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56866B1 - 조립식 선박 - Google Patents

조립식 선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56866B1
KR102056866B1 KR1020180043071A KR20180043071A KR102056866B1 KR 102056866 B1 KR102056866 B1 KR 102056866B1 KR 1020180043071 A KR1020180043071 A KR 1020180043071A KR 20180043071 A KR20180043071 A KR 20180043071A KR 102056866 B1 KR102056866 B1 KR 10205686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oyancy
coupled
auxiliary
bodies
de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430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119737A (ko
Inventor
김경호
Original Assignee
동신산업(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신산업(주) filed Critical 동신산업(주)
Priority to KR10201800430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56866B1/ko
Publication of KR201901197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1973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568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5686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7/00Collapsible, foldable, inflatable or like vessels
    • B63B7/02Collapsible, foldable, inflatable or like vessels comprising only rigid pa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1/00Hydrodynamic or hydrostatic features of hulls or of hydrofoils
    • B63B1/02Hydrodynamic or hydrostatic features of hulls or of hydrofoils deriving lift mainly from water displacement
    • B63B1/10Hydrodynamic or hydrostatic features of hulls or of hydrofoils deriving lift mainly from water displacement with multiple hulls
    • B63B1/12Hydrodynamic or hydrostatic features of hulls or of hydrofoils deriving lift mainly from water displacement with multiple hulls the hulls being interconnected rigidly
    • B63B1/121Hydrodynamic or hydrostatic features of hulls or of hydrofoils deriving lift mainly from water displacement with multiple hulls the hulls being interconnected rigidly comprising two hul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1/00Hydrodynamic or hydrostatic features of hulls or of hydrofoils
    • B63B1/32Other means for varying the inherent hydrodynamic characteristics of hulls
    • B63B1/40Other means for varying the inherent hydrodynamic characteristics of hulls by diminishing wave resistan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17/00Vessels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17/02Awnings, including rigid weather protection structures, e.g. sunroofs; Tarpaulins; Accessories for awnings or tarpauli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00Hulls characterised by their structure or component parts
    • B63B3/14Hull parts
    • B63B3/48Deck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70/00Maritime or waterways transport
    • Y02T70/10Measures concerning design or construction of watercraft hull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Revetment (AREA)

Abstract

본 명세서에 개시된 내용은 파도의 영향의 최소화하여 침몰을 방지하고 제작편의성이 개선된 조립식 선박의 제공에 관한 것이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조립식 선박은 중앙의 부력공간을 사이에 두고 이격된 상태에서 전방으로 연장되는 부력체들 및 상기 부력체들 각각의 상부에 결합되는 보조부력체들을 포함하는 부력부, 상기 보조부력체들과 결합되는 플레이트 형태의 갑판 및 상기 갑판의 가장자리를 둘러싸도록 형성되는 측벽을 포함하는 승선부 및 상기 갑판의 상부를 커버하도록 형성되고 기둥들을 통해 상기 갑판과 결합되는 상단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조립식 선박{PREFABRICATED VESSEL}
본 명세서에 개시된 내용은 선박에 관한 것으로, 파도의 영향을 최소화하여 침몰을 방지하고 제작편의성이 높는 조립식 선박에 관한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달리 표시되지 않는 한, 이 식별항목에 설명되는 내용들은 이 출원의 청구항들에 대한 종래 기술이 아니며, 이 식별항목에 기재된다고 하여 종래 기술이라고 인정되는 것은 아니다.
일반적으로 선박은 선박 자체의 부력을 통해 수상에서 부유한 상태에서 프로펠러의 회전에 의해 이동하므로, 에너지 소비가 높고, 선저하부(Side bottom) 및 평저(Flat bottom)을 포함하는 선저부는 상부에 위치한 수선부에 비해 좁게 형성되어 침몰에 약한 단점이 있다.
또한, 기존의 선박은 선박건조과정의 대부분이 용접기술에 의존할 정도로 용접을 통해 선체가 제작되므로 제작기간이 길고, 용접에 투입되는 기술인력에 대한 비용이 증가하여 제작단가가 높은 단점이 있다.
따라서, 파도의 영향을 최소화하여 침몰을 방지하고 구조적인 개선을 통해 에너지 절감이 가능하며, 기존의 선박을 제작하기 위해 사용되는 용접을 대신하여 단기간에 선박을 건조할 수 있는 기술이 필요하다.
이와 관련되어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1669363호는 조립식 선박을 개시하고 있고,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4-0032232호는 속도조절이 가능한 조립식 배를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기존 발명들은 조립이 가능한 선박에 관한 기술을 개시하고 있으나 파도의 영향이 최소화되고 침몰이 방지되는 기술은 개시하지 않고 있다.
파도의 영향의 최소화하여 침몰을 방지하고 제작편의성이 개선된 조립식 선박을 제공함에 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들로 한정되지 않으며, 이하의 설명으로부터 또 다른 기술적 과제가 도출될 수도 있음은 자명하다.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조립식 선박은 중앙의 부력공간을 사이에 두고 이격된 상태에서 전방으로 연장되는 부력체들 및 상기 부력체들 각각의 상부에 결합되는 보조부력체들을 포함하는 부력부, 상기 보조부력체들과 결합되는 플레이트 형태의 갑판 및 상기 갑판의 가장자리를 둘러싸도록 형성되는 측벽을 포함하는 승선부 및 상기 갑판의 상부를 커버하도록 형성되고 기둥들을 통해 상기 갑판과 결합되는 상단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부력체들 각각은 반원통형의 몸체들의 면결합을 통해 원통형으로 형성되고 전방을 향해 일렬 배치되어 서로 결합되는 부력통들을 포함하고, 상기 보조부력체들 각각의 일단은 서로 균일한 간격을 두고 이격 배치되어 상기 부력통들 각각에 결합되고, 각각의 타단은 상부를 향해 연장되어 상기 승선부와 결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보조부력체들 각각은 상대적으로 넓은 면적으로 형성되는 일측면이 상기 부력공간을 사이에 두고 서로 마주하고, 전방 일부분이 후방에 비해 오목하게 좁아지는 형태로 형성되며, 측면을 관통하는 복수의 중공들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조립식 선박은, 일단은 상기 부력체들 각각의 전방에 결합되고, 타단은 전방을 향해 축소되도록 연장되며, 전방에서 발생하는 충격을 완화하도록 탄성 재질로 형성되는 완충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조립식 선박은 상기 부력체보다 상대적으로 중량이 높도록 형성되고, 상기 부력체들 각각에 결합되는 중량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갑판은 상하부를 관통하는 복수의 홀들이 형성되고, 서로 결합하여 플레이트 형태로 형성되는 다공판들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조립식 선박은 대량 생산이 가능한 부품들의 조립을 통해 제작기간 및 제작비용이 감소되는 장점이 있다.
또한, 조립식 선박은 양측면에서 충돌하는 파도의 배출 통로를 형성하여 파도에 의한 조파저항을 최소화하고, 하부의 중량을 증가시켜 파도에 의해 전복되는 것을 방지하는 장점이 있다.
또한, 조립식 선박은 대부분의 재질이 발포폴리프로필렌(EPP: EXPANDED POLYPROPYLENE)로 형성되어 내구성, 방수성 및 부력성이 우수하고, 대량생산이 용이하며, 친환경적인 장점이 있다.
아울러, 이와 같은 기재된 본 발명의 효과는 발명자가 인지하는지 여부와 무관하게 기재된 내용의 구성에 의해 당연히 발휘되게 되는 것이므로 상술한 효과는 기재된 내용에 따른 몇 가지 효과일 뿐 발명자가 파악 또는 실재하는 모든 효과를 기재한 것이라 인정되어서는 안 된다.
또한, 본 발명의 효과는 명세서의 전체적인 기재에 의해서 추가로 파악되어야 할 것이며, 설사 명시적인 문장으로 기재되어 있지 않더라도 기재된 내용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명세서를 통해 그러한 효과가 있는 것으로 인정할 수 있는 효과라면 본 명세서에 기재된 효과로 보아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선박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조립식 선박의 하부를 나타낸 사시도들.
도 3은 도 1의 조립식 선박의 사시도, 정면도 및 측면도들.
도 4는 도 1의 조립식 선박의 완충부를 확대하여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도 1의 부력통을 확대하여 분해한 분해사시도.
도 6은 도 1의 부력통들의 연결 상태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들.
도 7은 도 1의 부력통의 단면도.
도 8은 도 1의 조립식 선박의 부력통 및 보조부력체의 결합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9는 본 명세서에 개시된 내용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선박에 결합되는 날개의 사시도 및 단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선박의 구성, 동작 및 작용효과에 대하여 살펴본다. 참고로, 이하 도면에서, 각 구성요소는 편의 및 명확성을 위하여 생략되거나 개략적으로 도시되었으며, 각 구성요소의 크기는 실제 크기를 반영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하며 개별 도면에서 동일 구성에 대한 도면 부호는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선박의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2는 도 1의 조립식 선박의 하부를 나타낸 사시도들을 도시한다. 도 3은 도 1의 조립식 선박의 사시도, 정면도 및 측면도들을 도시한다.
도 1 내지 3들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립식 선박(100)은 부력부(200), 승선부(300), 완충부(400), 중량부(450), 조타부(500) 및 상단부(600)를 포함한다.
조립식 선박(100)은 선원 또는 승객들이 승선하는 승선부(300)가 수면과 이격되도록 배치되고, 양측 외부와 연결된 부력공간(10)이 승선부(300)의 하부에 형성되며, 파도의 유입 및 배출이 용이하여 파도의 영향이 최소화되고 침몰이 방지된다.
부력부(200)는 중앙의 부력공간(10)을 사이에 두고 서로 이격된 상태에서 전방으로 연결되는 제1 및 제2 부력체(210, 220)들 및 상기 제1 및 제2 부력체(210, 220)들 각각의 상부에 결합되는 보조부력체(230)들을 포함한다.
제1 및 제2 부력체(210, 220)들 각각은 부력통(250)들을 포함한다.
부력통(250)들 각각은 원통 형태로 형성되고, 일단 및 타단에 형성된 원형의 평면을 통해 서로 면결합하여 일 방향으로 길게 연장된 형태의 제1 또는 제2 부력체(210, 220)들을 형성한다.
부력통(250)들 각각의 내부에는 철근이 인서트되어 프레임을 형성하고, 외부에는 상기 프레임을 감싸는 경량 부력소재인 발포폴리프로필렌(EPP)이 형성되며, 표면은 WFT(WOVEN FIBER REINFORCED THERMOPLASTICS) 소재로 커버되어 내구성이 높은 장점이 있다.
보조부력체(230)들 각각은 일단은 부력통(250)의 상부에 결합되고, 타단은 상부를 향해 소정의 거리만큼 연장되어 승선부(300)의 저면과 결합되며, 전방은 후방에 비해 오목하게 돌출되어 전방 양측면 일부분이 전방을 향해 축소 연장되는 형태의 경사면들을 형성한다.
따라서, 조립식 선박(100)이 전방을 향해 항해하는 상태에서, 보조부력체(230)들 각각의 전방에서 유입되는 파도는 상기 경사면들에 의해 후방 양측을 향해 흘러가므로 조파저항이 최소화되는 장점이 있다.
보조부력체(230)들 각각의 상단에는 보조부력체(230)의 양측면을 관통하는 중공(232)들이 형성되고, 조립식 선박(100)의 양측면에서 충돌하는 파도는 보조부력체(230)들 사이의 공간 및 중공(232)들을 통해 부력공간(10)을 통과하므로 양측면의 조파저항이 감소되는 장점이 있다.
승선부(300)는 갑판(310), 측벽(320) 및 기둥(330)을 포함한다.
승선부(300)는 부력부(200)의 상부에 결합되고, 갑판(310)의 가장자리에 형성되는 측벽(320)들을 통해 중앙에 화물 또는 승객을 위한 공간을 형성하고, 기둥(330)들을 통해 상단부(600)와 결합된다.
갑판(310)은 상하부를 관통하는 복수의 홀들이 형성되는 플레이트 형태의 다공판들이 서로 결합하여 제작되고, 저면 양측면 일부는 보조부력체(230)들 각각의 상부와 결합된다.
상기 다공판은 내부에 와이어가 인서트된 발포폴리프로필렌(EPP)로 제작되어 염수 부식에 강하고 노화의 문제없이 장시간 사용이 가능하며, 상기 홀들을 통해 갑판(310)으로 유입되는 물을 외부로 배출할 수 있다.
측벽(320)들은 난연재가 첨가된 상기 EPP로 제작되고, 양측면이 서로 결합하며 갑판(310)의 가장자리를 둘러싸도록 형성되어 화물 또는 승객이 승선할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하며, 승객들의 낙하를 방지한다.
기둥(330)들의 일단은 서로 이격되고 측벽(320)에 인접하도록 배치된 상태에서 갑판(310)과 결합되며, 타단은 상부를 향해 연장되어 상단부(600)의 저면과 결합된다.
완충부(400)는 제1 및 제2 부력체(210, 220)들 각각의 전방에서 부력통(250)들 각각의 내부에 인서트된 프레임과 연결되도록 부력통(250)들과 각각 결합되고, 전방을 향해 오목하게 돌출되도록 형성된다.
완충부(400)의 전방은 곡면을 형성하고, 부력통(250)과 결합되는 부분에서 전방을 향해 축소되며 연장되어 전방에서 밀려오는 파도에 대한 조파저항이 감소하는 장점이 있다.
또한, 완충부(400)는 방탄조끼용 섬유가 삽입된 고무 및 상기 고무의 내부에 인서트되는 철근으로 제작되고, 조립식 선박(100)이 항해 중에 전방의 물체와 충돌하는 경우 충격을 효과적으로 흡수하고 파손 가능성이 낮다.
조타부(500)는 갑판(310) 및 측벽(320)의 전방에 배치되어 갑판(310) 및 측벽(320)과 결합되고, 전방은 반원 형태로 곡면을 형성하며, 전방 하부에서 후방 상부를 향해 경사면이 형성되어 바람 또는 파도에 대한 저항이 낮은 장점이 있다.
상단부(600)는 저면이 기둥(330)들 각각의 타단과 결합되어 갑판(310)의 상부를 커버하고, 염수 부식에 저항이 강한 경량의 고분자로 제작되어 갑판(310)에 승선한 승객들을 보호한다.
도 4는 도 1의 조립식 선박의 완충부를 확대하여 도시한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완충부(400)는 고무캡(420), 연결프레임(422) 및 연결판(424)을 포함한다.
고무캡(420)은 조립식 선박(100)의 전방에서 충돌할 수 있는 암초, 물체 또는 선착장의 구조물의 충격을 완화하기 위해 설치되고, 전방이 오목한 캡형태로 형성되어 조파저항이 낮은 장점이 있다.
고무캡(420)의 내부에는 방탄섬유가 인서트되어 전방에서 지속적으로 가해지는 파도에 의한 압력 및 암초에 의한 충돌에 의한 파손 염려가 적고, 중량이 낮아 에너지 절감에 적합하다.
연결프레임(422)들 각각은 제1 또는 제2 부력체(210, 220)들 중 어느 하나와 일단이 결합되고, 타단은 전방을 향해 경사지게 서로 인접하도록 연장되어 고무캡(420)의 후방에 결합된다.
구체적으로, 연결프레임(422)들 각각의 일단은 서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 이격된 상태로 제1 또는 제2 부력체(210, 220)들 중 어느 하나의 내부에 인서트된 프레임과 연결되고, 타단은 전방을 향해 연장되어 고무캡(420)의 배면 가장자리에 결합된다.
연결판(424)들 각각은 일단은 제1 또는 제2 부력체(210, 220)들 중 어느 하나의 전면 가장자리에 밀착되고, 타단은 고무캡(420)의 배면 가장자리에 밀착되며, 고무캡(420) 및 제1 또는 제2 부력체(210, 220)들 사이에서 연결프레임(422)들을 커버한다.
연결판(424)들은 연결프레임(422)들을 커버하는 상태에서 고무캡(420)의 표면과 제1 또는 제2 부력체(210, 220)들 중 어느 하나의 표면을 연결하는 경사면을 형성하여 전방의 파도에 의한 조파저항이 최소화되는 장점이 있다.
도 5는 도 1의 부력통을 확대하여 분해한 분해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6은 도 1의 부력통들의 연결 상태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들을 도시한다. 도 7은 도 1의 부력통의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부력통(250)들 각각은 제1 몸체(260), 제2 몸체(280), 제1 프레임(370) 및 제2 프레임(290)을 포함한다.
제1 몸체(260) 및 제2 몸체(280)들 각각의 일단은 반원 형태의 평면으로 형성되고, 타단을 향해 소정의 거리만큼 연장되어 서로 결합되면 원통형태로 형성되며, 내부에는 부력을 제공하는 제1 및 제2 보조몸체(700, 720)들이 삽입되는 공간들이 형성된다.
제1 몸체(260) 및 제2 몸체(280)들 각각의 내부에는 제1 및 제2 프레임(370, 290)들 각각이 인서트되고, 부력통(250)들이 서로 결합되는 상태에서 제1 및 제2 프레임(370, 290)들 각각은 인접한 부력통(250) 내부의 제1 및 제2 프레임(370, 290)들과 브라켓(20)을 통해 서로 연결된다.
제1 및 제2 몸체(260, 280)들 각각의 내부에 배치되는 제1 및 제2 보조몸체(700, 720)들 각각은 제1 및 제2 몸체(260, 280)들 각각을 이루는 상기 EPP보다 상대적으로 낮은 밀도로 제작되어 중량이 낮고 부력이 높다.
제1 및 제2 보조몸체(700, 720)들 각각은 제1 및 제2 몸체(260, 280)들 내부에 배치된 상태에서 제1 및 제2 몸체(260, 280)들 사이로 물이 유입되는 경우에도 부력을 유지하므로, 제1 및 제2 몸체(260, 280)들 사이에 빈공간이 형성되는 상태보다 부력 안정성이 높은 장점이 있다.
구체적으로, 제1 몸체(260)는 제1 차단판(262), 제1 체결부(264), 제2 체결부(266) 및 제3 체결부(268)를 포함한다.
제1 몸체(260)의 일측은 반원형태로 오목하게 돌출되고, 타측은 가장자리를 제외한 중앙 일부분들이 일측을 향해 오목하게 함몰된 형태로 형성되며, 중앙 내측면에 플레이트 형태로 형성되는 제1 차단판(262)에 의해 제1 및 제2 보조몸체(700, 720)들의 일부분이 삽입되는 2개의 공간들이 형성된다.
제1 체결부(264)들은 제1 몸체(260)의 일단에서 제1 몸체(260)의 타측 평면을 사이에 두고 서로 대칭으로 형성되고, 제1 몸체(260)의 일측에서 타측을 향해 소정의 거리만큼 함몰된 형태의 홈들이 각각 형성된다.
제1 체결부(264)들 각각은 한 쌍의 체결구들에 의해 후술될 제2 몸체(280)에 형성된 체결부들과 결합되고, 상기 체결구들은 제1 체결부(264)들 각각에 형성된 홈의 내부에 배치되어 조파저항을 감소시키는 장점이 있다.
제2 체결부(266)들은 제1 몸체(260)의 중앙 타측에서 제1 차단판(262)을 사이에 두고 서로 대칭으로 형성되고, 제1 몸체(260)의 일측 중앙에서 타측을 향해 소정의 거리만큼 함몰된 형태의 홈들이 각각 형성된다.
제2 체결부(266)들 각각은 한 쌍의 체결구들에 의해 제2 몸체(280)의 중앙에 형성된 체결부들과 결합되고, 상기 체결구들은 제2 체결부(266)들 각각에 형성된 홈의 내부에 배치되어 조파저항을 감소시킨다.
제3 체결부(268)들은 제1 몸체(260)의 타단에서 제1 몸체(260)의 타측 평면을 사이에 두고 서로 대칭으로 형성되고, 제1 몸체(260)의 타단 일측에서 타측을 향해 소정의 거리만큼 함몰된 형태의 홈들이 형성된다.
제3 체결부(268)들 각각은 한 쌍의 체결구들에 의해 제2 몸체(280)의 타단에 형성된 체결부들과 결합되고, 상기 체결구들은 제3 체결부(268)들 각각에 형성된 홈의 내부에 배치되어 조파저항이 감소된다.
제1 프레임(370)은 제1 보강재(372), 제2 보강재(374), 제3 보강재(376), 제1 연결재(378) 및 제2 연결재(379)를 포함한다.
제1 프레임(370)은 제1 몸체(260)의 표면 안쪽에 인서트되도록 형성되고, 와이어 형태로 서로 연결되어 수상의 다양한 위치에서 제1 몸체(260)를 압박하는 다양한 형태의 외력에도 제1 몸체(260)가 형태를 유지하도록 지지한다.
제1 보강재(372)는 제1 몸체(260)의 일측을 향해 아치 형태로 절곡된 상태에서 와이어가 제1 보강재(372)의 양끝단을 연결하도록 형성되어 전체적으로 반원의 가장자리를 연결하는 형태로 형성된다.
제2 보강재(374)는 제1 보강재(372)와 동일한 형태로 형성되고, 제1 보강재(372)와 동일 수직선상에서 하부를 향해 소정의 거리만큼 이격 배치되며, 제1 보강재(372)와 평행하도록 배치된다.
제3 보강재(376)는 제1 및 제2 보강재(372, 374)들과 동일한 형태로 형성되고, 제2 보강재(374)와 동일 수직선상에서 하부를 향해 이격 배치되며, 제1 및 제2 보강재(372, 374)들과 평행하도록 배치된다.
제1 연결재(378)들 각각의 일단은 제1 몸체(260)의 오목한 일측 안쪽에 배치되는 제1 보강재(372)의 오목한 부분에서 서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 이격된 상태로 제1 보강재(320)와 결합된다.
제1 연결재(378)들 각각의 타단은 하부를 향해 연장되어 제2 및 제3 보강재(374, 376)들 각각의 오목한 부분과 결합되며, 제1 연결재(378)들 사이의 거리는 일단에서 타단에 이르기까지 동일하도록 유지된다.
제2 연결재(379)들 각각의 일단은 제1 몸체(260)에 인서트된 상태에서, 제1 몸체(260)의 타측 평면에 인접하도록 위치한 제1 보강재(372)의 양측에 각각 결합되고, 타단은 하부를 향해 연장되어 제2 보강재(374) 및 제2 보강재(376)들 각각의 양측과 결합된다.
따라서, 제1 프레임(370)은 제1 및 제2 연결재(378, 379)들 각각이 제1 내지 제3 보강재(372, 374, 376)들 각각을 서로 연결하도록 형성되어 전체적으로 제1 몸체(260)의 형태와 유사하도록 형성된다.
제2 몸체(280)는 제2 차단판(282), 제4 체결부(284), 제5 체결부(286) 및 제6 체결부(287)를 포함한다.
제2 몸체(280)는 일단이 반원형의 평면으로 형성되고, 타단은 하부를 향해 길게 연장되어 일측은 오목하고 제1 몸체(260)가 위치한 타측에는 일측을 향해 오목하게 함몰된 소정의 공간들이 형성된다.
제2 몸체(280)의 타측에는 가장자리를 제외한 중앙 일부가 일측을 향해 오목하게 함몰되도록 형성되고, 중앙 내측면에 반원 형의 플레이트 형태로 형성되는 제2 차단판(282)이 형성되어 타측의 함몰된 공간을 2개의 공간들로 구획한다.
제2 몸체(280) 타측의 가장자리에 형성된 평면은 제1 몸체(260)의 타측에 형성된 평면과 면결합되고, 동시에 제1 차단판(262) 및 제2 차단판(282)이 서로 결합되어 부력통(250)들 각각의 내부에는 제1 및 제2 보조몸체(700, 720)들이 삽입되는 2개의 공간들이 서로 분리되도록 형성된다.
제4 체결부(284)들은 제2 몸체(280)의 일단 타측에서 타측의 평면을 사이에 두고 서로 대칭으로 형성되고, 제2 몸체(280)의 일측에서 제1 몸체(260)의 제1 체결부(264)를 향해 소정의 거리만큼 함몰된 형태의 홈들이 각각 형성된다.
제4 체결부(284)들 각각은 한 쌍의 체결구들을 통해 제1 체결부(264)들 각각과 결합되고, 상기 체결구들은 제1 체결부(264) 및 제4 체결부(284)에 각각 결합된 상태에서 제1 체결부(264) 및 제4 체결부(284)들 각각에 형성된 홈의 내부에 배치된다.
제5 체결부(286)들은 제2 몸체(280)의 중앙 타측에서 제2 차단판(282)을 사이에 두고 서로 대칭으로 형성되고, 제2 몸체(280)의 일측 중앙에서 타측을 향해 소정의 거리만큼 함몰된 형태의 홈들이 각각 형성된다.
제5 체결부(286)들 각각은 한 쌍의 체결구들에 의해 서로 인접한 제2 체결부(266)들 각각과 결합되고, 상기 체결구들은 제2 체결부(266) 및 제5 체결부(286)들 각각에 형성된 홈의 내부에 배치되어 조파저항을 감소시킨다.
제6 체결부(287)들은 제2 몸체(280) 타단의 타측 평면을 사이에 두고 서로 대칭으로 형성되고, 제2 몸체(280)의 타단 일측에서 타측을 향해 소정의 거리만큼 함몰된 형태의 홈들이 형성된다.
제6 체결부(287)들 각각은 한 쌍의 체결구들에 의해 인접한 위치의 제3 체결부(268)들 각각과 결합되고, 상기 체결구들은 제3 체결부(268) 및 제6 체결부(287)에 각각 결합된 상태에서 제3 체결부(268)들 및 제6 체결부(287)들 각각에 형성된 홈의 내부에 배치된다.
제2 프레임(290)은 제4 보강재(292), 제5 보강재(294), 제6 보강재(296), 제3 연결재(298) 및 제4 연결재(299)를 포함한다.
제2 프레임(290)은 제2 몸체(280)의 표면 안쪽에 인서트 되고, 와이어 형태로 서로 연결되도록 형성되어 제2 몸체(280)를 압박하는 다양한 형태의 외력에도 제2 몸체(280)가 형태를 유지하도록 제2 몸체(280)를 지지한다.
제4 보강재(292)는 제2 몸체(280)의 일측을 향해 아치 형태로 절곡된 상태에서 와이어가 제4 보강재(299)의 양끝단을 연결하도록 형성되어 전체적으로 반원의 가장자리를 연결하는 형태로 형성된다.
제5 보강재(294)는 제4 보강재(292)와 동일한 형태로 형성되고, 제4 보강재(292)와 동일 수직선상에서 하부를 향해 소정의 거리만큼 이격되며 제4 보강재(292)와 평행하게 배치된다.
제6 보강재(296)는 제4 및 제5 보강재(292, 294)들과 동일한 형태로 형성되고, 제5 보강재(294)와 동일 수직선상에서 하부를 향해 소정의 거리만큼 이격되며 제4 및 제5 보강재(292, 294)들과 평행하도록 배치된다.
제3 연결재(298)들 각각의 일단은 제2 몸체(280)의 오목한 일측에 인서트된 제4 보강재(292)의 오목한 부분에 서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 이격된 상태로 제4 보강재(292)와 결합된다.
제3 연결재(298)들 각각의 타단은 하부를 향해 연장되어 제5 및 제6 보강재(294, 296)들 각각의 오목한 부분과 결합되며, 제3 연결재(298)들 사이의 거리는 일단에서 타단에 이르기까지 동일하도록 유지된다.
제4 연결재(299)들 각각의 일단은 제2 몸체(280)의 내부에 인서트된 상태에서 제2 몸체(280)의 타측에 인접한 제4 보강재(292)의 양측에 각각 결합되고, 타단은 하부를 향해 연장되어 제5 보강재(294) 및 제6 보강재(296)들 각각과 결합된다.
따라서, 제2 프레임(290)은 제3 및 제4 연결재(298, 299)들 각각이 제4 내지 제6 보강재(292, 294, 296)들 각각을 서로 연결하여 전체적으로 제2 몸체(280)의 형태와 유사하도록 형성된다.
한편, 제1 몸체(260) 및 제2 몸체(280)들 각각은 제1 프레임(370) 및 제2 프레임(290)들 각각을 둘러싸는 형태로 형성되고, 내열성, 내충격성 및 내구성이 우수하고 재활용이 가능한 친환경 소재인 발포폴리프로필렌(EPP: Expanded Polypropylene) 재질로 형성된다.
제1 몸체(260) 및 제2 몸체(280)들 각각은 제1 프레임(370) 및 제2 프레임(290)들 각각을 성형틀의 내부에 배치한 상태에서 액상화된 상기 EPP의 원료물질을 상기 성형틀에 주입하여 제작할 수 있고, 제1 몸체(260) 또는 제2 몸체(280)의 타측 상하부에 형성된 공간은 상기 EPP에 의해 충진되도록 제작될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평행하도록 배치되는 제1 연결재(378)들 각각은 안쪽에서 제1 몸체(260)의 일측을 향해 연장되도록 배치되는 너트(12)들과 각각 결합된다.
제1 몸체(260)의 오목한 일측 상단(일단) 외측면에는 제1 몸체(260)의 타측을 향해 소정의 거리만큼 함몰된 연결홈이 형성되고, 브라켓(20)의 일단은 상기 연결홈에 삽입되어 제1 연결재(378) 및 제1 보강재(372)와 결합된 너트(12)와 결합된다.
제1 몸체(260)의 오목한 일측 하단(타단) 외측면에는 제1 몸체(260)의 타측을 향해 소정의 거리만큼 함몰된 연결홈이 형성되고, 브라켓(20)의 일단은 상기 연결홈에 삽입되어 제1 연결재(378) 및 제3 보강재(294)와 결합된 너트(12)와 결합된다.
제2 몸체(280)의 오목한 일측 일단(상단) 외측면에는 제2 몸체(280)의 타측을 향해 소정의 거리만큼 함몰된 연결홈이 형성되고, 브라켓(20)의 일단은 제2 몸체(280)에 형성된 상기 연결홈에 삽입되어 제3 연결재(298) 및 제4 보강재(292)에 결합된 너트(12)들과 결합된다.
제2 몸체(280)의 오목한 일측 타단 외측면에는 제2 몸체(280)의 타측을 향해 소정의 거리만큼 함몰된 연결홈이 형성되고, 브라켓(20)의 일단은 제2 몸체(280)에 형성된 상기 연결홈에 삽입되어 제3 연결재(298) 및 제4 보강재(520)에 결합된 너트(12)와 결합된다.
제2 몸체(280)의 오목한 일측의 타단(하단) 외측면에는 제2 몸체(280)의 타측을 향해 소정의 거리만큼 함몰된 연결홈이 형성되고, 브라켓(20)의 일단은 제2 몸체(280)에 형성된 상기 연결홈에 삽입되어 제3 연결재(298) 및 제6 보강재(296)에 결합된다.
제1 몸체(260)의 타측 평면을 사이에 두고 대칭으로 배치되는 제2 연결재(379)들 각각의 일단 및 타단에는 제2 연결재(379)들 각각과 결합되는 너트(12)들이 서로 반대 방향을 향해 연장되도록 형성되고, 제2 연결재(379)들과 결합되는 너트(12)들 각각은 제1 보강재(372) 또는 제3 보강재(376)와 결합될 수 있다.
제2 몸체(280)의 타측 평면을 사이에 두고 배치되는 제4 연결재(299)들 각각의 일단 및 타단에는 제4 연결재(299)들 각각과 결합되는 너트(12)들이 서로 반대 방향을 향해 연장되도록 형성되고, 제4 연결재(299)들 각각과 결합되는 너트(12)들은 제2 몸체(280)의 일단 또는 타단에서 제4 보강재(292) 또는 제6 보강재(296)와 결합될 수 있다.
제2 연결재(379)들에 결합된 너트(12)들은 제4 연결재(299)들에 결합된 너트(12)들과 제2 및 제4 연결재(379, 299)들을 사이에 두고 서로 이격되도록 배치된다.
제1 및 제2 몸체(260, 280)들 각각의 양끝단 타측 외측면에는 소정의 거리만큼 함몰되는 홈들이 형성되고, 제1 및 제2 몸체(260, 280)들이 서로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홈들은 서로 연결되어 직사각 형태의 연결홈을 형성한다.
브라켓(20)의 일단은 제1 및 제2 몸체(260, 280)들이 서로 결합하며 형성하는 연결홈에 위치한 너트(12)들과 결합하고, 브라켓(20) 및 너트(12)들이 서로 결합되는 과정에서 너트(12)들이 제2 및 제4 연결재(379, 299)들 각각을 서로 인접하도록 압박하여 제1 몸체(260) 및 제2 몸체(280)간의 결합력을 개선한다.
제1 및 제2 보조몸체(700, 720)들 각각은 발포폴리프로필렌(EPP: EXPANDED POLYPROPYLENE) 재질로 제작되고 내부에는 발포 성형에 의한 복수의 공간들이 형성되며, 제1 몸체(260) 및 제2 몸체(280)는 서로 결합하여 제1 및 제2 보조몸체(700, 720)를 밀봉한다.
제1 및 제2 보조몸체(700, 720)들 각각은 제1 및 제2 몸체(260, 280)들의 연장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원통형으로 형성되고, 제1 및 제2 몸체(260, 280)들이 서로 결합된 상태에서 제1 및 제2 몸체(260, 280)들 내부에 형성된 공간들에 각각 배치된다.
부력통(250)들 각각의 내부에서 제1 보조몸체(700) 및 제2 보조몸체(720)는 제1 차단판(262) 및 제2 차단판(282)의 결합으로 서로 분리되고, 제1 몸체(260) 및 제2 몸체(280)의 내측면과 밀착되어 제1 몸체(260) 및 제2 몸체(280)의 사이로 외부의 물이 내부로 침투하는 것을 방지하고 부력을 일정하게 유지한다.
제1 및 제2 보조몸체(700, 720)들 각각은 부력통(250)의 외부에 위치하는 제1 및 제2 몸체(260, 280)들의 밀도보다 상대적으로 낮은 밀도로 형성되어 내부의 발포를 통해 형성된 복수의 공간들의 크기가 제1 및 제2 몸체(260, 280)들 각각의 내부에 발포를 통해 형성된 공간들의 크기보다 상대적으로 크게 형성된다.
따라서, 제1 및 제2 보조몸체(700, 720)들 각각은 제1 몸체(260) 및 제2 몸체(720)들 각각보다 상대적으로 부력이 높고, 제1 및 제2 몸체(700, 720)들의 내부에 배치되어 부력통(250)의 부력을 개선한다.
또한, 제1 및 제2 보조몸체(700, 720)들 각각이 부력통(250)의 내부에 배치되어 제1 몸체(260) 및 제2 몸체(280)의 변형을 방지하므로 안정적으로 부력통(250)의 부력을 장시간 유지하고 내구성이 개선되는 장점이 있다.
또한, 제1 및 제2 보조몸체(700, 720)들의 밀도를 제1 몸체(260) 및 제2 몸체(280)의 밀도와 동일하도록 제작하거나 상대적으로 높은 밀도를 가지도록 제작하여, 환경에 적합한 부력 및 중량을 가지도록 제어할 수 있다.
부력통(250)의 일단에 형성되어 부력통(250)들을 연결하는 브라켓(20)들 각각의 일단은 제1 보강재(372) 및 제1 보조몸체(700)의 사이에서 제1 보강재(372)와 결합되는 너트(12)들 및 제4 보강재(292) 및 제1 보조몸체(700) 사이에서 제4 보강재(292)와 결합되는 너트(12)들과 결합된다.
또한, 부력통(250)의 타단에 결합되어 부력통(250)들을 연결하는 브라켓(20)들의 일단은 제3 보강재(276)와 제2 보조몸체(720)의 사이에서 제3 보강재(276)와 결합되는 너트(12)들 및 제6 보강재(296)와 제2 보조몸체(720)의 사이에서 제6 보강재(296)와 결합되는 너트(12)들과 결합된다.
따라서, 부력통(250)의 일단에 추가로 부력통(250)이 브라켓(20)을 통해 결합되는 경우, 브라켓(20)이 너트(12)들과 결합되면서 서로 인접한 제1 보강재(372) 및 추가 결합된 부력통(250)의 타단에 형성된 제3 보강재(376)를 끌어당겨 부력통(250) 및 추가 결합된 부력통(250) 사이의 결합력을 강화한다.
또한, 제1 내지 제3 보강재(372, 374, 376)들의 경우 제1 연결재(378)들 및 제2 연결재(379)들에 의해 서로 연결되므로, 브라켓(20)들이 너트(12)들과 결합되면서 부력통(250) 및 부력통(250)의 일단에 추가 결합되는 부력통(250) 내부에 형성된 제1 프레임(260)과 연결되므로, 복수의 부력통(250)들이 브라켓(20)들을 통해 서로 결합되어 외력에 대한 내구성이 개선된다.
도 8은 도 1의 조립식 선박의 부력통 및 보조부력체의 결합상태를 나타낸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립식 선박(100)은 날개(740)를 더 포함하고, 보조부력체(230)들 각각의 일단은 브라켓(50)을 통해 부력통(250)의 상부와 결합되고, 보조부력체(230)들 각각에 인서트된 보조프레임(232)은 브라켓(50)을 사이에 두고 부력통(250)의 내부에 형성되는 보조프레임(232)과 연결된다.
보조프레임(232)은 보조부력체(230)의 내부에 인서트되고, 와이어 형태로 보조부력체(230)의 표면에 인접한 내부에 형성되며, 보조프레임(232)의 하부 중앙 및 상부에서 보조프레임(232)과 결합되는 너트(12)들은 양측을 향하도록 연장된 상태에서 보조프레임(232)과 결합된다.
브라켓(50)의 일단은 보조부력체(230)의 양측면 하부에서 서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 이격된 상태로 보조프레임(232) 하부에 배치되는 너트(12)들과 각각 결합되고, 타단은 양측을 향해 절곡된 상태에서 부력통(250)과 결합된다.
브라켓(50)의 타단은 보조부력체(230)의 양측에서 제2 연결재(379) 또는 제4 연결재(299)들과 각각 결합되는 너트(12)들과 결합되므로, 보조부력체(230)의 하부에 위치한 너트(12)들이 브라켓(50)들을 통해 부력통(250)과 결합되면, 자연스럽게 제1 및 제2 몸체(260, 280)들의 결합력을 강화시키는 장점이 있다.
날개(740)는 조립식 선박(100)의 양측에 각각 배치되는 부력통(250)들 각각의 외측면에 브라켓(55)들을 통해 결합되고, 수상에서 수면과 평행하도록 플레이트 형태로 결합된다.
구체적으로, 날개(740)의 일단은 전방 및 후방에 위치한 브라켓(55)들을 통해 부력통(250) 외측에 위치한 제1 연결재(378)들 또는 제3 연결재(298)들에 결합된 너트(12)들과 결합되고, 타단은 부력통(250)의 외측을 향해 소정의 거리만큼 연장되도록 형성된다.
날개(740)의 타단 전방의 일부분은 타단에서 일단 전방을 향해 경사지게 형성되어, 조립식 선박(100)의 전방에서 접근하는 파도에 의한 조파저항이 감소되는 장점이 있다.
따라서, 조립식 선박(100)이 일측 또는 타측으로 기울어지는 경우, 날개(740)들은 수면과 밀착하며 조립식 선박(100)이 과도하게 기울어지는 것을 방지하여 침몰을 방지하는 장점이 있다.
도 9는 본 명세서에 개시된 내용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선박에 결합되는 날개의 사시도 및 단면도를 도시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선박(120)은 날개(800)를 제외하면, 도 1 내지 7들의 조립식 선박(100)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동일한 참조번호와 명칭을 사용하고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립식 선박(120)은 날개(800)를 더 포함한다.
날개(800)는 탱크(820), 부력공간(830)들 및 주입구(840)를 포함한다.
날개(800)의 일단은 조립식 선박(120) 양측에 위치한 보조부력체(230)들 각각의 중앙 외측면에 결합되고, 타단은 외측을 향해 소정의 거리만큼 연장되며, 타단의 전방은 곡면 형태로 형성되어 전방의 파도에 의한 조파저항이 감소된다.
날개(800)의 하부에는 물이 저장되는 탱크(820)가 형성되고, 날개(800)의 상부에는 날개(800)의 상부면을 관통하여 탱크(820)를 향해 연장되어 외부공간과 탱크(820)를 연결하는 주입구(840)가 형성된다.
주입구(840)를 통해 탱크(820)로 유입되는 물은 하중으로 작용하여 조립식 선박(120)의 양측에 무게 균형을 맞추어 조립식 선박(120)이 안정된 자세를 가지도록 함과 동시에 조립식 선박(120)이 일측 방향으로 기울어질 때 타측의 물의 하중에 의해 전복되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탱크(820)의 후방 상부에 형성되는 부력공간(830)들은 외부와 차단되어 부력을 제공하고, 부력공간(830)들 각각에 상기 EPP를 삽입하여 날개(800)의 안정적인 부력을 유지하고, 내구성을 개선할 수 있다.
따라서, 조립식 선박(120)은 하부에 물이 저장되는 탱크(820) 및 상부에 부력을 제공하는 부력공간(830)을 가지는 날개(800)를 통해 일측으로 과도하게 기울어져 전복되는 것이 방지된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조립식 선박 200: 부력부
300: 승선부 400: 완충부
450: 중량부 500: 조타부
600: 상단부 700: 제1 보조몸체
720: 제2 보조몸체 740, 800: 날개

Claims (6)

  1. 중앙의 부력공간을 사이에 두고 이격된 상태에서 전방으로 연장되는 부력체들 및 상기 부력체들 각각의 상부에 결합되는 보조부력체들을 포함하는 부력부;
    상기 보조부력체들과 결합되는 플레이트 형태의 갑판 및 상기 갑판의 가장자리를 둘러싸도록 형성되는 측벽들을 포함하는 승선부; 및
    상기 갑판의 상부를 커버하도록 형성되고 기둥들을 통해 상기 갑판과 결합되는 상단부;를 포함하고,
    상기 부력체들 각각은 반원통형의 몸체들의 면결합을 통해 원통형으로 형성되고 전방을 향해 일렬 배치되어 서로 결합되는 부력통들을 포함하며,
    상기 보조부력체들 각각의 일단은 서로 균일한 간격을 두고 이격 배치되어 상기 부력통들에 각각 결합되고, 각각의 타단은 상부를 향해 연장되어 상기 승선부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선박.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부력체들 각각은,
    상대적으로 넓은 면적으로 형성되는 일측면이 상기 부력공간을 사이에 두고 서로 마주하고, 전방 일부분이 후방에 비해 오목하게 좁아지는 형태로 형성되며, 측면을 관통하는 복수의 중공들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선박.
  4. 제1항에 있어서,
    일단은 상기 부력체들 각각의 전방에 결합되고, 타단은 전방을 향해 축소되도록 연장되며, 전방에서 발생하는 충격을 완화하도록 탄성 재질로 형성되는 완충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선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부력체보다 상대적으로 중량이 높도록 형성되고, 상기 부력체들 각각에 결합되는 중량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선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갑판은,
    상하부를 관통하는 복수의 홀들이 형성되고, 서로 결합하여 플레이트 형태로 형성되는 다공판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선박.
KR1020180043071A 2018-04-13 2018-04-13 조립식 선박 KR10205686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43071A KR102056866B1 (ko) 2018-04-13 2018-04-13 조립식 선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43071A KR102056866B1 (ko) 2018-04-13 2018-04-13 조립식 선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19737A KR20190119737A (ko) 2019-10-23
KR102056866B1 true KR102056866B1 (ko) 2019-12-17

Family

ID=684609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43071A KR102056866B1 (ko) 2018-04-13 2018-04-13 조립식 선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56866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535495A (ja) * 2002-08-14 2005-11-24 ヘイリング テクノロジーズ ピーティーワイ リミテッド 船舶
KR100589523B1 (ko) * 2006-03-31 2006-06-19 유수근 가두리 양식장용 발판
US20170217543A1 (en) * 2016-01-28 2017-08-03 Ian Matthew HANDLEY Extendable hull system movable betwen mono-hull and multi-hull configurations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535495A (ja) * 2002-08-14 2005-11-24 ヘイリング テクノロジーズ ピーティーワイ リミテッド 船舶
KR100589523B1 (ko) * 2006-03-31 2006-06-19 유수근 가두리 양식장용 발판
US20170217543A1 (en) * 2016-01-28 2017-08-03 Ian Matthew HANDLEY Extendable hull system movable betwen mono-hull and multi-hull configuration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19737A (ko) 2019-10-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56866B1 (ko) 조립식 선박
CN207955955U (zh) 一种安全型轻质船只
US2375973A (en) Pneumatic float for aircraft
JP6124091B2 (ja) 浮力ユニットが具備されたボート
KR101147624B1 (ko) 선박용 균형유지장치
CN206590063U (zh) 一种防沉玻璃钢游艇
KR101616320B1 (ko) 선박용 에어스포일러
KR101259389B1 (ko) 수상운송장치
CN208233288U (zh) 船舱结构及牲畜船
RU2544030C2 (ru) Редан высокоскоростного судна из полимерных композиционных материалов
RU142815U1 (ru) Надувная моторная лодка
RU2533848C1 (ru) Моторная надувная лодка
CN113799922B (zh) 一种客滚船
CN215514020U (zh) 一种船体加强筋结构
US3299847A (en) Pontoon structure
RU2783765C1 (ru) Надувная комбинированная лодка и способ ее изготовления
KR20030008963A (ko) 조립식 frp보트
KR101757276B1 (ko) 유조선의 화물창 구조
KR20190114522A (ko) 다목적 부력체
RU189391U1 (ru) Рама надувного судна
CN202320716U (zh) 船体箱型梁抗冲击防护结构
KR20240010911A (ko) 활주선형 소형선박에 적용 가능한 구상선수 구조물
KR20240001496A (ko) 플랜지에 장착된 하이드로포일을 포함하는 조립식 보트
RU2081022C1 (ru) Подводная лодка плпи
KR20170035136A (ko) 선박의 에어스포일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