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47953B1 - 수상운송장치 - Google Patents

수상운송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47953B1
KR101347953B1 KR1020110036355A KR20110036355A KR101347953B1 KR 101347953 B1 KR101347953 B1 KR 101347953B1 KR 1020110036355 A KR1020110036355 A KR 1020110036355A KR 20110036355 A KR20110036355 A KR 20110036355A KR 101347953 B1 KR101347953 B1 KR 10134795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transport
transport apparatus
unit
buoyancy
buoyancy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363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118767A (ko
Inventor
조현철
Original Assignee
조현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현철 filed Critical 조현철
Priority to KR10201100363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47953B1/ko
Publication of KR201201187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1876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479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4795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43/00Improving safety of vessels, e.g. damage control,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43/02Improving safety of vessels, e.g. damage control, not otherwise provided for reducing risk of capsizing or sinking
    • B63B43/04Improving safety of vessels, e.g. damage control, not otherwise provided for reducing risk of capsizing or sinking by improving stability
    • B63B43/08Improving safety of vessels, e.g. damage control, not otherwise provided for reducing risk of capsizing or sinking by improving stability by transfer of solid ballas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9/00Equipment to decrease pitch, roll, or like unwanted vessel movements; Apparatus for indicating vessel attitude
    • B63B39/02Equipment to decrease pitch, roll, or like unwanted vessel movements; Apparatus for indicating vessel attitude to decrease vessel movements by displacement of mas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43/00Improving safety of vessels, e.g. damage control,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43/02Improving safety of vessels, e.g. damage control, not otherwise provided for reducing risk of capsizing or sinking
    • B63B43/10Improving safety of vessels, e.g. damage control, not otherwise provided for reducing risk of capsizing or sinking by improving buoyancy
    • B63B43/14Improving safety of vessels, e.g. damage control, not otherwise provided for reducing risk of capsizing or sinking by improving buoyancy using outboard floating memb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CLAUNCHING, HAULING-OUT, OR DRY-DOCKING OF VESSELS; LIFE-SAVING IN WATER; EQUIPMENT FOR DWELLING OR WORKING UNDER WATER; MEANS FOR SALVAGING OR SEARCHING FOR UNDERWATER OBJECTS
    • B63C7/00Salvaging of disabled, stranded, or sunken vessels; Salvaging of vessel parts or furnishings, e.g. of safes; Salvaging of other underwater objects
    • B63C7/003Righting capsized vessels, e.g. sailing vess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CLAUNCHING, HAULING-OUT, OR DRY-DOCKING OF VESSELS; LIFE-SAVING IN WATER; EQUIPMENT FOR DWELLING OR WORKING UNDER WATER; MEANS FOR SALVAGING OR SEARCHING FOR UNDERWATER OBJECTS
    • B63C7/00Salvaging of disabled, stranded, or sunken vessels; Salvaging of vessel parts or furnishings, e.g. of safes; Salvaging of other underwater objects
    • B63C7/06Salvaging of disabled, stranded, or sunken vessels; Salvaging of vessel parts or furnishings, e.g. of safes; Salvaging of other underwater objects in which lifting action is generated in or adjacent to vessels or objects
    • B63C7/12Salvaging of disabled, stranded, or sunken vessels; Salvaging of vessel parts or furnishings, e.g. of safes; Salvaging of other underwater objects in which lifting action is generated in or adjacent to vessels or objects by bringing air or floating bodies or material into vessels or objec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43/00Improving safety of vessels, e.g. damage control,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43/02Improving safety of vessels, e.g. damage control, not otherwise provided for reducing risk of capsizing or sinking
    • B63B43/04Improving safety of vessels, e.g. damage control, not otherwise provided for reducing risk of capsizing or sinking by improving stability
    • B63B2043/047Improving safety of vessels, e.g. damage control, not otherwise provided for reducing risk of capsizing or sinking by improving stability by means of hull shapes comprising a wide hull portion near the design water line, and a slender, buoyancy providing, main hull portion extending towards the botto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207/00Buoyancy or ballast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CLAUNCHING, HAULING-OUT, OR DRY-DOCKING OF VESSELS; LIFE-SAVING IN WATER; EQUIPMENT FOR DWELLING OR WORKING UNDER WATER; MEANS FOR SALVAGING OR SEARCHING FOR UNDERWATER OBJECTS
    • B63C7/00Salvaging of disabled, stranded, or sunken vessels; Salvaging of vessel parts or furnishings, e.g. of safes; Salvaging of other underwater objects
    • B63C7/06Salvaging of disabled, stranded, or sunken vessels; Salvaging of vessel parts or furnishings, e.g. of safes; Salvaging of other underwater objects in which lifting action is generated in or adjacent to vessels or objects
    • B63C7/12Salvaging of disabled, stranded, or sunken vessels; Salvaging of vessel parts or furnishings, e.g. of safes; Salvaging of other underwater objects in which lifting action is generated in or adjacent to vessels or objects by bringing air or floating bodies or material into vessels or objects
    • B63C2007/125Salvaging of disabled, stranded, or sunken vessels; Salvaging of vessel parts or furnishings, e.g. of safes; Salvaging of other underwater objects in which lifting action is generated in or adjacent to vessels or objects by bringing air or floating bodies or material into vessels or objects using buoyant masses, e.g. foams, or a large plurality of small buoyant objec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oy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수상운송장치는, 수상운송장치의 하부에 배치되어 상기 수상운송장치에 부력을 제공하는 메인부력유닛; 상기 수상운송장치의 상부에 배치되어 상기 수상운송장치가 전복되었을 때 상기 수상운송장치에 추가적인 부력을 제공하는 탑부력유닛; 및 상기 수상운송장치의 하부에 배치되어 상기 수상운송장치의 전복 상태에서 상기 수상운송장치를 일으켜 세우는 복원력을 제공하는 중량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수상운송장치{Water vehicle}
본 발명은, 수상운송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수상운송장치가 운행 중 전복되더라도 신속하게 원래의 정상 위치로 복귀할 수 있는 구조에 관한 것이다.
통상, 보트를 포함한 수상운송장치는 운행 중 운전 미숙이나 거센 파도 등을 만나게 되면 전복될 위험이 존재하며, 이러한 전복 사고(顚覆事故)는 큰 인명 피해를 유발할 수 있다.
따라서, 수상운송장치가 거센 파도나 운전 미숙 등에 의해 전복되더라도 신속하게 원래의 정상 위치로 돌아올 수 있는 구조를 갖는 수상운송장치에 대한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운행 중 거센 파도나 운전 미숙 등에 의해 전복되었을 때신속하게 원래의 정상 위치로 돌아와 전복 사고에 따른 피해를 줄이는 등 수상운송장치의 안전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는 수상운송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수상운송장치의 하부에 배치되어 상기 수상운송장치에 부력을 제공하는 메인부력유닛; 상기 수상운송장치의 상부에 배치되어 상기 수상운송장치가 전복되었을 때 상기 수상운송장치에 추가적인 부력을 제공하는 탑부력유닛; 및 상기 수상운송장치의 하부에 배치되어 상기 수상운송장치의 전복 상태에서 상기 수상운송장치를 일으켜 세우는 복원력을 제공하는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상운송장치에 의해 달성된다.
상기 탑부력유닛은, 전복되어 뒤집힌 상태의 상기 수상운송장치를 부력을 통해 들어올려 옆으로 누운 상태로 이동시킬 수 있다.
상기 탑부력유닛은, 상기 수상운송장치의 천장을 이루도록 형성되고, 상기 수상운송장치는, 상기 메인부력유닛과 상기 탑부력유닛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탑부력유닛을 지지하는 측판 구조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중량부는, 상기 메인부력유닛보다 아래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중량부는, 상기 수상운송장치의 하부 중심 라인을 따라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중량부는, 상기 수상운송장치의 선미 측에서 선수 측으로 길게 연장될 수 있다.
상기 메인부력유닛은, 복수의 단위부력유닛을 상호 연결하여 마련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복수의 단위부력유닛은, 뗏목 형태를 이룰 수 있다.
상기 메인부력유닛은, 상호 이격 배치되는 제1 단위부력유닛 및 제2 단위부력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수상운송장치는, 상기 제1 단위부력유닛과 상기 제2 단위부력유닛의 하부를 연결하는 활주판 구조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활주판 구조체는, 양측부에서 중심부 쪽으로 하향 경사진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상기 메인부력유닛은, 경질의 보강케이스; 및 상기 보강케이스의 내부에 마련되는 부력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탑부력유닛은, 경질의 보강케이스; 및 상기 보강케이스의 내부에 마련되는 부력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부력체는, 상기 보강케이스의 내부에 채워지고 기체가 밀봉된 다수의 기체내장캡슐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기체내장캡슐은, 밀폐된 내부공간이 형성되도록 합성수지 또는 금속 재질로 제작되고 상기 내부공간에 기체가 밀봉될 수 있다.
상기 부력체는, 상기 보강케이스의 내부에 배치되고 기체 주입이 가능한 연질의 튜브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수상운송장치가 전복되었을 때 수상운송장치에 추가적인 부력을 제공하는 탑부력유닛을 메인부력유닛과 별도로 수상운송장치의 상부에 장착하고, 수상운송장치의 전복 상태에서 수상운송장치를 일으켜 세우는 복원력을 제공하는 중량부를 수상운송장치의 하부에 장착함으로써, 수상운송장치가 운행 중 거센 파도나 운전 미숙 등에 의해 전복되더라도 신속하게 원래의 정상 위치로 돌아올 수 있으므로, 전복 사고에 따른 피해를 줄이는 등 수상운송장치의 안전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상운송장치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2 내지 도 4는 도 1의 수상운송장치의 선미 측에서 바라본 정면도들이다.
도 5는 도 1의 Ⅴ-Ⅴ 선에 따른 수상운송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5에 도시된 기체내장캡슐의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6의 기체내장캡슐의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수상운송장치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본 발명과 본 발명의 동작상의 이점 및 본 발명의 실시에 의하여 달성되는 목적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첨부 도면 및 첨부 도면에 기재된 내용을 참조하여야만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함으로써,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이미 공지된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명료하게 하기 위하여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상운송장치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2 내지 도 4는 도 1의 수상운송장치의 선미 측에서 바라본 정면도들로, 도 2는 수상운송장치가 물 위에 정상적으로 떠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것이고, 도 3은 수상운송장치가 전복되어 완전히 뒤집힌 상태를 나타내고, 도 4는 수상운송장치가 전복되어 옆으로 누운 상태를 나타낸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수상운송장치(100)는 메인부력유닛(110,120), 탑부력유닛(160) 및 중량부(170)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 '수상운송장치'는 보트, 어선, 상선 등의 다양한 배 혹은 선박을 포함하는 의미로 사용된다.
메인부력유닛(110,120)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우 한 쌍으로 수상운송장치(100)의 하부에 배치될 수 있다. 즉, 메인부력유닛(110,120)은 좌우 일정 간격을 유지하면서 상호 나란하게 배치되는 한 쌍의 부력유닛으로 마련될 수 있다. 즉, 본 실시예에 따른 수상운송장치(100)는 쌍동선 구조를 갖는다. 메인부력유닛(110,120)은 그 명칭이 의미하는 바와 같이 수상운송장치(100)가 물 위에 정상적으로 떠 있도록 수상운송장치(100)에 안정적인 부력(浮力)을 제공하는 수단이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 2에서 좌측에 배치된 메인부력유닛(110)을 '제1 단위부력유닛'이라 하고, 도 2에서 우측에 배치된 메인부력유닛(120)을 '제2 단위부력유닛'이라 한다. 제1 단위부력유닛(110)과 제2 단위부력유닛(120)은 그 형상에 있어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우 대칭 구조를 가질 수 있다는 점을 제외하고,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을 갖는다. 다만, 본 발명에서 메인부력유닛의 개수 및 배치 형태는 본 실시예에서 개시된 것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적절히 변경될 수 있다. 예컨대, 본 발명에서 메인부력유닛은 3개 이상의 단위부력유닛이 뗏목 형태로 일렬로 배치되는 구조, 즉 3개 이상의 단위부력유닛을 상호 연결하여 뗏목 형태를 이룰 수 있다. 한편, 메인부력유닛(110,120)의 세부 구성에 대해서는 도 5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후술하기로 한다.
한편, 본 발명에서 메인부력유닛은 본 실시예에서 개시된 바와 같이 2개 또는 3개 이상, 즉 복수의 단위부력유닛을 상호 연결하여 마치 뗏목 형태로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는 부력체가 하나의 일체형으로 구성되는 단동선 구조의 수상운송장치에 비해 전복으로 인해 수상운송장치(100)의 내부에 채워진 물이 수상운송장치(100)가 원래의 정상 위치로 돌아오는 과정에서 외부로 신속 원활하게 배수될 수 있기 때문이다. 다만, 본 발명에서 메인부력유닛은 복수의 단위부력유닛을 상호 연결하여 마련되는 것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하나의 일체형으로 마련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탑부력유닛(160)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상운송장치(100)의 상부에 배치되는 것으로,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상운송장치(100)가 전복(顚覆)되었을 때 수상운송장치(100)에 추가적인 부력을 제공할 수 있다. 이때, 탑부력유닛(160)은 메인부력유닛(110,120)과 멀리 떨어져 배치될수록 수상운송장치(100)의 탑승 공간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음은 물론, 수상운송장치(100)의 전복 상태에서 메인부력유닛(110,120)과의 밸런스를 쉽게 맞출 수 있으므로,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상운송장치(100)의 천장을 이루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탑부력유닛(160)은 수상운송장치(100)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복되어 완전히 뒤집히더라도 부력을 통해 수상운송장치(100)를 들어올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옆으로 누운 상태로 이동시킬 수 있다. 이때, 탑부력유닛(160)은 전복된 수상운송장치(100)를 들어올릴 수 있는 충분한 부력 성능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만약, 이러한 탑부력유닛(160)이 없다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상운송장치(100)가 전복되어 완전히 뒤집힌 경우 수상운송장치(100)는 메인부력유닛(110,120)에 의해 이 상태를 계속 유지할 수 있는데, 이렇게 되면 후술할 중량부(170)에 의한 복원력이 수상운송장치(100)에 제대로 작용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즉, 탑부력유닛(160)은 수상운송장치(100)가 전복되어 뒤집힌 상태에서 이루어진 평형을 깨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탑부력유닛(160)의 세부 구성에 대해서는 도 5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후술하기로 한다.
중량부(170)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상운송장치(100)의 하부에 배치되는 것으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상운송장치(100)의 전복 상태에서 도 4의 화살표 방향으로 수상운송장치(100)를 일으켜 세우는 복원력을 제공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수상운송장치(10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복되더라도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원래의 정상 위치로 신속하게 이동할 수 있다. 이때, 복원력은 중량부(170)의 무게에 의해 발휘되는 것으로 수상운송장치(100)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복되어 옆으로 누운 상태에서 도 4의 화살표 방향으로 작용한다. 이를 위해, 중량부(170)는 수상운송장치(100)의 다른 구조물에 비해 매우 큰 비중을 갖는 재질(예컨대, 강철)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중량부(170)에 의한 복원력은 옆으로 전복된 수상운송장치(100)를 회전시키는 회전 모멘트로 작용하고, 이러한 회전 모멘트는 중량부(170)의 무게 중심이 부력유닛들(110,120,160)의 부력 중심으로부터 멀어질수록 증가하므로, 중량부(170)는 탑부력유닛(160)과 가능한 멀리 떨어진 위치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중량부(170)는 전복된 수상운송장치(100)를 회전시키기 위한 충분한 복원력을 제공할 수 있도록,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상운송장치(100)의 하부에 설치되되 메인부력유닛(110,120)보다 아래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중량부(170)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상운송장치(100)의 하부 중심 라인을 따라 배치되고 선미 측에서 선수 측으로 길게 연장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는 중량부(170)에 의해 발휘되는 복원력이 수상운송장치(100)의 선수에서 선미까지 전체적으로 고르게 작용하여 전복된 수상운송장치(100)를 보다 안정적으로 회전시키기 위함이다.
본 실시예에서, 중량부(170)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의 봉 구조물로 마련되고 후술할 활주판 구조체(130)의 상부에 결합 고정되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아니한다. 예컨대, 중량부(170)는 수상운송장치(100) 하부의 적절한 위치에 각각 설치되는 다수의 단위 중량물로 마련될 수 있으며. 그 중량물의 형상 또한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도 5는 도 1의 Ⅴ-Ⅴ 선에 따른 수상운송장치의 단면도이고, 도 6은 도 5에 도시된 기체내장캡슐의 사시도이며, 도 7은 도 6의 기체내장캡슐의 단면도이다. 이하, 도 5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메인부력유닛(110,120)과 탑부력유닛(160)의 세부 구성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5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메인부력유닛(110,120)은 경질의 보강케이스(111,121) 및 보강케이스(111,121)의 내부에 채워지는 다수의 기체내장캡슐(113,123)을 포함할 수 있다.
보강케이스(111,121)는 그 내부에 마련된 부력체인 다수의 기체내장캡슐(113,123)을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보호하고 메인부력유닛(110,120)의 전체적인 구조적 강도를 보강하기 위한 수단으로, 엔지니어링 플라스틱(engineering plastic) 재질로 이루어진다. 다만, 이와 다르게, 보강케이스(111,121)는 다른 일반적인 플라스틱 재질로 이루어지거나, 스테인리스강(SUS) 등의 금속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보강케이스(111,121)는 사출 성형 등에 의해 일체로 제작되거나 다수의 판 부재를 조립하여 제작될 수 있다.
보강케이스(111,121)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질적으로 사각형의 단면 형상을 갖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는 메인부력유닛(110,120)은 동일한 조건에서 타원형 또는 원형의 단면 형상보다는 사각형의 단면 형상을 가질 때, 더 큰 부력 성능을 발휘할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메인부력유닛(110,120)은 보강케이스(111,121)의 단면 형상이 사각형을 이루게 됨에 따라, 수면에 잠기는 부분이 적고 바닥이 평면이므로 활주가 쉽다는 이점이 있다. 더 나아가, 보강케이스(111,121)는 그 상판(111a,121a)이 수평으로 배치되고 그 하판(111b,121b)이 경사지게 배치되도록 구성하는 것, 예컨대, 보강케이스(111,121)의 단면 형상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다리꼴을 이루도록 구성되는 것이 더 바람직한데, 이는 수상운송장치(100)의 바닥을 실질적으로 'V'자 형태로 유지하여 직진성과 코너링 성능을 증대시키면서도, 탑승공간의 바닥을 평평하게 구현하여 탑승자가 수상운송장치(100) 위에서 편리하고 안전하게 활동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다만, 보강케이스(111,121)는 반드시 사각형의 단면 형상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른 다각형의 단면 형상을 갖도록 구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다수의 기체내장캡슐(113,123)은 보강케이스(111,121)의 내부에 채워지는 부력체로, 메인부력유닛(110,120)의 주된 부력을 발생시킨다. 또한, 다수의 기체내장캡슐(113,123)은 보강케이스(111,121)의 내부압력을 증가시켜 메인부력유닛(110,120)의 전체적인 구조적 강도를 향상시킨다. 이러한 측면에서 다수의 기체내장캡슐(113,123)은 보강케이스(111,121)의 내부에 매우 조밀하게 채워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 기체내장캡슐(113,123)은 보강케이스(111,121) 내부의 빈 공간을 최소화하도록 가능한 작은 크기로 제작되어 최대한 많은 개수로 보강케이스(111,121)의 내부에 주입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처럼, 다수의 기체내장캡슐(113,123)이 보강케이스(111,121)의 내부에 채워진 형태로 구현되는 메인부력유닛(110,120)은 충분한 부력 성능을 발휘하면서도 전체적인 구조적 강도가 우수함은 물론, 보강케이스(111,121)의 어느 일부에 크랙이나 구멍이 형성되더라도 기체내장캡슐(113,123)이 보강케이스(111,121)의 외부로 이탈되지 아니하는 한 침수의 우려가 없고, 큰 외부 충격에 의해 다수의 기체내장캡슐(113,123) 중 일부가 파손되거나 손실되더라도 나머지 대부분의 기체내장캡슐(113,123)은 정상적으로 부력을 발생하므로, 안전성이 향상된다는 이점이 있다. 또한, 기체내장캡슐(113,123)은 통상의 튜브부재와 비해 그 크기가 매우 작고 내부에 기체가 완벽하게 밀봉된 구조로 제작 가능하기 때문에, 부력체로 통상의 튜브부재를 사용하는 경우에 있어서 사용자가 주기적으로 튜브부재에 공기를 추가 주입해야하는 것과 같은 번거로움이 없다.
기체내장캡슐(113,123)은 밀폐된 내부공간이 형성되도록 마련되며, 소정의 부력을 발생시킬 수 있도록 그 내부공간에 기체가 밀봉된다. 구체적으로, 기체내장캡슐(113,123)은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밀폐된 내부공간이 형상된 대략 사각형의 단면의 블록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이때, 기체내장캡슐(113,123)에 밀봉되는 기체로는 일반적인 공기(air), 질소(N2), 아르곤(Ar), 네온(Ne)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다만, 기체내장캡슐(113,123)의 형상은 도 5 및 도 7에 개시된 사각 블록 형상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원형, 타원형, 육각형, 팔각형의 단면을 갖는 블록 형상 등으로 마련될 수 있다. 한편, 기체내장캡슐(113,123)의 모서리들은 응력집중을 피하기 위해 라운드 처리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기체내장캡슐(113,123)은 전술한 바와 같이 충분한 부력 등을 제공하도록 보강케이스(111,121)의 내부에 가능한 많은 개수가 채워져야 하면서도 그 무게가 가벼워야 하는데, 이를 위해 기체내장캡슐(113,123)은 연질의 합성수지 재질로 제작될 수 있다. 즉, 연질의 합성수지 재질로 제작된 기체내장캡슐(113,123)은 그 무게가 가벼운 것은 물론, 보강케이스(111,121)의 내부에서 소정의 압력이 가해졌을 때 기체내장캡슐(113,123) 사이의 공간이 최소화되도록 변형이 가능하므로, 보강케이스(111,121) 내부에 보다 더 많은 개수의 기체내장캡슐(113,123)이 채워질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예컨대, 기체내장캡슐(113,123)은 EVA(Ethyene Vinyl Acetate), PE(Poly Ethylene), PET(Poly Ethylene Terephthalate) 등의 열가소성 합성수지 재질 중 적어도 하나의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기체내장캡슐(113,123)은 합성수지를 블로 성형(Blow Molding), 사출 성형(Injection Molding) 등을 통해 밀폐된 내부 공간을 갖는 형상으로 마련한 후 그 내부 공간에 기체를 주입하고 밀봉하여 제작될 수 있다. 이때, 기체내장캡슐(113,123)은 밀폐된 내부공간을 갖는 형상으로 마련된다는 측면에서 사출 성형보다는 공기를 취입하여 성형하는 블로 성형을 사용하여 제작하는 것이 더 바람직하다. 다만, 기체내장캡슐(113,123)은 합성수지 재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금속 재질로 제작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때, 기체내장캡슐(113,123)은 전성(展性)과 연성(延性)이 좋은 금속 재질(예컨대, 알루미늄)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처럼, 기체내장캡슐(113,123)은 합성수지 재질로 이루어지고 내부에 기체가 밀봉되기 때문에, 가벼우면서도 동일 부피에 대해서 큰 부력 성능을 발휘함은 물론, 스티로폼(발포폴리스타이렌) 또는 폴리에틸렌 폼과 같은 발포성 수지의 고체 부력체와 다르게, 물이 전혀 침투하지 못하므로 장시간 물속에 있더라도 부력 성능이 떨어지지 않는다. 이에 따라, 보강케이스(111,121) 내부로 물이 유입되더라도 메인부력유닛(110,120)의 안전성에는 크게 문제가 발생하지 않는다는 이점이 있다. 다만, 본 발명에서 메인부력유닛(110,120)의 보강케이스(111,121) 내부에 채워지는 부력체는 위와 같은 기체내장캡슐(113,123)의 이점에도 불구하고, 통상의 고체 부력체로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5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탑부력유닛(160)은 경질의 보강케이스(161) 및 그 내부에 채워지는 다수의 기체내장캡슐(163)을 포함할 수 있다. 보강케이스(161)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곡선의 단면 형상을 가지며, 사출 성형 등에 의해 일체로 제작되거나 다수의 판 부재(예컨대, 상판 부재 및 하판 부재)를 조립하여 제작될 수 있다. 이러한 탑부력유닛(160)의 보강케이스(161)는 그 외형적인 구조를 제외하고 전술한 메인부력유닛(110,120)의 보강케이스(111,121)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그 구성 및 작용효과에 대한 자세한 사항은 전술한 메인부력유닛(110,120)의 보강케이스(111,121)에 관한 설명을 준용하기로 한다. 그리고 탑부력유닛(160)의 보강케이스(161) 내부에 채워지는 부력체로서 기체내장캡슐(163) 또한 전술한 메인부력유닛(110,120)의 기체내장캡슐(113,123)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그 구성 및 작용효과에 대한 자세한 사항은 전술한 메인부력유닛(110,120)의 기체내장캡슐(113,123)에 관한 설명을 준용하기로 한다. 한편, 메인부력유닛(110,120)와 마찬가지로, 본 발명에서 탑부력유닛(160)의 보강케이스(161) 내부에 채워지는 부력체는 위와 같은 기체내장캡슐(163) 대신에 통상의 고체 부력체로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수상운송장치(100)는 활주판 구조체(130) 데크 구조체(140), 트랜섬 구조체(145) 및 측판 구조체(151,15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활주판 구조체(130)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의 메인부력유닛(110,120)의 하부를 연결한다. 활주판 구조체(130)의 일측부(도 2에서 좌측부)는 제1 단위부력유닛(110)의 하부와 결합되고, 활주판 구조체(130)의 타측부(도 2에서 우측부)는 제2 단위부력유닛(120)의 하부와 결합된다. 이때, 활주판 구조체(130)와 메인부력유닛(110,120) 사이의 결합은, 첨부된 도면들에 구체적으로 도시하지 않았지만, 리벳 방식 또는 볼트 방식을 포함하여 공지의 다양한 방식이 적용될 수 있다. 활주판 구조체(130)는 한 쌍의 메인부력유닛(110,120)과 함께 수상운송장치(100)의 바닥 부분을 형성하여, 수상운송장치(100)의 주행 시 안정적인 활주가 가능하도록 한다. 이를 위해, 활주판 구조체(130)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측부에서 중심부 쪽으로 하향 경사진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즉, 활주판 구조체(130)는 한 쌍의 메인부력유닛(110,120) 사이의 중심 부분에서 아래쪽을 향하여 절곡된 형상, 예컨대 실질적으로 'V'자 단면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다만, 활주판 구조체(130)는 본 명세서에 첨부된 도면들에서 개시하고 있는 형상 및 구조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한 쌍의 메인부력유닛(110,120)의 하부를 연결하기 위한 다른 다양한 형상 및 구조로 적절히 변경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예컨대, 활주판 구조체(130)는 한 쌍의 메인부력유닛(110,120)의 바닥을 수평으로 연결하는 하나의 평평한 판으로 마련될 수 있다. 더 나아가, 활주판 구조체(130)는 한 쌍의 메인부력유닛(110,120)의 간격에 대응되는 크기로 마련되는 본 실시예와 다르게, 한 쌍의 메인부력유닛(110,120)의 바닥 전체를 덮도록 마련될 수 있다. 한편, 활주판 구조체(130)는 엔지니어링 플라스틱(engineering plastic) 재질이나 스테인리스강(SUS) 등의 금속 재질로 제작될 수 있다. 또한, 활주판 구조체(130)는 하나의 부재로 제작될 수 있지만, 다수의 부재를 조립하여 제작될 수도 있다.
이처럼, 본 실시예에 따른 수상운송장치(100)는 상호 이격 배치된 한 쌍의 메인부력유닛(110,120)의 하부가 활주판 구조체(130)에 의해 연결되고 활주판 구조체(130)가 한 쌍의 메인부력유닛(110,120)과 함께 수상운송장치(100)의 바닥을 형성함으로써, 부력의 중심이 안정적이라는 쌍동선의 이점을 유지하면서도 주행 시 단동선과 같은 구조를 구현할 수 있어 활주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수상운송장치(100)는 부력의 중심이 두 개의 메인부력유닛(110,120)으로 양분되므로 보다 안정적인 밸런스를 유지할 수 있어 전복 위험 등이 감소하면서도, 물과 닿는 면적이 메인부력유닛(동선)의 면적으로 제한되는 통상의 쌍동선과 다르게, 한 쌍의 메인부력유닛(110,120)의 하부를 연결하여 수상운송장치(100)의 바닥을 형성하는 활주판 구조체(130)의 구성을 통해 물에 닿은 면적을 넓혀서 단동선과 같은 정도로 활주 면적을 증가시켜 활주 성능 또는 주행 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는 것이다. 아울러, 수상운송장치(100)의 정지시에는 한 쌍의 메인부력유닛(110,120) 사이에서 활주판 구조체(130)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이하 '유입공간'이라 함)으로 물이 유입되어 채워지고, 수상운송장치(100)의 주행 시에는 유입공간에 유입된 물이 외부로 자동 배출될 수 있으므로, 수상운송장치(100)의 정지 시에는 유입공간에 유입된 물이 수상운송장치(100)의 하부 중심영역에서 무게를 가중시켜 수상운송장치(100)가 보다 안정적인 밸런스를 유지할 수 있으면서도, 수상운송장치(100)의 주행 시에는 유입공간에 유입된 물이 외부로 자동 배출되므로, 수상운송장치(100)의 활주 성능 또는 주행 효율이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 통상적인 방수 문제로부터 자유로울 수 있다.
데크 구조체(140)는 한 쌍의 메인부력유닛(110,120) 사이의 개방된 상측을 덮도록 한 쌍의 메인부력유닛(110,120)의 상부에 마련될 수 있다.. 데크 구조체(140)는 한 쌍의 메인부력유닛(110,120)의 상부를 연결할 수 있다. 데크 구조체(140)의 일측부(도 2에서 좌측부)는 제1 단위부력유닛(110)의 상부(예컨대, 상판 우측 가장자리 및/또는 측판 상측 가장자리)와 결합되고, 데크 구조체(140)의 타측부(도 2에서 우측부)는 제2 단위부력유닛(120)의 하부(예컨대, 상판 좌측 가장자리 및/또는 측판 상측 가장자리)와 결합될 수 있다. 이때, 데크 구조체(140)와 메인부력유닛(110,120) 사이의 결합은, 첨부된 도면들에 구체적으로 도시하지 않았지만, 리벳 방식 또는 볼트 방식을 포함하여 공지의 다양한 방식이 적용될 수 있다. 이러한 데크 구조체(140)는 탑승자가 편하고 안전하게 활동할 수 있는 탑승공간을 제공하는 한편, 한 쌍의 메인부력유닛(110,120) 사이로 유입된 물이 위로 범람하는 것을 방지한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 데크 구조체(140)는 한 쌍의 메인부력유닛(110,120) 사이의 개방된 상측에 대응되는 크기와 형상을 가지나, 이와 다르게 데크 구조체(140)는 한 쌍의 메인부력유닛(110,120)의 상부 전체를 덮는 크기와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더 나아가, 데크 구조체(140)는 본 명세서에 첨부된 도면들에서 개시하고 있는 플레이트 형상 및 구조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수상운송장치(100)의 용도 및 규모 등에 따라 다른 다양한 형상 및 구조로 적절히 변경될 수 있다. 한편, 데크 구조체(140)는 전술한 활주판 구조체(130)와 마찬가지로, 엔지니어링 플라스틱 재질이나 스테인리스강(SUS) 등의 금속 재질로 제작될 수 있다. 또한, 데크 구조체(140)는 하나의 부재로 제작될 수 있지만, 기계적 강도 등을 고려하여 다수의 부재를 조립하여 제작될 수도 있다.
트랜섬 구조체(145)는 수상운송장치(100)의 후미 부분에서 메인부력유닛(110,120)의 상부에 가로 방향으로 설치된다. 트랜섬 구조체(145)는 구동용 엔진 혹은 선외기 등이 설치되는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첨부된 도면들에서 도시된 트랜섬 구조체(145)의 형상 및 구조는 단지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고, 트랜섬 구조체(145)는 다른 다양한 형상으로 변경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측판 구조체(151,152)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상운송장치(100)의 측면을 구성하는 구조체로, 메인부력유닛(110,120)의 외측 테두리를 따라 일정 높이 이상으로 형성되어 탑승자가 안전하게 활동할 수 있는 탑승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측판 구조체(151,152)는 메인부력유닛(110,120)과 탑부력유닛(160) 사이에 배치되어 수상운송장치(100)의 상부에 배치된 탑부력유닛(160)을 지지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측판 구조체(151,152)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수와 선미 위치에서 탑부력유닛(160)과 연결되어 탑부력유닛(160)을 지지하는 지지 측판들(151a,152a)을 포함할 수 있다. 즉, 측판 구조체(151,152)는 메인부력유닛(110,120)과 탑부력유닛(160)을 연결할 수 있다. 이때, 측판 구조체(151,152)는 메인부력유닛(110,120)로부터 탑부력유닛(160)까지 연장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만, 측판 구조체(151,152)는 첨부된 도면에 개시된 형상 및 구조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다양한 형상으로 적절히 변경될 수 있다.
이하,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수상운송장치를 전술한 실시예와 상이한 점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수상운송장치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8은 전술한 실시예에서 도 5에 대응되는 도면이라 할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수상운송장치(200)는 한 쌍의 메인부력유닛(210,220), 활주판 구조체(130), 데크 구조체(140), 측판 구조체(151,152), 탑부력유닛(260) 및 중량부(170)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수상운송장치(200)는 메인부력유닛(210,220)과 탑부력유닛(260)의 세부 구성을 제외한 나머지 구성들은 전술한 실시예에 따른 수상운송장치(100)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그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부여하였으며, 그에 대한 설명은 전술한 실시예를 준용하기로 한다.
메인부력유닛(210,220)은 경질의 보강케이스(211,221) 및 보강케이스(211,221)의 내부에 배치되고 기체 주입이 가능한 연질의 튜브부재(213a,213b,223a,223b)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보강케이스(211,221)에 관한 사항은 전술한 실시예에서 보강케이스(111,121)에 관한 사항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실시예에서 튜브부재는 하나의 메인부력유닛에 대해 2개씩 마련되지만, 본 발명에서 튜브부재는 1개 또는 3개 이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한편, 보강케이스(211,221)의 내부에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튜브부재(213a,213b,223a,223b)의 위치를 잡아주기 위한 격벽(215,225)이 더 구비될 수 있다.
탑부력유닛(260)은 메인부력유닛(210,220)과 마찬가지로, 경질의 보강케이스(261) 및 보강케이스(261)의 내부에 배치되고 기체 주입이 가능한 연질의 튜브부재(263a,263b,263c,263d)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탑부력유닛(260)을 구성하는 튜브부재의 개수는 적절히 변경될 수 있다. 한편, 보강케이스(261)의 내부에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튜브부재(263a,263b,263c,263d)의 위치를 잡아주기 위한 격벽(265,266,267)이 더 구비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본 실시예에서 메인부력유닛(210,220)과 탑부력유닛(260)은 전술한 실시예에서 부력체인 기체내장캡슐(113,123,163)을 연질의 튜브부재로 대체한 구성이라 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본 실시예에 따른 수상운송장치(200)는 전술한 실시예에 따른 수상운송장치(100)에서 기체내장캡슐(113,123,163) 자체가 갖는 이점을 제외하고는 전술한 실시예가 갖는 이점을 그대로 포함할 수 있다. 아울러, 튜브부재를 이용하는 본 실시예에 따른 메인부력유닛(210,220)과 탑부력유닛(260)은 기체내장캡슐을 이용하는 전술한 실시예에 따른 메인부력유닛(110,120)과 탑부력유닛(160)에 비해 그 제작이 쉽고 간단하다는 이점이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예컨대, 전술한 실시예들에서는 한 쌍의 메인부력유닛을 갖는 수상운송장치에 한정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3개 이상의 메인부력유닛을 갖는 수상운송장치에도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100,200 : 수상운송장치
110,120,210,220 : 메인부력유닛
160,260 : 탑부력유닛
170 : 중량부
130 : 활주판 구조체
140 : 데크 구조체
151,152 : 측판 구조체

Claims (16)

  1. 수상운송장치의 하부에 배치되고, 상기 수상운송장치에 부력을 제공하는 메인부력유닛;
    상기 수상운송장치의 상부에 배치되고, 상기 수상운송장치가 전복되었을 때 상기 수상운송장치가 옆으로 누운 상태를 유지하도록 상기 수상운송장치에 추가적인 부력을 제공하는 탑부력유닛; 및
    상기 수상운송장치의 하부에 배치되고, 상기 탑부력유닛에 의해 옆으로 누운 상태에 있는 상기 수상운송장치를 회전시키는 회전 모멘트로 작용하여 상기 수상운송장치를 일으켜 세우는 복원력을 제공하는 중량부를 포함하고,
    상기 메인부력유닛은, 상호 이격 배치되는 제1 단위부력유닛 및 제2 단위부력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수상운송장치는, 상기 제1 단위부력유닛과 상기 제2 단위부력유닛의 하부를 연결하는 활주판 구조체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단위부력유닛과 상기 제2 단위부력유닛 사이에서 상기 활주판 구조체에 의해 형성되는 유입공간에는, 외부로부터 물이 유입되어 채워지고 유입된 물이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상운송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탑부력유닛은,
    전복되어 뒤집힌 상태의 상기 수상운송장치를 부력을 통해 들어올려 옆으로 누운 상태로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상운송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탑부력유닛은, 상기 수상운송장치의 천장을 이루도록 형성되며,
    상기 수상운송장치는, 상기 메인부력유닛과 상기 탑부력유닛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탑부력유닛을 지지하는 측판 구조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상운송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중량부는,
    상기 메인부력유닛보다 아래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상운송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중량부는,
    상기 수상운송장치의 하부 중심 라인을 따라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상운송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중량부는,
    상기 수상운송장치의 선미 측에서 선수 측으로 길게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상운송장치.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16. 삭제
KR1020110036355A 2011-04-19 2011-04-19 수상운송장치 KR10134795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36355A KR101347953B1 (ko) 2011-04-19 2011-04-19 수상운송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36355A KR101347953B1 (ko) 2011-04-19 2011-04-19 수상운송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18767A KR20120118767A (ko) 2012-10-29
KR101347953B1 true KR101347953B1 (ko) 2014-01-15

Family

ID=472861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36355A KR101347953B1 (ko) 2011-04-19 2011-04-19 수상운송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4795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933838B (zh) * 2017-12-26 2024-03-29 南京工程学院 一种可集群型水上运输平台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173095U (ko) * 1987-10-29 1989-05-17
JPH08150990A (ja) * 1994-11-30 1996-06-11 K B Shokuhin Kk ウォーターバラスト付きボート
JPH09226683A (ja) * 1996-02-23 1997-09-02 Molten Corp 水上用フロート及びその製造方法
KR200345316Y1 (ko) * 2003-11-24 2004-03-18 남철우 선박의 침몰 방지구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173095U (ko) * 1987-10-29 1989-05-17
JPH08150990A (ja) * 1994-11-30 1996-06-11 K B Shokuhin Kk ウォーターバラスト付きボート
JPH09226683A (ja) * 1996-02-23 1997-09-02 Molten Corp 水上用フロート及びその製造方法
KR200345316Y1 (ko) * 2003-11-24 2004-03-18 남철우 선박의 침몰 방지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18767A (ko) 2012-10-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62981B1 (ko) 문풀의 저항 저감장치
KR101347953B1 (ko) 수상운송장치
RU2287449C1 (ru) Моторная надувная лодка (варианты)
KR200345316Y1 (ko) 선박의 침몰 방지구조
JP6124091B2 (ja) 浮力ユニットが具備されたボート
KR100805333B1 (ko) 평탄성을 갖는 공기 주입식 보트 및 그의 제조방법
KR20130120148A (ko) 보트
KR101259389B1 (ko) 수상운송장치
JP2009190717A (ja) コンテナ船
CN109803882B (zh) 具有水密壁的船舶
US3471876A (en) Synthetic resin boat
CN216424671U (zh) 一种支撑稳定性好强度高的船龙骨结构
JP3479619B2 (ja) 上甲板に浮力体を有する船舶
KR20160086565A (ko) 추진저항 감소 선박
JP2015027863A (ja) 浮体構造、及び小型船舶の船体構造
CN215436847U (zh) 带有触底防护的急流段客渡船
JP3184228U (ja) 自動車用ルーフボックス
CN219948514U (zh) 一种防止船舶倒扣的装置及具有防倒扣功能的船舶
CN112208701A (zh) 外置式船骨架船体
JP5201804B2 (ja) トリマラン構造船
KR102056866B1 (ko) 조립식 선박
KR200305892Y1 (ko) 1인승안전선박구조
KR20220139802A (ko) 래싱 브릿지 구조물 및 이를 포함하는 선박
KR20130028247A (ko) 침몰방지탱크가 구비된 선박 및 선박의 제조방법
KR20030093386A (ko) 선박 종접안 전용 물양장 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2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2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26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