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45752B1 - 높은 믹싱효율을 가지는 재생상온아스콘 제조장치 - Google Patents

높은 믹싱효율을 가지는 재생상온아스콘 제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45752B1
KR101345752B1 KR1020100123251A KR20100123251A KR101345752B1 KR 101345752 B1 KR101345752 B1 KR 101345752B1 KR 1020100123251 A KR1020100123251 A KR 1020100123251A KR 20100123251 A KR20100123251 A KR 20100123251A KR 101345752 B1 KR101345752 B1 KR 10134575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ggregate
heating
supply unit
asphalt
room tempera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232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62133A (ko
Inventor
정연국
Original Assignee
정연국
동화산업(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연국, 동화산업(주) filed Critical 정연국
Priority to KR10201001232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45752B1/ko
Publication of KR201200621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6213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457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4575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19/00Machines, tools or auxiliary devices for preparing or distributing paving materials, for working the placed materials, or for forming, consolidating, or finishing the paving
    • E01C19/02Machines, tools or auxiliary devices for preparing or distributing paving materials, for working the placed materials, or for forming, consolidating, or finishing the paving for preparing the materials
    • E01C19/10Apparatus or plants for premixing or precoating aggregate or fillers with non-hydraulic binders, e.g. with bitumen, with resins, i.e. producing mixtures or coating aggregates otherwise than by penetrating or surface dressing; Apparatus for premixing non-hydraulic mixtures prior to placing or for reconditioning salvaged non-hydraulic compositions
    • E01C19/1004Reconditioning or reprocessing bituminous mixtures, e.g. salvaged paving, fresh patching mixtures grown unserviceable; Recycling salvaged bituminous mixtures; Apparatus for the in-plant recycling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9DISPOSAL OF SOLID WASTE; 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BDISPOSAL OF SOLID WAS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09B3/00Destroying solid waste or transforming solid waste into something useful or harmle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CPREPARING CLAY; PRODUCING MIXTURES CONTAINING CLAY OR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C1/00Apparatus or methods for obtaining or processing clay
    • B28C1/10Apparatus or methods for obtaining or processing clay for processing clay-containing substances in non-fluid condition ; Plants
    • B28C1/14Apparatus or methods for obtaining or processing clay for processing clay-containing substances in non-fluid condition ; Plants specially adapted for homogenising, comminuting or conditioning clay in non-fluid condition or for separating undesired admixtures therefrom
    • B28C1/22Apparatus or methods for obtaining or processing clay for processing clay-containing substances in non-fluid condition ; Plants specially adapted for homogenising, comminuting or conditioning clay in non-fluid condition or for separating undesired admixtures therefrom combined with means for conditioning by heating, humidifying, or vacuum treatment, by cooling, by sub-atmospheric pressure treatment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19/00Machines, tools or auxiliary devices for preparing or distributing paving materials, for working the placed materials, or for forming, consolidating, or finishing the paving
    • E01C19/02Machines, tools or auxiliary devices for preparing or distributing paving materials, for working the placed materials, or for forming, consolidating, or finishing the paving for preparing the materials
    • E01C19/10Apparatus or plants for premixing or precoating aggregate or fillers with non-hydraulic binders, e.g. with bitumen, with resins, i.e. producing mixtures or coating aggregates otherwise than by penetrating or surface dressing; Apparatus for premixing non-hydraulic mixtures prior to placing or for reconditioning salvaged non-hydraulic compositions
    • E01C19/1013Plant characterised by the mode of operation or the construction of the mixing apparatus; Mixing apparatu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23/00Auxiliary devices or arrangements for constructing, repairing, reconditioning, or taking-up road or like surfaces
    • E01C23/06Devices or arrangements for working the finished surface; Devices for repairing or reconditioning the surface of damaged paving; Recycling in place or on the road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7/00Coherent pavings made in situ
    • E01C7/08Coherent pavings made in situ made of road-metal and binders
    • E01C7/18Coherent pavings made in situ made of road-metal and binders of road-metal and bituminous binders
    • E01C7/22Binder incorporated in hot state, e.g. heated bitume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Road Paving Machi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천연골재를 가열한 가열골재와 폐아스콘을 가열하지 않고 분쇄한 순환골재의 믹싱효율을 증대시켜 재생상온아스콘의 품질이 대폭 향상될 수 있도록 한 높은 믹싱효율을 가지는 재생상온아스콘 제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높은 믹싱효율을 가지는 재생상온아스콘 제조장치는, 천연골재를 저장 및 공급하는 제 1 호퍼와, 상기 제 1 호퍼의 하부에 설치되고 천연골재를 이송하는 제 1 컨베이어와, 상기 제 1 컨베이어에 의해 이송된 천연골재를 가열하는 골재드라이어와, 상기 골재드라이어로부터 배출되는 가열골재를 상승이송시키는 이송엘리베이터와, 상기 이송엘리베이터를 통해 투입되는 가열골재를 분류하는 선별스크린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가열골재공급유닛; 수거된 상온의 폐아스콘을 가열하지 않고 분쇄한 순환골재를 저장 및 공급하는 제 2 호퍼와, 상기 제 2 호퍼로부터 배출되는 순환골재를 상기 가열골재공급유닛의 이송엘리베이터로 이송공급하는 제 2 컨베이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순환골재공급유닛; 아스팔트를 가열시켜 공급하는 아스팔트공급유닛; 및 상기 가열골재공급유닛을 통해 공급되는 가열골재 및 순환골재의 혼합물과 상기 아스팔트공급유닛을 통해 공급되는 아스팔트를 혼합하여 재생상온아스콘을 배출하는 믹싱유닛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Description

높은 믹싱효율을 가지는 재생상온아스콘 제조장치{WASTED ASPHALT CONCRETE RECYCLE PLANT WITH HIGH MIXING EFFICIENCY}
본 발명은 재생상온아스콘 제조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아스팔트 포장도로의 재포장공사 또는 지중시설물 보수공사로 인해 수거되는 상온의 폐아스팔트콘크리트(이하 "폐아스콘"이라 한다)을 재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재생상온아스콘 제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아스팔트 포장도로는 아스팔트에 자갈 및 쇄석 등의 골재를 혼합하여 가열한 아스팔트콘크리트(Asphalt Concrete, 이하 "아스콘"이라 한다)로 포장된 도로를 말한다.
이러한 아스팔트 포장도로는 빈번한 차량통행으로 인해 균열, 파손 또는 요철과 같은 변형을 수반하게 되므로 안전한 차량통행을 위해서는 지속적인 유지관리 및 보수를 필요로 한다.
아스팔트 포장도로의 보수작업시에는 통상적으로 보수가 필요한 도로포장부분을 파쇄하여 제거한 후 해당 부분에 새로운 아스콘을 투입하여 재포장하는 방법이 사용되므로, 폐아스콘이 필연적으로 발생하여 후처리가 요구된다.
또한 아스팔트 포장도로의 지하에 매설된 상/하수도관, 가스관, 전력 및 통신케이블 등과 같은 지중시설물을 보수공사하는 경우에도 해당구역의 도로포장부분을 파쇄하여 제거한 후 지중시설물의 보수작업을 한 다음 아스콘 재포장작업을 해야 하므로, 폐아스콘이 필연적으로 발생하여 후처리가 요구된다.
아스팔트 포장도로의 재포장공사 또는 지중시설물 보수공사로 인해 수거되는 폐아스콘을 폐기 처분하는 경우에는 자원낭비는 물론 매립처리로 인한 환경오염이 유발되므로, 최근에는 수거된 상온의 폐아스콘을 가열하지 않고 분쇄한 순환골재를 가열골재와 혼합하여 도로포장에 재활용하는 재생상온아스콘 제조방법이 많이 사용되고 있다.
도 1에는 종래의 재생상온아스콘 제조장치(100)의 개략구조도가 도시된다.
종래의 재생상온아스콘 제조장치(100)는 도 1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천연골재를 저장 및 공급하는 제 1 호퍼(111)와, 제 1 호퍼(111)의 하부에 설치되고 천연골재를 이송하는 제 1 컨베이어(112)와, 제 1 컨베이어(112)에 의해 이송된 천연골재를 가열하는 골재드라이어(113)와, 골재드라이어(113)로부터 배출되는 가열골재를 상승이송시키는 제 1 이송엘리베이터(114)와, 제 1 이송엘리베이터(114)를 통해 투입되는 가열골재를 분류하는 선별스크린(115)을 포함하는 가열골재공급유닛(110)과, 수거된 상온의 폐아스콘을 가열하지 않고 분쇄한 순환골재를 저장 및 공급하는 제 2 호퍼(121)와, 제 2 호퍼(121)로부터 배출되는 순환골재를 이송하는 제 2 컨베이어(122)와, 제 2 컨베이어(122)로부터 이송된 순환골재를 상승이송시키는 제 2 이송엘리베이터(123)을 포함하는 순환골재공급유닛(120)과, 아스팔트를 가열시켜 공급하는 아스팔트공급유닛(130)과, 가열골재공급유닛(110)을 통해 공급되는 가열골재와 순환골재공급유닛(120)을 통해 공급되는 순환골재와 아스팔트공급유닛(130)을 통해 공급되는 아스팔트를 혼합하여 재생상온아스콘을 배출하는 믹싱유닛(14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그러나, 전술한 구조를 가지는 종래의 재생상온아스콘 제조장치(100)의 경우에는 가열골재공급유닛(110)을 통해 공급되는 가열골재와 순환골재공급유닛(120)을 통해 공급되는 순환골재가 믹싱유닛(140)에서 잠시 혼합되어 배출됨에 따라 가열골재와 순환골재의 믹싱효율이 저하되어 재생상온아스콘의 품질을 떨어뜨리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천연골재를 가열한 가열골재와 폐아스콘을 가열하지 않고 분쇄한 순환골재의 믹싱효율을 증대시켜 재생상온아스콘의 품질이 대폭 향상될 수 있도록 한 높은 믹싱효율을 가지는 재생상온아스콘 제조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전술한 본 발명의 목적은, 천연골재를 저장 및 공급하는 제 1 호퍼와, 상기 제 1 호퍼의 하부에 설치되고 천연골재를 이송하는 제 1 컨베이어와, 상기 제 1 컨베이어에 의해 이송된 천연골재를 가열하는 골재드라이어와, 상기 골재드라이어로부터 배출되는 가열골재를 상승이송시키는 이송엘리베이터와, 상기 이송엘리베이터를 통해 투입되는 가열골재를 분류하는 선별스크린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가열골재공급유닛; 수거된 상온의 폐아스콘을 가열하지 않고 분쇄한 순환골재를 저장 및 공급하는 제 2 호퍼와, 상기 제 2 호퍼로부터 배출되는 순환골재를 상기 가열골재공급유닛의 이송엘리베이터로 이송공급하는 제 2 컨베이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순환골재공급유닛; 아스팔트를 가열시켜 공급하는 아스팔트공급유닛; 및 상기 가열골재공급유닛을 통해 공급되는 가열골재 및 순환골재의 혼합물과 상기 아스팔트공급유닛을 통해 공급되는 아스팔트를 혼합하여 재생상온아스콘을 배출하는 믹싱유닛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높은 믹싱효율을 가지는 재생상온아스콘 제조장치를 제공함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특징에 의하면, 상기 순환골재공급유닛의 제 2 컨베이어는 케이스로 둘러싸여지고, 상기 케이스에는 상기 제 2 컨베이어에 의해 이송되는 순환골재를 가열하는 가열수단이 설치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특징에 의하면, 상기 가열수단은 열풍기이다.
본 발명에 따른 높은 믹싱효율을 가지는 재생상온아스콘 제조장치에 의하면, 천연골재를 가열한 가열골재와 폐아스콘을 가열하지 않고 분쇄한 순환골재가 믹싱유닛에서 잠시 혼합되어 배출되는 것이 아니라, 순환골재가 가열골재공급유닛의 이송엘리베이터로 공급되어 가열골재와 함께 상승이송된 후 선별스크린을 거쳐 최종 믹싱유닛에서 혼합되어 배출됨에 따라, 천연골재를 가열한 가열골재와 폐아스콘을 가열하지 않고 분쇄한 순환골재의 믹싱효율이 증대되어 재생상온아스콘의 품질이 대폭 향상될 수 있는 탁월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높은 믹싱효율을 가지는 재생상온아스콘 제조장치에 의하면, 제 2 컨베이어에 의해 이송되는 순환골재가 제 2 컨베이어의 케이스 상에 설치되는 가열수단에 의해 가열된 후 가열골재와 함께 상승이송됨에 따라, 천연골재를 가열한 가열골재와 폐아스콘을 가열하지 않고 분쇄한 순환골재의 믹싱효율이 더욱 더 증대됨과 동시에 균일한 품질이 보장될 수 있는 탁월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폐아스콘 재생설비의 개략구조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폐아스콘 재생설비의 개략구조도.
이하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되, 이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이지, 이로 인해 본 발명의 기술적인 사상 및 범주가 한정되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본 발명에 따른 높은 믹싱효율을 가지는 재생상온아스콘 제조장치(1)는, 아스팔트 포장도로의 재포장공사 또는 지중시설물 보수공사로 인해 수거되는 상온의 폐아스콘을 재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장치로, 도 2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천연골재를 저장 및 공급하는 제 1 호퍼(11)와, 제 1 호퍼(11)의 하부에 설치되고 천연골재를 이송하는 제 1 컨베이어(12)와, 제 1 컨베이어(12)에 의해 이송된 천연골재를 가열하는 골재드라이어(13)와, 골재드라이어(13)로부터 배출되는 가열골재를 상승이송시키는 이송엘리베이터(14)와, 이송엘리베이터(14)를 통해 투입되는 가열골재를 분류하는 선별스크린(15)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가열골재공급유닛(10)과, 수거된 상온의 폐아스콘을 가열하지 않고 분쇄한 순환골재를 저장 및 공급하는 제 2 호퍼(21)와, 제 2 호퍼(210로부터 배출되는 순환골재를 가열골재공급유닛(10)의 이송엘리베이터(14)로 이송공급하는 제 2 컨베이어(22)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순환골재공급유닛(20)과, 아스팔트를 가열시켜 공급하는 아스팔트공급유닛(30)과, 가열골재공급유닛(10)을 통해 공급되는 가열골재 및 순환골재의 혼합물과 아스팔트공급유닛(30)을 통해 공급되는 아스팔트를 혼합하여 재생상온아스콘을 배출하는 믹싱유닛(4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가열골재공급유닛(10)은 자갈, 쇄석 등과 같은 천연골재를 가열하여 믹싱유닛(40)으로 제공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천연골재를 저장 및 공급하는 제 1 호퍼(11)와, 제 1 호퍼(11)의 하부에 설치되고 천연골재를 이송하는 제 1 컨베이어(12)와, 제 1 컨베이어(12)에 의해 이송된 천연골재를 가열하는 골재드라이어(13)와, 골재드라이어(13)로부터 배출되는 가열골재를 상승이송시키는 이송엘리베이터(14)와, 이송엘리베이터(14)를 통해 투입되는 가열골재를 분류하는 선별스크린(15)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제 1 컨베이어(12)는 수평이송식 컨베이어벨트의 형태로 형성되고, 골재드라이어(13)는 버너가 일체로 설치된 수평이송식 가열로 형태로 형성되며, 이송엘리베이터(14)는 골재드라이어(13)로부터 배출되는 가열골재를 믹싱유닛(40)으로 상승이송시키는 공지의 버킷엘리베이터, 스킵호이스트, 경사스크류컨베이어 등의 형태로 형성되고, 선별스크린(15)은 가열골재를 입도별로 분류하는 진동스크린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전술한 가열골재공급유닛(10)은 종래의 재생상온아스콘 제조장치(100; 도 1 참조)와 큰 차이가 없는 바, 명세서의 간략화를 위해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순환골재공급유닛(20)은 아스팔트 포장도로의 재포장공사 또는 지중시설물 보수공사로 인해 수거되는 상온의 폐아스콘을 분쇄한 순환골재를 전술한 가열골재공급유닛(10)의 이송엘리베이터(14)로 공급하여 가열골재와 순환골재가 믹싱유닛(40)으로의 투입 이전에, 즉 이송엘리베이터(14)에 의한 이송과정과 선별스크린(15)에 의한 선별과정을 통해 미리 혼합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가열골재와 순환골재의 믹싱효율이 증대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수거된 상온의 폐아스콘을 가열하지 않고 분쇄한 순환골재를 저장 및 공급하는 제 2 호퍼(21)와, 제 2 호퍼(21)로부터 배출되는 순환골재를 가열골재공급유닛(10)의 이송엘리베이터(14)로 이송공급하는 제 2 컨베이어(22)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제 2 컨베이어(22)는 수평이송식 컨베이어벨트의 형태로 형성된다.
순환골재공급유닛(20)의 제 2 컨베이어(22)는 가열수단(24)이 설치된 케이스(23)로 둘러싸여지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 가열수단(24)은 제 2 컨베이어(22)에 의해 이송되는 순환골재를 가열함으로써 가열골재와의 믹싱효율이 더욱 증대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열풍기를 비롯한 다양한 전열장치로 형성될 수 있다.
아스팔트공급유닛(30)은 정유공장으로부터 분리배출되는 아스팔트를 저장한 후 차후에 설명될 믹싱유닛(40)으로 공급하는 것으로, 아스팔트가 가열저장되는 저장사일로와, 이 저장사일로로부터 배출되는 아스팔트를 이송하는 컨베이어 및 이송엘리베이터 등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전술한 가열골재공급유닛(10)을 통해 공급되는 가열골재 및 순환골재의 혼합물과 아스팔트공급유닛(30)을 통해 공급되는 아스팔트는 믹싱유닛(40)에 의해 혼합되어 재생상온아스콘을 제조된 후 최종 운반차량(3)으로 배출되는데, 이 믹싱유닛(40)은 내부에 교반기가 구비된 저장탱크의 형태로 형성된다.
전술한 아스팔트공급유닛(30) 및 믹싱유닛(40) 또한 종래의 재생상온아스콘 제조장치(100; 도 1 참조)와 큰 차이가 없는 바, 명세서의 간략화를 위해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높은 믹싱효율을 가지는 재생상온아스콘 제조장치(1)를 사용하여 재생상온아스콘을 제조하는 경우에는, 천연골재를 가열한 가열골재와 폐아스콘을 가열하지 않고 분쇄한 순환골재가 각각 믹싱유닛(40)으로 공급되어 믹싱유닛(40)에서 잠시 혼합되어 배출되는 것이 아니라, 순환골재가 가열골재공급유닛(10)의 이송엘리베이터(14)로 공급됨에 따라 가열골재와 순환골재가 믹싱유닛(40)으로의 투입 이전에, 즉 이송엘리베이터(14)에 의한 이송과정과 선별스크린(15)에 의한 선별과정을 통해 미리 혼합된 후 최종 믹싱유닛에서 다시 혼합되어 배출됨에 따라, 천연골재를 가열한 가열골재와 폐아스콘을 가열하지 않고 분쇄한 순환골재의 믹싱효율이 증대되어 재생상온아스콘의 품질이 대폭 향상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높은 믹싱효율을 가지는 재생상온아스콘 제조장치(1)를 사용하여 재생상온아스콘을 제조하는 경우에는, 제 2 컨베이어(22)에 의해 이송되는 순환골재가 제 2 컨베이어(22)의 케이스(23) 상에 설치되는 가열수단(24)에 의해 가열된 후 이송엘리베이터(14)에서 가열골재와 함께 상승이송됨에 따라, 가열골재와 순환골재의 믹싱효율이 더욱 더 증대됨과 동시에 균일한 품질이 보장될 수 있게 된다.
1 : 본 발명에 따른 높은 믹싱효율을 가지는 재생상온아스콘 제조장치
10 : 가열골재공급유닛
11 : 제 1 호퍼
12 : 제 1 컨베이어
13 : 골재드라이어
14 : 제 1 이송엘리베이터
15 : 선별스크린
20 : 순환골재공급유닛
21 : 제 2 호퍼
22 : 제 2 컨베이어
23 : 케이스
24 : 가열수단
30 : 아스팔트공급유닛
40 : 믹싱유닛
100 : 종래의 재생상온아스콘 제조장치

Claims (3)

  1. 천연골재를 저장 및 공급하는 제 1 호퍼와, 상기 제 1 호퍼의 하부에 설치되고 천연골재를 이송하는 제 1 컨베이어와, 상기 제 1 컨베이어에 의해 이송된 천연골재를 가열하는 골재드라이어와, 상기 골재드라이어로부터 배출되는 가열골재를 상승이송시키는 이송엘리베이터와, 상기 이송엘리베이터를 통해 투입되는 가열골재를 분류하는 선별스크린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가열골재공급유닛;
    수거된 상온의 폐아스콘을 가열하지 않고 분쇄한 순환골재를 저장 및 공급하는 제 2 호퍼와, 상기 가열골재와 상기 순환골재가 상기 이송엘리베이터에 의한 이송과정과 상기 선별스크린에 의한 선별과정을 통해 미리 혼합될 수 있도록 상기 제 2 호퍼로부터 배출되는 순환골재를 상기 가열골재공급유닛의 이송엘리베이터로 이송공급하는 제 2 컨베이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순환골재공급유닛;
    아스팔트를 가열시켜 공급하는 아스팔트공급유닛; 및
    상기 가열골재공급유닛을 통해 공급되는 가열골재 및 순환골재의 혼합물과 상기 아스팔트공급유닛을 통해 공급되는 아스팔트를 혼합하여 재생상온아스콘을 배출하는 믹싱유닛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순환골재공급유닛의 제 2 컨베이어는 케이스로 둘러싸여지고, 상기 케이스에는 상기 제 2 컨베이어에 의해 이송되는 순환골재를 가열하는 가열수단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높은 믹싱효율을 가지는 재생상온아스콘 제조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가열수단은 열풍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높은 믹싱효율을 가지는 재생상온아스콘 제조장치.
  3. 삭제
KR1020100123251A 2010-12-06 2010-12-06 높은 믹싱효율을 가지는 재생상온아스콘 제조장치 KR10134575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23251A KR101345752B1 (ko) 2010-12-06 2010-12-06 높은 믹싱효율을 가지는 재생상온아스콘 제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23251A KR101345752B1 (ko) 2010-12-06 2010-12-06 높은 믹싱효율을 가지는 재생상온아스콘 제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62133A KR20120062133A (ko) 2012-06-14
KR101345752B1 true KR101345752B1 (ko) 2014-01-02

Family

ID=466831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23251A KR101345752B1 (ko) 2010-12-06 2010-12-06 높은 믹싱효율을 가지는 재생상온아스콘 제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4575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51102B1 (ko) * 2012-08-01 2013-04-05 정주현 폐아스콘 재생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107209A (ja) * 1997-09-30 1999-04-20 Nikko Co Ltd アスファルト合材製造装置
JP2004019230A (ja) * 2002-06-17 2004-01-22 Hozai Service:Kk アスファルト廃材の再生化処理方法
KR100705382B1 (ko) * 2006-03-28 2007-04-10 대명산업(주) 폐열을 이용한 폐아스콘 재생시스템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107209A (ja) * 1997-09-30 1999-04-20 Nikko Co Ltd アスファルト合材製造装置
JP2004019230A (ja) * 2002-06-17 2004-01-22 Hozai Service:Kk アスファルト廃材の再生化処理方法
KR100705382B1 (ko) * 2006-03-28 2007-04-10 대명산업(주) 폐열을 이용한 폐아스콘 재생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62133A (ko) 2012-06-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63128B1 (ko) 건설폐기물의 재활용 처리 장치 및 그 방법
WO2019134729A1 (en) Method for producing an asphalt product, an asphalt product as such, an apparatus for producing an asphalt product
KR101126180B1 (ko) 악취방지 재생 아스콘의 제조방법
CN102337717B (zh) 沥青混合料就地热再生车
KR101296529B1 (ko) 순환골재 제조시스템
KR101217055B1 (ko) 내통회전드럼과 외통회전드럼의 2중 드럼 구조를 갖는 폐아스콘 재생장치 및 이를 이용한 폐아스콘 재생방법
KR101214383B1 (ko) 신재 아스콘과 재생 아스콘을 혼합하여 만들어지는 순환 아스콘 제조방법 및 그 장치
KR101345752B1 (ko) 높은 믹싱효율을 가지는 재생상온아스콘 제조장치
CN202577098U (zh) 一种沥青厂拌热再生设备
CN209891024U (zh) 沥青混合料就地冷再生设备
KR101174428B1 (ko) 친환경 폐아스콘 재생설비
KR101717722B1 (ko) 사전 안정화시킨 매립 폐기물 및 신규 생활폐기물을 이용한 srf 생산방법
JP2004011406A (ja) 再生アスファルト移動プラント工法
KR100892434B1 (ko) 주.종 회전드럼을 이용한 폐아스팔트콘크리트의 재생방법 및 그 장치
KR100606291B1 (ko) 폐 아스팔트 재생처리시설 운전방법
KR101003007B1 (ko) 2중 원통형 회전드럼을 갖는 폐아스팔트콘크리트 재생 및 순환아스팔트콘크리트의 생산방법 및 그 장치
KR101096778B1 (ko) 재생 아스콘 제조장치
KR101681264B1 (ko) 골재 예열기
KR100721970B1 (ko) 건설폐기물을 이용한 아스콘 배합용 골재 생산방법
JP5052012B2 (ja) セメント原料の調製方法
KR200364479Y1 (ko) 폐 아스팔트 재생 운전시스템
KR101227617B1 (ko) 에어 펄스 수단이 설치된 서지빈을 구비한 재생 아스콘 제조장치
KR100432525B1 (ko) 건설폐기물을 이용한 재생모래 제조방법
KR20030019755A (ko) 폐아스콘을 재생할 수 있는 가열식 아스콘 제조장치
KR102257066B1 (ko) 소성공정으로 고강도 몰탈용 모래제조와 그 제조 과정에서 발생된 슬러지를 시멘트 부원료로 재활용하는데 있어서 소성 공정의 폐열을 이용한 건조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3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30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