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56337B1 - 선박의 프로펠러 샤프트 삽입장치 - Google Patents

선박의 프로펠러 샤프트 삽입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56337B1
KR101356337B1 KR1020120092336A KR20120092336A KR101356337B1 KR 101356337 B1 KR101356337 B1 KR 101356337B1 KR 1020120092336 A KR1020120092336 A KR 1020120092336A KR 20120092336 A KR20120092336 A KR 20120092336A KR 101356337 B1 KR101356337 B1 KR 10135633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peller shaft
turntable
shaft
ship
b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923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창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현대미포조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현대미포조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현대미포조선
Priority to KR10201200923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5633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563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5633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71/00Designing vessels; Predicting their performan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HMARINE PROPULSION OR STEERING
    • B63H23/00Transmitting power from propulsion power plant to propulsive elements
    • B63H23/32Other parts
    • B63H23/34Propeller shafts; Paddle-wheel shafts; Attachment of propellers on shaft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Sliding-Contact Bear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상부에 수평상태로 회전 가능하게 턴테이블이 설치된 베이스, 턴테이블 상부에 프로펠러 샤프트의 축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는 전후이동대, 턴테이블에 설치된 상태로 전후이동대와 연결되어, 전후이동대를 턴테이블 상에서 이동되게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전후구동부, 삽입이동대의 상부에 프로펠러 샤프트의 축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는 좌우이동대, 전후이동대에 설치된 상태로 좌우이동대와 연결되어, 좌우이동대를 전후이동대 상에서 이동되게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좌우구동부, 좌우이동대에 수직하게 결합 설치되는 승강실린더, 승강실린더의 상부에 연결 설치된 상태로 프로펠러 샤프트가 안착되는 샤프트안착대를 포함하는 선박의 프로펠러 샤프트 삽입장치를 제공한다.
이와 같은, 선박의 프로펠러 샤프트 삽입장치는, 샤프트안착대 상부에 프로펠러 샤프트를 안착 배치한 후, 좌우구동부를 통한 좌우이동대의 좌우방향 위치이동 및 승강실린더를 통한 샤프트안착대의 상하방향 위치이동을 통해 프로펠러 샤프트가 선박의 스턴튜브베어링의 축심선상에 정확하게 배치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이후 전후구동부를 통한 전후이동대의 프로펠러 샤프트 축방향 이동을 통해 스턴튜브베어링 내측 중심에 프로펠러 샤프트를 정확하게 삽입 설치할 수 있는 바, 프로펠러 샤프트 및 스턴튜브베어링의 충돌접촉에 따른 손상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선박의 프로펠러 샤프트 삽입장치{Pushing device of ship propeller}
본 발명은 선박의 프로펠러 샤프트 삽입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선박에 장착되는 프로펠러를 엔진과 연결시키는 샤프트를 프로펠러와 결합할 수 있도록 스턴튜브 내부로 삽입시키는 선박의 프로펠러 샤프트 삽입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선박은 엔진에 의해 회전하는 프로펠러에 의해 동력을 받아 움직인다. 이러한 프로펠러는 선박의 후미에 설치되고 엔진은 선박의 내부에 설치되기 때문에 엔진의 동력을 프로펠러에 전달하기 위해 샤프트로 연결하게 된다.
도 1은 종래 선박의 프로펠러 샤프트를 스턴튜브베어링에 삽입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개략 상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선박(3)의 후미에 관 형상의 스턴튜브베어링(1)이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샤프트(2)가 상기 스턴튜브베어링(1)의 내측에 삽입되어 상기 프로펠러와 상기 샤프트(2)를 연결하게 된다.
그러나, 종래에는 상기 샤프트(2)를 상기 스턴튜브베어링(1) 내에 삽입시, 체인블록(Chain block, 4)을 사용함으로 인해, 상기 샤프트(2)의 상하좌우 위치조정이 어렵게 됨으로 상기 샤프트(2)를 상기 스턴튜브베어링(1) 내측 축심상으로 삽입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즉, 상기 샤프트(2)가 상기 스턴튜브베어링(1)의 내측 축심상에 배치된 상태에서 삽입되지 않을 경우, 상기 샤프트(2)와 상기 스턴튜브베어링(1)이 충돌하면서 상기 샤프트(2)와 상기 스턴튜브베어링(1)에 손상이 발생하게 된다.
본 발명은, 프로펠러 샤프트를 선박의 스턴튜브베어링 내측 축심상으로 정확하게 삽입할 수 있도록 위치조절이 가능한 선박의 프로펠러 샤프트 삽입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상부에 수평상태로 회전 가능하게 턴테이블이 설치된 베이스, 상기 턴테이블 상부에 프로펠러 샤프트의 축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는 전후이동대, 상기 턴테이블에 설치된 상태로 상기 전후이동대와 연결되어, 상기 전후이동대를 상기 턴테이블 상에서 이동되게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전후구동부, 상기 삽입이동대의 상부에 프로펠러 샤프트의 축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는 좌우이동대, 상기 전후이동대에 설치된 상태로 상기 좌우이동대와 연결되어, 상기 좌우이동대를 상기 전후이동대 상에서 이동되게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좌우구동부, 상기 좌우이동대에 수직하게 결합 설치되는 승강실린더, 상기 승강실린더의 상부에 연결 설치된 상태로 상기 프로펠러 샤프트가 안착되는 샤프트안착대를 포함하는 선박의 프로펠러 샤프트 삽입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턴테이블에는 적어도 하나의 러그가 결합 형성되며, 상기 러그에 걸림된 상태로 상기 프로펠러 샤프트에 연결되어, 상기 샤프트안착대 상부에 안착된 상기 프로펠러 샤프트를 고정시키는 고정와이어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베이스의 일측에는 수직하게 결합되는 복수의 지지대가 구비되며, 상기 지지대의 내측에는 길이방향으로 이동승강실린더가 결합 설치되고, 상기 이동승강실린더의 로드 단부에는 이동바퀴를 장착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베이스 및 상기 턴테이블에는 상호 대응되는 위치에 각각 복수의 체결홈 및 관통홈이 형성되며, 상기 턴테이블의 관통홈을 관통한 상태로 상기 베이스의 체결홈에 삽입 걸림되어, 상기 턴테이블을 고정시키는 걸림핀을 더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선박의 프로펠러 샤프트 삽입장치는, 샤프트안착대 상부에 프로펠러 샤프트를 안착 배치한 후, 좌우구동부를 통한 좌우이동대의 좌우방향 위치이동 및 승강실린더를 통한 샤프트안착대의 상하방향 위치이동을 통해 프로펠러 샤프트가 선박의 스턴튜브베어링의 축심선상에 정확하게 배치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이후 전후구동부를 통한 전후이동대의 프로펠러 샤프트 축방향 이동을 통해 스턴튜브베어링 내측 중심에 프로펠러 샤프트를 정확하게 삽입 설치할 수 있는 바, 프로펠러 샤프트 및 스턴튜브베어링의 충돌접촉에 따른 손상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종래 선박의 프로펠러 샤프트를 스턴튜브베어링에 삽입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개략 상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선박의 프로펠러 샤프트 삽입장치의 측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정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선박의 프로펠러 샤프트 삽입장치의 측면도이며, 도 3은 도 2의 정면도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선박의 프로펠러 샤프트 삽입장치, 베이스(100), 전후이동대(200), 전후구동부(300), 좌우이동대(400), 좌우구동부(500), 승강실린더(600), 샤프트안착대(700)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베이스(100)는 이후 설명될 전후이동대(200), 전후구동부(300), 좌우이동대(400), 좌우구동부(500), 승강실린더(600), 사프트안착대(700)를 지지하는 부분이다. 이러한, 상기 베이스(100)의 상부에는 수평 배치상태로 회전가능하게 턴테이블(110)이 연결 설치된다. 이같이, 상기 턴테이블(110)은 상기 베이스(100) 상에 수평 배치된 상태로 회전 가능하게 배치됨으로 인해, 이후 안착 배치된 프로펠러 샤프트(10)의 전단 및 후단 위치를 변경할 수 있게 한다. 그리고, 상기 턴테이블(110)의 상면에는 이후 설명될 전후이동대(200)를 슬라이딩 가능하게 가이드하는 X축가이드(111)가 상기 프로펠러 샤프트(10)의 축방향으로 형성된다.
더불어, 상기 턴테이블(110)의 선단 및 후단 일측에는 고정와이어(113)가 연결 구비된 복수의 러그(112)가 결합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고정와이어(113)의 길이방향 일단은 상기 러그(112)에 연결 걸림된 상태로 타단이 상기 프로펠러 샤프트(10)에 각각 연결됨으로서, 이후 설명될 샤프트안착대(700) 상에 안착 배치되는 상기 프로펠러 샤프트(10)를 안정적으로 고정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베이스(100)의 상면 일측 및 상기 턴테이블(110)의 일측에는 상호 대응되는 위치에 각각 체결홈(150) 및 관통홈(114)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체결홈(150) 및 상기 관통홈(114)에 걸림핀(115)이 삽입 배치되면서 상기 턴테이블(110)을 상기 베이스(100) 상에서 회전하지 않도록 걸림 고정상태로 유지되게 할 수 있다. 즉, 상기 걸림핀(115)의 일단이 상기 턴테이블(110)의 관통홈(114)을 관통한 상태로 상기 베이스(100)의 체결홈(150) 상에 삽입 걸림될 경우, 상기 턴테이블(110)은 상기 베이스(100) 상에서 회전되지 않게 된다.
또한, 상기 베이스(100)의 일측에는 수직하게 결합된 상태로 상기 베이스(100)를 지지하도록 복수의 지지대(120)가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지지대(120)의 내측에는 하방으로 개구된 공간부(121)를 가진다. 그리고, 상기 지지대(120)의 내측에는 상기 베이스(100)의 수직한 방향, 즉 상기 지지대(120)의 길이방향으로 이동승강실린더(130)가 결합 설치된다. 여기서, 상기 이동승강실린더(130)의 로드 단부에는 이동바퀴(140)를 장착 구비한다. 따라서, 상기 이동승강실린더(130)의 로드가 하방으로 이동하며 길이가 길어질 경우에는 상기 이동바퀴(140)를 상기 지지대(120)의 공간부(121)에서 하방으로 돌출되도록 배치하면서 상기 이동바퀴(140)에 의한 상기 베이스(100)의 이동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반대로, 상기 이동승강실린더(130)의 로드가 상하방으로 이동하며 길이가 짧아질 경우에는 상기 이동바퀴(140)를 상기 지지대(120)의 공간부(121)에 삽입 배치하면서 상기 베이스(100)가 상기 지지대(120)에 의해 지지된 상태가 되게 할 수 있다.
상기 전후이동대(200)는 상기 턴테이블(110)의 X축가이드(111)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된다. 즉, 상기 전후이동대(200)는 상기 턴테이블(110) 상부에 상기 프로펠러 샤프트(10)의 축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된다. 이러한, 상기 전후이동대(200)는 상기 프로펠러 샤프트(10)를 선박의 스턴튜브베어링(도면미도시) 내측으로 삽입 또는 이탈시킬 수 있도록 이동되게 한다. 여기서, 상기 전후이동대(200)의 상면에는 상기 X축가이드(111)에 수직하게 Y축가이드(210)가 형성된다. 즉, 상기 Y축가이드(210)는 이후 설명될 상기 좌우이동대(400)를 상기 프로펠러 샤프트(10)의 축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 슬라이딩되도록 가이드하게 된다.
상기 전후구동부(300)는 상기 전후이동대(200)를 상기 턴테이블(110)의 X축가이드(111)에서 슬라이딩 이동하도록 구동력을 발생시킨다. 이러한, 상기 전후구동부(300)는 상기 턴테이블(110) 일측에 설치된 상태로 상기 전후이동대(200)로 구동력을 전달할 수 있도록 상기 전후이동대(200) 일측에 연결된다. 여기서, 상기 전후구동부(300)는 유압에 의해 동작하는 유압실린더를 적용할 수 있다. 이같이, 상기 전후구동부(300)를 유압실린더로 적용할 경우, 상기 유압실린더를 상기 X축가이드(111)에 나란하게 배치되도록 상기 턴테이블(110) 상에 설치한 상태로 로드 단부를 상기 전후이동대(200)에 연결 결합한다. 그러면, 상기 유압실린더의 동작에 의한 로드 단부의 위치에 따라 상기 전후이동대(200)는 상기 턴테이블(110)의 X축가이드(111) 상에서 전방 또는 후방으로 슬라이딩 이동하게 된다.
상기 좌우이동부(400)는 상기 전후이동대(200)의 Y축가이드(210)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된다. 즉, 상기 좌우이동대(400)는 상기 전후이동대(200)의 상부에 상기 프로펠러 샤프트(10)의 축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된다. 이러한, 상기 좌우이동부(400)는 상기 프로펠러 샤프트(10)를 축방향에 수직한 방향, 즉 상기 프로펠러 샤프트(10)가 수평방향으로 위치를 변경할 수 있도록 이동되게 한다.
상기 좌우구동부(500)는 상기 좌우이동대(400)를 상기 전후이동대(200)의 Y축가이드(210)에서 슬라이딩 이동하도록 구동력을 발생시킨다. 이러한, 상기 좌우구동부(500)는 상기 전후이동대(200) 일측에 설치된 상태로 상기 좌우이동대(400)로 구동력을 전달할 수 있도록 상기 좌우이동대(400) 일측에 연결된다. 여기서, 상기 좌우구동부(500)는 유압에 의해 동작하는 유압실린더를 적용할 수 있다. 이같이, 상기 좌우구동부(300)를 유압실린더로 적용할 경우, 상기 유압실린더를 상기 Y축가이드(210)에 나란하게 배치되도록 상기 전후이동대(200) 상에 설치한 상태로 로드 단부를 상기 좌우이동대(400)에 연결 결합한다. 그러면, 상기 유압실린더의 동작에 의한 로드 단부의 위치에 따라 상기 좌우이동대(400)는 상기 전후이동대(200)의 Y축가이드(210) 상에서 전방 또는 후방으로 슬라이딩 이동하게 된다.
상기 승강슬린더(600)는 상기 프로펠러 샤프트(10)를 수직방향으로 위치를 변경할 수 있도록 상하이동되게 한다. 이러한, 상기 승강실린더(600)는 상기 좌우이동대(400)의 상부에 로드 단부를 수직 배치한 상태로 결합 설치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승강실린더(600)의 동작에 의한 로드의 길이 변화에 따라 이후 설명될 샤프트안착대(700) 상에 안착된 상기 프로펠러 샤프트(10)의 상하위치를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샤프트안착대(700)는 선박의 스턴튜브베어링 내측으로 삽입될 상기 프로펠러 샤프트(10)를 거치상태로 지지한다. 이러한, 상기 샤프트안착대(700)는 상기 승강실린더(600)에 의해 상기 좌우이동대(400)의 상부에 연결 설치된다. 즉, 상기 샤프트안착대(700)는 상기 승강실린더(600)의 상부에 연결 설치되어, 상기 승강실린더(600)의 동작에 따라 상하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샤프트안착대(700)의 상면에는 상기 프로펠러 샤프트(10)를 삽입상태로 안정적인 안착 지지할 수 있게 라운드진 반원형의 안착홈(710)을 형성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일실시예에 따른 상기 선박의 프로펠러 샤프트 삽입장치의 동작을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상기 샤프트안착대(700) 상부에 상기 프로펠러 샤프트(10)를 안착 배치시킨 후, 상기 턴테이블(110) 상의 고정와이어(113)를 상기 프로펠러 샤프트(10)에 연결상태로 걸림 고정시키면서, 상기 프로펠러 샤프트(10)를 상기 턴테이블(110) 상에 고정되게 한다.
이후, 상기 베이스(100)를 선박의 스턴튜브베어링에 인접하도록 이동 배치한다. 즉, 상기 베이스(100)에 구비된 상기 이동승강실린더(130)를 작동시켜 상기 이동바퀴(140)에 의해 상기 베이스(100)가 지지되게 한 후, 상기 베이스(100)를 상기 선박의 스턴튜브베어링에 인접하도록 이동시킨다.
이렇게, 상기 프로펠러 샤프트(10)를 지지하는 상기 베이스(100)가 상기 선박의 스턴튜브베어링에 인접 배치되면, 상기 프로펠러 샤프트(10)를 상기 스턴튜브베어링의 축심선상에 배치되도록 상기 프로펠러 샤프트(10)의 상하 및 좌우 위치를 조절한다.
상기 프로펠러 샤프트(10)의 좌우방향 조절은, 상기 좌우구동부(500)를 작동시켜, 상기 좌우이동대(400)가 상기 전후이동대(200)의 Y축가이드(210) 상에서 이동되게 한다. 그리고, 상기 프로펠러 샤프트(10)의 상하방향 조절은, 상기 승강실린더(600)를 작동시켜 상기 샤프트안착대(700)를 상하방향으로 이동되게 한다.
더불어, 상기 프로펠러 샤프트(10)의 상기 스턴튜브베어링으로 삽입시, 수평방향에 대한 삽입각도를 조절할 경우에는, 상기 베이스(100) 상부에서 상기 턴테이블(110)을 회전시킨 후, 상기 걸림핀(115)을 상기 베이스(100)와 상기 턴테이블(110)의 체결홈(150) 및 관통홈(114) 삽입 배치하여, 상기 턴테이블(110)을 위치를 변경시킨 상태로 고정시킨다.
이같이, 상기 좌우구동부(500)에 의한 상기 좌우이동대(400)의 좌우방향 이동 및 상기 승강실린더(600)에 의한 상기 샤프트안착대(700)의 상하방향 이동을 통해, 상기 샤프트안착대(700) 상에 배치된 상기 프로펠러 샤프트(10)를 상기 선박의 스턴튜브베어링 축심선상에 위치시킨 후에는, 상기 프로펠러 샤프트(10)를 상기 스턴튜브베어링 방향으로 이동시켜 삽입 설치되게 한다. 즉, 상기 전후구동부(300)에 의해 상기 전후이동대(200)가 상기 턴테이블(110)의 X축가이드(111) 상에서 상기 선박의 스턴튜브베어링 방향으로 이동되게 하면서 삽입 설치되게 한다.
이와 같이, 일실시예의 상기 선박의 프로펠러 샤프트 삽입장치는, 상기 샤프트안착대(700) 상부에 상기 프로펠러 샤프트(10)를 안착 배치한 후, 상기 좌우구동부(500)를 통한 상기 좌우이동대(400)의 좌우방향 위치이동 및 상기 승강실린더(600)를 통한 상기 샤프트안착대(700)의 상하방향 위치이동을 통해 상기 프로펠러 샤프트(10)가 상기 선박의 스턴튜브베어링의 축심선상에 정확하게 배치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이후 상기 전후구동부(300)를 통한 상기 전후이동대(200)의 상기 프로펠러 샤프트(10) 축방향 이동을 통해 상기 스턴튜브베어링 내측 중심에 상기 프로펠러 샤프트(10)를 정확하게 삽입 설치할 수 있는 바, 상기 프로펠러 샤프트(10) 및 상기 스턴튜브베어링의 충돌접촉에 따른 손상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 프로펠러 샤프트 100: 베이스
110: 턴테이블 120: 지지대
130: 이동승강실린더 140: 이동바퀴
150: 체결홈 200: 전후이동대
300: 전후구동부 400: 좌우이동대
500: 좌우구동부 600: 승강실린더
700: 샤프트안착대

Claims (4)

  1. 상부에 수평상태로 회전 가능하게 턴테이블이 설치된 베이스와;
    상기 턴테이블 상부에 프로펠러 샤프트의 축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는 전후이동대와;
    상기 턴테이블에 설치된 상태로 상기 전후이동대와 연결되어, 상기 전후이동대를 상기 턴테이블 상에서 이동되게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전후구동부와;
    상기 전후이동대의 상부에 프로펠러 샤프트의 축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는 좌우이동대와;
    상기 전후이동대에 설치된 상태로 상기 좌우이동대와 연결되어, 상기 좌우이동대를 상기 전후이동대 상에서 이동되게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좌우구동부와;
    상기 좌우이동대에 수직하게 결합 설치되는 승강실린더; 및,
    상기 승강실린더의 상부에 연결 설치된 상태로 상기 프로펠러 샤프트가 안착되는 샤프트안착대를 포함하는 선박의 프로펠러 샤프트 삽입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턴테이블에는 적어도 하나의 러그가 결합 형성되며,
    상기 러그에 걸림된 상태로 상기 프로펠러 샤프트에 연결되어, 상기 샤프트안착대 상부에 안착된 상기 프로펠러 샤프트를 고정시키는 고정와이어를 구비하는 선박의 프로펠러 샤프트 삽입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의 일측에는 수직하게 결합되는 복수의 지지대가 구비되며,
    상기 지지대의 내측에는 길이방향으로 이동승강실린더가 결합 설치되고,
    상기 이동승강실린더의 로드 단부에는 이동바퀴를 장착 구비하는 선박의 프로펠러 샤프트 삽입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및 상기 턴테이블에는 상호 대응되는 위치에 각각 복수의 체결홈 및 관통홈이 형성되며,
    상기 턴테이블의 관통홈을 관통한 상태로 상기 베이스의 체결홈에 삽입 걸림되어, 상기 턴테이블을 고정시키는 걸림핀을 더 구비하는 선박의 프로펠러 샤프트 삽입장치.

KR1020120092336A 2012-08-23 2012-08-23 선박의 프로펠러 샤프트 삽입장치 KR10135633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92336A KR101356337B1 (ko) 2012-08-23 2012-08-23 선박의 프로펠러 샤프트 삽입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92336A KR101356337B1 (ko) 2012-08-23 2012-08-23 선박의 프로펠러 샤프트 삽입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56337B1 true KR101356337B1 (ko) 2014-01-28

Family

ID=501465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92336A KR101356337B1 (ko) 2012-08-23 2012-08-23 선박의 프로펠러 샤프트 삽입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56337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527926A (zh) * 2015-01-07 2015-04-22 广州文冲船厂有限责任公司 一种单轴承船舶的轴承安装装置和安装方法
CN110920827A (zh) * 2019-11-15 2020-03-27 沪东中华造船(集团)有限公司 一种液压联轴节连接的轴系桨轴船外塞入艉管的方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112225A (ko) * 2008-04-24 2009-10-28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지주 운반용 수레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112225A (ko) * 2008-04-24 2009-10-28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지주 운반용 수레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527926A (zh) * 2015-01-07 2015-04-22 广州文冲船厂有限责任公司 一种单轴承船舶的轴承安装装置和安装方法
CN110920827A (zh) * 2019-11-15 2020-03-27 沪东中华造船(集团)有限公司 一种液压联轴节连接的轴系桨轴船外塞入艉管的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3317282B (zh) 油嘴自动焊接变位机
KR101177642B1 (ko) 용접용 고정지그
KR101589117B1 (ko) 코너부 용접지그 장치
CN203380544U (zh) 油嘴自动焊接变位机
CN209651640U (zh) 高承重收龙门放线架
CN205184712U (zh) 工作台
KR101356337B1 (ko) 선박의 프로펠러 샤프트 삽입장치
US11549863B2 (en) Tire uniformity testing machine
KR20180039820A (ko) 용접용 셀의 고정지그 및 이를 이용한 셀의 용접장치
CN103507051A (zh) 一种旋转检查台自转打开机构
CN103831451A (zh) 一种发动机暖风出水管专用加工工具及加工方法
CN211765164U (zh) 一种可伸缩的夹持装置及其agv
JP5514080B2 (ja) 工作機械用組立装置
KR101281424B1 (ko) 피스톤 핀홀 형상 가공기
CN103056654B (zh) 滑轮组装配专机
CN106304747A (zh) 滑轨总成
JP4992527B2 (ja) ステータ組み付け装置及びステータ組み付け方法
CN104044906B (zh) 一种拉钢方法
CN204243567U (zh) 便携式手车开关检修架
CN205748429U (zh) 汽车玻璃升降器的定位装置
CN106425232A (zh) 一种履带起重机臂架组管专用夹具
JPWO2012105528A1 (ja) バッテリー交換ロボット
CN219358521U (zh) 一种泵阀铸件焊接装置
CN104028566B (zh) 一种拉钢小车及其型钢检验台
CN216413804U (zh) 一种船舶与海洋工程用电缆托架结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2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2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21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