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60700B1 -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의 재생 시스템 - Google Patents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의 재생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60700B1
KR101360700B1 KR1020080060936A KR20080060936A KR101360700B1 KR 101360700 B1 KR101360700 B1 KR 101360700B1 KR 1020080060936 A KR1020080060936 A KR 1020080060936A KR 20080060936 A KR20080060936 A KR 20080060936A KR 101360700 B1 KR101360700 B1 KR 10136070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oadcast
channel
digital multimedia
time
multimedia broadcas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609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01137A (ko
Inventor
이태희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0609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60700B1/ko
Publication of KR201000011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0113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607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6070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3Content storage operation, e.g. storage operation in response to a pause request, caching operations
    • H04N21/4334Recording oper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4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multimedia data, e.g. slideshows comprising image and additional audio data
    • G06F16/48Retrieval characterised by using metadata, e.g. metadata not derived from the content or metadata generated manually
    • G06F16/487Retrieval characterised by using metadata, e.g. metadata not derived from the content or metadata generated manually using geographical or spatial information, e.g. lo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20/00Arrangements for broadcast or for distribution combined with broadcast
    • H04H20/53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e.g. for traffic information or for mobile receiv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2201/00Aspects of broadcast communication
    • H04H2201/10Aspects of broadcast communication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broadcast system
    • H04H2201/11Aspects of broadcast communication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broadcast system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DMB]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Library & Information Science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ircuits Of Receivers In General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의 재생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구체적으로는 터널, 산악지대 또는 수신불능지역 등의 난시청구간에서도 사용자가 끊김 없이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을 시청할 수 있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의 재생 시스템은 방송국의 송신부로부터 상기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의 방송신호를 실시간으로 수신하는 방송수신부; 상기 수신된 방송신호에서 추출된 적어도 하나의 채널의 채널신호를 실시간으로 방송 데이터베이스에 녹화하는 방송녹화부; 난시청구간이 설정된 지도데이터가 구축된 지도 데이터베이스; 사용자로부터 출발지 및 목적지에 따른 주행경로의 탐색을 요청받아 출발지 및 목적지 간의 난시청구간이 포함된 주행경로를 지도데이터 기반으로 검색하고, 상기 출발지 및 목적지 간의 제1예상주행시간을 산출하며, 상기 출발지와 난시청지역 간의 제2예상주행시간을 산출하는 경로탐색부; 및 사용자가 상기 채널신호에 대응되는 채널에 대한 재생을 요청하면, 현재시각을 기준으로 상기 제1예상주행시간 및 제2예상주행시간의 차이시간 전의 시점부터의 상기 채널신호를 방송 데이터베이스에서 추출하여 재생하는 재생부를 포함한다.
디엠비, dmb, 재생, 지연, 녹화

Description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의 재생 시스템{A PLAYING SYSTEM FOR DISITAL MULTIMEDIA BROADCASTING}
본 발명은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의 재생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의 탑승자는 차량의 네비게이션 시스템에 내장된 지상파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수신기 또는 위성 DMB 수신기를 이용하여 차량의 주행 중에 DMB 방송을 시청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차량에 설치된 지상파 또는 위성 DMB 수신기는 이동하면서 DMB 방송국의 송신소에서 송출하는 전파를 수신하기 때문에 주변에 큰 산이 있거나, 터널, 교량 밑 등을 통과하는 등 장애물이 있을 경우에는 전파경로가 차단되거나 감쇄되어 수신하는 전파의 강도가 약해져 수신이 원활하지 않게 된다. 결국 상기 차량이 터널, 산악지대, 교량 밑을 통과하는 시간동안 수신하지 못한 DMB 방송분은 이후에도 볼 수 없게 되어 DMB 방송을 연속적으로 시청할 수 없으므로 사용자가 방송 내용을 명확히 이해하는데 어려움이 있다.
또한 상기 차량에 설치된 지상파 또는 위성 DMB 수신기는 상기 DMB 방송국의 송신 전파의 수신불능지역에 진입하면 DMB 방송의 시청이 불가하게 된다.
본 발명은 차량이 터널, 산악지대 또는 교량 밑 등을 통과하거나 DMB 방송의 수신불능지역에 진입하더라도 DMB 방송을 끊김 없이 시청할 수 있는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의 재생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의 재생 시스템은 방송국의 송신부로부터 상기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의 방송신호를 실시간으로 수신하는 방송수신부; 상기 수신된 방송신호에서 추출된 적어도 하나의 채널의 채널신호를 실시간으로 방송 데이터베이스에 녹화하는 방송녹화부; 난시청구간이 설정된 지도데이터가 구축된 지도 데이터베이스; 사용자로부터 출발지 및 목적지에 따른 주행경로의 탐색을 요청받아 출발지 및 목적지 간의 난시청구간이 포함된 주행경로를 지도데이터 기반으로 검색하고, 상기 출발지 및 목적지 간의 제1예상주행시간을 산출하며, 상기 출발지와 난시청지역 간의 제2예상주행시간을 산출하는 경로탐색부; 및 사용자가 상기 채널신호에 대응되는 채널에 대한 재생을 요청하면, 현재시각을 기준으로 상기 제1예상주행시간 및 제2예상주행시간의 차이시간 전의 시점부터의 상기 채널신호를 방송 데이터베이스에서 추출하여 재생하는 재생부를 포함한다.
여기서 본 발명은 상기 방송국으로부터 상기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의 프로그램정보를 수신하는 방송정보수신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재생부는 상기 방송정보수신부를 참조하여 상기 채널신호를 재생할 때 해당 채널신호에 따른 프로그램의 시작부분부터 재생한다.
한편 본 발명의 상기 방송녹화부는 현재시각을 기준으로 설정 시간 전까지의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만을 방송 데이터베이스에 유지한다.
한편 본 발명의 상기 방송녹화부는 사용자가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의 재생을 요청하지 않거나, 또는 재생부에 의해 차이시간 전 시점부터의 상기 채널신호가 재생되는 중에도 현재 실시간으로 방송되는 채널신호를 방송 데이터베이스에 녹화한다.
한편 본 발명의 상기 적어도 하나의 채널의 채널신호는 사용자로부터 별도의 녹화채널 지정부를 통해서 지정받은 채널에 대응되는 채널신호 또는 제조사로부터 임의로 지정된 채널에 대응되는 채널신호이다.
본 발명의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의 재생 시스템은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의 방송신호를 실시간으로 녹화하고, 사용자가 출발지 및 목적지에 대한 주행경로를 요청하면, 현재 시각을 기준으로 출발지 및 목적지에 대한 제1예상주행시간에서 출발지에서 난시청지역까지의 제2예상주행시간을 감산한 차이시간 전의 시점부터의 방송신호를 방송 데이터베이스에서 추출하여 현재시각부터 재생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차량이 출발지에서 목적지까지 주행경로를 따라 이동하는 동안에 터널, 산악지대 또는 교량 밑을 통과하거나 DMB 방송의 수신불능지역에 진입하더라도 사용자가 시청 중인 DMB 방송을 끊김 없이 시청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를 위한 구체적인 내용을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의 재생 시스템(100)의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의 재생 시스템(100)은 방송수신부(102), 방송정보수신부(104), 방송녹화부(106), 방송 데이터베이스(108), 지도 데이터베이스(110), GPS 수신부(112), 경로탐색부(114), 재생부(116), 표시부(118) 및 스피커(120) 등을 포함한다.
방송수신부(102)는 안테나(도시되지 않음), 튜너부(도시되지 않음) 및 경로설정부(도시되지 않음) 등을 포함한다.
상기 안테나(도시되지 않음)는 방송국(200)의 송신부로부터 무선 송출되는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의 방송신호를 실시간으로 수신한다. 여기서 상기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은 바람직하게는 지상파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또는 위성 DMB 등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의 방송신호에는 복수개의 방송 채널에 따른 채널신호가 다중화되어 포함되어 있다. 한편 상기 송신부는 지상파 DMB의 경우 송신탑으로 이루어지고 위성 DMB인 경우 위성으로 이루어진다.
한편 튜너부(도시되지 않음)는 상기 아날로그 신호인 상기 방송신호를 디지털신호로 변환하는 아날로그/디지털 변환부(도시되지 않음)와, 상기 디지털 신호로 변환된 상기 방송신호 중 복수개의 채널신호를 추출하여 각각 복조하는 적어도 하 나 이상의 복조부(도시되지 않음)가 구비된다. 여기서 후술하는 방송녹화부(106)가 동시에 녹화할 수 있는 채널신호의 개수는 상기 복조부의 개수에 상응한다.
한편 상기 경로설정부는 상기 방송녹화부(106)의 제어에 따라 상기 복조부로부터 출력되는 상기 복수개의 채널신호의 경로를 설정한다. 즉 상기 경로설정부는 상기 복조부로부터 출력되는 상기 복수개의 채널신호 중 사용자로부터 후술하는 녹화채널 지정부(도시되지 않음)를 통해서 지정받거나, 또는 제조사에 의해 임의로 지정된 적어도 하나의 채널신호를 후술하는 방송 데이터베이스(108)로 전달하여 후술하는 방송녹화부(106)에 의해 녹화되게 한다. 여기서 사용자로부터 상기 녹화채널 지정부를 통해서 지정받은 적어도 하나의 채널신호는 사용자가 방송 데이터베이스(108)에 상시 녹화하기를 원하는 채널에 대응되는 채널신호이다.
한편 방송정보수신부(104)는 방송국(200)의 데이터송신부로부터 상기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에 대한 프로그램정보를 수신한다. 상기 프로그램정보는 일종의 방송 편성표로서,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의 복수개의 채널신호의 각각에 대한 날짜별 프로그램 이름정보 및 방송시간정보 등이 포함된다.
한편 방송녹화부(106)는 상기 방송수신부(102)의 경로설정부를 제어하여 상기 복조부에서 출력되는 사용자가 녹화하기를 원하는 채널에 대응되는 채널신호를 방송 데이터베이스(108)에 실시간으로 저장한다. 여기서 상기 복조부가 예컨대 3개로 이루어지고 상기 방송녹화부(106)도 3개로 이루어지며 사용자가 녹화하기를 원하는 채널이 3개라면, 복조부에서 출력되는 3개의 채널에 대응되는 채널신호들이 방송녹화부(106)에 의해 방송 데이터베이스(108)에 각각 녹화된다.
여기서 상기 방송녹화부(106)는 현재 시각을 기준으로 설정 시간 전 예컨대 3시간 전만큼의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의 채널신호만을 방송 데이터베이스(108)에 저장하고 유지한다. 즉 상기 방송녹화부(106)는 현재시각이 12:00이면 09:00∼12:00까지의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만을 방송 데이터베이스(108)에 저장하고, 이후 12:00∼12:01까지 실시간으로 방송을 녹화하면 09:00∼09:01에 녹화된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은 자동으로 삭제한다.
상기 방송수신부(102), 방송정보수신부(104) 및 방송녹화부(106)는 사용자가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을 시청하지 않아도 항상 백그라운드로 자동 실행되어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의 복수의 채널신호를 항상 방송 데이터베이스(108)에 녹화한다.
또한 본 발명의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의 재생 시스템(100)은 차량의 대시보드에 매립되어 차량의 배터리로부터 전원을 공급받는다. 상기 방송수신부(102), 방송정보수신부(104) 및 방송녹화부(106)는 배터리로부터 공급된 전원을 이용하여 사용자가 본 발명의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의 재생 시스템(100)의 전원을 켜지 않거나 심지어 차량의 시동이 꺼져 있더라도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의 복수의 채널신호를 항상 방송 데이터베이스(108)에 녹화한다. 상기 방송수신부(102), 방송정보수신부(104) 및 방송녹화부(106)는 설정된 개수의 채널에 해당하는 채널신호를 설정된 시간만큼 늘 방송 데이터베이스(108)에 녹화하여 유지하고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차량을 일정 시간 동안 운행하지 않다가 상기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의 재생 시스템(100)을 동작시켜 바로 출발지 및 목적지 간의 주행경로를 탐색하더라도 설 정 시간 전부터의 채널신호를 현재시각부터 재생할 수 있다.
한편 방송 데이터베이스(108)에는 복조부에서 출력되는 사용자가 녹화하기를 원하는 채널에 대응되는 채널신호가 신호처리 되지 않은 상태로 현재시각을 기준으로 설정 시간 전까지만 녹화된다.
한편 지도 데이터베이스(110)에는 지도데이터가 구축된다. 상기 지도데이터에는 터널, 교량 밑, 산악지대 또는 방송국(200)의 송신부의 송신전파에 대한 수신 커버리지를 벗어난 수신불능지역을 포함하는 난시청구간이 설정된다.
한편 GPS 수신부(112)는 GPS 위성으로부터 사용자의 위치정보를 수신한다.
한편 경로탐색부(114)는 경로산출부(도시되지 않음) 및 주행시간산출부(도시되지 않음) 등을 포함한다.
상기 경로산출부는 사용자로부터 출발지 및 목적지에 따른 주행경로의 탐색을 요청받아 출발지 및 목적지 간의 난시청구간이 포함된 주행경로를 지도데이터 기반으로 검색한다. 여기서 상기 사용자가 출발지를 지정하지 않고 목적지만 지정한 경우 상기 GPS 수신부(112)가 수신한 사용자의 위치정보를 출발지로 간주한다.
한편 상기 주행시간산출부는 상기 출발지로부터 목적지까지의 제1예상주행시간을 산출하며, 상기 출발지로부터 난시청지역까지의 제2예상주행시간을 산출한다. 예컨대 출발지가 고속터미널이고 목적지가 서울랜드인 경우 주행경로는 고속터미널-사평로-반포대로-우면산터널-과천/봉담간 고속화도로-서울랜드가 되며 예상주행거리는 16.21km가 된다. 그리고 상기 예상주행거리 등을 이용하여 산출한 고속터미널 로부터 서울랜드까지의 제1예상주행시간은 예컨대 32분이 된다. 여기서 상기 우면 산터널은 난시청구간이 되므로 상기 고속터미널로부터 우면산터널 입구간의 제2예상주행시간은 예컨대 15분이 된다.
다른 실시예로서, 상기 출발지 및 목적지가 각각 강변터미널 및 문경새재이고, 주행경로는 강변터미널-테크노마트길-광남중고교입구-서하남IC-하남JC-산곡JC-호법JC-행촌 교차로-문경새재가 되며, 제1예상주행시간이 2시간 30분이고, 상기 서하남IC부터 문경새재까지가 모두 시청불능지역으로 구분되어 난시청지역으로 검색되며, 강변터미널에서 서하남IC까지의 제2예상주행시간이 15분이 된다면, 상기 제1예상주행시간과 제2예상주행시간의 차이시간은 2시간 15분이 된다.
한편 재생부(116)는 녹화채널 지정부(도시되지 않음), 시청채널 선택부(도시되지 않음), 신호처리부(도시되지 않음) 및 제어부(도시되지 않음) 등으로 구성된다.
상기 녹화채널 지정부는 키 버튼, 터치스크린 등으로 구비되어 사용자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상시 녹화하고자 하는 채널을 지정받는다.
상기 시청채널 선택부는 상기 키 버튼, 터치스크린 등으로 구비되어 사용자로부터 상기 녹화하고자 하는 채널 중 출발지 및 목적지 간의 이동 중 시청하고자 하는 채널을 선택받는다.
한편 상기 신호처리부는 방송 데이터베이스(108)에 저장된 사용자가 녹화채널 지정부를 이용하여 지정한 채널에 따른 적어도 하나의 채널신호를 신호 처리하여 출력한다.
상기 신호처리부는 상기 방송 데이터베이스(108)에 저장된 적어도 하나의 채 널신호를 영상신호, 음성신호로 분리하여 출력하는 역다중화부(도시되지 않음)와, 상기 역다중화부에 의해 분리 출력된 상기 영상신호, 음성신호를 복호화하여 출력하는 멀티미디어 처리부(도시되지 않음)를 포함한다.
한편 상기 제어부는 사용자로부터 출발지 및 목적지에 따른 주행경로 요청 이후 사용자로부터 특정 채널의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이 재생 요청되면, 상기 특정 채널이 방송 데이터베이스(108)에 저장된 채널신호에 대응하는 채널인지 여부를 판단한다. 이에 특정 채널이 방송 데이터베이스(108)에 저장된 채널신호에 대응되면 상기 재생부(116)의 제어부는 상기 제1예상주행시간 및 제2예상주행시간의 차이시간 전부터의 특정 채널의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을 상기 방송 데이터베이스(108)에서 추출하고 신호처리부를 이용하여 신호 처리하여 현재시각부터 표시부(118) 및 스피커(120)를 이용하여 재생한다.
한편, 사용자로부터 출발지 및 목적지에 따른 주행경로 요청을 받지 않고 특정 채널의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이 재생 요청된다면 상기 제어부는 사용자의 출발지, 목적지 및 난시청지역을 알 수 없으므로 본 발명의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의 끊김 없는 재생을 구현할 수 없다.
또한 상기 특정 채널이 방송 데이터베이스(108)에 저장된 채널신호가 아니면 사용자에게 해당 채널이 출발지 및 목적지 간에 이동 시 끊김 없는 재생이 불가하며 단지 일반적인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의 시청 방법인 난시청구간을 제외한 구간에서의 실시간 방송만 가능하다고 안내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의 재생 동작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예를 들어 현재시각이 12:00이고, 사용자가 출발지 및 목적지를 각각 고속터미널 및 서울랜드로 주행경로 탐색을 요청하였으며, 사용자가 녹화채널 지정부를 통해서 지정한 상시 녹화하고자 하는 채널이 MY MBC이며, 상기 제1예상주행시간이 32분이고, 상기 제2예상주행시간이 15분이라면, 상기 제1예상주행시간과 상기 제2예상주행시간의 차이시간은 17분이 된다. 이에 상기 제어부는 상기 현재시각인 12:00에서 차이시간인 17분 전인 11:43부터의 MY MBC의 채널에 해당하는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의 채널신호를 방송 데이터베이스(108)에 추출하여 신호처리부를 이용하여 신호 처리하고 현재시각인 12:00부터 재생하게 된다. 물론 상기 제어부가 상기 차이시간 전의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의 채널신호를 방송 데이터베이스(108)에 추출하여 재생하는 순간에도 방송녹화부(106)는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의 채널신호를 실시간으로 방송 데이터베이스(108)에 녹화하고 있는 상태가 된다.
여기서 상기 사용자가 12:00∼12:32까지 시청한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은 실제로 11:43∼12:15까지 방송된 MY MBC의 채널에 해당하는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의 채널신호이다. 여기서 12:00∼12:17까지 시청한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은 실제로 11:43∼12:00까지 방송되어 방송녹화부(106)가 실시간 녹화한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의 채널신호이고, 12:17∼12:32까지 시청한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은 실제로 12:00∼12:15까지 방송녹화부(106)가 실시간 녹화한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의 채널신호이다. 이에 따라 상기 차량이 12:15부터 난시청구간인 우면산터널을 진 입할 때에도 사용자는 끊김 없이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을 계속 시청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상기 재생부(116)의 제어부는 현재시각에서 차이시간인 17분 전인 11:43부터의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의 채널신호를 방송 데이터베이스(108)에서 추출하지 않고 방송정보수신부(104)의 프로그램정보를 참조하여 17분 전인 11:43에 방송하고 있는 해당 프로그램의 처음부분 예컨대 11:00에서 12:00에 MY MBC의 채널의 "PD 수첩"이 방송되었다면 상기 "PD 수첩"을 11:43분부터가 아닌 실제 11:00에 해당하는 부분부터 재생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일종의 지연방송을 마치 실시간 방송처럼 인지할 수 있고 시청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재생부(116)의 제어부는 사용자로부터 출발지 및 목적지에 따른 주행경로의 탐색 요청 없이 특정 채널의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이 재생 요청되면 상기 복조부로부터 상기 특정 채널의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의 채널신호를 실시간으로 수신하고 신호처리부를 이용하여 신호 처리하며 표시부(118) 및 스피커(120)를 이용하여 실시간 재생한다.
이하 본 발명의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의 재생 시스템(100)의 동작을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의 재생 시스템(100)의 동작의 순서를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우선 방송수신부(102)는 안테나를 이용하여 방송국(200)의 송신부로부터 무선 송출되는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의 방송신호를 실시간으로 수신하고(S100), 상 기 방송수신부(102)의 튜너부는 안테나가 수신한 상기 방송신호 중 사용자로부터 녹화채널 지정부를 통해서 지정받거나 제조사에 의해 임의로 지정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채널신호를 분리하여 복조한다.
이어서 방송정보수신부(104)는 방송국(200)의 데이터송신부로부터 상기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의 프로그램정보를 수신한다(S102).
이어서 방송녹화부(106)는 수신된 상기 방송신호에서 추출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채널의 채널신호를 실시간으로 방송 데이터베이스에 녹화하고(S104), 현재시각을 기준으로 설정 시간 전부터의 채널신호만을 방송 데이터베이스에 유지한다.
이어서 GPS 수신부(112)는 GPS 위성으로부터 사용자의 위치정보를 수신한다(S106).
이어서 경로탐색부(114)의 경로산출부는 사용자로부터 출발지 및 목적지에 따른 주행경로를 요청받아 출발지 및 목적지 간의 난시청구간이 포함된 주행경로를 지도데이터 기반으로 검색한다(S108).
그리고 상기 경로탐색부(114)의 주행시간산출부는 출발지 및 목적지 간의 주행경로에 따른 제1주행예상시간과 출발지 및 난시청구간 간의 주행경로에 따른 제2예상주행시간을 산출한다(S110).
이어서 상기 재생부(116)의 시청채널 선택부는 사용자로부터 특정 채널의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을 재생 요청받는다(S112).
이어서 상기 재생부(116)의 제어부는 상기 특정 채널이 방송 데이터베이스(108)에 이미 저장된 채널신호에 대응하는 채널인지 여부를 파악한다(S114).
이어서 상기 재생부(116)의 신호처리부는 상기 특정 채널이 방송 데이터베이스(108)에 이미 저장된 채널신호이면 상기 제1예상주행시간 및 제2예상주행시간의 차이시간 전부터의 상기 채널신호를 방송 데이터베이스(108)에 추출하고 신호 처리한다(S116).
이어서 상기 재생부(116)의 제어부는 상기 신호 처리된 특정 채널의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의 채널신호를 표시부(118) 및 스피커(120)를 이용하여 현재시각부터 제1예상주행시간이 될 때까지 재생한다(S118).
상기 S114에서 상기 특정 채널이 방송 데이터베이스(108)에 저장된 채널신호가 아니면 사용자에게 출발지 및 목적지 간에 이동 시 끊김 없는 재생이 불가하며 단지 난시청구간을 제외한 구간에서의 실시간 방송만 가능하다고 안내한다(S115).
이상,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구성과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이러한 것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하기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 실시가 가능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의 재생 시스템의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의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의 재생 동작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의 재생 시스템의 동작의 순서를 나타내는 순서도.

Claims (5)

  1.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의 재생 시스템으로서,
    방송국의 송신부로부터 상기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의 방송신호를 실시간으로 수신하는 방송수신부;
    상기 수신된 방송신호에서 추출된 적어도 하나의 채널의 채널신호를 실시간으로 방송 데이터베이스에 녹화하는 방송녹화부;
    난시청구간이 설정된 지도데이터가 구축된 지도 데이터베이스;
    사용자로부터 출발지 및 목적지에 따른 주행경로의 탐색을 요청받아 출발지 및 목적지 간의 난시청구간이 포함된 주행경로를 지도데이터 기반으로 검색하고, 상기 출발지 및 목적지 간의 제1예상주행시간을 산출하며, 상기 출발지와 난시청지역 간의 제2예상주행시간을 산출하는 경로탐색부; 및
    사용자가 상기 채널신호에 대응되는 채널에 대한 재생을 요청하면, 현재시각을 기준으로 상기 제1예상주행시간 및 제2예상주행시간의 차이시간 전의 시점부터의 상기 채널신호를 방송 데이터베이스에서 추출하여 재생하는 재생부를 포함하는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의 재생 시스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방송국으로부터 상기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의 프로그램정보를 수신하는 방송정보수신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재생부는 상기 방송정보수신부를 참조하여 상기 채널신호를 재생할 때 해당 채널신호에 따른 프로그램의 시작부분부터 재생하는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의 재생 시스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방송녹화부는 현재시각을 기준으로 설정 시간 전까지의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만을 방송 데이터베이스에 유지하는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의 재생 시스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방송녹화부는 사용자가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의 재생을 요청하지 않거나, 또는 재생부에 의해 차이시간 전 시점부터의 상기 채널신호가 재생되는 중에도 현재 실시간으로 방송되는 채널신호를 방송 데이터베이스에 녹화하는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의 재생 시스템.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채널의 채널신호는 사용자로부터 별도의 녹화채널 지정부를 통해서 지정받은 채널에 대응되는 채널신호 또는 제조사로부터 임의로 지정된 채널에 대응되는 채널신호인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의 재생 시스템.
KR1020080060936A 2008-06-26 2008-06-26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의 재생 시스템 KR10136070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60936A KR101360700B1 (ko) 2008-06-26 2008-06-26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의 재생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60936A KR101360700B1 (ko) 2008-06-26 2008-06-26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의 재생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1137A KR20100001137A (ko) 2010-01-06
KR101360700B1 true KR101360700B1 (ko) 2014-02-07

Family

ID=418114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60936A KR101360700B1 (ko) 2008-06-26 2008-06-26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의 재생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60700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114893A (ko) * 2005-05-03 2006-11-08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네비게이션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KR20070099261A (ko) * 2006-04-04 2007-10-09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Dmb 서비스 시스템에서 무선 데이터 통신을 이용하여dmb 서비스를 보조하는 방법 및 시스템
KR20080044547A (ko) * 2006-11-16 2008-05-21 엘지전자 주식회사 프로그램 시청 중단 방지 기능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수신 단말기 및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 단말기의시청 중단 방지 방법
KR20090129159A (ko) * 2008-06-12 2009-12-16 한국과학기술원 방송 시스템에서의 끊김없는 영상 데이터를 수신하는 장치및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114893A (ko) * 2005-05-03 2006-11-08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네비게이션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KR20070099261A (ko) * 2006-04-04 2007-10-09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Dmb 서비스 시스템에서 무선 데이터 통신을 이용하여dmb 서비스를 보조하는 방법 및 시스템
KR20080044547A (ko) * 2006-11-16 2008-05-21 엘지전자 주식회사 프로그램 시청 중단 방지 기능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수신 단말기 및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 단말기의시청 중단 방지 방법
KR20090129159A (ko) * 2008-06-12 2009-12-16 한국과학기술원 방송 시스템에서의 끊김없는 영상 데이터를 수신하는 장치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1137A (ko) 2010-01-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113739B2 (en) Digital broadcast receiver
JP4525634B2 (ja) デジタル放送受信装置
JPH09331266A (ja) 放送受信装置
JP2001077712A (ja) デジタル放送受信装置およびデジタル放送受信方法
US20050273233A1 (en) In-vehicle electronic apparatus and method for displaying digital broadcast in the same
JP3732696B2 (ja) 受信装置及び受信方法
EP1603258A2 (en)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receiver and a channel display method
JP2006267060A (ja) 経路探索装置および受信装置
JP2001053635A (ja) 受信装置及び受信方法
KR101360700B1 (ko)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의 재생 시스템
JP3690777B2 (ja) 放送受信機
JP2001251229A (ja) 移動体用放送受信機
JP2006211043A (ja) 放送受信装置
JP2007074723A (ja) 地上波dmbシステムと衛星dmbシステムとの間のサービスリンク情報提供方法及びdmb端末機におけるサービスリンク情報を用いたサービス変更方法
KR100777684B1 (ko) 방송신호와 교통정보를 함께 방송하는 dmb 수신기 및 그처리방법
JP2017175549A (ja) 再生装置及び再生方法
JP4849693B2 (ja) 再生システム及び再生方法、移動型再生装置、記録装置、並びに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JP6342144B2 (ja) 車両用放送受信装置、及び車両用放送受信装置の制御方法
JP3842640B2 (ja) ナビゲーションシステム及び多重化情報取得方法
JP2004336093A (ja) 放送受信装置
JP2007235223A (ja) 車載用放送受信装置
JP2005197972A (ja) 車載用デジタル放送受信装置、デジタル放送受信方法及びその方法をコンピュータに実行させるためのプログラム
TWI305091B (ko)
JP2001045393A (ja) 受信装置、受信方法並びにチューナー内蔵テレビ装置
JP2004357124A (ja) 放送システムおよび受信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3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30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