 방법으로 제조하였고 1포당 30g씩 자동 충진을 하여 냉장실로 이동하고 일정시간 냉각하여 제조를 완료하였다.
표 4는 제조실시예 3에서 제조된 정제어유 함유 젤리의 조성을 나타낸 표이다.
제조실시예 3에서 제조된 젤리의 조성
성분 조성비(%) 1포당 (mg) 제조량(g)
정제어유 수화액 7 2,100 7,000
정제수 76.99 23,097 77,022
아가베시럽 5 1,500 5,000
포도농축액 3.3 990 3,235
감마-시클로텍스트린 2 600 2,000
검믹스 1.5 450 1,500
블루베리농축액 1.5 450 1,493
결정과당 1 300 1,040
구연산 0.6 180 600
요구르트향 0.3 90 300
블루베리향 0.4 120 400
크림소다향 0.3 90 300
수크랄로스 0.05 15 50
젖산칼슘 0.03 9 30
바이올렛칼라지 0.03 9 30
합계 100 30,000 100,000
(제조비교예 1) 종래 방법에 따른 정제어유 함유 젤리의 제조
제조비교예 1에서는 정제어유 수화액의 제조 단계 없이 일반적인 제조 방법으로 젤리를 다음과 같이 제조하였다.
또한 제조실시예에서 사용한 감마-시클로덱스트린은 배합하지 않고 유당으로 대체 증량하여 제조하였다.
제조실시예 1과 같이 1포에 15g 젤리로 하여 에이코사펜타엔산(EPA)과 도코사헥사엔산(DHA) 합이 250mg 이상이 되도록 하여 1일 2포 섭취할 때 500mg 이상이 되도록 설계하였다.
젤리 제조 탱크(main tank)에서 정제수 일정량에 아가베시럽 5 중량%, 포도농축액 3.3 중량%, 블루베리농축액 1.5 중량%을 쉐어 믹서(share mixer)로 혼합한다. 여기에 유당 2 중량%, 결정과당 5.2 중량%, 수크랄로스 0.05 중량%, 젖산칼슘 0.03 중량%, 바이올렛칼라지 0.03%을 투입하여 용해한다.
다음으로 검믹스 1.5 중량%를 서서히 투입하면서 뭉치지 않게 하고, 온도를 70 ~ 90℃까지 올려 용해시킨다. 여기에 정제어유 5.6 중량%를 서서히 투입하고, 마지막으로 나머지 정제수 일정량에 구연산 0.6 중량%, 블루베리향 0.4 중량%, 요구르트향 0.3 중량%, 크림소다향 0.3 중량%를 혼합 용해한 후 젤리 제조 탱크(main tank)에 투입하고 탈포, 살균 공정을 거친다.
다음으로 젤리 스틱 포장장치로 젤리 제조물을 이송한 후 젤리 스틱 포장기에서 1포당 15g씩 자동 충진을 하여 냉장실로 이동하고 일정시간 냉각하여 제조를 완료하였다.
표 5는 제조비교예 1에서 제조된 정제어유 함유 젤리의 조성을 나타낸 표이다.
제조비교예 1에서 제조된 젤리의 조성
성분 조성비(%) 1포당(mg) 제조량(g)
정제어유 5.6 840 5,600
정제수 74.19 11,128.5 74,190
아가베시럽 5 750 5,000
포도농축액 3.3 495 3,300
유당 2 300 2,000
검믹스 1.5 225 1,500
블루베리농축액 1.5 225 1,500
결정과당 5.2 780 5,200
구연산 0.6 90 600
요구르트향 0.3 45 300
블루베리향 0.4 60 400
크림소다향 0.3 45 300
수크랄로스 0.05 7.5 50
젖산칼슘 0.03 4.5 30
바이올렛칼라지 0.03 4.5 30
합계 100 15,000 100,000
(제조비교예 2) 종래 방법에 따른 정제어유 함유 젤리의 제조
제조비교예 2의 정제어유 함유 젤리는 다음과 같이 제조하였다.
제조비교예 2는 제조비교예 1과 동일한 제조 방법으로 젤리를 제조하였고, 제조된 젤리의 배합하는 중량%와 조성비는 다음 표 6에 표시된 제조량으로 하였다.
제조비교예 2에서 제조된 젤리의 조성
성분 조성비(%) 1포당 (mg) 제조량(g)
정제어유 4.4 880 4,400
정제수 76.29 15,258 76,290
아가베시럽 5 1,000 5,000
포도농축액 3.3 660 3,300
유당 2 400 2,000
검믹스 1.5 300 1,500
블루베리농축액 1.5 300 1,500
결정과당 4.3 860 4,300
구연산 0.6 120 600
요구르트향 0.3 60 300
블루베리향 0.4 80 400
크림소다향 0.3 60 300
수크랄로스 0.05 10 50
젖산칼슘 0.03 6 30
바이올렛칼라지 0.03 6 30
합계 100 20,000 100,000
(제조비교예 3) 종래 방법에 따른 정제어유 함유 젤리의 제조
제조비교예 3의 정제어유 함유 젤리는 다음과 같이 제조하였다.
제조비교예 3은 제조비교예 1과 동일한 제조 방법으로 젤리를 제조하였고, 제조된 젤리의 배합하는 중량%와 조성비는 다음 표 7에 표시된 제조량으로 하였다.
제조비교예 3에서 제조된 젤리의 조성
성분 조성비(%) 1포당 (mg) 제조량(g)
정제어유 2.8 840 2,800
정제수 76.99 23,097 76,990
아가베시럽 5 1,500 5,000
포도농축액 3.3 990 3,300
유당 2 600 2,000
검믹스 1.5 450 1,500
블루베리농축액 1.5 450 1,500
결정과당 5.2 1,560 5,200
구연산 0.6 180 600
요구르트향 0.3 90 300
블루베리향 0.4 120 400
크림소다향 0.3 90 300
수크랄로스 0.05 15 50
젖산칼슘 0.03 9 30
바이올렛칼라지 0.03 9 30
합계 100 30,000 100,000
(실시예 1) 젤리의 비린내 비린맛의 측정
상기와 같이 제조된 제조실시예 1, 2, 3 과 제조비교예 1, 2, 3으로 제조된 젤리를 가지고 각 조건별로 보관하면서 젤리의 비린내와 비린맛에 대하여 시간 경과에 따른 변화 정도를 측정하였다.
실험은 관능검사 요원 10명으로 하여 냉장, 25℃, 35℃에서 시간별로 보관한 제조실시예 1, 2, 3 과 제조비교예 1, 2, 3 의 스틱 젤리 검체를 갖고서 관능 검사하였다.
관능 검사 방법은 비린내, 비린맛 정도에 따라 0점에서부터 5점까지 점수를 부여하여 총 합계 후에 평점법으로 하였다.
* 비린내, 비린맛을 전혀 느낄수 없음 : 0점
* 비린내, 비린맛이 아주 조금 느껴짐 : 1점
* 비린내, 비린맛이 조금 느껴짐 : 2점
* 비린내, 비린맛이 바로 느껴짐 : 3점
* 비린내, 비린맛이 심하게 느껴짐 : 4점
* 비린내, 비린맛이 매우 심하게 느껴짐 : 5점
비린내에 대한 관능 검사 결과
보관조건 검체 제조 직후 7일 경과 15일 경과 30일 경과
냉장 제조실시예 1 0 0 0 0
제조실시예 2 0 0 0 0
제조실시예 3 0 0 0 0
제조비교예 1 1.2 1.5 2.0 2.2
제조비교예 2 0.7 0.9 1.1 1.3
제조비교예 3 0 0 0 0.3
25℃ 제조실시예 1 0 0 0 0
제조실시예 2 0 0 0 0
제조실시예 3 0 0 0 0
제조비교예 1 1.2 1.9 2.4 2.8
제조비교예 2 0.7 1.1 1.6 2.3
제조비교예 3 0 0.5 0.9 1.3
35℃ 제조실시예 1 0 0 0.2 0.5
제조실시예 2 0 0 0 0
제조실시예 3 0 0 0 0
제조비교예 1 1.2 3.6 5.0 5.0
제조비교예 2 0.7 2.1 4.6 5.0
제조비교예 3 0 0.9 2.9 5.0
비린맛에 대한 관능 검사 결과
보관조건 검체 제조 직후 7일 경과 15일 경과 30일 경과
냉장 제조실시예 1 0 0 0 0
제조실시예 2 0 0 0 0
제조실시예 3 0 0 0 0
제조비교예 1 1.5 2.0 2.2 2.6
제조비교예 2 0.7 1.0 1.1 1.3
제조비교예 3 0 0 0 0.5
25℃ 제조실시예 1 0 0 0 0
제조실시예 2 0 0 0 0
제조실시예 3 0 0 0 0
제조비교예 1 1.5 2.9 3.8 4.5
제조비교예 2 0.7 1.1 2.9 4.3
제조비교예 3 0 0.5 0.9 1.3
35℃ 제조실시예 1 0 0 0.4 0.6
제조실시예 2 0 0 0 0
제조실시예 3 0 0 0 0
제조비교예 1 1.5 5.0 5.0 5.0
제조비교예 2 0.7 4.7 5.0 5.0
제조비교예 3 0 2.9 5.0 5.0
(실시예 2) 젤리 이수현상 측정
젤리의 이수현상은 젤리의 조직에서 물이 빠져나와 분리되는 현상으로서 젤리의 조직이 잘 형성되어 유지되어 있으면 발생되지 않지만, 검류의 겔화제가 부족하거나 제조할 때 겔 형성이 불균질하게 되었을 때 주로 나타난다.
하지만 본 발명과 같이 수용성인 젤리의 매질 사이에 정제어유의 유상을 넣어 짜먹는 젤리를 만들 때 젤리 내의 수분이 이탈하는 이수현상 뿐만 아니라 젤리 내의 유지가 이탈하는 이유현상이 일어나기 쉽다.
상기와 같이 제조된 제조실시예 1, 2, 3 과 제조비교예 1, 2, 3 의 검체 젤리를 가지고 각 조건별 냉장, 25℃, 35℃에 보관하면서 젤리의 이수현상을 측정하였다.
측정은 각 조건별 스틱 젤리의 검체를 5개로 하여 발생 개수를 체크하였다.
또한 발생되는 이수현상에 대한 양상을 측정하였다.
* 이수현상 없음 : ×
* 이수현상 미세한 발생 : ○
* 이수현상 심하게 발생 : ⊙
젤리의 이수현상 발생 정도
보관조건 검체 제조 직후 7일 경과 15일 경과 30일 경과
냉장 제조실시예 1 × × × ×
제조실시예 2 × × × ×
제조실시예 3 × × × ×
제조비교예 1 × × ×
제조비교예 2 × × × ×
제조비교예 3 × × × ×
25℃ 제조실시예 1 × × × ×
제조실시예 2 × × × ×
제조실시예 3 × × × ×
제조비교예 1 ×
제조비교예 2 ×
제조비교예 3 ×
35℃ 제조실시예 1 × × ×
제조실시예 2 × × ×
제조실시예 3 × × × ×
제조비교예 1 ×
제조비교예 2 ×
제조비교예 3 ×
젤리의 이수현상 발생 개수
보관조건 검체 제조 직후 7일 경과 15일 경과 30일 경과
냉장 제조실시예 1 0 0 0 0
제조실시예 2 0 0 0 0
제조실시예 3 0 0 0 0
제조비교예 1 0 0 0 2
제조비교예 2 0 0 0 0
제조비교예 3 0 0 0 0
25℃ 제조실시예 1 0 0 0 0
제조실시예 2 0 0 0 0
제조실시예 3 0 0 0 0
제조비교예 1 0 4 5 5
제조비교예 2 0 3 5 5
제조비교예 3 0 3 5 5
35℃ 제조실시예 1 0 0 0 2
제조실시예 2 0 0 0 1
제조실시예 3 0 0 0 0
제조비교예 1 0 5 5 5
제조비교예 2 0 5 5 5
제조비교예 3 0 5 5 5
실험 결과에 대한 고찰
상기의 실험 방법 및 결과를 고찰하여 보면 정제어유를 수화단계를 거치지 않고 그대로 투여한 제조비교예 1, 2, 3은 정제어유의 농도와 검체 보관기간, 보관온도에 따라서 젤리의 비린내와 비린맛의 정도 차이가 매우 심한 것을 알 수 있는 반면에 정제어유를 수용화 단계를 거쳐서 제조한 제조실시예 1, 2, 3은 실시예 1에서 나타난 것처럼 보관시간, 보관온도에도 변화가 없었으며, 단지 정제어유의 농도가 높은 제조실시예 1에서만 약간의 비린내와 비린맛이 느껴질 정도였다.
더욱이 이수현상을 실험한 실시예 2의 결과에서도 정제어유를 수용화 단계를 거치지 않고 그대로 투여한 제조비교예 1, 2, 3에서는 정제어유의 농도와 검체 보관기간, 보관온도에 따라서 차이가 나게 이수현상이 나타났지만 정제어유를 수용화 단계를 거쳐서 제조한 제조실시예 1, 2, 3은 실시예 2에서 나타난 것처럼 보관시간, 보관온도에도 변화가 없었으며, 단지 농도가 높은 제조실시예 1에서만 미세하게 이수현상이 나타났다.

Claims (6)

  1. ⅰ)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20∼200 중량부, 정제수 20∼200 중량부를 혼합 균질화시킨 후 정제어유 100 중량부를 첨가하여 정제어유 수화액을 제조하는 단계; 및
    ⅱ) 상기 정제어유 수화액 5∼30 중량%, 검류 0.5∼5 중량%, 시클로덱스트린류 0.1∼8 중량%, 정제수 65∼80 중량% 및 적량의 향료, 감미료, 색소 등을 혼합 용해시킨 후 농축, 살균시켜 젤리를 제조하는 단계;
    로 이루어진 정제어유 함유 짜먹는 젤리 조성물의 제조방법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정제어유는 에이코사펜타엔산(EPA)과 도코사헥사엔산(DHA)을 주성분으로 포함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짜먹는 젤리 조성물의 제조방법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는 레시틴, 자당지방산에스테르, 소르비탄 지방산 에스테르,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지방산 에스테르, 글리세린지방산 에스테르 및 그의 유도체 또는 폴리글리세린지방산 에스테르에서 선택된 1종 이상임을 특징으로 하는 정제어유 함유 짜먹는 젤리 조성물의 제조방법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검류는 한천, 산탄검, 로커스트콩검, 젤라틴, 카라기난, 구아검, 젤란검, 알긴산, 펙틴, 차전자피 또는 아라비아검의 천연 검류에서 선택된 1종 이상임을 특징으로 하는 정제어유 함유 짜먹는 젤리 조성물의 제조방법
  6. 제 1항의 방법에 따라 제조된 정제어유 함유 짜먹는 젤리 조성물
KR1020120052807A 2012-05-18 2012-05-18 정제어유를 함유한 짜먹는 젤리형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KR10136599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52807A KR101365998B1 (ko) 2012-05-18 2012-05-18 정제어유를 함유한 짜먹는 젤리형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52807A KR101365998B1 (ko) 2012-05-18 2012-05-18 정제어유를 함유한 짜먹는 젤리형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28785A KR20130128785A (ko) 2013-11-27
KR101365998B1 true KR101365998B1 (ko) 2014-02-24

Family

ID=498557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52807A KR101365998B1 (ko) 2012-05-18 2012-05-18 정제어유를 함유한 짜먹는 젤리형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6599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59555B1 (ko) * 2019-12-19 2022-02-09 주식회사 디네이쳐바이오랩스 오메가3 지방산을 포함하는 음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230019B1 (ko) * 2020-05-07 2021-03-19 황정흥 화이버 비드를 함유하는 젤리 조성물 및 이로 형성된 젤리
KR102230020B1 (ko) * 2020-05-07 2021-03-19 황정흥 알긴산 비드를 함유하는 젤리 조성물 및 이로 형성된 젤리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05091A (ko) * 1995-07-07 1997-02-19 신용달 생선젤리의 제조방법
JP2001275620A (ja) 2000-03-30 2001-10-09 Maruha Corp 調味液をゼリー化した魚介類のレトルト食品
KR20060047170A (ko) * 2004-10-22 2006-05-18 액세스 비지니스 그룹 인터내셔날 엘엘씨 오메가-3 식품 및 관련 제조방법
KR20090023539A (ko) * 2007-09-01 2009-03-05 정용현 섭취성이 개선된 오일 조성물 및 그를 제조하는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05091A (ko) * 1995-07-07 1997-02-19 신용달 생선젤리의 제조방법
JP2001275620A (ja) 2000-03-30 2001-10-09 Maruha Corp 調味液をゼリー化した魚介類のレトルト食品
KR20060047170A (ko) * 2004-10-22 2006-05-18 액세스 비지니스 그룹 인터내셔날 엘엘씨 오메가-3 식품 및 관련 제조방법
KR20090023539A (ko) * 2007-09-01 2009-03-05 정용현 섭취성이 개선된 오일 조성물 및 그를 제조하는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28785A (ko) 2013-11-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42117B1 (ko) 다불포화 지방산을 함유하는 수중유 에멀젼 및 이의 제조 방법
CN101389310B (zh) 乳剂
EP2555761B1 (en) Thermally stable oil-in-water emulsions containing an oil that contains polyunsaturated fatty acids
EP1782807B1 (en) Jelly composition
US20170064984A1 (en) Oil-in-water emulsions comprising a polyunsaturated fatty acid and methods of making the same
JP2013503611A (ja) 食用塩含有マイクロカプセル
JP2013543502A (ja) 酸味ゲル状乳剤
CN107580457A (zh) 脂质组合物
JP6459206B2 (ja) 高吸収型ユビキノール製剤
KR101365998B1 (ko) 정제어유를 함유한 짜먹는 젤리형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TWI779094B (zh) 含有吡咯并喹啉醌的橡皮糖及其製造方法
KR102390067B1 (ko) 이미 및 이취를 억제하기 위한 다가불포화지방산을 함유하는 오일을 포함하는 유화오일 조성물, 이를 포함하는 식품 및 이들의 제조방법
KR20090023539A (ko) 섭취성이 개선된 오일 조성물 및 그를 제조하는 방법
JP3278427B2 (ja) カプセル剤の製造方法
JPH09224578A (ja) γ−リノレン酸含有ゼリー状キャンディー及びその製造法
JP6602578B2 (ja) 経口組成物
KR20240051055A (ko) 생들기름을 함유한 스틱형 젤리 및 그 제조방법
KR20200142311A (ko) 용이한 섭취가 가능한 레시틴 페이스트 및 그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0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1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11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