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48104B1 - 다층 건물용 소음 저감 장치 - Google Patents

다층 건물용 소음 저감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48104B1
KR101348104B1 KR1020120096251A KR20120096251A KR101348104B1 KR 101348104 B1 KR101348104 B1 KR 101348104B1 KR 1020120096251 A KR1020120096251 A KR 1020120096251A KR 20120096251 A KR20120096251 A KR 20120096251A KR 101348104 B1 KR101348104 B1 KR 10134810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ner cylinder
cylinder
noise reduction
space
reduction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962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재구
김정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힘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힘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힘펠
Priority to KR10201200962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4810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481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4810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4Means for preventing or suppressing nois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2Ducting arrang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7/00Ventilation
    • F24F7/04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 F24F7/06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with forced air circulation, e.g. by fan positioning of a ventilator in or against a condui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4Means for preventing or suppressing noise
    • F24F2013/247Active noise-suppress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uct Arrang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소음 저감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으면서도 제조 비용은 저렴하고 시공성은 우수하며, 정압손실은 최소화할 수 있는 다층 건물용 소음 저감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다층 건물용 소음 저감 장치는, 내부 공간이 마련되고, 상기 내부 공간을 배기덕트와 연통시키는 개구가 형성된 외통과; 상기 외통 내부에 장착되고, 내부에 유로가 마련되어 있으며, 상기 외통의 개구와 대향하게 공기 유출입구가 형성된 내통과; 상기 내통의 일측 외주면이 상기 외통의 일측 내주면과 소정 거리 이격되게 설치되어 상기 내통의 일측 외주면과 상기 외통의 일측 내주면 사이에 마련되는 공실; 및 상기 내통의 유로 단면적 보다 작은 단면적을 갖도록 형성되고, 내부 공간이 마련되고, 내외측을 관통하는 다수의 캡슐홀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내통 내부의 유로의 도중에 배치된 캡슐러백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다층 건물용 소음 저감 장치{SILENCER FOR MULTI-LEVEL BUILDING}
본 발명은 소음 저감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다층 건물의 배기덕트에 설치됨으로써, 특정 가구에서 발생된 소음이 환기용 배관을 통하여 다른 가구로 전달되는 것을 감소시킬 수 있는 다층 건물용 소음 저감 장치에 관한 것이다.
아파트와 같은 다층구조의 건물에는 일반적으로 건물의 아래부터 위까지 수직으로 환기용 배관이 설치되어 있고 그 환기용 배관은 그 수직라인에 배치된 각 세대와 연결되어 각 세대의 공기를 배출시키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구조는 특정 가구에서 발생하는 소음을 환기용 배관을 통하여 다른 가구에 전달되게 함으로써 층간소음을 일으키는 원인이 되고 있다.
아파트에서는 각 가구의 화장실에서 발생하는 물소리, 사람의 대화소리, 기타 소음이 공동으로 사용되는 환기용 배관을 따라 다른 가구로 전달되기 때문에 특히 바로 위 층이나 바로 아래 층에 거주하는 가구와의 사이에 종종 문제가 되고 있다.
각종 대형빌딩에서는 덕트 소음기를 사용하는데 이 덕트 소음기는 공기가 이동하는 덕트에 흡음재를 부착하여 소음의 전달을 막고 있으나 덕트 소음기는 덕트의 부피가 커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자동차에 사용되는 배기가스용 소음기도 있으나 복잡한 구조로 되어있고 강력한 압력의 배출가스에서 나오는 소음을 차단하기 위해서 고가의 금속으로 제작을 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아파트의 욕실용 소음기의 종래 기술로서, 흡음제가 장착된 원통 속에 삽입관을 설치하여 소음이 삽입관을 통과하면서 소음을 감소시키는 기술("특허문헌 1")이 있으나 플라스틱으로 성형된 몸체 외에 흡음제를 별도로 추가 장착하여야 하기 때문에 제작과정이 복잡해지고 소음기의 유동단면적이 작아 공기압력이 손실되는 문제점이 있고, 서로 다른 주파수 대역의 소음을 차단하는 소음기를 서로 다른 층에 번갈아 설치하는 방법으로 소음을 감소시키는 기술("특허문헌 2")도 있으나 두 종류의 소음기를 제작하여 서로 다른 층에 설치를 하여야 하므로 설치 과정이 복잡하고 제작비용도 많이 드는 문제점이 있다.
다층건물의 욕실에 소음기를 설치하기 위해서는 좁은 공간에 설치할 수 있도록 부피가 작으면서도 제작비용도 적게 들면서 설치도 용이하고 공기압력의 감소가 적은 장치가 필요하다.
특허문헌 1: 한국등록특허 제10-0654288호 (등록일: 2006년11월29일) 특허문헌 2: 한국등록특허 제10-0879198호 (등록일: 2009년01월09일)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다층 건물의 각 가구의 욕실에 설치하여 특정 가구의 소음이 다른 층에 위치한 가구에 전달되지 않도록 소음을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으면서도 더 나아가 설치가 용이하고, 제조 비용은 적게 들며, 공기압력의 손실은 최소화할 수 있는 다층 건물용 소음 저감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다층 건물용 소음 저감 장치는, 다층 건물의 배기덕트에 설치되어 소음을 저감하는 장치로서, 내부 공간이 마련되고, 상기 내부 공간을 상기 배기덕트와 연통시키는 개구가 형성된 외통과; 상기 외통 내부에 장착되고, 내부에 유로가 마련되어 있으며, 상기 외통의 개구와 대향하게 공기 유출입구가 형성된 내통과; 상기 내통의 일측 외주면이 상기 외통의 일측 내주면과 소정 거리 이격되게 설치되어 상기 내통의 일측 외주면과 상기 외통의 일측 내주면 사이에 마련되는 공실; 및 상기 내통의 유로 단면적 보다 작은 단면적을 갖도록 형성되고, 내부 공간이 마련되고, 내외측을 관통하는 다수의 캡슐홀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내통 내부의 유로의 도중에 배치된 캡슐러백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다층 건물용 소음 저감 장치에 의하면, 다수 회에 걸쳐 복합적으로 소음을 상쇄하는 작용을 수행함으로써 소음 감소 효과를 구현할 수 있고, 구체적으로는 적어도 6dB이상의 소음 감소 효과를 나타내는 탁월한 효과가 있다.
또한, 유로의 감소가 없어 뛰어난 소음 저감 효과를 구현할 수 있으면서도 정압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는 현저한 효과가 있다.
또한, 종래와 같은 흡음재가 불필요하고, 단지 플라스틱 소재만으로 제작이 가능하므로 양산성이 뛰어나고 비용이 절감되어 가격 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제품 사이즈가 컴팩트하여 설치가 용이한 바 우수한 시공성을 확보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다층 건물용 소음 저감 장치의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다층 건물용 소음 저감 장치의 결합 사시도.
도 3은 도 2의 길이 방향 단면도.
도 4 (a) 및 (b)는 본 발명에 따른 외통의 장축 방향 단면도 및 정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내통의 단축 방향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다층 건물용 소음 저감 장치의 내부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다층 건물용 소음 저감 장치의 시험성적서 및 시험결과.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다층 건물용 소음 저감 장치의 정압성능 그래프.
본 발명은 환풍기 배기덕트에 연결되어 층간 소음을 저감하는 장치를 구성함에 있어서, 유로의 도중에 배치되는 소정의 구조물과 다양한 유로 구조의 조합을 통해 다수 회에 걸쳐 복합적으로 소음을 상쇄하는 작용을 수행함으로써 정압손실이 거의 없이 소음 저감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는 기술 특징을 개시한다.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 장점 및 특징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다층 건물용 소음 저감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다층 건물용 소음 저감 장치의 결합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길이 방향 단면도이고, 도 4 (a) 및 (b)는 본 발명에 따른 외통의 정면도 및 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내통의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다층 건물용 소음 저감 장치는 외통(10), 내통(20), 공실(17) 및 캡슐러백(40)을 포함하도록 구성되어, 다수 회에 걸친 소음 저감 작용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1 소음 저감 작용은 공실(17)에 의해 실현되고, 제2 소음 저감 작용은 내통(20)에 의해 실현되고, 제3 소음 저감 작용은 캡슐러백(40)에 의해 실현된다. 이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후술하기로 한다.
한편, 외통(10), 내통(20) 및 캡슐러백(40) 각각은 좌·우 대칭 구조로 분리 조립 가능하게 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외통(10)은 다층 건물의 배기덕트에 실질적으로 연결되는 구성부로서, 내부에 공간이 마련되어 있고, 상기 내부 공간을 배기덕트와 연통시키는 개구(11)가 형성되어 있다.
외통(10)의 개구(11)는 한 쌍으로 형성되는데 하나의 개구는 외통(10)의 전단부에 구비되어 실내로 연결되는 배기덕트와 결합되고, 다른 하나의 개구는 외통(10)의 후단부에 구비되어 외부로 연결된 배기덕트와 결합된다.
외통(10)의 내부 공간은 적어도 개구(11) 및 배기덕트의 유로 단면적 보다 더 큰 단면적을 갖도록 구성되는데, 이는 내통(20)과 외통(10) 사이에 공실(17)을 마련하여 상기 공실(17)에 의해 음파의 통로를 확대한 뒤에 축소시킴으로써 소음 저감 효과를 구현하기 위함이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외통(10)은 한 쌍의 개구(11)가 형성된 원통형으로 구성되고, 상기 원통형은 상호 대칭 구조로 분리 결합 가능한 제1 외통(10a)과 제2 외통(10b)으로 구성된다.
그리고, 개구(11)는 제1 외통(10a)의 일면 측에 관체 형상으로 돌출 형성된 공기 유입구와 제2 외통(10b)의 일면 측에 관체 형상으로 돌출 형성된 공기 토출구로 구성된다.
또한, 외통(10)의 내주면에는 외통(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막대 형상으로 돌출되어 연장되게 형성된 다수의 가이드 레일(13)이 더 형성될 수 있다. 외통(10)의 가이드 레일(13)은 내통(20)을 외통(10) 내부에 삽입시 내통(20)에 형성된 가이드홈(22)과의 결합을 통해 내통(20)의 장착을 안내하는 기능을 한다.
또한, 외통(10)의 외주면에는 외통(10)을 다른 구조물에 지지시키기 위한 홀더(15)를 더 형성할 수 있다. 상기 경우 다른 구조물과 연결된 지지체(예컨데, 와이어 내지 브라켓 등)는 홀더(15)와 결합되어 외통(10)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내통(20)은 그 전체가 외통(10) 내부에 수용된 구조로 장착되는 구성부로서 내부에 유로가 마련되어 있고, 외통(10)의 개구(11)와 대향하는 면측에는 공기 유출입구(27)가 형성되어 있으며, 내통 내부의 유로와 내통 외부를 연통하는 다수의 내통홀(25)이 관통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의 공실(17)은 내통의 일측 외주면이 외통(10)의 일측 내주면과 소정 거리 이격되게 설치되어 내통(20)의 일측 외주면과 외통(10)의 일측 내주면 사이에 형성되게 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내통(20)은 몸체(21), 구배면(23), 공기 유출입구(27) 및 내통홀(25)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몸체(21)는 내부에 공간이 마련된 원통형으로 구성되어, 몸체(21)의 내부 공간에는 캡슐러백(40)이 구비되고, 몸체(21)의 외주면에는 내통(20) 외주면에 그 길이 방향을 따라 직선의 요홈 형태로 형성된 복수의 가이드홈(22)이 마련되어 있다.
따라서, 내통(20)을 외통(10) 내부에 삽입시, 몸체(21)에 형성된 가이드홈(22)이 외통(10) 내주면에 형성된 가이드 레일(13)을 따라 결함됨으로써 내통(20)을 외통(10) 내부의 정위치에 손쉽게 장착시킬 수 있게 된다.
구배면(23)은 몸체(21)의 주연부로부터 내향 경사지게 연장 형성된 구성부로서, 바람작하게는 도 1과 같이 일측 종단부가 절단된 원뿔형으로 구성하는 것이 좋다. 이처럼 구배면(23)을 절단된 원뿔형으로 구성할 경우 그 일측 종단부에는 공기 유출입구(27)가 형성된다.
따라서, 구배면(23)에 대응하는 내부 공간의 단면적은 몸체(21)에서 공기 유출입구(27) 측으로 향할수록 감소되고, 그 최대 단면적은 몸체(21) 단면적과 같거나 더 작게 구성된다.
구배면(23)은 몸체(21)를 기준으로 좌측과 우측에 대칭 구조로 이루어진 한 쌍의 구배면(23)으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내통(20)은 상호 대칭 구조로 분리 결합 가능한 제1 내통(20a)과 제2 내통(20b)으로 구성할 수 있는데, 상기 경우 구배면(23)은 제1 내통(20a)의 몸체(21)와 제2 내통(20b)의 몸체(21) 각각에 형성되고, 공기 유출입구(27)는 제1 내통(20a)의 구배면(23)의 일측 종단부에 하나가 형성되고, 제2 내통(20b)의 구배면(23)의 일측 종단부에 또 다른 하나의 공기 유출입구가 형성된다. 여기서, 공기 유출입구(27)는 외통(10)의 개구(11)와 같이 관체 형상으로 돌출 형성된 구조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내통홀(25)은 구배면(23)에 다수 개로 형성되는데, 구체적으로 구배면(23)의 외면 상에 구배면(23)의 경사 방향을 따라 형성된 장홀로 구성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도 1과 같이 내통홀(25)은 장홀을 갖는 직육면체 형상이 구배면(23) 상에 돌출된 구조로 구성할 경우 소음 저감에 더욱 효과적이다.
몸체(21)는 다수의 격벽홀(31)이 관통 형성된 격벽(3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격벽(30)은 몸체(21) 내부를 제1 공간(37)과 제2 공간(35)으로 구분되게 분할함으로써 공실(17)에 의한 소음 저감 작용 외에 또 다른 소음 저감 작용을 추가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격벽(30)에 의해 분할된 제1 공간(37)은 공기 유출입구(27)와 직접 연통되어 내부에 상기 캡슐러백(40)이 배치되게 구성되고, 제2 공간(35)은 격벽(30)과 상기 몸체(21)의 외주면 사이에 형성되어 단지 격벽홀(31)에 의해서 제1 공간(37)과 연통되게 구성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격벽(30)은 몸체(21)의 외경보다 작은 외경과 캡슐러백(40)의 외경보다 큰 내경으로 이루어진 원통형으로 구성되어, 몸체(21)와 동심원 상에 배치된다.
상기와 같은 격벽(30)의 구성에 의해, 몸체(21) 내부에 마련된 제2 공간(35)은 내통(20) 내부의 유로에 대해 차폐된 밀실을 형성하게 되어 추가적인 소음 저감 작용을 수행하게 된다. 다만 상기 밀실(즉, 제2 공간(35))은 기본적으로 유로에 대해 밀폐된 구조를 갖되 격벽(30)에 형성된 격벽홀(31)을 통해서는 상기 내부 유로(즉, 제1 공간(37))과 연통되게 된다.
한편, 격벽홀(31)은 격벽(30)의 일면 상에 격벽(30)의 높이 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된 장홀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장홀을 갖는 직육면체 형상이 격벽(30)의 일면 상에 돌출된 구조로 구성할 경우 소음 저감에 더욱 효과적이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할 때, 내통(20)을 외통(10) 내부에 삽입 완료시 내통(20)의 몸체(21) 외주면은 외통(10)의 내주면에 밀착된 상태로 고정되게 되나, 내통(20)의 구배면(23)은 외통(10)의 일측 내주면(즉, 구배면과 마주하는 내주면)으로부터 소정 거리 이격되게 배치되어 구배면(23)과 외통(10)의 일측 내주면 사이에 공실(空室;17)이 형성되게 된다.
전술한 외통(10) 및 내통(20) 구성에 의해, 공실(17)은 소음이 유입되는 개구(11)의 단면적 보다 더 큰 단면적을 갖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개구(11)로부터 시작되는 음파 통로는 공실(17)에 의해 확대된 뒤에 내통(20)의 공기 유출입구(27)를 통해 다시 축소됨으로써 소음 저감 작용이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캡슐러백(40)은 내통(20) 내부에 수용된 구조로 구비되어 또 다른 하나의 소음 저감 작용을 수행하는 구성부에 해당한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캡슐러백(40)은 내통(20)의 유로 단면적 보다 작은 단면적을 갖도록 형성되고, 내부에 공간이 마련되어 있고, 내외측을 관통하는 다수의 캡슐홀(41)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캡슐러백(40)은 그 외주면이 내통(20)의 내주면에 대해 이격된 구조로 내통 유로의 도중에 배치되게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캡슐러백(40)은 일 방향으로 장축을 갖도록 형성된 캡슐 형상으로 구성하였다. 그리고, 캡슐러백(40)은 내통(20)의 중심부에 수용된 설치 구조를 갖되 캡슐러백(40)의 장축이 내통(20)의 길이 방향을 따라 배치되게 구성하였다.
여기서, 내통(20)의 길이 방향이란, 내통(20)의 일측에 형성된 공기 유출입구(27)로부터 내통(20)의 타측에 형성된 공기 유출입구(27)로 향하는 방향을 지칭하며 이는 유로 방향과도 일치한다.
캡슐러백(40)에는 캡슐러백(40)의 내부 공간과 외부를 관통하는 캡슐홀(41)이 형성되어 있는데, 캡슐홀(41)은 캡슐러백(40)의 장축을 따라 연속되게 관통 형성된 장홀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캡슐홀(41)은 장홀을 갖는 직육면체 형상이 캡슐러백(40)의 내측면 상에 돌출된 구조로 구성할 경우 소음 저감에 더욱 효과적이다.
캡슐러백(40)은 지지편(33)과 결합되어 내통(20) 내부에 고정될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지지편(33)은 일측은 캡슐러백(40)의 외주면에 고정되고 타측은 내통(20)에 고정된 막대 형상 또는 판 형상으로 구성된다.
여기서, 지지편(33)의 타측이 결합되는 내통(20)이란 구체적으로 내통(20)의 몸체(21), 내통(20)의 격벽(30) 또는 내통(20)의 구배면(23) 중에서 선택된 적어도 어느 하나일 수 있다.
도 1의 실시예에 따른 지지편(33)은 4 개의 판형상 부재로 구성하였고, 4 개의 지지편(33)은 캡슐러백(40)을 중심으로 십자형의 4 방향으로 뻗어나가 그 단부가 격벽(30)과 구배면(23)에 접합된 구조로 캡슐러백(40)을 지지하도록 구성하였다.
한편, 제1 내통(20a)과 제2 내통(20b)으로 구성된 내통에 대응하여, 캡슐러백(40) 역시 상호 대칭 구조로 분리 결합 가능한 제1 캡슐러백과 제2 캡슐러백으로 구성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경우 제1 캡슐러백은 제1 내통(20a) 내부에 배치되고, 제2 캡슐러백은 제2 내통(20b)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할 경우, 내통(20) 내부로 유입된 소음은 유로의 도중에 배치된 캡슐러백(40)을 전체적으로 감싸는 형태로 유동하게 되고, 상기 과정에서 일부 소음은 캡슐홀(41)을 통해 캡슐러백(40) 내부로 유입되게 된다. 이렇게 캡슐러백(40) 내부로 유입된 음파는 캡슐러백(40)의 밀폐된 내부 공간에 포획되어 음에너지를 상쇄 및 소모함으로써 결국 또 다른 하나의 소음 저감 작용을 수행하게 된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다층 건물용 소음 저감 장치의 내부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다층 건물용 소음 저감 장치의 소음 저감 작용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전술한 구성에 의해, 본 발명의 다층 건물용 소음 저감 장치는 소음을 상쇄하는 작용이 다수 회에 걸쳐 복합적으로 수행됨으로써 정압손실이 거의 없이 소음 저감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게 된다.
구체적으로, 제1 소음 저감 작용은 공실(17)에 의해 실현되고, 제2 소음 저감 작용은 내통(20)에 의해 실현되고, 제3 소음 저감 작용은 캡슐러백(40)에 의해 실현된다.
먼저, 공실(17)에 의한 소음 저감 작용의 경우, 소음이 유입되는 개구(11)의 단면적 보다 더 큰 단면적을 갖도록 구성된 공실에 기인한다. 즉, 개구(11)로부터 시작되는 음파 통로는 공실(17)에 의해 확대된 뒤에 내통(20)의 공기 유출입구(27)를 통해 다시 축소됨으로써 소음 저감 효과가 구현된다.
다음으로, 내통(20)에 의한 소음 저감 작용의 경우, 구배면(23)과 몸체(21)의 유로 단면적 변화에 의한 팽창 축소에 의해 소음 저감 효과가 구현된다. 그리고, 구배면(23)에 형성된 내통홀(25)을 통해 일부 소음이 공실 내부로 재유입됨으로써 소음 저감 효과가 구현된다. 이는 내통홀(25)을 통해 유입된 음파의 경우 유로 길이가 바뀌어 음파의 위상을 어긋나게 하거나 합류 또는 간섭시킴으로써 소음이 저감되는 것이다.
마지막으로, 캡슐러백(40)에 의한 소음 저감 작용의 경우, 내통(20) 내부로 유입된 소음은 유로의 도중에 배치된 캡슐러백(40)을 전체적으로 감싸는 형태로 유동하게 되고, 상기 과정에서 일부 소음은 캡슐홀(41)을 통해 캡슐러백(40) 내부로 유입되게 된다. 이렇게 캡슐러백(40) 내부로 유입된 음파는 캡슐러백(40)의 밀폐된 내부 공간에 포획되어 음에너지를 상쇄 및 소모함으로써 또 다른 소음 저감 효과가 구현된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다층 건물용 소음 저감 장치의 시험성적서 및 시험결과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다층 건물용 소음 저감 장치의 정압성능 그래프이다.
도 7 및 도 8에서 알 수 있듯이, 본 발명에 따른 다층 건물용 소음 저감 장치에 의하면, 전술한 바와 같이 다수 회에 걸쳐 복합적으로 소음을 상쇄하는 작용을 수행함으로써 적어도 6dB이상의 소음 감소 효과를 구현함을 실험적으로 확인할 수 있었고, 더 나아가 유로의 감소가 없어 뛰어난 소음 저감 효과를 구현할 수 있으면서도 정압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게 되었다.
상기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특정 용어들을 사용하여 설명 및 도시되었지만 그러한 용어는 오로지 본 발명을 명확히 설명하기 위한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의 실시예 및 기술된 용어는 다음의 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 및 범위로부터 이탈되지 않고서 여러가지 변경 및 변화가 가해질 수 있는 것은 자명한 일이다. 이와 같이 변형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되며, 본 발명의 청구범위 안에 속한다고 해야 할 것이다.
예컨데,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10: 외통 11: 개구
13: 가이드 레일 15: 홀더
17: 공실 20: 내통
21: 몸체 23: 구배면
25: 내통홀 27: 공기 유출입구
30: 격벽 31: 격벽홀
33: 지지편 35: 제2 공간
37: 제1 공간 40: 캡슐러백
41: 캡슐홀

Claims (11)

  1. 다층 건물의 배기덕트에 설치되어 소음을 저감하는 장치로서,
    내부 공간이 마련되고, 상기 내부 공간을 상기 배기덕트와 연통시키는 개구가 형성된 외통;
    상기 외통 내부에 장착되고, 내부에 유로가 마련되어 있으며, 상기 외통의 개구와 대향하게 공기 유출입구가 형성된 내통;
    상기 내통의 일측 외주면이 상기 외통의 일측 내주면과 소정 거리 이격되게 설치되어 상기 내통의 일측 외주면과 상기 외통의 일측 내주면 사이에 마련되는 공실; 및
    상기 내통의 유로 단면적 보다 작은 단면적을 갖도록 형성되고, 내부 공간이 마련되고, 내외측을 관통하는 다수의 캡슐홀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내통 내부의 유로의 도중에 배치된 캡슐러백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층 건물용 소음 저감 장치.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캡슐러백은 일 방향으로 장축을 갖도록 형성된 캡슐 형상의 부재이고, 상기 내통의 중심부에 수용되되 상기 장축이 상기 내통의 길이 방향을 따라 배치되게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층 건물용 소음 저감 장치.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캡슐홀은 상기 캡슐러백의 장축을 따라 연속되게 관통 형성된 장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층 건물용 소음 저감 장치.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내통은 내외측을 관통하는 다수의 내통홀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층 건물용 소음 저감 장치.
  5.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내통은,
    원통형의 몸체;
    상기 몸체의 주연부로부터 내향 경사지게 연장 형성된 구배면;
    상기 구배면의 종단에 형성된 상기 공기 유출입구; 및
    상기 구배면에 형성된 상기 내통홀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층 건물용 소음 저감 장치.
  6.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는 상기 몸체 내부를 제1 공간과 제2 공간으로 구분되게 분할하고 다수의 격벽홀이 관통 형성된 격벽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공간은 상기 공기 유출입구와 직접 연통되어 내부에 상기 캡슐러백이 배치되게 구성되고,
    상기 제2 공간은 상기 격벽과 상기 몸체의 외주면 사이에 형성되어 단지 상기 격벽홀에 의해서 상기 제1 공간과 연통되게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층 건물용 소음 저감 장치.
  7.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격벽은 상기 몸체의 외경보다 작은 외경과 상기 캡슐러백의 외경보다 큰 내경으로 이루어진 원통형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층 건물용 소음 저감 장치.
  8.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내통홀은 상기 구배면의 외면 상에 돌출된 구조로 상기 구배면의 경사 방향을 따라 형성된 장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층 건물용 소음 저감 장치.
  9.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내통 외주면에 그 길이 방향을 따라 직선의 요홈 형태로 형성된 복수의 가이드홈; 및
    상기 외통 내주면에 그 길이 방향을 따라 돌출 형성되어 상기 가이드홈과의 결합을 통해 상기 내통의 장착을 안내하는 복수의 가이드 레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층 건물용 소음 저감 장치.
  10.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외통의 내부 공간은 상기 개구 및 상기 배기덕트의 단면적 보다 더 큰 단면적을 갖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층 건물용 소음 저감 장치.
  11.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외통, 내통 및 캡슐러백 각각은 좌·우 대칭 구조로 분리 조립 가능하게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층 건물용 소음 저감 장치.
KR1020120096251A 2012-08-31 2012-08-31 다층 건물용 소음 저감 장치 KR10134810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96251A KR101348104B1 (ko) 2012-08-31 2012-08-31 다층 건물용 소음 저감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96251A KR101348104B1 (ko) 2012-08-31 2012-08-31 다층 건물용 소음 저감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48104B1 true KR101348104B1 (ko) 2014-01-09

Family

ID=501446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96251A KR101348104B1 (ko) 2012-08-31 2012-08-31 다층 건물용 소음 저감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48104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73393A (ko) * 2018-12-14 2020-06-24 (주)정원엔지니어링 복층 건물 환풍기의 소음 저감장치
KR20210111562A (ko) 2020-03-03 2021-09-13 주식회사 힘펠 소음저감용 유동가이드 및 소음저감기
KR20210146036A (ko) 2020-05-26 2021-12-03 주식회사 힘펠 소음저감기 조립 구조
KR20210146037A (ko) 2020-05-26 2021-12-03 주식회사 힘펠 소음저감기의 유동가이드 조립 구조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43169A (ja) * 1996-11-14 1998-05-29 Shinko Electric Co Ltd 消音装置
JP2001214726A (ja) * 2000-02-02 2001-08-10 Sakamoto Industry Co Ltd 内燃機関用消音器
KR200244970Y1 (ko) * 2001-05-15 2001-10-15 주식회사 유일산업 소음기
KR20060040262A (ko) * 2004-11-05 2006-05-10 기아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 흡기계의 흡음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43169A (ja) * 1996-11-14 1998-05-29 Shinko Electric Co Ltd 消音装置
JP2001214726A (ja) * 2000-02-02 2001-08-10 Sakamoto Industry Co Ltd 内燃機関用消音器
KR200244970Y1 (ko) * 2001-05-15 2001-10-15 주식회사 유일산업 소음기
KR20060040262A (ko) * 2004-11-05 2006-05-10 기아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 흡기계의 흡음장치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73393A (ko) * 2018-12-14 2020-06-24 (주)정원엔지니어링 복층 건물 환풍기의 소음 저감장치
KR102206210B1 (ko) * 2018-12-14 2021-01-22 (주)정원엔지니어링 복층 건물 환풍기의 소음 저감장치
KR20210111562A (ko) 2020-03-03 2021-09-13 주식회사 힘펠 소음저감용 유동가이드 및 소음저감기
KR20210146036A (ko) 2020-05-26 2021-12-03 주식회사 힘펠 소음저감기 조립 구조
KR20210146037A (ko) 2020-05-26 2021-12-03 주식회사 힘펠 소음저감기의 유동가이드 조립 구조
KR102432374B1 (ko) * 2020-05-26 2022-08-12 주식회사 힘펠 소음저감기의 유동가이드 조립 구조
KR102432373B1 (ko) * 2020-05-26 2022-08-12 주식회사 힘펠 소음저감기 조립 구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48104B1 (ko) 다층 건물용 소음 저감 장치
US9378721B2 (en) Low frequency acoustic attenuator and process for making same
JP2005066309A (ja) 電気掃除機消音装置
CN104700827B (zh) 宽频穿孔板吸声结构
CN106403129A (zh) 流动通道和通风、加热或者空调设备
JP5515300B2 (ja) 吸音体
JP3664675B2 (ja) 消音換気装置
KR101016601B1 (ko) 음파의 공명과 팽창 현상을 이용한 환기용 소음기
FI112909B (fi) Refleksikaiutinrakenne ja menetelmä sen muodostamiseksi
KR20140003256A (ko) 고주파 소음에 대비한 자동차의 흡기계
JP2016525649A (ja) 圧縮機用音響減衰器装置
KR101033614B1 (ko) 정압기 소음저감장치
KR101481028B1 (ko) 건물 공조용 소음기
CN105423660B (zh) 一种压缩机储液器
KR101268046B1 (ko) 튜블리스 머플러
WO2018074200A1 (ja) 吸音パネル
JP2007198679A (ja) ダクト部品及びダクト構造
CN106285834A (zh) 消声器
JP7072642B2 (ja) 電気機器の筐体、冷凍サイクル装置及び電気機器
JP4929117B2 (ja) 遮音扉
CN220326836U (zh) 发热组件
SE0401313L (sv) Perforerad ljuddämpande struktur
RU2654773C1 (ru) Глушитель шума с звукопоглотителем в выходном сечении
CN106288300B (zh) 一种消音装置
JP2003177759A (ja) 通気型遮音壁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0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0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2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11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