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09299B1 - 화상독취장치 및 그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화상독취장치 및 그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09299B1
KR101309299B1 KR1020070074166A KR20070074166A KR101309299B1 KR 101309299 B1 KR101309299 B1 KR 101309299B1 KR 1020070074166 A KR1020070074166 A KR 1020070074166A KR 20070074166 A KR20070074166 A KR 20070074166A KR 101309299 B1 KR101309299 B1 KR 10130929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can unit
unit
scan
scanning
orig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741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10788A (ko
Inventor
이용덕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0741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09299B1/ko
Priority to US12/108,651 priority patent/US8325389B2/en
Priority to CN201310392591.7A priority patent/CN103501399B/zh
Priority to CNA2008101078050A priority patent/CN101355623A/zh
Priority to JP2008142448A priority patent/JP2009033724A/ja
Publication of KR200900107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10788A/ko
Priority to US13/602,690 priority patent/US8861043B2/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092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0929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4Scanning arrangements, i.e. arrangements for the displacement of active reading or reproducing elements relative to the original or reproducing medium, or vice versa
    • H04N1/203Simultaneous scanning of two or more separate pictures, e.g. two sides of the same shee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10/00Arrangements for 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10/10Image acquisi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567Handling of original or reproduction media, e.g. cutting, separating, stacking
    • H04N1/0057Conveying sheets before or after scanning
    • H04N1/00572Conveying sheets before or after scanning with refeeding for double-sided scanning, e.g. using one scanning head for both sides of a sheet
    • H04N1/00575Inverting the sheet prior to refeeding
    • H04N1/00578Inverting the sheet prior to refeeding using at least part of a loop, e.g. using a return loo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4Scanning arrangements, i.e. arrangements for the displacement of active reading or reproducing elements relative to the original or reproducing medium, or vice versa
    • H04N1/203Simultaneous scanning of two or more separate pictures, e.g. two sides of the same sheet
    • H04N1/2032Simultaneous scanning of two or more separate pictures, e.g. two sides of the same sheet of two pictures corresponding to two sides of a single medium
    • H04N1/2034Simultaneous scanning of two or more separate pictures, e.g. two sides of the same sheet of two pictures corresponding to two sides of a single medium at identical corresponding positions, i.e. without time delay between the two image sig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32Circuits or arrangements for control or supervision between transmitter and receiver or between image input and image output device, e.g.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its memory or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a printer device
    • H04N1/32609Fault detection or counter-measures, e.g. original mis-positioned, shortage of pap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32Circuits or arrangements for control or supervision between transmitter and receiver or between image input and image output device, e.g.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its memory or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a printer device
    • H04N1/32609Fault detection or counter-measures, e.g. original mis-positioned, shortage of paper
    • H04N1/32625Fault detection
    • H04N1/3263Fault detection of reading apparatus or transmitter, e.g. original ja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32Circuits or arrangements for control or supervision between transmitter and receiver or between image input and image output device, e.g.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its memory or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a printer device
    • H04N1/32609Fault detection or counter-measures, e.g. original mis-positioned, shortage of paper
    • H04N1/32646Counter-measures
    • H04N1/32651Indicating or reporting
    • H04N1/32657Indicating or reporting locall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32Circuits or arrangements for control or supervision between transmitter and receiver or between image input and image output device, e.g.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its memory or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a printer device
    • H04N1/32609Fault detection or counter-measures, e.g. original mis-positioned, shortage of paper
    • H04N1/32646Counter-measures
    • H04N1/32673Adjusting or controlling an operating mode, e.g. from paper reception to memory recep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4Scanning arrangements, i.e. arrangements for the displacement of active reading or reproducing elements relative to the original or reproducing medium, or vice versa
    • H04N1/12Scanning arrangements, i.e. arrangements for the displacement of active reading or reproducing elements relative to the original or reproducing medium, or vice versa using the sheet-feed movement or the medium-advance or the drum-rotation movement as the slow scanning component, e.g. arrangements for the main-scann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4Scanning arrangements, i.e. arrangements for the displacement of active reading or reproducing elements relative to the original or reproducing medium, or vice versa
    • H04N1/19Scanning arrangements, i.e. arrangements for the displacement of active reading or reproducing elements relative to the original or reproducing medium, or vice versa using multi-element arrays
    • H04N1/191Scanning arrangements, i.e. arrangements for the displacement of active reading or reproducing elements relative to the original or reproducing medium, or vice versa using multi-element arrays the array comprising a one-dimensional array, or a combination of one-dimensional arrays, or a substantially one-dimensional array, e.g. an array of staggered elements
    • H04N1/192Simultaneously or substantially simultaneously scanning picture elements on one main scanning line
    • H04N1/193Simultaneously or substantially simultaneously scanning picture elements on one main scanning line using electrically scanned linear arrays, e.g. linear CCD array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and to details thereof
    • H04N2201/0077Types of the still picture apparatus
    • H04N2201/0081Image read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Facsimile Scanning Arrangements (AREA)
  • Facsimiles In General (AREA)

Abstract

원고를 사이에 두고 서로 대향하여 설치되는 제1스캔유닛과 제2스캔유닛이 정상적으로 동작하는지의 여부를 자동으로 인식할 수 있도록 한 화상독취장치 및 그 제어방법을 개시한다. 개시된 화상독취장치는 제1스캔유닛과 제2스캔유닛에서 스캔된 원고가 그 제1면과 제2면이 뒤집힌 상태로 제1스캔유닛과 제2스캔유닛에 재진입할 수 있도록 원고를 안내하는 듀플렉스 경로를 가진다. 제1스캔유닛과 제2스캔유닛을 통해 원고가 1차로 스캔되고, 1차 스캔된 원고는 듀플렉스 경로를 통해 안내되어 다시 제1스캔유닛과 제2스캔유닛을 통과하게 된다. 이 때 제1스캔유닛과 제2스캔유닛을 통해 원고가 2차로 스캔되는데, 제어부는 1차 스캐닝에서 제1스캔유닛과 제2스캔유닛을 통해 얻은 화상 정보와 2차 스캐닝에서 1스캔유닛과 제2스캔유닛을 통해 얻은 화상 정보를 비교하여 제1스캔유닛과 제2스캔유닛의 정상 작동 여부를 판단한다.

Description

화상독취장치 및 그 제어방법{IMAGE READING APPARATUS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화상독취장치를 가지는 복합기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화상독취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서 화상독취장치의 제어에 관한 블록 구성도.
도 4a와 도 4b는 본 발명에 따른 화상독취장치의 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100 : 화상독취장치 130 : 제1스캔유닛
140 : 제2스캔유닛 150 : 제어부
160 : 원고 자동 급지유닛 163a : 스캔경로
163b : 듀플렉스 경로 169 : 반전롤러
182 : 디스플레이부 200 : 인쇄장치
본 발명은 화상독취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원고의 양면 스캔이 가능한 화상독취장치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화상독취장치는 원고에 기록되어 있는 화상 정보를 읽어 들이는 장치로서, 스캐너, 디지털 복사기, 복합기 등과 같은 기기에 탑재된다.
화상독취장치에서 원고의 양면을 스캐닝하는 방법은 크게 두 가지로 구분될 수 있다. 그 중 하나는 이송되는 원고의 제1면을 스캔유닛을 통해 스캐닝한 후 원고 반전 장치를 통해 원고의 이송 방향을 반전시키고, 듀플렉스 경로를 통해 원고의 제1면과 제2면이 뒤집히도록 하여 원고의 제2면을 스캐닝하는 것이다(이하에서 설명의 편의를 위해 '제1방식' 이라 한다). 이러한 방법은 하나의 스캔유닛으로서 원고의 양면을 스캐닝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으나, 양면 스캔에 많은 시간이 소요되는 단점이 있다.
다른 한 방법은 원고의 제1면을 스캐닝하는 제1스캔유닛과 원고의 제2면을 스캐닝하는 제2스캔유닛을 서로 마주하도록 설치하여 원고의 양면을 스캐닝하는 것이다(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제2방식'이라 한다). 이러한 방법은 원고를 불필요하게 순환시키는 일 없이 원고의 양면을 거의 동시에 스캐닝하므로 고속 양면 스캔이 가능한 이점이 있으나, 제1스캔유닛과 제2스캔유닛 중 어느 하나가 오작동하거나 고장나면 양면 스캔 동작을 수행할 수 없다.
이러한 문제점에 착안한 것으로서 일본 공개특허 제2006-148294호에는 상기 제1방식과 제2방식을 혼합 채용한 화상독취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즉 개시된 화상독취장치는 두 스캔유닛(제1독해수단, 제2독해수단)과 함께 원고 반전 장치(반전 반송 기구)를 구비하여 제1독해수단과 제2독해수단이 모두 정상 동작할 때에는 반전 반송 기구를 사용하는 일 없이 상기 제2방식을 적용하고, 제1독해수단과 제2독해수단 중 어느 하나가 정상 동작하지 않을 때에는 정상 동작하는 독해수단과 반전 반송 기구를 사용하여(제1방식 적용) 원고의 양면을 스캐닝한다.
그러나 개시된 종래의 화상독취장치에서는 두 독해수단 중 어느 하나의 독해수단이 제대로 동작하지 않는 경우에 이러한 이상 상황을 자동으로 판단할 수 있도록 하는 것에 대한 고려가 없어 사용자가 장치의 오작동이나 고장에 신속하게 대처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스캔유닛이 정상적으로 동작하는지의 여부를 자동으로 인식할 수 있도록 한 화상독취장치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화상독취장치는 이송되는 원고의 제1면과 제2면을 각각 스캐닝하는 제1스캔유닛 및 제2스캔유닛;과 상기 제1스캔유닛과 제2스캔유닛에서 스캔된 원고가 그 제1면과 제2면이 뒤집힌 상태로 상기 제1스캔유닛과 제2스캔유닛에 재진입할 수 있도록 원고를 안내하는 듀플렉스 경로;와 상기 제1스캔유닛에서 스캔된 원고의 제1면 및 제2면에 대한 화상 정보와 상기 제2스캔유닛에서 스캐닝된 원고의 제1면 및 제2면에 대한 화상정보를 서로 비교하여 상기 제1스캔유닛과 제2스캔유닛의 정상 작동 여부를 판단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스캔유닛을 통해 얻은 원고의 제1면에 대한 화상 정보와 상기 제2스캔유닛을 통해 얻은 원고의 제1면에 대한 화상 정보가 일정한 오차 범위 내에서 서로 일치하지 않는 경우 상기 제1스캔유닛과 상기 제2스캔유닛 중 어느 하나가 정상적으로 작동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스캔유닛을 통해 얻은 원고의 제2면에 대한 화상 정보와 상기 제2스캔유닛을 통해 얻은 원고의 제2면에 대한 화상 정보가 일정한 오차 범위 내에서 서로 일치하지 않는 경우 상기 제1스캔유닛과 상기 제2스캔유닛 중 어느 하나가 정상적으로 작동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상기 제1스캔유닛 또는 제2스캔유닛이 정상적으로 작동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에 상기 듀플렉스 경로를 이용하여 양면 스캔 동작을 수행한다.
상기 제1스캔유닛 또는 제2스캔유닛이 정상적으로 작동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에 상기 제1스캔유닛 또는 제2스캔유닛의 이상 상태를 안내하는 디스플레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화상독취장치의 제어방법은 이송되는 원고의 제1면과 제2면을 각각 스캐닝하는 제1스캔유닛 및 제2스캔유닛과, 상기 제1스캔유닛과 제2스캔유닛에서 스캔된 원고가 그 제1면과 제2면이 뒤집힌 상태로 상기 제1스캔유닛과 제2스캔유닛에 재진입할 수 있도록 원고를 안내하는 듀플렉스 경로를 구비하는 화상독취장치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1스캔유닛과 제2스캔유닛을 통해 원고를 1차 스캐닝하고, 1차 스캔된 원고를 상기 듀플렉스 경로를 통해 순환시키고, 상 기 제1스캔유닛과 제2스캔유닛을 통해 원고를 2차 스캐닝하고, 1차 스캐닝에서 상기 제1스캔유닛과 제2스캔유닛을 통해 얻은 화상 정보와 2차 스캐닝에서 상기 1스캔유닛과 제2스캔유닛을 통해 얻은 화상 정보를 비교하여 상기 제1스캔유닛과 제2스캔유닛의 정상 작동 여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1차 스캐닝에서 상기 제1스캔유닛을 통해 얻은 원고의 제1면에 대한 화상 정보와 2차 스캐닝에서 상기 제2스캔유닛을 통해 얻은 원고의 제1면에 대한 화상 정보를 비교하여 서로 일치하지 않는 경우에는 제1스캔유닛과 제2스캔유닛 중 어느 하나가 정상적으로 작동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1차 스캐닝에서 상기 제2스캔유닛을 통해 얻은 원고의 제2면에 대한 화상 정보와 2차 스캐닝에서 상기 제1스캔유닛을 통해 얻은 원고의 제2면에 대한 화상 정보를 비교하여 서로 일치하지 않는 경우에는 제1스캔유닛과 제2스캔유닛 중 어느 하나가 정상적으로 작동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상기 제1스캔유닛과 제2스캔유닛 중 어는 하나가 정상적으로 작동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에 상기 듀플렉스 경로를 이용하여 양면 스캔을 수행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제1스캔유닛 또는 제2스캔유닛이 정상적으로 동작하지 않는다고 판단되는 경우에 이에 관한 정보를 표시하고,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스캔유닛을 정상 동작하는 스캔유닛으로 인식하고, 상기 제1스캔유닛과 제2스캔유닛을 모두 이용하는 양면 스캔 모드에서 상기 듀플렉스 경로를 이용하는 양면 스캔 모드로 전환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화상독취장치의 제어방법은 제1스캔유닛과 제2스캔유닛 을 구비하는 화상독취장치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사용자로부터 스캔 명령을 입력받는 제1단계;와 상기 제1스캔유닛과 제2스캔유닛의 정상 동작 여부를 확인하는 오작동 검출과정을 수행할 것인지 사용자에게 묻는 제2단계;와 오작동 검출과정의 수행 여부에 관한 명령을 입력받는 제3단계;와 상기 제1스캔유닛과 제2스캔유닛을 제어하여 원고를 스캔하는 제4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화상독취장치의 제어방법은 원고의 서로 다른 면을 각각 스캔하는 제1스캔유닛 및 제2스캔유닛과, 상기 제1스캔유닛과 제2스캔유닛에서 스캔된 원고가 그 제1면과 제2면이 뒤집힌 상태로 상기 제1스캔유닛과 제2스캔유닛에 재진입할 수 있도록 원고를 안내하는 듀플렉스 경로를 구비하는 화상독취장치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1스캔유닛과 제2스캔유닛의 정상 동작 여부를 확인하는 오동작 검출과정의 수행 여부에 관한 명령을 입력받는 제1단계;와 상기 제1스캔유닛과 제2스캔유닛을 통해 원고의 제1면과 제2면을 각각 스캔하는 제2단계;와 상기 듀플렉스 경로를 통해 원고를 순환시키고, 상기 제1스캔유닛과 제2스캔유닛을 통해 원고의 제2면과 제1면을 각각 스캔하는 제3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화상독취장치를 가지는 복합기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화상독취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에서 화상독취장치의 제어에 관한 블록 구성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합기는 원고에 기록된 화상을 독취하는 화상독취장치(100)와, 화상을 용지에 인쇄하는 인쇄장치(2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인쇄장치(200)는 화상독취장치(100)에서 입력되는 신호나 PC 등과 같은 외부 기기로부터 입력되는 신호에 따라 화상을 인쇄하는 것으로, 인쇄매체인 용지(S)를 공급하는 급지유닛(210), 용지에 화상을 현상하는 현상유닛(220), 용지에 열과 압력을 가하여 현상된 화상을 용지에 고착시키는 정착유닛(230) 및 인쇄가 끝난 용지를 외부로 배출하는 배지유닛(240)을 구비한다.
급지유닛(210)은 용지(S)가 적재되는 용지트레이(211)와, 용지트레이(211)에 적재된 용지를 한 장씩 픽업하여 현상유닛(220) 쪽으로 이동시키는 용지 픽업롤러(212)를 가진다.
현상유닛(220)은 노광유닛(250)에 의해 표면에 정전잠상이 형성되는 감광드럼(221), 감광드럼(221)을 대전시키기 위한 대전롤러(222), 감광드럼(221)에 형성된 정전잠상을 토너화상으로 현상하는 현상롤러(223), 현상롤러(223)에 토너를 공급하는 공급롤러(224) 및 감광드럼(221)에 현상된 토너화상을 용지에 전사하기 위해 용지를 감광드럼(221) 쪽으로 가압하는 전사롤러(225)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정착유닛(230)은 용지에 전사된 토너화상에 열을 가하기 위한 열원을 가지는 가열롤러(231)와, 가열롤러(231)에 대향하도록 설치되어 가열롤러(231)와의 사이에 일정한 정착 압력을 유지시키는 가압롤러(232)를 구비한다.
한편 배지유닛(240)은 정착유닛(230)을 통과한 용지를 외부로 배출할 수 있도록 순차적으로 설치되는 일련의 배지롤러들(241)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화상독취장치(100)는 스캐닝 프레임(110)과 커버(120)로 구성되는 독취장치 본체(101)와, 원고(D)에 광을 조사하여 화상 정보를 읽어 들이는 제1스캔유닛(130) 및 제2스캔유닛(140)과, 사용자의 입력 신호와 정해져 있는 프로그램에 따라 화상독취장치(100)의 전체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150)를 구비한다.
제1스캔유닛(130)과 제2스캔유닛(140)은 원고에 광을 조사하여 이로부터 반사되는 광을 검출하고, 이 광량을 전기적인 신호로 변환하여 제어부(150)로 전달한다. 제1스캔유닛(130)과 제2스캔유닛(140)은 원고 이송경로(163)를 사이에 두고 서로 마주하는 형태로 배치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1스캔유닛(130)은 원고 이송경로(163)를 지나는 원고(D)의 하측에 배치되어 원고의 제1면으로부터 화상 정보를 읽어 들이고, 제2스캔유닛(140)은 원고 이송경로(163)를 지나는 원고(D)의 상측에 배치되어 원고의 제2면으로부터 화상 정보를 읽어 들인다. 이와 같이 설치된 제1스캔유닛(130)과 제2스캔유닛(140)이 이용하면 원고 이송경로(163)를 지나는 원고의 양면을 거의 동시에 스캔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이와 같이 제1스캔유닛(130)과 제2스캔유닛(140)을 모두 이용하여 원고의 양면을 스캔하는 방식을 제1 양면 스캔 모드라 한다.
커버(120)는 스캐닝 프레임(110)에 회동 가능하도록 결합되어 스캐닝 프레임(110)의 상면을 개폐한다. 커버(120)에는 상기 제2스캔유닛(140)이 설치되고, 또 연속적인 스캐닝이 가능하도록 원고를 자동 급지하는 원고 자동 급지유닛(160, Automatic Document Feeder)이 구비된다.
원고 자동 급지유닛(160)은 스캔될 원고가 유입되는 원고유입구(161)와, 스캔 과정을 마친 원고가 배출되는 원고배출구(162)와, 원고의 이송을 위해 커 버(120)의 내부에 형성되는 원고 이송경로(163)와, 원고 이송경로(163) 상에 배치되어 원고를 이송하는 롤러들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원고유입구(161)는 커버(120)의 일측에 형성되고, 원고배출구(162)는 원고유입구(161)의 하부에 형성된다. 원고유입구(161)의 근처에는 원고 자동 급지유닛(160)에 의해 이송될 원고(D)가 적재되는 원고급지대(161a)와, 원고의 삽입 여부를 검출하여 그 결과를 제어부(150)로 출력하는 원고삽입 검출센서(161b)가 설치된다. 한편 원고배출구(162) 근처에는 스캔 과정을 마치고 배출된 원고가 적재되는 원고배지대(162b)가 마련된다.
원고 이송경로(163)는 일단이 원고유입구(161)를 통해 원고급지대(161a)와 연결되고 타단이 원고배출구(162)를 통해 원고배지대(162b)와 연결되는 대략 C자형의 스캔경로(163a)를 가진다. 제1스캔유닛(130)과 제2스캔유닛(140)이 스캔경로(163a)를 지나는 원고(D)에 기록된 화상 정보를 읽어 들일 수 있도록 스캔경로(163a) 상에는 제1 ADF 글라스(171)와 제2 ADF 글라스(172)가 순차적으로 배치된다. 제1 ADF 글라스(171)는 제1스캔유닛(130)에 대응하는 위치에서 스캐닝 프레임(110)에 설치되고, 제2 ADF 글라스(172)는 제2스캔유닛(140)에 대응하는 위치에서 커버(120)에 설치된다.
또한 원고 이송경로(163)는 일단이 제2스캔유닛(140)의 하류측에서 스캔경로(163a)와 연결되고, 타단이 제1스캔유닛(130)의 상류측에서 스캔경로(163a)와 연결되는 듀플렉스 경로(163b)를 가진다. 듀플렉스 경로(163b)는 제1스캔유닛(130)과 제2스캔유닛(140)에서 1차 스캔된 원고가 그 제1면과 제2면이 뒤집힌 상태로 제1스 캔유닛(130)과 제2스캔유닛(140)에 재진입할 수 있도록 원고를 안내한다. 본 발명에서 듀플렉스 경로(163b)는 제1스캔유닛(130)과 제2스캔유닛(140)이 정상적으로 작동하는지 여부를 확인할 때 활용되며, 또 제1스캔유닛(130)과 제2스캔유닛(140) 중 어느 하나의 스캔유닛만을 사용하여 양면 스캔 동작을 수행할 때에 활용된다. 이하에서는 듀플렉스 경로(163b)를 활용하여 양면 스캔하는 방식을 제2 양면 스캔 모드라 한다.
원고를 이송하는 롤러들은 원고급지대(161a)에 적재된 원고(D)를 픽업하는 원고 픽업롤러(164), 원고 픽업롤러(164)에 의해 픽업된 원고를 스캔경로(163a) 상에서 이송하는 제1 내지 제3이송롤러(165)(166)(167), 듀플렉스 경로(163b) 상에서 원고를 이송하는 듀플렉스 롤러(168) 및 스캔경로(163a)를 지나는 원고를 반전시켜 듀플렉스 경로(163b)로 이송하는 반전롤러(169)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송롤러 중 원고 픽업롤러(164)와 가장 가까운 제1이송롤러(165)는 원고 픽업롤러(164)에서 픽업된 원고를 낱장으로 분리한다. 이를 위해 제1이송롤러(165)에 대면하여 마찰패드(165a)가 설치된다.
반전롤러(169)는 스캔경로(163a) 상의 원고를 원고배출구(162)로 배출시키는 방향으로 이송하다가 특정 시점에서 역전하여 원고를 듀플렉스 경로(163b)로 이송한다. 또 반전롤러(169)는 스캔 동작을 완료한 원고를 원고배지대(162b)로 배출하는 배지롤러로서의 기능도 함께 수행한다.
스캔경로(163a)에서 제2스캔유닛(140)의 하류에는 반전롤러(169)의 역전 시점을 결정하기 위한 게이트 센서(173)가 설치된다. 게이트 센서(173)에 의해 원고 의 후단이 통과하였다는 것이 감지되면 일정 시간 후에 반전롤러(169)가 역전하여 용지를 역방향으로 이송시키게 된다. 한편 듀플렉스 경로(163b)가 스캔경로(163a)와 만나는 지점에서 셔터(174)가 설치된다. 셔터(174)는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자중에 의해 아래로 회전된 상태를 유지함으로써 반전롤러(169)에 의해 반전된 원고를 듀플렉스 경로(163b)로 안내한다. 또 셔터(174)는 원고가 원고배출구(162) 쪽으로 이송될 때에는 이송되는 원고의 이송력에 의해 상측으로 회전함으로써 스캔경로(163a)를 개방한다.
한편 스캐닝 프레임(110)의 내부에는 제1스캔유닛(130)이 설치되고, 스캐닝 프레임(110)의 상면에는 평판 글라스(111)와 제1 ADF 글라스(171)가 설치된다. 평판 글라스(111)는 사용자가 원고를 한 장씩 올려 놓고 스캔하기 위한 것이다. 제1스캔유닛(130)은 평판 글라스(111)의 하부에서 평판 글라스(111)를 따라 이동하며 평판 글라스(111)에 놓인 원고를 스캔할 수 있으며, 또 제1 ADF 글라스(171)의 하부에 위치되어 원고 자동 급지유닛(160)에 의해 이송되는 원고에 기록되어 있는 화상 정보를 스캔할 수 있다.
또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화상독취장치(100)는 입력부(181), 디스플레이부(182), 제1저장부(183) 및 제2저장부(184)를 구비한다.
입력부(181)는 사용자가 선택하는 화상독취장치의 동작에 관한 정보를 제어부(150)에 입력한다. 사용자는 입력부(181)를 통해 단면 스캔을 할 것인지 아니면 양면 스캔을 할 것인지를 선택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82)는 화상독취장치(100)의 동작 상태를 사용자에게 나타낸 다. 본 발명에서 제1스캔유닛(130)과 제2스캔유닛(140)이 정상 작동하는지를 확인한 결과 제1스캔유닛(130) 또는 제2스캔유닛(140)이 제대로 작동하지 않는 것으로 인식되면, 제어부(150)는 이러한 상황을 디스플레이부(182)를 통해 표시하여 사용자가 적절히 대처할 수 있도록 한다.
제1저장부(183)와 제2저장부는 각각 제1스캔유닛(130)과 제2스캔유닛(140)으로부터 입력되는 원고의 화상 정보를 저장하고, 스캔유닛들(130, 140)의 정상 작동 여부를 판단하는 과정에서 화상 정보를 제어부(150)로 출력한다.
제어부(150)는 제1스캔유닛(130)과 제2스캔유닛(140)이 정상적으로 동작하고 있는지를 판단하기 위해 제1스캔유닛(130)에서 스캔된 원고의 제1면 및 제2면에 대한 화상 정보와 제2스캔유닛(140)에서 스캔된 원고의 제1면 및 제2면에 대한 화상 정보를 비교한다.
비교 결과 제1스캔유닛(130)에서 스캔된 원고의 제1면에 대한 화상 정보와 제2스캔유닛에서 스캔된 원고의 제1면에 대한 화상 정보가 일정한 오차 범위를 벗어나 서로 일치하지 않는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제어부(150)는 두 스캔유닛 중 어느 하나의 스캔유닛이 정상적으로 동작하고 있지 않다고 인식한다. 마찬가지로 제어부(150)는 제1스캔유닛(130)에서 스캔된 원고의 제2면에 대한 화상 정보가 제2스캔유닛(140)에서 스캔된 화상 정보와 일치하지 않는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도 정상적으로 동작하지 않는 스캔유닛이 존재한다고 인식한다. 그러면 제어부(150)는 이러한 정보를 디스플레이부(182)를 통해 표시하여 사용자에게 알리게 된다.
이하에서는 도 2 내지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화상독취장치의 제어방 법을 설명한다. 도 4a와 도 4b는 본 발명에 따른 화상독취장치의 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화상독취장치의 전원이 온(ON) 되면, 제어부(150)는 원고삽입 검출센서(161b)로부터 입력되는 신호를 통해 원고유입구(161)에 원고가 삽입되었는지 판단한다(S301).
그 결과, 원고가 삽입된 것으로 판단되면 제어부(150)는 원고를 스캔하기에 앞서 제1스캔유닛(130)과 제2스캔유닛(140)이 정상적으로 동작하는지의 여부를 확인한다(S302~S306).
먼저 제어부(150)는 제1스캔유닛(130)과 제2스캔유닛(140)의 정상 동작 여부를 판단하기 위해 원고급지대(161a)에 놓인 원고 중 최상부에 놓인 원고를 스캔경로(163a) 상에서 이송시켜 1차 스캔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50)는 제1스캔유닛(130)을 동작시켜 스캔경로(163a)를 지나는 원고의 제1면을 스캔하고, 또 제2스캔유닛(140)을 동작시켜 원고의 제2면을 스캔한다. 이 때 제1스캔유닛(130)에서 스캔된 원고의 제1면에 대한 화상 정보는 제1저장부(183)에 저장되고, 제2스캔유닛(140)에서 스캔된 원고의 제2면에 대한 화상 정보는 제2저장부(184)에 저장된다(S302).
위와 같이 1차 스캔된 원고의 후단이 게이트 센서(173)에서 검지되면 제어부(150)는 일정 시간 후에 반전롤러(169)를 역전시킨다. 그러면 원고는 듀플렉스 경로(163b)를 통해 제1스캔유닛(130)의 상류측으로 이송되어 다시 제1스캔유닛(130)과 제2스캔유닛(140)을 지나가게 된다. 이 때 원고는 그 제1면과 제2면이 서로 뒤바뀐 상태에 있게 된다(S303).
듀플렉스 경로(163b)를 통해 순환된 원고가 다시 제1스캔유닛(130)과 제2스캔유닛(140)을 통과할 때 제어부(150)는 제1스캔유닛(130)과 제2스캔유닛(140)을 이용해 원고를 2차 스캔한다. 이 때 제1스캔유닛(130)은 원고의 제2면을 스캔하고, 스캔된 화상 정보는 제1저장부(183)에 저장된다. 또 제2스캔유닛(140)은 원고의 제1면을 스캔하고, 스캔된 화상 정보는 제2저장부(184)에 저장된다(S304).
제어부(150)는 제1저장부(183)와 제2저장부(184)에 저장된 화상 정보를 호출하여 1차 스캔에서 얻은 화상 정보와 2차 스캔에서 얻은 화상 정보를 비교함으로써 제1스캔유닛(130)과 제2스캔유닛(140)이 정상 동작 하는지 판단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50)는 1차 스캔에서 제1스캔유닛(130)을 통해 얻은 원고의 제1면에 대한 화상 정보와 2차 스캔에서 제2스캔유닛(140)을 통해 얻은 원고의 제1면에 대한 화상 정보를 비교하고, 그 결과 두 화상 정보가 서로 일치하지 않는 경우에는 제1스캔유닛(130)과 제2스캔유닛(140) 중 어느 하나가 정상적으로 작동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한다. 여기서 두 화상 정보가 서로 일치하지 않는 경우란 허용된 오차 범위를 벗어나 서로 일치하지 않는 경우를 말한다. 즉 두 화상 정보가 일부 차이가 있으나 그 차이가 허용된 오차 범위 내인 경우에는 두 화상 정보가 일치하는 것으로 간주한다.
또 제어부(150)는 1차 스캔에서 제2스캔유닛(140)을 통해 얻은 원고의 제2면에 대한 화상 정보와 2차 스캔에서 제1스캔유닛(130)을 통해 얻은 원고의 제2면에 대한 화상 정보를 비교하여 서로 일치하지 않는 경우에도 두 스캔유닛(130, 140) 중 어느 하나가 정상적으로 작동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한다(S305, S306).
S306의 판단 결과, 제1스캔유닛(130)과 제2스캔유닛(140)이 정상 동작 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제어부(150)는 사용자가 선택한 스캔 모드가 양면 스캔 모드인지를 판단한다(S307).
그 결과 사용자가 양면 스캔 모드를 선택하였다고 판단되는 경우, 제어부(150)는 일련의 롤러들(164, 165, 166, 167, 168)의 구동하여 원고급지대(161a)의 원고를 순서대로 이송하는 한편, 제1스캔유닛(130)과 제2스캔유닛(140)을 제어하여 스캔경로(163a)를 따라 이송되는 원고의 제1면과 제2면에 기록되어 있는 화상을 스캔한다. 즉 제어부(150)는 제1 양면 스캔 모드로 원고를 양면 스캔한다. 이러한 양면 스캔 과정을 마친 원고는 반전롤러(169)에 의해 원고배지대(162b)로 배출된다(S308).
반면에 사용자가 양면 스캔 모드를 선택하지 않았다고 판단되면, 제어부(150)는 단면 스캔 모드라고 인식하여 제1스캔유닛(130) 또는 제2스캔유닛(140)을 활용하여 원고를 단면 스캔한다. 두 스캔유닛(130, 140) 중 단면 스캔 시에 활용되는 스캔유닛은 기본 설정에 의해 정해지거나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S309).
S308 또는 S309의 스캔 과정이 완료되면, 제어부(150)는 스캔된 화상 정보를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파일로 저장하거나, 인쇄장치(200)를 통해 인쇄할 수 있도록 제어한다(S310).
한편, S306의 판단 결과, 제1스캔유닛(130)과 제2스캔유닛(140) 중 어느 하 나가 정상적으로 동작하지 않는다고 판단되는 경우 제어부(150)는 이러한 이상 상황에 관한 정보를 디스플레이부(182)에 표시하여 사용자에게 알린다. 이 때 제어부(150)는 사용자에게 제1스캔유닛(130)에 의해 스캔된 화상과 제2스캔유닛(140)에 의해 스캔된 화상을 디스플레이하고, 둘 중 하나를 선택하라고 요구할 수 있다(S311).
사용자가 제1스캔유닛에서 스캔된 화상과 제2스캔유닛에서 스캔된 화상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면, 제어부(150)는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화상을 스캔한 스캔유닛을 정상 동작하는 스캔유닛으로 인식한다(S312).
정상 동작하는 스캔유닛이 인식되면, 제어부(150)는 양면 스캔 시에 듀플렉스 경로(163b)를 이용하는 제2 양면 스캔 모드로 원고를 스캔하도록 설정한다(S313).
다음 제어부(150)는 사용자가 선택한 스캔 모드가 양면 스캔 모드인지를 판단한다(S314). 그 결과 양면 스캔 모드라고 판단되면, 제어부(150)는 S312에서 정상 동작하는 것으로 인식된 스캔유닛만을 이용하여 양면 스캔 동작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제1스캔유닛(130)이 정상 동작하는 것으로 인식되었다면, 제어부(150)는 제1스캔유닛(130)만을 동작시키고, 제2스캔유닛(140)은 동작하지 않도록 제어한다. 그러면 원고급지대(161a)로부터 이송되는 원고의 제1면이 제1스캔유닛(130)에 의해 스캔된다. 제1면의 스캔을 마친 원고는 반전롤러(169)에 의해 반전된 후 듀플렉스 경로(163b)를 통해 제1스캔유닛(130)으로 재진입하며, 제1스캔유닛(130)에 의해 원고의 제2면이 스캔된다. 이러한 양면 스캔 과정을 마친 원고는 배지롤러로서의 기 능도 함께 수행하는 반전롤러(169)에 의해 원고배지대(162b)로 배출된다(S315).
반면에 사용자가 양면 스캔 모드를 선택하지 않았다고 판단되면, 제어부(150)는 단면 스캔 모드라고 인식하여 S312에서 정상 동작하는 것으로 인식된 스캔유닛만을 이용하여 단면 스캔 동작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제1스캔유닛(130)이 정상 동작하는 것으로 인식되었다면, 제어부(150)는 제1스캔유닛(130)만을 동작시키고, 제2스캔유닛(140)은 동작하지 않도록 제어한다. 이 때 제어부(150)는 디스플레이부(182)를 통해 사용자에게 제1스캔유닛(130)에 적합한 상태(스캔할 면을 위로 한 상태)로 원고급지대(161a)에 원고를 올려 놓으라고 안내할 수 있다. 그러면 원고급지대(161a)로부터 이송되는 원고의 제1면이 제1스캔유닛(130)에 의해 스캔되고, 이러한 단면 스캔 과정을 마친 원고는 원고배지대(162b)로 배출된다(S316).
S315 또는 S316의 스캔 과정이 완료되면, 제어부(150)는 스캔된 화상 정보를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파일로 저장하거나, 인쇄장치(200)를 통해 인쇄할 수 있도록 제어한다(S317).
위에서는 원고를 스캔하기에 앞서 제1스캔유닛(130)과 제2스캔유닛(140)이 정상적으로 동작하는지의 여부를 확인하는 과정(S02~S306), 이하 오작동 검출과정이라 한다)을 기본적으로 거치도록 설정된 예에 관해 설명하였다. 그러나 이와는 달리 원고를 스캔하기에 앞서 사용자에게 오작동 검출과정을 수행할 것인지의 여부를 물어본 후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오작동 검출과정을 진행하거나 오작동 검출과정 없이 바로 원고를 스캔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 한 번의 기능 설정으로 오작동 검출과정의 수행여부를 결정하는 것도 가 능하다. 이러한 경우 제어부(150)는 사용자가 오작동 검출기능을 설정하였는지의 여부를 확인한 후 오작동 검출기능을 설정하였다고 판단되면 오작동 검출과정을 거친 후에 원고를 스캔하고, 오작동 검출기능을 설정하지 않았다고 판단되면 오작동 검출과정 없이 바로 원고를 스캔하게 된다.
또한 원고를 스캔하라는 명령을 화상독취장치에 입력하기 앞서 스캔유닛들(130, 140)이 정상적으로 동작하는지의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 오작동 검출과정만을 실행하는 것도 가능하다.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제1스캔유닛과 제2스캔유닛이 정상적으로 동작하는지의 여부를 자동으로 판단하여 사용자에게 알릴 수 있으므로 사용자가 제1스캔유닛과 제2스캔유닛의 오작동이나 고장에 대해 신속하게 대처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듀플렉스 경로를 통해 하나의 스캔유닛으로도 양면 스캔 동작을 수행할 수 있으므로, 제1스캔유닛과 제2스캔유닛 중 어느 하나가 제대로 동작하지 않는 경우에도 양면 스캔이 가능한 이점을 가진다.

Claims (16)

  1. 이송되는 원고의 제1면과 제2면을 각각 스캐닝하는 제1스캔유닛 및 제2스캔유닛;과
    상기 제1스캔유닛과 제2스캔유닛에서 스캔된 원고가 그 제1면과 제2면이 뒤집힌 상태로 상기 제1스캔유닛과 제2스캔유닛에 재진입할 수 있도록 원고를 안내하는 듀플렉스 경로;와
    상기 제1스캔유닛에서 스캔된 원고의 제1면 및 제2면에 대한 화상 정보와 상기 제2스캔유닛에서 스캐닝된 원고의 제1면 및 제2면에 대한 화상정보를 서로 비교하는 것에 의해 상기 제1스캔유닛과 제2스캔유닛의 정상 작동 여부를 판단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스캔유닛과 제2스캔유닛이 원고의 이송 방향으로 서로 다른 스캔 위치를 가지도록 상기 제1스캔유닛과 제2스캔유닛은 원고의 이송 방향을 따라 순차적으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독취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스캔유닛을 통해 얻은 원고의 제1면에 대한 화상 정보와 상기 제2스캔유닛을 통해 얻은 원고의 제1면에 대한 화상 정보가 일정한 오차 범위 내에서 서로 일치하지 않는 경우 상기 제1스캔유닛과 상기 제2스캔유닛 중 어느 하나가 정상적으로 작동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독취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스캔유닛을 통해 얻은 원고의 제2면에 대한 화상 정보와 상기 제2스캔유닛을 통해 얻은 원고의 제2면에 대한 화상 정보가 일정한 오차 범위 내에서 서로 일치하지 않는 경우 상기 제1스캔유닛과 상기 제2스캔유닛 중 어느 하나가 정상적으로 작동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독취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스캔유닛 또는 제2스캔유닛이 정상적으로 작동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에 상기 듀플렉스 경로를 이용하여 양면 스캔 동작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독취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스캔유닛 또는 제2스캔유닛이 정상적으로 작동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에 상기 제1스캔유닛 또는 제2스캔유닛의 이상 상태를 안내하는 디스플레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독취장치.
  7. 이송되는 원고의 제1면과 제2면을 각각 스캐닝하는 제1스캔유닛 및 제2스캔유닛과, 상기 제1스캔유닛과 제2스캔유닛에서 스캔된 원고가 그 제1면과 제2면이 뒤집힌 상태로 상기 제1스캔유닛과 제2스캔유닛에 재진입할 수 있도록 원고를 안내하는 듀플렉스 경로를 구비하는 화상독취장치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1스캔유닛과 제2스캔유닛을 통해 원고를 1차 스캐닝하고,
    1차 스캔된 원고를 상기 듀플렉스 경로를 통해 순환시키고,
    상기 제1스캔유닛과 제2스캔유닛을 통해 원고를 2차 스캐닝하고,
    1차 스캐닝에서 상기 제1스캔유닛과 제2스캔유닛을 통해 얻은 화상 정보와 2차 스캐닝에서 상기 1스캔유닛과 제2스캔유닛을 통해 얻은 화상 정보를 비교하여 상기 제1스캔유닛과 제2스캔유닛의 정상 작동 여부를 판단하는 것을 포함하고,
    상기 제2스캔유닛은 원고의 이송 방향을 따라 상기 제1스캔유닛으로부터 떨어져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독취장치의 제어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1차 스캐닝에서 상기 제1스캔유닛을 통해 얻은 원고의 제1면에 대한 화상 정보와 2차 스캐닝에서 상기 제2스캔유닛을 통해 얻은 원고의 제1면에 대한 화상 정보를 비교하여 서로 일치하지 않는 경우에는 제1스캔유닛과 제2스캔유닛 중 어느 하나가 정상적으로 작동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독취장치의 제어방법.
  9. 제7항에 있어서,
    1차 스캐닝에서 상기 제2스캔유닛을 통해 얻은 원고의 제2면에 대한 화상 정보와 2차 스캐닝에서 상기 제1스캔유닛을 통해 얻은 원고의 제2면에 대한 화상 정보를 비교하여 서로 일치하지 않는 경우에는 제1스캔유닛과 제2스캔유닛 중 어느 하나가 정상적으로 작동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독취장치의 제어방법.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스캔유닛과 제2스캔유닛 중 어는 하나가 정상적으로 작동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에 상기 듀플렉스 경로를 이용하여 양면 스캔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독취장치의 제어방법.
  11.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스캔유닛 또는 제2스캔유닛이 정상적으로 동작하지 않는다고 판단되는 경우에 이에 관한 정보를 표시하고,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스캔유닛을 정상 동작하는 스캔유닛으로 인식하고,
    상기 제1스캔유닛과 제2스캔유닛을 모두 이용하는 양면 스캔 모드에서 상기 듀플렉스 경로를 이용하는 양면 스캔 모드로 전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독취장치의 제어방법.
  12. 제1스캔유닛과 제2스캔유닛을 구비하는 화상독취장치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사용자로부터 스캔 명령을 입력받는 제1단계;
    상기 제1스캔유닛과 제2스캔유닛의 정상 동작 여부를 확인하는 오작동 검출과정을 수행할 것인지 사용자에게 묻는 제2단계;
    오작동 검출과정의 수행 여부에 관한 명령을 입력받는 제3단계;
    상기 제1스캔유닛과 제2스캔유닛을 제어하여 원고를 스캔하는 제4단계;
    상기 제1스캔유닛에서 스캔된 원고의 제1면 및 제2면에 대한 화상 정보와 상기 제2스캔유닛에서 스캔된 원고의 제1면 및 제2면에 대한 화상정보를 서로 비교하는 것에 의해 상기 제1스캔유닛과 제2스캔유닛의 정상 작동 여부를 판단하는 제5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독취장치의 제어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오작동 검출과정을 수행하라는 명령이 입력된 경우에 원고를 스캔하기에 앞서 오작동 검출과정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독취장치의 제어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1스캔유닛과 제2스캔유닛을 통해 원고를 1차 스캐닝하고,
    1차 스캔된 원고의 제1면과 제2면이 서로 뒤바뀌도록 듀플렉스 경로를 통해 원고를 순환시키고,
    상기 제1스캔유닛과 제2스캔유닛을 통해 원고를 2차 스캐닝하고,
    1차 스캐닝에서 상기 제1스캔유닛과 제2스캔유닛을 통해 얻은 화상 정보와 2차 스캐닝에서 상기 1스캔유닛과 제2스캔유닛을 통해 얻은 화상 정보를 비교하여 상기 제1스캔유닛과 제2스캔유닛의 정상 동작 여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독취장치의 제어방법.
  15. 원고의 서로 다른 면을 각각 스캔하는 제1스캔유닛 및 제2스캔유닛과, 상기 제1스캔유닛과 제2스캔유닛에서 스캔된 원고가 그 제1면과 제2면이 뒤집힌 상태로 상기 제1스캔유닛과 제2스캔유닛에 재진입할 수 있도록 원고를 안내하는 듀플렉스 경로를 구비하는 화상독취장치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1스캔유닛과 제2스캔유닛의 정상 동작 여부를 확인하는 오동작 검출과정의 수행 여부에 관한 명령을 입력받는 제1단계;
    상기 제1스캔유닛과 제2스캔유닛을 통해 원고의 제1면과 제2면을 각각 스캔하는 제2단계;
    상기 듀플렉스 경로를 통해 원고를 순환시키고, 상기 제1스캔유닛과 제2스캔유닛을 통해 원고의 제2면과 제1면을 각각 스캔하는 제3단계;
    상기 제1스캔유닛에서 스캔된 원고의 제1면 및 제2면에 대한 화상 정보와 상기 제2스캔유닛에서 스캔된 원고의 제1면 및 제2면에 대한 화상정보를 서로 비교하는 것에 의해 상기 제1스캔유닛과 제2스캔유닛의 정상 작동 여부를 판단하는 제4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독취장치의 제어방법.
  16. 삭제
KR1020070074166A 2007-07-24 2007-07-24 화상독취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1309299B1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74166A KR101309299B1 (ko) 2007-07-24 2007-07-24 화상독취장치 및 그 제어방법
US12/108,651 US8325389B2 (en) 2007-07-24 2008-04-24 Image reading apparatus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CN201310392591.7A CN103501399B (zh) 2007-07-24 2008-05-14 图像读取设备及其控制方法
CNA2008101078050A CN101355623A (zh) 2007-07-24 2008-05-14 图像读取设备及其控制方法
JP2008142448A JP2009033724A (ja) 2007-07-24 2008-05-30 画像読み取り装置、画像読み取り装置の制御方法及びコンピュータ可読記録媒体
US13/602,690 US8861043B2 (en) 2007-07-24 2012-09-04 Image reading apparatus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74166A KR101309299B1 (ko) 2007-07-24 2007-07-24 화상독취장치 및 그 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10788A KR20090010788A (ko) 2009-01-30
KR101309299B1 true KR101309299B1 (ko) 2013-09-17

Family

ID=402950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74166A KR101309299B1 (ko) 2007-07-24 2007-07-24 화상독취장치 및 그 제어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2) US8325389B2 (ko)
JP (1) JP2009033724A (ko)
KR (1) KR101309299B1 (ko)
CN (2) CN103501399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143014A (ja) * 2005-11-22 2007-06-07 Fuji Xerox Co Ltd 画像読み取り装置および画像読み取り方法
JP4766125B2 (ja) * 2009-02-18 2011-09-07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画像処理装置
JP5478975B2 (ja) * 2009-08-04 2014-04-23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読取装置、画像読取装置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20200112118A (ko) * 2019-03-21 2020-10-05 휴렛-팩커드 디벨롭먼트 컴퍼니, 엘.피. 상부 유닛에 위치된 독취 유닛으로 플랫베드 스캔이 가능한 스캐너
US12028496B2 (en) * 2020-02-21 2024-07-02 Imaging Business Machines Llc Multi-mode scanning camera system and method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70115516A1 (en) 2005-11-22 2007-05-24 Fuji Xerox Co., Ltd. Apparatus, method and program for reading image
JP2007166286A (ja) 2005-12-14 2007-06-28 Konica Minolta Business Technologies Inc 原稿読取装置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354192A (ja) 2001-05-22 2002-12-06 Canon Inc 情報読み取り装置とこの装置を備えた画像形成装置
JP2003234887A (ja) * 2002-02-08 2003-08-22 Ricoh Co Ltd 画像形成方法、画像形成装置、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および記憶媒体
JP2005124063A (ja) * 2003-10-20 2005-05-12 Sharp Corp 画像形成装置
US20050094226A1 (en) * 2003-10-31 2005-05-05 Xerox Corporation. Duplex input scanning for a partially disabled image scanner
JP2006148294A (ja) 2004-11-17 2006-06-08 Kyocera Mita Corp 原稿読取装置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70115516A1 (en) 2005-11-22 2007-05-24 Fuji Xerox Co., Ltd. Apparatus, method and program for reading image
JP2007143014A (ja) * 2005-11-22 2007-06-07 Fuji Xerox Co Ltd 画像読み取り装置および画像読み取り方法
JP2007166286A (ja) 2005-12-14 2007-06-28 Konica Minolta Business Technologies Inc 原稿読取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8861043B2 (en) 2014-10-14
US8325389B2 (en) 2012-12-04
US20090027742A1 (en) 2009-01-29
CN103501399A (zh) 2014-01-08
CN103501399B (zh) 2016-08-10
JP2009033724A (ja) 2009-02-12
CN101355623A (zh) 2009-01-28
US20130044358A1 (en) 2013-02-21
KR20090010788A (ko) 2009-01-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061044B2 (ja) 画像形成装置
KR101362370B1 (ko) 화상독취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1253573B1 (ko) 화상독취장치와 이를 구비하는 화상형성장치 및 화상독취방법
KR20090010785A (ko) 화상독취장치 및 그 제어방법
JP2007010949A (ja) 画像形成装置
US8427718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with driving carriage to a retreat position
KR20080075672A (ko) 화상독취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화상형성기기
US10108128B2 (en) Automatic document feeder, image reading device incorporating the automatic document feeder, and image forming apparatus incorporating the image reading device with the automatic document feeder
JP2001302064A (ja) 画像形成装置
US7974567B2 (en) Image reading apparatus and image forming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KR101309299B1 (ko) 화상독취장치 및 그 제어방법
JP2011013678A (ja) 画像形成装置及び画像形成方法
JP4310218B2 (ja) 原稿供給装置
US7457579B2 (en) Document reader and image forming apparatus
US8605343B2 (en) Automatic document feeder, method of transporting document, and image reading apparatus
JP7085113B2 (ja) シート搬送装置、自動原稿搬送装置、画像読取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7562290B2 (ja) シート搬送装置、画像読取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US6661982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US7016623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with power control to sheet processing unit
US10516794B1 (en) Image reading apparatus and image forming apparatus with document width detection
JP2011071592A (ja) 画像読取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
JP3791779B2 (ja) 画像形成装置における排出用紙のカール矯正装置
JP2020196598A (ja) シート搬送装置、原稿読取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2020196599A (ja) シート搬送装置、原稿読取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2020196600A (ja) シート搬送装置、原稿読取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3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2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03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