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57918B1 - 온라인 게임의 협력플레이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온라인 게임의 협력플레이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57918B1
KR101357918B1 KR1020100116774A KR20100116774A KR101357918B1 KR 101357918 B1 KR101357918 B1 KR 101357918B1 KR 1020100116774 A KR1020100116774 A KR 1020100116774A KR 20100116774 A KR20100116774 A KR 20100116774A KR 101357918 B1 KR101357918 B1 KR 10135791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lient
room
game
online game
clien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167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75551A (ko
Inventor
전유택
이형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엔씨소프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엔씨소프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엔씨소프트
Priority to KR10201001167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57918B1/ko
Publication of KR201200755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7555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579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5791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13/00Video games, i.e.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 A63F13/80Special adaptations for executing a specific game genre or game mode
    • A63F13/847Cooperative playing, e.g. requiring coordinated actions from several players to achieve a common goal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13/00Video games, i.e.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 A63F13/70Game security or game management aspects
    • A63F13/79Game security or game management aspects involving player-related data, e.g. identities, accounts, preferences or play histories
    • A63F13/795Game security or game management aspects involving player-related data, e.g. identities, accounts, preferences or play histories for finding other players; for building a team; for providing a buddy lis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2300/00Features of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e.g. on a television screen, showing representations related to the game
    • A63F2300/50Features of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e.g. on a television screen, showing representations related to the game characterized by details of game servers
    • A63F2300/55Details of game data or player data management
    • A63F2300/5546Details of game data or player data management using player registration data, e.g. identification, account, preferences, game history
    • A63F2300/5566Details of game data or player data management using player registration data, e.g. identification, account, preferences, game history by matching opponents or finding partners to build a team, e.g. by skill level, geographical area, background, play style

Abstract

본 발명은 온라인 게임의 협력플레이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의하면 한 명 이상의 게이머들이 룸을 생성하여 퀘스트 또는 스테이지 단위로 진행하는 온라인 게임에 있어 해당 퀘스트의 클리어에 어려움을 느끼는 게이머가 다른 게이머를 선택하여 도움을 요청함에 따라 도움을 요청받은 게이머가 퀘스트의 클리어를 도울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온라인 게임의 협력플레이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APPARATUS AND METHOD OF PROVIDING JOINT GAME PLAY SCHEME FOR ONLINE GAME}
본 발명은 온라인 게임에서 둘 이상의 게이머들이 협력하여 게임 플레이를 할 수 있도록 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인터넷 인프라의 보급에 힘입어 종래에 개인용 컴퓨터나 가정용 게임 콘솔 플랫폼에서 즐기던 스탠드 얼론(Stand Alone) 게임들은 점차 온라인화 되어왔다.
온라인 게임은 수천, 수만명의 동시접속자가 동일한 맵에서 자신의 캐릭터를 조작하여 퀘스트를 수행하거나 경험치를 쌓는 MMORPG(Massively Multiplayer Online Role Playing Game)에서부터, 한명 또는 많게는 서너명이 룸을 만들어 스테이지 단위로 경쟁하는 아케이드 형식의 캐쥬얼 게임까지 다양한 형태로 상용화되어 서비스되고 있다.
한편, 게임이 지나치게 난이도가 낮아도 게이머들이 쉽게 흥미를 잃게 되나, 반대로 지나치게 난이도가 높아서 다음 단계로의 진행이 막히는 경우 어떤 게이머들은 쉽사리 게임 플레이를 포기하고 흥미를 잃게 되는 일이 있다.
따라서, 게임 제작시 주요 수요층의 연령대를 감안하여 적절한 난이도를 설정하는 것이 중요하다.
그러나, 다양한 연령층이 즐기는 게임이거나, 게임에 익숙하지 않은 일부 게이머라면 게임 진행에 어려움을 느끼는 게이머들이 종종 나올 수 있으며, 이러한 게이머들의 게임 플레이를 돕기 위하여 게임 제작사들은 게임 매뉴얼을 제공하거나, 다른 게이머들과 파티를 맺어 협력하여 플레이하도록 유도하고 있다.
캐릭터간 레벨이 다른 다수의 게이머들이 협력하여 플레이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은 매우 효과적인 수단이나 자유도가 높고 다수의 동시접속자들이 동일한 맵에서 게임을 즐기는 MMORPG에서나 유용한 것이지, 룸을 생성하여 퀘스트나 스테이지 단위로 진행되는 타입의 게임에서는 쉽게 적용될 수 없다.
이러한 타입의 온라인 게임을 살펴보면 룸에 입장하는 게이머들은 임의적으로 입장할 룸을 결정하며, 룸에 입장한 게이머들간 면식이 없는 타인인 경우가 대부분이어서 협력플레이보다는 대부분 서로 경쟁하는 플레이를 하도록 게임 컨텐츠가 구성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따라서, 이러한 타입은 스토리의 연속성이 없는 캐쥬얼 게임에 주로 이용되는데, 스토리의 연속성을 갖는 게임 - 그것이 아케이드건 롤플레잉이건 - 을 이와 같이 룸을 생성하여 퀘스트나 스테이지 단위로 진행하는 타입으로 제작하는 경우 게임 진행에 어려움을 겪는 게이머가 도움을 요청할 수단이 없다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룸을 생성하여 퀘스트 또는 스테이지 단위로 게임을 플레이하는 온라인 게임에 있어 플레이에 어려움을 느낀 게이머가, 룸에 속하지 않는 다른 게이머 가운데 선택한 게이머에게 게임 플레이의 도움을 요청하면 도움 요청을 받은 게이머를 진행중인 게임에 참가시켜 협력플레이를 할 수 있도록 하는 온라인 게임의 협력플레이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온라인 게임의 협력플레이 제공 시스템은 네트워크를 통해 접속한 클라이언트로부터 로그인 정보를 수신하면, 기 저장된 로그인 정보와 일치여부를 판단하여 일치할 경우 온라인 게임 계정에 대한 로그인을 처리하는 로그인처리수단;
로그인 된 클라이언트로부터 온라인 게임의 진행을 위한 룸 생성요청이 있으면 룸을 생성하고, 룸에 입장한 클라이언트들로부터 게임시작 요청이 있으면 입장한 클라이언트들이 함께 온라인 게임을 진행할 수 있도록 게임 데이터를 제공하는 게임처리수단;
온라인 게임을 진행하던 어느 하나의 클라이언트인 제 1 클라이언트로부터 자신이 입장한 룸에 속하지 않는 제 2 클라이언트의 식별정보 및 도움요청 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식별정보로 특정되는 제 2 클라이언트가 온라인 게임의 진행중인 경우 상기 제 2 클라이언트의 화면에 도움요청의 수락여부를 입력할 수 있는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표시되도록 하는 협력플레이UI제공수단; 및
상기 제 2 클라이언트로부터 도움요청 수락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제 2 클라이언트를 자신이 입장한 룸으로부터 강제로 퇴장시키고, 상기 제 2 클라이언트를 게임이 진행중인 상기 제 1 클라이언트가 입장한 룸에 강제 입장시키는 접속재설정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온라인 게임의 협력플레이 제공 시스템은 네트워크를 통해 접속한 클라이언트로부터 로그인 정보를 수신하면, 기 저장된 로그인 정보와 일치여부를 판단하여 일치할 경우 온라인 게임 계정에 대한 로그인을 처리하는 제 110 단계;
로그인 된 클라이언트로부터 온라인 게임의 진행을 위한 룸 생성요청이 있으면 룸을 생성하는 제 120 단계;
룸에 입장한 클라이언트들로부터 게임시작 요청이 있으면 입장한 클라이언트들이 함께 온라인 게임을 진행할 수 있도록 게임 데이터를 제공하는 제 130 단계;
온라인 게임을 진행하던 클라이언트 가운데 어느 하나인 제 1 클라이언트로부터 자신이 입장한 룸에 속하지 않는 제 2 클라이언트의 식별정보 및 도움요청 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식별정보로 특정되는 제 2 클라이언트가 온라인 게임의 진행중인 경우 상기 제 2 클라이언트의 화면에 도움요청의 수락여부를 입력할 수 있는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표시되도록 처리하는 제 140 단계; 및
제 2 클라이언트로부터 도움요청 수락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제 2 클라이언트를 자신이 입장한 룸으로부터 강제로 퇴장시키고, 상기 제 2 클라이언트를 상기 제 1 클라이언트가 게임을 진행중인 룸에 강제 입장시키는 제 150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본 발명에 의하면 게임의 진행에 어려움을 느끼는 게이머가 쉽게 다른 게이머로부터 도움을 받을 수 있어 게임의 흥미를 더욱 느끼게 된다는 효과가 있으며, 아울러 다른 게이머의 게임 플레이를 도운 게이머에게는 소정의 인센티브를 제공함으로써 마찬가지로 게임에 대한 흥미를 증대시킬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뿐만 아니라, 게이머들간 커뮤니티성이 약한 아케이드 형식의 온라인 게임에서 게이머들간의 친분이 도모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다수의 클라이언트와 게임 서버가 연결되는 관계를 설명하는 망구성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온라인 게임의 협력플레이 제공 시스템의 구성을 설명하는 기능블록도이며,
도 3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게이머들이 룸을 생성하여 퀘스트나 스테이지 별로 함께 게임을 진행하는 온라인 게임의 형태를 설명하는 참고도이며,
도 4는 클라이언트의 화면에 도움요청 및 도움요청 승낙을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표시된 것을 도시한 화면예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온라인 게임의 협력플레이 제공 방법을 시계열적으로 설명하는 플로우차트이다.
이하에서는 첨부하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본 발명에 의한 온라인 게임의 협력플레이 제공 시스템의 구조를 상세히 살펴보기로 한다.
우선,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의 클라이언트(2)는 인터넷 망을 경유하여 온라인 게임 서버(1)에 접속하여 온라인 게임을 진행한다.
본 발명에 의한 온라인 게임의 협력플레이 제공 시스템(100)은 이와 같은 온라인 게임 서버(1)에 구현될 수 있으며,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로그인처리수단(110), 게임처리수단(120), 협력플레이UI제공수단(130), 접속재설정수단(140), 친구리스트관리수단(150) 그리고, 인센티브 제공수단(160)을 구비한다.
일반적으로 온라인 게임은 직전 게임 플레이했던 시점부터 이어서 게임을 진행하게되며, 이를 위하여 게이머의 플레이어 캐릭터에 관한 정보나 보유하고 있는 아이템에 관한 정보 등을 계정에 저장하게 된다. 이에 따라 각 게이머들은 자신의 온라인 게임 계정을 가지게 되며, 온라인 게임을 즐기기 위해서는 계정에 로그인할 필요가 있다.
로그인처리수단(110)은 네트워크를 통해 접속한 클라이언트(2)가 자신의 계정에 로그인하고자 하는 경우 상기 클라이언트(2)로부터 로그인을 하기 위해 필요한 로그인 정보 - 예를 들어, 아이디와 패스워드 - 를 수신하면, 기 저장된 것과 일치하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일치하는 경우에 로그인 처리한다.
이와 같이 자신의 온라인 게임 계정에 로그인이 된 클라이언트(2)는 온라인 게임 서버(1)로부터 온라인 게임의 진행에 필요한 각종 게임 데이터를 제공받아 온라인 게임을 진행하게 된다. 이때, 온라인 게임의 진행에 필요한 게임 데이터란 그래픽 데이터와 같은 데이터로부터 다른 게이머들의 플레이어 캐릭터 상태정보 등을 포함한다.
게임처리수단(120)은 이와 같이 동시접속한 다수의 클라이언트(2)들이 함께 게임을 즐길 수 있도록 데이터를 제공한다.
한편, 본 발명에 의한 온라인 게임의 협력플레이 제공 시스템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게임 플레이를 위해 룸을 생성하여, 룸에 입장한 하나 이상의 클라이언트(2)들이 함께 게임을 즐기는 유형의 온라인 게임을 가정한다. 일반적으로, 한 스테이지씩 진행하는 아케이드 형식의 캐쥬얼 게임들 가운데 이러한 유형이 많다. 도 3에 도시된 바에 의하면 8개의 룸이 생성되어 있으며 그 가운데 5개는 이미 게임을 시작했고, 3개는 아직 게임을 시작하지 않고 대기중임을 알 수 있다.
그러나, 플레이어 캐릭터를 이용하여 게임 맵 내에서 이동하면서 퀘스트를 수행하는 방식으로 진행하는 MMORPG(Massively Multiplayer Online RolePlaying Game) 등의 경우에는 자유도가 높은 특성상 룸을 만들어서 입장한 플레이어들만이 함께 게임을 즐길 수 있도록 하지 못한다.
게임처리수단(120)은 상기 유형과 같은 온라인 게임을 제공하는데, 로그인한 어느 하나의 클라이언트(2)로부터 룸 생성 요청을 받으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은 룸을 생성한다. 룸이 생성되면 룸을 생성한 클라이언트(2)는 해당 룸에 입장하게 되며 함께 게임을 플레이 할 다른 클라이언트(2)를 기다려, 함께 게임할 클라이언트(2)들이 충분히 모이면 게임시작 요청을 할 수 있다. 또는, 다른 클라이언트(2)들의 입장을 기다리지 않고서 혼자 플레이하기 위하여 게임시작 요청을 할 수도 있다.
게임처리수단(120)은 이와 같이 룸에 입장한 클라이언트(2)들로부터 게임시작 요청이 있으면 입장한 클라이언트들이 함께 온라인 게임을 진행할 수 있도록 상호간 게임 데이터를 제공한다.
한편, 게임이 시작되면 해당 룸에 입장하여 함께 게임을 진행하던 게이머들 가운데는 게임의 진행에 어려움을 느껴 다른 게이머의 도움을 원하는 경우가 있을 수 있다. 예를 들어, 퀘스트를 수행하여야 하는데 방법을 모르겠다거나, 지도상 어느 위치로 이동해야하는지 모르겠다거나 하는 등이 그것이다.
이와 같은 경우 게이머는 클라이언트(2)를 조작하여 다른 게이머를 선택한 다음 해당 게이머에게 도움 요청을 할 수 있다. (도움을 요청하는 클라이언트(2)를 이하 제 1 클라이언트(2-1)라 칭한다.)
도 4의 (a)는 제 1 클라이언트(2-1)의 게임 화면으로 그 상단에는 다수의 온라인 게임 아이디, 닉네임 또는 캐릭터 이름이 리스트 형태로 표시된 "친구 리스트"와 "도움 요청하기" 버튼이 표시된 것을 알 수 있다. 게이머는 리스트에 표시된 아이디, 닉네임 가운데 어느 하나를 선택한 다음 도움 요청하기 버튼을 누름으로써 도움 요청을 할 수 있는데, 협력플레이UI제공수단(130)은 제 1 클라이언트(2-1)로부터 상기와 같이 선택된 아이디 등 다른 클라이언트(2)를 식별하기 위한 식별정보와 함께 도움요청 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식별정보에 의하여 특정되는 클라이언트(2)의 게임 화면에 도움 요청이 있었음이 표시되도록 한다. (도움 요청을 받는 클라이언트(2)를 이하 제 2 클라이언트(2-2)라 칭한다.)
도 4의 (b)는 이와 같이 제 2 클라이언트(2-2) 게임 화면에 도움요청이 표시된 모습을 예시적으로 도시한다. 도 4의 (b)에 의하면 "도움요청을 수락한다"라고 표시된 버튼이 있으며, 제 2 클라이언트(2-2)의 게이머가 이 버튼을 눌러 도움요청을 수락하면, 제 2 클라이언트(2-2)는 아래와 같은 과정을 거쳐 도움을 요청한 제 1 클라이언트(2-1)의 게임 플레이를 도와주게 된다.
이때, 제 1 클라이언트(2-1)가 임의의 다른 클라이언트(2)를 선택하여 도움을 요청할 수도 있겠으나, 바람직하게는 제 1 클라이언트(2-1)가 현재 진행중인 퀘스트의 수행에 어려움을 느껴 도움을 요청하는 것이므로 해당 퀘스트를 클리어한 적이 있는 클라이언트(2)에게 도움을 요청하도록 유도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협력플레이UI제공수단(130)은 제 1 클라이언트(2-1)가 도움요청을 한 바로 그 시점에 해당하는 온라인 게임의 진행단계를 클리어한 바 있는 클라이언트(2) 가운데 도움을 요청하도록 할 수 있다. 이는 선택된 제 2 클라이언트(2-2)가 해당 단계를 클리어한 바 있는 경우에 한하여 상기 제 2 클라이언트(2-1)의 화면에 도 4의 (b)와 같은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표시되도록 하거나, 도 4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은 "친구 리스트"에 해당 단계를 클리어한 바 있는 클라이언트(2)들을 따로 표시함으로써 구현될 수 있다.
한편, 도 4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은 "친구 리스트"는 제 1 클라이언트(2-1)가 온라인 게임을 하면서 알게 된 다른 게이머의 아이디, 닉네임 등을 등록함으로써 유지될 수 있다.
친구리스트 관리수단(150)은 이와 같이 각 클라이언트(2)별로 친구 리스트를 생성, 관리한다. 어느 하나의 클라이언트(2)가 온라인 게임 도중 다른 클라이언트(2)를 선택하여 친구 추가하기 기능을 선택하면 친구리스트 관리수단(150)은 선택된 클라이언트(2)를 친구 리스트에 추가하여 저장한다.
이에 따라 협력플레이UI제공수단(130)은 각 클라이언트(2)마다 자신의 친구리스트에 속하는 아이디나 닉네임을 도 4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시하게 된다. 이때, 도움요청은 로그인이 된 클라이언트(2) 가운데 어느 하나에 대하여 할 수 있으므로 협력플레이UI제공수단(130)은 친구 리스트를 표시하되 로그인 된 클라이언트들의 리스트가 따로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도 4의 (b) 예에서 "도움요청을 수락한다"는 버튼이 눌러지면, 제 2 클라이언트(2-2)는 도움요청 수락신호를 온라인 게임 서버(1)로 전송하며, 도움요청 수락신호를 수신함에 따라 접속재설정수단(140)은 우선 제 2 클라이언트(2-2)가 게임을 진행하고 있던 룸으로부터 제 2 클라이언트(2-2)를 강제로 퇴장시킨다.
이후, 제 2 클라이언트(2-2)를 제 1 클라이언트(2-1)가 혼자서 또는 다른 클라이언트(2)들과 함께 게임을 진행하고 있는 룸에 강제 입장시킨다.
룸을 생성하여 스테이지 단위로 게임을 진행하는 온라인 게임의 경우 스테이지가 시작할 때와 종료될 때를 제외하고는 룸에서 퇴장하거나 입장하는 것이 허용되지 않으며 그것이 게임의 형식에 부합한다 할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미 게임이 진행되고 있는 룸에 제 2 클라이언트(2-2)를 강제로 입장을 시키는데 이에 의하여 제 2 클라이언트(2-2)는 이미 시작한 게임의 중간에 들어가게 된다.
이를 테면, 게임 맵 내에서 자유롭게 이동하며 퀘스트를 클리어하는 방식으로 진행되는 게임의 경우 제 2 클라이언트(2-2)로 하여금 맵 내 특정영역에서부터 게임을 시작하도록 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제 2 클라이언트(2-2)의 플레이어 캐릭터를 맵 내 특정한 위치에 표시함으로써 해당 퀘스트를 처음부터 시작하지 않은 제 2 클라이언트(2-2)가 이미 어느 정도 게임을 진행했을 제 1 클라이언트(2-1)와 함께 게임을 즐길 수 있도록 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접속재설정수단(140)은 제 2 클라이언트(2-2)가 룸으로부터 강제로 퇴장되는 경우 해당 룸에 다른 클라이언트(2)가 남아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되, 남아있지 않은 경우 상기 룸을 소멸시킨다. 도움요청을 수락함에 따라 제 2 클라이언트(2-2)가 제 1 클라이언트(2-1)의 룸으로 입장함에 따라, 기존의 룸으로 돌아가는 것을 불가능하며 따라서 남아있는 클라이언트(2)가 없다면 이를 소멸시키는 것이다.
한편, 이와 같이 제 1 클라이언트(2-1)의 게임 도중 제 2 클라이언트(2-2)가 강제 입장되어 제 1 클라이언트(2-1)의 퀘스트 클리어를 도와주면, 제 2 클라이언트(2-2)에게 소정의 인센티브가 제공된다.
인센티브 제공수단(160)은 이와 같이 제 1 클라이언트(2-1)의 룸으로 강제로 입장한 제 2 클라이언트(2-2)가 제 1 클라이언트(2-1)와 함께 온라인 게임의 일정 단계까지 진행하면 제 2 클라이언트(2-2)에게 소정의 인센티브를 제공한다.
이때, 인센티브는 온라인 게임 내에서 사용가능한 아이템이거나 게임 머니 등이 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5를 참조하여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온라인 게임의 협력플레이 제공 시스템(100)에서 제 1 클라이언트(2-1)와 제 2 클라이언트(2-2)가 협력플레이를 하는 과정을 설명한다.
도 5에 도시된 바에 의하면, 우선 온라인 게임의 협력플레이 제공 시스템(100)은 네트워크를 통해 접속한 클라이언트(2)로부터 로그인 정보를 수신하면, 기 저장된 로그인 정보와 일치여부를 판단하여 일치할 경우 온라인 게임 계정에 대한 로그인을 처리한다(S110).
한편, 로그인 된 클라이언트(2)로부터 온라인 게임의 진행을 위한 룸 생성요청이 있으면 룸을 생성한다(S120). 룸의 생성을 요청한 클라이언트(2)는 자동으로 해당 룸에 입장하게 된다.
이후 온라인 게임의 협력플레이 제공 시스템(100)은 룸에 입장한 클라이언트(2)들로부터 게임시작 요청이 있으면 게임 데이터의 제공을 시작하여 입장한 클라이언트들이 함께 온라인 게임을 진행할 수 있도록 한다(S130).
한편, 상기 S130 단계에서 온라인 게임을 진행하던 클라이언트 가운데 어느 하나인 제 1 클라이언트(2-1)로부터 자신이 입장한 룸에 속하지 않는 어느 하나의 로그인한 클라이언트인 제 2 클라이언트(2-2)의 식별정보 및 도움요청 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식별정보로 특정되는 제 2 클라이언트(2-2)가 온라인 게임의 진행중인 경우 도 4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 2 클라이언트의 화면에 도움요청의 수락여부를 입력할 수 있는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표시되도록 처리한다(S140).
이때, 제 2 클라이언트(2-2)는 제 1 클라이언트(2-1)가 도움을 요청한 그 퀘스트를 클리어한 적이 있는 클라이언트(2)들 가운데 선택됨이 바람직하다.
한편, 제 2 클라이언트(2-2)의 게이머가 도움요청을 수락함에 따라 제 2 클라이언트(2-2)로부터 도움요청 수락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제 2 클라이언트(2-2)를 자신의 룸으로부터 강제로 퇴장시키고, 대신 상기 제 1 클라이언트(2-1)의 룸으로 강제 입장시킨다(S150).
이때, 제 2 클라이언트(2-2)는 이미 게임이 진행중이던 룸에 입장한 것이므로 게임 내 일정한 영역에 제 2 클라이언트(2-2)의 플레이어 캐릭터가 표시되도록 함으로써 게임 내 일정한 영역에서부터 제 2 클라이언트(2-2)가 게임을 진행할 수 있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한편, S150 단계에서 제 2 클라이언트(2-2)가 룸으로부터 강제 퇴장되는 경우 해당 룸에 다른 클라이언트(2)가 남아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되, 남아있지 않은 경우 상기 룸을 소멸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 2 클라이언트(2-2)는 자신에 게임을 하던 룸으로 다시 돌아갈 수 없다.
이와 같이 제 1 클라이언트(2-1)와 제 2 클라이언트(2-2)가 협력하여 플레이함으로써 제 1 클라이언트(2-1)가 자력으로 클리어하지 못했던 퀘스트를 클리어하게 되면, 이를 도와준 제 2 클라이언트(2-2)에게 일정한 인센티브를 제공한다(S160).
이때의 인센티브는 온라인 게임 내에서 이용가능한 게임 머니 또는 아이템 등일 수 있다.
한편, S110 단계 이후 어느 하나의 클라이언트(2)가 다른 클라이언트(2)들 가운데 어느 하나 또는 그 이상을 선택하면, 선택된 클라이언트들을 친구리스트에 포함시켜 저장할 수 있다(S170).
이와 같이 친구리스트가 저장되면, 상기 S140 단계에서 제 1 클라이언트(2-1)의 화면에 도 4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클라이언트(2-1)의 친구 리스트에 속하는 클라이언트(2)들의 아이디나 닉네임 등이 표시되도록 하되 그 가운데 도움을 요청할 클라이언트(2)를 선택하도록 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은 온라인 게임의 협력플레이 제공 방법은 컴퓨터 프로그램의 형태로 제작되되, 컴퓨터로 판독가능한 기록매체에 수록되어 온라인 게임 서버(1)에서 실행될 수 있다.
이상 몇가지의 실시예를 들어 본 발명을 살펴보았으나 이러한 실시예는 예시의 목적을 위해 개시된 것이고, 통상의 지식을 가진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 안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부가가 가능할 것임은 물론, 이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를 벗어나지 아니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 : 온라인게임서버 2 : 클라이언트
110 : 로그인처리수단 120 : 게임처리수단
130 : 협력플레이UI제공수단 140 : 접속재설정수단
150 : 친구리스트관리수단 160 : 인센티브 제공수단

Claims (15)

  1. 네트워크를 통해 접속한 클라이언트로부터 로그인 정보를 수신하면, 기 저장된 로그인 정보와 일치여부를 판단하여 일치할 경우 온라인 게임 계정에 대한 로그인을 처리하는 로그인처리수단;
    로그인 된 클라이언트로부터 온라인 게임의 진행을 위한 룸 생성요청이 있으면 룸을 생성하고, 룸에 입장한 클라이언트들로부터 게임시작 요청이 있으면 입장한 클라이언트들이 함께 온라인 게임을 진행할 수 있도록 처리하는 게임처리수단;
    온라인 게임을 진행하던 어느 하나의 클라이언트인 제 1 클라이언트로부터 자신이 입장한 룸에 속하지 않는 제 2 클라이언트의 식별정보 및 도움요청 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식별정보로 특정되는 제 2 클라이언트가 온라인 게임에 접속중인 경우 상기 제 2 클라이언트의 화면에 도움요청의 수락여부를 입력할 수 있는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표시되도록 하는 협력플레이UI제공수단; 및
    상기 제 2 클라이언트로부터 도움요청 수락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제 2 클라이언트를 기존에 입장한 룸으로부터 퇴장시키되, 상기 제 1 클라이언트가 입장한 룸에 입장시키는 접속재설정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게임의 협력플레이 제공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재설정수단은 상기 제 2 클라이언트의 플레이어 캐릭터를 상기 제 1 클라이언트가 입장한 룸의 온라인 게임 내 특정 영역에 표시함으로써 온라인 게임의 진행 도중 제 2 클라이언트가 게임을 진행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게임의 협력플레이 제공 시스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재설정수단은 상기 제 2 클라이언트가 룸으로부터 퇴장되는 경우 룸에 다른 클라이언트가 남아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되, 남아있지 않은 경우 상기 룸을 소멸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게임의 협력플레이 제공 시스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협력플레이UI제공수단은 상기 제 2 클라이언트가 상기 제 1 클라이언트가 도움요청을 한 시점에 게임 진행중이던 온라인 게임내 진행단계를 이미 클리어한 바 있는지 판단하여, 클리어한 바 있는 경우에 한하여 상기 제 2 클라이언트의 화면에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표시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게임의 협력플레이 제공 시스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클라이언트를 제외한 다른 클라이언트 가운데 상기 제 1 클라이언트가 선택한 다른 클라이언트를 상기 제 1 클라이언트의 친구리스트에 포함시켜 저장하는 친구리스트 관리수단;을 더 구비하되,
    상기 협력플레이UI제공수단은 상기 제 1 클라이언트의 화면에 상기 제 1 클라이언트의 친구 리스트에 포함된 클라이언트들로서 로그인 된 클라이언트들의 리스트 - 상기 리스트에 표시된 클라이언트 가운데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도움 요청을 할 수 있음 - 가 표시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게임의 협력플레이 제공 시스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클라이언트가 상기 제 1 클라이언트가 입장한 룸으로 강제 입장되어 온라인 게임의 일정단계까지 진행하면 상기 제 2 클라이언트에게 인센티브를 제공하는 인센티브 제공수단;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게임의 협력플레이 제공 시스템.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인센티브는 온라인 게임 내에서 이용가능한 게임 머니 또는 아이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게임의 협력플레이 제공 시스템.
  8. 온라인 게임 서버에서 실행되는 방법에 있어서,
    네트워크를 통해 접속한 클라이언트로부터 로그인 정보를 수신하여, 온라인 게임 계정에 대한 로그인을 처리하는 제 110 단계;
    로그인 된 클라이언트로부터 온라인 게임의 진행을 위한 룸 생성요청이 있으면 룸을 생성하는 제 120 단계;
    룸에 입장한 클라이언트들로부터 게임시작 요청이 있으면 입장한 클라이언트들이 함께 온라인 게임을 진행할 수 있도록 처리하는 제 130 단계;
    온라인 게임을 진행하던 클라이언트 가운데 어느 하나인 제 1 클라이언트로부터 자신이 입장한 룸에 속하지 않는 제 2 클라이언트의 식별정보 및 도움요청 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식별정보로 특정되는 제 2 클라이언트가 온라인 게임의 진행중인 경우 상기 제 2 클라이언트의 화면에 도움요청의 수락여부를 입력할 수 있는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표시되도록 하는 제 140 단계; 및
    제 2 클라이언트로부터 도움요청 수락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제 2 클라이언트를 자신이 입장한 룸으로부터 퇴장시키고, 상기 제 2 클라이언트를 상기 제 1 클라이언트가 게임을 진행중인 룸에 입장시키는 제 150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게임의 협력플레이 제공 방법.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50 단계에서, 상기 제 2 클라이언트의 플레이어 캐릭터를 상기 제 1 클라이언트가 게임을 진행중이던 룸의 온라인 게임 내 특정 영역에 표시하여 게임 플레이를 시작하도록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게임의 협력플레이 제공 방법.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50 단계에서, 상기 제 2 클라이언트가 룸으로부터 강제 퇴장되는 경우 해당 룸에 다른 클라이언트가 남아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되, 남아있지 않은 경우 상기 룸을 소멸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게임의 협력플레이 제공 방법.
  11.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50 단계 이후,
    상기 제 2 클라이언트가 상기 제 1 클라이언트가 입장한 룸으로 강제 입장되어 온라인 게임의 일정단계까지 진행하면 상기 제 2 클라이언트에게 인센티브를 제공하는 제 160 단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게임의 협력플레이 제공 방법.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인센티브는 온라인 게임 내에서 이용가능한 게임 머니 또는 아이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게임의 협력플레이 제공 방법.
  13.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40 단계에서, 상기 제 1 클라이언트가 도움요청을 한 시점에 게임 진행중이던 온라인 게임내 진행단계를 상기 제 2 클라이언트가 클리어한 바 있는지 판단하여, 클리어한 바 있는 경우에 한하여 상기 제 2 클라이언트의 화면에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표시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게임의 협력플레이 제공 방법.
  14.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10 단계 이후 어느 하나의 클라이언트가 다른 클라이언트 가운데 어느 하나 또는 그 이상을 선택하면, 선택된 다른 클라이언트들을 상기 어느 하나의 클라이언트의 친구리스트에 포함시켜 저장하는 제 170 단계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제 140 단계에서, 상기 제 1 클라이언트의 화면에 상기 제 1 클라이언트의 친구 리스트에 포함된 클라이언트들로서 로그인 된 클라이언트들의 리스트 - 상기 리스트에 표시된 클라이언트 가운데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도움 요청을 할 수 있음 - 가 표시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게임의 협력플레이 제공 방법.
  15. 온라인 게임에 로그인을 한 클라이언트로부터 온라인 게임의 진행을 위한 룸 생성요청이 있으면 룸을 생성하는 단계;
    룸에 입장한 클라이언트로부터 게임시작 요청이 있으면 입장한 클라이언트들이 함께 온라인 게임을 진행할 수 있도록 처리하는 단계;
    온라인 게임을 진행하던 클라이언트 가운데 어느 하나인 제 1 클라이언트로부터 자신이 입장한 룸에 속하지 않는 제 2 클라이언트의 식별정보 및 도움요청 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식별정보로 특정되는 제 2 클라이언트가 온라인 게임에 접속중인 경우 상기 제 2 클라이언트의 화면에 도움요청의 수락여부를 입력할 수 있는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표시되도록 하는 단계; 및
    제 2 클라이언트로부터 도움요청 수락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제 2 클라이언트를 자신이 입장한 룸으로부터 퇴장시키고, 상기 제 2 클라이언트를 상기 제 1 클라이언트가 게임을 진행중인 룸에 입장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온라인 게임의 협력플레이 제공 방법을 컴퓨터상에서 실행하는 프로그램이 수록된 컴퓨터로 판독가능한 기록매체.
KR1020100116774A 2010-11-23 2010-11-23 온라인 게임의 협력플레이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35791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16774A KR101357918B1 (ko) 2010-11-23 2010-11-23 온라인 게임의 협력플레이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16774A KR101357918B1 (ko) 2010-11-23 2010-11-23 온라인 게임의 협력플레이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75551A KR20120075551A (ko) 2012-07-09
KR101357918B1 true KR101357918B1 (ko) 2014-02-06

Family

ID=467094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16774A KR101357918B1 (ko) 2010-11-23 2010-11-23 온라인 게임의 협력플레이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57918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74951A (ko) * 2004-12-28 2006-07-03 주식회사 케이티 무선 인터넷 네트워크 게임 초대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080084836A (ko) * 2006-01-20 2008-09-19 마이크로소프트 코포레이션 진행중인 온라인 게임 세션에 참여하기 위한 방법, 시스템,및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
KR20100037548A (ko) * 2008-10-01 2010-04-09 가부시키가이샤 스퀘어.에닉스 게임 장치 및 게임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JP2010088694A (ja) 2008-10-08 2010-04-22 Sony Computer Entertainment Inc ゲーム制御プログラム、ゲーム装置、ゲームサーバ、及びゲーム制御方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74951A (ko) * 2004-12-28 2006-07-03 주식회사 케이티 무선 인터넷 네트워크 게임 초대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080084836A (ko) * 2006-01-20 2008-09-19 마이크로소프트 코포레이션 진행중인 온라인 게임 세션에 참여하기 위한 방법, 시스템,및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
KR20100037548A (ko) * 2008-10-01 2010-04-09 가부시키가이샤 스퀘어.에닉스 게임 장치 및 게임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JP2010088694A (ja) 2008-10-08 2010-04-22 Sony Computer Entertainment Inc ゲーム制御プログラム、ゲーム装置、ゲームサーバ、及びゲーム制御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75551A (ko) 2012-07-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421019B2 (en) System and method for enabling players to participate in asynchronous, competitive challenges
JP5288094B2 (ja) ゲームシステム及びゲーム制御方法
EP2212001B1 (en) Method of providing player status and ability to join games
JP5225008B2 (ja) ゲーム制御プログラム、ゲーム装置、ゲームサーバ、及びゲーム制御方法
US20140038721A1 (en) Method and system for facilitating online social interactions via cooperative gameplay
JP5485438B1 (ja) サーバ装置、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KR20090122887A (ko) 네트워크 게임 시스템
JP5078830B2 (ja) ゲーム制御プログラム、ゲーム装置、ゲームサーバ、及びゲーム制御方法
JP2014171869A (ja) サーバ装置、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5474248B1 (ja) ゲームサーバ、ゲーム提供方法、ゲームプログラム、ゲーム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情報記録媒体及びゲームシステム
TW202222394A (zh) 匹配系統、程式、資訊通訊終端、及伺服器
JP2015157028A (ja) ゲームシステムおよびゲームプログラム
JP2022149268A (ja) ゲームシステム、サーバ装置及びプログラム
JP2019208989A (ja) ゲームプログラム、記録媒体、ゲーム処理方法、情報処理装置
JP5546572B2 (ja) ビデオゲーム処理装置、およびビデオゲーム処理プログラム
JP5425147B2 (ja) ゲーム制御プログラム、ゲーム装置、ゲームサーバ、及びゲーム制御方法
KR101357918B1 (ko) 온라인 게임의 협력플레이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JP7121896B2 (ja) ゲームシステム、およびゲームプログラム
JP5563171B1 (ja) 端末装置、システム、および、プログラム
JP5483508B1 (ja) サーバ装置、および、方法
JP2014083264A (ja) ゲーム制御装置、ゲーム制御方法、プログラム、ゲームシステム
JP7304481B1 (ja) ゲームプログラム、ゲーム装置、ゲームシステム
JP7169512B2 (ja) ゲームプログラム、およびゲームシステム
JP7366338B2 (ja) ゲームプログラム、ゲーム装置、ゲームシステム
KR101771211B1 (ko) 개인용 단말장치를 이용한 게임장치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0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11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