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52375B1 - 육질개선을 위한 가축용 사료첨가제 및 이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육질개선을 위한 가축용 사료첨가제 및 이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52375B1
KR101352375B1 KR1020110052758A KR20110052758A KR101352375B1 KR 101352375 B1 KR101352375 B1 KR 101352375B1 KR 1020110052758 A KR1020110052758 A KR 1020110052758A KR 20110052758 A KR20110052758 A KR 20110052758A KR 101352375 B1 KR101352375 B1 KR 10135237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vestock
meat
weight
feed
feed additi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527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133864A (ko
Inventor
조원모
기광석
양승학
김상범
이재식
이현준
김현섭
Original Assignee
대한민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한민국 filed Critical 대한민국
Priority to KR10201100527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52375B1/ko
Publication of KR201201338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3386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523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52375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20/00Accessory food factors for animal feeding-stuffs
    • A23K20/10Organic substances
    • A23K20/116Heterocyclic compounds
    • A23K20/121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or sulfur as hetero atom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20/00Accessory food factors for animal feeding-stuffs
    • A23K20/10Organic substances
    • A23K20/174Vitami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20/00Accessory food factors for animal feeding-stuffs
    • A23K20/20Inorganic substances, e.g. oligoelements
    • A23K20/30Oligoelemen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50/00Feeding-stuff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nimals
    • A23K50/10Feeding-stuff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nimals for ruminant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Zo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Birds (AREA)
  • Feed For Specific Animals (AREA)
  • Fodder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비타민 C, 아연 및 법제유황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육질개선을 위한 가축용 사료첨가제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방법으로 제조된 가축용 사료첨가제 조성물은 가축의 증체량 및 사료효율을 개선시킬 뿐만 아니라 육질을 증대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육질개선을 위한 가축용 사료첨가제 및 이의 제조방법{Feed additive for livestock improving meat quality and production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아연, 비타민 C 및 법제유황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육질개선을 위한 가축용 사료첨가제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육우와 같은 가축의 사육은 근래에 이르러 기업화, 대형화되고 있는 추세이며 이에 따라 사육되는 가축 역시 한정된 공간에서 밀집사육이 이루어지고 있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한정된 공간에서 밀집 사육되는 육우의 사료는 주로 볏짚을 주재료로 하고 여기에 옥수수, 보리, 콩 등과 같은 곡물을 혼합한 배합사료를 이용하고 있다.
부위별 판매를 위한 소 도체등급제(屠體等級制)의 실시와 우루과이라운드 및 FTA협상 결과에 따른 미국, 호주 등 외국산 수입소고기의 수입개방에 대처하여, 국내 육우 농가가 생존 전략차원에서 강구되고 있는 육우고기의 품질 차별화에 대한 노력 및 국민소득의 증대에 따른 고급육 수요의 증가로 육우의 사양에 있어서 고기의 품질을 차별화시키고, 고급육의 생산비율을 증대시키는 기술의 개발은 육우 사양 농가뿐만 아니라, 관련연구기관 및 단체 등에게 커다란 관심사항이 되고 있는 실정이다.
사육기술의 과학적인 접근으로 육질의 고급화 및 그 생산의 안정화를 도모하여 소고기 생산의 국제적 경쟁력과 차별화를 도모하는 것이 우리 축산의 지지기반을 확보하는 것은 물론 축산발전을 위해 우선적으로 해결해야 할 과제이며, 이에 따라 많은 연구자들이 육우의 사육, 특히 육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사료첨가제의 개발 및 그 사양방법에 대하여 지속적인 노력을 기울이여 온 것이 사실이다.
또한, 육우(홀스타인 거세우)는 품종특성상 육질등급 출현율이 저조(3등급 출현율 53.7%)하여 육질개선을 위한 사료첨가제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한국특허공개 제2010-0111052호에는 액상 복합 사료첨가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기능성 사료의 제조방법이 개시되어 있으나, 본 발명의 육질개선을 위한 가축용 사료첨가제와는 상이하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요구에 의해 도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에서는 가축의 육질을 개선하기 위해, 아연, 비타민 C 및 법제유황을 혼합하여 사료첨가제를 제조함으로써, 증체량 및 사료효율이 개선될 뿐만 아니라, 마블링, 도체(육량 및 육질) 등급 및 물리적인 특성이 향상되어 육질을 개선시킬 수 있는 가축용 사료첨가제 조성물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아연, 비타민 C 및 법제유황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육질개선을 위한 가축용 사료첨가제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육질개선을 위한 가축용 사료첨가제 조성물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육질개선을 위한 가축용 사료첨가제 조성물을 가축에게 급여하여 가축의 육질을 개선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방법으로 제조된 사료첨가제 조성물을 가축이 섭취함으로써 증체량 및 사료효율이 개선될 뿐만 아니라 육질이 개선되어 육우사육농가의 소득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수입육과 차별화를 통해 육우산업의 경쟁력을 강화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아연, 비타민 C 및 법제유황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육질개선을 위한 가축용 사료첨가제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육질개선을 위한 가축용 사료첨가제 조성물에서, 상기 가축은 육우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본 발명의 육질개선을 위한 가축용 사료첨가제 조성물은 바람직하게는 아연 0.02~0.04 중량부, 비타민 C 4~6 중량부 및 법제유황 0.8~1.2 중량부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할 수 있으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아연 0.033 중량부, 비타민 C 5.05 중량부 및 법제유황 1 중량부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할 수 있다. 법제유황은 광물질유황에서 독을 빼낸 유황을 말하며,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이용되는 용어이다.
본 발명의 육질개선을 위한 가축용 사료첨가제 조성물에서, 상기 조성물은 추가로 지방을 함유할 수 있는데, 상기 지방을 상기 조성물에 코팅함으로써 조성물이 가축의 하부장기(소장)까지 도달할 수 있도록 도와줄 수 있다. 상기 지방은 조성물 총 중량 기준으로 90~98 중량부 함유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93.917 중량부 함유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육질개선을 위한 가축용 사료첨가제 조성물은 하루에 80~120 g씩 가축에게 급여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하루에 100 g씩 가축에게 급여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본 발명의 육질개선을 위한 가축용 사료첨가제 조성물에서, 상기 육질개선은 근내지방도 및 보수력은 증가하고, 등지방 두께, 전단력 및 가열감량은 감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육질개선을 위한 가축용 사료첨가제 조성물은 가축의 증체량 및 사료효율을 증진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아연 0.02~0.04 중량부, 비타민 C 4~6 중량부 및 법제유황 0.8~1.2 중량부를 혼합한 혼합물에 90~98 중량부의 지방을 코팅하여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육질개선을 위한 가축용 사료첨가제 조성물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육질개선을 위한 가축용 사료첨가제 조성물의 제조방법은 바람직하게는 아연 0.033 중량부, 비타민 C 5.05 중량부 및 법제유황 1 중량부를 혼합한 혼합물에 93.917 중량부의 지방을 코팅하여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본 발명의 육질개선을 위한 가축용 사료첨가제 조성물을 가축에게 급여하여 가축의 육질을 개선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가축은 바람직하게는 육우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은 또한, 본 발명의 육질개선을 위한 가축용 사료첨가제 조성물을 가축에게 급여하여 가축의 증체량 및 사료효율을 증진시키는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가축은 바람직하게는 육우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들어 상세히 설명한다. 단,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내용이 하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험방법
본 시험을 수행하기 위하여 국립축산과학원과 기술협약(MOU)을 맺은 충북 육품정 클러스터사업단(농업회사법인(주)육품정클러스터사업) 중 선도농가인 육우농가(청원, 이상관)를 선정하여 시험을 수행하였다. 공시축은 홀스타인 거세우(5개월령, 평균체중 177 kg 내외) 48두(6처리×8반복)를 이용하여 22개월령까지 시험을 수행하였다. 시험사료는 육우의 성장단계별 영양수준을 고려하여 무첨가 배합사료(대조구)와 배합사료(배합비를 작성하여 사료회사에서 배합하여 공급)에 육우의 지방분화 및 안전성 등 육질개선에 영향을 주는 몇 가지 물질(비타민C 등, 100 g/일)과 혼합한 시험사료를 육우고급육 사양프로그램(축산원)에 준하여 성장단계별로 육성기(5∼10개월령), 비육전기(11∼16개월령) 및 비육후기(17∼22개월령)로 구분하였으며, 배합사료는 육성기 체중의 1.8∼2%, 비육전기 2% 및 비육후기는 자유 채식하였다. 조사료는 육성기 볏짚과 호밀 그리고 시중에서 구입한 티모시를 자유 채식하였으며, 비육전기 및 후기에는 볏짚만 급여하였다. 미네랄 블록 및 물은 항상 자유 채식하였다. 사양시험 후 서울 가락동 농협공판장에서 도축하였다.
사료첨가제의 배합비 및 처리 육우 두수
항목 Control T1 T2 T3 T4 T5
처리 두수 8 8 8 8 8 8
사료첨가제 No addition A B C D E
A: 염화아연(0.033 g)+비타민C(5.05 g)+보호지방(94.917 g)
B: 염화아연(0.033 g)+비타민C(5.05 g)+마늘추출물(1 g)+보호지방(93.917 g)
C: 염화아연(0.033 g)+비타민C(5.05 g)+법제유황(1 g)+보호지방(93.917 g)
D: 염화아연(0.033 g)+비타민C(5.05 g)+비타민B6(0.0066 g)+셀레늄(0.1 g)+보호지방(94.8104 g)
E: 염화콜린(32 g)+L-라이신염산염(16.3 g)+보호지방(51.7 g)
각 처리별 성장단계별 영양수준(AOAC법, 1990)은 표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3단계로 나누어 건물량, 조단백질 및 에너지수준을 정하였다.
성장단계별 에너지 수준
항목 육성기(~10개월령) 비육전기(11~16개월령) 비육후기(17~22개월령)
DM 87.8 87.6 87.4
CP 15 13 12
TDN 70.2 72.2 74.1
DM: dry matter
CP: crude protein
TDN: total digestible nutrients(calculated value)
실시예 1: 사료첨가제에 따른 육우의 증체량 및 사료섭취량
표 3은 사료첨가제에 따른 홀스타인 거세우(5개월령, 평균체중 177 kg 내외)를 비육후기(15∼22개월령)까지의 증체량을 나타낸 것이다. 그 결과, 대조구에 비해 T2, T3 및 T4 처리구가 증체량이 향상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사료첨가제에 따른 육우의 증체량(kg)
control T1 T2 T3 T4 T5
초기무게
(5개월령)
175.4±15.7 176.0±11.5 178.5±11.6 179.4±13.4 177.5±12.7 175.1±12.6
비육후기 789.4±54.5 768.8±38.7 802.5±38.1 808.8±31.2 826.9±45.6 777.5±35
총증체량 614.0±50.7 592.8±38.0 624.0±29.5 629.4±35.5 649.4±55.1 602.4±31.2
각 사료첨가제 처리 별 사료섭취량 및 kg 증체당 사료요구량은 표 4~5와 같으며, 표 4는 비육전기, 표 5는 비육후기 동안의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비육전기 동안에는 배합사료 급여량을 체중대비 2% 급여한 결과 배합사료 섭취량은 각 처리구 모두 7.29 kg 섭취하였다. 조사료는 무제한급여로 3 kg 내외를 섭취하였다. kg 증체당 배합사료 요구량은 대조구에 비해 모든 사료첨가제 처리구가 개선되었고, CP 및 TDN 영양소 요구량도 대조구에 비해 개선되는 결과를 나타내었다.
사료첨가제에 따른 육우의 사료섭취량(비육전기, DM kg)
control T1 T2 T3 T4 T5
Feed intake
(DM/herd)
concentrates 7.29 7.29 7.29 7.29 7.29 7.29
rice straw 3.01 2.99 2.99 3.00 3.00 3.00

F/G
(DM, kg)
concentrates 6.63 6.56 6.00 6.34 5.89 6.22
rice straw 2.39 2.35 2.15 2.28 2.12 2.24
CP 0.84 0.83 0.76 0.81 0.75 0.79
TDN 5.16 5.10 4.66 4.93 4.58 4.84
DM: dry matter
CP: crude protein
TDN: total digestible nutrients(calculated value)
비육후기는 조기에 목표체중에 도달하기 위하여 배합사료를 자유채식으로 급여하였다. 배합사료섭취량(건물기준)은 각 처리별 9.43∼9.53 kg으로 T3구가 9.43 kg으로 가장 낮았으며, 대조구가 9.53 kg으로 가장 높았다. 볏짚섭취량은 2.94∼2.96 kg으로 처리간 큰 차이는 없었다. kg 증체당 배합사료 요구량은 T3구가 8.67 kg으로 가장 낮았으며, T5구가 10.25 kg으로 높았다. 또한 CP 및 TDN 영양소 요구량도 kg 증체당 사료요구량과 같은 경향을 보였다.
사료첨가제에 따른 육우의 사료섭취량(비육후기, DM kg)
control T1 T2 T3 T4 T5
Feed intake
(DM/herd)
concentrates 9.53 9.49 9.49 9.43 9.45 9.48
rice straw 2.96 2.96 2.96 2.95 2.94 2.94

F/G
(DM, kg)
concentrates 9.22 9.48 9.86 8.67 8.87 10.25
rice straw 2.87 2.96 3.08 2.71 2.76 3.18
CP 1.21 1.25 1.30 1.14 1.17 1.35
TDN 8.08 8.31 8.64 7.59 7.77 8.97
DM: dry matter
CP: crude protein
TDN: total digestible nutrients(calculated value)
실시예 2: 도체특성
육질등급에서 가장 중요한 지표 중에 하나인 근내지방도는 표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T3구의 경우 3.63으로 대조구 및 다른 처리구에 비해 높게 나타났다. 2등급 이상 출현율은 T3구의 경우 전두수 2등급 이상 출현율을 보였다. 또한, 등지방 두께가 낮을수록 육량 등급이 향상되는데, 대조구에 비해 T2구를 제외한 모든 처리구가 낮게 나타났다.
도체특성
control T1 T2 T3 T4 T5
marbling scores 2.43 2.13 2.25 3.63 2.38 2.13
quality grade(1+:1:2:3) 0:1:5:1 0:0:7:1 1:0:5:2 1:3:4:0 0:1:6:1 0:2:3:3
over 2 grade(%) 85.7 87.5 75.0 100 87.5 62.5
back fat thickness(mm) 8.71 5.75 8.75 8.13 7.50 5.88
quantity index 61.88 63.78 60.95 62.03 62.33 62.90
실시예 3: 물리적인 특성
각 처리구별 물리적인 특성을 살펴보면 표 7에서 보는 바와 같다. 전단력은 수치가 낮을수록 질긴 정도가 낮은 것이며, 가열감량도 수치가 낮을수록 고기 안에 수분함량을 보유하고 있어 고기 연도가 향상된다고 판단할 수 있다. 전단력의 경우 대조구에 비해 T1구와 T3구가 낮게 나왔으며, 가열감량은 T3구가 가장 낮게 나타났다. 보수력은 수치가 높을수록 고기상태가 좋은 것으로 대조구에 비하여 모두 처리구가 높게 나타났다.
사료첨가제에 따른 육우 고기의 물리적인 특성
control T1 T2 T3 T4 T5
shear force(kg/cm2) 3.71 3.13 3.93 3.55 3.97 3.93
cooking loss(%) 27.46 25.19 26.49 21.14 24.51 24.30
water holding capacity(%) 53.27 55.27 53.80 56.06 56.27 54.65
실시예 4: 경제성 분석
각 처리별 조수익은 출하시 등급별 도체단가(‘10 축산물품질평가원)을 적용하여 도체중으로 환산하였다. 전체적인 조수익 중에 부산물가격만 동일(동일농장에서 비슷한 시기에 출하한 부산물가격 참조)한 것으로 하고 분석하였다. 경영비 중 밑소는 구입당시 가격(농협중앙회, 2009), 시험축 사료비 및 첨가제는 실제 시험축이 섭취량을 계산하여 산출하였으며, 기타비용은 통계청(2009)을 이용하였다. 이러한 자료를 통하여 분석한 결과 T3구가 월간소득이 124.7천원으로 다른 처리구에 비하여 현저히 높았다.
Figure 112011041261684-pat00001
상기 실시예 1 내지 4의 결과, T3 사료첨가제(염화아연+비타민 C+법제유황)를 급여한 육우는 증체량 및 사료 효율이 개선되고, 근내지방도, 육질등급, 2등급 이상 출현율 및 육량등급이 향상되었다. 또한, 등지방 두께, 전단력 및 가열감량은 낮아지고, 보수력은 증가하여 고기의 품질이 우수한 것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료첨가제는 육우의 품질을 증진시킬 뿐만 아니라, 육우농가 및 산업체의 소득도 향상시킬 수 있어 경제적으로도 우수하여 육우산업에 경쟁력을 강화할 수 있다.

Claims (10)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아연 0.02~0.04 중량부, 비타민 C 4~6 중량부 및 법제유황 0.8~1.2 중량부를 혼합한 혼합물에 90~98 중량부의 지방을 코팅하여 제조함으로써 육우의 증체량 및 사료효율을 증진시키고, 도축 후 육우고기의 근내지방도 및 보수력은 증가하고, 등지방 두께 및 전단력은 감소하며 육우고기 가열 시 가열감량은 감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육질개선을 위한 육우용 사료첨가제 조성물의 제조방법.
  9. 삭제
  10. 삭제
KR1020110052758A 2011-06-01 2011-06-01 육질개선을 위한 가축용 사료첨가제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35237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52758A KR101352375B1 (ko) 2011-06-01 2011-06-01 육질개선을 위한 가축용 사료첨가제 및 이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52758A KR101352375B1 (ko) 2011-06-01 2011-06-01 육질개선을 위한 가축용 사료첨가제 및 이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33864A KR20120133864A (ko) 2012-12-11
KR101352375B1 true KR101352375B1 (ko) 2014-01-17

Family

ID=475171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52758A KR101352375B1 (ko) 2011-06-01 2011-06-01 육질개선을 위한 가축용 사료첨가제 및 이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52375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02627B1 (ko) 2016-07-18 2017-02-13 박성권 육류를 유통하기 위하여 가공 및 냉각하는 방법
KR101719732B1 (ko) 2016-09-28 2017-03-24 성심에프앤씨 주식회사 농업회사법인 축산물 유통을 위한 가공처리 방법
KR102098577B1 (ko) 2020-02-20 2020-04-08 농업회사법인주식회사천하제일한우 축산물 유통을 위한 축산물 숙성 및 가공처리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125453A (zh) * 2017-05-19 2017-09-05 魏聪 一种饲养雪花肉牛的发酵饲料的制备方法
KR101894721B1 (ko) * 2017-11-21 2018-09-05 건국대학교 산학협력단 건식 숙성 유황 우육의 제조방법
KR102143531B1 (ko) * 2018-12-20 2020-08-12 영남대학교 산학협력단 탈리도마이드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가축 육질 개선용 조성물
KR20230111289A (ko) 2022-01-18 2023-07-25 (주)동양정보시스템 가축용 사료 첨가제 제조 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80746A (ko) * 2005-07-25 2005-08-17 (주)보원헬텍 천연유기유황을 함유하는 사료 및 영양액, 그 사료 및영양액의 제조 방법, 그 사료 및 영양액에 의한 사육방법,그 사육방법으로 사육된 천연유기유황이 함유된 돈육 및우육, 그 사육방법으로 사육된 소에서 착유한천연유기유황이 함유된 우유
KR100869900B1 (ko) * 2006-10-23 2008-11-24 대한민국(관리부서:농촌진흥청) 이중 코팅된 비타민 씨 및 이를 함유하는 사료 첨가제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80746A (ko) * 2005-07-25 2005-08-17 (주)보원헬텍 천연유기유황을 함유하는 사료 및 영양액, 그 사료 및영양액의 제조 방법, 그 사료 및 영양액에 의한 사육방법,그 사육방법으로 사육된 천연유기유황이 함유된 돈육 및우육, 그 사육방법으로 사육된 소에서 착유한천연유기유황이 함유된 우유
KR100869900B1 (ko) * 2006-10-23 2008-11-24 대한민국(관리부서:농촌진흥청) 이중 코팅된 비타민 씨 및 이를 함유하는 사료 첨가제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02627B1 (ko) 2016-07-18 2017-02-13 박성권 육류를 유통하기 위하여 가공 및 냉각하는 방법
KR101719732B1 (ko) 2016-09-28 2017-03-24 성심에프앤씨 주식회사 농업회사법인 축산물 유통을 위한 가공처리 방법
KR102098577B1 (ko) 2020-02-20 2020-04-08 농업회사법인주식회사천하제일한우 축산물 유통을 위한 축산물 숙성 및 가공처리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33864A (ko) 2012-12-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52375B1 (ko) 육질개선을 위한 가축용 사료첨가제 및 이의 제조방법
CN102178116B (zh) 一种含有ddgs的肉鸭饲料及其制备方法
CN104026387B (zh) 一种断奶湖羊羔饲料及其制备方法
KR101288392B1 (ko) 육질개선을 위한 가축용 사료 조성물 및 가축의 육질개선 방법
CN102210417B (zh) 一种猪饲料添加剂及其制备方法与应用
CN104489245A (zh) 一种大口黑鲈专用配合饲料及其制备方法
CN102948616B (zh) 一种可以改善肉质的生长肥育猪低蛋白日粮及其饲喂方法
KR20200016044A (ko) 육질 개선 및 단기비육용 사료, 및 이를 이용한 한우의 비육방법
Kononenko Effect of Roxazim G2 introduction into the compound feed for growing and fattening pigs.
CN105831402A (zh) 一种改善低氮排放日粮下育肥猪胴体品质和滴水损失的配合饲料
CN105192412A (zh) 一种绿狐尾藻的猪饲料及其制备方法
Li et al. Effects of available lysine concentrations in 28 and 32% protein diets on growth, feed efficiency, processing yield, and fillet composition of pond‐raised channel catfish, Ictalurus punctatus
CN102640851B (zh) 肉鸭22-42日龄配合饲料及其制备方法
CN1568746A (zh) 碱式氯化锌饲料添加剂及其制备方法
CA2886907A1 (en) Animal feed supplement comprising ractopamine and caffeine
Mamo et al. Effect of different proportions of wheat bran and Noug seed cake mixture supplementation on feed intake, digestibility and body weight change of Salale sheep type fed natural grass hay as basal diet
Gajaweera et al. Development of nutrigenomic based precision management model for Hanwoo steers
Singh et al. Effect of straw type (Cajnus cajan or Cicer arietinum) and form of diet on growth, feed efficiency and slaughter performance of weaned Jamunapari goat kids
KR20200018557A (ko) 육질 개선 및 단기비육용 사료, 및 이를 이용한 한우의 비육방법
CN105053562A (zh) 一种夏季饲料添加剂
CN105124207A (zh) 一种蛋鸭饲料
CN110250361A (zh) 一种低蛋白肉鹅饲料及其制备方法
Chamorro-Ramírez et al. Productivity of pigs fed with solid-state fermented apple pomace and an enzymatic complex
Yuliana et al. Growth of Bali bulls on rations containing Sesbania grandiflora in central Lombok, Indonesia
CN102578412A (zh) 一种增加外三元猪肌内脂肪含量的饲料添加剂及使用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