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41557A - 진공청소기 - Google Patents

진공청소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41557A
KR20000041557A KR1019980057474A KR19980057474A KR20000041557A KR 20000041557 A KR20000041557 A KR 20000041557A KR 1019980057474 A KR1019980057474 A KR 1019980057474A KR 19980057474 A KR19980057474 A KR 19980057474A KR 20000041557 A KR20000041557 A KR 2000004155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ust
chamber
electric motor
collecting chamber
dust collec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574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창도
Original Assignee
구자홍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구자홍,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구자홍
Priority to KR10199800574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00041557A/ko
Publication of KR200000415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41557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10Filters; Dust separators; Dust removal; Automatic exchange of filters
    • A47L9/14Bags or the like; Rigid filtering receptacles; Attachment of, or closures for, bags or receptacles
    • A47L9/1409Rigid filtering receptacl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10Filters; Dust separators; Dust removal; Automatic exchange of filters
    • A47L9/14Bags or the like; Rigid filtering receptacles; Attachment of, or closures for, bags or receptacles
    • A47L9/1427Means for mounting or attaching bags or filtering receptacles in suction cleaners; Adapters
    • A47L9/1463Means for mounting or attaching bags or filtering receptacles in suction cleaners; Adapters specially adapted for rigid filtering receptacl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10Filters; Dust separators; Dust removal; Automatic exchange of filters
    • A47L9/14Bags or the like; Rigid filtering receptacles; Attachment of, or closures for, bags or receptacles
    • A47L9/149Emptying means; Reusable bag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28Installation of the electric equipment, e.g. adaptation or attachment to the suction cleaner; Controlling suction cleaners by electric means
    • A47L9/2857User input or output elements for control, e.g. buttons, switches or display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ilters For Electric Vacuum Clea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진공청소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집진실 내의 별도의 먼지거름봉투가 필요없고, 청소에 의해 쌓인 먼지를 용이하게 제거 할 수 있도록 하는 진공청소기에 관한 것으로서, 청소를 위한 흡입력을 발생시키는 전동기(10)와; 상기 전동기(10)가 설치되는 전동기실(21)이 형성된 본체하단부(20)와; 상기 전동기실(21)의 상부에 설치되며 상기 전동기실(21)과 집진실(A)을 연결하는 유로(30a)를 형성하는 본체상단부(30)와; 상기 본체상단부(30)에 설치되어, 청소에 의한 먼지를 일차적으로 모으는 집진실(A)을 형성하는 집진실뚜껑(40)과; 상기 청소에 의한 먼지를 모으는 투명한 재질의 먼지모음함(50)과; 상기 집진실(A)에 모인 먼지를 상기 먼지모음함(50)으로 이송하는 먼지이송수단(60,70)으로 구성되어, 집진실 내의 먼지거름봉투가 필요 없고, 먼지모음판이 투명하여 먼지의 양을 외부에서 확인할 수 있고, 청소기 내에 모인 먼지를 사출물에 담아 버리므로 먼지거름봉투의 찢어짐, 누출로 인한 위생상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진공청소기
본 발명은 진공청소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집진실 내의 별도의 먼지거름봉투가 필요없고, 청소에 의해 쌓인 먼지를 용이하게 제거 할 수 있도록 하는 진공청소기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진공청소기를 나타내는 측단면도로서, 본체(1)내에 설치되는, 공기와 먼지를 함께 빨아들이는 전동기(2)와, 이 공기와 먼지를 걸러서 공기는 배출시키고 먼지만 걸러주는 먼지거름봉투(3)와, 이 먼지거름봉투(3)를 고정시키고 상기 먼지거름봉투(3)가 일정부피 이상 부풀어오르는 것을 방지하는 집진실(4)로 구성된다.
그리하여 상기 전동기(2)에 붙은 팬이 회전되면, 호스(5)를 통해 집진실(4)로 먼지와 함께 공기가 유입되고, 이 유입된 먼지와 공기는 상기 먼지거름봉투(3)를 거치면서 상기 먼지거름봉투(3)에 형성된 구멍보다 큰 먼지는 먼지거름봉투(3)를 통과하지 못하고 적체되고, 남은 공기만 전동기(2)의 팬을 거쳐서 진공청소기의 본체(1) 뒤로 빠져나가게 된다.
상기와 같은 청소기를 오래 사용하여 먼지가 먼지거름봉투(3)에 많이 쌓이면 공기의 흐름이 좋지 않아 전동기(2)에 과부하가 생기므로 일정기간이 지나면 도 2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진공청소기의 집진실뚜껑(4a)을 열고 상기 호스(5)를 빼낸 후에 먼지거름봉투(3)를 교체해 주어야 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진공청소기는 먼지거름봉투를 집진실에서 제거하기가 쉽지 않고, 제거하는 도중에 구멍으로 오물이 흘러내리기 쉽고, 경우에 따라서는 상기 먼지거름봉투가 찢어져서 집진실의 내부를 더럽히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의 결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 진공청소기에 있어서, 먼지거름봉투가 필요 없고, 청소기에 모인 먼지를 외부에서 확인하고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는 진공청소기를 제공하고자 한다.
이러한 본 발명은 별도의 투명재질이며 손잡이가 부착된 먼지모음함을 설치하고, 상기 먼지모음함을 사용할 수 있도록 유로를 구성하고, 청소가 끝났을 때나 상기 먼지모음함을 비우기 위하여 집진실뚜껑을 개방할 경우에 집진실에 모인 먼지가 상기 먼지모음함으로 이송되도록 하는 먼지이송수단을 구성함으로써 달성된다.
도 1은 종래의 진공청소기를 나타내는 측단면도,
도 2는 종래의 진공청소기의 먼지거름봉투를 교체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진공청소기를 나타내는 외관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진공청소기를 나타내는 측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진공청소기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진공청소기의 먼지이송수단을 나타내는 세부도,
도 7은 본 발명의 진공청소기의 집진실뚜껑을 개방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진공청소기의 먼지모음함을 분리하여 먼지를 제거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9a,9b 및 9c는 본 발명의 진공청소기의 먼지인출판의 동작단계를 나타내는
개략도,
도 10a,10b 및 10c는 상기 도 9a, 9b 및 9c에 대응되는, 회로도를 포함한
개략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전동기 20 : 몸체하단부
30 : 몸체상단부 40 : 집진실뚜껑
50 : 먼지모음함 60,70 : 먼지이송수단
80 : 호스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본 발명의 진공청소기를 나타내는 외관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진공청소기를 나타내는 측단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진공청소기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진공청소기의 먼지이송수단을 나타내는 세부도로서, 이를 참고하여 본 발명의 구성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크게, 청소를 위한 흡입력을 발생시키는 전동기(10)와; 상기 전동기(10)가 설치되는 전동기실(21)이 형성된 본체하단부(20)와; 상기 전동기실(21)의 상부에 설치되며 상기 전동기실(21)과 집진실(A)을 연결하는 유로(30a)를 형성하는 본체상단부(30)와; 상기 본체상단부(30)에 설치되어, 청소에 의한 먼지를 일차적으로 모으는 집진실(A)을 형성하는 집진실뚜껑(40)과; 상기 청소에 의한 먼지를 모으는 먼지모음함(50)과; 상기 집진실(A)에 모인 먼지를 상기 먼지모음함(50)으로 이송하는 먼지이송수단(60,70)으로 구성된다.
상기 본체하단부(20)의 전동기실(21)에는 앞상자(11) 및 뒷상자(12)에 의해 둘러싸여 일체를 이루어 적정수준의 소음저감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전동기(10)가 전원부(13)와 함께 설치된다.
상기 본체상단부(30)는 상기 전동기실(21) 위에 설치되고 상기 전동기실(21)과 집진실(A)을 연결하는 유로(30a)가 형성되어 상기 전동기(20)의 구동에 의한 흡입력을 집진실(A) 및 호스(80)로 전달하고, 상기 유로(30a)에는 먼지거름막(31)이 구성되어 집진실의 먼지가 전동기실(21)로는 유입되지 못하도록 하며, 힌지구멍(30b)이 형성되어 상기 집진실뚜껑(40)이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도록 하고, 또한 상기 먼지거름막(31)의 일측에는 집진실개폐스위치(32)가 설치되어 상기 집진실뚜껑(40)의 개폐에 따라 상기 먼지이송수단(60,70)을 제어하도록 한다.
상기 집진실뚜껑(40)은 상기 본체상단부(30)에 힌지(41)로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며, 호스(80)가 부착되기 위한 구멍(40a)이 상부에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먼지모음함(50)은 상기 집진실(A)의 하부에 설치되며 투명한 재질로 형성되어 있고 측면에는 손잡이(51)가 부착되어 있다.
상기 먼지이송수단(60,70)은 상기 집진실(A)에 모인 먼지를 상기 먼지모음함(50)으로 이송하기 위하여, 중앙부의 집진실배출구(60a)쪽으로 모이도록 중앙부를 향하여 오목한 경사면(60b)이 형성된 집진실아래판(60)과; 도 6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배출구(70a)를 개폐하며 돌기(71a)가 형성된 먼지인출판(71)과, 상기 먼지인출판(71)을 개방하기 위한 소형전동기(72), 전동기풀리(73), 풀리(74) 및 실(75)과, 상기 먼지인출판(71)을 다시 닫기 위한 스프링(76) 및 인출판스위치(77)와, 상기 먼지인출판(71) 및 스프링(76)이 설치되는 회전축(78)으로 이루어지는 인출부지지판(70)으로 구성되어, 상기 집진실뚜껑(40)의 개폐에 의한 집진실개폐스위치(32)의 상태와, 청소 후의 마이콤(도 10a,10b,10c 참조)의 제어에 따라 상기 먼지인출판(71)이 개폐되어, 청소 후에 상기 집진실아래판(60)의 중앙부의 집진실배출구(60a)에 모인 먼지를 상기 먼지모음함(50)에 모으거나, 먼지모음함(50)의 먼지를 비우기 위해 상기 집진실뚜껑(40)을 개방했을 때, 상기 먼지인출판(71)이 개폐되도록 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진공청소기의 집진실뚜껑을 개방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진공청소기의 먼지모음함을 분리하여 먼지를 제거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 9a, 도 9b, 및 도 9c는 본 발명의 진공청소기의 먼지인출판의 동작단계를 나타내는 개략도이고, 도 10a, 도 10b, 및 도 10c는 상기 도 9a, 9b, 및 9c에 대응되는 회로도를 포함한 개략도로서, 각 도를 참고하여 본 발명의 작용 및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먼지모음함(50)은 투명한 재질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먼지가 쌓인 양을 사용자가 외부에서 알 수 있고, 상기 먼지모음함(50)에 모인 먼지를 제거하고자 할 경우에는, 도 7 및 도 8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먼저 집진실뚜껑(40)을 연 후에, 손잡이(51)를 이용하여 상기 먼지모음함(50)을 분리하여 용이하게 먼지를 제거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먼지모음함(50)은 물로 세척이 가능하여, 먼지모음함(50)의 먼지를 비운 후에는 다시 깨끗한 상태로 이용할 수가 있다.
상기 집진실(A)에 모이는 먼지를 먼지이송수단(60,70)을 이용하여 상기 먼지모음함(50)으로 모으는 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진공청소기를 가동하여 청소를 하여, 먼지와 공기가 집진실(A)로 유입되면, 공기는 상기 본체상단부(30)에 형성된 유로(30a)를 통하여 전동기(10)를 통과하여 밖으로 배출되나, 먼지는 먼지거름막(31)에 의하여 상기 본체상단부(30)쪽으로 통과하지 못하고, 밑부분이 오목한 경사면(60b)으로 형성된 상기 먼지이송수단(60,70)의 집진실아래판(60)으로 모이고, 상기 경사면(60b)을 따라 먼지는 계속 아래로 쌓여 집진실배출구(60a)쪽으로 모인다.
상기 집진실배출구(60a)쪽에 모인 먼지는 상기 먼지이송수단(60,70)의 인출부지지판(70)에 설치된 먼지인출판(71)의 개폐동작에 의하여 먼지모음함(50)으로 떨어지게 되는데, 상기 동작단계를 도 9a, 9b, 9c, 10a, 10b, 및 10c를 참고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와 같은 동작은 상기 집진실개폐스위치(32)와 인출판스위치(77)의 조작에 의하여 이루어지게 되는데, 도 10a, 10b, 및 10c의 회로도에서와 같이, 상기 집진실개폐스위치(32)는 상기 집진실뚜껑(40)의 개폐동작에 따라 온/오프(on/off)되고, 상기 인출판스위치(77)는 상기 먼지인출판(71)의 동작에 의하여 온/오프(on/off)된다.
또한, 상기 집진실개폐스위치(32) 및 인출판스위치(77)는 직렬로 연결되어 있고, 청소기가 끝나고 청소기의 동작을 멈추게 되면, 마이콤(90)이 신호를 보내게 되고 전원이 트렌지스터(92)를 거쳐 상기 집진실개폐스위치(32)에 병렬로 연결된 릴레이(91)에 공급되는 구조로 되어있다.
그리하여 먼저, 청소중이나 정지상태에서는 도 9a 및 도 10a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집진실개폐스위치(32)와, 이와 병렬로 연결된 릴레이(91)가 오프(off)상태이고, 인출판스위치(77)는 온(on)상태가 되어 먼지인출판(71)이 닫혀 있는 상태가 된다.
그 후에, 청소가 끝나고 전동기의 "정지"버튼이 눌러지면, 마이콤(90)은 상기 회로에 신호를 보내게 되고, 그러면 도 9b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트랜지스터(92)를 거쳐 릴레이(91)에 전원이 공급되고, 회로는 소형전동기(72)를 구동시켜 전동기풀리(73)가 회전하면, 이에 연결된 실(75)이 먼지인출판(71)을 당기게 되어 배출구(70a)가 열리게 되며, 이에 따라 스프링(76)의 복원력도 함께 커진다.
이 후에 상기 먼지인출판(71)이 계속적으로 당겨져, 도 9c 및 10c에서와 같이, 배출구(70a)가 완전히 열리면, 먼지인출판(71)의 돌기(71a)가 인출판스위치(77)를 눌러 오프(off)시키므로 회로가 끊겨서, 소형전동기(72)에 전원이 차단되고, 따라서 스프링(76)의 복원력에 의하여 먼지인출판(71)이 다시 닫혀, 도 9a 및 10a의 상태로 되돌아가게 된다. 이러한 과정에서 상기 집진실아래판(60)에 모인 먼지가 먼지모음함(50)으로 이송되는 것이다.
또한, 집진실개폐스위치(32)는 상기한 바와 같이, 릴레이(91)와 병렬로 연결되어 있어서, 집진실뚜껑(40)을 열면, 도 10b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집진실개폐스위치(32)가 온(on)상태로 되고, 상기와 동일한 과정으로 먼지인출판(71)이 열려서, 집진실(A) 내의 먼지를 비운 상태에서 먼지모음함(60)을 분리하여 먼지를 제거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은 집진실 내의 먼지거름봉투가 필요 없고, 먼지모음판이 투명하여 먼지의 양을 외부에서 확인할 수 있고, 청소기 내에 모인 먼지를 사출물에 담아 버리므로 먼지거름봉투의 찢어짐, 누출로 인한 위생상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는 발명인 것이다.

Claims (4)

  1. 청소를 위한 흡입력을 발생시키는 전동기와;
    상기 전동기가 설치되는 전동기실이 형성된 본체하단부와;
    상기 전동기실의 상부에 설치되며 상기 전동기실과 집진실을 연결하는 유로를 형성하는 본체상단부와;
    상기 본체상단부에 설치되어, 청소에 의한 먼지를 일차적으로 모으는 집진실을 형성하는 집진실뚜껑과;
    상기 청소에 의한 먼지가 적체되며, 투명한 재질로 형성되고, 손잡이가 부착되며, 상기 본체하단부에서 착달가능한 먼지모음함과;
    상기 집진실에 모인 먼지를 상기 먼지모음함으로 수집하는 먼지이송수단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상단부에는 상기 전동기실과 집진실을 연결하는 유로가 형성되고, 상기 유로에는 먼지거름막이 구성되어 집진실의 먼지가 전동기실로 유입되지 못하도록 하며, 상기 유로의 일측에는 집진실개폐스위치가 설치되어 상기 집진실뚜껑의 개폐에 따라 상기 먼지이송수단을 제어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
  3. 상기 먼지이송수단은 상기 집진실에 모인 먼지가 상기 먼지모음함으로 이송하기 위하여 먼지가 중앙부의 집진실배출구쪽으로 모이도록 중앙부를 향하여 오목하게 경사면이 형성된 집진실아래판과;
    상기 집진실뚜껑의 개폐에 의한 집진실개폐스위치의 상태와, 청소 후의 마이콤의 제어에 따라 먼지인출판이 개폐되어 상기 집진실에 모인 먼지를 먼지모음함으로 수집하도록 하는 인출부지지판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인출부지지판은 상기 먼지인출판을 개방하기 위한 소형전동기와, 전동기풀리와, 풀리 및 실과; 상기 먼지인출판을 다시 닫기 위한 스프링 및 인출판스위치와; 상기 먼지인출판 및 스프링이 설치되는 회전축으로 구성되고 중앙에 배출구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
KR1019980057474A 1998-12-23 1998-12-23 진공청소기 KR2000004155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57474A KR20000041557A (ko) 1998-12-23 1998-12-23 진공청소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57474A KR20000041557A (ko) 1998-12-23 1998-12-23 진공청소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41557A true KR20000041557A (ko) 2000-07-15

Family

ID=195647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57474A KR20000041557A (ko) 1998-12-23 1998-12-23 진공청소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00041557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1004915A1 (ko) * 2009-07-06 2011-01-13 엘지전자 주식회사 로봇 청소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1004915A1 (ko) * 2009-07-06 2011-01-13 엘지전자 주식회사 로봇 청소기
US8732901B2 (en) 2009-07-06 2014-05-27 Lg Electronics Inc. Robot cleaner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7055381B2 (ja) 掃除機のための集塵チャンバ及び吸引ヘッド
RU2226354C2 (ru) Циклонный пылесборник пылесоса
RU2249425C2 (ru) Пылесос для влажной и сухой уборки
US7409744B2 (en) Dust collecting unit of vacuum cleaner
US7207083B2 (en) Electric vacuum cleaner
KR100516420B1 (ko) 전기 청소기
RU2277372C2 (ru) Пылесборник робота-пылесоса
KR100377015B1 (ko) 진공청소기의 사이클론 집진장치
KR101248722B1 (ko) 집진장치 및 이를 가지는 진공 청소기
JP2002209815A (ja) 真空掃除機のサイクロン集塵装置
KR100442388B1 (ko) 진공청소기의 자동 먼지수거 장치
JPH0455699B2 (ko)
KR100572882B1 (ko) 진공청소기의 집진통
JP2001314354A (ja) 電気掃除機
KR20000041557A (ko) 진공청소기
CN111588306A (zh) 吸尘设备
CN209953473U (zh) 清洁设备和清洁设备总成
KR101436630B1 (ko) 진공 청소기
RU2332919C1 (ru) Электрический вакуумный пылесос
JPH0620729Y2 (ja) 厨房用ゴミ箱
KR920004077Y1 (ko) 진공청소기
JP2004248868A (ja) 電気掃除機
KR100572873B1 (ko) 진공청소기의 집진케이싱용 분리판 및 그것을 이용한집진케이싱
JPS6231090Y2 (ko)
JP2005080814A (ja) 電気掃除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