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16128B1 - 다용도 밴드 케이블 - Google Patents
다용도 밴드 케이블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816128B1 KR101816128B1 KR1020160141218A KR20160141218A KR101816128B1 KR 101816128 B1 KR101816128 B1 KR 101816128B1 KR 1020160141218 A KR1020160141218 A KR 1020160141218A KR 20160141218 A KR20160141218 A KR 20160141218A KR 101816128 B1 KR101816128 B1 KR 101816128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wire
- cover member
- fastening
- protrusion
- band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9
- 230000002452 interceptive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8000003780 inser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6
- 230000037431 inser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6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8000011161 develop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7796 conventional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611 electricity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049 emboss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065 semiconducto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207—Wire harnesses
- B60R16/0215—Protecting, fastening and routing means therefor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2/00—Friction-grip releasable fastenings
- F16B2/02—Clam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by positive means other than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 F16B2/06—Clam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by positive means other than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external, i.e. with contracting action
- F16B2/08—Clam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by positive means other than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external, i.e. with contracting action using bands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30—Installations of cables or lines on walls, floors or ceilings
- H02G3/32—Installations of cables or lines on walls, floors or ceilings using mounting clam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lamps And Clips (AREA)
- Installation Of Indoor Wir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와이어를 일정한 위치의 판넬에 고정할 수 있도록 하는 걸림턱이 구비되어 판넬에 삽입되는 헤드부와; 상기 헤드부의 상측에 구비되어 상기 와이어가 안착되며 높이 방향을 따라 적층된 형태로 하측에 배치되는 제1체결공과 상측에 배치되는 제2체결공이 폭방향을 따라 관통 형성된 와이어 안착부와; 상기 와이어 안착부의 상기 제1체결공과 상기 제2체결공의 경계영역의 일측면에서 일정 길이 연장 형성되어 상기 와이어의 둘레면에 권취된 후에 상기 제1체결공에 삽입되어 체결되는 밴드부와; 상기 와이어 안착부의 높이 방향을 따라 상기 와이어 안착부의 상측에서 하측으로 삽입되며 상기 와이어 안착부의 상면과의 사이에 추가로 와이어가 삽입되도록 하는 커버부재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밴드 케이블을 제공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밴드 케이블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복수의 와이어를 와이어링 작업시에 와이어를 다양한 형태로 상호 체결할 수 있는 다용도 밴드 케이블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와이어링 하네스(Wiring Harness)는 자동차 혹은 여러 전기 장치에서 전기를 통전하는 와이어를 세트화한 것을 지칭하며, 자동차의 각 전장품은 전력 구동력인 배터리나 발전기에 와이어링 하네스로 연결되어 있다.
와이어링 하네스에 사용되는 와이어는 필요에 따라 특정 위치에서 분기되어다양한 경로를 통하여 배터리나 혹은 발전기 등의 전장품과 연결되는데, 이러한 와이어가 분기되는 위치에서 와이어를 특정 부위에 고정시키거나 혹은 와이어를 지지하기 위해서는 밴드 케이블이 사용된다.
도 1a 내지 도 1c는 종래의 밴드케이블의 다양한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종래의 밴드 케이블은, 전장품의 일측에 고정 결합되어 밴드 케이블 전체를 지지하는 헤드부(10)와, 헤드부(10)의 전면에 구비되며 삽입공(21)이 관통 형성된 와이어안착부(20)와, 와이어안착부(20)의 일 단부에 와이어안착부(20)의 두께 방향을 따라 일정 길이를 갖도록 연장 형성되어 선택적으로 와이어안착부(20)의 삽입공(21)에 삽입되어 그 단부가 고정되도록 하는 밴드부(30)로 구성되어 있다.
헤드부(10)는 와이어(1)의 둘레면을 밴드부(30)가 권취한 상태에서 밴드 케이블 전체를 특정 위치에 고정시키기 위한 부재로서 굴곡진 판상의 전면판(11)과, 전면판(11)의 배면에 구비되어 밴드 케이블을 고정하고자 하는 특정 위치에 삽입되는 걸림턱(12)으로 구성된다.
전면판(11)은 밴드 케이블을 상기 특정 위치에 고정시키기 위하여 걸림턱(12)이 특정 위치에 삽입된 상태에서 유동하지 않도록 탄성을 가할 수 있는 굴곡진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와이어안착부(20)는 전면판(11)의 전면에 구비되는 장방 형상의 단면을 갖는 부재로서, 그 중심에는 밴드부(30)가 선택적으로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는 삽입공(21)이 관통 형성되어 있다.
삽입공(21)의 저부면에는 삽입공(21)에 삽입된 밴드부(30)의 일측면과 접촉되어 임의로 밴드부(30)가 삽입공(21)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하는 걸림고리(미도시)가 구비되어 있다.
밴드부(30)는 와이어(1)의 외면에 권취될 수 있을 정도의 일정 길이로 와이어안착부(20)의 일단면에서 연장 형성되어 있다.
도 1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일반형 밴드케이블의 경우에 밴드부(30)는 와이어안착부(20)의 상부 측면에 고정 결합되어 폭방향을 따라 연장 형성되고, 도 1b에 도시한 바와 같이, 편심형 밴드케이블의 경우에는 밴드부(30)가 와이어안착부(20)의 상면 일측에 고정 결합되어 높이 방향을 따라 연장 형성된 구성을 갖습니다.
또한, 도 1c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공체형 밴드케이블의 경우에는 밴드부(30)가 와이어안착부(20)의 측면에 고정 결합되어 폭방향을 따라 연장 형성되되, 와이어안착부(20)의 상측에 별도의 와이어 공체고리(40)가 돌출 형성되어 있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밴드 케이블에 있어서는, 다양한 형태의 밴드케이블 중에서 수행해야 하는 와이어링 작업의 형태에 따라 어느 하나의 밴드케이블을 선택한 후에 와이어링 작업을 수행해야 하므로 작업에 소요되는 시간이 늘어날 뿐만 아니라 다양한 형태의 밴드케이블을 생산해야 하므로 제조에 많은 시간과 비용이 소요되어 수익성이 저하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일반 밴드케이블의 편심화를 방지하여 와이어와 다른 부품과의 간섭됨을 방지함과 동시에 하나의 다용도 밴드케이블을 이용하여 일반형, 편심형, 공체형 등의 다양한 형태에 적용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다양한 밴드케이블의 개발에 소요되는 비용을 절감하여 수익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다용도 밴드 케이블을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되어질 수 있을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밴드 케이블은, 와이어를 일정한 위치의 판넬에 고정할 수 있도록 하는 걸림턱이 구비되어 판넬에 삽입되는 헤드부와; 상기 헤드부의 상측에 구비되어 상기 와이어가 안착되며 높이 방향을 따라 적층된 형태로 하측에 배치되는 제1체결공과 상측에 배치되는 제2체결공이 폭방향을 따라 관통 형성된 와이어 안착부와; 상기 와이어 안착부의 상기 제1체결공과 상기 제2체결공의 경계영역의 일측면에서 일정 길이 연장 형성되어 상기 와이어의 둘레면에 권취된 후에 상기 제1체결공에 삽입되어 체결되는 밴드부와; 상기 와이어 안착부의 높이 방향을 따라 상기 와이어 안착부의 상측에서 하측으로 삽입되며 상기 와이어 안착부의 상면과의 사이에 추가로 와이어가 삽입되도록 하는 커버부재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밴드부의 판면에는 복수의 요철이 상기 밴드부의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되고, 상기 제1체결공의 내부 하면에는 일단이 고정되어 탄성지지됨으로써 상기 요철 측으로 가압되어 상기 요철에 삽입되는 걸림돌기가 돌출 형성된 걸림부재가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밴드부가 삽입시에 상기 걸림부재와 접촉되는 상기 요철의 일측면은 상기 밴드부의 삽입 방향을 따라 상향 경사지게 형성되고 상기 일측면과 대향측의 타측면은 수직되게 형성되며, 상기 걸림돌기의 양측면도 상기 요철의 일측면 및 타측면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체결공에 삽입시에 상기 걸림돌기와 접촉되는 상기 밴드부의 판면에는 상기 걸림돌기에 걸림되는 요철이 상기 밴드부의 길이 방향을 따라 복수로 형성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커버부재와 접촉되는 상기 와이어 안착부의 외면에는 복수의 체결돌기가 구비되고, 상기 와이어 안착부와 접촉되는 상기 커버부재의 외면에는 상기 체결돌기가 삽입되어 체결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체결홈이 상기 커버부재의 높이 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 이격되어 복수로 함몰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체결돌기의 상면은 상기 커버부재가 상기 와이어 안착부의 체결되는 방향을 따라 상향 경사지게 형성되고 그 하면은 상기 커버부재의 측면과 수직을 이루도록 형성되며, 상기 체결홈은 상기 체결돌기의 형상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커버부재의 내측에는 상기 커버부재가 상기 와이어 안착부에 체결시에 상기 커버부재의 하면과 상기 와이어 안착부의 상면 사이에 이격된 공간이 형성되도록 체결 깊이를 제한하는 별도의 제한턱이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커버부재를 상기 와이어 안착부에 체결시에 상기 밴드부와 상기 커버부재가 간섭됨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커버부재의 측면은 절개되어 개구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커버부재의 일측에는 상기 커버부재가 상기 헤드부에 삽입된 깊이를 표시할 수 있는 양각부재가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전술한 과제해결 수단에 의해 본 발명은, 일반 밴드케이블의 편심화를 방지하여 와이어와 다른 부품과의 간섭됨을 방지함과 동시에 하나의 다용도 밴드케이블을 이용하여 일반형, 편심형, 공체형 등의 다양한 형태에 적용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다양한 밴드케이블의 개발에 소요되는 비용을 절감하여 수익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a 내지 도 1c는 종래의 밴드케이블의 다양한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밴드 케이블을 분해하여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며,
도 3은 도 2의 다용도 밴드 케이블의 와이어 안착부의 구조를 도시한 종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밴드 케이블을 일반용으로 사용하는 상태를 도시한 사용상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밴드 케이블을 편심용으로 사용하는 상태를 도시한 사용상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밴드 케이블을 공체용으로 사용하는 상태를 도시한 사용상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밴드 케이블을 분해하여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며,
도 3은 도 2의 다용도 밴드 케이블의 와이어 안착부의 구조를 도시한 종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밴드 케이블을 일반용으로 사용하는 상태를 도시한 사용상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밴드 케이블을 편심용으로 사용하는 상태를 도시한 사용상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밴드 케이블을 공체용으로 사용하는 상태를 도시한 사용상태도이다.
하기의 설명에서 본 발명의 다용도 밴드 케이블의 특정 상세들이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제공하기 위해 나타나 있는데, 이들 특정 상세들 없이 또한 이들의 변형에 의해서도 본 발명이 용이하게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은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할 것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되, 본 발명에 따른 동작 및 작용을 이해하는데 필요한 부분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밴드 케이블을 분해하여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며, 도 3은 도 2의 다용도 밴드 케이블의 와이어 안착부의 구조를 도시한 종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밴드 케이블을 일반용으로 사용하는 상태를 도시한 사용상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밴드 케이블을 편심용으로 사용하는 상태를 도시한 사용상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밴드 케이블을 공체용으로 사용하는 상태를 도시한 사용상태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밴드 케이블은, 와이어(1)를 일정한 위치의 판넬에 고정할 수 있도록 하는 걸림턱(110)이 구비되어 판넬에 삽입되는 헤드부(100)와, 헤드부(100)의 상측에 구비되어 와이어(1)가 안착되며 높이 방향을 따라 적층된 형태로 하측에 배치되는 제1체결공(210)과 상측에 배치되는 제2체결공(220)이 폭방향을 따라 관통 형성된 와이어 안착부(200)와, 와이어 안착부(200)의 제1체결공(210)과 제2체결공(220)의 경계영역의 일측면에서 일정 길이 연장 형성되어 와이어(1)의 둘레면에 권취된 후에 제1체결공(210)에 삽입되어 체결되는 밴드부(300)와, 와이어 안착부(200)의 높이 방향을 따라 와이어 안착부(200)의 상측에서 하측으로 삽입되며 와이어 안착부(200)의 상면과의 사이에 추가로 와이어가 삽입되도록 하는 커버부재(400)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헤드부(100)는 와이어(1)의 둘레면을 밴드부(300)가 권취한 상태에서 밴드 케이블 전체를 특정 위치에 고정시키기 위한 부재로서 양측면에는 밴드 케이블을 고정시키고자 하는 특정 위치에 삽입되어 고정되도록 하는 걸림턱(110)이 형성되어 있다.
걸림턱(110)이 형성된 헤드부(100) 몸체의 상측에는 걸림턱(110)이 특정 위치에 삽입된 상태에서 밴드 케이블이 유동하지 않도록 탄성을 가할 수 있는 굴곡진 형상의 전면판(120)이 구비되어 있다.
와이어안착부(200)는 전면판(120)의 상측에 구비되는 장방 형상의 단면을 갖는 부재로서, 그 폭방향을 따라 관통 형성되며 상대적으로 하측에 위치한 제1체결공(210)과 제1체결공(210)의 상측에 위치한 제2체결공(220)이 구비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밴드부(300)의 판면에는 복수의 요철(310)이 상기 밴드부(3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되고, 상기 제1체결공(210)의 내부 하면에는 일단이 고정되어 탄성지지됨으로써 상기 요철(310) 측으로 가압되어 상기 요철(310)에 삽입되는 걸림돌기(212a)가 돌출 형성된 걸림부재(212)가 구비되어 있다.
밴드부(300)가 삽입시에 걸림부재(212)와 접촉되는 요철(310)의 일측면은 밴드부(300)의 삽입 방향을 따라 상향 경사지게 형성되고 상기 일측면과 대향측의 타측면은 수직되게 형성되며, 걸림돌기(212a)의 양측면도 요철(310)의 일측면 및 타측면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형상에 의하여 밴드부(300)를 제1체결공(210)으로 체결시에는 걸림돌기(212a)의 경사진 면을 따라 슬라이딩되므로 용이하게 삽입이 가능하고, 체결이 이루어진 밴드부(300)가 제1체결공(210)에서 이탈시에는 수직되게 형성된 타측면에 걸림되어 밴드부(300)가 임의로 이탈되지 않도록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밴드부(300)는 와이어(1)의 외면에 권취될 수 있을 정도의 길이로 와이어 안착부(200)에 구비된 제1체결공(210)과 제2체결공(220)의 경계영역의 일측면에서 와이어 안착부(200)의 높이 방향을 따라 연장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제1체결공(210)에 삽입시에 걸림돌기(212a)와 접촉되는 밴드부(300)의 판면에는 걸림돌기(212a)에 걸림되는 요철(310)이 밴드부(3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복수로 형성되어 있다.
한편, 커버부재(400)는 와이어 안착부(200)의 높이 방향을 따라 와이어 안착부(200)의 상측에서 하측으로 삽입되며 와이어 안착부(200)의 상면과의 사이에 공간이 형성되도록 하여 추가로 와이어가 삽입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커버부재(400)가 와이어 안착부(200)에 체결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커버부재(400)와 접촉되는 와이어 안착부(200)의 외면에는 복수의 체결돌기(230)가 구비되어 있다.
그리고, 와이어 안착부(200)와 접촉되는 커버부재(400)의 외면에는 체결돌기(230)가 삽입되어 체결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체결홈(410)이 커버부재(400)의 높이 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 이격되어 복수로 함몰 형성되어 있다.
체결홈(410)이 커버부재(400)의 높이 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 이격되어 복수로 함몰 형성됨으로써 공체되는 와이어의 굵기에 따라 커버부재(400)가 와이어 안착부(200)에 체결되는 높이를 조절함과 동시에 커버부재(400)의 상부 하면이 와이어(1)와 밀착되도록 함으로써 와어이(1)의 유동이 방지되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체결돌기(230)의 상면은 커버부재(400)가 와이어 안착부(200)의 체결되는 방향을 따라 상향 경사지게 형성되고 그 하면은 커버부재(400)의 측면과 수직을 이루도록 형성되며, 체결홈(410)은 체결돌기(230)의 형상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커버부재(400)가 와이어 안착부(200)에 체결시에는 용이하게 삽입이 이루어지도록 하고, 커버부재(400)가 와이어 안착부(200)에서 임의로 이탈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별도로 추가된 와이어가 공체된 상태가 유지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커버부재(400)의 내측에는 커버부재(400)가 와이어 안착부(200)에 체결시에 커버부재(400)의 하면과 와이어 안착부(200)의 상면 사이에 이격된 공간이 형성되도록 체결 깊이를 제한하는 별도의 제한턱(420)이 돌출 형성되어 있다.
커버부재(400)를 와이어 안착부(200)에 체결시에 밴드부(300)와 커버부재(400)가 간섭됨을 방지할 수 있도록 커버부재(400)의 측면은 절개되어 개구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커버부재(400)의 양측면은 완전 개구 형성되고, 밴드부(300) 측으로 배치되는 전면도 완전 개구 형성되어 간섭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고, 전면과 대응되게 배치되는 후면의 판면은 하측 일부가 절개 형성되어 제1체결공(210)에 체결된 밴드부(300)가 통과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커버부재(400)의 일측에는 상기 커버부재(400)가 상기 헤드부(100)에 삽입된 깊이를 표시할 수 있는 양각부재가 돌출 형성됨으로써 시각적으로 신속하게 커버부재(400)가 헤드부(100)에 삽입된 깊이를 인식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다용도 밴드케이블을 이용하여 와이어링 작업을 수행하는 과정을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다용도 밴드케이블을 이용하여 와이어를 일반적인 방식으로 체결하기 위해서는 밴드부(300)를 제2체결공(220)에 삽입하여 밴드부(300)가 제2체결공(220)을 완전히 통과하도록 한다.
그리고, 체결대상이 되는 와이어(1)를 와이어 안착부(200)에 안착시킨 상태에서 밴드부(300)가 와이어(1)의 외면에 권취되도록 한 후에 밴드부(300)를 제1체결공(210)으로 삽입하여 밴드부(300)가 걸림부재(212)에 걸려서 고정되도록 함으로써 와이어링 작업이 완료되게 된다.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다용도 밴드케이블을 이용하여 와이어를 편심된 방식으로 체결하기 위해서는 와이어(1)를 밴드케이블의 일측에 배치한 후에 와이어(1)의 외면에 밴드부(300)가 권취되도록 하고 밴드부(300)를 제1체결공(210)으로 삽입하여 밴드부(300)가 걸림부재(212)에 걸려서 고정되도록 함으로써 편심 방식의 와이어링 작업이 완료되게 된다.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다용도 밴드케이브을 이용하여 복수의 와이어를 공체 방식으로 체결하기 위해서는 어느 하나의 와이어를 밴드케이블의 일측에 배치한 후에 와이어(1)의 외면에 밴드부(300)가 권취되도록 하고 밴드부(300)를 제1체결공(210)으로 삽입하여 밴드부(300)가 걸림부재(212)에 걸려서 고정되도록 한다.
그리고, 다른 하나의 와이어를 와이어 안착부(200)의 상면에 안착시킨 후에 커버부재(400)를 와이어 안착부(200)의 상측에서 하측으로 밀어서 커버부재(400)의 상부 하면이 와이어와 접촉되도록 하여 커버부재(400)가 와이어 안착부(200)에 체결되도록 하면 공체 방식의 와이어링 작업이 완료되게 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밴드케이블은 일반 밴드케이블의 편심화를 방지하여 와이어와 다른 부품과의 간섭됨을 방지함과 동시에 하나의 다용도 밴드케이블을 이용하여 일반형, 편심형, 공체형 등의 다양한 형태에 적용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다양한 밴드케이블의 개발에 소요되는 비용을 절감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00 : 헤드부 110 : 걸림턱
200 : 와이어 안착부 210 : 제1체결공
212 : 걸림부재 212a : 걸림돌기
230 : 체결돌기 300 : 밴드부
310 : 요철 400 : 커버부재
410 : 체결홈
200 : 와이어 안착부 210 : 제1체결공
212 : 걸림부재 212a : 걸림돌기
230 : 체결돌기 300 : 밴드부
310 : 요철 400 : 커버부재
410 : 체결홈
Claims (9)
- 와이어(1)를 일정한 위치의 판넬에 고정할 수 있도록 하는 걸림턱(110)이 구비되어 판넬에 삽입되는 헤드부(100)와;
상기 헤드부(100)의 상측에 구비되어 상기 와이어(1)가 안착되며 높이 방향을 따라 적층된 형태로 하측에 배치되는 제1체결공(210)과 상측에 배치되는 제2체결공(220)이 폭방향을 따라 관통 형성된 와이어 안착부(200)와;
상기 와이어 안착부(200)의 상기 제1체결공(210)과 상기 제2체결공(220)의 경계영역의 일측면에서 일정 길이 연장 형성되어 상기 와이어(1)의 둘레면에 권취된 후에 상기 제1체결공(210)에 삽입되어 체결되는 밴드부(300)와;
상기 와이어 안착부(200)의 높이 방향을 따라 상기 와이어 안착부(200)의 상측에서 하측으로 삽입되며 상기 와이어 안착부(200)의 상면과의 사이에 추가로 와이어가 삽입되도록 하는 커버부재(400)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밴드 케이블.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밴드부(300)의 판면에는 복수의 요철(310)이 상기 밴드부(3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되고, 상기 제1체결공(210)의 내부 하면에는 일단이 고정되어 탄성지지됨으로써 상기 요철(310) 측으로 가압되어 상기 요철(310)에 삽입되는 걸림돌기(212a)가 돌출 형성된 걸림부재(212)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밴드 케이블.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밴드부(300)가 삽입시에 상기 걸림부재(212)와 접촉되는 상기 요철(310)의 일측면은 상기 밴드부(300)의 삽입 방향을 따라 상향 경사지게 형성되고 상기 일측면과 대향측의 타측면은 수직되게 형성되며, 상기 걸림돌기(212a)의 양측면도 상기 요철(310)의 일측면 및 타측면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밴드 케이블.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체결공(210)에 삽입시에 상기 걸림돌기(212a)와 접촉되는 상기 밴드부(300)의 판면에는 상기 걸림돌기(212a)에 걸림되는 요철(310)이 상기 밴드부(3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복수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밴드 케이블.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재(400)와 접촉되는 상기 와이어 안착부(200)의 외면에는 복수의 체결돌기(230)가 구비되고, 상기 와이어 안착부(200)와 접촉되는 상기 커버부재(400)의 외면에는 상기 체결돌기(230)가 삽입되어 체결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체결홈(410)이 상기 커버부재(400)의 높이 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 이격되어 복수로 함몰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밴드 케이블. -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돌기(230)의 상면은 상기 커버부재(400)가 상기 와이어 안착부(200)의 체결되는 방향을 따라 상향 경사지게 형성되고 그 하면은 상기 커버부재(400)의 측면과 수직을 이루도록 형성되며, 상기 체결홈(410)은 상기 체결돌기(230)의 형상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밴드 케이블.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재(400)의 내측에는 상기 커버부재(400)가 상기 와이어 안착부(200)에 체결시에 상기 커버부재(400)의 하면과 상기 와이어 안착부(200)의 상면 사이에 이격된 공간이 형성되도록 체결 깊이를 제한하는 별도의 제한턱(420)이 돌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밴드 케이블.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재(400)를 상기 와이어 안착부(200)에 체결시에 상기 밴드부(300)와 상기 커버부재(400)가 간섭됨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커버부재(400)의 측면은 절개되어 개구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밴드 케이블.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재(400)의 일측에는 상기 커버부재(400)가 상기 헤드부(100)에 삽입된 깊이를 표시할 수 있는 양각부재가 돌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밴드 케이블.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60141218A KR101816128B1 (ko) | 2016-10-27 | 2016-10-27 | 다용도 밴드 케이블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60141218A KR101816128B1 (ko) | 2016-10-27 | 2016-10-27 | 다용도 밴드 케이블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816128B1 true KR101816128B1 (ko) | 2018-01-08 |
Family
ID=610039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60141218A KR101816128B1 (ko) | 2016-10-27 | 2016-10-27 | 다용도 밴드 케이블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816128B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267496B1 (ko) | 2021-04-29 | 2021-06-22 | (주)티에이치엔 | 가변형 밴드 케이블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6242269A (ja) | 2005-03-03 | 2006-09-14 | Honda Motor Co Ltd | クリップ |
KR200427626Y1 (ko) | 2006-07-14 | 2006-09-28 | 경신공업 주식회사 | 편심형 밴드케이블 |
KR101463167B1 (ko) | 2013-08-07 | 2014-11-18 | 주식회사 경신 | 와이어링 밴드케이블 |
-
2016
- 2016-10-27 KR KR1020160141218A patent/KR101816128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6242269A (ja) | 2005-03-03 | 2006-09-14 | Honda Motor Co Ltd | クリップ |
KR200427626Y1 (ko) | 2006-07-14 | 2006-09-28 | 경신공업 주식회사 | 편심형 밴드케이블 |
KR101463167B1 (ko) | 2013-08-07 | 2014-11-18 | 주식회사 경신 | 와이어링 밴드케이블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267496B1 (ko) | 2021-04-29 | 2021-06-22 | (주)티에이치엔 | 가변형 밴드 케이블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816128B1 (ko) | 다용도 밴드 케이블 | |
CN111480026A (zh) | 安装夹具 | |
KR200431100Y1 (ko) | 와이어 하네스 고정용 밴드 케이블 | |
KR20170138969A (ko) | 버스바 고정용 스터드 클립 | |
KR200466132Y1 (ko) | 밴드 케이블 | |
KR20190081440A (ko) | 호환형 밴드 케이블 | |
JP6692063B2 (ja) | 配線器具用取付枠 | |
KR20110139439A (ko) | 커넥터용 블록시일 | |
KR101512615B1 (ko) | 자동차용 박스 | |
KR20090006803U (ko) | 하이브리드 자동차용 버스바고정구조 | |
KR101840458B1 (ko) | 버스바 고정용 스터드 클립 | |
KR20090004141U (ko) | 박스의 대전류단자용 너트설치구조 | |
KR200448236Y1 (ko) | 와이어 하네스 고정용 밴드케이블 | |
KR101840457B1 (ko) | 버스바 고정용 스터드 클립 | |
JP2016004660A (ja) | バッテリ端子およびバッテリ端子ユニット | |
KR101840460B1 (ko) | 버스바 고정용 스터드 클립 | |
KR101840464B1 (ko) | 버스바 고정용 스터드 클립 | |
KR101840463B1 (ko) | 버스바 고정용 스터드 클립 | |
KR101840459B1 (ko) | 버스바 고정용 스터드 클립 | |
KR101840461B1 (ko) | 버스바 고정용 스터드 클립 | |
KR101840465B1 (ko) | 버스바 고정용 스터드 클립 | |
KR20120139125A (ko) | 커넥터 고정용 클립 | |
KR100874971B1 (ko) | 정션박스의 카세트블럭 결합구조 | |
JP2014239606A (ja) | ワイヤハーネス取付部材及びワイヤハーネスの取付構造 | |
KR101604056B1 (ko) | 커넥터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