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51084B1 - 이동형 자동 포대 포장장치 - Google Patents

이동형 자동 포대 포장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51084B1
KR101351084B1 KR1020130070755A KR20130070755A KR101351084B1 KR 101351084 B1 KR101351084 B1 KR 101351084B1 KR 1020130070755 A KR1020130070755 A KR 1020130070755A KR 20130070755 A KR20130070755 A KR 20130070755A KR 101351084 B1 KR101351084 B1 KR 10135108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pper
bag
contents
hoppers
sa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707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길섭
Original Assignee
다우산업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다우산업주식회사 filed Critical 다우산업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0707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5108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510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5108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43/00Forming, feeding, opening or setting-up containers or receptacles in association with packaging
    • B65B43/42Feeding or positioning bags, boxes, or cartons in the distended, opened, or set-up state; Feeding preformed rigid containers, e.g. tins, capsules, glass tubes, glasses, to the packaging position; Locating containers or receptacles at the filling position; Supporting containers or receptacles during the filling oper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57/00Automatic control, checking, warning, or safety devices
    • B65B57/02Automatic control, checking, warning, or safety devices responsive to absence, presence, abnormal feed, or misplacement of binding or wrapping material, containers, or packa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asic Packing Techniqu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형 자동 포대 포장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다수의 호퍼를 통해 일정량씩 계량되어 배출되는 내용물을 하나의 포장기를 이송하면서 저장포대에 담는 이동형 자동 포대 포장장치에 관한 발명이다.
내용물이 정량으로 계량되어 수용되며 하단에는 차단대가 구비되며, 저장탱크의 하단에 서로 이격되어 설치되는 복수의 호퍼; 상기 호퍼의 하부 바닥에 설치되는 이송레일; 상기 이송레일 위에 설치되어 슬라이딩 이동하는 포대 포장부; 상기 포대 포장부의 위치 및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다수의 호퍼가 설치되어도 하나의 자동 포장장치를 이동하면서 다수의 호퍼로부터 공급되는 내용물을 포대에 담을 수 있어 설치비 및 원가를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이동형 자동 포대 포장장치{MOBILE AUTOMATIC PACKING APPARATUS FOR}
본 발명은 이동형 자동 포대 포장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다수의 호퍼를 통해 일정량씩 계량되어 배출되는 내용물을 하나의 포장기를 이송하면서 저장포대에 담는 이동형 자동 포대 포장장치에 관한 발명이다.
일반적으로 포대 포장장치는 펠릿, 분말, 곡물 등 다양한 형태로 이루어진 내용물을 포대에 자동으로 포장하는 것으로서, 사일로(silo)로부터 소정량으로 연속 배출되는 내용물을 포대에 담아 자동으로 포장하게 된다.
대한민국 공개번호 특2000-0063803호 "계량포장장치"는 내용물을 정확한 계량을 하여 포대에 담는 기술이며, 공개특허 10-2009-0027884호 "비료 자동 포장장치"는 비료를 정량으로 측정하여 저장포대에 담는 기술이다.
또한, 대한민국 등록특허 10-1073335호 "자동 포장기의 계량장치 및 이에 의한 계량방법"이 있으며, 이는 호퍼의 하부에 설치된 포대 자동 포장장치에 의해 포대의 입구를 벌리고 호퍼의 차단대를 개방하여 일정량의 내용물이 포대에 담기면 자동으로 포장을 한다.
그런데, 상기와 같은 장치는 하나의 호퍼의 하부에 하나의 포대 자동 포장장치가 설치됨에 따라, 포장 작업량을 늘리기 위해 다수의 호퍼가 설치되는 경우 각각의 호퍼마다 포대 자동 포장장치가 설치되어야 하므로, 설치비용이 증가하고 내용물의 단가가 상승하는 등의 문제점이 발생한다.
본 발명은 다수의 호퍼가 설치되어도 하나의 자동 포장장치를 이동하면서 다수의 호퍼로부터 공급되는 내용물을 포대에 담을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센서의 감지에 의해 자동 포장장치를 호퍼의 하부에 정확하게 위치시키도록 하는데 다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내용물이 정량으로 계량되어 수용되며 하단에는 차단대가 구비되며, 저장탱크의 하단에 서로 이격되어 설치되는 복수의 호퍼; 상기 호퍼의 하부 바닥에 설치되는 이송레일; 상기 이송레일 위에 설치되어 슬라이딩 이동하는 포대 포장부; 상기 포대 포장부의 위치 및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포대 포장부에는 호퍼위치감지센서가 구비되고, 상기 호퍼위치감지센서의 감지에 의해 제어부가 작동하여 포대 포장장치가 이송레일을 타고 호퍼의 하부에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포대 포장부에는 상기 호퍼의 내용물을 포대에 담기 위한 연결게이트가 구비되고, 상기 연결게이트를 승하강시켜 호퍼의 하단에 밀착시키거나 분리시키는 승하강장치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연결게이트에는 호퍼와 연결게이트를 결합 고정시키기 위한 록킹부가 더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다수의 호퍼가 설치되어도 하나의 자동 포장장치를 이동하면서 다수의 호퍼로부터 공급되는 내용물을 포대에 담을 수 있어 설치비 및 원가를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센서의 감지에 의해 자동 포장장치를 호퍼의 하부에 정확하게 위치시켜 효율성이 향상되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형 자동 포대 포장장치의 일부 절결 개념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형 자동 포대 포장장치의 횡방향 측면 개념도
도 3은 도 2의 상태에서 포대 포장장치의 승하강장치를 상승시킨 상태를 도시한 개념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형 자동 포대 포장장치의 종방향 측면 개념도
이하,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의 구성을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며, 본 발명은 이하 설명되는 실시예를 통해 더욱 명확하게 설명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형 자동 포대 포장장치의 일부 절결 개념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형 자동 포대 포장장치의 횡방향 측면 개념도이다.
본 발명의 이동형 자동 포대 포장장치는 저장탱크(100)의 하단에 설치되는 다수의 호퍼(110), 그리고, 이송레일(120)과 포대 포장부(130) 및 제어부(140)를 포함한다.
저장탱크(100)는 공지와 같이 곡물, 펠릿, 분말 등 다양한 내용물을 저장하는 것으로서, 긴 길이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호퍼(110)는 저장탱크(100)의 하단에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되어 복수로 설치되어, 저장탱크(100) 내부의 내용물을 정량센서(도면에는 생략되어 있음)에 의해 계량되어 차단대의 개방에 의해 배출하게 된다.
이송레일(120)은 호퍼(110)측의 바닥면에 설치된다. 포대 포장부(130)는 이송레일(120)을 타고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도록 하단에는 바퀴(131)가 구비된다. 그리고, 도면에는 생략되어 있으나 포대 포장부(130)를 자동을 이송시키기 위한 구동장치가 구비되는 것은 당연할 것이다.
포대 포장부(130)의 상부에는 호퍼(110)로부터 배출되는 내용물을 포대에 담기 위한 연결게이트(132)가 구비되고, 연결게이트(132)를 승하강시키기 위한 승하강장치(133)가 마련된다. 승하강장치(133)는 일반적인 실린더와 피스톤으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포대 포장부(130)에는 호퍼위치감지센서가 구비되어 호퍼(110)의 위치를 감지하여 정지 및 작동하게 된다.
또한, 연결게이트(132)에는 록킹부가 더 마련되어 호퍼(110)와 연결게이트(132)를 결합 고정시켜 준다.
제어부(140)는 포대 포장부(130)의 위치 및 작동을 제어하고, 승하강장치(133)의 작동을 제어한다.
이하,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작용을 설명한다.
저장탱크(100)에 저장된 내용물이 각각의 호퍼(110)로 공급되어 계량장치에 의해 일정량씩 계량되어 준비된다.
제어부(140)에 의해 포대 포장부(130)가 작동하여 바퀴(131)가 이송레일(120)을 타고 이동한다. 이동하는 포대 포장부(130)는 호퍼위치감지센서에 의해 호퍼(110)의 위치를 감지한 후 정확하게 호퍼(110)의 하단측에 위치시켜 정지한다.
포대가 준비되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포대 포장부(130) 상부의 승하강장치(133)를 작동하여 연결게이트(132)를 상승시킨 후 호퍼(110)의 하부에 밀착시킨다. 그리고, 록킹부에 의해 연결게이트(132)를 호퍼(110)에 견고히 고정 결합시킨다.
호퍼(110)에 구비된 차단대를 개방하게 되면, 호퍼(110)로부터 배출되는 내용물이 외부로 낙하하지 않고 바로 연결게이트(132)를 통해 입구가 개방된 상태의 포대에 담아지게 된다.
내용물이 수용된 포대는 포대 포장부(130)에서 공지의 방법에 의해 자동 포장된 후 컨베이어 등에 의해 보관장소로 이송된다.
그리고, 다시 새로운 포대가 준비되면, 제어부(140)의 제어에 의해 이격되어 위치하는 다른 호퍼(110)의 하부로 이송레일(120)을 타고 이동하게 되고, 다시 호퍼위치감지센서에 의해 마찬가지로 호퍼(110)의 하부에 정확하게 위치하면서 정지한다.
이렇게 본 발명은 하나의 자동 포대 포장장치로 복수의 호퍼(110)에서 배출되는 내용물을 포대에 자동 포장할 수 있으므로, 설치비는 물론 원가를 절감하여 경제적으로 매우 큰 효과를 가지게 된다.
본 발명의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서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본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서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하여 사용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그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설명에서 기재된 일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발명의 출원시점에 있어서 발명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100 : 저장탱크 110 : 호퍼
120 : 이송레일 130 : 포장부
131 : 바퀴 132 : 연결게이트
133 : 승하강장치 140 : 제어부

Claims (4)

  1. 저장탱크(100) 내부의 내용물을 정량센서에 의해 정량으로 계량하여 하단에 구비된 차단대의 개방에 의해 내용물이 배출되며, 저장탱크(100)의 하단에 서로 이격되어 설치되는 복수의 호퍼(110);
    상기 복수의 호퍼(110) 하부 바닥에 설치되는 이송레일(120);
    상기 이송레일(120) 위에 설치되며, 상기 호퍼(110)의 위치를 감지하는 호퍼위치감지센서가 구비되고, 상기 호퍼위치감지센서의 호퍼(110) 위치 감지에 의해 작동하여 상기 호퍼(110)의 하부에서 바퀴(131)에 의해 이송레일(120)을 타고 슬라이딩 이동하거나 정지하며 포대를 자동으로 포장하는 포대 포장부(130);
    상기 호퍼(110)의 내용물을 포대에 담기 위하여 상기 포대 포장부(130)에 마련되며 호퍼(110)와 연결게이트(132)를 결합 고정시키기 위한 록킹부가 구비되는 연결게이트(132)와, 상기 연결게이트(132)를 실린더와 피스톤에 의해 승하강시켜 호퍼(110)의 하단에 밀착시키거나 분리시키는 승하강장치(133);
    상기 포대 포장부(130)의 위치 및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14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형 자동 포대 포장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KR1020130070755A 2013-06-20 2013-06-20 이동형 자동 포대 포장장치 KR10135108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70755A KR101351084B1 (ko) 2013-06-20 2013-06-20 이동형 자동 포대 포장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70755A KR101351084B1 (ko) 2013-06-20 2013-06-20 이동형 자동 포대 포장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51084B1 true KR101351084B1 (ko) 2014-01-21

Family

ID=501454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70755A KR101351084B1 (ko) 2013-06-20 2013-06-20 이동형 자동 포대 포장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51084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21904A (ja) * 1993-01-22 1994-08-12 Hino Motors Ltd 材料秤量装置
JPH10332467A (ja) * 1997-06-02 1998-12-18 Anritsu Corp 組合せ計量装置
KR20020013320A (ko) * 2000-08-14 2002-02-20 김홍노 포대 포장장치
KR20130042186A (ko) * 2011-10-18 2013-04-26 주식회사 디엠 백 플레이서 자동운전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21904A (ja) * 1993-01-22 1994-08-12 Hino Motors Ltd 材料秤量装置
JPH10332467A (ja) * 1997-06-02 1998-12-18 Anritsu Corp 組合せ計量装置
KR20020013320A (ko) * 2000-08-14 2002-02-20 김홍노 포대 포장장치
KR20130042186A (ko) * 2011-10-18 2013-04-26 주식회사 디엠 백 플레이서 자동운전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010382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filling multi-chamber containers with bulk materials
US10167098B2 (en) Box filler for produce packaging
JP2009517674A (ja) 包装機械の秤量装置
CN206358397U (zh) 一种新型pvc吨袋包装装置
ITBO20080720A1 (it) Macchina e metodo per riempire e pesare capsule
CN204846543U (zh) 一种种子自动定量包装系统
CN105383716A (zh) 一种饲料包装流水线
KR101899352B1 (ko) 물품 포장 장치 및 포장 방법
US11772886B2 (en) Reloadable containerized system for wet and dry proppants and methods of making and using same
CN205770232U (zh) 一种自动调剂装配线
US7045721B1 (en) Lifting device for use with drum weighing machine
KR101351084B1 (ko) 이동형 자동 포대 포장장치
KR101985728B1 (ko) 농산물 선별장치의 포장 중량 제어시스템
KR101594582B1 (ko) 어류 계량 및 포장장치
KR101668840B1 (ko) 자동포장장치
KR102008149B1 (ko) 물품 포장 장치용 완충재 정돈 장치
KR102109809B1 (ko) 마스크팩 포장용기의 충전 및 밀봉 장치
CN110426111B (zh) 适用于粉料自动称量的中控传输系统
CN207510760U (zh) 高精度计量自动运输吨包称系统
CN207192221U (zh) 一种集装箱灌装设备
CN208134674U (zh) 粉末自动称重包装成套设备
KR101959993B1 (ko) 물품 포장 장치에 사용되는 완충재 공급 장치
CN216660519U (zh) 一种自动计数的吨袋包装机
KR102023329B1 (ko) 벌크 백용 계량장치
KR200350685Y1 (ko) 자동 계수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1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12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