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50173B1 - 연료 공급선 - Google Patents

연료 공급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50173B1
KR101350173B1 KR1020120134876A KR20120134876A KR101350173B1 KR 101350173 B1 KR101350173 B1 KR 101350173B1 KR 1020120134876 A KR1020120134876 A KR 1020120134876A KR 20120134876 A KR20120134876 A KR 20120134876A KR 101350173 B1 KR101350173 B1 KR 10135017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essure vessel
fuel
vessel
supply line
fuel supp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348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135180A (ko
Inventor
신찬효
장해기
Original Assignee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1348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50173B1/ko
Publication of KR201201351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3518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501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5017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5/00Vessels or similar floating structure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5/00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 B63B25/02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bulk goods
    • B63B25/08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bulk goods fluid
    • B63B25/12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bulk goods fluid closed
    • B63B25/16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bulk goods fluid closed heat-insulat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7/00Arrangement of ship-based loading or unloading equipment for cargo or passengers
    • B63B27/30Arrangement of ship-based loading or unloading equipment for transfer at sea between ships or between ships and off-shore structures
    • B63B27/34Arrangement of ship-based loading or unloading equipment for transfer at sea between ships or between ships and off-shore structures using pipe-li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00Hulls characterised by their structure or component parts
    • B63B3/14Hull parts
    • B63B3/48Dec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HMARINE PROPULSION OR STEERING
    • B63H21/00Use of propulsion power plant or units on vessels
    • B63H21/38Apparatu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use on marine vessels, for handling power plant or unit liquids, e.g. lubricants, coolants, fuels or the lik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21/00Apparatus for supplying engines with non-liquid fuels, e.g. gaseous fuels stored in liquid form
    • F02M21/02Apparatus for supplying engines with non-liquid fuels, e.g. gaseous fuels stored in liquid form for gaseous fuels
    • F02M21/0203Apparatus for supplying engines with non-liquid fuels, e.g. gaseous fuels stored in liquid form for gaseous fuel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gaseous fuel
    • F02M21/0209Hydrocarbon fuels, e.g. methane or acetylen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21/00Handled fluid, in particular type of fluid
    • F17C2221/03Mixtures
    • F17C2221/032Hydrocarbons
    • F17C2221/033Methane, e.g. natural gas, CNG, LNG, GNL, GNC, PL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23/00Handled fluid before transfer, i.e. state of fluid when stored in the vessel or before transfer from the vessel
    • F17C2223/01Handled fluid before transfer, i.e. state of fluid when stored in the vessel or before transfer from the vessel characterised by the phase
    • F17C2223/0146Two-phase
    • F17C2223/0153Liquefied gas, e.g. LPG, GPL
    • F17C2223/0161Liquefied gas, e.g. LPG, GPL cryogenic, e.g. LNG, GNL, PL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65/00Effects achieved by gas storage or gas handling
    • F17C2265/06Fluid distribution
    • F17C2265/066Fluid distribution for feeding engines for propuls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70/00Maritime or waterways transport
    • Y02T70/50Measures to reduce greenhouse gas emissions related to the propulsion system
    • Y02T70/5218Less carbon-intensive fuels, e.g. natural gas, biofue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illing Or Discharging Of Gas Storage Vessels (AREA)

Abstract

액화가스를 연료로 사용하는 엔진을 포함하는 가스 연료 선박에 액화가스를 공급하기 위한 연료 공급선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연료 공급선은, 갑판 상에 설치된 베이스 플레이트와, 베이스 플레이트의 높이를 조절하는 승강 장치와, 베이스 플레이트 상에 설치되는 것으로, 가스 연료 선박의 갑판 상으로 액화가스를 저장한 압력 용기를 공급하는 압력 용기 공급 유닛과, 가스 연료 선박의 갑판 상으로부터 액화가스가 소모된 압력 용기를 회수하는 압력 용기 회수 유닛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연료 공급선{Bunkering vessel}
본 발명은 액화가스를 연료로 사용하는 가스 연료 선박에 해상에서 액화가스를 공급하기 위한 연료 공급선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선박에는 가솔린 엔진에 비해 열효율과 내구성이 높은 디젤 엔진이 동력원으로 사용되고 있다. 그런데, 디젤 엔진은 가솔린 엔진에 비해 높은 압축비에서 작동하므로 연소실의 온도가 상대적으로 높으며, 이로 인해 질소산화물(NOx)이 많이 발생하는 단점이 있다. 특히, 선박에 사용된 대형 디젤 엔진의 경우, 엔진의 구동을 위해 사용되는 연료는 비용 절감을 위해 점성이 높고, 휘발성이 낮으며, 가연성이 낮은 저급 연료인 HFO(Heavy Fuel Oil)를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로 인해, 상대적으로 불완전 연소가 많이 발생하며, 불완전 연소의 결과물로서 입자상 물질(PM; Particulate Material)이 많이 발생한다. 이러한 질소산화물과 입자상 물질 등은 인체에 끼치는 영향을 무시할 수 없어서 환경오염의 주된 원인 물질로 취급되고 있다.
최근 들어, 대형 선박의 디젤 엔진이 환경에 미치는 영향이 관심사로 대두됨에 따라, 선박에 보다 환경 친화적인 동력 시스템을 적용하는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이러한 연구들 중 하나로서, LNG나 LPG와 같은 액화가스를 연료로 사용하는 가스 연료 선박(Gas Fuel Ship)이 개발되고 있다.
종래의 가스 연료 선박의 경우, 선박에 마련된 액화가스 저장탱크 내에 액화가스를 저장한 후 이를 연료로서 사용하였다. 액화가스 저장탱크 내에 액화가스를 채우기 위해서는, 액화가스 저장시설이 마련된 항구에 정박하여 액화가스를 공급받거나, 해상에서 액화가스를 저장한 연료 공급선(Bunkering Vessel)으로부터 액화가스를 공급받게 된다. 이때, 가스 연료 선박의 액화가스 저장탱크와 액화가스 저장시설 또는 연료 공급선 사이에 액화가스 공급관을 연결하고 이를 통해 액화가스를 공급받게 되는데, 이들 사이의 연결이 까다롭고 액화가스의 공급 시간도 오래 걸리는 단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연료로서 사용되는 액화가스를 압력 용기에 저장된 상태로 공급받을 수 있도록 구성된 가스 연료 선박에 해상에서 액화가스가 저장된 압력 용기를 공급 및 교체할 수 있도록 구성된 연료 공급선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액화가스를 연료로 사용하는 엔진을 구비한 가스 연료 선박에 액화가스를 공급하기 위한 연료 공급선에 있어서,
갑판 상에 설치된 베이스 플레이트;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높이를 조절하는 승강 장치;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 상에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가스 연료 선박의 갑판 상으로 액화가스를 저장한 압력 용기를 공급하는 압력 용기 공급 유닛; 및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 상에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가스 연료 선박의 갑판 상으로부터 액화가스가 소모된 압력 용기를 회수하는 압력 용기 회수 유닛;을 포함하는 연료 공급선이 제공된다.
그리고, 상기 승강 장치는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네 모서리 부위와 상기 갑판 사이에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압력 용기 공급 유닛과 상기 압력 용기 회수 유닛 각각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 상에 고정 설치된 고정 플레이트와, 상기 고정 플레이트로부터 상기 연료 공급선의 폭 방향으로 연장 가능하도록 결합된 연장 플레이트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압력 용기 공급 유닛의 고정 플레이트 상에는 상기 가스 연료 선박으로 공급될 압력 용기가 적재되고, 상기 압력 용기 회수 유닛의 고정 플레이트 상에는 상기 가스 연료 선박으로부터 회수된 압력 용기가 적재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압력 용기 공급 유닛에 있어서, 상기 고정 플레이트의 상면과 상기 연장 플레이트의 상면은 상기 고정 플레이트의 후단부로부터 상기 연장 플레이트의 선단부로 가면서 점차 낮아지도록 경사지게 형성되고, 상기 압력 용기 회수 유닛에 있어서, 상기 고정 플레이트의 상면과 상기 연장 플레이트의 상면은 상기 연장 플레이트의 선단부로부터 상기 고정 플레이트의 후단부로 가면서 점차 낮아지도록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 플레이트에는 상기 연료 공급선의 폭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가이드 홈이 형성되고, 상기 연장 플레이트는 상기 가이드 홈에 삽입 또는 인출되어 상기 연료 공급선의 폭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가동 부재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 플레이트에는 상기 압력 용기를 고정시키기 위한 스토퍼가 수직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 플레이트의 후단부와 상기 연장 플레이트의 선단부 각각에는 상기 압력 용기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단부 스토퍼가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압력 용기 공급 유닛과 상기 압력 용기 회수 유닛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 상에 상기 연료 공급선의 폭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설치되고, 상기 압력 용기 공급 유닛과 상기 압력 용기 회수 유닛 각각은 상기 압력 용기를 이동시키기 위한 컨베이어 벨트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압력 용기 공급 유닛의 컨베이어 벨트 상면에는 상기 가스 연료 선박으로 공급될 압력 용기가 적재되고, 상기 압력 용기 회수 유닛의 컨베이어 벨트 상면에는 상기 가스 연료 선박으로부터 회수된 압력 용기가 적재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압력 용기 공급 유닛과 상기 압력 용기 회수 유닛 각각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 상에 상기 연료 공급선의 폭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설치된 가이드 레일과, 상기 가이드 레일에 상기 연료 공급선의 폭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결합된 이동 프레임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이동 프레임에 상기 컨베이어 벨트가 상기 연료 공급선의 폭 방향으로 회전 이동 가능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컨베이어 벨트의 상면에는 상기 압력 용기를 고정시키기 위한 스토퍼가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동 프레임의 선단부와 후단부 각각에는 상기 압력 용기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단부 스토퍼가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스 연료 선박은, 갑판 상에 배치되는 상기 압력 용기와, 상기 갑판 상에 설치되어 상기 압력 용기를 교체 가능하도록 지지하는 지지 부재와, 상기 압력 용기 내에 저장된 액화가스를 상기 엔진에 공급하기 위한 연료 공급관과, 상기 압력 용기를 핸들링하기 위한 핸들링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압력 용기의 길이 방향 양단부 가까이에 플랜지가 형성되고, 상기 지지 부재의 상부에 상기 플랜지의 일부가 삽입되는 홈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연료 공급선에 의하면, 해상에서 액화가스를 압력 용기에 저장된 상태로 공급 및 교체할 수 있으므로, 연료 공급선으로부터 가스 연료 선박으로 보다 신속하고 용이하게 액화가스를 공급할 수 있게 된다.
도 1과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가스 연료 선박의 일 실시예의 개략적인 구성을 도시한 측면도와 정면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압력 용기와 지지 부재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연료 공급선의 일 실시예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연료 공급선으로부터 액화가스가 저장된 압력 용기를 도 1에 도시된 가스 연료 선박으로 공급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도 1에 도시된 가스 연료 선박으로부터 액화가스가 소모된 압력 용기를 도 4에 도시된 연료 공급선으로 회수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따른 연료 공급선의 다른 실시예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7에 도시된 연료 공급선으로부터 액화가스가 저장된 압력 용기를 도 1에 도시된 가스 연료 선박으로 공급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연료 공급선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의 도면들에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구성요소를 가리킨다.
도 1과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가스 연료 선박의 일 실시예의 개략적인 구성을 도시한 측면도와 정면도이다.
도 1과 도 2를 함께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스 연료 선박(100)은 LNG나 LPG와 같은 액화가스를 연료로 사용하는 엔진(150)을 구비한다. 그리고, 상기 가스 연료 선박(100)은, 상기 엔진(150)에 공급될 액화가스를 저장하는 압력 용기(110)와, 상기 압력 용기(110)를 지지하는 지지 부재(120)와, 상기 압력 용기(110) 내에 저장된 액화가스를 상기 엔진(150)에 공급하기 위한 연료 공급관(140)과, 상기 압력 용기(10)를 핸들링하기 위한 핸들링 수단을 구비한다.
상기 압력 용기(110)는 엔진(150)의 연료로서 사용될 LNG 또는 LPG와 같은 액화가스를 저장하는 것으로, 가스 연료 선박(100)의 갑판(102) 상에 적어도 하나가 배치된다. 상기 압력 용기(110)는, 도시된 바와 같이, 가스 연료 선박(100)의 폭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예를 들어, 상기 압력 용기(110)는 가스 연료 선박(100)의 양현측에 가스 연료 선박(110)의 길이 방향으로 배치될 수도 있다.
상기 지지 부재(120)는, 상기 갑판(102) 상에 설치되어 상기 압력 용기(110)를 교체 가능하도록 지지한다. 즉, 상기 압력 용기(110)는 상기 지지 부재(120)에 교체 가능하도록 결합되어 지지된다. 이에 대해서는 뒤에서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연료 공급관(140)은 상기 압력 용기(110) 내에 저장된 액화가스를 상기 엔진(150)에 공급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압력 용기(110)와 엔진(150) 사이에 연결된다.
상기 핸들링 수단은 압력 용기(110)를 설치, 제거 및 교체할 때 그 압력 용기(110)를 핸들링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핸들링 수단으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갑판(102) 상에 설치된 크레인(130)이 사용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예를 들어, 상기한 바와 같이 압력 용기(110)가 가스 연료 선박(100)의 양현측에 배치된 경우에는, 상기 핸들링 수단으로서 대차나 리프트(lift)와 같은 다양한 장치가 사용될 수 있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압력 용기와 지지 부재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압력 용기(110)는 엔진(150)의 연료로서 사용될 LNG 또는 LPG와 같은 액화가스를 저장하는 것으로, 양단이 막힌 긴 원통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압력 용기(110)에는 액화가스 유입구(116)와 액화가스 배출구(118)가 마련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않는다. 즉, 액화가스 유입구(116)와 액화가스 배출구(118)는 각각 형성되지 않고, 일체로 형성되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압력 용기(110)가 가스 연료 선박(100)의 갑판(102) 상에 설치된 후, 구체적으로 상기 압력 용기(110)가 지지 부재(120)에 결합되어 고정된 후, 상기 액화가스 배출구(118)는 엔진(150)에 연결된 연료 공급관(140)과 연결된다. 이때, 상기 액화가스 배출구(118)는 스풀 피스(spool piece, 119)를 통해 연료 공급관(140)과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상기 액화가스 유입구(116)와 액화가스 배출구(118) 각각에는 밸브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압력 용기(110)는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지지 부재(120)에 교체 가능하도록 결합되어 지지된다. 이를 위해, 상기 압력 용기(110)의 길이 방향 양단부 가까이에는 플랜지(112)가 형성되고, 상기 지지 부재(120)의 상부에는 상기 플랜지의 일부가 삽입되는 홈(122)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플랜지(112)에는 다수의 구멍(114)이 형성되고, 상기 지지 부재(120)의 홈(122) 양측에도 상기 플랜지(112)의 구멍들(114)과 상응하는 위치에 다수의 구멍(124)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지 부재(120)의 홈(122) 내부에는 다수의 롤러(126)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다수의 롤러(126)는 상기 압력 용기(110)의 플랜지(112)를 접촉 지지하는 것으로, 도시되지 않은 베어링에 의해 회전 가능하다.
상기한 구성에 의해, 상기 압력 용기(110)는 그 플랜지(112)가 지지 부재(120)의 홈(122) 내부에 삽입된 상태로 회전할 수 있게 되며, 이에 따라 상기 플랜지(112)에 형성된 구멍들(114)의 위치와 상기 지지 부재(120)의 홈(122) 양측에 형성된 구멍들(124)의 위치가 일치되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플랜지(112)의 구멍들(114)과 상기 지지 부재(120)의 홈(122) 양측의 구멍들(124)의 위치를 일치시킨 후, 상기 구멍들(114, 124) 각각에 볼트(128)를 삽입하고, 그 볼트(128)에 너트(129)를 체결하게 되면, 상기 압력 용기(110)는 상기 지지 부재(120)에 견고하게 결합되어 지지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볼트(128)와 너트(129)를 풀게 되면, 상기 압력 용기(110)를 지지 부재(120)로부터 분리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액화가스가 소모된 압력 용기(110)는 상기한 바와 같이 지지 부재(120)로부터 분리하고, 액화가스가 채워진 새로운 압력 용기(110)를 상기 지지 부재(120)에 결합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압력 용기(110)의 교체시, 상기 크레인(130)을 사용하여 압력 용기(110)를 핸들링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스 연료 선박(100)은, 연료로 사용되는 액화가스를 압력 용기(110)에 저장된 상태로 보다 신속하고 용이하게 공급받을 수 있게 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연료 공급선의 일 실시예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료 공급선(200)은, 상기한 구성을 가진 가스 연료 선박(100)에 액화가스를 공급하기 위한 선박으로서, 자항 능력을 갖춘 선박이거나 자항 능력이 없는 바지선일 수 있다. 상기 연료 공급선(200)은, 액화가스를 압력 용기(110)에 저장된 상태로 가스 연료 선박(100)에 공급하는 구성과, 액화가스가 소모된 압력 용기(110)를 상기 가스 연료 선박(100)으로부터 회수하는 구성을 가진다.
구체적으로, 상기 연료 공급선(200)은, 베이스 플레이트(210)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210)의 높이를 조절하는 승강 장치(220)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210) 상에 설치되는 압력 용기 공급 유닛(230) 및 압력 용기 회수 유닛(240)을 구비한다.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210)는 상기 연료 공급선(200)의 갑판(202) 상에 승강 가능하도록 설치된다. 상기 승강 장치(220)는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210)의 높이를 조절하기 위한 장치로서, 베이스 플레이트(210)의 네 모서리 부위와 갑판(202) 사이에 설치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210), 상기 압력 용기 공급 유닛(230) 및 상기 압력 용기 회수 유닛(240)을 지지하면서 승강할 수 있도록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210)와 상기 갑판(202) 사이의 적절한 위치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승강 장치(220)로서 유압식 승강 장치가 사용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승강 장치(220)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예컨대 스크루를 이용한 기계식 승강 장치 등의 다양한 승강 장치가 사용될 수도 있다.
상기 압력 용기 공급 유닛(230)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210) 상에 설치되는 것으로, 도 1에 도시된 가스 연료 선박(100)의 갑판(102) 상으로 액화가스를 저장한 압력 용기(110)를 공급하는 장치이다. 상기 압력 용기 공급 유닛(230)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210) 상에 고정 설치된 제1 고정 플레이트(231)와, 상기 제1 고정 플레이트(231)로부터 상기 연료 공급선(200)의 폭 방향으로 연장 가능하도록 결합된 제1 연장 플레이트(236)를 포함한다. 상기 제1 고정 플레이트(231)에는 상기 연료 공급선(200)의 폭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다수의 제1 가이드 홈(232)이 형성되고, 상기 제1 연장 플레이트(236)는 상기 다수의 제1 가이드 홈(232)에 각각 삽입되어 상기 연료 공급선(200)의 폭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다수의 제1 가동 부재(237)를 가질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상기 제1 연장 플레이트(236)는, 상기 다수의 제1 가동 부재(237)가 상기 다수의 제1 가이드 홈(232)을 따라 이동함에 의해, 상기 연료 공급선(200)의 폭 방향으로 연장 가능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제1 고정 플레이트(231)의 상면에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액화가스를 저장한 압력 용기(110)가 적재된다. 상기 제1 고정 플레이트(231)의 상면과 제1 연장 플레이트(236)의 상면은 상기 제1 고정 플레이트(231)의 후단부로부터 상기 제1 연장 플레이트(236)의 선단부로 가면서 점차 낮아지도록 경사지게 형성된다. 이에 따라, 상기 제1 고정 플레이트(231)의 상면에 적재된 압력 용기(110)는 제1 연장 플레이트(236)의 선단부쪽으로 굴러갈 수 있게 된다.
상기 제1 고정 플레이트(231)에는 그 위에 적재된 압력 용기(110)를 고정시키기 위한 다수의 제1 스토퍼(233)가 설치될 수 있으며, 상기 다수의 제1 스토퍼(233)는 수직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다수의 제1 스토퍼(233)가 제1 고정 플레이트(231)의 상면 위쪽으로 돌출되면, 압력 용기(110)가 상기 제1 스토퍼(233)에 걸려서 굴러가지 않으며, 상기 다수의 제1 스토퍼(233)가 제1 고정 플레이트(231)의 상면 아래쪽으로 내려가게 되면, 압력 용기(110)는 제1 연장 플레이트(236)의 선단부쪽으로 굴러갈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제1 고정 플레이트(231)의 후단부와 상기 제1 연장 플레이트(236)의 선단부에는 각각 압력 용기(110)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제1 단부 스토퍼(234, 238)가 마련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 연장 플레이트(236)의 선단부에 마련된 제1 단부 스토퍼(238)에는, 제1 연장 플레이트(236)의 선단부쪽으로 굴러온 압력 용기(110)가 제1 단부 스토퍼(238)에 접촉될 때 발생하는 충격을 흡수하는 완충부재(239)가 부착될 수 있다. 상기 완충부재(239)는 고무와 같은 점탄성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또는 스프링과 같은 다른 완충 수단을 이용한 것일 수 있다.
여기에서, 선단부와 후단부는 상기 제1 연장 플레이트(236)의 연장 이동 방향을 기준으로 한 것으로서, 제1 연장 플레이트(236)가 연장 이동하는 방향의 앞쪽 단부를 선단부라고 지칭하고, 그 반대쪽 단부를 후단부라고 지칭한다. 그리고, 이하에서 설명되는 제2 연장 플레이트(246)와 제2 고정 플레이트(241)에 있어서도 위와 마찬가지이다.
상기한 구성을 가진 압력 용기 공급 유닛(230)의 작용에 대해서는 뒤에서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압력 용기 회수 유닛(240)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210) 상에 설치되는 것으로, 도 1에 도시된 가스 연료 선박(100)의 갑판(102) 상으로부터 액화가스가 소모된 압력 용기(110)를 회수하는 장치이다. 상기 압력 용기 회수 유닛(240)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압력 용기 공급 유닛(230)과 상기 연료 공급선(200)의 길이 방향으로 나란하게 배치된다. 상기 압력 용기 회수 유닛(240)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210) 상에 고정 설치된 제2 고정 플레이트(241)와, 상기 제2 고정 플레이트(241)로부터 상기 연료 공급선(200)의 폭 방향으로 연장 가능하도록 결합된 제2 연장 플레이트(246)를 포함한다. 상기 제2 고정 플레이트(241)에는 상기 연료 공급선(200)의 폭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다수의 제2 가이드 홈(242)이 형성되고, 상기 제2 연장 플레이트(246)는 상기 다수의 제2 가이드 홈(242)에 각각 삽입되어 상기 연료 공급선(200)의 폭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다수의 제2 가동 부재(247)를 가질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상기 제2 연장 플레이트(246)는, 상기 다수의 제2 가동 부재(247)가 상기 다수의 제2 가이드 홈(242)을 따라 이동함에 의해, 상기 연료 공급선(200)의 폭 방향으로 연장 가능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제2 고정 플레이트(241)의 상면에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액화가스가 소모된 압력 용기(110)가 가스 연료 선박(100)으로부터 회수되어 적재된다. 상기 제2 고정 플레이트(241)의 상면과 제2 연장 플레이트(246)의 상면은 상기 제2 연장 플레이트(246)의 선단부로부터 상기 제2 고정 플레이트(241)의 후단부로 가면서 점차 낮아지도록 경사지게 형성된다. 이에 따라, 상기 제2 연장 플레이트(246)의 상면에 놓여진 압력 용기(110)는 상기 제2 고정 플레이트(241)의 후단부쪽으로 굴러갈 수 있게 된다.
상기 제2 고정 플레이트(241)에는 그 위에 적재된 압력 용기(110)를 고정시키기 위한 다수의 제2 스토퍼(243)가 설치될 수 있으며, 상기 다수의 제2 스토퍼(243)는 수직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다수의 제2 스토퍼(243)가 제2 고정 플레이트(241)의 상면 아래쪽으로 내려가게 되면, 압력 용기(110)는 제2 연장 플레이트(246)로부터 제2 고정 플레이트(241)의 후단부쪽으로 굴러갈 수 있으며, 다수의 제2 스토퍼(243)가 제2 고정 플레이트(241)의 상면 위쪽으로 돌출되면, 제2 고정 플레이트(241)의 상면으로 굴러온 압력 용기(110)가 더 이상 구르지 않고 그 위치에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고정 플레이트(241)의 후단부와 상기 제2 연장 플레이트(246)의 선단부에는 각각 압력 용기(110)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제2 단부 스토퍼(244, 248)가 마련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2 고정 플레이트(241)의 후단부에 마련된 제2 단부 스토퍼(244)에는, 제2 고정 플레이트(241)의 후단부쪽으로 굴러온 압력 용기(110)가 제2 단부 스토퍼(244)에 접촉될 때 발생하는 충격을 흡수하는 완충부재(249)가 부착될 수 있다. 상기 완충부재(249)는 고무와 같은 점탄성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또는 스프링과 다른 완충 수단을 이용한 것일 수 있다.
상기한 구성을 가진 압력 용기 회수 유닛(240)의 작용에 대해서는 뒤에서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연료 공급선으로부터 액화가스가 저장된 압력 용기를 도 1에 도시된 가스 연료 선박으로 공급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6은 도 1에 도시된 가스 연료 선박으로부터 액화가스가 소모된 압력 용기를 도 4에 도시된 연료 공급선으로 회수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먼저, 도 5를 참조하면, 해상에서 상기 가스 연료 선박(100)으로 액화가스가 저장된 압력 용기(110)를 공급하기 위해서, 상기 연료 공급선(200)은 가스 연료 선박(100)의 일측에 나란하게 계류된다. 이때, 두 선박(100, 200) 사이에는 충돌을 방지하기 위한 펜더(160)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가스 연료 선박(100)의 일측에 연료 공급선(200)을 나란하게 계류한 상태에서, 연료 공급선(200)의 갑판(202) 상에 설치된 승강 장치(220)를 작동시켜 베이스 플레이트(210)의 높이를 가스 연료 선박(100)의 갑판(102)의 높이와 같은 높이로 맞춘다. 다음으로, 베이스 플레이트(210) 상에 설치된 압력 용기 공급 유닛(230)의 제1 연장 플레이트(236)를 이동시켜 제1 연장 플레이트(236)의 선단부가 가스 연료 선박(100)의 갑판(102) 상에 위치되도록 한다. 이어서, 제1 고정 플레이트(231)에 설치된 제1 스토퍼(233)를 내리게 되면, 제1 고정 플레이트(231)와 제1 연장 플레이트(236)의 상면 경사에 의해 제1 고정 플레이트(231) 상에 적재된 압력 용기(110)는 제1 연장 플레이트(236)의 선단부쪽으로 굴러가게 된다. 이와 같이, 제1 연장 플레이트(236)의 선단부쪽으로 굴러온 압력 용기(110)는 제1 연장 플레이트(236)의 선단부에 설치된 제2 단부 스토퍼(244)에 접촉되어 정지되며, 이때 발생되는 충격은 상기 완충부재(249)에 의해 완충된다.
상기 압력 용기(110)가 제1 연장 플레이트(236)의 선단부로 이동되면, 가스 연료 선박(100)의 갑판(102) 상에 설치된 크레인(130)을 사용하여 상기 압력 용기(110)를 지지 부재(120)로 이동시킨 후, 상기 압력 용기(110)를 지지 부재(120)에 결합시켜 고정시킨다.
다음으로, 도 6을 참조하면, 연료 공급선(200)의 갑판(202) 상에 설치된 베이스 플레이트(210)의 높이가 가스 연료 선박(100)의 갑판(102)의 높이와 같은 높이로 맞춰진 상태에서, 베이스 플레이트(210) 상에 설치된 압력 용기 회수 유닛(240)의 제2 연장 플레이트(246)를 이동시켜 제2 연장 플레이트(246)의 선단부가 가스 연료 선박(100)의 갑판(102) 상에 위치되도록 한다. 다음으로, 가스 연료 선박(100)의 갑판(102) 상에 설치된 크레인(130)을 사용하여 액화가스가 소모된 압력 용기(110)를 가스 연료 선박(100)으로부터 제2 연장 플레이트(246)의 선단부 상으로 이동시킨다. 그러면, 제2 연장 플레이트(246)와 제2 고정 플레이트(241)의 상면 경사에 의해 압력 용기(110)는 제2 고정 플레이트(241)의 후단부쪽으로 굴러가게 된다. 이와 같이, 제2 고정 플레이트(241)의 후단부쪽으로 굴러온 압력 용기(110)는 제2 고정 플레이트(241)의 후단부에 설치된 제2 단부 스토퍼(238)에 접촉되어 정지되며, 이때 발생되는 충격은 상기 완충부재(239)에 의해 완충된다.
이어서, 제2 고정 플레이트(241)에 설치된 제2 스토퍼(243)를 상승시키면, 제2 고정 플레이트(241) 위로 굴러 온 압력 용기(110)가 제2 스토퍼(243)에 걸려서 그 위치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연료 공급선(200)에 의하면, 해상에서 액화가스를 압력 용기(110)에 저장된 상태로 가스 연료 선박(100)에 공급할 수 있으며, 액화가스가 소모된 압력 용기(110)를 교체할 수 있으므로, 연료 공급선(200)으로부터 가스 연료 선박(100)으로의 액화가스의 공급이 보다 신속하고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따른 연료 공급선의 다른 실시예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연료 공급선(300)은, 도 1에 도시된 가스 연료 선박(100)에 액화가스를 공급하기 위한 선박으로서, 자항 능력을 갖춘 선박이거나 자항 능력이 없는 바지선일 수 있다. 상기 연료 공급선(300)은, 액화가스를 압력 용기(110)에 저장된 상태로 가스 연료 선박(100)에 공급하는 구성과, 액화가스가 소모된 압력 용기(110)를 상기 가스 연료 선박(100)으로부터 회수하는 구성을 가진다.
구체적으로, 상기 연료 공급선(300)은, 베이스 플레이트(310)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310)의 높이를 조절하는 승강 장치(320)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310) 상에 설치되는 압력 용기 공급 유닛(330) 및 압력 용기 회수 유닛(340)을 구비한다.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310)는 상기 연료 공급선(300)의 갑판(302) 상에 승강 가능하도록 설치된다. 상기 승강 장치(320)는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310)의 높이를 조절하기 위한 장치로서, 베이스 플레이트(310)의 네 모서리 부위와 갑판(302) 사이에 설치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210), 상기 압력 용기 공급 유닛(230) 및 상기 압력 용기 회수 유닛(240)을 지지하면서 승강할 수 있도록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210)와 상기 갑판(202) 사이의 적절한 위치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승강 장치(320)로서 유압식 승강 장치가 사용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승강 장치(320)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예컨대 스크루를 이용한 기계식 승강 장치 등의 다양한 승강 장치가 사용될 수도 있다.
상기 압력 용기 공급 유닛(330)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310) 상에 설치되는 것으로, 도 1에 도시된 가스 연료 선박(100)의 갑판(102) 상으로 액화가스를 저장한 압력 용기(110)를 공급하는 장치이다. 상기 압력 용기 공급 유닛(330)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310) 상에 상기 연료 공급선(300)의 폭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설치된다. 이를 위해,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310) 상에는 연료 공급선(300)의 폭 방향으로 연장된 제1 가이드 레일(332)이 설치되고, 상기 제1 가이드 레일(332)에는 제1 이동 프레임(334)이 제1 가이드 레일(332)을 따라 연료 공급선(300)의 폭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제1 이동 프레임(334)에 상기 제1 컨베이어 벨트(336)가 연료 공급선(300)의 폭 방향으로 회전 이동 가능하도록 설치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 가이드 레일(322)은 두 개가 나란하게 설치될 수 있으며, 상기 두 개의 제1 가이드 레일(332)에 각각에 상기 제1 이동 프레임(334)이 제1 가이드 레일(332)을 따라 연료 공급선(300)의 폭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두 개의 제1 이동 프레임(334) 사이에 상기 제1 컨베이어 벨트(336)가 연료 공급선(300)의 폭 방향으로 회전 이동 가능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에 의해, 상기 압력 용기 공급 유닛(330)은, 상기 제1 이동 프레임(334)이 상기 제1 가이드 레일(332)을 따라 이동함에 의해, 상기 연료 공급선(300)의 폭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게 되며, 이와 함께 상기 제1 이동 프레임(334)에 설치된 제1 컨베이어 벨트(336)도 상기 연료 공급선(300)의 폭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제1 컨베이어 벨트(336)의 상면에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액화가스를 저장한 압력 용기(110)가 적재된다. 상기 제1 컨베이어 벨트(336)는 그 위에 적재된 압력 용기(110)를 제1 이동 프레임(334)의 선단부쪽으로 이동시키는 작용을 하게 된다.
상기 제1 컨베이어 벨트(336)의 상면에는 그 위에 적재된 압력 용기(110)를 고정시키기 위한 다수의 제1 스토퍼(337)가 설치될 수 있으며, 상기 제1 이동 프레임(334)의 선단부와 후단부 각각에는 압력 용기(110)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제1 단부 스토퍼(338, 335)가 마련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 이동 프레임(334)의 선단부에 마련된 제1 단부 스토퍼(338)에는, 상기 제1 컨베이어 벨트(336)에 의해 제1 이동 프레임(334)의 선단부쪽으로 이동된 압력 용기(110)가 제1 단부 스토퍼(338)에 접촉될 때 발생하는 충격을 흡수하는 완충부재(339)가 부착될 수 있다. 상기 완충부재(339)는 고무와 같은 점탄성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또는 스프링과 같은 다른 완충 수단을 이용한 것일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제1 이동 프레임(334)의 선단부와 후단부는, 상기 제1 이동 프레임(236)의 이동 방향을 기준으로 한 것으로서, 제1 이동 프레임(236)이 연료 공급선(330) 쪽으로 이동하는 방향의 앞쪽 단부를 선단부라고 지칭하고, 그 반대쪽 단부를 후단부라고 지칭한다. 그리고, 이하에서 설명되는 제2 이동 프레임(344)에 있어서도 위와 마찬가지이다.
상기한 구성을 가진 압력 용기 공급 유닛(330)의 작용에 대해서는 뒤에서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압력 용기 회수 유닛(340)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310) 상에 설치되는 것으로, 도 1에 도시된 가스 연료 선박(100)의 갑판(102) 상으로부터 액화가스가 소모된 압력 용기(110)를 회수하는 장치이다. 상기 압력 용기 회수 유닛(340)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압력 용기 공급 유닛(330)과 상기 연료 공급선(300)의 길이 방향으로 나란하게 배치된다. 상기 압력 용기 회수 유닛(340)도,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310) 상에 상기 연료 공급선(300)의 폭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설치된다. 이를 위해,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310) 상에는 연료 공급선(300)의 폭 방향으로 연장된 두 개의 제2 가이드 레일(342)이 설치되고, 상기 제2 가이드 레일(342)에는 제2 이동 프레임(344)이 제2 가이드 레일(342)을 따라 연료 공급선(300)의 폭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제2 이동 프레임(344)에 연료 공급선(300)의 폭 방향으로 회전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제2 컨베이어 벨트(346)가 설치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2 가이드 레일(342)은 두 개가 나란하게 설치될 수 있으며, 상기 두 개의 제2 가이드 레일(342) 각각에 상기 제2 이동 프레임(344)이 제2 가이드 레일(342)을 따라 연료 공급선(300)의 폭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두 개의 제2 이동 프레임(344) 사이에 상기 제2 컨베이어 벨트(346)가 연료 공급선(300)의 폭 방향으로 회전 이동 가능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에 의해, 상기 압력 용기 회수 유닛(340)은, 상기 제2 이동 프레임(344)이 상기 제2 가이드 레일(342)을 따라 이동함에 의해, 상기 연료 공급선(300)의 폭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게 되며, 이와 함께 상기 제2 이동 프레임(344)에 설치된 제2 컨베이어 벨트(346)도 상기 연료 공급선(300)의 폭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제2 컨베이어 벨트(346)의 상면에는, 가스 연료 선박(100)으로부터 회수된 압력 용기(110)가 적재된다. 상기 제2 컨베이어 벨트(346)는 그 위에 적재된 압력 용기(110)를 제2 이동 프레임(344)의 후단부쪽으로 이동시키는 작용을 하게 된다.
상기 제2 컨베이어 벨트(346)의 상면에는 회수된 압력 용기(110)를 고정시키기 위한 다수의 제2 스토퍼(347)가 설치될 수 있으며, 상기 제2 이동 프레임(344)의 선단부와 후단부 각각에는 압력 용기(110)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제2 단부 스토퍼(348, 345)가 마련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2 이동 프레임(344)의 후단부에 마련된 제2 단부 스토퍼(345)에는, 상기 제2 컨베이어 벨트(346)에 의해 제1 이동 프레임(344)의 후단부쪽으로 이동된 압력 용기(110)가 제2 단부 스토퍼(345)에 접촉될 때 발생하는 충격을 흡수하는 완충부재(349)가 부착될 수 있다. 상기 완충부재(349)는 고무와 같은 점탄성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또는 스프링과 같은 다른 완충 수단을 이용한 것일 수 있다.
도 8은 도 7에 도시된 연료 공급선으로부터 액화가스가 저장된 압력 용기를 도 1에 도시된 가스 연료 선박으로 공급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해상에서 상기 가스 연료 선박(100)으로 액화가스가 저장된 압력 용기(110)를 공급하기 위해서, 상기 연료 공급선(300)은 가스 연료 선박(100)의 일측에 나란하게 계류된다. 이때, 두 선박(100, 300) 사이에는 충돌을 방지하기 위한 펜더(160)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가스 연료 선박(100)의 일측에 연료 공급선(300)을 나란하게 계류한 상태에서, 연료 공급선(300)의 갑판(302) 상에 설치된 승강 장치(320)를 작동시켜 베이스 플레이트(310)의 높이를 가스 연료 선박(100)의 갑판(102)의 높이와 같은 높이로 맞춘다. 다음으로, 상기 압력 용기 공급 유닛(330)의 제1 이동 프레임(334)을 이동시켜 그 선단부가 가스 연료 선박(100)의 갑판(102) 상에 위치되도록 한다. 이어서, 제1 컨베이어 벨트(336)를 회전시켜 그 위에 적재된 압력 용기(110)를 제1 이동 프레임(334)의 선단부쪽으로 이동시킨다. 이와 같이, 제1 이동 프레임(334)의 선단부쪽으로 이동되는 압력 용기(110)는 제1 단부 스토퍼(338)에 접촉되어 정지되며, 이때 발생되는 충격은 상기 완충부재(339)에 의해 완충된다.
상기 압력 용기(110)가 제1 이동 프레임(334)의 선단부로 이동되면, 가스 연료 선박(100)의 갑판(102) 상에 설치된 크레인(130)을 사용하여 제1 컨베이어 벨트(3360 상에 위치한 압력 용기(110)를 지지 부재(120)로 이동시킨 후, 상기 압력 용기(110)를 지지 부재(120)에 결합시켜 고정시킨다.
한편, 가스 연료 선박(100)으로부터 액화가스가 소모된 압력 용기(110)를 도 7에 도시된 압력 용기 회수 유닛(340)을 사용하여 회수하는 과정은, 위에 설명된 압력 용기 공급 과정과 역순이므로, 압력 용기 회수 과정에 대한 도시와 상세한 설명이 생략되더라도 당업자라면 충분히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도 4 및 도 7에 도시된 연료 공급선(200, 300)은 자항 능력을 가지는 선박뿐 아니라 자항 능력이 없는 바지선일 수 있으며, 또한 고정식 또는 부유식 해상 구조물을 포함할 수 있다. 연료 공급선(200, 300)이 고정식 또는 부유식 해상 구조물일 경우, 가스 연료 선박(100)이 압력 용기(110)를 교체하기 위해 연료 공급선(200, 300) 쪽으로 운항하여 압력 용기(110)를 공급받을 수 있다.
또한, 상기한 구성 요소들의 배치와는 반대로, 연료 공급선(200, 300)에 압력 용기(110), 지지 부재(120) 및 핸들링 수단 등이 설치되고, 가스 연료 선박(100)에 베이스 플레이트(210, 310), 승강 장치(220, 320), 압력 용기 공급 유닛(230, 330) 및 압력 용기 회수 유닛(240, 340) 등이 설치될 수 있으며, 이 경우에도 가스 연료 선박(100)은 연료 공급선으로(200, 300)부터 연료가 채워진 압력 용기(110)를 공급받을 수 있고, 연료 공급선(200, 300)으로 연료가 소모된 압력 용기(100)를 공급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들을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함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가스 연료 선박 110...액화가스 저장용 압력 용기
112...플랜지 116...액화가스 유입구
118...액화가스 배출구 119...스풀 피스(spool piece)
120...지지 부재 122...홈
126...롤러 130...크레인
140...연료 공급관 150...엔진
200,300...연료 공급선 210,310...베이스 플레이트
220,320...승강 장치 230,330...압력 용기 공급 유닛
231...제1 고정 플레이트 232...제1 가이드 홈
236...제1 연장 플레이트 237...제1 가동 부재
240,340...압력 용기 회수 유닛 241...제2 고정 플레이트
242...제2 가이드 홈 246...제2 연장 플레이트
332...제1 가이드 레일 334...제1 이동 프레임
336...제1 컨베이어 벨트 342...제2 가이드 레일
344...제2 이동 프레임 346...제2 컨베이어 벨트

Claims (13)

  1. 액화가스를 연료로 사용하는 엔진을 포함하는 가스 연료 선박에 액화가스를 공급하기 위한 연료 공급선에 있어서,
    갑판 상에 설치된 베이스 플레이트;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높이를 조절하는 승강 장치;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 상에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가스 연료 선박의 갑판 상으로 액화가스를 저장한 압력 용기를 공급하는 압력 용기 공급 유닛; 및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 상에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가스 연료 선박의 갑판 상으로부터 액화가스가 소모된 압력 용기를 회수하는 압력 용기 회수 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압력 용기 공급 유닛과 압력 용기 회수 유닛은 별개로 마련되는 유닛들로서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 상에 상기 연료 공급선의 길이 방향으로 나란하게 배치되고,
    상기 압력 용기 공급 유닛 상에 상기 가스 연료 선박으로 공급될 압력 용기가 적재되고, 상기 압력 용기 회수 유닛 상에 상기 가스 연료 선박으로부터 회수된 압력 용기가 적재되는 연료 공급선.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 장치는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네 모서리 부위와 상기 갑판 사이에 설치되는 연료 공급선.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압력 용기 공급 유닛과 상기 압력 용기 회수 유닛 각각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 상에 고정 설치된 고정 플레이트와, 상기 고정 플레이트로부터 상기 연료 공급선의 폭 방향으로 연장 가능하도록 결합된 연장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연료 공급선.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압력 용기 공급 유닛에 있어서, 상기 고정 플레이트의 상면과 상기 연장 플레이트의 상면은 상기 고정 플레이트의 후단부로부터 상기 연장 플레이트의 선단부로 가면서 점차 낮아지도록 경사지게 형성되며,
    상기 압력 용기 회수 유닛에 있어서, 상기 고정 플레이트의 상면과 상기 연장 플레이트의 상면은 상기 연장 플레이트의 선단부로부터 상기 고정 플레이트의 후단부로 가면서 점차 낮아지도록 경사지게 형성된 연료 공급선.
  5.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플레이트에는 상기 연료 공급선의 폭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가이드 홈이 형성되고, 상기 연장 플레이트는 상기 가이드 홈에 삽입 또는 인출되어 상기 연료 공급선의 폭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가동 부재를 가지는 연료 공급선.
  6.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플레이트에는 상기 압력 용기를 고정시키기 위한 스토퍼가 수직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설치된 연료 공급선.
  7.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플레이트의 후단부와 상기 연장 플레이트의 선단부 각각에는 상기 압력 용기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단부 스토퍼가 마련된 연료 공급선.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압력 용기 공급 유닛과 상기 압력 용기 회수 유닛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 상에 상기 연료 공급선의 폭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설치되고,
    상기 압력 용기 공급 유닛과 상기 압력 용기 회수 유닛 각각은 상기 압력 용기를 이동시키기 위한 컨베이어 벨트를 포함하는 연료 공급선.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압력 용기 공급 유닛과 상기 압력 용기 회수 유닛 각각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 상에 상기 연료 공급선의 폭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설치된 가이드 레일과, 상기 가이드 레일에 상기 연료 공급선의 폭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결합된 이동 프레임을 포함하며, 상기 이동 프레임에 상기 컨베이어 벨트가 상기 연료 공급선의 폭 방향으로 회전 이동 가능하도록 설치된 연료 공급선.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컨베이어 벨트의 상면에는 상기 압력 용기를 고정시키기 위한 스토퍼가 설치된 연료 공급선.
  11.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프레임의 선단부와 후단부 각각에는 상기 압력 용기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단부 스토퍼가 마련된 연료 공급선.
  12. 제 1항 내지 제 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가스 연료 선박은, 갑판 상에 배치되는 상기 압력 용기와, 상기 갑판 상에 설치되어 상기 압력 용기를 교체 가능하도록 지지하는 지지 부재와, 상기 압력 용기 내에 저장된 액화가스를 상기 엔진에 공급하기 위한 연료 공급관과, 상기 압력 용기를 핸들링하기 위한 핸들링 수단을 포함하는 연료 공급선.
  13.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압력 용기의 길이 방향 양단부 가까이에 플랜지가 형성되고, 상기 지지 부재의 상부에 상기 플랜지의 일부가 삽입되는 홈이 형성된 연료 공급선.
KR1020120134876A 2012-11-26 2012-11-26 연료 공급선 KR10135017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34876A KR101350173B1 (ko) 2012-11-26 2012-11-26 연료 공급선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34876A KR101350173B1 (ko) 2012-11-26 2012-11-26 연료 공급선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05432A Division KR101246903B1 (ko) 2011-01-19 2011-01-19 가스 연료 선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35180A KR20120135180A (ko) 2012-12-12
KR101350173B1 true KR101350173B1 (ko) 2014-01-10

Family

ID=479031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34876A KR101350173B1 (ko) 2012-11-26 2012-11-26 연료 공급선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5017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591396A (zh) * 2019-06-25 2020-08-28 南京蒽天捷能源科技有限公司 可移动串联式浮动液货过驳海工平台及过驳方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RU2532218C1 (ru) * 2013-06-18 2014-10-27 Федеральное государственное унитарное предприятие "Крыловский государственный научный центр" (ФГУП "Крыловский государственный научный центр") Барже-буксирный состав - бункеровщик
DK178251B1 (en) * 2013-07-05 2015-10-12 Mærsk Olie Og Gas As A cargo vessel and a method of refuelling said vessel
RU2699004C1 (ru) * 2018-10-24 2019-09-02 Федеральное государственное унитарное предприятие "Крыловский государственный научный центр" Судно-бункеровщик спг модульного типа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50981A (ja) * 1991-08-23 1993-03-02 Kayaba Matsukuguregoo Nabiiles Kk 船舶の重量貨物搬出入装置
JPH06316338A (ja) * 1993-05-07 1994-11-15 Akira Seo コンテナ荷役設備
JPH07291180A (ja) * 1994-04-28 1995-11-07 Kawasaki Steel Corp 船用ショアランプ装置
JPH1045258A (ja) * 1996-08-06 1998-02-17 Emoto Kaisouten:Kk パレット輸送船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50981A (ja) * 1991-08-23 1993-03-02 Kayaba Matsukuguregoo Nabiiles Kk 船舶の重量貨物搬出入装置
JPH06316338A (ja) * 1993-05-07 1994-11-15 Akira Seo コンテナ荷役設備
JPH07291180A (ja) * 1994-04-28 1995-11-07 Kawasaki Steel Corp 船用ショアランプ装置
JPH1045258A (ja) * 1996-08-06 1998-02-17 Emoto Kaisouten:Kk パレット輸送船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591396A (zh) * 2019-06-25 2020-08-28 南京蒽天捷能源科技有限公司 可移动串联式浮动液货过驳海工平台及过驳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35180A (ko) 2012-12-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50173B1 (ko) 연료 공급선
KR101246903B1 (ko) 가스 연료 선박
CN102530424A (zh) 包装容器及包装体
KR101507415B1 (ko) 가스연료 추진 선박
KR102095252B1 (ko) 계류장치
KR20170032685A (ko) 컨테이너 선용 태양광 패널 모듈 및 이를 구비한 컨테이너 선
CN203623946U (zh) 浮箱式船舶下水系统
JP5879082B2 (ja) タンク支持構造及び浮体構造物
CN104192268A (zh) 一种带有集装箱定位导轨机构的多用途船
CN104149943A (zh) 一种带有集装箱定位导轨装置的多用途船
KR101560281B1 (ko) 부유식 lng 저장 터미널
CN204078009U (zh) 一种船用集装箱固定导轨
CN103587663A (zh) 浮箱式船舶下水系统
CN203111446U (zh) 浮式生产储油轮供给船护舷平台
CN204078013U (zh) 一种二甲板固定机构
KR20170097916A (ko) 선박
KR101873442B1 (ko) 컨테이너선 개조방법
CN112706903A (zh) 船台及船舶转移方法
KR101599307B1 (ko) 이동 가능한 연료탱크를 가지는 부유식 구조물
CN104309768A (zh) 一种带有活动甲板定位导轨装置的多用途船
CN104192269A (zh) 一种船用集装箱定位导轨机构
KR20150005124A (ko) 해양구조물의 선체 보호용 완충장치
CN204110323U (zh) 一种活动甲板固定装置
KR101376801B1 (ko) 철강제품 운반선용 반목장치
CN217918016U (zh) 一种用于氮气灌装转运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0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0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2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