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52194B1 - 커넥터의 탑재 구조 - Google Patents

커넥터의 탑재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52194B1
KR101352194B1 KR1020080085232A KR20080085232A KR101352194B1 KR 101352194 B1 KR101352194 B1 KR 101352194B1 KR 1020080085232 A KR1020080085232 A KR 1020080085232A KR 20080085232 A KR20080085232 A KR 20080085232A KR 101352194 B1 KR101352194 B1 KR 10135219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or
mounting
tray
substrate
shaped hol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852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23289A (ko
Inventor
유키노부 유미타
히데아키 이토
Original Assignee
니혼 덴산 산쿄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니혼 덴산 산쿄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니혼 덴산 산쿄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900232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2328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521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5219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7/00Constructional details common to different types of electric apparatus
    • H05K7/02Arrangements of circuit components or wiring on supporting structure
    • H05K7/12Resilient or clamping means for holding component to structur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Structures Of Non-Positive Displacement Pumps (AREA)

Abstract

과제
기판 등의 전기 부품과의 전기적인 접속을 실시하기 위한 커넥터를 지지 부재 상에 탑재함에 있어서 전기 부품의 주위에 공간적인 여유를 확보할 수 있고, 나아가서는 포팅 수지에 의한 전기 부품이 봉하여 막히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커넥터의 탑재 구조를 제공하는 것.
해결 수단
펌프 장치 (1) 에 있어서, 트레이상 홀더 (60) 에 유지된 기판 (75) 에 대한 중계용 암커넥터 (80) 를 트레이상 홀더 (60) 에 탑재하고, 암커넥터 (80) 와 기판 (75) 을 리드선 (89) 에 의해 접속한다. 기판 (75) 은 암커넥터 (80) 보다 낮은 위치에서 트레이상 폴더 (60) 에 수커넥터의 장착 방향과 평행 또는 대략 평행한 자세로 유지되어 있고, 기판 (75) 은 트레이상 홀더 (60) 에 포팅된 수지 (9) 에 의해 봉하여 막혀져 있다.
커넥터, 탑재 구조.

Description

커넥터의 탑재 구조{MOUNTING STRUCTURE FOR CONNECTOR}
본 발명은 수형 또는 암형 커넥터의 지지 부재에 대한 탑재 구조에 관한 것이다.
모터를 구비한 기기 등에서는, 스테이터에 대한 급전 등을 실시하기 위한 기판에 대해서는 커넥터를 개재하여 외부로부터 급전된다. 이러한 커넥터는 수커넥터와 암커넥터로 구성되어 있고, 통상적으로는 단자가 부착된 종치 타입의 암커넥터를 기판 상에 직접 실장하는 경우가 많다 (특허 문헌 1 참조).
[특허 문헌 1] 일본 공개특허공보 평11-37088호
그러나, 단자가 부착된 종치 타입의 암커넥터를 기판 상에 직접 실장하면, 기판의 상방에서는 리드선이 접속된 수커넥터를 결합시킬 필요가 있기 때문에, 예를 들어 기판에 있어서, 단자가 부착된 암커넥터가 실장되어 있는 면측에 모터의 로터가 위치하는 경우, 리드선이 로터와 접촉할 우려가 있다. 또, 펌프 장치와 같은 경우, 기판이 젖지 않도록 기판을 커버로 덮을 필요 등이 있으나, 단자가 부착된 종치 타입의 암커넥터를 사용한 경우, 기판의 상방에서는 리드선이 접속된 수커넥터를 결합시킬 필요가 있기 때문에 기판을 커버로 덮는 것은 용이하지 않다.
그래서, 단자가 부착된 횡치 타입의 암커넥터의 사용을 생각할 수 있는데, 이러한 타입의 암커넥터는 기판상에서 넓은 면적을 점유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 단자가 부착된 횡치 타입의 암커넥터를 사용한 경우, 커버 대신에 포팅된 수지로 봉하여 막으려는 경우, 높이 치수가 부족하여 수커넥터와의 결합 부분에 수지로 덮인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상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본 발명의 과제는 기판 등의 전기 부품과의 전기적인 접속을 실시하기 위한 커넥터를 지지 부재 상에 탑재함에 있어서 전기 부품의 주위에 공간적인 여유를 확보할 수 있고, 나아가서는 포팅 수지에 의한 전기 부품이 봉하여 막히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커넥터의 탑재 구조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에서는 수형 및 암형 중 일방으로 구성 된 제 1 커넥터의 지지 부재에 대한 탑재 구조에 있어서, 상기 제 1 커넥터는 수형 및 암형 중 타방으로 구성된 제 2 커넥터가 장착되는 결합부를 전단부에 구비하고 있음과 함께, 당해 제 2 커넥터의 장착 방향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와는 반대측에 위치하는 후단부에서는 가요성의 전기적 접속 부재가 연장되어 있고, 상기 지지 부재는 상기 제 1 커넥터가 탑재되는 커넥터 탑재부를 구비함과 함께, 당해 커넥터 탑재부보다 더욱 상기 제 2 커넥터의 장착 방향측 위치에 상기 전기적 접속 부재의 선단측이 접속된 전기 부품을 유지하고, 상기 지지 부재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 탑재부의 좌우 양측에는, 상기 제 1 커넥터를 상방으로부터 당해 커넥터 탑재부를 향해 가압했을 때에 당해 제 1 커넥터를 자동적으로 끼워서 지지하는 커넥터 끼움 지지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는, 제 1 커넥터를 전기 부품이 유지되어 있는 지지 부재 자체에 고정시켰기 때문에, 전기 부품의 주위에서는 제 1 커넥터와 제 2 커넥터의 결합이 이루어지지 않는다. 따라서, 전기 부품의 주위에 공간적인 여유를 확보할 수 있다. 또, 제 1 커넥터를 기판이 지지되어 있는 지지 부재 자체에 고정시켰기 때문에, 전기 부품과 제 1 커넥터를 접속시키는 리드선이나 플렉시블 기판 등의 전기적 접속 부재의 치수가 짧아도 된다. 또한, 커넥터 탑재부의 좌우 양측에 제 1 커넥터를 끼워서 지지하는 커넥터 끼움 지지부를 형성하였기 때문에, 제 1 커넥터를 커넥터 탑재부에 용이하게 탑재할 수 있다. 또한, 커넥터 탑재부의 좌우 양측에 제 1 커넥터를 끼워서 지지하는 커넥터 끼움 지지부를 형성하였기 때문에, 제 1 커넥터를 상방으로부터 커넥터 탑재부를 향해 가압하는 실장 방법을 채용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전기적 접속 부재의 양단을 제 1 커넥터 및 전기 부품에 접속시킨 후, 전기 부품을 지지 부재에 고정시키고, 이러한 후에 제 1 커넥터를 커넥터 탑재부에 실장하는 경우라도 전기적 접속 부재를 과대하게 휠 필요가 없기 때문에 전기적 접속 부재가 짧아도 된다. 그러므로, 회전하는 로터 주변의 좁은 영역에 전기적 접속 부재를 두른 경우라도 로터와 전기적 접속 부재가 접촉하는 경우가 없다. 게다가, 전기 부품에 제 1 커넥터가 실장되어 있는 구조와 달리, 제 1 커넥터의 높이 치수가 부족하다는 등의 문제점이 발생하지 않기 때문에 포팅된 수지로 전기 부품을 봉하여 막히게 할 수 있어 별도의 부재로 전기 부품을 덮을 필요가 없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 끼움 지지부는 상기 커넥터 탑재부의 좌우 양측에서 기립하여 상기 제 1 커넥터를 상기 커넥터 탑재부를 향해 가압했을 때에 당해 제 1 커넥터에 자동적으로 걸리는 고리부를 내측에 구비한 훅 형상을 갖고 있는 구조를 채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커넥터 탑재부를 상방에서 보았을 때, 상기 전기적 접속 부재는 상기 제 2 커넥터의 후단부부터 상기 전기 부품에 대한 접속 위치까지 직선적으로 연장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구성하면, 최단 치수의 전기적 접속 부재에 의해 제 2 커넥터와 전기 부품을 전기적으로 접속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 1 커넥터는 좌우 양측에 스프링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 1 커넥터는 상기 스프링부가 상기 커넥터 끼움 지지부에 가압되어 탄성 변형된 상태에서 상기 커넥터 끼움 지지부 사이에 끼워서 지지되어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구성하면 제 1 커넥터를 지지 기판에 용이하게 고정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전기 부품은 상기 전기적 접속 부재가 접속되어 있는 면이 상기 제 1 커넥터와 상이한 높이 위치에서 상기 장착 방향과 평행 또는 거의 평행한 자세로 상기 지지 부재에 유지되어 있는 것을 구성을 채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전기 부품은 상기 지지 부재에 형성된 오목부 내에 배치되어 있음과 함께, 당해 오목부 내에 포팅된 수지에 의해 봉하여 막혀져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구성하면 전기 부품을 물 등으로부터 보호할 때, 별도의 부재에 의해 전기 부품을 덮을 필요가 없다.
본 발명에서는 제 1 커넥터를 전기 부품이 유지되어 있는 지지 부재 자체에게 고정시켰기 때문에 전기 부품의 주위에서는 제 1 커넥터와 제 2 커넥터의 결합이 이루어지지 않는다. 따라서, 전기 부품의 주위에 공간적인 여유를 확보할 수 있다. 또, 제 1 커넥터를 기판이 지지되어 있는 지지 부재 자체에 고정시켰기 때문에, 전기 부품과 제 1 커넥터를 접속시키는 리드선이나 플렉시블 기판 등의 전기적 접속 부재의 치수가 짧아도 된다. 또한, 커넥터 탑재부의 좌우 양측에 제 1 커넥터를 끼워서 지지하는 커넥터 끼움 지지부를 형성하였기 때문에 제 1 커넥터를 커넥터 탑재부에 용이하게 탑재할 수 있다. 또한, 커넥터 탑재부의 좌우 양측에 제 1 커넥터를 끼워서 지지하는 커넥터 끼움 지지부를 형성하였기 때문에, 제 1 커넥터를 상방으로부터 커넥터 탑재부를 향해 가압하는 실장 방법을 채용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전기적 접속 부재의 양단을 제 1 커넥터 및 전기 부품 에 접속시킨 후, 전기 부품을 지지 부재에 고정시키고, 이러한 후에 제 1 커넥터를 커넥터 탑재부에 실장하는 경우라도, 전기적 접속 부재를 과대하게 휠 필요가 없기 때문에 전기적 접속 부재가 짧아도 된다. 그러므로, 회전하는 로터 주변의 좁은 영역에 전기적 접속 부재를 두른 경우라도 로터와 전기적 접속 부재가 접촉하는 경우가 없다. 더욱이, 전기 부품에 제 1 커넥터가 실장되어 있는 구조와 달리, 제 1 커넥터의 높이 치수가 부족하다는 등의 문제점이 발생하지 않기 때문에, 포팅된 수지로 전기 부품을 봉하여 막히게 할 수 있어 별도의 부재로 전기 부품을 덮을 필요가 없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는 편의상, 펌프 장치로 액체의 흡입, 토출이 이루어지는 측을 우측 (회전 중심 축선 방향의 일방측) 으로 하고, 구동 기구가 배치되어 있는 측을 좌측 (회전 중심 축선 방향의 타방측) 으로서 설명한다.
(전체 구성)
도 1(a), (b), (c) 는 각각 본 발명을 적용한 펌프 장치를 관로측에 접속되는 우측에서 본 우측면도, 펌프 장치의 종단면도 및 펌프 장치를 커버의 측에서 본 좌측면도이며, 도 1(b) 는 도 1(c) 의 A-A' 단면도에 상당한다. 도 2(a), (b) 는 각각 본 발명을 적용한 펌프 장치의 케이싱 중, 임펠러의 회전 중심 축선의 가장 일방측에 배치된 캡을 비스듬한 우측에서 본 사시도, 및 당해 캡를 비스듬한 좌측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1(a), (b), (c) 에 있어서, 본 형태의 펌프 장치 (1) 는 세탁기에 있어서 필터 케이스에 장착되는 원심 펌프로서, 축선 방향 (회전 중심 축선 (L)) 의 우측 부분에서 액체를 흡입하여 토출한다. 펌프 장치 (1) 는 중공의 케이싱 (2) 을 구비하고 있고, 케이싱 (2) 의 내측 중, 축선 방향의 우측에 펌프실 (3) 이 구성되고, 펌프실 (3) 에 대하여 좌측에는 펌프실 (3) 내의 임펠러 (50) 를 회전 구동시키는 구동 기구 (70) 가 배치되어 있다.
케이싱 (2) 은 축선 방향의 대략 중앙 부분에서 좌측에 개구를 향한 컵상 홀더 (30) (펌프실측 케이싱 부재) 와, 이 컵상 홀더 (30) 에 대하여 축선 방향의 우측에 덮여 있는 원반상의 플레이트 (20) 를 구비하고 있고, 플레이트 (20) 와 컵상 홀더 (30) 의 저판부 (35) 사이에 펌프실 (3) 이 구획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플레이트 (20) 는 펌프실 (3) 에 있어서의 회전 중심 축선 (L) 방향의 우측의 면을 규정하는 제 1 케이싱 부재에 상당하고, 컵상 홀더 (30) 는 펌프실 (3) 에 있어서의 회전 중심 축선 (L) 방향의 좌측의 면을 규정하는 제 2 케이싱 부재에 상당한다.
또, 케이싱 (2) 은 컵상 홀더 (30) 의 우측에 덮여 있는 컵상의 커버 (40) 를 구비하고 있고, 컵상의 커버 (40) 는 컵상 홀더 (30) 내의 구동 기구 (70) 를 덮고 있다. 즉, 본 형태에서는 구동 기구 (70) 로서 로터 (72) 가 외측에 배치된 아웃 로터 구조를 채용하고 있기 때문에 가동 부분인 로터 (72) 를 커버 (40) 로 덮은 구조로 되어 있다. 본 형태에서는 컵상 홀더 (30) 의 내측에는 구동 기구 (70) 가 탑재된 트레이상 홀더 (60) (베이스 부재) 가 고정되어 있고, 커버 (40) 는 트레이상 홀더 (60) 에 고정되어 있다.
(펌프실 (3) 및 임펠러 등의 구성)
도 1(a), (b) 및 도 2(a), (b)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플레이트 (20) 는 원반상이며, 중앙 부분에는 우측 (외측) 으로부터 좌측 (내측) 으로 움푹 패인 원추면 (21) 이 형성되어 있다. 이 때문에, 플레이트 (20) 의 내면에는 원추 사다리상의 돌출부 (210) 가 형성되어 있고, 돌출부 (210) 의 중앙 부분에는 축선 방향을 향해 개구되는 흡입구 (22) 가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플레이트 (20) 는 흡입구 (22) 의 주연부를 회전 중심 축선 (L) 방향의 타방측 (좌측) 을 향해 움푹 패이게 하는 원추면 (돌출부 (210) 의 원추면) 을 구비한 구조를 갖고 있다. 플레이트 (20) 에 있어서, 원추면 (21) 의 주위에는 우측 (외측) 으로부터 좌측 (내측) 으로 움푹 패인 대략 원호상의 오목부 (23, 24) 가 형성되어 있고, 이러한 오목부 (23, 24) 의 형성에 의해, 플레이트 (20) 의 좌측에 위치하는 내면에는 원호상의 2 개의 볼록부 (230, 240) 가 형성되어 있다.
플레이트 (20) 에는 2 개의 나사 (29) 에 의해 플레이트 (20) 와 컵상 홀더 (30) 를 고정시켰을 때, 나사 (29) 의 머리가 수납되는 구멍 (281) 이 우측을 향해 개구되어 있다. 또, 플레이트 (20) 에는 플레이트 (20) 와 컵상 홀더 (30) 를 나사 (29) 에 의해 고정시켰을 때, 나사 (29) 를 고정시키는 지점에는 컵상 홀더 (30) 로부터 우측을 향해 돌출되는 시트부 (351) 를 끼우는 구멍 (282) 이 형성되어 있고, 2 개의 구멍 (281, 282) 을 구분하는 저벽에는 나사 (29) 의 축부를 통과하는 작은 관통 구멍이 형성되어 있다. 또, 시트부 (351) 에는 우측을 향해 개 구되도록 나사 구멍이 형성되어 있다.
본 형태에서는 볼록부 (230, 240) 로 둘러싸인 공간에 의해 펌프실 (3) 이 구성되고, 2 개의 볼록부 (230, 240) 가 둘레 방향에서 이간되는 끊김 부분에 의해, 케이싱 (2) 에는 펌프실 (3) 에 있어서 반경 방향 외측에서 개구되는 2 개의 토출구 (26) 가 형성되어 있다. 여기에서, 2 개의 토출구 (26) 는 흡입구 (22) 를 통과하는 축선 (회전 중심 축선 (L)) 을 중심으로 하는 점대칭 위치에 형성되어 있고, 도 2(b) 에 화살표 (M) 로 나타내는 방향으로 액체가 토출된다.
도 1(b)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컵상 홀더 (30) 는 펌프실 (3) 의 좌측의 면을 구성하는 원반상의 저판부 (35) 와, 저판부 (35) 의 외주연으로부터 축선 방향의 좌측을 향해 연장된 원통부 (36) 와, 원통부 (36) 의 선단 가장자리에서 외측을 향해 확대되는 플랜지부 (37) 를 구비하고 있다.
컵상 홀더 (30) 의 저판부 (35) (펌프실 (3) 의 저부) 에는 중앙 부분에서 우측으로부터 좌측으로 움푹 패인 원추면 (33) 이 형성되어 있다. 본 형태에 있어서, 원추면 (33) 은 플레이트 (20) 의 원추면 (21) 및 원추대상인 돌출부 (210) 와 대략 평행하다. 이러한 원추면 (33) 의 형성에 의해, 컵상 홀더 (30) 의 저판부에는 좌측을 향해 원추대상으로 돌출되는 돌출부가 형성되어 있고, 돌출부의 중앙 부분은 원통부 (34) 로 되어 있다. 컵상 홀더 (30) 의 저판부 (35) 에 있어서, 원추면 (33) 의 외주측은 원고리상 평탄면 (39) 으로 되어 있고, 이 원고리상 평탄면 (39) 에 상기 시트부 (351) 가 형성되어 있다.
컵상 홀더 (30) 의 원통부 (34) 에는, 후술하는 구동 기구 (70) 의 회전축 (721) 과 임펠러 (50) 의 연결 부분이 배치되어 있다. 임펠러 (50) 는 회전축 (721) 의 우측 단부가 내측에 고정된 원통상 연결부 (51) 와, 원통상 연결부 (51) 의 우측 단부로부터 반경 방향 외측으로 방사상으로 연장된 복수 장의 날개부 (52) 를 구비하고 있고, 원통상 연결부 (51) 와 컵상 홀더 (30) 의 원통부 (34) 사이에는, 이 원통부 (34) 에 끼워 넣어서 고정된 시일 부재 (38) 가 개재되어 있다. 임펠러 (50) 에는 금속제의 부시 (56) 가 인서트 성형되어 있고, 부시 (56) 의 외경이 시일 부재 (38) 의 내경과 접촉하여 회전축 (721) 에 물이 직접 닿지 않도록 되어 있다.
본 형태에 있어서, 임펠러 (50) 의 날개부 (52) 는 5 장이며, 날개부 (52) 는 임펠러 (50) 의 중심 (원통상 연결부 (51)) 으로부터 등각도 간격으로 형성되어 있다.
본 형태에서는, 컵상 홀더 (30) 와 플레이트 (20) 를 고정시킬 때에는, 컵상 홀더 (30) 의 저판부 (35) 중, 원고리상 평탄면 (39) 에 형성된 시트부 (351) 가 플레이트 (20) 의 구멍 (282) 에 끼워지도록 컵상 홀더 (30) 의 플랜지부 (29) 에 대하여 플레이트 (20) 의 볼록부 (230, 240) 를 맞닿게 한 상태에서, 플레이트 (20) 의 구멍 (281) 에 나사 (29) 를 고정시킨다. 그 결과, 컵상 홀더 (30) 와 플레이트 (20) 는 펌프실 (3) 의 외주측에서 나사 고정된 구성이 된다.
이와 같이 하여 컵상 홀더 (30) 와 플레이트 (20) 를 고정시키면 컵상 홀더 (30) 와 플레이트 (20) 사이에 펌프실 (3) 이 구획 형성됨과 함께, 펌프실 (3) 내에서는 원추면 (33) 에 의해 둘러싸인 유발상의 공간 내에 임펠러 (50) 날개부 (52) 의 대략 전체가 배치된다. 또, 컵상 폴더 (30) 의 원고리상 평탄면 (39) 과 플레이트 (20) 사이에서는 토출구 (26) 가 개구된다. 이러한 토출구 (26) 는 임펠러 (50) 의 외주측 중, 임펠러 (50) 보다 회전 중심 축선 (L) 방향의 우측으로 어긋난 위치, 본 형태에서는 원추면 (33) 보다 회전 중심 축선 (L) 방향의 우측으로 어긋난 위치에 있어서 원추면 (33) 의 외주측에 대한 연장선상의 위치에 개구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펌프 장치 (1) 에서는 구동 기구 (70) 에 의해 임펠러 (50) 를 회전 구동시키면, 그 회전 중심 축선 (L) 의 일방측 (우측) 으로부터 흡입구 (22) 를 통해 물이 펌프실 (3) 로 빨려 들어감과 함께, 2 개의 토출구 (26) 각각으로부터 물이 토출된다.
여기에서, 2 개의 토출구 (26) 는 회전 중심 축선 (L) 을 중심으로 하는 점대칭 위치에 형성되고, 5 장의 날개부 (52) 는 임펠러 (50) 의 중심 (원통상 연결부 (51)) 으로부터 등각도 간격으로 배치되어 있다. 이 때문에, 5 장의 날개부 (52) 중, 어느 날개부 (52) 도 2 장이 동시에 2 개의 토출구 (26) 에 대향하는 위치 (토출구 (26) 에 최접근하는 위치) 를 통과하는 경우가 없다. 이 때문에, 날개부 (52) 가 토출구 (26) 에 대향하는 위치를 통과하는 것에 기인하여 임펠러 (50) 및 회전축 (721) 에 가해지는 힘을 작게 할 수 있기 때문에, 임펠러 (50) 및 회전축 (721) 이 크게 진동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소음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또, 2 개의 토출구 (26) 는 회전 중심 축선 (L) 을 중심으로 하는 점대칭 위 치에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날개부 (52) 가 토출구 (26) 에 최접근하는 것에 기인하여 임펠러 (50) 및 회전축 (721) 에 가해지는 힘이 임펠러 (50) 를 중심으로 하는 양측에서 없어지기 때문에, 임펠러 (50) 및 회전축 (721) 이 크게 진동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소음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또, 임펠러 (50) 및 회전축 (721) 의 진동 발생 자체를 직접 방지하는 구성을 채용하였기 때문에, 발생된 진동을 고무 댐퍼나 추 등으로 저감시킨다는 2 차적인 진동 방지 대책에 비해 효과적이며, 또한, 이러한 2 차적인 진동 방지 대책을 병용하는 경우라도, 2 차적인 진동 방지 대책을 간소화할 수 있기 때문에 비용의 저감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어느 날개부 (52) 도 복수 장이 각각 토출구 (26) 에 동시에 최접근하지 않기 위한 개수나 토출구 (26) 의 위치에 대한 조건은 상기 조건으로 한정되지 않고, 다른 조건을 채용해도 된다.
또, 본 형태에서는 펌프실 (3) 의 중앙 부분을 회전 중심 축선 (L) 방향의 좌측으로 움푹 패이게 하는 원추면 (33) 이 형성되고, 원추면 (33) 에 의해 둘러싸인 유발상의 공간 내에 임펠러 (50) 가 배치된 구조를 채용하고 있다. 이 때문에, 유발상의 공간의 깊이분만큼 임펠러 (50) 를 구동 기구 (70) 에 근접 배치할 수 있기 때문에 회전축 (721) 이 짧아도 된다. 그러므로, 임펠러 (50) 가 회전하였을 때의 진동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고, 이러한 진동에서 기인하는 소음 등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또, 원추면 (33) 에 의해 둘러싸인 유발상의 공간 내에 임펠러 (50) 를 배치 하였기 때문에, 토출구 (26) 는 임펠러 (50) 의 외주측 중, 임펠러 (50) 보다 회전 중심 축선 (L) 방향의 우측으로 어긋나 있다. 그런데도, 임펠러 (50) 의 주위는 원추면 (33) 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임펠러 (50) 의 회전에 의해 수류에 대하여 충분히 큰 원심력을 부여할 수 있고, 토출구 (26) 를 통해 충분한 압력으로 토출된다.
또한, 토출구 (26) 는 원추면 (33) 의 외주측에 대한 연장선상의 위치에 개구되어 있기 때문에, 펌프실 (3) 로부터의 액체의 토출이 순조롭다.
또한, 케이싱 (2) 에 있어서 플레이트 (20) 에는 흡입구 (22) 의 주연부를 회전 중심 축선 (L) 방향의 타방측 (좌측/임펠러 (50) 의 측) 을 향해 움푹 패이게 하는 원추면 (21) 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펌프실 (3) 에 대한 액체의 흡입, 및 펌프실 (3) 로부터의 액체의 토출이 순조롭다.
(구동 기구 (70) 등의 구성)
도 3(a), (b), (c), (d), (e) 는 각각 본 발명을 적용한 펌프 장치로부터 커버를 떼어낸 상태의 우측면도, 펌프 장치로부터의 로터를 떼어낸 상태의 우측면도, 로터를 회전 중심 축선을 따라 절단했을 때의 단면도, 로터를 회전 중심 축선에 대하여 수직으로 절단했을 때의 단면도, 및 트레이상 홀더와 컵상 홀더의 나사에 의한 고정 부분을 확대하여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4(a), (b), (c), (d), (e), (f), (g), (h) 는 각각 본 발명을 적용한 펌프 장치에 사용한 트레이상 홀더를 비스듬한 오른쪽에서 본 사시도, 트레이상 홀더를 비스듬한 좌측에서 본 사시도, 트레이상 홀더의 정면도, 우측면도, 좌측면도, 평면도, B-B' 단면도, C-C' 단면도이 다.
펌프 장치 (1) 에 있어서, 커버 (40) 를 떼어내어 회전 중심 축선 (L) 의 좌측에서 보면, 도 3(a)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컵상 홀더 (30) 의 내측에 배치된 트레이상 홀더 (60) 와, 컵상 홀더 (30) 의 내측에 구성된 구동 기구 (70) 의 로터 (72) 가 나타나고, 로터 (72) 를 떼어내면 도 3(b)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 트레이상 홀더 (60) 에 유지된 구동 기구 (70) 의 3 상의 스테이터 (71) 가 나타난다. 이러한 스테이터 (71) 와 로터 (72) 는 브러시리스 모터를 구성하고 있다.
도 1(b) 및 도 4(a) ∼ (f)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트레이상 홀더 (60) 는 대략 직사각형인 평판부 (62) 와, 이 평판부 (62) 의 중앙 부분으로부터 좌측을 향해 돌출되는 원통상의 베어링 홀더부 (61) 와, 평판부 (62) 의 외주측으로부터 좌측을 향해 돌출되는 직사각형 프레임상의 박벽부 (63) 와, 평판부 (62) 의 외주연으로부터 내측 위치에서 우측을 향해 돌출되는 고리형 돌기 (64) 를 구비하고 있고, 평판부 (62) 에 고정된 나사 (601) 에 의해 트레이상 홀더 (60) 는 컵상 홀더 (30) 의 원통부 (36) 내에 고정되어 있다.
트레이상 홀더 (60) 에 있어서, 평판부 (62) 의 우측의 면에는 고리형 돌기 (64) 의 내측에 리브 (641) 가 형성되어 있다. 트레이상 홀더 (60) 에 있어서, 평판부 (62) 의 좌측의 면에서는 박벽부 (63) 로 둘러싸인 영역 내에, 베어링 홀더부 (61) 의 주위에서 좌측을 향해 돌출되는 원통상의 시트부 (621) 가 형성되고, 베어링 홀더부 (61) 로부터 이간된 위치에는 선단면에 소돌기를 구비한 원주상의 돌기 (622) 가 형성되어 있다. 또, 트레이상 홀더 (60) 에는 평판부 (62) 로부 터 하방으로 대략 직사각형으로 튀어나온 커넥터 탑재부 (66) 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평판부 (62) 에 있어서 박벽부 (63) 의 외측에는 관통 구멍을 구비한 원통부 (623) 가 형성되어 있다. 또, 도 3(e)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컵상 홀더 (30) 의 원고리상 평탄면 (39) 에 있어서, 펌프실 (3) 이 형성되어 있는 측과는 반대측에는 원통부 (623) 의 관통 구멍과 중첩되는 위치에, 나사 구멍 (391) 이 형성된 바닥이 있는 시트부 (390) 가 형성되어 있고, 트레이상 홀더 (60) 를 컵상 홀더 (30) 에 중첩시킨 상태에서, 트레이상 홀더 (60) 의 측으로부터 나사 (601) 를 원통부 (623) 의 나사 구멍 (391) 에 고정시키면, 트레이상 홀더 (60) 를 컵상 홀더 (30) 에 고정시킬 수 있다. 여기에서, 나사 (601) 의 선단부는 회전 중심 축선 (L) 방향에 있어서, 임펠러 (50) 의 날개부 (52) 와 중첩하는 위치에는 도달하지 않았지만, 나사 구멍 (391) 에 대해서는 나사 (601) 의 선단부보다 깊은 위치까지 형성되어, 회전 중심 축선 (L) 방향에 있어서 임펠러 (50) 의 날개부 (52) 와 중첩하는 위치까지 도달되어 있다.
이와 같이 하여, 본 형태에서는 구동 기구 (70) 를 유지시킨 트레이상 홀더 (60) 를 컵상 홀더 (30) 에 고정시킬 때에, 나사 구멍 (391) 과 임펠러 (50) 의 날개부 (52) 가 회전 중심 축선 (L) 방향에서 부분적으로 중첩되어 있기 때문에, 임펠러 (50) 의 회전 중심 축선 (L) 방향에 있어서의 펌프 장치 (1) 의 길이 치수를 단축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트레이상 홀더 (60) 에 있어서, 베어링 홀더부 (61) 의 주위에서는 스테이터 코어 (711) 가 시트부 (621) 에 지지된 상태에서 나사에 의해 고정되어 있다. 스테이터 코어 (711) 에서는, 외주측을 향해 연장된 복수의 돌극 (710) 이 등각도 간격으로 형성되어 있고, 복수의 돌극 (710) 각각에는 코일 (712) 가 감겨져 있다.
베어링 홀더부 (61) 의 내측에는, 축선 방향에서 이간 위치에 한 쌍의 원통상의 소결 함유 베어링이 압입 고정되어 있고, 이러한 소결 함유 베어링의 구멍 내에 로터 (72) 의 회전축 (721) 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본 형태에 있어서, 로터 (72) 의 회전수는 예를 들어 5000rpm 정도이다.
도 1(b) 및 도 3(c), (d)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로터 (72) 에서는 회전축 (721) 의 좌측 단부가 컵상의 로터 케이스 (722) 의 저부 중앙에 압입 고정되어 있고, 로터 케이스 (722) 의 원통부 내측에는 스테이터 코어 (711) 의 돌극 (710) 에 대하여 반경 방향 외측에서 대향하도록 원통상의 영구 자석 (723) 이 압입 고정되어 있다. 또한, 회전축 (721) 에는 2 개의 소결 함유 베어링 각각의 외측 위치에 워셔가 장착되어 있다.
본 형태에 있어서는 임펠러 (50) 의 날개부 (52) 의 수가 5 장인 점에서, 3 상의 스테이터 (71) 에 있어서 돌극 (710) 의 수 (슬롯의 수) 는 9 개로 설정되고, 원통상의 영구 자석 (723) 에서는 둘레 방향에 교대로 나열되는 S 극 및 N 극으로 이루어지는 자극의 총수 (착자극수) 가 12 개로 설정되어 있다. 이 때문에, 날개부 (52) 의 장수는 영구 자석 (723) 에 있어서의 자극수와 돌극 (710) 의 수의 최대 공약수, 본 형태에서는 3 의 정수배를 피한 수로 되어 있다. 즉, 스테이터 (71) 의 돌극 (710) 의 수 (슬롯의 수) 와 영구 자석 (723) 의 착자극수의 최대 공약수는 3 인데, 임펠러 (50) 의 날개부 (52) 의 수는 5 장으로서, 스테이터 (71) 의 돌극 (710) 의 수 (슬롯의 수) 와 영구 자석 (723) 의 착자극수의 최대 공약수의 정수배를 피한 장수로 되어 있다.
이 때문에, 스테이터 (71) 에 있어서 상을 전환하는 주기 (각 상의 코일 (712) 에 통전하는 주기) 와, 날개부 (52) 가 토출구 (26) 에 최접근하는 주기가 어긋나 있다. 따라서, 임펠러 (50) 및 회전축 (721) 에 대하여, 날개부 (52) 가 토출구 (26) 에 최접근하는 것에 기인하여 힘이 가해지는 타이밍과, 상을 전환할 때에 임펠러 (50), 회전축 (721) 및 코일 (712) 에 대하여 힘이 가해지는 타이밍이 어긋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힘에 기인하여 임펠러 (50), 회전축 (721) 및 스테이터 (71) 에서 발생하는 흔들림이나 소리가 공진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기 때문에 소음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또, 임펠러 (50) 및 회전축 (721) 의 진동 발생 자체를 직접 방지하는 구성을 채용하였기 때문에, 발생한 진동을 고무 댐퍼나 추 등으로 저감시킨다는 2 차적인 진동 방지 대책에 비해 효과적이며, 또한, 이러한 2 차적인 진동 방지 대책을 병용하는 경우라도, 2 차적인 진동 방지 대책을 간소화할 수 있기 때문에 비용의 저감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임펠러 (50) 의 날개부 (52) 의 수를 스테이터 (71) 의 돌극 (710) 의 수 (슬롯의 수) 와 영구 자석 (723) 의 착자극수의 최대 공약수의 정수배를 피한 장수로 할 때에는, 상기 숫자의 조합으로 한정되지 않고 다른 숫자의 조합을 채용해도 된다.
(커넥터 (80) 및 기판 (75) 등의 구성)
도 5(a), (b), (c) 는 각각 본 발명을 적용한 펌프 장치의 트레이상 홀더 상에 형성된 커넥터 탑재부를 회전 중심 축선의 좌측에서 보았을 때의 사시도, 커넥터 탑재부에 암커넥터를 탑재한 모습을 회전 중심 축선의 좌측에서 보았을 때의 사시도, 및 트레이상 홀더 상에 암커넥터를 탑재한 모습을 도 4(e) 의 H-H' 로 절단하여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다.
도 1(b), 도 3(a), (b) 및 도 5(a), (b), (c)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트레이상 홀더 (60) 에는 평판부 (62) 로부터 하방으로 대략 직사각형으로 커넥터 탑재부 (66) 가 튀어나와 있고, 이러한 커넥터 탑재부 (66) 에는 암커넥터 (80) 가 탑재되어 있다. 따라서, 트레이상 홀더 (60) 는 암커넥터 (80) 에 대한 지지 부재에 상당한다. 또, 트레이상 홀더 (60) 의 평판부 (62) 와 스테이터 코어 (711) 사이에 있어서, 박벽부 (63) 의 내측에는 스테이터 (71) 의 코일 (712) 에 대한 급전 등을 실시하기 위한 기판 (75) 이 배치되어 있다. 이러한 기판 (75) 은 기판 (75) 의 작은 구멍 내에 트레이상 홀더 (60) 의 돌기 (622) 의 소돌기가 끼워진 상태에서 소돌기를 용융시킴으로써 트레이상 홀더 (60) 에 용착되어 있다. 기판 (75) 은 우측의 면 (이면) 에 모터 제어용 IC, 홀 소자, 그 밖의 전자 부품이 실장되어 있다. 또, 기판 (75) 의 좌측의 면 (표면) 에는 코일 (712) 의 단말이 납땜되어 있음과 함께, 커넥터 탑재부 (66) 에 탑재된 암커넥터 (80) 로부터 연장된 리드선 (89) 의 선단부가 납땜되어 있다. 따라서, 리드선 (89) 은 전기 부품으로서의 기판 (75) 에 대한 가요성의 전기적 접속 부재에 상당하고, 이 러한 전기적 접속 부재로는 리드선 (89) 이외에 플렉시블 기판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트레이상 홀더 (60) 에 있어서, 박벽부 (63) 의 내측 (오목부) 에는 기판 (75) 의 표면을 덮도록 수지 (9) 가 포팅되어 있음과 함께, 이러한 수지 (9) 를 경화시킴으로써 기판 (75) 이 봉하여 막혀져 있다. 이러한 구성을 실현함에 있어서, 본 형태에서 사용한 암커넥터 (80) (제 1 커넥터) 는 도 5(a)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수커넥터 (도시하지 않음/제 2 커넥터) 가 장착되는 결합부 (82) 를 커넥터 하우징 (81) 의 전단부에 구비하고 있음과 함께, 수커넥터의 장착 방향 (화살표 (F) 로 나타내는 방향) 에 있어서 결합부 (82) 와는 반대측에 위치하는 후단부로부터는 복수 개의 리드선 (89) 이 연장되어 있다. 이러한 복수 개의 리드선 (89) 에는 전원 공급선이나 제어용 신호선이 포함되어 있다. 암커넥터 (80) 는 커넥터 하우징 (81) 의 전단측에 좌우 양측을 향해 프레임상으로 튀어나온 박판상의 스프링부 (85) 를 구비하고 있다.
이에 반해, 트레이상 홀더 (60) 는 도 1(b) 및 도 5(b)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커넥터 탑재부 (66) 에 대하여 암커넥터 (80) 의 장착 방향의 전방에 리드선 (89) 의 선단측이 접속되는 기판 (75) 을 유지하고 있다. 여기에서, 기판 (75) 은 리드선 (89) 이 접속되어 있는 표면 (751) 이 암커넥터 (80) 보다 낮은 위치 (회전 중심 축선 (L) 의 우측) 에서 장착 방향과 평행 또는 대략 평행한 자세로 트레이상 홀더 (60) 에 유지되고, 수지 (9) 에 의해 봉하여 막혀져 있다. 따라서, 리드선 (89) 은 커넥터 하우징 (81) 의 후단면으로부터 연장된 후, 기판 (75) 을 향해 대략 직각으로 구부러져 기판 (75) 의 표면까지 연장되어 있다. 또, 복수 개의 리드선 (89) 은 모두 측방에서 보면 1 지점에서 만곡되어 있는데, 커넥터 탑재부 (66) 를 상방에서 보았을 때, 복수 개의 리드선 (89) 은 직선적으로 연장되어 있다.
여기에서, 트레이상 홀더 (60) 는 도 4(g), (h) 및 도 5(a), (b)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커넥터 탑재부 (66) 에 탑재된 암커넥터 (80) 를 좌우 양측으로부터 끼워서 지지하는 커넥터 끼움 지지부로서, 스프링부 (85) 를 좌우 양측으로부터 내측으로 가압하여 탄성 변형시키는 한 쌍의 훅부 (67) 와, 암커넥터 (80) 의 후단측을 양측에서 사이에 끼워 위치 결정하는 기둥상 돌기 (68) 를 구비하고 있고, 한 쌍의 훅부 (67) 는 모두 커넥터 탑재부 (66) 의 좌우 양측에서 기립하여 암커넥터 (80) 를 커넥터 탑재부 (66) 를 향해 가압했을 때에 암커넥터 (80) 에 자동적으로 걸어 맞춤하는 고리부를 내측에 구비하고 있다. 또한, 트레이상 홀더 (60) 는 커넥터 탑재부 (66) 중, 그 후단에 가까운 위치에 폭 방향 (좌우 방향) 으로 연장된 돌기 (69) 를 구비하는 한편, 암커넥터 (80) 에 있어서 커넥터 탑재부 (66) 와 중첩되는 면에는 돌기 (69) 가 끼워지는 오목부 (88) 가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의 트레이상 홀더 (60) 에 탑재함과 함께, 암커넥터 (80) 를 커넥터 탑재부 (66) 에 탑재하는 데에는, 먼저 리드선 (89) 의 기단측을 암커넥터 (80) 에 땜납에 의해 접속하는 한편, 리드선 (89) 의 선단측을 기판 (75) 의 표면에 땜납에 의해 접속한다. 다음으로 기판 (75) 을 트레이상 홀더 (60) 상에 고정시킨다. 다음으로 암커넥터 (80) 의 실장 방향을 화살표 (G) 로 나타내는 바 와 같이, 암커넥터 (80) 의 후단측을 중심으로 암커넥터 (80) 를 넘어뜨리도록 커넥터 탑재부 (66) 를 가압하면, 암커넥터 (80) 가 커넥터 탑재부 (66) 상에서 평평하게 엎드린 자세가 되기까지의 사이에, 스프링부 (85) 가 훅부 (67) 에 의해 내측으로 가압되어 탄성 변형되어, 훅부 (67) 의 상단에 형성되어 있는 고리부에 자동적으로 걸린다. 그 때, 커넥터 하우징 (81) 이 기둥상 돌기 (68) 의 내측으로 파고 들어가 위치 결정됨과 함께, 커넥터 탑재부 (66) 에 형성되어 있는 돌기 (39) 가 암커넥터 (80) 의 오목부 (88) 에 끼워진다. 이러한 후에, 트레이상 홀더 (60) 의 박벽부 (63) 내측에 형성되어 있는 오목부 내에 기판 (75) 의 표면을 덮도록 수지 (9) 를 포팅함과 함께 수지 (9) 를 경화시킨다. 그 결과, 기판 (75) 을 봉하여 막히게 할 수 있음과 함께 트레이상 홀더 (60) 를 수지 (9) 에 의해 보강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형태에서는, 리드선 (89) 의 양단을 각각 암커넥터 (80) 및 기판 (75) 에 접속시킨 상태에서 기판 (75) 을 트레이상 홀더 (60) 상에 고정시키고, 이러한 후에 커넥터 탑재부 (66) 에 암커넥터 (80) 를 탑재함에 있어서, 암커넥터 (80) 에 있어서 리드선 (89) 이 끌려나온 후단면을 기판 (75) 쪽을 향하고, 또한, 커넥터 탑재부 (66) 에는 암커넥터의 장착 방향 (화살표 (F) 로 나타내는 방향) 및 암커넥터 (80) 의 실장 방향 (화살표 (G) 로 나타낸다) 과 교차하는 방향 (좌우 양측) 으로 암커넥터 (80) 를 유지하기 위한 훅부 (67) 를 배치하였기 때문에, 암커넥터 (80) 의 후단측을 중심으로 암커넥터 (80) 를 쓰러뜨리도록 하여, 암커넥터 (80) 를 상방으로부터 커넥터 탑재부 (66) 로 미는 것만으로, 암커넥터 (80) 를 트 레이상 홀더 (60) 의 커넥터 탑재부 (66) 에 탑재할 수 있다. 따라서, 기판 (75) 과 암커넥터 (80) 를 접속하는 리드선 (89) 의 치수가 짧아도 되기 때문에, 회전하는 로터 (72) 주변의 좁은 영역에 리드선 (89) 을 두른 경우라도, 로터 (72) 와 리드선 (89) 이 접촉하는 경우가 없다. 또 훅부 (67) 에 의해, 커넥터 탑재부 (66) 에 배치한 암커넥터 (80) 를 수커넥터의 장착 방향의 양측에서 끼워서 지지하였기 때문에, 암커넥터 (80) 를 트레이상 홀더 (60) 에 용이하게 고정시킬 수 있다.
또, 암커넥터 (80) 와 기판 (75) 을 리드선 (89) 을 통해 접속하는 구조를 채용하였기 때문에, 기판 (75) 의 표면측에 형성된 배선 패턴과 암커넥터 (80) 의 단자를 전기적 접속시킴과 함께, 기판 (75) 을 수지 (9) 의 포팅에 의해 봉하여 막혀진 구조를 시판되는 암커넥터 (80) 를 옆으로 눕히는 것만으로 실현할 수 있어, 펌프 장치 (1) 의 비용 저감을 도모할 수 있다. 즉, 암커넥터는 기판 (75) 에 직접 실장할 수 있는 실장 단자가 부착된 것으로서, 횡치 타입 및 종치 타입이 있는데, 실장 단자가 부착된 종치 타입에서는 기판 (75) 의 표면 가까이에 수커넥터를 장착하기 위한 공간적인 여유를 확보하지 않으면 안된다는 문제점이 있는 한편, 시판되는 실장 단자가 부착된 횡치 타입에서는, 높이 치수와의 관계에서 포팅된 수지로 기판 (75) 을 봉하여 막히게 할 수 없어, 특별히 제조하지 않으면 안된다는 문제가 발생한다. 그런데 본 형태에 의하면, 암커넥터 (80) 보다 낮은 위치에서 기판 (75) 을 수커넥터의 장착 방향과 기판 (75) 의 표면을 평행 또는 대략 평행한 자세로 배치하였기 때문에, 시판되는 실장 단자가를 구비하지 않는 횡치 타입 의 암커넥터 (80) 로부터 연장된 리드선 (89) 을 기판 (75) 에 접속시킨 상태에서도, 수지 (9) 를 기판 (75) 을 감싸도록 포팅해도 암커넥터 (80) 가 수지 (9) 에 의해 덮이지 않기 때문에, 포팅된 수지 (9) 로 기판 (75) 을 봉하여 막히게 할 수 있다. 그러므로, 시판되어 있지 않은 암커넥터를 사용하지 않아도 됨과 함께, 펌프 장치 (1) 와 같이 물을 취급하는 기기를 구성하는 경우라도, 별도의 부재로 기판 (75) 을 봉하여 막히게 할 필요가 없다.
또한, 본 형태에서는 암커넥터 (80) 의 커넥터 하우징 (81) 에 스프링부 (85) 를 형성하였는데, 트레이상 홀더 (60) 의 훅부 (67) 의 탄성력만으로 암커넥터 (80) 를 좌우 양측에서부터 끼워서 지지하는 구조를 채용해도 된다. 또, 본 발명에서는 암커넥터 (80) 를 제 1 커넥터로서 트레이상 홀더 (60) 에 탑재하였는데, 암커넥터를 제 1 커넥터로서 트레이상 홀더 (60) 에 탑재해도 된다. 이 경우, 암커넥터가 제 2 커넥터로서 사용된다.
(커버 (40) 등의 구성)
도 6(a), (b), (c), (d) 는 각각 본 발명을 적용한 펌프 장치에 사용한 커버를 비스듬한 우측에서 본 사시도, 커버를 비스듬한 좌측에서 본 사시도, 커버의 좌측면도, 및 커버를 화살표 (E) 로 나타내는 방향에서 보았을 때의 측면도이다.
본 형태에서는, 도 1(b) 에서 알 수 있듯이 구동 기구 (70) 로서 로터 (72) 가 외측에 배치된 아웃 로터 구조를 채용하고 있기 때문에, 코일 (712) 의 권회가 용이하고, 또한, 영구 자석 (723) 으로 저가의 페라이트를 사용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는 한편, 가동 부분인 로터 (72) 를 커버 (40) 로 덮을 필요가 있다. 이 때문에, 모터 전류에 의해 스테이터 (71) 가 발열되었 때, 커버 (40) 내의 온도가 상승된다. 특히 아웃 로터 구조의 경우, 스테이터 (71) 는 로터 (72) 로 덮여 있기 때문에 방열될 수 없어, 스테이터 (71) 의 온도가 상승되기 쉽다. 그래서, 본 형태에서는 이하에 접속하는 구조의 커버 (40) 가 이용되고 있다.
도 6(a), (b), (c), (d)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커버 (40) 는 로터 (72) 를 소정의 간극을 사이에 두고 덮는 바닥이 있는 원통부 (41) 와, 이 원통부 (41) 의 개구 가장자리로부터 외측으로 확대되는 플랜지부 (44) 와, 플랜지부 (44) 의 외주연으로부터 우측으로 확대된 각통상의 몸통부 (45) 를 갖고 있고, 트레이상 홀더 (60) 에 나사 고정되어 있다. 또, 커버 (40) 의 하단측에는 몸통부 (45) 에 노치 (450) 가 형성되어 있음과 함께, 이러한 노치 (450) 를 확장하도록 플랜지부 (44) 의 일부가 좌측을 향해 직사각형상으로 굴곡되어 있다. 이 때문에, 커버 (40) 는 암커넥터 (80) 에 접촉하지 않고 로터 (72) 를 덮고 있다. 또, 커버 (40) 는 암커넥터 (80) 를 좌측에서 덮는 튀어 나옴부 (440) 를 구비하고 있는데, 이러한 튀어 나옴부 (440) 의 튀어 나옴 치수가 짧기 때문에, 암커넥터 (80) 의 반 이상은 커버 (40) 로부터 노출되어 있다.
또, 커버 (40) 의 원통부 (41) 의 몸통부 (410) 에는, 암커넥터 (80) 와 중첩하는 하방 위치에 하측 투과 구멍 (461) 이 슬릿상으로 형성되어 있음과 함께, 하측 투과 구멍 (461) 으로부터 둘레 방향의 쌍방을 향해 약 90˚어긋난 위치 각각에 상측 투과 구멍 (462) 이 슬릿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 때문에, 하측 투과 구멍 (461) 및 상측 투과 구멍 (462) 을 통해 커버 (40) 의 내외를 외기가 출입하 기 때문에, 커버 (40) 의 내측에 배치된 구동 기구 (70) 의 스테이터 (71) 를 냉각시킬 수 있다. 특히 본 형태에서는 투과 구멍으로서 상이한 높이 위치에 하측 투과 구멍 (461) 및 상측 투과 구멍 (421) 을 형성하였기 때문에 공기가 순환되기 쉬워, 스테이터 (71) 를 효율적으로 냉각시킬 수 있다. 여기에서, 하측 투과 구멍 (461) 및 상측 투과 구멍 (462) 은 커버 (40) 를 수지 성형에 의한 제조할 때에 동시 형성된 부분이다.
단, 펌프 장치 (1) 에서는 물을 취급하기 때문에, 투과 구멍 (하측 투과 구멍 (461) 및 상측 투과 구멍 (462)) 으로부터 물이 침입하면, 단락 등과 같은 문제가 발생하는 원인이 된다.
그래서, 본 형태에서는 커버 (40) 의 원통부 (41) 의 몸통부 (410) 중, 최상 위치로부터 조금 하방에 위치하는 양측 부분에는, 비스듬한 하방을 향해 차양 형상으로 튀어나온 차양 형상 돌출부 (47, 48) 가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차양 형상 돌출부 (47, 48) 는 판상이며, 커버 (40) 를 트레이상 홀더 (60) 에 나사 고정시켰을 때, 차양 형상 돌출부 (47) 의 가장자리는 컵상 홀더 (30) 의 플랜지부 (37) 에 형성된 홈 (309) (도 3(b) 참조) 에 끼워진다.
이와 같이 구성된 커버 (40) 에서는, 하측 투과 구멍 (461) 및 상측 투과 구멍 (462) 의 상방이 차양 형상 돌출부 (47, 48) 로 덮여 있다. 또, 하측 투과 구멍 (461) 및 상측 투과 구멍 (462) 중, 상측 투과 구멍 (462) 은 차양 형상 돌출부 (47, 48) 의 밑동 부분에 형성되어 있다. 또한, 본 형태에서는 커버 (40) 의 원통부 (41) 의 몸통부 (410) 에는, 하측 투과 구멍 (461) 의 주위 전체를 둘러 싸도록 돌출된 직사각형 리브상의 프레임상 돌기 (49) 가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본 형태에서는 하측 투과 구멍 (461) 및 상측 투과 구멍 (462) 의 상방을 덮도록 차양 형상 돌출부 (47, 48) 를 형성하였기 때문에, 상방으로부터 물이 떨어졌을 때, 물은 차양 형상 돌출부 (47, 48) 를 타고 낙하하여, 하측 투과 구멍 (461) 및 상측 투과 구멍 (462) 에 도달하지 않는다. 따라서, 하측 투과 구멍 (461) 및 상측 투과 구멍 (462) 으로부터 커버 (40) 내에 물이 침입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게다가, 상측 투과 구멍 (462) 은 차양 형상 돌출부 (47, 48) 의 밑동 부분에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물의 침입을 확실히 방지할 수 있다. 또, 하측 투과 구멍 (461) 은 주위가 프레임상 돌출부 (49) 로 둘러싸여 있기 때문에, 바닥면 등에서 튀어오른 물이 하측 투과 구멍 (461) 을 통해 커버 (40) 내에 침입하는 것을 확실히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형태에서는 하측 투과 구멍 (461) 이 1 지점에 형성되고, 상측 투과 구멍 (462) 이 2 지점에 형성된 구조이었는데, 하측 투과 구멍 및 상측 투과 구멍이 각각 1 지점에 형성된 구조나, 하측 투과 구멍 및 상측 투과 구멍이 각각 2 지점에 형성된 구조 등을 채용해도 된다.
(커버 (40) 의 다른 구성예)
도 7 은 본 발명을 적용한 펌프 장치 (1) 에 사용되는 다른 커버 (40) 의 좌측면도이다. 도 7 에 나타내는 커버 (40) 도 도 6 을 참조하여 설명한 커버 (40) 와 마찬가지로, 로터 (72) 를 소정의 간극을 사이에 두고 덮는 바닥이 있는 원통부 (41) 와, 이 원통부 (41) 의 개구 가장자리로부터 외측으로 확대되는 플랜지부 (44) 를 갖고 있다. 또, 커버 (40) 의 원통부 (41) 의 몸통부 (410) 에는 커넥터 탑재부 (66) 근방에는 하측 투과 구멍 (461) 이 형성되어 있음과 함께, 하측 투과 구멍 (461) 으로부터 둘레 방향의 쌍방을 향해 약 90˚어긋난 위치 각각에 상측 투과 구멍 (462) 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커버 (40) 의 원통부 (41) 의 몸통부 (410) 에는 최상 위치로부터 조금 어긋난 위치에도 상측 투과 구멍 (463) 이 형성되어 있다.
본 형태에서는, 커버 (40) 의 원통부 (41) 의 몸통부 (410) 중, 최상 위치로부터 조금 하방에 위치하는 양측 부분에는 비스듬한 하방을 향해 튀어나온 차양 형상 돌출부 (47, 48) 가 형성되고, 상측 투과 구멍 (462) 은 차양 형상 돌출부 (47, 48) 의 밑동 부분에 형성된 구조로 되어 있다. 또, 커버 (40) 의 원통부 (41) 의 몸통부 (410) 에는 상측 투과 구멍 (463) 의 바로 위 위치에 우산 형상으로 튀어나온 차양 형상 돌출부 (470, 480) 가 형성되어 있고, 상측 투과 구멍 (463) 은 차양 형상 돌출부 (470, 480) 의 밑동 부분에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경우에도, 케이싱 (2) 에 하측 투과 구멍 (461) 및 상측 투과 구멍 (462, 463) 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커버 (40) 에 대하여 외기가 출입하므로, 커버 (40) 의 내측에 배치된 구동 기구 (70) 를 냉각시킬 수 있다. 또, 하측 투과 구멍 (461) 및 상측 투과 구멍 (462, 463) 의 상방에 차양 형상 돌출부 (47, 48, 470, 480) 를 형성하였기 때문에, 상방으로부터 물이 떨어졌을 때, 물은 차양 형상 돌출부 (47, 48, 470, 480) 를 타고 낙하하여, 하측 투과 구멍 (461) 및 상측 투과 구멍 (462, 463) 에 도달하지 않는다. 따라서, 투과 구멍 (하측 투과 구멍 (461) 및 상측 투과 구멍 (462, 463)) 으로부터 케이싱 (2) 내에 물이 침입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a), (b), (c) 는 각각 본 발명을 적용한 펌프 장치를 관로측에 접속되는 우측에서 본 우측면도, 펌프 장치의 종단면도, 및 펌프 장치를 커버의 측에서 본 좌측면도이다.
도 2(a), (b) 는 각각 본 발명을 적용한 펌프 장치의 케이싱 중, 임펠러의 회전 중심 축선의 가장 일방측에 배치된 캡을 비스듬한 우측에서 본 사시도, 및 당해 캡을 비스듬한 좌측으로부터 본 사시도이다.
도 3(a), (b), (c), (d), (e) 는 각각 본 발명을 적용한 펌프 장치로부터 커버를 떼어낸 상태의 우측면도, 펌프 장치로부터의 로터를 떼어낸 상태의 우측면도, 로터를 회전 중심 축선을 따라 절단했을 때의 단면도, 로터를 회전 중심 축선에 대하여 수직으로 절단했을 때의 단면도, 및 트레이상 홀더와 컵상 홀더의 나사에 의한 고정 부분을 확대하여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4(a), (b), (c), (d), (e), (f), (g), (h) 는 각각 본 발명을 적용한 펌프 장치에 사용한 트레이상 홀더를 비스듬한 오른쪽에서 본 사시도, 트레이상 홀더를 비슴듬히 좌측에서 본 사시도, 트레이상 홀더의 정면도, 우측면도, 좌측면도, 평면도, B-B' 단면도, C-C' 단면도이다.
도 5(a), (b), (c) 는 각각 본 발명을 적용한 펌프 장치의 트레이상 홀더 상에 형성된 커넥터 탑재부를 회전 중심 축선의 좌측에서 보았을 때의 사시도, 커넥터 탑재부에 암커넥터를 탑재한 모습을 회전 중심 축선의 좌측에서 보았을 때의 사시도, 및 트레이상 홀더 상에 암커넥터를 탑재한 모습을 도 4(e) 의 H-H' 로 절단 하여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다.
도 6(a), (b), (c), (d) 는 각각 본 발명을 적용한 펌프 장치에 사용한 커버를 비스듬한 우측에서 본 사시도, 커버를 비스듬한 좌측에서 본 사시도, 커버의 좌측면도, 및 커버를 화살표 (E) 로 나타내는 방향에서 보았을 때의 측면도이다.
도 7 은 본 발명을 적용한 펌프 장치에 사용되는 다른 커버의 좌측면도이다.
부호의 설명
1 펌프 장치 2 케이싱
3 펌프실 9 수지
20 플레이트 (제 1 케이싱 부재) 22 흡입구
26 토출구 30 컵상 홀더 (제 2 케이싱 부재)
33 원추면 40 커버
47, 48, 470, 480 차양 형상 돌출부 49 프레임상 돌기
50 임펠러 52 날개부
60 트레이상 홀더 66 커넥터 탑재부
67 훅부 (커넥터 끼움 지지부) 70 구동 기구
72 로터 71 스테이터
75 기판 (전기 부품) 80 암커넥터
89 리드선 (전기적 접속 부재) 461 하측 투과 구멍
462, 463 상측 투과 구멍 710 돌극
723 영구 자석

Claims (6)

  1. 수형 및 암형 중 일방으로서 구성된 제 1 커넥터의 지지 부재에 대한 탑재 구조에 있어서,
    상기 제 1 커넥터는 수형 및 암형 중 타방으로서 구성된 제 2 커넥터가 장착되는 결합부를 전단부에 구비하고 있음과 함께, 상기 제 2 커넥터의 장착 방향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와는 반대측에 위치하는 후단부로부터는 가요성의 전기적 접속 부재가 연장되어 있고,
    상기 전기적 접속 부재는 선단 (先端) 이 전기 부품에 접속되어 있고,
    상기 지지 부재는 상기 장착 방향과 평행한 평판부와, 상기 제 1 커넥터가 탑재되는 커넥터 탑재부와, 상기 커넥터 탑재부의 상기 장착 방향측에 인접하는 위치에서 상기 평판부로부터 상기 장착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는 프레임상의 박벽부와, 상기 박벽부의 내측의 오목부를 구비하고,
    상기 커넥터 탑재부는, 상기 오목부측에 상기 박벽부의 일 부분으로서 상기 오목부를 구획하고 있는 벽면을 구비함과 함께, 상기 평판부와 평행하고 상기 제 1 커넥터가 탑재되는 제 1 면 및 상기 제 1 면과 평행한 제 2 면을 갖는 판 형상의 튀어 나옴부를 구비하고,
    상기 전기 부품은, 기판이고, 상기 전기적 접속 부재가 접속되어 있는 면이 상기 제 1 커넥터와 상이한 높이 위치에서 상기 평판부와 평행한 자세로 상기 오목부 내에 유지되어 있음과 함께, 상기 오목부 내에 포팅된 수지에 의해 봉하여 막혀져 있고,
    상기 지지 부재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 탑재부의 좌우 양측에는, 상기 제 1 커넥터를 상방으로부터 상기 제 1 면을 향해 가압했을 때에 상기 제 1 커넥터를 자동적으로 끼워서 지지하는 커넥터 끼움 지지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커넥터 탑재부의 상기 벽면은, 상기 오목부 내에 포팅된 상기 수지의 상면보다 상기 박벽부의 개구측의 단 (端) 의 측에 위치하는 면 부분을 구비하고 있고,
    상기 커넥터 탑재부의 상기 제 2 면은, 상기 박벽부의 개구측의 단 (端) 보다 상기 평판부측에 위치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의 탑재 구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 끼움 지지부는 상기 커넥터 탑재부의 좌우 양측에 기립하여 상기 제 1 커넥터를 상기 커넥터 탑재부를 향해 가압했을 때에 상기 제 1 커넥터에 자동적으로 걸리는 고리부를 내측에 구비한 훅(hook) 형상을 갖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의 탑재 구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 탑재부를 상방에서 보았을 때, 상기 전기적 접속 부재는 상기 제 2 커넥터의 후단부로부터 상기 전기 부품에 대한 접속 위치까지 직선적으로 연장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의 탑재 구조.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커넥터는 좌우 양측에 스프링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 1 커넥터는 상기 스프링부가 상기 커넥터 끼움 지지부에 가압되어 탄성 변형된 상태로 상기 커넥터 끼움 지지부 사이에 끼워서 지지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의 탑재 구조.
  5.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부재는, 상기 박벽부로 둘러싸인 영역 내에서 상기 평판부로부터 돌출되어 있고, 선단이 상기 박벽부의 개방측의 단보다 상기 평판부로부터 떨어진 위치에 있는 시트부를 구비하고,
    상기 시트부는, 모터로 이루어지는 구동 기구의 스테이터를 상기 오목부 내에 포팅된 상기 수지의 상면보다 상방으로 지지하고,
    상기 기판은, 상기 스테이터의 코일에 대한 급전을 행하기 위한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의 탑재 구조.
  6. 삭제
KR1020080085232A 2007-08-31 2008-08-29 커넥터의 탑재 구조 KR10135219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7225070A JP5148212B2 (ja) 2007-08-31 2007-08-31 コネクタの搭載構造
JPJP-P-2007-00225070 2007-08-3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23289A KR20090023289A (ko) 2009-03-04
KR101352194B1 true KR101352194B1 (ko) 2014-01-15

Family

ID=404218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85232A KR101352194B1 (ko) 2007-08-31 2008-08-29 커넥터의 탑재 구조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5148212B2 (ko)
KR (1) KR101352194B1 (ko)
CN (1) CN101378639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158034B (zh) * 2010-02-11 2013-06-05 浙江三花股份有限公司 直流无刷电机泵的电机及其制作方法、直流无刷电机泵
JP5427854B2 (ja) * 2011-08-29 2014-02-26 日本電産サーボ株式会社 ファンフィルタユニット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37088A (ja) * 1997-07-11 1999-02-09 Japan Servo Co Ltd ブラシレスdcファン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48780U (ko) * 1985-04-28 1987-03-26
JPH06171275A (ja) * 1992-09-29 1994-06-21 Mitsubishi Electric Corp Icカード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H06338367A (ja) * 1993-05-31 1994-12-06 Nippon Dennetsu Co Ltd レセプタクルコネクタの保持構造
JP2003267158A (ja) * 2002-03-15 2003-09-25 Calsonic Kansei Corp 自動車のハーネス接続構造
JP3971987B2 (ja) * 2002-06-13 2007-09-05 日本電産サンキョー株式会社 モータのステータ構造
JP4146332B2 (ja) * 2003-11-26 2008-09-10 矢崎総業株式会社 電子ユニットの防水構造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37088A (ja) * 1997-07-11 1999-02-09 Japan Servo Co Ltd ブラシレスdcファン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1378639A (zh) 2009-03-04
CN101378639B (zh) 2012-07-18
JP5148212B2 (ja) 2013-02-20
JP2009059549A (ja) 2009-03-19
KR20090023289A (ko) 2009-03-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7135388B2 (ja) 電動オイルポンプ
JP6034068B2 (ja) 渦流ポンプ装置
JP6386470B2 (ja) 電気機械
DK2886871T3 (en) Waterproof axial fan
CN110159546B (zh) 泵装置
JP5603725B2 (ja) ポンプ装置
CN211174636U (zh) 泵装置
KR101352194B1 (ko) 커넥터의 탑재 구조
JP2009100628A (ja) 電動ポンプ
WO2017170297A1 (ja) モータ
US6296458B1 (en) Electric fuel pump
KR102325134B1 (ko) 인버터 일체형 bldc 모터
CN109904971B (zh) 马达以及具有该马达的送风装置
JP7259683B2 (ja) 遠心ファン
JP2011166857A (ja) モータ用インシュレータ
JP5154171B2 (ja) ポンプ装置および洗濯機
JP2009057894A (ja) ポンプ装置および洗濯機
JP2009057880A (ja) ポンプ装置
JP6405625B2 (ja) 液体ポンプ
JP7208773B2 (ja) ポンプ装置
JP2019100314A (ja) 送風装置
JP2009057881A (ja) ポンプ装置
JP7281641B2 (ja) モータユニット及び電動オイルポンプ
JP6136798B2 (ja) 燃料ポンプ
KR102311537B1 (ko) 제어부 일체형 모터 및 이를 포함한 워터 펌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1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1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19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