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57052B1 - 축합중합 반응을 이용한 이산화탄소의 고정방법 및 이에 의해 형성된 고분자 재료 - Google Patents

축합중합 반응을 이용한 이산화탄소의 고정방법 및 이에 의해 형성된 고분자 재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57052B1
KR101357052B1 KR1020110135234A KR20110135234A KR101357052B1 KR 101357052 B1 KR101357052 B1 KR 101357052B1 KR 1020110135234 A KR1020110135234 A KR 1020110135234A KR 20110135234 A KR20110135234 A KR 20110135234A KR 101357052 B1 KR101357052 B1 KR 10135705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bon dioxide
fixing
strong acid
condensation polymerization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352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68254A (ko
Inventor
김장규
Original Assignee
포항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포항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포항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101352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57052B1/ko
Priority to PCT/KR2012/010417 priority patent/WO2013089380A1/ko
Priority to DE112012005245.5T priority patent/DE112012005245T5/de
Priority to CN201280061723.1A priority patent/CN104066708B/zh
Priority to JP2014547088A priority patent/JP5902828B2/ja
Priority to US14/365,817 priority patent/US9487626B2/en
Publication of KR201300682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6825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570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5705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68/00Preparation of esters of carbonic or haloformic acids
    • C07C68/04Preparation of esters of carbonic or haloformic acids from carbon dioxide or inorganic carbonates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BNON-METALLIC ELEMENTS; COMPOUNDS THEREOF; METALLOIDS OR COMPOUNDS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 C01C
    • C01B32/00Carbon; Compounds thereof
    • C01B32/50Carbon dioxide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69/00Esters of carboxylic acids; Esters of carbonic or haloformic acids
    • C07C69/96Esters of carbonic or haloformic aci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64/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nic ester link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 C08G64/20General preparatory processes
    • C08G64/30General preparatory processes using carbonat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And Apparatu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강산 수용액 하에서 이산화탄소를 축합중합 반응을 통해 고정함으로써, 종래의 이산화탄소 고정법에 비해 고정효율을 높이고 생성된 물질의 부피를 현저하게 줄일 수 있는 방법과 이 방법을 통해 형성된 고분자 재료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이산화탄소 고정법은, 강산 수용액이 주입된 반응기에 이산화탄소를 대기압보다 높은 압력으로 가압하여 주입함으로써, 상기 이산화탄소가 상기 강산 수용액에 용해되어 생성된 탄산(Carbonic Acid)이 축합중합(Condensation Poymerization) 반응을 통해 고분자화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축합중합 반응을 이용한 이산화탄소의 고정방법 및 이에 의해 형성된 고분자 재료 {METHOD FOR FIXING CARBON DIOXIDES USING CONDENSATION POLYMERIZATION AND POLYMER MATERIAL FORMED BY THE SAME}
본 발명은 이산화탄소를 고정하는 방법과 이 방법을 통해 형성된 고분자 재료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강산 수용액 하에서 이산화탄소를 축합중합 반응을 통해 고분자화하여 고정함으로써, 종래의 이산화탄소 고정법에 비해 효율적이면서도 저비용으로 이산화탄소를 고정할 수 있는 방법과 이 방법을 통해 형성된 고분자 재료에 관한 것이다.
석유나 석탄과 같은 화석연료는 인류에게 필수적인 에너지원이나, 화석연료는 사용과정에서 다량의 이산화탄소(CO2)를 발생시켜 지구온난화를 일으켜 심각한 기후변화를 초래한다. 이에 따라, 이산화탄소에 대해서는 향후 의무적 배출량 규제가 시행될 예정이다. 또한 화석연료를 대체할 다양한 에너지원이 개발되고 있지만 국제에너지기구(IEA)의 보고서에 따르면 오는 2050년까지도 화석연료의 비중이 전체 에너지 수요량의 70% 이상을 유지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따라서 세계 각국에서는 대형 석유화학공장, 화력 발전소, 제철소 등 다량의 이산화탄소를 고농도로 방출하는 시설물 중심으로 이산화탄소의 저감 및 이산화탄소의 고정과 저장방법에 대한 연구가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현재 이산화탄소를 고정하는 방법으로는, 물에 용해한 후 저장하는 방법, 심해저에 압축하여 저장하는 방법, 터널에 저장하는 방법, 해조류를 이용한 광합성 방법 또는 탄산칼슘으로의 침전방법 등의 방법이 고려되고 있다.
그런데, 종래의 이산화탄소의 고정방법은, 이산화탄소의 고정효율이 크지 않고, 그 과정에서 생성된 물질의 부피가 크거나, 또는 이산화탄소의 고정과 저장에 많은 비용이 소요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다.
한국공개특허공보 제2011-0087273호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의 이산화탄소 고정방법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과제는 이산화탄소의 축합중합 반응을 통해 안정한 고분자를 형성함으로써 이산화탄소의 고정효율과 생성된 물질의 부피를 줄일 수 있는 이산화탄소의 고정방법과 이 방법을 통해 형성된 고분자 재료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강산 수용액이 주입된 반응기에 이산화탄소를 대기압보다 높은 압력으로 가압하여 주입함으로써, 상기 이산화탄소가 상기 강산 수용액에 용해되어 생성된 탄산(carbonic acid)이 축합중합(condensation polymerization)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산화탄소의 고정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의 실시에 있어서, 상기 반응기의 온도는 100℃ 이하로 유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의 실시에 있어서, 상기 이산화탄소의 압력은 30기압 이상인 것이 효율적인 반응속도를 유지하는데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의 실시에 있어서, 상기 강산 수용액은 황산, 질산 또는 염산 중 1 종 이상이 이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의 실시에 있어서, 상기 강산 수용액의 pH는 2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방법에 의해 형성된 고분자 재료는 하기 화학식으로 표시되는 물질 또는 그로부터 생성되는 변형 물질 (Derivatives) 이다.
[화학식]
Figure 112011099716503-pat00001

본 발명에 의하면, 100℃ 이하의 온도에서 단지 이산화탄소의 압력을 높이는 방법만을 통해 강산 수용액에서 이산화탄소를 고분자 물질로 만들 수 있기 때문에, 종래의 이산화탄소 고정방법인 액화 이산화탄소를 해저나 지하에 저장하는 방법 등에 비해 훨씬 적은 비용으로 자연에 적은 영향을 미치면서 고정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합성된 물질의 적외선 흡광 스펙트럼을 나타낸 것이다.
이산화탄소는 수용액 상에서 카르복실기(Carboxyl Group)를 가지는 산의 형태로 존재한다. 다시 말해 카르복실산(Carboxylic Acid)의 형태를 가지게 되며 탄산(Carbonic Acid)이라고 불린다. 그런데 다른 카르복실산과는 다르게 탄산의 다른 한쪽의 수산화기(Hydroxyl Group)는 알코올기(Alcohol Group)의 역할을 할 수 있도록 되어있다. 본 발명자는 이점에 착안하여, 이산화탄소를 축합중합 반응시킬 경우, 타 물질을 거의 사용하지 않고 이산화탄소만의 반응을 통해 안정된 물질로 만들 수 있으며, 이 경우 종래의 이산화탄소 고정방법에 비해 비용을 크게 줄일 수 있음을 확인하고 본 발명에 이르게 되었다.
아래와 같이 탄산끼리의 반응을 통해 에스테르화가 가능하다.
Figure 112011099716503-pat00002

이러한 반응을 이용하여, 수용액 상에서 연속적으로 반응시키면 축합중합(Condensation Polymerization, Polycondensation) 반응이 되며, 이를 통해 아래 화학식과 같이 여러 개의 탄산 분자들이 반응한 고분자 탄산(Polycarbonic Acid) 선형 분자(Linear Molecule)를 얻을 수 있다.
Figure 112011099716503-pat00003

이와 같은 분자식은 간단하게 아래와 같은 화학식으로 나타낼 수 있는데 괄호 속에 들어있는 부분은 반복단위이고 아래 첨자로 붙어있는 n 은 이 반복단위가 몇 개 연결되어 있는지를 나타내는 것이다.
Figure 112011099716503-pat00004

상기한 에스테르화 반응은 다량의 수소 이온이 존재하는 환경에서 일어나기 때문에, 본 발명에서는 다량의 수소 이온을 제공할 수 있는 강산(Strong Acid) 촉매가 필요하다.
또한, 반응은 산이 해리될 수 있는 수용액 상에서 일어나야 하고 반응 물질은 수용성(Water Solubility)을 가져야 한다. 그런데 이산화탄소가 물에 녹아서 생성되는 탄산은 약산이기 때문에 촉매로 쓰이는 강산에 비해 수용성이 현저히 떨어지게 되고 오히려 기체 이산화탄소로 존재하는 것이 훨씬 안정하여 낮은 분압에서는 강산 수용액에 거의 녹지 않는다. 그러므로 이산화탄소의 수용성을 높여주기 위해서는 이산화탄소의 분압을 높여줄 필요가 있다. 따라서 이산화탄소의 압력은 30기압 이상의 압력을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실시예]
염산과 물(증류수)을 혼합하여 pH 1.5인 염산 수용액을 만들었다. 이와 같이 만들어진 염산 수용액을 고온, 고압 환경을 구현할 수 있는 반응기인 오토클레이브에 넣는다. 이후, 상기 오토클레이브에 이산화탄소를 주입하고 60기압까지 가압하였으며, 이때 오토클레이브의 온도는 상온으로 하였다.
그 결과, 농도 1% 정도로 고분자 물질이 합성되었으며, 도 1은 합성된 물질의 구조를 분석한 적외선 흡광 스펙트럼을 나타낸 것이다. 도 1에서 확인되는 바와 같이, 합성된 물질은 카르보닐기(Carbonyl Group)와 에테르기(Ether Group)의 특성을 보여주고 있으며 이에 더하여 수산화기(Hydroxyl Group)가 부착되어 있음을 보여준다. 즉, 고분자 탄산이 형성된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방법을 통해, 이산화탄소의 고정 및 저장이 가능하게 된다.

Claims (8)

  1. 강산 수용액이 주입된 반응기에 이산화탄소를 대기압보다 높은 압력으로 가압하여 주입함으로써, 상기 이산화탄소가 상기 강산 수용액에 용해되어 생성된 탄산(Carbonic Acid)이 축합중합(Condensation Polymerization) 반응을 통해 고분자화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산화탄소의 고정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반응기의 온도는 100℃ 이하로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산화탄소의 고정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산화탄소의 압력은 30기압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산화탄소의 고정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강산 수용액은 황산, 질산 또는 염산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산화탄소의 고정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분자화된 이산화탄소는 하기 화학식으로 표시되는 물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산화탄소의 고정방법.
    [화학식]
    Figure 112013069627222-pat00005

    (여기서, n은 괄호 속에 들어있는 반복단위가 n개 연결되어 있는 것을 의미함)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고분자화된 이산화탄소는 선형 고분자의 탄소원자의 일부에 가교결합 (Cross Link) 이 형성되어 상기 선형 고분자끼리 화학결합(Chemical bond)으로 연결되어있는 물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산화 탄소의 고정 방법.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강산 수용액의 pH는 2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산화탄소의 고정방법.
  8.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방법으로 합성된 고분자 재료.
KR1020110135234A 2011-12-15 2011-12-15 축합중합 반응을 이용한 이산화탄소의 고정방법 및 이에 의해 형성된 고분자 재료 KR101357052B1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35234A KR101357052B1 (ko) 2011-12-15 2011-12-15 축합중합 반응을 이용한 이산화탄소의 고정방법 및 이에 의해 형성된 고분자 재료
PCT/KR2012/010417 WO2013089380A1 (ko) 2011-12-15 2012-12-04 축합중합 반응을 이용한 이산화탄소의 고정방법, 이에 의해 형성된 고분자 재료, 이 고분자 재료로부터 탄소 회수 방법 및 이 탄소 회수 방법을 통해 생성된 흑연
DE112012005245.5T DE112012005245T5 (de) 2011-12-15 2012-12-04 Fixierungsverfahren für Kohlendioxid unter Verwendung von Kondensationspolymerisation, dadurch hergestelltes Polymermaterial, Verfahren zur Rückgewinnung von Kohlenstoff aus dem Polymermaterial, und durch das Kohlenstoffrückgewinnungsverfahren erzeugtes Graphit
CN201280061723.1A CN104066708B (zh) 2011-12-15 2012-12-04 利用缩合聚合的二氧化碳固定方法、由此制备的聚合物材料、由所述聚合物材料回收碳的方法及通过所述碳回收方法生成的石墨
JP2014547088A JP5902828B2 (ja) 2011-12-15 2012-12-04 縮合重合反応を用いた二酸化炭素の固定方法、これにより形成された高分子材料、この高分子材料からの炭素回収方法、及びこの炭素回収方法を通じて生成された黒鉛
US14/365,817 US9487626B2 (en) 2011-12-15 2012-12-04 Carbon dioxide fixation method using condensation polymerization, polymer material prepared thereby, method for recovering carbon from said polymer material, and graphite generated by said carbon recovery method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35234A KR101357052B1 (ko) 2011-12-15 2011-12-15 축합중합 반응을 이용한 이산화탄소의 고정방법 및 이에 의해 형성된 고분자 재료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68254A KR20130068254A (ko) 2013-06-26
KR101357052B1 true KR101357052B1 (ko) 2014-02-05

Family

ID=488639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35234A KR101357052B1 (ko) 2011-12-15 2011-12-15 축합중합 반응을 이용한 이산화탄소의 고정방법 및 이에 의해 형성된 고분자 재료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5705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30673A (ko) 2014-05-14 2015-11-24 포항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물유리를 이용한 이산화탄소의 고정방법 및 고정된 이산화탄소로부터 탄소의 재생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100410A (ja) * 1995-10-05 1997-04-15 Matsushita Refrig Co Ltd 二酸化炭素固定化剤、及び二酸化炭素固定化剤を含む発泡断熱材の製造方法
US6288202B1 (en) 1997-04-11 2001-09-11 The University Of North Carolina At Chapel Hill Synthesis of polycarbonates using Co2
JP2004263168A (ja) 2003-03-03 2004-09-24 Changchun Inst Of Applied Chemistry Chinese Academy Of Science 高分子量の脂肪族ポリカーボネートの製造に用いられる三元触媒
JP2007051220A (ja) 2005-08-18 2007-03-01 Hitachi Maxell Ltd 表面改質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100410A (ja) * 1995-10-05 1997-04-15 Matsushita Refrig Co Ltd 二酸化炭素固定化剤、及び二酸化炭素固定化剤を含む発泡断熱材の製造方法
US6288202B1 (en) 1997-04-11 2001-09-11 The University Of North Carolina At Chapel Hill Synthesis of polycarbonates using Co2
JP2004263168A (ja) 2003-03-03 2004-09-24 Changchun Inst Of Applied Chemistry Chinese Academy Of Science 高分子量の脂肪族ポリカーボネートの製造に用いられる三元触媒
JP2007051220A (ja) 2005-08-18 2007-03-01 Hitachi Maxell Ltd 表面改質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30673A (ko) 2014-05-14 2015-11-24 포항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물유리를 이용한 이산화탄소의 고정방법 및 고정된 이산화탄소로부터 탄소의 재생방법
KR101631828B1 (ko) 2014-05-14 2016-06-20 포항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물유리를 이용한 이산화탄소의 고정방법 및 고정된 이산화탄소로부터 탄소의 재생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68254A (ko) 2013-06-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Yu et al. Recent advances in CO2 capture and utilization
ES2625933T3 (es) Conversión de dióxido de carbono en dimetil-éter usando el bi-reformado de metano o gas natural
ES2659978T3 (es) Electrólisis de dióxido de carbono en medios acuosos para dar monóxido de carbono e hidrógeno para la producción de metanol
Xiaoding et al. Mitigation of CO2 by chemical conversion: Plausible chemical reactions and promising products
US10131599B2 (en) Fracking with CO2 for shale gas reforming to methanol
US9504952B2 (en) Recycling carbon dioxide via capture and temporary storage to produce renewable fuels and derived products
KR101357052B1 (ko) 축합중합 반응을 이용한 이산화탄소의 고정방법 및 이에 의해 형성된 고분자 재료
US20120111189A1 (en) Method and system for gas capture
Prakash et al. Beyond oil and gas: the methanol economy
Straatman et al. Indirect air CO2 capture and refinement based on OTEC seawater outgassing
Park et al. Tailoring the characteristics of deep eutectic solvents comprising quaternized linear polyamine based on the order of amines for CO2 capture
US9662608B2 (en) Methods and systems for capturing carbon dioxide and producing a fuel using a solvent including a nanoparticle organic hybrid material and a secondary fluid
Zhao et al. Synthesis of polyurethane based on indirect utilization strategy of CO2
US9487626B2 (en) Carbon dioxide fixation method using condensation polymerization, polymer material prepared thereby, method for recovering carbon from said polymer material, and graphite generated by said carbon recovery method
Huang et al. CO 2 Utilization
KR101364688B1 (ko) 축합 중합 반응을 이용해서 고정된 이산화탄소로부터 탄소를 재생하는 방법 및 그 방법에 의하여 형성된 흑연
KR101631828B1 (ko) 물유리를 이용한 이산화탄소의 고정방법 및 고정된 이산화탄소로부터 탄소의 재생방법
CN106905520A (zh) 一种催化剂组合物和三元共聚物的合成方法
Biswas et al. Design of Ionic liquid functionalized chitosan with optimized hydrophilic/hydrophobic structural balance as catalyst for CO2 fixation
Suerbaev Carbon dioxide as a source of carbon in chemical synthesis
CN102020626A (zh) 一种合成碳酸丙烯酯的方法
ES2367619B1 (es) Procedimiento para la producción de metano y/o metanol.
Chen et al. Polyisocyanuratoesters: renewable linear polyesters with high flame retardancy
Aresta Carbon dioxide utilization: chemical, biological and technological applications
Umarkar et al. Direct liquid fuel cell: challenges and advanc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02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