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60460B1 - 커버 락 기구 - Google Patents

커버 락 기구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60460B1
KR101360460B1 KR1020127021174A KR20127021174A KR101360460B1 KR 101360460 B1 KR101360460 B1 KR 101360460B1 KR 1020127021174 A KR1020127021174 A KR 1020127021174A KR 20127021174 A KR20127021174 A KR 20127021174A KR 101360460 B1 KR101360460 B1 KR 10136046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ver
opening
notch
latch
lock mechanis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70211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112786A (ko
Inventor
아키요 다카다
야스아키 마모토
Original Assignee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201127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1278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604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6046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CBOLTS OR FASTENING DEVICES FOR WINGS, SPECIALLY FOR DOORS OR WINDOWS
    • E05C21/00Arrangements or combinations of wing fastening, securing, or holding devices, not covered by a single preceding main group; Locking kit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CBOLTS OR FASTENING DEVICES FOR WINGS, SPECIALLY FOR DOORS OR WINDOWS
    • E05C3/00Fastening devices with bolts moving pivotally or rotatively
    • E05C3/02Fastening devices with bolts moving pivotally or rotatively without latching action
    • E05C3/04Fastening devices with bolts moving pivotally or rotatively without latching action with operating handle or equivalent member rigid with the bolt
    • E05C3/041Fastening devices with bolts moving pivotally or rotatively without latching action with operating handle or equivalent member rigid with the bolt rotating about an axis perpendicular to the surface on which the fastener is mounted
    • E05C3/042Fastening devices with bolts moving pivotally or rotatively without latching action with operating handle or equivalent member rigid with the bolt rotating about an axis perpendicular to the surface on which the fastener is mounted the handle being at one side, the bolt at the other side or inside the wing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CBOLTS OR FASTENING DEVICES FOR WINGS, SPECIALLY FOR DOORS OR WINDOWS
    • E05C17/00Devices for holding wings open; Devices for limiting opening of wings or for holding wings open by a movable member extending between frame and wing; Braking devices, stops or buffers, combined therewith
    • E05C17/02Devices for holding wings open; Devices for limiting opening of wings or for holding wings open by a movable member extending between frame and wing; Braking devices, stops or buffers, combined therewith by mechanical means
    • E05C17/46Devices for holding wings open; Devices for limiting opening of wings or for holding wings open by a movable member extending between frame and wing; Braking devices, stops or buffers, combined therewith by mechanical means in which the wing or a member fixed thereon is engaged by a movable fastening member in a fixed position; in which a movable fastening member mounted on the wing engages a stationary member
    • E05C17/50Devices for holding wings open; Devices for limiting opening of wings or for holding wings open by a movable member extending between frame and wing; Braking devices, stops or buffers, combined therewith by mechanical means in which the wing or a member fixed thereon is engaged by a movable fastening member in a fixed position; in which a movable fastening member mounted on the wing engages a stationary member comprising a single pivoted securing membe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2/00Closure fasteners
    • Y10T292/08Bolts
    • Y10T292/0911Hooked end
    • Y10T292/0926Spring project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asings For Electric Apparatus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케이스(10)의 개구부에 힌지를 통하여 개폐 가능하게 힌지 결합된 커버에 마련되고, 케이스(10)의 개구부의 주위(17)에 걸기 가능하게 형성된 랫치(40)를 가지는 커버 락 기구를 제공한다. 이 기구는, 일단(판스프링의 일단(41a))이 커버에 장착되고, 커버의 내측으로부터 개구부의 주위(17)의 방향으로 향하는 가압력에 의해, 타단(판스프링의 타단(41b))에 장착된 랫치(40)를 개구부의 주위(17)에 가압하여, 랫치(40)를 개구부의 주위(17)에 접촉시키는 판스프링(41)을 구비하고, 랫치(40)는 커버의 개방 동작시에, 커버를 제1 개방각으로 유지하는 형상(제1 노치부(44))을 가짐과 아울러, 커버가 제1 개방각보다 큰 제2 개방각 이상으로 개방되는 것을 저지하는 형상(제2 노치부(47))을 가진다.

Description

커버 락 기구 {COVER LOCKING MECHANISM}
본 발명은 전자기기 등을 수납하는 케이스 본체에 힌지를 통하여 장착된 커버의 락 기구에 관한 것이다.
열차나 자동차 등의 차량에는 각종 전자장치나, 공압, 유압제어장치가 탑재되어 있다. 이들 각종 제어장치는 차량의 내부, 바닥 아래 혹은 지붕 위 등에 설치되지만, 차량의 안전상 지극히 중요한 장치이므로, 풍우(風雨), 강설, 먼지 등의 침입를 방지하는 커버를 구비한 케이스에 설치되는 경우가 많다.
일반적인 케이스, 힌지에 의해서 회동하는 개폐커버가 케이스 개구부에 마련되고, 커버에 배치된 핸들을 소정의 각도까지 회전시켰을 때, 핸들의 타단에 마련된 걸쇠가 케이스 개구부에 걸려, 커버가 부주의하게 열리는 것을 방지하고 있다. 단, 보수 작업자가 케이스 내부의 장치를 보수 점검한 후에, 잠그는 것을 잊었을 경우 혹은 불완전하게 잠기는 경우, 차량의 주행시의 진동에 의해서 커버가 열릴 때가 있다고 하는 과제가 있었다.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는 수단으로서, 하기 특허문헌에 나타내는 종래의 커버 락 기구는 일단이 커버 이면에 장착된 판스프링에 유지되고, 타단이 후크(hook) 모양으로 형성된 랫치(latch)를 구비한다. 이 후크는 판스프링의 가압력에 의해서, 개구부에 걸리기 때문에, 잠그는 것을 잊었을 경우라도 소정의 각도 이상으로 커버가 열려 버리는 것을 방지하고 있다.
[특허문헌 1] 국제공개 제2006/006210호
그렇지만, 상기 특허문헌에 나타내는 종래의 기술은, 차량의 주행시의 진동이 큰 경우에는, 후크가 떨어질 가능성이 있어, 커버 락 기구로서의 기능이 발휘되지 않는 경우가 있다고 하는 과제가 있었다. 또, 보수 점검시에 커버가 전방으로 강하게 당겨졌을 때, 후크가 변형 혹은 파손하여, 커버 락 기구로서의 기능 저하 혹은 기능 불완전하게 빠지는 경우가 있다고 하는 과제도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에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기능 저하를 억제할 수 있는 커버 락 기구를 얻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케이스의 개구부에 힌지를 통하여 개폐 가능하게 힌지 결합된 커버에 마련되고, 상기 케이스의 개구부의 주위에 걸기 가능하게 형성된 랫치를 가지는 커버 락 기구로서, 일단이 상기 커버에 장착되고, 상기 커버의 내측으로부터 상기 개구부의 주위의 방향으로 향하는 가압력에 의해, 타단에 장착된 상기 랫치를 상기 개구부의 주위로 가압하며, 상기 랫치를 상기 개구부의 주위에 접촉시키는 판스프링을 구비하고, 상기 랫치는 상기 커버의 개방 동작시에 상기 커버를 제1 개방각으로 유지하는 형상을 가짐과 아울러, 상기 커버가 상기 제1 개방각보다 큰 제2 개방각 이상으로 개방되는 것을 저지하는 형상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커버의 내측에 장착된 판스프링의 가압력에 의해 케이스의 개구부의 임의점에 걸리는 후크와, 케이스의 개구부의 단부에 끼워맞추는 노치부를 가지는 랫치를 구비하도록 함으로써, 기능 저하를 억제할 수 있다고 하는 효과를 발휘한다.
도 1은 케이스 및 커버의 외관도이다.
도 2는 도 1에 나타내는 커버의 이면도이다.
도 3은 도 2에 나타내는 멈춤쇠가 개구부에 걸리는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도 2에 나타내는 랫치가 개구부에 걸리는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 관한 커버 락 기구를 상세하게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커버를 닫을 때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후크가 돌기부에 끼워맞춰질 때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은 커버를 열 때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는 제1 노치부를 생략한 랫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2에 관한 커버 락 기구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에, 본 발명에 관한 커버 락 기구의 실시형태를 도면에 근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또한, 이 실시형태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형태 1.
도 1은 케이스 및 커버의 외관도이며, 도 2는 도 1에 나타내는 커버의 이면도이며, 도 3은 도 2에 나타내는 멈춤쇠가 개구부에 걸리는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이고, 도 4는 도 2에 나타내는 랫치가 개구부에 걸리는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 관한 커버 락 기구를 상세하게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에 나타내는 케이스(10)에는 제어장치 등이 탑재되고, 케이스(10)의 개구부에는 커버(12)가 설치되어 있다. 도 2에서 본 실시형태에 관한 커버 락 기구는 커버(12)의 이면에 마련되며, 판스프링(41) 및 랫치(40)를 가지고 구성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관한 커버 락 기구는 케이스(10)에 대해서 개폐하는 도어식의 커버를 가진 상자 형상의 것이면, 그 내부에 수납하는 제어장치는 한정되지 않고, 또, 커버의 개폐방향에 관계없이 사용 가능하다.
도 2 및 도 3에서 커버(12)는 힌지(14)를 통하여 케이스(10)의 개구부를 개폐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커버(12)의 주위는 케이스(10) 측으로 절곡되어 있다. 개구부의 주위(17)에는 패킹 너트(16)와, 패킹 너트(16)의 내측에 배치된 패킹(P)이 마련되어 있다. 점검시에는, 커버(12)가 힌지(14)를 지점(支点)으로 하여 케이스(10)의 외측으로 열리고, 점검 완료시에는, 커버(12)의 단부가 패킹(P)에 맞닿는다. 커버(12)를 닫은 후에 핸들(13)을 소정의 각도로 회전시키면, 멈춤쇠(15)가 개구부의 주위(17)의 내측에 걸리기 때문에, 커버(12)의 단부가 패킹(P)으로 밀어붙여져 방진성 및 방수성이 향상한다.
도 4에서, 핸들(13)의 잠금이 불완전한 경우, 랫치(40)가 케이스(10)에 걸리기 때문에, 소정의 각도 이상으로 커버(12)가 열리지는 않는다. 또한, 도 2 ~ 도 3에서, 힌지(14)는 커버(12)의 상측에 마련되어 있지만, 이것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커버(12)에 대해서 상, 하, 우, 좌 중 어느 장소라도 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 관한 커버 락 기구를 상세하게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의 (a)에는 판스프링(41)과 랫치(40)가 나타내어져 있다. 판스프링의 일단(41a)은 용접 등으로 커버(12)에 마련되며, 판스프링의 타단(41b)은 랫치의 일단(40a)에 용접부(43)에서 접속되어 있다.
랫치의 일단(40a)에는 백 클리어런스(back clearance)(42)가 마련되어 있다. 백 클리어런스(42)는, 랫치(40)가 움직였을 때, 랫치(40)가 커버(12)에 간섭하지 않도록 가공되어 있다. 랫치의 타단(40b)에는 경사부(45)와, 후크(후크면)(46)과, 오목 모양으로 형성된 제1 노치부(44)와, 오목 모양으로 형성된 제2 노치부(47)가 마련되어 있다. 경사부(45)는 커버(12)의 닫기 동작시에 패킹 너트(16) 혹은 개구부의 주위(17)에 간섭하여, 랫치(40)가 개구부의 중심방향으로 움직이도록 갈고리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형성된 랫치(40)는 판스프링(41)에 의해 개구부의 주위(17)의 방향으로 가압되고, 판스프링(41)의 탄성변형에 의해 상하방향으로 움직인다. 즉, 랫치(40)는 판스프링(41)의 가압력에 의해서, 후크(46)가 개구부의 주위(17)의 임의점에 걸기 가능하게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말하는 「상하」에 대해서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에서는 커버(12)의 아래쪽에 랫치(40)를 장착한 예에 대해서 설명하고 있으므로, 랫치(40)가 움직이는 방향은 상하가 된다. 단, 예를 들면 힌지(14)가 좌측에 있고, 커버(12)가 왼쪽으로 열리는 경우에는, 랫치(40)의 움직임은 「좌우」가 된다. 즉, 일반적으로 말하면, 랫치(40)의 움직임은 커버(12)의 중심과 개구부의 주위(17)를 잇는 방향으로 움직이는 것이다.
제1 노치부(44)는 판스프링의 일단(41a)으로부터 소정의 거리를 둔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제1 노치부(44)보다도 랫치의 타단(40b) 측에는 제1 노치부(44)와 대략 직교하는 방향으로 잘린 제2 노치부(47)가 형성되어 있다.
이하, 도 5에 나타내는 랫치(40)의 각 부의 치수 및 형상을 설명한다.
도 5의 (b)에 나타내는 b는 패킹 너트(16)의 높이이며, c는 랫치(40)의 하면으로부터 랫치(40)를 밀어 올릴 때에 필요한 3 ~ 7㎝ 정도의 길이이고, d는 제1 노치부(44)의 홈폭이며, e는 케이스(10)의 판두께이고, f는 돌기부(19)의 높이이다. 또한, 홈폭(d)은 개구부의 주위(17)의 판두께보다 약간 큰 정도이다.
도 5의 (a)에 나타내는 제1 노치부(44)의 홈의 깊이는, 도 5의 (b)에 나타내는 개구부의 주위(17)의 단부로부터 패킹 너트(16)까지의 높이보다 깊게 형성되어 있으면 되고, 수 ㎜ 정도이다. 또, 제2 노치부(47)는 케이스(10)의 내측에 마련된 돌기부(19)가 끼워맞춰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도 5의 (a)에 나타내는 L1은 b+c이며, L2는 L1+d이다. L3(L)는 후크(46)로부터 제1 노치부(44)까지의 길이이고, L4는 L2+L3이다.
다음으로, 랫치(40)의 동작을 설명한다. 도 6은 커버를 닫을 때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 7은 후크가 돌기부에 끼워맞춰질 때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8은 커버를 열 때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커버(12)를 닫을 때의 동작을 설명하면, 도 6의 (a)에서 커버(12)를 닫는 방향으로 밀었을 때, 도 6의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랫치(40)의 경사부(45)는 패킹 너트(16) 혹은 개구부의 주위(17)에 간섭한다. 경사부(45)가 간섭하면, 랫치(40)는 판스프링(41)의 반력에 저항하여 위에 밀어 올려지며, 패킹 너트(16)의 상면을 슬라이드한다. 랫치(40)가 케이스(10)의 내부로 슬라이드하면, 도 6의 (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1 노치부(44)가 개구부의 주위(17)에 끼워맞춰진다. 이 상태에서는, 커버(12)가 닫히지 않기 때문에, 랫치(40)의 하면을 위로 밀어 올리고 나서 커버(12)를 닫는 방향으로 미는 것에 의해, 랫치(40)가 케이스(10)의 내부에 삽입된다. 그 결과, 도 6의 (d)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커버(12)의 주위의 절곡부가 패킹(P)에 간섭한다. 이 상태로 잠금이 걸려, 커버(12)가 고정된다.
다음으로, 커버(12)의 잠금이 해제되어(혹은 고의로 떨어져), 커버(12)가 열리는 경우의 동작(개방동작)을 설명한다. 도 7의 (a)에 나타내는 커버(12)는 도 6의 (d)의 상태로부터 외측으로 열린 상태이다. 커버(12)가 화살표 방향으로 열리기 시작하면, 제1 노치부(44)가 개구부의 주위(17)에 끼워맞춰진다. 따라서, 커버(12)는 제1 노치부(44)의 위치에서 거의 고정되고, 도 5에 나타내는 길이(L2) 이상으로 열리는 것도, 그 길이 미만으로 닫히는 것도 없다.
환언하면, 커버(12)는 도 7의 (a)에 나타내는 소정의 각도(제1 개방각)로 유지된다. 예를 들면, 차량의 바닥 아래 등에 설치되는 케이스(10)에는 징검돌 등에 대하는 강도를 확보한 견고한 커버(12)가 채용되고 있다. 또, 상기의 과제에서도 설명한 바와 같이, 힌지(14)가 상측에 있는 경우, 작업자는 커버를 들어올리면서 랫치(40)의 위치를 특정해야 한다. 이 때문에, 커버(12)를 약간 열린 상태를 유지 하면서 랫치(40)의 위치를 특정해야 하며, 특히, 복수의 랫치(40)가 마련되어 있는 경우, 작업자의 부담이 증대한다. 본 실시형태에 관한 커버 락 기구에 의하면, 커버(12)가 열린 상태로 유지되기 때문에, 작업자는 랫치(40)의 위치 등을 용이하게 특정할 수 있어, 점검작업을 효율적으로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이와 같이, 제1 노치부(44)는 커버(12)를 제1 개방각으로 유지하는 형상을 가지고 있다.
도 7의 (b)는, 도 7의 (a)의 상태에 있어서, 커버(12)가 열리는 방향으로 강한 힘 등이 작용하여, 제1 노치부(44)로부터 개구부의 주위(17)가 떨어진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이 경우, 케이스(10)의 내측에 마련된 돌기부(19)가 제2 노치부(47)에 끼워맞춰진다. 예를 들면, 제2 노치부(47)와 돌기부(19)가 없는 경우, 커버(12)에 강한 힘이 작용했을 때에, 랫치(40)가 판스프링(41)의 반력에 저항하여 위로 밀어 올려져, 개구부의 주위(17)로부터 벗어날 가능성이 있다. 이와 같은 사상(事象)은 인위적인 힘이 작용했을 경우뿐만이 아니라, 차량의 주행 중의 진동에 의해서도 발생할 가능성이 있다. 본 실시형태에 관한 커버 락 기구에 의하면, 커버(12)가 열리는 방향으로 강한 힘 등이 작용했을 경우라도, 후크(46)가 돌기부(19)에 끼워맞춰지므로, 랫치(40)가 개구부의 주위(17)로부터 벗어나는 것이 억제되어, L4 이상으로 열리지 않는다. 즉, 제2 노치부(47)는 커버(12)가 제1 개방각보다 큰 각도(제2 개방각) 이상으로 개방되는 것을 저지하는 형상을 가지고 있다.
여기서, 제1 노치부(44)로부터 개구부의 주위(17)가 떨어졌을 때에, 후크(46)가 돌기부(19)에 즉석에서 끼워맞춰지도록 하기 위해서는, L3(L) < e+f가 되도록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제1 노치부(44)와 제2 노치부(47)와의 간격은 개구부의 주위(17)가 제1 노치부(44)로부터 벗어났을 때에, 돌기부(19)가 제2 노치부(47)에 끼워 맞추는 관계가 성립되도록 설정되어 있다.
또, 도 6의 (d)의 상태에서, 커버(12)가 열리는 방향으로 작용하는 강한 힘이 작용했을 경우에는, 우선 도 7의 (a)와 같이, 개구부의 주위(17)가 제1 노치부(44)에서 걸리고, 다음으로, 도 7의 (b)과 같이, 돌기부(19)가 제2 노치부(47)에 끼워맞춰진다. 즉, 제1 노치부(44)에서 충격이 완화되기 때문에, 후크(46)의 변형 혹은 파손이 억제된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관한 돌기부(19)는, 도 5의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소정의 부재(18)를 단면 'L'자 모양으로 가공한 돌기 부분을 이용하고 있지만, 제2 노치부(47)에 끼워맞추는 형상인 것이면, 도 5의 (b)와 같은 부재(18)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8을 이용하여, 도 7의 (b)의 상태로부터 커버(12)를 더욱 열 때의 동작을 설명한다. 우선, 제2 노치부(47)가 돌기부(19)로부터 벗어나도록 커버(12)를 케이스(10) 측으로 밀면, 랫치(40)는 케이스(10)의 내부로 슬라이드한다. 랫치(40)가 케이스(10)의 내부로 슬라이드하면,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1 노치부(44)가 개구부의 주위(17)에 끼워맞춰진다. 다음으로, 랫치(40)의 하면을 위로 밀어 올린다. 밀어 올리는 부분은 커버(12)와 패킹(P)과의 틈새 부분이다. 후크(46)는 개구부의 주위(17)로부터 떨어지기 때문에, 이 상태에서 커버(12)를 여는 방향으로 당김으로써, 커버(12)를 열 수 있다.
여기서, 도 8에 나타내는 랫치(40)를 밀어 올릴 때, 돌기부(19)가 후크(46)에 걸리는 것을 억제하기 위해서는, f < L3(L)이 되도록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제1 노치부(44)와 제2 노치부(47)와의 간격은 제1 노치부(44)가 개구부의 주위(17)에 끼워맞춰져 있을 때에는 돌기부(19)가 제2 노치부(47)에 끼워맞춰지지 않는다고 하는 관계가 성립되도록 설정되어 있다.
도 9는 제1 노치부를 생략한 랫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의 랫치(40)에서는 제1 노치부(44)가 생략되어 있다. 예를 들면, 1개의 커버(12)에 도 5의 랫치(40)와 도 9의 랫치(40)를 혼재(混載)한 경우, 커버(12)는 도 5의 랫치(40)에 의해서 제1 노치부(44)의 위치에서 고정될 수 있기 때문에, 랫치(40)의 비용을 저감 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상에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관한 커버 락 기구는 일단(41a)이 커버(12)에 장착되고, 커버(12)의 내측으로부터 개구부의 주위(17)의 방향으로 향하는 가압력에 의해, 타단(41b)에 장착된 랫치(40)를 개구부의 주위(17)로 가압하고, 랫치(40)를 개구부의 주위(17)에 접촉시키는 판스프링(41)을 구비하며, 랫치(40)는, 커버(12)의 개방 동작시에, 커버(12)를 제1 개방각으로 유지하는 형상을 가짐과 아울러, 커버(12)를 제1 개방각보다 큰 제2 개방각 이상으로 개방되는 것을 저지하는 형상을 가지도록 함으로써, 커버(12)가 전방으로 강하게 당겨진 경우에서도 돌기부(19)가 제2 노치부(47)에 끼워맞춰져, 후크(46)의 변형 혹은 파손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실시형태 2.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2에 관한 커버 락 기구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실시형태 2에 관한 커버 락 기구는 실시형태 1의 판스프링(41) 대신에, 스프링 힌지(48)를 사용하고 있다. 또, 실시형태 2에 관한 커버 락 기구는 실시형태 1의 랫치(40) 대신에, 단면 'U'자형으로 형성된 벤트(bent) 랫치(50)를 사용하고 있다.
굽힘 부분(51, 52)은 실시형태 1의 랫치(40)와 동일한 형상이다. 굽힘 부분(51 및 52)의 일단은 리벳 등의 체결부재(49)에 의해서 스프링 힌지(48)의 타단에 마련되어 있다. 이 때, 벤트 랫치(50)의 폭(W)은 스프링 힌지(48)의 폭보다 약간 큰 것으로 한다.
이와 같이, 용접 없는 구조로 함으로써, 리벳 등의 체결작업을 할 수 있는 작업자라면 누구라도 이 커버 락 기구를 제작할 수 있다. 또, 실시형태 1의 랫치(40)는 개구부의 주위(17)의 1개소에만 걸리는 형태이지만, 실시형태 2에 관한 벤트 랫치(50)는 실시형태 1의 랫치(40)를 2개 가지는 구조이기 때문에, 벤트 랫치(50)를 채용한 경우, 실시형태 1보다도 강고한 커버 락 기구를 실현 가능하다.
<산업상의 이용 가능성>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전자기기 등을 수납하는 케이스에 장착된 커버의 락 기구에 적용 가능하고, 특히, 기능 저하를 억제하며, 또한, 점검작업의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발명으로서 유용하다.
10 케이스 12 커버
13 핸들 14 힌지
15 걸림쇠 16 패킹 너트
17 개구부의 주위 18 소정의 부재
19 돌기부 40 랫치
40a 랫치의 일단 40b 랫치의 타단
41 판스프링 41a 판스프링의 일단
41b 판스프링의 타단 42 백 클리어런스
43 용접부 44 제1 노치부
45 경사부 46 후크(후크면)
47 제2 노치부 48 스프링 힌지
49 체결부재 50 벤트 랫치
51, 52 굽힘 부분 P 패킹

Claims (7)

  1. 케이스의 개구부에 힌지를 통하여 개폐 가능하게 힌지 결합된 커버에 마련되고, 상기 케이스의 개구부의 주위에 걸기 가능하게 형성된 랫치(latch)를 가지는 커버 락 기구로서,
    일단이 상기 커버에 장착되고, 상기 커버의 내측으로부터 상기 개구부의 주위의 방향으로 향하는 가압력에 의해, 타단에 장착된 상기 랫치를 상기 개구부의 주위로 가압하여, 상기 랫치를 상기 개구부의 주위에 접촉시키는 판스프링을 구비하며,
    상기 랫치는,
    상기 개구부의 주위에 끼워맞춤하여, 상기 커버를 제1 개방각으로 유지하는 제1 노치부와,
    상기 개구부의 주위에 설치된 소정의 부재에 끼워맞춤하여, 상기 커버를 제2 개방각 이상으로 개방되는 것을 저지하는 제2 노치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버 락 기구.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랫치는 후크 모양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1 노치부는 상기 랫치의 일단으로부터 소정의 거리를 둔 위치에 오목 모양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2 노치부는 상기 제1 노치부보다도 상기 케이스 측에 마련된 후크면에 오목 모양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버 락 기구.
  3. 청구항 1 또는 2에 있어서,
    상기 소정의 부재는 상기 케이스의 내측에 마련된 돌기부이며,
    상기 제1 노치부와 상기 제2 노치부와의 간격은, 상기 개구부의 주위가 상기 제1 노치부로부터 벗어났을 때에, 상기 돌기부가 상기 제2 노치부에 끼워맞춰지도록 설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버 락 기구.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제1 노치부와 상기 제2 노치부와의 간격은, 상기 제1 노치부가 상기 개구부의 주위에 끼워맞춰져 있을 때에는, 상기 돌기부가 상기 제2 노치부에 끼워맞춰지지 않도록 설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버락기구.
  5. 청구항 1 또는 2에 있어서,
    상기 제1 노치부 및 상기 제2 노치부는,
    직교하는 방향으로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버 락 기구.
  6. 청구항 1 또는 2에 있어서,
    상기 제1 노치부 및 상기 제2 노치부는,
    판재를 단면 'U'자형으로 형성한 부재에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버 락 기구.
  7. 삭제
KR1020127021174A 2010-02-16 2010-02-16 커버 락 기구 KR10136046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2010/052276 WO2011101953A1 (ja) 2010-02-16 2010-02-16 カバーロック機構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12786A KR20120112786A (ko) 2012-10-11
KR101360460B1 true KR101360460B1 (ko) 2014-02-07

Family

ID=444825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7021174A KR101360460B1 (ko) 2010-02-16 2010-02-16 커버 락 기구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20120306219A1 (ko)
EP (1) EP2538006A4 (ko)
JP (1) JP5318276B2 (ko)
KR (1) KR101360460B1 (ko)
CN (1) CN102753778A (ko)
AU (1) AU2010346217B2 (ko)
WO (1) WO201110195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3028715B1 (fr) * 2014-11-25 2017-03-31 Pellenc Sa Outil de coupe motorise a garde.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16598B (de) * 1954-05-05 1957-09-26 Ernst Roedel Feststeller fuer Fenster, insbesondere fuer Stallfenster oder aehnliche Fenster
JPS53108145U (ko) * 1977-02-05 1978-08-30
DE29511692U1 (de) * 1995-07-20 1995-09-14 Kohl, Anton, 54531 Manderscheid Vorrichtung zum Begrenzen der Öffnungsbewegung, Verhindern des Zuschlagens und/oder Feststellen des Flügels eines Fensters oder einer Tür in wenigstens einer Offenstellung
WO2006006210A1 (ja) * 2004-07-08 2006-01-19 Mitsubishi Denki Kabushiki Kaisha カバーロック機構

Family Cites Families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28740A (en) * 1905-10-11 1906-08-14 Parkerson R Giles Gate-fastener.
US952715A (en) * 1909-08-26 1910-03-22 Paul P Shonka Door-catch.
US987469A (en) * 1910-11-07 1911-03-21 Raymond O Lewis Gate-fastener.
US1020845A (en) * 1911-03-25 1912-03-19 William T Kessels Vault-cover.
US1213040A (en) * 1915-05-24 1917-01-16 Nathaniel Twombly Door-latch.
US1402758A (en) * 1921-02-04 1922-01-10 Beehler Steel Products Company Box fastener
US2272167A (en) * 1940-03-20 1942-02-10 Ternstedt Mfg Co Door lock
US2272825A (en) * 1941-07-29 1942-02-10 Anderson Einar Lock for kitchen closets
US2562916A (en) * 1946-07-12 1951-08-07 Commw Of Pennsylvania Door fastener
US2801871A (en) * 1954-11-08 1957-08-06 Charles C Radcliffe Bar latch for doors
US2996325A (en) * 1959-11-17 1961-08-15 Albert A Chenel Casement window stabilizer
US3225363A (en) * 1964-03-31 1965-12-28 Kirsch Benjamin Foot-actuated latch
US3381992A (en) * 1966-05-31 1968-05-07 Alfred J. Friesen Fastening device
US3621684A (en) * 1970-02-09 1971-11-23 Gen Electric Child safe freezer
SE355043B (ko) * 1971-05-25 1973-04-02 I Asp
JPS5227408Y2 (ko) * 1971-08-24 1977-06-22
US3940181A (en) * 1973-05-18 1976-02-24 Dart Industries, Inc. Adjustable hassock
US4194773A (en) * 1978-01-24 1980-03-25 Jaros Philip W Latching device
US4717184A (en) * 1985-06-10 1988-01-05 Phil Boyce Safety latch for drawers and the like
US4929004A (en) * 1989-03-27 1990-05-29 Chidester Patrick H Vehicle door latch
JPH0743401Y2 (ja) * 1989-10-27 1995-10-09 株式会社ニフコ ロック具
US5769517A (en) * 1996-02-14 1998-06-23 Carde; Felix Drawer safety lock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16598B (de) * 1954-05-05 1957-09-26 Ernst Roedel Feststeller fuer Fenster, insbesondere fuer Stallfenster oder aehnliche Fenster
JPS53108145U (ko) * 1977-02-05 1978-08-30
DE29511692U1 (de) * 1995-07-20 1995-09-14 Kohl, Anton, 54531 Manderscheid Vorrichtung zum Begrenzen der Öffnungsbewegung, Verhindern des Zuschlagens und/oder Feststellen des Flügels eines Fensters oder einer Tür in wenigstens einer Offenstellung
WO2006006210A1 (ja) * 2004-07-08 2006-01-19 Mitsubishi Denki Kabushiki Kaisha カバーロック機構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20306219A1 (en) 2012-12-06
KR20120112786A (ko) 2012-10-11
JPWO2011101953A1 (ja) 2013-06-17
AU2010346217A1 (en) 2012-09-20
AU2010346217B2 (en) 2014-09-04
EP2538006A1 (en) 2012-12-26
EP2538006A4 (en) 2013-07-03
CN102753778A (zh) 2012-10-24
JP5318276B2 (ja) 2013-10-16
WO2011101953A1 (ja) 2011-08-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204519B1 (en) Door device
JP4528804B2 (ja) 自動車用ドアラッチ装置
US7070225B2 (en) Industrial truck with a lateral frame opening and a frame-reinforcing door
JP4466923B2 (ja) 建設機械のキャブガードロック装置
US20150224858A1 (en) Automobile door structure
US9067551B2 (en) Apparatus for opening and closing side skirt of truck
US10352349B2 (en) Safety hook
US8245546B2 (en) Container lock and method for locking of container door
JP6800126B2 (ja) 作業車
KR20150032299A (ko) 잠금 장치 및 차량 시트
KR101360460B1 (ko) 커버 락 기구
US20060261599A1 (en) Cover lock mechanism
JP4875643B2 (ja) 建設機械
US11299919B2 (en) Dual actuated latch mechanism for a vehicle
KR102066793B1 (ko) 지게차의 틸트 캐빈용 록킹장치
JP4629647B2 (ja) 制御ハンドル装置
JP4806318B2 (ja) 圧縮コイルスプリング組付構造及び車両用フードリフト装置
KR100830721B1 (ko) 맨홀뚜껑 잠금장치
JP6333121B2 (ja) シートスライド装置
JP4879357B1 (ja) 地下構造物用鉄蓋におけるテーパー嵌合解除装置
KR200371342Y1 (ko) 중장비의 전면유리창용 록킹장치
JP2017214013A (ja) 車両のドア構造
KR100698566B1 (ko) 커버 록 기구
JP2021172977A (ja) 車両用フードロック構造
CN117901627A (zh) 车辆用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0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19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