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59542B1 - Microsatellite primer sets for discriminating cultivars of peach and uses thereof - Google Patents

Microsatellite primer sets for discriminating cultivars of peach and uses thereof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59542B1
KR101359542B1 KR1020120023877A KR20120023877A KR101359542B1 KR 101359542 B1 KR101359542 B1 KR 101359542B1 KR 1020120023877 A KR1020120023877 A KR 1020120023877A KR 20120023877 A KR20120023877 A KR 20120023877A KR 101359542 B1 KR101359542 B1 KR 10135954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q
peach
nos
oligonucleotide primer
primer s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23877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30102775A (en
Inventor
홍지화
이승인
Original Assignee
대한민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한민국 filed Critical 대한민국
Priority to KR10201200238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59542B1/en
Publication of KR201301027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02775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595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59542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Q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OR TEST PAPER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CONDITION-RESPONSIVE CONTROL IN MICROBIOLOGICAL OR ENZYMOLOGICAL PROCESSES
    • C12Q1/00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 C12Q1/68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involving nucleic acids
    • C12Q1/6844Nucleic acid amplification reac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Q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OR TEST PAPER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CONDITION-RESPONSIVE CONTROL IN MICROBIOLOGICAL OR ENZYMOLOGICAL PROCESSES
    • C12Q2525/00Reactions involving modified oligonucleotides, nucleic acids, or nucleotides
    • C12Q2525/10Modifications characterised by
    • C12Q2525/151Modifications characterised by repeat or repeated sequences, e.g. VNTR, microsatellite, concatemer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Zoolog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roteomics, Peptides & Aminoacid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physic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Immun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Biotechnology (AREA)
  • Biochemistr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Measuring Or Testing Involving Enzymes Or Micro-Organis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서열번호 1 내지 서열번호 28의 올리고뉴클레오티드들로 구성되는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올리고뉴클레오티드 프라이머 세트를 포함하는 복숭아 품종 식별용 프라이머 세트, 상기 올리고뉴클레오티드 프라이머 세트 및 증폭 반응을 수행하기 위한 시약을 포함하는 복숭아 품종을 식별하기 위한 키트 및 상기 프라이머 세트를 이용하여 복숭아 품종을 식별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primer set for identifying a peach variety comprising at least one oligonucleotide primer set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oligonucleotides of SEQ ID NO: 1 to SEQ ID NO: 28, the oligonucleotide primer set and a reagent for performing the amplification reac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kit for identifying a peach variety, and a method for identifying a peach variety using the primer set.

Description

복숭아 품종 식별용 초위성체 프라이머 세트 및 이의 용도 {Microsatellite primer sets for discriminating cultivars of peach and uses thereof}Microsatellite primer sets for discriminating cultivars of peach and uses approximately}

본 발명은 복숭아 품종 식별용 초위성체 프라이머 세트 및 이의 용도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서열번호 1 내지 서열번호 28의 올리고뉴클레오티드들로 구성되는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올리고뉴클레오티드 프라이머 세트를 포함하는 복숭아 품종 식별용 프라이머 세트, 상기 올리고뉴클레오티드 프라이머 세트 및 증폭 반응을 수행하기 위한 시약을 포함하는 복숭아 품종을 식별하기 위한 키트 및 상기 프라이머 세트를 이용하여 복숭아 품종을 식별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upersatellite primer set for identifying a peach variety and its use, and more particularly to a peach variety comprising at least one oligonucleotide primer set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oligonucleotides of SEQ ID NO: 1 to SEQ ID NO: 28 A kit for identifying a peach variety comprising a primer set for identification, the oligonucleotide primer set and a reagent for carrying out an amplification reaction, and a method for identifying a peach variety using the primer set.

분자 표지는 농작물의 내병성 또는 기능성과 관련된 유전자의 지도 작성 (mapping) 및 형질 연관 마커의 개발, 형질과 관련된 양적 유전자의 염색체상 위치의 확인 (QTL, Quantitative Trait Locus), 분자표지를 이용한 F1 순도검정 등과 같은 여러 가지 분자 육종 분야에 활용되고 있다. 또한 분자표지 연구는 식물 품종 보호분야에서도 활용되고 있다. 국제 신품종보호연맹(UPOV)은 DNA 마커를 신품종의 특성조사와 식물 신품종보호권 부여에 활용하기 위한 논의를 진행 중이며 아직까지 유전자 수준에서 단순한 염기서열 차이를 품종의 구별성으로 인정하고 있지는 않으나, 품종식별을 위한 분자표지의 활용 가능성을 제안하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육종가의 권리보호를 위해 분자 표지를 활용함에 있어 과거에 주로 사용하였던 AFLP (Amplified Fragment Length Polymorphism)나 RAPD (Random Amplification of Polymorphic DNA) 분석 기술에 의한 결과는 인정하지 않고 품종간 다형성 정도, 분석의 재현성, 염색체상의 분포 정도를 고려할 때 SSR (Simple Sequence Repeat), 초위성체 (Microsatellite), SNP (Single Nucleotide Polymorphism) 및 CAPS (Cleaved Amplified Polymorphic Sequence) 방법을 활용하는 것을 제안하고 있다는 점이다.Molecular markers include mapping of genes associated with crop resistance and functionality, development of trait markers, identification of chromosomal positions of quantitative genes associated with traits (QTL, Quantitative Trait Locus), and F1 purity assay using molecular markers. It is used in various molecular breeding fields such as Molecular labeling is also used in plant variety protection. The UPOV is discussing the use of DNA markers for characterization of new varieties and granting new plant protection rights, but it has not yet recognized simple sequence differences at the genetic level as distinctive varieties. It proposes the possibility of using molecular labeling for Specifically, in the use of molecular labels to protect breeder's rights, the results obtained by AFLP (Amplified Fragment Length Polymorphism) or RAPD (Random Amplification of Polymorphic DNA) analysis techniques, which were mainly used in the past, are not recognized. Considering the reproducibility of the analysis and the degree of distribution on the chromosome, it is proposed to use the Simple Sequence Repeat (SSR), Microsatellite, Single Nucleotide Polymorphism (SNP) and Cleaved Amplified Polymorphic Sequence (CAPS) methods.

일반적으로 식물 품종을 식별하는 방법은 크게 재배시험을 통한 형태적 특성검정과 품종간 동위효소의 차이를 통한 검정, DNA 분석 방법으로 나뉜다. 이 중 DNA 분석 방법은 표현형에 근거한 식별방법에 비해 재배환경 및 작물의 생장단계에 영향을 받지 않아 객관적이며 재현성 또한 높다는 장점이 있다.In general, methods for identifying plant varieties are divided into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through cultivation tests, assays through isoenzyme differences between varieties, and DNA analysis methods. Among them, the DNA analysis method has an advantage of being objective and reproducible because it is not affected by the cultivation environment and the growth stage of the crop compared to the phenotype-based identification method.

실제로 국내외 품종 식별에 대한 DNA 분석 개발 및 활용 현황을 살펴보면, 우리나라에서는 농촌진흥청에서 벼, 콩 등에 대한 SSR 분자표지를, 딸기에 대한 CAPS 분자표지를 이용한 품종 식별 기술을 보고한 바 있다. 또한, 국립종자원은 SSR 분자표지를 이용하여 고추, 배추, 수박, 토마토, 복숭아, 장미, 양파, 상추 등에 대한 작물의 DNA 프로파일을 데이터베이스화하였으며, 종자 분쟁 발생 시 이를 중재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몇몇 작물의 분자 표지를 직접 이용하고 있으며 최근에는 품종보호 출원 작물에 대한 대조품종 선정에 유전자 분석 결과를 보조 자료로 활용하고 있다. 한편, 품종식별용 SSR 분자표지 중 순도검정용 마커에 대해서는 육종가 지원을 위한 박과 작물 F1 순도검정에 활용한바 있다. Indeed, if we look at the status of developing and utilizing DNA analysis for domestic and foreign varieties identification, Korea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reported SSR molecular labeling for rice, soybean, and CAPS molecular labeling for strawberry. In addition, the National Species Resource used SSR molecular labels to database the DNA profiles of crops for peppers, cabbages, watermelons, tomatoes, peaches, roses, onions, lettuces, and so on. Molecular markers are used directly, and recently, genetic analysis results are used as a supplementary data for selection of control varieties for crops applied for varieties protection. On the other hand, the purity test marker of the SSR molecular label for breed identification was utilized for the F1 purity test for gourds and crops to support breeders.

국외 국가의 사례를 살펴보면, 스페인에서는 포도 등의 작물에 SSR 분석 기술을 이용하여 각 품종별 DNA 프로파일을 데이터베이스화하여 기본 유래 품종의 식별, 기존 품종의 관리 등에 활용하고 있다. 중국의 경우 옥수수 약 4000 품종에 대하여 SSR, SNP 분자표지를 이용한 DNA 프로파일을 데이터베이스화하고 있으며 법원에서도 품종보호 침해사례 판단에 유전자분석 결과를 적극 활용하고 있다. 일본은 복숭아, 배, 사과 등에 SSR 분자표지와, 딸기, 차에 CAPS 분자표지를 활용한 품종 식별 방법을 개발하여 육종가의 권리 보호에 활용하고 있다.In the case of foreign countries, in Spain, SSR analysis technology is used to produce a database of DNA profiles for each variety of crops, such as grapes, for use in identifying the base-derived varieties and managing existing varieties. In China, a DNA profile using SSR and SNP molecular labels for about 4000 varieties of maize is databased, and courts are actively using genetic analysis results to determine cases of infringement of varieties protection. Japan has developed a variety identification method using SSR molecular labels on peaches, pears and apples, and CAPS molecular labels on strawberries and teas to protect breeders' rights.

한편, 장미과 작물인 복숭아는 생과로 직접 이용되거나 잼, 주스, 통조림 등 가공식품의 재료로 이용되고 있고, 과수 작물 중 국내 육성 품종 및 생산판매 신고 품종수가 668품종(2011년 11월 기준)으로 가장 많아 과수 시장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높다고 할 수 있다. 복숭아는 계통에 따라 백도, 황도, 천도로 크게 분류할 수 있으며 교배에 의한 실생묘 선발, 변이지 선발 등에 의해 육종되고 있다. On the other hand, peach, a rose family, is used directly as raw fruit or as a material for processed foods such as jams, juices, and canned foods. In other words, the share of fruit trees is high. Peaches can be broadly classified into white, zodiacal, and nectar according to their lineage, and are bred by selection of live seedlings and mutants by mating.

복숭아에 대한 분자 유전학적 연구 동향을 살펴보면, 외국의 경우 국제 장미과 작물 게놈 프로젝트 (Rosaceae Genomics Projects)가 수행되어 복숭아의 유전자 지도 작성, EST (Expressed Sequence Tag) 정보, 분자 표지 정보 등을 데이터베이스화하여 이를 공개하고 있다(http://www.rosaceae.org/). 일본에서는 60개의 SSR 마커를 개발하여 이를 복숭아 품종의 유연관계를 분석하는데 활용할 수 있는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Toshiya Y et al., 2003. J. Japan. Soc. Hort. Sci. 72(2): 116-121). 이탈리아에서는 17개의 SSR 마커를 개발한 다음 이를 벚나무 (Prunus) 종에 활용하였다 (Cipriani G et al., 1999. Theor. Appl. Genet. 99, 65-72). 미국에서는 28품종에서 다형성을 보이는 10개의 SSR 마커를 활용하여 복숭아 유전자 지도 작성에 활용하였다 (Sosinski B et al., Theor. Appl. Genet 101, 421-428). 국내에서는 SCAR 마커를 이용하여 복숭아 품종 식별에 활용한 사례가 있다 (한상은 등, 한국육종학회 제 42권 제5호, 2010년). 그러나, 초위성체 마커 세트를 이용하여 복숭아 품종을 식별할 수 있는 적절한 마커의 조합 및 자동염기서열분석기를 이용한 정밀한 유전자형분석 (genotyping) 기술은 아직까지 국내적으로 확립되지 못한 상태이다. If you look at the trends in molecular genetic research on peach, the international Rosaceae Genomics Projects have been carried out in foreign countries, and the peach gene mapping, EST (Expressed Sequence Tag) information, molecular labeling information, etc. (Http://www.rosaceae.org/). In Japan, we have developed 60 SSR markers and suggested the possibility of using them to analyze the soft relationships of peach varieties (Toshiya Y et al., 2003. J. Japan. Soc. Hort. Sci. 72 (2): 116 -121). In Italy, 17 SSR markers were developed and used for Prunus species (Cipriani G et al., 1999. Theor. Appl. Genet. 99, 65-72). In the United States, 10 SSR markers showing polymorphisms in 28 varieties were used to map peach genes (Sosinski B et al., Theor. Appl. Genet 101, 421-428). In Korea, SCAR markers have been used to identify peach varieties (Han Sang-eun et al., Korean Society for Breeding, Vol. 42, No. 5, 2010). However, a combination of appropriate markers capable of identifying peach varieties using a set of supersatellite markers and a precise genotyping technique using an automatic base sequencer have not yet been established domestically.

한편, 한국공개특허 제2011-0111069호에는 '초위성체 마커를 이용한 오이 품종 식별 방법'이 개시되어 있고, 한국등록특허 제1011694호에는 '분자 표지를 이용한 배추 품종 식별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와 같이, 국내에서 유통되는 96개의 복숭아 품종 식별용 초위성체 프라이머 세트에 대해서는 개시된 바가 전혀 없다.On the other hand, Korean Patent Publication No. 2011-0111069 discloses a method for identifying cucumber varieties using a satellite marker, and Korean Patent No. 1011694 discloses a method for identifying cabbage varieties using a molecular label. However, as in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no disclosure about a set of 96 physiological primers for identification of peach varieties distributed in Korea.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요구에 의해 도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자들은 복숭아 게놈에서 직접 게놈 라이브러리 (genomic library)를 제작하여 SSR 마커를 개발하는 방법에 비해 시간 및 비용을 크게 절약할 수 있는 복숭아 품종식별 방법에 대한 연구를 지속해오던 중, 복숭아 EST 유래 SSR 마커 및 체리의 SSR 마커로부터 국내에서 최초로 복숭아 96개의 유통품종에 대해 다형성을 나타내는 초위성체 마커를 선별하였다. 이들 초위성체 마커를 프라이머로 이용하여 국내 복숭아 품종의 게놈 DNA를 증폭시킨 후 생성된 증폭 산물을 확인하였고, 복숭아 품종 진위성에 대한 과학적 검증에 실용적으로 활용할 수 있음을 확인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The present invention is derived from the above requirements, the present inventors can produce a genomic library directly from the peach genome (genomic library) peach variety identification method that can save a significant time and cost compared to the method of developing the SSR markers While continuing the study, we selected the supersonic markers showing polymorphism for 96 peach varieties of peach from the peach EST-derived SSR marker and cherry SSR marker for the first time in Korea. The amplification products generated after amplifying the genomic DNA of domestic peach varieties using these supersatellite markers as primers were confirmed, and the present invention was completed by confirming that the amplification products could be practically used for scientific verification of authenticity of peach varieties.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서열번호 1 내지 서열번호 28의 올리고뉴클레오티드들로 구성되는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올리고뉴클레오티드 프라이머 세트를 포함하는 복숭아 품종 식별용 프라이머 세트를 제공한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primer set for identifying peach varieties comprising at least one oligonucleotide primer set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oligonucleotides of SEQ ID NO: 1 to SEQ ID NO: 28.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올리고뉴클레오티드 프라이머 세트 및 증폭 반응을 수행하기 위한 시약을 포함하는 복숭아 품종을 식별하기 위한 키트를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also provides a kit for identifying a peach variety comprising the oligonucleotide primer set and a reagent for performing an amplification reaction.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프라이머 세트를 이용하여 복숭아 품종을 식별하는 방법을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also provides a method of identifying peach varieties using the primer set.

본 발명에 따르면, 본 발명의 복숭아 품종 식별용 마커만을 사용하여 국내에서 유통되고 있는 복숭아 품종 96개를 식별할 수 있다. 따라서, 복숭아 품종의 진위성 규명 및 품종 보호 출원시 대조 품종의 선정 등과 같은 다양한 분야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identify 96 peach varieties circulating in Korea using only the peach variety identification marker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it can be usefully used in various fields, such as identifying the authenticity of peach varieties and selecting control varieties in varietal protection applications.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마커에 의해 분석된 각 복숭아 품종을 코드화하고 NTSYSPC 컴퓨터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복숭아 품종 식별 및 품종별 유전적 유사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국내외에서 육성된 96개 복숭아 품종을 대상으로 본 발명의 14개의 프라이머 세트를 이용하여 증폭하였을 때 대립 유전자의 크기에 따라 밴드의 유무를 코드화한 것으로, 밴드가 존재할 때에는 "1"로 나타내었고, 밴드가 존재하지 않을 때에는 "0"으로 나타낸 것이다.
Figure 1 encodes each peach variety analyzed by the mark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shows the genetic similarity of the peach variety identification and varieties using NTSYSPC computer program.
2 is a coded presence or absence of a band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allele when amplified using the 14 primer sets of the present invention in 96 peach varieties grown at home and abroad, represented by "1" when the band is present And when no band is present, " 0 ".

본 발명은 국내에서 유통되고 있는 복숭아 품종에 대하여 다형성을 나타내는 프라이머 세트(서열번호 1 내지 28)를 포함하는, 복숭아 품종을 식별하기 위한 마커를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arker for identifying a peach variety, including a primer set (SEQ ID NOS: 1 to 28) exhibiting polymorphism with respect to the peach variety in circulation in Korea.

상기 마커는 국내외에서 유통되고 있는 복숭아 96개 품종에 대해 높은 다형성을 나타내는 초위성체 마커로서, 국내에서 유통되고 있는 복숭아 품종을 특이적으로 식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마커는 국내외 육종기관 및 개인육종가에 의해 육성되어 판매되고 있는 복숭아 96개 품종에 대해 높은 다형성을 나타내는 초위성체 마커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마커는 하기 표 1에 기재된 복숭아 96개 품종에 대하여 높은 다형성을 나타내었다.The marker is a super satellite marker showing a high polymorphism for 96 varieties of peach distributed in Korea and abroad, and can specifically identify peach varieties distributed in Korea. The marker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supersatellite marker showing high polymorphism for 96 varieties of peaches that are grown and sold by domestic and international breeding agencies and individual breeders. Specifically, the markers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ed high polymorphism for 96 varieties of peach described in Table 1 below.

본 발명의 마커는 예를 들면, 하기 표 2에 기재된 염기 서열(서열번호 1 내지 28)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마커를 포함할 수 있다.The marker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for example, one or more markers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the nucleotide sequences shown in Table 2 below (SEQ ID NOS: 1 to 28).

본 명세서에서, 마커는 프라이머 세트와 상호교환하여 사용할 수 있다.In this specification, markers can be used interchangeably with primer sets.

본 발명의 복숭아 품종 식별용 프라이머 세트는 구체적으로The primer set for identifying the peach variety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pecifically

서열번호 1의 서열 내의 15개 이상의 연속 뉴클레오티드의 절편으로 이루어진 올리고뉴클레오티드들로 구성되는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올리고뉴클레오티드 및 서열번호 2의 서열 내의 15개 이상의 연속 뉴클레오티드의 절편으로 이어진 올리고뉴클레오티드들로 구성되는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올리고뉴클레오티드를 포함하는 올리고뉴클레오티드 프라이머 세트;One or more oligonucleotides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oligonucleotides consisting of fragments of at least 15 contiguous nucleotides in the sequence of SEQ ID NO: 1 and oligonucleotides consisting of fragments of at least 15 contiguous nucleotides in the sequence of SEQ ID NO: 2 An oligonucleotide primer set comprising one or more oligonucleotides selected from the group;

서열번호 3의 서열 내의 15개 이상의 연속 뉴클레오티드의 절편으로 이루어진 올리고뉴클레오티드들로 구성되는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올리고뉴클레오티드 및 서열번호 4의 서열 내의 15개 이상의 연속 뉴클레오티드의 절편으로 이루어진 올리고뉴클레오티드들로 구성되는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올리고뉴클레오티드를 포함하는 올리고뉴클레오티드 프라이머 세트;At least one oligonucleotid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fragments of at least 15 contiguous nucleotides in the sequence of SEQ ID NO: 3 and oligonucleotides consisting of fragments of at least 15 contiguous nucleotides in the sequence of SEQ ID NO: 4 An oligonucleotide primer set comprising one or more oligonucleotides selected from the group;

서열번호 5의 서열 내의 15개 이상의 연속 뉴클레오티드의 절편으로 이루어진 올리고뉴클레오티드들로 구성되는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올리고뉴클레오티드 및 서열번호 6의 서열 내의 15개 이상의 연속 뉴클레오티드의 절편으로 이루어진 올리고뉴클레오티드들로 구성되는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올리고뉴클레오티드를 포함하는 올리고뉴클레오티드 프라이머 세트;At least one oligonucleotid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fragments of at least 15 contiguous nucleotides in the sequence of SEQ ID NO: 5 and oligonucleotides consisting of fragments of at least 15 contiguous nucleotides in the sequence of SEQ ID NO: 6 An oligonucleotide primer set comprising one or more oligonucleotides selected from the group;

서열번호 7의 서열 내의 15개 이상의 연속 뉴클레오티드의 절편으로 이루어진 올리고뉴클레오티드들로 구성되는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올리고뉴클레오티드 및 서열번호 8의 서열 내의 15개 이상의 연속 뉴클레오티드의 절편으로 이루어진 올리고뉴클레오티드들로 구성되는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올리고뉴클레오티드를 포함하는 올리고뉴클레오티드 프라이머 세트;At least one oligonucleotid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fragments of at least 15 contiguous nucleotides in the sequence of SEQ ID NO: 7 and oligonucleotides consisting of fragments of at least 15 contiguous nucleotides in the sequence of SEQ ID NO: 8 An oligonucleotide primer set comprising one or more oligonucleotides selected from the group;

서열번호 9의 서열 내의 15개 이상의 연속 뉴클레오티드의 절편으로 이루어진 올리고뉴클레오티드들로 구성되는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올리고뉴클레오티드 및 서열번호 10의 서열 내의 15개 이상의 연속 뉴클레오티드의 절편으로 이루어진 올리고뉴클레오티드들로 구성되는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올리고뉴클레오티드를 포함하는 올리고뉴클레오티드 프라이머 세트;At least one oligonucleotid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fragments of at least 15 contiguous nucleotides in the sequence of SEQ ID NO. 9 and oligonucleotides consisting of fragments of at least 15 contiguous nucleotides in the sequence of SEQ ID NO. An oligonucleotide primer set comprising one or more oligonucleotides selected from the group;

서열번호 11의 서열 내의 15개 이상의 연속 뉴클레오티드의 절편으로 이루어진 올리고뉴클레오티드들로 구성되는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올리고뉴클레오티드 및 서열번호 12의 서열 내의 15개 이상의 연속 뉴클레오티드의 절편으로 이루어진 올리고뉴클레오티드들로 구성되는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올리고뉴클레오티드를 포함하는 올리고뉴클레오티드 프라이머 세트;At least one oligonucleotid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fragments of at least 15 contiguous nucleotides in the sequence of SEQ ID NO. 11 and oligonucleotides consisting of fragments of at least 15 contiguous nucleotides in the sequence of SEQ ID NO. An oligonucleotide primer set comprising one or more oligonucleotides selected from the group;

서열번호 13의 서열 내의 15개 이상의 연속 뉴클레오티드의 절편으로 이루어진 올리고뉴클레오티드들로 구성되는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올리고뉴클레오티드 및 서열번호 14의 서열 내의 15개 이상의 연속 뉴클레오티드의 절편으로 이루어진 올리고뉴클레오티드들로 구성되는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올리고뉴클레오티드를 포함하는 올리고뉴클레오티드 프라이머 세트;At least one oligonucleotid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fragments of at least 15 contiguous nucleotides in the sequence of SEQ ID NO: 13 and oligonucleotides consisting of fragments of at least 15 contiguous nucleotides in the sequence of SEQ ID NO: 14 An oligonucleotide primer set comprising one or more oligonucleotides selected from the group;

서열번호 15의 서열 내의 15개 이상의 연속 뉴클레오티드의 절편으로 이루어진 올리고뉴클레오티드들로 구성되는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올리고뉴클레오티드 및 서열번호 16의 서열 내의 15개 이상의 연속 뉴클레오티드의 절편으로 이루어진 올리고뉴클레오티드들로 구성되는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올리고뉴클레오티드를 포함하는 올리고뉴클레오티드 프라이머 세트;One or more oligonucleotides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oligonucleotides consisting of fragments of 15 or more consecutive nucleotides in the sequence of SEQ ID NO: 15 and oligonucleotides consisting of fragments of 15 or more consecutive nucleotides in the sequence of SEQ ID NO: 16 An oligonucleotide primer set comprising one or more oligonucleotides selected from the group;

서열번호 17의 서열 내의 15개 이상의 연속 뉴클레오티드의 절편으로 이루어진 올리고뉴클레오티드들로 구성되는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올리고뉴클레오티드 및 서열번호 18의 서열 내의 15개 이상의 연속 뉴클레오티드의 절편으로 이루어진 올리고뉴클레오티드들로 구성되는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올리고뉴클레오티드를 포함하는 올리고뉴클레오티드 프라이머 세트;At least one oligonucleotid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fragments of at least 15 contiguous nucleotides in the sequence of SEQ ID NO. 17 and oligonucleotides consisting of fragments of at least 15 contiguous nucleotides in the sequence of SEQ ID NO. An oligonucleotide primer set comprising one or more oligonucleotides selected from the group;

서열번호 19의 서열 내의 15개 이상의 연속 뉴클레오티드의 절편으로 이루어진 올리고뉴클레오티드들로 구성되는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올리고뉴클레오티드 및 서열번호 20의 서열 내의 15개 이상의 연속 뉴클레오티드의 절편으로 이루어진 올리고뉴클레오티드들로 구성되는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올리고뉴클레오티드를 포함하는 올리고뉴클레오티드 프라이머 세트;At least one oligonucleotid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fragments of at least 15 contiguous nucleotides in the sequence of SEQ ID NO: 19 and oligonucleotides consisting of fragments of at least 15 contiguous nucleotides in the sequence of SEQ ID NO: 20 An oligonucleotide primer set comprising one or more oligonucleotides selected from the group;

서열번호 21의 서열 내의 15개 이상의 연속 뉴클레오티드의 절편으로 이루어진 올리고뉴클레오티드들로 구성되는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올리고뉴클레오티드 및 서열번호 22의 서열 내의 15개 이상의 연속 뉴클레오티드의 절편으로 이루어진 올리고뉴클레오티드들로 구성되는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올리고뉴클레오티드를 포함하는 올리고뉴클레오티드 프라이머 세트;At least one oligonucleotid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fragments of at least 15 contiguous nucleotides in the sequence of SEQ ID NO: 21 and oligonucleotides consisting of fragments of at least 15 contiguous nucleotides in the sequence of SEQ ID NO: 22 An oligonucleotide primer set comprising one or more oligonucleotides selected from the group;

서열번호 23의 서열 내의 15개 이상의 연속 뉴클레오티드의 절편으로 이루어진 올리고뉴클레오티드들로 구성되는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올리고뉴클레오티드 및 서열번호 24의 서열 내의 15개 이상의 연속 뉴클레오티드의 절편으로 이루어진 올리고뉴클레오티드들로 구성되는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올리고뉴클레오티드를 포함하는 올리고뉴클레오티드 프라이머 세트;One or more oligonucleotides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oligonucleotides consisting of fragments of at least 15 contiguous nucleotides in the sequence of SEQ ID NO: 23 and oligonucleotides consisting of fragments of at least 15 contiguous nucleotides in the sequence of SEQ ID NO: 24 An oligonucleotide primer set comprising one or more oligonucleotides selected from the group;

서열번호 25의 서열 내의 15개 이상의 연속 뉴클레오티드의 절편으로 이루어진 올리고뉴클레오티드들로 구성되는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올리고뉴클레오티드 및 서열번호 26의 서열 내의 15개 이상의 연속 뉴클레오티드의 절편으로 이루어진 올리고뉴클레오티드들로 구성되는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올리고뉴클레오티드를 포함하는 올리고뉴클레오티드 프라이머 세트; 및At least one oligonucleotid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fragments of at least 15 contiguous nucleotides in the sequence of SEQ ID NO: 25 and oligonucleotides consisting of fragments of at least 15 contiguous nucleotides in the sequence of SEQ ID NO: 26 An oligonucleotide primer set comprising one or more oligonucleotides selected from the group; And

서열번호 27의 서열 내의 15개 이상의 연속 뉴클레오티드의 절편으로 이루어진 올리고뉴클레오티드들로 구성되는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올리고뉴클레오티드 및 서열번호 28의 서열 내의 15개 이상의 연속 뉴클레오티드의 절편으로 이루어진 올리고뉴클레오티드들로 구성되는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올리고뉴클레오티드를 포함하는 올리고뉴클레오티드 프라이머 세트;At least one oligonucleotid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fragments of at least 15 contiguous nucleotides in the sequence of SEQ ID NO: 27 and oligonucleotides consisting of fragments of at least 15 contiguous nucleotides in the sequence of SEQ ID NO: 28 An oligonucleotide primer set comprising one or more oligonucleotides selected from the group;

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올리고뉴클레오티드 프라이머 세트를 포함할 수 있다.It may comprise one or more oligonucleotide primer set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본 발명의 복숭아 품종 식별용 프라이머 세트는 바람직하게는The primer set for identifying the peach variety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eferably

서열번호 1 및 2의 올리고뉴클레오티드 프라이머 세트; 서열번호 3 및 4의 올리고뉴클레오티드 프라이머 세트; 서열번호 5 및 6의 올리고뉴클레오티드 프라이머 세트; 서열번호 7 및 8의 올리고뉴클레오티드 프라이머 세트; 서열번호 9 및 10의 올리고뉴클레오티드 프라이머 세트; 서열번호 11 및 12의 올리고뉴클레오티드 프라이머 세트; 서열번호 13 및 14의 올리고뉴클레오티드 프라이머 세트; 서열번호 15 및 16의 올리고뉴클레오티드 프라이머 세트; 서열번호 17 및 18의 올리고뉴클레오티드 프라이머 세트; 서열번호 19 및 20의 올리고뉴클레오티드 프라이머 세트; 서열번호 21 및 22의 올리고뉴클레오티드 프라이머 세트; 서열번호 23 및 24의 올리고뉴클레오티드 프라이머 세트; 서열번호 25 및 26의 올리고뉴클레오티드 프라이머 세트; 및 서열번호 27 및 28의 올리고뉴클레오티드 프라이머 세트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올리고뉴클레오티드 프라이머 세트를 포함할 수 있으며,Oligonucleotide primer sets of SEQ ID NOs: 1 and 2; Oligonucleotide primer sets of SEQ ID NOs: 3 and 4; Oligonucleotide primer sets of SEQ ID NOs: 5 and 6; Oligonucleotide primer sets of SEQ ID NOs: 7 and 8; Oligonucleotide primer sets of SEQ ID NOs: 9 and 10; Oligonucleotide primer sets of SEQ ID NOs: 11 and 12; An oligonucleotide primer set of SEQ ID NOs: 13 and 14; An oligonucleotide primer set of SEQ ID NOS: 15 and 16; An oligonucleotide primer set of SEQ ID NOS: 17 and 18; An oligonucleotide primer set of SEQ ID NOS: 19 and 20; Oligonucleotide primer sets of SEQ ID NOS: 21 and 22; An oligonucleotide primer set of SEQ ID NOs: 23 and 24; An oligonucleotide primer set of SEQ ID NOs: 25 and 26; And one or more oligonucleotide primer sets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oligonucleotide primer sets of SEQ ID NOs: 27 and 28,

가장 바람직하게는Most preferably,

서열번호 1 및 2의 올리고뉴클레오티드 프라이머 세트; 서열번호 3 및 4의 올리고뉴클레오티드 프라이머 세트; 서열번호 5 및 6의 올리고뉴클레오티드 프라이머 세트; 서열번호 7 및 8의 올리고뉴클레오티드 프라이머 세트; 서열번호 9 및 10의 올리고뉴클레오티드 프라이머 세트; 서열번호 11 및 12의 올리고뉴클레오티드 프라이머 세트; 서열번호 13 및 14의 올리고뉴클레오티드 프라이머 세트; 서열번호 15 및 16의 올리고뉴클레오티드 프라이머 세트; 서열번호 17 및 18의 올리고뉴클레오티드 프라이머 세트; 서열번호 19 및 20의 올리고뉴클레오티드 프라이머 세트; 서열번호 21 및 22의 올리고뉴클레오티드 프라이머 세트; 서열번호 23 및 24의 올리고뉴클레오티드 프라이머 세트; 서열번호 25 및 26의 올리고뉴클레오티드 프라이머 세트; 및 서열번호 27 및 28의 올리고뉴클레오티드 프라이머 세트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Oligonucleotide primer sets of SEQ ID NOs: 1 and 2; Oligonucleotide primer sets of SEQ ID NOs: 3 and 4; Oligonucleotide primer sets of SEQ ID NOs: 5 and 6; Oligonucleotide primer sets of SEQ ID NOs: 7 and 8; Oligonucleotide primer sets of SEQ ID NOs: 9 and 10; Oligonucleotide primer sets of SEQ ID NOs: 11 and 12; An oligonucleotide primer set of SEQ ID NOs: 13 and 14; An oligonucleotide primer set of SEQ ID NOS: 15 and 16; An oligonucleotide primer set of SEQ ID NOS: 17 and 18; An oligonucleotide primer set of SEQ ID NOS: 19 and 20; Oligonucleotide primer sets of SEQ ID NOS: 21 and 22; An oligonucleotide primer set of SEQ ID NOs: 23 and 24; An oligonucleotide primer set of SEQ ID NOs: 25 and 26; And oligonucleotide primer sets of SEQ ID NOs: 27 and 28.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올리고뉴클레오티드 프라이머 세트는 바람직하게는 증가하는 순서대로 선호되는 2개 이상, 3개 이상, 4개 이상, 5개 이상, 6개 이상, 7개 이상, 8개 이상, 9개 이상, 10개 이상, 11개 이상, 12개 이상, 13개 이상의 프라이머 세트일 수 있으며, 가장 바람직하게는 14개의 프라이머 세트이다. 14개의 SSR 프라이머 세트를 동시에 이용하면 96개 복숭아 품종을 가장 정확하게 판별할 수 있다.The oligonucleotide primer set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eferably two or more, three or more, four or more, five or more, six or more, seven or more, eight or more, preferably in increasing order, There may be at least 9, at least 10, at least 11, at least 12, at least 13 primer sets, most preferably 14 primer sets. The simultaneous use of 14 SSR primer sets provides the most accurate identification of 96 peach varieties.

상기 SSR 프라이머는 각 SSR 프라이머의 서열 길이에 따라, 서열번호 1 내지 서열번호 28의 서열 내의 15개 이상, 16개 이상, 17개 이상, 18개 이상, 19개 이상, 20개 이상, 21개 이상의 연속 뉴클레오티드의 절편으로 이루어진 올리고뉴클레오티드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서열번호 1의 SSR 프라이머(20개 올리고뉴클레오티드)는 서열번호 1의 서열 내의 15개 이상, 16개 이상, 17개 이상, 18개 이상, 19개 이상의 연속 뉴클레오티드의 절편으로 이루어진 올리고뉴클레오티드를 포함할 수 있으며, 서열번호 2의 SSR 프라이머(18개 올리고뉴클레오티드)는 서열번호 2의 서열 내의 15개 이상, 16개 이상, 17개 이상의 연속 뉴클레오티드의 절편으로 이루어진 올리고뉴클레오티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SSR 프라이머는 서열번호 1 내지 서열번호 28의 염기서열의 부가, 결실 또는 치환된 서열도 포함할 수 있다.The SSR primers may be 15 or more, 16 or more, 17 or more, 18 or more, 19 or more, 20 or more, 21 or more in the sequence of SEQ ID NO: 1 to SEQ ID NO: 28, depending on the sequence length of each SSR primer. Oligonucleotides consisting of segments of contiguous nucleotides. For example, the SSR primer (20 oligonucleotides) of SEQ ID NO: 1 is an oligonucleotide consisting of segments of at least 15, 16, 17, 18, 19, or 19 contiguous nucleotides within the sequence of SEQ ID NO: 1 It may include, SSR primer of SEQ ID NO: 2 (18 oligonucleotides) may include oligonucleotide consisting of fragments of at least 15, 16 or more, 17 or more consecutive nucleotides in the sequence of SEQ ID NO: 2. In addition, the SSR primer may include a sequence of addition, deletion or substitution of the nucleotide sequence of SEQ ID NO: 1 to SEQ ID NO: 28.

본 발명에 있어서, "프라이머"는 카피하려는 핵산 가닥에 상보적인 단일 가닥 올리고뉴클레오티드 서열을 말하며, 프라이머 연장 산물의 합성을 위한 개시점으로서 작용할 수 있다. 상기 프라이머의 길이 및 서열은 연장 산물의 합성을 시작하도록 허용해야 한다. 프라이머의 구체적인 길이 및 서열은 요구되는 DNA 또는 RNA 표적의 복합도(complexity)뿐만 아니라 온도 및 이온 강도와 같은 프라이머 이용 조건에 의존할 것이다.In the present invention, a "primer" refers to a single strand oligonucleotide sequence complementary to a nucleic acid strand to be copied, and may serve as a starting point for synthesis of a primer extension product. The length and sequence of the primer should allow the synthesis of the extension product to begin. The specific length and sequence of the primer will depend on the primer usage conditions such as temperature and ionic strength, as well as the complexity of the desired DNA or RNA target.

본 명세서에 있어서, 프라이머로서 이용된 올리고뉴클레오티드는 또한 뉴클레오티드 유사체(analogue), 예를 들면, 포스포로티오에이트(phosphorothioate), 알킬포스포로티오에이트 또는 펩티드 핵산(peptide nucleic acid)를 포함할 수 있거나 또는 삽입 물질(intercalating agent)를 포함할 수 있다.
As used herein, an oligonucleotide used as a primer may also include a nucleotide analogue, such as phosphorothioate, alkylphosphorothioate, or peptide nucleic acid, or alternatively, And may include an intercalating agent.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In order to achieve still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올리고뉴클레오티드 프라이머 세트; 및 증폭 반응을 수행하기 위한 시약을 포함하는, 복숭아 품종을 식별하기 위한 키트를 제공한다.Oligonucleotide primer sets of the invention; And kits for identifying peach varieties, including reagents for conducting amplification reactions.

본 발명의 키트에서, 상기 증폭 반응을 수행하기 위한 시약은 DNA 폴리머라제, dNTPs, 버퍼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키트는 최적의 반응 수행 조건을 기재한 사용자 안내서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안내서는 키트 사용법, 예를 들면, PCR 완충액 제조 방법, 제시되는 반응 조건 등을 설명하는 인쇄물이다. 안내서는 팜플렛 또는 전단지 형태의 안내 책자, 키트에 부착된 라벨, 및 키트를 포함하는 패키지의 표면상에 설명을 포함한다. 또한, 안내서는 인터넷과 같이 전기 매체를 통해 공개되거나 제공되는 정보를 포함한다.
In the ki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reagent for carrying out the amplification reaction may include DNA polymerase, dNTPs, buffer and the like. In addition, the ki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user guide describing optimal reaction performing conditions. The manual is a printed document that explains how to use the kit, for example, how to prepare PCR buffer, the reaction conditions presented, and so on. The brochure includes instructions on the surface of the package including the brochure or leaflet in the form of a brochure, a label attached to the kit, and a kit. In addition, the brochure includes information that is disclosed or provided through an electronic medium such as the Internet.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In order to achieve still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복숭아로부터 유래된 게놈 DNA를 주형으로 하고 본 발명의 복숭아 품종 식별용 프라이머 세트를 프라이머로 사용하여 핵산을 증폭하는 단계; 및Amplifying the nucleic acid using genomic DNA derived from a peach as a template and using the primer set for identifying a peach variety of the present invention as a primer; And

상기 증폭 산물로부터 상기 복숭아의 품종을 식별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복숭아 품종을 식별하는 방법을 제공한다.It provides a method for identifying a peach variety, comprising the step of identifying the variety of the peach from the amplification product.

본 발명의 복숭아 품종 식별 방법에서, 복숭아로부터 유래된 게놈 DNA는 복숭아의 식물 전체로부터 DNA를 채취하는 통상적인 방법을 사용함으로써 얻을 수 있는데, 예를 들면, CTAB 방법을 이용할 수도 있고, wizard prep 키트(Promega 사)를 이용할 수도 있다. 복숭아로부터 유래된 게놈 DNA는 복숭아의 잎, 줄기 또는 과실로부터 유래될 수 있고, 특히 복숭아의 어린 식물체의 잎으로부터 채취될 수 있다.In the peach variety identification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genomic DNA derived from peach can be obtained by using a conventional method of collecting DNA from the whole plant of peach, for example, CTAB method can be used, and wizard prep kit ( Promega can also be used. Genomic DNA derived from peach can be derived from the leaves, stems, or fruits of the peach, and in particular can be taken from the leaves of young plants of the peach.

본 발명의 복숭아 품종 식별 방법에서, 게놈 DNA의 증폭은 중합효소연쇄반응(PCR), 리가아제 연쇄반응(ligase chain reaction), 핵산 서열 기재 증폭(nucleic acid sequence-based amplification), 전사 기재 증폭 시스템(transcription-based amplification system), 가닥 치환 증폭(strand displacement amplification) 또는 Qβ 복제효소(replicase)를 통한 증폭 또는 당업계에 알려진 핵산 분자를 증폭하기 위한 임의의 기타 적당한 방법이 있다. 이 중에서, PCR(polymerase chain reaction)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 PCR 반응은 일반적으로 여러 성분을 포함하는 PCR 반응액을 이용하여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PCR 반응액은 분석하고자 하는 복숭아로부터 유래된 게놈 DNA, 본 발명의 프라이머 세트, 적당량의 DNA 중합 효소(예를 들면, Taq polymerase), dNTP 혼합물, PCR 완충 용액(buffer) 및 물을 포함한다. 상기 PCR 완충용액은 KCl, Tris-HCl 및 MgCl2를 함유할 수 있다.In the peach variety identification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amplification of genomic DNA is performed by PCR, ligase chain reaction, nucleic acid sequence-based amplification, transcription-based amplification system ( There is a transcription-based amplification system, strand displacement amplification or amplification via Qβ replicase or any other suitable method for amplifying nucleic acid molecules known in the art. Among these, it is preferable to use a polymerase chain reaction (PCR). Specifically, the PCR reaction may be generally performed using a PCR reaction solution containing several components. For example, the PCR reaction solution may include genomic DNA derived from the peach to be analyzed, the primer set of the present invention, an appropriate amount of DNA polymerase (eg, Taq polymerase), dNTP mixture, PCR buffer and water. It includes. The PCR buffer may contain KCl, Tris-HCl and MgCl 2.

본 발명의 방법에 있어서, 상기 증폭된 핵산 서열은 검출가능한 표지 물질로 표지될 수 있다. 일 구현예에서, 상기 표지 물질은 형광, 인광 또는 방사성을 발하는 물질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표지 물질은 Cy-5 또는 Cy-3이다. 표적 서열의 증폭시 프라이머의 5'-말단에 Cy-5 또는 Cy-3를 표지하여 PCR을 수행하면 표적 서열이 검출가능한 형광 표지 물질로 표지될 수 있다. 또한, 방사성 물질을 이용한 표지는 PCR 수행시 32P 또는 35S 등과 같은 방사성 동위원소를 PCR 반응액에 첨가하면 증폭 산물이 합성되면서 방사성이 증폭 산물에 혼입되어 증폭 산물이 방사성으로 표지될 수 있다.In the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mplified nucleic acid sequence may be labeled with a detectable labeling substance. In one embodiment, the labeling material may be, but is not limited to, a material that emits fluorescence, phosphorescence, or radioactivity. Preferably, the labeling substance is Cy-5 or Cy-3. When the target sequence is amplified, PCR is carried out by labeling the 5'-end of the primer with Cy-5 or Cy-3, and the target sequence may be labeled with a detectable fluorescent labeling substance. When the radioactive isotope such as 32 P or 35 S is added to the PCR reaction solution, the amplification product may be synthesized and the radioactive substance may be incorporated into the amplification product and the amplification product may be labeled as radioactive.

본 발명에서 상기 증폭된 산물로부터 복숭아 품종을 식별하는 단계는 자동 염기 서열 분석기를 이용하여 대립 유전자(밴드)의 크기를 컴퓨터 프로그램에 의해 확인한 다음 각각의 품종을 식별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각각의 복숭아 품종에 대하여 본 발명의 마커에 의한 증폭 산물의 유무를 표로 작성하고 상기 증폭된 산물과의 비교 분석을 통해 복숭아 품종을 식별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본 발명의 마커를 이용하여 각각의 복숭아 품종으로부터 나온 대립 유전자의 크기를 미리 하나의 표로 정리한 다음 대립 유전자의 존재 유무를 밝혀 대립 유전자가 존재할 때에는 "1"로 나타내고 대립 유전자가 존재하지 않을 때에는 "0"으로 나타낸다. 따라서, 품종을 식별하고자 하는 복숭아로부터 게놈 DNA를 분리한 후, 본 발명의 마커를 이용하여 증폭하고, 증폭된 산물의 크기를 분석한 다음 통계 프로그램을 통하여 복숭아 품종의 식별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step of identifying peach varieties from the amplified product may be performed by a computer program for checking the size of an allele (band) using an automatic sequencing analyzer and then identifying each variety. Specifically, for each peach variety, the presence or absence of an amplification product by the marker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prepared in a table and the peach variety can be identified through a comparative analysis with the amplified product. For example, using the marker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ize of the alleles from each peach variety is summarized in one table, and then the presence or absence of the alleles is indicated. When the alleles are present, the alleles are represented as "1". When not indicated, "0" is displayed. Therefore, after genomic DNA is isolated from the peach to identify the variety, the amplification using the marker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ize of the amplified product can be analyzed and then whether the identification of the peach variety can be confirmed through a statistical program.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에 의해 상세히 설명한다. 단,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내용이 하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by way of examples. However, the following examples are illustrativ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following examples.

실시예Example 1: 복숭아 품종 식별을 위한  1: for identifying peach varieties 마커의Marker 평가 evaluation

(1) 복숭아 시료(1) peach sample

본 발명에서는 하기 표 1에 기재된 복숭아 96개 품종을 복숭아 품종 식별용 프라이머 세트의 선별을 위해 사용하였다.In the present invention, 96 peach varieties described in Table 1 were used for selection of primer sets for identifying peach varieties.

품종 식별용 복숭아 96개 품종96 varieties of peaches for identification 연번Serial number 품종명Breed name 연번Serial number 품종명Breed name 연번Serial number 품종명Breed name 1One 미스리카Misrica 3333 주조생황도Casting 6565 메이그랜드May Grand 22 평총레드Flat red 3434 사자조생Lion 6666 명성Fame 33 플레이버탑Flavor Top 3535 대화조생Conversation 6767 미드골드Mid gold 44 감조백도Whiteness 3636 기도백도Prayer 6868 미청백도Blue White 55 애지백도Aegean 3737 백미조생White rice 6969 백약도White medicine 66 도백봉Dobaekbong 3838 아마토2호Amato 2 7070 백천Baekcheon 77 도산백봉Dosan Baekbong 3939 이즈미백도Izumi white island 7171 백향Cedar 88 무정조생백봉Amethyst Baekbong 4040 용궁백도Yonggungbaekdo 7272 복조생백도Demodulation 99 사오또메Saotome 4141 월봉조생Monthly salary 7373 선골드Sun gold 1010 산리백봉Sanri Baekbong 4242 월하조생Oak spring 7474 선프레Sunpre 1111 송삼조생Songsam Algae 4343 창방조생A window assistant 7575 수봉Subong 1212 오도로끼 (경봉)Odoroki (beep) 4444 형보조생An assistant 7676 스위트광황Suites 1313 일천백봉One thousand one hundred 4545 미향Taste 7777 아마토1호Amato 1 1414 장택백봉Jang Taek Baekbong 4646 엘버타Elberta 7878 애천중도Acheon-myeon 1515 팔번백봉8 times 4747 미황Rice 7979 얼리스칼릿Earliest 1616 진미Delicacy 4848 서미골드Summi Gold 8080 용성황도Elongated zodiacal 1717 뇌호내백도Encephalitis 4949 수황Sulfur 8181 용황백도Huanghuang white peach 1818 대구보Daegubo 5050 조황Condition 8282 일월도January 1919 서야백도West white 5151 찌요마루Chiyomaru 8383 임흥백도Imheung Baekdo 2020 아부백도Abu White 5252 관성황도Inertia 8484 장호원황도Jang Ho Won 2121 포목조생Early bird 5353 gold 8585 저시랜드Jerseyland 2222 청수백도Cheongsubaekdo 5454 금수황도Vulture 8686 점보아까쯔끼Jumbo Akatsuki 2323 스타킹딜리셔스Stockings 5555 뉴요커New Yorker 8787 중진백도Jungjin Whitedo 2424 스프링타임Spring time 5656 대박황도Jackpot 8888 지하백도Underground 2525 암킹Hacking 5757 대통령President 8989 카나디안하모니Canadian Harmony 2626 천홍Cheonhong 5858 더비Derby 9090 콜린스Collins 2727 하홍Hahong 5959 라리탄로즈Raritan Rose 9191 키라라노키와미Kirara no Kiwami 2828 관성백도Inertia 6060 레드골드Red gold 9292 플로다글로Flodaglo 2929 대명Daemyung 6161 로얄황도Royal zodiacal 9393 피셔Fisher 3030 백설Snow White 6262 로즈프린스Rose Prince 9494 하모니harmony 3131 월미복숭아Wolmi Peach 6363 롱택골드Long Tag Gold 9595 한일백도Hanilbaekdo 3232 인황백도Phosphorus white 6464 리치헤이번Rich Haven 9696 황귀비Poppy

(2) 게놈 DNA의 추출(2) Extraction of genomic DNA

상기 표 1에 기재된 공시된 복숭아 품종의 유엽을 채취하여 게놈 DNA의 분리 재료로 이용하였다. 채취한 복숭아의 유엽이 보관되어 있는 2 ml 튜브에 텅스텐 구슬 2개를 넣고 액체 질소(-196℃)를 이용하여 급속 동결시킨 다음 볼텍싱 (Vortexing) 과정을 반복하면서 조직을 고르게 마쇄하였다. 충분히 마쇄된 조직은 NucleoSpin® PlantII (Macherey-Nagel Cat. 740 770.250) 키트를 이용하여 게놈 DNA를 분리하였다. 세포 용해 버퍼 (lysis buffer)는 PL2를 사용하였다. 추출된 게놈 DNA는 1.2% 아가로스 젤에서 전기영동하여 DNA의 농도를 확인하였고, 정량한 후 ㎕당 20 ng의 농도로 희석한 다음, 이를 PCR 분석에 이용하였다.
The leaves of the published peach varieties shown in Table 1 were taken and used as a material for separating genomic DNA. Two tungsten beads were placed in a 2 ml tube in which the leaves of the collected peaches were stored and rapidly frozen with liquid nitrogen (-196 ° C), and the tissues were evenly ground while repeating the vortexing process. Fully ground tissue was isolated genomic DNA using the NucleoSpin ® Plant II (Macherey-Nagel Cat. 740 770.250) kit. PL2 was used as a cell lysis buffer. The extracted genomic DNA was electrophoresed in 1.2% agarose gel to confirm the concentration of DNA. After quantification, the genomic DNA was diluted to a concentration of 20 ng per μl and used for PCR analysis.

(3) 프라이머 세트의 제작(3) Preparation of primer set

본 발명의 프라이머 세트를 위한 후보 물질로 185개 마커를 이용하였다. 이용된 마커는 복숭아뿐만 아니라 장미과 벚나무 (Prunus) 속내 다른 종인 사과, 체리, 배의 마커도 포함하였다. 이들 마커는 일본에서 Yamamoto 등이 개발한 복숭아 8개 (Toshiya Y et al., 2003. J. Japan. Soc. Hort. Sci. 72(2):116-121), 배 13개 (Yamamoto T et al., 2002. Molecular Ecology Notes. 2:14-16), 미국에서 개발된 복숭아 15개 마커, 체리 5개 마커 (Sosinski B et al., 2000. Theor. Appl. Genet 101, 421-428), 이탈리아에서 개발된 복숭아 17개 (Cipriani G et al., 1999. Theor. Appl. Genet. 99: 65-72), 스위스에서 개발된 사과 17개 (Gianfranceschi L et al., 1998. Theor. Appl. Genet. 96: 1069-1076), 뉴질랜드에서 개발된 사과 14개 (Guilford P et al., 1997. Theor. Appl. Genet. 94:249-254), 미국에서 개발된 복숭아 17개 마커 (Ying Wang et al., 2002. Genome 45:319-32), 중국에서 개발된 복숭아 14개 마커 (Xiaoying Li et al., 2010. BMC Genetics, 11:66), 터키에서 개발된 체리 13개 마커 (Yildiz Aka Kacar et al., 2005. Journal of Biological Sciences. 5(5): 616-619) 및 국제 장미과 작물 게놈 프로젝트의 데이터베이스 (Genome Database for Rosaceae)에서 복숭아 61개 EST-SSR 마커 (http://www.rosaceae.org/)를 이용하였다. 국내에서 유통되는 복숭아 품종에 대해 높은 다형성을 가진 마커를 선발하기 위해서 찌요마루, 암킹, 월봉조생, 창방조생, 천홍, 도백봉, 엘버타, 장호원황도 품종으로부터 나온 게놈 DNA를 185개의 프라이머 세트를 이용하여 PCR 반응을 시킨 다음, 증폭된 DNA 단편을 6% 폴리아크릴아마이드 시퀀싱 젤 (polyacrylamide sequencing gel)에서 2시간 동안 전기 영동하고 Silver sequenceTM 염색 시약 (Promega, USA)으로 염색하였다. 염색 후 밴드를 확인하여 각 시료별 대립 유전자의 차이를 분석한 다음, 반복 재현성이 높고 밴드의 패턴이 깨끗하며 다형성 정도가 높은 30개의 마커를 1차적으로 선정하였다. 이들 30개 마커의 분자 표지에 대해 자동 염기 서열 분석기를 통한 정밀 분석을 수행하기 위하여, 정방향 프라이머가 형광 발생 물질 FAM, VIC, NED 또는 PET 중 하나로 형광 표지된 올리고뉴클레오티드를 제작하였다. 그리고 이 30개 마커를 이용한 유전자 분석 결과 품종 식별 능력이 높으며, 96품종을 식별할 수 있는 최소 마커 14개를 최종 선정하였다 (표 2).185 markers were used as candidates for the primer se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arkers used included not only peaches, but also markers of other species in the genus Rose and Prunus, apples, cherries and pears. These markers include eight peaches (Toshiya Y et al., 2003. J. Japan. Soc. Hort. Sci. 72 (2): 116-121) developed by Yamamoto et al. In Japan, and 13 pears (Yamamoto T et al. , 2002. Molecular Ecology Notes. 2: 14-16), 15 markers of peach and 5 cherries developed in the United States (Sosinski B et al., 2000. Theor.Appl. Genet 101, 421-428), Italy 17 peaches developed in Cipriani G et al., 1999. Theor. Appl. Genet. 99: 65-72; 17 apples developed in Switzerland (Gianfranceschi L et al., 1998. Theor. Appl. Genet. 96: 1069-1076), 14 apples developed in New Zealand (Guilford P et al., 1997. Theor.Appl. Genet. 94: 249-254), 17 markers developed in the United States (Ying Wang et al. Genome 45: 319-32), 14 markers developed in China (Xiaoying Li et al., 2010. BMC Genetics, 11:66), 13 markers developed in Turkey (Yildiz Aka Kacar et al. ., 2005. Journal of Biological Sciences. 5 (5): 616-619) and the International Rosary Crop Genome Project. Peach 61 EST-SSR markers (http://www.rosaceae.org/) were used in the Genome Database for Rosaceae. To select markers with high polymorphism for peach varieties distributed in Korea, genomic DNA from Chiyomaru, female King, Wolbongsaeng, Changbangsaeng, Cheonhong, Dobaekbong, Elberta, and Jangwon Wondo cultivars were used with 185 primer sets. After the PCR reaction, the amplified DNA fragments were electrophoresed for 2 hours in a 6% polyacrylamide sequencing gel and stained with Silver sequence staining reagent (Promega, USA). After staining, the bands were identified and analyzed for differences in alleles of each sample, and 30 markers with high repeatability, clear band pattern, and high polymorphism were selected first. In order to perform precise analysis through an automatic sequencing analysis of the molecular labels of these 30 markers, oligonucleotides in which the forward primers were fluorescently labeled with one of the fluorescent generating materials FAM, VIC, NED or PET were prepared. As a result of genetic analysis using the 30 markers, a minimum of 14 markers capable of identifying a variety of 96 varieties were finally selected (Table 2).

복숭아 품종 식별용 마커Peach varieties identification marker 서열번호SEQ ID NO: 초위성체
표지인자
Super satellites
Marking factor
프라이머의 염기서열 (5'→3')The base sequence (5 'to 3') of the primer 형광염색Fluorescent staining
1One PEM1PEM1 정방향 : AAGTTCTTCGCCCATCTCAA (서열번호 1)Forward: AAGTTCTTCGCCCATCTCAA (SEQ ID NO: 1) FAMFAM 22   역방향 : AGCAGCCGGGCTAATGAT (서열번호 2)Reverse: AGCAGCCGGGCTAATGAT (SEQ ID NO: 2) 33 PEM2PEM2 정방향 : GACAGACAGACGGACAGACG (서열번호 3)Forward: GACAGACAGACGGACAGACG (SEQ ID NO: 3) VICVIC 44 역방향 : ACCCTCTCCCTGACTTCCTC (서열번호 4)Reverse: ACCCTCTCCCTGACTTCCTC (SEQ ID NO: 4) 55 PEM3PEM3 정방향 : AGACAGAGGGGACAGAGCAA (서열번호 5)Forward: AGACAGAGGGGACAGAGCAA (SEQ ID NO: 5) NEDNED 66 역방향 : CGCGCGGAGAGATAATAGAC (서열번호 6)Reverse: CGCGCGGAGAGATAATAGAC (SEQ ID NO: 6) 77 PEM4PEM4 정방향 : TCGACTACGTCTCCGTCTCC (서열번호 7)Forward: TCGACTACGTCTCCGTCTCC (SEQ ID NO: 7) FAMFAM 88 역방향 : AGCCGAATGCTGTCCTTAGA (서열번호 8)Reverse: AGCCGAATGCTGTCCTTAGA (SEQ ID NO: 8) 99 PEM5PEM5 정방향 : GCAATGGCTTTGGCTAGGTA (서열번호 9)Forward: GCAATGGCTTTGGCTAGGTA (SEQ ID NO: 9) VICVIC 1010 역방향 : CATGCAACTAATTAACACAATGA (서열번호 10)Reverse: CATGCAACTAATTAACACAATGA (SEQ ID NO: 10) 1111 PEM6PEM6 정방향 : ATATAAAGCCCCGTGACCAG (서열번호 11)Forward direction: ATATAAAGCCCCGTGACCAG (SEQ ID NO: 11) NEDNED 1212 역방향 : TACTTTGTCGGAGCGCGTAT (서열번호 12)Reverse: TACTTTGTCGGAGCGCGTAT (SEQ ID NO: 12) 1313 PEM7PEM7 정방향 : CTCCGTCCCACCCTAAAAAT (서열번호 13)Forward: CTCCGTCCCACCCTAAAAAT (SEQ ID NO: 13) PETPET 1414 역방향 : ACAATGACGAAACCGAGGAG (서열번호 14)Reverse: ACAATGACGAAACCGAGGAG (SEQ ID NO: 14) 1515 PEM8PEM8 정방향 : CGAAGCTGAATCGAGATTATGA (서열번호 15)Forward: CGAAGCTGAATCGAGATTATGA (SEQ ID NO: 15) VICVIC 1616 역방향 : CCGAAACACAATACTCTTGCAT (서열번호 16)Reverse: CCGAAACACAATACTCTTGCAT (SEQ ID NO: 16) 1717 PEM9PEM9 정방향 : CCACTTTTGCCAGACCCTAC (서열번호 17)Forward: CCACTTTTGCCAGACCCTAC (SEQ ID NO: 17) PETPET 1818 역방향 : CAACCCCAATCATACAACCT (서열번호 18)Reverse: CAACCCCAATCATACAACCT (SEQ ID NO: 18) 1919 PEM10PEM10 정방향 : AAATCTCCCAATCCCTCACC (서열번호 19)Forward: AAATCTCCCAATCCCTCACC (SEQ ID NO: 19) VICVIC 2020 역방향 : TCGATTTTCCCCTTTTTGTG (서열번호 20)Reverse: TCGATTTTCCCCTTTTTGTG (SEQ ID NO: 20) 2121 PEM11PEM11 정방향 : ACGTGGCCACTTACCTCTTT (서열번호 21)Forward: ACGTGGCCACTTACCTCTTT (SEQ ID NO: 21) VICVIC 2222 역방향 : TCCAGACTGCCTCGACCTTC (서열번호 22)Reverse: TCCAGACTGCCTCGACCTTC (SEQ ID NO: 22) 2323 PEM12PEM12 정방향 : CCTTACCACTGGCATCATCA (서열번호 23)Forward: CCTTACCACTGGCATCATCA (SEQ ID NO: 23) NEDNED 2424 역방향 : CAGCTGAGCAGGCAACAAAA (서열번호 24)Reverse: CAGCTGAGCAGGCAACAAAA (SEQ ID NO: 24) 2525 PEM13PEM13 정방향 : GAACATGTGGTGTGCTGGTT (서열번호 25)Forward: GAACATGTGGTGTGCTGGTT (SEQ ID NO: 25) PETPET 2626 역방향 : TCCACTAGGAGGTGCAAATG (서열번호 26)Reverse: TCCACTAGGAGGTGCAAATG (SEQ ID NO 26) 2727 PEM14PEM14 정방향 : GCCACCAATGGTTCTTCC (서열번호 27)Forward: GCCACCAATGGTTCTTCC (SEQ ID NO: 27) FAMFAM 2828   역방향 : AGCACCAGATGCACCTGA (서열번호 28)Reverse: AGCACCAGATGCACCTGA (SEQ ID NO: 28)

(4) PCR 증폭 및 전기 영동(4) PCR amplification and electrophoresis

상기 준비된 게놈 DNA와 상기 제작된 마커를 재료로 사용하여 PCR을 실시하였다. PCR 반응액의 조성은 상기 제조된 복숭아 게놈 DNA 20 ng, 0.1 μM의 상기 마커, 2.0 ㎕ dNTP 혼합물 (2.5 mM), Taq 폴리머라아제 1U (Takara CAT. RR011A), 2.5 ㎕의 10 x PCR 버퍼 (50 mM KCl, 20 mM Tris-HCl, pH 8.0, 2.0 mM MgCl2)를 증류수에 첨가하여 전체 부피를 25 ㎕로 조절하였다. PCR (UNO II Thermocycler, Biometra, 독일) 증폭은 94℃에서 5분 동안 게놈 DNA를 충분히 변성시킨 후, 94℃에서 30초, 55℃에서 30초, 72℃에서 45초 동안 반응시키는 과정을 40회 반복 수행하고, PCR 산물의 최종 신장을 위하여 72℃에서 5분 동안 반응시켰다. PCR이 완료된 후, 2% 아가로스 젤에서 전기영동하여 증폭 여부를 확인하였다. 증폭된 시료들은 다음 실험을 위해 -20℃에서 보관하였다. PCR 산물은 초순수 150 ㎕에 적정 농도로 희석한 다음, 희석된 PCR 산물 5 ㎕에 탈이온화 포름아마이드 (deionized formamide) 10 ㎕, 대립유전자 크기를 측정하는 사이즈 마커 (LIZ500 size standard) 0.25 ㎕를 잘 혼합하여 94℃에서 2분간 변성시켰다. 변성시킨 PCR 산물은 자동 염기 서열 분석장치 (Genetic Analyzer 3130XL, Applied Biosystem)를 활용하여 전기영동한 다음 GeneMapper 컴퓨터 프로그램(Applied Biosystem)을 이용하여 SSR 분자 표지별 대립 유전자들의 정확한 크기를 결정하였다.
PCR was performed using the prepared genomic DNA and the prepared markers as materials. The composition of the PCR reaction solution was prepared from 20 ng of the peach genomic DNA prepared above, the marker of 0.1 μM, 2.0 μl dNTP mixture (2.5 mM), Taq polymerase 1U (Takara CAT. RR011A), 2.5 μl of 10 × PCR buffer ( 50 mM KCl, 20 mM Tris-HCl, pH 8.0, 2.0 mM MgCl 2 ) was added to distilled water to adjust the total volume to 25 μl. PCR (UNO II Thermocycler, Biometra, Germany) amplification was carried out 40 times at 50 ° C. for 30 minutes at 94 ° C., 30 seconds at 55 ° C., and 45 seconds at 72 ° C. after sufficient denaturation of genomic DNA for 5 minutes at 94 ° C. The run was repeated and reacted for 5 minutes at 72 ° C. for final extension of the PCR product. After the PCR was completed, the amplification was confirmed by electrophoresis on 2% agarose gel. The amplified samples were stored at -20 ° C for the next experiment. The PCR product was diluted to 150 µl of ultrapure water at an appropriate concentration. Then, 5 µl of the diluted PCR product was well mixed with 10 µl of deionized formamide and 0.25 µl of a size marker (LIZ500 size standard) for measuring the size of the allele. It was denatured for 2 minutes at 94 ℃. The denatured PCR product was subjected to electrophoresis using an automatic sequencing device (Genetic Analyzer 3130XL, Applied Biosystem), and then the exact size of alleles per SSR molecule label was determined using GeneMapper computer program (Applied Biosystem).

(5) 본 발명에 따른 마커의 복숭아 품종 식별 가능성 검정(5) Peach variety identification possibility test of the mark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상기에서 자동 염기 서열 분석기로 확인한 대립유전자 크기를 이용하여 본 발명에 따른 마커의 복숭아 품종 식별 가능성을 조사하였다. 하기 식 1을 사용하여 PIC (polymorphism information content) 값을 산출하였다. 하기 식에서 Pij는 마커 i의 밴드들 중에서 j번째 공통 밴드 패턴의 빈도수이다 (Anderson et al., 1993, Genome 36: 181-186).Using the allele size identified by the automatic sequencing analyzer, the possibility of identifying the peach variety of the mark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as investigated. Equation 1 was used to calculate the polymorphism information content (PIC) value. P ij is the frequency of the j th common band pattern among the bands of the marker i (Anderson et al., 1993, Genome 36: 181-186).

Figure 112012018887773-pat00001
Figure 112012018887773-pat00001

그 결과, 각 마커에 따른 어닐링 온도(℃), 증폭 산물의 크기(bp), 대립 유전자의 수 및 PIC 값을 하기 표 3에 나타내었다.As a result, annealing temperature (° C), amplification product size (bp), number of alleles and PIC value according to each marker are shown in Table 3 below.

마커의 특징 및 다형성 정도Marker Features and Degree of Polymorphism 연번Serial number SSR
마커명
SSR
Marker name
어닐링
온도(℃)
Annealing
Temperature (℃)
대립유전자
크기(bp)
Allele
Size (bp)
대립
유전자의 수
Opposition
Number of genes
PIC값PIC value
1One PEM1PEM1 5555 162~166162-166 33 0.4790.479 22 PEM2PEM2 5555 153~163153-163 44 0.6730.673 33 PEM3PEM3 5555 188~192188-192 33 0.6250.625 44 PEM4PEM4 5555 130~145130-145 44 0.3580.358 55 PEM5PEM5 5555 113~119113-119 44 0.4940.494 66 PEM6PEM6 5555 218~222218-222 33 0.5920.592 77 PEM7PEM7 5555 194~200194-200 33 0.5470.547 88 PEM8PEM8 5555 198~212198-212 77 0.5180.518 99 PEM9PEM9 5555 137~165137-165 33 0.5020.502 1010 PEM10PEM10 5555 154~156154-156 22 0.5000.500 1111 PEM11PEM11 5555 200~202200-202 22 0.5000.500 1212 PEM12PEM12 5555 152~154152 ~ 154 22 0.4940.494 1313 PEM13PEM13 5555 144~148144-148 22 0.4940.494 1414 PEM14PEM14 5555 163~181163-181 77 0.4530.453 system 4949 7.757.75 평균Average 3.5003.500 0.5170.517

상기 표 3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 활용된 마커의 대립유전자수는 2~7개의 범위로 분포하였고, 각 분자 표지별 다형성 정도를 나타내는 지수인 PIC 값은 평균 0.517로 높은 값을 나타내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마커가 복숭아 품종을 충분히 식별할 수 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As shown in Table 3, the number of alleles of the markers utilized in the present invention was distributed in the range of 2 to 7, and the PIC value, which is an index representing the degree of polymorphism for each molecular label, showed a high value of 0.517 on average. Therefore, it was confirmed that the marker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sufficiently identify peach varieties.

또한 마커에 대해 대립 유전자의 크기에 따른 품종 밴드의 유무를 NTSYS pc (version 2.10b)(Rohlf, 2000, Numerical Taxonomy and Multivariate Analysis System-Version 2.10b. Applied Biostatistics Inc., New York.) 컴퓨터 프로그램에 입력하고 Jaccard's 방법 (Sneath and Sokal 1973, Numerical taxonomy : The Principles and Practice of Numerical Classification, W. H. Freeman, San Francisco.)에 준하여 유전적 유사도 값을 계산하였다. 유전적 유사도를 이용하여 UPGMA (Unweighted Pair-group Method with Arithmetical Average)(Sneath and Sokal, 1973)에 의해 집괴 분석하여 계통도(dendrogram)를 작성하였고, 그 결과를 도 1에 나타내었다. 도 1에 따르면 본 발명의 프라이머 세트는 국내외에서 유통되고 있는 96개 복숭아 품종에 대해 계통도 작성을 가능하게 함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프라이머 세트는 국내에서 유통되고 있는 96개 복숭아 품종의 식별을 가능하게 함을 알 수 있다.
In addition, the presence or absence of the cultivars band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allele for the marker was determined by NTSYS pc (version 2.10b) (Rohlf, 2000, Numerical Taxonomy and Multivariate Analysis System-Version 2.10b.Applied Biostatistics Inc., New York.) Computer program. Genetic similarity values were calculated according to Jaccard's method (Sneath and Sokal 1973, Numerical taxonomy: The Principles and Practice of Numerical Classification, WH Freeman, San Francisco.). Genetic similarity was used to agglomerate a dendogram by aggregating by UPGMA (Unweighted Pair-group Method with Arithmetical Average) (Sneath and Sokal, 1973), and the results are shown in FIG. 1. According to Figure 1 it can be seen that the primer set of the present invention enables the creation of a systematic diagram for 96 peach varieties in circulation at home and abroad. Therefore, it can be seen that the primer set of the present invention enables the identification of 96 peach varieties that are distributed in Korea.

실시예Example 2: 복숭아 품종 식별 2: peach variety identification

(1) 본 발명의 마커를 이용한 품종 식별표 작성(1) Using the marker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epare a variety identification list

국내외에서 육성되는 96개 복숭아 품종 각각으로부터 게놈 DNA를 상기 실시예의 방법에 따라 추출하였다. 본 발명의 14개 마커를 프라이머 세트로 이용하여 상기 실시예의 방법으로 PCR을 실시하였다. PCR 결과물로부터 본 발명에 따른 마커에 대해 밴드의 유무를 판별하여 밴드가 존재할 경우에는 점수 1로 코드화하고 밴드가 존재하지 않을 경우에는 0으로 코드화함으로써, 본 발명의 마커를 이용한 96개 복숭아 품종 각각에 대한 복숭아 품종 식별표를 작성하였고 그 결과를 도 2에 나타내었다. 도 2에서 나타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마커에 따른 대립 유전자수에 따라 복숭아 품종 각각은 서로 다른 형태의 밴드를 나타내었다.
Genomic DNA was extracted from each of 96 peach varieties grown at home and abroad according to the method of the above example. PCR was performed by the method of the above example using 14 markers of the present invention as a primer set. From the PCR result, the mark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discriminated from each other in the 96 peach varieties using the marker of the present invention by encoding a score of 1 if a band is present and a 0 if a band is not present. Peach varieties identification table was prepared and the results are shown in FIG. 2. As shown in Figure 2, each of the peach varieties according to the number of alleles according to the marker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ed a different type of band.

(2) 복숭아 품종 식별(2) identification of peach varieties

품종을 식별하고자 하는 복숭아의 유엽에서 분리한 DNA는 본 발명의 14개 마커 각각을 프라이머 세트로 이용하여 PCR로 증폭하고 전기영동하였다. PCR 증폭 및 전기 영동은 상기 실시예 1에서 기술된 방법과 동일한 방법을 사용하였다. 각각의 전기영동 결과물에서 나타난 밴드의 유무를 도 2의 결과와 비교하여 96개 복숭아 품종의 식별에 활용하였다.DNA isolated from the leaves of peach to identify the varieties were amplified by PCR and electrophoresed using each of the 14 markers of the present invention as a primer set. PCR amplification and electrophoresis used the same method as described in Example 1 above. The presence or absence of bands in each electrophoresis result was used to identify 96 peach varieties compared with the results of FIG. 2.

서열목록 전자파일 첨부Attach an electronic file to a sequence list

Claims (8)

서열번호 1 및 2의 올리고뉴클레오티드 프라이머 세트; 서열번호 3 및 4의 올리고뉴클레오티드 프라이머 세트; 서열번호 5 및 6의 올리고뉴클레오티드 프라이머 세트; 서열번호 7 및 8의 올리고뉴클레오티드 프라이머 세트; 서열번호 9 및 10의 올리고뉴클레오티드 프라이머 세트; 서열번호 11 및 12의 올리고뉴클레오티드 프라이머 세트; 서열번호 13 및 14의 올리고뉴클레오티드 프라이머 세트; 서열번호 15 및 16의 올리고뉴클레오티드 프라이머 세트; 서열번호 17 및 18의 올리고뉴클레오티드 프라이머 세트; 서열번호 19 및 20의 올리고뉴클레오티드 프라이머 세트; 서열번호 21 및 22의 올리고뉴클레오티드 프라이머 세트; 서열번호 23 및 24의 올리고뉴클레오티드 프라이머 세트; 서열번호 25 및 26의 올리고뉴클레오티드 프라이머 세트; 및 서열번호 27 및 28의 올리고뉴클레오티드 프라이머 세트를 포함하는, 복숭아 품종 식별용 프라이머 세트.Oligonucleotide primer sets of SEQ ID NOs: 1 and 2; Oligonucleotide primer sets of SEQ ID NOs: 3 and 4; Oligonucleotide primer sets of SEQ ID NOs: 5 and 6; Oligonucleotide primer sets of SEQ ID NOs: 7 and 8; Oligonucleotide primer sets of SEQ ID NOs: 9 and 10; Oligonucleotide primer sets of SEQ ID NOs: 11 and 12; An oligonucleotide primer set of SEQ ID NOs: 13 and 14; An oligonucleotide primer set of SEQ ID NOS: 15 and 16; An oligonucleotide primer set of SEQ ID NOS: 17 and 18; An oligonucleotide primer set of SEQ ID NOS: 19 and 20; Oligonucleotide primer sets of SEQ ID NOS: 21 and 22; An oligonucleotide primer set of SEQ ID NOs: 23 and 24; An oligonucleotide primer set of SEQ ID NOs: 25 and 26; And a set of oligonucleotide primers of SEQ ID NOs: 27 and 28.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1항에 따른 올리고뉴클레오티드 프라이머 세트; 및 증폭 반응을 수행하기 위한 시약을 포함하는, 복숭아 품종을 식별하기 위한 키트.An oligonucleotide primer set according to claim 1; And a reagent for conducting an amplification reaction.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증폭 반응을 수행하기 위한 시약은 DNA 폴리머라제, dNTPs 및 버퍼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숭아 품종을 식별하기 위한 키트.The kit of claim 4, wherein the reagent for carrying out the amplification reaction comprises DNA polymerase, dNTPs and a buffer. 복숭아로부터 유래된 게놈 DNA를 주형으로 하고 제1항의 복숭아 품종 식별용 프라이머 세트를 프라이머로 사용하여 핵산을 증폭하는 단계; 및
상기 증폭 산물로부터 상기 복숭아의 품종을 식별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복숭아 품종을 식별하는 방법.
Amplifying the nucleic acid using genomic DNA derived from peach as a template and using the primer set for identifying the peach variety of claim 1 as a primer; And
Identifying the peach variety from the amplification product.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게놈 DNA는 복숭아의 잎, 줄기 또는 과실로부터 유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숭아 품종을 식별하는 방법.7. The method of claim 6, wherein said genomic DNA is derived from a peach leaf, stem or fruit.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증폭 산물로부터 복숭아 품종을 식별하는 단계는 각각의 복숭아 품종에 대해 제1항의 복숭아 품종 식별용 프라이머 세트에 의한 증폭 산물의 유무를 표로 작성하고 상기 증폭된 산물과의 비교 분석에 의해 복숭아 품종을 식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숭아 품종을 식별하는 방법.7. The method of claim 6, wherein identifying the peach varieties from the amplified products comprises a table for the presence or absence of amplified products by the primer set for identifying peach varieties according to claim 1 for each peach variety and comparing the amplified products with the amplified products. A method of identifying a peach variety, characterized by identifying a peach variety.
KR1020120023877A 2012-03-08 2012-03-08 Microsatellite primer sets for discriminating cultivars of peach and uses thereof KR101359542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23877A KR101359542B1 (en) 2012-03-08 2012-03-08 Microsatellite primer sets for discriminating cultivars of peach and uses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23877A KR101359542B1 (en) 2012-03-08 2012-03-08 Microsatellite primer sets for discriminating cultivars of peach and uses thereof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02775A KR20130102775A (en) 2013-09-23
KR101359542B1 true KR101359542B1 (en) 2014-02-24

Family

ID=494523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23877A KR101359542B1 (en) 2012-03-08 2012-03-08 Microsatellite primer sets for discriminating cultivars of peach and uses thereof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59542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42702B1 (en) * 2014-11-20 2016-07-27 대한민국 A method for identifying pear varieties using microsatellites markers
KR102586234B1 (en) * 2021-06-15 2023-10-10 대한민국 Primer set for ripening peaches and classification method using the same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E. Dirlewanger 등. Theoretical and Applied Genetics. Vol. 105, No. 1, 페이지 127-138 (2002.) *
Gabriela Rojas 등. Electronic Journal of Biotechnology. Vol. 11, No. 5, 페이지 1-12 (2008.)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02775A (en) 2013-09-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11694B1 (en) A method for discriminating Chinese cabbage cultivars using molecular markers
KR101555972B1 (en) A method for identifying pumpkin varieties using microsatellites markers
KR101642702B1 (en) A method for identifying pear varieties using microsatellites markers
KR101605530B1 (en) A method for identifying strawberry varieties using microsatellites markers
KR101174409B1 (en) A Method for Identifying Cucumber Varieties using Microsatellites Markers
KR102082987B1 (en) Primer set for discriminating cultivars of onion and method for cultivars of onion using HRM analysis
KR101359542B1 (en) Microsatellite primer sets for discriminating cultivars of peach and uses thereof
CN108977563B (en) SSR core primer group developed based on radish whole genome sequence and application thereof
KR101423299B1 (en) A method for identifying melon varieties using microsatellites markers
KR101783347B1 (en) CAPS marker for discriminating presence or absence of pollen in pear and uses thereof
KR101959732B1 (en) Primers for detecting SSR markers specific to allotetraploid mandarin orange and uses thereof
KR101301863B1 (en) A method for identifying lettuce varieties using microsatellite primer set
KR101748566B1 (en) A method for identifying chrysanthemum varieties using microsatellites markers
KR101301867B1 (en) Microsatellite primer set for identifying onion varieties
KR101531303B1 (en) A method for identifying soybean varieties using microsatellites markers
Ullah et al. Geneticalysis of economically important apricot cultivars in gilgit baltistan based on SSR molecular markers
WO2012017679A1 (en) Stalk-length-related marker of plant of the genus saccharum and the use thereof
KR102526682B1 (en) Molecular marker for predicting fruit orientation in pepper and uses thereof
KR101125745B1 (en) A Method for Identifying Barley Varieties using Molecular Markers
KR102273447B1 (en) A set of SNP molecular markers for discriminating radish accessions using KASP assay and uses thereof
KR20140062712A (en) A method for identifying hot pepper varieties using microsatellites markers
KR101570754B1 (en) Composition for selecting green rice leafhopper-resistant variety containing Grh1 gene comprising DNA marker RM18166, RM18171, and Indel 15040
KR102275692B1 (en) Marker composition for discriminating aging retarded Chinese cabbage and uses thereof
KR102162805B1 (en) Marker composition for discriminating anthracnose-resistant or sensitive grape cultivar and uses thereof
KR101892461B1 (en) Molecular marker for discrimination genetic male sterility gene and detection method using the sa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