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63552B1 - 알레르기성 질환의 예방 및 개선능을 갖는 김치 조성물 - Google Patents

알레르기성 질환의 예방 및 개선능을 갖는 김치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63552B1
KR101363552B1 KR1020110089850A KR20110089850A KR101363552B1 KR 101363552 B1 KR101363552 B1 KR 101363552B1 KR 1020110089850 A KR1020110089850 A KR 1020110089850A KR 20110089850 A KR20110089850 A KR 20110089850A KR 101363552 B1 KR101363552 B1 KR 10136355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parts
composition
kimchi
allerg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898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26315A (ko
Inventor
윤택준
조선래
Original Assignee
(주)연안식품
유한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연안식품, 유한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주)연안식품
Priority to KR10201100898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63552B1/ko
Publication of KR201300263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2631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635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6355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25Araliaceae (Ginseng family), e.g. ivy, aralia, schefflera or tetrapanax
    • A61K36/254Acanthopanax or Eleutherococcu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BPRESERVING, e.g. BY CANNING, MEAT, FISH, EGGS, FRUIT, VEGETABLES, EDIBLE SEEDS; CHEMICAL RIPENING OF FRUIT OR VEGETABLES; THE PRESERVED, RIPENED, OR CANNED PRODUCTS
    • A23B7/00Preservation or chemical ripening of fruit or vegetables
    • A23B7/10Preserving with acids; Acid fermentatio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48Fabaceae or Leguminosae (Pea or Legume family); Caesalpiniaceae; Mimosaceae; Papilionaceae
    • A61K36/484Glycyrrhiza (licoric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60Moraceae (Mulberry family), e.g. breadfruit or fig
    • A61K36/605Morus (mulberr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88Liliopsida (monocotyledons)
    • A61K36/896Liliaceae (Lily family), e.g. daylily, plantain lily, Hyacinth or narcissus
    • A61K36/8969Polygonatum (Solomon's seal)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04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a modulation effect on allergy and risk of allergy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otany (AREA)
  • Myc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Public Health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Microbi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Epidem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가시오갈피, 상엽, 둥굴레 및 감초를 포함하는 알레르기성 질환의 예방 및 개선용 조성물에 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IgG 및 IgE의 생산 억제, 히스타민 분비 억제능을 갖는바, 알레르기성 질환의 예방, 개선 및 치료능이 있다.

Description

알레르기성 질환의 예방 및 개선능을 갖는 김치 조성물{KIMCHI COMPOSITION HAVING PREVENTION AND IMPROVEMENT FUNCTION OF ALLERGIC DISEASES}
본 발명은 알레르기성 질환의 예방 및 개선용 조성물에 대한 것이다.
최근 알레르기성 비염, 아토피성 피부염 등 알레르기성 질환 환자가 증가하면서, 안전하면서도 효과적인 항알레르기 제품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항알레르기 제품는 항히스타민제 등 의약뿐 아니라, 기능성 식품, 물건 등에도 널리 적용되는데, 이는 알레르기성 질환을 생활 전반에 거쳐 개선, 관리 해야할 질환으로 인식하는 경향이 늘었기 때문이다.
이 때문에 최근에는 안트라퀴논 유도체를 포함하는 약학 조성물(한국공개특허공보 10-2011-0085517호), 배롱나무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알러지 예방 또는 개선용 약학적 조성물(한국공개특허공보 10-2011-0050938호)등과 같은 의약, 식품 뿐 아니라, 사자발쑥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알레르기 질환 예방 또는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한국공개특허공보 10-2011-0041705호)과 같은 다양한 분야에서도 항알레르기성 제품의 개발이 이루어지고 있다.
그러나 항알레르기 활성을 갖는 식품, 의약 조성물이라 하더라도, 이들을 별도의 의약 또는 건강식품으로 투여하는 것이 대부분이며, 김치, 장아찌 등 한국인이 일상적으로 섭취하는 일반적인 식품을 항알레르기 식품으로 제조하는 기술은 찾아보기 어려웠다. 이는 김치 등과 같은 발효식품의 특성 상 항알레르기 조성물을 첨가하더라도 발효, 숙성 과정에서 항알레르기 활성을 계속 유지하는 것이 어려웠기 때문이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항알레르기성 발효 식품에 대하여 연구를 계속하던 중, 가시오갈피, 상엽, 둥굴레 및 감초를 첨가하여 김치를 제조 시, 상기 김치가 항알레르기 활성을 갖는 것을 확인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의 목적은 알레르기성 질환의 예방 및 개선용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항알레르기성 식품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가시오갈피, 상엽, 둥굴레 및 감초를 포함하는 알레르기성 질환의 예방 및 개선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가시오갈피, 상엽, 둥굴레 및 감초를 포함하는 항알레르기성 식품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항알레르기성 조성물 및 식품은 알레르기를 유발하는 제 1형 과민반응 즉, 알레르기를 유발하는 항체인 IgE의 생산을 억제한다. 즉, 본 발명은 알레르기를 유발하는 알러젠에 의한 Th2 형 우월한 면역반응을 조절(억제)하는 기능을 가짐으로서 알러지를 유발한는데 직접 관여하는 히스타민의 분비를 억제할 뿐 아니라, NO 및 염증성 사이토카인의 생산을 억제하는 기능이 있다.
도 1는 실시예 3을 마우스에 경구투여한 후 마우스에서 알러젠 감작에 의한 IgE 생산에 미치는 영향을 나타낸다.
도 2은 실시예 1 및 3을 마우스에 경구투여 시 IgG 생산에 미치는 영향을 나타낸다.
도 3은 실시예 1 및 3을 마우스에 경구투여 시 IgG 항체의 subisotype에 따른 영향을 나타낸다.
도 4은 실시예 1 및 3을 마우스에 경구투여 시 IgA 생산에 미치는 영향을 나타낸다.
도 5는 시료를 마우스에 경구 투여 시 생산된 사이토카인들의 생산 양식을 나타낸다.
본 발명은 가시오갈피, 상엽, 둥굴레 및 감초를 포함하는 알레르기성 질환의 예방 및 개선용 조성물에 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가시오갈피, 상엽, 둥굴레 및 감초를 포함하는 항알레르기성 식품에 대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을 자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가시오갈피 100중량부에 대하여, 상엽을 30~80중량부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조성물은 가시오갈피 100중량부에 대하여, 둥굴레를 15~50중량부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조성물은 가시오갈피 100중량부에 대하여, 감초를 10~40중량부 포함할 수 있다. 상엽, 둥굴레 및 감초가 각각 30중량부, 15중량부 및 10중량부 미만으로 포함되거나, 각각 80중량부, 50중량부, 40중량부를 초과하는 경우 알레르기 억제 효과가 다소 떨어질 수 있다. 그러나 약효가 다소 떨어진다고 하더라도, 상기 가시오갈피, 상엽, 둥굴레, 감초의 혼합에 의하여 어느 정도의 알레르기 억제 효능은 갖는바, 상기 범위를 벗어난다고 하여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지 않는 것은 아니라 할 것이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IgE의 생산 저해능을 갖는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조성물은 IgE를 매개로 하는 제 1형 면역과민반응 즉, 일반적으로 칭하는 알레르기 반응을 전반적으로 억제한다. 예컨대, 본 발명의 조성물은 IgE를 매개로 하는 기관지 천식, 두드러기, 알레르기 비염, 아토피 피부염, 아나필락시스 등을 완화, 개선 및 예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조성물은 항히스타민 활성을 갖는다.
본 발명의 알레르기성 질환은 알레르겐에 대하여 신체 이상이 초래될 정도로 과민 반응이 유발되고, 과민 반응 중 빠른 기전으로 신체에 이상이 생기는 질환을 가리킨다. 예컨대 본 발명의 알레르기성 질환은 아토피 피부염, 알레르기성 비염, 천식, 알레르기성 결막염, 알레르기성 장관염, 아나필락시스 및 두드러기(아토피성 두드러기 포함)로 구성되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가시오갈피, 상엽, 둥굴레 및 감초를 포함하는 알레르기성 질환의 예방 및 개선용 조성물은 가시오갈피, 상엽, 둥굴레 및 감초의 김치 배양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조성물일 수 있다.
상기 김치 배양물은 가시오갈피, 상엽, 둥굴레 및 감초를 첨가하여 제조한 김치로부터 수득하는 것이다. 예컨대, 상기 김치 배양물은 가시오갈피, 상엽, 둥굴레 및 감초를 김치 양념에 첨가하여 제조한 김치로부터 수득할 수 있으며, 상기 김치의 김치액(즉, 김치 국물), 또는 김치 분쇄물의 추출액 등이 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가시오갈피, 상엽, 둥굴레 및 감초를 포함하는 알레르기성 질환의 예방 및 개선용 조성물이 첨가된 항알레르기성 식품에 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가시오갈피, 상엽, 둥굴레 및 감초의 김치 배양물이 첨가된 항알레르기성 식품에 대한 것이다.
본 발명의 항알레르기성 식품은 일반적인 식자재면 되고,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예컨대, 본 발명의 식품은 발효 식품일 수 있으며, 상기 발효 식품은 김치, 장아찌, 된장, 고추장, 간장 등이 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알레르기성 질환의 예방 및 개선용 조성물은 약학적 조성물 또는 식품 조성물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알레르기성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은 조성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상기 가시오갈피, 상엽, 둥굴레 및 감초를 0.01 내지 99 중량부 포함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0.02 내지 80 중량부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이는 투약자의 필요에 따라 증감할 수 있으며, 식생활, 영양 상태, 알레르기 반응의 심각성, 알레르겐의 노출 정도 등 상황에 따라 적절히 증감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경구 또는 비경구로 투여가 가능하며 도포하여 사용할 수 있고, 일반적인 의약품 제제의 형태로 사용될 수 있다. 바람직한 약제학적 제제는 정제, 경질 또는 연질 캅셀제, 액제, 현탁제 등과 같은 경구투여용 제제가 있으며 이들 약제학적 제제는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통상의 담체, 예를 들어 경구투여용 제제의 경우에는 부형제, 결합제, 붕해제, 활택제, 가용화제, 현탁화제, 보존제 또는 증량제 등을 사용하여 조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의 투여 용량은, 환자의 상태, 연령, 체중, 알레르기 반응의 심각성, 알레르겐의 노출 정도 등의 다양한 요인에 따라 전문가에 의해 결정될 수 있지만 일반적으로는 성인 1kg 당 0.1mg 내지 10g, 바람직하게는 1mg 내지 5g의 용량으로 투여될 수 있다. 또, 단위 제형당 상기 약학적 조성물의 1일 용량 또는 이의 1/2, 1/3 또는 1/4의 용량이 함유되도록 하며, 하루 1 내지 6 회 투여될 수 있다. 그러나 장기간의 섭취의 경우에는 상기 양은 상기 범위 이하일 수 있으며, 유효성분은 안전성 면에서 아무런 문제가 없기 때문에 상기 범위 이상의 양으로도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알레르기성 질환의 예방 및 개선용 조성물은 식품 조성물일 수 있다. 상기 식품이란 건강보조식품, 건강기능식품, 기능성 식품 등이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천연식품, 가공식품, 일반적인 식자재 등에 본 발명의 가시오갈피, 상엽, 둥굴레 및 감초가 첨가하는 것도 포함된다.
본 발명의 가시오갈피, 상엽, 둥굴레 및 감초를 포함하는 식품 조성물은, 상기 조성물을 그대로 첨가하거나 다른 식품 또는 식품 조성물과 함께 사용될 수 있으며,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적절하게 사용될 수 있다. 유효 성분의 혼합양은 그의 사용 목적(예방, 개선 또는 치료적 처치)에 따라 적합하게 결정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본 발명의 가시오갈피, 상엽, 둥굴레 및 감초는, 식품 또는 음료의 제조 시에 식품 또는 음료의 원료 100 중량부에 대하여 0.1 내지 90 중량부, 바람직하게는 1 내지 60 중량부 첨가될 수 있다. 상기 효모 가수분해물의 유효용량은 상기 약학적 조성물의 유효용량에 준해서 사용할 수 있으나, 전반적인 체질 개선 목적 등 장기간의 섭취의 경우에는 상기 범위 이하일 수 있으며, 유효성분은 안전성 면에서 아무런 문제가 없기 때문에 상기 범위 이상의 양으로도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식품의 종류에는 특별한 제한은 없다. 상기 가시오갈피, 상엽, 둥굴레 및 감초를 포함하는 식품 조성물은 정제, 경질 또는 연질 캅셀제, 액제, 현탁제 등과 같은 경구투여용 제제의 형태로 이용될 수 있으며, 이들 제제는 허용 가능한 통상의 담체, 예를 들어 경구투여용 제제의 경우에는 부형제, 결합제, 붕해제, 활택제, 가용화제, 현탁화제, 보존제 또는 증량제 등을 사용하여 조제할 수 있다.
상기 가시오갈피, 상엽, 둥굴레 및 감초를 첨가할 수 있는 식품의 예로는 육류, 소세지, 빵, 쵸코렛, 캔디류, 스넥류, 과자류, 피자, 라면, 기타 면류, 껌류, 아이스크림류를 포함한 낙농제품, 각종 스프, 음료수, 차, 드링크제, 알콜 음료 및 비타민 복합제, 기타 영양제 등을 들 수 있으나 이들 종류의 식품으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 본 발명을 다음의 실시예 및 실험예에 의해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단, 하기 실시예 및 실험예는 본 발명의 내용을 예시하는 것일 뿐 발명의 범위가 실시예 및 실험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2 및 비교예 1-5>
하기 표 1의 조성으로 재료들을 세절하여 혼합한 후 총 중량의 10배 중량되는 물을 가하여 100℃에서 4시간동안 열수 추출하였다. 추출물로부터 잔사를 제거하고, 동결건조기를 이용하여 동결건조시켜 시료로 제조하였다(실시예 1-2, 비교예 1-5).
Figure 112011069339736-pat00001
<실시예 3>
실시예 1의 식물 추출 동결건조물을 김치 양념 100g 당 5g의 비율로 각각 혼합하여 식물 추출 동결건조물 혼합 김치 양념을 제조하였다. 상기 혼합 김치 양념 및 배추를 이용하여 김치를 제조하고 4℃에서 1주일간 숙성시켰다. 숙성된 김치를 원심분리하여 김치액을 수집하였다(실시예 3). 수집된 김치액의 농도는 약 20mg/ml 수준이었다.
<실시예 4>
실시예 2의 식물 추출 동결건조물을 김치 양념 100g 당 5g의 비율로 각각 혼합하여 식물 추출 동결건조물 혼합 김치 양념을 제조하였다. 상기 혼합 김치 양념 및 배추를 이용하여 김치를 제조하고 4℃에서 1주일간 숙성시켰다. 숙성된 김치를 원심분리하여 김치액을 수집하였다(실시예 4). 수집된 김치액에 함유된 상기 식물 추출 동결건조물의 농도는 약 20mg/ml 수준이었다.
<실험예 1>
ICR 마우스 복강에 실시예 1-2, 비교예 1-5를 각각 투여하였다. 그리고 30분 후 compound 48/80을 SD 마우스에 5 mg/kg의 용량으로 처리하여 과민성 쇼크(anaphylactic shock) 모델 마우스를 제조하여 시간 경과에 의한 마우스의 생존율을 조사하였다. 대조군으로는 식염수 1mg 투여 후 compound 48/80 처리한 마우스 군을 사용하였다. 각 실험군 및 대조군은 20마리씩 사용하였다.
그 결과, 가시오갈피, 상엽, 둥굴레, 및 감초를 포함하는 실시예 1, 2의 급성 쇼크 억제 활성이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다(표 2). 특히, 실시예 1의 경우가 알러지를 유발하는 히스타민의 유리에 의한 마우스의 폐사를 가장 유의하게 억제하는 효과가 있는 것으로 인정되어, 후속 실험에서는 실시예 1을 이용하였다.
Figure 112011069339736-pat00002
<실험예 2> 시료의 경구 투여가 항체의 생산에 미치는 효과
알레르겐으로 5 ug의 OVA를 상용 adjuvant인 alum hydroxide(alum; 1 mg/mouse)과 혼합하여 마우스에 감작시켰다. 각 면역원은 2주 간격으로 총 3회 피하면역하였고, 항혈청의 수집은 boosting 면역(최종 면역) 5일 후에 후 각 마우스로부터 준비하였다. 실시예 1 및 실시예 3은 알레르겐 면역 10일 전까지는 매일, 알레르겐 면역 후부터 최종 3차 면역시까지 2-3일 간격으로 100mg/kg체중으로 투여하였다. 대조군으로는 일반 김치를 원심분리하여 수득한 김치액을 사용하였으며, 실시예 3과 동일한 방법으로 투여하였다.
혈청에 존재하는 각 항원에 대한 총항체가 및 IgE, IgG 생산량을 측정하였으며, 또한 실시예 1 및 3을 알러젠과 동시 면역 후 생산된 항체의 subisotype을 분석하였다. 혈청에 존재하는 각 항원에 대한 총항체가 및 IgE, IgG 생산량을 ELISA법으로 측정하였으며, 또한 실시예 1 및 3을 알러젠과 동시 면역 후 생산된 항체의 subisotype을 분석하였다. 혈청의 총 IgE 함량은 마우스 IgE 측정을 위한 ELISA kit(BD Biosciences, Franklin Lakes, NJ, USA)를 이용하여 제조사의 지침에 따라 수행하였으며, 면역글로블린 subisotype의 분석은 마우스 면역글로블린의 각 subisotype에 대한 특이적인 2차 항체를 이용하는 ELISA kit(Pierce. Rockford, USA)를 이용하여 수행하였다. 생산된 항체의 subisotype를 결정하기 위한 항혈청은 500배 희석된 것을 사용하였다.
<2-1> IgE 항체 생산
일반 김치액의 경구 투여군은 알레르겐 단독투여 대조군에 비하여 약간 낮은 IgE 생산 활성을 보였고, 실시예 3의 경구투여군은 대조군 김치에 비하여 유의하게 낮은 IgE 생산 활성을 보였다. 동시에 실시예 1의 경구투여군도 유의하게 낮은 IgE 생산 활성을 보였다. 그러므로 실시예 1 및 실시예 3의 경구투여는 IgE 매개의 면역과민반응을 억제하는 활성이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도 1).
<2-2> IgG 및 그의 subisotype의 생산에 미치는 효과
실시예 1 및 실시예 3의 투여는 IgG1 생산을 억제하는 것으로 나타나(도 2), IgE 항체와 유사한 항체 생산 경향을 보였다.
그러나 Th1 성향의 사이토카인의 영향을 받는 IgG2a 및 IgG2b type의 항체 활성은 대조군에 비하여 상승된 결과를 보였다(도 3).
<2-3> IgA의 생산에 미치는 효과
실시예 1 및 실시예 3의 투여는 항원 OVA에 대한 IgA 항체가를 상승시켰다. IgA 항체는 주로 점막면역에 관여하는 항체로 본 발명물을 경구투할 경우 혈중 IgA의 항체가가 상승된 것은 본 발명물이 장관면역을 증진시키는 활성이 있음을 시사하는 결과이다(도 4).
<실험예 3> 면역 마우스의 비장세포가 생산하는 사이토카인 생산양식 조사
실시예 1 및 3은 Th1 type 성향의 IgG2 type의 항체는 증진시키고 Th2 type 성향의 항체 중에선 주로 IgE type의 항체생산을 억제하는 활성이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한편, 점막면역에 직접 관여하는 IgA의 생산 효과의 경우 대조군인 일반 김치액 투여군 및 실시예 3의 경구 투여군에서 유의하게 높은 활성을 보였는데, 이러한 결과는 김치 자체가 점막면역능을 증진시키기 때문으로 보인다. 그러나 실시예 3이 일반 김치에 비하여 유의하게 높은 IgA의 생산량이 증가시키는 것은 아니었다.
체액성 면역에 관여하는 effector B 세포의 기능은 Th1 세포가 생산하는 Th1 성향을 가지는 IL-2, IFN-γ, GM-CSF 등의 cytokine 혹은 Th2-type의 helper T 세포가 생산하는 IL-4, IL-6 및 IL-10에 의하여 조절된다. Th1-type cytokine은 B 세포가 IgG2 type의 항체를 생산하는데 관여하며 Th2-type cytokine은 주로 IgG1 및 IgE type의 항체를 생산하는 B 세포로의 분화를 촉진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따라서, 항원에 대한 항체의 subisotype가 결정되는 것은 주로 Th1 및 Th2 세포가 생산하는 cytokine 생산 양식으로 설명할 수 있기에 각 면역 마우스의 비장세포를 항원 OVA롤 자극후에 생산되는 cytokine의 생산양식에 대한 실험을 실시하였다. 마우스에 OVA를 단독 혹은 본 발명품과 혼합하여 면역한 마우스의 비장세포를 분리하여 항원으로 사용한 OVA를 재자극 함으로서 생산된 Th1-type 및 Th2-type cytokine의 양을 조사하였다.
실험 결과, 약용식물 추출물을 투여한 실시예 1 투여군(OVA+Alum+실시예 1) 및 약용식물을 함유한 시제품 김치 투여군인 실시예 3 투여군(OVA+Alum+실시예 3)은 항원 OVA 만을 면역한 대조군(Alum+OVA군)에 비하여 Th1-type 성향인 IFN-γ 및 IL-2의 생산이 유의하게 증진된 결과를 보였고, 대표적인 Th2-type인 IL-4가 억제된 것으로 나타났다(도 5). 그러므로 실시예 1 및 3은 IL-4의 생산을 억제함으로써, OVA에 대한 IgG1 type의 항체가 IgE로 전환하는 것을 억제하는 것으로 사료되었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시료의 경구투여는 IgE 매개로 유발되는 제1형 과민반응을 유의하게 억제하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실험예 4>비만세포(mast cell)로부터 히스타민 분비 및 염증성 성분의 억제효과
<4-1> 히스타민 분석
실시예 4를 SD 마우스의 복강에 투여하고, 30분 후 Compound 48/80 (5 mg/kg체중)을 주사하여 anaphylactic shock를 유도하였다. 그리고 Compound 48/80 처리로부터 15분이 경과한 후 마우스로부터 혈액을 취하고 혈장을 분리한 다음 경쟁반응의 원리에 의한 histamine EIA kit를 이용하여 히스타민을 측정하였다. 그리고 급성쇼크에 의한 마우스의 폐사율을 측정하여, 상기 히스타민 측정 결과를 확인하였다.
그 결과, 실시예 4의 100 mg/kg체중 투여한 실험군에서는 대조군(시료 무투여군)에 비하여 약 32%의 histamine 유도 억제능을 보였으며, 20 mg/kg체중 투여군에서는 10%의 억제효과를 보였다(표 3). 그러므로 실시예 4는 농도 의존적으로 히스타민을 억제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실시예 4의 100 mg/kg체중 투여군은 마우스들이 100% 생존하였는바, 이러한 실시예 4의 항히스타민능을 재차 확인할 수 있었다(표 4).
Figure 112011069339736-pat00003
Figure 112011069339736-pat00004

Claims (11)

  1. 가시오갈피 100중량부에 대하여, 상엽 30~80중량부, 둥굴레 15~50중량부 및 감초 10~40중량부를 포함하며,
    급성 쇼크 억제능 및 과민성 면역반응 억제능을 갖는, 알레르기성 질환의 예방 및 개선용 조성물.
  2. 제 1항에 있어서,
    가시오갈피 100중량부에 대하여, 상엽 30 중량부, 둥굴레 15 중량부 및 감초 10 중량부를 포함하는 조성물.
  3. 제 1항 또는 제 2항의 조성물을 첨가한 항알레르기성 식품.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식품은 김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
  5. 제 1항에 있어서,
    IgE 또는 IgG의 생산 저해능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6. 제 1항에 있어서,
    항히스타민 활성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알레르기성 질환은 아토피 피부염, 알레르기성 비염, 천식, 알레르기성 결막염, 알레르기성 장관염, 아나필락시스 및 두드러기로 구성되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8. 김치액을 포함하는, 급성 쇼크 억제능 및 과민성 면역반응 억제능을 갖는, 알레르기성 질환의 예방 및 개선용 조성물로,
    상기 김치액은 가시오갈피 100중량부에 대하여, 상엽 30~80중량부, 둥굴레 15~50중량부 및 감초 10~40중량부를 포함하는 조성물을 혼합하여 김치 양념을 만들고, 상기 김치 양념을 이용하여 김치를 제조하고, 상기 김치를 원심분리하여 제조하는,
    알레르기성 질환의 예방 및 개선용 조성물.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김치액은 가시오갈피 100중량부에 대하여, 상엽 30 중량부, 둥굴레 15 중량부 및 감초 10 중량부를 포함하는 조성물을 이용하여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10. 제 8항 또는 제 9항의 조성물을 첨가한 항알레르기성 식품.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식품은 김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
KR1020110089850A 2011-09-05 2011-09-05 알레르기성 질환의 예방 및 개선능을 갖는 김치 조성물 KR10136355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89850A KR101363552B1 (ko) 2011-09-05 2011-09-05 알레르기성 질환의 예방 및 개선능을 갖는 김치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89850A KR101363552B1 (ko) 2011-09-05 2011-09-05 알레르기성 질환의 예방 및 개선능을 갖는 김치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26315A KR20130026315A (ko) 2013-03-13
KR101363552B1 true KR101363552B1 (ko) 2014-02-14

Family

ID=481776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89850A KR101363552B1 (ko) 2011-09-05 2011-09-05 알레르기성 질환의 예방 및 개선능을 갖는 김치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63552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20908A (ko) * 2003-02-24 2003-03-10 이재학 천연 생약 발효를 이용한 화장품 조성물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20908A (ko) * 2003-02-24 2003-03-10 이재학 천연 생약 발효를 이용한 화장품 조성물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Korean J. Food Sci. Technol., 40(1), 2008, pp.82-87 *
Korean J. Food Sci. Technol., 40(1), 2008, pp.82-87*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26315A (ko) 2013-03-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74462B1 (ko) 오미자 잎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아토피 피부염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JP2008531584A (ja) マタタビ属を含む組成物およびそれを用いる方法
KR101486147B1 (ko) Tslp 분비 저해능 및 이에 의한 알러지성 질환의 개선능을 가지는 조성물
KR101760512B1 (ko) 혼합 생약 추출물을 포함하는 만성 염증성 질환의 예방, 치료 또는 개선용 조성물
KR20150051369A (ko) 나한과(Siraitia grosvenorii)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천식 및 아토피의 예방 및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JP7161064B2 (ja) エルダーベリー抽出物を有効成分として含む男性更年期症候群の予防、治療または改善用の組成物
JP4491065B2 (ja) ヒスタミン遊離抑制剤
KR101363552B1 (ko) 알레르기성 질환의 예방 및 개선능을 갖는 김치 조성물
JP4371431B2 (ja) 抗アレルギー性組成物
CN101361800A (zh) 降血脂及增效减毒他汀类药物作用的中药及其制备方法
KR102080720B1 (ko) 약콩 발효물을 함유하는 면역기능증진용 조성물
JP5109113B2 (ja) IgE捕捉剤、並びに抗アレルギー性の医薬組成物、化粧料組成物、食料組成物、飲料組成物及び飼料組成物
KR20200052629A (ko) 탈지 들깨분말 열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면역 증진용 조성물
KR20150051367A (ko) 나한과(Siraitia grosvenorii), 오미자(Schisandra chinensis) 및 길경(Platycodon grandiflorum)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천식과 아토피의 예방 및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JP5762000B2 (ja) 免疫バランス制御剤
KR102512643B1 (ko) 바이오황 함유 여액 분획물을 포함하는 알레르기성 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JP2003212775A (ja) 生理活性組成物
KR101946925B1 (ko) 고지베리, 오디 및 대추를 이용한 면역 증진용, 퇴행성 신경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230030552A (ko) 더위지기 추출물을 포함하는 면역증강용 조성물
KR101728977B1 (ko) 모노올레인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염증질환 또는 면역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약제학적 조성물
EP4151226A1 (en) Coronavirus therapeutic agent comprising zanthoxylum piperitum leaf extract as active ingredient
JP7017749B2 (ja) 抗アレルギー剤及びアレルギー疾患の予防又は治療用食品組成物
JP2014131968A (ja) 放射線障害抑制組成物
KR101821118B1 (ko) 감보그 산(gambogic acid)을 포함한 알러지성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777497B1 (ko) 4-하이드록시-2,3-디메틸-2-노넨-4-올라이드 또는 3-하이드록시-4,7-메가스티그마디엔-9-원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염증질환 또는 면역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약제학적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0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1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11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