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50265B1 - 전선지지기구 - Google Patents

전선지지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50265B1
KR101350265B1 KR1020120078111A KR20120078111A KR101350265B1 KR 101350265 B1 KR101350265 B1 KR 101350265B1 KR 1020120078111 A KR1020120078111 A KR 1020120078111A KR 20120078111 A KR20120078111 A KR 20120078111A KR 101350265 B1 KR101350265 B1 KR 10135026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body
protruding
central axis
flat plate
support mechanis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781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54118A (ko
Inventor
히로시 스에마쓰
켄이치 스에마쓰
야스히코 쓰치야마
지로 우사미
히로토 와타나베
Original Assignee
스에마쓰 전자제작소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스에마쓰 전자제작소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스에마쓰 전자제작소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300541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5411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502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5026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29/00Scaring or repelling devices, e.g. bird-scaring apparatus
    • A01M29/24Scaring or repelling devices, e.g. bird-scaring apparatus using electric or magnetic effects, e.g. electric shocks, magnetic fields or microwav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13/00Protecting plants
    • A01G13/10Devices for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animals, birds or other pes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29/00Scaring or repelling devices, e.g. bird-scaring apparatus
    • A01M29/30Scaring or repelling devices, e.g. bird-scaring apparatus preventing or obstructing access or passage, e.g. by means of barriers, spikes, cords, obstacles or sprinkled water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rd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Zoolog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Insects & Arthropods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atching Or Destruction (AREA)
  • Fencing (AREA)

Abstract

전기울타리용 지주에서 전선의 높이 조절을 자유롭게 할 수 있는 전선지지기구를 제공한다.
전선지지기구(1)는 양단에 개구부(3)가 형성되어 있고, 일단에 중심축선에 대하여 평행하게 복수의 슬릿(4)이 형성된 원통형의 본체(2), 본체(2)의 일단에 탈부착 가능하게 장착되고 본체(2)의 일단의 직경보다 작은 직경을 가지는 캡 부재(5), 및 본체(2)의 외측 표면에 돌출형성된 돌기부재(6)을 포함한다. 캡 부재(5)도 양단이 개구된 원통형을 가진다. 돌기부재(6)는 제 1의 돌기부재(6A)와, 제 1의 돌기부재(6A)에서 떨어져 배치된 제 2의 돌기부재(6B)로 구성되어 있다.

Description

전선지지기구 {Wire support instrument}
본 발명은 전선지지기구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예를 들면 전기울타리용 지주에 장착되어 전선을 지지하는 전선지지기구에 관한 것이다.
산간지역의 농촌지대에서는 사슴이나 멧돼지 등의 야생동물이 논밭으로 침입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전기울타리가 많이 사용되고 있다.
전기울타리는 논밭 주위에 둘러쳐진 나전선(裸電線)에 전원장치 내의 전압발생기에서 발생한 전압이 인가되어, 이 나전선에 접촉한 사슴이나 멧돼지 등의 야생동물을 인가된 전압의 충격에 의해 격퇴하기 위한 울타리이다.
또한, 전기울타리의 나전선은 논밭의 주위에 타설(打設)된 지주에 설치된 애자에 계지(係止)되어 설치된다.
전기울타리에 이용된 지주로서는 여러 가지가 제안되고 있는데, 예를 들면 특허문헌 1에는 도 13에 나타낸 것처럼 전기울타리용 지주가 기재되어 있다. 즉, 특허문헌 1에 기재된 전기울타리용 지주는 지주본체(110)가 유리섬유강화수지로 이루어진 내층과, 폴리에틸렌 등으로 이루어진 표층의 2층 구조로 되어 있고, 선단부(114), 기단부(115), 후크부(111), 환상돌기부(112) 및 돌기조(113)와 함께 일체형성되어 있다.
또한, 후크부(111)는 상부로 개방되어 있어 나전선을 계지할 수 있다.
[특허문헌 1] 특허 제4303780호 공보
그러나, 특허문헌 1에 기재된 지주는 전선이 계지된 후크부가 일체형성되어 있고, 전선끼리의 간격이나 전선의 높이가 제한되어 있다.
본 발명은 이상의 점에 귀감하여 창안된 것으로, 전기울타리용 지주에서 전선의 높이조절을 자유롭게 할 수 있는 전선지지기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전선지지기구는 양단에 개구부가 형성되어 있고, 일단에 중심축선에 대하여 평행하게 슬릿이 형성된 원통형의 본체,상기 본체의 상기 일단에 탈부착 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본체의 일단의 직경보다 작은 직경을 가지는 캡 부재, 및 상기 본체의 외측 표면에 돌출형성된 돌기부재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전선지지기구는 양단에 개구부가 형성되어 있고, 일단에 중심축선에 대하여 평행하게 슬릿이 형성된 원통형의 본체, 상기 본체의 외측 표면에 상기 슬릿을 사이에 두고 일측과 다른 일측에 돌출형성된 구성체를 구비하며 형성된 장착부재, 상기 장착부재에 탈부착 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구성체의 서로 떨어진 방향에서 상기 장착부재의 길이보다 작은 직경을 가지는 캡 부재, 및 상기 장착부재와는 반대방향이고 상기 본체의 긴쪽 방향에서 상기 장착부재의 위치와 다른 위치의 상기 본체의 외측 표면에 돌출형성된 돌기부재를 포함한다.
여기에서 본체는, 양단에 개구부가 형성되어 있고 원통형이기 때문에 전기울타리용 지주를 본체에 통과시킬 수 있다.
또한, 본체의 일단에 탈부착 가능하게 장착되고, 본체의 일단의 직경보다 작은 직경을 가지는 캡 부재에 의해, 본체의 일단에 중심축선에 대하여 평행하게 형성된 슬릿이 줄어들기 때문에 본체의 일단의 직경이 수축하게 되고, 본체를 전기울타리용 지주에 고정할 수 있다.
또한, 장착부재에 탈부착 가능하게 장착되고, 구성체의 서로 떨어진 방향에서 장착부재의 길이보다 작은 직경을 가지는 캡 부재에 의해, 구성체 간의 거리가 줄어들면 슬릿도 줄어들기 때문에, 본체의 일단의 직경이 수축하게 되고, 본체를 전기울타리용 지주에 고정할 수 있다.
즉, 구성체는 본체의 외측 표면에 슬릿을 사이에 두고 일측과 다른 일측에 돌출형성되어 있는 것이라면 일부가 일체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전선지지기구에서 돌기부재는 본체의 중심축선과 평행하게 위치하는 제 1의 평판부재 및 제 1의 평판부재와 본체의 외측 표면을 연결하는 제 1의 연결부재를 구비하는 제 1의 돌기부재, 및 본체의 중심축선과 평행하게 배치된 제 2의 평판부재 및 제 2의 평판부재와 본체의 외측 표면을 연결하고 본체의 긴쪽 방향에서 제 1의 연결부재의 위치와 다른 위치에 배치된 제 2의 연결부재를 가지며, 또한 제 1의 돌기부재에서 떨어져 배치된 제 2의 돌기부재를 포함하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이 경우, 전선을 본체의 중심축선과 평행하게 한 상태에서 제 1의 돌기부재와 제 2의 돌기부재 사이로 통과시키고, 통과시킨 후에 전선을 눕혀 본체의 중심축선에 대하여 수직상태로 하는 것만으로 전선이 본체, 제 1의 평판부재, 제 1의 연결부재, 제 2의 평판부재, 및 제 2의 연결부재로 둘러싸인 상태가 되고, 돌기부재에 전선을 통과시킨 것 같은 상태가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전선지지기구에서 제 1의 평판부재의 제 2의 평판부재로 향한 내측의 가장자리와는 반대쪽 외측의 가장자리에 내측으로 향하여 움푹 패인 제 1의 홈부가 형성되고, 제 2의 평판부재의 제 1의 평판부재로 향한 내측의 가장자리와는 반대쪽 외측의 가장자리에 내측으로 향하여 움푹 패인 제 2의 홈부가 형성된 것이라고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전선지지기구에서 제 1의 돌기부재는 제 1의 평판부재의 상측의 가장자리에 본체를 향하여 돌출형성되고 본체의 긴쪽 방향에서 제 1의 연결부재보다 위쪽에 배치된 제 1의 돌기부를 구비하며, 제 2의 돌기부재는 제 2의 평판부재의 하측의 가장자리에 본체를 향하여 돌출형성되고 본체의 긴쪽 방향에서 제 2의 연결부재보다 아래쪽에 배치된 제 2의 돌기부를 구비하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이 경우, 제 1의 연결부재나 제 2의 연결부재에 전선을 휘감는 방법으로, 전선을 지지할 때 전선을 제 1의 돌기부와 제 1의 연결부재의 사이나 제 2의 돌기부와 제 2의 연결부재의 사이에 끼운 상태로 휘감을 수 있기 때문에 휘감은 전선을 풀기 어렵다.
또한, 본 발명의 전선지지기구는 본체의 다른 일단의 외측 표면에 본체의 중심축선을 따라 돌출형성된 복수의 돌기조부재를 포함하는 경우, 돌기조부재를 손가락으로 눌러서 본체를 회전시킬 수 있기 때문에 회전시키기 쉽다.
본 발명에 관한 전선지지기구는 전기울타리용 지주에서 전선의 높이조절을 자유롭게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전선지지기구의 제 1의 실시예를 나타낸 개략사시도이다.
도 2는 제 1의 실시예의 본 발명의 전선지지기구의 본체의 개략저면도이다.
도 3은 제 1의 실시예의 본 발명의 전선지지기구의 본체의 개략측면도이다.
도 4는 제 1의 실시예의 본 발명의 전선지지기구의 본체를 지주에 장착하는 상황을 설명하는 개략도이다.
도 5는 제 1의 실시예의 본 발명의 전선지지기구의 캡 부재를 지주에 장착하는 상황을 설명하는 개략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전선지지기구를 이용한 전기울타리의 일례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전선지지기구를 이용하여 전선의 느슨해짐을 고칠 때의 제 1의 동작을 설명하는 개략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전선지지기구를 이용하여 전선의 느슨해짐을 고칠 때의 제 2의 동작을 설명하는 개략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전선지지기구를 이용하여 전선의 느슨해짐을 고친 상태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전선지지기구의 제 2의 실시예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11은 제 2의 실시예의 본 발명의 전선지지기구의 본체의 개략평면도이다.
도 12는 제 2의 실시예의 본 발명의 전선지지기구의 본체의 개략측면도이다.
도 13은 종래의 전기울타리용 지주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하여 본 발명의 이해를 돕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전선지지기구의 제 1의 실시예를 나타낸 개략사시도이다. 또한, 도 2는 제 1의 실시예의 본 발명의 전선지지기구의 본체의 개략저면도이다. 또한, 도 3은 제 1의 실시예의 본 발명의 전선지지기구의 본체의 개략측면도이다.
도 1에 나타낸 것처럼, 제 1의 실시예의 본 발명의 전선지지기구(1)는 양단에 개구부(3)가 형성되어 있고, 일단에 중심축선에 대하여 평행하게 복수의 슬릿(4)이 형성되어 있는 원통형의 본체(2)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전선지지기구(1)는 본체(2)의 일단에 탈부착 가능하게 장착되고 본체(2)의 일단의 직경보다 작은 직경을 가지는 캡 부재(5)를 포함한다. 여기에서 캡 부재(5)도 양단이 개구된 원통형을 구비하고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전선지지기구(1)는 본체(2)의 외측 표면에 돌출형성된 돌기부재(6)를 포함한다.
또한, 본체(2)의 슬릿(4) 부근의 외측 표면에는 나사산(12)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이 나사산(12)에 대응되도록 캡 부재(5)의 내측 표면에는 나사골(13)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전선지지기구(1)는 본체(2)의 다른 일단의 외측 표면에 본체(2)의 중심축선을 따라 돌출형성된 복수의 돌기조부재(11)를 포함한다.
또한, 돌기부재(6)는 제1의 돌기부재(6A)와 제1의 돌기부재(6A)에서 떨어져 배치된 제2의 돌기부재(6B)로 구성되어 있다.
여기에서 제1의 돌기부재(6A)는 본체(2)의 중심축선과 평행하게 위치하는 제 1의 평판부재(61) 및 제 1의 평판부재(61)와 본체(2)의 외측 표면을 연결하는 제 1의 연결부재(62)를 구비한다.
또한, 제 2의 돌기부재(6B)는 본체(2)의 중심축선과 평행하게 배치된 제 2의 평판부재(63) 및 제 2의 평판부재(63)와 본체(2)의 외측 표면을 연결하고 본체(2)의 긴쪽 방향에서 제 1의 연결부재(62)의 위치와 다른 위치에 배치된 제 2의 연결부재(64)를 가진다.
즉, 도 3에서 알 수 있듯이 제 1의 연결부재(62)가 제 2의 연결부재(64)보다 슬릿(4)이 형성된 본체(2)의 일단에 가까운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또한, 제 1의 평판부재(61)의 제 2의 평판부재(63)로 향한 내측의 가장자리와는 반대쪽 외측의 가장자리에 내측으로 향하여 움푹 패인 제 1의 홈부(7)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제 2의 평판부재(63)의 제 1의 평판부재(61)로 향한 내측의 가장자리와는 반대쪽 외측의 가장자리에 내측으로 향하여 움푹 패인 제 2의 홈부(8)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제 1의 돌기부재(6A)는 제 1의 평판부재(61)의 상측의 가장자리에 본체(2)로 향하여 돌출형성되고 본체(2)의 긴쪽 방향에서 제 1의 연결부재(62)보다 위쪽에 배치된 제 1의 돌기부(9)를 구비한다.
또한, 제 2의 돌기부재(6B)는 제 2의 평판부재(63)의 하측의 가장자리에 본체(2)를 향하여 돌출형성되고 본체(2)의 긴쪽 방향에서 제 2의 연결부재(64)보다 아래쪽에 배치된 제 2의 돌기부(10)를 구비한다.
여기에서 상하의 위치를 기재하고 있는데, 이것은 본 발명의 전선지지기구를 전기울타리용 지주에 장착했을 때의 위치관계를 의미한다.
여기에서, 본 발명의 전선지지기구가 양단에 개구부가 형성되어 있고 일단에 중심축선에 대하여 평행하게 슬릿이 형성된 원통형의 본체, 본체의 일단에 탈부착 가능하게 장착되고 본체의 일단의 직경보다 작은 직경을 가지는 캡 부재, 및 본체의 외측 표면에 돌출형성된 돌기부재를 포함하는 것이라면, 반드시 돌기부재는 상술한 것과 같은 제 1의 돌기부재와 상술한 것과 같은 제 2의 돌기부재로 구성되어 있지 않아도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전선지지기구가 양단에 개구부가 형성되어 있고 일단에 중심축선에 대하여 평행하게 슬릿이 형성된 원통형의 본체, 본체의 일단에 탈부착 가능하게 장착되고 본체의 일단의 직경보다 작은 직경을 가지는 캡 부재, 및 본체의 외측 표면에 돌출형성된 돌기부재를 포함하는 것이라면, 반드시 본체의 다른 일단의 외측 표면에 본체의 중심축선을 따라 돌출형성된 복수의 돌기조부재를 포함하지 않아도 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전선지지기구가 본체의 다른 일단의 외측 표면에 본체의 중심축선을 따라 돌출형성된 복수의 돌기조부재를 포함하는 것이라면, 돌기조부재를 손가락으로 눌러 본체를 회전시킬 수 있기 때문에 회전시키기 쉬워 바람직하다.
도 4는 제 1의 실시예의 본 발명의 전선지지기구의 본체를 지주에 장착하는 상황을 설명하는 개략도이다. 또한, 도 5는 제 1의 실시예의 본 발명의 전선지지기구의 캡 부재를 지주에 장착하는 상황을 설명하는 개략도이다.
본 발명의 전선지지기구의 본체(2)는 양단에 개구부가 형성된 원통형을 가지기 때문에, 도 4에 나타낸 것처럼 본체(2)에 전기울타리용 지주(15)를 삽입한다.
다음으로, 캡 부재(5)도 양단이 개구된 원통형을 구비하고 있기 때문에, 도 5에 나타낸 것처럼 캡 부재(5)에 전기울타리용 지주(15)를 삽입한다.
그리고 캡 부재(5)를 회전시키면서 본체(2)의 외측 표면에 형성된 나사산과 캡 부재(5)의 내측 표면에 형성된 나사골을 결합시켜 캡 부재(5)를 본체(2)의 일단에 장착한다.
이때, 캡 부재(5)는 본체(2)의 일단의 직경보다 작은 직경을 가지기 때문에 본체(2)의 일단의 직경을 수축시켜 본체(2)를 전기울타리용 지주(15)에 고정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전선지지기구를 이용한 전기울타리의 일례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6에 나타낸 것처럼, 하나의 전기울타리용 지주(15)에 복수의 본 발명의 전선지지기구(1)가 장착되어 있고 복수의 전선지지기구(1) 각각은 전선(16)을 지지하고 있다.
또한, 전기울타리의 전선(16)은 시간의 경과와 함께 느슨해지는 경우가 있는데, 이 경우에는 다음과 같이 하여 느슨해짐을 고친다.
도 7은 본 발명의 전선지지기구를 이용하여 전선의 느슨해짐을 고칠 때의 제 1의 동작을 설명하는 개략도이다. 또한, 도 8은 본 발명의 전선지지기구를 이용하여 전선의 느슨해짐을 고칠 때의 제 2의 동작을 설명하는 개략도이다. 또한, 도 9는 본 발명의 전선지지기구를 이용하여 전선의 느슨해짐을 고친 상태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7에 나타낸 것처럼, 캡 부재(5)를 장착시와는 반대방향으로 회전시켜서 본체(2)의 외측 표면에 형성된 나사산과 캡 부재(5)의 내측 표면에 형성된 나사골과의 결합을 푼다.
그렇게 하면, 수축해 있던 본체(2)의 일단은 넓어지고 본체(2)는 중심축선을 중심으로 하여 즉, 전기울타리용 지주(15)를 중심으로 하여 회전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도 8에 나타낸 것처럼 본체(2)를 회전시킴으로써, 도 9에 나타낸 것처럼 전선(16)이 본체(2)나 제 1의 돌기부재(6A)나 제 2의 돌기부재(6B)에 휘감아져 전선(16)의 느슨해짐을 고친다.
느슨해짐이 고쳐진 후에는 다시 한 번 캡 부재(5)를 본체(2)의 일단에 장착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전선지지기구의 제 2의 실시예를 나타낸 개략사시도이다. 또한, 도 11은 제 2의 실시예의 본 발명의 전선지지기구의 본체의 개략평면도이다. 또한, 도 12는 제 2의 실시예의 본 발명의 전선지지기구의 본체의 개략측면도이다.
도 10에 나타낸 것처럼, 제 2의 실시예의 본 발명의 전선지지기구(1)는 양단에 개구부(3)가 형성되어 있고, 일단에 중심축선에 대하여 평행하게 슬릿(4)이 형성된 원통형의 본체(2)를 포함한다.
또한, 도 11에서 알 수 있듯이 본 발명의 전선지지기구(1)는 본체(2)의 외측 표면에 슬릿(4)을 사이에 두고 일측과 다른 일측에 돌출형성된 2개의 서로 떨어진 구성체(제 1의 구성체(14A)와 제 2의 구성체(14B))로 형성된 장착부재(14)를 포함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제 1의 구성체(14A)와 제 2의 구성체(14B) 간의 거리가 줄어들면 슬릿(4)도 주방향(周方向)으로 줄어들기 때문에, 본체(2)의 직경이 수축하게 되고 본체(2)를 전기울타리용 지주에 고정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전선지지기구(1)는 장착부재(14)에 탈부착 가능하게 장착되고, 구성체(제 1의 구성체(14A)와 제 2의 구성체(14B))의 서로 떨어진 방향에서 장착부재의 길이보다 작은 직경을 구비하는 캡 부재(5)를 포함한다. 여기에서 캡 부재(5)에는 장착부재(14)가 삽입되는 관통구멍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전선지지기구(1)는 장착부재(14)와는 반대방향이고, 본체(2)의 긴쪽 방향에서 장착부재(14)의 위치와 다른 위치의 본체(2)의 외측 표면에 돌출형성된 돌기부재(6)를 포함한다.
또한, 장착부재(14)(제 1의 구성체(14A)와 제 2의 구성체(14B))의 외측 표면에는 나사산(12)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이 나사산(12)에 대응되도록 캡 부재(5)의 내측 표면에는 나사골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돌기부재(6)는 제 1의 돌기부재(6A)와 제 1의 돌기부재(6A)에서 떨어져 배치된 제 2의 돌기부재(6B)로 구성되어 있다.
여기에서 제 1의 돌기부재(6A)는 본체(2)의 중심축선과 평행하게 위치하는 제 1의 평판부재(61) 및 제 1의 평판부재(61)와 본체(2)의 외측 표면을 연결하는 제 1의 연결부재(62)를 구비한다.
또한, 제 2의 돌기부재(6B)는 본체(2)의 중심축선과 평행하게 배치된 제 2의 평판부재(63) 및 제 2의 평판부재(63)와 본체(2)의 외측 표면을 연결하고 본체(2)의 긴쪽 방향에서 제 1의 연결부재(62)의 위치와 다른 위치에 배치된 제 2의 연결부재(64)를 구비한다.
또한, 도 12에서 알 수 있듯이 돌기부재(6)의 위치는 본체(2)의 긴쪽 방향에서 장착부재(14)의 위치와는 다른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즉, 돌기부재(6)가 상측에 배치되어 있고, 장착부재(14)가 하측에 배치되어 있다.
또한, 제 1의 평판부재(61)의 제 2의 평판부재(63)로 향한 내측의 가장자리와는 반대쪽 외측의 가장자리에 내측으로 향하여 움푹 패인 제 1의 홈부(7)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제 2의 평판부재(63)의 제1의 평판부재(61)로 향한 내측의 가장자리와는 반대쪽 외측의 가장자리에 내측으로 향하여 움푹 패인 제2의 홈부(도면에 나타내지 않음)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제 1의 돌기부재(6A)는 제 1의 평판부재(61)의 상측의 가장자리에 본체(2)로 향하여 돌출형성되고 본체(2)의 긴쪽 방향에서 제 1의 연결부재(62)보다 위쪽에 배치된 제 1의 돌기부(9)를 구비한다.
또한, 제 2의 돌기부재(6B)는 제 2의 평판부재(63)의 하측의 가장자리에 본체(2)로 향하여 돌출형성되고 본체(2)의 긴쪽 방향에서 제 2의 연결부재(64)보다 아래쪽에 배치된 제 2의 돌기부(10)를 구비한다.
여기에서 상하의 위치를 기재하고 있는데, 이것은 본 발명의 전선지지기구를 전기울타리용 지주에 장착했을 때의 위치관계를 의미한다.
또한, 제 2의 실시예의 본 발명의 전선지지기구도 제 1의 실시예의 본 발명의 전선지지기구와 같이 본체에 전기울타리용 지주를 삽입하여 캡 부재로 고정함으로써 전선지지기구를 전기울타리용 지주에 장착할 수 있지만, 제 1의 실시예와는 다르게 캡 부재에 전기울타리용 지주를 삽입할 필요는 없고 전선지지기구의 장착부재에 캡 부재를 장착하는 것만으로 충분하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전선지지기구는 양단에 개구부가 형성되어 있고, 일단에 중심축선에 대하여 평행하게 슬릿이 형성된 원통형의 본체를 포함하고 있기 때문에 전선울타리용 지주를 본체에 통과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전선지지기구는 캡 부재에 의해 본체의 일단의 직경을 수축시키고, 본체를 전기울타리용 지주에 고정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전선지지기구는 전기울타리용 지주를 따라 본체를 이동시켜서 원하는 위치에서 캡 부재에 의해 고정할 수 있기 때문에, 전기울타리용 지주에서 전선의 높이 조절을 자유롭게 할 수 있다.
1 전선지지기구 2 본체
3 개구부 4 슬릿
5 캡 부재 6 돌기부재
6A 제 1의 돌기부재 6B 제 2의 돌기부재
7 제 1의 홈부 8 제 2의 홈부
9 제 1의 돌기부 10 제 2의 돌기부
11 돌기조부재 12 나사산
13 나사골 14 장착부재
14A 제 1의 구성체 14B 제 2의 구성체
15 전기울타리용 지주 16 전선
61 제 1의 평판부재 62 제 1의 연결부재
63 제 2의 평판부재 64 제 2의 연결부재

Claims (9)

  1. 양단에 개구부가 형성되어 있고, 일단에 중심축선에 대하여 평행하게 슬릿이 형성된 원통형의 본체;
    상기 본체의 일단에 탈부착 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본체의 일단의 직경보다 작은 직경을 구비하는 캡 부재; 및
    상기 본체의 외측 표면에 돌출형성된 돌기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돌기부재는,
    상기 본체의 중심축선과 평행하게 위치하는 제 1의 평판부재, 및 상기 제 1의 평판부재와 상기 본체의 외측 표면을 연결하는 제 1의 연결부재를 구비하는 제 1의 돌기부재, 및
    상기 본체의 중심축선과 평행하게 배치된 제 2의 평판부재, 및 상기 제 2의 평판부재와 상기 본체의 외측 표면을 연결하고 상기 본체의 긴쪽 방향에서 상기 제 1의 연결부재의 위치와 다른 위치에 배치된 제 2의 연결부재를 구비하며, 상기 제 1의 돌기부재에서 떨어져 배치된 제 2의 돌기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선지지기구.
  2. 양단에 개구부가 형성되어 있고 일단에 중심축선에 대하여 평행하게 슬릿이 형성된 원통형의 본체;
    상기 본체의 외측 표면에 상기 슬릿을 사이에 두고 일측과 다른 일측에 돌출형성된 구성체를 구비하며 형성된 장착부재;
    상기 장착부재에 탈부착 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구성체의 서로 떨어진 방향에서 상기 장착부재의 길이보다 작은 직경을 가지는 캡 부재; 및
    상기 장착부재와는 반대방향이고 상기 본체의 긴쪽 방향에서 상기 장착부재의 위치와 다른 위치의 상기 본체의 외측 표면에 돌출형성된 돌기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돌기부재는,
    상기 본체의 중심축선과 평행하게 위치하는 제 1의 평판부재 및 상기 제 1의 평판부재와 상기 본체의 외측 표면을 연결하는 제 1의 연결부재를 구비하는 제 1의 돌기부재, 및
    상기 본체의 중심축선과 평행하게 배치된 제 2의 평판부재 및 상기 제 2의 평판부재와 상기 본체의 외측 표면을 연결하고 상기 본체의 긴쪽 방향에서 상기 제 1의 연결부재의 위치와 다른 위치에 배치된 제 2의 연결부재를 구비하며, 상기 제 1의 돌기부재에서 떨어져 배치된 제 2의 돌기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선지지기구.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 1의 평판부재의 상기 제 2의 평판부재로 향한 내측의 가장자리와는 반대쪽 외측의 가장자리에 내측으로 향하여 움푹 패인 제 1의 홈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 2의 평판부재의 상기 제 1의 평판부재로 향한 내측의 가장자리와는 반대쪽 외측의 가장자리에 내측으로 항하여 움푹 패인 제 2의 홈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선지지기구.
  4.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 1의 돌기부재는 상기 제 1의 평판부재의 상측의 가장자리에 상기 본체로 항하여 돌출형성되고 상기 본체의 긴쪽 방향에서 상기 제 1의 연결부재보다 위쪽에 배치된 제 1의 돌기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 2의 돌기부재는 상기 제 2의 평판부재의 하측의 가장자리에 상기 본체를 향하여 돌출형성되고 상기 본체의 긴쪽 방향에서 상기 제 2의 연결부재보다 아래쪽에 배치된 제 2의 돌기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선지지기구.
  5.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다른 일단의 외측 표면에 상기 본체의 중심축선을 따라 돌출형성된 복수의 돌기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선지지기구.
  6.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제 1의 돌기부재는 상기 제 1의 평판부재의 상측의 가장자리에 상기 본체로 항하여 돌출형성되고 상기 본체의 긴쪽 방향에서 상기 제 1의 연결부재보다 위쪽에 배치된 제 1의 돌기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 2의 돌기부재는 상기 제2의 평판부재의 하측의 가장자리에 상기 본체를 향하여 돌출형성되고 상기 본체의 긴쪽 방향에서 상기 제 2의 연결부재보다 아래쪽에 배치된 제 2의 돌기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선지지기구.
  7.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다른 일단의 외측 표면에 상기 본체의 중심축선을 따라 돌출형성된 복수의 돌기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선지지기구.
  8.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다른 일단의 외측 표면에 상기 본체의 중심축선을 따라 돌출형성된 복수의 돌기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선지지기구.
  9.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다른 일단의 외측 표면에 상기 본체의 중심축선을 따라 돌출형성된 복수의 돌기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선지지기구.
KR1020120078111A 2011-08-17 2012-07-18 전선지지기구 KR10135026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1-178310 2011-08-17
JP2011178310A JP4928643B1 (ja) 2011-08-17 2011-08-17 電線支持器具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54118A KR20130054118A (ko) 2013-05-24
KR101350265B1 true KR101350265B1 (ko) 2014-01-13

Family

ID=462615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78111A KR101350265B1 (ko) 2011-08-17 2012-07-18 전선지지기구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4928643B1 (ko)
KR (1) KR101350265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18688Y2 (ja) 1992-04-20 1996-11-27 繁正 濱上 ハンガー装置
JP3047725U (ja) * 1997-09-19 1998-04-24 奇▲立▼鋼鐵股▲分▼有限公司 ハンガー又はパイプの接続構造
JP2008104446A (ja) 2006-09-30 2008-05-08 Sekisui Jushi Co Ltd 線条体架設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781Y2 (ja) * 1989-09-19 1996-01-24 三菱マテリアル株式会社 ボルト締緩機構の回転速度可変装置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18688Y2 (ja) 1992-04-20 1996-11-27 繁正 濱上 ハンガー装置
JP3047725U (ja) * 1997-09-19 1998-04-24 奇▲立▼鋼鐵股▲分▼有限公司 ハンガー又はパイプの接続構造
JP2008104446A (ja) 2006-09-30 2008-05-08 Sekisui Jushi Co Ltd 線条体架設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54118A (ko) 2013-05-24
JP2013039078A (ja) 2013-02-28
JP4928643B1 (ja) 2012-05-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50265B1 (ko) 전선지지기구
US8635721B2 (en) Playard
JP2016219496A (ja) 固定構造及びコイルユニット
WO2010018279A1 (es) Palanca de precisión para mando
US9912135B2 (en) Cross arm covers for utility poles and related methods
US8488821B2 (en) Snap-on fastening device for hearing device
JP2017198320A (ja) バンドクリップおよびこれを備えたワイヤハーネス
KR101315835B1 (ko) 조립식 가로등 주
KR101027292B1 (ko) 신호칼럼
BR112017018313B1 (pt) Suporte de instalação
KR20210000517A (ko) 스마트 암타이
JP7267247B2 (ja) 架線具
JP2020012509A (ja) 固定具及び固定構造
JP2013247699A (ja) ワイヤーハーネス、ワイヤーハーネスの製造方法及び分岐用部材
JP7250542B2 (ja) カバー付き柱
JP3196083U7 (ko)
JP2015050966A (ja) 架線金具
KR20170138965A (ko) 버스바 고정용 스터드 클립
WO2020186907A1 (zh) 磁环固定装置及电控盒、空调器
JP2019106781A (ja) 腕金
JP5500939B2 (ja) ワイヤハーネスの配索構造
WO2015136636A1 (ja) トラフ、ケーブル敷設構造およびケーブル敷設方法
JP2018087434A (ja) 中間ジョイント対応束
JP4850102B2 (ja) ケーブル収納装置
RU71810U1 (ru) Опорный изолятор (вариант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