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61013B1 - 재료 이음부의 자동 검사 방법 - Google Patents

재료 이음부의 자동 검사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61013B1
KR101361013B1 KR1020097015048A KR20097015048A KR101361013B1 KR 101361013 B1 KR101361013 B1 KR 101361013B1 KR 1020097015048 A KR1020097015048 A KR 1020097015048A KR 20097015048 A KR20097015048 A KR 20097015048A KR 101361013 B1 KR101361013 B1 KR 10136101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hreshold value
heat flow
value
automated
max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70150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104037A (ko
Inventor
로만 로우반
요르젠 제트네르
크리스토프 도틴게르
Original Assignee
테르모센소리크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테르모센소리크 게엠베하 filed Critical 테르모센소리크 게엠베하
Publication of KR200901040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0403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610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6101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11/00Resistance welding; Severing by resistance heating
    • B23K11/36Auxiliary equipment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5/00Investigating or analyzing materials by the use of thermal means
    • G01N25/72Investigating presence of flaw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11/00Resistance welding; Severing by resistance heating
    • B23K11/24Electric supply or control circuits therefor
    • B23K11/25Monitor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31/00Processes relevant to this subclas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purposes, but not covered by only on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 B23K31/12Processes relevant to this subclas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purposes, but not covered by only on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relating to investigating the properties, e.g. the weldability, of material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84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G01N21/88Investigating the presence of flaws or contamin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Investigating Or Analyzing Materials Using Thermal Means (AREA)
  • Radiation Pyrometers (AREA)
  • Eyeglasses (AREA)
  • Cable Accessories (AREA)
  • Pressure Welding/Diffusion-Bonding (AREA)

Abstract

재료 이음부(4)의 자동화된, 무접촉식 비파괴 검사 방법에 있어서, 동적 문턱 값은 최소 문턱 값과 최대 문턱 값의 사이에서 변하는 값으로, 재료 이음부(4)에 의해 동적 문턱 값을 초과하는 열류 역학력의 값을 나타내는 열류 역학력의 영역이 결정된다. 이러한 열류 역학력 영역은 둘레 길이의 급격한 변동과 관련하여 시험된다. 재료 이음부(4)의 비용융 지대(6)와 이 비용융 지대에 여전히 부착되어 있는 상태의 용융 지대(5)를 구분하는 경계부(7)를 가로지르는 경우에 둘레 길이의 급격한 변동이 발생한다.
자동화, 무접촉, 비파괴 검사, 동적 문턱 값, 열류 역학력, 둘레 길이, 재료 이음부, 용융 지대, 비용융 지대

Description

재료 이음부의 자동 검사 방법{METHOD FOR THE AUTOMATIC ANALYSIS OF A MATERIAL BOND}
본 발명은 청구항 1의 전제부에 따른, 적어도 두 개의 짝을 이루는 맞춤 부품의 재료 이음부(material joint)의 자동화된, 무접촉식 비파괴 검사 방법에 관한 것이다.
용접 점(weld point)은 산업상 용례에 있어 중요한 재료 이음부이다. 용접 점은 보통 용융 지대와 비용융 지대로 이루어진 두 개의 섹션으로 된 이음부를 포함한다. 용융 지대는 용접 점의 내부 영역에 위치하여, 이른바 용접 너깃(weld nugget)을 형성한다. 비용융 지대는 용접 너깃을 둘러싸고 있으며 용접 글루(weld glue)라 한다. 이 비용용 지대에서는 서로 짝을 이루는 부품들이 하나로 용접되지는 않는다. 따라서, 일정량의 점착만이 이루어짐에 따라 짝을 이루는 부품들 사이의 이음부의 강도가 비용융 지대에서는 불충분한 편이다. 용접 점의 품질은 따라서, 실질적으로 용접 너깃에 의해 결정된다.
파괴 검사 또는 시험을 사용한 용접 점의 품질 평가는 공지의 기술이다. 이러한 방식의 시험은 그러나, 무작위 추출법(random sampling)을 사용하여서만 수행될 수 있다. 전체 100퍼센트에 이르는 시료를 시험할 수 있을 정도로 빈도수 높은 시험은 비파괴 시험으로만 수행 가능하다.
열류 서모그래피(heat flow thermography)는 오래전에 확립된 무접촉식 비파괴 시험 방법이다. 이 방법에 따르면, 열류를 발생시키기 위하여 적어도 하나의 여기원(excitation source)에 의해 검사 시료를 여기시키게 되며, 적어도 하나의 적외선 센서를 사용하여 검사 시료로부터 방출된 열 복사량이 일련의 연속 영상의 형태로 기록된다. 이와 같이 기록된 일련의 연속 영상은 컴퓨팅 유닛에서 다양한 종류의 결과 영상으로 전개된다. 이들 각종 결과 영상은 예를 들어, 재료 이음부의 다양한 지점에서의 열전도파의 진폭 및 주행 시간을 각각 나타내는 진폭 영상 및 위상 영상이다. 위상 영상을 사용하여 재료 이음부의 국부적인 열전도성 차이를 가시화할 수 있다(2001년 자비에르 피.브이. 말다그(Xavier P.V. Maldague)저, 존 윌리 앤드 선스 인코포레이티드(John Wiley and Sons, Inc.) 발행 "비파괴 검사를 위한 적외선 기술의 이론 및 실시(Theory and Practice of Infrared Technology for Nondestructive Testing)" 참조).
제WO 01/50116 A1호에는 열류의 반가 주기(half-value period)를 사용하여 용접 점의 품질을 평가하는 용접 점의 자동 검사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개개의 영상 지점에서 열류의 반가 주기 값이 낮을 경우 용접 점의 품질이 우수하다는 것을 나타낸다. 상기 방법은 그러나, 검출된 반가 주기 절대값으로는 용접 너깃과 용접 글루 사이의 경계부의 위치에 관한 객관적인 정보를 얻을 수 없다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상기 방법을 사용하여서는 산업상 척도에 맞춘 용접 점의 크기 및 위치의 자동 판별이 불가능하다.
제DE 101 50 633 A1호에는 위상 영상을 사용하여 용접 점의 품질을 평가하는 용접 점의 자동 검사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상기 방법에서, 사용 위상 영상은 시험할 필요가 있는 일련의 연속 영상을 구하기 전에 규정된 주어진 매개 변수를 사용하여 획득되며, 명확하게 규정된 문턱 값을 사용하여 용접 점의 품질이 결정된다. 상기 방법은 그러나, 상기와 같은 명확하게 규정된 문턱 값을 사용하여서는 평가하고자 하는 용접 너깃을 산업상 척도에 맞춰 신뢰성 있게 검출할 수 없다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재료 이음부의 용융 지대가 신뢰성 있게 검출 및 평가될 수 있도록 하는 재료 이음부의 자동화된, 무접촉식 비파괴 검사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청구항 1의 특징부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비용융 지대와 이 비용융 지대에 여전히 부착되어 있는 상태의 용융 지대 사이의 경계부가 열류에 대한 장애물이 또한 될 수 있는 것으로 밝혀져 있다. 이러한 경계부로 인해 열류 역학력의 급격한 감소가 야기된다. 그러나, 열류 역학력은 상기 경계부를 지나자마자 비용융 지대에서 다시 증가하게 된다. 재료 이음부를 관통하는 열류 역학력이 결과 영상의 집중 값으로서 예시되고 있는 결과 영상을 보면, 상기 지점에 집중 비드(intensity bead)가 형성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
제1 단계에서, 상기 결과 영상은 시험하고자 하는 재료 이음부의 주변부의 열류 역학력을 결정하도록 사용되며, 이에 따라 상기 열류 역학력은 영상 배경을 형성하게 된다. 상기 영상 배경의 열류 역학력은 예를 들어, 도수 분포도를 사용하여 결정된다. 영상 배경의 열류 역학력보다 높은 값이 최소 동적 문턱 값으로서 정의되는데, 이 최소 동적 문턱 값은 재료 이음부의 용융 지대 뿐만 아니라 비용융 지대 모두가 위치할 수도 있는 영역을 정의하는 값이다. 다음 단계로, 상기 영역에서 재료 이음부를 관통하는 열류 역학력의 피크 값이 결정되며, 이 피크 값이 최대 동적 문턱 값이다. 최소 문턱 값과 최대 문턱 값의 사이에서 변하는 동적 문턱 값은 결과 영상 상의 일련의 연속적인 영역을 한정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일련의 연속적인 영역은 각각 동적 문턱 값을 초과하는 재료 이음부를 관통하는 열류 역학력의 값을 나타낸다. 이러한 영역들의 시험은 그 둘레 길이와 관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영역이 용융 지대와 비용융 지대 사이의 경계부를 가로지르는 경우에는 집중 비드로 인해 이들 영역의 외형이 급격하게 커지게 된다. 영역의 둘레 길이는 특징 벡터에 의해 측정 및 표시되며, 상기 영역의 외형을 예시하는 수치이다. 이러한 특징 벡터에 있어서의 급격한 증가는 연관된 영역이 비용융 지대의 일부를 에워싸고 있음을 지시해 준다. 특징 벡터의 이러한 갑작스런 증가는 예를 들어, 곡선 평활화 방법(curve smoothing) 및 기타 곡선 시험과 같은 통상의 방법에 의해 검출될 수도 있다. 재료 이음부의 용융 지대와 비용융 지대 사이의 경계부는 따라서, 동적이면서도 객관적인 방식으로 국부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상기 용융 지대의 신뢰성 있는 검출이 가능하며, 이어서 검출된 용융 지대의 위치 및 크기가 평가된다.
열류의 여기 및 검출이 재료 이음부의 동일 측면에서 이루어진다는 전제 하에서, 용융 지대와 비용융 지대 사이의 경계부를 가로지르는 영역의 경우에는 재료 이음부를 관통과는 열류 역학력이 감소하게 된다. 이 경우, 경계부를 가로지르는 상태에서는 집중 비드로 인해 시험 영역의 둘레 길이가 급격하게 감소하게 되며, 그 결과, 특징 벡터의 급격한 감소가 관찰될 수 있다.
전술한 방법은 일반적으로 모든 짝을 이루는 맞춤 부품에 대해 동일하게 적용 가능하다. 따라서, 동일하거나 상이한 재료로 이루어진 짝을 이루는 맞춤 부품의 재료 이음부의 시험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방법을 사용하여 납땜 이음부 뿐만 아니라 용접 이음부를 시험할 수 있다. 이러한 유형의 재료 이음부는 용접 지대 및 비용접 지대 사이의 경계부 또는 납땜 지대 및 비납땜 지대 사이의 경계부를 나타낸다. 이에 따라, 집중 비드가 시험하고자 하는 재료 이음부의 국부적인 열 전도성 차이를 예시해주는 결과 영상 상에서 전개되고 있다. 상기 집중 비드는 용접 이음부 및 납땜 이음부를 검출 및 평가하기 위하여 통상의 신호 및 영상 처리 방법에 의해 검출될 수 있다.
재료 이음부의 여기 및 열류의 검출은 일반적으로 재료 이음부의 서로 다른 측면에서 또는 동일한 측면에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이에 따라, 투과 및/또는 반사 시의 시간 및 공간 분해 열류를 예시해 주는 각종 유형의 결과 영상이 평가된다. 열류의 측정 결과는 여기원의 강도 변화, 재료 표면의 상태 및 특성, 그리고 짝을 이루는 맞춤 부품의 재료 두께에 의해 크게 영향을 받지 않는다는 것이 보장되어야 한다. 따라서, 사용되는 결과 영상은 시험하고자 하는 재료 이음부를 관통하는 열류의 절대 값, 즉 열류 속도의 절대 값을 예시하지는 않지만 열류의 국부적인 속도차는 예시해 준다. 이러한 종류의 결과 영상은 예를 들어, 적외선 서모그래피를 사용하여 획득되는 위상 영상일 수도 있다(2001년 자비에르 피.브이. 말다그 저, 존 윌리 및 선스 인코포레이티드 발행 "비파괴 검사를 위한 적외선 기술의 이론 및 실시" 참조). 위상 영상은 재료 이음부를 관통하여 전파되는 경우 열파의 주행 시간을 예시해 주며, 이에 따라 결과 영상의 다양한 영상 지점 사이에서 발생하는 재료 이음부의 열전도성 차이가 가시화될 수 있다. 열류의 국부적인 속도차를 열류 역학력(heat flow dynamics)이라 한다.
청구항 2에 따르면, 기준 영역은 최소 문턱 값이 영상 배경의 열류 역학력으로부터 획득될 수 있도록 한다.
청구항 3에 따르면, 상기 최대 문턱 값은 검사 영역을 사용하여 용이하게 검출 가능하다. 검사 영역은 예를 들어, 시험하고자 하는 영역의 중심에 위치할 수도 있다. 이러한 검사 영역의 크기는 실험적으로 결정될 수 있으며, 쉐넌(shannon)의 시료 추출 이론을 고찰해볼 필요가 있다(1998년 크리스티안 데만트(Christian Demant), 베른드 스트레이처-아벨(Bernd Streicher-Abel), 피터 와스쯔케위쯔(Peter Waszkewitz)저, 스프링거-페어락(Springer Verlag) 발행, 산업용 영상 처리(Industrial Image Processing) 참조). 상기 검사 영역의 크기는 예를 들어, 3 x 3 픽셀로 정의될 수도 있다.
청구항 4에 따르면, 동일한 크기의 여러 개의 검사 영역을 사용하여 상기 최대 문턱 값을 신뢰성 있게 결정할 수 있다. 검사 영역은, 규정된 크기의 검사 영역이 최소 문턱 값을 초과하는 열류 역학력의 값을 나타내는 영역 내에 위치하는 방식으로 생성된다. 검사 영역의 크기는 예를 들어, 3 x 3 픽셀로 정의될 수도 있다.
청구항 5에 따르면, 반복 공정을 사용하여 크기 증가분을 결정함으로써 최적의 크기 증가분을 구할 수 있다. 최적의 크기 증가분을 결정하기 위하여, 예를 들어, 1의 값의 크기 증가분에서부터 시작하는 것을 고려할 수 있다.
청구항 6에 따르면, 용접 점은 용접 글루라 일컬어지는 비용융 지대와 이에 여전히 부착되어 있는 상태의 용접 너깃이라 일컬어지는 용융 지대를 포함하며, 산업상 용례에 있어 중요한 재료 이음부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의 장점이 특히 분명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청구항 7에 따르면, 재료 특성 곡선을 사용하여 용접 점의 잔류 재료 두께 및 용접 건에 의해 형성되는 용접 점 만입부의 잔류 재료 두께를 정확하게 결정할 수 있다. 재료 이음부를 시험하기 위하여, 시험하고자 하는 짝을 이루는 맞춤 부품의 재료 조합에 대한 재료 특성 곡선을 미리 준비해둘 필요가 있다. 이러한 재료 특성 곡선은 용접 점의 잔류 재료 두께에 따른 열류 역학력의 피크 값의 비선형적인 의존성을 예시해 준다. 이러한 특성 곡선의 생성에 필요한 데이터는 동일 재료 조합의 다양한 기준 용접 점에서 획득되며, 이들 기준 용접 점은 잔류 재료 두께가 서로 상이하다. 열류의 투과 성분 및 소산 성분은 잔류 재료 두께의 결정에 있어 서로 다른 역할을 담당한다. 용접 점의 잔류 재료 두께가 작다면, 열류의 투과 성분을 사용하여 열류 역학력의 피크 값이 결정된다. 잔류 재료 두께가 큰 경우에는, 열류의 소산 성분이 보다 중요하다. 용접 너깃의 영역에서 측정되는 피크 값은 따라서, 잔류 재료 두께를 결정하도록 사용될 수 있다. 열류 역학력의 피크 값은 용접 점의 용접 너깃의 영역에서 측정되는 최대 문턱 값에 대응한다. 기준 용접 점의 잔류 재료 두께는 독립적인 방법을 사용하여 측정된다.
청구항 8에 따르면, 제1 한계 값과의 비교를 통해 홀의 검출이 가능하다. 열류 역학력의 값이 너무 높다면, 이것은 용접 점에 홀이 존재함을 지시해 준다. 상기 제1 한계 값은 실험적으로 결정된다.
청구항 9에 따르면, 제2 한계 값과의 비교를 통해 공동의 검출이 가능하다. 열류 역학력의 값이 너무 낮다면, 이것은 용접 너깃에 공동이 존재함을 지시해 준다. 이러한 유형의 용접 너깃은 번아웃 용접 너깃(burned out weld nugget)이라 한다. 상기 제2 한계 값은 실험적으로 결정된다.
청구항 10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을 전개함으로써 검출 용접 너깃의 영역에서의 표면 손상을 구체적으로 조사할 수 있다. 상기 방법을 수행하여 잘못된 결과 값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손상의 검출은 용접 너깃의 영역으로 제한된다. 추가로 발생하는 영상은 예를 들어, 추가로 발생한 결과 영상이거나 기록되어 있는 열적 영상 중 하나일 수도 있다. 결과 영상은 예를 들어, 적외선 서모그래피를 사용하여 획득되는 진폭 영상일 수도 있다. 진폭 영상은 용접 점을 관통하여 전파되는 경우의 열파의 진폭을 보여준다. 검출 결함의 출발점, 크기 및 위치 뿐만 아니라 그 조합에 따라, 용접 점의 품질이 정밀하게 분류 및 평가될 수 있다. 또한, 손상 용접점의 원인을 확인 및 추적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품질 보장의 기초가 될 수도 있는 전체 용접 공정의 통계학적 평가가 수행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 및 장점이 이하의 첨부 도면을 참조한 일 실시예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분명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용접 점 형태의 재료 이음부를 도시한 단면도.
도 2는 용접 점을 통과하는 열류 역학력의 일차원적 분포 곡선을 도시한 도면.
도 3은 시험하고자 하는 영역의 둘레 길이를 열류 역학력의 함수로서 나타내기 위해 사용되는 제1 특징 벡터를 도시한 도면.
도 4는 시험하고자 하는 영역의 둘레 길이를 열류 역학력의 함수로서 나타내기 위해 사용되는 제2 특징 벡터를 도시한 도면.
도 5는 열류 역학력의 피크 값을 잔류 재료 두께의 함수로서 나타내는 재료 특성 곡선을 도시한 도면.
검사 시료(1)는 재료 이음부(4)에 의해 상호 연결되어 있는 짝을 이루는 제1 맞춤 부품(2)과 제2 맞춤 부품(3)을 포함한다. 이들 짝을 이루는 맞춤 부품(2, 3)은 서로 동일하거나 상이한 두께를 갖는 동일한 재료 또는 상이한 재료로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재료 이음부(4)가 용접 점이다. 이하에는 이와 같은 용접 점(4)의 형태의 재료 이음부가 설명된다.
상기 용접 점(4)은 용융 지대(5)와 이 용융 지대(5)를 둘러싸고 있는 비용융 지대(6)로 이루어진 두 개의 섹션으로 된 이음부를 형성한다. 용융 지대(5)와 비용융 지대(6)의 사이에 위치한 경계부(7)는 용융 지대(5)의 범위를 한정하는 한편 용융 지대(5)를 비용융 지대(6)에 여전히 부착되어 있는 상태로 비용융 지대로부터 구분하는 역할을 한다. 이하에서, 용융 지대는 용접 너깃(weld nugget;5)이라 하며 비용융 지대는 용접 글루(weld glue;6)라 한다. 또한, 여기원(8)과 적외선 센서(9)가 검사 시료(1)의 양측에 각각 배열되어 있다.
상기 여기원(8)을 사용하여 시험하고자 하는 검사 시료(1)와 용접 점(4)의 펄스 여기가 이루어진다. 이에 따라 투과 성분(11)과 소산 성분(12)으로 이루어진 열류(heat flow;10)가 발생된다. 상기 소산 성분(12)은 또한 소산성 성분(dissipative component)이라고도 한다. 열류(10)의 상기 투과 성분(11)은 적외선 센서(9)를 사용하여 서로 연달아 획득되는 일련의 열적 영상(thermal image)의 형태로 기록된다.
용접 점(4)의 짝을 이루는 맞춤 부품(2, 3)은 각각 만입부(13)를 구비하고 있다. 만입부(13)는 용접 점을 생성하기 위해 사용되는 용접 건(welding gun)에 의해 형성된다. 이러한 만입부(13)에 의해 잔류 재료의 두께(M)가 한정된다.
기록된 일련의 열적 영상을 평가하기 위해 상기 여기원(8)과 적외선 센서(9)에는 컴퓨팅 유닛(14)이 연결되어 있다. 상기 일련의 열적 영상은 다양한 종류의 결과 영상으로 전개되는데, 위상 영상 형태의 이 결과 영상을 통해 용접 점(4)을 관통하는 열류 역학력(heat flow dynamics;W)이 예시된다. 열류 역학력(W)은 열류(10)가 용접 점(4)을 관통하여 전파되는 경우에 나타나는 열류의 국부적인 속도 차 및 이에 따른 국부적인 열 전도성 차이를 나타낸다.
도 2는 단면 좌표(x) 방향을 따라 나타나는 열류 역학력(W)의 일차원적 분포 곡선(15)을 도시한 도면이다. 열류 역학력(W)은 일반적으로 2차원적 분포 특성을 보인다. 질적인 관점에서 보자면, 상기 이차원적 분포 곡선이 도시한 바와 같은 일차원적 분포 곡선(15)에 대응하는 것이다. 이차원적 분포 곡선은 그러나, 용접 점(4)의 기하학적 형상에 대응하는 비대칭의 불규칙한 형상을 가질 수도 있다.
열류 역학력(W)의 이차원적 분포 곡선은 실질적으로 용접 점(4)의 기하학적 형상에 의해 결정된다. 또한, 용접 점(4)의 기하학적 형상은 용접 건에 의해 형성되는 만입부(13)에 의해 결정된다. 이하에서는, 열류 역학력(W)의 일차원적 분포 곡선(15)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용접 너깃의 정확한 검출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해서는, 열류 역학력(W)의 이차원적 분포 곡선을 평가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이하의 설명 내용은 이차원적 분포에도 마찬가지로 적용되는 것이다.
열류 역학력(W)은 용접 점(4)의 중심에서 피크 값을 나타내며 용접 점(4)의 외주연으로 갈수록 상기 피크 값에서부터 점차적으로 감소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용접 너깃(5)과 용접 글루(6) 사이의 경계부(7)에서 열류 역학력(W)이 추가로 국부적으로 감소하게 되며, 이와 같이 감소된 열류 역학력(W)은 상기 경계부(7)를 지나자마자 다시 증가하는 것으로 밝혀져 있다. 이 영향으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열류 역학력(W)의 일차원적 분포 곡선(15)에 집중 비드(intensity bead;16)가 발생하게 된다. 용접 너깃(5)의 둘레에 집중 비드(16)가 형성됨에 따라 일차원적 분포 곡선이 비대칭의 불규칙한 형상을 나타낼 수도 있다. 따라서, 용접 너깃(5)을 정확하게 검출하기 위해서는 열류 역학력(W)의 이차원적 분포 곡선을 평가할 필요가 있다.
용접 너깃(5)을 검출하기 위하여, 제1 단계로 최소 문턱 값(Wmin)이 결정된다. 최소 문턱 값(Wmin)은 영상 배경(image background;H)의 열류 역학력(W)을 초과하는 값이다. 이러한 최소 문턱 값(Wmin)은 영상 배경(H)의 열류 역학력(W)의 기준 영역(R)으로부터 획득되며, 여기서 기준 영역(R)은 영상 배경(H)의 일부를 형성하는 영역이다.
또한, 용접 점(4)을 관통하는 열류 역학력(W)의 피크 값에 대응하는 최대 문턱 값(Wmax)이 결정된다. 이 최대 피크 값(Wmax)은 최소 문턱 값(Wmin)을 초과하는 열류 역학력(W)의 값을 나타내는 영역(S)의 중심에 위치하는 검사 영역(T)으로부터 획득된다. 즉, 최대 문턱 값(Wmax)은 검사 영역(T)으로부터 획득한 열류 역학력(W)의 값의 평균 값이다.
선택적으로는, 최대 문턱 값(Wmax)이 영역(S) 내에서 서로에 대해 오프셋 배치되어 있는 동일한 크기의 여러 개의 검사 영역(T)으로부터 획득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열류 역학력(W) 값으로부터 구한 평균 값은 각각의 검사 영역(T)에 대하여 획득되며, 최대 문턱 값(Wmax)은 이렇게 구해진 평균 값들 중 최대 값이다.
용접 너깃(5)을 검출하기 위하여, 최소 문턱 값(Wmin)과 최대 문턱 값(Wmax)의 사이에서 변화하는 동적 문턱 값(Wdyn)이 제공된다. 이와 같이 가변적인 동적 문턱 값을 Wdyn,i이라 하며, 여기서 i는 1 내지 n 사이의 값이다. 동적 문턱 값(Wdyn)은 크기 증가분(ΔWdyn)에 따라 변한다. 이것은 두 개의 연속하는 동적 문턱 값(Wdyn,i, Wdyn,i+1)이 서로 크기 증가분(ΔWdyn)의 간격으로 이격되어 있음을 의미한다. 최적의 크기 증가분(ΔWdyn)은 반복 획득이 가능한 값이다.
각각의 동적 문턱 값((Wdyn,i)에 대한 용접 점(4)을 관통하는 열류 역학력(W)의 연관 영역(Bi)이 결정되며, 여기서 영역(Bi)은 동적 문턱 값(Wdyn,i)을 초과하는 열류 역학력(W)의 값을 나타낸다. 각각의 영역(Bi)은 특징 벡터(feature vector)에 의해 결정되고 나타내어지는 연관 둘레 길이(Ui)를 구비한다. 따라서, 이와 같은 둘레 길이의 급격한 변동(ΔU)과 관련하여 전체 영역(B)을 시험할 수 있다. 동적 문턱 값(Wdyn)이 최대 문턱 값(Wmax)과 최소 문턱 값(Wmin)의 사이에서 변한다는 전제 하에서, 시험하고자 하는 영역(B)이 용접 너깃(5)과 용접 글루(6) 사이의 경계부(7)를 가로지르는 영역이라면 영역의 둘레 길이(U)가 급격하게 증가하게 된다. 도 2에는 아직 경계부(7)를 가로지르지 않은 상태로 둘레 길이(Ui)를 갖는 영역(Bi)이 도시되어 있다. 도 2에는 또한, 이미 경계부(7)를 가로지른 상태로 둘레 길이(Ui+1)를 갖는 영역(Bi+1)이 도시되어 있다. 따라서, 영역(Bi+1)은 용접 글루(6)의 일부를 에워싸게 된다. 용접 글루(6)의 이와 같이 에워싸인 부분은 경계부(7)에서 보다 큰 열류 역학력(W)을 나타낸다. 또한, 열류 역학력의 값은 경계부(7)를 아직 가로지르지 않은 영역(Bi)에서 최대가 되며, 이에 따라 용접 글루(6)의 일부를 에워싸지는 않고 있다. 상기 영역(Bi)은 따라서 실질적으로는 용접 너깃(5)에 대응한다. 결과적으로, 용접 너깃(5)의 위치 및 크기를 상기 영역(Bi) 및 이와 연관된 둘레 길이(Ui)를 사용하여 평가할 수 있다.
시험하고자 하는 영역(B)의 외형 상태에 따라, 둘레 길이의 급격한 변동(ΔU)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은 둘레 길이의 급격한 감소, 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은 둘레 길이(U)의 추가적인 증가를 수반할 수도 있다. 이것은 푸와송 효과의 결과로서(2006년 스프링거 페어락(Springer Verlag) 발행, Gerthsen Physik 제23판 130p 참조), 푸와송 효과에서 증명하고 있는 바와 같이, 독특한 외형을 갖춘 물체는 물체의 표면적이 증가하는 경우 이상적인 원의 형태를 기준으로 형태 일탈을 배제할 수 있거나 그러한 형태 일탈이 보다 가중되는 경향이 있다. 물체의 크기가 커지는 경우 이러한 형태 일탈을 배제하고자 한다면, 이것은 둘레 길이의 감소를 초래하게 된다. 형태 일탈을 실질적으로 배제하는 순간, 물체의 둘레 길이는 다시 연속적으로 증가할 것이다.
전술한 바와 같은 시험하고자 하는 영역(B)의 둘레 길이의 급격한 변동(ΔU)을 통상의 신호 및 영상 처리 방법을 사용하여 검출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용접 너깃(5)의 둘레에 형성되는 비대칭의 불규칙한 형상의 집중 비드(16)가 검출될 수 있다. 따라서, 용접 너깃(5)의 동적이면서 적응성 있는 또한 이에 따라 자동화된 방식의 검출을 보장할 수 있다.
또한, 최대 문턱 값(Wmax)인 열류 역학력(W)의 피크 값을 이용하여 용접 점(4)의 잔류 재료 두께(M)의 무접촉식 비파괴 검사를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잔류 재료 두께(M)를 결정하기 위하여, 시험하고자 하는 짝을 이루는 맞춤 부품(2, 3)의 재료 조합과 관련하여 사전에 재료 특성 곡선(K)이 준비된다. 이 특성 곡선(K)은 서로 다른 잔류 재료 두께를 갖는 기준 용접 점에 의해 결정된다. 여기서, 기준 용접 점은 이후 시험하고자 하는 대응하는 짝을 이루는 맞춤 부품(2, 3)을 상호 연결하는 지점이다. 각각의 기준 용접 점에 대하여 잔류 재료 두께(M)가 독립적인 방법을 사용하여 측정된다. 또한, 각각의 기준 용접 점에 대하여 열류 역학력(W)의 피크 값이 측정된다. 상기 특성 곡선(K)을 통해 잔류 재료 두께(M)에 따른 열류 역학력(W)의 피크 값의 비선형적인 의존성이 설명된다.
상기 특성 곡선(K)을 이용하여 시험하고자 하는 용접 점(4)의 잔류 재료 두께(M) 및 용접 건에 의해 형성되는 용접 점(4) 내의 만입부(13)를 검사할 수 있다. 시험하고자 하는 용접 점(4)의 최대 피크 값(Wmax)을 제1 한계 값(G1)과 비교한다; 상기 한계 값(G1)이 더 큰 경우, 이것은 용접 점(4) 내에 홀이 존재함을 지시해 주는 것이다. 또한, 시험하고자 하는 용접 점(4)의 최대 피크 값(Wmax)을 제2 한계 값(G2)과 비교한다; 상기 최대 피크 값(Wmax)이 상기 한계 값(G2)보다 작은 경우, 이것은 용접 점(4) 내에 공동이 존재함을 지시해 준다. 상기 한계 값(G1, G2)은 실험 적으로 결정된 값이다.
또한, 전술한 방법을 사용하여 용접 점(4)의 각종 표면 손상을 검출 및 평가할 수 있다. 이러한 표면 손상의 검출 및 평가는 용접 너깃(5)의 검출 영역(Bi)에서 이루어진다. 표면 손상은 용접 너깃(5)을 검출하도록 사용되는 결과 영상의 좌표계와 동일한 좌표계가 제공된 다른 영상을 사용하여 검출된다. 이러한 유형의 영상은 예를 들어, 적외선 서모그래피에 의해 생성되는 진폭 영상 또는 열적 영상일 수도 있다(2001년 자비에르 피.브이. 말다그 저, 존 윌리 및 선스 인코포레이티드 발행 "비파괴 검사를 위한 적외선 기술의 이론 및 실시" 참조). 용접 너깃(5)의 영역(Bi)에서만 배타적으로 결함의 검출이 이루어짐에 따라 결과 값에 오류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용접 너깃(5)과 용접 글루(6) 사이의 경계부(7)에서는 결함이 식별되지 않는다. 전술한 바와 같은 결함의 평가 및 검출은 예를 들어, 통상의 신호 및 영상 처리 방법을 사용하여 수행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검출된 용접 점 결함의 출발점, 크기 및 위치 뿐만 아니라 그 조합에 따라 용접 점(4)의 분류가 이루어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용접 점(4)의 품질을 정밀하게 평가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을 이용하여 용접 점(4)의 자동화된, 무접촉식 비파괴 시험을 산업상 척도에 맞게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방법은 또한, 발생 결함을 포괄적으로 검출함으로써 시험하고자 하는 용접 점(4)의 정밀하면서도 신뢰성 있는 분류가 가능하도록 한다.

Claims (10)

  1. 적어도 두 개의 짝을 이루는 맞춤 부품(2, 3)의 재료 이음부(4)의 자동화된, 무접촉식 비파괴 검사 방법으로서,
    a. 상기 재료 이음부(4)는,
    (i) 용융 지대(5)와,
    (ii) 상기 용융 지대(5)를 둘러싸고 있는 비용융 지대(6)로 이루어진 두 개의 섹션으로 된 이음부이며;
    b. 적외선 영상의 시험이,
    (i) 적어도 하나의 여기원(8)이 검사 시료(1)를 여기시키며;
    (ii) 적어도 하나의 적외선 센서(9)가 전개 열류를 일련의 연속적인 열적 영상의 형태로 검출하고;
    (iii) 상기 일련의 연속적인 열적 영상으로부터 결과 영상이 획득되며;
    (iv) 상기 열적 영상과 결과 영상이 시험되는 방식으로 이루어지는, 적어도 두 개의 짝을 이루는 맞춤 부품의 재료 이음부의 자동화된, 무접촉식 비파괴 검사 방법에 있어서,
    c. 상기 용융 지대(5)가,
    (i) 영상 배경(H)의 열류 역학력(W)을 초과하는 최소 문턱 값(Wmin)이 결정되며;
    (ii) 재료 이음부(4)를 관통하는 열류 역학력(W)의 피크 값에 대응하는 최대 문턱 값(Wmax)이 결정되고;
    (iii) 상기 최소 문턱 값(Wmin)과 최대 문턱 값(Wmax)의 사이에서 변하는 동적 문턱 값(Wdyn)이 제공되며;
    (iv) 상기 동적 문턱 값(Wdyn)을 초과하는 열류 역학력(W)의 값을 나타내는 재료 이음부(4)를 관통하는 열류 역학력(W)의 일련의 영역(B)이 결정되고;
    (v) 상기 열류 역학력(W)의 영역(B)이 둘레 길이의 급격한 변동(ΔU)과 관련하여 시험되며;
    (vi) 상기 용융 지대(5)와 비용융 지대(6) 사이의 경계부(7)를 가로지르는 영역임을 나타내주는 둘레 길이의 급격한 변동(ΔU)으로부터 영역(B) 중에서 영역(Bi)이 용융 지대(5)로서 결정되며;
    (vii) 상기 용융 지대(5)의 위치 및 크기가 평가되는 방식으로, 재료 이음부(4)를 관통하는 열류 역학력(W)을 예시하는 결과 영상으로부터 검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어도 두 개의 짝을 이루는 부품의 재료 이음부의 자동화된, 무접촉식 비파괴 검사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최소 문턱 값(Wmin)은 영상 배경(H)의 열류 역학력(W)의 기준 영역(R)으로부터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어도 두 개의 짝을 이루 는 부품의 재료 이음부의 자동화된, 무접촉식 비파괴 검사 방법.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최대 문턱 값(Wmax)이 검사 영역(T)으로부터 결정되며,
    a. 상기 검사 영역(T)은 최소 문턱 값(Wmin)을 초과하는 열류 역학력(W)의 값을 나타내는 영역(S)의 중심에 위치하고;
    b. 상기 최대 문턱 값(Wmax)은 상기 검사 영역(T)으로부터 구한 열류 역학력(W)의 값의 평균 값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어도 두 개의 짝을 이루는 부품의 재료 이음부의 자동화된, 무접촉식 비파괴 검사 방법.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최대 문턱 값(Wmax)이 동일한 크기의 여러 개의 검사 영역(T)으로부터 결정되며,
    a. 상기 검사 영역(T)은 최소 문턱 값(Wmin)을 초과하는 열류 역학력(W)의 값을 나타내는 영역(S) 내에 위치하고;
    b. 열류 역학력(W)의 값들 중 평균 값은 각각의 검사 영역(T)으로부터 결정되며;
    c. 상기 최대 문턱 값(Wmax)은 평균 값 중 최대 값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어도 두 개의 짝을 이루는 부품의 재료 이음부의 자동화된, 무접촉식 비파괴 검사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동적 문턱 값(Wdyn)은 크기 증가분(ΔWdyn)에 따라 변하며, 상기 크기 증가분(ΔWdyn)은 반복적으로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어도 두 개의 짝을 이루는 부품의 재료 이음부의 자동화된, 무접촉식 비파괴 검사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재료 이음부(4)가 용접 점이며, 상기 용융 지대(5)는 용접 너깃(weld nugget)이라 하고 상기 비용융 지대(6)는 용접 글루(weld glue)라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어도 두 개의 짝을 이루는 부품의 재료 이음부의 자동화된, 무접촉식 비파괴 검사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용융 점은 재료 특성 곡선(K)을 사용하여 평가되며,
    a. 상기 특성 곡선(K)은 적어도 두 개의 짝을 이루는 맞춤 부품(2, 3)을 상호 연결하며 잔류 재료 두께(M)가 서로 다른 기준 용접 점을 사용하여 결정되고;
    b. 상기 잔류 재료 두께(M)는 각각의 기준 용접 점에 대하여 측정되며;
    c. 각각의 기준 용접 점에 대하여 열류 역학력(W)의 피크 값이 측정되고;
    d. 상기 특성 곡선(K)은 열류 역학력(W)의 피크 값 및 연관 잔류 재료 두께(M)로부터 생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어도 두 개의 짝을 이루는 부품의 재료 이음부의 자동화된, 무접촉식 비파괴 검사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최대 문턱 값(Wmax)이 제1 한계 값(G1)과 비교되어, 상기 최대 문턱 값(Wmax)이 상기 제1 한계 값(G1)을 초과한다면 용접 점에 홀(hole)이 존재함을 지시해 주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어도 두 개의 짝을 이루는 부품의 재료 이음부의 자동화된, 무접촉식 비파괴 검사 방법.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최대 문턱 값(Wmax)이 제2 한계 값(G2)과 비교되어, 상기 최대 문턱 값(Wmax)이 상기 제2 한계 값(G2)보다 작다면 용접 점에 공동(cavity)이 존재함을 지시해 주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어도 두 개의 짝을 이루는 부품의 재료 이음부의 자동화된, 무접촉식 비파괴 검사 방법.
  10.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용접 점의 표면 손상이 다른 영상을 사용하여 검출되며,
    a. 상기 영상에는 용접 너깃의 검출에 사용되는 결과 영상의 좌표계와 동일한 좌표계가 제공되고;
    b. 표면 손상의 검출 및 평가는 용접 너깃의 검출 영역(Bi)에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어도 두 개의 짝을 이루는 부품의 재료 이음부의 자동화된, 무접촉식 비파괴 검사 방법.
KR1020097015048A 2006-12-21 2007-12-11 재료 이음부의 자동 검사 방법 KR10136101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06061794A DE102006061794B3 (de) 2006-12-21 2006-12-21 Verfahren zur automatischen Prüfung einer Schweißverbindung
DE102006061794.0 2006-12-21
PCT/EP2007/010800 WO2008077479A1 (de) 2006-12-21 2007-12-11 Verfahren zur automatischen prüfung einer materialverbindung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04037A KR20090104037A (ko) 2009-10-05
KR101361013B1 true KR101361013B1 (ko) 2014-02-10

Family

ID=391861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7015048A KR101361013B1 (ko) 2006-12-21 2007-12-11 재료 이음부의 자동 검사 방법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2) US8235588B2 (ko)
EP (1) EP2102640B1 (ko)
JP (1) JP5028494B2 (ko)
KR (1) KR101361013B1 (ko)
AT (1) ATE486276T1 (ko)
DE (2) DE102006061794B3 (ko)
ES (1) ES2351531T3 (ko)
RU (1) RU2456585C2 (ko)
WO (1) WO2008077479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18045B1 (ko) * 2021-12-14 2023-04-06 (주)에이치씨엔씨 Ir 카메라의 영상신호를 이용한 용접부 결함 검출 방법
KR102518051B1 (ko) * 2021-12-14 2023-04-07 (주)에이치씨엔씨 센서 융합을 이용한 용접부 결함 검출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774409B2 (ja) * 2004-12-16 2011-09-14 アトランティック ビジネス センター オブ エクセレンス アンド コマーシャライゼイション オブ イノベーション リミテッド 材料をモニタする方法及び装置
DE102007024789B3 (de) * 2007-05-26 2008-10-23 Trumpf Werkzeugmaschinen Gmbh + Co. Kg Verfahren zum Erkennen von Fehlern an einer Schweißnaht während eines Laser-Schweißprozesses
US9352411B2 (en) 2008-05-28 2016-05-31 Illinois Tool Works Inc. Welding training system
DE102009031605B4 (de) 2009-07-03 2012-04-12 INPRO Innovationsgesellschaft für fortgeschrittene Produktionssysteme in der Fahrzeugindustrie mbH Verfahren zu Klassifizierung der Qualität von Schweißpunkten von Bauteilen aus verzinkten Blechen
WO2011156527A1 (en) 2010-06-08 2011-12-15 Dcg Systems, Inc. Three-dimensional hot spot localization
EP2444795A1 (en) 2010-10-22 2012-04-25 DCG Systems, Inc. Lock in thermal laser stimulation through one side of the device while acquiring lock-in thermal emission images on the opposite side
DE102011018263B4 (de) * 2011-04-14 2014-02-13 INPRO Innovationsgesellschaft für fortgeschrittene Produktionssysteme in der Fahrzeugindustrie mbH Verfahren zur impulsthermografischen Qualitäts- und Fehlerklassifikation einer Fügeverbindung wie einer Strukturverklebung im Kfz-Karosseriebereich
US9101994B2 (en) 2011-08-10 2015-08-11 Illinois Tool Works Inc. System and device for welding training
WO2013085075A1 (ja) * 2011-12-09 2013-06-13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非破壊検査方法、非破壊検査システム及び非破壊検査制御装置
JP5469653B2 (ja) 2011-12-12 2014-04-16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非破壊検査システム
DE102012006472B4 (de) * 2012-03-22 2013-11-21 Europipe Gmbh Verfahren zur Herstellung geschweißter Rohre aus Stahl
US9583014B2 (en) 2012-11-09 2017-02-28 Illinois Tool Works Inc. System and device for welding training
EP2743688B1 (en) * 2012-12-17 2017-05-03 Thermosensorik Gmbh Method and system for the examination of a sample by means of thermography
DE102013000745A1 (de) 2013-01-17 2014-07-17 Fritz Michel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zerstörungsfreien Charakterisierung von Laser-Schweißnähten an ferromagnetischen Blechen mittels magnetischem Verfahren
US9728103B2 (en) 2013-03-15 2017-08-08 Illinois Tool Works Inc. Data storage and analysis for a welding training system
US9666100B2 (en) 2013-03-15 2017-05-30 Illinois Tool Works Inc. Calibration devices for a welding training system
US9672757B2 (en) 2013-03-15 2017-06-06 Illinois Tool Works Inc. Multi-mode software and method for a welding training system
US9713852B2 (en) 2013-03-15 2017-07-25 Illinois Tool Works Inc. Welding training systems and devices
US9583023B2 (en) 2013-03-15 2017-02-28 Illinois Tool Works Inc. Welding torch for a welding training system
US10056010B2 (en) 2013-12-03 2018-08-21 Illinois Tool Works Inc. Systems and methods for a weld training system
US9589481B2 (en) 2014-01-07 2017-03-07 Illinois Tool Works Inc. Welding software for detection and control of devices and for analysis of data
US10170019B2 (en) 2014-01-07 2019-01-01 Illinois Tool Works Inc. Feedback from a welding torch of a welding system
US10105782B2 (en) 2014-01-07 2018-10-23 Illinois Tool Works Inc. Feedback from a welding torch of a welding system
US9724788B2 (en) 2014-01-07 2017-08-08 Illinois Tool Works Inc. Electrical assemblies for a welding system
US9751149B2 (en) 2014-01-07 2017-09-05 Illinois Tool Works Inc. Welding stand for a welding system
US9757819B2 (en) 2014-01-07 2017-09-12 Illinois Tool Works Inc. Calibration tool and method for a welding system
US10307853B2 (en) 2014-06-27 2019-06-04 Illinois Tool Works Inc. System and method for managing welding data
US9937578B2 (en) 2014-06-27 2018-04-10 Illinois Tool Works Inc. System and method for remote welding training
US9862049B2 (en) 2014-06-27 2018-01-09 Illinois Tool Works Inc. System and method of welding system operator identification
US10665128B2 (en) 2014-06-27 2020-05-26 Illinois Tool Works Inc. System and method of monitoring welding information
US9724787B2 (en) 2014-08-07 2017-08-08 Illinois Tool Works Inc. System and method of monitoring a welding environment
US11014183B2 (en) 2014-08-07 2021-05-25 Illinois Tool Works Inc. System and method of marking a welding workpiece
US9875665B2 (en) 2014-08-18 2018-01-23 Illinois Tool Works Inc. Weld training system and method
US10239147B2 (en) 2014-10-16 2019-03-26 Illinois Tool Works Inc. Sensor-based power controls for a welding system
US11247289B2 (en) 2014-10-16 2022-02-15 Illinois Tool Works Inc. Remote power supply parameter adjustment
US10402959B2 (en) 2014-11-05 2019-09-03 Illinois Tool Works Inc. System and method of active torch marker control
US10373304B2 (en) 2014-11-05 2019-08-06 Illinois Tool Works Inc. System and method of arranging welding device markers
US10417934B2 (en) 2014-11-05 2019-09-17 Illinois Tool Works Inc. System and method of reviewing weld data
US10490098B2 (en) 2014-11-05 2019-11-26 Illinois Tool Works Inc. System and method of recording multi-run data
US10210773B2 (en) 2014-11-05 2019-02-19 Illinois Tool Works Inc. System and method for welding torch display
US10204406B2 (en) 2014-11-05 2019-02-12 Illinois Tool Works Inc. System and method of controlling welding system camera exposure and marker illumination
US10427239B2 (en) 2015-04-02 2019-10-01 Illinois Tool Works Inc. Systems and methods for tracking weld training arc parameters
US10438505B2 (en) 2015-08-12 2019-10-08 Illinois Tool Works Welding training system interface
US10593230B2 (en) 2015-08-12 2020-03-17 Illinois Tool Works Inc. Stick welding electrode holder systems and methods
US10373517B2 (en) 2015-08-12 2019-08-06 Illinois Tool Works Inc. Simulation stick welding electrode holder systems and methods
US10657839B2 (en) 2015-08-12 2020-05-19 Illinois Tool Works Inc. Stick welding electrode holders with real-time feedback features
JP6249009B2 (ja) * 2015-11-12 2017-12-20 株式会社デンソー 異常診断装置
CA3049647A1 (en) 2017-01-10 2018-07-19 Sunspring America, Inc. Optical method for identifying defects on tube surfaces
RU2676857C1 (ru) * 2018-03-27 2019-01-11 Акционерное общество "Центральный научно-исследовательский институт специального машиностроения" (АО "ЦНИИСМ") Способ автоматизированного пространственного контроля сплошности изделий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его осуществления
US11776423B2 (en) 2019-07-22 2023-10-03 Illinois Tool Works Inc. Connection boxes for gas tungsten arc welding training systems
US11288978B2 (en) 2019-07-22 2022-03-29 Illinois Tool Works Inc. Gas tungsten arc welding training systems
DE102020101422B4 (de) 2020-01-22 2023-10-12 Bayerische Motoren Werke Aktiengesellschaft Verfahren zum automatisierten Vermessen von Schweißlinsen eines im Laser-Powder Bed Fusion Prozess hergestellten Bauteils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300638A (ja) * 1993-04-16 1994-10-28 Mitsui Toatsu Chem Inc 温度測定方法および非破壊欠陥検査方法
JPH0735620A (ja) * 1993-07-16 1995-02-07 Mitsui Toatsu Chem Inc 温度測定方法および非破壊欠陥検査方法
JP2001249052A (ja) 2000-03-06 2001-09-14 Chubu Electric Power Co Inc 差分画像処理を用いた赤外線サーモグラフィー
JP2003509686A (ja) 1999-09-16 2003-03-11 ウェイン・ステイト・ユニバーシティ 遠隔的非破壊検査のための小型非接触音波赤外線装置

Family Cites Families (4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923132A1 (de) * 1969-05-06 1970-11-19 Steigerwald Karl Heinz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Kontrolle thermisch hergestellter mechanischer Verbindungen
US3824368A (en) * 1971-12-30 1974-07-16 Avco Corp Laser welding
JPS5259046A (en) * 1975-11-11 1977-05-16 Nissan Motor Method of detecting spot welded portion
DE2636401C3 (de) * 1976-08-11 1983-11-03 Mannesmann AG, 4000 Düsseldorf Verfahren zur automatischen Erkennung von Ultraschallanzeigen
FR2371685A1 (fr) * 1976-11-17 1978-06-16 Aerospatiale Procede et dispositif pour le controle de la qualite de points de soudure par resistance
SU692707A1 (ru) * 1977-06-20 1979-10-25 Предприятие П/Я А-3959 Устройство дл контрол качества точеной контактной сварки по перемещению электрода сварочной машины
US4214164A (en) * 1978-07-19 1980-07-22 Vanzetti Infrared & Computer System Incorporated Control of spot weld quality by infrared thermal sensing
US4481418A (en) * 1982-09-30 1984-11-06 Vanzetti Systems, Inc. Fiber optic scanning system for laser/thermal inspection
JPS6056484A (ja) * 1983-09-06 1985-04-02 Mitsubishi Electric Corp 溶接ロボツトの溶接長を求める方法
US4854724A (en) * 1984-07-09 1989-08-08 Lockheed Corporation Method of and apparatus for thermographic evaluation of spot welds
US4611111A (en) * 1985-01-22 1986-09-09 General Electric Company Method to determine weld puddle area and width from vision measurements
US4792683A (en) * 1987-01-16 1988-12-20 Hughes Aircraft Company Thermal technique for simultaneous testing of circuit board solder joints
US4877940A (en) * 1987-06-30 1989-10-31 Iit Research Institute Using infrared imaging to monitor and control welding
BE1004964A6 (fr) * 1991-05-06 1993-03-09 Centre Rech Metallurgique Procede de controle d'une soudure bout a bout de bandes metalliques.
US5313034A (en) * 1992-01-15 1994-05-17 Edison Welding Institute, Inc. Thermoplastic welding
US5250809A (en) * 1992-01-24 1993-10-05 Shuji Nakata Method and device for checking joint of electronic component
US5292195A (en) * 1992-09-09 1994-03-08 Martin Marietta Corporation Thermographic evaluation technique
DE4328363C2 (de) * 1993-08-24 1995-06-08 Siemens Ag Verfahren zur Ermittlung eines Bewertungszeitintervalles sowie Verfahren zur Qualitätsbeurteilung einer Punktschweißverbindung auf Grundlage eines Temperaturverlaufes in dem Bewertungszeitintervall
JPH0763694A (ja) * 1993-08-27 1995-03-10 Hosei Brake Kogyo Kk 点溶接部の非破壊検査装置
JP2725582B2 (ja) * 1993-12-27 1998-03-11 日本鋼管株式会社 スポット溶接のナゲット径測定方法
US5552575A (en) * 1994-07-15 1996-09-03 Tufts University Scan welding method and apparatus
JP3271861B2 (ja) * 1994-10-21 2002-04-08 小原株式会社 スポット溶接部のナゲット測定方法
US5775806A (en) * 1996-09-12 1998-07-07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As Represented By The Secretary Of The Air Force Infrared assessment system
WO1999010733A1 (en) * 1997-08-26 1999-03-04 Thermal Wave Imaging, Inc. Method for nondestructive evaluation of a weld
JPH11138291A (ja) * 1997-11-06 1999-05-25 Honda Motor Co Ltd 溶接装置における溶接品質判定装置
FR2774319B1 (fr) * 1998-02-05 2000-02-25 Lorraine Laminage Procede de reglage de la position d'une camera de controle thermographique d'une soudure
US6574565B1 (en) * 1998-09-15 2003-06-03 Ronald R. Bush System and method for enhanced hydrocarbon recovery
JP3396636B2 (ja) * 1998-10-26 2003-04-14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抵抗溶接機の制御方法
JP3186721B2 (ja) * 1998-12-07 2001-07-11 三菱電機株式会社 溶接品質判定装置及びその装置を備えた溶接機
US7083327B1 (en) * 1999-04-06 2006-08-01 Thermal Wave Imaging,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cting kissing unbond defects
US6394646B1 (en) * 1999-04-16 2002-05-28 General Electric Company Method and apparatus for quantitative nondestructive evaluation of metal airfoils using high resolution transient thermography
US6585146B2 (en) * 2000-01-06 2003-07-01 Thermal Wave Imaging, Inc. Automated non-destructive weld evaluation method and apparatus
WO2002059587A2 (de) * 2001-01-26 2002-08-01 Rolf Sandvoss Thermographieverfahren
JP4140218B2 (ja) * 2001-08-28 2008-08-27 松下電工株式会社 レーザー溶接部の検査方法及びその装置
DE10150633C5 (de) * 2001-10-12 2014-09-04 Thermosensorik Gmbh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berührungslosen, zerstörungsfreien automatischen Prüfung von Materialverbindungen, insbesondere der Qualitätskontrolle von Schweißverbindungen
KR100443152B1 (ko) * 2001-11-28 2004-08-04 한국원자력연구소 레이저 용접시 용접 풀 크기감시 및 초점제어 방법
US6712502B2 (en) * 2002-04-10 2004-03-30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As Represented By The Administrator Of The National Aeronautics And Space Administration Synchronized electronic shutter system and method for thermal nondestructive evaluation
US7425093B2 (en) * 2003-07-16 2008-09-16 Cabot Corporation Thermography test method and apparatus for bonding evaluation in sputtering targets
US6940037B1 (en) * 2003-08-25 2005-09-06 Southern Methodist University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welding parameters in welding-based deposition processes
US20060011592A1 (en) * 2004-07-14 2006-01-19 Pei-Chung Wang Laser welding control
US7473028B1 (en) * 2005-04-22 2009-01-06 The Ohio State University Method and device for investigation of phase transformations in metals and alloys
DE102007024789B3 (de) * 2007-05-26 2008-10-23 Trumpf Werkzeugmaschinen Gmbh + Co. Kg Verfahren zum Erkennen von Fehlern an einer Schweißnaht während eines Laser-Schweißprozesses
JP5305272B2 (ja) * 2007-07-04 2013-10-02 デーツェーゲー システムス ゲーエムベーハー 熱流サーモグラフィを用いた溶接継目の自動検査のための方法
US8354608B2 (en) * 2009-05-14 2013-01-15 B6 Sigma, Inc. Methods for control of a fusion welding process by maintaining a controlled weld pool volume
WO2011123195A1 (en) * 2010-03-31 2011-10-06 Sciaky, Inc. Raster methodology, apparatus and system for electron beam layer manufacturing using closed loop control
DE102010024134B4 (de) * 2010-06-17 2012-07-12 INPRO Innovationsgesellschaft für fortgeschrittene Produktionssysteme in der Fahrzeugindustrie mbH Verfahren zum zerstörungsfreien Prüfen von mindestens teiloffenen hohlförmigen Bauteilen oder Systemkomponenten auf Dichtheit in der Serienproduktion
DE102011078276C5 (de) * 2011-06-29 2014-04-03 Trumpf Laser- Und Systemtechnik Gmbh Verfahren zum Erkennen von Fehlern während eines Laser-Bearbeitungsprozesses sowie Laser-Bearbeitungsvorrichtung
US20140095096A1 (en) * 2012-10-03 2014-04-03 Edison Welding Institute, Inc. Non-destructive thermographic weld inspection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300638A (ja) * 1993-04-16 1994-10-28 Mitsui Toatsu Chem Inc 温度測定方法および非破壊欠陥検査方法
JPH0735620A (ja) * 1993-07-16 1995-02-07 Mitsui Toatsu Chem Inc 温度測定方法および非破壊欠陥検査方法
JP2003509686A (ja) 1999-09-16 2003-03-11 ウェイン・ステイト・ユニバーシティ 遠隔的非破壊検査のための小型非接触音波赤外線装置
JP2001249052A (ja) 2000-03-06 2001-09-14 Chubu Electric Power Co Inc 差分画像処理を用いた赤外線サーモグラフィー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18045B1 (ko) * 2021-12-14 2023-04-06 (주)에이치씨엔씨 Ir 카메라의 영상신호를 이용한 용접부 결함 검출 방법
KR102518051B1 (ko) * 2021-12-14 2023-04-07 (주)에이치씨엔씨 센서 융합을 이용한 용접부 결함 검출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102006061794B3 (de) 2008-04-30
WO2008077479A1 (de) 2008-07-03
EP2102640A1 (de) 2009-09-23
JP2010513883A (ja) 2010-04-30
JP5028494B2 (ja) 2012-09-19
ATE486276T1 (de) 2010-11-15
ES2351531T3 (es) 2011-02-07
RU2009126630A (ru) 2011-01-27
RU2456585C2 (ru) 2012-07-20
US20120298870A1 (en) 2012-11-29
EP2102640B1 (de) 2010-10-27
DE502007005501D1 (de) 2010-12-09
US20100091812A1 (en) 2010-04-15
US8235588B2 (en) 2012-08-07
KR20090104037A (ko) 2009-10-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61013B1 (ko) 재료 이음부의 자동 검사 방법
US8541746B2 (en) Process and system for the nondestructive quality determination of a weld seam, and a welding device
JP4531396B2 (ja) ワークの接合箇所を評価するための方法および装置
KR20100054783A (ko) 열류 서모그래피를 이용한 용접 이음매의 자동 검사 방법
US8110774B2 (en) Laser welding method and apparatus
JP6220718B2 (ja) レーザ溶接良否判定方法及びレーザ溶接良否判定装置
JP5312033B2 (ja) ワークピースの継ぎ目箇所を評価するための方法および装置
KR102235832B1 (ko) 포터블형 용접 결함 검사장치 및 검사방법
CA2674342C (en) Method and device for quality control of a weld bead
Summerville et al. Nugget diameter in resistance spot welding: a comparison between a dynamic resistance based approach and ultrasound C-scan
US20230201956A1 (en) Method for analyzing a laser machining process, system for analyzing a laser machining process, and laser machining system comprising such a system
Yang et al. Measurement of weld penetration depths in thin structures using transmission coefficients of laser-generated Lamb waves and neural network
JPH059744B2 (ko)
JP7390680B2 (ja) レーザ溶接品質検査の方法及びレーザ溶接品質検査装置
JP4187818B2 (ja) 溶接状態の検査方法
Srajbr et al. Active thermography for quality assurance of joints in automobile manufacturing
JP6591282B2 (ja) レーザ超音波検査方法、接合方法、レーザ超音波検査装置、および接合装置
Venkatraman et al. Thermography for online detection of incomplete penetration and penetration depth estimation
US20210199567A1 (en) Femtosecond laser-based ultrasonic measuring apparatus for 3d printing process and 3d printing system having the same
JP2000015474A (ja) 溶接管の溶接部検査方法
Lee et al. Measurement of weld bead defect for shock absorber using laser vision sensor
Chen Visual Sensing and Defect Detection of Gas Tungsten Arc Welding
JP2000111328A (ja) 溶接管の溶接部検査方法
Li Weld integrity of tailor welded blanks
Bracun et al. Indentation shape parameters as indicators of spot weld qualit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