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81028B1 - 건물 공조용 소음기 - Google Patents

건물 공조용 소음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81028B1
KR101481028B1 KR20130063815A KR20130063815A KR101481028B1 KR 101481028 B1 KR101481028 B1 KR 101481028B1 KR 20130063815 A KR20130063815 A KR 20130063815A KR 20130063815 A KR20130063815 A KR 20130063815A KR 101481028 B1 KR101481028 B1 KR 10148102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oise reduction
silencer body
silencer
locking
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0638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142451A (ko
Inventor
조철휘
Original Assignee
조철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철휘 filed Critical 조철휘
Priority to KR201300638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81028B1/ko
Publication of KR201401424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4245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810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8102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4Means for preventing or suppressing nois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49/00Connecting arrangements, e.g. joints, specially adapted for pipes of brittle material, e.g. glass, earthenware
    • F16L49/02Joints with a sleeve or socket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KSOUND-PRODUCING DEVICES; 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ACOUSTIC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10K11/00Methods or devices for transmitting, conducting or directing sound in general; 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 G10K11/16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 G10K11/161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in systems with fluid flow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Fluid Mechan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Multimedia (AREA)
  • Duct Arrang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건물 공조용 소음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구성은 내부에 유통로가 구비된 관 형상의 소음기 바디(10)와; 상기 소음기 바디(10)의 양단부에 구비되어 공조 배관에 연결되는 커넥션캡(20)과; 내부에 양면으로 관통된 복수개의 유통홀(32)을 구비하여 상기 소음기 바디(10)의 내부에 구비된 소음 저감판(30)을 포함하고, 상기 소음 저감판(30)은 상기 소음기 바디(10)의 내부에 서로 마주하도록 복수개로 내장되어, 상기 복수개의 소음 저감판(30)들의 상기 유통홀(32)을 에어가 지나면서 소음이 저감되며, 상기 소음 저감판(30)은 양면으로 연통된 복수개의 유통홀(32)을 구비하고, 상기 복수개의 유통홀(32)들의 합산 면적은 상기 소음기 바디(10)의 에어 플로우 챔버 내부의 단면적보다 더 크게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건물 공조용 소음기{Building ventilation silencer}
본 발명은 건물 공조용 소음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건물 공조 시스템에서 방음효과를 최대한 보장하면서도 구조는 심플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바람직한 건물 공조용 소음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동 주택이나 산업 현장의 건물과 같이 다양한 건물에 공조 환기팬가 설치되는데, 이러한 환기팬는 내부에 환기팬이 구비되어 건물의 천정 등에 설치되며 건물의 각 실내에 공조 배관을 매개로 연통되는 구조를 가지고 있다. 이때, 공동 주택과 같이 여러 세대가 같이 사용하는 건물에는 각 실내에 공조를 위한 다수의 배관(덕트 등)이 공통으로 연결되어 환기팬의 가동에 의해 각 실내로 연통된 배관을 통해 공조가 이루어지도록 하고 있다. 즉, 주거용 공동 주택이나 빌딩과 같은 건물에는 내부 공기의 환기 및 냉방, 난방을 목적으로 외부에 환기구가 설치되며, 상기 환기구는 배관(공조용 덕트 등)을 통하여 여러 실내공간에 설치된 환기팬과 연결된다.
한편, 생활수준의 향상으로 쾌적하고 정숙한 생활환경에 대한 요구가 높아지고 있으며, 특히 아파트, 주상복합 건물, 오피스텔 등의 공동 주거용 건물로 전환되고 있다. 따라서, 주거 환경에 변화에 따라 생활소음공해는 사회적인 큰 이슈로 부각되고 있는데, 상기 공조용 배관은 공기 순환뿐만 아니라 생활소음이 전달되는 통로가 되고 있어서 개인간의 마찰이 빈번하게 발생되고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배관에 연결되는 여러 가지 소음기가 출시되고 있는데, 이러한 소음기 제품에서 중요한 것은 방음효과를 최대한 보장하면서도 구조는 심플하게 이루어지며, 나아가 구조가 복잡하게 이루어는 것을 탈피하여 제품 제작 단가가 상승하는 요인을 차단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건물 공조 시스템에서 방음효과를 최대한 보장하면서도 구조는 심플하게 이루어질 수 있으며, 구조가 심플하게 이루어지는 만큼 제품 제작 단가가 상승하는 요인을 차단하여 생산성, 경제성 등의 여러 가지 측면에서 바람직한 새로운 건물 공조용 소음기를 제공하는 것을 주요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하면, 내부에 유통로가 구비된 관 형상의 소음기 바디와; 상기 소음기 바디의 양단부에 구비되어 공조 배관에 연결되는 커넥션캡과; 내부에 양면으로 관통된 복수개의 유통홀을 구비하여 상기 소음기 바디의 내부에 구비된 소음 저감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 공조용 소음기가 제공된다.
상기 소음 저감판은 상기 소음기 바디의 내부에 서로 마주하도록 복수개로 내장되어, 상기 복수개의 소음 저감판들을 에어가 지나면서 소음이 저감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소음 저감판은 양면으로 연통된 복수개의 유통홀이 구비되고, 상기 복수개의 유통홀들의 합산 단면적은 상기 소음기 바디의 에어 플로우 챔버 내부의 단면적보다 더 크게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소음기 바디는 적어도 내주면이 주름부를 구비한 관 형상으로 구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소음기 바디는 유연성이 있는 재질(실리콘 재질 등)로 구성되며, 상기 소음기 바디의 양단부는 커플링 수단에 의해 상기 두 개의 커넥션캡에 착탈 가능하게 연결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소음 저감판은 상기 소음기 바디의 내부에 서로 마주하도록 복수개로 내장되고, 상기 복수개의 소음 저감판 중에서 서로 이웃한 소음 저감판의 복수개의 유통홀 그룹은 상기 소음기 바디의 에어 유통로의 중심부를 기준으로 어긋난 위치에 배열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복수개의 유통홀들의 합산 단면적은 상기 소음기 바디의 에어 플로우 챔버 내부의 단면적보다 더 크게 구성된다.
상기 소음 저감판은 상기 소음기 바디의 내부에 서로 마주하도록 복수개로 내장되고, 상기 복수개의 소음 저감판들은 연결 로드에 의해 지지되어, 상기 복수개의 소음 저감판과 상기 연결 로드에 의해 소음 저감판 모듈을 형성한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플렉시블한 재질(유연성이 있는 재질)의 바디 포밍 패널 양단부측에 각각 록킹 결합홀과 록킹 돌기를 구비하여 상기 바디 포밍 패널을 접어서 내부에 에어 유통로를 구비한 관 형상의 상기 소음기 바디 형상을 만들고, 상기 록킹 돌기를 상기 록킹 결합홀에 끼워주어 상기 소음기 바디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록킹 돌기는 상기 소음기 바디의 일단부측 한쪽 면에 일체화된 록킹 브릿지편과, 상기 록킹 브릿지편과 교차되는 방향으로 연장된 록킹 걸림 돌편을 포함하며, 상기 소음기 바디의 타단부측 양면으로 연통된 상기 록킹 결합홀에 상기 록킹 돌기를 끼우면, 상기 록킹 걸림 돌편이 상기 록킹 결합홀의 둘레벽에 걸려져서 상기 관 형상의 소음기 바디 형태를 유지한다.
본 발명은 에어가 넓은 통로를 지나다가 급하게 면적이 줄어드는 복수개의 소음 저감판의 복수개의 유통홀을 지나는 과정을 거치면서 공조시 발생하는 소음을 현저히 줄일 수 있으며, 특히 소음기 바디의 내부에 복수개로 소음 저감판을 설치하여 각각의 소음 저감판에 형성된 유통홀을 단계적으로 에어가 지나가도록 하는 과정을 통해서 상기 반사, 간섭, 팽창 등의 복합적인 소음 감소 작용이 연속적으로 일어나도록 하므로, 기존에 비하여 소음 저감 효과를 상당히 높여주는 장점을 가진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소음 저감판의 전체 유통홀의 단면적을 합산한 면적은 소음기 바디의 내부로 에어가 유입되도록 하는 커넥션캡(유입단 커넥션캡)의 내부 단면적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더 크게 형성되어 있으므로, 에어가 소음 저감판의 유통홀을 지나갈 때에 부하 저항이 발생되는 것을 충분히 막을 수 있어서, 에어가 소음 저감판의 유통홀을 통과할 때에 생기는 부하 저항에 의한 소음 발생 요인을 차단하고, 이로 인하여 충분한 소음 저감 효과를 기할 수 있게 된다. 즉, 각각의 소음 저감판에 형성된 유통홀을 통해서는 음파의 반사, 간섭, 팽창 등의 복합 작용이 일어나도록 하는 한편, 소음기 바디의 유입단 커넥션캡의 내부 면적에 비하여 유통홀의 전체 단면적이 보다 더 크게 구성함으로 인하여 에어 통과시의 부하 저항도 줄여주게 되므로, 전체적으로 에어 통과시의 소음 요인을 확실하게 방지하여 소음 저감 효과를 극대화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경우, 소음기 바디의 에어 플로우 챔버로 들어온 에어가 모든 소음 저감판의 유통홀로 바로 빠져 나가는 것이 아니라 각각의 유통홀을 지그 재그 방식으로 통과하게 되므로, 소음 저감 효율을 한층 더 높이게 되는 장점을 가진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건물 공조용 소음기의 분해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주요부의 조립된 상태를 보여주는 외관 사시도
도 3은 도 2의 내부 구조를 보여주는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건물 공조용 소음기의 분해 사시도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주요부의 조립된 상태를 보여주는 외관 사시도
도 6은 도 5의 종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의 분해 사시도
도 8은 도 7의 조립된 상태를 보여주는 외관 사시도
도 9는 도 8의 종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에 의한 건물 공조용 소음기의 주요부인 소음기 바디를 구성하는 소음기 바디 포밍 패널의 사시도
도 11은 도 10에 도시된 소음기 바디 포밍 패널에 의해 관 형상의 소음기 바디를 형성한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12는 도 11에 도시된 소음기 바디와 소음 저감판 모듈을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
도 13은 도 11과 도 12에 도시된 소음기 바디와 소음 저감판 모듈을 포함하는 건물 공조용 소음기 내부 구조를 보여주는 단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상기 본 발명의 목적과 특징 및 장점은 첨부도면 및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참조함으로써 더욱 쉽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 특정한 구조 내지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은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으며 본 명세서 또는 출원에 설명된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는 소음기 바디(10)의 양단부에 커넥션캡(20)이 연결되고, 소음기 바디(10)의 내부에는 복수개의 유통홀(32)을 구비한 소음 방지용 소음 저감판(30)이 적어도 하나 이상 설치되어 있다.
상기 소음기 바디(10)는 내부에 유통로가 구비된 관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유통로는 소음기 바디(10)의 일단부에서 타단부 방향으로 연통되어 에어가 지나갈 수 있도록 하는 통로이다. 본 발명에서는 소음기 바디(10)가 원통형 관형상으로 이루어져 유통로도 원형 통로 형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소음기 바디(10)는 적어도 내주면이 주름부(11)를 구비한 관 형상으로 구성된다. 또한, 소음기 바디(10)는 유연성이 있는 재질, 예를 들어, 실리콘 재질로 구성될 수 있는데, 소음기 바디(10)를 주름이 있는 관 형상으로 구성하여 소음기 바디(10)의 외주면이 주름진 형상일뿐만 아니라 소음기 바디(10)의 내주면에도 주름진 형상으로 구성한다.
상기 커넥션캡(20)은 내부에 에어 플로우 챔버가 구비되며 양단부는 연통된 슬리브 형상으로 구성된 것으로, 상기 소음기 바디(10)의 양단부에 끼워져서 밴드와 같은 고정수단에 의해 소음기 바디(10)의 양단부에 연결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소음 저감판(30)은 양면이 있는 판형상으로 구성된 것으로, 소음 저감판(30)의 내부에는 양면으로 연통된 복수개의 유통홀(32)이 구비되어 있다. 상기 소음기 바디(10)의 내부에 일정 간격으로 복수개의 소음 저감판(30)이 내장되어, 각각의 소음 저감판(30) 사이에 에어가 지나가는 통로가 구획되어 있다. 소음기 바디(10)의 내주면에 환형의 판수용홈이 구비되어, 소음 저감판(30)의 둘레부가 소음기 바디(10) 내주면의 판수용홈에 끼워져 배치된 구조를 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각각의 소음 저감판(30)에 연결 로드(42)가 연결되어, 복수개의 소음 저감판(30)이 연결 로드(42)를 매개로 연결된 소음 저감판 모듈을 구성하고, 이러한 소음 저감판 모듈이 소음기 바디(10)에 내장된 구조를 가지도록 한다. 한편, 각각의 소음 저감판(30)에 복수개의 유통홀(32)이 구비되는데, 소음 저감판(30)의 전체 유통홀(32)의 면적을 합산한 면적은 소음기 바디(10)의 내부로 에어가 유입되도록 하는 커넥션캡(20)(유입측 커넥션캡)의 내부 에어 플로우 챔버의 단면적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더 크게 형성된다. 소음 저감판(30)의 전체 유통홀(32)의 단면적을 합산한 면적이 유입단 커넥션캡(20)의 내부 단면적보다 대략 2배 내지 2.5배 정도 크게 구성될 수 있다.
상기한 구성의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유입단 커넥션캡(20)의 내부로 유입되는 에어가 소음기 바디(10) 내부의 에어 통로를 지나서 첫 번째 소음 저감판(30)의 표면에 일부가 반사되고 다른 에어는 소음 저감판(30)의 유통홀(32)을 통과하는데, 소음기 바디(10) 내부의 상대적으로 넓은 에어 통로에서 상대적으로 면적이 작은 소음 저감판(30)의 유통홀(32)을 지나가면 음파가 신속하게 수축 및 팽창을 하는 과정에서 반사, 간섭, 팽창 등의 복합적인 작용이 일어나서 음파의 에너지가 감소되므로, 소음이 줄어들게 된다.
본 발명에서는 첫 번째 소음 저감판(30)의 유통홀(32)을 지나온 에어가 다음 번의 소음 저감판(30)에 도달하기까지 확보된 소음기 바디(10) 내부의 에어 통로를 지나다가 다시 두 번째 소음 저감판(30)의 유통홀(32)을 에어가 통과하면서 첫 번째 소음 저감판(30)과 마찬가지로 반사, 간섭, 팽창 등의 복합 작용이 다시 일어나므로, 음파의 에너지가 다시 감소하여 에어가 첫 번째 소음 저감판(30)을 지날 때보다 두 번째 소음 저감판(30)을 지나면서 소음이 더 감소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방식으로 세 번째 소음 저감판(30)의 유통홀(32)을 에어가 지나면서 두 번째 소음 저감판(30)을 에어가 지날 때보다 더욱더 소음이 줄어들게 되므로, 소음 저감 효율이 매우 향상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에어가 넓은 통로를 지나다가 급하게 면적이 줄어드는 복수개의 소음 저감판(30)의 복수개의 유통홀(32)을 지나는 과정을 거치면서 공조시 발생하는 소음을 현저히 줄일 수 있으며, 특히 소음기 바디(10)의 내부에 복수개로 소음 저감판(30)을 설치하여 각각의 소음 저감판(30)에 형성된 유통홀(32)을 단계적으로 에어가 지나가도록 하는 과정을 통해서 상기 반사, 간섭, 팽창 등의 복합적인 소음 감소 작용이 연속적으로 일어나도록 하므로, 기존에 비하여 소음 저감 효과를 상당히 높여주는 장점을 가진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소음 저감판(30)의 전체 유통홀(32)의 면적을 합산한 면적은 소음기 바디(10)의 내부로 에어가 유입되도록 하는 커넥션캡(20)(유입단 커넥션캡)의 내부에 형성된 에어 플로우 챔버의 단면적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더 크게 형성되어 있으므로, 에어가 소음 저감판(30)의 유통홀(32)을 지나갈 때에 부하 저항이 발생되는 것을 충분히 막을 수 있어서, 에어가 소음 저감판(30)의 유통홀(32)을 통과할 때에 생기는 부하 저항에 의한 소음 발생 요인을 차단하고, 이로 인하여 충분한 소음 저감 효과를 기할 수 있게 된다. 즉, 각각의 소음 저감판(30)에 형성된 유통홀(32)을 통해서는 음파의 반사, 간섭, 팽창 등의 복합 작용이 일어나도록 하는 한편, 소음기 바디(10)의 유입단 커넥션캡(20)의 내부의 에어 플로우 챔버 단면적에 비하여 유통홀(32)의 전체 합산 면적이 보다 더 크게 구성함으로 인하여 에어 통과시의 부하 저항도 줄여주게 되므로, 전체적으로 에어 통과시의 소음 요인을 확실하게 방지하여 소음 저감 효과를 극대화시킬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 소음기 바디(10)는 자체가 유연성이 있는 재질(예를 들어, 실리콘 재질 등)으로 구성되어 소음기 바디(10) 내부로 에어가 지나면서 소음 저감판(30)의 표면에서 에어가 반사될 때에 반사되는 에어를 유연한 소음기 바디(10)에 의해 흡수하여 완충 작용을 하므로 소음 저감 효율을 보다 높일 수 있으며, 소음기 바디(10)의 내주면은 굴곡이 있는 주름부(11)를 구비한 관 형상으로 구성되어서, 에어가 소음 저감판(30)에서 반사되거나 에어가 통과할 때에 주름진 굴곡부에 의해 에어를 굴절, 회절시키는 작용을 하게 되므로, 에어 통과시의 소음을 보다 더 줄여주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소음기 바디(10)의 양단부에는 밴드와 같은 고정수단에 의해 두 개의 커넥션캡(20)이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므로, 주요부의 결합이 보다 신속 용이하며, 유지 관리 등의 측면에서 보다 유리하다.
한편,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건물 공조용 소음기의 분해 사시도,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주요부의 조립된 상태를 보여주는 외관 사시도 ,도 6은 도 5의 종단면도이다. 도 4 내지 도 6에 도시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각각의 소음 저감판(30)은 중앙부에 유통홀(32)이 구비되고, 이러한 중앙부의 유통홀(32)을 기준으로 외곽 위치에 복수개의 유통홀(32)이 형성된 구조를 가지며, 이러한 유통홀(32)의 배열이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실시예와 차이가 있으며, 다른 구성은 도 1 내지 도 3의 구성과 동일 유사하며, 그 효과에 있어서도 도 1 내지 도 3의 실시예와 동일 유사하다.
또한,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건물 공조용 소음기의 분해 사시도, 도 8은 도 7에 도시된 주요부의 조립된 상태를 보여주는 외관 사시도, 도 9는 도 8의 종단면도이다. 도 7 내지 도 9에 도시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서 소음 저감판(30)은 소음기 바디(10)의 내부에 서로 마주하도록 복수개로 내장되고, 상기 복수개의 소음 저감판(30) 중에서 서로 이웃한 소음 저감판(30)의 복수개의 유통홀(32) 그룹은 소음기 바디(10)의 에어 유통로의 중심부를 기준으로 어긋난 위치에 배열된다. 즉, 소음기 바디(10)의 유입단 또는 배출단에서 볼 때에 가장 앞의 첫 번째 소음 저감판(30)의 유통홀(32) 그룹은 상하 방향 중심부를 기준으로 상부측(또는 하부측)에 배열되고, 두 번째 소음 저감판(30)의 유통홀(32) 그룹은 상하 방향 중심부를 기준으로 첫 번째 소음 저감판(30)의 유통홀(32) 그룹과 어긋나도록 하부측(또는 상부측)에 배열되며, 세 번째 소음 저감판(30)의 유통홀(32) 그룹은 두 번째 소음 저감판(30)의 유통홀(32) 그룹과는 상하 방향 중심부를 기준으로 어긋나며 동시에 첫 번째 소음 저감판(30)의 유통홀(32) 그룹과는 동일 선상에 배치되도록 상부측(또는 하부측)에 배열된 구조를 가지고 있다.
또한, 상기 복수개의 소음 저감판(30)들의 각각의 복수개의 유통홀(32)들의 합산 단면적은 상기 소음기 바디(10)의 에어 플로우 챔버 내부의 단면적보다 더 크게 구성된다. 전술한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복수개의 소음 저감판(30)들의 각각의 복수개의 유통홀(32)들의 합산 단면적이 소음기 바디(10)의 에어 플로우 챔버 내부의 단면적에 비하여 2배 내지 2.5배 정도의 단면적을 갖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도 7 내지 도 9에 도시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경우, 상기 소음기 바디(10)의 에어 플로우 챔버를 통해 유입된 에어가 첫 번째 소음 저감판(30)으로 근접한 때에는 첫 번째 소음 저감판(30)의 표면에 에어의 일부가 반사되고 다른 에어는 소음 저감판(30)의 유통홀(32)을 통과하면서 소음기 바디(10) 내부의 상대적으로 넓은 에어 통로에서 상대적으로 면적이 작은 소음 저감판(30)의 유통홀(32)을 지나가면 음파가 신속하게 수축 및 팽창을 하는 과정에서 반사, 간섭, 팽창 등의 복합적인 작용이 일어나서 음파의 에너지가 감소되므로, 소음이 줄어들게 되는 한편, 상기 첫 번째 소음 저감판(30)의 유통홀(32)을 빠져 나온 에어는 두 번째 소음 저감판(30)의 유통홀(32)로 바로 통과되는 것이 아니라 일단 제2소음 저감판(30)의 표면에 부딪혔다가 에어가 우회하여 두 번째 소음 저감판(30)의 유통홀(32)로 빠져 나가므로,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실시예에 비하여 에어 통과시의 소음 저감 효율을 보다 높이게 되며, 상기 두 번째 소음 저감판(30)의 유통홀(32)을 빠져 나온 에어는 세 번째 소음 저감판(30)의 유통홀(32)로 바로 빠져나가는 것이 아니라 역시 에어가 세 번째 소음 저감판(30)의 벽면에 부딪혔다가 우회하여 세 번째 소음 저감판(30)의 유통홀(32)을 통해 빠져 나가므로, 에어가 두 번째 소음 저감판(30)의 유통홀(32)을 통과할 때에 비하여 한 단계 더 에어 통과시의 소음을 저감시키게 되므로, 결과적으로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실시예에 비하여 소음 저감 효율을 한층 더 높이는 효과를 가지게 된다. 다시 말해, 도 7 내지 도 9에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소음기 바디(10)의 에어 플로우 챔버로 들어온 에어가 모든 소음 저감판(30)의 유통홀(32)로 바로 빠져 나가는 것이 아니라 각각의 유통홀(32)을 지그 재그 방식으로 통과하게 되므로,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실시예에 비하여 소음 저감 효율을 한층 더 높이게 되는 것이다.
또한, 도 10은 본 발명에 의한 건물 공조용 소음기의 주요부인 소음기 바디를 구성하는 바디 포밍 패널의 사시도, 도 11은 도 10에 도시된 바디 포밍 패널에 의해 관 형상의 소음기 바디를 형성한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12는 도 11에 도시된 소음기 바디와 소음 저감판 모듈을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 도 13은 도 11과 도 12에 도시된 소음기 바디와 소음 저감판 모듈을 포함하는 건물 공조용 소음기 내부 구조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10 내지 도 13에 도시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바디 포밍 패널(112)을 통형상으로 접어서 소음기 바디(110)를 만들고, 소음기 바디(110)의 통형상 형태는 록킹 돌기(116)와 록킹 결합홀(114)에 의해 유지한다는 점에서 특징이 있다.
상기 바디 포밍 패널(112)은 플렉시블한 재질의 패널(실리콘 재질의 패널) 구조로서, 바디 포밍 패널(112)의 양단부측 일면에 각각 록킹 결합홀(114)과 록킹 돌기(116)를 구비한다. 록킹 결합홀(114)은 바디 포밍 패널(112)의 일단부에서 타단부 방향(상기 양단부와는 직교하는 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형성되며, 상기 록킹 돌기(116)도 바디 포밍 패널(112)의 일단부에서 타단부 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때, 상기 록킹 돌기(116)는 소음기 바디(110)의 일단부측 한쪽 면에 일체화된 록킹 브릿지편(116a)과, 이러한 록킹 브릿지편(116a)과 교차되는 방향으로 연장된 록킹 걸림 돌편(116b)을 포함한다.
따라서, 상기 복수개의 소음 저감판(30)을 바디 포밍 패널(112)의 일면에 일정 간격 이격된 상태로 배치한 다음, 상기 바디 포밍 패널(112)을 원통형으로 말아서 통형상의 소음기 바디(110) 형태를 만든 다음, 상기 소음기 바디(110)의 한쪽 단부측에 형성된 록킹 결합홀(114)에 소음기 바디(110) 다른 쪽 단부측에 구비된 록킹 돌기(116)를 끼워주면, 록킹 돌기(116)의 록킹 브릿지편(116a)은 록킹 결합홀(114)에 끼워지는 한편 록킹 걸림 돌편(116b)은 록킹 결합홀(114) 주위(소음기 바디(110)의 다른 면)에 걸려지게 되므로, 통형상의 소음기 바디(110) 내부에 복수개의 소음 저감판(30)이 일정 간격으로 배치된 구조를 만들 수 있고, 상기 소음기 바디(110)의 양단부에 각각 하나씩의 커넥션캡(20)을 결합하여 주면, 도 10 내지 도 13에 도시된 본 발명의 소음기를 구현할 수 있게 된다.
도 10 내지 도 13에 도시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의 경우에는 바디 포밍 패널(112)에 의해 통형상의 소음기 바디(110)를 만들면서 복수개의 소음 저감판(30)을 소음기 바디(110)에 내장하고, 소음기 바디(110)의 통형상은 간단한 구조의 록킹 돌기(116)와 록킹 결합홈에 의해 유지하므로, 제작 공정이 보다 편리하고 신속하다는 효과가 있다. 즉, 플랙시블한 재질의 바디 포밍 패널(112)을 통형상으로 접어서 각각의 록킹 결합홈에 록킹 돌기(116)를 눌러서 끼워주기만 하면 되므로, 제작시 보다 편리하고 신속하다.
이때, 복수개의 소음 저감판(30)들이 연결 로드(42)에 의해 지지되어, 상기 복수개의 소음 저감판(30)과 연결 로드(42)에 의해 소음 저감판 모듈(30M)을 형성하고, 이러한 소음 저감판 모듈(30M)을 플랙시블한 바디 포밍 패널(112)의 일면에 배치한 다음, 상기 바디 포밍 패널(112)을 통형상으로 접어서 상기 록킹 결합홀(114)에 록킹 돌기(116)를 끼워주는 방식을 채용하면, 소음기를 만드는데 있어서 보다 편리하고 신속하다. 복수개의 소음 저감판(30)들이 연결 로드(42)에 의해 하나의 소음 저감판 모듈(30M) 형태로 되어 있어서, 소음 저감판 모듈(30M)을 바디 포밍 패널(112)의 한쪽 면에 올려 놓으면 각 소음 저감판(30)들이 넘어지는 일이 없어서, 소음 저감판 모듈(30M)을 감싸도록 바디 포밍 패널(112)을 통형상으로 접어주고, 각각의 록킹 결합홀(114)에 록킹 돌기(116)를 꾹꾹 눌러서 끼워주는 조립 작업만 하면 되기 때문에, 복수개의 소음 저감판(30)들을 하나의 모듈 형태로 구성한 소음 저감판 모듈(30M)을 채용하는 경우 소음기의 조립 작업시에 더욱더 편리하고 신속한 효과를 취득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따라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므로,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하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다시 말해, 본 발명의 건물 공조용 소음기에 대한 기술사상을 첨부도면과 함께 서술하였지만, 이는 본 발명의 가장 양호한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이지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이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이면 누구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주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모방이 가능함은 명백한 사실이라는 점을 이해하여야 할 것이다.
10. 소음기 바디 11. 주름부
20. 커넥션캡 30. 소음 저감판
32. 유통홀 42. 연결 로드
110. 소음기 바디 112. 바디 포밍 패널
114. 록킹 결합홀 116. 록킹 돌기

Claims (10)

  1. 내부에 유통로가 구비된 관 형상의 소음기 바디(10)와;
    상기 소음기 바디(10)의 양단부에 구비되어 공조 배관에 연결되는 커넥션캡(20)과;
    내부에 양면으로 관통된 복수개의 유통홀(32)을 구비하여 상기 소음기 바디(10)의 내부에 구비된 소음 저감판(30);을 포함하고,
    상기 소음 저감판(30)은 상기 소음기 바디(10)의 내부에 서로 마주하도록 복수개로 내장되어, 상기 복수개의 소음 저감판(30)들의 상기 유통홀(32)을 에어가 지나면서 소음이 저감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소음 저감판(30)은 상기 소음기 바디(10)의 내부에 서로 마주하도록 복수개로 내장되고, 상기 복수개의 소음 저감판(30) 중에서 서로 이웃한 소음 저감판(30)의 복수개의 유통홀(32) 그룹은 상기 소음기 바디(10)의 에어 유통로의 중심부를 기준으로 어긋난 위치에 배열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 공조용 소음기.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소음 저감판(30)의 상기 복수개의 유통홀(32)들의 합산 면적은 상기 소음기 바디(10)의 에어 플로우 챔버 내부의 단면적보다 더 크게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 공조용 소음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소음기 바디(10)는 적어도 내주면에 주름부(11)를 구비한 관 형상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 공조용 소음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소음기 바디(10)는 유연성이 있는 재질로 구성되며, 상기 소음기 바디(10)의 양단부는 고정수단에 의해 상기 두 개의 커넥션캡(20)에 착탈 가능하게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 공조용 소음기.
  6. 삭제
  7. 삭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소음 저감판(30)은 상기 소음기 바디(10)의 내부에 서로 마주하도록 복수개로 내장되고, 상기 복수개의 소음 저감판(30)들은 연결 로드(42)에 의해 지지되어, 상기 복수개의 소음 저감판(30)과 상기 연결 로드(42)에 의해 소음 저감판 모듈(30M)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 공조용 소음기.
  9. 제1항에 있어서,
    플렉시블한 바디 포밍 패널(112)의 양단부측에 각각 록킹 결합홀(114)과 록킹 돌기(116)를 구비하여 상기 바디 포밍 패널(112)의 접어서 내부에 에어 유통로를 구비한 관 형상의 소음기 바디(110)의 형상을 만들고, 상기 록킹 돌기(116)를 상기 록킹 결합홀(114)에 끼워주어 상기 소음기 바디(110) 형태를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 공조용 소음기.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록킹 돌기(116)는 상기 소음기 바디(110)의 일단부측 한쪽 면에 일체화된 록킹 브릿지편(116a)과, 상기 록킹 브릿지편(116a)과 교차되는 방향으로 연장된 록킹 걸림 돌편(116b)을 포함하며, 상기 소음기 바디(110)의 타단부측 양면으로 연통된 상기 록킹 결합홀(114)에 상기 록킹 돌기(116)를 끼우면, 상기 록킹 걸림 돌편(116b)이 상기 록킹 결합홀(114)의 둘레벽에 걸려져서 상기 관 형상의 소음기 바디(110) 형태를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 공조용 소음기.
KR20130063815A 2013-06-04 2013-06-04 건물 공조용 소음기 KR10148102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63815A KR101481028B1 (ko) 2013-06-04 2013-06-04 건물 공조용 소음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63815A KR101481028B1 (ko) 2013-06-04 2013-06-04 건물 공조용 소음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42451A KR20140142451A (ko) 2014-12-12
KR101481028B1 true KR101481028B1 (ko) 2015-01-14

Family

ID=524599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0063815A KR101481028B1 (ko) 2013-06-04 2013-06-04 건물 공조용 소음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8102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520114A (zh) * 2018-11-12 2019-03-26 吉林建筑大学 一种用于暖通空调通风系统的消声装置
CN110940083B (zh) * 2019-12-31 2023-10-24 天津丽茂源松节能技术有限公司 一种新风系统的消音装置
CN114738301B (zh) * 2021-08-06 2023-11-03 宁波生久科技有限公司 鼓风式散热风扇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70516A (ja) * 1994-12-15 1996-07-02 Nippondenso Co Ltd 消音器
JP2001133026A (ja) * 1999-11-05 2001-05-18 Taikisha Ltd 空調設備用消音器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70516A (ja) * 1994-12-15 1996-07-02 Nippondenso Co Ltd 消音器
JP2001133026A (ja) * 1999-11-05 2001-05-18 Taikisha Ltd 空調設備用消音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42451A (ko) 2014-12-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574791B2 (en) Acoustic dispersing airflow passage
KR101481028B1 (ko) 건물 공조용 소음기
KR101215573B1 (ko) 다기능 조립형 벽체 및 시공방법
CN102607294A (zh) 冷却塔消声结构
KR101016601B1 (ko) 음파의 공명과 팽창 현상을 이용한 환기용 소음기
KR20130104852A (ko) 모듈형 소음기
CN110966263B (zh) 消声装置、消声装置组件、轴流风机及空调器
WO2014128040A1 (en) Attenuator for ventilation duct
JP2007170739A (ja) ダクト部品
KR200382863Y1 (ko) 공조용 덕트 소음기
JP4975316B2 (ja) ダクト部品及びダクト構造
KR100602438B1 (ko) 이중관 및 이를 이용한 환기장치
CN205332447U (zh) 气流交换装置
RU2411398C2 (ru) Многосекционный глушитель шума
RU2411370C2 (ru) Аэродинамический глушитель
CN217685332U (zh) 新风管组件以及具有该新风管组件的新风空调
CN211041294U (zh) 一种利用空调墙孔安装的微型新风机
CN213578231U (zh) 过滤消声器及空调器
KR200448763Y1 (ko) 건물의 공기 조화 덕트용 소음기
CN218817224U (zh) 风机组件和具有其的呼吸机
JP2012167887A (ja) 熱交換ダクト
CN218495108U (zh) 空调室内机
CN211551809U (zh) 一种风管组件及空调器
CN205227743U (zh) 一种适用于核电通风系统的超微孔净化消声器
CZ29421U1 (cs) Interiérová větrací jednotka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0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29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