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87412B1 - 지역 이탈 알림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지역 이탈 알림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87412B1
KR100687412B1 KR20050055685A KR20050055685A KR100687412B1 KR 100687412 B1 KR100687412 B1 KR 100687412B1 KR 20050055685 A KR20050055685 A KR 20050055685A KR 20050055685 A KR20050055685 A KR 20050055685A KR 100687412 B1 KR100687412 B1 KR 10068741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information
area
departure notification
location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0500556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136131A (ko
KR20070000161A (ko
Inventor
정기중
엄봉수
나동원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Priority to KR200500556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87412B1/ko
Publication of KR200601361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36131A/ko
Publication of KR200700001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0016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874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87412B1/ko

Links

Images

Landscapes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Navigation (AREA)

Abstract

지역 이탈 알림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이 개시된다. 방법은, 제 1 단말기가 제 2 단말기의 이동을 허용하는 지역에 대한 이동 허용 지역 정보를 설정하고, 설정된 상기 이동 허용 지역 정보를 지역 이탈 알림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지역 이탈 알림 서버가 상기 이동 허용 지역 정보를 상기 제 2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제 2 단말기가 제 2 단말기 위치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제 2 단말기에 내장된 지역 이탈 알림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상기 이동 허용 지역 정보 및 상기 제 2 단말기 위치 정보를 비교하여, 상기 제 2 단말기가 이동 허용 지역에서 이탈하였다고 판단될 경우, 지역 이탈 알림 정보를 생성하고 이를 상기 지역 이탈 알림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지역 이탈 알림 서버가 상기 지역 이탈 알림 정보를 상기 제 1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지역 이탈 확인 시마다 지역 이탈 알림 서버가 제 2 단말기와 접속하지 않아도 되며 이로 인하여 서비스를 제공하는 데 있어 통신망의 부하를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위치 기반 서비스, 지역 이탈 알림, 지도 정보

Description

지역 이탈 알림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ALARM-SERVICE FOR AREA SECESSION}
도 1은 일반적인 위치 기반 응용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2는 일반적인 위치 기반 응용 서비스 제공 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역 이탈 알림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지역 이탈 알림 정보가 제 1 단말기에 전송된 형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 2 단말기의 위치 정보가 지도 정보로써 제 1 단말기에 제공된 형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역 이탈 알림 서비스 제공 방법의 순서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20; 위치 측위 서버 30: 응용 서버
40; 통신망 50; GPS 위성
100; 제 1 단말기 200; 제 2 단말기
300; 지역 이탈 알림 서버 310; 이동 허용 지역 설정부
320; 어플리케이션 제공부 330; 지역 이탈 알림부
340; 위치 정보 제공부 500; 이동 허영 지역
본 발명은 지역 이탈 알림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지역 이탈 알림 서버가 피 추적 단말기에 지역 이탈 알림 어플리케이션을 제공하며, 피 추적 단말기는 상기 지역 이탈 알림 어플리케이션을 통하여 추적 단말기에 의해 설정된 지역 이탈 알림 조건 상응시 지역 이탈 알림 정보를 지역 이탈 알림 서버로 전송하여, 지역 이탈 알림 서버가 추적 단말기로 피 추적 단말기에 대한 지역 이탈 알림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지역 이탈 알림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단말기 및 통신망의 기술이 발달함에 따라, 통신망을 통해 단말기에 제공할 수 있는 서비스의 종류도 다양해지고 있다. 즉, 방송 서비스 및 인터넷 서비스는 물론이며, 특히, "이동성"이라는 단말기의 가장 큰 특징을 이용한 위치 기반 서비스가 증가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위치 기반 서비스란 통신망을 기반으로 위치 측위 기술(LDT; Location Detection Technology)을 이용하여 단말기의 위치 정보를 획득하고, 획득한 위치 정보를 기반으로 단말기에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을 말한다.
한편, 상기 다양한 서비스는 단말기의 위치 정보를 이용한 위치 기반 광고 서비스, 네비게이션 서비스 지도 서비스 등이 있으며, 점점 더 위치 기반 서비스에 대한 응용 범위가 확대되고 있는 추세이다.
따라서,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지금까지의 위치 기반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도 1은 일반적인 위치 기반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일반적인 위치 기반 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단말기(10), 위치 측위 서버(20) 및 응용 서버(30) 등을 포함한다.
상기 단말기(10)는 통신망(40)을 통해 위치 측위 서버(20) 및 응용 서버(30)와 상호 통신하여 위치 측위 서버(20)와는 위치 정보에 관한 정보를 송수신하고, 응용 서버(30)와는 위치 정보가 응용된 서비스에 관한 정보를 송수신한다.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단말기(10)는 GPS 위성(50)과 상호 통신하여 상기 GPS 위성(50)으로부터 위치 정보를 생성하는데 기반이 되는 위도, 경도, 거리 등(이하, '위치 생성 정보'라 한다)과 같은 정보를 수신한다.
그리고 상기 위치 생성 정보를 위치 측위 서버(20)로 전송하여 위치 측위 서버(20)가 단말기(10)의 위치 정보를 생성하도록 하거나, 직접 상기 위치 생성 정보를 통해 단말기(10)의 위치를 계산하여 위치 정보를 생성하고, 이와 같이 생성한 위치 정보를 위치 측위 서버(20)로 전송한다.
상기 위치 측위 서버(20)는 단말기(10)로부터 위치 생성 정보를 수신할 경우, 상기 위치 생성 정보를 통해 단말기(10)의 위치를 계산하고, 이와 같이 계산된 단말기(10)의 위치 정보를 응용 서버(30)로 전송하거나, 단말기(10)로부터 직접 상 기 위치 정보를 수신하였을 경우에는 상기 위치 정보를 응용 서버(30)에 전달하고 또는 소정의 가공 과정을 거쳐 산출된 위치 정보를 응용 서버(30)로 전송한다.
즉, 응용 서버(30)는 단말기(10) 또는 위치 측위 서버(20)를 통해 단말기의 위치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한 위치 정보를 응용하여 여러 가지 위치 기반 서비스를 제공한다.
이와 같이, 위치 기반 서비스에서 응용 서버(30)는 단말기(10)가 요청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서는 필요할 때마다 단말기(10)의 위치 정보를 획득하여야 하는데, 위치 정보를 획득하고자 할 때마다 단말기(10) 또는 위치 측위 서버(20)에 접속을 시도하여야 하며, 이는 통신망(40)의 부하를 상당히 가중시키는 문제점이 된다.
예컨대, 응용 서버(30)가 피 추적 단말기의 위치 이동을 모니터링 하여 피 추적 단말기가 소정의 지역을 이탈하는지를 알리는 서비스를 제공할 경우, 응용 서버(30)는 피 추적 단말기의 위치 정보를 획득하기 위하여 기 설정된 시간 간격으로 피 추적 단말기 또는 위치 측위 서버(20)로의 접속을 시도하여야 한다.
또한, 응용 서버(30)에서 피 추적 단말기 위치 확인 시간 외, 과거 시점의 위치나 이탈 이후의 위치를 지속적으로 추적하는 경우, 서버의 상당한 부하로 시스템 투자비를 증가시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지역 이탈 알림 서버가 추적 단말기의 요청에 따라 지역 이탈 알림 어플리 케이션을 피 추적 단말기에 제공하고, 피 추적 단말기는 상기 지역 이탈 알림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피 추적 단말기기가 이동 허용 지역에서 이탈하는지 모니터링하고, 추적 단말기가 이동 허용 지역에서 이탈하였다고 판단할 경우 지역 이탈 알림 정보를 발생하여 이를 지역 이탈 알림 서버에 전송하면, 지역 이탈 알림 서버는 상기 지역 이탈 알림 정보를 추적 단말기로 전송하는 지역 이탈 알림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피 추적 단말기가 상기 지역 이탈 알림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기 설정된 시간 간격으로 획득한 위치 정보를 저장하였다가, 지역 이탈 알림 정보 전송 시에 저장되어 있는 위치 정보를 지역 이탈 알림 서버로 전송하고, 지역 이탈 알림 서버는 상기 위치 정보를 통해 피 추적의 이탈 전 이동 경로 정보 또는 이탈 후 현재 위치 정보 중 하나 이상의 정보를 추적 단말기에 제공하는 지역 이탈 알림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지역 이탈 알림 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제 1 단말기로부터 제 2 단말기의 이동을 허용한 지역에 대한 이동 허용 지역 정보를 수신 및 관리하고, 이를 상기 제 2 단말기로 전송하는 이동 허용 지역 설정부; 상기 제 2 단말기의 위치 정보와 상기 이동 허용 지역 정보를 비교하여 상기 제 2 단말기가 상기 이동 허용 지역 정보에 상응하는 이동 허용 지역으로부터 이탈하는지 확인하고, 상기 제 2 단말기가 상기 이동 허용 지역에서 이탈할 경우, 지역 이탈 알림 정보를 발생하는 지역 이탈 알림 어플리케이션을 제공하는 어플리케이션 제공부; 및 상기 지역 이탈 알림 어플리케이션을 내장한 상기 제 2 단말기로부터 상기 지역 이탈 알림 정보를 수신하여, 이를 상기 제 1 단말기로 전송하는 지역 이탈 알림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지역 이탈 알림 서비스 제공 방법은, A-1) 제 1 단말기가 제 2 단말기의 이동을 허용하는 지역에 대한 이동 허용 지역 정보를 설정하고, 설정된 상기 이동 허용 지역 정보를 지역 이탈 알림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A-2) 상기 지역 이탈 알림 서버가 상기 이동 허용 지역 정보를 상기 제 2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 A-3) 상기 제 2 단말기가 제 2 단말기 위치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제 2 단말기에 내장된 지역 이탈 알림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상기 이동 허용 지역 정보 및 상기 제 2 단말기 위치 정보를 비교하여, 상기 제 2 단말기가 이동 허용 지역에서 이탈하였다고 판단될 경우, 지역 이탈 알림 정보를 생성하고 이를 상기 지역 이탈 알림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및 A-4) 상기 지역 이탈 알림 서버가 상기 지역 이탈 알림 정보를 상기 제 1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에서는 첨부도면 및 바람직한 실시예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역 이탈 알림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면상에서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하여는 가능한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였다.
먼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역 이탈 알림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역 이탈 알림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지역 이탈 알림 정보가 제 1 단말기에 전송된 형태를 나타내는 도면, 그리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 2 단말기의 위치 정보가 지도 정보로써 제 1 단말기에 제공된 형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역 이탈 알림 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제 1 단말기(100), 지역 이탈 알림 서버(300), 위치 측위 서버(20) 및 제 2 단말기(200) 등을 포함한다.
제 1 단말기(100)는 지역 이탈 알림 서버(300)에 서비스 제공을 요청하는 단말기로 추적 단말기에 해당하며, 제 1 단말기(100)는 통신망(40)을 통해 지역 이탈 알림 서버(300)에 접속하여 제 2 단말기(200)에 제공할 지역 이탈 알림 어플리케이션을 설정한다.
즉, 제 1 단말기(100)는 위치를 추적하고자 하는 단말기인 제 2 단말기(200)의 이동을 허용하는 지역에 대한 이동 허용 지역 정보를 지역 이탈 알림 서버(300)로 전송한다.
예컨대, 제 1 단말기(100)는 지역 이탈 알림 서버(300)로 제 2 단말기(200)의 이동을 허용하는 소정의 지역에 대한 지도의 제공을 요청하고, 지역 이탈 알림 서버(300)로부터 상기 요청에 상응하는 지도를 제공받아 상기 지도에 이동 허용 지역을 선택하여 선택한 지역에 상응하는 이동 허용 지역 정보를 지역 이탈 알림 서버(300)로 전송한다.
또한, 제 1 단말기(10)는 제 2 단말기(200)가 위치 확인 주기 시간 정보를 설정하고 이를 지역 이탈 알림 서버(300)로 전송한다.
한편, 위치 확인 주기 정보는 제 2 단말기(200)가 상기 이동 허용 지역을 이탈하는지 확인하는 시기에 대한 정보로써, 제 1 단말기(100)가 5분, 10분 또는 15분 등으로 상기 위치 확인 주기 정보를 설정하면 5분, 10분 또는 15분 등의 시간 간격으로 제 2 단말기(200)가 이동 허영 지역을 이탈하는지 모니터링 된다.
또한, 제 1 단말기(100)는 제 2 단말기(200)의 이탈 여부에 대한 결과 정보만을 수신할지, 제 2 단말기(200)의 이탈 이전의 위치 정보 리스트 또는 이동 경로 정보 등을 수신할지, 또는 이탈 알림 정보 수신 이후 제 2 단말기(200)의 현재 위치 정보를 수신할지 등을 설정한다.
지역 이탈 알림 서버(300)는 통신망(40)을 통해 1 단말기(100)의 요청에 상응하는 지역 이탈 알림 서비스를 제 1 단말기(100)에 제공하며, 이동 가능 지역 설정부(310), 어플리케이션 제공부(320), 지역 이탈 알림부(330) 및 위치 정보 제공부(340) 등을 포함한다.
이동 가능 지역 설정부(310)는 제 1 단말기(100)로부터 상기 이동 허용 지역 정보를 수신 및 관리하고, 제 1 단말기(100) 또는 제 2 단말기(200)의 요청에 따라 상기 이동 허용 지역 정보를 제 2 단말기(200)로 전송한다.
예컨대, 제 1 단말기(100)의 요청에 따르는 경우는, 제 1 단말기(100)가 제 2 단말기(200)의 식별 정보 및 제공 요청 정보를 지역 이탈 알림 서버(300)로 전송하면, 지역 이탈 알림 서버(300)가 상기 이동 허용 지역 정보를 상기 제 2 단말기 (200)로 전송하는 경우이며, 이때 제 2 단말기(200)는 지역 이탈 알림 서버(300)로부터 상기 지역 이탈 알림 어플리케이션을 제공받아 내장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 2 단말기(200)의 요청에 따르는 경우는, 제 2 단말기(200)가 지역 이탈 알림 서버(300)에 접속하여 상기 지역 이탈 알림 어플리케이션 및 상기 이동 허용 지역 정보를 다운로드하여 제 2 단말기(200)에 저장하는 경우이다.
어플리케이션 제공부는 제 2 단말기(200)의 위치 정보와 상기 이동 허용 지역 정보를 비교하여 제 2 단말기(200)가 상기 이동 허용 지역 정보에 상응하는 이동 허용 지역으로부터 이탈하는지 모니터링하고, 제 2 단말기(200)가 상기 이동 허용 지역에서 이탈할 경우, 지역 이탈 알림 정보를 발생시켜 이를 지역 이탈 알림 서버(300)로 전송하도록 설정된 지역 이탈 알림 어플리케이션을 제 2 단말기(200)에 제공한다.
또한, 어플리케이션 제공부(320)는 제 1 단말기(100)로부터 상기 위치 확인 주기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위치 확인 주기 정보에 따라 위치 확인 시간 도래시 제 2 단말기(200)가 제 2 단말기 위치 정보를 획득하고, 획득한 제 2 단말기 위치 정보와 상기 이동 허용 지역 정보를 비교하도록 상기 지역 이탈 알림 어플리케이션을 설정한다.
또한, 어플리케이션 제공부(320)는 제 2 단말기(200)의 사양 정보를 관리하며, 제 1 단말기(100)로부터 위치 확인 주기 정보를 수신할 경우, 상기 사양 정보를 통해 최적의 위치 학인 주기 정보를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컨대, 제 1 단말기(100)로부터 수신한 위치 확인 주기 정보에 따른 위치 확인 주기가 '5분'이지만 제 2 단말기(200)가 5분마다 위치 정보를 획득하는 과정을 수행하고, 제 2 단말기(200)의 이탈 여부 확인 과정을 수행할 경우 제 2 단말기(200)의 배터리 소모가 과중하거나 음성 통화 등 주요 서비스에 지장을 줄 경우가 있다.
이때, 지역 이탈 알림 서버(300)는 상기 '5분'을 위치 확인 주기 정보로 설정하지 않고, 최적의 위치 확인 주기를 선택하여 위치 확인 주기 정보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어플리케이션 제공부(320)는 상기 위치 확인 주기 정보에 따라 제 2 단말기(200)가 위치 정보를 획득할 때마다 획득한 위치 정보를 소정의 저장 장치에 저장하도록 상기 지역 이탈 알림 어플리케이션을 설정한다.
이때, 상기 위치 정보는 주소 정보인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저장 장치에 저장된 위치 정보는 지역 이탈 알림 정보 발생시 지역 이탈 알림 서버(300)로 전송하도록 상기 지역 이탈 알림 어플리케이션을 설정한다. 그리고 바람직하게는, 지역 이탈 알림 정보 발생 이후에도 계속, 제 2 단말기(200)가 위치 정보를 획득하여 이를 지역 이탈 알림 서버(300)에 전송하도록 상기 지역 이탈 알림 어플리케이션을 설정한다.
지역 이탈 알림부(330)는 상기 지역 이탈 알림 어플리케이션을 구동하고 있는 제 2 단말기(200)로부터 지역 이탈 알림 정보를 수신하여, 수신한 지역 이탈 알림 정보를 제 1 단말기(100)로 전송하여 제 2 단말기(200)가 상기 이동 허용 지역 을 이탈했음을 알린다.
위치 정보 제공부(340)는 상기 지역 이탈 알림부(330)가 지역 이탈 알림 정보 수신할 경우, 이탈한 위치에 대한 이탈 위치 정보, 상기 저장 장치에 저장된 과거 위치 정보, 이탈 후 획득한 이탈 후 위치 정보 또는 현재 위치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정보를 제 2 단말기(200)로부터 수신하여, 수신한 정보를 제 1 단말기(100)로 전송한다.
한편, 이때, 위치 정보 제공부(340)는 수신한 위치 정보를 가공하여 가공한 위치 정보를 제 1 단말기(100)로 전송할 수 있다.
예컨대, 위치 정보 제공부(340)는 과거 이동 경로 정보 또는 이탈 후 이동 경로 정보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정보를 생성하고, 이때 지도 정보로써 상기 이동 경로 정보를 나타내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위치 정보 제공부(340)는 제 1 단말기(100)가 현재 위치하고 있는 현재 위치 정보를 획득하여 상기 지도 정보에 제 1 단말기 위치 정보를 포함시켜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아바타 관련 서버(미도시)와 연동하여 제 1 단말기 위치 정보 및 제 2 단말기 위치 정보에 각각에 해당하는 아바타 정보를 매핑시키는 지도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위치 정보 제공부(340)는 SMS 서버(미도시), MMS 서버(미도시) 및 ARS 서버(미도시) 등과 연동하여, 상기 지역 이탈 알림 정보를 SMS, MMS 및 ARS 등의 방식으로 전송하며, 전송 방식은 제 1 단말기(100)의 설정에 따른다.
예컨대, 지역 이탈 알림 서버(300)가 상기 SMS 방식을 통해 상기 지역 이탈 알림 정보를 제 1 단말기(100)로 전송했을 경우, 상기 지역 이탈 알림 정보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된다.
이때, 지역 이탈 알림 서버(300)는 하단의 메뉴(120, 130, 140, 150) 선택 수신에 따라 이에 상응하는 정보를 제 1 단말기(100)로 제공하며, 텍스트 정보 또는 지도 정보와 같은 이미지 정보 등 다양한 방식으로 제공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지도로 보기'(150) 메뉴 정보를 수신하였을 경우에는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은 지도를 제공한다. 상기 지도는 1 단말기 위치 정보(530), 추적자에 해당하는 아바타(550), 피 추적자에 해당하는 아바타(560), 상기 이동 허용 지역 정보(500), 제 2 단말기(200)가 이동 허용 지역(500)을 이탈한 위치 정보(510) 또는 제 2 단말기의 현재 위치 정보(520)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위치 측위 서버(20)는 제 2 단말기(200)와 통신하여 제 2 단말기(200)의 요청에 따라 제 2 단말기 위치 정보를 제공하며, 위치 정보 생성 방법 등은 이미 공지 기술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제 2 단말기(200)는 제 1 단말기(100)의 위치 추적 대상이 되는 피 추적 단말기로 제 1 단말기(100)의 요청에 따라 지역 이탈 알림 서버(300)로부터 상기 지역 이탈 알림 어플리케이션을 수신하여 이를 내장한다.
그리고 제 2 단말기(200)는 제 1 단말기(100)의 설정에 따라 상기 지역 이탈 알림 어플리케이션을 구동하여 설정 조건 상응시, 제 2 단말기(200)의 이탈을 알리는 이탈 알림 정보를 이탈 알림 서버(300)로 전송한다.
예컨대, 어플리케이션 제공부(320)에서 설정한 위치 확인 주기 시간 정보에 상응하는 위치 확인 시간 도래시, 위치 측위 서버(20)와 연동하거나 또는 제 2 단말기(200) 자체적으로 제 2 단말기 위치 정보를 획득하여 기 저장된 이동 허용 지역 정보와 비교한다. 그리고 비교 결과, 상기 2 단말기(200)가 상기 이동 허용 지역을 이탈했다고 판단될 경우, 지역 이탈 알림 정보를 생성하여 이를 지역 이탈 알림 서버(300)로 전송한다.
또한, 제 2 단말기(200)는 상기 획득한 제 2 단말기 위치 정보를 소정의 저장 장치에 저장하고, 상기 지역 이탈 알림 정보 발생시 이를 지역 이탈 알림 서버(300)로 전송한다.
또한, 제 2 단말기(200)는 설정된 저장 기간 정보에 따라 상기 제 2 단말기 위치 정보를 상기 저장 장치의 저장 가능 범위 내에서 저장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지금까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역 이탈 알림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그러면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역 이탈 알림 서비스 제공 방법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역 이탈 알림 서비스 제공 방법의 순서도이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역 이탈 알림 서비스 제공 시스템 과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 1 단말기(100)는 이동 허용 지역 정보를 설정하고, 설정한 이동 허용 지역 정보를 지역 이탈 알림 서버(300)로 전송한다(S 610).
한편, 지역 이탈 알림 서비스에 대한 피 추적 단말기에 해당하는 제 2 단말기(200)는 이미 설정되어 있는 것을 전제로 한다.
그리고 지역 이탈 알림 서버(300)는 상기 이동 허용 지역 정보를 수신하여 관리하고, 상기 지역 이탈 알림 어플리케이션을 통한 지역 이탈 알림 정보 조건을 설정한다(S 620).
상기 설정이 완료되면, 상기 이동 허용 지역 정보, 상기 지역 이탈 알림 어플리케이션 및 상기 조건 정보를 제 2 단말기(200)로 전송한다(S 630).
이때, 모두 전송하지 않아도 되며, 제 2 단말기(200)가 상기 지역 이탈 알림 어플리케이션을 내장하고 있을 경우에는, 상기 이동 허용 지역 정보 및 상기 조건 정보만을 전송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제 2 단말기(200)는 상기 지역 이탈 알림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제 2 단말기(200)가 상기 이동 허용 지역을 이탈하는지 모니터링 한다.
즉, 기 설정된 위치 확인 주기 정보에 상응하여 위치 확인 시간 도래시 제 2 단말기 위치 정보를 획득하고, 획득한 제 2 단말기 위치 정보와 상기 이동 허용 지역 정보를 비교하여 상기 제 2 단말기(200)가 상기 이동 허용 지역에서 이탈했는지 확인한다(S 640).
확인 결과, 제 2 단말기(200)가 상기 이동 허용 지역에서 이탈했다고 판단될 경우, 제 2 단말기(200)는 지역 이탈 알림 정보를 생성하고 이를 지역 이탈 알림 서버로 전송한다(S 650).
한편, 제 2 단말기(200)가 상기 제 2 단말기 위치 정보 획득시, 상기 획득한 제 2 단말기 위치 정보를 소정의 저장 장치에 저장하는데, 상기 지역 이탈 알림 정보 전송시 상기 저장 장치에 저장된 위치 정보들도 함께 전송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지역 이탈 알림 서버(300)는 상기 수신한 지역 이탈 알림 정보를 제 1 단말기(100)로 전송하며, 상기 위치 정보들을 통해 이탈 전 과거 이동 경로 정보, 이탈 후 이동 경로, 이탈 후 현재 위치 정보 등을 생성하여 이들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함께 제 1 단말기(100)로 전송하는 것이 바람직하다(S 660).
지금까지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또는 수정이 가능한 범위까지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미친다 할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인 지역 이탈 알림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에 따르면, 지역 이탈 알림 서버는 피 추적 단말기에 해당하는 제 2 단말기 에 지역 이탈 알림 어플리케이션을 제공하여 제 2 단말기 자체적으로 제 2 단말기가 이동 허용 지역을 이탈하는지 모니터링 하여, 이탈시 이탈 사실을 추적자 단말기에 해당하는 제 1 단말기에 알릴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따라서, 지역 이탈 확인 시마다 지역 이탈 알림 서버가 제 2 단말기와 접속하지 않아도 되며 이로 인하여 서비스를 제공하는 데 있어 통신망의 부하를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20)

  1. 제 1 단말기로부터 제 2 단말기의 이동을 허용한 지역에 대한 이동 허용 지역 정보를 수신 및 관리하고, 이를 상기 제 2 단말기로 전송하는 이동 허용 지역 설정부;
    상기 제 2 단말기의 위치 정보와 상기 이동 허용 지역 정보를 비교하여 상기 제 2 단말기가 상기 이동 허용 지역 정보에 상응하는 이동 허용 지역으로부터 이탈하는지 확인하고, 상기 제 2 단말기가 상기 이동 허용 지역에서 이탈할 경우, 지역 이탈 알림 정보를 발생하는 지역 이탈 알림 어플리케이션을 제공하는 어플리케이션 제공부; 및
    상기 지역 이탈 알림 어플리케이션을 내장한 상기 제 2 단말기로부터 상기 지역 이탈 알림 정보를 수신하여, 이를 상기 제 1 단말기로 전송하는 지역 이탈 알림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역 이탈 알림 서비스 제공 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어플리케이션 제공부는
    위치 확인 주기 정보를 설정하여, 위치 확인 시간 도래시 상기 제 2 단말기가 제 2 단말기 위치 정보를 획득하고, 획득한 상기 제 2 단말기 위치 정보와 상기 이동 허용 지역 정보를 비교하도록 상기 지역 이탈 알림 어플리케이션을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역 이탈 알림 서비스 제공 시스템.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확인 주기 정보는
    상기 어플리케이션 제공부가 상기 제 1 단말기로부터 지역 이탈 확인 시간 정보를 수신하여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역 이탈 알림 서비스 제공 시스템.
  4. 제 2항 또는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어플리케이션 제공부는
    상기 제 2 단말기의 사양 정보를 통해 상기 위치 확인 주기 정보에 따른 상기 지역 이탈 확인으로 인한 상기 제 2 단말기의 배터리 소모가 기 설정된 수치 이하이며, 음성 통화 서비스에 지장을 주지 않는 범위 내에서 상기 위치 확인 주기 정보를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역 이탈 알림 서비스 제공 시스템.
  5.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어플리케이션 제공부는
    상기 제 2 단말기가 상기 제 2 단말기 위치 정보를 획득할 때마다 이를 상기 제 2 단말기의 저장 장치에 저장하도록 상기 지역 이탈 알림 어플리케이션을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역 이탈 알림 서비스 제공 시스템.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 장치에 저장된 상기 제 2 단말기 위치 정보는 주소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역 이탈 알림 서비스 제공 시스템.
  7.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지역 이탈 알림 시스템은
    상기 지역 이탈 알림 정보 수신 시, 상기 제 2 단말기로부터 상기 제 2 단말기 위치 정보를 수신하고, 이를 상기 제 1 단말기로 전송하는 위치 정보 제공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역 이탈 알림 서비스 제공 시스템.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어플리케이션 제공부는
    상기 지역 이탈 알림 정보 발생 이전까지 상기 제 2 단말기의 저장 장치에 저장된 복수의 제 2 단말기 위치 정보를 상기 위치 정보 제공부로 전송하도록 상기 지역 이탈 알림 어플리케이션을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역 이탈 알림 서비스 제공 시스템.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어플리케이션 제공부는
    상기 지역 이탈 알림 정보 발생 이후에 상기 제 2 단말기가 획득하는 지역 이탈 위치 정보를 상기 위치 정보 제공부로 전송하도록 상기 지역 이탈 알림 어플리케이션을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역 이탈 알림 서비스 제공 시스템.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정보 제공부는
    상기 제 2 단말기로부터 상기 복수의 제 2 단말기 위치 정보 또는 상기 지역 이탈 위치 정보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수신하여 상기 제 2 단말기의 이동 경로 정보를 생성하고, 생성된 상기 이동 경로 정보를 상기 제 1 단말기로 전송하는 것을 특 징으로 하는 지역 이탈 알림 서비스 제공 시스템.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정보 제공부는
    상기 이동 경로 정보가 포함된 지도 정보를 생성하고, 이를 상기 제 1 단말기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역 이탈 알림 서비스 제공 시스템.
  12.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정보 제공부는
    SMS 시스템, MMS 시스템 및 ARS 시스템과 연동하여, 상기 이동 경로 정보를 SMS, MMS 또는 ARS 방식으로 상기 제 1 단말기에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역 이탈 알림 서비스 제공 시스템.
  1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정보 제공부는
    SMS 시스템, MMS 시스템 및 ARS 시스템과 연동하여, 상기 지역 이탈 알림 정보를 SMS, MMS 또는 ARS 방식으로 상기 제 1 단말기에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역 이탈 알림 서비스 제공 시스템.
  14. A-1) 제 1 단말기가 제 2 단말기의 이동을 허용하는 지역에 대한 이동 허용 지역 정보를 설정한 후에,
    제 2 단말기에 대한 위치 확인 주기 정보를 설정하여 위치 확인 시간 도래시 상기 제 2 단말기가 제 2 단말기 위치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제 2 단말기 위치 정보와 상기 이동 허용 지역 정보를 비교하도록 상기 지역 이탈 알림 어플리케이션을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역 이탈 알림 서버로 상기 이동 허용 지역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
    A-2) 상기 지역 이탈 알림 서버가 상기 이동 허용 지역 정보를 상기 제 2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
    A-3) 상기 제 2 단말기가 제 2 단말기 위치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제 2 단말기에 내장된 지역 이탈 알림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상기 이동 허용 지역 정보 및 상기 제 2 단말기 위치 정보를 비교하여, 상기 제 2 단말기가 이동 허용 지역에서 이탈하였다고 판단될 경우, 지역 이탈 알림 정보를 생성하고 이를 상기 지역 이탈 알림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및
    A-4) 상기 지역 이탈 알림 서버가 상기 지역 이탈 알림 정보를 상기 제 1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역 이탈 알림 서비스 제공 방법.
  15. 삭제
  16.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지역 이탈 알림 서버는
    상기 제 2 단말기 위치 정보를 상기 제 2 단말기의 저장 장치에 저장하도록 상기 지역 이탈 알림 어플리케이션을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역 이탈 알림 서비스 제공 방법.
  17. 제 14항 또는 제1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A-3) 단계에서
    상기 제 2 단말기가 상기 제 2 단말기 위치 정보를 상기 지역 이탈 알림 서버로 더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역 이탈 알림 서비스 제공 방법.
  18. 제 17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단말기 위치 정보는
    상기 지역 이탈 알림 정보 발생시까지 상기 저장 장치에 저장된 복수의 제 2 단말기 위치 정보 또는 상기 지역 이탈 알림 정보 발생 이후 획득되는 지역 이탈 위치 정보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역 이탈 알림 서비스 제공 방법.
  19. 제 18항에 있어서, 상기 A-4) 단계 이후,
    A-5) 상기 지역 이탈 알림 서버가 상기 제 2 단말기 위치 정보를 통해 상기 제 2 단말기의 이동 경로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및
    A-6) 상기 지역 이탈 알림 서버가 상기 이동 경로 정보를 포함하는 지도 정보를 생성하고, 이를 상기 제 1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역 이탈 알림 서비스 제공 방법.
  20. 제 14항 또는 제 1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지역 이탈 알림 어플리케이션은, 상기 제 1 단말기의 요청 또는 상기 제 2 단말기의 요청에 따라 상기 지역 이탈 알림 서버로부터 제공받은 어플리케이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역이탈 알림 서비스 제공 방법.
KR20050055685A 2005-06-27 2005-06-27 지역 이탈 알림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10068741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50055685A KR100687412B1 (ko) 2005-06-27 2005-06-27 지역 이탈 알림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50055685A KR100687412B1 (ko) 2005-06-27 2005-06-27 지역 이탈 알림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3)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36131A KR20060136131A (ko) 2007-01-02
KR20070000161A KR20070000161A (ko) 2007-01-02
KR100687412B1 true KR100687412B1 (ko) 2007-02-26

Family

ID=378681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050055685A KR100687412B1 (ko) 2005-06-27 2005-06-27 지역 이탈 알림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8741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26302B1 (ko) * 2010-12-20 2017-04-12 주식회사 케이티 스마트 워크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321563B1 (ko) * 2011-12-21 2013-10-23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위치 정보 제공 장치 및 방법
KR101633006B1 (ko) * 2014-06-17 2016-07-01 티더블유모바일 주식회사 감시구역 이탈 원격 관리시스템 및 그 방법
JP6835331B2 (ja) * 2018-06-18 2021-02-24 BizMobile株式会社 保護サービス提供システム、プログラム及び保護サービス提供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307960A (ja) * 1996-05-16 1997-11-28 Mitsubishi Electric Corp 移動局及び移動局における位置情報報知方法
KR20030053928A (ko) * 2001-12-24 2003-07-02 에스케이텔레텍주식회사 지정 영역 도착/이탈시의 자동 통보 방법 및 그 방법을채택한 이동통신단말기
KR20030071267A (ko) * 2002-02-28 2003-09-03 주식회사 에스원 이동통신을 이용한 보호감찰방법
KR20050089363A (ko) * 2004-03-04 2005-09-08 엘지전자 주식회사 다수의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한 노약자 이탈 경보 시스템및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307960A (ja) * 1996-05-16 1997-11-28 Mitsubishi Electric Corp 移動局及び移動局における位置情報報知方法
KR20030053928A (ko) * 2001-12-24 2003-07-02 에스케이텔레텍주식회사 지정 영역 도착/이탈시의 자동 통보 방법 및 그 방법을채택한 이동통신단말기
KR20030071267A (ko) * 2002-02-28 2003-09-03 주식회사 에스원 이동통신을 이용한 보호감찰방법
KR20050089363A (ko) * 2004-03-04 2005-09-08 엘지전자 주식회사 다수의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한 노약자 이탈 경보 시스템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00161A (ko) 2007-01-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851450B2 (en) Portable terminal and method for position determination
US6272342B1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historical data for location services
US6516197B2 (en) System and method for reporting the number and/or duration of positioning requests for terminal-based location calculation
KR100809109B1 (ko) 방문된 네트워크에서의 위치 정보 제공
US6671377B1 (en) System and method for downloading network information to mobile stations for location calculation
EP1168863A2 (en) Dual platform location-relevant service
WO2007077488A1 (en) Locationing of a mobile terminal using uim application toolkit
WO2002062092A1 (en) A method and a system for finding a partner based on location information in a communication system
KR100687412B1 (ko) 지역 이탈 알림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100620055B1 (ko) 위치정보요청 취소방법
CN102215561A (zh) 终端到终端的定位方法及系统
KR20060136131A (ko) 지역 이탈 알림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AU2008201208B2 (en) Method for implementing home zone application in mobile communication networks
KR20050110664A (ko)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서의 위치 확인 요청 및 측정 응답 및방법
KR100723674B1 (ko) 이동통신망을 이용한 맵 데이터의 자동 업데이트 제공방법, 네비게이션 단말기 및 시스템
KR102183325B1 (ko) 지오 펜싱 처리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100703189B1 (ko) MS-Based GPS 방식을 이용한 안전 운전 도우미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
JP5197764B2 (ja) PHS網でのロケーティング(locating)およびアシスタント・ロケーティングの方法および装置
KR20070073150A (ko) 단말 위치 정보 제공 시스템 및 방법
CN101317483A (zh) 用于将蜂窝移动终端连接到需要定位该终端的帮助服务的方法
CN101433056A (zh) 通过一个数字移动通信网络的移动站管理服务请求的方法
KR20050097107A (ko) 휴대단말기의 지역응급정보 제공장치 및 방법
JP2006108871A (ja) 天気情報通知システム、管理サーバ及び天気情報通知プログラム
KR100594576B1 (ko) 영역 분할을 이용한 위치추적 시스템 및 방법
KR100725127B1 (ko) 실시간 위치정보를 제공하는 ip-tv 방송 서비스 방법및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2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2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22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25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03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05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29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16

Year of fee payment: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