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72873B1 - 진공청소기의 집진케이싱용 분리판 및 그것을 이용한집진케이싱 - Google Patents

진공청소기의 집진케이싱용 분리판 및 그것을 이용한집진케이싱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72873B1
KR100572873B1 KR1020010088432A KR20010088432A KR100572873B1 KR 100572873 B1 KR100572873 B1 KR 100572873B1 KR 1020010088432 A KR1020010088432 A KR 1020010088432A KR 20010088432 A KR20010088432 A KR 20010088432A KR 100572873 B1 KR100572873 B1 KR 10057287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ust collecting
collecting casing
casing
vacuum cleaner
separating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884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58049A (ko
Inventor
김성근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100884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72873B1/ko
Publication of KR200300580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5804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728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7287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10Filters; Dust separators; Dust removal; Automatic exchange of filters
    • A47L9/106Dust removal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5/00Structural features of suction cleaners
    • A47L5/12Structural features of suction cleaners with power-driven air-pumps or air-compressors, e.g. driven by motor vehicle engine vacuum
    • A47L5/22Structural features of suction cleaners with power-driven air-pumps or air-compressors, e.g. driven by motor vehicle engine vacuum with rotary fans
    • A47L5/36Suction cleaners with hose between nozzle and casing; Suction cleaners for fixing on staircases; Suction cleaners for carrying on the back
    • A47L5/362Suction cleaners with hose between nozzle and casing; Suction cleaners for fixing on staircases; Suction cleaners for carrying on the back of the horizontal type, e.g. canister or sledge typ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10Filters; Dust separators; Dust removal; Automatic exchange of filters
    • A47L9/16Arrangement or disposition of cyclones or other devices with centrifugal action
    • A47L9/1683Dust collecting chambers; Dust collecting recepta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ilters For Electric Vacuum Clea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진공청소기의 집진케이싱용 분리판 및 그것을 이용한 집진케이싱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진공청소기의 집진케이싱(20) 및 분리판(24)은, 접선방향으로 공기가 유입되도록 상부에 성형되는 입구와, 내주연 일측에 성형된 체결공(22a)을 가지는 연결부(22)와, 상기 연결부에 체결되어 회동하는 분리판(24)을 구비하는 집진케이싱(20)으로 구성되고; 상기 분리판(24)은 집진케이싱의 연결부(22)에 조립되어 집진케이싱을 상부집진공간(28) 및 하부집진공간(26)으로 구획하고, 상부집진공간과 하부집진공간을 연통시키기 위한 안내공(24b)이 외주연 일측에 성형되고, 상기 체결공에 회동가능하게 조립되는 연결돌기(24c)가 성형된 회동홈(24d)과, 상기 회동홈을 기준으로 양측 외주연에 각각 하향 경사부(24a)를 포함하는 분리판(24)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하부집진공간을 막고 있던 분리판의 상면부가 집진케이싱의 내벽에 접촉될 수 있기 때문에, 하부집진공간을 최대한 개방하여 이물질을 효과적으로 비울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진공청소기, 사이클론 집진, 집진케이싱, 분리판, 경사부

Description

진공청소기의 집진케이싱용 분리판 및 그것을 이용한 집진케이싱{Separating circular plate and dirt and dust collecting casing using the same for vacuum cleaner}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될 수 있는 진공청소기의 예시 사시도.
도 2는 종래의 집진케이싱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3은 종래의 집진케이싱의 종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집진케이싱의 평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집진케이싱의 종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분리판의 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6i ..... 입구 20 ..... 집진케이싱
21 ..... 손잡이 22 ..... 연결부
22a ..... 체결공 24 ..... 분리판
24a ..... 경사부 24b ..... 안내공
24c ..... 연결돌기 24d ..... 회동홈
26 ..... 하부집진공간 28 ..... 상부집진공간
본 발명은 진공청소기의 집진케이싱용 분리판 및 그것을 이용한 집진케이싱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사이클론 집진방식 및 필터를 동시에 이용하는 집진케이싱에서 하부에 모인 먼지 등의 이물질이 필터에 접근하는 것을 방지하고, 이물질을 비우는 작업이 용이하도록 구성되는 진공청소기용 집진케이싱 및 분리판에 관한 것이다.
진공청소기는, 청소기 본체에서 발생하는 흡입력을 이용하여 이물질을 포함하는 공기를 본체 내부로 빨아들이고, 본체 내부에서 이물질을 필터링한 후, 깨끗한 공기는 다시 본체 외부로 배출시키도록 구성되고 있다.
이러한 기능을 위하여, 진공청소기의 본체 내부에는, 흡입력을 발생시키는 구동모터 및 구동팬이 내장되어 있다. 그리고 흡입되는 공기의 필터링을 위한 필터링수단도 내장되는데, 전통적인 필터링수단은 종이재질로 만들어지는 집진봉투를 이용하는 것이다. 집진봉투는, 통상 공기만을 통과시키고 먼지 등과 같은 이물질은 집진봉투의 내부에 모을 수 있게 된다.
그러나 이와 같은 집진봉투는, 먼지 등의 이물질이 모이면 이물질과 같이 폐기하는 것이 일반적이기 때문에 재료의 낭비가 초래되기도 하는데, 특히 내부에 먼지가 모일수록 집진효율이 더욱 저하될 수밖에 없는 치명적인 단점이 지적되고 있다.
이와 같은 단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사이클론방식의 집진케이싱이 개발되었 다. 사이클론방식의 집진케이싱은, 케이싱의 내부로 이물질을 포함하는 공기를 유입시킬 때, 케이싱의 내부에서 나선류가 형성되도록 한다.
다음에는 도면에 도시한 것을 기초하면서, 종래의 집진케이싱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진공청소기 본체(10)의 일측에는, 사이클론방식의 1차 집진 및 필터에 의한 2차 집진을 수행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집진케이싱(6)이 체결되어 있다. 따라서, 진공청소기가 구동하게 되면, 흡입노즐(1)을 통하여 흡입되는 이물질을 포함하는 공기는, 본체(10)의 흡입구(5)에 연결되어 있는 연결호스(4) 및 연장관(2)을 거쳐서 진공청소기의 본체(10) 내부로 유입된다. 사용자가 조작부(3)를 잡고 밀거나 당기는 동작에 의하여 바퀴(7)가 회전하면서, 본체(10)가 바닥면을 따라 이동하면서 청소를 하게 된다.
한편, 도 2 및 도 3에는 종래의 집진케이싱(6)의 구조를 보이기 위해 사시도 및 단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2 및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집진케이싱(6)의 입구(6i)를 통하여 내부로 들어오는 공기는, 집진케이싱(6)의 내부에서 나선류를 형성하게 된다. 나선류 중에서 상대적으로 무거운 이물질은 자중에 의하여, 하방으로 떨어지게 되고, 이러한 것을 사이클론방식의 집진이라고 한다.
여기서 상기 집진케이싱(6) 내부에는 한쌍의 분리판(6b,6b')이 설치되어 있는데, 상기 분리판(6b')의 일측 외주면에는 안내공(6c)이 성형되어 있다. 실질적으로 상기 안내공(6c)은, 집진케이싱(6)의 내측면과의 사이에서 일정한 틈새를 형성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분리판(6b,6b')에 의하여 격실된 하부집진공간(6d)과 상부집진공간(6u)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안내공(6c)은 집진케이싱(6)의 내부에서 형성된 나선류 중에 포함된 무거운 이물질이 하방으로 떨어져서 상기 하부집진공간(6d)에 모이기 위한 통로가 되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하여, 사이클론 방식의 1차 집진에 의하여, 무거운 이물질이 걸러진 공기는 필터(도시 생략)의 내부로 유입되고, 필터의 상부에 마련되어 있는 출구(도시 생략)를 따라 이동하여 본체(10)의 일측에 형성되어 있는 배기부(8)를 통하여 외부로 배기된다.
상기 필터는 집진케이싱(6)의 개방되어 있는 상측을 개폐하는 덮개(도시 생략)의 하부에 설치되어 있다. 이와 같은 집진케이싱에 있어서는, 사이클론방식에 의한 1차 집진에서 상대적으로 무거운 이물질을 필터링하고, 상기 필터(23)의 2차 집진에 의하여 미세한 먼지까지 완전하게 집진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과정을 거치면서, 집진이 이루어지는 집진케이싱(6)에 이물질이 일정한 분량이상 집진되면 이물질을 비워주어야 된다.
집진케이싱(6)의 일측에 성형되어 있는 손잡이(6a)를 잡고 당기면, 본체(10)에서 집진케이싱(6)이 분리된다. 분리된 집진케이싱(6)에서 덮개(도시 생략)를 제거하고, 집진케이싱(6)을 거꾸로 들면 한쌍의 분리판(6b,6b')이 회전축(h1,h2)을 기준으로 회전하여 상부집진공간(6u)에 위치하게 된다. 이 때, 하부집진공간(6d)에 집진되어 있는 이물질이 아래 방향으로 쏟아지는 것에 의하여 집진케이싱(6)에서 이물질이 제거된다.
그러나 상술한 종래의 기술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지적된다. 상 기 회전축(h1,h2)을 기준으로 상측으로 회전하는 분리판(6b,6b')이 집진케이싱의 중심에서 위치하고 있어서, 쏟아지는 이물질이 분리판(6b,6b')에 걸리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와 같이 이물질을 비우는 과정에서 분리판에 이물질이 걸리게 되면 사용자가 손으로 제거하여야 하는 번거러움이 있어 위생상 바람직하지 못하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하부집진공간에 모여진 이물질을 효과적으로 비울 수 있도록 구성되는 분리판을 가지는 진공청소기의 집진케이싱을 제공하는 것을 기본적인 목적으로 하고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접선방향으로 공기가 유입되도록 상부에 성형되는 입구와, 내주연 일측에 성형된 연결부와, 상기 연결부에 체결되어 회동하는 분리판을 구비하는 집진케이싱으로 구성되고; 상기 분리판은 집진케이싱의 연결부에 조립되어 집진케이싱을 상부집진공간 및 하부집진공간으로 구획하고, 상부집진공간과 하부집진공간을 연통시키기 위한 안내공이 외주연 일측에 성형되고, 양측 외주연에 각각 경사지게 형성되는 하향 경사부를 포함하는 분리판으로 구성된다.
그리고, 본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안내공은 경사부의 일측에 성형하는 것도 가능하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집진케이싱의 내부에 설치되어 집진케이싱을 상하부로 구획하고, 하부를 이물질이 모이는 집진실로 형성하기 위한 분리판으로서, 일단부가 집진케이싱에 형성된 연결부에 회동가능하게 지지되고, 양단부에 소정 각도 하부로 경사지게 경사부가 형성되며, 가장자리 일측에 집진케이싱의 상하부를 연통시키는 안내공이 형성된다.
상기 안내공은 상기 집진케이싱의 회전중심 반대쪽인 선단이나 상기 경사부에 형성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집진케이싱의 내주연 일측에 성형되어 있 는 연결부를 기준으로 분리판이 회동하는 것에 의하여, 하부집진공간을 막고 있던 분리판의 상면부가 집진케이싱의 내벽에 접촉될 수 있기 때문에, 하부집진공간을 최대한 개방하여 이물질을 효과적으로 비울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다음에는 도면에 도시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기초하면서 본 발명에 대하여 더욱 상세하게 살펴보기로 한다.
먼저 도 4에는 본 발명에 의한 집진케이싱에서 덮개를 제거한 상태의 평면도를 도시한 것이고, 도 5에는 본 발명에 의한 집진케이싱의 종단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4 및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집진케이싱(20)에는 내주연에 체결공(22a)을 가지는 연결부(22)가 성형되어 있고, 외벽 일측에는 집진케이싱(20)을 용이하게 잡을 수 있도록 손잡이(21)가 성형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연결부(22)에 체결되는 분리판(24)에 의하여 하부집진공간(26)과 상부집진공간(28)으로 구획됨을 알 수 있다. 상기 하부집진공간(26)은 이물질의 대부분이 집진되는 공간이며, 상부집진공간(28)은 상측이 개방되어 있는 집진케이싱(20)을 개폐하는 덮개(도시 생략)에 체결된 필터(도시 생략)에 의하여 미세한 이물질이 공기와 분리되어 집진되는 공간이다.
다음에는 상기 집진케이싱(20)에 체결되는 분리판(24)의 구성에 대하여 살펴보고자 한다. 상기 분리판(24)에는 하부집진공간(26)과 상부집진공간(28)이 연통되도록 외주연 일측에 안내공(24b)이 성형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안내공(24b)이 회전중심의 반대쪽인 상기 분리판(24)의 선단에 형성되어 있으나, 아래에서 설명될 경사부(24a)에 형성될 수도 있다.
그리고, 집진케이싱(20)의 내주연 일측에 성형되어 있는 연결부(22)의 형상에 대응하도록 회동홈(24d)이 성형되고, 상기 회동홈(24d)의 양측에는 각각 연결돌기(24c)가 마주보도록 성형되어 있다. 상기 한쌍의 연결돌기(24c)는 연결부(22)의 양측에 성형되어 있는 체결공(22a)에 각각 삽입되어 체결된다. 상기 분리판(24)이 집진케이싱(20)의 내측벽의 연결부(22)에 의하여 지지되어서 하방으로는 회동하지 않고 수평상태를 이룰 수 있도록 설치된다. 물론, 상기 분리판(24)의 선단에 대응되는 집진케이싱(20)의 내면에 분리판(24)의 선단을 지지할 수 있는 돌기(도시되지 않음)를 둘 수도 있다.
따라서 상기 집진케이싱(20)을 거꾸로 들게 되면, 상기 분리판(24)이 회동하여 열리게 되어, 실질적으로 그 하부의 하부집진공간(26)에 있는 먼지 등의 이물질이 밖으로 쏟아질 수 있게 된다. 상기 분리판(24)이 연결부(22)를 기준으로 회동하는 과정에서 원통형의 집진케이싱(20) 내벽의 간섭을 받지 않고 원활하게 회동할 수 있도록 분리판(24)의 형상을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분리판(24)의 단면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으로, 상기 회동홈(24d)를 기준으로 분리판(24)의 양측 외주연에 일정한 각도(α)만큼에 해당하는 경사부(24a)를 하향되게 성형한 것을 보이기 위한 것이다.
다음에는 이상과 같은 본 발명에 의한 분리판(24)을 포함하는 집진케이싱(20)의 구동에 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먼저 진공청소기의 구동이 시작되면, 집진케이싱(20)의 입구(도 2의 부호 6i참조)에 의하여 이물질을 포함하는 공기가 유입된다. 이렇게 유입되는 공기는 상기 집진케이싱(20)의 내부에서 나선류로 되면서 내부에서 회전하여 상대적으로 하중이 큰 이물질은 자중에 의하여 하방으로 떨어지게 된다. 이렇게 떨어지는 이물질은 상기 안내공(24b)을 통하여 하방에 형성되어 있는 하부집진공간(26)으로 떨어지게 된다.
그리고 집진케이싱(20)의 입구를 통하여 들어오는 공기 중에서 이물질이 1차적으로 걸러진 공기는 상부집진공간(28)에 위치하는 필터(도시 생략)의 외부에서 내부로 유동되면서, 보다 미세한 이물질이 걸러지게 된다. 그리고 상기 필터를 통과한 공기는 덮개의 중심에 성형되어 있는 출구를 통하여 집진케이싱(20)을 빠져나가게 된다.
상기와 같은 과정에 있어서, 집진케이싱(20)의 하부에 마련되어 있는 하부집진공간(26)에 모인 이물질은 일정량 이상 모여지면 집진효율이 저하되므로, 적당한 시기에 이물질을 비워주어야 하는 것은 당연하다.
상기 하부집진공간(26)에서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해서는, 손잡이(21)를 잡고 집진케이싱(20)을 진공청소기 본체에서 분리시킨다. 그리고, 상기 집진케이싱(20)의 상측에 닫혀 있는 덮개(도시 생략)를 열고, 덮개의 저부에 체결되어 있는 필터의 표면에 묻어있는 미세한 먼지를 털거나 세척한다. 그리고, 집진케이싱(20)의 하부집진공간(26) 및 상부집진공간(28)에 모여진 이물질은, 집진케이싱(20)을 거꾸로 들어 하방으로 쏟아내어 제거한다. 이 때, 상기 하부집진공간(26)과 상부집진공간(28)을 구획하는 분리판(24)은 연결부(22)를 기준으로 상부집진공간(28)으로 회동하여 집진케이싱(20)의 내벽에 접촉되는 것에 의하여 하부집진공간(26)이 완전하게 열리게 된다. 이는, 나선류를 형성하면서 공기가 유동하는 사이클론 방식의 집진에 용이하도록 원통형을 이루고 있는 집진케이싱(20)의 내벽에 분리판(24)이 접촉되도록 경사부(24a)를 가지는 것에 의하여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이로써, 하부집진공간(26)에 집진되어 있는 이물질이 아무런 장애물 없이 하방으로 쏟아지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기본적인 기술적 사상의 범주 내에서,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는 다른 많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고, 본 발명은 첨부한 특허청구의 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이상과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의하면, 집진케이싱의 하부집진공간에 집진된 이물질을 쉽게 비울 수 있다는 장점이 기대된다. 또한, 분리판의 조립시 한 개의 분리판만 조립하면 되므로,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진공청소기의 집진케이싱을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는 이점이 기대된다.

Claims (7)

  1. 접선방향으로 공기가 유입되도록 상부에 성형되는 입구와, 내주연 일측에 성형된 연결부와, 상기 연결부에 체결되어 회동하는 분리판을 구비하는 집진케이싱으로 구성되고;
    상기 분리판은 집진케이싱의 연결부에 조립되어 집진케이싱을 상부집진공간 및 하부집진공간으로 구획하고, 상부집진공간과 하부집진공간을 연통시키기 위한 안내공이 외주연 일측에 성형되고, 양측 외주연에 각각 경사지게 형성되는 하향 경사부를 포함하는 분리판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의 집진케이싱.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공은, 상기 분리판의 선단이나 경사부의 일측에 성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의 집진케이싱.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판은 연결부를 기준으로 서로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집진케이싱 내측면의 일부분에 걸려서 하방으로는 회동할 수 없고, 상방으로만 회동 가능하게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의 집진케이싱.
  4. 제 1 항 내지 제3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판에는 상기 연결부에 회동가능하게 조립되어 지지되게 하는 회동홈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의 집진케이싱.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의 양측에는 체결공이 성형되어 있고, 분리판의 회동홈에는 체결공에 대응하는 연결돌기가 성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의 집진케이싱.
  6. 집진케이싱의 내부에 설치되어 집진케이싱을 상하부로 구획하고, 하부를 이물질이 모이는 집진실로 형성하기 위한 분리판으로서,
    일단부가 집진케이싱에 형성된 연결부에 회동가능하게 지지되고, 양단부에 소정 각도 하부로 경사지게 경사부가 형성되며, 가장자리 일측에 집진케이싱의 상하부를 연통시키는 안내공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의 집진케이싱용 분리판.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공은 상기 집진케이싱의 회전중심 반대쪽인 선단이나 상기 경사부에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의 집진케이싱용 분리판.
KR1020010088432A 2001-12-29 2001-12-29 진공청소기의 집진케이싱용 분리판 및 그것을 이용한집진케이싱 KR10057287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88432A KR100572873B1 (ko) 2001-12-29 2001-12-29 진공청소기의 집진케이싱용 분리판 및 그것을 이용한집진케이싱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88432A KR100572873B1 (ko) 2001-12-29 2001-12-29 진공청소기의 집진케이싱용 분리판 및 그것을 이용한집진케이싱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58049A KR20030058049A (ko) 2003-07-07
KR100572873B1 true KR100572873B1 (ko) 2006-04-24

Family

ID=322159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88432A KR100572873B1 (ko) 2001-12-29 2001-12-29 진공청소기의 집진케이싱용 분리판 및 그것을 이용한집진케이싱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72873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58049A (ko) 2003-07-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550352B2 (ja) 真空掃除機のサイクロン集塵装置
KR100390608B1 (ko) 진공청소기의 사이클론 집진장치
US6732406B2 (en) Upright type vacuum cleaner
US6502278B2 (en) Upright type vacuum cleaner having a cyclone type dust collector
RU2228704C2 (ru) Пылесборник для использования в пылесосе и основной корпус пылесоса с таким пылесборником
KR100377015B1 (ko) 진공청소기의 사이클론 집진장치
KR100483554B1 (ko) 진공청소기용 사이클론 집진장치
US20010042283A1 (en) Upright type vacuum cleaner having a cyclone type dust collector
US20060117723A1 (en) Cyclone dust-separating apparatus
JP2002051947A (ja) 真空掃除機のサイクロン集塵装置
KR100448544B1 (ko) 진공청소기
KR100678673B1 (ko) 진공청소기용 싸이클론장치
KR100437374B1 (ko) 진공청소기의 사이클론 집진장치
KR100540439B1 (ko) 진공청소기의 집진케이싱
KR100437156B1 (ko) 사이클론 집진장치를 가지는 업라이트형 진공청소기
KR100578332B1 (ko) 진공청소기의 집진케이싱용 분리판 및 그것을 이용한집진케이싱
KR100657922B1 (ko) 진공청소기
KR100572873B1 (ko) 진공청소기의 집진케이싱용 분리판 및 그것을 이용한집진케이싱
KR20020001095A (ko) 사이클론 집진장치를 갖는 업라이트형 진공청소기
KR100593619B1 (ko) 진공청소기용 사이클론 집진장치
KR100444321B1 (ko) 사이클론 집진장치를 갖는 진공청소기
KR100582063B1 (ko) 진공청소기용 집진케이싱
KR100459131B1 (ko) 싸이클론 집진 장치
KR20060018009A (ko) 진공청소기의 집진어셈블리
KR100582061B1 (ko) 진공청소기용 집진유니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