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52314B1 - 로봇 청소기 - Google Patents

로봇 청소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52314B1
KR101352314B1 KR1020127005882A KR20127005882A KR101352314B1 KR 101352314 B1 KR101352314 B1 KR 101352314B1 KR 1020127005882 A KR1020127005882 A KR 1020127005882A KR 20127005882 A KR20127005882 A KR 20127005882A KR 101352314 B1 KR101352314 B1 KR 10135231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ver
foreign matter
robot cleaner
storage unit
matter stor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70058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66013A (ko
Inventor
심인보
김성근
임병두
김봉주
성지훈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1200660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6601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523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5231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28Installation of the electric equipment, e.g. adaptation or attachment to the suction cleaner; Controlling suction cleaners by electric mea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5/00Structural features of suction cleaners
    • A47L5/12Structural features of suction cleaners with power-driven air-pumps or air-compressors, e.g. driven by motor vehicle engine vacuum
    • A47L5/22Structural features of suction cleaners with power-driven air-pumps or air-compressors, e.g. driven by motor vehicle engine vacuum with rotary fans
    • A47L5/28Suction cleaners with handles and nozzles fixed on the casings, e.g. wheeled suction cleaners with steering handl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10Filters; Dust separators; Dust removal; Automatic exchange of filt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10Filters; Dust separators; Dust removal; Automatic exchange of filters
    • A47L9/14Bags or the like; Rigid filtering receptacles; Attachment of, or closures for, bags or receptacles
    • A47L9/1427Means for mounting or attaching bags or filtering receptacles in suction cleaners; Adapters
    • A47L9/1436Connecting plates, e.g. collars, end closures
    • A47L9/1445Connecting plates, e.g. collars, end closures with closure means
    • A47L9/1454Self-sealing closures, e.g. valv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10Filters; Dust separators; Dust removal; Automatic exchange of filters
    • A47L9/14Bags or the like; Rigid filtering receptacles; Attachment of, or closures for, bags or receptacles
    • A47L9/1481Means for removing bags in suction cleaners, e.g. ejecting means; Means for exchanging bag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24Hoses or pipes; Hose or pipe coupling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2201/00Robotic cleaning machines, i.e. with automatic control of the travelling movement or the cleaning oper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lectric Vacuum Cleaner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는 로봇 청소기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이물 저장부의 공기 유입부가 선택적으로 차폐되도록 하는 로봇 청소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로봇 청소기에는, 흡입력을 제공하는 구동부가 포함되는 본체; 상기 본체의 일측이 차폐되도록 하는 메인 커버; 상기 메인 커버에 분리 가능하게 제공되며, 이물을 포함한 공기의 유입을 위하여 공기 유입부가 형성되는 이물 저장부; 상기 메인 커버에 제공되며, 상기 이물 저장부의 일측이 선택적으로 차폐되도록 하는 이물 커버; 및 상기 이물 저장부에 제공되며, 상기 공기 유입부가 선택적으로 차폐되도록 하는 차폐 부재가 포함된다.

Description

로봇 청소기{A robot cleaner}
본 실시예는 스스로 이동하면서 청소를 수행하는 로봇 청소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청소기는 본체 내부에 장착되는 흡입 모터에 의해서 발생되는 흡입력을 이용하여, 먼지가 포함된 공기를 흡입한 다음, 본체 내부에서 먼지를 필터링하는 장치이다. 이러한 청소기는 사용자에 의해 직접 조작되는 수동 청소기와, 사용자의 조작없이 스스로 청소를 수행하는 로봇 청소기로 분류된다.
한편, 일반적인 로봇 청소기는 충전된 배터리를 동력원으로 하여, 입력된 프로그램을 따라 청소하고자 하는 구역의 바닥을 이동하면서 스스로 청소를 수행하는 장치로서, 청소 시간을 단축하면서 편리함을 추구하는 현대인의 생활 욕구에 맞춰 여러 형태로 개발 및 사용되어지고 있다.
이러한 로봇 청소기에는 외형을 이루는 본체 및 본체 내부에 제공되는 먼지통이 포함된다. 상기 로봇 청소기에 흡입된 공기는 소정의 유로를 지나 상기 먼지통에 흡입되며, 상기 먼지통을 지나는 과정에서 먼지등이 필터링 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먼지통이 어느 정도 차게 되면, 사용자는 상기 먼지통 내부의 먼지를 비우고 청소할 수 있다.
종래의 로봇 청소기에 의하면, 상기 먼지통에 저장된 먼지가 상기 유로 방향으로 유출되는, 즉 역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사용자가 먼지통을 비우는 과정에서 먼지가 외부로 유출되어 주위 환경이 청결하지 못하고 비위생적이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먼지통 내부가 먼지등에 의하여 막히는 현상이 발생되는 경우, 흡입 모터의 흡입력이 피청소면에 잘 전달되지 못하여 청소기의 흡입 성능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청소기의 작동여부에 따라 이물 저장부가 선택적으로 개폐되도록 하는 로봇 청소기를 제안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상기 이물 저장부 내부의 막힘이 감지되도록 하는 로봇 청소기를 제안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체로부터 이물 저장부의 분리가 용이해지도록 하는 로봇 청소기를 제안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실시예에 따른 로봇 청소기는, 흡입력을 제공하는 구동부가 포함되는 본체; 상기 본체의 일측이 차폐되도록 하는 메인 커버; 상기 메인 커버에 분리 가능하게 제공되며, 이물을 포함한 공기의 유입을 위하여 공기 유입부가 형성되는 이물 저장부; 상기 메인 커버에 제공되며, 상기 이물 저장부의 일측이 선택적으로 차폐되도록 하는 이물 커버; 상기 이물 저장부에 제공되며, 상기 공기 유입부가 선택적으로 차폐되도록 하는 차폐 부재; 및 상기 차폐 부재의 차폐 여부를 감지하기 위한 감지부를 포함한다.
제안되는 실시예에 의하면, 청소기의 흡입 모터가 구동되는 경우에만 이물 저장부가 개방되어 내부로 공기가 유입되므로 흡입 모터 미작동시 이물 저장부 내부의 먼지가 역류되지 않게 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이물 저장부 내부의 필터가 막히는 현상이 감지부에 의하여 감지될 수 있으므로 사용자가 적절한 시기에 필터 또는 이물 저장부를 청소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상기 이물 저장부를 적절한 시기에 용이하게 청소할 수 있으므로, 청소기의 흡입 성능이 약화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또한, 이물 저장부를 분리하기 위하여 청소기의 커버를 개방하는 과정에서, 상기 이물 저장부가 본체 상측으로 이동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가 손쉽게 이물 저장부를 분리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상기 이물 저장부에 대한 사용자의 접근성이 향상되므로 사용 편의성이 증대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로봇 청소기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로봇 청소기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이물 저장부의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이물 저장부의 단면도.
도 5는 도 1의 I-I'를 따라 절개한 단면도.
도 6은 도 2의 Ⅱ-Ⅱ'를 따라 절개한 제 2 실시예의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로봇 청소기의 구성을 보여주는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청소기의 커버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청소기의 구성을 보여주는 단면도.
도 10은 도 9의 "A" 부분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11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이물 저장부가 상승된 모습이 도시되는 도면.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사상은 제시되는 실시예에 제한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른 실시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로봇 청소기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로봇 청소기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로봇 청소기(1)에는, 외관을 형성하는 본체(10)와, 상기 본체(10)의 상부를 커버하는 제 1 커버(20)와, 상기 제 1 커버(20)에 제공되며 상기 제 1 커버(20)의 일부 개구된 상면을 선택적으로 차폐하는 제 2 커버(50) 및 청소기에 흡입된 공기 중 이물이 저장되는 이물 저장부(100)가 포함된다.
상기 본체(10)의 저면에는, 상기 로봇 청소기(1)의 이동을 용이하게 하는 이동 바퀴(80)가 제공된다. 상기 이동 바퀴(80)는 상기 본체(10)의 양측에 복수 개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본체(10)의 양측에는, 청소하는 과정에서 피청소면의 이물이 청소기의 흡입부(18:도 5 참조) 측으로 모여지도록 하는 사이드 브러쉬(90)가 제공된다. 상기 사이드 브러쉬(90)는 상기 본체(10)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본체(10)의 내부에는, 이물의 흡입을 위하여 흡입력을 제공하는 구동부로서 흡입 모터(12)와, 상기 이동 바퀴(80)의 회전을 위하여 구동력을 제공하는 바퀴 구동부(14) 및 청소 과정에서 피청소면을 털어내는 아지테이터(60:도 5 참조)의 구동을 위한 아지테이터 구동부(16)가 포함된다.
또한, 상기 제 1 커버(20)에는 상기 이물 저장부(100)가 안착되는 안착부(22)가 형성된다. 상기 안착부(22)는 상기 제 1 커버(20)의 상부로부터 하방을 향하여 함몰되도록 형성된다. 상기 안착부(22)의 크기는 상기 이물 저장부(100)의 크기에 대응된다.
상기 안착부(22)의 일측에는, 상기 이물 저장부(100)와 연통 가능한 제 1 연통부(23)가 형성된다. 상기 제 1 연통부(23)는 상기 제 1 커버(20)의 적어도 일부분이 개구되어 일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2 커버(50)는 상기 제 1 커버(20)의 일측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제 1 커버(20)의 개구된 상면을 선택적으로 차폐할 수 있다. 상기 개구된 상면은 상기 안착부(22)의 상부에 형성된다.
한편, 상기 제 1 커버(20)는 상기 본체(10)의 일측을 차폐하는 점에서 "메인 커버"라 칭하고, 상기 제 2 커버(20)는 상기 이물 저장부(100)의 분리를 위하여 선택적으로 개방되는 점에서 "보조 커버" 또는 "이물 커버"라 칭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제 2 커버(50)의 회동을 위하여, 상기 제 2 커버(50)의 일측에는 회동 레버(52)가 제공된다. 상기 회동 레버(52)는 상기 제 1 커버(20)의 내측에 회동 가능하게 삽입된다.
또한, 상기 제 2 커버(50)에는 상기 제 1 커버(20)와 걸림이 이루어지는 걸림 돌기(51)가 제공된다. 상기 걸림 돌기(51)는 상기 제 2 커버(50)의 내측면에 위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1 커버(20)에는 상기 걸림 돌기(51)와 걸림이 이루어지는 걸림부(21)가 제공된다. 상기 걸림부(21)는 상기 제 2 커버(50)가 닫혀진 상태에서 상기 걸림 돌기(51)와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된다.
상기 제 2 커버(50)의 외면에는 상기 제 2 커버(50)를 개폐하기 위하여 사용자가 조작 가능한 누름부(55)가 제공된다. 상기 누름부(55)는 상기 걸림 돌기(51)의 반대측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2 커버(50)가 닫혀진 상태에서 상기 누름부(55)를 누르면, 상기 걸림 돌기(51)와 걸림부(21)의 결합은 해제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2 커버(50)가 개방된 상태에서 상기 제 2 커버(50)를 닫으면 상기 걸림 돌기(51)와 걸림부(21)간에 걸림이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상기 걸림 돌기(51) 및 걸림부(21)의 걸림 구조는 한번 누르면 걸림이 이루어지고, 다시 한번 누르면 걸림이 해제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이러한 걸림 구조는 일반적인 커버에 적용되는 종래 기술인 바,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이물 저장부(100)에는, 이물의 저장공간을 형성하는 저장부 본체(110)와, 상기 저장부 본체(110)의 상측을 커버하는 저장부 커버(120)가 포함된다. 상기 저장부 커버(120)에는 사용자의 파지를 위한 손잡이(122)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저장부 본체(110)에는, 상기 제 1 연통부(23)와 연통 가능한 제 2 연통부(112)가 형성된다. 상기 제 2 연통부(112)는 상기 저장부 본체(110)의 적어도 일부분이 개구되어 상기 제 1 연통부(23)에 대응되는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된다.
상기 로봇 청소기(1)로 흡입된 공기는 상기 제 1 연통부(23) 및 상기 제 2 연통부(112)를 통하여 상기 이물 저장부(100)의 내부로 유입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 2 연통부(112)는 상기 이물 저장부(100)의 "공기 유입부"라 이름하고, 상기 제 1 연통부(23)는 "커버 연통부"라 이름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상기 이물 저장부(100)가 상기 안착부(22)에 안착된 상태에서, 상기 제 2 연통부(112)는 상기 제 1 연통부(23)의 일측에 접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제 2 연통부(112)의 크기는 상기 제 1 연통부(23)에 대응될 수 있다.
상기 이물 저장부(100)가 상기 제 1 커버(20)에 안착되고 상기 흡입 모터(12)가 구동되면, 상기 제 1 연통부(23)와 제 2 연통부(112)는 서로 연통될 수 있다. 다만, 상기 흡입 모터(12)의 구동이 중단되면 상기 제 1 연통부(23)와 제 2 연통부(112)간의 연통이 차단될 수 있다. 이와 관련된 설명은 이하에서 도면과 함께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이물 저장부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이물 저장부의 단면도이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이물 저장부(1000에는, 이물 저장공간(111)이 형성되는 저장부 본체(110) 및 상기 저장부 본체(110)의 개구된 상면을 차폐하는 저장부 커버(120)가 포함된다.
상기 저장부 본체(110)의 일측에는 상기 제 1 연통부(23)와 연통 가능하게 배치되는 제 2 연통부(112)가 형성되며, 상기 저장부 본체(110)의 타측에는 상기 흡입 모터(12)측을 향하여 개구되는 모터측 개구부(114)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저장부 본체(110)의 내측에는 상기 제 2 연통부(112)가 선택적으로 차폐되도록 하는 차폐 부재(141)가 제공된다. 상기 차폐 부재(141)는 상기 제 2 연통부(112)의 일측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2 연통부(112)의 테두리부에는 상기 차폐 부재(141)가 지지되도록 하는 지지면(113)이 형성된다. 상기 차폐 부재(141)는 상기 지지면(113)에 지지된 상태에서, 상기 제 2 연통부(112)가 차폐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차폐 부재(141)의 크기는 상기 제 2 연통부(112)와 지지면(113)을 합한 크기에 대응된다.
상기 저장부 본체(110)에는, 상기 차폐 부재(141)가 상기 제 2 연통부(112)의 일측에 결합되도록 하는 결합 부재(143)가 제공된다. 상기 결합 부재(143)는 상기 제 2 연통부(112)의 상측에 고정될 수 있다. 다만, 상기 결합 부재(143)의 고정 위치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상기 제 2 연통부(112)의 좌우측 또는 하측에 고정될 수도 있을 것이다.
또한, 상기 결합 부재(143)에는 상기 차폐 부재(141)가 삽입되도록 하는 제 1 결합부(144)가 제공된다. 상기 제 1 결합부(144)는 상기 결합 부재(143)의 일면으로부터 상기 저장부 본체(110)의 내부 방향으로 돌출되며, 적어도 하나 이상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차폐 부재(141)에는, 상기 제 1 결합부(144)의 외측에 삽입되는 제 1 삽입공(142)이 형성된다. 물론, 상기 제 1 삽입공(142)은 상기 제 1 결합부(144)에 대응되는 크기와 개수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차폐 부재(141)의 일측에는, 상기 차폐 부재(141)가 움직이는 과정에서 상기 차폐 부재(141)의 상부와 간섭되는 간섭 부재(147)가 제공된다. 상기 간섭 부재(147)에는 상기 결합 부재(143)와 결합되는 제 2 삽입공(148)이 형성된다. 상기 제 2 삽입공(148)은 상기 제 1 삽입공(142) 보다 다소 작게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결합 부재(143)에는 상기 제 2 삽입공(148)에 삽입되는 제 2 결합부(145)가 포함된다. 상기 제 2 결합부(145)는 상기 제 1 결합부(144)의 상측으로 연장되며, 상기 제 1 결합부(144)보다 다소 작은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차폐 부재(141)는 상기 제 1 결합부(144)의 외측에 삽입되며, 상기 간섭 부재(147)는 상기 제 2 결합부(145)의 외측에 삽입된다. 결국, 상기 차폐 부재(141)는 상기 제 1 결합부(144)를 중심으로 회동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차폐 부재(141)의 상부는 상기 간섭 부재(147)와 간섭되므로, 상기 차폐 부재(141)가 상기 결합 부재(143)로부터 이탈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상기 흡입 모터(12)가 구동되면, 상기 이물 저장부(100)의 외측으로부터 내측을 향하여 흡입력이 작용하므로 상기 차폐 부재(141)는 상기 제 2 연통부(112)를 개방하는 방향으로 회동될 수 있다. 반면에, 상기 흡입 모터(12)의 구동이 중단되면, 상기 흡입력이 작용하지 않게 되므로 상기 차폐 부재(141)는 상기 제 2 연통부(112)를 폐쇄하는 방향으로 회동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상기 흡입 모터(12)가 구동되지 않은 경우에는 상기 차폐 부재(141)가 닫히므로, 상기 저장공간(111)의 이물이 외부로 역류하지 않게 되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사용자가 상기 이물 저장부(100)를 분리하는 경우 이물이 외부로 유출되지 않을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한편, 상기 모터측 개구부(114)에는, 상기 저장공간(111)에 흡입된 이물이 필터링되도록 하는 필터(135)와, 상기 필터(135)가 상기 모터측 개구부(114)에 고정되도록 하는 제 1 고정부(131) 및 제 2 고정부(132)가 제공된다.
상기 제 1 고정부(131) 및 제 2 고정부(132)는 상기 필터(135)의 일측 및 타측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저장공간(111)에 흡입된 공기 중 이물은 필터링 되며, 이물이 제거된 공기는 상기 모터측 개구부(114)를 통과하여 상기 흡입 모터(12)로 유동될 수 있다.
도 5는 도 1의 I-I'를 따라 절개한 단면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로봇 청소기(1)에는 피청소면으로부터 이물이 흡입되는 흡입부(18)와, 상기 흡입부(18)의 상측에 회동 가능하게 제공되는 아지테이터(60) 및 상기 흡입부(18)로부터 상기 이물 저장부(100) 측으로 연장되는 연결 파이프(19)가 포함된다. 상기 연결 파이프(19)는 상기 흡입부(18)로부터 후방 상측을 향하여 경사지게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이물 저장부(100)의 후측에는, 흡입력을 제공하는 흡입 모터(12) 및 송풍부(30)가 제공된다. 상기 송풍부(30)는 상기 흡입 모터(12)의 전방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흡입 모터(12)의 후측에는, 상기 흡입 모터(12)를 통과한 공기 중 미세 이물이 필터링 되도록 하는 배기 필터(35)가 제공된다. 그리고, 상기 이동 바퀴(80)의 전방 및 후방에는 상기 로봇 청소기(1)의 이동을 용이하게 하는 제 1 보조바퀴(81) 및 제 2 보조바퀴(82)가 제공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공기 유동을 살펴본다.
상기 흡입부(18)를 통하여 흡입된 이물을 포함한 공기는 상기 연결 파이프(19)를 거쳐 상기 이물 저장부(100)로 유입될 수 있다. 유입된 공기 중 이물은 상기 필터(135)에 의하여 걸러지며, 이물이 걸러진 공기는 상기 흡입 모터(12)를 거쳐 상기 배기 필터(35)를 통과한다. 그리고, 상기 배기 필터(35)를 거친 공기는 로봇 청소기의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도 5에서 보여지는 바와 같이, 상기 흡입부(18)에서 흡입된 공기는 상기 연결 파이프(19)를 거쳐, 상기 이물 저장부(100)로부터 상기 배기필터(35)까지 후방을 향하여 유동된다. 즉, 공기 유동이 일방향으로부터 타방향으로 꺽여지는 현상없이 후방을 향하여 직선 이동되므로 유동 손실이 최소화되고, 흡입 성능이 개선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는 제 1 실시예와 비교하여 감지부의 구성에 있어서만 차이가 있으므로 차이점을 위주로 설명하며, 동일한 내용에 대하여는 제 1 실시예의 도면 부호와 설명을 원용한다.
도 6은 도 2의 Ⅱ-Ⅱ'를 따라 절개한 제 2 실시예의 단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로봇 청소기의 구성을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제 1 커버(20)에는, 상기 차폐 부재(141)의 차폐 움직임이 감지되도록 하는 감지부(27)가 제공된다. 상기 감지부(27)에는 적외선 센서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감지부(27)는 상기 제 1 연통부(23)가 형성되는 벽(26)의 일측에 제공될 수 있다. 즉, 상기 벽(26)은 상기 제 1 연통부(23)의 테두리를 따라 형성되며, 상기 감지부(27)는 상기 제 1 연통부(23)의 일측에 제공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이물 저장부(100)가 상기 안착부(22)에 안착된 상태에서, 상기 벽(26)은 상기 이물 저장부(100)의 지지면(113)에 대응된다. 즉, 상기 감지부(27)는 상기 차폐 부재(141)의 테두리 부분과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차폐 부재(141)가 회동되어 상기 제 2 연통부(112)의 적어도 일부분이 차폐되기 시작하면, 상기 감지부(27)는 상기 차폐 부재(141)를 감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 감지부(27)에서의 감지가 용이하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벽(26)은 투명한 소재로 이루어지고, 상기 차폐 부재(141)는 불투명한 소재로 이루어질 수도 있을 것이다. 이 경우, 상기 감지부(27)에서 송신된 신호가 상기 벽(26)에서는 관통되며, 상기 차폐 부재(141)에서 반사되어 돌아올 것이다.
도 7에서 보여지는 바와 같이, 상기 흡입 모터(12)가 구동되고 상기 이물 저장부(100)로 공기가 흡입되는 과정에서 상기 차폐 부재(141)는 개방되는 위치("a")에 있을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감지부(27)는 상기 차폐 부재(141)를 감지하지 못하게 된다.
한편, 상기 필터(135)가 상기 저장공간(111)에 저장된 이물등에 의하여 막히게 되면, 상기 흡입 모터(12)의 흡입력이 상기 이물 저장부(100)에 제대로 전달되지 않을 수 있다. 즉, 상기 흡입 모터(12)의 흡입력이 약화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차폐 부재(141)는 상기 제 2 연통부(112)가 차폐되는 방향으로 회동될 수 있다.
상기 흡입 모터(12)가 구동되는 상태에서, 상기 차폐 부재(141)가 상기 제 2 연통부(112)를 차폐하는 방향("b")으로 회동되면 상기 감지부(27)는 상기 차폐 부재(141)를 감지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감지부(27)의 감지 신호는 로봇 청소기(1)의 제어부(미도시)로 전달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신호에 의하여 필터 막힘을 인식하고 이를 알림수단(미도시)을 통하여 외부에 경고할 수 있다.
상기 알림수단에는, 디스플레이 또는 경고음등이 포함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 상기 감지부(27)는 상기 벽(26)에 제공되는 것으로 설명되었으나, 이와는 달리 상기 벽(26)과 대응되는 본체(10) 소정의 위치에 제공될 수도 있을 것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는 제 1 실시예와 비교하여 회동 레버의 구성에 있어서 차이가 있으므로 차이점을 위주로 설명하며, 동일한 내용에 대하여는 제 1 실시예 및 제 2 실시예의 도면 부호와 설명을 원용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청소기의 커버를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청소기의 구성을 보여주는 단면도이고, 도 10은 도 9의 "A" 부분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11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이물 저장부가 상승된 모습이 도시되는 도면이다.
도 8 내지 도 1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제 2 커버(50)에는, 상기 제 2 커버(50)의 회동을 위한 힌지부(251) 및 상기 제 2 커버(50)와 힌지부(251)를 연결하며 상기 힌지부(251)로부터 일방향으로 연장되는 회동 레버(252)가 제공된다.
상세히, 상기 힌지부(251)에는, 상기 제 2 커버(50)의 회동 중심을 제공하는 회동 축(258)과, 상기 회동 레버(252)에 형성되며 상기 회동 축(258)이 삽입되는 회동축 삽입부(256) 및 상기 회동축 삽입부(256)에 제공되며 상기 회동 레버(252)에 복원력을 제공하는 탄성 부재(253)가 포함된다.
상기 회동 축(258)은 상기 제 1 커버(20)의 내부에 제공되며, 상기 회동축 삽입부(256)에 삽입됨으로써 상기 회동 레버(252)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탄성 부재(253)는 상기 회동축 삽입부(256)의 내주면을 따라 배치되며, 상기 회동 축(258)의 외측을 감싸도록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탄성 부재(253)는 상기 제 2 커버(50)가 개방되는 방향으로 복원력을 제공하도록 제공된다. 상기 탄성 부재(253)에는 토션 스프링이 포함될 수 있다.
상기 걸림 돌기(51)와 걸림부(21)의 걸림 작용에 의하여 상기 제 2 커버(50)가 상기 제 1 커버(20)에 결합되면, 상기 제 2 커버(50)는 상기 탄성 부재(253)의 복원력을 극복하고 닫힌 상태가 유지될 수 있다.
반면에, 상기 걸림 돌기(51)와 걸림부(21)의 걸림이 해제되면, 상기 제 2 커버(50)는 상기 탄성 부재(253)의 복원력에 의하여 개방되는 방향으로 회동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회동 레버(252)에는, 상기 힌지부(251)로부터 상기 이물 저장부(100)를 향하여 연장되는 레버 본체(252a)와, 상기 제 2 커버(50)와 상기 레버 본체(252a)가 연결되도록 하는 회동 연결부(252b) 및 상기 레버 본체(252a)의 적어도 일부를 형성하며 상기 이물 저장부(100)의 하측에 배치되는 레버 단부(252c)가 포함된다. 여기서, 상기 회동 레버(252)는 상기 제 2 커버(50)의 양측에 각각 제공될 수 있다.
상기 레버 본체(252a)는 상기 힌지부(251)로부터 상기 이물 저장부(100)의 하측을 향하여 라운드지게 연장되며, 상기 회동 연결부(252b)는 상기 제 2 커버(50)로부터 상기 레버 본체(252a)를 향하여 라운드지게 연장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레버 본체(252a) 및 회동 연결부(252b)는 상기 힌지부(251)를 중심으로 일체로 회동될 수 있다.
상기 레버 본체(252a)가 회동되는 과정에서, 상기 레버 단부(252c)는 상기 이물 저장부(100)의 하면을 가압할 수 있다. 즉, 제 1 실시예에서 설명한 안착부(22) 중 상기 레버 단부(252c)가 위치되는 부분은 상하 방향으로 개구되도록 형성된다.
상기 제 1 커버(20)에는, 상기 레버 본체(252a)가 관통되도록 하는 회동 개구부(29)가 형성된다. 상기 회동 개구부(29)는 상기 벽(26:도 6 참조)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회동 레버(252)는 상기 벽(26)을 관통하여 상기 이물 저장부(100)의 하측을 향하여 연장된다.
한편, 상기 회동 개구부(29)는 높이 방향으로 소정 크기를 가지도록 형성되며, 상기 크기는 상기 회동 레버(252)의 회동 범위에 대응된다. 따라서, 상기 회동 레버(252)는 상기 회동 개구부(29)에 삽입된 상태에서 소정 방향으로 회동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상기 제 2 커버(50) 및 이물 저장부(100)의 작용에 대하여 설명한다.
상기 제 2 커버(50)와 제 1 커버(20)의 걸림이 해제되면, 상기 제 2 커버(50)는 상기 탄성 부재(253)의 복원력에 의하여 개방되는 방향으로 회동될 수 있다.
이 과정에서, 상기 회동 레버(252)는 상기 힌지부(251)를 중심으로 반시계 방향(도 9에서 봤을 때)으로 회동되며, 상기 레버 단부(252c)는 상기 이물 저장부(100)의 하면을 상방으로 가압한다.
그러면, 상기 이물 저장부(100)는 상방으로 들어올려져, 상기 제 1 커버(20)의 상면보다 더 높은 위치까지 상승될 수 있다. 이 상태에서, 사용자는 상기 이물 저장부(100)를 분리시킬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상기 이물 저장부(100)는 상기 제 2 커버(50)가 개방되는 과정에서 상방으로 들어 올려질 수 있으므로, 사용자는 상기 이물 저장부(100)를 파지하여 상기 제 1 커버(20)로부터 용이하게 분리시킬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산업상 이용가능성
본 발명의 실시예는 청소기의 작동여부에 따라 이물 저장부가 선택적으로 개폐되도록 하며, 상기 이물 저장부의 필터 막힘을 감지할 수 있고, 청소기 커버의 개방에 따라 상기 이물 저장부를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으므로 산업상 이용 가능성이 현저하다.

Claims (10)

  1. 흡입력을 제공하는 구동부가 포함되는 본체;
    상기 본체의 일측이 차폐되도록 하는 메인 커버;
    상기 메인 커버에 분리 가능하게 제공되며, 이물을 포함한 공기의 유입을 위하여 공기 유입부가 형성되는 이물 저장부;
    상기 메인 커버에 제공되며, 상기 이물 저장부의 일측이 선택적으로 차폐되도록 하는 이물 커버;
    상기 이물 저장부에 제공되며, 상기 공기 유입부가 선택적으로 차폐되도록 하는 차폐 부재; 및
    상기 차폐 부재의 차폐 여부를 감지하기 위한 감지부를 포함하는 로봇 청소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차폐 부재가 상기 이물 저장부에 결합되도록 하는 결합 부재; 및
    상기 차폐 부재의 일측이 간섭되도록 하는 간섭 부재가 더 포함되는 로봇 청소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 부재에는,
    상기 차폐 부재와 결합되는 제 1 결합부; 및
    상기 간섭 부재와 결합되는 제 2 결합부가 포함되는 로봇 청소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차폐 부재는 상기 공기 유입부의 적어도 일측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로봇 청소기.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차폐 부재는,
    상기 구동부의 구동에 의하여 상기 공기 유입부가 개방되는 방향으로 회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봇 청소기.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부는, 상기 메인 커버 또는 본체에 구비되는 로봇 청소기.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커버에는,
    상기 이물 저장부가 안착되는 안착부; 및
    상기 안착부의 일측에 개구되어 형성되며, 상기 공기 유입부와 연통 가능한 커버 연통부가 포함되는 로봇 청소기.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물 커버가 상기 메인 커버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하는 회동 레버; 및
    상기 회동 레버의 회전 중심을 제공하는 힌지부가 더 포함되는 로봇 청소기.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회동 레버에는,
    상기 힌지부로부터 연장되는 레버 본체; 및
    상기 레버 본체의 적어도 일부를 형성하며, 상기 이물 저장부의 하측에 배치되는 레버 단부가 포함되는 로봇 청소기.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회동 레버는, 상기 이물 커버가 개방되는 과정에서 상기 이물 저장부의 일측을 가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봇 청소기.
KR1020127005882A 2009-07-06 2009-07-06 로봇 청소기 KR10135231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09/003674 WO2011004915A1 (ko) 2009-07-06 2009-07-06 로봇 청소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66013A KR20120066013A (ko) 2012-06-21
KR101352314B1 true KR101352314B1 (ko) 2014-01-15

Family

ID=434293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7005882A KR101352314B1 (ko) 2009-07-06 2009-07-06 로봇 청소기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8732901B2 (ko)
EP (2) EP2417893B1 (ko)
KR (1) KR101352314B1 (ko)
WO (1) WO2011004915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48014A (ko) * 2019-10-22 2021-05-03 주식회사 나린알앤디 로봇 진공 청소기용 먼지 케이스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52272B1 (ko) * 2009-07-06 2014-01-17 엘지전자 주식회사 로봇 청소기
KR101496913B1 (ko) 2010-11-03 2015-03-02 삼성전자 주식회사 로봇청소기와 자동배출 스테이션 및 이를 가지는 로봇청소기 시스템
JP5785672B2 (ja) * 2012-05-14 2015-09-30 コーニンクレッカ フィリップス エヌ ヴェ 取り外し可能なごみ容器を備えたロボット電気掃除機
AU349618S (en) 2012-09-24 2013-07-04 Dyson Technology Ltd A vacuum cleaner
KR102024591B1 (ko) 2012-11-14 2019-11-04 엘지전자 주식회사 로봇 청소기
EP2912981B1 (en) 2014-02-28 2019-09-04 Samsung Electronics Co., Ltd. Autonomous cleaner
AU360831S (en) 2014-08-28 2015-03-30 Dyson Technology Ltd Vacuum cleaner
AU360829S (en) 2014-08-28 2015-03-30 Dyson Technology Ltd Vacuum cleaner
AU360827S (en) 2014-08-28 2015-03-30 Dyson Technology Ltd Vacuum cleaner
AU360824S (en) 2014-08-28 2015-03-30 Dyson Technology Ltd Vacuum cleaner
AU360807S (en) 2014-08-28 2015-03-26 Dyson Technology Ltd Vacuum cleaner
AU360979S (en) 2014-08-28 2015-04-08 Dyson Technology Ltd Vacuum cleaner
AU360825S (en) 2014-08-28 2015-03-30 Dyson Technology Ltd Vacuum cleaner
KR101622716B1 (ko) * 2014-09-24 2016-05-19 엘지전자 주식회사 로봇 청소기
US10463212B2 (en) 2016-05-20 2019-11-05 Lg Electronics Inc. Autonomous cleaner
US10481611B2 (en) 2016-05-20 2019-11-19 Lg Electronics Inc. Autonomous cleaner
EP4201289A3 (en) * 2016-05-20 2023-07-26 LG Electronics, Inc. Robot cleaner
US10342405B2 (en) 2016-05-20 2019-07-09 Lg Electronics Inc. Autonomous cleaner
US10524628B2 (en) 2016-05-20 2020-01-07 Lg Electronics Inc. Autonomous cleaner
WO2017200346A1 (ko) 2016-05-20 2017-11-23 엘지전자 주식회사 로봇 청소기
US10441128B2 (en) 2016-05-20 2019-10-15 Lg Electronics Inc. Autonomous cleaner
US10362916B2 (en) 2016-05-20 2019-07-30 Lg Electronics Inc. Autonomous cleaner
EP4159101A3 (en) * 2016-05-20 2023-06-07 LG Electronics Inc. Robot cleaner
US10342400B2 (en) 2016-05-20 2019-07-09 Lg Electronics Inc. Autonomous cleaner
US10463221B2 (en) 2016-05-20 2019-11-05 Lg Electronics Inc. Autonomous cleaner
WO2017200350A1 (ko) 2016-05-20 2017-11-23 엘지전자 주식회사 로봇 청소기
US10292554B2 (en) 2016-10-28 2019-05-21 Irobot Corporation Mobile cleaning robot with a bin
US10779695B2 (en) * 2017-12-29 2020-09-22 Irobot Corporation Debris bins and mobile cleaning robots including same
US10595696B2 (en) 2018-05-01 2020-03-24 Sharkninja Operating Llc Docking station for robotic cleaner
US11191403B2 (en) 2018-07-20 2021-12-07 Sharkninja Operating Llc Robotic cleaner debris removal docking station
US11180208B2 (en) * 2018-10-22 2021-11-23 Piaggio Fast Forward, Inc. Mobile carrier with interchangeable payloads
JP7409767B2 (ja) * 2018-11-07 2024-01-09 株式会社マキタ ロボット集塵機
USD936719S1 (en) * 2019-02-20 2021-11-23 Lg Electronics Inc. Home hub robot
UA41383S (uk) * 2019-03-18 2020-04-27 Бейцзін Сяомі Мо Прибиральний пристрій
USD940771S1 (en) * 2019-08-15 2022-01-11 Beijing Xiaomi Mobile Software Co., Ltd. Robot vacuum cleaner
JP1724693S (ja) * 2022-01-11 2022-09-13 掃除ロボット用集塵箱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107624A (ko) * 2005-04-11 2006-10-16 엘지전자 주식회사 진공청소기의 집진유니트
KR20060115220A (ko) * 2005-05-04 2006-11-08 엘지전자 주식회사 로봇 청소기의 먼지통 감지장치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098055A (en) * 1981-05-07 1982-11-17 Hoover Ltd Suction cleaners
KR20000041557A (ko) * 1998-12-23 2000-07-15 구자홍 진공청소기
DE19948909A1 (de) * 1999-10-11 2001-04-12 Vorwerk Co Interholding Filterbeutel für einen Staubsauger
SE0401114D0 (sv) * 2003-07-24 2004-04-30 Samsung Kwangju Electronics Co Dust receptacle of robot-cleaner, and method for cleaning dust collected therein
AU2004202836B2 (en) * 2003-07-24 2006-03-09 Samsung Gwangju Electronics Co., Ltd. Dust Receptacle of Robot Cleaner
KR101223478B1 (ko) * 2005-08-10 2013-01-17 엘지전자 주식회사 로봇청소기의 먼지통 착탈 감지 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107624A (ko) * 2005-04-11 2006-10-16 엘지전자 주식회사 진공청소기의 집진유니트
KR20060115220A (ko) * 2005-05-04 2006-11-08 엘지전자 주식회사 로봇 청소기의 먼지통 감지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48014A (ko) * 2019-10-22 2021-05-03 주식회사 나린알앤디 로봇 진공 청소기용 먼지 케이스
KR102296612B1 (ko) 2019-10-22 2021-09-02 주식회사 나린알앤디 로봇 진공 청소기용 먼지 케이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1004915A1 (ko) 2011-01-13
EP2417893A4 (en) 2017-11-01
EP2417893A1 (en) 2012-02-15
EP3403561B1 (en) 2019-11-06
EP2417893B1 (en) 2018-09-05
EP3403561A1 (en) 2018-11-21
US20120023699A1 (en) 2012-02-02
KR20120066013A (ko) 2012-06-21
US8732901B2 (en) 2014-05-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52314B1 (ko) 로봇 청소기
KR101352272B1 (ko) 로봇 청소기
US8741013B2 (en) Dust bin for a robotic vacuum
JP4477565B2 (ja) 集塵器およびそれを備えた電気掃除機
JP2019534053A (ja) 容器を有する移動式掃除ロボット
KR20230112585A (ko) 로봇 청소기
KR101852809B1 (ko) 진공 청소기
JP2020039456A (ja) 自走式電気掃除機
JP4738064B2 (ja) 電気掃除機
KR102014760B1 (ko) 진공청소부 분리형 복합 청소기
US7272871B1 (en) Dirt vessel equipped with cleaning plunger
KR101961664B1 (ko) 청소기
KR101292126B1 (ko) 로봇청소기
EP3571970A2 (en) Cleaner
JP4983225B2 (ja) 電気掃除機
KR100988719B1 (ko) 진공 청소기
JP5029515B2 (ja) 電気掃除機
JP2018061533A (ja) 電気掃除機
KR101025984B1 (ko) 진공 청소기
KR20240018289A (ko) 청소기 및 청소기 시스템
KR20240081936A (ko) 청소기 스테이션
KR20230133655A (ko) 청소기 스테이션
JP2006061544A (ja) 集塵容器及びこれを備えた電気掃除機
TW202025960A (zh) 電動吸塵器及容器
KR20100020638A (ko) 분리형 청소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1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14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