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96612B1 - 로봇 진공 청소기용 먼지 케이스 - Google Patents
로봇 진공 청소기용 먼지 케이스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296612B1 KR102296612B1 KR1020190131534A KR20190131534A KR102296612B1 KR 102296612 B1 KR102296612 B1 KR 102296612B1 KR 1020190131534 A KR1020190131534 A KR 1020190131534A KR 20190131534 A KR20190131534 A KR 20190131534A KR 102296612 B1 KR102296612 B1 KR 102296612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rotrusion
- dust
- case
- perforation
- cover piece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10—Filters; Dust separators; Dust removal; Automatic exchange of filters
- A47L9/14—Bags or the like; Rigid filtering receptacles; Attachment of, or closures for, bags or receptacles
- A47L9/1409—Rigid filtering receptacle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10—Filters; Dust separators; Dust removal; Automatic exchange of filters
- A47L9/14—Bags or the like; Rigid filtering receptacles; Attachment of, or closures for, bags or receptacles
- A47L9/1427—Means for mounting or attaching bags or filtering receptacles in suction cleaners; Adapters
- A47L9/1463—Means for mounting or attaching bags or filtering receptacles in suction cleaners; Adapters specially adapted for rigid filtering receptacle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10—Filters; Dust separators; Dust removal; Automatic exchange of filters
- A47L9/14—Bags or the like; Rigid filtering receptacles; Attachment of, or closures for, bags or receptacles
- A47L9/149—Emptying means; Reusable bag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2201/00—Robotic cleaning machines, i.e. with automatic control of the travelling movement or the cleaning oper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ilters For Electric Vacuum Clea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로봇 청소기용 먼지 케이스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로봇 진공 청소기용 먼지 케이스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진공 로봇 청소기용 먼지 케이스는 상면이 개방되고, 먼지 유입구가 형성된 경사부를 가지는 일 측면을 통해서 먼지가 유입되어 저장되는 용기형 하부 케이스와, 상기 용기형 하부 케이스의 개방된 상면을 커버하고, 하부 케이스의 상면을 통해서 공기를 흡입하고, 먼지를 걸러서 일 측면에 형성된 공기 배출구를 통해서 배출하는 상부 커버 케이스와, 상기 용기형 하부 케이스의 경사부의 내측면에 먼지유입구의 상부에 회동가능하게 고정되어 유입된 먼지가 유출되지 못하도록 유입구를 커버하고, 공기의 흡입시 개방되는 먼지 유입구 커버를 가지며, 여기서, 상기 경사부의 내측면에는 먼지 유입구의 상단 양측에 천공 돌기부가 형성되고, 상기 먼지 유입구 커버는 먼지 유입구를 가지는 커버편과, 상기 커버편의 일측 상단에 돌출되는 제1 돌기부와, 상기 커버편의 타측 상단에 돌출되는 제2 돌기부를 가지며, 상기 커버편은 제1 돌출부와 제2 돌기부를 양측의 천공 돌기부에 굽혀서 삽입할 수 있도록 연질의 플라스틱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진공 로봇 청소기용 먼지 케이스는 상면이 개방되고, 먼지 유입구가 형성된 경사부를 가지는 일 측면을 통해서 먼지가 유입되어 저장되는 용기형 하부 케이스와, 상기 용기형 하부 케이스의 개방된 상면을 커버하고, 하부 케이스의 상면을 통해서 공기를 흡입하고, 먼지를 걸러서 일 측면에 형성된 공기 배출구를 통해서 배출하는 상부 커버 케이스와, 상기 용기형 하부 케이스의 경사부의 내측면에 먼지유입구의 상부에 회동가능하게 고정되어 유입된 먼지가 유출되지 못하도록 유입구를 커버하고, 공기의 흡입시 개방되는 먼지 유입구 커버를 가지며, 여기서, 상기 경사부의 내측면에는 먼지 유입구의 상단 양측에 천공 돌기부가 형성되고, 상기 먼지 유입구 커버는 먼지 유입구를 가지는 커버편과, 상기 커버편의 일측 상단에 돌출되는 제1 돌기부와, 상기 커버편의 타측 상단에 돌출되는 제2 돌기부를 가지며, 상기 커버편은 제1 돌출부와 제2 돌기부를 양측의 천공 돌기부에 굽혀서 삽입할 수 있도록 연질의 플라스틱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로봇 청소기용 먼지 케이스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로봇 진공 청소기용 먼지 케이스에 관한 것이다.
로봇 진공 청소기는 보통 납작한 원통형태의 외양을 가진 제품으로서, 외부 환경을 인식하는 센서와 내장된 데이터를 이용하여 충전된 전기를 이용하여 스스로 방안을 돌아다니면서, 하면에 부착된 회전 또는 원통형 브러쉬를 이용해서 바닥에 떨어져 있는 작은 쓰레기나 먼지를 먼지 유입구가 형성된 먼지통 또는 먼지케이스로 집어넣는 구조를 가진다.
회전 또는 원통형 브러쉬의 동작만으로는 바닥의 쓰레기나 먼지를 깨끗하게 청소하기 어렵기 때문에, 진공 청소기 몸체의 내부에 진공 모터를 장착하고, 먼지 케이스에 배출구를 형성하여, 이를 연결시켜 사용하게 된다. 먼지통 배출구에는 먼지의 배출을 막기 위한 필터가 형성되고, 먼지 유입구에는 먼지의 역류를 막기 위한 먼지 유입구용 덮개가 부착된다. 이러한 먼지 유입구용 덮개는 진공 모터의 작동시에만 열리고 진공 모터가 작동하지 않을 경우에는 닫히는 체크밸브형태를 가지게 된다.
대한민국 특허공개 10-2011-0053765호에서는 도 1 및 도 2에서와 같은 먼지 케이스를 개시한다. 진공 로봇 청소기의 먼지케이스의 측면에 위치하는 필터 유닛의 전면에 배치되는 제1 필터와, 필터 유닛의 후면에 배치되는 제2 필터와, 필터 유닛의 측면에 배치되는 바이패스 필터를 포함하고, 먼지 유입구에는 힌지 구동되는 체크밸브가 형성되어 먼지통에 들어 있는 먼지가 역으로 배출되는 것을 방지한다.
삼성전자의 특허 제1292537호에서는 도 3에서와 같이, 먼지 등의 포집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구조를 구비한 로봇청소기를 개시한다. 이러한 구조의 청소기는 먼지를 흡입하기 위한 흡입구가 형성된 본체와, 상기 흡입구 측에 마련되어 먼지를 쓸거나 비산시키기 위한 회전브러쉬와, 상기 본체 내에 마련되어 흡입력을 발생시키는 송풍장치와, 상기 흡입구로 흡입된 먼지를 수용하기 위한 포집부를 가지는 집진장치와, 상기 집진장치에 마련되어 상기 송풍장치의 구동과 연동하여 상기 포집부의 입구를 개폐하는 역류방지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역류방지부재는 상기 송풍장치 작동 시, 상기 송풍장치의 흡입력에 의해 공기의 흡입 방향으로 회동하여 상기 포집부의 입구를 개방하는 열림 상태를 유지함으로써 먼지가 상기 집진장치 내로 흡입되도록 하고, 상기 송풍장치 정지 시, 상기 포집부의 입구를 폐쇄하는 닫힘 상태를 유지함으로써 상기 집진장치 내의 먼지가 상기 흡입구를 통해 배출되는 것을 방지하며, 상기 송풍장치가 정지하여 상기 역류방지부재가 상기 닫힘 상태일 때, 상기 역류방지부재는 상기 포집부의 하면에 대하여 경사진 방향을 유지한다.
하지만, 로봇 진공 청소기의 경우, 청소기가 걸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납작한 원통형 몸체를 가지며, 본체에 배터리와 먼지 케이스를 위한 공간이 필요하고, 자동 이동을 위한 구동장치가 필요하기 때문에, 고출력의 모터를 장착하기 어려워 일반 청소기와 같은 강한 진공을 사용하기 어려운 실정이다. 이로 인해 먼지 유입구에 체크밸브형 덮개를 설치할 경우, 약한 진공에 의해서 체크 밸브형 덮개가 충분히 열리지 않게 되어, 체크 밸브형 덮개가 오히려 먼지의 유입을 막는 장애물로 작용하게 되는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 상대적으로 강한 모터를 장착하더라도, 먼지의 유입구가 설치된 측면과 대향하는 타측면에 배출구가 형성되어, 진공 모터에 의해서 공기가 유입되는 방향과 공기가 배출되는 방향이 평행하게 되어, 덮개가 충분히 개방되지 않는 문제가 해결되지 않게 된다.
또한, 먼지 케이스에 먼지가 쌓이게 되면, 케이스 내부의 먼지들이 체크 밸브형 덮개와 덮개의 회동이 가능하도록 하는 힌지등에 부착되어 덮개가 잘 닫히지 않는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서는 정기적인 분리 및 청소가 필요한데, 기존 덮개들은 소비자가 쉽게 분해하기 어렵다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역류 방지 부재를 청소한 후 다시 장착할 수 있는 구조에 대한 요구가 계속되고 있다.
본 발명에서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로봇 진공 청소기의 약한 출력에도 붉하고 먼지 유입구의 개방도를 높일 수 있는 새로운 로봇 진공 청소기용 먼지 케이스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과제는 소비자가 쉽게 분리하고 청소할 수 있는 덮개를 가지는 새로운 로봇 진공 청소기용 먼지 케이스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 해결하고자 하는 또 다른 과제는 새로운 먼지 케이스를 가지는 로봇 진공 청소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 해결하고자 하는 또 다른 과제는 청소가 쉽고 설치가 간편한 새로운 먼지 케이스용 덮개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에 따른 진공 로봇 청소기용 먼지 케이스는
상면이 개방되고, 일 측면에 먼지 유입구가 형성된 하부 케이스와,
하면이 개방되고, 일 측면에 공기 배출구가 형성된 상부 케이스와,
상부 케이스의 하면에 삽착되는 먼지 필터부와,
상기 용기형 하부 케이스의 내측면에 먼지유입구의 상부에 형성된 천공 돌기와, 먼지 유입구를 커버하는 덮개편과, 상기 덮개편의 일측에서 돌출되는 일측 돌기와, 및 상기 덮개편의 타측에서 돌출되는 타측 돌기를 가지며, 일측 돌기와 타측 돌기가 천공 돌기에 삽입되어 회동하는 먼지 덮개부를 포함하고, 여기서, 상기 덮개편은 일측 돌기를 하나의 천공돌기에 삽입한 후 타측 돌기를 다른 천공돌기에 삽입하기 위해서 굽혀질 수 있는 플라스틱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일측 돌기는 천공 돌기에 삽입 후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낙시 바늘 형태로 구부러져 돌출되는 곡선형 돌추부이며, 타측 돌기는 일측 돌기가 고정된 후 몸체편이 굽혀진 상태에서 천공 돌기를 일측에서 타측으로 관통하여 돌출될 수 있는 막대형 돌출부일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하부 케이스와 상기 커버 케이스는 결합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하부 케이스에 형성된 먼지 유입구와 상부 케이스에 형성된 먼지 배출구가 동일한 측면에 위치하도록 힌지에 의해 결합된 케이스일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먼지 케이스는 모터에 의해서 진공이 걸리면, 상부 케이스의 일측에 형성된 공기 배출구를 통해서 상부 케이스 내부에 진공이 걸리게 되고, 상부 케이스의 하면에 설치되는 먼지 필터를 통해서 하부 케이스 내부에 진공이 걸리게 된다. 이로 인해, 하부 케이스에 일측에 부착된 먼지 덮개부가 오픈되면서 먼지가 유입되도록 구동한다. 또한, 모터의 정지되면, 하부 케이스의 먼지 유입구와 하부 케이스 내부와 먼지 필터와 상부 케이스 내부와 상부 케이스의 공기 배출구로 이어지는 공기의 흐름이 멈추면서, 하부 케이스에 일측에 부착된 먼지 덮개부가 닫히게 된다.
본 발명은 일 측면에서, 직사각형 형상의 플라스틱 덮개편과, 상기 덮개편의 일측 상단에서 길이방향으로 돌출된 일측 돌기와 상기 덮개편의 타측 상단에서 길이 방향으로 돌출된 타측 돌기를 가지며,
여기서, 상기 일측 돌기는 낙시형 돌출편이며, 상기 타측돌기는 막대형 돌출편이며, 낙시형 돌출편과 막대형 돌출편은 덮개편과 동일한 재질 및 두께로 이루어진 투명 플라스틱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먼지 덮개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 따른 로봇 청소기용 먼지 케이스는 상부 케이스의 하면에 삽착되는 먼지 필터를 통해서 공기가 흐르게 되므로, 하부 케이스에서 덮개가 열리는 방향과 공기가 흘러나가는 방향이 직각을 이루게 되어 약한 진공에도 덮개가 쉽게 열릴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로봇 청소기용 먼지 케이스는 덮개편의 몸체를 굽혀서 손쉽게 탈착 및 장착할 수 있어 사용자가 손쉽게 세척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먼지 케이스를 보여주는 측단면도이다.
도 2는 상기 도 1의 먼지 케이스의 측단면도이다.
도 3은 다른 종래 기술에 따른 먼지 케이스를 보여주는 측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에 따른 먼지 케이스가 닫힌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에 따른 먼지 케이스가 열린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에 따른 먼지 덮개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에 따른 먼지 케이스가 모터에 의해서 동작하는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는 상기 도 1의 먼지 케이스의 측단면도이다.
도 3은 다른 종래 기술에 따른 먼지 케이스를 보여주는 측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에 따른 먼지 케이스가 닫힌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에 따른 먼지 케이스가 열린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에 따른 먼지 덮개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에 따른 먼지 케이스가 모터에 의해서 동작하는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이하, 실시예를 통해서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한정하기 위한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임을 유의하여야 한다.
도 4 및 도 5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로봇 진공 청소기 먼지통(10)은 납작한 원통형 로봇 진공 청소기의 일측에 삽입되는 것으로서, 로봇 진공 측면의 외측면을 이루면서 먼지 케이스(100)을 로봇 진공 청소기에 결합시키기 위한 원호결합부(200)와, 진공 로봇 청소기에 의해서 청소된 쓰레기나 먼지가 저장되는 먼지 케이스(100)으로 이루어진다.
먼지 케이스(100)는 상면(111)이 개방되고, 상단에 경사면(112)를 가지며 경사면(112)에 먼지 유입구(113)가 형성된 유입 측면(114)을 가지는 하부 케이스(110)와,
하면(121)이 개방되고, 공기 배출구(122)가 형성된 배출 측면(123)을 가지는 상부 케이스(120)와,
상부 케이스(120)의 하면(121)에 삽착되어 상부 케이스의 하면 전체를 막아서, 상부 케이스(120)와 하부케이스(110)을 공간적으로 분리시키는 먼지 필터부(130)와,
상기 하부 케이스(110)의 유입 측면(114)의 경사면(112)의 내측면에 돌출되어 먼지유입구(113)의 상부에 위치하는 다수의 천공돌기들로 이루어지며, 천공돌기에 형성된 천공구가 일렬로 정렬되어 회동축을 이루는 천공 돌기부(140)와,
먼지 유입구(113)를 커버하는 덮개편(151)과, 상기 덮개편(151)의 일측에서 돌출되는 일측 돌기(152)와, 및 상기 덮개편(151)의 타측에서 돌출되는 타측 돌기(153)를 가지며, 일측 돌기(152)와 타측 돌기(153)가 천공 돌기(140)에 각각 삽입되어 회동하는 먼지 덮개부(150)로 이루어진다.
하부 케이스(110)는 전체적으로 납작한 직육면체 형태의 용기를 이루며, 상면(110) 및 먼지 유입구(113)이 형성된 유입 측면(114)를 제외하고는 다른 측면들과 바닥면(116)은 전부 막혀 있다.
하부 케이스(110)의 외면에는 먼지통(10)이 로봇 진공 청소기의 본체 내부로 슬라이딩되어 삽입될 수 있도록 양측면에 삽입 방향으로 수평 연장된 수평 돌기편(도시되지 않음)들이 높이를 따라서 다수 형성될 수 있다.
하부 케이스(110)의 유입 측면(114)은 원호결합부(200)에 대향하여 형성된다. 유입 측면(114)에서 경사면(112)은 상단에 형성되어, 먼지 유입구(113)은 직사각형 형태로 수평하게 형성된다. 먼지 유입구(113)을 통해서 들어오는 먼지나 쓰레기는 하부 케이스(110)에서 먼지 유입구(113) 보다 낮은 부분에 가라앉아 쌓이게 된다.
상부 케이스(120)는 하부 케이스(110)의 측면들이 이루는 직사각형 형상의 테두리에 상응하여, 측면들이 이루는 직사각형 형상의 테두리를 가진다. 이에 따라서, 상부 케이스(120)로 하부 케이스(110)를 덮으면, 측면들이 이루는 테두리들이 밀착하게 된다.
상부 케이스의 두께는 하부 케이스(110)보다 더 납작하지만, 먼지 필터부(130)보다는 더 두껍게 형성된다. 이에 따라, 상부 케이스(120)이 하면에 먼지 필터부(130)의 하면이 일치하도록 삽착시키면, 먼지 필터부(130)와 상부 케이스(120) 사이에 공기가 흐르는 공간(S)이 형성된다. 상부 케이스(120)에서 배출 측면(123)에 형성된 공기 배출구(122)는 수평 방향으로 직사각형 형태로 길게 형성된다.
먼지 케이스(100)는 상부 케이스(120)와 하부 케이스(110)는 일측이 힌지(140)에 의해서 결합되어, 서로 결합된 상태에서 개폐된다. 덮힌 상태에서 먼지 케이스(100)는 전체적으로 직육면체 형태를 이루며, 유입측면(114)과 배출 측면(123)은 하나의 측면을 이루어, 결과적으로 일측면의 하단에 유입구(113)가 형성되고, 상단에 공기 배출구(122)가 형성된다.
공기 필터부(130)은 직육면체 형태의 필터 부재(131)과 상기 필터 부재(131)를 상부 케이스(120)의 하면에 삽착하기 위한 필터 브라켓(132)로 이루어진다. 필터브라켓(132)는 중심부에 필터 부재(131)이 삽착되는 홈이 형성되고 상부 케이스(120)의 하면에 상응하는 테두리를 가진다. 공기 필터부(130)이 삽착되면, 상부 케이스(120)의 하면을 밀폐시켜, 하부 케이스(110)에서 상부 케이스(120)로 필터 부재(131)을 통해서만 공기가 이동할 수 있게 된다.
필터 부재(131)의 두께는 상부 케이스(120)의 두께보다 적기 때문에, 상부 케이스의 내부에는 공기가 흘러갈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되고, 진공에 의해서 필터 부재(131)를 통과한 공기는 필터 부재(131)와 상부케이스(120)의 사이의 공간을 통해서 상부 케이스(120)의 배출 측면에 형성된 배출구를 통해서 빠져나가게 된다.
먼지 덮개부(150)은 먼지통 내부로 들어온 먼지가 로봇 진공 청소기의 이동 과정에서 다시 흘러나오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형성되며, 천공 돌기(140)에 삽입되어 회동하는 덮개편(151)은 로봇 진공 청소기의 좁은 공간에 설치된 약한 진공 모터에 의해서 발생되는 약한 진공에 의해서도 쉽게 움직일 수 있도록, 상대적으로 무게가 가벼운 플라스틱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플라스틱으로 이루어진 덮개편(151)은 상부 케이스(120)를 열지 않고 먼지통의 내부를 볼 수 있도록, 투명한 플라스틱 소재로 이루어지며, 먼지가 달라덮개편이나 돌기들에 달라 붙어 진공에 의한 회동을 방해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대전 방지된 플라스틱을 사용한다. 추가로 덮개편(151)은 일측 돌기를 삽입한 후 타측돌기에 삽입하는 과정에서 굽혀질 때 부러지지 않는 플라스틱을 사용한다. 삽입과정에서 굴곡을 견딜 수 있으며, 투명하고, 먼지가 달라붙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제한하는 것은 아니지만, 대전방지된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이나 폴리스티렌, 폴리카보네이트, 투명 ABS으로 이루어진 두께 1 mm 이하의 박막편을 사용할 수 있다.
덮개편(151)은 수평으로 형성된 직사각형 형태의 먼지 유입구(113)를 커버할 수 있도록, 직사각형 형태를 이루며, 상기 덮개편(151)이 일측의 상단에 길이 방향으로 낙시형으로 돌출된 일측 돌기(152)와, 상기 덮개편(151)의 타측의 상단에 일측 돌기(152)와 반대 방향으로 막대형으로 돌출된 타측 돌기(153)를 가지며, 여기서 일측 돌기(152)와 타측돌기(153)는 회동축을 이루도록 돌출되며, 일측 돌기(152)와 타측 돌기(153)는 하나의 플라스틱 판재에서 동시에 잘라내어 편리하게 제작할 수 있도록 덮개편(151)과 동일한 재질과 두께로 일체로 이루어진다.
천공돌기부(140)는 수평하게 형성된 직사각형 형태의 먼지 유입구(113)의 상부에 양측에 돌출된 제1 천공돌기(141)과 제2 천공돌기(142)로 이루어진다. 제1 천공 돌기(141)에 형성된 제1 천공(141')와 제2 천공돌기(142)에 형성된 제2 천공(142')는 일직선을 이루며, 제1 천공 돌기(141)와 제2 천공돌기(142)의 간격은 덮개편(151)의 길이보다는 크고, 일측돌기(151)가 돌출된 덮개편(151)의 측면에서부터 타측돌기(153)의 말단 사이의 간격보다는 작게 형성된다.
일측 돌기(152)가 제1 천공돌기(141)에 형성된 제1 천공(141')에 U턴 형태로 말단에서부터 삽입하면, 제1 천공돌기(141)과 제2 천공 돌기(142) 사이의 간격보다 일측 돌기(151)가 돌출된 덮개편(151)의 측면에서부터 타측돌기(153)의 말단까지의 길이가 더 크기 때문에, 타측돌기(153)를 제2 천공(142')에 삽입하기 위해서 직사각형의 덮개편(151)를 구부린 후 타측돌기(153)의 말단에서부터 삽입하게 된다.
일측 돌기(152)와 타측돌기(153)이 각각 제1 천공(141')와 제2 천공(142')에 삽입된 후에는, 덮개편(151)이 별도의 힌지가 없이 제1 천공(141')과 제2 천공(142')을 따라서 형성된 가상의 회동축을 따라서 힌지가 있는 것처럼 회동이 가능하게 된다.
도 6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먼지통(10)이 원통형 로봇 진공 청소기에 삽입하면, 먼지 유입구(113)는 로봇 진공 청소기의 바닥면에 형성된 쓰레기 유입 통로와 연통되어 바닥의 먼지와 쓰레기가 유입되고, 공기 배출구(122)는 로봇 진공 청소기의 내부에 위치한 모터 연결통로와 연통되어, 모터의 작동에 의해서 먼지가 여과된 공기가 배출된다.
모터가 작동하면, 모터 연결 통로에 진공이 형성되고, 상부 케이스(120)의 배출 측면(123)에 형성된 공기배출구(122)를 통해서 상부 케이스(120)의 내부에 진공이 형성된다. 상부 케이스(120)의 내부에 진공이 형성되면, 상부케이스(120)의 하면에 삽착된 공기필터부(130)를 통해서 필터링된 공기가 유입되게 되며, 결국 하부케이스(110)의 상면을 통해서 공기가 빠져나가게 된다. 이로 인해, 하부 케이스(110)의 유입 측면(114)에서 경사면(112)에 경사진 상태로 덮혀있는 먼지 덮개부(150)의 덮개편(151)은 하부케이스(110)의 상면방향으로 형성된 공기의 흐름을 따라서 상부 방향으로 힘을 받게 된다. 이로 인해, 덮개편(151)은 양측 상단에 형성된 일측 돌기(152)와 타측 돌기(153)이 각각 제1 천공(141')과 제2 천공(142')에 삽입된 상태에서 회동하여 오픈된다. 모터의 작동이 멈추면, 하부케이스(110)에서 상면에 위치한 공기필터부(130)을 통해서 공기가 빠져나가지 않게 되므로, 하부 케이스(110)의 상면 방향으로 형성된 공기흐름이 차단되어, 상부 방향으로의 끌어올리는 힘이 없어지게 되며, 덮개편(151)은 중력에 의해서 회동하면서 경사면(112)에 밀착되어, 먼지가 빠져 나가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먼지통(10)에 먼지가 쌓이면, 상부 케이스(120)를 열어서 하부 케이스(110)에 담겨있는 먼지를 버린 후 세척하고, 덮개편(151)이 잘회동되지 않으면, 덮개편(151)을 구부려 타측 돌기(153)를 제2 천공(142')에서 빼낸 후, 일측 돌기(152)를 U 턴 형태로 돌려서 제1 천공(141')에 빼낸 후 세척하고, 역순으로 다시 끼워넣어 준다. 이를 통해서, 덮개편(151)의 원활한 회동을 확보할 수 있게 된다.
10: 먼지통
100: 먼지 케이스
110: 하부케이스
111: 상면
112: 경사면
113: 먼지 유입구
114: 유입 측면
120: 상부 케이스
121; 하면
122: 공기 배출구
123: 배출 측면
130: 먼지필터부
140: 천공돌기부
150: 먼지 덮개부
151: 덮개편
152: 일측 돌기
153: 타측 돌기
200: 원호결합부
300: 먼지 유입구 커버
310: 직사각형 커버편
320: 제1 돌기편
330: 제2 돌기편
100: 먼지 케이스
110: 하부케이스
111: 상면
112: 경사면
113: 먼지 유입구
114: 유입 측면
120: 상부 케이스
121; 하면
122: 공기 배출구
123: 배출 측면
130: 먼지필터부
140: 천공돌기부
150: 먼지 덮개부
151: 덮개편
152: 일측 돌기
153: 타측 돌기
200: 원호결합부
300: 먼지 유입구 커버
310: 직사각형 커버편
320: 제1 돌기편
330: 제2 돌기편
Claims (5)
- 일측에 청소기의 몸체를 이루는 원호 결합부(200)가 형성되고, 상면(111)이 개방되고, 상단에 경사면(112)를 가지며 경사면(112)에 먼지 유입구(113)가 형성된 유입 측면(114)을 가지며, 하면과 타측면이 막혀있는 하부 케이스(110)와,
하면(121)이 개방되고, 공기 배출구(122)가 형성된 배출 측면(123)을 가지며 상면과 타측면이 막혀있는 상부 케이스(120)와,
상부 케이스(120)의 하면(121)에 삽착되어 상부 케이스(120)와 하부케이스(110)을 분리시키는 먼지 필터부(130)와,
상기 하부 케이스(110)의 유입 측면(114)의 경사면(112)의 내측면에 돌출되어 먼지유입구(113)의 상부에 위치하는 다수의 천공돌기들로 이루어지며, 천공돌기에 형성된 천공구가 일렬로 정렬되어 회동축을 이루는 천공 돌기부(140)와, 및
먼지 유입구를 커버하는 덮개편(151)과, 상기 덮개편의 일측에서 돌출되는 일측 돌기(152)와, 및 상기 덮개편의 타측에서 돌출되는 타측 돌기(153)를 가지며, 일측 돌기와 타측 돌기가 천공 돌기에 삽입되어 회동하는 먼지 덮개부(150)를 포함하고,
여기서, 상기 덮개편은 일측 돌기를 하나의 천공돌기에 삽입한 후 타측 돌기를 다른 천공돌기에 삽입하기 위해서 굽혀질 수 있는 플라스틱 덮개편이며, 그리고 상하 회동 범위가 하단은 하부케이스(112)의 경사면이며, 상단은 필터부의 수평한 하면에 의해서 제한되며,
공기와 먼지가 하부케이스(100)의 경사진 유입 측면(114)을 통해 유입되고, 먼지는 하부케이스(100)의 하단에 모집되고, 공기는 수평하기 위치한 필터부(130)를 거쳐 통과한 후, 배출측면으로 배출되며,
먼지케이스(100)일측에 납작한 원통형 청소기의 몸체를 이루는 원호 결합부(200)가 형성되고, 원통형 청소기의 측면에서 삽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 로봇 청소기용 먼지 케이스.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일측 돌기는 천공 돌기에 삽입 후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낙시 바늘 형태로 구부러져 돌출되는 곡선형 돌추부이며, 타측 돌기는 일측 돌기가 고정된 후 몸체편이 굽혀진 상태에서 천공 돌기를 일측에서 타측으로 관통하여 돌출될 수 있는 막대형 돌출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 로봇 청소기용 먼지 케이스.
-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천공 돌기부는 제1 천공돌기와 제2 천공 돌기로 이루어지며,
상기 덮개편은 상기 일측 돌기와 타측돌기가 각각 제1 천공 돌기와 제2 천공돌기에 각각 결합되어, 별도의 힌지가 없이 제1 천공돌기의 제1 천공과 제2 천공돌기의 제2천공을 따라서 형성된 가상의 회동축을 따라서 회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 로봇 청소기용 먼지 케이스.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편은 일측 돌기를 제1 천공에 삽입하고, 덮개편을 굴곡시켜 타측 돌기를 제2 천공에 삽입하여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 로봇 청소기용 먼지 케이스. - 삭제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131534A KR102296612B1 (ko) | 2019-10-22 | 2019-10-22 | 로봇 진공 청소기용 먼지 케이스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131534A KR102296612B1 (ko) | 2019-10-22 | 2019-10-22 | 로봇 진공 청소기용 먼지 케이스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10048014A KR20210048014A (ko) | 2021-05-03 |
KR102296612B1 true KR102296612B1 (ko) | 2021-09-02 |
Family
ID=759109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90131534A KR102296612B1 (ko) | 2019-10-22 | 2019-10-22 | 로봇 진공 청소기용 먼지 케이스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296612B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GB2620164A (en) * | 2022-06-29 | 2024-01-03 | Dyson Technology Ltd | Dirt separator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13144022A (ja) * | 2012-01-13 | 2013-07-25 | Sharp Corp | 集塵装置およびそれを備えた自走式掃除機〔1〕 |
KR101352314B1 (ko) | 2009-07-06 | 2014-01-15 | 엘지전자 주식회사 | 로봇 청소기 |
KR101476216B1 (ko) * | 2014-04-14 | 2014-12-24 | 엘지전자 주식회사 | 침구 청소기 |
Family Cites Familie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80087596A (ko) * | 2007-03-27 | 2008-10-01 | 삼성전자주식회사 | 로봇청소기 |
-
2019
- 2019-10-22 KR KR1020190131534A patent/KR102296612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352314B1 (ko) | 2009-07-06 | 2014-01-15 | 엘지전자 주식회사 | 로봇 청소기 |
JP2013144022A (ja) * | 2012-01-13 | 2013-07-25 | Sharp Corp | 集塵装置およびそれを備えた自走式掃除機〔1〕 |
KR101476216B1 (ko) * | 2014-04-14 | 2014-12-24 | 엘지전자 주식회사 | 침구 청소기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10048014A (ko) | 2021-05-03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RU2304424C1 (ru) | Пылесос (варианты) | |
US7381236B2 (en) | Cyclone dust-separating apparatus | |
KR100512624B1 (ko) | 싸이클론 집진유닛 및 집진유닛의 필터구조 | |
EP2030543B1 (en) | Stick type vacuum cleaner | |
US8951319B2 (en) | Air cleaner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 |
US7682414B2 (en) | Dust collecting unit for use in cleaner | |
EP1652458A2 (en) | Dust collection unit for vacuum cleaner | |
JP2001029288A (ja) | 電気掃除機 | |
JP2004249067A (ja) | 真空掃除機用集塵容器 | |
JP3809607B2 (ja) | 電気掃除機 | |
KR102296612B1 (ko) | 로봇 진공 청소기용 먼지 케이스 | |
KR100572882B1 (ko) | 진공청소기의 집진통 | |
KR100692577B1 (ko) | 진공 청소기용 필터감지장치 | |
JP4428031B2 (ja) | 空気調和機 | |
JP2008011985A (ja) | 集塵容器および電気掃除機 | |
JP2008022932A (ja) | 電気掃除機 | |
JP6985245B2 (ja) | 空気清浄機 | |
JP2004024887A (ja) | 電気掃除機 | |
KR100692552B1 (ko) | 진공 청소기의 먼지통 | |
JP2006214721A (ja) | 空気調和機 | |
KR100553043B1 (ko) | 진공 청소기의 집진유닛 | |
JP2011055974A (ja) | 電気掃除機 | |
JP4269315B2 (ja) | 電気掃除機 | |
KR101476436B1 (ko) | 공기 청정기 | |
JP4550028B2 (ja) | 電気掃除機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