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54612B1 - 핸들바아 회전형 슬라이드식 자전거 주차랙 - Google Patents

핸들바아 회전형 슬라이드식 자전거 주차랙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54612B1
KR101354612B1 KR1020130014361A KR20130014361A KR101354612B1 KR 101354612 B1 KR101354612 B1 KR 101354612B1 KR 1020130014361 A KR1020130014361 A KR 1020130014361A KR 20130014361 A KR20130014361 A KR 20130014361A KR 101354612 B1 KR101354612 B1 KR 10135461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il
bicycle
front wheel
wheel cradle
crad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143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병철
Original Assignee
신훈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훈종 filed Critical 신훈종
Priority to KR10201300143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5461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546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5461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HCYCLE STANDS; SUPPORTS OR HOLDERS FOR PARKING OR STORING CYCLES; APPLIANCES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ZED USE OR THEFT OF CYCLES; LOCKS INTEGRAL WITH CYCLES; DEVICES FOR LEARNING TO RIDE CYCLES
    • B62H3/00Separate supports or holders for parking or storing cycles
    • B62H3/04Separate supports or holders for parking or storing cycles involving forked supports of brackets for holding a whee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HCYCLE STANDS; SUPPORTS OR HOLDERS FOR PARKING OR STORING CYCLES; APPLIANCES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ZED USE OR THEFT OF CYCLES; LOCKS INTEGRAL WITH CYCLES; DEVICES FOR LEARNING TO RIDE CYCLES
    • B62H3/00Separate supports or holders for parking or storing cycles
    • B62H3/08Separate supports or holders for parking or storing cycles involving recesses or channelled rails for embracing the bottom part of a whee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HCYCLE STANDS; SUPPORTS OR HOLDERS FOR PARKING OR STORING CYCLES; APPLIANCES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ZED USE OR THEFT OF CYCLES; LOCKS INTEGRAL WITH CYCLES; DEVICES FOR LEARNING TO RIDE CYCLES
    • B62H5/00Appliances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cycles; Locks integral with cycles
    • B62H5/14Appliances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cycles; Locks integral with cycles preventing wheel rot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ittings On The Vehicle Exterior For Carrying Loads, And Device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전거를 주차할 때 바퀴 거치대에 주차된 자전거의 핸들바아를 회전시켜 자전거의 앞바퀴를 지지하는 전륜 거치대가 자전거의 뒷바퀴를 지지하는 후륜 거치대에 대하여 회동하도록 함으로써 인접하여 주차되는 자전거들 간의 핸들바아나 바구니가 서로 엉키거나 간섭하지 않도록 하기 위한 핸들바아 회전형 슬라이드식 자전거 주차랙에 관한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자전거들 간의 핸들바아나 바구니가 간섭하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종래와 같이 바퀴 거치대의 높낮이를 달리하거나 사선으로 배치하거나 또는 전후로 돌출하는 위치가 다르도록 배치할 필요가 없어 공간 활용이 우수하며 안정적인 구조를 가지게 된다.

Description

핸들바아 회전형 슬라이드식 자전거 주차랙{A handlebar rotating type slide bicycle parking rack}
본 발명은 자전거 주차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자전거의 앞바퀴를 지지하는 전륜 거치대가 자전거의 뒷바퀴를 지지하는 후륜 거치대에 대하여 좌우로 회동하도록 함으로써 인접하여 주차되는 자전거들 간에 핸들바아 또는 바구니가 간섭하는 현상을 방지하도록 설계된 슬라이드식 자전거 주차랙에 관한 것이다.
최근 건강에 대한 관심도의 증가와 각국 정부의 물리적 및 제도적 지원에 의하여 자전거 사용인구가 급격하게 증가하고 있는 실정이다.
자전거 산업의 발전은 자전거 전용도로, 자전거 전용 주차창, 자전거 경정비 시설의 보완과 같은 자전거 인프라의 구축을 토대로 이루어지게 된다. 자전거 주차설비는 자전거 사용 인구의 증가에 따라 필연적으로 확보되어야 하는 필수 시설에 속한다.
일본의 경우에는 자전거 사용인구가 인구수 대비 약70%에 육박하고 자전거 사용인구만도 1억명에 달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따라서 일본의 자전거 주차장 시설도 실로 그 규모가 대단하다고 할 수 있다.
일본과 같이 국토가 좁고 인구밀도가 높은 나라들의 경우 많은 수의 자전거를 좁은 공간에 효율적으로 배치하기 위한 자전거 주차랙의 개발이 필수적으로 요구되었고 오랜 연구와 노력의 결과로로 다양한 기능성 자전거 주차설비가 개발되었다.
예를 들면, 상하 2단으로 자전거를 보관하도록 한 2단 주차대, 하단의 자전거 주차대를 슬라이드 방식으로 하고 상단은 상하로 승강하도록 한 복합형 주차대 및 1단 슬라이드식 주차대 등 다양한 자전거 보관대 및 주차장치가 일본에 광범위하게 설치되어 있다.
특히 자전거의 전륜과 후륜을 동시에 지지하는 바퀴 거치대가 좌우로 슬라이딩하여 직선 이동함으로써 주차되는 자전거들 간의 간격을 밀착시켜 배치할 수 있도록 한 슬라이드식 자전거 주차랙의 경우 일본에서 다양한 종류가 공지되었으며, 국내의 경우 등록특허 제10-1081233호 "슬라이드식 자전거 보관대"에서 일본의 기존 방식을 개선한 슬라이드식 자전거 보관대에 관하여 개시하고 있다.
그런데 이러한 모든 슬라이드방식의 자전거 보관대의 경우 자전거를 받치고 있는 하방의 바퀴 거치대가 좌우로 슬라이딩하여 밀착되는 경우 인접한 자전거 간에 핸들이나 바구니가 부딪히거나 간섭할 수 있으므로 각 바퀴 거치대의 높낮이를 달리하거나 바퀴 거치대를 사선으로 배치하거나 또는 바퀴 거치대의 전단과 후단의 들고나는 깊이를 번갈아 달리하도록 배치하는 방식이 주로 채택되고 있다.
그러나 슬라이드식 자전거 주차랙에 있어서 바퀴 거치대의 높낮이 변화형의 경우 바퀴 거치대의 경사도와 높이가 증가하게 되어 하방의 지지구조가 복잡하고 안정성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으며, 사선 배치식의 경우에는 자전거 주차랙의 양 측단 가자장리에 버려지는 공간이 남게 되어 공간 활용의 면에서 단점이 있다.
또한 바퀴 거치대의 전후단 깊이를 들쭉날쭉하게 하는 지그재그형의 경우에는 자전거 주차랙의 전후 폭이 필요 이상으로 길어져 공간을 많이 차지하는 단점이 존재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슬라이드식 자전거 주차랙의 장점을 그대로 살리면서 공간 활용률이나 안정성을 극대화한 새로운 방식의 슬라이드식 자전거 주차랙에 관하여 개시하고자 한다.
등록특허 제10-1081233호 "슬라이드식 자전거 보관대" 등록실용신안 제20-0454587호 "슬라이드식 자전거 보관대" 일본공개특허공보 특개2001-220909호 "주륜장치" 일본공개특허공보 특개2004-98994호 "자전거 주륜장치" 일본공개특허공보 특개2008-195368호 "편륜 슬라이드식 자전거 주차설비" 일본공개특허공보 특개2005-47399호 "주륜장치" 일본공개특허공보 특개평8-142949호 "주륜설비" 일본공개특허공보 특개2005-22518호 "브레이크를 가지는 슬라이드식 이륜차 주차설비" 일본공개특허공보 특개2006-347362호 "슬라이드식 주륜장치" 일본공개특허공보 특개2010-269785호 "자전차 주차장치" 일본공개특허공보 소63-280156호 "자전차수납장치"
본 발명의 목적은 슬라이드 방식을 채택하여 제한된 공간에 더 많은 자전거를 주차하도록 함으로써 사용 편리성 및 공간 활용률을 극대화하되, 핸들바아의 간단한 조작에 의하여 이웃하여 주차되는 자전거들 간의 핸들이나 바구니의 간섭을 방지하는 것이다.
또한, 이웃하여 주차되는 자전거들 간에 핸들바아의 간섭을 방지하기 위하여 추가적인 지지구조를 설치하거나 공간을 낭비할 필요가 없이 간단한 조작에 의하여 다수의 자전거들이 엉키거나 부딪히지 않고 주차되도록 하고 자전거의 입출고가 편리하도록 개발된 자전거 주차랙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전술한 목적의 달성을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바닥에 설치되는 베이스 프레임(101); 상기 베이스 프레임 상에 고정하기 위한 다수의 체결공(111a)을 가지는 날개부(111)와, 상기 날개부의 중앙부에서 일체로 상향 돌출하고 상기 날개부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하여 형성하되 위로 갈수록 그 폭이 좁아지도록 양측에 경사면을 가지는 지지부(112)로 이루어지는 레일 써포트(110); 상기 레일 써포트의 길이에 대응하도록 연장되며 하단부에는 종축 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내주면에 암나사가 형성되는 체결공이 다수 개 형성되며, 상기 체결공에는 상기 레일 써포트의 상기 지지부를 하방에서부터 관통하여 삽입되는 고정볼트(115)가 나사 결합함으로써 상기 지지부의 상단에 고정 결합하는 레일(120); 상기 레일(120)의 외경에 결합하여 레일의 길이 방향으로 슬라이딩하기 위한 것으로서 내주면에 다수 개의 볼이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어 한 개의 그룹을 이루고 이러한 볼의 그룹이 내주면에 원주 방향을 따라 다수 개 배치되며, 외주면 일부가 길이 방향을 따라 절개되어 부쉬 개방부(135a)를 이루는 리니어 볼 부쉬(135)와, 상기 리니어 볼 부쉬가 내부에 착탈 가능하게 삽입되며 상기 부쉬 개방부에 대응하는 위치에 본체 개방부(131a)가 형성되는 모션체 본체(131)로 이루어져 상기 레일 상에서 직선 이동하도록 장착되는 리니어 모션체(130); 및 상기 리니어 모션체의 상부에 장착되는 바퀴 거치대로 구성하되, 상기 바퀴 거치대는 자전거의 후륜을 지지하기 위한 후륜 거치대와 자전거의 전륜을 지지하기 위한 전륜 거치대로 이루어지며, 상기 전륜 거치대가 상기 후륜 거치대에 대하여 일정 각도 회동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들바아 회전형 슬라이드식 자전거 주차랙을 제안한다.
여기서, 상기 바퀴 거치대의 측방에는 전륜 거치대를 후륜 거치대에 잠금 또는 잠금 해제하기 위한 락장치가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전륜 거치대와 후륜 거치대의 접촉면 사이에는 회전체가 장착되어 전륜 거치대의 회동 동작을 원활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전륜 거치대와 후륜 거치대의 접촉면에는 내마모 코팅층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의하면 슬라이드식 자전거 보관대에 있어서 인접하여 주차되는 자전거들 간의 핸들바아 또는 바구니가 간섭되는 것을 피하기 위하여 바퀴 거치대의 높낮이를 달리하거나, 사선으로 배치하거나, 전후 깊이를 지그재로로 달리하는 등의 조치가 필요 없게 되므로 주차된 자전거의 안정성을 높이고 공간 활용을 극대화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특히 바퀴 거치대를 경사지게 세워서 배치하는 이른바 경사식 자전거 주차랙을 슬라이드식으로 제작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기존의 슬라이드식 자전거 보관대와 비교하여 제한된 공간에 훨씬 많은 수의 자전거를 공간의 낭비 없이 주차할 수 있게 된다.
도1은 전륜 거치대의 회전 전 상태를 나타낸 본 발명의 외관 사시도.
도2는 전륜 거치대의 회전 후 상태를 나타낸 본 발명의 외관 사시도.
도3은 도1의 'A' 부분의 확대 사시도.
도4는 본 발명의 리니어 모션체에 내장되는 리니어 볼 부쉬의 외관 사시도.
도5는 본 발명의 리니어 모션체의 외관 사시도.
도6은 본 발명의 레일과 리니어 모션체 구조의 단면도.
도7은 본 발명의 바퀴 거치대의 분해 사시도.
도8은 본 발명의 슬라이드식 자전거 주차랙의 외관 사시도.
도9는 본 발명의 전륜 거치대의 작동 구조를 보여주는 평면도.
도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례에 의한 경사식 자전거 주차랙의 외관 사시도.
도11은 본 발명의 슬라이드식 자전거 주차랙의 사용 상태도.
도12는 후륜 거치대와 전륜 거치대의 접촉면 사이에 장착되는 회전체로서 볼캐스터가 사용된 예시도.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성과 작동원리에 관하여 상술한다.
도1,도2 및 도8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핸들바아 회전형 슬라이드식 자전거 주차랙(100, 이하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간략히 자전거 주차랙이라고 약칭한다)은 기본적으로 베이스 프레임(101), 상기 베이스 프레임(101) 상에 베이스 프레임의 길이 방향으로 고정 부착되는 레일(120), 상기 레일(120) 상에서 슬라이드 이동하는 리니어 모션체(130), 상기 리니어 모션체(130)의 상부에 장착되어 자전거의 바퀴를 지지하는 바퀴 거치대(140,150)로 이루어진다.
상기 베이스 프레임(101)은 자전거 주차랙(100) 전체의 하부 구조를 이루며 하중을 바닥면에 전달하기 위한 것으로서 레일 구조를 후술할 레일 써포트 등을 이용하여 바닥면이나 벽면 또는 천장 등과 같은 기초면에 직접 부착하는 경우에는 상기 베이스 프레임(101)이 생략될 수 있다. 도면에서 미설명 부호 102는 레일(120)로부터 리니어 모션체(130)가 이탈하지 않도록 하기 위한 스토핑 브라켓을 나타낸다.
도3 내지 도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례에서는 바퀴 거치대의 좌우 슬라이딩을 위한 구조로서 단면이 원형인 레일(120)과 상기 레일(120)을 밑에서 지지하는 레일 써포트(110)와 상기 레일(120)의 외주면에 결합하는 리니어 모션체(130)를 적용한다.
상기 레일(120)은 원형의 샤프트 형상이며, 상기 레일 써포트(110)는 다수의 체결공(111a)이 형성되는 판상의 날개부(111)와 상기 날개부(111)의 중앙부에서 일체로 상향 돌출하는 지지부(112)로 이루어진다.
상기 레일(120)은 도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레일 써포트(110)의 하단으로부터 지지부(112)를 관통하여 삽입되는 고정 볼트(115)에 의하여 상기 지지부(112)의 상단에 견고하게 결합한다. 이를 위하여 상기 레일(120)의 하단부에는 종축 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내주면에 암나사가 형성된 체결공(미도시)이 다수 개 형성된다.
상기 레일(120)은 종축 방향으로 일정 길이를 가지도록 연장하여 형성되며, 상기 레일 써포트(110) 역시 레일(120)의 하방을 지지하도록 레일(120)의 종축 방향을 따라 레일(120)에 대응하도록 연장하여 형성된다.
상기 레일 써포트(110)는 체결공(111a)에 결합하는 나사나 볼트에 의하여 베이스 프레임(101) 또는 건물의 바닥면 등에 직접 고정 설치된다.
상기 레일(120)에는 리니어 볼 부쉬(135)를 내부에 장착한 리니어 모션체(130)가 결합하여 레일(120)을 따라 슬라이드 운동한다.
도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리니어 볼 부쉬(135)는 다수의 볼(139)이 회전가능하게 장착되는 내통(137)과 상기 내통(137)의 외부를 감싸는 외통(136)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내통(137)의 양측 단부에는 씰부재(138)가 형성되어 레일(120)과의 접촉면으로부터 유입되는 이물질을 차단한다.
상기 내통(137)에는 다수의 볼(139)이 회전가능하게 배치되어 한 개의 그룹을 이루고 이러한 볼의 그룹이 내통(137)의 내주면에 원주방향을 따라 다수 개 배치된다.
본 실시례에서는 상기 리니어 볼 부쉬(135)의 외주면 일부가 절개되어 부쉬 개방부(135a)를 이루도록 한다. 상기 부쉬 개방부(135a)는 상기 리니어 볼 부쉬(135)가 전술한 레일(120) 상에서 이동할 때 레일 써포트(110)와 간섭하지 않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이와 같은 리니어 볼 부쉬(135)는 도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저면의 일부가 개방되는 사각 형상의 모션체 본체(131)의 내부에 삽입하여 장착된다. 상기 모션체 본체(131)는 길이 방향(도5에서 좌우 방향)으로 내부에 원통 형상의 공간이 마련되고 저면의 일부가 개방되어 상기 내부 공간과 연통하도록 형성된 일종의 케이싱이다. 즉 상기 모션체 본체(131)의 저면에는 내부에 삽입하여 장착되는 리니어 볼 부쉬(135)의 부쉬 개방부(135a)에 대응하는 위치에 본체 개방부(131a)가 형성된다. 상기 본체 개방부(131a) 역시 부시 개방부(135a)와 마찬가지로 레일 써포트(110)와의 간섭을 피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모션체 본체(131)의 상면에는 내주면에 암나사가 형성되는 다수의 체결공(131b)이 마련된다.
도면에서 미설명 부호 132는 모션체 본체(131)의 내부에 착탈식으로 삽입하여 장착되는 리니어 볼 부쉬(135)를 고정하여 지지하기 위한 스냅링을 나타낸다.
이상과 같은 구조로 된 레일(120), 레일 써포트(110) 및 리니어 모션체(130)를 채용하는 경우 조립 장착성, 내구성 및 슬라이드 구조의 교체가 용이한 장점이 있으나 본 발명에서의 슬라이드 구조가 반드시 이러한 구조에 한정될 필요는 없다.
즉, 본 발명은 슬라이드 구조로서 기존에 공지된 어떠한 형태의 것이라도 배제하지 않으며 일본에서 다수 채용되고 있는 롤러와 알루미늄 압출 레일 구조로 대체될 수 있다.
따라서 바퀴 거치대를 좌우로 이동시키기 위한 슬라이드 방식의 구체적인 구조 및 형태가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를 제한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될 것이며 본 실시예의 레일(120)과 리니어 모션체(130)의 구성은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채택한 하나의 예에 지나지 않는다고 할 것이며, 구체적인 슬라이딩 구조는 다양한 실시 형태로 변경 내지는 조정될 수 있을 것이다.
도7 및 도9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퀴 거치대는 자전거의 앞바퀴를 지지하기 위한 전륜 거치대(150)와 자전거의 뒷바퀴를 지지하기 위한 후륜 거치대(140)로 구성된다. 그리고 후륜 거치대(140)에 대해 전륜 거치대(150)는 소정의 각도 범위내에서 시계방향 혹은 반시계방향으로 회동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후륜 거치대(140)는 도3의 지지 브라켓(141)에 의하여 리니어 모션체(130)와 결합한다. 즉, 후륜 거치대(140)는 지지 브라켓(141)의 체결공(141a)과 모션체 본체(131)의 체결공(131b)을 통하여 리니어 모션체(130)와 볼트 결합한다.
상기 레일(120)과 이에 결합하는 레일 써포트(110)는 도시한 바와 같이 베이스 프레임(101)의 전후에 한 쌍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각 레일(120) 상에 위치하는 전후 한 쌍의 리니어 모션체(130)의 상부에 후륜 거치대(140)가 장착된다. 따라서 후륜 거치대(140)가 레일(120) 상에서 좌우로 슬라이드 이동할 수 있게 된다.
다만, 레일(120)이 반드시 한 쌍으로 이루어질 필요는 없으며 한 개의 레일이 설치되고 후륜 거치대(140)의 후단부 하방에 롤러나 바퀴와 같은 회전체를 장착하는 방식도 가능하며 본 발명에서는 이를 배제하지 않는다.
상기 후륜 거치대(140)는 전체적으로 채널 형상을 이루어 내부에 자전거의 바퀴가 진입하여 거치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후륜 거치대(140)의 전단부에는 판면의 폭이 커지도록 회전 가이드판(145)이 일체로 형성된다.
상기 회전 가이드판(145)에는 판의 전후로 한 쌍을 이루는 호형의 가이드공(146a,146b)이 형성되고, 회전축(153)이 관통하는 회전축 결합공(153a)이 형성된다. 즉 상기 한 쌍의 가이드공(146a)은 상기 회전축 결합공(153a)을 중심으로 원점 대칭하도록 배치된다.
상기 한 쌍의 가이드공(146a,146b)에는 전륜 거치대(150)에 일측 단부가 결합하는 제1 및 제2가이드핀(154a,154b)의 타측 단부가 관통하여 결합함으로써 전륜 거치대(150)의 회전 동작을 안내하게 된다.
바람직하게 전륜 거치대(150)와 후륜 거치대(140)의 접촉면 사이에는 회전체(R)가 장착될 수 있고, 혹은 전륜 거치대(150)와 후륜 거치대(140)의 접촉면에는 내마모 코팅층(미도시)이 형성될 수 있다.
전륜 거치대(150)와 후륜 거치대(140)의 접촉면에 형성될 수 있는 내마모 코팅층은 얇게 코팅되는 합성수지계열의 테프론 수지나 불소계 수지 등이 사용될 수 있고, 딥핑이나 스프레이 방식 등으로 내마모 코팅층을 형성시킬 수 있다. 이러한 내마모 코팅층을 둠으로써 보다 부드럽게 회전동작이 가능하게 할 수 있고, 회전시 발생되는 소음이나 마모 현상을 감소시킴으로써 내구성을 한층 강화시킬 수 있다.
한편, 전륜 거치대(150)와 후륜 거치대(140)의 접촉면 사이에 마련될 수 있는 회전체(R)는 구름운동되는 것이라면 무방한데, 바람직하게는 전체적인 두께가 얇은 소형의 볼캐스터(R)가 적합하다. 도12는 후륜 거치대와 전륜 거치대의 접촉면 사이에 장착되는 회전체로서 볼캐스터가 사용된 예시도를 보여준다.
볼캐스터(R)는 몸체부(R1)와 상기 몸체부(R1)에 이탈되지 않게 삽입되어 부분적으로 돌출된 볼(R2)로 이루어지며, 몸체부(R1) 상부면이 전륜 거치대(150)의 하면에 연결되고, 볼(R2)은 후륜 거치대(140)의 회전 가이드판(145) 상면에 접촉되는 상태가 된다. 후륜 거치대(140)에 대해 전륜 거치대(150)가 회전될 때 상기 볼캐스터(R)로 인해 회전동작이 보다 원활해지며 전륜 거치대(150)의 하면이 직접적으로 회전 가이드판(145) 상면에 접촉되지 않게 되어 마모가 발생되지 않게 되는 장점이 있다.
전륜 거치대(150) 역시 내부에 자전거의 바퀴를 수용하여 지지할 수 있도록 채널 형상을 이루며, 상단에 전륜 가이드(151)가 고정 결합한다. 도면에서 미설명부호 152는 전륜 거치대(150)에 주차된 자전거의 앞바퀴가 뒤로 밀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전륜 스토퍼를 나타낸다.
상기 후륜 거치대(140)의 회전 가이드판(145)의 일 측단에는 도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측판(147a)과 제2측판(147b)이 판면을 절곡하여 형성된다.
상기 제1측판(147a)과 제2측판(147b)은 전륜거치대(150)의 회동 각도를 제한하기 위한 것이다. 즉 전륜 거치대(150)가 회전하지 않는 상태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된 잠금 상태에서 시계방향으로 회전하여 원래의 위치로 돌아올 때 기준이 되는 것이 제1측판(147a)이고, 반시계 방향으로 완전히 회전할 때의 기준이 되는 것이 제2측판(147b)이 되는 것이다.
도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바퀴 거치대에는 암수 한 쌍으로 이루어지는 락장치가 마련된다. 즉, 전륜 거치대(150)의 일 측면에는 수락(161)이 고정 부착되고, 이에 대향하는 후륜 거치대(140)의 측면, 정확히는 제2측판(147b)의 내측 면에는 암락(162)이 고정 부착된다.
상기 암락(162)은 체결공이 형성되는 체결판(162c)에 전후 한 쌍의 마주하는 스프링 하우징(162a)이 형성된 것으로서 상기 스프링 하우징(162a)의 내부에는 스프링이 내설되어 수락(161)이 락볼(162b)을 밀고 삽입될 때 락볼(162b)이 눌려지면서 탄성력에 의하여 수락(161)을 물고 있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 제시한 형태의 락장치 외에도 자석이나 기타 다른 형태의 락장치들이 채택되어 적용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다양한 종류의 빠찌링과 같은 것들을 락장치의 수단으로 채용할 수 있을 것이다.
도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례를 나타낸 것으로서 바퀴 거치대를 일정한 예각으로 경사지게 세워 장착한 것이다. 즉 베이스 프레임(101)의 상부와 하부에 각각 상부 지지 프레임(103)과 하부 지지 프레임(104)을 고정한 후 상부 지지 프레임(103)과 하부 지지 프레임(104) 상에 레일 써포트(110)를 볼트 결합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자전거 주차랙(100)을 경사식으로 구성하게 되면 바닥면에 설치되는 자전거 주차랙(100)의 전후 폭을 줄일 수 있어 공관 활용의 측면에서 유리하다. 특히 도시한 실시례와 달리 바퀴 거치대를 베이스 프레임의 전후 양면에 2열로 배치하는 경우 공간 활용률을 극대화할 수 있게 된다.
종래의 경사식 자전거 주차랙의 경우 이웃하여 거치되는 자전거들의 핸들이 간섭하기 때문에 거치되는 자전거 간에 필연적으로 이격되어야 하는 거리가 넓다는 문제가 있었으나 본 발명에서는 바퀴 거치대가 좌우로 슬라이드 이동할 뿐만 아니라 각 바퀴 거치대의 전륜 거치대(150)가 자전거의 핸들바아를 회전시킴으로써 일정 각도 회동하여 고정되기 때문에 거치되는 각 자전거들 간의 간격을 자전거의 최소 폭만큼 줄여 밀착시킬 수 있게 된다. 따라서 한정된 공간에 기존보다 훨씬 많은 자전거를 거치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도11의 사용 상태도에서 알 수 있듯이, 이웃하는 자전거들(210,220)의 앞바퀴(211,221)와 뒷바퀴(212,222)가 각각 전륜 거치대(150)와 후륜 거치대(140)에 위치한 상태에서 자전거(210,220)의 핸들바아(213,223)를 회전시켜 전륜 거치대(150)를 후륜 거치대(140)에 대하여 상대 회전하도록 회동시키면 자전거들(210,220) 간에 핸들이나 바구니가 간섭하지 않게 됨을 알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의하면 앞바퀴(211,221)가 회전한 상태에서 이웃하는 자전거(210,220)들의 핸들바아(213,223) 간에 일정한 간격(ℓ)이 확보되므로 자전거들(210,220)을 차체의 폭만큼 최대한 밀착시켜 배치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지금까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바람직한 실시례들을 기준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가 이러한 실시례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될 것이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필요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 내지는 수정되어 구현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기존보다 많은 수의 자전거를 보다 편리하고 효율적이며 안정적으로 주차하기 위한 자전거 주차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지자체, 학교, 자전거 대리점, 공공장소, 역사 주변 등의 실내외에 광범위하게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
100: 자전거 주차랙 101: 베이스 프레임
102: 스토핑 브라켓 103: 상부 지지 프레임
104: 하부 지지 프레임 110: 레일 써포트
111: 날개부 112: 지지부
115: 센터 고정 볼트 120: 레일
130: 리니어 모션체 131: 모션체 본체
131a: 본체 개방부 131b: 체결공
132: 스냅링 135: 리니어 볼 부쉬
135a: 부쉬 개방부 136: 외통
137: 내통 138: 씰부재
139: 볼 140: 후륜 거치대
141: 지지 브라켓 145: 회전 가이드판
146a,146b: 가이드공 147a,147b: 측판
150: 전륜 거치대 151: 전륜 가이드
152: 전륜 스토퍼 153: 회전축
154a,154b: 가이드핀 161: 수락
162: 암락

Claims (4)

  1. 바닥에 설치되는 베이스 프레임(101);
    상기 베이스 프레임 상에 고정하기 위한 다수의 체결공(111a)을 가지는 날개부(111)와, 상기 날개부의 중앙부에서 일체로 상향 돌출하고 상기 날개부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하여 형성하되 위로 갈수록 그 폭이 좁아지도록 양측에 경사면을 가지는 지지부(112)로 이루어지는 레일 써포트(110);
    상기 레일 써포트의 길이에 대응하도록 연장되며 하단부에는 종축 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내주면에 암나사가 형성되는 체결공이 다수 개 형성되며, 상기 체결공에는 상기 레일 써포트의 상기 지지부를 하방에서부터 관통하여 삽입되는 고정볼트(115)가 나사 결합함으로써 상기 지지부의 상단에 고정 결합하는 레일(120);
    상기 레일(120)의 외경에 결합하여 레일의 길이 방향으로 슬라이딩하기 위한 것으로서 내주면에 다수 개의 볼이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어 한 개의 그룹을 이루고 이러한 볼의 그룹이 내주면에 원주 방향을 따라 다수 개 배치되며, 외주면 일부가 길이 방향을 따라 절개되어 부쉬 개방부(135a)를 이루는 리니어 볼 부쉬(135)와, 상기 리니어 볼 부쉬가 내부에 착탈 가능하게 삽입되며 상기 부쉬 개방부에 대응하는 위치에 본체 개방부(131a)가 형성되는 모션체 본체(131)로 이루어져 상기 레일 상에서 직선 이동하도록 장착되는 리니어 모션체(130); 및
    상기 리니어 모션체의 상부에 장착되는 바퀴 거치대로 구성하되,
    상기 바퀴 거치대는 자전거의 후륜을 지지하기 위한 후륜 거치대와 자전거의 전륜을 지지하기 위한 전륜 거치대로 이루어지며, 상기 전륜 거치대가 상기 후륜 거치대에 대하여 일정 각도 회동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들바아 회전형 슬라이드식 자전거 주차랙.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바퀴 거치대의 측방에는 전륜 거치대를 후륜 거치대에 잠금 또는 잠금 해제하기 위한 락장치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들바아 회전형 슬라이드식 자전거 주차랙.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륜 거치대와 후륜 거치대의 접촉면 사이에는 회전체가 장착되어 전륜 거치대의 회동 동작을 원활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들바아 회전형 슬라이드식 자전거 주차랙.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전륜 거치대와 후륜 거치대의 접촉면에는 내마모 코팅층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들바아 회전형 슬라이드식 자전거 주차랙.
KR1020130014361A 2013-02-08 2013-02-08 핸들바아 회전형 슬라이드식 자전거 주차랙 KR10135461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14361A KR101354612B1 (ko) 2013-02-08 2013-02-08 핸들바아 회전형 슬라이드식 자전거 주차랙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14361A KR101354612B1 (ko) 2013-02-08 2013-02-08 핸들바아 회전형 슬라이드식 자전거 주차랙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54612B1 true KR101354612B1 (ko) 2014-01-22

Family

ID=501462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14361A KR101354612B1 (ko) 2013-02-08 2013-02-08 핸들바아 회전형 슬라이드식 자전거 주차랙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54612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40351A (ko) * 2014-10-02 2016-04-14 성하경 슬라이딩구동식 자전거 거치장치
CN108222582A (zh) * 2018-03-09 2018-06-29 苏州市职业大学(苏州开放大学) 一种公共自行车租赁用停车箱
JP2018167619A (ja) * 2017-03-29 2018-11-01 アイシン軽金属株式会社 自転車用のキャリア装置
US11091213B2 (en) 2019-10-15 2021-08-17 Brian N Flynn Bicycle storage system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58688U (ja) * 1982-10-14 1984-04-17 並木 定夫 原動機付二輪車の駐車装置
JPS618995Y2 (ko) * 1980-12-25 1986-03-20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8995Y2 (ko) * 1980-12-25 1986-03-20
JPS5958688U (ja) * 1982-10-14 1984-04-17 並木 定夫 原動機付二輪車の駐車装置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40351A (ko) * 2014-10-02 2016-04-14 성하경 슬라이딩구동식 자전거 거치장치
KR101642590B1 (ko) 2014-10-02 2016-07-26 성하경 슬라이딩구동식 자전거 거치장치
JP2018167619A (ja) * 2017-03-29 2018-11-01 アイシン軽金属株式会社 自転車用のキャリア装置
CN108222582A (zh) * 2018-03-09 2018-06-29 苏州市职业大学(苏州开放大学) 一种公共自行车租赁用停车箱
US11091213B2 (en) 2019-10-15 2021-08-17 Brian N Flynn Bicycle storage system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54612B1 (ko) 핸들바아 회전형 슬라이드식 자전거 주차랙
CN103938905B (zh) 一种自行车的自动存取系统
KR100664968B1 (ko) 턴테이블을 가진 로터리 주차 장치
US6336562B1 (en) Bicycle parking device
US20180065695A1 (en) Rack for supporting a bicycle in a generally upright position
KR101027151B1 (ko) 노면 매립식 자전거 보관대
FI125606B (en) Bicycle rack
KR101436401B1 (ko) 자전거 주차타워
KR200452525Y1 (ko) 수직형 자전거 거치대
CN211849093U (zh) 停车场一体化道闸
KR100963242B1 (ko) 매립식 자전거 보관대
CN207739701U (zh) 一种抽拉式可升降自行车双层停车架
KR100875631B1 (ko) 자전거 안전 보관장치
CN108547484A (zh) 一种自行车智能停放装置
KR200466407Y1 (ko) 자전거 보관장치
CN210289277U (zh) 一种立体自行车库
CN108423096B (zh) 一种停车架及其组合体
WO2017039300A1 (ko) 2단 자전거 보관대
CN211286731U (zh) 一种集成房屋墙板安装支撑构件
JP5462395B1 (ja) 立体駐車場
CN203819390U (zh) 一种自行车停车架组件
CN216791571U (zh) 一种快速检测构件挠度的装置
KR200456367Y1 (ko) 자전거 주차대
JPH10250652A (ja) 駐輪装置
CN220015035U (zh) 一种方便快捷折叠的多步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