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04141U - 박스의 대전류단자용 너트설치구조 - Google Patents

박스의 대전류단자용 너트설치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04141U
KR20090004141U KR2020070017527U KR20070017527U KR20090004141U KR 20090004141 U KR20090004141 U KR 20090004141U KR 2020070017527 U KR2020070017527 U KR 2020070017527U KR 20070017527 U KR20070017527 U KR 20070017527U KR 20090004141 U KR20090004141 U KR 20090004141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ut
mounting
box
insertion slot
current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7001752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승용
Original Assignee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7001752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004141U/ko
Publication of KR2009000414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04141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1Bolt, set screw or screw clamp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201/00Connectors or connections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R2201/26Connectors or connections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for veh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박스의 대전류단자용 너트설치구조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의하면 박스(20)의 일측에 형성되는 것으로 바닥에는 너트안착면(29)이 구비되고 그 양단에 요입된 삽입슬롯(31)이 형성되는 너트장착부(23)와, 상기 너트안착면(29)에 안착되는 장착편(43)이 구비되고 상기 장착편(43) 상에는 내부를 관통하는 체결공(39)이 형성된 체결부(47)를 구비하는 너트(41)와; 상기 삽입슬롯(31)에 대응되도록 상기 너트(41)의 저면 양측 단부에서 하방으로 돌출되게 형성되어 상기 너트(41)가 상기 너트장착부(23)에 설치되면 상기 삽입슬롯(31)에 그 양단이 삽입되어 상기 너트(41)를 상기 너트장착부(23)에 고정하는 장착리브(45);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고안에 의하면 너트에 장착리브가 구비되고, 너트가 설치되는 너트장착부에는 너트를 고정하기 위한 걸림턱 및 고정돌기가 구비되어 너트가 너트장착부에 설치된 상태가 견고하게 유지되는 이점이 있다.
박스, 너트구조, 리브

Description

박스의 대전류단자용 너트설치구조{Nut mounting struction for high current terminal in box}
본 고안은 박스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대전류단자의 연결을 위한 볼트가 장착되는 너트를 박스에 장착하는 박스의 대전류단자용 너트설치구조에 관한 것이다.
박스는 자동차에서 배터리의 전원을 자동차의 각 부분으로 분배하는 기능과 배터리의 충전을 수행하는 기능을 가진다. 이와 같은 박스에는 전원이 인가될 수 있도록 배터리에 결합되어 전기적 연결수단으로 사용되는 대전류단자를 결합하기 위한 구성이 구비된다. 그 구성중 일부로서 너트가 박스에 고정되어 장착된다.
도 1에는 종래 기술에 의한 박스의 링터미널용 너트설치구조를 보인 분해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이에 따르면, 박스(1)에는 너트장착부(3)가 형성된다. 상기 너트장착부(3)는 다른 부분에 비해 상대적으로 요입되어 형성되는 것으로, 적어도 2면이 개구되어 형성된다. 상기 너트장착부(3)는 대략 육면체의 공간이다.
상기 너트장착부(3)의 바닥은 너트안착면(5)으로 평면으로 된다. 상기 너트안착면(5)에는 볼트요홈(6)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볼트요홈(6)은 아래에서 설명될 너트(10)와 체결되는 볼트(도시되지 않음)의 선단이 위치되는 부분이다. 상기 너트안착면(5)의 양단에는 소정 폭으로 삽입슬롯(7)이 형성된다. 상기 삽입슬롯(7)은 상기 너트장착부(3)의 개구된 정면에서 내부를 향해 길게 형성된다.
상기 너트장착부(3)의 내부에는 너트(10)가 장착되는데, 상기 너트(10)는 상기 너트안착면(5)에 안착되는 장착편(12)을 구비한다. 상기 장착편(12)은 대략 사각판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장착편(12)은 상기 너트안착면(5)과 대응되는 형상이다. 상기 장착편(12)은 상기 삽입슬롯(7)에 압입되도록 그 치수가 설계된다.
상기 장착편(12)의 상면에는 체결부(14)가 돌출되어 형성된다. 상기 체결부(14)는 그 내부를 관통하여 체결공(15)이 형성된다. 상기 체결공(15)의 내면에는 암나사부가 형성된다. 상기 체결공(15)에는 볼트가 링터미널(도시되지 않음)을 고정하기 위해 체결된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에 의한 대전류단자용 너트설치구조에서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상기 너트(10)의 장착편(12)은 그 양단이 상기 삽입슬롯(7)에 압입되어 설치된다. 따라서, 상기 너트(10)를 상기 너트장착부(3)에 장착하는 작업이 매우 힘이 드는 문제점이 있다.
물론, 상기 너트(10)의 장착편(12)과 삽입슬롯(7)의 치수를 여유있게 설계하면, 너트(10)의 삽입에 힘이 많이 소요되지는 않지만, 상기 너트(10)가 너트장착부(3)에서 쉽게 빠질 수 있고, 상기 너트(10)에 전동공구를 이용하여 볼트를 조이는 과정에서 상기 장착편(12)이 상기 전동공구의 회전력에 의해 회전될 수 있어 합 성수지재질인 상기 너트장착부(3)가 파손되기 쉬우므로 상기 볼트의 체결이 용이하지 않은 문제점이 발생된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박스에서 너트의 삽입이 용이하면서도 설치상태가 견고하게 되는 박스의 대전류단자용 너트설치구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너트에 볼트를 조이는 과정에서 너트장착부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특징에 따르면, 본 고안은 박스의 일측에 형성되는 것으로 바닥에는 너트안착면이 구비되고 그 양단에 요입된 삽입슬롯이 형성되는 너트장착부와, 상기 너트안착면에 안착되는 장착편이 구비되고 상기 장착편 상에는 내부를 관통하는 체결공이 형성된 체결부를 구비하는 너트와; 상기 삽입슬롯에 대응되도록 상기 너트의 저면 양측 단부에서 하방으로 돌출되게 형성되어 상기 너트가 상기 너트장착부에 설치되면 상기 삽입슬롯에 그 양단이 삽입되어 상기 너트를 상기 너트장착부에 고정하는 장착리브;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너트장착부의 선단에는 상기 삽입슬롯보다 더 돌출되는 걸림턱과 상기 너트안착면에서 경사지게 형성되는 안내면이 구비되고, 상기 걸림턱은 상기 경사면의 선단보다는 더 낮게 돌출된다.
상기 너트장착부의 서로 마주보는 일면에는 상기 너트가 장착되는 장착공간 으로 돌출되어 상기 너트의 상면 양측을 고정하는 고정돌기가 더 구비된다.
상기 장착리브가 형성된 상기 장착편의 두께는 상기 삽입슬롯의 바닥면에서 상기 고정돌기의 저면 사이의 거리보다 같거나 작게 형성된다.
본 고안에 의하면 너트의 장착편에 장착리브를 형성하여 너트가 너트안착부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너트안착부의 삽입슬롯에 삽입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너트안착부의 선단에는 안내면을 두어 너트의 삽입을 용이하게 하는 것은 물론, 상기 너트의 삽입이 완료된 상태에서는 상기 너트안착부에 형성되는 걸림턱 및 고정돌기에 의해 너트가 너트장착부에서 견고하게 고정되도록 한다. 따라서 너트가 상기 너트장착부에 설치된 상태에서 유동되는 것은 물론 탈거되는 것이 방지되어 상기 박스의 동작신뢰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전동공구를 이용하여 볼트를 조이더라도 너트장착부의 삽입슬롯에 고정되는 장착리브에 의해 상기 너트의 상대회전이 방지되어 너트장착부의 파손이 방지되고, 너트에 대한 볼트의 체결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이하 본 고안에 의한 박스의 대전류단자용 너트설치구조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와 도 3에는 본 고안에 의한 대전류단자용 너트설치구조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분해사시도로 도시되어 있고, 도 4에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채용된 대전류단자용 너트설치구조의 구성이 사시도로 도시되어 있다.
이에 도시된 바에 의하면, 박스(20)에는 내부에 다수개의 퓨즈 또는 릴레이가 장착될 수 있는 메인커버(21)가 구비된다. 상기 메인커버(21)에는 다수개의 퓨즈뿐만 아니라 필요에 따라 다른 전기적 부품을 실장하는 것도 가능하다. 그리고 퓨즈 및 필요한 전기부품은 상기 메인커버(21)의 상면에 주로 설치된다.
상기 메인커버(21)의 측면에는 너트장착부(23)가 형성된다. 상기 너트장착부(23)는 상기 메인커버(21)의 측면을 따라 다수개가 형성되고, 상기 너트장착부(23)에는 대전류단자(도시되지 않음)가 체결된다. 상기 대전류단자는 전원이 인가될 수 있도록 배터리에 결합되는 전기적 연결수단으로 사용된다.
상기 너트장착부(23)에는 다른 부분에 비해 상대적으로 요입된 장착공간(25)이 형성된다. 상기 장착공간(25)은 대략 육면체의 공간으로 적어도 2면이 개구되어 형성된다. 상기 장착공간(25)에는 아래에서 설명될 너트(41)가 설치된다.
상기 장착공간(25)의 개구된 정면을 삽입개구(27)가 형성한다. 상기 삽입개구(27)는 너트(41)를 상기 장착공간(25)에 삽입하기 위한 입구에 해당된다. 상기 장착공간(25)에는 너트안착면(29)이 형성된다. 상기 너트안착면(29)은 평면으로 된다.
상기 너트안착면(29)의 양측에는 소정폭으로 삽입슬롯(31)이 형성된다. 상기 삽입슬롯(31)은 상기 너트안착면(29) 보다 상대적으로 더 요입되어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장착공간(25)의 삽입개구(27)에서 내부를 향해 길게 형성된다. 상기 삽입슬롯(31)은 아래에서 설명될 너트(41)의 장착리브(45)가 삽입되어 위치되는 부분이다. 이를 위하여 상기 삽입슬롯(31)의 폭 및 길이는 장착리브(45)의 폭과 길이에 대응된다.
그리고, 상기 삽입개구(27)에 해당되는 상기 너트안착면(29)의 선단에는 소정의 경사를 가지는 안내면(33)이 형성되고, 상기 삽입슬롯(31)의 선단에는 걸림턱(35)이 단차지게 형성된다. 상기 안내면(33) 및 걸림턱(35)은 너트(41)의 장착를 용이하게 하고, 상기 장착공간(25)에 장착된 너트(41)가 임의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걸림턱(35)은 상기 삽입슬롯(31)의 바닥면보다는 더 높고 상기 너트안착면(29)의 선단보다는 더 낮게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는 상기 장착공간(25)에 상기 걸림턱(35) 및 아래에서 설명될 고정돌기(37)가 구비되더라도 너트(41)가 상기 안내면(33)을 통해 상기 장착공간(25)에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 삽입슬롯(31)의 상방에 해당되는 상기 너트안착부(23)의 서로 마주보는 일면에는 상기 장착공간(25)으로 돌출되어 고정돌기(37)가 형성된다. 상기 고정돌기(37)는 상기 걸림턱(35)과 협력하여 너트(41)가 상기 장착공간(25)의 외부로 빠져나가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고정돌기(37)는 너트가 상기 장착공간(25)에 장착되면 상기 너트(41)의 상면 양측을 고정하게 된다.
이때, 상기 삽입슬롯(31)의 바닥면에서 상기 고정돌기(37)의 저면까지의 길이는 아래에서 설명될 너트(41)의 장착리브(45)가 형성되는 장착편(43)의 두께에 대응되게 형성된다. 바람직하게는 너트(41)가 상기 장착공간(25)에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도록 장착리브(45)가 형성된 장착편(43)의 두께보다는 같거나 약간 길게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장착공간(25)의 바닥면에는 상하로 관통되게 체결공(39)이 형성된다. 상기 체결공(39)은 너트(41)의 체결공(49)과 겹쳐지는 부분으로 체결구, 예를 들어 볼트에 의해 관통되는 부분이다. 이를 위하여 상기 체결공(39)은 아래에서 설명될 너트(41)의 체결공(49)과 대응되는 크기로 형성된다. 상기 체결공(39)은 상기 메인커버(21)에 대전류단자를 고정하기 위한 구성이다.
한편, 상기 너트장착부(23)의 장착공간(25)에는 너트(41)가 설치된다. 상기 너트(41)는 상기 장착공간(25)의 너트안착면(29)에 안착되고, 상기 삽입슬롯(31)에 양단이 삽입되는 장착편(43)을 구비한다. 상기 장착편(43)은 대략 사각판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장착편(43)은 상기 장착공간(25)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상기 장착공간(25)의 폭과 같거나 약간 작은 폭을 가지도록 형성된다. 상기 장착편(43)은 합성수지재질로 형성된다.
상기 장착편(43)의 저면 양측에는 상기 삽입슬롯(31)에 대응되는 장착리브(45)가 형성된다. 상기 장착리브(45)는 상기 장착편(43)의 저면 양측 단부에서 하방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너트(41)를 상기 장착공간(25) 내에 고정하는 역할을 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장착리브(45)는 아래에서 설명될 체결공(39,49)에 전동공구를 이용하여 볼트를 조이는 과정에서 상기 장착편(43)이 상기 전동공구의 회전력에 의해 회전되어 그 일부가 파손될 수 있는 단점을 보완하기 위한 것이다. 즉, 상기 장착리브(45)는 상기 장착편(43)이 외력에 의해 유동되거나 상대회전되지 않도록 삽입슬롯(31)에 삽입되어 고정되는 부분인 것이다.
상기 장착리브(45)의 폭 및 길이는 상기 삽입슬롯(31)의 폭 및 길이에 대응 되고, 상기 장착리브(45)를 포함하는 상기 장착편(43)의 두께는 상기 삽입슬롯(31)에서 상기 고정돌기(37)의 저면까지의 길이에 대응된다.
상기 장착편(43)에는 체결부(47)가 형성된다. 상기 체결부(47)는 상기 장착편(43)과 동일한 재질로 일체로 형성된다. 상기 체결부(47)는 상기 장착편(43)의 다른 부분보다 상대적으로 더 돌출되게 형성된다. 상기 체결부(47)의 중앙을 관통하여서는 체결공(49)이 형성된다. 상기 체결공(49)은 상기 메인커버(21)에 대전류단자를 고정시키기 위한 구성으로 상기 너트장착부(23)의 체결공(39)과 대응되게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두 체결공(39,49)을 관통하여서는 체결구가 체결된다. 따라서 상기 너트(41)가 상기 너트장착부(23)에 설치되면 상기 너트(41)의 체결공(49)과 상기 너트장착부(23)의 체결공(39)은 중심이 서로 일치된다.
이하 본 고안에 의한 박스의 대전류단자용 너트설치구조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우선, 너트(41)의 장착편(43)을 너트장착부(23)의 삽입개구(27)와 대응되게 위치시킨다. 이 상태에서 상기 너트(41)의 장착편(43)의 장착리브(45)가 삽입슬롯(31)으로 삽입되게 너트(41)를 상기 삽입개구(27)를 통해서 장착공간(25)의 내부로 밀어넣는다.
상기 너트(41)를 계속하여 상기 장착공간(25)으로 밀어넣으면 상기 장착편(43)의 장착리브(45)는 상기 삽입슬롯(31)에 삽입되어 안내되어 상기 너트(41)가 상기 장착공간(25)에 완전히 장착된다.
이때, 상기 장착편(43)은 상기 장착공간(25)에 걸림턱(35) 및 고정돌기(37)가 형성되더라도 너트안착면(29)의 선단에 형성되는 안내면(33)에 의해 상기 장착공간(25) 내로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너트(41)가 상기 장착공간(25)에 완전히 장착되면, 상기 너트(41)의 체결공(49)과 상기 너트장착부(23)의 체결공(39)은 중심이 서로 일치하게 되어 체결구를 삽입할 수 있는 상태가 된다. 그리고 상기 너트(41)의 장착리브(45)는 삽입슬롯(31)에 삽입되어 그 선단이 걸림턱(35)에 걸어지고, 상기 장착편(43)의 상면은 상기 고정돌기(37)의 저면에 닿게 된다. 따라서 상기 너트(41)는 상기 장착공간(25)에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너트(41)의 일측을 지지하는 고정돌기(37) 및, 걸림턱(35) 의해 상기 장착공간(25)의 외측으로 임의 탈거되지 않고, 전동공구를 사용하더라도 상기 삽입슬롯(31)에 삽입된 장착리브(45)에 의해 상대회전되는 것이 방지된다.
이와 같은 본 고안의 기본적인 기술적 사상의 범주 내에서,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는 다른 많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고, 본 고안의 권리범위는 첨부한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기초하여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의한 박스의 링터미널용 너트설치구조를 보인 분해사시도.
도 2와 도 3에는 본 고안에 의한 대전류단자용 너트설치구조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인 분해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채용된 대전류단자용 너트설치구조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20:박스 21:메인커버
23:너트장착부 25:장착공간
27:삽입개구 29:너트안착면
31:삽입슬롯 33:안내면
35:걸림턱 37:고정돌기
39:체결공 41:너트
43:장착편 45:장착리브
47:체결부 49:체결공

Claims (4)

  1. 박스의 일측에 형성되는 것으로 바닥에는 너트안착면이 구비되고 그 양단에 요입된 삽입슬롯이 형성되는 너트장착부와,
    상기 너트안착면에 안착되는 장착편이 구비되고 상기 장착편 상에는 내부를 관통하는 체결공이 형성된 체결부를 구비하는 너트와;
    상기 삽입슬롯에 대응되도록 상기 너트의 저면 양측 단부에서 하방으로 돌출되게 형성되어 상기 너트가 상기 너트장착부에 설치되면 상기 삽입슬롯에 그 양단이 삽입되어 상기 너트를 상기 너트장착부에 고정하는 장착리브;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박스의 대전류단자 설치구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너트장착부의 선단에는 상기 삽입슬롯보다 더 돌출되는 걸림턱과 상기 너트안착면에서 경사지게 형성되는 안내면이 구비되고, 상기 걸림턱은 상기 경사면의 선단보다는 더 낮게 돌출됨을 특징으로 하는 박스의 대전류단자 설치구조.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너트장착부의 서로 마주보는 일면에는 상기 너트가 장착되는 장착공간으로 돌출되어 상기 너트의 상면 양측을 고정하는 고정돌기가 더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대전류단자 설치구조.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리브가 형성된 상기 장착편의 두께는 상기 삽입슬롯의 바닥면에서 상기 고정돌기의 저면 사이의 거리보다 같거나 작게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박스의 대전류단자 설치구조.
KR2020070017527U 2007-10-30 2007-10-30 박스의 대전류단자용 너트설치구조 KR20090004141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17527U KR20090004141U (ko) 2007-10-30 2007-10-30 박스의 대전류단자용 너트설치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17527U KR20090004141U (ko) 2007-10-30 2007-10-30 박스의 대전류단자용 너트설치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04141U true KR20090004141U (ko) 2009-05-07

Family

ID=412992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70017527U KR20090004141U (ko) 2007-10-30 2007-10-30 박스의 대전류단자용 너트설치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90004141U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83827A (ko) 2012-12-26 2014-07-04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자동차용 박스의 단자연결장치
WO2019107938A1 (ko) * 2017-12-01 2019-06-06 주식회사 엘지화학 전장 어셈블리 및 상기 전장 어셈블리를 포함하는 배터리 팩
CN110021901A (zh) * 2019-04-22 2019-07-16 上海沪工汽车电器有限公司 一种车用智能电气接线盒内部一体化固定结构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83827A (ko) 2012-12-26 2014-07-04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자동차용 박스의 단자연결장치
WO2019107938A1 (ko) * 2017-12-01 2019-06-06 주식회사 엘지화학 전장 어셈블리 및 상기 전장 어셈블리를 포함하는 배터리 팩
KR20190064839A (ko) * 2017-12-01 2019-06-11 주식회사 엘지화학 전장 어셈블리 및 상기 전장 어셈블리를 포함하는 배터리 팩
CN110612617A (zh) * 2017-12-01 2019-12-24 株式会社Lg化学 电气组件及包括该电气组件的电池组
JP2020522861A (ja) * 2017-12-01 2020-07-30 エルジー・ケム・リミテッド 電装アセンブリー及び前記電装アセンブリーを含むバッテリーパック
EP3664185A4 (en) * 2017-12-01 2020-12-02 LG Chem, Ltd. ELECTRICAL EQUIPMENT KIT AND BATTERY PACK INCLUDING IT
US11367929B2 (en) 2017-12-01 2022-06-21 Lg Energy Solution, Ltd. Electrical assembly and battery pack including electrical assembly
CN110021901A (zh) * 2019-04-22 2019-07-16 上海沪工汽车电器有限公司 一种车用智能电气接线盒内部一体化固定结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322376B1 (en) Stud bolt holder for a power distribution box
JP2000150023A (ja) 電気接続箱
KR20090004141U (ko) 박스의 대전류단자용 너트설치구조
CN106299754B (zh) 电缆线夹及包含其的分支连接器
KR200444213Y1 (ko) 배터리용 퓨즈박스의 결합구조
KR100755031B1 (ko) 배터리용 퓨즈박스의 장착구조
JP6027801B2 (ja) プロテクタ
KR20180135733A (ko) 체결장치
JP2007104815A (ja) 箱体固定構造
CN111201679A (zh) 固定端子
KR200446697Y1 (ko) 박스의 너트설치구조
KR20170138969A (ko) 버스바 고정용 스터드 클립
JP2005248981A (ja) 固定構造、プロテクタおよび電気接続箱
KR101361349B1 (ko) 차량용 배터리터미널 고정장치
JPH08249919A (ja) 灯具装着装置
JP2001102021A (ja) 電気接続箱のバッテリーへの組付け構造
KR20170001195U (ko) 자동차 블럭 및 이에 사용되는 단자볼트
KR20060080273A (ko) 계량기 하우징용 잠금장치
KR100796030B1 (ko) 링터미널 및 링터미널의 고정구조
KR200430357Y1 (ko) 터미널 고정 장치
KR200439559Y1 (ko) 정션박스
KR20090004245U (ko) 퓨즈박스
KR200436538Y1 (ko) 퓨즈박스의 버스바 장착구조
KR100922155B1 (ko) 박스의 브라켓
KR200439074Y1 (ko) 퓨즈박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