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47174B1 - 비접촉 평판 이송장치 - Google Patents

비접촉 평판 이송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47174B1
KR101347174B1 KR1020110025546A KR20110025546A KR101347174B1 KR 101347174 B1 KR101347174 B1 KR 101347174B1 KR 1020110025546 A KR1020110025546 A KR 1020110025546A KR 20110025546 A KR20110025546 A KR 20110025546A KR 101347174 B1 KR101347174 B1 KR 10134717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fluid
main plate
delete delete
nozz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255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107803A (ko
Inventor
박봉선
Original Assignee
박종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종선 filed Critical 박종선
Priority to KR10201100255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47174B1/ko
Publication of KR201201078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0780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471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4717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6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7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conveying, e.g. between different workstations
    • H01L21/67784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conveying, e.g. between different workstations using air trac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74Feeding, transfer, or discharging devices of particular kinds or types
    • B65G47/90Devices for picking-up and depositing articles or materials
    • B65G47/91Devices for picking-up and depositing articles or materials incorporating pneumatic, e.g. suction, grippers
    • B65G47/911Devices for picking-up and depositing articles or materials incorporating pneumatic, e.g. suction, grippers with air blasts producing partial vacuu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9/00Conveying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application for specified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G49/05Conveying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application for specified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ragile or damageable materials or articles
    • B65G49/06Conveying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application for specified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ragile or damageable materials or articles for fragile sheets, e.g. glass
    • B65G49/063Transporting devices for sheet glass
    • B65G49/064Transporting devices for sheet glass in a horizontal position
    • B65G49/065Transporting devices for sheet glass in a horizontal position supported partially or completely on fluid cushions, e.g. a gas cush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51/00Conveying articles through pipes or tubes by fluid flow or pressure; Conveying articles over a flat surface, e.g. the base of a trough, by jets located in the surface
    • B65G51/02Directly conveying the articles, e.g. slips, sheets, stockings, containers or workpieces, by flowing gases
    • B65G51/03Directly conveying the articles, e.g. slips, sheets, stockings, containers or workpieces, by flowing gases over a flat surface or in trough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03Apparatus specially adapted to the manufacture of LC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49/00Aspects relating to conveying systems for the manufacture of fragile sheets
    • B65G2249/04Arrangements of vacuum systems or suction cups
    • B65G2249/045Details of suction cups suction cu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oating Apparatu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양한 장비로부터 평판의 검사 및 측정작업이 용이하고 평판의 결함을 정확하게 검출할 수 있으며 강한 부양력을 생성시킴에 따라 평판을 흔들림 없이 안전하게 이송시켜 제품의 불량률을 최소화함은 물론 제품의 품질을 극대화함을 제공하도록, 내부로 고압의 유체가 공급될 수 있도록 가로로 길게 중공되는 유체공급로를 형성하고, 상기 유체공급로로부터 공급된 유체가 분사되면서 평판에 부양력을 생성시킬 수 있도록 유체의 흐름을 유도하는 노즐홈이 상면에 복수로 형성되며, 상기 유체공급로와 노즐홈이 서로 연통하도록 수직연결하는 토출로가 형성된 메인플레이트와; 상기 메인플레이트의 토출로에 고정 설치되고 상기 노즐홈을 향해 고압의 유체를 분사시킬 수 있도록 형성되는 노즐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메인플레이트는 상면에 상향으로 볼록하게 돌출되고 상기 노즐홈이 중앙에 위치하여 유체가 분사되는 유체분출부와, 상기 유체분출부 간에 오목하게 형성되고 외부로 분사된 유체가 흘러 상기 메인플레이트로부터 배출하는 유체배출부를 포함하는 비접촉 평판 이송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비접촉 평판 이송장치{Non-contact Plate Transferring Device}
본 발명은 비접촉 평판 이송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평판에 부양력을 가하여 부양이송하며 이송시 평판이 자중에 의해 쳐지거나 굽어지는 현상을 방지하므로 다양한 장비로부터 평판의 검사 및 측정작업이 용이하고 평판의 결함을 정확하게 검출할 수 있으며 강한 부양력을 생성시킴에 따라 평판을 흔들림 없이 안전하게 이송시켜 제품의 불량률을 최소화함은 물론 제품의 품질을 극대화하는 것이 가능한 비접촉 평판 이송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인라인 검사장비(In-Line FPD Automatic Optical Inspection)는 TFT LCD 패널이나 PDP, 컬러필터 등의 디스플레이 패널(display panel) 등을 안내하면서 광학렌즈와 CCD 카메라를 사용하여 검사 대상물의 이미지를 캡쳐한 후 이미지 프로세싱 알고리즘을 적용하여 사용자가 찾아내고자 하는 각종 결함을 검출해 내는 장비이다. 이러한 인라인 검사장비는 크게 불량을 검출하는 스캔섹션(scan section)과 리뷰섹션(review section) 및 언로딩 섹션(unlaod section)으로 분할된다. 이와 같은 검사장비가 검사시스템으로서의 역할을 다하기 위해서는 검출한 결함의 위치와 크기를 정확하게 알아내는 것도 중요하지만, 스캔섹션에서부터 언로딩 섹션까지 평판을 안내하는 반송수단의 역할 또한 중요한 요소로 작용한다. 최근에는 평판을 안내하는 반송수단으로 엘씨디(LCD), 피디피(PDP), 디엘피(DLP), 에프피디(FPD) 등과 같은 평판패널을 공기부양시켜 이송하도록 구성되는 공기부양식 평판패널 이송장치가 실용화되어 이용되고 있는 실정이다.
상기와 같은 공기부양식 평판패널 이송장치와 관련하여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0-0650290호에는, 고압의 압축에어가 공급되는 하부플레이트와, 상기 하부플레이트의 상부에 고정볼트에 의해서 고정되면서 에어가 분출되는 다수의 에어홀이 형성된 상부플레이트와, 상기 하부플레이트 및 상기 상부플레이트 사이에 배치되는 통상의 실리콘 가스켓으로 이루어진 비접촉 반송플레이트에 있어서, 상기 에어홀은 상기 상부플레이트의 하부면 상에 내측으로 수직하게 연장 형성되는 제1확장안내부와, 상기 제1확장안내부의 연장단에서 상기 상부플레이트의 내측으로 연장됨과 아울러 상기 제1확장안내부의 직경보다 작은 직경을 가지면서 내주면 상에는 암나사가 형성 제2확장안내부와, 상기 제2확장안내부의 연장단에서 상기 상부플레이트의 상부면을 관통하는 미세안내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1확장안내부 및 상기 제2확장안내부에는 상기 고압의 압축에어를 고압의 저유량으로 변화시켜 상기 미세안내부로 분출되게 하는 저항수단이 끼워지도록 구성되어 고압의 압축에어를 고압의 저유량으로 분출시킴에 따라 패널을 반송할 때 떨림현상을 줄일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접촉 반송플레이트가 개발되어 있다.
또한, 관련기술로서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0-0913298호에는 상부면상 가운데에는 길이방향으로 진공챔버가 형성되고, 그 양쪽에는 이격되게 분출챔버가 형성되어 상기 진공챔버에는 외부의 진공펌프에서 흡입력을 인가받으며, 상기 분출챔버에는 외부의 콤푸레샤에서 압축공기를 인가받는 베이스; 상기 분출챔버 위에 장착되고, 내부에는 상기 분출챔버와 연통되는 다수의 분출로가 밀폐되게 형성되며, 상기 각각의 분출로에는 상측으로 관통되어 압축공기를 분출시키는 분사공이 형성되는 분출플레이트; 및 상기 진공챔버위에 양측이 상기 분출플레이트와 맞닿게 장착되어 틈새를 형성하고, 내부에는 상기 진공챔버와 연통되는 다수의 흡입로가 양측으로 개방되게 형성되어 상기 틈새로 흡입력이 작용되는 진공플레이트;를 포함한 구성으로 피반송물이 안정되게 반송하고 평탄도를 맞출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송플레이트가 공지되어 있다.
또한,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0-0876337호에는 챔버가 형성된 하판과, 상기 하판의 상부면상에 겹쳐지며 상기 챔버와 연통되는 다수의 결합공을 갖는 중판과, 상기 중판의 상부면상에 겹쳐지며 상기 결합공들과 연통되는 에어분출공을 갖는 상판과, 상기 에어분출공으로 삽입 고정되고 상기 챔버의 에어를 수용하여 상기 에어분출공과의 사이 틈새로 유도하는 에어분출볼트를 포함하는 흡입력을 갖는 비접촉식 반송 플레이트에 있어서, 상기 에어분출볼트의 상단에는 상기 에어가 상측 사선방향으로 분출되도록 머리부가 형성되되, 상기 머리부의 하부면은 상측으로 연장될수록 벌어지는 사선이 형성되고, 상기 에어분출공의 상단은 라운딩되며, 상기 에어분출볼트의 상부면상에는 오목한 홈이 형성되어 반송과 동시에 소량의 흡입력이 발생되므로 미세한 떨림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입력을 갖는 비접촉식 반송 플레이트가 공지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이송장치는 부양력에 의해 평판을 비접촉상태로 이송하기 때문에 얼룩이나 스크래치와 같은 흠집 없이도 평판을 이송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지만, 반면에 부양력을 생성시키는 유체의 공급이 부재된 공간에서는 평판이 아래로 과도하게 쳐지거나 굽어져 온전한 검사 및 측정작업이 어려운 단점이 있었다. 즉, 평판에 부양력을 생성시키는 이송장치는 복수로 설치하되 일정한 간격으로 서로 떨어져 설치되고 이송장치 간의 떨어진 공간에는 다양한 종류의 인라인 검사장비가 설치되어 이송 중인 평판을 검사하거나 측정하게 된다. 이처럼 이송장치 간에 서로 떨어져 부양력이 미치지 못하는 공간에서는 수평을 유지하며 이동중이던 평판이 갑자기 아래로 쳐지거나 굽어져 장비로부터 정확한 검사 및 측정결과를 얻지 못하고 평판의 결함을 온전히 찾아내지 못하거나 오차가 생기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에서 전술한 문제는 다양한 종류의 평판 중에서도 강성이 있어서 쉽게 구부러지지 않는 리지드 평판(rigid plate)보다도 어느 정도의 강성은 있지만 자중만으로 쉽게 구부러지는 필름 등의 유연한 평판(flexible plate)에 크게 나타나게 된다. 또한, 최근에는 검사장비의 설비 및 온전한 검사와 측정 등의 이유로 이송장치 간의 간격을 가급적 넓혀 설치함에 따라 평판이 쳐지거나 굽어지는 현상으로부터 정확하면서도 온전한 검사 및 측정이 이루어질 수 있는 기술개발이 요구되는 실정이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이송시 평판의 직진도를 높이도록 이송 전에 평판을 미리 접어(folding)준 다음 펼쳐 평판이 소정의 굽어진 상태로 이송함에 따라 평판이 이송중에 쳐지거나 굽어지는 현상을 방지하도록 하였으나, 이는 불필요하게 평판을 접어야하는 작업과 함께 검사 후에는 다시 펼쳐야하는 작업으로 인해 작업이 늦춰지고, 평판이 지속해서 접힌 상태를 유지하기 위해서는 확실하게 접어야하기 때문에 제품의 손상될 위험도가 높으며 이로 인해 불량률의 증가 및 품질이 저하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이송장치는 부양력을 생성시키기 위해 척력을 생성할 에어와 함께 인력을 생성할 진공의 공급이 필요하므로 에어 및 진공을 발생시키거나 공급할 수 있는 각각의 장치가 필요하여 설비비용이 많이 소요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최근에는 에어 공급만으로 인력과 척력을 동시에 생성시킬 수 있는 이송장치가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으나 평판을 부양하기 위해 생성되는 부양력이 약하고, 이송장치의 구조 및 각 구성들이 복잡한 형상을 이루므로 제작과정에서 가공이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더불어, 종래에 사용되었던 이송장치는 평판을 부양하기 위해 생성되는 부양력 중에서 평판을 끌어당기는 힘인 척력에 비해 평판을 밀어내는 힘인 인력이 상대적으로 크게 작용하므로 평판을 수평상태로 이송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즉, 공기의 흐름에 의해 생성되는 부양력 중에서 척력을 발생시키는 진공의 크기에 비해 인력을 발생시키도록 사방에서 흘러나와 서로 접촉하는 압력의 크기가 상대적으로 높게 발생하므로 평판이 균일하게 수평이송되지 못하고 이송중인 평판이 심하게 진동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나아가, 종래의 이송장치는 평판의 이송방향을 따라 서로 간격을 두고 복수로 설치되는데, 이송장치마다 생성되는 부양력의 차이로 인해 평판을 이송하거나 검사를 이유로 정지된 상태에서 평판이 수평상태를 유지하지 못하고 파형을 형성케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평판이 이송중에 복수로 설치된 이송장치 간의 공간 즉, 부양력이 부재된 영역으로부터 다시 이송장치에 의한 부양력이 적용되는 영역으로 접어드는 과정에서 평판에 갑자기 높은 압력이 가해짐에 따라 평판이 순간적으로 높이 부양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평판이 미세하게 굽어진 상태를 유지하며 이송되도록 구성하여 검사장비의 설치로 인해 부양력이 부재된 공간에서도 평판의 자중으로 쳐지거나 굽어지는 현상을 방지하고, 이는 다양한 장비로부터 평판의 검사 및 측정작업이 용이하여 각종결함을 정확하게 검출할 수 있으며, 명확한 검사 및 측정에 따른 작업으로 제품의 불량률을 최소화하면서 제품의 품질은 극대화하는 것이 가능한 비접촉 평판 이송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은 부양력에 의해 이송되는 과정에서 평판이 미세하게 자동으로 접힌 후 평형상태로의 부양이송이 가능함에 따라 평판을 이송하기 전에 접거나 이송된 후의 접힌 평판을 피는 작업이 불필요하여 작업의 편의성 및 신속성을 도모하고, 평판이 과도하게 접히는 현상을 방지하여 수평상태를 유지할 수 있으므로 제품의 불량률을 줄이면서 품질은 높이는 것이 가능한 비접촉 평판 이송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결합구조가 매우 간단하고 부양력을 생성시키는 수단이 간단한 형상을 이루므로 제작과정에서 가공이 용이하고, 유체의 흐름으로부터 높은 압력을 생성시킨 다음 급격한 유속으로의 이동이 가능한 구조를 이루므로 강한 부양력을 생성시켜 평판을 흔들림 없이 안전하게 이송시키는 것이 가능한 비접촉 평판 이송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평판에 부양력을 생성하도록 공급되는 압력이 흘러나갈 수 있는 수단을 형성하여 공기가 흐르면서 서로 접하는 특정위치에서 압력이 과도하게 높아지는 현상을 방지하므로 평판에 부양력을 적용하는 인력과 척력의 비율이 서로 평형을 이뤄 평판의 진동량을 최소화하면서 수평이송하는 것이 가능한 비접촉 평판 이송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평판에 부양력을 생성시키는 이송장치를 기계적으로 상하 이동시킬 수 있는 수단과 이송장치에 부양력을 생성토록 공급되는 유량을 조절할 수 있는 수단을 각각 설치하여 평판에 가해지는 부양력을 조절하므로 평판 이송시 수평도를 극대화하는 것이 가능한 비접촉 평판 이송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평판에 부양력을 생성시키는 이송장치로부터 평판의 진입구역은 상대적으로 부양력이 약하게 분사될 수 있도록 형성하여 평판이 이송중에 수평궤도를 벗어나는 현상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한 비접촉 평판 이송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이 제안하는 비접촉 평판 이송장치는 내부로 고압의 유체가 공급될 수 있도록 가로로 길게 중공되는 유체공급로를 형성하고, 상기 유체공급로로부터 공급된 유체가 분사되면서 평판에 부양력을 생성시킬 수 있도록 유체의 흐름을 유도하는 노즐홈이 상면에 복수로 형성되며, 상기 유체공급로와 노즐홈이 서로 연통하도록 수직연결하는 토출로가 형성된 메인플레이트와; 상기 메인플레이트의 토출로에 고정 설치되고 상기 노즐홈을 향해 고압의 유체를 분사시킬 수 있도록 형성되는 노즐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메인플레이트는 상면에 상향으로 볼록하게 돌출되고 상기 노즐홈이 중앙에 위치하여 유체가 분사되는 유체분출부와, 상기 유체분출부 간에 오목하게 형성되고 외부로 분사된 유체가 흘러 상기 메인플레이트로부터 배출하는 유체배출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메인플레이트는 평판의 이송방향에 대하여 직각방향으로의 양쪽 끝단이 상향하며 중앙부분은 하측으로 오목하게 굽어진 상태를 평판이 유지하면서 이송될 수 있도록 상기 메인플레이트의 상면 중앙부분이 하측으로 미세하게 오목한 만곡면을 이루어 형성된다. 즉, 상기 메인플레이트는 상면 양쪽 끝단의 최고점과 상면 중앙부분의 최저점 간에 10~15㎛의 단차 간격을 형성토록 이루어진다.
상기 노즐홈은 상기 메인플레이트에 의해 부양이송되는 평판으로부터 대향된 방향으로 오목한 만곡면을 형성하고 상기 메인플레이트의 상면으로 완만하게 연결되도록 이루어진다.
상기 메인플레이트의 유체분출부는 상기 메인플레이트 상에 사선방향으로 등간격을 이루며 배열 배치된다.
상기 유체분출부는 평판의 부양 높낮이를 조절가능하도록 상기 유체분출부 상면의 지름 크기를 구역에 따라 차등 형성하여 각각 배열 배치하되 상기 메인플레이트 상에 평판의 이송방향을 따라 부양 높이가 높아지도록 상기 메인플레이트에 평판이 진입하는 전방구역에는 상대적으로 상기 유체분출부 상면의 지름을 작게 형성하고, 평판의 이송방향을 따라 후방구역으로 갈수록 상기 유체분출부 상면의 지름이 점차적으로 크게 형성된다.
또한, 상기 메인플레이트는 평판의 이송방향을 따라 복수로 설치되고, 평판이 지속해서 평형이송할 수 있도록 상기 메인플레이트가 상하이동가능하여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높이조절수단을 더 포함하여 구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 상기 메인플레이트는 평판의 이송방향을 따라 복수로 설치되고, 평판이 전반적으로 평형이송가능하도록 상기 메인플레이트 내부로 공급하는 유체의 유량을 각각 조절공급하여 상기 메인플레이트로부터 분사되는 유체의 압력을 조절토록 이루어지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노즐부재는 상기 메인플레이트의 노즐홈 내에 위치하도록 형성되는 머리부와, 상기 머리부의 하단으로 연장되어 상기 메인플레이트의 토출로에 고정설치하도록 형성되는 결합부와, 상기 머리부 및 결합부에 수평 및 수직으로 연통하고 상기 토출로로 공급된 유체가 상기 노즐홈을 향해 이동가능하도록 형성되는 유로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노즐부재의 유로는 상기 토출로에 연통하여 상기 노즐홈을 향해 유체를 유도하도록 내부에 중공 형성되는 홀형 유로로 구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노즐부재의 유로는 외면상에 미세한 깊이를 갖는 홈 형태로서 상기 토출로에 연통하여 형성되는 홈형 유로로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유로(홈형 유로)는 상기 노즐부재의 결합부 외주연 상에 상기 토출로로부터 수직으로 연통하여 유체공급이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제1유로와, 상기 제1유로의 상단에 한쪽이 연결되어 가로방향으로 연통하고 상기 머리부의 하면에 형성되는 제2유로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노즐부재는 상기 머리부와 결합부 간에 직각을 이루도록 형성하여 구성한다. 또한, 상기 노즐부재는 상기 머리부와 결합부의 사이에 예각을 이루는 예각경사면이 형성되어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그리고, 본 발명은 상기 노즐부재의 결합부에 결합하여 상기 메인플레이트의 노즐홈과 상기 노즐부재의 머리부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노즐부재와 함께 서로 연통하는 유로가 형성되는 와셔부재를 더 포함하여 구성하는 것이 가능하고, 상기 유로는 상기 노즐부재의 결합부 외주연 상에 상기 토출로로부터 수직으로 연통하여 유체공급이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제1유로와, 상기 제1유로의 상단에 한쪽이 연결되어 가로방향으로 연통하고 상기 와셔부재의 하면에 형성되는 제2유로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와셔부재는 상기 노즐부재에 원활한 결속이 가능하도록 상기 결합부을 향해 내측으로 돌출되고 상기 제1유로에 대응하여 면 접촉하는 체결돌기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와셔부재는 하면과 상기 메인플레이트의 토출로 간에 직각을 이루어 상기 제2유로로부터 유체가 수평면을 따라 이동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또한, 상기 와셔부재는 하면이 예각을 이루며 한쪽을 향해 점점 하향하는 예각경사면을 형성하여 상기 제2유로로부터 유체가 경사면을 따라 이동할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메인플레이트의 노즐홈에는 상기 노즐부재 및 와셔부재의 예각경사면에 대응한 경사각을 이루며 상기 토출로에 연장 형성되는 예각경사구간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그리고, 본 발명은 상기 메인플레이트에서 상기 노즐홈의 중앙부분이 상측으로 돌출 형성되는 단턱부를 포함하여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그리고, 본 발명은 상기 노즐부재를 상기 메인플레이트 내에 고정 설치하도록 상기 노즐부재의 하단에 연장되고 외주연을 따라 수나사가 형성되는 체결부를 포함하여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메인플레이트의 유체공급로는 두 개의 열이 서로 연통하여 한 쌍을 이루고, 두 열의 상기 유체공급로 사이에 상기 노즐홈 및 토출로가 형성되며, 상기 노즐부재를 상기 토출로에 끼워 삽입한 후 상기 체결부가 결합될 수 있도록 암나사가 구비된 체결공이 형성되는 차단벽을 포함하여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상기 메인플레이트의 하부에는 상기 노즐홈 및 토출로에 동일수직선상을 이루는 삽입공을 형성하고, 상기 메인플레이트의 하측에서 상기 삽입공으로 끼운 후 상기 노즐부재의 체결부에 나사 결합하여 고정하도록 암나사가 구비된 너트공이 형성되는 체결부재를 더 포함하여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른 비접촉 평판 이송장치에 의하면, 평판이 이송중 부양력에 의해 미세하게 굽어질 수 있는 형상으로 메인플레이트를 형성하여 부양력이 부재된 공간에서도 평판이 자중에 의해 쳐지거나 굽어지는 현상을 방지하고, 이송시 평판의 직진도를 극대화할 수 있는 효과를 얻는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에 따른 비접촉 평판 이송장치는 평판 이송시 쳐짐을 방지하며 높은 직진도를 유지하므로 다양한 장비로부터 평판의 검사 및 측정작업이 용이하여 각종결함을 정확하게 검출할 수 있고, 명확한 검사 및 측정에 따른 작업으로 인해 제품의 불량률을 최소화하면서 제품의 품질은 극대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비접촉 평판 이송장치는 평판이 이송과정 중에 부양력을 통해 자동으로 굽어지면서 평형상태로 부양이송되므로 평판을 이송하기 전에 접거나 이송된 후의 접힌 평판을 피는 작업이 불필요하여 작업의 편의성 및 신속성을 도모하고, 평판이 과도하게 접히는 현상을 방지하여 수평상태를 유지할 수 있으므로 제품의 불량률을 줄이면서 품질은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비접촉 평판 이송장치는 메인플레이트와 노즐부재 간에 결합구조가 매우 간단하고 부양력을 생성토록 외부를 향해 분사하는 통로인 유로가 간단한 형상을 이루므로 제작과정에서 가공이 용이하고, 유체의 흐름으로부터 높은 압력을 생성시킨 다음 급격한 유속으로의 이동이 가능한 구조를 이루므로 강한 부양력을 생성시켜 평판을 흔들림 없이 이송시킬 수 있게 제품이송에 안전성을 극대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비접촉 평판 이송장치는 평판에 부양력을 생성시키는 유체의 압력이 자연히 흘러 메인플레이트의 외부를 향해 나갈 수 있도록 유체배출로을 형성하므로 공기가 흐르면서 서로 접하는 특정위치에서 압력이 과도하게 높아지는 현상을 방지하고, 이는 평판에 부양력을 적용하는 인력과 척력의 비율이 서로 평형을 이뤄 평판의 진동량을 최소화하면서 수평이송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비접촉 평판 이송장치는 평판에 부양력을 생성시키는 메인플레이트를 기계적으로 상하 이동시킬 수 있는 높이조절수단과 복수로 설치된 메인플레이트 내에 공급되는 유체의 압력을 각각 상이하게 조절공급할 수 있는 수단을 설치하여 평판에 가해지는 부양력을 조절하므로 평판 이송시 수평도를 극대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비접촉 평판 이송장치는 메인플레이트를 평판의 진입구역부터 시작하여 평판의 이송방향을 따라 구역별로 각각 차등한 부양력을 생성시키도록 유체분출부의 지름크기를 차등하게 형성하여 평판이 이송중에 과도한 압력을 접하는 현상을 방지하므로 평판이 이송중 수평궤도를 벗어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비접촉 평판 이송장치는 유체의 분출이 노즐홈으로부터 상측으로 떨어진 위치에서 이루어져 유체분출시 노즐홈과의 마찰을 최소화하고 공기와 크게 접촉하여 와류를 생성하면서 유체가 흐르기 때문에 평판을 부양하기 위해 생성되는 진공도를 극대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비접촉 평판 이송장치는 메인플레이트에 노즐부재를 압입하여 억지 끼움한 후 나사결합하는 구조를 이루므로 메인플레이트와 노즐부재의 결속력으로부터 체결상태를 견고하게 유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확대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있어서 메인플레이트의 높이조절 사용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에 있어서 노즐부재의 제1실시예를 나타내는 저면사시도.
도 6의 (a),(b)는 각각 본 발명에 있어서 노즐부재의 제2실시예를 나타내는 저면사시도 및 확대단면도.
도 7의 (a),(b)는 각각 본 발명에 있어서 노즐부재 제2실시예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저면사시도 및 확대단면도.
도 8의 (a),(b)는 각각 본 발명에 있어서 노즐부재의 제3실시예와 와셔부재의 제1실시예를 나타내는 저면분해사시도 및 확대단면도.
도 9의 (a),(b)는 각각 본 발명에 있어서 노즐부재의 제3실시예와 와셔부재의 제2실시예를 나타내는 저면분해사시도 및 확대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확대단면도.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또 다른 실시예의 제1실시예를 나타낸 확대단면도.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또 다른 실시예의 제2실시예를 나타낸 확대단면도.
본 발명은 내부로 고압의 유체가 공급될 수 있도록 가로로 길게 중공되는 유체공급로를 형성하고, 상기 유체공급로로부터 공급된 유체가 분사되면서 평판에 부양력을 생성시킬 수 있도록 유체의 흐름을 유도하는 노즐홈이 상면에 복수로 형성되며, 상기 유체공급로와 노즐홈이 서로 연통하도록 수직연결하는 토출로가 형성된 메인플레이트와; 상기 메인플레이트의 토출로에 고정 설치되고 상기 노즐홈을 향해 고압의 유체를 분사시킬 수 있도록 형성되는 노즐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메인플레이트는 상면에 상향으로 볼록하게 돌출되고 상기 노즐홈이 중앙에 위치하여 유체가 분사되는 유체분출부와, 상기 유체분출부 간에 오목하게 형성되고 외부로 분사된 유체가 흘러 상기 메인플레이트로부터 배출하는 유체배출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비접촉 평판 이송장치를 기술구성의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메인플레이트는 평판의 이송방향에 대하여 직각방향으로의 양쪽 끝단이 상향하며 중앙부분은 하측으로 오목하게 굽어진 상태를 평판이 유지하면서 이송될 수 있도록 상기 메인플레이트의 상면 중앙부분이 하측으로 미세하게 오목한 만곡면을 이루어 형성되는 비접촉 평판 이송장치를 기술구성의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노즐홈은 상기 메인플레이트에 의해 부양이송되는 평판으로부터 대향된 방향으로 오목한 만곡면을 형성하고 상기 메인플레이트의 상면으로 완만하게 연결되도록 이루어지는 비접촉 평판 이송장치를 기술구성의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메인플레이트의 유체분출부는 상기 메인플레이트 상에 사선방향으로 등간격을 이루며 배열 배치되는 비접촉 평판 이송장치를 기술구성의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유체분출부는 평판의 부양 높낮이를 조절가능하도록 상기 유체분출부 상면의 지름 크기를 구역에 따라 차등 형성하여 각각 배열 배치되는 비접촉 평판 이송장치를 기술구성의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유체분출부는 상기 메인플레이트 상에 평판의 이송방향을 따라 부양 높이가 높아지도록 상기 메인플레이트에 평판이 진입하는 전방구역에는 상대적으로 상기 유체분출부 상면의 지름을 작게 형성하고, 평판의 이송방향을 따라 후방구역으로 갈수록 상기 유체분출부 상면의 지름이 점차적으로 크게 형성되는 비접촉 평판 이송장치를 기술구성의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메인플레이트는 평판의 이송방향을 따라 복수로 설치되고, 평판이 지속해서 평형이송할 수 있도록 상기 메인플레이트가 상하이동가능하여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높이조절수단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비접촉 평판 이송장치를 기술구성의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메인플레이트는 평판의 이송방향을 따라 복수로 설치되고, 평판이 전반적으로 평형이송가능하도록 상기 메인플레이트 내부로 공급하는 유체의 유량을 각각 조절공급하여 상기 메인플레이트로부터 분사되는 유체의 압력을 조절토록 이루어지는 비접촉 평판 이송장치를 기술구성의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노즐부재는 상기 메인플레이트의 노즐홈 내에 위치하도록 형성되는 머리부와, 상기 머리부의 하단으로 연장되어 상기 메인플레이트의 토출로에 고정설치하도록 형성되는 결합부와, 상기 머리부 및 결합부에 수평 및 수직으로 연통하고 상기 토출로로 공급된 유체가 상기 노즐홈을 향해 이동가능하도록 형성되는 유로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비접촉 평판 이송장치를 기술구성의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노즐부재의 유로는 상기 토출로에 연통하여 상기 노즐홈을 향해 유체를 유도하도록 내부에 중공 형성되는 홀형 유로로 이루어지는 비접촉 평판 이송장치를 기술구성의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노즐부재의 유로는 외면상에 미세한 깊이를 갖는 홈 형태로서 상기 토출로에 연통하여 형성되는 홈형 유로로 이루어지는 비접촉 평판 이송장치를 기술구성의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유로는 상기 노즐부재의 결합부 외주연 상에 상기 토출로로부터 수직으로 연통하여 유체공급이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제1유로와, 상기 제1유로의 상단에 한쪽이 연결되어 가로방향으로 연통하고 상기 머리부의 하면에 형성되는 제2유로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비접촉 평판 이송장치를 기술구성의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노즐부재의 결합부에 결합하여 상기 메인플레이트의 노즐홈과 상기 노즐부재의 머리부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노즐부재와 함께 서로 연통하는 유로가 형성되는 와셔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유로는 상기 노즐부재의 결합부 외주연 상에 상기 토출로로부터 수직으로 연통하여 유체공급이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제1유로와, 상기 제1유로의 상단에 한쪽이 연결되어 가로방향으로 연통하고 상기 와셔부재의 하면에 형성되는 제2유로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비접촉 평판 이송장치를 기술구성의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와셔부재는 상기 노즐부재에 원활한 결속이 가능하도록 상기 결합부을 향해 내측으로 돌출되고 상기 제1유로에 대응하여 면 접촉하는 체결돌기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비접촉 평판 이송장치를 기술구성의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와셔부재는 하면과 상기 메인플레이트의 토출로 간에 직각을 이루어 상기 제2유로로부터 유체가 수평면을 따라 이동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비접촉 평판 이송장치를 기술구성의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메인플레이트에서 상기 노즐홈의 중앙부분이 상측으로 돌출 형성되는 단턱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비접촉 평판 이송장치를 기술구성의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노즐부재가 상기 메인플레이트 내에 고정 설치하도록 상기 노즐부재의 하단에 연장되고 외주연을 따라 수나사가 형성되는 체결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비접촉 평판 이송장치를 기술구성의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메인플레이트의 유체공급로는 두 개의 열이 서로 연통하여 한 쌍을 이루고, 두 열의 상기 유체공급로 사이에 상기 노즐홈 및 토출로가 형성되며, 상기 노즐부재를 상기 토출로에 끼워 삽입한 후 상기 체결부가 결합될 수 있도록 암나사가 구비된 체결공이 형성되는 차단벽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비접촉 평판 이송장치를 기술구성의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메인플레이트의 하부에는 상기 노즐홈 및 토출로에 동일수직선상을 이루는 삽입공을 형성하고, 상기 메인플레이트의 하측에서 상기 삽입공으로 끼운 후 상기 노즐부재의 체결부에 나사 결합하여 고정하도록 암나사가 구비된 너트공이 형성되는 체결부재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비접촉 평판 이송장치를 기술구성의 특징으로 한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비접촉 평판 이송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면에서 동일한 구성은 동일한 부호로 표시하고, 중복되는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여러 가지 다양한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술하는 실시예들로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해당 기술분야에서 보통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이해할 수 있도록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고, 도면에서 나타내는 요소의 형상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해서 예시적으로 나타내는 것이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비접촉 평판 이송장치의 일실시예는 도 1 내지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메인플레이트(10)와, 노즐부재(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메인플레이트(10)는 도 1 및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장방형의 직육면체로서 소정의 두께를 갖으며, 두께에 비해 중량을 최소화하도록 비교적 무게가 가벼운 금속재질로 형성한다.
상기 메인플레이트(10)는 평판(P)이 이송되는 방향으로 서로 소정의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하면서 고정설치되는 것으로서, 일정구간에는 이송중인 평판(P)을 향해 검사 및 측정을 행하도록 별도의 장비가 위치할 수 있는 공간을 구비한다.
상기 메인플레이트(10)는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면 중앙부분이 하측으로 미세한 간극을 이루며 오목하게 들어간 만곡면을 형성한다.
상기 메인플레이트(10)는 가장 높은 곳에 위치하여 최고점(P1)을 이루는 상기 메인플레이트(10)의 상면 양쪽 끝단과 하측으로 오목하게 굽어져 가장 낮은 최저점(P2)을 이루는 상면 중앙부분의 사이에는 미세한 단차 간격(D)을 형성토록 이루어진다.
상기 메인플레이트(10)의 최고점(P1)과 최저점(P2)이 이루는 단차 간격(D)은 10~15㎛로 형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메인플레이트(10) 상면의 단차 간격(D)이 15㎛를 이루도록 형성한다. 이러한, 상기 메인플레이트(10) 상면의 만곡면은 하기 유체분출부(10a)의 상면에도 그대로 적용됨은 당연하다.
상기 메인플레이트(10)의 상면이 만곡면을 이루므로 평판(P)이 이송과정에서 평판(P)의 이송방향에 대하여 직각방향으로의 양쪽 끝단이 상향하되 중앙부분은 하측으로 오목하게 굽어진 상태 즉, 상기 메인플레이트(10) 상면의 형상에 대응되는 상태를 유지하면서 이송하게 된다.
예를 들면, 상기 메인플레이트(10)에 의해 부양되는 평판(P)은 상기 메인플레이트(10)의 상면으로부터 전반적으로 동일한 간격을 유지한 상태로 떨어져 이송되지만 상기 메인플레이트(10)의 상면에 상응하는 형상을 이루므로, 상기 메인플레이트(10)의 상면의 단차 간격이 15㎛를 형성하면 평판(P)도 동일하게 양쪽 끝 부분이 중앙부분에 비해 15㎛ 더 높이 위치한 상태로 굽어져 부양이송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메인플레이트(10)의 상면이 만곡면을 형성하는 것에 의하여, 메인플레이트(10)의 사이가 떨어져 부양력이 부재된 위치에서도 이송중인 평판(P)이 지속해서 평형을 유지하므로 평판(P)이 쉽게 굽어지는 현상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메인플레이트(10)는 도 1 및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내부에 유체의 이동경로를 이루도록 유체공급로(15) 및 토출로(13)를 형성하고, 상면에는 외부 평판(P)을 향해 분사되는 유체로부터 부양력(척력과 인력)을 생성토록 유도하는 노즐홈(11)이 형성된 유체분출부(10a) 및 유체배출부(10b)가 형성된다.
상기 유체공급로(15)는 상기 메인플레이트(10)의 한쪽 측면이 개방되어 내측으로 중공된 구조를 이루는 것으로, 내부로 고압의 유체가 공급될 수 있도록 가로로 길게 중공된다.
상기 유체공급로(15)에 유체를 공급함에는 유체를 생성시키는 별도의 유체발생장치(도면에 미도시)가 외부에 설치된다. 유체발생장치로부터 상기 메인플레이트(10)의 유체공급로(15)에 유체를 공급함에는 상기 유체공급로(15)와 유체발생장치를 이어 연결하는 호스 등의 연결수단(5)이 설치된다.
상기 토출로(13)는 상기 유체공급로(15)로 공급된 유체가 상기 노즐홈(11)을 향해 상향이동하도록 상기 유체공급로(15)와 노즐홈(11)이 서로 연통하여 수직연결된다. 즉, 상기 토출로(13)는 상기 유체공급로(15)를 따라 수평방향으로 공급되는 유체의 이동이 상기 노즐홈(11)을 향해 상향할 수 있도록 수직방향으로 전환공급되는 연결통로로서, 상기 토출로(13)는 하나의 유체공급로(15) 상에 길이방향을 따라 등간격을 이루며 복수로 형성된다.
상기 노즐홈(11)은 상기 메인플레이트(10)의 상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이 형성되고, 상기 유체공급로(15)를 통해 공급된 유체가 분사되면서 평판(P)에 부양력을 생성시킬 수 있도록 유체의 흐름을 유도한다.
상기 노즐홈(11)은 상기 토출로(13)의 상단에서 상기 메인플레이트(10)의 상면을 향해 완만하게 연결되도록 연장형성된 것으로, 상기 메인플레이트(10)에 의해 부양이송되는 평판(P)으로부터 대향된 방향으로 오목한 만곡면을 이루도록 형성된다.
상기 노즐홈(11)은 평판(P)에 부양력을 생성토록 분사된 유체가 상기 노즐홈(11)에서 상기 메인플레이트(10)의 상면을 향해 원활하게 흘러 이동될 수 있도록 상기 메인플레이트(10)의 상면에 접하는 상기 노즐홈(11)의 경계부분이 소정의 곡면을 이루도록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유체분출부(10a)는 상기 메인플레이트(10)의 상면에 상향으로 볼록하게 돌출되고 상기 노즐홈(11)이 중앙 중심에 위치하여 유체가 분사되면서 부양력을 생성토록 형성된다.
상기 메인플레이트(10)의 유체분출부(10a)는 도 1 내지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메인플레이트(10)의 상면에 평면상에서 유체공급로(15)의 방향에 대해 서로 교차하도록 소정의 간격을 유지하며 등간격으로 형성하되 대각방향을 이루며 사선으로 배열 배치된다.
상기 유체분출부(10a)는 상단이 평탄한 수평면을 이루고 외곽 바깥둘레로부터 하향하도록 연장된 측면에 의해 상기 유체배출부(10b)를 형성케 한다.
상기 유체분출부(10a)의 상단 수평면과 측면 간에는 유체의 원활한 하향이동이 가능하도록 중앙에서 상기 노즐홈(11)과 접하는 경계부분처럼 소정의 곡면을 이루도록 형성하고, 상기 유체분출부(10a)의 측면은 원활한 유체이동을 도모하도록 하측으로 완만하게 오목한 만곡면을 이루도록 형성한다.
상기 유체분출부(10a)는 평판(P)의 부양 높낮이를 조절가능하도록 상기 유체분출부(10a) 상면의 지름 크기를 구역에 따라 차등 형성하여 각각 배열 배치한다. 즉, 상기 유체분출부(10a)는 상기 메인플레이트(10) 상에 평판(P)의 이송방향을 따라 부양 높이가 높아지도록 상기 메인플레이트(10)에 평판(P)이 진입하는 전방구역에는 상대적으로 상기 유체분출부(10a) 상면의 지름을 작게 형성하고, 평판(P)의 이송방향을 따라 후방구역으로 갈수록 상기 유체분출부(10a) 상면의 지름을 점차적으로 크게 형성한다.
예를 들면, 상기 메인플레이트(10)를 향해 평판(P)이 진입되는 위치에 구비된 상기 유체분출부(10a)의 상부 수평면이 상대적으로 작은 지름을 갖도록 형성하는 것에 의하여, 유체가 상기 노즐홈(11)을 통해 분사된 후 상기 유체분출부(10a)의 상부 수평면상에 머무는 시간이 상대적으로 짧으므로 유체가 상기 유체배출부(10b)로 빠르게 이동되면서 평판(P)에 가해지는 압력작용이 작고 이는 부양높이를 낮게 유지토록 형성된다. 반면, 상기 메인플레이트(10)의 후방으로 갈수록 상기 유체분출부(10a)는 상부 수평면의 지름이 상대적으로 커서 유체가 상기 노즐홈(11)을 통해 분사된 후 상기 유체배출부(10b)를 향해 이동되기까지의 상기 유체분출부(10a)의 상부 수평면상에 머무는 시간이 상대적으로 길어 평판(P)에 가해지는 압력작용이 크기 때문에 평판의 부양높이를 상대적으로 높게 유지하게 된다.
상기 유체배출부(10b)는 상기 유체분출부(10a) 간의 사이에 오목하게 형성되고 외부로 분사된 유체가 흘러 상기 메인플레이트(10)로부터 외부를 향해 배출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상기와 같이 유체배출부(10b)를 형성하는 것에 의하여, 상기 노즐홈(11)에서 상기 유체분출부(10a)의 상면으로 이동된 유체를 즉시 배출함에 따라 복수의 노즐홈(11)으로부터 사방에서 흘러 이동된 유체가 서로 접촉되면서 압력이 높아지는 현상을 방지하고, 이는 평판(P)에 부양력을 생성시키는 인력과 척력이 서로 평형을 이뤄 평판(P)의 진동량을 최소화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메인플레이트(10)는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평판(P)의 이송방향을 따라 복수로 설치되는데, 평판(P)이 지속해서 평형이송할 수 있도록 상기 메인플레이트(10)가 상하이동가능하여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높이조절수단(50)을 더 포함하여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높이조절수단(50)으로부터 상기 메인플레이트(10)는 미세한 범위 내에서 상하로 승강한다.
예를 들면, 서로 거리를 두고 연계되어 설치되는 이송장치 간에 상이한 부양력이 적용될 때에 상기 높이조절수단(50)에 의해 상기 메인플레이트(10)의 높이를 조절하여 평판(P)의 부양높이를 조절한다. 즉, 다른 이송장치의 부양력보다 작은 부양력이 적용되어 평판(P)이 수평이동하지 못하고 하측으로 굴곡을 형성하는 경우에 상기 높이조절수단(50)으로부터 상기 메인플레이트(10)의 위치를 높여 보다 평판(P)에 가까운 수평선상에 위치하도록 조절하고, 반면 다른 이송장치에 비해 큰 부양력이 적용되어 평판(P)이 상측으로 굴곡을 형성할 경우에 상기 높이조절수단(50)으로부터 상기 메인플레이트(10)의 위치를 낮춰 평판(P)에서 먼 수평선상에 위치하므로 평판(P)의 수평이송이 가능하도록 한다.
상기 높이조절수단(50)에는 상기 메인플레이트(10)에 연결되어 상하 이동하는 승강부재(51)가 형성된다.
도면에 나타내지는 않았지만, 상기 높이조절수단(50)에서 상기 승강부재(51)를 작동함에는 다양한 유체의 압력(예를 들면, 유압 및 공압 등)을 공급하여 상하이동가능하도록 구성하는 것이 가능하고, 서로 간에 맞물린 기어의 결합관계(예를 들면, 랙과 피니언 등)를 모터로부터 제어하여 회전운동에 의한 직선운동을 통해 상기 승강부재를 상하이동가능하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상기 메인플레이트(10)는 평판(P)의 이송방향을 따라 복수로 설치되는데, 평판(P)이 전반적으로 평형이송가능하도록 상기 메인플레이트(10) 내부로 공급하는 유체의 유량을 각각 조절공급하여 상기 메인플레이트(10)로부터 분사되는 유체의 압력을 조절토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메인플레이트(10)로부터 분사된 후 유체의 흐름에 의해 생성되는 압력을 조절하기 위해서 상기 메인플레이트(10)로 공급되는 유체의 공급량을 조절한다.
상기 메인플레이트(10)에는 유체공급량을 조절토록 상기 연결수단(5)에 유량조절밸브(도면에 미도시)를 설치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유량조절밸브로부터 개도를 조절하여 유량을 조절하되 미세한 조절이 필요하므로 자동제어할 수 있는 솔레노이드 밸브와 같은 전자식밸브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메인플레이트(10)에 높이조절수단(50)을 구성하거나 유체의 압력을 조절하도록 구성하는 것에 의하여, 평판(P)에 가해지는 부양력에 의한 부양높이를 서로 연계되어 설치된 다른 이송장치들로부터 동일수평선상으로 조절할 수 있어 평판(P)이 파형을 이루지 않고 수평이송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노즐부재(20)는 도 3 및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메인플레이트(10)의 토출로(13)에 삽입되어 고정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노즐홈(11)을 향해 고압의 유체를 분사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상기 노즐부재(20)는 상기 메인플레이트(10)의 노즐홈(11) 내에 위치하도록 형성되는 머리부(21)와, 상기 머리부(21)의 하단으로 연장되어 상기 메인플레이트(10)의 토출로(13)에 고정설치하도록 형성되는 결합부(23)와, 상기 머리부(21) 및 결합부(23)에 수평 및 수직으로 연통하고 상기 토출로(13)로 공급된 유체가 상기 노즐홈(11)을 향해 이동가능하도록 형성되는 유로(25)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노즐부재는 상기 머리부와 결합부 간에 직각을 이루도록 형성된다.
상기 노즐부재(20)의 머리부(21)는 상기 메인플레이트(10)에 결합시 상기 노즐홈(11) 상에 위치하도록 상기 결합부(23)의 지름보다는 큰 지름을 이루며 형성된다.
상기 결합부(23)는 상기 머리부(21)의 하단에서 상기 토출로(13)에 삽입되어 위치하되 서로 억지 끼움 결합하도록 상기 결합부(23)와 토출로(13) 간에 서로 대응되는 지름을 이루며 형성된다.
또한, 상기 결합부(23)는 상기 토출로(13)에 나사 결합하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즉, 상기 결합부(23)의 외주연에는 수나사를 형성하고 상기 토출로(13)에는 암나사를 구비하여 서로 결합하므로 상기 노즐부재(20)를 상기 메인플레이트(10)에 고정설치하도록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유로(25)는 한쪽이 상기 토출로(13)에 수직으로 연통하여 유체가 유입가능한 구조를 이루고, 반대편은 유입된 유체가 이동되어 상기 노즐홈(11)을 향해 수평으로 연통한 구조를 이룬다.
상기 유로는 상기 노즐부재(20)의 내부에 중공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즉, 상기 노즐부재(20)의 유로(25)는 상기 토출로(13)에 연통하여 상기 노즐홈(11)을 향해 유체를 유도하도록 내부에 중공 형성되는 홀형 유로(25)로 구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유로(25)는 상기 토출로(13)에 연통하여 수직형태를 이루는 한 개의 유로(25)가 형성되고, 상기 노즐홈(11)의 사방을 향해 수평형태를 이루며 복수의 유로(25)가 파생되어 형성된 구조를 이룬다.
상기 유로(25)는 상기 노즐부재(20)에 작은 직경으로 가공된 미세한 구멍으로서, 공급되는 유체의 압력을 높여 분사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상기 노즐부재(20)의 유로(25)는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외면상에 미세한 깊이를 갖는 홈 형태로서 상기 토출로(13)에 연통하여 형성되는 홈형 유로(25)로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유로(25) 즉, 홈형 유로(25)는 상기 노즐부재(20)의 결합부 외주연 상에 상기 토출로(13)로부터 수직으로 연통하여 유체공급이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제1유로(26)와, 상기 제1유로(26)의 상단에 한쪽이 연결되어 가로방향으로 연통하고 상기 머리부(21)의 하면에 형성되는 제2유로(27)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유로(25)는 홈 형태로 형성되는 것으로서, 완만한 곡선을 이루어 만곡면의 형상으로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고, 소정의 각을 이루는 사각면의 형상으로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상기 노즐부재(20)는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머리부(21)와 결합부(23)의 사이에 예각을 이루는 예각경사면(22)이 형성되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에서처럼 노즐부재(20)에 예각경사면(22)이 형성토록 구성하는 경우에 상기 메인플레이트(10)의 노즐홈(11)에는 상기 노즐부재(20)의 예각경사면(22)에 대응하여 경사각을 이루며 상기 토출로(13)에 연장 형성되는 예각경사구간(12)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이 상기 노즐부재(20)에 예각경사면(22)을 형성하게 되면, 상기 예각경사면(22) 및 예각경사구간(12)은 상기 토출로(13)의 중심선과 이루는 각도가 90°이하를 이루도록 형성되므로 상기 유로(25)도 예각을 형성하여 유체의 이동거리가 짧아짐에 따라 유체의 손실을 최소화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비접촉 평판 이송장치는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노즐부재(20)의 결합부(23)에 결합하여 상기 메인플레이트(10)의 노즐홈(11)과 상기 노즐부재(20)의 머리부(21) 사이에 위치하는 와셔부재(30)를 더 포함하여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와셔부재(30)는 상기 노즐부재(20)와 함께 서로 연통하는 유로(25)가 형성된다.
상기 유로(25)는 상기 노즐부재(20)의 결합부(23) 외주연 상에 상기 토출로(13)로부터 수직으로 연통하여 유체공급이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제1유로(26)와, 상기 제1유로(26)의 상단에 한쪽이 연결되어 가로방향으로 연통하고 상기 와셔부재(30)의 하면에 형성되는 제2유로(37)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와셔부재(30)는 상기 노즐부재(20)에 원활한 결속이 가능하도록 상기 결합부(23)을 향해 내측으로 돌출되는 체결돌기(35)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체결돌기(35)는 상기 제1유로(26)에 대응하여 면 접촉하는 것으로, 상기 제1유로(26)와 동일한 형상을 이루며 돌출되고, 상기 노즐부재(20)의 결합부(23)에 형성된 상기 제1유로(26)와 동일한 개수로 형성된다.
상기 와셔부재(30)는 하면과 상기 메인플레이트(10)의 토출로(13) 간에 직각을 이루어 상기 제2유로(37)로부터 유체가 수평면을 따라 이동할 수 있도록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와셔부재(30)는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하면이 예각을 이루며 한쪽을 향해 점점 하향하는 예각경사면(32)을 형성하여 상기 제2유로(37)로부터 유체가 경사면을 따라 이동할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에서처럼 와셔부재(30)에 예각경사면(32)을 형성하는 경우에 상기 메인플레이트(10)의 노즐홈(11)에는 상기 와셔부재(30)의 예각경사면(32)에 대응한 경사각을 이루며 상기 노즐홈(11)과 토출로(13)의 사이 즉, 상기 노즐홈(11)의 하단과 상기 토출로(13)의 상단을 서로 대각방향으로 연결하도록 연장 형성되는 예각경사구간(12)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은 유체발생장치로부터 생성된 유체가 연결수단을 통해 메인플레이트(10)의 내부로 공급되고, 메인플레이트(10) 내에서 유체공급로(15)와 토출로(13)를 거쳐 노즐부재(20)로 이동된 후 유로로부터 노즐홈(11)을 향해 분사하므로 상측 평판(P)에 부양력을 생성토록 한다. 즉, 메인플레이트(10)에서 노즐부재(20)의 유로(25)로부터 외부를 향해 분사된 유체는 노즐홈(11)의 만곡면을 따라 유체분출부(10a)의 상면으로 흐르면서 인력과 척력을 생성시키고 이는 평판(P)에 가해져 부양이송하게 된다. 이때, 평판(P)에 부양력을 생성시키는 힘 중에서 척력을 이루는 유체의 압력은 유체분출부(10a)의 상면을 따라 흐른 후 유체배출부(10b)를 통해 이동되어 메인플레이트(10)의 외부로 배출된다.
즉,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비접촉 평판 이송장치에 의하면, 평판이 이송중 부양력에 의해 미세하게 굽어질 수 있는 형상으로 메인플레이트를 형성하여 부양력이 부재된 공간에서도 평판이 자중에 의해 쳐지거나 굽어지는 현상을 방지하고, 이송시 평판의 직진도를 극대화하는 것이 가능하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은 평판 이송시 쳐짐을 방지하며 높은 직진도를 유지하므로 다양한 장비로부터 평판의 검사 및 측정작업이 용이하여 각종결함을 정확하게 검출할 수 있고, 명확한 검사 및 측정에 따른 작업으로 인해 제품의 불량률을 최소화하면서 제품의 품질은 극대화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은 평판이 이송과정 중에 부양력을 통해 자동으로 굽어지면서 평형상태로 부양이송되므로 평판을 이송하기 전에 접거나 이송된 후의 접힌 평판을 피는 작업이 불필요하여 작업의 편의성 및 신속성을 도모하고, 평판이 과도하게 접히는 현상을 방지하여 수평상태를 유지할 수 있으므로 제품의 불량률을 줄이면서 품질은 높이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은 메인플레이트와 노즐부재 간에 결합구조가 매우 간단하고 부양력을 생성토록 외부를 향해 분사하는 통로인 유로가 간단한 형상을 이루므로 제작과정에서 가공이 용이하고, 유체의 흐름으로부터 높은 압력을 생성시킨 다음 급격한 유속으로의 이동이 가능한 구조를 이루므로 강한 부양력을 생성시켜 평판을 흔들림 없이 이송시킬 수 있게 제품이송에 안전성을 극대화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은 평판에 부양력을 생성시키는 유체의 압력이 자연히 흘러 메인플레이트의 외부를 향해 나갈 수 있도록 유체배출로을 형성하므로 공기가 흐르면서 서로 접하는 특정위치에서 압력이 과도하게 높아지는 현상을 방지하고, 이는 평판에 부양력을 적용하는 인력과 척력의 비율이 서로 평형을 이뤄 평판의 진동량을 최소화하면서 수평이송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은 평판에 부양력을 생성시키는 메인플레이트를 기계적으로 상하 이동시킬 수 있는 높이조절수단과 복수로 설치된 메인플레이트 내에 공급되는 유체의 압력을 각각 상이하게 조절공급할 수 있는 수단을 설치하여 평판에 가해지는 부양력을 조절하므로 평판 이송시 수평도를 극대화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은 메인플레이트를 평판의 진입구역부터 시작하여 평판의 이송방향을 따라 구역별로 각각 차등한 부양력을 생성시키도록 유체분출부의 지름크기를 차등하게 형성하여 평판이 이송중에 과도한 압력을 접하는 현상을 방지하므로 평판이 이송중 수평궤도를 벗어나는 현상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비접촉 평판 이송장치의 다른 실시예는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메인플레이트(10)에서 상기 노즐홈(11)의 중앙부분이 상측으로 돌출 형성되는 단턱부(14)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단턱부(14)는 상단에 상기 노즐부재(20)의 머리부(21) 및 와셔부재(30)가 안착되는 것으로, 상기 머리부(21)나 와셔부재(30)의 지름에 대하여 동일한 지름을 갖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단턱부(14)의 돌출높이는 상기 노즐부재(20)가 결합된 후 상기 머리부(21)의 상면이 상기 메인플레이트(10)의 상면보다 낮은 수평선상에 위치하도록 형성된다.
즉, 상기한 다른 실시예와 같이 본 발명을 구성하면, 유체의 분출이 노즐홈으로부터 상측으로 떨어진 위치에서 이루어져 유체분출시 노즐홈과의 마찰을 최소화하고 공기와 크게 접촉하여 와류를 생성하면서 유체가 흐르기 때문에 평판을 부양하기 위해 생성되는 진공도를 극대화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한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도 상기한 구성 이외에는 상기한 일실시예와 마찬가지의 구성으로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비접촉 평판 이송장치의 또 다른 실시예는 도 11 및 도 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노즐부재(20)는 상기 메인플레이트(10) 내에 고정 설치하도록 외주연을 따라 수나사가 형성되는 체결부(28)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체결부(28)는 상기 노즐부재(20)의 하단에 연장되어 형성된다. 즉, 상기 메인플레이트(10)에 결합하면 상기 토출로(13)의 하측으로 연장된 위치에서 상기 유체공급로(15) 상에 위치하도록 형성된다.
상기 노즐부재(20)는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체결부(28)를 통해 상기 메인플레이트(10)의 내부에 직접적으로 체결하여 고정설치하도록 구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메인플레이트(10)의 유체공급로(15)는 두 개의 열이 서로 연통하여 한 쌍을 이루도록 형성되고, 두 열의 상기 유체공급로(15) 사이의 중간수직선상 상측에 상기 노즐홈(11) 및 토출로(13)가 형성된다.
상기 메인플레이트(10)의 내부에는 상기 노즐홈(11) 및 토출로(13)의 동일수직선상으로 상기 노즐부재(20)의 체결부(28)가 결합가능한 구조를 이루도록 차단벽(16)이 구비된다.
상기 차단벽(16)에는 상기 노즐부재(20)를 상기 토출로(13)에 끼워 삽입한 후 상기 체결부(28)가 결합될 수 있도록 암나사가 구비된 체결공(17)이 형성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노즐부재(20)는 도 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체결부(28)를 통해 상기 메인플레이트(10) 내부에서 간접적으로 체결하므로 상기 노즐부재(20)를 고정설치하도록 체결부재(40)를 더 포함하여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메인플레이트(10)의 하부에는 상기 노즐홈(11) 및 토출로(13)에 동일수직선상을 이루는 삽입공(19)을 형성한다.
상기 체결부재(40)는 상기 메인플레이트(10)의 하측에서 상기 삽입공(19)으로 끼운 후 상기 노즐부재(20)의 체결부(28)에 나사 결합하여 고정하도록 암나사가 구비된 너트공(41)이 형성된다.
상기와 같이 체결부재(40)를 형성하는 것에 의하여, 상기 메인플레이트(10)로 압입된 상기 노즐부재(20)를 상기 체결부재(40)의 조작에 의해 고정하므로, 상기 노즐부재(20)의 조작에 따른 상기 메인플레이트(10)의 토출로(13)와의 마찰로부터 서로 마모나 손상되는 현상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즉, 상기한 또 다른 실시예와 같이 본 발명을 구성하면, 메인플레이트에 노즐부재를 압입하여 억지 끼움한 후 나사결합하는 구조를 이루므로 메인플레이트와 노즐부재의 결속력으로부터 체결상태를 견고하게 유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한 또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도 상기한 구성 이외에는 상기한 일실시예 및/또는 다른 실시예와 마찬가지의 구성으로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비접촉 평판 이송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와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한 도면의 범위 안에서 여러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또한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
10 : 메인플레이트 10a : 유체분출부 10b : 유체배출부
11 : 노즐홈 12 : 예각경사구간 13 : 토출로
14 : 단턱부 15 : 유체공급로 16 : 차단벽
17 : 체결공 19 : 삽입공 20 : 노즐부재
21 : 머리부 22,32 : 예각경사면 23 : 결합부
25 : 유로 26 : 제1유로 27,37 : 제2유로
28 : 체결부 30 : 와셔부재 35 : 체결돌기
40 : 체결부재 41 : 너트공 50 : 높이조절수단
51 : 승강부재 5 : 연결수단 P : 평판
P1 : 최고점 P2 : 최저점 D : 단차 간격

Claims (24)

  1. 내부로 고압의 유체가 공급될 수 있도록 가로로 길게 중공되는 유체공급로를 형성하고, 상기 유체공급로로부터 공급된 유체가 분사되면서 평판에 부양력을 생성시킬 수 있도록 유체의 흐름을 유도하는 노즐홈이 상면에 복수로 형성되며, 상기 유체공급로와 노즐홈이 서로 연통하도록 수직연결하는 토출로가 형성된 메인플레이트와;
    상기 메인플레이트의 토출로에 고정 설치되고 상기 노즐홈을 향해 고압의 유체를 분사시킬 수 있도록 형성되는 노즐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메인플레이트는 상면에 상향으로 볼록하게 돌출되고 상기 노즐홈이 중앙에 위치하여 유체가 분사되는 유체분출부와, 상기 유체분출부 간에 오목하게 형성되고 외부로 분사된 유체가 흘러 상기 메인플레이트로부터 배출하는 유체배출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메인플레이트는, 평판의 이송방향에 대하여 직각방향으로의 양쪽 끝단이 상향하며 중앙부분은 하측으로 오목하게 굽어진 상태를 평판이 유지하면서 이송될 수 있도록 상기 메인플레이트의 상면 중앙부분이 하측으로 오목한 만곡면을 이루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접촉 평판 이송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16. 삭제
  17. 삭제
  18. 삭제
  19. 삭제
  20. 삭제
  21. 삭제
  22. 삭제
  23. 삭제
  24. 삭제
KR1020110025546A 2011-03-22 2011-03-22 비접촉 평판 이송장치 KR10134717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25546A KR101347174B1 (ko) 2011-03-22 2011-03-22 비접촉 평판 이송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25546A KR101347174B1 (ko) 2011-03-22 2011-03-22 비접촉 평판 이송장치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74095A Division KR20130079474A (ko) 2013-06-26 2013-06-26 비접촉 평판 이송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07803A KR20120107803A (ko) 2012-10-04
KR101347174B1 true KR101347174B1 (ko) 2014-01-10

Family

ID=472796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25546A KR101347174B1 (ko) 2011-03-22 2011-03-22 비접촉 평판 이송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4717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02692B1 (ko) * 2013-05-24 2014-06-03 이성 주식회사 에어 플로팅 스테이지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228890U (ko) * 1975-08-19 1977-02-28
KR19990062042A (ko) * 1997-12-31 1999-07-26 구본준 반도체 제조장비의 웨이퍼 이송장치
JP2006347719A (ja) * 2005-06-17 2006-12-28 Shinko Electric Co Ltd 気体浮上ユニット及び気体浮上搬送装置
KR20070081387A (ko) * 2006-02-11 2007-08-16 주식회사 엠앤엘 비접촉 공기부상 이송장치의 압력검출 및 제어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228890U (ko) * 1975-08-19 1977-02-28
KR19990062042A (ko) * 1997-12-31 1999-07-26 구본준 반도체 제조장비의 웨이퍼 이송장치
JP2006347719A (ja) * 2005-06-17 2006-12-28 Shinko Electric Co Ltd 気体浮上ユニット及び気体浮上搬送装置
KR20070081387A (ko) * 2006-02-11 2007-08-16 주식회사 엠앤엘 비접촉 공기부상 이송장치의 압력검출 및 제어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07803A (ko) 2012-10-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38355B1 (ko) 헬리컬나선을 통해 균일하면서 높은 압력을 갖도록 에어가 분출되는 비접촉식 반송플레이트
KR101187006B1 (ko) 대면적 패널용 반송플레이트
WO2009157647A2 (ko) 흡입력을 갖는 비접촉식 반송 플레이트
KR101434169B1 (ko) 에어블로윙 타입 기판 부상 및 이송 장치
KR101347174B1 (ko) 비접촉 평판 이송장치
KR101282902B1 (ko) 코안다 효과를 이용한 비접촉 반송플레이트
KR101091561B1 (ko) 비접촉식 반송플레이트
KR100913298B1 (ko) 진공을 이용하여 안정된 반송을 도모할 수 있는 비접촉식 반송플레이트
KR101281127B1 (ko) 비접촉 평판 이송장치
KR20130079474A (ko) 비접촉 평판 이송장치
KR101276064B1 (ko) 비접촉 평판 이송장치
KR101273511B1 (ko) 비접촉 평판 이송장치
JP2010254453A (ja) 浮上装置
KR20110133212A (ko) 진공패드를 이용한 비접촉 이송장치
KR101293286B1 (ko) 비접촉 평판 이송장치
KR101309144B1 (ko) 분사노즐, 이를 이용한 기판 반송장치 및 기판 검사장치
KR101261313B1 (ko) 평판 이송물 정렬픽업 이송장치
KR102160851B1 (ko) 대면적 패널용 반송플레이트
KR100916932B1 (ko) 대전방지용 레이전트 도막층의 틈새를 이용한 비접촉식 반송플레이트
KR101190809B1 (ko) 정밀한 노즐 갭 유지가 가능한 비접촉 진공패드
KR20120067117A (ko) 비접촉 반송플레이트
KR101157200B1 (ko) 비접촉 반송장치
KR101234017B1 (ko) 비접촉 반송장치
KR101167278B1 (ko) 압력강하 저항체를 갖는 비접촉 반송플레이트
KR101274640B1 (ko) 비접촉 반송플레이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