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62370B1 - 화상독취장치 및 그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화상독취장치 및 그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62370B1
KR101362370B1 KR1020070074168A KR20070074168A KR101362370B1 KR 101362370 B1 KR101362370 B1 KR 101362370B1 KR 1020070074168 A KR1020070074168 A KR 1020070074168A KR 20070074168 A KR20070074168 A KR 20070074168A KR 101362370 B1 KR101362370 B1 KR 10136237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scan unit
scan
scanning
ma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741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10790A (ko
Inventor
김영민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0741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62370B1/ko
Priority to US12/104,654 priority patent/US8169674B2/en
Priority to CN2008100985116A priority patent/CN101355620B/zh
Priority to JP2008141276A priority patent/JP5164105B2/ja
Publication of KR200900107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10790A/ko
Priority to US13/433,351 priority patent/US8599452B2/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623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6237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795Reading arrangement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4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exposing, i.e. imagewise exposure by optically projecting the original image on a photoconductive recording materi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795Reading arrangements
    • H04N1/00798Circuit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thereof, e.g. using a programmed control device or according to a measured quantity
    • H04N1/00814Circuit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thereof, e.g. using a programmed control device or according to a measured quantity according to a detected condition or state of the reading apparatus, e.g. temperatur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832Recording use, e.g. counting number of pages copie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4Scanning arrangements, i.e. arrangements for the displacement of active reading or reproducing elements relative to the original or reproducing medium, or vice versa
    • H04N1/0464Scanning arrangements, i.e. arrangements for the displacement of active reading or reproducing elements relative to the original or reproducing medium, or vice versa capable of performing non-simultaneous scanning at more than one scanning st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4Scanning arrangements, i.e. arrangements for the displacement of active reading or reproducing elements relative to the original or reproducing medium, or vice versa
    • H04N1/203Simultaneous scanning of two or more separate pictures, e.g. two sides of the same sheet
    • H04N1/2032Simultaneous scanning of two or more separate pictures, e.g. two sides of the same sheet of two pictures corresponding to two sides of a single mediu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4Scanning arrangements, i.e. arrangements for the displacement of active reading or reproducing elements relative to the original or reproducing medium, or vice versa
    • H04N1/12Scanning arrangements, i.e. arrangements for the displacement of active reading or reproducing elements relative to the original or reproducing medium, or vice versa using the sheet-feed movement or the medium-advance or the drum-rotation movement as the slow scanning component, e.g. arrangements for the main-scann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4Scanning arrangements, i.e. arrangements for the displacement of active reading or reproducing elements relative to the original or reproducing medium, or vice versa
    • H04N1/19Scanning arrangements, i.e. arrangements for the displacement of active reading or reproducing elements relative to the original or reproducing medium, or vice versa using multi-element arrays
    • H04N1/191Scanning arrangements, i.e. arrangements for the displacement of active reading or reproducing elements relative to the original or reproducing medium, or vice versa using multi-element arrays the array comprising a one-dimensional array, or a combination of one-dimensional arrays, or a substantially one-dimensional array, e.g. an array of staggered elements
    • H04N1/192Simultaneously or substantially simultaneously scanning picture elements on one main scanning line
    • H04N1/193Simultaneously or substantially simultaneously scanning picture elements on one main scanning line using electrically scanned linear arrays, e.g. linear CCD array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and to details thereof
    • H04N2201/0077Types of the still picture apparatus
    • H04N2201/0081Image read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and to details thereof
    • H04N2201/0098User interven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placing documents, responding to an alar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Facsimile Scanning Arrangements (AREA)
  • Facsimiles In General (AREA)
  • Facsimile Heads (AREA)

Abstract

두 스캔유닛이 균형 있게 사용될 수 있도록 적절한 시점에서 메인 스캔유닛을 변경할 수 있는 화상독취장치 및 그 제어방법을 개시한다. 개시된 화상독취장치는 원고 자동 급지유닛과, 원고 자동 급지유닛에 의해 급지되는 원고의 제1면을 스캔하고, 메인 스캔유닛으로 기능하는 제1스캔유닛과, 원고 자동 급지유닛에 의해 급지되는 원고의 제2면을 스캔하는 제2스캔유닛과, 제1스캔유닛의 누적 사용량(La)이 기준치에 도달한 경우에 메인 스캔유닛을 상기 제1스캔유닛에서 상기 제2스캔유닛으로 변경하는 제어부를 구비한다. 제어부는 제1스캔유닛의 누적 사용량(La)과 예정된 수명(Lt)을 비교하여 제1스캔유닛이 예정된 수명에 대해 일정 비율 이상으로 사용되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 메인 스캔유닛을 제2스캔유닛으로 변경할 수 있다. 또 제어부는 상기 제1스캔유닛과 제2스캔유닛의 사용빈도를 고려하여 메인 스캔유닛의 변경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Description

화상독취장치 및 그 제어방법{IMAGE READING APPARATUS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화상독취장치를 가지는 복합기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화상독취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서 화상독취장치의 제어에 관한 블록 구성도.
도 4와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화상독취장치의 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100 : 화상독취장치 111 : 평판부
130 : 원고 자동 급지유닛 140 : 제1스캔유닛
150 : 제2스캔유닛 160 : 제어부
181 : 입력부 182 : 디스플레이부
183 : 메모리부 200 : 인쇄장치
본 발명은 화상독취장치에 관한 것으로, 원고로부터 화상 정보를 읽어 들이는 복수의 스캔유닛이 균형있게 사용될 수 있도록 한 화상독취장치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화상독취장치는 원고에 기록되어 있는 화상 정보를 읽어 들이는 장치로서, 스캐너, 디지털 복사기, 복합기 등과 같은 기기에 탑재된다.
화상독취장치에서 원고의 양면을 스캐닝하는 방법은 크게 두 가지로 구분될 수 있다. 그 중 하나는 이송되는 원고의 제1면을 스캔유닛을 통해 스캐닝한 후 원고 반전 장치를 통해 원고의 이송 방향을 반전시키고, 듀플렉스 경로를 통해 원고의 제1면과 제2면이 뒤집히도록 하여 원고의 제2면을 스캐닝하는 것이다. 이러한 방법은 하나의 스캔유닛으로서 원고의 양면을 스캐닝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으나, 양면 스캔에 많은 시간이 소요되는 단점이 있다.
다른 한 방법은 원고의 제1면을 스캐닝하는 제1스캔유닛과 원고의 제2면을 스캐닝하는 제2스캔유닛을 서로 마주하도록 설치하여 원고의 양면을 스캐닝하는 것이다. 이러한 방법은 원고를 불필요하게 순환시키는 일 없이 원고의 양면을 거의 동시에 스캐닝하므로 고속 양면 스캔이 가능한 이점을 가진다.
후자의 방법을 채용한 화상독취장치의 예는 일본 공개특허 제2004-187144호에 개시되어 있다. 개시된 화상독취장치는 원고 자동 급지장치에 의해 이송되는 원고의 하면과 상면을 각각 스캔하는 제1스캔유닛과 제2스캔유닛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원고의 일면만을 스캔하는 단면 스캔 모드에서는 제1스캔유닛이 원고를 스캔하고, 원고의 양면을 스캔하는 양면 스캔 모드에서는 제1스캔유닛과 제2스캔유닛이 각각 원고를 스캔한다. 이처럼 제1스캔유닛은 단면 스캔 모드와 양면 스캔 모드에서 모두 사용되므로 원고를 스캔할 때 주도적인 기능을 담당하는 메인 스캔유닛이라 할 수 있다. 이 때 제1스캔유닛과 제2스캔유닛의 수명이 동일하다 하더라도 메인 스캔유닛인 제1스캔유닛이 제2스캔유닛보다 이른 시점에서 그 수명을 다하게 된다.
그런데 종래의 화상독취장치에서는 이러한 점에 대한 고려가 없어 다음과 같은 문제점을 가진다. 먼저, 제1스캔유닛과 제2스캔유닛이 서로 다른 시점에서 수명이 소진됨에 따라 사용자는 각 스캔유닛의 교체가 필요할 때마다 수리를 받아야 하는 불편함을 감수해야 한다. 그러면 사용자는 제품의 품질에 대한 불신감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상대적으로 적게 사용된 제2스캔유닛을 사용하여 원고를 스캔하면 보다 나은 스캔 품질을 얻을 수 있는데도, 사용량이 많은 제1스캔유닛을 통해 원고를 스캔함에 따라 스캔 품질이 저하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원고를 양면 스캔할 때 제1스캔유닛에 의해 스캔된 화상과 제2스캔유닛에 의해 스캔된 화상의 품질이 서로 다르게 나타나는 문제점이 야기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두 스캔유닛이 균형 있게 사용될 수 있도록 적절한 시점에서 메인 스캔유닛을 변경할 수 있는 화상독취장치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화상독취장치는 원고 자동 급지유닛;과 상기 원고 자동 급지유닛에 의해 급지되는 원고의 제1면을 스캔하고, 메인 스캔유닛으로 기능하는 제1스캔유닛;과 상기 원고 자동 급지유닛에 의해 급지되는 원고의 제2면을 스캔하는 제2스캔유닛;과 상기 제1스캔유닛의 누적 사용량(La)이 기준치에 도달한 경우에 메인 스캔유닛을 상기 제1스캔유닛에서 상기 제2스캔유닛으로 변경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스캔유닛의 누적 사용량(La)과 상기 제1스캔유닛의 예정된 수명(Lt)을 비교하여 상기 제1스캔유닛이 예정된 수명에 대해 일정 비율 이상으로 사용되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 메인 스캔유닛을 상기 제2스캔유닛으로 변경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스캔유닛과 제2스캔유닛의 사용빈도를 고려하여 메인 스캔유닛의 변경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원고 자동 급지유닛에 의해 급지되는 원고의 제1면과 제2면을 상기 제1스캔유닛과 제2스캔유닛을 통해 각각 스캔하는 ADF 양면 스캔 모드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스캔유닛의 누적 사용량(La)이 상기 제1스캔유닛의 예정된 수명(Lt)과 ADF 양면 스캔 모드의 사용빈도(Fd)와의 관계에서 다음의 식을 만족하는 경우에 메인 스캔유닛을 상기 제2스캔유닛으로 변경할 수 있다.
La≥Lt[1-(Fd+α)], (α는 상수, 0<Fd+α<1)
또 본 발명의 화상독취장치는 스캔될 원고가 놓이는 평판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원고의 제1면과 제2면을 상기 제1스캔유닛과 제2스캔유닛을 통해 각 각 스캔하는 ADF 양면 스캔 모드와, 상기 평판부에 놓인 원고를 상기 제1스캔유닛을 통해 스캔하는 평판 스캔 모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스캔유닛의 누적 사용량(La)이 상기 제1스캔유닛의 예정된 수명(Lt), ADF 양면 스캔 모드의 사용빈도(Fd) 및 평판 스캔 모드의 사용빈도(Ff)와의 관계에서 다음의 식을 만족하는 경우에 메인 스캔유닛을 상기 제2스캔유닛으로 변경할 수 있다.
La≥Lt[1-(Fd+Ff)], (0<Fd+Ff<1)
또 화상독취장치의 동작 상태를 표시하기 위한 디스플레이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메인 스캔유닛을 상기 제2스캔유닛으로 변경하기에 앞서 메인 스캔유닛의 변경에 관한 정보를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화상독취장치는 사용자가 메인 스캔유닛 변경 명령을 입력할 수 있도록 마련된 메인 스캔유닛 변경부를 가지는 입력부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또 화상독취장치의 동작 상태를 표시하기 위한 디스플레이부와, 상기 원고 자동 급지유닛에 의해 급지될 원고가 놓이는 원고급지대를 더 포함하고, 메인 스캔유닛이 상기 제2스캔유닛으로 변경된 경우에 상기 제어부는 상기 원고급지대에 놓이는 원고에서 스캔 대상면이 향해야 하는 방향에 관한 정보를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화상독취장치의 제어방법은 이송되는 원고의 제1면을 스캔하고, 메인 스캔유닛으로서 기능하는 제1스캔유닛과, 이송되는 원고의 제2면을 스캔하는 제2스캔유닛을 포함하는 화상독취장치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1스캔유닛의 누적 사용량(La)이 기준치에 도달하였는지 판단하여 그 결과에 따라 메인 스캔유닛을 상기 제2스캔유닛으로 변경할 것인지의 여부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때 상기 제1스캔유닛의 누적 사용량(La)과 상기 제1스캔유닛의 예정된 수명(Lt)을 비교하여 상기 제1스캔유닛이 예정된 수명에 대해 일정 비율 이상으로 사용되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 메인 스캔유닛을 상기 제2스캔유닛으로 변경할 수 있다.
또 상기 제1스캔유닛과 제2스캔유닛의 사용빈도를 고려하여 메인 스캔유닛의 변경 시점을 결정할 수 있다.
또 상기 제1스캔유닛과 제2스캔유닛을 통해 원고의 양면을 스캔하는 ADF 양면 스캔 모드의 사용빈도(Fd)를 계산하고, 상기 제1스캔유닛의 누적 사용량(La)이 상기 제1스캔유닛의 예정된 수명(Lt)과 ADF 양면 스캔 모드의 사용빈도(Fd)와의 관계에서 다음의 식을 만족하는 경우에 메인 스캔유닛을 제2스캔유닛으로 변경할 수 있다.
La≥Lt[1-(Fd+α)], (α는 상수, 0<Fd+α<1)
또 상기 제1스캔유닛과 제2스캔유닛을 통해 원고의 양면을 스캔하는 ADF 양면 스캔 모드의 사용빈도(Fd)와 상기 제1스캔유닛을 통해 평판부에 놓인 원고를 스캔하는 평판 스캔 모드의 사용빈도(Ff)를 계산하고, 상기 제1스캔유닛의 누적 사용량(La)이 상기 제1스캔유닛의 예정된 수명(Lt), ADF 양면 스캔 모드의 사용빈도(Fd) 및 평판 스캔 모드의 사용빈도(Ff)와의 관계에서 다음의 식을 만족하는 경우에 메인 스캔유닛을 제2스캔유닛으로 변경할 수 있다.
La≥Lt[1-(Fd+Ff)], (0<Fd+Ff<1)
메인 스캔유닛을 상기 제2스캔유닛으로 변경하기에 앞서 메인 스캔유닛의 변경에 관한 정보를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할 수 있다.
한편 사용자의 명령을 입력 받아 메인 스캔유닛을 상기 제2스캔유닛으로 변경할 수 있다.
또 메인 스캔유닛이 상기 제2스캔유닛으로 변경된 경우에 원고급지대에 놓이는 원고의 상면과 하면 중 어느 면이 스캔 대상면이 되는지에 관한 정보를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화상독취장치를 가지는 복합기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화상독취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에서 화상독취장치의 제어에 관한 블록 구성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합기는 원고에 기록된 화상을 독취하는 화상독취장치(100)와, 화상을 용지에 인쇄하는 인쇄장치(2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인쇄장치(200)는 화상독취장치(100)에서 입력되는 신호나 PC 등과 같은 외부 기기로부터 입력되는 신호에 따라 화상을 인쇄하는 것으로, 인쇄매체인 용지(S)를 공급하는 급지유닛(210), 용지에 화상을 현상하는 현상유닛(220), 용지에 열과 압력을 가하여 현상된 화상을 용지에 고착시키는 정착유닛(230) 및 인쇄가 끝난 용지를 외부로 배출하는 배지유닛(240)을 구비한다.
용지트레이(211)에 적재되어 있는 용지(S)는 픽업롤러(212)에 의해 픽업되어 현상유닛(220) 쪽으로 이송된다. 대전롤러(222)에 의해 소정 전위로 대전된 감광체(221)의 표면에는 노광유닛(250)에 의해 정전잠상이 형성되고, 이 정전잠상은 현상롤러(223)에 의해 토너 화상으로 현상된 후 전사롤러(224)에 의해 용지로 전사된다. 용지에 전사된 토너 화상은 정착유닛(230)의 가열롤러(231)와 가압롤러(232) 사이를 통과하면서 열과 압력에 의해 용지에 융착되고, 정착유닛(230)을 통과한 용지는 배지롤러들(241)에 의해 이송되어 외부로 배출된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화상독취장치(100)는 스캐닝 프레임(110)과 커버(120)로 구성되는 독취장치 본체(101)와, 연속적인 스캐닝이 가능하도록 원고를 자동 급지하는 원고 자동 급지유닛(130, Automatic Document Feeder)과, 원고(D)에 광을 조사하여 화상 정보를 읽어 들이는 제1스캔유닛(140) 및 제2스캔유닛(150)과, 사용자의 입력 신호와 정해져 있는 프로그램에 따라 화상독취장치(100)의 전체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160)를 구비한다.
제1스캔유닛(140)과 제2스캔유닛(150)은 원고에 광을 조사하여 이로부터 반사되는 광을 검출하고, 이 광량을 전기적인 신호로 변환하여 제어부(160)로 전달한다. 제1스캔유닛(140)과 제2스캔유닛(150)은 원고 이송경로(133)를 사이에 두고 서로 마주하는 형태로 배치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1스캔유닛(140)은 원고 자동 급지유닛(130)에 의해 급지되는 원고(D)의 하측에 배치되어 원고의 제1면으로부터 화상 정보를 읽어 들이고, 제2스캔유닛(150)은 원고 자동 급지유닛(130)에 의해 급지되는 원고(D)의 상측에 배치되어 원고의 제2면으로부터 화상 정보를 읽어 들인다.
커버(120)는 스캐닝 프레임(110)에 회동 가능하도록 결합되어 스캐닝 프레 임(110)의 상면을 개폐한다. 커버(120)에는 제2스캔유닛(150)과 원고 자동 급지유닛(130)이 설치된다.
스캐닝 프레임(110)의 내부에는 제1스캔유닛(140)이 설치되고, 스캐닝 프레임(110)의 상면에는 평판부(111)와 제1 ADF 글라스(171)가 설치된다. 평판부(111)는 사용자가 원고를 한 장씩 올려 놓고 스캔하기 위한 것이다. 제1스캔유닛(140)은 평판부(111)의 하부에서 평판부(111)를 따라 이동하며 평판부(111)에 놓인 원고를 스캔할 수 있으며, 또 제1 ADF 글라스(171)의 하부에 위치되어 원고 자동 급지유닛(130)에 의해 이송되는 원고(D)의 제1면을 스캔할 수 있다.
원고 자동 급지유닛(130)은 스캔될 원고가 유입되는 원고유입구(131)와, 스캔 과정을 마친 원고가 배출되는 원고배출구(132)와, 원고의 이송을 위해 커버(120)의 내부에 형성되는 원고 이송경로(133)와, 원고 이송경로(133) 상에 배치되어 원고를 이송하는 롤러들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원고유입구(131)는 커버(120)의 일측에 형성되고, 원고배출구(132)는 원고유입구(131)의 하부에 형성된다. 원고유입구(131)의 근처에는 원고 자동 급지유닛(130)에 의해 이송될 원고(D)가 적재되는 원고급지대(131a)와, 원고의 삽입 여부를 검출하여 그 결과를 제어부(160)로 출력하는 원고삽입 검출센서(131b)가 설치된다. 한편 원고배출구(132) 근처에는 스캔 과정을 마치고 배출된 원고가 적재되는 원고배지대(132a)가 마련된다.
원고 이송경로(133)는 대략 C자형으로 형성되며, 일단이 원고유입구(131)를 통해 원고급지대(131a)와 연결되고 타단이 원고배출구(132)를 통해 원고배지 대(132a)와 연결된다. 제1스캔유닛(140)과 제2스캔유닛(150)이 원고 이송경로(133)를 지나는 원고(D)에 기록된 화상 정보를 읽어 들일 수 있도록 원고 이송경로(133) 상에는 제1 ADF 글라스(171)와 제2 ADF 글라스(172)가 순차적으로 배치된다. 제1 ADF 글라스(171)는 제1스캔유닛(140)에 대응하는 위치에서 스캐닝 프레임(110)에 설치되고, 제2 ADF 글라스(172)는 제2스캔유닛(150)에 대응하는 위치에서 커버(120)에 설치된다.
원고를 이송하는 롤러들은 원고급지대(131a)에 적재된 원고(D)를 픽업하는 원고 픽업롤러(134), 원고 픽업롤러(134)에 의해 픽업된 원고를 원고 이송경로(133) 상에서 이송하는 제1 내지 제3이송롤러(135)(136)(137) 및 스캔을 마친 원고를 원고배지대(132a)로 배출하는 배지롤러(138)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송롤러 중 원고 픽업롤러(134)와 가장 가까운 제1이송롤러(135)는 원고 픽업롤러(134)에서 픽업된 원고를 낱장으로 분리한다. 이를 위해 제1이송롤러(135)에 대면하여 마찰패드(135a)가 설치된다.
제어부(160)는 제1스캔유닛(140)과 제2스캔유닛(150)을 모두 동작시켜 원고 자동 급지유닛(130)에 의해 급지되는 원고(D)의 양면을 스캔하는 ADF 양면 스캔 모드를 수행할 수 있다. 또 제어부(160)는 제1스캔유닛(140)과 제2스캔유닛(150) 중 어느 하나의 스캔유닛만을 동작시켜 급지되는 원고(D)의 일면을 스캔하는 ADF 단면 스캔 모드를 수행할 수 있다. 이 때 ADF 양면 스캔 모드에서는 두 스캔유닛(140, 150)이 모두 사용되므로, ADF 단면 스캔 모드에서 사용되는 스캔유닛이 메인 스캔유닛이 된다.
여기서 메인 스캔유닛이란 원고를 스캔할 때 주도적으로 많이 사용되는 스캔유닛이라 정의할 수 있는데, 대개의 경우 원고의 하측에서 원고의 제1면을 스캔하는 제1스캔유닛(140)이 메인 스캔유닛이 된다.
또한 제어부(160)는 메인 스캔유닛인 제1스캔유닛(140)을 사용하여 평판부(111)에 놓인 원고를 스캔하는 평판 스캔 모드를 수행할 수 있다. 그러면 제2스캔유닛(150)은 ADF 양면 스캔 모드에서만 사용되는 반면에 메인 스캔유닛인 제1스캔유닛(140)은 ADF 양면 스캔 모드, ADF 단면 스캔 모드 및 평판 스캔 모드에서 모두 사용되므로 제1스캔유닛(140)은 제2스캔유닛(150)보다 훨씬 이른 시점에서 그 수명을 다하게 된다.
이에 제어부(160)는 제1스캔유닛(140)의 누적 사용량(La, 현재까지 제1스캔유닛을 사용하여 스캔한 원고의 매수)을 토대로 메인 스캔유닛을 전환할 시점에 도달하였는지를 판단하고, 그 결과에 따라 메인 스캔유닛을 제2스캔유닛으로 변경하여 제1스캔유닛(140)과 제2스캔유닛(150)이 균형있게 사용되도록 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60)는 메인 스캔유닛인 제1스캔유닛(140)의 누적 사용량을 메모리부(183, 도 3 참조)로부터 읽어 들여 누적 사용량이 일정한 기준치에 도달한 경우에 메인 스캔유닛을 제2스캔유닛(150)으로 변경한다.
이 때 제어부(160)는 제1스캔유닛(140)의 누적 사용량(La)과 제1스캔유닛(140)의 예정된 수명(Lt)을 비교하여 제1스캔유닛(140)이 예정된 수명에 대해 일정 비율 이상으로 사용되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 메인 스캔유닛을 제2스캔유닛으로 변경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스캔유닛(140)의 예정된 수명(Lt)이 50,000매라고 할 때, 제1스캔유닛(140)이 50,000매의 50%(이 비율은 설계 상의 필요에 따라 적절히 변경될 수 있다)인 25,000매 이상의 원고를 스캔하였다고 판단되면 제어부(160)는 메인 스캔유닛을 제2스캔유닛(150)으로 변경할 수 있다.
위와 같은 방법으로 메인 스캔유닛을 적절한 시점에서 변경함으로써 제1스캔유닛(140)과 제2스캔유닛(150)이 어느 정도 균형있게 사용되도록 할 수 있으나, 위와 같은 방법은 사용자가 어떤 스캔 모드를 주로 사용하는지에 대한 고려가 없이 미리 설정되어 있는 기준에 따라서만 메인 스캔유닛의 전환 시점을 결정한다는 점에서 일정한 한계를 가진다. 예를 들어 어떤 사용자는 ADF 양면 스캔 모드를 많이 사용할 수 있는데, 그러면 메인 스캔유닛을 제2스캔유닛(150)으로 변경한 경우에도 제1스캔유닛(140)이 많이 사용될 것이다. 반면에 어떤 사용자는 ADF 양면 스캔 모드를 많이 사용하지 않을 수 있는데, 그러면 메인 스캔유닛을 제2스캔유닛(150)으로 변경한 경우에 제1스캔유닛(140)이 상대적으로 많이 사용되지 않을 것이다. 그러므로 후자 보다는 전자와 같은 경우에 보다 빨리 메인 스캔유닛을 제2스캔유닛(150)으로 변경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제1스캔유닛(140)과 제2스캔유닛(150)의 사용빈도를 고려하여 메인 스캔유닛의 전환 시점을 융통성 있게 결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때 메인 스캔유닛이 제2스캔유닛(150)으로 변경된 경우에 제1스캔유닛(140)은 ADF 양면 스캔 모드와 평판 스캔 모드를 담당한다는 점을 고려하여 제어부(160)는 메인 스캔유닛인 제1스캔유닛(140)의 누적 사용량(La)이 제1스캔유닛(140)의 예정된 수명(Lt), ADF 양면 스캔 모드의 사용빈도(Fd) 및 평판 스캔 모 드의 사용빈도(Ff)와의 관계에서 다음의 식(식 1)을 만족하는 경우에 메인 스캔유닛을 제2스캔유닛으로 변경할 수 있다.
La≥Lt[1-(Fd+Ff)], (0<Fd+Ff<1) (식 1)
여기서 ADF 양면 스캔 모드의 사용빈도(Fd)와 평판 스캔 모드의 사용빈도(Ff)는 다음과 같이 정의된다.
Fd = (ADF 양면 스캔 모드로 스캔된 원고 매수)/ (스캔된 전체 원고 매수)
Ff = (평판 스캔 모드로 스캔된 원고매수)/ (스캔된 전체 원고 매수)
예를 들어, 제1스캔유닛(140)이 메인 스캔유닛이고, Fd=0.2, Ff=0.1인 상황(이와 같은 경우에는 ADF 단면 스캔 모드의 사용빈도 Fs는 0.7이 된다)을 가정해보자. 위의 식에 따르면 제1스캔유닛(140)의 누적 사용량(La)이
[1-(0.2+0.1)]Lt(=0.7Lt)가 되는 시점에서 메인 스캔유닛이 제2스캔유닛(150)으로 변경된다. 제2스캔유닛(150)은 ADF 양면 스캔 모드에서만 사용되므로 메인 스캔유닛이 변경되는 시점에서 제2스캔유닛(150)의 누적 사용량(Lb)은 La*0.2, 즉 0.14Lt(제2스캔유닛(150)의 예정된 수명은 제1스캔유닛(140)과 동일하다고 가정하였다)가 된다. 메인 스캔유닛이 제2스캔유닛(150)으로 변경된 상태에서 제1스캔유닛(140)의 잔여수명은 0.3Lt가 되고, 제2스캔유닛(150)의 잔여수명은 0.86Lt가 된다.
제2스캔유닛(150)이 메인 스캔유닛으로 변경되면 제2스캔유닛(150)은 ADF 단면 스캔 모드와 ADF 양면 스캔 모드에서 사용되고, 제1스캔유닛(140)은 ADF 양면 스캔 모드와 평판 스캔 모드에서 사용된다. 위에서 가정한 각 모드의 사용빈도를 고려할 때 제2스캔유닛(150)의 잔여수명 0.86Lt가 모두 소모되는 동안에 제1스캔유닛(140)은 0.86Lt*[(0.1+0.2)/(0.7+0.2)], 즉 대략 0.29Lt만큼 사용되어 제1스캔유닛(140)과 제2스캔유닛(150)이 거의 동시에 그 수명을 다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제어부(160)는 상기 제1스캔유닛의 누적 사용량(La)이 상기 제1스캔유닛의 예정된 수명(Lt)과 ADF 양면 스캔 모드의 사용빈도(Fd)와의 관계에서 다음의 식(식 2)을 만족하는 경우에 메인 스캔유닛을 제2스캔유닛으로 변경할 수 있다.
La≥Lt[1-(Fd+α)] (식 2)
여기서 α는 상수(0<Fd+α<1)로서, 제2스캔유닛(150)이 메인 스캔유닛으로 변경된 후에 각 스캔 모드의 사용빈도가 달라질 수 있다는 것을 고려한 것인데, α는 설계자의 필요에 의해 적절히 선택될 수 있다. 식 2는 화상독취장치에 평판 스캔 기능이 없는 경우에 적용될 수 있다. 또 화상독취장치에 평판 스캔 기능이 있는 경우에도 식 2를 적용하는 것도 가능한데, 이와 같은 경우에는 α를 결정할 때 제2스캔유닛(150)이 메인 스캔유닛으로 변경된 후에도 제1스캔유닛(140)은 여전히 단면 스캔 모드에서 사용된다는 것을 고려하여야 한다.
또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화상독취장치(100)는 입력부(181), 디스플레이부(182), 메모리부(183) 및 구동부(184)를 구비한다
입력부(181)는 사용자가 선택하는 화상독취장치의 동작에 관한 정보를 제어부(160)에 입력한다. 사용자는 입력부(181)를 통해 단면 스캔을 할 것인지 아니면 양면 스캔을 할 것인지 선택할 수 있다. 입력부(181)에는 사용자가 메인 스캔유닛을 변경하라는 명령을 입력할 수 있도록 메인 스캔유닛 변경부(181a)가 마련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82)는 화상독취장치의 동작 상태를 사용자에게 표시한다. 본 발명에서 제어부(160)는 메인 스캔유닛을 제2스캔유닛(150)으로 변경하기에 앞서 디스플레이부(182)를 통해 메인 스캔유닛의 변경이 필요하다는 사실을 알리는 한편 사용자에게 메인 스캔유닛을 변경할 것인지를 물을 수 있다. 또한 제어부(160)는 메인 스캔유닛을 제2스캔유닛(150)으로 변경한 후 ADF 단면 스캔 모드를 수행할 때 디스플레이부(182)를 통해 스캔 대상면의 방향에 관한 정보를 표시한다. 스캔 대상면의 방향에 관한 정보란 원고급지대(131a)에 원고를 놓을 때 스캔 대상면이 상면이 되도록 해야 하는지 아니면 하면이 되도록 해야 하는지에 관해 알리는 정보를 말한다.
메모리부(183)에는 화상독취장치에 제어에 필요한 각종 데이터가 저장된다. 구체적으로 메모리부(183)에는 제1스캔유닛(140)의 예정된 수명(Lt), 총 몇 매의 원고를 스캔하였는지에 관한 정보 및 제어부(160)에서 카운트되는 제1스캔유닛(140)의 누적 사용량(La)에 관한 데이터가 저장된다. 또 메모리부(183)에는 각 스캔 모드의 사용빈도를 계산하는데 필요한 데이터, 즉 각 스캔 모드(평판 스캔 모드, ADF 단면 스캔 모드, ADF 양면 스캔 모드) 별로 몇 매의 원고를 스캔하였는지에 대한 데이터가 저장된다.
구동부(184)는 원고 자동 급지유닛(130)에 설치된 각종 롤러들(134, 135, 136, 137, 138)을 구동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모터를 구비한다. 구동부(184)는 제어부(160)의 제어에 따라 모터를 구동시켜 롤러들(134, 135, 136, 137, 138)을 회전시킴으로써 원고 이송경로(133) 상에서 원고를 이송한다.
이하에서는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화상독취장치의 제어방법을 설명한다. 도 4와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화상독취장치의 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상독취장치의 전원이 온(ON) 되면, 제어부(150)는 원고삽입 검출센서(161b)로부터 입력되는 신호를 통해 원고유입구(161)에 원고가 삽입되었는지 판단한다(S300).
원고가 삽입된 것으로 판단되면 제어부(160)는 제1스캔유닛(140)이 메인 스캔유닛인지 확인하고(S310), 그 결과 제1스캔유닛(140)이 메인 스캔유닛이라고 판단되면 메모리부(183)에 저장되어 있는 제1스캔유닛(140)의 누적 사용량(La)과 제1스캔유닛(140)의 예정된 수명(Lt)을 읽어 들인다(S320).
제어부(160)는 제1스캔유닛(140)의 누적 사용량(La)과 예정된 수명(Lt)에 근거하여 메인 스캔유닛을 전환할 시점에 도달하였는지 판단한다(S330). 이 때 제어부(160)는 제1스캔유닛(140)의 누적 사용량(La)과 제1스캔유닛(140)의 예정된 수명(Lt)을 비교하여 제1스캔유닛(140)이 예정된 수명에 대해 일정 비율 이상으로 사용된 경우에 메인 스캔유닛을 전환할 시점에 도달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또 도 5와 같이, 제1스캔유닛(140)과 제2스캔유닛(150)의 사용빈도를 고려하여 메인 스캔유닛의 전환 시점을 결정할 수도 있다. 제어부(160)는 메모리부(183)에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를 토대로 평판 스캔 모드와 ADF 양면 스캔 모드의 사용빈도(Ff, Fd)를 계산한다(S331). 이어서 제어부(160)는 제1스캔유닛(140)의 누적 사 용량(La)이 예정된 수명(Lt)에 대해 (식 1)를 만족하는 경우에 메인 스캔유닛을 전환할 시점에 도달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S332). 또한 유사하게 (식 2)를 활용하여 메인 스캔유닛의 전환 시점을 결정할 수 있다.
S330(S332)의 판단 결과, 메인 스캔유닛을 전환할 시점에 도달하였다고 판단되면, 제어부(160)는 메인 스캔유닛을 전환하기에 앞서 디스플레이부(182)를 통해 메인 스캔유닛의 변경이 필요하다는 사실을 사용자에게 알리는 한편, 메인 스캔유닛을 제2스캔유닛(150)으로 변경할 것인지를 묻는다(S340).
그런 다음 제어부(160)는 메인 스캔유닛을 변경하라는 명령이 입력이 입력되었는지의 판단하고(S350), 메인 스캔유닛 변경 명령이 입력된 경우에는 메인 스캔유닛을 제2스캔유닛(150)으로 변경한다(S360).
이와는 달리 제어부(160)는 S340에서 메인 스캔유닛을 변경한다는 사실을 사용자에게 고지한 후 S350를 거치지 않고 바로 메인 스캔유닛을 제2스캔유닛(150)으로 변경할 수도 있다.
S360에서 메인 스캔유닛을 변경한 경우, S310에서 제1스캔유닛(140)이 메인 스캔유닛이 아니라고 판단된 경우, S330에서 메인 스캔유닛을 전환할 시점에 도달하지 않았다고 판단된 경우 또는 S350에서 메인 스캔유닛을 변경하라는 명령이 입력되지 않은 경우에는 제어부(160)는 사용자가 선택한 스캔 모드가 단면 스캔 모드인지를 판단한다(S370).
그 결과, 사용자가 단면 스캔 모드를 선택하였다고 판단되면, 제어부(160)는 원고를 스캔하기에 앞서 원고의 스캔 대상면의 방향에 관한 정보, 즉 원고급지 대(131a)에 원고가 놓일 때 스캔 대상면이 위를 향해야 하는지 아니면 아래를 향해야 하는지에 관한 정보를 디스플레이부(182)에 표시하여 사용자에게 안내한 후, 제1스캔유닛(140) 또는 제2스캔유닛(150)을 제어하여 원고를 단면 스캔한다(S380, S390).
보다 구체적으로 S360에서 메인 스캔유닛이 제2스캔유닛(150)으로 변경되거나 S310에서 제1스캔유닛(140)이 메인 스캔유닛이 아니라고 판단된 경우에는 제2스캔유닛(150)이 메인 스캔유닛이므로 S390에서 제2스캔유닛(150)이 원고를 단면 스캔한다. 이러한 경우 제어부(160)는 S380에서 제2스캔유닛(150)이 원고를 스캔하는데 적합한 상태, 스캔 대상면을 아래로 한 상태로 원고급지대(131a)에 원고를 올려 놓으라고 사용자에게 안내한다.
반면에 S330에서 메인 스캔유닛을 전환할 시점이 아니라고 판단된 경우나 S350에서 메인 스캔유닛을 변경하라는 명령이 입력되지 않은 경우에는 제1스캔유닛(140)이 메인 스캔유닛이므로 S390에서 제1스캔유닛(140)이 원고를 단면 스캔한다. 이러한 경우 제어부(160)는 S380에서 제1스캔유닛(140)이 원고를 스캔하는데 적합한 상태, 즉 스캔 대상면을 위로 한 상태로 원고급지대(131a)에 원고를 올려 놓으라고 사용자에게 안내한다.
한편, S370에서 단면 스캔 모드가 아니라고 판단되면, 제어부(160)는 제1스캔유닛(140)을 제어하여 원고의 제1면을 스캔하고, 제2스캔유닛(150)을 제어하여 원고의 제2면을 스캔함으로써 원고의 양면을 스캔한다(S400).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적절한 시점에서 메인 스캔유닛을 변경하여 두 스캔유닛이 그 수명을 다할 때까지 균형있게 사용되도록 한다. 따라서 어느 한 스캔유닛만이 집중적으로 사용됨에 따라 야기될 수 있는 스캔 품질의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두 스캔유닛이 비슷한 시점에서 교체될 수 있도록 하여 사용자의 편리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Claims (16)

  1. 원고 자동 급지유닛;과
    상기 원고 자동 급지유닛에 의해 급지되는 원고의 제1면을 스캔하고, 메인 스캔유닛으로 기능하는 제1스캔유닛;과
    상기 원고 자동 급지유닛에 의해 급지되는 원고의 제2면을 스캔하는 제2스캔유닛;과
    상기 제1스캔유닛의 누적 사용량(La)이 기준치에 도달한 경우에 메인 스캔유닛을 상기 제1스캔유닛에서 상기 제2스캔유닛으로 변경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스캔유닛의 누적 사용량(La)과 상기 제1스캔유닛의 예정된 수명(Lt)을 비교하여 상기 제1스캔유닛이 예정된 수명에 대해 일정 비율 이상으로 사용되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 메인 스캔유닛을 상기 제2스캔유닛으로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독취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스캔유닛과 제2스캔유닛의 사용빈도를 고려하여 메인 스캔유닛의 변경 여부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독취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원고 자동 급지유닛에 의해 급지되는 원고의 제1면과 제2면을 상기 제1스캔유닛과 제2스캔유닛을 통해 각각 스캔하는 ADF 양면 스캔 모드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스캔유닛의 누적 사용량(La)이 상기 제1스캔유닛의 예정된 수명(Lt)과 ADF 양면 스캔 모드의 사용빈도(Fd)와의 관계에서 다음의 식을 만족하는 경우에 메인 스캔유닛을 상기 제2스캔유닛으로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독취장치.
    La≥Lt[1-(Fd+α)], (α는 상수, 0<Fd+α<1)
  5. 제3항에 있어서,
    스캔될 원고가 놓이는 평판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원고의 제1면과 제2면을 상기 제1스캔유닛과 제2스캔유닛을 통해 각각 스캔하는 ADF 양면 스캔 모드와, 상기 평판부에 놓인 원고를 상기 제1스캔유닛을 통해 스캔하는 평판 스캔 모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스캔유닛의 누적 사용량(La)이 상기 제1스캔유닛의 예정된 수명(Lt), ADF 양면 스캔 모드의 사용빈도(Fd) 및 평판 스캔 모드의 사용빈도(Ff)와의 관계에서 다음의 식을 만족하는 경우에 메인 스캔유닛을 상기 제2스캔유닛으로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독취장치.
    La≥Lt[1-(Fd+Ff)], (0<Fd+Ff<1)
  6. 제1항에 있어서,
    화상독취장치의 동작 상태를 표시하기 위한 디스플레이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메인 스캔유닛을 상기 제2스캔유닛으로 변경하기에 앞서 메인 스캔유닛의 변경에 관한 정보를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독취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사용자가 메인 스캔유닛 변경 명령을 입력할 수 있도록 마련된 메인 스캔유닛 변경부를 가지는 입력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독취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화상독취장치의 동작 상태를 표시하기 위한 디스플레이부와, 상기 원고 자동 급지유닛에 의해 급지될 원고가 놓이는 원고급지대를 더 포함하고,
    메인 스캔유닛이 상기 제2스캔유닛으로 변경된 경우에 상기 제어부는 상기 원고급지대에 놓이는 원고에서 스캔 대상면이 향해야 하는 방향에 관한 정보를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독취장치.
  9. 이송되는 원고의 제1면을 스캔하고, 메인 스캔유닛으로서 기능하는 제1스캔유닛과, 이송되는 원고의 제2면을 스캔하는 제2스캔유닛을 포함하는 화상독취장치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1스캔유닛의 누적 사용량(La)이 기준치에 도달하였는지 판단하여 그 결과에 따라 메인 스캔유닛을 상기 제2스캔유닛으로 변경할 것인지의 여부를 결정 하고,
    상기 제1스캔유닛의 누적 사용량(La)과 상기 제1스캔유닛의 예정된 수명(Lt)을 비교하여 상기 제1스캔유닛이 예정된 수명에 대해 일정 비율 이상으로 사용되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 메인 스캔유닛을 상기 제2스캔유닛으로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독취장치의 제어방법.
  10. 삭제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스캔유닛과 제2스캔유닛의 사용빈도를 고려하여 메인 스캔유닛의 변경 시점을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독취장치의 제어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스캔유닛과 제2스캔유닛을 통해 원고의 양면을 스캔하는 ADF 양면 스캔 모드의 사용빈도(Fd)를 계산하고,
    상기 제1스캔유닛의 누적 사용량(La)이 상기 제1스캔유닛의 예정된 수명(Lt) 과 ADF 양면 스캔 모드의 사용빈도(Fd)와의 관계에서 다음의 식을 만족하는 경우에 메인 스캔유닛을 제2스캔유닛으로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독취장치의 제어방법.
    La≥Lt[1-(Fd+α)], (α는 상수, 0<Fd+α<1)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스캔유닛과 제2스캔유닛을 통해 원고의 양면을 스캔하는 ADF 양면 스캔 모드의 사용빈도(Fd)와 상기 제1스캔유닛을 통해 평판부에 놓인 원고를 스캔하는 평판 스캔 모드의 사용빈도(Ff)를 계산하고,
    상기 제1스캔유닛의 누적 사용량(La)이 상기 제1스캔유닛의 예정된 수명(Lt), ADF 양면 스캔 모드의 사용빈도(Fd) 및 평판 스캔 모드의 사용빈도(Ff)와의 관계에서 다음의 식을 만족하는 경우에 메인 스캔유닛을 제2스캔유닛으로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독취장치의 제어방법.
    La≥Lt[1-(Fd+Ff)], (0<Fd+Ff<1)
  14. 제9항에 있어서,
    메인 스캔유닛을 상기 제2스캔유닛으로 변경하기에 앞서 메인 스캔유닛의 변경에 관한 정보를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독취장치의 제어방법.
  15. 제9항에 있어서,
    사용자의 명령을 입력 받아 메인 스캔유닛을 상기 제2스캔유닛으로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독취장치의 제어방법.
  16. 제9항에 있어서,
    메인 스캔유닛이 상기 제2스캔유닛으로 변경된 경우에 원고급지대에 놓이는 원고의 상면과 하면 중 어느 면이 스캔 대상면이 되는지에 관한 정보를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독취장치의 제어방법.
KR1020070074168A 2007-07-24 2007-07-24 화상독취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1362370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74168A KR101362370B1 (ko) 2007-07-24 2007-07-24 화상독취장치 및 그 제어방법
US12/104,654 US8169674B2 (en) 2007-07-24 2008-04-17 Image reading apparatus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CN2008100985116A CN101355620B (zh) 2007-07-24 2008-05-08 图像读取设备及其控制方法
JP2008141276A JP5164105B2 (ja) 2007-07-24 2008-05-29 画像読取装置および画像読取装置の制御方法
US13/433,351 US8599452B2 (en) 2007-07-24 2012-03-29 Image reading apparatus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74168A KR101362370B1 (ko) 2007-07-24 2007-07-24 화상독취장치 및 그 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10790A KR20090010790A (ko) 2009-01-30
KR101362370B1 true KR101362370B1 (ko) 2014-02-12

Family

ID=402950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74168A KR101362370B1 (ko) 2007-07-24 2007-07-24 화상독취장치 및 그 제어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2) US8169674B2 (ko)
JP (1) JP5164105B2 (ko)
KR (1) KR101362370B1 (ko)
CN (1) CN101355620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85177B1 (ko) * 2008-10-16 2013-07-12 삼성전자주식회사 원고공급장치와 이를 가지는 화상독취장치 및 화상형성장치
US20100129772A1 (en) * 2008-11-21 2010-05-27 David Sklarski Captive thread dental implant apparatus
JP5478975B2 (ja) * 2009-08-04 2014-04-23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読取装置、画像読取装置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5126279B2 (ja) * 2010-04-26 2013-01-23 コニカミノルタビジネステクノロジーズ株式会社 画像読取装置
JP5594270B2 (ja) 2011-09-30 2014-09-24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画像読取装置
JP5522141B2 (ja) 2011-09-30 2014-06-18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画像読取装置
US8776796B2 (en) * 2011-12-09 2014-07-15 Colabs, Inc. Apparatus and method for improved assisted ventilation
US9277070B2 (en) 2012-03-12 2016-03-01 Brother Kogyo Kabushiki Kaisha Image scanning device
US8941877B2 (en) * 2012-03-12 2015-01-27 Brother Kogyo Kabushiki Kaisha Image scanning device
EP2955908B1 (en) 2014-06-12 2022-07-27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Image forming apparatus
JP6958516B2 (ja) * 2018-09-03 2021-11-02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読取り装置
US20220131995A1 (en) * 2019-04-15 2022-04-28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Systems with scanners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69041A (ja) * 1997-08-22 1999-03-09 Ricoh Co Ltd 画像読み取り装置
JP2003309703A (ja) * 2002-04-12 2003-10-31 Canon Inc 画像読取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354192A (ja) * 2001-05-22 2002-12-06 Canon Inc 情報読み取り装置とこの装置を備えた画像形成装置
US6775624B2 (en) * 2001-10-19 2004-08-10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estimating remaining life of a product
JP2004187144A (ja) 2002-12-05 2004-07-02 Canon Inc 画像読取装置
US7450869B2 (en) * 2002-12-12 2008-11-11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Transfer component monitoring methods, image forming devices, data signals, and articles of manufacture
TW576604U (en) * 2003-06-13 2004-02-11 Avision Inc Flatbed scanner, automatic document feeder and duplex scanner including both of them
US20050094226A1 (en) * 2003-10-31 2005-05-05 Xerox Corporation. Duplex input scanning for a partially disabled image scanner
JP4692917B2 (ja) * 2004-05-17 2011-06-01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交換ユニットが装着された画像形成装置、画像形成システム及び画像形成装置の制御方法
JP2007143014A (ja) * 2005-11-22 2007-06-07 Fuji Xerox Co Ltd 画像読み取り装置および画像読み取り方法
US7526215B2 (en) * 2007-01-25 2009-04-28 Xerox Corporation Reserve life run-on feature for customer replaceable units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69041A (ja) * 1997-08-22 1999-03-09 Ricoh Co Ltd 画像読み取り装置
JP2003309703A (ja) * 2002-04-12 2003-10-31 Canon Inc 画像読取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8599452B2 (en) 2013-12-03
CN101355620B (zh) 2013-06-19
US20090027744A1 (en) 2009-01-29
CN101355620A (zh) 2009-01-28
US20120243062A1 (en) 2012-09-27
KR20090010790A (ko) 2009-01-30
JP5164105B2 (ja) 2013-03-13
JP2009033722A (ja) 2009-02-12
US8169674B2 (en) 2012-05-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62370B1 (ko) 화상독취장치 및 그 제어방법
US6633733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inting an appropriate image even on a special recording medium
KR20090010785A (ko) 화상독취장치 및 그 제어방법
CN101436011B (zh) 操作面板及具备该操作面板的电气器具
KR20080075672A (ko) 화상독취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화상형성기기
JP2011013678A (ja) 画像形成装置及び画像形成方法
JP4137896B2 (ja) 画像形成装置
CN104749916B (zh) 图像形成装置和图像形成方法
JP2000255807A (ja) 画像形成装置における用紙除湿装置
KR101309299B1 (ko) 화상독취장치 및 그 제어방법
JP7562290B2 (ja) シート搬送装置、画像読取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US20090009810A1 (en) Image forming apparatus, image forming method, image forming program, and recording medium
JP5290889B2 (ja) 自動原稿搬送装置、画像読取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2013123093A (ja) 画像読取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5149882B2 (ja) 記録材判別方法、記録材判別装置、画像形成方法、及び画像形成装置
JP4988494B2 (ja) 画像読取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CN111796496B (zh) 纸张忘取报告装置及原稿输送装置以及图像形成装置
JP2011075875A (ja) 画像形成装置及び方法
JP4602837B2 (ja) 画像形成装置、プレビュー表示制御方法
CN108810305B (zh) 图像形成装置及读取装置
JP2007072008A (ja) 画像形成装置
JP2006267404A (ja) 画像形成装置
JP2008060867A (ja) 原稿読取り装置
JP2009098523A (ja) 画像形成装置
JPH1010456A (ja) 画像形成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2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07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