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53177B1 - 곤충 모니터 장치에서 개선된 이산화 탄소 발생을 위한 발포성 조성물 - Google Patents

곤충 모니터 장치에서 개선된 이산화 탄소 발생을 위한 발포성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53177B1
KR101353177B1 KR1020137016874A KR20137016874A KR101353177B1 KR 101353177 B1 KR101353177 B1 KR 101353177B1 KR 1020137016874 A KR1020137016874 A KR 1020137016874A KR 20137016874 A KR20137016874 A KR 20137016874A KR 101353177 B1 KR101353177 B1 KR 10135317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bon dioxide
acid
delete delete
chemical composition
bedbug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70168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86261A (ko
Inventor
브루스 씨 블랙
슈레야 쉐스
린다 바란약
Original Assignee
에프엠씨 코포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프엠씨 코포레이션 filed Critical 에프엠씨 코포레이션
Publication of KR201300862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8626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531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53177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59/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elements or inorganic compounds
    • A01N59/04Carbon disulfide; Carbon monoxide; Carbon dioxide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1/00Stationary means for catching or killing insects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BNON-METALLIC ELEMENTS; COMPOUNDS THEREOF; METALLOIDS OR COMPOUNDS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 C01C
    • C01B32/00Carbon; Compounds thereof
    • C01B32/50Carbon dioxid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50/00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in human health protection, e.g. against extreme weather
    • Y02A50/30Against vector-borne diseases, e.g. mosquito-borne, fly-borne, tick-borne or waterborne diseases whose impact is exacerbated by climate change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Dent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lant Path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Insects & Arthropods (AREA)
  • Agricultural Chemicals And Associated Chemicals (AREA)
  • Catching Or Destru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i) 발포제; (ii) 고체 산; (iii) 조해제; 및 선택적으로 (iv) 응집 방지제를 포함하는, 곤충 모니터 및/또는 포획 장치에 사용하기 위한 이산화 탄소를 발생시키기 위한 화학적 조성물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곤충 모니터 장치에서 개선된 이산화 탄소 발생을 위한 발포성 조성물{EFFERVESCENT COMPOSITION FOR IMPROVED CARBON DIOXIDE GENERATION IN INSECT MONITOR DEVICES}
본 발명은 곤충을 곤충 모니터 및/또는 포획 장치로 유인하는데 유용한 이산화 탄소의 발생을 조절하는 화학적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관련 출원의 상호참조
본 출원은 2010년 12월 3일자로 출원된 미국 가출원 제 61/458,935 호를 우선권 주장한다.
빈대(bed bug)는 인간 및 다른 온혈 숙주의 혈액을 먹고 사는 시미시다에(Cimicidae) 과의 작은 야행성 곤충이다. 빈대는 은밀한 행동을 나타내어, 그의 탐지 및 박멸을 어렵게 하고 시간 소모적으로 만든다. 이는 인간 환경에 잘 적응해 온 통상적인 빈대인 시멕스 렉튤라리우스(Cimex lectularius)의 경우 특히 사실이다. 다른 빈대 종들도 또한 사람 및/또는 동물에게 성가신 존재이다.
빈대는 많은 지역들, 예를 들어 미국에서 박멸되었지만, 최근 수년간 해외 여행의 증가는 이들 해충의 재유행에 기여하였다. 일단 이들의 존재가 한 장소에서 확립되었으면 이들을 근절하기 어렵게 하는 다수의 빈대에 대한 태양들이 존재한다. 따라서, 빈대가 정착하기 전에 상기 빈대의 존재를 측정하기에 유효한 올가미가 필요하다.
성충 빈대는 길이가 약 6 밀리미터이고, 폭이 5 내지 6 밀리미터이며, 적갈색의 납작한 타원형 몸통을 갖는다. 미성숙한 애벌레는 겉모습이 상기 성충과 유사하지만, 더 작고 색상이 더 밝다. 빈대는 날지 못하지만, 표면 위를 빠르게 이동할 수 있다. 암컷 빈대는 한적한 지역에 알을 낳으며 하루에 5 개 이하의 알을 낳을 수 있고 평생 500 개 정도로 많은 알을 낳을 수 있다. 상기 빈대의 알은 매우 작아서, 대략 부유 먼지의 크기이다. 처음 알을 낳으면, 상기 알은 끈적끈적하여 표면에 들러붙게 된다.
빈대는 먹지 않고도 오랜 기간 동안 견딜 수 있다. 애벌레는 먹지 않고 수주간 생존할 수 있는 반면, 성충은 수 개월간 살 수 있다. 결과적으로, 간단히 한 장소를 짧은 기간 동안 소개(unoccupying)함으로써 빈대의 출몰을 제거할 수는 없다.
빈대는 밤시간 동안 활동하지만, 낮 동안에는 작은 갈라진 틈이나 균열 부위에 숨는 경향이 있다. 따라서 침대, 침재 틀, 가구, 걸레받이, 카펫류, 및 무수한 다른 장소들의 은밀한 장소에서 빈대를 쉽게 발견할 수 있다. 빈대는 모이는 경향이 있지만 일부 다른 곤충들처럼 둥지를 만들지는 않는다.
빈대는 긴 주둥이 부분을 통해 혈액을 빨아들임으로써 양분을 얻는다. 상기 빈대는 인체상에서 3 내지 10 분간 먹고 살 수 있지만, 사람은 물린 것을 좀처럼 느끼지 못한다. 물린 후에, 희생자는 종종 가려운 자국이나 물린 부위가 부어오르는 지연된 과민성 반응을 경험한다. 그러나, 일부의 사람들은 빈대가 문 것에 대해 어떠한 반응도 갖지 못하거나 단지 매우 작은 반응만을 갖는다. 빈대 물림은 다른 해충들, 예를 들어 모기 및 진드기와 유사한 증상들을 갖는다. 물림이 빈대로부터인지 또다른 유형의 해충으로부터인지를 정하는 것은 가능하지 않으며; 물림을 두드러기나 피부 발진으로 잘못 진단할 수도 있다. 결과적으로, 빈대 출몰은 흔히, 인식하기 전에 오래 갈 수도 있다.
빈대 출몰은 빈대가 새로운 지역으로 옮겨감으로써 기원한다. 빈대는 소지품에 들러붙어 작은 공간 중에 숨을 수 있으며, 따라서 여행자의 소지품 중에서 이동할 수도 있다. 그 결과, 거주자의 이동이 많은 건물, 예를 들어 호텔, 모텔, 여관, 막사, 크루즈용 선박, 은신처, 양로원, 캠핑 주택, 기숙사, 콘도미니엄 및 아파트가 빈대 출몰에 특히 취약하다.
본 발명에 개시된 빈대의 모든 특징들로 인해, 빈대는 탐지하기도 어렵고 박멸하기도 어렵다. 전문적인 해충 제거 전문가 및 살충제가 필요하다. 방으로부터 모든 어지럽고 불필요한 물건들을 치우고, 진공청소기를 통해 가능한 한 많은 빈대와 알을 제거하고, 있음직한 은폐 지역에 살충제를 적용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러한 유형의 박멸 처리는 호텔과 같은 사업장에 파괴적일 수 있다. 결과적으로, 박멸 과정을 시작하기 위해서는 가능한 한 빨리 빈대 출몰을 탐지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빈대의 작고 이동성이며 은밀한 행동은, 상기 빈대를 재빨리 발견하여 처리하지 않는 한 상기 빈대의 출몰을 예방하여 박멸하는 것을 거의 불가능하게 한다. 빈대는 벽, 천장 및 바닥의 구멍을 통해 옆방으로 이동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빈대의 조기 탐지를 위한 장치 및 방법이 서비스업에 특히 필요하다.
과거에 빈대 모니터링 및/또는 포획 장치를 고안하기 위한 다수의 시도들이 수행되었지만, 이러한 장치들은 일반적으로 상업적으로 유효하지 못한 것으로 입증되었다. 본 발명자들은 빈대 행동에 대한 많은 태양들을 연구하였으며, 상기와 같은 장치가 바람직하게 수행되지 못한 한 가지 인자는 빈대를 올가미 장치로 유인하기에 유효한 미끼가 없는 것으로 생각한다.
연구자는 이산화 탄소가 단독으로 빈대를 모니터 및 올가미로 유인하기에 유효한 유인물질임을 입증하였다. 이산화 탄소를 또한 추가적인 화학적 유인물질과 함께 사용하여 상기 미끼의 유효성을 더욱 증대시킬 수 있다. 가압된 이산화 탄소 캔, 드라이 아이스 또는 이산화 탄소를 발생시키는 효모 발효를 사용하는 상업적으로 입수할 수 있는 몇몇 이산화 탄소 생산 모니터가 존재한다. 압축된 이산화 탄소를 모니터로 안전하게 전달하는데 관여하는 기술은 비용이 많이 든다. 드라이 아이스는 비교적 저렴하지만, 취급하기에 위험하고, 구입하기에 불편하며 단지 수시간 동안만 지속될 수 있다. 효모 발효에 의한 이산화 탄소의 발생은 경제적이고 안전하지만, 제조 과정은 조심스럽게 측정된 양의 효모, 배지 및 물을 별도의 이산화 탄소 발생 용기(상기 용기는 엎질러지는 경우, 치우는 것이 불쾌할 것이다)에서 20 ℃ 내지 30 ℃의 온도에서 혼합하는 것을 필요로 한다.
몇몇 산 염기 화학 반응들이 이산화 탄소를 발생시킬 수 있음은 당해 분야에 널리 공지되어 있다. 예를 들어, 수성 매질 중에서 시트르산과 나트륨 바이카보네이트와의 반응은 이산화 탄소를 생성시키지만, 상기 반응은 비교적 빠르고 상기 이산화 탄소를 수 분 내에 발생시킨다. 상업적인 제품, 예를 들어 알카-셀처(Alka-Seltzer)(등록상표) 및 브로모-셀처(Bromo-Seltzer)(등록상표)가, 수중에 놓일 때 시트르산과 나트륨 바이카보네이트와의 빠른 반응의 예이다. 모니터 또는 포획 장치로 곤충을 유인하는데 유용하기 위해서, 이산화 탄소는 연장된 기간 동안 서서히 발생해야 한다.
본 발명은 빈대 모니터 및/또는 포획 장치로 빈대를 유인하는 것을 돕기 위해서, 물의 첨가 없이, 환경적으로 안전하고 무독성인 성분들을 사용하여 연장된 기간 동안 충분한 양의 이산화 탄소를 경제적으로 생성시키는 오래 지속되는 이산화 탄소 발생 화학 조성물을 제공함으로써 상기 나타낸 문제들을 극복한다.
본 발명은 (i) 발포제(effervescent agent); (ii) 고체 산; (iii) 조해제(deliquescent agent); 및 선택적으로 (iv) 응집 방지제를 포함하는, 곤충 모니터 및/또는 포획 장치에 사용하기 위한 이산화 탄소를 발생시키기 위한 화학적 조성물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i) 발포제; (ii) 고체 산; (iii) 조해제; 및 선택적으로 (iv) 응집 방지제를 포함하는, 곤충 모니터 및/또는 포획 장치에 사용하기 위한 이산화 탄소를 발생시키기 위한 화학적 조성물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태양은 (i) 발포제; (ii) 고체 산; (iii) 조해제; 및 선택적으로 (iv) 응집 방지제를 11% 이상의 상대 습도의 존재 하에 조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곤충 모니터 및/또는 포획 장치에 사용하기 위한 이산화 탄소를 발생시키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기 발포제는 예를 들어 알칼리성 카보네이트 염, 또는 알칼리성 카보네이트 염들, 예를 들어 나트륨 카보네이트, 나트륨 바이카보네이트, 칼륨 카보네이트, 칼륨 바이카보네이트, 암모늄 카보네이트, 암모늄 바이카보네이트 및 칼슘 카보네이트의 조합물일 수 있다. 바람직한 발포제는 나트륨 바이카보네이트이다.
본 발명에 사용 가능한 고체 산은 예를 들어 시트르산 모노하이드레이트, 말레산, 말산, 옥살산, 말론산, 타타르산, 아스파트산, 퓨마르산, 아이소프탈산, 프탈산, 테레프탈산, 살리실산, 젠티스산, 갈산, 만델산, 트로프산, 신남산, 벤조산, 니코틴산, 페닐아세트산, 소르브산, 2-피롤리돈-5-카복실산, 트라이멜리트산, p-톨루엔 설폰산 및 벤젠 설폰산을 포함한다. 바람직한 고체 산은 시트르산 모노하이드레이트이다. 응집 방지제, 예를 들어 발연 실리카, 예를 들어 캐봇 코포레이션(Cabot Corporation)으로부터 입수할 수 있는 캡-O-실(Cab-O-Sil)(등록상표) 발연 실리카, 비결정성 실리카, 예를 들어 더블유 알 그레이스 앤드 캄파니(W.R. Grace and Company)로부터 입수할 수 있는 실로이드(Siloid)(등록상표) 실리카, 및 카올린 점토,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상기 고체 산에 첨가하여 보관 중에 자유 유동하는 건조 분말을 유지시킬 수 있다. 상기 응집 방지제는 바람직하게는 상기 무수 산에 대해 약 5 중량%의 양으로 존재하는 발연 실리키와 비결정성 실리카의 1:1 혼합물이다.
상기 조해제는 예를 들어 마그네슘 클로라이드 헥사하이드레이트, 마그네슘 브로마이드 헥사하이드레이트, 알루미늄 클로라이드 헥사하이드레이트, 알루미늄 플루오라이드 트라이하이드레이트, 칼슘 클로라이드 헥사하이드레이트, 철(II) 클로라이드 테트라하이드레이트, 철(II) 나이트레이트 논하이드레이트, 마그네슘 나이트레이트 헥사하이드레이트 및 알루미늄 나이트레이트 논하이드레이트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선택된 수화된 금속 염일 수 있다.
상기 고체 산과 발포제 간의 반응은 산 염기 반응이다. 예를 들어 시트르산과 나트륨 바이카보네이트 간의 반응은 물, 이산화 탄소, 나트륨 수소 시트레이트 및 나트륨 시트레이트를 생성시킨다. 통상적으로 상기 산 염기 반응은 수성 매질 중에서 일어날 것이나, 수성 반응이 다소 빠르며 이산화 탄소가 수 분 내에 방출한다. 본 발명자들은 발포제 및 고체 산에 조해제를 가하는 것이 상기 산 염기 반응을 촉진하고 대기로부터 물을 흡수하여 상기 반응에서 발생된 물을 보충함으로써 상기 반응을 느리게 유지시킴을 발견하였다.
연장된 기간 동안 상기 산 염기 반응을 지속시키고 느리고 지속 가능한 속도로 이산화 탄소를 생성시키기 위해서, 상기 발포제:고체 산:조해제의 몰비를 조절할 수 있다. 빈대를 유인하기에 충분한 양의 이산화 탄소 유량은 약 0.5 ㎖/분이다. 더 높은 이산화 탄소 유량은 빈대 유인을 증가시킬 것으로 여겨진다. 나트륨 바이카보네이트, 시트르산 모노하이드레이트 및 염화 마그네슘 헥사하이드레이트의 혼합물을 추가적인 물의 첨가 없이 사용하여 충분량의 이산화 탄소를 생성시킬 수 있으며, 이때 상기 발포제:고체 산:조해제의 몰비는 11% 이상의 상대 습도의 존재 하에 159:52:1 내지 10:3:1이다. 상기 발포제:고체 산:조해제의 바람직한 몰비는 40:13:1 내지 20:6.5:1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환경적으로 안전한, 무독성 이산화 탄소를 발생시키는 화학 조성물, 및 곤충, 예를 들어 빈대를 곤충 모니터 및/또는 포획 장치로 유인하는 것을 돕기 위해 연장된 기간 동안 충분한 양의 이산화 탄소를 경제적으로 생성시키기 위한 상기 화합물의 사용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화학 조성물이 이산화 탄소를 발생시키기 위해 필요한 물은 주변 대기 중의 습기로부터 유래하며, 이는 상기 산 염기 반응을 개시시키고 지속시키기 위해 물을 측정하고 첨가할 필요성을 제거한다. 본 발명의 추가적인 이점은 부산물이 100% 생분해 가능하며 쉽게 처리될 수 있다는 것이다.
본 발명의 조성물을 단독으로 사용하거나 또는 다른 곤충 유인물질과 함께 사용하여 빈대와 같은 곤충을 모니터 및/또는 포획 장치로 유인할 수 있다. 사용될 수 있는 유인물질은 열, 페로몬, 인간 땀 성분 등을 포함하며, 이들은 모두 당해 분야의 숙련가들에게 공지되어 있다. 하나 이상의 유인물질들의 혼합물을 또한 사용할 수 있다.
특히 바람직한 하나의 유인물질은 불포화된 알데하이드 성분 및 유기산 성분을 포함하는 조성물이다. 트랜스-2-헥센-1-알(헥센알) 및 트랜스-2-옥텐-1-알(옥텐알)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알데하이드를 포함하는 불포화된 알데하이드 성분이 바람직하다. 상기 유기산 성분은 부티르산이 바람직하다. 상기 알데하이드 성분이 헥센알과 옥텐알을 모두 포함하는 경우, 상기 알데하이드는 약 1:5 내지 약 5:1의 헥센알:옥텐알의 비, 보다 바람직하게는 약 3:1 내지 약 1:3의 헥센알:옥텐알의 비로 존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빈대를 가장 많이 유인하기 위해서, 상기 방출되는 헥센알 및 옥텐알 혼합물의 최적 농도는 약 300 ng/시간 내지 약 500 ng/시간이며, 방출되는 부티르산의 최적 농도는 약 100 ng/시간 내지 약 300 ng/시간이다. 부티르산과 헥센알 및 옥텐알의 혼합은 불안정한 조성물을 형성시키며 상기 산 성분으로부터 상기 알데하이드 성분을 분리시킬 필요가 있다. 상기 유인물질 조성물의 별도의 성분들을 적합한 비율로 방출시키기 위해서, 각각의 성분을, 젤 형태, 고체 형태이거나, 극성 용매, 예를 들어 물에 용해되거나, 유기 용매, 예를 들어 C8-C12 알칸, 및 바람직하게는 C9-C10 알칸에 용해되거나, 캡슐화되거나, 다른 물질 중에 함침될 수 있는 제형으로 통합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하나의 태양에서 적합한 유인물질은 데칸에 약 2000 내지 3000 ppm 옥텐알, 바람직하게는 약 2500 내지 2800 ppm 옥텐알, 보다 바람직하게는 약 2700 내지 2750 ppm 옥텐알의 농도 범위로 용해된 옥텐알을 포함한다. 상기 옥텐알과 함께 사용될 수 있는 두 번째 적합한 유인물질은 데칸에 약 200 내지 2000 ppm 부티르산, 바람직하게는 약 240 내지 400 ppm 부티르산의 농도 범위로 용해된 부티르산이다.
각각의 성분을 흡수성 물질, 예를 들어 비제한적으로 탈지면, 섬유화된 셀룰로스 목재 펄프, 합성 솜, 폴리에스터 솜, 펠트, 결합된 카딩된 웹, 매우 고밀도의 폴리에틸렌 스펀지 및 고 로프트 스펀본드 물질에 통합시킬 수도 있다. 확산을 조절하기 위해서, 반투과성 막을 사용하여 상기 흡수성 물질을 쌀 수 있다. 상기 유인물질 성분을, 하나 이상의 구멍을 함유하는 반-투과성 상단 또는 밀폐성 상단을 갖는 용기로부터 분배하여 주변 대기로의 확산을 허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상단을 사용 지점에서 뚫거나 천공시켜 주변 대기로의 확산을 허용할 수 있다. 적합한 상단은 예를 들어 금속 호일(예를 들어 알루미늄 호일)을 포함한다. 상기 금속 호일 상단으로 적합한 유인물질 용기, 예를 들어 중합체 바이알(예를 들어 PETG 바이알)의 개방 상단을 밀봉할 수 있다.
또 다른 바람직한 실시태양은 보조-유인물질로서 부티르산을 사용하거나 사용하지 않고, 상기 유인물질 옥텐알 또는 헥센알을 포함한다.
하기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을 추가로 예시하며 본 발명의 방법을 평가하기 위한 프로토콜을 포함하지만, 이떠한 방식으로도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는 것으로 해석해서는 안 됨은 물론이다.
실시예
실시예 1
16.5 그램(0.196 몰)의 나트륨 바이카보네이트, 13.5 그램(0.064 몰)의 시트르산 모노하이드레이트, 및 2.0 그램(0.0098 몰)의 마그네슘 클로라이드 헥사하이드레이트의 시험 혼합물을 50 ㎖ 플라스틱 원심분리기 튜브(코닝(등록상표) 50 ㎖ 폴리프로필렌 원심분리기 튜브)에 넣고, 상기 원심분리기 튜브의 마개를 닫고 균질한 혼합물이 수득될 때까지 내용물을 진탕시켰다(32 그램의 시험 혼합물, 발포제:고체 산:조해제의 몰비는 20:6.5:1이다). 4.125 그램(0.0491 몰)의 나트륨 바이카보네이트, 3.75 그램(0.0178 몰)의 시트르산 모노하이드레이트 및 0.5 그램(0.0025 몰)의 마그네슘 클로라이드 헥사하이드레이트(발포제:고체 산:조해제의 몰비는 20:7:1이다)를 사용하여 8.375 그램의 시험 혼합물을 제조하였다. 8.25 그램(0.0982 몰)의 나트륨 바이카보네이트, 6.75 그램(0.0321 몰)의 시트르산 모노하이드레이트 및 1.0 그램(0.0049 몰)의 마그네슘 클로라이드 헥사하이드레이트(발포제:고체 산:조해제의 몰비는 20:6.5:1이다)를 사용하여 16.0 그램의 시험 혼합물을 제조하였다. 각각의 원심분리기 튜브를 투명한 플라스틱 글러브 상자 안의 튜브 선반에 놓았다. 상기 글러브 상자를 11%, 50%, 75% 또는 100%의 상대 습도에서 유지시켰다. 각각의 원심분리 튜브의 마개를 열고 이산화 탄소의 유량을, 상기 마개를 플라스틱 피펫 팁이 단단히 삽입된 구멍을 갖는 변형된 마개로 대체시킴으로써 측정하였다. 플라스틱 튜브의 한쪽 단부를 돌출된 피펫 팁에 고정시키고 상기 튜브의 다른쪽 단부는 레스텍 코포레이션(Resteck Corporation) 전자 유량 교정계(모델 21606)에 고정시켰다. 약 1 분 후에, 이산화 탄소의 유량이 ㎖/분으로 기록되었다. 각각의 튜브를 다음 유량 측정이 기록될 때까지 마개를 열었다. 4.125 그램(0.0491 몰)의 나트륨 바이카보네이트, 3.75 그램(0.0178 몰)의 시트르산 모노하이드레이트를 함유하고 마그네슘 클로라이드 헥사하이드레이트는 함유하지 않는 대조용 시험 혼합물을 또한 시험하였다. 상기 실험들을 3회 반복해서 실행하고 평균 유량 측정을 하기 표 1에 요약한다. 0.5 ㎖/분 이상의 유량을 빈대를 유인하기에 적합한 유량으로 간주한다.
Figure 112013058018516-pct00001
표 1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상대 습도가 11% 이상일 때 물의 첨가 없이 시트르산 모노하이드레이트, 나트륨 바이카보네이트 및 마그네슘 클로라이드 헥사하이드레이트의 혼합물을 사용하여 11 시간 이상의 기간 동안 적합한 유량의 이산화 탄소를 발생시킨다. 32.0 그램의 시험 혼합물은 24 시간 이하까지 적합한 유량의 이산화 탄소를 제공할 수 있다.
실시예 2
13.5 그램(0.064 몰)의 시트르산 모노하이드레이트, 16.5 그램(0.196 몰)의 나트륨 바이카보네이트 및 (1) 0.25 그램(0.00123 몰), (2) 0.5 그램(0.0025 몰), (3) 1.0 그램(0.0049 몰), (4) 2.0 그램(0.0098 몰), (5) 3.0 그램(0.0147 몰) 또는 (6) 4.0 그램(0.0197 몰)의 마그네슘 클로라이드 헥사하이드레이트 또는 (7) 2.0 그램(0.0078 몰)의 마그네슘 나이트레이트 헥사하이드레이트의 시험 혼합물들을 제조하였다. 각각의 시험 혼합물에 대한 상기 발포제:고체 산:조해제의 몰비는 하기와 같다:
(1) 159:52:1
(2) 78:26:1
(3) 40:13:1
(4) 20:6.5:1
(5) 13:4:1
(6) 10:3;1
(7) 25:8:1
각각의 혼합물을 별도의 50 ㎖ 플라스틱 원심분리기 튜브(코닝(등록상표) 50 ㎖ 폴리프로필렌 원심분리기 튜브)에 넣고, 각각의 원심분리기 튜브의 마개를 닫고 균질한 혼합물이 수득될 때까지 내용물을 진탕시켰다. 각각의 원심분리기 튜브를 투명한 플라스틱 글러브 상자 안의 튜브 선반에 놓았다. 상기 글러브 상자를 50%의 상대 습도에서 유지시켰다. 각각의 원심분리 튜브의 마개를 열고 이산화 탄소의 유량을, 상기 마개를 플라스틱 피펫 팁이 단단히 삽입된 구멍을 갖는 변형된 마개로 대체시킴으로써 측정하였다. 플라스틱 튜브의 한쪽 단부를 돌출된 피펫 팁에 고정시키고 상기 튜브의 다른쪽 단부는 레스텍 코포레이션 전자 유량 교정계(모델 21606)에 고정시켰다. 약 1 분 후에, 이산화 탄소의 유량이 ㎖/분으로 기록되었다. 각각의 튜브를 다음 유량 측정이 기록될 때까지 마개를 열었다. 상기 실험들을 3회 반복해서 실행하고 평균 유량 측정을 하기 표 2에 요약한다. 0.5 ㎖/분 이상의 유량을 빈대를 유인하기에 적합한 유량으로 간주한다.
Figure 112013058018516-pct00002
표 2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159:52:1 내지 10:3:1의 발포제:고체 산:조해제의 몰비를 갖는 시트르산 모노하이드레이트, 나트륨 바이카보네이트 및 마그네슘 클로라이드 헥사하이드레이트의 혼합물을 물의 첨가 없이 사용하여 16 시간 이하의 기간 동안 적합한 유량의 이산화 탄소를 발생시킨다. 40:13:1 내지 20:6.5:1의 상기 발포제:고체 산:조해제의 바람직한 몰비는 24 시간 이하까지 적합한 유량의 이산화 탄소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작용제들의 몰비를 변화시킴으로써 반응 동역학을 이산화 탄소가 더 빠르거나 더 느리게 발생하도록 변경시킨다.
실시예 3
50% 습도 및 약 70 ℉로 조절된 방에, 종이를 적소에 유지하기 위한 마스킹 테이프를 사용하여, 빈대에게 적합한 보행 표면을 제공하기 위한 갈색의 크라프트지를 댄 한 플라스틱 아동용 풀(제네랄 폼 플라스틱스 코포레이션(General Foam Plastics Corporation)의 폴리 풀(POLY POOL), 미국 버지니아주 노포크 소재)을 넣었다. 25 마리의 빈대를 은신처로서 4 인치 x 4 인치 조각의 플란넬 천을 함유하는 종이컵에 넣었다. 상기 컵의 마개를 닫고, 상기 마개에 핀홀을 제공하여 상기 빈대에게 공기를 제공하고, 2 시간 동안 유지시키고, 이어서 상기 풀에 넣고 환경에 익숙하게 하였다. 약 3 시간 후에, 상기 플란넬 은신처를 상기 종이컵에서 상기 풀로, 측면에서 약 10 인치 떨어져 옮겼다.
빈대 모니터 및/또는 포획 장치를, 2 개의 4 인치 x 4 인치 조각의 판지와 하나의 4 인치 x 4 인치 조각의 주름진 카드보드를 절단하여 제조하였다. 상기 주름진 카드보드를 상기 판지 사이에 샌드위칭하고 상기 유닛의 양면을 스테이플러로 박아 상기 유닛을 함께 유지시켜, 기부 구획(첫 번째 판지 조각), 중간 구획(주름진 카드보드) 및 상부 구획(두 번째 판지 조각)을 생성시켰다. 2 개의 50 ㎖ 플라스틱 원심분리기 튜브(코닝(등록상표) 50 ㎖ 폴리프로필렌 원심분리기 튜브)를 상기 상부 구획 판지에, 상기 홈이 수직으로 이어지게 하면서 테이프로 고정시켰다.
폴리에틸렌으로 제조된 원통형 외통을 사용하고 14.5 ㎜의 높이 및 11 ㎜의 직경을 갖는 앰풀을 제작하였다. 상기 외통 중 하나에 300 마이크로리터의 노난 중의 2.535 밀리그램의 옥텐알을 함유하는 용액을 충전시켰다. 초고분자량 폴리에틸렌으로 제조된 원통형의 다공성 확산 부재를, 상기 휘발성 액체가 상기와 같은 확산 부재에 의해 형성된 내부 수용조에 함유되도록 상기 외통 내부에 대치하여 배치시켰다. 이어서 상기 외통의 개구를 알루미늄 필름 부재로 열 밀봉시켜, 상기 확산 부재의 기부 부분과 상기 확산 부재의 상단 사이에 약 2 내지 2.5 ㎜의 헤드 공간을 발생시켰다. 약 0.23 ㎜의 직경을 갖는 구멍을, 상기 알루미늄 필름을 바늘로 천공시킴으로써 상기 필름 중에 형성시켰다. 300 마이크로리터의 노난 중의 71.85 마이크로그램의 부티르산을 함유하는 두 번째 앰풀을 상술한 바와 유사한 방식으로 제조하였다. 유인물질 옥텐알 및 부티르산을 함유하는 앰풀을 수평 방식으로 상기 장치의 상단에 테이프로 고정시켰다.
13.5 그램의 시트르산 모노하이드레이트, 16.5 그램의 나트륨 바이카보네이트 및 2.0 그램의 마그네슘 클로라이드 헥사하이드레이트의 혼합물을 별도의 용기에 넣었으며, 상기 용기의 마개를 닫고 균질한 혼합물이 수득될 때까지 내용물을 진탕시켰다. 상기 화학적 혼합물을 2 개의 50 ㎖ 플라스틱 원심분리기 튜브 사이에 균등하게 분할하였다.
상기 빈대 모니터 및/또는 포획 장치를 플라스틱 푸시 핀을 사용하여 "L"자 형의 나무로 만든 스탠드의 배면에 부착시켰다. 상기 나무로 만든 스탠드는 10 인치 x 10 인치 조각의 소나무 재목을 10 인치 x 2.5 인치 조각의 소나무 재목의 베이스 조각에 수직으로 부착시킴으로써 제조되었다. 상기 10 인치 x 10 인치의 수직 "L"자형 프레임의 배면을 100 그릿 사포를 사용하여 거칠게 하였다. 상기 유인물질이 고정된 "L"자형 프레임을 상기 플란넬 은신처로부터 약 24 인치 떨어져 상기 아동용 풀에 놓았다. 무거운 물건을 상기 베이스 조각에 놓아 상기 "L"자형 프레임이 뒤집어지는 것을 방지하였다. 17 내지 18 시간 후에, 상기 장치를 회수하고 상기 장치 중 빈대의 수(개방된 50 ㎖ 원심분리기 튜브에 떨어진 것들을 포함하여)를 세었다. 상기 시험을 수 회 반복하였다. 유인물질을 함유하지 않는 장치를 사용하는 대조용 시험(빈대가 환경에 익숙해진 기간 후에 뒤집어진 페트리 디쉬 커버로부터 나왔다) 및 오직 옥텐알 및 부티르산만을 함유하는 장치를 사용하는 시험을 또한 상술한 바와 동일한 방식으로 시험하였다. 상기 장치에서 발견된 빈대의 평균 수를 하기 표 3에 요약한다.
수직 시험 장치에 잡힌 빈대
반복 회수 사용된 옥텐알 및 부티르산 유인물질 사용된 이산화 탄소 장치에서 발견된 평균 빈대%
7 없음 없음 17
5 있음 없음 20
12 있음 있음 38

Claims (18)

  1. (i) 발포제(effervescent agent);
    (ii) 고체 산;
    (iii) 마그네슘 클로라이드 헥사하이드레이트인 조해제(deliquescent agent); 및 선택적으로
    (iv) 응집 방지제
    를 포함하며, 이때
    발포제:고체 산:조해제의 몰비는 159:52:1 내지 10:3:1이고,
    발포제 및 고체 산은 서로 반응하여 이산화 탄소를 발생시킬 수 있는 것인,
    곤충 모니터 및/또는 포획 장치에 사용하기 위한 이산화 탄소를 발생시키는 화학적 조성물.
  2. 제 1 항에 있어서,
    발포제가 나트륨 바이카보네이트를 포함하는 화학적 조성물.
  3. 제 1 항에 있어서,
    고체 산이 시트르산 모노하이드레이트를 포함하는 화학적 조성물.
  4. 제 1 항에 있어서,
    응집 방지제가 발연 실리카, 비결정성 실리카, 카올린 점토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선택된 물질을 포함하는 화학적 조성물.
  5. 제 1 항에 있어서,
    발포제:고체 산:조해제의 몰비가 40:13:1 내지 20:6.5:1인 화학적 조성물.
  6. (i) 나트륨 바이카보네이트;
    (ii) 시트르산 모노하이드레이트;
    (iii) 마그네슘 클로라이드 헥사하이드레이트; 및 선택적으로
    (iv) 응집 방지제
    를 포함하되, 나트륨 바이카보네이트:시트르산 모노하이드레이트:마그네슘 클로라이드 헥사하이드레이트의 몰비가 159:52:1 내지 10:3:1인, 곤충 모니터 및/또는 포획 장치에 사용하기 위한 이산화 탄소를 발생시키기 위한 화학적 조성물.
  7. 제 6 항에 있어서,
    나트륨 바이카보네이트:시트르산 모노하이드레이트:마그네슘 클로라이드 헥사하이드레이트의 몰비가 40:13:1 내지 20:6.5:1인 화학적 조성물.
  8. 제 1 항에 있어서,
    고체 산이 말산인 화학적 조성물.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16. 삭제
  17. 삭제
  18. 삭제
KR1020137016874A 2010-12-03 2011-10-05 곤충 모니터 장치에서 개선된 이산화 탄소 발생을 위한 발포성 조성물 KR10135317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45893510P 2010-12-03 2010-12-03
US61/458,935 2010-12-03
PCT/US2011/054848 WO2012074603A1 (en) 2010-12-03 2011-10-05 Effervescent composition for improved carbon dioxide generation in insect monitor device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86261A KR20130086261A (ko) 2013-07-31
KR101353177B1 true KR101353177B1 (ko) 2014-01-17

Family

ID=461624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7016874A KR101353177B1 (ko) 2010-12-03 2011-10-05 곤충 모니터 장치에서 개선된 이산화 탄소 발생을 위한 발포성 조성물

Country Status (18)

Country Link
US (1) US8475759B2 (ko)
EP (1) EP2645861B8 (ko)
JP (1) JP5990184B2 (ko)
KR (1) KR101353177B1 (ko)
CN (1) CN103237452B (ko)
AU (1) AU2011337154B2 (ko)
BR (1) BR112013013545A2 (ko)
CA (1) CA2819357C (ko)
DK (1) DK2645861T5 (ko)
ES (1) ES2624678T3 (ko)
HK (1) HK1186062A1 (ko)
MX (1) MX2013006249A (ko)
MY (1) MY163196A (ko)
NZ (1) NZ611208A (ko)
PL (1) PL2645861T3 (ko)
PT (1) PT2645861T (ko)
SG (1) SG190855A1 (ko)
WO (1) WO201207460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431591B2 (ja) * 2009-09-28 2014-03-05 エフ エム シー コーポレーション 揮発性液体の収容および散布のためのアンプル
US20130180162A1 (en) * 2012-01-17 2013-07-18 Bug Elimination And Prevention Corporation Bed bug trap, carbon dioxide generator, and travel kit
FR3049164B1 (fr) * 2016-03-23 2019-06-14 Ab7 Innovation Composition pour lutter contre les punaises de lit
FR3049163B1 (fr) * 2016-03-23 2019-06-14 Ab7 Innovation Procede pour la mise en oeuvre d'une composition pour lutter contre les punaises de li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506473A (en) * 1983-11-14 1985-03-26 John G. Mills, II Carbon dioxide generator insect attractant
US6920716B2 (en) * 2002-09-30 2005-07-26 Ticks Or Mosquitoes, Llc Insect/arthropod trap
US20120120894A1 (en) 2009-05-28 2012-05-17 Hohne Hans Apparatus and Method for Selecting a User From a Group of Users Sharing a Channel

Family Cites Families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888976A (en) * 1972-09-21 1975-06-10 William P Mlkvy Zinc and strontium ion containing effervescent mouthwash tablet
US4552679A (en) * 1984-03-16 1985-11-12 Warner-Lambert Company Method for deodorizing hypochlorite denture cleansing solutions and product containing a delayed release hypochlorite deactivator
US4671972A (en) * 1984-03-16 1987-06-09 Warner-Lambert Company Controlled release encapsulated hypochlorite deactivator for use in denture cleansers
JPH07277904A (ja) * 1994-04-01 1995-10-24 Toto Ltd 防菌防黴活性を有する化合物の凝集防止法、防菌防黴製剤および防菌防黴活性を有する建築用基材
US5736158A (en) * 1996-03-27 1998-04-07 The Block Drug Company Partial denture cleanser with fluoride
US6055766A (en) 1996-08-09 2000-05-02 Biosensory Insect Control Corporation Apparatus for attracting and destroying insects
US6468950B1 (en) * 1998-04-30 2002-10-22 Kyowa Limited Denture detergents containing antimicrobial metal ions
US6610206B1 (en) * 1998-10-20 2003-08-26 Advanced Renal Technologies Buffered compositions for dialysis
US6605214B1 (en) * 1999-03-03 2003-08-12 Prismedical Corporation Devices for preparing hemodialysis solutions
JP4972840B2 (ja) * 2001-09-14 2012-07-11 住友化学株式会社 水性ハエ類ベイト剤用固形製剤
US6605583B1 (en) * 2003-03-20 2003-08-12 Colgate-Palmolive Company Cleaning compositions in the form of a tablet
US7165353B2 (en) 2003-10-29 2007-01-23 Ecolab Inc. Insect suppression station
JP2006067966A (ja) * 2004-09-06 2006-03-16 Lion Corp 蚊の誘引捕獲装置
AT502789B1 (de) * 2005-10-19 2011-03-15 Pro Med Medizinische Produktions Und Handels Ag Vorichtung zur dosierten kontinuierlichen freisetzung von kohlendioxid
KR100768273B1 (ko) * 2005-12-23 2007-10-18 주식회사 영일케미컬 생력화 발포성 농약 조성물의 제조 및 사용방법
US20070148112A1 (en) * 2005-12-28 2007-06-28 Avon Products, Inc. Foaming, color-changing topical composition and method of imparting a cosmetic effect
EP2076118A4 (en) 2006-10-23 2010-08-11 Dow Agrosciences Llc METHOD FOR DETECTING, MONITORING AND CHECKING BED TAILS
US8966812B2 (en) 2007-12-06 2015-03-03 Susan Mcknight, Inc. Trap for bed bugs and the like
US9686973B2 (en) 2007-12-11 2017-06-27 Biosensory, Inc. Methods, apparatus and compositions for abatement of bedbugs
SG173862A1 (en) * 2009-03-13 2011-09-29 Fmc Corp Composition for attracting bed bugs
JP2013544514A (ja) * 2010-11-08 2013-12-19 エフ エム シー コーポレーション 垂直面に対するトコジラミのモニター装置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506473A (en) * 1983-11-14 1985-03-26 John G. Mills, II Carbon dioxide generator insect attractant
US6920716B2 (en) * 2002-09-30 2005-07-26 Ticks Or Mosquitoes, Llc Insect/arthropod trap
US20120120894A1 (en) 2009-05-28 2012-05-17 Hohne Hans Apparatus and Method for Selecting a User From a Group of Users Sharing a Channel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PT2645861T (pt) 2017-06-02
NZ611208A (en) 2014-05-30
MY163196A (en) 2017-08-15
CA2819357C (en) 2014-03-11
WO2012074603A1 (en) 2012-06-07
PL2645861T3 (pl) 2017-08-31
HK1186062A1 (en) 2014-03-07
BR112013013545A2 (pt) 2016-07-12
ES2624678T3 (es) 2017-07-17
EP2645861B8 (en) 2017-08-09
EP2645861B1 (en) 2017-03-08
JP5990184B2 (ja) 2016-09-07
EP2645861A1 (en) 2013-10-09
KR20130086261A (ko) 2013-07-31
AU2011337154B2 (en) 2013-08-29
SG190855A1 (en) 2013-07-31
CA2819357A1 (en) 2012-06-07
DK2645861T3 (da) 2017-05-22
CN103237452A (zh) 2013-08-07
US8475759B2 (en) 2013-07-02
DK2645861T5 (da) 2017-06-26
US20120141353A1 (en) 2012-06-07
CN103237452B (zh) 2014-07-23
AU2011337154A1 (en) 2013-07-04
EP2645861A4 (en) 2014-03-05
JP2013545477A (ja) 2013-12-26
MX2013006249A (es) 2013-07-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808721B2 (en) Bed bug attractants and methods for trapping bed bugs
AU2011326729A1 (en) Bed bug monitor device for vertical surfaces
US20110138678A1 (en) Insect trap
HU218164B (hu) Kártevőirtó szer és eljárás az alkalmazására
KR101353177B1 (ko) 곤충 모니터 장치에서 개선된 이산화 탄소 발생을 위한 발포성 조성물
JP6663228B2 (ja) 揮発性閉鎖空間防害虫剤
JP2012520315A (ja) トコジラミを誘引するための組成物
JP6576643B2 (ja) 揮発性閉鎖空間防害虫剤
JP2001089310A (ja) 誘引殺ダニ剤および捕獲器
JPH03127702A (ja) ゴキブリ忌避剤
JPH0539203A (ja) ダニ類の防除組成物
WO2013027221A2 (en) Pesticide compositions and pesticidal preparation
JP3903232B2 (ja) 防虫消臭脱臭シート
JPS5896008A (ja) ダニ忌避剤組成物
CN105899075A (zh) 臭虫驱除剂、臭虫驱除用组合物以及臭虫驱除方法
JPS63188603A (ja) ゴキブリ忌避剤
JPS5931702A (ja) 害虫並びにダニ忌避剤組成物
JPH01308213A (ja) 害虫忌避剤
JPH04134005A (ja) 殺ダニ剤
JPH05310506A (ja) 害虫防除剤およびそれを用いた害虫防除性製品
JP2007045810A (ja) 物品の衛生処理方法及び衛生処理用具
JPS6233107A (ja) ダニ防除剤
JPH03157303A (ja) 昆虫忌避剤組成物
JPH04193809A (ja) ゴキブリ忌避剤
JPH03106805A (ja) 殺ダニ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2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26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