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138965A - 버스바 고정용 스터드 클립 - Google Patents
버스바 고정용 스터드 클립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70138965A KR20170138965A KR1020170159716A KR20170159716A KR20170138965A KR 20170138965 A KR20170138965 A KR 20170138965A KR 1020170159716 A KR1020170159716 A KR 1020170159716A KR 20170159716 A KR20170159716 A KR 20170159716A KR 20170138965 A KR20170138965 A KR 20170138965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bus bar
- support
- insertion hole
- support portion
- fixing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03780 inser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4
- 230000037431 insertion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4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8
- 238000005452 bend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0000003014 reinforc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8000004804 winding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3
- 230000000149 penetrating effect Effects 0.000 abstract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4020 conducto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093 peripher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787 reinforcement Effect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2/00—Friction-grip releasable fastenings
- F16B2/02—Clam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by positive means other than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 F16B2/06—Clam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by positive means other than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external, i.e. with contracting action
- F16B2/08—Clam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by positive means other than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external, i.e. with contracting action using band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5/00—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 F16B5/02—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by means of fastening members using screw-thread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5/00—Installations of bus-ba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amps And Clips (AREA)
Abstract
버스바 고정용 스터드 클립에 대한 발명이 개시된다. 개시된 버스바 고정용 스터드 클립은: 몸체부와, 몸체부에 구비되어 장착공이 관통 형성되는 삽입부와, 삽입부의 측면에 형성되어 버스바의 일측면을 지지하는 측면지지부와, 측면지지부의 단부에서 버스바의 상면을 지지하도록 굴곡 형성되는 상면지지부와, 상면지지부에서 연장되어 버스바를 감싸면서 장착공에 삽입되어 걸리는 감이부와, 상면지지부의 설정구간에 구비되어 버스바의 모서리부위 및 측면부위를 걸림 고정하는 위치고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버스바 고정용 스터드 클립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버스바의 측면과 상면을 지지하는 측면지지부와 상면지지부를 구비하여 버스바의 모서리를 감싸는 상태로 고정하고, 상면지지부에 위치고정부를 구비하여 버스바의 측면부위를 걸림 고정하며, 밴드부를 상면지지부 보다 협소하게 형성하므로 버스바를 효율적으로 감아줄 수 있는 버스바 고정용 스터드 클립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하이브리드 자동차, 전기 자동차 등을 포함한 자동차의 엔진룸 내에는 각종 센서, 배터리팩을 비롯한 많은 전장 부품이 구비되어 있다.
이때, 배터리팩에는 버스바가 설치되어 있다, 이 버스바(Bus-bar)는 전기적 에너지를 전달하기 위해 배터리팩 와이어링 및 피씨비(PCB) 상에서 전도체 역할을 하는 부품으로서, 외주면에 절연튜브 또는 절연피복 등에 의해 절연 처리된다.
이러한 버스바는 기존의 와이어 하네스(Wire Harness) 고정용 클립을 이용하여 밴드부로 감아주고 밴드부의 단부를 몸체부의 걸림홀에 삽입하여 고정한다.
그런데, 기존의 고정용 클립은 와이어 하네스를 감아 고정하기 위한 구조로 이루어지므로 직사각형 판체 형태인 버스바를 감아 고정하는 경우, 밴드부가 원형으로 감겨지는 상태로 설치되므로 직사각형의 버스바가 밴드부 내에서 회전되어 조립 위치가 정확하게 유지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이를 개선할 필요성이 요청된다.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한국 등록실용신안 제20-0408583호(3006.02.03, 발명의 명칭: 밴드케이블 고정용 스터드 클립)가 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필요성에 의해 창출된 것으로서, 버스바의 측면과 상면을 지지하는 측면지지부와 상면지지부를 구비하여 버스바의 모서리를 감싸는 상태로 고정하고, 상면지지부에 위치고정부를 구비하여 버스바의 측면부위를 걸림 고정하며, 밴드부를 상면지지부 보다 협소하게 형성하므로 버스바를 효율적으로 감아줄 수 있는 버스바 고정용 스터드 클립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버스바 고정용 스터드 클립은, 몸체부; 상기 몸체부에 구비되어 장착공이 관통 형성되는 삽입부; 상기 삽입부의 측면에 형성되어 버스바의 일측면을 지지하는 측면지지부; 상기 측면지지부의 단부에서 상기 버스바의 상면을 지지하도록 굴곡 형성되는 상면지지부; 상기 상면지지부에서 연장되어 상기 버스바를 감싸면서 상기 장착공에 삽입되어 걸리는 감이부; 및 상기 상면지지부의 설정구간에 구비되어 상기 버스바의 모서리부위 및 측면부위를 걸림 고정하는 위치고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몸체부는 상하로 관통 형성되는 삽입공에 체결부재를 이용하여 차체구조물에 나사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상면지지부는 상기 측면지지부에서 직각으로 굴곡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감이부는 상기 상면지지부의 너비에 비해 협소한 너비를 갖고, 상기 감이부의 일면에는 상기 장착공에 삽입되어 걸리도록 요철부가 다수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위치고정부는, 상기 상면지지부의 일측면에서 함몰 형성되는 다수개의 함몰부; 상기 함몰부 사이에서 일측으로 돌출 형성되는 걸림부; 및 상기 걸림부를 상호 연결하고, 상기 상면지지부의 두께보다 얇게 형성되어 구부려지는 벤딩연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걸림부의 단부 높이(b)는 상기 상면지지부의 일측면 높이(a)와 같거나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몸체부의 하측 둘레에는 상기 차체구조물에 접촉 지지되는 서포트부재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서포트부재는 상기 측면지지부에 연결되도록 상기 측면지지부의 너비에 대응되는 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상면지지부의 내측면에는 버스바의 측면에 탄성적으로 긴밀하게 밀착 접촉되는 탄성밀착부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버스바 고정용 스터드 클립은, 버스바의 측면과 상면을 지지하는 측면지지부와 상면지지부를 구비하여 버스바의 모서리를 감싸는 상태로 고정하므로 버스바의 일측 모서리부뷔를 효과적으로 지지활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운, 상면지지부에 위치고정부를 구비하여 버스바의 측면부위 및 타측 모서리부위를 걸림 고정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운, 감이부를 상면지지부 보다 협소하게 형성하므로 버스바를 상면지지부 반대측에서 효율적으로 감아줄 수 있다,
또한, 본 벌명은, 상면지지부의 내측에 탄성밀착부를 구비하여 버스바의 측면에 긴밀하게 밀착 지지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버스바 고정용 스터드 클립의 조립 전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버스바 고정용 스터드 클립의 측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버스바 고정용 스터드 클립의 저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버스바 고정용 스터드 클립의 조립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버스바 고정용 스터드 클립을 이용하여 다양한 형상의 버스바를 고정하는 상태를 보인 도면들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버스바 고정용 스터드 클립의 조립과정을 보인 도면들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버스바 고정용 스터드 클립의 변형예로서, 상면지지부에 탄성밀착부가 더 구비된 상태 측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버스바 고정용 스터드 클립의 측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버스바 고정용 스터드 클립의 저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버스바 고정용 스터드 클립의 조립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버스바 고정용 스터드 클립을 이용하여 다양한 형상의 버스바를 고정하는 상태를 보인 도면들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버스바 고정용 스터드 클립의 조립과정을 보인 도면들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버스바 고정용 스터드 클립의 변형예로서, 상면지지부에 탄성밀착부가 더 구비된 상태 측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버스바 고정용 스터드 클립를 설명하도록 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버스바 고정용 스터드 클립의 조립 전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버스바 고정용 스터드 클립의 측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버스바 고정용 스터드 클립의 저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버스바 고정용 스터드 클립의 조립 사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버스바 고정용 스터드 클립을 이용하여 다양한 형상의 버스바를 고정하는 상태를 보인 도면들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버스바 고정용 스터드 클립의 조립과정을 보인 도면들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버스바 고정용 스터드 클립의 변형예로서, 상면지지부에 탄성밀착부가 더 구비된 상태 측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버스바 고정용 스터드 클립은, 몸체부(100), 삽입부(200), 측면지지부(300), 상면지지부(400), 감이부(500) 및 위치고정부(600)를 포함한다.
몸체부(100)는 상하로 관통 형성되는 삽입공(110)에 체결부재(40)를 이용하여 차체구조물(20)에 나사 결합된다.
삽입공(110)의 내측면에는 체결부재(40)의 둘레에 접촉되어 강도를 보강하는 보강부재(120)가 더 구비될 수 있다.
보강부재(120)는 삽입공(11)이 상하로 관통 형성될 때, 삽입공(110)의 중심측으로 돌출되되, 삽입공(110)의 내주면에 상하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는 구성으로서, 몸체부(100)에 체결부재(40)를 삽입하여 체결시 몸체부(100)에 가압하중이 가해지는 것을 것을 보강 지지하여 몸체부(100)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삽입부(200)는 몸체부(100)에 구비되어 장착공(210)이 관통 형성된다.
삽입부(200)는 후술하는 감이부(500)가 삽입되고, 감이부(500)의 일측면에 요철형상으로 돌출 형성된 요철부(510)가 형성됨으로써, 감이부(500)의 위치를 고정한다. 장착공(210)의 내측면에는 요철부(5100가 걸리는 걸림턱(미도시)이 구비된다.
측면지지부(300)는 삽입부(200)의 측면에 형성되어 버스바(10)의 일측면을 지지하는 구성이다. 버스바(10)는 직사각형 판체이므로 상면, 하면 및 한 쌍의 측면을 포함한다.
이때. 측면지지부(300)는 버스바(10)의 어느 한 측면에 접촉되는 것이다. 즉, 측면지지부(300)의 높이는 버스바(10)의 측면 높이와 동일하거나 약간 더 크게 형성된다.
상면지지부(400)는 측면지지부의 단부에서 상기 버스바의 상면을 지지하도록 굴곡 형성된다.
상면지지부(400)는 측면지지부(300)에서 직각으로 굴곡 형성된다. 이로써, 상면지지부(400)의 저면에는 버스바(10)의 상면이 접촉된다. 이와 같이, 측면지지부(300)와 상면지지부(400)가 직각으로 연결되어 버스바(10)의 모서리부위가 일치되는 상태로 설치되므로 버스바(10)의 회전을 방지할 수 있다.
감이부(500)는 상면지지부(400)에서 연장되어 버스바(10)를 감싸면서 장착공(210)에 삽입되어 걸리는 구성이다.
감이부(500)의 일면에는 장착공(210)에 삽입되어 걸리도록 요철부(510)가 다수개 형성된다.
요철부(510)는 버스바(10)를 감싸는 접촉면에 삼각형상의 돌부와 홈부를 길이방향으로 반복 형성하여 이루어진다.
감이부(500)는 상면지지부(400)의 너비에 비해 협소한 너비를 갖는다. 이로써, 상면지지부(400)에 비해 잘 구부려져 버스바(100)의 하측면을 효과적으로 감아줄 수 있다.
위치고정부(600)는 상면지지부(400)의 설정구간에 구비되어 버스바(10)의 모서리부위 및 측면부위를 걸림 고정한다.
위치고정부(600)는 버스바(10)의 우측부위(도면 참조)를 걸어주므로 버스바(10)의 우측부위의 회전 및 유동을 방지할 수 있다.
위치고정부(600)는 상면지지부(400)의 측면에서 함몰 형성되는 다수개의 함몰부(610)와, 함몰부(610) 사이에서 일측으로 돌출 형성되는 걸림부(620)와, 걸림부(620)를 상호 연결하고, 상면지지부(400)의 두께보다 얇게 형성되어 잘 구부려지는 벤딩연결부(630)를 포함한다.
걸림부(620)의 단부 높이(b)는 상면지지부(400)의 일측면 높이(a)와 같거나 작을 수 있다. 그 이유는 위치고정부(600)가 버스바(10) 측으로 감길 때 걸림부(620)가 버스바(10) 측으로 돌출되어 효과적으로 감쌀 수 없으므로 이를 방지하기 위함이다. 즉, 걸림부(620)의 단부 높이(b)가 상면지지부(400)의 일측면 높이(a)와 같거나 작으므로 버스바(10)의 측면 및 모서리부위를 잘 감아 줄 수 있다.
한편, 도 5를 참조하면, 버스바(10)가 최적의 크기인 경우, 버스바(10)의 너비가 큰 경우, 버스바(10)의 두께가 큰 경우를 각각 보인 도면으로서, 어느 경우이던지 위치고정부(600)의 걸림부(620)가 버스바(10)의 측면부위 및 모서리부위를 감싸 고정 및 유지할 수 있는 위치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몸체부(100)의 하측 둘레에는 차체구조물(20)에 접촉 지지되는 서포트부재(700)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서포트부재(700)는 저면 테두리에 안정적인 안착 및 보강을 위해 하측으로 돌출되는 테두리돌부(710)가 형성될 수 있다.
서포트부재(700)에는 테두리돌부(710) 사이를 보강하기 위해 격자 형상으로 연결되는 격자돌부(720)가 구비될 수 있다.
서포트부재(700)는 측면지지부(300)에 연결되도록 측면지지부(300)의 너비에 대응되는 너비를 가질 수 있다. 서포트부재(700)는 사각판체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도 6을 참조하며 본 발명에 따른 스터드 클립을 이용하여 버스바(10)를 고정하는 과정을 살펴보면, 도 6의 첫 번째 및 두번 째 도면에 나타난 바와 같이, 스터드 클립을 이용하여 버스바(10)의 측면과 상면에 측면지지부(300)와 상면지지부(400)를 접촉시킨다,
연이어, 도 6의 세 번째 도면에 나타난 바와 같이, 감이부(500)를 하측으로 당겨 위치고정부(600)의 걸림부(620)가 버스바(10)의 우측면과 모서리부위에 걸림 고정시키도록 한다. 이때, 벤딩연결부(630)는 상면지지부(400)의 두께에 비해 얇게 형성되므로 쉽게 구부려진다.
그 다음, 도 6의 네 번째 도면에 나타난 바와 같이, 감이부(500)를 버스바(10)의 하측면을 감아준 상태에서 삽입부(200)의 장착공(210)에 삽입하여 요철부(510)를 걸림 고정시킨다. 한편, 미도시 되었지만, 체결부재(40)를 몸체부(100)의 삽입공(110)에 삽입하여 차체구조물(20)에 체결하여 버스바(10)가 조립된 스터드클립을 차체구조물(20)에 고정하도록 한다.
도 7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버스바 고정용 스터드 클립의 변형예로서, 상면지지부(400)의 내측면에는 버스바(10)의 측면에 탄성적으로 긴밀하게 밀착 접촉되는 탄성밀착부(800)가 더 구비될 수 있다.
탄성밀착부(800)는 상면지지부(400)에 연결부위에서 단부로 갈수록 점차 얇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탄성밀착부(800)는 상면지지부(400)의 일측면(하측면)에 굴곡지게 연결되고 자유단부가 상면지지부(400)에 접촉되지 않는 상태로 구비되어 있다. 이때, 버스바(210)의 상면을 접촉시키면, 탄성밀착부(80)가 구부려지면서 하측으로 탄성력을 발휘하면서 버스바(100)를 유동 없이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버스바 고정용 스터드 클립은, 버스바의 측면과 상면을 지지하는 측면지지부와 상면지지부를 구비하여 버스바의 모서리를 감싸는 상태로 고정하므로 버스바의 일측 모서리부뷔를 효과적으로 지지활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운, 상면지지부에 위치고정부를 구비하여 버스바의 측면부위 및 타측 모서리부위를 걸림 고정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운, 감이부를 상면지지부 보다 협소하게 형성하므로 버스바를 상명 짖부 반대측에서 효율적으로 감아줄 수 있다, 또한, 본 벌명은, 상면지지부의 내측에 탄성밀착부를 구비하여 버스바의 측면에 긴밀하게 밀착 지지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20 : 차체구조물 40 : 체결부재
100 : 몸체부 110 : 삽입공
120 : 보강부재 200 : 삽입부
210 : 장착공 300 : 측면지지부
400 : 상면지지부 500 : 감이부
510 : 요철부 600 : 위치고정부
610 : 함몰부 620 : 걸림부
630 : 벤딩연결부 700 : 서포트부재
710 : 테두리돌부 720 : 격자돌부
100 : 몸체부 110 : 삽입공
120 : 보강부재 200 : 삽입부
210 : 장착공 300 : 측면지지부
400 : 상면지지부 500 : 감이부
510 : 요철부 600 : 위치고정부
610 : 함몰부 620 : 걸림부
630 : 벤딩연결부 700 : 서포트부재
710 : 테두리돌부 720 : 격자돌부
Claims (4)
- 몸체부; 상기 몸체부에 구비되어 장착공이 관통 형성되는 삽입부; 상기 삽입부의 측면에 형성되어 버스바의 일측면을 지지하는 측면지지부; 상기 측면지지부의 단부에서 상기 버스바의 상면을 지지하도록 굴곡 형성되는 상면지지부; 상기 상면지지부에서 연장되어 상기 버스바를 감싸면서 상기 장착공에 삽입되어 걸리는 감이부; 및 상기 상면지지부의 설정구간에 구비되어 상기 버스바의 모서리부위 및 측면부위를 걸림 고정하는 위치고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몸체부는 상하로 관통 형성되는 삽입공에 체결부재를 이용하여 차체구조물에 나사 결합되고, 상기 몸체부의 하측 둘레에는 상기 차체구조물에 접촉 지지되는 서포트부재가 더 구비되며,
상기 서포트부재는 상기 측면지지부에 연결되도록 상기 측면지지부의 너비에 대응되는 형상을 가지며, 상기 상면지지부의 내측면에는 버스바의 측면에 탄성적으로 긴밀하게 밀착 접촉되는 탄성밀착부가 구비되고,
상기 위치고정부는, 상기 상면지지부의 일측면에서 함몰 형성되는 다수개의 함몰부; 상기 함몰부 사이에서 일측으로 돌출 형성되는 걸림부; 및 상기 걸림부를 상호 연결하고, 상기 상면지지부의 두께보다 얇게 형성되어 구부려지는 벤딩연결부;를 포함하며,
상기 삽입공의 내측면에는 체결부재의 둘레에 접촉되어 강도를 보강하는 보강부재가 더 구비되고,
상기 보강부재는 상기 삽입공이 상하로 관통 형성될 때, 상기 삽입공의 중심측으로 돌출되되, 상기 삽입공의 내주면에 상하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스바 고정용 스터드 클립.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상면지지부는 상기 측면지지부에서 직각으로 굴곡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스바 고정용 스터드 클립.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감이부는 상기 상면지지부의 너비에 비해 협소한 너비를 갖고,
상기 감이부의 일면에는 상기 장착공에 삽입되어 걸리도록 요철부가 다수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스바 고정용 스터드 클립.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부의 단부 높이(b)는 상기 상면지지부의 일측면 높이(a)와 같거나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스바 고정용 스터드 클립.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159716A KR101840458B1 (ko) | 2017-11-27 | 2017-11-27 | 버스바 고정용 스터드 클립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159716A KR101840458B1 (ko) | 2017-11-27 | 2017-11-27 | 버스바 고정용 스터드 클립 |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60071316A Division KR101820138B1 (ko) | 2016-06-08 | 2016-06-08 | 버스바 고정용 스터드 클립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70138965A true KR20170138965A (ko) | 2017-12-18 |
KR101840458B1 KR101840458B1 (ko) | 2018-03-20 |
Family
ID=609230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70159716A KR101840458B1 (ko) | 2017-11-27 | 2017-11-27 | 버스바 고정용 스터드 클립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840458B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19083257A1 (ko) | 2017-10-25 | 2019-05-02 | 주식회사 엘지화학 | 리튬-황 전지용 분리막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황 전지 |
Family Cites Familie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257900Y1 (ko) | 2001-09-25 | 2001-12-29 | 경신공업 주식회사 | 와이어 하네스 고정용 클립 |
JP2010159843A (ja) | 2009-01-09 | 2010-07-22 | Sumitomo Wiring Syst Ltd | ボルト用クリップ |
JP2013046505A (ja) | 2011-08-25 | 2013-03-04 | Auto Network Gijutsu Kenkyusho:Kk | ベルト付クランプ及びワイヤハーネス |
-
2017
- 2017-11-27 KR KR1020170159716A patent/KR101840458B1/ko active IP Right Grant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19083257A1 (ko) | 2017-10-25 | 2019-05-02 | 주식회사 엘지화학 | 리튬-황 전지용 분리막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황 전지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840458B1 (ko) | 2018-03-20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840462B1 (ko) | 버스바 고정용 스터드 클립 | |
KR101840458B1 (ko) | 버스바 고정용 스터드 클립 | |
KR101840456B1 (ko) | 버스바 고정용 스터드 클립 | |
KR101840460B1 (ko) | 버스바 고정용 스터드 클립 | |
KR101840459B1 (ko) | 버스바 고정용 스터드 클립 | |
KR101840457B1 (ko) | 버스바 고정용 스터드 클립 | |
KR101840463B1 (ko) | 버스바 고정용 스터드 클립 | |
KR101840464B1 (ko) | 버스바 고정용 스터드 클립 | |
KR101840461B1 (ko) | 버스바 고정용 스터드 클립 | |
KR101840465B1 (ko) | 버스바 고정용 스터드 클립 | |
KR101820138B1 (ko) | 버스바 고정용 스터드 클립 | |
JP6139109B2 (ja) | 電線保持構造 | |
KR200388148Y1 (ko) | 와이어 하네스 고정클립 | |
JP5833456B2 (ja) | 電線用固定部材の係止構造 | |
WO2015019830A1 (ja) | 結束バンドの取付構造 | |
JP5886666B2 (ja) | 電線用保持部材の固定構造 | |
KR200251403Y1 (ko) | 와이어 하네스 고정용 클립 | |
KR101816128B1 (ko) | 다용도 밴드 케이블 | |
JP7172972B2 (ja) | コネクタホルダ及びワイヤハーネス | |
KR20190081440A (ko) | 호환형 밴드 케이블 | |
JPH0338872Y2 (ko) | ||
KR102529734B1 (ko) | 와이어 하네스의 정렬용 밴드 케이블 | |
KR200431363Y1 (ko) | 와이어용 고정클립 | |
JPS5940735Y2 (ja) | トロイダルコイル固定用具 | |
KR20230060641A (ko) | 양방향 나선형 케이블장치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107 |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A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