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64547B1 - 의류 건조기 및 의류 건조 기능을 가진 세탁기 - Google Patents

의류 건조기 및 의류 건조 기능을 가진 세탁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64547B1
KR101364547B1 KR1020087008346A KR20087008346A KR101364547B1 KR 101364547 B1 KR101364547 B1 KR 101364547B1 KR 1020087008346 A KR1020087008346 A KR 1020087008346A KR 20087008346 A KR20087008346 A KR 20087008346A KR 101364547 B1 KR101364547 B1 KR 10136454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zone
drying
clothes
washing
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70083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52656A (ko
Inventor
나오키 히로
나오키 키타야마
쥰 히로세
모토키 코치
하루오 마미야
켄이찌로 도히
키요시 사라다
사야카 오야나기
Original Assignee
칭다오 하이어 워싱 머신 캄파니 리미티드
헤이어 그룹 코포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05295193A external-priority patent/JP4883978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5376182A external-priority patent/JP2007175223A/ja
Application filed by 칭다오 하이어 워싱 머신 캄파니 리미티드, 헤이어 그룹 코포레이션 filed Critical 칭다오 하이어 워싱 머신 캄파니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0800526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5265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645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6454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0General details of 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03Laundry conditioning arrangement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5/00Washing machines with receptacles, e.g. perforated, having a rotary movement, e.g. oscillatory movement, the receptacle serving both for washing and for centrifugally separating water from the laundry and having further drying means, e.g. using hot air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4/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34/14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measuring specific parameters
    • D06F34/18Condition of the laundry, e.g. nature or weight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3/00Parameters monitored or detected for the control of domestic laundry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3/02Characteristics of laundry or load
    • D06F2103/04Quantity, e.g. weight or variation of weight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3/00Parameters monitored or detected for the control of domestic laundry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3/02Characteristics of laundry or load
    • D06F2103/08Humidity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5/00Systems or parameters controlled or affected by the control systems of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5/38Conditioning or finishing, e.g. control of perfume injection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4/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34/28Arrangements for program selection, e.g. control panels therefor; Arrangements for indicating program parameters, e.g. the selected program or its progres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Detail Structures Of Washing Machines And Dryers (AREA)
  • Control Of Washing Machine And Dryer (AREA)

Abstract

오존에 의한 의류의 세정, 소취 및 제균 효과가 향상되고, 오존 발생 소자의 용이한 교환이 가능한, 또는 오존을 안전하게 제어할 수 있는 의류 건조기, 세탁기 및 의류 건조 기능을 가진 세탁기를 제공한다. 오존 발생 장치(40)는 받아들인 공기에 무성 방전을 가해서 오존을 발생시킨다. 이 오존은 블로어(20) 및 드럼(3)의 회전에 의해 건조풍로(15)에 흡입되고, 히터(21)에 가열된 공기에 혼입되어 입구(17)로부터 드럼(3)에 공급된다. 그 때문에, 건조되는 의류에 오존이 공급되어 의류가 효과적으로 소취 및 제균된다. 오존 발생 장치(40)는 건조풍로(15)로부터 떨어져 배치되어 있으므로 오존 발생 소자의 교환이 용이하게 된다. 건조 종료 후에는 드럼(3) 내의 오존이 산화 반응에 의해 소멸되어 있으므로, 사용자가 드럼(3)으로부터 의류를 인출할 때에 오존에 의해 영향을 받을 우려는 없다.
의류 건조기, 세탁기, 의류 건조 기능을 가진 세탁기

Description

의류 건조기 및 의류 건조 기능을 가진 세탁기{CLOTH DRIER AND WASHING MACHINE WITH CLOTH DRYING FUNCTION}
본 발명은 세탁하는 의류의 세정, 소취 및 제균 효과가 향상된 의류 건조기 및 의류 건조 기능을 가진 세탁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가열 장치에 의해 생성된 온풍을 순환 통로 내에서 순환시키고, 오존 발생 장치로 생성한 오존을 건조실 내의 의류에 공급함으로써 의류의 소취 및 제균을 행하는 것이 알려져 있고, 특허문헌1에 기재된 발명에서는 이부자리 건조기가 제안되어 있다.
또한, 특허문헌2에 기재된 발명에서는 이러한 소취 및 제균 수단을 이용한 세탁기가 제안되어 있다.
특허문헌1: 일본 특허 공개 평4-371199호 공보
특허문헌2: 일본 특허 공개 2002-320792호 공보
그러나, 특허문헌1에 기재된 이부자리 건조기에 있어서, 이부자리가 젖어 있는(습기를 띠고 있는) 상태에서 오존을 공급했을 경우, 오존 농도가 상당히 높지 않은 한 오존의 용해도가 낮으므로, 이부자리에 포함된 수분이 방해가 되어 이부자리 내부까지 오존이 침투되지 않아 소취 및 제균 효과의 향상을 도모할 수 없다.
한편, 특허문헌2에 기재된 세탁기에 있어서도 젖어 있는 의류에 대하여 오존을 공급하기 때문에 특허문헌1에 기재된 발명과 같은 과제가 남겨져 있고, 오존을 장시간 공급하거나, 오존 농도를 상당히 높게 하거나 하지 않으면, 의류에 포함된 수분이 방해가 되어 의류의 내부까지 오존이 침투되지 않아 소취 및 제균 효과를 충분하게 발휘할 수 없다.
또한, 오존 발생 장치에 있어서의 오존 발생 소자(예컨대 방전을 이용하여 오존을 발생시키는 것에 있어서는 기판 및 전극)가 상기 순환 풍로 내에 배치되어 있는 것도 있고, 이 경우, 오존 발생 소자의 교환에 수고가 든다.
또한, 사용하는 오존을 안전하게 제어하는 기술의 향상이 항상 요구되고 있다.
또한, 오존에는 의류의 오염 성분을 분해하는 것에 의한 세정 효과도 있고, 이러한 배경을 기초로 이루어진 본 발명은 오존에 의한 의류의 세정, 소취 및 제균 효과가 향상된 의류 건조기, 세탁기 및 의류 건조 기능을 가진 세탁기를 제공하는 것을 주된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오존 발생 소자의 용이한 교환이 가능한 의류 건조기, 세탁기 및 의류 건조 기능을 가진 세탁기를 제공하는 것을 다른 목적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오존을 안전하게 제어하는 것이 가능한 의류 건조기, 세탁기 및 의류 건조 기능을 가진 세탁기를 제공하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청구항1에 기재된 발명은, 의류의 건조를 행하기 위한 처리 조(處理槽)와, 일단 및 타단을 갖고, 타단은 상기 처리 조에 접속되어 있으며 일단측으로부터 상기 처리 조 내로 공기를 보내기 위한 건조풍로(乾燥風路)와, 상기 건조풍로에 구비되고, 일단측으로부터의 공기를 타단측으로부터 상기 처리 조 내로 보내기 위한 공기류를 발생시키는 송풍 수단과, 상기 건조풍로에 설치되고, 상기 건조풍로를 통과하는 공기를 가열하기 위한 가열 수단과, 상기 건조풍로 밖에 배치되어 있고, 입구로부터 공기를 흡입하여 이 공기로 오존을 발생시켜서 출구로부터 방출하기 위한 오존 발생 장치로서, 상기 출구는 상기 건조풍로의 공기의 흐름 방향으로 볼 때 상기 송풍 수단의 상류측에 연통되어 있는 오존 발생 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 건조기이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건조풍로의 공기의 흐름 방향으로 볼 때 송풍 수단의 상류측에 출구가 연통되고, 입구로부터 흡입된 외부의 공기로 오존을 발생시켜서 출구로부터 방출시키는 오존 발생 장치에 있어서, 오존 발생 장치 내는 부압이 되고, 입구로부터 흡입된 외부의 공기로부터 발생된 오존은 그 부압에 의해 출구로부터 건조풍로 내로 방출된다. 그 때문에, 발생시킨 오존을 방출하기 위한 특별한 장치(예컨대, 에어 펌프 등)를 설치할 필요가 없고, 간이한 기구에 의해 오존 발생 장치를 구성할 수 있다. 그리고, 건조한 의류에 오존이 공급되므로, 효과적으로 의류가 소취 및 제균된다. 또한, 이 오존 발생 장치는 건조풍로 밖에 배치되어 있으므로, 오존 발생 소자의 교환이 용이하게 된다.
청구항2에 기재된 발명은, 의류의 건조를 행하기 위한 처리 조와, 일단 및 타단을 갖고, 타단은 상기 처리 조에 접속되어 있으며 일단측으로부터 처리 조 내로 공기를 보내기 위한 건조풍로와, 상기 건조풍로에 구비되고, 일단측으로부터의 공기를 타단측으로부터 상기 처리 조 내로 보내기 위한 공기류를 발생시키는 송풍 수단과, 상기 건조풍로 내의 상기 건조풍로에 있어서의 공기의 흐름 방향으로 볼 때 상기 송풍 수단의 하류측에 설치되고, 상기 건조풍로를 통과하는 공기를 가열하기 위한 가열 수단과, 상기 건조풍로 밖에 배치되어 있고, 입구로부터 공기를 흡입하여 이 공기로 오존을 발생시켜서 출구로부터 방출하기 위한 오존 발생 장치로서, 상기 입구는 상기 송풍 수단 및 상기 가열 수단 사이에 위치하는 상기 건조풍로에 연통되고, 상기 출구는 상기 건조풍로의 공기의 흐름 방향으로 볼 때 상기 가열 수단의 하류측에 연통되어 있는 오존 발생 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 건조기이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입구가 송풍 수단 및 가열 수단 사이에 위치하는 건조풍로에 연통되고, 출구가 건조풍로의 공기의 흐름 방향으로 볼 때 가열 수단의 하류측에 연통되어 있는 오존 발생 장치는 건조풍로에 대한 바이패스가 된다. 그 때문에, 건조풍로 내를 흐르는 공기의 일부는 상기 입구로부터 오존 발생 장치 내로 유입되고, 오존을 발생시켜 그 오존이 계속해서 입구로부터 유입되어 오는 공기에 의해 밀려서 출구로부터 건조풍로 내로 방출된다. 이 때문에, 오존을 발생시키기 위한 공기를 외부로부터 받아들일 필요가 없고, 또한, 발생시킨 오존을 방출시키기 위한 특별한 장치를 설치할 필요도 없으므로, 오존 발생 장치의 간단화를 도모할 수 있다. 그리고, 건조되는 의류에 오존이 공급되므로, 효과적으로 의류가 소취 및 제균된다. 또한, 이 오존 발생 장치는 건조풍로 밖에 배치되어 있으므로, 오존 발생 소자의 교환이 용이하게 된다.
청구항3에 기재된 발명은, 상기 건조풍로에 설치되고, 상기 건조풍로를 통과하는 공기 중의 습기를 제거하기 위한 제습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건조풍로의 일단은 상기 처리 조에 접속되어 있고, 상기 건조풍로는 상기 처리 조 내의 공기를 순환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구항1 또는 청구항2에 기재된 의류 건조기이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건조풍로로 처리 조 내의 공기를 순환시킴으로써 의류의 수분을 흡수한 공기가 기기 밖으로 배출되는 것을 방지하면서, 건조풍로를 통과하는 공기 중의 습기를 제습 수단에 의해 제거함으로써 그 공기를 건조에 재이용할 수 있다.
청구항4에 기재된 발명은, 의류의 건조를 행하기 위한 처리 조와, 오존을 발생시키기 위한 오존 발생 장치와, 상기 처리 조 내의 의류의 건조 정도를 검지하기 위한 건조 정도 검지 수단과, 상기 건조 정도 검지 수단에 의해 검지되는 건조 정도가 미리 정한 상태로 된 후에 상기 오존 발생 수단에 의해 발생된 오존을 상기 처리 조 내로 공급하기 위한 오존 공급 제어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 건조기이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오존 공급 제어 수단은 건조 정도 검지 수단에 의해 검지되는 건조 정도가 미리 정한 상태로 되고나서 오존을 공급하므로, 오존이 의류의 내부에까지 효율 좋게 침투하고, 의류의 소취 및 제균 효과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청구항5에 기재된 발명은, 상기 오존 공급 제어 수단은 상기 처리 조에 있어서의 건조 운전이 종료될 때까지 상기 처리 조 내의 오존이 산화 반응에 의해 소멸되도록 시간을 고려해서 상기 건조 운전 종료 전에 오존 공급을 정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구항4에 기재된 의류 건조기이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건조 운전 종료 후에는 처리 조 내의 오존이 산화 반응에 의해 소멸되어 있으므로, 사용자가 처리 조로부터 의류를 인출할 때에 오존에 의해 영향을 받을 우려는 없다.
청구항6에 기재된 발명은, 건조 운전에 있어서 온도가 상승된 의류의 온도를 내리기 위한 쿨 다운(cool down)을 실시하고, 상기 오존 공급 제어 수단은 상기 쿨 다운 종료 전에 오존의 공급을 정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구항4 또는 청구항5에 기재된 의류 건조기이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건조 정도가 미리 정한 상태로 되었을 때, 예컨대 의류의 온도가 가장 높고, 건조되어 있는 상태에서 오존이 공급되므로, 오존이 의류의 내부에까지 효율 좋게 침투되어 의류의 소취 및 제균 효과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쿨 다운에 의해 건조한 의류의 온도를 내릴 수 있어, 사용자가 처리 조에서 쾌적에 의류를 인출할 수 있다. 또한, 쿨 다운 종료 전에 오존의 공급이 정지되어 있으므로, 건조 운전 종료 후에는 처리 조 내의 오존이 산화 반응에 의해 소멸되어 사용자가 처리 조에서 의류를 인출할 때에 오존에 의해 영향을 받을 우려는 없다.
청구항7에 기재된 발명은, 건조 운전에 있어서의 건조 공정 후에 있어서 온도가 상승된 의류의 온도를 내리기 위한 쿨 다운을 실시하고, 상기 오존 공급 제어 수단은 상기 쿨 다운시에 오존을 상기 처리 조 내로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구항4에 기재된 의류 건조기이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건조 공정이 종료된 후의 여분의 수분을 포함하지 않는 의류에 오존을 샤워시키기 때문에 오존이 수분의 방해를 받지 않고, 의류의 내부에까지 효율 좋게 침투되어 의류에 남아있는 냄새 성분이 오존에 의해 산화되어 소멸된다. 또한, 건조 공정에 있어서의 건조 열로는 제거할 수 없는 균 등이 남아있어도 그들 균의 제균을 할 수 있다.
청구항8에 기재된 발명은, 의류의 건조를 행하기 위한 처리 조와, 일단 및 타단을 갖고, 타단은 상기 처리 조에 접속되어 있으며 일단측으로부터 상기 처리 조 내로 공기를 보내기 위한 건조풍로와, 상기 건조풍로에 구비되고, 일단측으로부터의 공기를 타단측으로부터 상기 처리 조 내로 보내기 위한 공기류를 발생시키는 송풍 수단과, 상기 건조풍로에 설치되고, 상기 건조풍로를 통과하는 공기를 가열하기 위한 가열 수단과, 상기 건조풍로 밖에 배치되어 있고, 오존을 발생시키기 위한 오존 발생 장치와, 상기 오존 발생 장치에 의해 발생된 오존을 상기 건조풍로를 통해서 상기 처리 조 내로 공급하기 위한 오존 공급 제어 수단을 갖고, 상기 송풍 수단 및 상기 가열 수단을 동작시켜 상기 처리 조 내에 가열 공기를 도입해서 상기 처리 조 내의 의류를 건조시키는 건조 공정, 및 상기 건조 공정 종료 후에 상기 처리 조 내의 의류의 온도를 내리기 위한 쿨 다운 공정을 행하는 의류 건조기로서, 상기 오존 공급 제어 수단은 상기 쿨 다운 공정시에 상기 오존 발생 장치에 의해 발생된 오존을 상기 처리 조 내로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 건조기이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건조 공정이 종료된 후의 여분의 수분을 포함하지 않는 의류에 오존을 샤워시키기 때문에 오존이 수분의 방해를 받지 않고, 의류의 내부에까지 효율 좋게 침투되어 의류에 남아있는 냄새 성분이 오존에 의해 산화되어 소멸된다. 또한, 건조 공정에 있어서의 건조 열로는 제거할 수 없는 균 등이 남아있어도 그들 균의 제균을 할 수 있다. 또한, 건조풍로에 있어서 타단뿐만 아니라 일단도 처리 조에 접속시킴으로써 건조풍로를 처리 조 내의 공기를 순환시키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청구항9에 기재된 발명은, 상기 쿨 다운 공정은 상기 처리 조 내에 오존을 공급하는 제균 공정인 전반부와, 상기 제균 공정에 있어서 공급된 오존을 산화 반응에 의해 소멸시키는 오존 소멸 공정인 후반부로 구분되고, 상기 오존 소멸 공정이 개시되고나서 소정 시간이 경과될 때까지는 상기 쿨 다운 공정은 종료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구항8에 기재된 의류 건조기이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제균 공정에 있어서 처리 조 내로 공급된 오존이 산화 반응에 의해 소멸되는 오존 소멸 공정이 개시하고나서, 오존이 산화 반응에 의해 소멸되기 위해 필요한 소정 시간이 경과될 때까지는 쿨 다운 공정이 종료되지 않으므로, 오존 냄새 등이 외부에 떠돌지 않아 안전하게 의류를 인출할 수 있다.
청구항10에 기재된 발명은, 상기 처리 조는 의류의 건조 전에 물을 모아서 의류를 세탁함과 아울러 의류를 탈수하는 것이 가능한 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구항4 내지 청구항9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의류 건조 기능을 가진 세탁기이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동일의 세탁 조에서 의류의 세탁, 탈수 및 건조를 할 수 있으므로, 상기 높은 소취 및 제균 효과, 오존 발생 소자의 교환의 용이성 및 오존에 관한 높은 안전성에 추가로, 외형 치수를 억제한 의류 건조 기능을 가진 세탁기를 제공할 수 있다.
청구항11에 기재된 발명은, 의류를 수용하고, 수용한 의류의 세탁 및 탈수를 행하기 위한 처리 조와, 오존을 발생시키기 위한 오존 발생 장치와, 상기 오존 발생 장치에 의해 발생된 오존을 상기 처리 조 내로 공급하기 위한 오존 공급 제어 수단을 갖는 세탁기로서, 상기 오존 공급 제어 수단은 의류의 탈수를 행하는 탈수 공정시에 상기 오존 발생 장치에 의해 발생된 오존을 상기 처리 조 내로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이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세탁 후의 의류의 탈수 공정 중에 있어서도 처리 조 내에 오존을 공급함으로써 탈수 중에도 처리 조의 내주벽에 붙어 있는 의류에 오존을 샤워시키기 때문에 의류의 소취 및 제균 효과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청구항12에 기재된 발명은, 상기 처리 조는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회전 드럼을 포함하고, 상기 오존 공급 제어 수단은 상기 회전 드럼의 회전수가 미리 정해진 탈수 회전수에 도달했을 때부터 상기 오존 발생 장치에 의해 발생된 오존을 상기 처리 조 내로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구항11에 기재된 세탁기이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회전 드럼의 회전수가 의류로부터 여분의 수분이 대체로 제거되는 미리 정한 회전수에 도달되었을 때부터 처리 조 내에 오존을 공급하므로, 오존이 수분의 방해를 받지 않아 의류의 소취 및 제균 효과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청구항13에 기재된 발명은, 의류를 교반하기 위한 교반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오존 공급 제어 수단은 상기 탈수 공정 후에 상기 교반 수단에 의해 의류를 교반하면서 오존을 상기 처리 조 내로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구항12에 기재된 세탁기이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교반 수단(배플(baffle)이나 펄세이터(pulsator) 등)에 의해 의류가 교반되므로, 오존을 의류에 구석구석까지 샤워시킬 수 있다. 또한, 오존이 공급되는 의류는 탈수 후의 것이고, 오존 공급의 방해가 되는 여분의 수분이 감소되어 있으므로, 오존에 의한 소취 및 제균 효과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청구항14에 기재된 발명은, 의류를 수용하고, 수용한 의류의 세탁 및 탈수를 행하기 위한 처리 조와, 오존을 발생시키기 위한 오존 발생 장치와, 상기 오존 발생 장치에 의해 발생된 오존을 상기 처리 조 내로 공급하기 위한 오존 공급 제어 수단을 갖고, 탈수 후에 운전을 종료하는 세탁 운전을 행하는 세탁기로서, 상기 오존 공급 제어 수단은 상기 세탁 운전에 있어서 의류의 탈수 후에 상기 오존 발생 장치에 의해 발생된 오존을 상기 처리 조 내로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이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탈수 후에 세탁을 완료하는 경우에 있어서 의류의 소취 및 제균 효과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특히, 탈수 전의 세탁이나 헹구기에 있어서 목욕물 등을 이용하는 경우에는 목욕물에 포함되는 냄새 성분 및 잡균 성분이 의류에 부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청구항15에 기재된 발명은, 일단 및 타단을 갖고, 타단은 상기 처리 조에 접속되어 있으며 일단측으로부터 상기 처리 조 내로 공기를 보내기 위한 공기로와, 상기 공기로에 구비되고, 일단측으로부터의 공기를 타단측으로부터 상기 처리 조 내로 보내기 위한 공기류를 발생시키는 송풍 수단과, 상기 공기로에 설치되고, 상기 공기로를 통과하는 공기를 가열하기 위한 가열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오존 발생 장치는 상기 공기로와 접속되어 있고, 상기 오존 공급 제어 수단은 오존 공급시에 상기 송풍 수단 및 상기 가열 수단을 동작시켜 상기 공기로를 통과하는 가열 공기와 함께 오존을 상기 처리 조 내로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구항11 내지 청구항14 중 어느 항에 기재된 세탁기이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오존 공급시에 송풍 수단과 가열 수단을 병용하고, 가열에 의해 활성화된 오존을 함유하는 공기를 처리 조 내에 공급해서 의류에 샤워시키기 때문에 의류의 소취 및 제균 효과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공기로에 있어서 타단뿐만 아니라 일단도 처리 조에 접속시킴으로써 공기로를 처리 조 내의 공기를 순환시키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청구항16에 기재된 발명은, 물을 모으고, 의류를 수용해서 세탁 및 탈수를 행함과 아울러 의류의 건조를 행하기 위한 처리 조와, 일단 및 타단을 갖고, 타단은 상기 처리 조에 접속되어 있으며 일단측으로부터 상기 처리 조 내로 공기를 보내기 위한 건조풍로와, 상기 건조풍로에 구비되고, 일단측으로부터의 공기를 타단측으로부터 상기 처리 조 내로 보내기 위한 공기류를 발생시키는 송풍 수단과, 상기 건조풍로에 설치되고, 상기 건조풍로를 통과하는 공기를 가열하기 위한 가열 수단과, 상기 건조풍로 밖에 배치되어 있고, 오존을 발생시키기 위한 오존 발생 장치와, 상기 오존 발생 장치에 의해 발생된 오존을 상기 건조풍로를 통해서 상기 처리 조 내로 공급하기 위한 오존 공급 제어 수단과, 세탁 및 탈수를 행하는 세탁 코스와, 세탁, 탈수 및 건조를 행하는 세탁 건조 코스와, 건조를 행하는 건조 코스를 선택하는 선택 수단을 갖는 의류 건조 기능을 가진 세탁기로서, 상기 오존 공급 제어 수단은 상기 세탁 코스가 선택되었을 때에는 의류의 탈수를 행하는 탈수 공정시 및/또는 상기 탈수 공정 후에 오존을 상기 처리 조 내로 공급하고, 상기 세탁 건조 코스 또는 상기 건조 코스가 선택되었을 때에는 건조 운전시에 오존을 상기 처리 조 내로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 건조 기능을 가진 세탁기이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사용자가 선택하는 코스에 따라 최적의 타이밍에서 처리 조 내에 오존이 공급되도록 제어되기 때문에, 사용자가 처리 조 내에 오존을 공급할지의 여부의 설정을 적절히 할 필요가 없어져 효과적으로 오존에 의한 의류의 소취 및 제균 처리가 행해진다. 또한, 건조 운전에는 의류의 건조를 행하는 건조 공정과, 건조 공정에서 가열된 의류의 온도를 내리기 위한 쿨 다운 공정이 포함된다. 또한, 건조풍로에 있어서 타단뿐만 아니라 일단도 처리 조에 접속시킴으로써 건조풍로를 처리 조 내의 공기를 순환시키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청구항17에 기재된 발명은, 의류를 수용하고, 수용한 의류의 세탁을 행하기 위한 처리 조와, 오존을 발생시키기 위한 오존 발생 장치와, 상기 오존 발생 장치에 의해 발생된 오존을 상기 처리 조 내로 공급하기 위한 오존 공급 제어 수단을 갖는 세탁기로서, 상기 오존 공급 제어 수단은 세정 공정의 급수 전에 상기 오존 발생 장치에 의해 발생된 오존을 상기 처리 조 내로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이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세정 공정 전의 건조한 의류에 오존을 샤워시킴으로써 오존이 의류의 내부에까지 효율 좋게 침투되고, 의류에 부착되어 있는 균 등은 오존에 의해 산화 분해되어 수용성이 높게 되어 있기 때문에, 세정 공정에 있어서의 세정에 의해 용이하게 의류로부터 제거되도록 세정 효과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소취 효과 및 제균 효과의 향상을 도모할 수도 있다.
청구항18에 기재된 발명은, 상기 오존 공급 제어 수단에 의한 오존의 공급전 및/또는 공급 중에 상기 처리 조 내를 따뜻하게 하는 가열 수단을 추가로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구항17에 기재된 세탁기이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가열 수단에 의해 처리 조 내의 건조한 의류는 고온으로 되므로, 오존에 의한 소취 및 제균 효과가 한층 향상한다. 특히 고온하에 있어서는 소취 효과가 촉진된다.
청구항19에 기재된 발명은, 상기 처리 조 내의 의류의 양을 검지하는 부하량 검지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부하량 검지 수단에 의해 검지된 부하량이 소정값 이하일 때에는 상기 오존 공급 제어 수단은 오존을 상기 처리 조 내로 공급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구항17 또는 청구항18에 기재된 세탁기이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부하량 검지 수단에 의해 검지된 부하량이 소정값 이하일 경우에는 오존 공급 제어 수단은 오존의 공급을 하지 않는다. 그 때문에, 미반응 오존의 농도가 높게 되는 것을 방지하여 오존을 안전하게 제어할 수 있다.
청구항20에 기재된 발명은, 세탁기에 대해서 세제를 이용하지 않고 세탁을 행한다는 취지의 신호가 주어진 것에 응답하여, 상기 오존 공급 제어 수단은 오존을 상기 처리 조 내로 공급하고, 상기 오존 공급에 이어서 세제를 이용하지 않고 물만으로 상기 처리 조에 수용된 의류를 세정하고, 그 후, 의류를 헹구는 세제 없는 세탁 코스를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구항17 내지 청구항19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세탁기이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세정 공정 전의 건조된 의류에 오존을 샤워시킴으로써 청구항17에 기재된 발명과 같은 세정, 소취 및 제균의 효과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고, 또한, 세제를 이용하지 않고 세정이 행해지므로, 세정에 이용된 물이 기기 밖으로 배출되어도 그 물은 환경에 우수하다. 이러한 세제를 이용하지 않는 세정은 매일 세탁하는 타올, 내의 등의 오염이 적은 의류를 세정하는데에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따른 전기 세탁기의 구성의 개요를 나타내는 측면 종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 있어서 변형예에 의한 오존 발생 장치를 적용한 것이다.
도 3은 도 1 및 도 2에 나타내는 세탁기의 본 발명에 관련된 제어 부분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4는 세정 공정 전에 있어서의 오존 공급에 있어서 도 3에 나타내는 제어부의 제어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차트이다.
도 5는 건조 공정에 있어서의 오존 공급에 있어서 도 3에 나타내는 제어부의 제어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차트이다.
도 6은 건조 공정에 있어서 경과 시간(가로축)에 따라 변화되는 부재의 상태(세로축)를 나타낸 그래프이고, (a)는 출구(16)의 온도, (b)는 히터(21)의 동작 상태, (c)는 블로어(20)의 회전 상태, (d)는 오존의 드럼(3) 내로의 공급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에 따른 세탁기의 사시도이며, 전방 우측 비스듬히 상방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에 따른 세탁기를 전후 방향에 걸친 연직면으로 절단했을 때의 단면을 측방으로부터 바라본 개략 측단면도이다.
도 9는 도 7 및 도 8에 나타내는 세탁기(101)의 본 발명에 관련된 제어 부분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0은 도 9에 나타내는 조작부(171)의 구체적인 평면도이다.
도 11은 건조 운전시에 있어서의 오존을 이용한 의류의 제균 처리를 설명하는 타이밍 도면이다.
도 12는 최종 탈수 운전시에 있어서의 오존을 이용한 의류의 제균 처리를 설명하는 타이밍 도면이다.
도 13은 최종 탈수 공정시에 있어서의 오존을 이용한 의류의 제균 처리의 다른 예를 설명하는 플로우차트이며, 도 12에 나타내는 제균 처리의 변형예이다.
도 14는 오존 세정 공정의 플로우차트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세탁기 3 : 드럼
13 : 온도 센서 15 : 건조풍로
16 : 출구 17 : 입구
18 : 제습 파이프 20 : 블로어
21 : 히터 40 : 오존 발생 장치
51 : 제어부 101 : 세탁기
103 : 드럼 116 : 건조풍로
117 : 출구 118 : 입구
119 : 제습 파이프 121 : 블로어
122 : 히터 147 : 오존 발생 장치
161 : 제어부 171 : 조작부
<제 1 실시형태>
이하에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설명을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따른 전기 세탁기의 구성의 개요를 나타내는 측면 종단면도이다. 이 실시형태에 따른 세탁기(1)는 그 외측 셸이 하우징(2)에 의해 구획되어 있다. 하우징(2) 내의 중앙부에는 처리 조로서의 드럼(3)이 배치되어 있다.
드럼(3)은 원통 형상을 이루고 있고, 동일하게 원통 형상의 외측 조(5) 내에 동축상으로 수용되어 있다. 이 실시형태에서는 드럼(3) 및 외측 조(5)가 세탁 조(처리 조)를 구성하고 있고, 드럼(3)의 전방이 비스듬히 상방을 향하는 소위 경사진 드럼 배치 구조로 되어 있다. 드럼(3) 및 외측 조(5)의 앞쪽 끝면은 개방되어 있고, 그것을 폐쇄하기 위해 하우징(2)의 앞면에는 문(6)이 구비되어 있다. 외측 조(5)의 뒤쪽 끝면 후방에는 모터(7)가 구비되고, 드럼(3)은 모터(7)에 의해 회전축(8)을 중심으로 회전된다.
세탁 및 탈수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세탁시에는 외측 조(5)에 물이 모아진다. 외측 조(5)는 공밀적(空密的), 액밀적으로 구성되어 있지만, 드럼(3)은 그 둘레면에 다수의 작은 구멍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외측 조(5)에 물이 모아지면, 모아진 물은 드럼(3) 내에도 들어가고, 세정용 물이 드럼(3) 내에도 고인다. 드럼(3)의 내주면에는 적절한 개소에 배플(9)이 돌출되게 형성되어 있다. 세탁을 하는 의류는 문(6)이 개방되어 하우징(2)의 앞면으로부터 드럼(3) 내에 수용된다. 문(6)이 폐쇄된 후, 드럼(3)이 모터(7)에 의해 회전되면, 드럼(3) 내의 물을 포함한 의류는 배플(9)에 의해 들어 올려지고, 자연 낙하되는 소위 비트 워시(beat wash)가 행해진다.
외측 조(5)의 최하단부, 즉 뒤쪽 끝면 하방에는 배수구(10)가 형성되고, 배수구(10)에는 하우징(2) 밖으로 연장된 배수관(11)이 연통되어 있다. 배수관(11)의 도중에는 배수 밸브(12)가 끼워져 삽입되어 있다. 배수 밸브(12)가 「개방」으로 되면 외측 조(5) 내의 물이 하우징(2) 밖으로 배출된다.
그리고, 외측 조(5) 내의 물이 배출된 후, 모터(7)에 의해 드럼(3)이 탈수 회전(고속 회전)되어 의류에 포함되는 수분이 탈수된다.
이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1)는 세탁 및 탈수에 추가로, 건조를 행할 수 있다. 그 때문에, 외측 조(5)의 뒤쪽 끝면 하방에는 건조풍로(15)의 출구(16)가 연통되어 있다. 또한, 출구(16)에는 출구(16)의 온도를 측정하는 건조 정도 검지 수단으로서의 온도 센서(13)가 구비되어 있다. 건조풍로(15)는 외측 조(5)의 뒤쪽 끝면을 따라서 비스듬히 상방으로 연장되고, 외측 조(5)의 상부를 따라서 전방측으로 유입되어 외측 조(5)의 상부 둘레면을 따라 전방으로 연장되고, 그 선단은 외측 조(5)의 전방 둘레면에 입구(17)로서 연통되어 있다. 이 건조풍로(15)는 외측 조(5)의 뒤쪽 끝면을 따라 비스듬히 상방으로 연장되는 영역이 제습 수단으로서의 제습 파이프(18)로서 기능하고 있다. 드럼(3) 내의 고온 다습의 공기는 출구(16)로부터 나와 제습 파이프(18) 내를 상방으로 이동한다. 그 때, 제습 파이프(18) 내에서는 도시하지 않은 수관으로부터 물이 낙하된다. 이 물과 고온 다습의 공기가 열 교환을 하여 고온 다습의 공기의 냉각 및 제습이 행해진다. 그리고, 수관으로부터의 물과 제습되었을 때에 액화된 수분이 제습 파이프(18) 내를 낙하한 후, 출구(16)를 통해서 배수구(10)에 도달하고, 배수 밸브(12)가 개방되면 하우징(2) 밖으로 배출된다.
건조풍로(15) 내에는 공기의 흐름 방향으로 볼 때 제습 파이프(18)의 하류측에 필터(19)가 내부 삽입되고, 또한 그 하류측에는 송풍 수단으로서의 블로어(20)가 설치되어 있다. 블로어(20)가 회전됨으로써 드럼(3) 내의 공기가 출구(16)로부 터 나와서 건조풍로(15) 내를 이동하고, 입구(17)로부터 다시 드럼(3) 내에 공급된다. 건조풍로(15)의 블로어(20)보다 하류측에는 가열 수단으로서의 히터(21)가 내부 삽입되어 있다. 건조풍로(15)를 통과하는 공기는 제습 파이프(18)에 있어서 제습되고, 그 후, 가열 수단으로서의 히터(21)에 의해 가열되어서 입구(17)로부터 드럼(3)에 공급된다. 이와 같이, 건조풍로(15)에서 드럼(3) 및 외측 조(5) 내의 공기를 순환시킴으로써 의류의 수분을 흡수한 공기가 기기 밖으로 배출되는 것을 방지하면서, 건조풍로(15)를 통과하는 공기 중의 습기를 제습 파이프(18)에서 제거함으로써 그 공기를 건조하게 재이용할 수 있다.
하우징(2) 내의 외측 조(5)의 상부에는 오존 발생 장치(40)가 설치되어 있다. 오존 발생 장치(40)는 그 전방측에 구비되어 하우징(2)의 외표면에 개구부를 갖는 공기 유로(45)로부터 필터(41)를 통해 받아들여진 공기에 대해서 무성 방전을 가해서 오존을 발생시키는 장치이다. 오존 발생 장치(40)를 통과한 공기에는 오존이 함유되어 있다.
오존 발생 장치(40)에 의해 발생되는 오존을 함유한 공기는 또한, 공급로(44)에 의해 건조풍로(15)에 주어진다. 주어지는 위치는 건조풍로(15)에 있어서의 필터(19)의 하류측이며, 블로어(20)의 상류측(블로어(20)의 흡입측)이다. 블로어(20)가 회전하면, 그 흡입측이 부압이 되고, 오존을 함유하는 공기가 공급로(44)를 통해서 블로어(20)에 흡입된다. 그리고 건조풍로(15)를 순환되는 공기에 오존이 혼입되어서 오존은 입구(17)로부터 드럼(3)에 공급된다. 이 때문에, 발생시킨 오존을 방출하기 위한 에어 펌프 등의 특별한 장치를 설치할 필요가 없고, 간이한 기구 에 의해 오존 발생 장치(40)를 구성할 수 있다. 또한, 공급로(44)에는 오존을 함유한 공기를 통과시킬지의 여부를 제어하기 위해서 밸브(50)가 개재되어 있다. 건조풍로(15)를 공기가 순환되는 것은 드럼(3) 내의 의류가 건조될 때이다. 이 때문에, 건조되는 의류에 대해서 오존이 공급되고, 의류에 부착되어 있는 냄새 성분이나, 잡균 성분은 공급되는 오존에 의해 산화되어 소취 및 제균된다. 오존을 샤워하는 의류가 건조되어 있을수록 오존이 의류의 내부에까지 침투되므로 소취 및 제균의 효과는 높다. 또한, 히터(21)에 가열된 공기가 드럼(3) 내에 공급됨으로써 의류도 고온이 되고, 오존에 의한 의류의 소취 및 제균의 효과는 한층 높게 된다. 특히 소취 효과는 고온하에서 더욱 향상된다. 또한, 오존에 의해 의류의 소취 및 제균이 행해지고 있는 동안, 드럼(3)은 항상 회전하고 있다. 드럼(3)이 회전함으로써 외측 조(5) 내에서는 기류가 발생된다. 이 기류에 의해 드럼(3)이 배치된 외측 조(5)에 연통하는 건조풍로(15)의 입구(17)를 통해서 건조풍로(15) 내에 바람의 흐름이 생기므로, 오존을 드럼(3) 내에 더 한층 공급할 수 있고, 또한, 드럼(3)이 회전함으로써 의류가 교반되므로, 오존을 의류에 구석구석까지 샤워시킬 수 있고, 결과적으로 의류의 소취 및 제균이 촉진된다. 또한, 이 오존 발생 장치(40)는 건조풍로(15)로부터 떨어져 외측 조(5)의 상부에 배치되어 있으므로, 무성 방전을 행하여 오존을 발생시키는 오존 발생 소자의 교환이 용이하게 된다.
또한, 드럼(3)을 수용한 외측 조(5)는 액밀적 또한 공밀적인 구조이며, 오존 발생 장치(40)에 의해 발생되는 오존이 하우징(2)으로부터 외부에 누출될 일은 없다. 따라서, 이 세탁기(1)는 오존 냄새 등이 외부에 떠돌거나 하지 않는 안전하고 또한 사용상의 문제점이 없는 장치로 할 수 있다.
또한, 오존 발생 장치(40)의 변형예로서 도 2에 나타내는 것을 들 수 있다. 또한, 도 2에 있어서 상기에 설명한 부재와 같은 부재에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붙여 그 설명을 생략한다.
이 오존 발생 장치(40)는 건조풍로(15)에 대한 바이패스가 되고, 그 상류측에는 흡입로(43)가 접속되고, 그 하류측에는 상술한 공급로(44)가 접속되어 있다. 흡입로(43)의 오존 발생 장치(40)에 접속된 일단부와는 반대측의 타단부는 건조풍로(15)에 있어서의 블로어(20)의 하류측(블로어(20)의 토출측)에서 히터(21)의 상류측의 위치에 연통하고 있다. 공급로(44)의 오존 발생 장치(40)에 접속된 일단부와는 반대측의 타단부는 건조풍로(15)에 있어서의 히터(21)의 하류측에서 입구(17)의 상류측의 위치에 연통하고 있다.
그 때문에, 건조풍로(15)를 순환되는 공기의 일부는 블로어(20)의 회전에 의해 그 하류측에 토출된 기세에 의해 흡입로(43)로부터 오존 발생 장치(40)를 통과하고, 무성 방전이 가해져 오존이 발생된다. 그리고 오존 발생 장치(40)에 의해 발생되는 오존을 함유한 공기는 계속해서 상류측으로부터 유입되어 오는 공기에 밀려져서 공급로(44)로부터 건조풍로(15)로 주어지고, 히터(21)에 의해 가열된 공기와 함께 입구(17)로부터 드럼(3)으로 공급된다.
이러한 오존 발생 장치(40)에 있어서는 오존을 발생시키기 위한 공기를 세탁기(1)의 외부로부터 받아들일 필요가 없고, 또한, 발생시킨 오존을 건조풍로(15)에 주기 위한 특별한 장치를 설치할 필요도 없으므로, 기구의 간단화를 도모할 수 있 다. 또한, 이 오존 발생 장치(40)는 건조풍로(15)로부터 떨어져 외측 조(5)의 상부에 배치되어 있으므로, 무성 방전을 행하여 오존을 발생시키는 오존 발생 소자의 교환이 용이하게 된다.
도 3은 도 1 및 도 2에 나타내는 세탁기에 있어서의 제어 회로 구성 블록도이며, 오존 공급 제어에 관한 구성 요소만이 나타내어져 있다.
세탁기(1)에는, 예컨대 마이크로컴퓨터 등으로 구성된 오존 공급 제어 수단으로서의 제어부(51)가 구비되어 있고, 제어부(51)에 의해 오존 발생 장치(40), 배수 밸브(12) 및 밸브(50)의 스위칭 제어가 행해진다. 또한, 제어부(51)는 온도 센서(13)가 측정한 출구(16)의 온도에 따라 오존 공급 제어를 행한다.
도 4 및 도 5는 도 3에 나타내는 제어부(51)에 의해 행해지는 제어의 일례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4 및 도 5의 흐름에 따라 도 1 및 도 2에 나타내는 세탁기(1)에 있어서의 오존을 이용한 의류의 소취 및 제균에 대해서 설명을 한다.
도 1 및 도 2에 나타내는 세탁기(1)는 세탁 공정 → 탈수 → 헹구기 1 공정 → 탈수 + 헹구기 2 공정 → 탈수 → 건조 공정의 순서로 세탁 및 탈수가 행해지는 것으로 한다. 또한, 제 1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건조 공정과 건조 운전은 동일한 의미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있어서 의류의 소취 및 제균 효과를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건조되어 있는 의류에 오존을 공급하는 것이 긴요하다. 그 때문에, 의류로의 오존 공급은 의류가 건조되어 있는 세정 공정 전, 또는 건조 공정에 행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세정 공정 전에 오존 공급되었을 경우, 의류에 부착된 오염 성분이 오존에 분해됨으로써 세정 효과의 향상을 도모할 수도 있다. 또한, 오존 공급은 세정 공정 전 및 건조 공정 중 어느 공정에서 행해져도 되고, 양쪽에서 행해져도 상관 없다. 오존 공급 시간이 길수록 의류의 소취 및 제균이 촉진된다.
또한, 세정 공정 → 탈수 → 헹구기 1 공정 → 탈수, 또는 그 후의, 헹구기 2 공정 → 탈수로 세탁이 완료되는 경우도 있고, 이 경우, 탈수 후의 의류에 오존을 공급함으로써 의류의 소취 및 제균 효과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특히, 탈수 전의 세정 공정이나 헹구기 공정에 있어서 목욕물 등을 이용할 경우에는 목욕물에 포함되는 냄새 성분 및 잡균 성분이 의류에 부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하에서, 세정 공정 전에 있어서의 오존 공급을 도 4에 나타내는 플로우차트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그리고, 건조 공정에 있어서의 오존 공급을 도 5에 나타내는 플로우차트와, 도 6에 나타내는 히터(21) 및 블로어(20)의 작동 상태, 출구(16)의 온도, 및 오존의 공급 상태의, 경과 시간에 따른 변화를 나타낸 그래프를 참조해서 설명한다.
도 4에 있어서 도 3에 나타내는 제어부(51)는 부하량 검지 수단으로서의 역할도 겸하고, 문(6)을 폐쇄한 상태에서 록킹한 후, 드럼(3)에 일정한 전력을 가하고, 드럼(3)을, 우선, 어느 정도의 회전수(예컨대 65rpm)로 회전시키고, 그 후 전력은 일정한 상태로, 예컨대 140rpm까지 회전수를 올려서 의류를 드럼(3)의 내주면에 붙게 한다. 그리고, 도시하지 않은 타이머에 의해 계측한, 회전수가 상술의 65rpm에서 140rpm까지 상승하는데에 요한 시간으로부터, 드럼(3)에 가하는 부하량, 즉 드럼(3) 내에 수용된 의류의 양을 검지한다(스텝 S1). 드럼(3) 내에 수용된 의 류의 양이 소정량 이상이면(스텝 S1의 예), 드럼(3)의 회전을 정지시킨 후에 오존 발생 장치(40)를 동작시키고(스텝 S2), 드럼(3)의 회전을 재개하고, 히터(21)를 온해서 블로어(20)를 회전시키고, 밸브(50)를 개방한다(스텝 S3). 이것에 의해, 오존 발생 장치(40)에 의해 발생되는 오존을 함유하는 공기는 공급로(44)를 통과하여 건조풍로(15)에 주어지고, 입구(17)로부터 드럼(3) 내의 의류에 공급된다. 이 때문에, 의류의 소취 및 제균 및 오염 성분의 분해에 의한 세정이 행해진다. 또한, 문(6)은 록킹되어 있어 부주의하게 열릴 일이 없으므로, 드럼(3) 내에 공급된 오존이 누출될 우려도 없다. 제어부(51)는 오존이 드럼(3) 내에 공급되어 있는 동안, 드럼(3)을 회전시키고 있고, 교반된 의류에 오존을 구석구석까지 샤워시킬 수 있으므로, 의류의 소취 및 제균이 촉진된다. 그리고, 제어부(51)는 일정 시간 예컨대 10분간 드럼(3) 내에 오존을 공급한 후, 오존 발생 장치(40)의 작동을 정지시키고(스텝 S4), 밸브(50)를 폐쇄하고(스텝 S5), 히터(21)를 오프해서 블로어(20) 및 드럼(3)의 회전을 정지시킨다. 또한, 배수 밸브(12)는 세정 공정 전에 있어서 개방되어 있어도 상관 없지만, 세정 공정에 있어서 외측 조(5) 내에 물을 모으므로, 세정 공정을 개시할 때까지 폐쇄된다(스텝 S6). 그 후, 다음의 세정 공정으로 진행되고(스텝 S7), 계속해서, 상술한 탈수 → 헹구기 1 공정 → 탈수 → 헹구기 2 공정이 행해진다.
한편, 드럼(3) 내에 수용된 의류의 양이 소정량 이하이면(스텝 S1의 아니오), 제어부(51)는 세탁기(1)의 운전을 정지하고, 사용자에 대해서 의류를 소정량 이상 드럼(3) 내에 수용하도록 경고한다(스텝 S8). 또한, 밸브(50)도 폐쇄한 상태이 다. 가령 오존 발생 장치(40)를 동작시켜 밸브(50)를 개방하고, 드럼(3) 내에 오존을 공급했을 경우, 의류에 부착되어 있는 냄새 성분 및 잡균 성분에 반응할 수 없는 오존이 드럼 내에 잔류된다. 그리고 드럼(3) 내로의 오존의 공급이 계속되면 미반응의 오존의 농도가 높게 된다. 그 때문에, 제어부(51)에 의해 드럼(3) 내에 수용된 의류의 양이 소정량 이하이면, 오존이 발생되지 않으므로, 오존의 농도가 높게 될 우려는 없고, 세탁기(1)에 있어서 오존은 안전하게 제어된다.
헹구기 2 공정 후, 탈수가 행해지고, 도 3에 나타내는 제어부(51)는 히터(21)를 온해서 블로어(20) 및 드럼(3)을 회전시켜 드럼(3) 내의 의류를 건조하기 위한 건조 공정을 개시한다.
건조 공정이 개시되면, 도 6(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어부(51)는 온도 센서(13)가 측정하는 출구(16)의 온도를 시간의 경과와 함께 항상 감시하고 있다. 출구(16)의 온도는 히터(21)에 의해 가열되고, 입구(17)로부터 드럼(3) 내로 들어가며, 의류의 수분을 흡수해서 출구(16)를 통과하는 공기의 온도이다. 제어부(51)는 출구(16)의 온도에 의해 의류의 건조의 정도를 판단한다. 또한, 배수 밸브(12)는 건조 공정 개시로부터 종료까지 항상 개방되어 있고, 상술한 바와 같이 의류의 수분과 수관으로부터의 물이 제습 파이프(18) 내를 낙하한 후, 출구(16)를 통해서 배수구(10)에 도달되고, 개방된 배수 밸브(12)를 경유하여 하우징(2) 밖으로 배출된다.
도 6(a)에 있어서 출구(16)의 온도가 소정 온도(하이 리미터: High Limiter)에 도달하였는지의 여부에 의해, 도 5에 있어서 의류의 건조가 거의 완료(예컨대, 약 90% 완료)되었는지의 여부의 판별을 한다(스텝 S101).
그리고, 의류의 건조가 거의 완료되었을 때(스텝 S101의 예)에는,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도시하지 않은 타이머에 의해 미리 규정한 설정 시간(의류의 양에 의해 변동되는), 예컨대 10분간 출구(16)의 온도가 상기한 소정 온도를 유지하도록 히터(21)가 제어부(51)에 의해 적절히 온 또는 오프된다. 출구(16)의 온도의 제어를 개시함과 동시에, 제어부(51)는 문(6)을 폐쇄한 상태에서 록킹하고(이전부터 록킹되어 있는 것이라면 생략된다), 오존 발생 장치(40)를 동작시키고(도 5의 스텝 S102), 공급로(44)에 설치되어 있다 밸브(50)를 개방한다(도 5의 스텝 S103). 이것에 의해, 오존 발생 장치(40)에 의해 발생되는 오존을 함유하는 공기는 공급로(44)를 통과하여 건조풍로(15)에 주어지고, 입구(17)로부터 드럼(3) 내의 의류에 공급된다. 이 때문에, 의류의 소취 및 제균이 행해진다. 이와 같이, 의류의 건조가 거의 완료되었을 때에 의류에 오존을 샤워시키므로, 오존이 의류의 내부에까지 효율 좋게 침투되어 의류의 소취 및 제균의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문(6)은 록킹되어 있어 부주의하게 열릴 일이 없으므로, 드럼(3) 내에 공급된 오존이 누출될 우려도 없다.
또한, 도 5의 스텝 S101에서 아니오 인 경우, 의류의 건조가 계속된다.
그리고, 상기한 설정 시간까지 드럼(3) 내에 오존을 공급한 후, 오존 발생 장치(40)의 작동을 정지시키고(도 5의 스텝 S104), 밸브(50)를 폐쇄하고(도 5의 스텝 S105), 히터(21)를 오프하고(도 6(b) 참조), 오존의 공급을 정지시킨다(도 6(d) 참조). 또한, 도 6(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블로어(20) 및 드럼(3)의 회전은 계 속되고 있고, 가열되어 있지 않은 공기가 드럼(3) 내에 공급되어 소정 온도까지 의류를 냉각하는 소위 쿨 다운이, 예컨대 5~10분간 행해진다(도 5의 스텝 S106). 이 쿨 다운 중에 있어서 드럼(3)을 포함한 하우징(2) 내 모든 오존이 산화 반응에 의해 소멸되어 오존의 농도는 인체에 있어서 영향이 없는 레벨까지 저하된다. 또한, 문(6)은 드럼(3) 내로의 오존 공급 개시시로부터 쿨 다운이 종료된 후에도, 계속해서, 예컨대 오존 공급 정지 후에서는 약 20분간 록킹되어 있어 부주의하게 열릴 일이 없으므로, 오존이 누출될 우려는 없어 오존의 제어가 안전한 것으로 된다. 그 후, 블로어(20) 및 드럼(3)은 회전을 정지하고, 건조 공정은 종료된다. 이 때문에, 건조 공정 종료 후에 사용자가 문(6)을 개방했을 때에 오존 냄새 등이 외부에 떠돌거나 하지 않고, 안전하다. 또한, 의류도 냉각되어 있으므로 쾌적하게 인출할 수 있다.
<제 2 실시형태>
도 7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에 따른 세탁기의 사시도이며, 전방 우측 비스듬히 상방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이 세탁기(101)는 약간 세로로 긴 하우징(102)에 의해 외측 셸이 구성되어 있다. 하우징(102)의 상면에는 급수구(109)이 형성되어 있고, 이 급수구(109)에 수도 등의 급수 설비가 접속된다. 하우징(102)의 앞면 상방에는 조작부(171)가 배치되어 있다. 조작부(171)를 조작함으로써 사용자는 세탁기(101)에 원하는 운전을 행하게 할 수 있다.
조작부(171)의 좌측 옆에는 세제 및 유연제를 수용하기 위한 수용부(107)가 인출 가능하게 배치되어 있다. 하우징(102)의 앞면은, 아래에서 위로 보면, 하방부가 수직하게 상승하여 도중부터 비스듬히 후방을 향해 완만히 경사진 면으로 되어 있다. 그리고 앞면의 중앙부 상측 부근에는 문(106)이 설치되어 있다. 문(106)은 정면측으로 보면 각을 둥글게 된 정사각형상이지만, 그 내부에는 후술하는 외측 조(5)를 폐쇄하기 위한 원형의 시일 패킹(도시 생략)이 구비되어 있다.
하우징(102)의 앞면 하방에는 독립해서 분리 가능한 전방 패널(102a)이 설치되어 있어서, 전방 패널(102a)을 떼어냄으로써 세탁기(101)의 하방 전방부가 노출되고, 그 하방 전방부에 구비된 펌프, 스위칭 밸브 및 필터 등(이들에 대해서는 후술한다)의 보수 관리를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또한, 전방 패널(102a)의 우측에는 창(153)이 형성되고, 창(153)은 덮개(154)에 의해 덮여져 있다. 덮개(154)를 떼어내면 필터(후술한다)가 노출되고, 필터에 의해 포획된 실 보푸라기 등의 제거를 용이하게 행할 수 있는 구성이다.
하우징(102)의 상면 후방은 한층 낮게 된 저단면(102b)으로 되어 있다. 이 세탁기(101)는 하우징(102)의 신장이 비교적 높으므로, 설치하려고 했을 경우에 하우징(102)의 상부가 수도마개와 간섭될 경우가 있다. 그래서, 수도마개가 낮을 경우에도 세탁기(101)를 지장 없이 배치할 수 있도록 상면 후방부에 높이가 낮은 저단면(102b)이 형성되어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에 따른 세탁기를 전후 방향에 걸친 연직면으로 절단했을 때의 단면을 측방으로부터 본 개략 측단면도이다. 이하에서는, 이 실시형태에 따른 세탁기(101) 및 그 구성 요소(구성부품)의 설명에 관한 것으로서, 편의상, 도 8에 있어서의 좌측을 정면(전방)측, 우측을 배면(후방)측, 상측을 상면(상)측, 하측을 저면(하)측, 전방을 우측, 안쪽을 좌측으로 하여 설명한다.
하우징(102) 내의 중앙부에는 드럼(103)이 배치되어 있다.
드럼(103)은 원통 형상을 하고 있고, 동일하게 원통 형상의 외측 조(105) 내에 동축상으로 수용되어 있다. 이 실시형태에서는 드럼(103) 및 외측 조(105)가 세탁 조(처리 조)를 구성하고 있어, 드럼(103)의 전방이 비스듬히 상방을 향하는 소위 경사진 드럼 배치 구조로 되고 있다. 드럼(103) 및 외측 조(105)의 앞쪽 끝면은 개방되어 있고, 그것을 폐쇄하기 위해 하우징(102)의 앞면에는 문(106)이 구비되어 있다. 외측 조(105)의 뒤쪽 끝면 후방에는 모터(도 8에는 나타내지 않고 있지만, 이 모터는 도 9에 있어서의 모터(162)이다.)가 구비되고, 드럼(103)은 모터에 의해 드럼(103)의 중심축을 중심으로 회전된다.
하우징(102) 상면의 급수구(109)에는, 4방 밸브인 제 1 스위칭 밸브(144)를 통해서 하우징(102) 내에 배치된 급수관(108)이 접속되어 있다. 급수관(108)의 급수구(109)에 접속된 일단과는 반대측의 타단은 외측 조(105)의 둘레벽면의 최상부에 접속되고, 급수관(108)을 통해서 급수구(109)와 외측 조(105) 내는 연통되어 있다. 급수관(108)의 도중부에는 세제 및 유연제를 수용하기 위한 수용부(107)가 배치되어 있다.
수용부(107)는 하우징(102)의 전방으로 인출 가능한 박스(도시 생략)를 갖고, 박스 내에는 세제 수용실 및 유연제 수용실로 구획되어 있다. 박스가 인출되고, 세제 및 유연제가 각각의 수용실에 수용되며, 박스가 밀어 넣어짐으로써 세제 및 유연제의 세트가 완료된다. 그리고, 수용부(107)에 급수관(108)을 통해서 물이 공급되면, 세제 수용실과 유연제 수용실에 각각 수용된 세제 및/또는 유연제는 급수관(108)을 통해서 공급된 물에 용해되어 외측 조(105) 내로 공급된다. 또한, 세제 및/또는 유연제가 용해되어 있지 않은 물을 외측 조(105) 내로 공급하는 것도 선택적으로 가능하다.
또한, 수용부(107)에는 그 후 측면의 상하방향 도중에, 마중물(priming water) 관(148)의 일단이 접속되어 있다. 마중물 관(148)은 그 타단이 하우징(102) 내에 구비된 공급 펌프(133)에 접속되어 있고, 하우징(102) 내에서 물을 퍼내기 위해서 공급 펌프(133)를 구동시킬 때에 수용부(107)로부터 공급 펌프(133)에 마중물을 공급하는 것이다.
급수관(108)은 제 1 스위칭 밸브(144)에 의해 세제용 급수관(142)과 유연제용 급수관(143)으로 분기되고, 세제용 급수관(142) 및 유연제용 급수관(143)은 수용부(107)에서 합류된다.
그리고, 제 1 스위칭 밸브(144)는 급수구(109)로부터의 물이 유입되는 입구와, 세제용 급수관(142)에 연결되는 세제용수 출구(145)와, 유연제용 급수관(143)에 연결되는 유연제용수 출구(146)를 구비하고 있다.
그 때문에, 제 1 스위칭 밸브(144)를 스위칭함으로써 제 1 스위칭 밸브(144)의 입구로부터 유입되는 물을 세제용수 출구(145)로부터 세제용 급수관(142)을 통해 수용부(107)의 상술한 세제 수용실로 흘리는 것, 또는 유연제용수 출구(146)로부터 유연제용 급수관(143)을 통해 수용부(107)의 상술한 유연제 수용실로 흘리는 것이 선택적으로 가능하다.
세탁 및 탈수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세탁기(101)에 있어서는, 세정 공정에서는 세탁을 하는 의류는 문(106)이 개방되어 하우징(102)의 앞면으로부터 드럼(103) 내에 수용된다. 문(106)이 폐쇄된 후, 외측 조(105)에 물이 모아진다. 외측 조(105)는 공밀적, 액밀적으로 구성되어 있지만, 드럼(103)은 그 둘레면에 다수의 작은 구멍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외측 조(105)에 물이 모아지면, 모아진 물은 드럼(103) 내에도 들어가고, 세정용 물이 드럼(103) 내에도 고인다.
드럼(103)의 내주면에는 적절한 개소에 교반 수단으로서의 배플(도시 생략)이 돌출 형성되어 있다. 드럼(103)이 모터에 의해 회전하게 되면, 드럼(103) 내의 물을 포함한 의류는 배플에 의해 들어 올려지고 자연 낙하되는 소위 비트 워시가 행해진다. 세탁 공정이 종료되면 외측 조(105) 내의 물이 배수된다.
외측 조(105)의 최하단부, 즉 뒤쪽 끝면 하방에는 후방을 향해 개방된 배수구(110)가 형성되고, 그 후방측에 배수 밸브(112)가 부착되어 있다. 그리고 배수 밸브(112)에는 하방으로 연장되는 배수관(111)이 접속되고, 그 도중에는 필터(114) 및 제 2 스위칭 밸브(113)가 이 순서로 끼워져 삽입되어 있다. 필터(114)에는 배수관(111)과는 별도로 분기관(115)이 접속되어 있고, 제 2 스위칭 밸브(113)를 스위칭함으로써 필터(114)를 통과하는 물을 계속해서 배수관(111)을 따라 하우징(102) 밖으로 배출할지, 분기관(115)으로 유출시킬지를 선택할 수 있다.
배수구(110)를 외측 조(105)의 후방을 향해서 개구하고, 그 후방에 배수 밸브(112)를 배치함으로써 배수구(110) 및 배수 밸브(112)의 위치를 외측 조(105)의 최하단부의 높이와 거의 같은 위치로 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외측 조(105)의 하방에 배치되는 각종 구성 요소의 배치 공간에 배수구(110) 및 배수 밸브(112)가 들어가지 않아 각종 구성 요소의 배치 공간을 넓게 확보할 수 있다. 특히, 세탁기(101)가 운전되면 외측 조(105)는 진동하기 때문에, 외측 조(105)에 고정되어 있는 배수구(110)나 배수 밸브(112)가 외측 조(105)보다 하방으로 돌출되어 있으면 외측 조(105)의 진동에 따라 배수 밸브(112)도 함께 진동되므로, 그 진동분을 감안해서 하방 공간을 개방해 둘 필요가 있다. 이 실시형태에서는 외측 조(105)의 후방을 이용해서 배수구(110) 및 배수 밸브(112)를 배치했으므로, 외측 조(105)의 하방 공간을 다른 구성 요소를 배치하기 위해 양호하게 활용할 수 있다.
배수 밸브(112) 및 제 2 스위칭 밸브(113)가 「개방」으로 되면 외측 조(105) 내의 물이 하우징(102) 밖으로 배출된다. 한편, 배수 밸브(112)가 「개방」으로 되고 제 2 스위칭 밸브(113)가 「폐쇄」로 되면 외측 조(105) 내의 물은 필터(114)를 통해서 분기관(115)으로 유출된다.
외측 조(105) 내의 물이 배출된 후, 헹구기 공정이 행해진다. 헹구기 공정에서는 다시 배수 밸브(112)가 폐쇄되고, 상술한 세탁 공정과 마찬가지로 외측 조(105) 내에 물이 모여지고, 드럼(103)이 모터에 의해 회전됨으로써 헹구기가 행해진다.
헹구기 공정이 종료되면, 드럼(103)의 회전이 정지되고, 상술한 배수 동작과 마찬가지로, 외측 조(105) 내의 물이 하우징(102) 밖으로 배출된다.
또한, 탈수 공정에서는 모터에 의해 드럼(103)이 탈수 회전(고속 회전)되고, 의류에 포함되는 수분이 탈수된다. 또한, 이 실시형태에 따른 세탁기(101)에서는 탈수 중에 의류가 드럼(103)의 내주벽에 편재함으로써 드럼(103)에 이상 진동이 생기지 않도록 드럼(103)의 회전을 서서히 일으키도록 탈수된다.
이 실시형태에 따른 세탁기(101)는 세탁 공정 → 탈수 1 공정 → 헹구기 1 공정 → 탈수 2 공정 → 헹구기 2 공정 → 최종 탈수 공정 → 건조 공정의 순서로 세탁, 탈수 및 건조가 행해진다.
즉, 세탁기(101)는 세탁 및 탈수에 추가로 건조를 행할 수 있도록, 외측 조(105)의 뒤쪽 끝면 하방에는 공기로로서의 건조풍로(116)의 출구(117)가 연통되어 있다. 또한, 출구(117)에는 출구(117)의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 센서(도 8에는 나타내지 않지만, 이 온도 센서는 도 9에 있어서의 온도 센서(163)이다.)가 구비되어 있다. 건조풍로(116)는 외측 조(105)의 뒤쪽 끝면을 따라 비스듬히 상방으로 연장되고, 외측 조(105)의 상부를 따라 전방측으로 유입되어 외측 조(105)의 상부 둘레면을 따라 전방으로 연장되고, 그 선단은 외측 조(105)의 전방 둘레면에 입구(118)로서 연통되어 있다. 이 건조풍로(116)는 외측 조(105)의 뒤쪽 끝면을 따라 비스듬히 상방으로 연장되는 영역이 제습 수단으로서의 제습 파이프(119)로서 기능하고 있다.
건조풍로(116) 내에는 공기의 흐름 방향으로 볼 때 제습 파이프(119)의 하류측에 필터(120)가 내부 삽입되고, 또한 그 하류측에는 송풍 수단으로서의 블로어(121)가 설치되어 있다. 블로어(121)가 회전됨으로써 드럼(103) 내의 공기가 출구(117)로부터 나와 건조풍로(116) 내를 이동하고, 입구(118)로부터 다시 드 럼(103) 내에 공급된다. 건조풍로(116)의 블로어(121)보다 하류측에는 가열 수단으로서의 히터(122)가 내부 삽입되어 있다. 건조풍로(116)를 통과하는 공기는 제습 파이프(119)에 있어서 제습되고, 그 후, 히터(122)에 의해 가열되어 입구(118)로부터 드럼(103)에 공급된다.
그리고, 의류에 히터(122)에 의해 가열된 공기를 샤워시킴으로써 의류에 포함되는 수분은 기화되어 수증기가 되고, 그 수증기를 포함하는 드럼(103) 내의 고온 다습의 공기는 출구(117)로부터 나와서 제습 파이프(119) 내를 상방으로 이동한다. 그 때, 제습 파이프(119) 내에서는 열 교환용 급수관(149)을 통해서 공급되는 물이 낙하된다. 상세하게는, 열 교환용 급수관(149)은 그 일단이 제 1 스위칭 밸브(144)에 접속되고, 그 타단이 제습 파이프(119)의 상부에 접속되어 있다. 그 때문에, 제 1 스위칭 밸브(144)를 스위칭함으로써 급수구(109)로부터의 물이 열 교환용 급수관(149)을 통해서 제습 파이프(119) 내에 낙하된다. 또한, 열 교환용 급수관(149)과는 별도로, 열 교환용 탱크물 급수관(124)을 통해도 제습 파이프(119) 내에 물이 공급될 수 있다. 열 교환용 탱크물 급수관(124)의 구성에 대해서는 뒤에 설명한다.
제습 파이프(119) 내에 물이 낙하되면 고온 다습의 공기가 열 교환이 되어 고온 다습의 공기의 냉각 및 제습이 행해진다. 그리고, 열 교환용 급수관(149) 또는 열 교환용 탱크물 급수관(124)로부터의 물과 제습되었을 때에 액화된 수분이 제습 파이프(119) 내를 낙하한 후, 출구(117)를 통해서 배수구(110)에 도달하고, 배수 밸브(112) 및 제 2 스위칭 밸브(113)가 개방되면 하우징(102) 밖으로 배출된다.
드럼(103)의 하방에는 탱크(104)가 설치되어 있다. 이 탱크(104)는 외측 조(105)에 모아져 사용된 후의 물을 모으기 위한 것이고, 밀폐 구조를 한 탱크이다. 외측 조(105)의 물을 탱크(104)에 인도하기 위해 분기관(115)의 필터(114)에 접속되어 있는 일단과는 반대측의 타단이 탱크(104) 내에서 개구되어 있다. 상세하게는, 분기관(115)의 도중에는 저수 밸브(125)가 끼워져 삽입되어 있고, 분기관(115)은 필터(114)로부터 저수 밸브(125)까지의 범위에 있어서는 필터(114)로부터 저수 밸브(125)를 향해 비스듬히 상방으로 연장되고, 저수 밸브(125)로부터는 하방으로 연장되어 탱크(104)의 상면을 관통하고, 분기관(115)의 타단이 탱크(104) 내의 상하방향 도중에 배치되어 있다.
그 때문에, 외측 조(105)의 물은, 제 2 스위칭 밸브(113)가 페쇄되고, 배수 밸브(112) 및 저수 밸브(125)가 개방됨으로써 탱크(104) 내에 인도된다.
또한, 탱크(104)에는 공기 배출 호스(150)의 일단이 접속되어 있다. 공기 배출 호스(150)는 탱크(104)로부터 외측 조(105)의 후방을 통해 상방으로 연장되고, 그 타단이 제습 파이프(119)의 상부에 접속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탱크(104) 내부와 건조풍로(116)는 연통되어 있다.
탱크(104)에는 탱크(104) 내에 입구(126)가 개구된 압력 조정용 배수관(127)이 구비되어 있다. 압력 조정용 배수관(127)의 도중에는 체크밸브(128)가 개재되어 있다. 그리고, 압력 조정용 배수관(127)의 출구측은 배수관(111)의 제 2 스위칭 밸브(113)보다 하류측에 합류되어 있다.
압력 조정용 배수관(127)에는 또한 오버플로우 관(123)이 접속되어 있다. 그 때문에, 외측 조(105) 내에 소정량 이상의 물이 공급되었을 경우, 그 소정량 이상의 물이 오버플로우 관(123)에 의해 외측 조(105)의 외부로 오버플로우되어 배수관(111)을 통해서 기기 밖으로 배출된다.
탱크(104)에는 탱크(104) 내에 모아진 물을 순환시키기 위해서, 그 측방에 형성된 출구(131) 및 입구(130) 사이를 연통하는 순환 관(132)이 설치되어 있다. 순환 관(132)에는 출구(131)로부터 입구(130)를 향해 순번대로 공급 펌프(133), 제 3 스위칭 밸브(134) 및 이젝터(135)가 물의 순환 방향을 따르도록 끼워져 삽입되어 있다.
제 3 스위칭 밸브(134)는 5방 밸브이며, 공급 펌프(133)로부터 토출되어 1방향으로부터 유입되는 물을 4방향 중 어느 한쪽으로 유출시키도록 스위칭하기 위해서 제 1 출구(136), 제 2 출구(137), 제 3 출구(138) 및 제 4 출구(139)를 갖는다.
제 1 출구(136)에는 순환 관(132)이 접속되어 있고, 이젝터(135)를 통해서 입구(130)에 연결된다.
제 2 출구(137)에는 탱크물 배수관(140)이 연결되어 있고, 탱크물 배수관(140)은 압력 조정용 배수관(127)의 체크밸브(128)보다 하류측에 합류되어 있다.
제 3 출구(138)에는 상술한 열 교환용 탱크물 급수관(124)의 일단이 접속되어 있다. 열 교환용 탱크물 급수관(124)의 타단은 제습 파이프(119)의 상부에 접속되어 있다.
제 4 출구(139)에는 탱크물 급수관(141)의 일단이 연결되어 있고, 탱크물 급수관(141)의 타단은 수용부(107)를 통해서 급수관(108)에 접속되어 있다.
탱크(104)의 근방에는 오존 발생 장치(147)가 설치되어 있다. 오존 발생 장치(147)는 공기 유로(도시 생략)로부터 받아들인 공기에 대해서 무성 방전을 가해 오존을 발생시키는 장치이다. 오존 발생 장치(147)를 통과한 공기에는 오존이 함유되어 있다.
이 실시형태에서는, 오존 발생 장치(147)에 의해 발생되는 오존을 함유한 공기는 제 1 공급로(151)에 의해 건조풍로(116)에 주어진다. 주어지는 위치는 건조풍로(116)에 있어서의 필터(120)의 하류측이고, 블로어(121)의 상류측(블로어(121)의 흡입측)이다. 블로어(121)가 회전하면 그 흡입측이 부압이 되고, 오존을 함유하는 공기가 제 1 공급로(151)를 통해서 블로어(121)에 흡입된다. 이 때문에, 발생시킨 오존을 방출하기 위한 에어 펌프 등의 특별한 장치를 설치할 필요가 없어 간이한 기구에 의해 오존 발생 장치(147)를 구성할 수 있다. 그리고 건조풍로(116)를 순환하는 공기에 오존이 혼입되고, 오존은 입구(118)로부터 드럼(103)에 공급된다.
통상, 건조풍로(116)를 공기가 순환되는 것은 드럼(103) 내의 의류가 건조되는 건조 공정시이지만, 본 발명에 있어서는 도 9에 나타내는 제어부(161)가, 사용자가 도 9에 나타내는 조작부(171)에 배치되어 있는 키를 누름으로써 설정된 각 코스의 입력 신호에 따라 각 코스에 대응한 최적의 타이밍에서 드럼(103) 내에 오존을 공급하기 위해서, 드럼(103)을 회전시키기 위한 모터(162)(도 9 참조), 오존 발생 장치(147), 블로어(121) 및 히터(122)를 제어한다. 이것에 의해, 사용자가 드럼(103) 내에 오존을 공급할지의 여부의 설정을 적절히 할 필요가 없어져 효과적으로 오존에 의한 의류의 소취 및 제균 처리가 행해진다.
또한, 오존 발생 장치(147)에 의해 발생되는 오존을 함유한 공기는 제 2 공급로(152)에 의해 이젝터(135)에 주어진다. 제 2 공급로(152)를 통해서 공급되는 오존은 이젝터(135)에 있어서 순환되고 있는 탱크(104) 내의 물에 혼합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이젝터(135)에 있어서 이젝터(135)를 물이 통과할 때에 생기는 부압에 의해 제 2 공급로(152)로부터 공급되는 오존을 함유한 공기가 물 내에 작은 거품으로서 혼입한다. 그리고, 물 내에 색소, 냄새 성분 및 잡균이 함유되어 있었을 경우, 이들은 오존에 의해 산화되어 탱크(104) 내의 물은 탈색, 탈취 및 제균된다.
또한, 드럼(103)을 수용한 외측 조(105)는 액밀적 또한 공밀적인 구조이고, 오존 발생 장치(147)에 의해 발생되는 오존은, 탱크(104) 및 외측 조(105)가 오버플로우 관(123) 및 공기 배출 호스(150)에 의해 연결되어 있는 구조상, 탱크(104)와 외측 조(105) 사이를 유통은 되지만, 하우징(102)으로부터 외부로 누출될 일은 없다. 따라서, 이 세탁기(101)는 오존 냄새 등이 외부에 떠돌거나 하지 않는 안전하고 또한 사용상의 문제점이 없는 장치라고 할 수 있다.
도 9는 도 7 및 도 8에 나타내는 세탁기(101)에 있어서의 제어 회로 구성 블록도이고, 본 발명에 따른 오존 공급 제어에 관한 구성 요소만이 나타내어져 있다.
세탁기(101)에는 예컨대 마이크로컴퓨터 등으로 구성된 오존 공급 제어 수단으로서의 제어부(161)를 구비되어 있고, 제어부(161)에는 오존 발생 장치(147), 블로어(121), 히터(122) 및 모터(162)가 접속되어 있다. 또한, 제어부(161)에는, 예컨대, 하우징(102)의 상면에 설치된 선택 수단으로서의 조작부(171)가 접속되어 있다. 조작부(171)에는 각종의 표시기가 배치되어 있고, 이들 표시기의 표시는 제어 부(161)에 의해 제어되고, 또한, 사용자가 조작부(171)의 스팀 건조 키(174), 세탁 건조 키(175), 또는 세탁 키(176)를 조작함으로써 신호가 제어부(161)에 입력된다.
또한, 제어부(161)에는 건조풍로의 출구(117)(도 8 참조)의 온도를 측정하기 위한 온도 센서(163)가 접속되어 있다.
도 10은 상술한 조작부(171)의 구체적인 평면도이다.
조작부(171)에는 전원 오프/온 키(172) 및 시작/일시정지 키(173)가 설치되어 있다. 전원 오프/온 키(172)는 세탁기(101)로의 전력의 공급/정지를 행하는 키이다. 시작/일시정지 키(173)는 세탁기(101)의 동작 개시와, 도중에 동작을 일시정지시키는 것을 지시하는 키이다.
또한, 조작부(171)에는 스팀 건조 키(174), 세탁 건조 키(175), 및 세탁 키(176)가 설치되어 있다. 스팀 건조 키(174)는 의류의 건조만을 행할 때, 즉, 건조 코스를 선택할 때에 누르는 키이다. 세탁 건조 키(175)는 세탁에서 건조까지의 일련의 처리를 행할 때, 즉, 세탁 건조 코스를 선택할 때에 누르는 키이다. 세탁 키(176)는 세탁 및 탈수를 행하고, 건조는 행하지 않을 때, 즉, 세탁 코스를 선택할 때에 누르는 키이다.
예컨대 세탁 키(176)가 눌러지면 그 상방에 3행 4열로 표시된 복수의 처리 내용 중 세탁에 관계된 처리 내용이 누름에 따라 순차적으로 표시된다. 구체적으로는 세탁 키(176)가 1회 눌러지면 「표준」이 점등되고, 세탁 키(176)가 1회 더 눌러지면 「표준」은 소등되고 「내맘대로」가 점등되고, 또한 세탁 키(176)가 눌러지면 「내맘대로」는 소등되고 대신에 「세제 제로」가 점등되도록 세탁 내용이 순 차적으로 선택된다.
세탁 건조 키(175) 및 스팀 건조 키(174)를 눌렀을 경우에도 각각 세탁 건조에 관계된 처리 내용 및 건조에 관계된 처리 내용을 순차적으로 선택할 수 있다.
또한, 에어 워시(제균ㆍ소취) 키(177) 및 스팀 세정 키(178)가 설치되어 있다.
에어 워시(제균ㆍ소취) 키(177)는 의류를 세정할 필요는 없지만, 의류에 부착된 냄새 등을 탈취, 소취하고 싶을 경우에 조작되는 키이다. 예컨대, 담배의 냄새가 마음에 걸리는 의류가 있었을 경우, 그 의류를 드럼(103)에 수용하고, 에어 워시(제균ㆍ소취) 키(177)를 누르면, 그 누르는 회수에 따라 그 상부에 있는 「드럼 회전」이 점등 → 「드럼 정지」가 점등→양쪽이 소등 → 「드럼 회전」이 점등으로 표시가 전환된다. 그리고, 드럼 회전을 점등시킨 상태에서는 드럼(103)이 회전하면서 오존을 함유하는 공기가 드럼(103) 내에 공급되고, 드럼 정지가 점등된 상태에서는 드럼(103)은 회전되는 일 없이 오존을 함유하는 공기가 드럼(103) 내에 공급된다는, 의류의 탈취ㆍ소취 처리가 세탁이나 건조와는 독립된 처리로서 행해진다. 즉, 에어 워시(제균ㆍ소취) 키(177)는 세탁을 행할 것까지도 없는 의류에 대해서 탈취ㆍ소취를 행하고 싶은 경우에 그 처리를 독립해서 행하게 하기 위한 키이다.
스팀 세정 키(178)는 세탁시에 스팀 세정을 부가하고 싶을 때에 누르는 키이다.
조작부(171)에는 그 밖의 키나, 운전 상황을 나타내는 각종 표시 등이 배열 되어 있지만, 그것들은 본 발명과 직접 관계가 없으므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1은 건조 운전시에 있어서의 오존을 이용한 의류의 제균 처리를 설명하는 타이밍 도면이다. 이것은, 제어부(161)가 예컨대 세탁 건조 키(175) 또는 스팀 건조 키(174)가 선택되었다는 입력 신호를 검지했을 경우에 이하에 설명한 바와 같이 행해진다.
건조 운전은 시계열순으로 상술한 건조 공정, 건조 공정 연장 시간 및 쿨 다운 공정으로 구분된다. 그리고, 쿨 다운 공정은 또한 전반부인 제균 공정과 후반부인 오존 소멸 공정으로 구분된다.
건조 공정이 개시되면 제어부(161)는 모터(162)를 작동시키고, 블로어(121) 및 히터(122)를 온으로 한다. 모터(162)에 의해 드럼(103)을 소정의 회전수, 예컨대 45rpm으로 정역 교대로 회전시킴으로써 의류가 교반되고, 의류에 구석구석까지 열풍이 샤워되며, 의류에 포함되어 있는 수분이 증발된다.
건조 공정의 진척 상황은 출구(117)의 온도에 기초해서 판단된다. 그리고, 온도 센서(163)의 온도가 소정 온도에 도달했을 경우, 제어부(161)는 건조 정도가 예컨대 92%까지 종료된 것으로 판단하고, 그 시점부터 일정 시간 건조 공정을 계속시킨다. 이와 같이 온도 센서(163)가 소정 온도에 도달한 것이 검지된 후, 더욱 계속되는 일정 시간의 건조 공정을 연장 시간이라고 칭하고 있다. 연장 시간이 종료될 때, 의류의 건조 정도는 예컨대 98~100%로 되어 있다.
건조 공정 연장 시간이 종료되면, 제어부(161)는 히터(122)를 오프로 하고, 소정 온도까지 드럼(103) 내의 의류를 냉각하는 쿨 다운 공정을 개시한다. 그리고, 제어부(161)는 그 쿨 다운 공정 개시시에 오존 발생 장치(147)를 온으로 한다.
이것에 의해, 오존 발생 장치(147)에 의해 발생되는 오존을 함유하는 공기는 드럼(103) 내에 공급된다.
이와 같이, 의류의 건조가 완료된 후에 여분의 수분이 포함되지 않은 의류에 오존을 샤워시키므로, 오존이 수분의 방해를 받지 않고, 의류의 내부에까지 효율 좋게 침투되어 의류에 남아있는 냄새 성분이 오존에 의해 산화되어 소멸된다. 또한, 건조 공정에 있어서의 건조 열로는 제거할 수 없는 균 등이 남아있어도 그들 균의 제균을 할 수 있다. 또한, 드럼(103)이 회전하고 있음으로써 의류가 교반되므로, 오존을 의류에 구석구석까지 샤워시킬 수 있다.
제어부(161)는 쿨 다운 공정의 전반부인 제균 공정이 소정 시간, 예컨대 15분간 행해지면, 오존 발생 장치(147)를 오프로 해서 계속해서 행해지고 있는 쿨 다운 공정에 의해 온도 센서(163)의 측정 온도, 즉, 드럼(103) 내의 온도가 소정 온도, 예컨대 50℃ 이하로 되면 쿨 다운 공정을 종료한다. 또한, 제어부(161)는 드럼(103) 내의 온도가 50℃ 이하로 되어 있어도, 쿨 다운 공정의 후반부인 오존 소멸 공정이 예컨대 10분간 행해져 있지 않으면 쿨 다운 공정을 연장한다. 이것에 의해, 드럼(103)을 포함하는 하우징(102) 내의 오존은 산화 반응에 의해 소멸되므로, 사용자가 의류를 드럼(103)으로부터 인출할 때에 문(106)을 개방해도 오존 냄새가 떠돌 일은 없다.
도 12는 최종 탈수 운전시에 있어서의 오존을 이용한 의류의 제균 처리를 설명하는 타이밍 도면이다. 이것은, 제어부(161)가 예컨대 세탁 키(176)가 선택되었 다는 입력 신호를 검지했을 경우에 이하에 설명한 바와 같이 행해진다.
최종 탈수 운전은 시계열순으로 외측 조(105) 내에 있는 물의 배수 시간, 상술한 최종 탈수 공정, 제균 공정, 오존 소멸 공정 및 쿨 다운 공정으로 구분된다.
제어부(161)는 예컨대 2~3분의 배수 시간이 경과되면 모터(162)를 작동시켜 드럼(103)을 회전시킴으로써 의류에 포함되는 수분을 탈수하는 최종 탈수 공정을 개시한다.
이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최종 탈수 공정 개시시에 오존 발생 장치(147) 및 블로어(121)를 온으로 하고, 최종 탈수 공정 중에 있어서도 드럼(103) 내에 오존을 공급함으로써 탈수 중에도 드럼(103)의 내주벽에 붙어 있는 의류에 오존을 공급하여 소취 및 제균 효과의 향상을 도모하고 있다. 또한, 히터(122)도 온으로 하여 가열에 의해 활성화된 오존을 공급하고 있다.
최종 탈수 공정에 있어서는 드럼(103)의 회전 상승시에 의류가 드럼(103)의 내주벽에 편재함으로써 드럼(103)에 이상 진동이 생기지 않도록 드럼(103)의 회전은 서서히 일어난다. 구체적으로는, 드럼(103)의 회전수를 소정 회전수까지 상승시키고, 그 회전수를 소정 시간 유지한 후, 감속하고, 필요가 있으면 일단 정지시킨다. 이 감속, 정지에 의해 의류가 드럼(103)의 내주벽으로부터 낙하되고, 다시 드럼(103)의 회전을 일으켰을 때에 의류의 편재를 억제할 수 있다. 이 사이클을, 예컨대 2, 3회 반복한 후, 드럼(103)을 최종 탈수 회전수, 예컨대 900rpm으로 회전시킨다.
그리고, 제어부(161)는 드럼(103)을 900rpm에서 15분간 회전시킨 후, 모 터(162)를 일단 정지시키고, 최종 탈수 공정을 종료한다.
최종 탈수 공정이 종료되면 제균 공정, 오존 소멸 공정 및 쿨 다운 공정이 행해진다. 제균 공정에서는 제어부(161)는 드럼(103)을 정역 교대로 회전시키고, 최종 탈수 공정에 계속해서, 또한 오존의 공급을 행한다. 제균 공정에서는 배플(도시 생략)에 의해 의류가 교반되므로, 오존을 의류에 구석구석까지 샤워시킬 수 있다. 또한, 오존이 공급되는 의류는 탈수 후의 것이고, 오존 공급의 방해가 되는 여분의 수분이 감소되어 있으므로, 오존에 의한 소취 및 제균 효과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그리고, 소정 시간 드럼(103) 내에 오존을 공급하면 오존 발생 장치(147)를 오프로 해서 제균 공정을 종료하고, 오존 소멸 공정으로 이동된다.
오존 소멸 공정 개시후, 15분 경과되면, 히터(122)를 오프로 하고, 쿨 다운 공정을 개시한다. 쿨 다운 공정에서는 블로어(121)는 온 상태이고, 드럼(103) 내의 공기는 계속해서 순환된다. 이 냉풍의 순환에 의해 의류의 온도는 빨리 내려간다. 또한, 최종 탈수 공정 개시로부터 오존 소멸 공정 종료까지는 대략 35~45분 필요이지만, 이 시간은 부하량(세탁한 의류의 양)에 따라 다르다.
또한, 이 실시형태에서는 오존 소멸 공정 종료시에 히터(122)를 오프로 하고 있지만, 오존 소멸 공정 개시시에 히터(122)를 오프로 해서 쿨 다운 공정을 생략할 수도 있다.
도 13은 최종 탈수 공정시에 있어서의 오존을 이용한 의류의 제균 처리의 다른 예를 설명하는 플로우차트이며, 도 12에 나타내는 제균 처리의 변형예이다. 도 13의 제균 처리는 드럼(103)의 회전수가 900rpm에 도달하고, 세탁물의 수분이 거의 제거되고나서 오존 발생 장치(147)를 온으로 하는 점이 도 12에 나타내는 실시형태와는 다르다.
세정 공정(스텝 S201), 헹구기 1 공정(스텝 S202), 헹구기 2 공정(스텝 S203)이 종료되면 최종 탈수 공정이 개시된다(스텝 S204).
최종 탈수 공정에서는 도 12에서 세탁했을 때와 마찬가지로 드럼(103)의 회전이 서서히 일어난다. 그리고, 드럼(103)의 회전수가 최종 탈수 회전수인 900rpm에 도달한 것이 판별되면(스텝 S205의 예) 오존 발생 장치(147), 블로어(121) 및 히터(122)가 온으로 된다(스텝 S206). 드럼(103)의 회전수가 900rpm에 도달했을 때에는 세탁물로부터 수분은 거의 제거되어 있어 오존이 수분의 방해를 받지 않고, 오존에 의한 세탁물의 소취 및 제균 효과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그리고, 드럼(103)이 900rpm에서 15분간 회전된 것이 판별되면(스텝 S207의 예) 최종 탈수 공정이 종료되고, 드럼(103)이 45rpm의 회전수로 정역 교대로 회전된다(스텝 S208).
한편, 오존 발생 장치(147)가 온으로 되고나서 30분 경과된 것이 판별되면(스텝 S210의 예) 오존 발생 장치(147)가 오프로 되고, 제균 처리가 종료된다(스텝 S211). 이 때, 블로어(121)와 히터(122)는 오프로 되지 않고, 오존을 함유하지 않는 공기가 드럼(103) 내에 순환된다. 이것에 의해, 드럼(103)을 포함한 하우징(102) 내의 모든 오존을 산화 반응에 의해 소멸시키는 상술한 오존 소멸 공정이 행해진다.
그리고, 오존 발생 장치(147)가 오프로 되고나서 5분 경과된 것이 판별되면(스텝 S212의 예) 히터(122)가 오프로 되고(스텝 S213), 소정 온도까지 의류를 냉각되는 상술한 쿨 다운 공정이 개시된다. 그리고, 온도 센서(163)의 측정 온도, 즉, 드럼(103) 내의 온도가, 예컨대 50℃ 이하가 된 것이 판별되면(스텝 S209의 예) 쿨 다운 공정이 종료된다.
또한, 이 실시형태에서는, 제어부(161)는 오존 발생 장치(147)를 오프로 하고나서 5분 경과 후에 히터(122)를 오프로 하고 있지만, 오존 발생 장치(147)의 오프와 동시에 히터(122)를 오프로 할 수도 있다.
도 14는 오존 세정 공정의 플로우차트이다. 오존 세정 공정은 세정 공정 전에 의류에 오존을 공급하여 의류의 세정, 제균 및 소취하는 것(오존에 의한 예비 세정)을 포함하고, 세제를 이용하지 않고 세탁을 행하는 세제 제로 코스에 의한 세정 처리 공정이다. 이러한 오존 세정은 매일 세탁하는 타올, 내의 등의 오염이 적은 의류를 세정하는데에 적합하다. 또한, 세제를 이용하지 않으므로, 세정에 이용된 물이 하우징(102) 외부로 배출되어도 그 물은 환경에 우수하다.
세탁기(101)의 운전이 개시되면, 오존 발생 장치(147)가 온으로 되고, 또한, 드럼(103)이 45rpm의 회전수로 정역 교대로 회전되고, 블로어(121)가 온으로 됨으로써(스텝T1) 오존을 함유하는 공기가 드럼(103) 내에 공급되고, 드럼(103) 내의 의류에 샤워시키고, 오존에 의한 예비 세정이 행해진다. 이것에 의해, 세정 공정 전의 건조한 의류에 효과적으로 오존을 샤워시킬 수 있고, 의류에 부착되어 있는 균 등은 오존에 의해 산화 분해되어 수용성이 높게 되어 있으므로, 다음 공정인 세 제 없는 세정 공정에 있어서의 물 세정에 의해 용이하게 의류로부터 제거되도록 세정 효과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소취 효과 및 제균 효과의 향상을 도모할 수도 있다.
이 실시형태에서는 히터(122)를 온으로 하지 않고 있지만, 히터(122)도 온으로 해서 오존을 함유하는 공기를 가열함으로써 오존을 활성화시켜서 행할 수도 있다.
그리고, 오존에 의한 예비 세정가 15분간 행해진 것이 판별되면(스텝T2의 예) 다음의 세정 공정(스텝T3)으로 이동된다.
이 실시형태에서는 세정 공정에 있어서 세제 없이 하는 물 세정을 행하고 있지만, 세제를 이용해서 세정을 행하는 세제 세정이나, 세정 공정 전에 드럼(103) 내에 스팀을 분사해서 피지 오염 등을 스팀의 작용에 의해 의류를 고온으로 해서 떠오르게 해 떨어뜨리기 쉽게 하는 스팀 세정을 행할 수도 있고, 그것에 의해 세정 효과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그리고, 세정 공정 종료후, 헹구기 1 공정으로 이동되고(스텝T4), 헹구기 1 공정이 종료되면 오존 발생 장치(147)가 오프로 된다(스텝T5).
그리고, 오존 발생 장치(147)가 오프로 된 후, 헹구기 2 공정(스텝T6) 및 탈수 공정(스텝T7)이 행해지고, 종료된다.
또한, 이 실시형태에서는 헹구기 1 공정 종료 후에 오존 발생 장치(147)를 오프로 하고 있지만, 예컨대, 세정 공정 전이나 탈수 공정 전 등 그 외의 타이밍에서 오프로 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은, 이상에서 설명한 실시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청구항의 범위 내에 있어서 각종 변경이 가능하다. 또한, 이 실시형태에서는 경사진 드럼 배치 구조의 의류 건조 기능이 있는 세탁기에 대해서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드럼이 수평 배치 또는 수직 배치된 것에 대해서도 적용 가능하고, 또한, 세탁기 또는 의류 건조기 등에 적용할 수도 있다.

Claims (20)

  1. 의류의 건조를 행하기 위한 처리 조;
    일단 및 타단을 갖고, 타단은 상기 처리 조에 접속되어 있으며 일단측으로부터 처리 조 내로 공기를 보내기 위한 건조풍로;
    상기 건조풍로에 구비되고, 일단측으로부터의 공기를 타단측으로부터 상기 처리 조 내로 보내기 위한 공기류를 발생시키는 송풍 수단;
    상기 건조풍로 내의 상기 건조풍로에 있어서의 공기의 흐름 방향으로 볼 때 상기 송풍 수단의 하류측에 설치되고, 상기 건조풍로를 통과하는 공기를 가열하기 위한 가열 수단; 및
    상기 건조풍로 밖에 배치되어 있고, 입구로부터 공기를 흡입하여 이 공기로 오존을 발생시켜서 출구로부터 방출하기 위한 오존 발생 장치로서:
    상기 입구는 상기 송풍 수단 및 상기 가열 수단 사이에 위치하는 상기 건조풍로에 연통되고;
    상기 출구는 상기 건조풍로의 공기의 흐름 방향으로 볼 때 상기 가열 수단의 하류측에 연통되어 있는 오존 발생 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 건조기.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건조풍로에 설치되고, 상기 건조풍로를 통과하는 공기 중의 습기를 제거하기 위한 제습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건조풍로의 일단은 상기 처리 조에 접속되어 있고, 상기 건조풍로는 상기 처리 조 내의 공기를 순환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 건조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 조 내의 의류의 건조 정도를 검지하기 위한 건조 정도 검지 수단; 및
    상기 건조 정도 검지 수단에 의해 검지되는 건조 정도가 미리 정한 상태로 된 후에 상기 오존 발생 장치에 의해 발생된 오존을 상기 처리 조 내로 공급하기 위한 오존 공급 제어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 건조기.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오존 공급 제어 수단은 상기 처리 조에 있어서의 건조 운전이 종료될 때까지 상기 처리 조 내의 오존이 산화 반응에 의해 소멸되도록 시간을 고려해서 상기 건조 운전 종료 전에 오존 공급을 정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 건조기.
  6. 제 4 항 또는 제 5 항에 있어서, 건조 운전에 있어서 온도가 상승된 의류의 온도를 내리기 위한 쿨 다운을 실시하고;
    상기 오존 공급 제어 수단은 상기 쿨 다운 종료 전에 오존의 공급을 정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 건조기.
  7. 제 4 항에 있어서, 건조 운전에 있어서의 건조 공정 후에 있어서 온도가 상승된 의류의 온도를 내리기 위한 쿨 다운을 실시하고;
    상기 오존 공급 제어 수단은 상기 쿨 다운시에 오존을 상기 처리 조 내로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 건조기.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오존 발생 장치에 의해 발생된 오존을 상기 건조풍로를 통해서 상기 처리 조 내로 공급하기 위한 오존 공급 제어 수단을 갖고;
    상기 송풍 수단 및 상기 가열 수단을 동작시켜 상기 처리 조 내에 가열 공기를 도입해서 상기 처리 조 내의 의류를 건조시키는 건조 공정, 및 상기 건조 공정 종료 후에 상기 처리 조 내의 의류의 온도를 내리기 위한 쿨 다운 공정을 행하는 의류 건조기로서:
    상기 오존 공급 제어 수단은,
    상기 쿨 다운 공정시에 상기 오존 발생 장치에 의해 발생된 오존을 상기 처리 조 내로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 건조기.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쿨 다운 공정은 상기 처리 조 내에 오존을 공급하는 제균 공정인 전반부와, 상기 제균 공정에 있어서 공급된 오존을 산화 반응에 의해 소멸시키는 오존 소멸 공정인 후반부로 구분되고;
    상기 오존 소멸 공정이 개시되고나서 소정 시간이 경과될 때까지는 상기 쿨 다운 공정은 종료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 건조기.
  10. 제1항에 기재된 의류 건조기의 기능을 가진 세탁기로서:
    상기 처리 조는 물을 모으고, 의류를 수용해서, 의류의 건조 전에 의류를 세탁함과 아울러 의류를 탈수하는 것이 가능한 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 건조 기능을 가진 세탁기.
  11. 제10항에 있어서, 의류의 탈수를 행하는 탈수 공정시에 상기 오존 발생 장치에 의해 발생된 오존을 상기 처리 조 내로 공급하는 오존 공급 제어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 건조 기능을 가진 세탁기.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 조는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회전 드럼을 포함하고;
    상기 오존 공급 제어 수단은,
    상기 회전 드럼의 회전수가 미리 정해진 탈수 회전수에 도달했을 때부터 상기 오존 발생 장치에 의해 발생된 오존을 상기 처리 조 내로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 건조 기능을 가진 세탁기.
  13. 제 12 항에 있어서, 의류를 교반하기 위한 교반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오존 공급 제어 수단은 상기 탈수 공정 후에 상기 교반 수단에 의해 의류를 교반하면서 오존을 상기 처리 조 내로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 건조 기능을 가진 세탁기.
  14. 제10항에 있어서, 탈수 후에 운전을 종료하는 세탁 운전을 행하고,
    상기 세탁 운전에 있어서 의류의 탈수 후에 상기 오존 발생 장치에 의해 발생된 오존을 상기 처리 조 내로 공급하는 오존 공급 제어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 건조 기능을 가진 세탁기.
  15. 제10항에 있어서,
    오존 공급시에 상기 송풍 수단 및 상기 가열 수단을 동작시켜 상기 건조풍로를 통과하는 가열 공기와 함께 오존을 상기 처리 조 내로 공급하는 오존 공급 제어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 건조 기능을 가진 세탁기.
  16. 제10항에 있어서, 세탁 및 탈수를 행하는 세탁 코스와, 세탁, 탈수 및 건조를 행하는 세탁 건조 코스와, 건조를 행하는 건조 코스를 선택하는 선택 수단을 가지고;
    상기 오존 발생 장치에 의해 발생된 오존을 상기 건조풍로를 통해서 상기 처리 조 내로 공급하며, 상기 세탁 코스가 선택되었을 때에는 의류의 탈수를 행하는 탈수 공정시 또는 상기 탈수 공정 후에 오존을 상기 처리 조 내로 공급하고, 상기 세탁 건조 코스 또는 상기 건조 코스가 선택되었을 때에는 건조 운전시에 오존을 상기 처리 조 내로 공급하는 오존 공급 제어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 건조 기능을 가진 세탁기.
  17. 제10항에 있어서,
    세정 공정의 급수 전에 상기 오존 발생 장치에 의해 발생된 오존을 상기 처리 조 내로 공급하는 오존 공급 제어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 건조 기능을 가진 세탁기.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오존 공급 제어 수단에 의한 오존의 공급 전 또는 공급 중에 상기 처리 조 내를 따뜻하게 하는 가열 수단을 추가로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 건조 기능을 가진 세탁기.
  19. 제 17 항 또는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 조 내의 의류의 양을 검지하는 부하량 검지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부하량 검지 수단에 의해 검지된 부하량이 소정값 이하일 때에는 상기 오존 공급 제어 수단은 오존을 상기 처리 조 내로 공급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 건조 기능을 가진 세탁기.
  20. 제 17 항 또는 제 18 항에 있어서, 세탁기에 대해서 세제를 이용하지 않고 세탁을 행한다는 취지의 신호가 주어진 것에 응답하여,
    상기 오존 공급 제어 수단은,
    오존을 상기 처리 조 내로 공급하고, 상기 오존 공급에 이어서 세제를 이용하지 않고 물만으로 상기 처리 조에 수용된 의류를 세정하고, 그 후, 의류를 헹구는 세제 없는 세탁 코스를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 건조 기능을 가진 세탁기.
KR1020087008346A 2005-10-07 2006-09-25 의류 건조기 및 의류 건조 기능을 가진 세탁기 KR10136454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5-00295193 2005-10-07
JP2005295193A JP4883978B2 (ja) 2005-10-07 2005-10-07 洗濯機
JPJP-P-2005-00376182 2005-12-27
JP2005376182A JP2007175223A (ja) 2005-12-27 2005-12-27 衣類乾燥機、洗濯機および衣類乾燥機能付き洗濯機
PCT/JP2006/318984 WO2007043326A1 (ja) 2005-10-07 2006-09-25 衣類乾燥機、洗濯機および衣類乾燥機能付き洗濯機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52656A KR20080052656A (ko) 2008-06-11
KR101364547B1 true KR101364547B1 (ko) 2014-02-18

Family

ID=379425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7008346A KR101364547B1 (ko) 2005-10-07 2006-09-25 의류 건조기 및 의류 건조 기능을 가진 세탁기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090255299A1 (ko)
EP (1) EP1932962B1 (ko)
KR (1) KR101364547B1 (ko)
WO (1) WO2007043326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168434B2 (en) 2019-01-23 2021-11-09 Haier Us Appliance Solutions, Inc. Valve manifold with auxiliary inlet for a washing machine applianc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56503B1 (ko) * 2002-11-26 2006-03-03 엘지전자 주식회사 건조기의 건조 시간제어 방법
DE10260149A1 (de) * 2002-12-20 2004-07-01 BSH Bosch und Siemens Hausgeräte GmbH Vorrichtung zur Bestimmung des Leitwertes von Wäsche, Wäschetrockner und Verfahren zur Verhinderung von Schichtbildung auf Elektroden
DE102005013051A1 (de) * 2005-03-18 2006-09-21 BSH Bosch und Siemens Hausgeräte GmbH Kondensations-Wäschetrockner
US8104192B2 (en) * 2005-03-31 2012-01-31 Lg Electronics Inc. Laundry dryer
KR101137335B1 (ko) * 2005-08-25 2012-04-19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 장치의 운전 방법
DE102005055180A1 (de) * 2005-11-18 2007-05-24 BSH Bosch und Siemens Hausgeräte GmbH Flusenfiltereinrichtung
DE102007007354B4 (de) 2006-02-20 2013-10-10 Lg Electronics Inc. Wäschetrockner und Verfahren zur Steuerung
KR100830514B1 (ko) 2006-06-12 2008-05-21 엘지전자 주식회사 건조기 및 그 제어방법
KR101341461B1 (ko) * 2006-12-15 2013-12-16 엘지전자 주식회사 스팀 건조기
US7997006B2 (en) * 2007-01-12 2011-08-16 Lg Electronics Inc. Laundry machine and control method thereof
JP5095240B2 (ja) * 2007-03-07 2012-12-12 ハイアール グループ コーポレーション 乾燥機
KR101443605B1 (ko) * 2007-04-05 2014-09-23 엘지전자 주식회사 드럼식 세탁장치의 운전방법
US20100031526A1 (en) * 2007-04-20 2010-02-11 Eco-Dry Systems Pty Ltd Dryer
JP5001827B2 (ja) 2007-12-28 2012-08-15 三洋電機株式会社 洗濯乾燥機および消臭装置
EP2326759B1 (en) 2008-07-07 2016-05-04 Arçelik Anonim Sirketi A washing machine
WO2010052146A1 (en) 2008-11-06 2010-05-14 Arcelik Anonim Sirketi A household appliance using ozone gas
DE102009006233A1 (de) 2009-01-27 2010-08-05 Miele & Cie. Kg Verfahren zur Abgabe eines Duftstoffes während des Trocknungsprozesses in einem Wäschetrockner
CN102575406B (zh) * 2009-09-15 2015-05-13 F.M.B.博洛尼亚制造机械股份公司 用于水洗洗衣机的辅助组件
KR101637350B1 (ko) * 2009-12-15 2016-07-07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장치 및 이의 제어방법
DE102010029885A1 (de) * 2010-06-09 2011-12-15 BSH Bosch und Siemens Hausgeräte GmbH Verfahren zur Behandlung von Wäsche in einer Waschmaschine bei niedriger Temperatur und hierzu geeignete Waschmaschine
DE102010038619A1 (de) * 2010-07-29 2012-02-02 BSH Bosch und Siemens Hausgeräte GmbH Hausgerät mit einem Ozongenerator
US8919356B2 (en) 2010-12-14 2014-12-30 Whirlpool Corporation Ozone generation module
US8951360B2 (en) 2010-12-14 2015-02-10 Whirlpool Corporation Ozone generation module
KR20120080947A (ko) * 2011-01-10 2012-07-18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처리장치의 운전방법
DE102011051854B3 (de) 2011-07-15 2012-10-04 Miele & Cie. Kg Verfahren zum Betreiben eines Wäschetrockners mit Duftzuführung und Wäschetrockner
CA3202964A1 (en) 2011-12-06 2013-06-13 Delta Faucet Company Ozone distribution in a faucet
DE102012209823A1 (de) 2012-06-12 2013-12-12 BSH Bosch und Siemens Hausgeräte GmbH Haushaltsgerät mit einem Generator, insbesondere einem Ozongenerator, und einer Filtereinrichtung
KR20140028406A (ko) * 2012-08-28 2014-03-10 삼성전자주식회사 건조장치와 이를 갖춘 세탁기 및 그 제어방법
KR102129925B1 (ko) * 2013-12-12 2020-07-03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 처리제와, 이를 이용한 의류 처리기기 및 의류처리방법
US10024597B2 (en) * 2014-11-26 2018-07-17 Extractor Corporation Centrifugal separator
CN104566970A (zh) * 2015-01-09 2015-04-29 林智勇 多用空气能干衣热水器
US9731865B2 (en) * 2015-02-19 2017-08-15 BSH Hausgeräte GmbH Fluid container of a household appliance
US11458214B2 (en) 2015-12-21 2022-10-04 Delta Faucet Company Fluid delivery system including a disinfectant device
JP6251425B1 (ja) * 2016-09-09 2017-12-20 東芝ライフスタイル株式会社 洗濯機
CN109957908A (zh) * 2017-12-22 2019-07-02 博西华电器(江苏)有限公司 洗衣机的衣物护理程序的控制方法
CN109957909B (zh) * 2017-12-22 2021-12-07 博西华电器(江苏)有限公司 用洗衣机对衣物除菌的方法及可实施该方法的洗衣机
CN110004633A (zh) * 2018-01-04 2019-07-12 青岛海尔滚筒洗衣机有限公司 用于衣物处理设备的除螨控制方法及衣物处理设备
DE102018122461A1 (de) * 2018-09-14 2020-03-19 Miele & Cie. Kg Verfahren und Steuergerät zum Ansteuern eines Erwärmens eines Reinigungsguts während eines Reinigungsvorgangs in einem Reinigungsgerät und Reinigungsgerät
US11091871B2 (en) 2019-02-19 2021-08-17 Haier Us Appliance Solutions, Inc. Pivoted faucet in a lid of a top load washing machine
KR20210023034A (ko) * 2019-08-21 2021-03-04 엘지전자 주식회사 지능형 세탁기를 이용한 세탁물 건조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WO2021247772A1 (en) * 2020-06-03 2021-12-09 The Gap, Inc. Methods for processing denim
CN115704175A (zh) * 2021-08-09 2023-02-17 博西华电器(江苏)有限公司 用于干衣机的方法、装置、电子设备、存储介质及干衣机
KR102529700B1 (ko) * 2022-12-29 2023-05-04 권희철 청바지 탈색방법 및 청바지 탈색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137882A (ja) * 1997-11-12 1999-05-25 Hitachi Ltd 家庭用洗浄機器
JP2004275271A (ja) * 2003-03-13 2004-10-07 Toshiba Corp 洗濯機
JP2005021633A (ja) * 2003-07-04 2005-01-27 Toshiba Corp 洗濯機
JP2005124626A (ja) * 2003-10-21 2005-05-19 Toshiba Corp ドラム式洗濯機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226842A (en) * 1963-03-06 1966-01-04 Gen Electric Fabric dryer with ozone type bleaching system
DE3343236A1 (de) * 1983-11-30 1985-06-05 Hans 4600 Dortmund Baltes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trocknen und sterilisieren von geweben, insbesondere von empflindlichen geweben
BE899577A (fr) * 1984-05-04 1984-08-31 Hintermeister Edouard Machine a laver a l'ozone.
US4941270A (en) * 1987-09-21 1990-07-17 501 Geonate Holdings Inc. Ozone dryer
EP0343096B1 (en) * 1988-02-23 1999-08-18 Mitsubishi Jukogyo Kabushiki Kaisha Drum type washing apparatus
JPH04371199A (ja) 1991-06-19 1992-12-24 Sharp Corp 布団乾燥庫
JPH05253380A (ja) * 1992-03-10 1993-10-05 Hiroshi Kurata 洗濯機
JP4066468B2 (ja) * 1997-02-17 2008-03-26 株式会社Ihi 空気オゾン混合器及びオゾンフォグ発生装置
JP2002320792A (ja) 2001-04-26 2002-11-05 Toshiba Corp 洗濯機
US20030108460A1 (en) * 2001-12-11 2003-06-12 Andreev Sergey I. Method for surface corona/ozone making, devices utilizing the same and methods for corona and ozone applications
JP2003236287A (ja) * 2002-02-15 2003-08-26 Sanyo Electric Co Ltd 洗濯機
KR100966882B1 (ko) * 2003-07-21 2010-06-30 삼성전자주식회사 의류 건조기
WO2006036850A2 (en) * 2004-09-24 2006-04-06 Cissell Manufacturing Company Clothes tumbler with ozone generator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137882A (ja) * 1997-11-12 1999-05-25 Hitachi Ltd 家庭用洗浄機器
JP2004275271A (ja) * 2003-03-13 2004-10-07 Toshiba Corp 洗濯機
JP2005021633A (ja) * 2003-07-04 2005-01-27 Toshiba Corp 洗濯機
JP2005124626A (ja) * 2003-10-21 2005-05-19 Toshiba Corp ドラム式洗濯機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168434B2 (en) 2019-01-23 2021-11-09 Haier Us Appliance Solutions, Inc. Valve manifold with auxiliary inlet for a washing machine applian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932962A1 (en) 2008-06-18
WO2007043326A1 (ja) 2007-04-19
EP1932962B1 (en) 2012-10-24
KR20080052656A (ko) 2008-06-11
EP1932962A4 (en) 2010-01-13
US20090255299A1 (en) 2009-10-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64547B1 (ko) 의류 건조기 및 의류 건조 기능을 가진 세탁기
KR101021508B1 (ko) 세탁기
JP4883978B2 (ja) 洗濯機
JP5001827B2 (ja) 洗濯乾燥機および消臭装置
JP2007313006A (ja) 洗濯機
JP4619258B2 (ja) 洗濯機
JP4679380B2 (ja) 洗濯機
JP5087663B2 (ja) 洗濯機
JP5057277B2 (ja) 洗濯機
JP4679381B2 (ja) 洗濯機
JP2010264305A (ja) 洗濯機、乾燥機および衣類乾燥機能付き洗濯機
JP5008759B2 (ja) 洗濯機
JP5396510B2 (ja) 洗濯機
JP4985836B2 (ja) 洗濯機
JP2007175223A (ja) 衣類乾燥機、洗濯機および衣類乾燥機能付き洗濯機
JP5050176B2 (ja) 洗濯機
JP4610463B2 (ja) 洗濯機
JP5087664B2 (ja) 洗濯機
JP5997886B2 (ja) 洗濯機
JP2018042639A (ja) 洗濯乾燥機
JP2024078712A (ja) オゾン処理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1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0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3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05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