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53402B1 - 가변형 벽체를 이용한 아파트 수납시스템 - Google Patents

가변형 벽체를 이용한 아파트 수납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53402B1
KR101353402B1 KR1020110121251A KR20110121251A KR101353402B1 KR 101353402 B1 KR101353402 B1 KR 101353402B1 KR 1020110121251 A KR1020110121251 A KR 1020110121251A KR 20110121251 A KR20110121251 A KR 20110121251A KR 101353402 B1 KR101353402 B1 KR 10135340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orage
space
variable wall
apartment
varia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212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55482A (ko
Inventor
서현주
심연진
Original Assignee
코오롱글로벌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코오롱글로벌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코오롱글로벌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1212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53402B1/ko
Publication of KR201300554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5548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534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5340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00Details of 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A47B43/00 - A47B95/00;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04Partition wal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57/00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characterised by features for adjusting shelves or partitions
    • A47B57/06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characterised by features for adjusting shelves or partitions with means for adjusting the height of the shelv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00Details of 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A47B43/00 - A47B95/00;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02Shelves
    • A47B96/024Shelves characterised by support bracket location means, e.g. fixing means between support bracket and shelf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00Details of 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A47B43/00 - A47B95/00;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06Brackets or similar supporting means for cabinets, racks or shelv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74Removable non-load-bearing partitions; Partitions with a free upper edge

Landscapes

  • Residential Or Office Build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변형 벽체를 이용한 아파트 수납시스템은 소정의 공간과, 상기 소정의 공간을 개폐하는 일면 또는 양면에 배치되어 적어도 일방향으로 이동가능한 가변형 벽체와, 상기 수납공간을 이루는 소정의 내부공간 내에 배치되고 전후좌우에서 접근가능하며, 수납높이와 수납면적을 조절할 수 있는 가변형 수납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일면 또는 양면 가변형 벽체와 입체가구를 이용하여 수납공간과 개폐가능한 통로를 형성하여 주부에게는 라운드형 동선으로 불필요한 움직임을 최소화할 수 있게 해주고, 가족의 라이프스타일 변화에 따라 수납공간을 변형시킬 수 있으며 수납공간에 전후좌우에서 접근할 수 있도록 하여 공간활용도를 극대화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가변형 벽체를 이용한 아파트 수납시스템{RECEIVING SYSTEM USING MOVING WALL}
본 발명은 가변형 벽체를 이용한 아파트 수납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일면 또는 양면 가변형 벽체와 입체가구를 이용하여 수납공간과 개폐가능한 통로를 형성하여 주부에게는 라운드형 동선으로 불필요한 움직임을 최소화할 수 있게 해주고, 가족의 라이프스타일 변화에 따라 수납공간을 변형시킬 수 있으며 수납공간에 전후좌우에서 접근할 수 있도록 하여 공간활용도를 극대화시킬 수 있는 가변형 벽체를 이용한 아파트 수납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아파트는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주거문화로 정착되었으며 그 질적 수준도 많이 향상되고 있지만, 여전히 제한된 공간으로 인한 수납공간의 절대적 부족은 거주자의 불만 요인이 되고 있다.
특히, 주택시장이 실수요자의 요구를 중요시함에 따라 중소형아파트에 대한 선호도가 높아지고 있는데, 이러한 중소형아파트의 경우에는 공간적 제한이 크므로, 효율적으로 물건이 수납되지 않으면, 안락한 주거문화를 해칠 수 있는 문제점이 더 커 수납문제가 매우 중요하다.
최근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건설사 등은 거주자의 다양한 라이프스타일 특성에 맞추어 주택 평면구성 개발에 관심을 기울이고 있지만, 여전히 주부들의 작업동선을 충분히 줄여줄 수 없었으며, 거주자를 고려하지 않고 임의적으로 할당된 수납공간은 오히려 거주자에게 불편을 초래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이와 같이 임의적으로 할당된 수납공간이나, 부족한 수납공간을 확보하기 위한 구비되는 종래의 가구 등은 제한된 공간 내에 소용없는 공간을 증가시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수납공간에 대한 요구는 계절마다 다른 옷, 다른 이불, 다른 물품이 필요함에 따라, 가족구성원이 예를들어, 신혼부부에서 아이가 태어나고 아이가 성장함(예를들어, 장남감 수납을 위한 요구에서 책 수납, 등원, 등교준비 준비를 위한 수납요구 등으로 변화됨)에 따라, 생활방식의 변화에 따라서도 변화되나, 기존 수납공간은 이러한 계절이 변화나 가족구성원의 변화, 생활방식의 변화에 능동적으로 대응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일본 공개특허공보 특개2005-9225호(2005.01.13.)는 가동수납칸막이 장치에 관한 것으로 소정의 공간과 상기 소정의 공간을 개폐하는 일면에 배치되어 일방향으로 이동가능한 가변형 벽체(슬라이딩 도어)와, 전면에서 접근가능한 수납모듈(가동선반)을 개시한다.
공개특허공보 제10-2011-0041171호(2011.04.21.)는 가구 및 이를 이용한 벽체 구조물에 관한 것으로, 도어가 본체의 양쪽면에 설치되는 구성이 개시된다.
공개특허공보 제10-2008-0057961호(2008.06.25.)는 벽체 가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각종 물품을 수납할 수 있는 수납가구와 벽체를 일체화하여 벽체 가구로 기능할 수 있도록 하는 시스템을 개시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중소형 평면에서 거주자의 생활패턴이나 라이프 스타일에 맞추어 수납의 기능성을 높여 안락한 주거생활공간을 확보할 수 있는 가변형 벽체를 이용한 아파트 수납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고정된 공간을 차지하는 수동적인 수납보다는 계절이 변화나 가족구성원의 변화, 생활방식의 변화에 따라 수납공간을 능동적으로 변형시킬 수 있는 가변형 벽체를 이용한 아파트 수납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일면 또는 양면 가변형 벽체와 입체가구를 이용하여 수납공간과 개폐가능한 통로를 형성하여 주부에게는 라운드형 동선으로 불필요한 움직임을 최소화할 수 있게 해주고, 가족의 라이프스타일 변화에 따라 수납공간을 변형시킬 수 있으며 수납공간에 전후좌우에서 접근할 수 있도록 하여 공간활용도를 극대화시킬 수 있는 가변형 벽체를 이용한 아파트 수납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변형 벽체를 이용한 아파트 수납시스템은 소정의 공간과, 상기 소정의 공간을 개폐하는 일면 또는 양면에 배치되어 적어도 일방향으로 이동가능한 가변형 벽체와, 상기 수납공간을 이루는 소정의 내부공간 내에 배치되고 전후좌우에서 접근가능하며, 수납높이와 수납면적을 조절할 수 있는 가변형 수납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가변형 수납모듈은 높이방향을 따라 소정간격을 두고 복수개의 체결홀이 형성된 높이조절부재와, 상기 높이조절부재의 체결홀에 결합가능한 고정구를 측면에 구비한 선반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높이조절부재은 ㅁ 자형 단면을 가지며, 상기 체결홀이 전후좌우 4면에 형성된 몸체와 상기 몸체부 하부에 배치된 높이조절구로 이루어지며, 상기 선반부재는 상기 고정구를 측면에 구비하는 판상의 수납구를 더 포함하며, 상기 고정구는 전방이 갈고리형일 수 있다.
상기 가변형 벽체가 거실로 통하는 현관의 제 1 통로 외에 주방과 연결되는 보조주방으로 연결되는 제 2 통로에 형성된 현관 수납공간의 일면을 개폐하도록 이루어지는 현관수납장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변형 벽체가 소정의 수납공간의 전후면에 배치되며, 천장과 바닥의 횡방향을 따라 깔린 적어도 1 이상의 레일부재를 따라 적어도 일방향으로 이동가능한 제 1 및 제 2 패널로 이루어져 형성된 공간분리형 양면수납장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및 제 2 패널 중 하나에 높이방향을 따라 소정 간격을 두고 요부와 턱이 형성되어 전면수납이 가능할 수 있다.
상기 가변형 벽체와 고정벽체 사이에 제 1 공간과 제 2 공간을 연결하는 통로가 형성되며, 상기 고정벽체에는 가로 채널이 일체형으로 높이방향을 따라 소정간격을 두고 설치되어 형성된 제 1 측면수납장과, 상기 통로를 중심으로 상기 고정벽체에 대향하는 상기 소정의 공간에 배치된 상기 수납모듈에 의하여 형성된 제 2 측면수납장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변형 벽체가 바닥면과 천장에 배치된 레일부재를 따라 이동하는 이동형 수납장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소정의 공간에 사계절 물품을 수납하는 사계절 수납장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변형 벽체의 전면에는 제 3 및 제 4 패널이 힌지결합되어 있으며, 상기 제 3 및 제 4 패널 내면에는 전면 거울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가변형벽체가 소정의 수납공간의 전후면에 배치되며, 천장과 바닥의 횡방향을 따라 깔린 적어도 1 이상의 레일부재를 따라 적어도 일방향으로 이동가능한 제 1 및 제 2 패널로 이루어지며, 상기 소정의 수납공간에 이불이 수납되는 양면 이불수납장을 거실과 복도 사이에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소정의 수납공간은 판넬이 가로 또는 세로로 배치되며, 하부에 왜건형 수납장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변형 벽체를 이용한 아파트 수납시스템은 중소형 평면에서 거주자의 생활패턴이나 라이프 스타일에 맞추어 수납의 기능성을 높여 주며, 안락한 주거생활공간을 확보할 수 있게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변형 벽체를 이용한 아파트 수납시스템은 고정된 공간을 차지하는 수동적인 수납보다는 계절이 변화나 가족구성원의 변화, 생활방식의 변화에 따라 능동적인 수납공간을 변형시킬 수 있기 때문에 공간활용도를 높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일면 또는 양면 가변형 벽체와 입체가구를 이용하여 수납공간과 개폐가능한 통로를 형성하여 주부에게는 라운드형 동선으로 불필요한 움직임을 최소화할 수 있게 해주고, 가족의 라이프스타일 변화에 따라 수납공간을 변형시킬 수 있으며 수납공간에 전후좌우에서 접근할 수 있도록 하여 공간활용도를 극대화시킬 수 있는 가변형 벽체를 이용한 아파트 수납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변형 벽체를 이용한 아파트 수납시스템이 적용된 아파트 평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변형 벽체를 이용한 아파트 수납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 1의 A 공간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3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변형 벽체를 이용한 아파트 수납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 2의 정면도이다.
도 3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변형 벽체를 이용한 아파트 수납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 2의 배면도이다.
도 3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변형 벽체를 이용한 아파트 수납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 3c의 제 1 패널을 개방한 상태에서의 부분확대도이다.
도 3d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변형 벽체를 이용한 아파트 수납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하여 양면의 가변형 벽체 사이의 수납공간을 보인 평면도이다.
도 3e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변형 벽체를 이용한 아파트 수납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하여 양면의 가변형 벽체를 폐쇄한 상태의 평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변형 벽체를 이용한 아파트 수납시스템에 사용된 수납모듈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변형 실시예에 따른 가변형 벽체를 이용한 아파트 수납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하여 도 1의 C 공간에서 본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먼저,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변형 벽체를 이용한 아파트 수납시스템을 적용한 아파트의 평면구조에는 소정의 공간, 즉, 현관수납장(100)과 아이용 다목적수납장(200)과 사계절용 수납장(300)이 상기 소정의 공간을 개폐하는 일면 또는 양면에 배치되어 적어도 일방향으로 이동가능한 가변형 벽체(110, 210, 310)와, 상기 수납공간을 이루는 소정의 공간(100a, 200a, 300a) 내에 배치되고 전후좌우에서 접근할 수 있으며, 수납높이와 수납면적을 조절할 수 있는 가변형 수납모듈(130, 230, 330)에 의하여 제공될 수 있다.
우선, 본 명세서에 있어서, 일면 가변형 벽체란, 소정의 공간의 전후좌우 즉 일면을 개폐할 수 있는 가변형 벽체를 의미하며, 양면 가변형 벽체는 소정의 공간의 전후좌우 중 일면과 이에 대향하는 대향면을 개폐할 수 있는 가변형 벽체를 의미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현관수납장(100)은 거실로 통하는 현관의 제 1 통로② 외에 주방과 연결되는 보조주방으로 연결되는 제 2 통로 ①를 개폐하는 일면형 가변형 벽체(110)와, 상기 일면형 가변형 벽체(110)로 개폐되는 소정의 공간(100a)에 상기 수납모듈(130)에 의하여 형성되어 신발, 운동기구, 자전거, 카트, 유모차 등 현관 밖으로 자주 가지고 나가는 것들을 수납하여 외출을 편하게 할 수 있으며, 외출 후 돌아와서도 쉽게 수납할 수 있게 한다.
상기 수납모듈(130)에 대해서는 이후에 자세히 설명하겠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주방과 연결되는 보조주방으로 연결되는 제 2 통로 ① 및 상기 현관수납장(100)은 상기 가변형 벽체(110)에 의해서 평상시에는 폐쇄되어 있으므로, 현관문을 열고 들어왔을 때에는 단정하고 쾌적한 느낌을 줄 수 있으며, 상기 가변형 벽체(110)를 이동시켜서 제 2 통로 ①를 형성한 경우에는 세탁실과 욕실로 바로 진입할 수 있고, 상기 현관수납장(100)에 다양한 물건을 수납할 수 있다.
따라서, 효율적인 외출준비가 가능하고, 언제나 깔끔한 현관을 유지할 수 있으며, 쇼핑에서 돌아온 주부는 가족현관, 즉 제 2 통로 ① 및 상기 현관수납장(100)을 지나 세탁실, 보조주방, 주방으로 연결된 동선을 따라 물건을 정리하면서 집안까지 들어갈 수 있으며, 세탁실에서 바로 욕실로 들어가서 손을 씻거나 할 수 있어서 매우 위생적이다.
한편, 상기 세탁실, 보조주방 등에는 양면수납장(101, 102)을 두어 서로 다른 공간에서 상기 양면수납장(101, 102) 내부로 접근하여 편리하게 수납 및 수납된 물건을 이용할 수 있다.
이제,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변형 벽체를 이용한 아파트 수납시스템을 적용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아이용 다목적수납장(200)을 상세히 설명하겠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변형 벽체를 이용한 아파트 수납시스템을 적용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아이용 다목적수납장(200)은 공간 A와 공간 B를 구분하는 공간분리형 양면수납장으로, 소정의 공간(200a)과, 상기 소정의 공간(200a)의 전 후면에 배치되며, 천장과 바닥의 횡방향을 따라 깔린 적어도 1 이상의 레일부재(220)를 따라 적어도 일방향으로 이동가능한 제 1 및 제 2 가변형 벽체(210, 240)와, 상기 소정의 공간(200a) 내에 배치되고 전후좌우에서 접근할 수 있으며 수납 높이와 수납면적을 가변시킬 수 있는 가변형 수납모듈(23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도 3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변형 벽체를 이용한 아파트 수납시스템을 적용한 아이용 다목적 양면장(200)의 A 공간에서 본 정면도로, 상기 제 1 가변형 벽체(210)가 미닫이에 대응하는 제 1 패널(211)인 경우, 상기 제 1 패널(211)을 이동시키고 상기 제 1 가변형 벽체(210)와 제 2 가변형 벽체(240) 사이의 수납공간(200a)에는 상기 수납모듈(230)을 구성하는 높이조절부재(231)에 대해 사용자의 취향에 따라 다양하게 구성할 수 있는 선반부재(233) 또는 랙부재(235)를 높이와 크기를 달리하여 배치하여, 계절별 의류, 장난감, 책 등 다양한 물품의 용도 및 크기에 맞춰서 수납이 가능하며, 이에 대하여 A공간 측에서도 B공간 측에서도 그리고, 상기 제 1 패널(211) 끼리를 겹치게 배치한 경우 좌우에서, 즉 전후좌우에서 접근가능하여 이용할 수 있다.
도 3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변형 벽체를 이용한 아파트 수납시스템을 적용한 아이용 다목적 양면장(200)의 B 공간에서 본 정면도로,바닥면과 천장에 배치된 적어도 2 이상의 레일부재(220)을 따라 이동가능한 제 2 가변형 벽체(240)는 미닫이인 제 1 패널(241)과 상기 제 1 패널(241) 후방에 겹쳐진 제 2 패널(243)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 2 패널(243)에는 높이 방향으로 소정간격을 두고 책 등이 펼쳐져 수납될 수 있는 요부(243a)와 책이 걸리는 턱(243b)이 형성되어 아이가 좋아하는 책이 전면수납될 수 있어서 아이가 책을 좋아하도록 동기유발을 할 수 있다.
도 3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변형 벽체를 이용한 아파트 수납시스템에 있어서, 양면 가변형 벽체(210, 240)의 각각의 제 1 패널(211, 241)을 동시에 이동시킨 경우에 공간 A와 공간 B를 연결하는 통로(200b)가 형성되어 자녀끼리의 소통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통로(200b)를 중심으로 일측에 형성되는 고정 벽체(250)에는 가로 채널(237)이 일체형으로 높이방향을 따라 소정간격을 두고 설치되어 상기 선반부재(233) 또는 랙부재(235)가 체결되어, 자주 사용하는 물건의 벽면형 수납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통로(200b)를 중심으로 상기 고정벽체(250)에 대향하는 상기 높이조절부재(231)에는 소정의 높이에 상기 가로 채널(237)이 탈부착가능하게 결합되어 매일 입는 교복, 가방 등을 걸어두어 아이의 데일리장으로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통로(200b)의 상부에는 넓은 선반부재(233)를 이용하여 박스 등부피가 큰 물건을 수납할 수 있다.
도 3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와 같이 구성된 아이용 다목적 수납장(200)에 의하면, 상기 수납모듈(230)을 이용하여 다양한 크기의 아이들 물건을 편리하게 수납하고 전후좌우에서 사용할 수 있으며, 자녀의 성장주기에 따라 수납공간을 자유롭게 변형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도 3e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간 A와 공간 B를 각각 독립된 공간으로 이용할 필요가 있는 경우에는 상기 제 1 패널(211, 241)을 각각 이동시켜 상기 공간 A와 상기 공간 B 사이를 완전히 폐쇄하여 독립된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선반부재(233)에는 수납용품이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지지부재(239)가 결합될 수 있으며, 수납용품이 공인 경우 굴러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구멍(233a)이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변형 벽체를 이용한 아파트 수납시스템의 수납모듈(230)은 높이방향을 따라 소정간격을 두고 복수개의 체결홀(231a)이 형성된 높이조절부재(231)와, 상기 높이조절부재(231)의 체결홀(231a)에 결합가능한 고정구(233b)를 구비한 선반부재(233)를 포함한다.
상기 높이조절부재(231)은 ㅁ 자형 단면을 가지며, 높이방향으로 소정간격을 갖는 복수의 제 1 체결홀(231a)이 전후좌우 4면에 형성된 몸체부(231b)로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선반부재(233)는 다양한 폭과 길이를 가져 수납물품의 크기 및 용도에 따라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수납구(233c)와, 상기 수납구(233c)의 측면에 일체형으로 결합되며, 상기 높이조절부재(231)의 체결홀(231a)에 체결될 수 있도록 전방이 갈고리형인 고정구(233b)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수납구(2333c)는 목재, 합성수지재, 금속재 등 다양한 소재의 판상부재일 수도 있으며, 그물망으로 된 랙부재(235)가 이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높이조절부재(231)과 상기 선반부재(233)에 따르면, 종래와 달리 어렵지 않게, 수납 물품의 크기 및 용도에 따라 선반부재(233)의 길이만 선택하여 상기 높이조절부재(231)의 체결홀(231a)의 위치만 달리하여 상기 선반부재(233)에 달린 고정구(233b)를 체결함으로써 간단히 물건을 수납할 수 있으며, 자유자재로 상기 선반부재(233)의 위치를 달리할 수 있다.
이제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변형 실시예에 따른 가변형 벽체를 이용한 아파트 수납시스템을 적용한 사계절 수납장(300) 및 이불 양면장(400)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겠다.
도 5는 본 발명의 변형 실시예에 따른 가변형 벽체를 이용한 아파트 수납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하여 도 1의 C 공간에서 본 사시도이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C 공간은 거실로부터 부부 침실로 연결되는 경로 ③ 에 형성된다.
본 발명의 변형 실시예에 따른 가변형 벽체를 이용한 아파트 수납시스템을 적용한 사계절 수납장(300)은 사계절 수납공간(300a)이 C 공간을 중심으로 일측에 배치되는 일면 가변형 벽체(311)의 이동에 의해서 개폐되며, 상기 사계절 수납공간(300a)에 상기 수납모듈(330)을 이용하여 사계절 물품을 다양하게 배치할 수 있으며, 특히, 상기 수납모듈(330) 중 횡 바(337)와 상기 횡바(337)에 걸리는 고리를 구성하여 가방 등을 용이하게 선택가능하도록 걸 수 있다.
한편, 상기 일면 가변형 벽체(311)는 바닥면과 천장에 배치된 레일부재(321, 323)를 따라 이동하는 이동형 수납장일 수도 있다.
상기 가변형 벽체(311)의 높이는 천장과 바닥 사이의 거리에 일치하는 것이 소음 등을 차단할 수 있어서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가변형 벽체(311)가 이동형 수납장일 경우, 상기 사계절 수납공간(300a)을 개폐하는 도어로 사용될 수 있으면서 부부 침실 옆 통로에 배치되어 매일 갈아입는 속옷이나 출근복 등을 준비해둘 수 있는 데일리장으로 이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경로 ③를 중심으로, C 공간과 부부 침실을 구분하는 가변형 벽체(411)가 마찬가지로 이동형 수납장인 경우 상기 가변형 벽체(411)의 전면에는 제 3 패널(412)이 힌지결합하게 결합되어 도어로 이용될 수 있으며, 내부면에 전면 거울(412a)을 배치하여 전면 뿐만 아니라 양측면에서도 옷차림을 점검할 수 있다.
상기 양면 이불수납장(400)은 양면 가변형벽체(441)로 이불수납공간(400a)이 개폐되도록 구성됨으로써 이루어진다.
상기 양면 가변형벽체(441)에는 회동가능한 도어로 구성될 수도 있으며, 상기 침실과 경로 ③ 사이에 배치되어 침실과 통로양방에서 이불을 취출할 수 있다.
상기 이불수납공간(400a)에는 다양한 선반부재(433)가 가로 또는 세로로 배치되어 간격을 조절하여 이불을 세로 또는 가로로 수납할 수 있으며, 하부에 왜건형 수납장을 마련하여 손님이 오신 경우에 한꺼번에 용이하게 운반할 수 있게 할 수 있다.
가변형 수납모듈은 왜건형 수납장으로 구성되어 침구류의 이동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100 : 현관수납장
200 : 아이용 다목적수납장
300 : 사계절 수납장
400 : 양면 이불장
110, 210, 240, 310, 340, 410, 440 : 가변형 벽체
211, 214 : 제 1 및 제 2 패널
220 : 레일부재
230 : 수납모듈
231 : 높이조절부재
233 : 선반부재

Claims (10)

  1. 소정의 공간과, 상기 소정의 공간을 개폐하는 일면 또는 양면에 배치되어 적어도 일방향으로 이동가능한 가변형 벽체와, 상기 수납공간을 이루는 소정의 내부공간 내에 배치되고 전후좌우에서 접근가능하며, 수납높이와 수납면적을 조절할 수 있는 가변형 수납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가변형 수납모듈은 높이방향을 따라 소정간격을 두고 복수개의 체결홀이 형성된 높이조절부재와, 상기 높이조절부재의 체결홀에 결합가능한 고정구를 측면에 구비한 선반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높이조절부재은 ㅁ 자형 단면을 가지며, 상기 체결홀이 전후좌우 4면에 형성된 몸체와 상기 몸체부 하부에 배치된 높이조절구로 이루어지며, 상기 선반부재는 상기 고정구를 측면에 구비하는 판상의 수납구를 더 포함하며, 상기 고정구는 전방이 갈고리형인 가변형 벽체를 이용한 아파트 수납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변형 벽체가 거실로 통하는 현관의 제 1 통로 외에 주방과 연결되는 보조주방으로 연결되는 제 2 통로에 형성된 현관 수납공간의 일면을 개폐하도록 이루어지는 현관수납장을 포함하는 가변형 벽체를 이용한 아파트 수납시스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변형 벽체가 소정의 수납공간의 전후면에 배치되며, 천장과 바닥의 횡방향을 따라 깔린 적어도 1 이상의 레일부재를 따라 적어도 일방향으로 이동가능한 제 1 및 제 2 패널로 이루어져 형성된 공간분리형 양면수납장을 포함하는 가변형 벽체를 이용한 아파트 수납시스템.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패널 중 하나에 높이방향을 따라 소정 간격을 두고 요부와 턱이 형성되어 전면수납이 가능한 가변형 벽체를 이용한 아파트 수납시스템.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가변형 벽체와 고정벽체 사이에 제 1 공간과 제 2 공간을 연결하는 통로가 형성되며, 상기 고정벽체에는 가로 채널이 일체형으로 높이방향을 따라 소정간격을 두고 설치되어 형성된 제 1 측면수납장과, 상기 통로를 중심으로 상기 고정벽체에 대향하는 상기 소정의 공간에 배치된 상기 수납모듈에 의하여 형성된 제 2 측면수납장을 포함하는 가변형 벽체를 이용한 아파트 수납시스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변형 벽체가 바닥면과 천장에 배치된 레일부재를 따라 이동하는 이동형 수납장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소정의 공간에 사계절 물품을 수납하는 사계절 수납장을 포함하는 가변형 벽체를 이용한 아파트 수납시스템.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가변형 벽체의 전면에는 제 3 및 제 4 패널이 힌지결합되어 있으며, 상기 제 3 및 제 4 패널 내면에는 전면 거울이 배치된 가변형 벽체를 이용한 아파트 수납시스템.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변형벽체가 소정의 수납공간의 전후면에 배치되며, 천장과 바닥의 횡방향을 따라 깔린 적어도 1 이상의 레일부재를 따라 적어도 일방향으로 이동가능한 제 1 및 제 2 패널로 이루어지며, 상기 소정의 수납공간에 이불이 수납되는 양면 이불수납장을 거실과 복도 사이에 포함하는 가변형 벽체를 이용한 아파트 수납시스템.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의 수납공간은 판넬이 가로 또는 세로로 배치되며, 하부에 왜건형 수납장을 포함하는 가변형 벽체를 이용한 아파트 수납시스템.
  10. 삭제
KR1020110121251A 2011-11-18 2011-11-18 가변형 벽체를 이용한 아파트 수납시스템 KR10135340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21251A KR101353402B1 (ko) 2011-11-18 2011-11-18 가변형 벽체를 이용한 아파트 수납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21251A KR101353402B1 (ko) 2011-11-18 2011-11-18 가변형 벽체를 이용한 아파트 수납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55482A KR20130055482A (ko) 2013-05-28
KR101353402B1 true KR101353402B1 (ko) 2014-01-20

Family

ID=486639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21251A KR101353402B1 (ko) 2011-11-18 2011-11-18 가변형 벽체를 이용한 아파트 수납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5340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06611B1 (ko) 2020-06-02 2021-09-30 주식회사 결실건축디자인 자동조절 내진벽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303697A (ja) 2000-04-26 2001-10-31 Haseko Corp 可変壁内収納棚およびそれを用いた可変住宅
JP2005009225A (ja) * 2003-06-20 2005-01-13 Daiken Trade & Ind Co Ltd 可動収納仕切装置
KR20080057961A (ko) * 2006-12-21 2008-06-25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벽체 가구 시스템
KR20110041171A (ko) * 2009-10-15 2011-04-21 (주)넥서스상사 가구 및 이를 이용한 벽체 구조물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303697A (ja) 2000-04-26 2001-10-31 Haseko Corp 可変壁内収納棚およびそれを用いた可変住宅
JP2005009225A (ja) * 2003-06-20 2005-01-13 Daiken Trade & Ind Co Ltd 可動収納仕切装置
KR20080057961A (ko) * 2006-12-21 2008-06-25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벽체 가구 시스템
KR20110041171A (ko) * 2009-10-15 2011-04-21 (주)넥서스상사 가구 및 이를 이용한 벽체 구조물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06611B1 (ko) 2020-06-02 2021-09-30 주식회사 결실건축디자인 자동조절 내진벽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55482A (ko) 2013-05-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578963B2 (en) Combination vanity, dresser drawer and closet
CA2806229A1 (en) Portable storage apparatus
KR101353402B1 (ko) 가변형 벽체를 이용한 아파트 수납시스템
US20100164339A1 (en) Wardrobe Storage System
JP6984428B2 (ja) 住宅の収納構造
JP7421848B2 (ja) 住居構造
CN206586621U (zh) 一种客房用储物框
KR200457684Y1 (ko) 조립식 가구
JP3197725U (ja) マルチシェルフ収納家具
JP3244897U (ja) 集合住宅用玄関の構造
KR20130004872U (ko) 다목적 가구
KR20190126226A (ko) 수납가구에 부착되는 도어장치
JPH10140919A (ja) 建物空間内の間仕切り構造
KR200472591Y1 (ko) 다기능 매립형 가구
JP3235838U (ja) 壁面収納ワゴン
JP3205182U (ja) クローゼットの構造
JP3208609U (ja) 収納棚
JP6813888B2 (ja) 組み合わせデスク
KR101407025B1 (ko) 하이브리드 리빙룸 시스템
KR20170122600A (ko) 소파용 장식장
CN107212607A (zh) 一种带有抽拉桌板和折叠置物架的橱柜
JP2013169330A (ja) 室内改変に使用する正六面構造体及び当該構造体により形成される空間構造並びに当該構造体を基礎素材とする室内改変方法
KR200419223Y1 (ko) 수용공간 활용성을 높인 다용도 기숙사 옷장
JP2000148005A (ja) 住宅の収納に関する体験学習方法
KR101342126B1 (ko) 김치냉장고 수납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1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0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2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