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114893A - 네비게이션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 Google Patents

네비게이션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114893A
KR20060114893A KR1020050037089A KR20050037089A KR20060114893A KR 20060114893 A KR20060114893 A KR 20060114893A KR 1020050037089 A KR1020050037089 A KR 1020050037089A KR 20050037089 A KR20050037089 A KR 20050037089A KR 20060114893 A KR20060114893 A KR 2006011489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terminal
network
navigation
are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370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839342B1 (ko
Inventor
윤홍서
조경환
신인호
설원희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370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39342B1/ko
Publication of KR200601148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1489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393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3934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9Arrangements for giving variable traffic instructions
    • G08G1/0962Arrangements for giving variable traffic instructions having an indicator mounted inside the vehicle, e.g. giving voice messages
    • G08G1/0968Systems involving transmission of navigation instructions to the vehicl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04W4/029Location-based management or tracking ser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Navigation (AREA)

Abstract

네비게이션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이 개시된다. 방법은, 단말기가 네비게이션 서버로 상기 단말기가 위치하고 있는 영역을 관할하는 제 1 네트워크를 통해 목적지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네비게이션 서버가 상기 목적지 정보 및 단말기 위치 정보를 기반으로 이동 경로를 설정하고, 상기 이동 경로를 따라 상기 단말기가 이동하게 될 지역에 대한 음영 지역 정보, 관할 네트워크 영역 정보 및 상기 설정된 이동 경로 정보를 상기 제 1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단말기가 위치를 이동함으로써 변동되는 단말기의 위치 정보, 상기 음영 지역 정보 및 상기 관할 네트워크 영역 정보를 통해 상기 위치 정보에 상응하는 영역을 관할하는 네트워크가 변경되었는지 판단하고, 상기 네비게이션 서버로부터 상기 제 1 네트워크를 통해 네비게이션 정보를 실시간으로 수신하는 단계; 상기 판단 결과, 네트워크가 변경되었다고 판단할 경우, 상기 단말기가 변경된 제 2 네트워크와의 접속을 상기 네비게이션 서버에 요청하는 단계; 및 상기 네비게이션 서버가 상기 요청에 따라, 상기 네비게이션 정보를 상기 제 2 네트워크를 통해 실시간으로 상기 단말기에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단말기의 위치 변동에 따라 단말기가 위치하게 되는 영역을 관할하는 네트워크 시스템 방식이 변경되거나 단말기가 음영 지역에 위치하게 되더라고 중단되지 않고 지속적으로 네비게이션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LBS, 네비게이션 서비스, 네트워크, 음영 지역

Description

네비게이션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NAVIGATION SERVICE}
도 1은 일반적인 위치 기반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2는 응용 서버가 네비게이션 서버일 경우의 일반적인 위치 기반 서비스 제공 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네비게이션 서비스 제공을 구현하기 위한 전체 시스템 구성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의 이동에 따라 네트워크 영역이 변경되는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네비게이션 서비스 제공 방법의 순서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단말기(종래) 20 : 위치 측위 서버
30: 음영 서버 40: 네트워크
50 : GPS 위성 100 : 단말기(본 발명)
200 : 네비게이션 서버 210 : 위치 관리부
220 : 영역 정보 관리부 230 : 네트워크 접속부
240 : 제 1 컨텐츠 제공부 250 : 제 2 컨텐츠 제공부
310 : 제 1 네트워크 320 : 제 2 네트워크
330 : 제 3 네트워크 400 : 컨텐츠 제공 서버
410 : 제 1 영역 420 : 제 2 영역
430 : 음영 지역
본 발명은 네비게이션 서비스 제공 방법 및 그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음영 지역을 포함하여 서로 다른 네트워크 시스템 방식이 지원되는 영역을 이동하는 단말기에 지속적인 네비게이션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 및 그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최근, 단말기 및 네트워크 기술이 발달함에 따라, 네트워크를 통해 단말기에 제공할 수 있는 서비스의 종류도 다양해지고 있다. 즉, 방송 서비스 및 인터넷 서비스는 물론이며, 특히, "이동성"이라는 단말기의 가장 큰 특징을 이용한 위치 기반 서비스가 증가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위치 기반 서비스란 통신망을 기반으로 위치 측위 기술(LDT; Location Detection Technology)을 이용하여 단말기의 위치 정보를 획득하고, 획득한 위치 정보를 기반으로 단말기로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을 말한다.
한편, 상기 다양한 서비스는 단말기의 위치 정보를 이용한 지도 서비스, 위 치 기반 광고 서비스 등을 들 수 있는데, 이들과 함께, 이동하는 차량 등에 탑재된 단말기를 통해 목적지까지의 길을 안내하는 네비게이션 서비스가 각광을 받고 있다.
따라서,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일반적인 위치 기반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설명하여 종래의 네비게이션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도 1은 일반적인 위치 기반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일반적인 위치 기반 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단말기(10), 위치 측위 서버(20) 및 응용 서버(30) 등을 포함한다.
상기 단말기(10)는 네트워크(40)를 통해 위치 측위 서버(20) 및 응용 서버(30)와 상호 통신하여 위치 측위 서버(20)와는 위치 정보에 관한 정보를 송수신하고, 응용 서버(30)와는 위치 정보가 응용된 서비스에 관한 정보를 송수신한다.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단말기(10)는 GPS 위성(50)과 상호 통신하여 상기 GPS 위성(50)으로부터 위치 정보를 생성하는데 기반이 되는 위도, 경도, 거리 등(이하, '위치 생성 정보'라 한다)과 같은 정보를 수신한다.
그리고 상기 위치 생성 정보를 위치 측위 서버(20)로 전송하여 위치 측위 서버(20)가 단말기(10)의 위치 정보를 생성하도록 하거나, 직접 상기 위치 생성 정보를 통해 단말기(10)의 위치를 계산하여 위치 정보를 생성하고, 이와 같이 생성한 위치 정보를 위치 측위 서버(20)로 전송한다.
상기 위치 측위 서버(20)는 단말기(10)로부터 위치 생성 정보를 수신할 경 우, 상기 위치 생성 정보를 통해 단말기(10)의 위치를 계산하고, 이와 같이 계산된 단말기(10)의 위치 정보를 응용 서버(30)로 전송하거나, 단말기(10)로부터 직접 상기 위치 정보를 수신하였을 경우에는 상기 위치 정보를 응용 서버(30)에 전달하고 또는 소정의 가공 과정을 거쳐 산출된 위치 정보를 응용 서버(30)로 전송한다.
그리고 상기 응용 서버(30)는 상기 위치 정보를 통해 응용된 다양한 서비스를 단말기(10)로 제공한다.
예컨대, 응용 서버(30)가 네비게이션 서비스를 제공하는 네비게이션 서버일 경우, 상기 네비게이션 서버는 단말기(10)로부터 목적지 정보를 수신하고 위치 측위 서버(20)로부터 위치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목적지 정보에 상응하는 길 안내 정보를 생성한다.
그리고 이와 같이 생성된 길 안내 정보를 단말기(10)의 위치가 변동하기 전에 비 실시간으로 또는 위치의 변동과 함께 실시간으로 제공한다.
이하, 일반적인 위치 기반 서비스 제공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2는 응용 서버(30)가 네비게이션 서버일 경우의 일반적인 위치 기반 서비스 제공 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단말기(10)가 네비게이션 서버(30)로 서비스의 제공을 요청하면(S 210), 네비게이션 서버(30)는 위치 측위 서버(20)로 단말기(10)의 위치에 대한 위치 정보의 제공을 요청한다(S 220).
그리고 위치 측위 서버(20)는 네비게이션 서버(30)를 통해 네비게이션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비스 제공업자에 대한 인증 과정을 수행하고, 단말기(10)로는 위 치 정보의 제공을 요청한다(S 230).
그러면 단말기(10)는 상기 요청에 상응하여 GPS 위성(50)으로부터 수신한 상기 위치 생성 정보 또는 단말기(10)에서 산출된 위치 정보를 위치 측위 서버(20)로 전송한다(S 240).
이와 같이, 위치 측위 서버(20)는 상기 위치 생성 정보를 수신하여 소정의 위치 계산 과정을 거쳐 단말기(10)의 위치 정보를 생성하여 이를 네비게이션 서버(30)에 전송하거나, 단말기(10)로부터 직접 수신한 위치 정보를 네비게이션 서버(30)로 전달한다(S 250).
마지막으로, 네비게이션 서버(30)는 상기 위치 정보를 응용하여 길 안내 정보를 생성하는 등 다양한 네비게이션 서비스를 생성하여 이를 단말기(10)에 제공한다(S 260).
지금까지, 일반적인 위치 기반 서비스 및 특히, 응용 서비스가 네비게이션 서비스일 경우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네비게이션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은, 이동 차량이 이동함에 따라 변동되는 단말기가 위치하는 영역을 관할하는 이동통신 시스템 방식이 변경될 경우 및 단말기가 음영 지역에 위치하고 있을 경우, 단말기(10)로 제공되고 있던 네비게이션 서비스가 중단되어 차량의 이동과 함께 지속적인 네비게이션 서비스를 제공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상기 음영 지역이란 네트워크의 기지국 전파가 수신되지 않아 어떠한 네트워크 시스템 방식도 적용되지 않는 영역으로 대형 빌딩의 내부, 산이나 언덕의 뒤편 또는 터널 등이 상기 음영 지역에 포함된다.
그리고 특히, 미국 등과 같이 영토가 넓어 동일한 방식의 이동통신 시스템이 적용되기 어렵고 이와 더불어, 음영 지역이 많은 지역에서는 그 문제점이 부각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소정의 영역별로 네트워크 시스템 방식이 서로 다르게 적용되고 음영 지역이 많아 네트워크 환경이 매우 불안정한 지역에서도 차량의 이동과 함께 지속적인 네비게이션 서비스를 제공하는 네비게이션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 따른 네비게이션 서비스 제공 방법은, A-1) 단말기가 네비게이션 서버로 상기 단말기가 위치하고 있는 영역을 관할하는 제 1 네트워크를 통해 목적지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 A-2) 상기 네비게이션 서버가 상기 목적지 정보 및 단말기 위치 정보를 기반으로 이동 경로를 설정하고, 상기 이동 경로를 따라 상기 단말기가 이동하게 될 지역에 대한 음영 지역 정보, 관할 네트워크 영역 정보 및 상기 설정된 이동 경로 정보를 상기 제 1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 A-3) 상기 단말기가 위치를 이동함으로써 변동되는 단말기의 위치 정보, 상기 음영 지역 정보 및 상기 관할 네트워크 영역 정보를 통해 상기 위치 정보에 상응하는 영역을 관할하는 네트워크가 변경되었는지 판 단하고, 상기 네비게이션 서버로부터 상기 제 1 네트워크를 통해 네비게이션 정보를 실시간으로 수신하는 단계; A-4) 상기 판단 결과, 네트워크가 변경되었다고 판단할 경우, 상기 단말기가 변경된 제 2 네트워크와의 접속을 상기 네비게이션 서버에 요청하는 단계; 및 A-5) 상기 네비게이션 서버가 상기 요청에 따라, 상기 네비게이션 정보를 상기 제 2 네트워크를 통해 실시간으로 상기 단말기에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바람직하게는, Ⅰ) 상기 판단 결과, 상기 단말기가 상기 위치 정보 및 상기 음영 지역 정보를 통해 음영 지역에 근접하고 있다고 판단할 경우, 상기 음영 지역에서 제공되어야 할 네비게이션 정보의 제공을 상기 네비게이션 서버에 요청하는 단계; 및 Ⅱ) 상기 네비게이션 서버가 상기 요청에 따라 기 저장되어 있는 네비게이션 정보를 상기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네비게이션 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단말기로부터 목적지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단말기의 이동 경로를 설정하고, 상기 이동 경로를 따라 상기 단말기가 이동하게 될 지역에 대한 음영 지역 정보, 관할 네트워크 영역 정보 및 상기 설정된 이동 경로 정보를 상기 단말기에 전송하는 네비게이션 서버; 및 상기 단말기가 위치를 이동함에 따라 변동되는 단말기의 위치 정보, 상기 음영 지역 정보 및 상기 관할 네트워크 영역 정보를 통해 상기 위치 정보에 상응하는 영역을 관할하는 네트워크가 변경되었는지 판단하고, 해당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네비게이션 서버로부터 네비게이션 정보를 실시간으로 수신하는 단말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바람직하게, 상기 단말기는 상기 단말기가 음영 지역에 근접하고 있다고 판단할 경우, 상기 음영 지역에서 제공되어야 할 네비게이션 정보의 제공을 상기 네비게이션 서버에 미리 요청하여 상기 요청에 상응하는 네비게이션 정보를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에서는 첨부도면 및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네비게이션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면상에서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하여는 가능한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였다.
먼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네비게이션 서비스의 제공을 구현하기 위한 전체 시스템 구성도를 설명한 후 네비게이션 서버를 이루는 시스템 구성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네비게이션 서비스 제공을 구현하기 위한 전체 시스템 구성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의 이동에 따라 네트워크 영역이 변경되는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먼저,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네비게이션 서비스 제공을 구현하기 위한 전체 시스템은 단말기(100), 복수의 네트워크(310, 320, 330), 위치 측위 서버(20), 네비게이션 서버(200) 등을 포함한다.
상기 단말기(100)는 복수의 네트워크(310, 320, 330)에 모두 접속 가능하고 그 중 어느 하나의 네트워크에 접속하여 네비게이션 서버와 연결된다. 그리고 네비게이션 서버(200)로 서비스의 제공을 요청하고 이동 차량 등의 목적지 정보를 전송한다.
그리고 네비게이션 서버로부터 상기 목적지 정보를 통해 설정된 이동 경로 정보를 수신한다.
또한, 상기 이동 경로를 따라 단말기가 이동하게 될 지역에 대한 음영 지역 정보 및 관할 네트워크 정보를 수신한다.
따라서, 단말기는 단말기의 위치 변동에 따른 위치 정보, 상기 음영 지역 정보 및 상기 관할 네트워크 정보를 통해 네트워크가 변경되었는지 판단하고, 판단 결과에 따라 변경된 해당 네트워크에 접속한다.
즉, 두 개의 네트워크에 선택적으로 접속하여 네비게이션 서버와 연결될 경우, 단말기(100)는 상기 두 개의 네트워크의 접속을 지원하는 듀얼 모듈 단말기로 상호 전환이 가능하다.
예컨대, 미국과 같은 경우, 스프린트(Sprint)와 버라이존(Verizon) 등의 통신사에서 서로 다른 네트워크를 통해 각각 관할하는 영역이 구분되어 있으며, 이와 같이 구분된 영역을 예시적으로 도시화하면 도 4와 같다.
상기 스프린트의 이동통신 시스템 방식을 지원하는 네트워크를 제 1 네트워크(310)라 하고 상기 제 1 네트워크(310)를 통해 네비게이션 서버(200)에 접속 가능한 영역을 제 1 영역(410)이라 한다.
그리고 버라이존의 네트워크 시스템 방식을 지원하는 네트워크를 제 2 네트워크(320)라고 상기 제 2 네트워크(320)를 통해 네비게이션 서버(200)에 접속 가능한 영역을 제 2 영역(420)이라 한다.
이때, 단말기(100)를 탑재한 이동 차량 등이 상기 제 1 영역(410)을 거쳐 상기 제 2 영역(420)으로 이동하게 될 경우, 단말기(100)는 제 1 영역(410)에서 제 2 영역(420)으로의 진입시 단말기(100)의 통신 접속 모듈을 전환한다. 그리고 단말기(100)가 위치하고 있는 영역에 상응하는 네트워크에 접속한다.
그러나 단말기(100)가 제 1 영역(410)을 통과하여 제 2 영역(420)으로 진입하기 전에 음영 지역(430)을 거치는 경우가 있다.
상기 음영 지역(430)은 상기 제 1 네트워크(310) 및 상기 제 2 네트워크(320)를 포함하여 어떠한 네트워크와도 접속이 불가능한 지역으로, 단말기(100)는 상기 이와 같은 음영 지역에 근접하게 될 경우 단말기가 상기 음영 지역에 근접하고 있음을 판단한다. 이는 상기 네비게이션 서버로부터 수신한 음영 지역 정보 및 단말기의 위치 정보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판단 결과, 단말기(100)가 음영 지역에 근접하고 있다고 판단될 경우, 접속된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음영 지역에서 제공받아야 할 네비게이션 정보의 제공을 네비게이션 서버에 요청한다.
그리고 상기 요청에 상응하는 상기 네비게이션 정보를 일시에 제공받아 음영 지역을 통과하는 동안 기 설정된 시간 간격으로 분할 출력한다.
또한, 상기 음영 지역을 벗어나 다시 상기 제 1 영역 또는 상기 제 2 영역에 진입하게 되면 단말기(100)는 이를 판단하여 해당 네트워크에 접속하여 상기 네비게이션 정보를 상기 네비게이션 서버(200)로부터 실시간으로 수신한다.
한편, 상기 단말기(100)가 위치하고 있는 영역을 관할하는 네트워크의 변경 및 음영 지역으로의 근접 상황은 네비게이션 서버(200)에서도 판단할 수 있으며,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이하, 네비게이션 서버(200) 설명에서 하기로 한다.
상기 위치 측위 서버(20)는 단말기(100)가 어디에 위치하고 있는지에 대한 정보인 단말기 위치 정보(이하, '위치 정보'라 한다)를 생성한다.
상기 위치 정보는 셀(Cell) 기반 방식, GPS 기반 방식 또는 상기 두 기술을 결합한 하이브리드(Hybrid) 방식 등을 이용하여 생성할 수 있으며, 구체적인 생성 방법은 공지된 기술이므로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그리고 이와 같이 생성한 상기 위치 정보를 네비게이션 시스템(200)에 제공한다.
상기 네비게이션 서버(200)는 위치 정보 관리부(210), 제 1 컨텐츠 제공부(240), 영역 정보 관리부(220), 네트워크 접속부(230) 및 제 2 컨텐츠 제공부(250)를 포함하여 복수의 네트워크(310, 320, 330) 중 어느 하나의 네트워크를 통해 단말기(100)와 연결되어 네비게이션 서비스를 제공한다.
상기 위치 정보 관리부(210)는 단말기(100)의 위치 정보를 관리한다. 즉, 위치 측위 시스템(200)과 연동하여 위치 정보가 필요할 때마다 위치 측위 서버(20)로부터 상기 위치 정보를 수신한다.
상기 영역 정보 관리부(220)는 네비게이션 서비스의 제공이 가능한 전체 영역(400)에 대하여 서로 다른 네트워크에 따른 영역 정보 및 음영 지역 정보를 관리한다.
또한, 단말기(100)의 이동 경로가 설정되면, 상기 이동 경로를 따라 단말기(100)가 이동하게 될 지역에 대한 음영 지역 정보 및 관할 네트워크 영역 정보를 추출하여 이를 단말기(100)에 제공한다.
예컨대,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 1 네트워크(310)는 어느 영역까지 적용되는지 음영 지역(430)은 어디인지 등, 상기 전체 영역(400)을 소정의 좌표 등과 같은 정보 형태로써 각각의 영역을 구분하고 있다.
상기 네트워크 접속부(230)는 복수의 네트워크(310, 320, 330) 중 어느 하나의 네트워크를 선택하여 선택한 네트워크를 통해 단말기(100)와 연결한다.
즉, 위치 관리부(210)로부터 상기 위치 정보를 수신하고 영역 정보 관리부(220)로부터 네트워크 정보를 수신하여 단말기 위치 정보에 상응하는 영역을 관할하는 네트워크 방식을 판단하고, 판단 결과에 따른 네트워크 방식을 지원하는 네트워크를 선택하여 접속한다.
이때,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으나, 네트워크 접속부(230)는 네트워크 판별부, 통신 네트워크 접속부 및 방송 네트워크 접속부를 포함하여 통신 네트워크와 방송 네트워크를 선별하여 단말기에 접속한다.
즉, 상기 네트워크 판별부는 상기 영역을 관할하는 네트워크 시스템 방식이 통신 네트워크 시스템 방식인지 방송 네트워크 시스템 방식인지 판별한다.
그리고 판별 결과에 따라 통신 네트워크 접속부 또는 방송 네트워크 접속부에 상기 판별 결과에 대한 정보를 전송한다.
상기 통신 네트워크 접속부는 상기 네트워크 판별부로부터 상기 영역을 관할하는 네트워크 방식이 통신 네트워크 방식이라는 정보를 수신하였을 경우, 상기 영역을 관할하는 통신 네트워크 방식을 판단하고 상기 통신 네트워크 방식을 지원하는 통신 네트워크에 접속한다.
상기 방송 네트워크 접속부는 상기 네트워크 판별부로부터 상기 영역을 관할하는 네트워크 방식이 방송 네트워크 방식이라는 정보를 수신하였을 경우, 상기 영역을 관할하는 방송 네트워크 방식을 판단하고 상기 방송 네트워크 방식을 지원하는 방송 네트워크에 접속한다.
예컨대,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위치 관리부(210)로부터 수신한 상기 위치 정보를 통해 단말기(100)가 상기 제 1 영역(410)의 'S' 지점에 위치하고 있다고 판단하였다고 하자.
그러면 네트워크 판별부는 상기 제 1 영역(410)을 통신 네트워크 방식 및 방송 네트워크 방식 중 어느 방식을 통해 관할 되고 있는지 먼저 판별한 후 통신 네트워크 방식을 통해 관할 되고 있다고 판단될 경우. 통신 네트워크 접속부로 상기 판단 결과에 따른 정보를 전송한다.
그리고 통신 네트워크 접속부는 여러 가지 통신 네트워크 시스템 방식 중 상기 제 1 영역(410)을 관할하는 통신 네트워크 방식인 제 1 네트워크(310)를 선택하여 네비게이션 서버(200)를 제 1 네트워크(310)에 접속시킨다.
상기 제 1 컨텐츠 제공부(240)는 단말기(100)로부터 목적지 정보를 수신하고 위치 관리부(210)로부터 상기 위치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목적지 정보에 상응하는 이동 경로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이동 경로 정보를 네트워크 접속부(230)에 의해 접속된 네트워크를 통해 단말기(100)에 제공한다.
이때, 상기 이동 경로 정보는 단말기(100)의 위치가 변동하기 전에 목적지까지의 전체적인 이동 경로를 지도 정보 등의 형태로 단말기(100)에 제공되며, 단말 기(100)의 위치가 변동함에 따라 지도 정보 및 음성 정보 또는 이들 중 어느 하나의 형태로 단말기(100)에 제공되어 목적지까지의 길을 안내한다.
예컨대, 도 4에서 단말기(100)의 출발 지점이 'S' 이고 목적 지점이 'T' 라고 할 경우, 제 1 컨텐츠 제공부(240)는 상기 출발 지점 및 목적 지점을 통하여 이동 경로(S→M→T) 등과 같은 방향 안내 정보를 이동 경로 정보로써 단말기(100)에 제공한다.
그리고 중간에 단말기(100)의 위치 변동이 상기 이동 경로에 어긋날 경우에는 단말기(100)의 현재 위치 정보를 토대로 새로운 이동 경로를 설정하여 다시 단말기(100)에 제공한다.
이때, 위치가 변동함에 따라 제공되는 이동 경로 정보 정보는 실시간으로 측정된 단말기(100)의 위치 정보를 토대로 생성된 정보이므로 단말기(100)에 실시간으로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더욱 바람직하게, 제 2 컨텐츠 제공부(250)는 및 제 1 컨텐츠 제공부(240)와 연동하여 네비게이션 정보를 제공한다.
한편, 상기 네비게이션 정보는 단말기(100)가 위치하고 있는 영역의 교통정보, 뉴스 및 날씨 정보(이하, '교통 정보 등'이라 한다), POI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의 정보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 1 컨텐츠 제공부(240)는 상기 단말기(100)가 음영 지역에 근접하고 있을 경우, 상기 음역 지역(430)을 통과할 동안에 제공되어야 할 이 경로 정보를 일시에 모두 단말기(100)로 전송한다.
또한, 이때 제 2 컨텐츠 제공부(250)는 상기 네비게이션 정보를 제 1 컨텐츠 제공부(240)와 마찬가지로 일시에 모두 단말기(100)로 전송한다.
즉, 네비게이션 서버(200)는 상기 목적지 정보를 통해 음영 지역(430)에서의 이동 경로 정보를 미리 생성하고 다양한 컨텐츠 제공업자(500)와 연동하여 상기 교통 정보, 뉴스 및 날씨 정보 등을 소정의 시간 간격으로 업데이트하여 미리 저장한다.
그리고 이와 같이 미리 저장되어 있는 이동 경로 정보 등을 현재 접속하고 있는 네트워크를 통해 비실시간적으로 제공하며, 제공하는 시점에 해당하는 위치는 영역 정보 관리부(220)에 의해 미리 설정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면, 단말기(100)는 상기와 같이 일시에 모두 수신한 길 안내 정보 등을 소정의 시간 간격으로 분할하여 단말기(100)에 출력한다.
그리고 제 1 컨텐츠 제공부(240) 및 제 2 컨텐츠 제공부(250)는 네트워크 접속부(230)가 새로운 네트워크에 접속되는지 모니터링하여 새로운 네트워크에 접속할 경우, 다시 이동 경로 정보 및 교통 정보 등을 실시간으로 단말기(100)에 제공한다.
예컨대, 도 4에서, 단말기(100)가 제 2 영역(420)에 진입할 경우, 네트워크 접속부(230)는 제 2 네트워크(320)에 접속하고, 제 1 컨텐츠 제공부(240) 및 제 2 컨텐츠 제공부(250)는 이동 경로 정보 및 교통 정보 등을 다시 실시간으로 단말기(100)에 제공한다.
한편, 상기 네트워크는 스프린트 CDMA 망, 버라이존 CDMA 망 등과 같은 통신 네트워크 및 XM Radio Satellite 망 등과 같은 방송 네트워크 모두를 포함한다.
그러면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네비게이션 서비스 제공 방법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5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네비게이션 서비스 제공 방법의 순서도이다. 한편, 도 4에서 도시하는 바를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단말기(100)는 네비게이션 서버(200)로 네비게이션 서비스의 제공을 요청하고 이때, 단말기(100)의 목적지 정보를 전송한다(S 510). 예컨대, 상기 목적지 정보는 'T' 지점에 해당하는 위치 정보가 될 수 있다.
한편, 네비게이션 서버(200)와 접속되어 있는 네트워크를 제 1 네트워크(310)라고 하자.
이와 같이 상기 제 1 네트워크(310)를 통해 상기 목적지 정보를 수신한 네비게이션 서버(200)는 단말기(100)의 위치 정보 및 상기 목적지 정보를 통해 단말기(100)의 이동 경로를 설정한다(S 520).
그리고 상기 설정된 이동 경로 정보, 상기 이동 경로를 따라 단말기(100)가 이동하게 될 지역에 대한 음영 지역 정보 및 관할 네트워크 영역 정보를 상기 제 1 네트워크(310)를 통해 단말기(100)로 전송한다(S 530).
그리고 단말기(100) 또는 네비게이션 서버(200)는 단말기(100)의 위치 정보에 상응하는 영역에 대한 관할 네트워크가 변경되었는지 확인한다(S 610).
확인 결과, 관할 네트워크가 변경되었을 경우, 변경된 제 1 네트워크(310)를 통해 단말기(100)와 네비게이션 서버(200)가 연결된다(S 620)
그리고 연결된 상기 제 2 네트워크(320)를 통해 단말기(100)는 네비게이션 서버(200)로부터 네비게이션 정보를 목적지에 도착할 때까지 실시간으로 수신한다(S 630, S 640).
또한,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네트워크가 변경되지는 않았으나 단말기(100)가 음영 지역(430)에 근접하고 있다고 판단되면(S 710), 네비게이션 서버(200)에 기 저장되어 있는 네비게이션 정보를 일시에 모두 단말기(100)로 제공한다(S 720).
또한,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으나, 단말기(100)는 목적지 정보 전송 후 네비게이션 서버(200)로부터 수신한 음영 지역에 대한 정보를 통해 상기 단말기(100)가 근접하고 있는 지역이 음영 지역인지 판단한다.
그리고 판단결과, 단말기(100)가 음영 지역에 근접하고 있다고 판단할 경우 네비게이션 서버(200)로 진입하게 될 음영 지역에 대한 길 안내 정보의 제공을 요청함으로써 상기 길 안내 정보를 수신한다.
그리고 단말기(100)는 이와 같은 방법으로 수신한 상기 길 안내 정보 등을 음영 지역(430)을 통과하는 동안에 소정의 시간 간격으로 분할 출력한다(S 730).
한편, 상기 기 저장되어 있는 길 안내 정보 등은 단말기(100)가 음영 지역(430)을 통과할 동안에 제공되어야 할 네비게이션 서비스 정보로 소정의 시간 간격으로 업데이트되어 네비게이션 서버(200)에 미리 저장되어 있던 정보이다.
또한, 상기 분할 출력되는 소정의 시간 간격은 네비게이션 서버(200)에서 미 리 생성된 길 안내 정보 중 이동 경로에 대한 정보를 통해 음영 지역(430)을 이동하는 거리 및 상기 음영 지역(430)에서의 제한 속도 등의 정보를 이용하여 설정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단말기(100)가 미리 수신한 네비게이션 서비스 정보를 분할 출력하다가 제 2 네트워크(320) 지역인 제 2 영역(420)에 다시 진입하게 될 경우, 네비게이션 서버(200)는 제 2 영역(420)을 관할하는 네트워크 시스템 방식이 적용되는 네트워크가 변경되는지 판단한다(S 610).
그리고 판단 결과, 네트워크가 제 2 네트워크(320)로 변경되었다고 판단되면, 네비게이션 서버(200)는 제 2 네트워크(320)에 접속하고(S 620), 상기 제 2 네트워크(320)를 통해 다시 실시간으로 길 안내 정보 등을 단말기(100)가 목적지에 도착할 때까지 제공한다(S 630, S 640).
지금까지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변형 또는 수정이 가능한 범위까지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미친다 할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인 네비게이션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에 따르면, 단말기의 위치 변동에 따라 단말기가 위치하게 되는 영역을 관할하 는 네트워크 시스템 방식이 변경되거나 단말기가 음영 지역에 위치하게 되더라고 중단되지 않고 지속적으로 네비게이션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19)

  1. 서로 다른 네트워크 영역을 이동하는 단말기에 네비게이션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으로서,
    A-1) 단말기가 네비게이션 서버로 상기 단말기가 위치하고 있는 영역을 관할하는 제 1 네트워크를 통해 목적지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
    A-2) 상기 네비게이션 서버가 상기 목적지 정보 및 단말기 위치 정보를 기반으로 이동 경로를 설정하고, 상기 이동 경로를 따라 상기 단말기가 이동하게 될 지역에 대한 음영 지역 정보, 관할 네트워크 영역 정보 및 상기 설정된 이동 경로 정보를 상기 제 1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
    A-3) 상기 단말기가 위치를 이동함으로써 변동되는 단말기의 위치 정보, 상기 음영 지역 정보 및 상기 관할 네트워크 영역 정보를 통해 상기 위치 정보에 상응하는 영역을 관할하는 네트워크가 변경되었는지 판단하고, 상기 네비게이션 서버로부터 상기 제 1 네트워크를 통해 네비게이션 정보를 실시간으로 수신하는 단계;
    A-4) 상기 판단 결과, 네트워크가 변경되었다고 판단할 경우, 상기 단말기가 변경된 제 2 네트워크와의 접속을 상기 네비게이션 서버에 요청하는 단계; 및
    A-5) 상기 네비게이션 서버가 상기 요청에 따라, 상기 네비게이션 정보를 상기 제 2 네트워크를 통해 실시간으로 상기 단말기에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비게이션 서비스 제공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Ⅰ) 상기 판단 결과, 상기 단말기가 상기 위치 정보 및 상기 음영 지역 정보를 통해 음영 지역에 근접하고 있다고 판단할 경우, 상기 음영 지역에서 제공되어야 할 네비게이션 정보의 제공을 상기 네비게이션 서버에 요청하는 단계; 및
    Ⅱ) 상기 네비게이션 서버가 상기 요청에 따라 기 저장되어 있는 네비게이션 정보를 상기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비게이션 서비스 제공 방법.
  3. 제 2항에 있어서,
    Ⅲ) 상기 단말기가 관할 네트워크 영역에 진입했다고 판단할 경우, 상기 단말기가 상기 네비게이션 서버에 해당 네트워크의 접속을 요청하는 단계; 및
    Ⅳ) 상기 네비게이션 서버가 상기 요청에 따라 해당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네비게이션 정보를 실시간으로 상기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비게이션 서비스 제공 방법.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네비게이션 정보는
    기 설정된 시간 간격으로 업데이트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비게이션 서비스 제공 방법.
  5. 제 1항 내지 제 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네비게이션 정보는
    상기 위치 정보에 해당하는 영역의 교통정보, 뉴스 및 날씨 정보, POI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비게이션 서비스 제공 방법.
  6. 제 1항 내지 제 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는
    상기 제 2 네트워크가 통신 네트워크인지 방송 네트워크인지 먼저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비게이션 서비스 제공 방법.
  7. 서로 다른 네트워크 영역을 이동하는 단말기에 네비게이션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으로서,
    A-1) 단말기가 네비게이션 서버로 상기 단말기가 위치하고 있는 영역을 관할하는 제 1 네트워크를 통해 목적지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
    A-2) 상기 네비게이션 서버가 상기 목적지 정보 및 단말기 위치 정보를 기반으로 이동 경로를 설정하고, 상기 이동 경로를 따라 상기 단말기가 이동하게 될 지역에 대한 음영 지역 정보, 관할 네트워크 영역 정보 및 상기 설정된 이동 경로 정보를 상기 제 1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
    A-3) 상기 네비게이션 서버가 상기 단말기의 위치 변동에 따른 단말기의 위치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위치 정보, 상기 음영 지역 정보 및 상기 관할 네트워크 영역 정보를 통해 상기 위치 정보에 상응하는 영역을 관할하는 네트워크가 변경되었는지 판단하고, 상기 제 1 네트워크를 통해 네비게이션 정보를 상기 단말기에 실 시간으로 전송하는 단계; 및
    A-4) 상기 판단 결과, 네트워크가 변경되었다고 판단할 경우, 변경된 제 2 네트워크에 접속하여, 상기 제 2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네비게이션 정보를 상기 단말기에 실시간으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비게이션 서비스 제공 방법.
  8. 제 7항에 있어서,
    ⅰ) 상기 판단 결과, 상기 단말기가 음영 지역에 근접하고 있다고 판단할 경우, 상기 음영 지역에서 제공되어야 할 네비게이션 정보를 미리 상기 단말기에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비게이션 서비스 제공 방법.
  9. 제 8항에 있어서,
    ⅱ) 상기 단말기가 관할 네트워크 영역에 진입했다고 판단할 경우, 상기 네비게이션 서버가 해당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네비게이션 정보를 실시간으로 상기 단말기에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비게이션 서비스 제공 방법.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네비게이션 정보는
    기 설정된 시간 간격으로 업데이트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비게이션 서비스 제공 방법.
  11. 제 7항 내지 제 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네비게이션 정보는
    상기 위치 정보에 해당하는 영역의 교통정보, 뉴스 및 날씨 정보, POI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비게이션 서비스 제공 방법.
  12. 제 7항 내지 제 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는
    상기 제 2 네트워크가 통신 네트워크인지 방송 네트워크인지 먼저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비게이션 서비스 제공 방법.
  13. 단말기로부터 목적지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단말기의 이동 경로를 설정하고, 상기 이동 경로를 따라 상기 단말기가 이동하게 될 지역에 대한 음영 지역 정보, 관할 네트워크 영역 정보 및 상기 설정된 이동 경로 정보를 상기 단말기에 전송하는 네비게이션 서버; 및
    상기 단말기가 위치를 이동함에 따라 변동되는 단말기의 위치 정보, 상기 음영 지역 정보 및 상기 관할 네트워크 영역 정보를 통해 상기 위치 정보에 상응하는 영역을 관할하는 네트워크가 변경되었는지 판단하고, 해당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네비게이션 서버로부터 네비게이션 정보를 실시간으로 수신하는 단말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비게이션 서비스 제공 시스템.
  14.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는
    상기 단말기가 음영 지역에 근접하고 있다고 판단할 경우, 상기 음영 지역에서 제공되어야 할 네비게이션 정보의 제공을 상기 네비게이션 서버에 미리 요청하여 상기 요청에 상응하는 네비게이션 정보를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비게이션 서비스 제공 시스템.
  15.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는
    상기 미리 제공받은 네비게이션 정보를 상기 음영 지역을 통과하는 거리에 대한 상기 음영 지역의 제한 속력 또는 상기 단말기의 평균 이동 속력을 통해 산출된 시간 간격으로 분할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비게이션 서비스 제공 시스템.
  16. 제 13항 내지 제 1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는
    변경된 네트워크가 통신 네트워크인지 방송 네트워크인지 먼저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비게이션 서비스 제공 시스템.
  17. 제 13항 내지 제 1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네비게이션 서버는
    상기 단말기에 대한 위치 정보를 관리하는 위치 정보 관리부;
    상기 목적지 정보 및 상기 위치 정보를 통해 상기 이동 경로를 생성하여 상기 단말기로 제공하는 제 1 컨텐츠 제공부;
    상기 음영 지역 정보 및 상기 관할 네트워크 영역 정보를 관리하는 영역 정보 관리부;
    상기 이동 경로를 따라 상기 단말기가 이동하게 될 지역에 대한 음영 지역 정보, 관할 네트워크 영역 정보 및 상기 위치 정보를 통해 상기 단말기가 위치하고 있는 지역에 대한 네트워크가 변경되었는지 판단하여 변경된 해당 네트워크에 접속하는 네트워크 접속부; 및
    상기 위치 정보에 해당하는 영역의 교통정보, 뉴스 및 날씨 정보, POI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제공하는 제 2 컨텐츠 제공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비게이션 서비스 제공 시스템.
  18. 제 17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 판단부는
    변경된 네트워크가 통신 네트워크인지 방송 네트워크인지 먼저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비게이션 서비스 제공 시스템.
  19. 제 13항 내지 제 1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네비게이션 정보는
    상기 위치 정보에 해당하는 영역의 교통정보, 뉴스 및 날씨 정보, POI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비게이션 서비스 제공 시스템.
KR1020050037089A 2005-05-03 2005-05-03 네비게이션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KR10083934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37089A KR100839342B1 (ko) 2005-05-03 2005-05-03 네비게이션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37089A KR100839342B1 (ko) 2005-05-03 2005-05-03 네비게이션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14893A true KR20060114893A (ko) 2006-11-08
KR100839342B1 KR100839342B1 (ko) 2008-06-17

Family

ID=376524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37089A KR100839342B1 (ko) 2005-05-03 2005-05-03 네비게이션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39342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49675B1 (ko) * 2008-06-12 2010-03-26 한국과학기술원 방송 시스템에서의 끊김없는 영상 데이터를 수신하는 장치및 방법
KR101360700B1 (ko) * 2008-06-26 2014-02-0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의 재생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41809B1 (ko) * 2009-03-04 2015-08-05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용 단말기에서 맵 데이터를 수신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65662B1 (ko) * 2003-01-11 2010-06-24 삼성전자주식회사 페이징 채널을 이용한 네비게이션 시스템 및 그 교통정보제공 방법
KR100526569B1 (ko) * 2003-09-20 2005-11-03 삼성전자주식회사 에이.지.피.에스 기능을 갖는 텔레매틱스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49675B1 (ko) * 2008-06-12 2010-03-26 한국과학기술원 방송 시스템에서의 끊김없는 영상 데이터를 수신하는 장치및 방법
KR101360700B1 (ko) * 2008-06-26 2014-02-0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의 재생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39342B1 (ko) 2008-06-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683850B2 (en) Method for navigation using adaptive coverage
CN1090849C (zh) 卫星移动通信系统中的频率误差校正
US6940451B2 (en) Provision of navigation information
RU2000112026A (ru) Приемник глобальной системы позиционирования с ограниченным пространством поиска кодового сдвига для сотовой телефонной системы
MXPA02005540A (es) Sistema de telecomunicaciones.
CN102037372B (zh) 导航装置及方法
JP2004140525A (ja) 移動体情報配信システム
US20130099966A1 (en) Method and system for propagating gnss assistance data among communication devices
KR20010036842A (ko) 지피에스와 무선통신망을 이용한 버스의 위치 및 운행 정보 서비스 시스템 및 서비스 방법
CN108028710A (zh) 传输通信消息的装置和方法
KR100839342B1 (ko) 네비게이션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US20010018344A1 (en) Method and devices for determining movement data of a mobile station
KR101508136B1 (ko) 교통정보 수집 시스템, 그 유효표본 보정 장치 및 유효표본 보정 방법
CN101769748A (zh) 导航终端和导航方法
KR101742778B1 (ko) 애니캐스트―멀티캐스트 통신 기반 긴급 정보의 수집 및 전달을 위한 방법 및 장치
CN101795447A (zh) 基于数据共享和自学习的Cell-Id定位系统及其定位方法
CN101625244A (zh) 对移动终端进行导航的方法和系统
US6529736B1 (en) Navigation configuration and method of utilizing a communications network, especially a mobile radio network
KR20150052915A (ko) 서로 다른 교통수단을 이용하는 경로 안내 시스템 간의 만남 장소 안내 방법
KR100687412B1 (ko) 지역 이탈 알림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CN103858496A (zh) 针对蜂窝电信网络中的网络服务的位置数据的映射
US7480560B2 (en) Self-measuring automotive traffic
KR100562248B1 (ko) 이동 통신 단말기의 위치를 결정하기 위한 위치 정보 제공방법 및 시스템
KR20060136131A (ko) 지역 이탈 알림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20030034915A (ko) 근거리 통신을 이용한 통신형 항법 시스템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2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2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2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27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26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04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14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