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72591Y1 - 다기능 매립형 가구 - Google Patents

다기능 매립형 가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72591Y1
KR200472591Y1 KR2020130001317U KR20130001317U KR200472591Y1 KR 200472591 Y1 KR200472591 Y1 KR 200472591Y1 KR 2020130001317 U KR2020130001317 U KR 2020130001317U KR 20130001317 U KR20130001317 U KR 20130001317U KR 200472591 Y1 KR200472591 Y1 KR 20047259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orage
plate
furniture
hooking
fun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3000131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석태
Original Assignee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202013000131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7259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7259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72591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49/00Revolving cabinets or racks; Cabinets or racks with revolving par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61/00Wardrob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67/00Chests; Dressing-tables; Medicine cabinets or the like; Cabinets characterised by the arrangement of drawers

Abstract

본 고안은 가구에 관한 것으로, 특 매립보관으로 공간활용도가 높으며 사용시에는 매립을 해제시켜 의류, 악세서리, 화장, 수납기능을 동시에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다기능 매립형 가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벽체의 매립공간에서 건물의 천장과 바닥에 설치되는 레일을 따라 이동 배출 후 회전부재에 의해 360°회전되며 내부에 걸이기능부, 수납부, 선반수납부, 화장대부가 사방면으로 구획되어 내장된 사각형태의 가구몸체로 구성하여; 매립상태에서 슬라이딩 작동으로 인출시켜 회전시켜 이동하지 않은 상태에서 의류, 화장, 수납기능을 이용할 수 있어 바쁜 현대 일상에서 이동으로 인한 시간낭비를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다기능 매립형 가구{Multifunction implantable furniture}
본 고안은 가구에 관한 것으로, 특히 매립보관으로 공간활용도가 높으며 사용시에는 매립을 해제시켜 의류, 악세서리, 화장, 수납기능을 동시에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다기능 매립형 가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집이나 사무실 등에서 사용되는 가구는 공간별로는 실내용과 실외용, 기능별로는 수납,장식,휴식용 등으로 분류되며 그 종류도 매우 다양하다.
특히, 의자, 책상, 책장, 식탁, 옷장 등과 같이 그 용도와 종류가 매우 많으며, 사람이 생활하는 주거공간의 상당부분을 차지한다.
상기와 같은, 옷장은 그 공간효율을 위하여 직육면체 형태로 만들어지며, 통상 내부 공간을 수평판으로 분할하여 옷이나 이불 등을 올려둘 수 있도록 한 것과, 단순히 장롱 내부의 상단 부근에 좌우로 수평봉을 설치하여 옷걸이를 이용해 옷을걸어둘 수 있는 구조로 되어 있다.
특히, 일반 주거공간에서 사용되는 옷장의 경우 실내의 공간이 협소한 경우에는 화장대를 구입하지 못하고, 화장품을 화장품 박스 등에 별도로 보관을 하거나 장롱 내부일정 위치에 보관을 하여 화장을 하였다.
따라서, 화장을 할 때마다 거울이 있는 장소로 화장품을 이동시켜 화장을 하여야 하였기 때문에 사용이 매우 번거로웠다.
또한, 기존의 가구는 규격화되고 정형화되어 있기 때문에, 거주공간의 공간에 적합하도록 배치하는 것이 어려우며, 공간에 최적화되도록 하기 위해서는 고가의 비용으로 구비하여야 하는 단점이 있다.
그리고 기존의 협탁이나 탁자, 책상, 책장 등과 같은 가구는 각기 목적이 다른 가구이기 때문에 서로 병행하여 사용할 수 없고 각기 고유의 기능만을 수행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래서 소비자는 추가적인 가구의 필요성에 따라 용도에 맞는 가구를 추가적으로 구매하여야 하기 때문에 공간의 활용과 비용 지출에 있어서 불편이 많았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번호 제20-0326177호로 다용도 화장대가 내장된 장롱의 명칭을 갖는 기술이 제안되었다.
이와 같은 종래의 다용도 화장대가 내장된 장롱은 다수의 수납공간으로 구획되어 그 수납공간에 도어 또는 서랍이 다수 설치되고, 수납되는 물품의 종류에 따라 이불 수납실과 외의 수납실 및 내의 수납실로 구분되어 사용되는 장롱에 있어서, 상기 장롱의 일측에 화장대 몸체가 수용될 수 있는 수용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수용공간에 화장대 몸체가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상기 장롱과 화장대 몸체에 슬라이딩 장치가 설치되며, 상기 화장대 몸체의 전면에 화장을 위한 화장거울이 부착설치되고, 상기 화장대 몸체의 외측에 화장대 몸체를 인출할 수 있도록 손잡이가 설치되어 구성된다.
그러나, 종래의 다용도 화장대가 내장된 장롱은 화장대가 몸체에 수용되어 화장대의 기능만을 수행함으로써 장롱의 내부공간을 협소하게 하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화장을 하기 위해서는 장시간이 소요되는데 별도의 화장의자를 구비해야 하는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다.
그래서, 공간사용의 효율성을 극대화하면서 하나의 가구로 여러 가지 기능을 수행할 수 있으면서,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는 가구가 요구되었다.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 제20-0407377호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 제20-0326177호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 제20-0281098호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 제20-0323988호
이에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 벽체에 매립된 상태로 설치되어 생활공간을 침해하지 않음으로써 공간활용도를 높인 다기능 매립형 가구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그리고,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매립상태에서 슬라이딩 작동으로 인출시켜 회전시켜 이동하지 않은 상태에서 의류, 화장, 수납기능을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데 있다.
더불어,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의류보관기능, 화장대기능, 다양한 수납 및 보관기능을 갖추고 있어 별도로 기능별 가구가 필요하지 않도록 하는 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다기능을 갖으며 매립형태로 설치되는 가구에 있어서, 벽체의 매립공간에서 건물의 천장과 바닥에 설치되는 레일을 따라 이동 배출 후 회전부재에 의해 360°회전되며 내부에 걸이기능부, 수납부, 선반수납부, 화장대부가 사방면으로 구획되어 내장된 사각형태의 가구몸체로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매립형 가구를 제공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은 벽체에 매립된 상태로 설치되어 생활공간을 침해하지 않음으로써 공간활용도를 높여 주거환경을 개선하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매립상태에서 슬라이딩 작동으로 인출시켜 회전시켜 이동하지 않은 상태에서 의류, 화장, 수납기능을 이용할 수 있어 바쁜 현대 일상에서 이동으로 인한 시간낭비를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더불어, 의류보관기능, 화장대기능, 다양한 수납 및 보관기능을 갖추고 있어 별도로 기능별 가구가 필요하지 않아 초기구입 비용을 절약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a는 본 고안에 따른 다기능 매립형 가구가 매립된 상태의 설치 정면도.
도 1b는 본 고안에 따른 다기능 매립형 가구의 설치 상태 투시 단면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다기능 매립형 가구의 걸이기능부와 수납부를 도시한 일 측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다기능 매립형 가구의 수납부, 선반수납부, 화장대를 나타낸 배면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다기능 매립형 가구를 실내측에서 걸이기능부와 화장대부를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다기능 매립형 가구의 걸이기능부의 걸이부를 나타낸 사시도.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다기능 매립형 가구가 배출된 상태에서 수납부와 선반수납부를 나타낸 사시도.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다기능 매립형 가구에서 수납부의 작동사시도.
도 8은 본 고안에 따른 다기능 매립형 가구의 걸이기능부, 화장대부를 나타낸 사시도.
도 9는 본 고안에 따른 다기능 매립형 가구에서 선반수납부의 사시도.
도 10은 본 고안에 따른 다기능 매립형 가구에서 화장대의 작동사시도.
도 11은 본 고안에 따른 다기능 매립형 가구에서 걸이기능부, 수납부, 선반수납부가 가구몸체에서 인출된 상태를 도시한 작동 사시도.
이에 상기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a 및 도 1b,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다기능 매립형 가구는 다기능을 갖으며 매립형태로 설치되는 가구에 관한 것으로, 하나의 가구몸체(10)의 내부에서 사방면으로 걸이기능부(20), 수납부(30), 선반수납부(40), 화장대부(50)가 각각 구획을 이루며 모두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성가구(100)를 구성한다.
즉, 상기 기능성가구(100)는 벽체의 매립공간(200)에서 건물의 천장과 바닥에 설치되는 레일(201)을 따라 이동 배출 후 회전부재(11)에 의해 360°회전되며 내부에 걸이기능부(20), 수납부(30), 선반수납부(40), 화장대부(50)가 사방면으로 구획되어 내장된 사각형태의 가구몸체(10)로 구성한다.
이때, 상기 벽체의 매립공간(200)은 실내공간을 형성하는 실내의 벽체에 기능성가구(100)가 삽입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이며, 상기 기능성가구(100)의 슬라이드 이동을 위해 매립공간(200)의 천장과 바닥에는 레일(201)이 실내공간 중앙부를 향해 배치되며, 각 끝단은 더 이상 진행하지 못하도록 막혀진 형태로 구성한다.
이러한, 상기 레일(201)은 매립공간(200)의 천장과 바닥에 매립형태로 설치되며, 상기 기능성가구(100)의 이탈을 방지하는 동시에 회전을 위해 각각 끝단은 마감처리되어 구성함이 바람직할 것이다.
그리고, 상기 회전부재(11)는 가구몸체(10)의 천장판(12)과 바닥판(13)의 각 중앙에는 레일(201)에 끼워져 슬라이드 될 수 있도록 로울러(11a)가 돌출 형성되어 레일(201)의 끝단에서 더 이상 이동하지 못하고 회전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이다.
도 2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가구몸체(10)는 사각 형태로써 천장판(12)과 바닥판(13)의 사이에 형성되는데, 상기 가구몸체(10)는 실내공간을 향하는 측에는 천장판(12)과 바닥판(13)을 연결하는 마감판(14)이 연결되고, 상기 마감판(14)을 제외한 나머지 3면은 모두 개방된 상태로 구성되며, 걸이기능부(20)와 수납부(30) 및 화장대부(50)를 구획하는 제1구획벽(15)으로 내부공간이 분리되고, 상기 선반수납부(40)는 수납부(30)와 화장대부(50)의 한 쌍으로 구획된 제2,3구획벽(16)(17)의 사이로 삽입되도록 구성한다.
여기서, 상기 마감판(14)에는 기능성가구(100)를 매립공간(200)에서 인출하기 위해 손잡이나 손잡이홈과 같은 인출수단(14a)이 구성될 수 있다.
도 2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걸이기능부(20)는 의류를 걸어서 수납하는 있도록, 옷걸이(21)가 걸려지는 옷걸이봉(22)으로 이루어지는 걸이부(23)가 하나 이상의 층으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걸이부(23)의 상부로는 보조수납부(24)가 층을 이루며 구성한다.
더욱 자세하게, 상기 걸이기능부(20)는 가구몸체(10)의 내측에 수직으로 배치되는 내측판(20a)의 하부에 연결되어 바닥을 이루는 제1판(20b)의 상부로 제2판(20c) 및 제3판(20d)이 이격된 상태로 천정을 이루는 제4판(20e)이 이격된 상태로 내측판(20a)과 연결되며, 상기 제1~4판(20b)(20c)(20d)(20e)의 끝단에는 한 쌍의 고정봉(20f)에 의해 지지되도록 연결 구성된다.
아울러, 상기 제2판(20c)의 하부로는 제1옷걸이봉(22)의 일끝단은 내측판(20a)에 결합된 상태에서 타 끝단은 제2판(20c)의 하부에 브라켓(20g)으로 결합되며, 상기 제3판(20d)의 하부로는 제2옷걸이봉(22)의 일끝단은 내측판(20a)에 결합된 상태에서 타 끝단은 제3판(20d)의 하부에 브라켓(20g)으로 결합된다.
즉, 상기 걸이기능부(20)는 한 쌍으로 구성되어 가구몸체(10)의 내부에서 서로 반대방향으로 슬라이딩되어 인출 삽입 이동되도록 걸이기능부(20)가 위치되는 가구몸체(10)의 바닥판(13)과 천장판(12)에 설치되는 레일을 따라 이동하는 제1판(20b)의 하부면과 제4판(20e)에 인출레일을 설치하여 구성하는 것이다.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수납부(30)는 걸이기능부(20)의 후방 일측으로 걸이 기능을 갖도록 걸이봉(31)이 걸이기능부(20)과 수납부(30)를 구획하는 벽과 외측면을 마감하는 지지판(31a)에 가로로 설치 구성한다.
여기서, 상기 지지판(31a)은 가구몸체(10)의 바닥판(13)의 상부에 직립설치되며 걸이봉(31)은 제1구획판(15)와 지지판(31a)에 결합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걸이봉(31)의 상부측를 개폐할 수 있도록 상하방향으로 회전작동하는 개폐판(32)으로 구성하는 것으로, 상기 개폐판(32)이 폐쇄되었을 경우 끝단이 지지판(31a)에 올려져 지지되도록 구성한다.
이때, 상기 개폐판(32)은 제1구획벽(15)에 힌지방식이나 경첩 방식으로 연결되어 회전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상기 걸이봉(31)에는 길이가 짧은 악세서리나 의류를 걸어 수납한 상태에서 개폐판(32)을 개방시켜 쉽게 꺼내며 개폐판(32)을 닫은 상태에서는 상부로 물건을 올려 놓을 수 있는 걸이수납부(30)를 구성하는 것이다.
아울러, 상기 걸이봉(31)의 하부에는 별도의 수납물을 수납할 수도 있으며, 개폐판(32)를 폐쇄시킬 경우 물건을 올려놓을 수 있는 수납기능을 추가로 수행할 수 있도록 구성한다.
더불어, 상기 수납부(30)는 걸이수납부(30)의 상부로 수납판(33)이 형성되어 물건을 올려서 보관할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이다.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선반수납부(40)는 수납부(30)의 후방측에서 다수개의 제1선반(41), 제2선반(41a), 제3선반(41b), 제4선반(41c), 제n선반(41n)이 층을 이루며 기둥바(42)로 연결되어 가구몸체(10)의 내부에서 외부로 슬라이드 방식으로 인출되도록 구성한다.
이때, 상기 선반수납부(40)가 위치되는 가구몸체(10)의 바닥판(13)과 천장판(12)에는 설치되는 레일을 따라 이동하도록 최 하측에 위치되는 제1선반(41)의 바닥면과 최 상측에 위치되는 제n선반(41n)의 상부면에는 이동레일를 설치하여 구성하는 것이다.
도 8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화장대부(50)는 상부로 화장관련 용품 및 악세서리 등을 보관할 수 있는 보관함(51)의 기능을 갖는 화장대(52)를 구성한다.
그리고, 보조공간(53)을 개폐하는 뚜껑(54)이 상하로 회전되도록 설치된 화장의자(55)를 화장대(52)의 하부로 보관하며 필요시에 꺼내서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한다.
아울러, 상기 화장대(52)의 보관함(51)을 개폐하는 개폐할 수 있도록 상하방향으로 회전작동하는 화장대판(56)을 구성하는데, 상기 화장대판(56)의 바닥면에는 거울(57)을 부착하여 상부로 회전시킨 상태에서 화장거울의 기능을 하도록 구성한다.
여기서, 상기 화장대판(56)은 제3구획벽(17)에 힌지방식이나 경첩 방식으로 연결되어 회전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화장대(52)의 상부로 보관판(58a)에 의해 여러 개로 구획된 보관공간(58)을 갖는 보관부(59)를 구성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기능성가구(100)의 작동 및 작용, 특징을 설명하는데, 기능성가구(100)는 벽체의 매립공간(200)에 삽입된 상태에서 매립을 해제하여 사용하는 상태를 일 예로 설명한다.
도 1a 내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기능성가구(100)를 사용하는 순서는 수납부(30)를 이용한 침구류 정리 - > 세안 후 화장관련 -> 의류관련 -> 악세서리 관련 ->기타 잡무 관련의 순서로 사용 순서를 설명하기로 한다.
그리고, 상기 기능성가구(100)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가구몸체(10)의 마감판(14)에 형성되는 인출수단(14a)을 잡고 실내공간 쪽으로 잡아당겨 매립공간(200)의 천장과 레일(201)을 따라 가구몸체(10)의 천장판(12)과 바닥판(13)의 설치된 로울러(11a)가 회전 및 미끄럼 작동으로 미끄러지며 실내공간으로 인출시킨다.
우선, 상기 잠을 잔 후 별도의 침구류를 정리할 공간이 없을 경우 크기에 맞게 정리하여 수납부(30)의 수납판(33)을 개방하지 않은 상태에서 수납판(33)의 상부에 올려 간단하며 깔끔하게 정리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이후, 상기 가구몸체(10)를 회전시켜 화장대부(50)를 사용자의 전면으로 위치되도록 한 다음, 화장대부(50)의 화장의자(55)를 꺼내서 보조공간(53)에 보관된 화장관련 물품이나 기타 필요한 물건을 뚜껑(54)을 열어 꺼내서 사용한 후 뚜껑(54)을 덮고 않는다.
그리고, 상기 화장대(52)의 화장대판(56)을 열어 거울(57)을 보면서 화장대(52)의 보관함(51)에 보관된 화장관련 용품을 이용하여 화장을 한다.
이렇게, 상기 화장대판(56)에 거울(57)이 부착되어 있어 필요시에만 개방시켜 사용할 수 있으므로 별도로 거울을 준비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없는 특징이 있으며, 사용시에만 거울(57)이 노출되어 오염이 방지되는 추가적인 특징이 있다.
이때, 상기 거울(57)의 사용이 불필요하거나 보관함(51)에 보관된 물품의 사용이 필요 없을 경우 화장대판(56)은 개방시키지 않은 상태에서 테이블의 기능을 하도록 사용할 수 있어 물품을 올려놓거나 하는 별도의 테이블이 필요없게 되는 특징이 있다.
이렇게, 상기 화장대부(50)를 이용하여 화장이 완료되면, 화장의자(55)는 화장대(52)의 하부로 재배치시켜 공간의 활용도를 증대시키는 특징이 있다.
다음으로, 상기 기능성가구(100)를 필요한 의류가 보관된 걸이기능부(20)가 전면으로 위치하게 회전시킨 후, 걸이부(23)를 가구몸체(10)의 외측으로 슬라이드 시켜 인출 한 다음 필요한 의류를 선택한 다음 복귀시킨다.
그리고, 사용한 걸이부(23)의 반대편 걸이부(23)를 이용할 경우에는 간편하게 기능성가구(100)를 재 회전시켜 동일한 방식으로 사용할 수 있다.
그 다음으로, 상기 수납부(30)의 걸이수납부(30)에 일 예로 걸려진 머플러나 모자, 스커프 등의 보조 의류를 꺼내어 사용가능하며, 선반수납부(40)에 진열된 각종 필요 물품이나 악세서리를 채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선반수납부(40)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가구몸체(10)의 외부로 인출한 다음 제1선반(41)~제n선반(41n)에 보관된 물품을 꺼낸 다음 밀어서 가구몸체(10)의 내부로 원위치시킨다.
이렇게, 사용이 완료된 기능성가구(100)는 회전시켜 마감판(14)이 내측공간을 향한 상태에서 매립공간(200)으로 밀어 넣어 매립수납을 함으로써 실내공간의 활용도를 증대시키며 미관상 깨끗함과 정렬감을 유지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또한, 상기 기능성가구(100)은 가구몸체(10)의 내부에 걸이기능부(20), 수납부(30), 선반수납부(40), 화장대부(50)가 함께 공존함으로써 남/녀 구분없이 사용상에 불편이 없으며 동시에 남/녀가 함께 사용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아울러, 기존의 기능별로 분리되어 배치된 가구를 이용하기 위해서는 동선을 이동하면서 처리함으로써 이동거리의 증대와 이에 따른 소비시간이 증대하는 문제점을 본 고안의 기능성가구(100)는 이동하지 않은 상태에서 가구몸체(10)를 회전시켜 여러가지 수납 및 정리, 화장 등의 관련일을 처리할 수 있어 시간이 절약되는 특징이 있다.
더불어, 상기 기능성가구(100)는 걸이기능부(20), 수납부(30), 선반수납부(40), 화장대부(50)가 각각 제1,2,3구획벽(15)(16)(17)으로 구획되어 있어 불필요한 노출을 방지하여 일체화된 수납의 이미지를 보여줄 수 있으며, 이동 및 회전시에 비틀림이나 변형 등을 방지할 수 있는 특징이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는 본 고안을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를들어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고안의 정신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당해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경과 수정이 가능할 것이다.
10 : 가구몸체 11 : 회전부재
11a : 로울러 12 : 천장판
13 : 바닥판 14 : 마감판
14a : 인출수단 15 : 제1구획벽
16 : 제2구획벽 17 : 제3구획벽
20 : 걸이기능부 20a : 내측판
20b : 제1판 20c : 제2판
20d : 제3판 20e : 제4판
20f : 고정봉 20g : 브라켓
21 : 옷걸이 22 : 옷걸이봉
23 : 걸이부 24 : 보조수납부
30 : 수납부 31 : 걸이봉
32 : 개폐판 33 : 수납판
40 : 선반수납부 41~41n : 제1선반~제n선반
42 : 기둥바 50 : 화장대부
51 : 보관함 52 : 화장대
53 : 보조공간 54 : 뚜껑
55 : 화장의자 56 : 화장대판
57 : 거울 58 : 보관공간
59 : 보관부 100 : 기능성가구
200 : 매립공간 201 : 레일

Claims (10)

  1. 다기능을 갖으며 매립형태로 설치되는 가구에 있어서,
    벽체의 매립공간에서 건물의 천장과 바닥에 설치되는 레일을 따라 이동 배출 후 회전부재에 의해 360°회전되며 내부에 걸이기능부, 수납부, 선반수납부, 화장대부가 사방면으로 구획되어 내장된 사각형태의 가구몸체로 구성되고,
    상기 걸이기능부는 가구몸체의 내부에서 서로 반대방향으로 슬라이딩되어 인출 삽입 이동되는 한 쌍으로 구성되며,
    상기 수납부는 걸이기능부의 후방 일측으로 걸이 기능을 갖도록 걸이봉이 걸이기능부과 수납부를 구획하는 벽과 외측면을 마감하는 지지판에 가로로 설치되고,
    상기 걸이봉의 상부측를 개폐할 수 있도록 지지판에 지지되면서 상하방향으로 회전작동하는 개폐판으로 구성하여,
    상기 걸이봉에는 길이가 짧은 악세서리나 의류를 걸어 수납한 상태에서 개폐판을 개방시켜 쉽게 꺼내며 개폐판을 닫은 상태에서는 상부로 물건을 올려 놓을 수 있는 걸이수납부를 구성되고,
    상기 화장대부는 상부로 화장관련 용품 및 악세서리 등을 보관할 수 있는 보관함의 기능을 갖는 화장대와,
    보조공간을 개폐하는 뚜껑이 상하로 회전되도록 설치된 화장의자를 화장대의 하부로 보관하며 필요시에 꺼내서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매립형 가구.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걸이기능부는 의류를 걸어서 수납하는 있도록, 옷걸이가 걸려지는 옷걸이봉으로 이루어지는 걸이부가 하나 이상의 층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걸이부의 상부로는 보조수납부가 층을 이루며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매립형 가구.
  3. 삭제
  4. 삭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수납부는 걸이수납부의 상부로 수납판이 형성되어 물건을 올려서 보관할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매립형 가구.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선반수납부는 수납부의 후방측에서 다수개의 제1선반~제n선반이 층을 이루며 기둥바로 연결되어 가구몸체의 내부에서 외부로 슬라이드 방식으로 인출되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매립형 가구.
  7. 삭제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대의 보관함을 개폐하는 개폐할 수 있도록 상하방향으로 회전작동하는 화장대판을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매립형 가구.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대판의 바닥면에는 거울을 부착하여 상부로 회전시킨 상태에서 화장거울의 기능을 하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매립형 가구.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대의 상부로 보관판에 의해 여러 개로 구획된 보관공간을 갖는 보관부를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매립형 가구.
KR2020130001317U 2013-02-20 2013-02-20 다기능 매립형 가구 KR20047259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30001317U KR200472591Y1 (ko) 2013-02-20 2013-02-20 다기능 매립형 가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30001317U KR200472591Y1 (ko) 2013-02-20 2013-02-20 다기능 매립형 가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72591Y1 true KR200472591Y1 (ko) 2014-05-09

Family

ID=535782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30001317U KR200472591Y1 (ko) 2013-02-20 2013-02-20 다기능 매립형 가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72591Y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81654Y1 (ko) * 1999-12-16 2000-05-15 한국호진공업주식회사 옷장 겸용 사물함
KR200407377Y1 (ko) * 2005-11-01 2006-01-31 박태선 화장대가 수납된 장롱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81654Y1 (ko) * 1999-12-16 2000-05-15 한국호진공업주식회사 옷장 겸용 사물함
KR200407377Y1 (ko) * 2005-11-01 2006-01-31 박태선 화장대가 수납된 장롱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578963B2 (en) Combination vanity, dresser drawer and closet
KR200472591Y1 (ko) 다기능 매립형 가구
JP6984428B2 (ja) 住宅の収納構造
CN210902161U (zh) 一种多功能分区的一体化宿舍家具结构
CN210300113U (zh) 一种多功能衣柜
CN208769122U (zh) 多功能衣柜
CN101698973B (zh) 家用洗涤设备
CN210433129U (zh) 一种学生宿舍多功能收纳柜
CN209324035U (zh) 浴室及住宿房屋
CN204908598U (zh) 多功能客厅组合柜
US20100109495A1 (en) Storage Furniture for Decorative Bedding
JP7421848B2 (ja) 住居構造
KR200470392Y1 (ko) 원룸형 주택의 중문형 붙박이 가구 장치
CN209733004U (zh) 橱柜
CN211380269U (zh) 一种内藏穿衣镜的梳妆台
CN210354456U (zh) 一种浴室边柜
CN214548325U (zh) 一种双人收纳柜
JP3197725U (ja) マルチシェルフ収納家具
CN201567474U (zh) 家用洗涤设备
JP2771890B2 (ja) 収納装置
CN107212607A (zh) 一种带有抽拉桌板和折叠置物架的橱柜
KR200473623Y1 (ko) 수납장
CN206530082U (zh) 一种多功能住宅楼阳台隔间
KR200321909Y1 (ko) 일측에 행거가 구비된 장롱
JP3017339U (ja) 移動キャビネッ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2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06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