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45678B1 - 차량 좌석 및 사용 위치에서 보관 위치까지 시트백을 이동시키는 방법 - Google Patents

차량 좌석 및 사용 위치에서 보관 위치까지 시트백을 이동시키는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45678B1
KR101345678B1 KR1020127005873A KR20127005873A KR101345678B1 KR 101345678 B1 KR101345678 B1 KR 101345678B1 KR 1020127005873 A KR1020127005873 A KR 1020127005873A KR 20127005873 A KR20127005873 A KR 20127005873A KR 101345678 B1 KR101345678 B1 KR 10134567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onent
base portion
relative
components
mov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70058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49328A (ko
Inventor
미하엘 콸
토비아스 에발트
Original Assignee
존슨 컨트롤스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존슨 컨트롤스 게엠베하 filed Critical 존슨 컨트롤스 게엠베하
Publication of KR201200493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4932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456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4567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2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back-rest being adjust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2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back-rest being tiltable, e.g. to permit easy access
    • B60N2/20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back-rest being tiltable, e.g. to permit easy access to a position in which it can be used as a support for objects, e.g. as a tra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2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back-rest being tiltable, e.g. to permit easy acce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2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back-rest being adjustable
    • B60N2/222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back-rest being adjustable the back-rest having two or more pa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2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back-rest being adjustable
    • B60N2/235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back-rest being adjustable by gear-pawl type mechanis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2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back-rest being adjustable
    • B60N2/235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back-rest being adjustable by gear-pawl type mechanisms
    • B60N2/235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back-rest being adjustable by gear-pawl type mechanisms with external paw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205/00General mechanical or structural details
    • B60N2205/30Seat or seat parts characterised by comprising plural parts or pie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eats For Vehicles (AREA)
  • Chairs For Special Purposes, Such As Reclining Chai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 좌석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차량 뒷 열에서 뒷좌석에 관한 것이다. 더하여 본 발명은 베이스 부분(4)에 대하여 제1 및 제2 구성요소를 (1 및 6)이동시키는 방법, 제1 회전 수단(GL)에 의해 서로 연결되는 제1 구성요소 및 제2 구성요소 및 제2 회전 수단(GU)에 의해 서로 연결되는 제2 구성요소 및 베이스 부분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차량 좌석 및 사용 위치에서 보관 위치까지 시트백을 이동시키는 방법 {MOTOR VEHICLE SEAT AND METHOD FOR TRANSFERRING A SEATBACK FROM THE USE POSITION TO A STOWED POSITION}
본 발명은 차량 좌석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차량 뒷 열에서 뒷좌석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베이스 부분(base part)에 대하여 제1 구성요소 및 제2 구성요소를 이동시키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제1 구성요소 및 제2 구성요소는 각각의 경우에 있어서 제1 회전 수단에 의해 서로 연결되고, 제1 구성요소 및 베이스 부분은 각각의 경우에 있어서 제2 회전 수단에 의해 서로 연결된다.
추가적인 적재(storage) 공간을 확보하기 위해 접이식으로 설계된 차량 좌석은 현재 여러 디자인으로 시중에 나와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 위치에서 보관 위치까지 좌석을 접을 수 있는 방법 및 구조가 간단하고 사용자가 상당한 사전 지식 없이도 작동시킬 수 있으며 접어 올린 상태에서 더 작은 공간을 필요로 하는 새로운 접이식 차량 좌석에 관한 발명을 제안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베이스 부분에 대하여 제1 구성요소 및 제2 구성요소를 이동시키는 방법에 의해 성취될 수 있으며, 제1 구성요소 및 제 2 구성요소 각각은 제1 회전 수단에 의해 서로 연결되어 있으며, 제1 구성요소 및 베이스 부분 각각은 제2 회전 수단에 의해 서로 연결되고, 제1 회전 수단 및 제2 회전 수단은 제2 구성요소에 대한 제1 구성요소의 위치 그리고/또는 베이스 부분에 대한 제2 구성요소의 위치 중 적어도 하나의 위치에 따라 자동적으로 잠기거나 해제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에 따르는 방법은 시트백(seatback)이 시트부분(seat part)과 거의 수직하도록 구성된 사용 위치로부터, 더욱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자에게 알려진 소위 용이 인접 위치(easy entry position)를 매개로, 시트백이 시트부분과 거의 평행하도록 구성된 보관 위치까지, 베이스 부분인 시트 부분에 대해 제1 구성요소인 시트백을 이동시키는 것에 관한 것이다.
제1 구성요소 - 예를 들어 시트백 - 와 제2 구성요소 - 예를 들어 시트 부분 - 사이에서, 제2 구성요소는 제1 구성요소 및 베이스 부분 모두와 연결되어 이동가능하도록, 특히 회전할 수 있게 구성된다. 이것 때문에 보다 바람직하게는 제1 회전 수단 및 제2 회전수단, 그 중에서도 피봇핀들은 서로 평행한 상태로 배열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제1 회전 수단 및 제2 회전 수단은 제2 구성요소에 대한제1 구성요소의 위치 그리고/또는 베이스 부분에 대한 제2 구성요소의 위치 중 적어도 하나의 위치에 따라 자동적으로 잠기거나 해제되도록 구성된다. 그 결과, 예를 들어 시트백의 버튼을 누르거나 레버를 당기는 것 또는 기타 필요로 하는 행위와 같은 임의의 다른 행위 없이 단순한 회전에 의해 사용자는 시트백을 사용 위치에서 보관 위치로 이동시킬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제1 구성요소 - 예를 들어 시트백 - 는 이동, 그중에서도 회전 방식에 의해 제2 구성요소에 대하여 임의의 각도를 이루며 이동할 수 있으며, 제2 구성요소는 제1 위치에서 베이스 부분 - 예를 들어 시트 부분(seat part) - 에 대하여 잠긴 상태로 유지된다. 상기 기능은 특히 안락함 조정을 위해 중요하다. 시트백의 한계 각도는 제2 구성요소와 해제된 시트 부분 사이에서 잠기지 않은 시트백의 수직 위치에 대해 조정될 수 있다.
제1 구성요소 - 예를 들어 시트백 - 가 특정 각도를 넘어서 회전할 때, 제2 회전 수단은 자동적으로 해제되고/해제되거나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에 제공된 정지부와 접촉하도록 이동된다. 예를 들어 상기 기능은 시트백이 용이 인접 위치(easy entry position) 내로 이동할 수 있게 한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제2 구성요소와 베이스 부분 사이에서 상대적인 운동, 특별하게는 더 상대적인 운동에 의해 제1 구성요소의 잠금 수단은 잠금 수단이 제2 구성요소에 대해 제1 구성요소를 잠글 수 있으나 아직 잠기지 않은 상태인, 자동적으로 잠글 수 있는 위치로 이동된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제 2 구성요소의 잠금 수단 또한 자동적으로 베이스 부분에 대하여 잠김 가능한 제2 위치인 상기 제2 구성요소의 잠금 수단이 베이스 부분에 대해 제2 구성요소를 잠글 수 있으나 아직 잠기지 않는 상태인 잠김 가능한 위치 내로, 보다 바람직하게는 제1 구성요소의 잠금 수단과 동시에 이동된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제1 구성요소 및 제2 구성요소 모두가 최종 위치에 도달한 후에 각 구성요소 모두는 각각의 위치에서 자동적으로 잠긴다. 예를 들어 상기 위치는 시트백과 시트 부분이 평행한 보관 위치이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잠김은 래칭(latching) 수단 그중에서도 래칭 폴(latching pawl)에 의해 발생한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그것의 제2 위치 - 예를 들어 시트백의 보관 위치 - 에 도달한 후 특별히 제2 구성요소는 수동식 또는 자동식으로 해제되었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제1 구성요소의 해제는 구성요소와 베이스 부분의 서로에 대한 상대적인 움직임에 의해 자동적으로 발생된다.
본 발명의 더욱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제1 구성요소 및 제2 구성요소 서로에 대한 움직임 그리고/또는 베이스 부분에 대한 제2 구성요소의 움직임에 의해, 제1 구성요소는 자동적으로 짧아지거나 길어진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제1 구성요소는 시트백 이고/또는 베이스 부분은 차량 좌석의 시트 부분이다.
본 발명의 추가적인 주제는 시트백, 중간 부분 및 베이스 부분을 포함하는 차량 좌석이며, 시트백 및 중간 부분 각각은 제1 회전 수단에 의해 서로 연결되고 중간 부분 및 베이스 부분 각각은 제2 회전 수단에 의해 연결되며, 상기 구성요소들 각각은 잠금 수단에 의해 적어도 하나의 위치에서 잠길 수 있으며, 잠금 수단들이 임의의 수단에 의해 연결되어 작동함으로써, 시트백 및 중간 부분의 상대적 움직임 그리고/또는 중간 부분 및 베이스 부분의 상대적 움직임에 의해 적어도 하나의 잠금 수단은 자동적으로 잠금 또는 해제된다. 특별히 보다 바람직하게, 상기 수단들은 완전히 병진 운동 방식으로 이동한다.
본 발명을 따르는 방법에 의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을 따르는 차량 좌석에 동등하게 적용되며, 반대로 본 발명을 따르는 차량 좌석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을 따르는 방법에 동등하게 적용된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차량 좌석은 상단 수평 피봇핀(pivot pin)을 중심으로 피봇할 수 있고, 전체적으로 시트백과 연결되며, 상단 잠금 장치를 매개로 해제가능하게 연결되는 상단 피팅(fitting)을 포함한다. 보다 바람직하게 차량 좌석은 하단 피팅상에 하단 수평축을 중심으로 피봇할 수 있도록 분절(articulated) 되고 하단 잠금 장치를 매개로 해제 가능하도록 잠겨질 수 있는 제2 구성요소인 중간 부분을 추가적으로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차량 좌석의 운동 시스템이, 다음과 같은 구성 중 하나 이상을 실행하도록 구성된다:
- 시트백이 사용 위치에 있을 때, 즉 이동 위치에 있어서 차량 승객에 유리한 위치에서 차량 상단 피봇핀이 해제되고 하단 피봇핀이 잠김;
- 시트백이 앞으로 접힐 때 수직 각도와 대하여 예정된 기울기의 각도에 도달하자마자 하단 피봇핀은 자동적으로 해제됨;
- 시트백의 앞쪽으로 접힘 운동은 특히 예정된 기울기의 각도에 상응하는 시트백의 정지 위치에서 제1 정지 수단에 의해 제한됨;
- 하단 피봇핀이 해제된 후에, 상단 피팅의 계속하여 이동하고, 상기 상단 피팅의 이동은 중간 부분으로 전달되며, 상기 중간 부분의 운동은 제2 정지 수단에 의해 제한되고, 그 결과에 의해 중간 부분은 정해진 기능적 위치에서 정지함;
- 상단 피봇핀 및 하단 피봇핀 각각은, 오직 본 발명에 따르는 차량 좌석이 최종위치로 조정될 때, 즉 시트백이 시트 부분과 평행한 위치에 있는 경우에만 잠김; - 좌석의 최종 위치에서 상단 및 하단 피봇핀은 오직 운동 시스템에 가해지는 사용자의 임의의 형식의 특정한 작용에 의해 해제될 수 있음.
본 발명은 아래에 도시된 도 1 내지 도 20을 참고로 하여 설명된다. 상기 예시들은 단지 예시적인 방식에 지나지 아니하며 일반적인 착상이나 발명을 제한하지 않는다. 본 예시들은 본 발명과 주제를 같이하는 경우 동일하게 적용된다.
도 1은 개략적인 분해도로서, 본 발명에 따라 설계된 차량 좌석 운동 시스템의 구성요소를 도시한다.
도 2는 개략적인 단면도로서, 제1 위치 즉 사용 위치에서 차량 좌석의 기본 구조를 도시한다.
도 3은 상당히 개략적인 도면으로서, 도 2에 도시된 기본 구조의 사용 위치와 상응하는, 좌석 사용 위치에 있는 차량 좌석을 도시한다.
도 4는 도 2와 비교하여 등받이 피팅이 약간 앞으로 접힌 상태인 도 2의 기본구조를 도시한다.
도 5는 상당히 개략적인 도면으로서, 도 4에 도시된 기본 구조 위치와 상응하는 좌석 위치에서 차량 좌석을 도시한다.
도 6은 등받이 피팅이 수직인 위치로 앞으로 더 접힌 상태인 도 4의 기본 구조를 도시한다.
도 7은 상당히 개략적인 도면으로서, 도 6에 도시된 기본 구조의 위치와 상응하는 좌석 위치에서 차량 좌석을 도시한다.
도 8은 등받이 피팅이 훨씬 더 앞으로 접힌 상태인 도 6의 기본 구조를 도시한다.
도 9는 상당히 개략적인 도면으로서, 도 8에 도시된 기본 구조의 위치와 상응하는 좌석 위치에서 차량 좌석을 도시한다.
도 10은 등받이 피팅이 훨씬 더 앞으로 접힌 상태인 도 8의 기본 구조를 도시한다.
도 11은 상당히 개략적인 도면으로서, 도 10에 도시된 기본 구조의 위치와 상응하는 좌석 위치에서 차량 좌석을 도시한다.
도 12는 등받이 피팅이 훨씬 더 앞으로 접힌 상태인 도 10의 기본 구조를 도시한다.
도 13은 상당히 개략적인 도면으로서, 도 12에 도시된 기본 구조의 위치에 상응하는 좌석 위치에서 차량 좌석을 도시한다.
도 14는 등받이 피팅이 훨씬 더 앞으로 접힌 상태인 도 12의 기본 구조를 도시한다.
도 15는 상당히 개략적인 도면으로서, 도 14에 도시된 기본 구조의 위치와 상응하는 좌석 위치에서 차량 좌석을 도시한다.
도 16은 등받이 피팅이 훨씬 더 앞으로 접힌 상태인 도 14의 기본 구조를 도시한다.
도 17은 상당히 개략적인 도면으로서, 도 16에 도시된 기본 구조의 위치와 상응하는 좌석 위치에서 차량 좌석을 도시한다.
도 18은 등받이 피팅이 최종 수평 위치로 더 접힌 상태인 도 16의 기본 구조를 도시한다.
도 19는 상당히 개략적인 도면으로서, 도 18에 도시된 기본 구조의 위치와 상응하는 좌석 위치에서 차량 좌석을 도시한다.
도 20은 시트백이 짧아지거나 길어짐을 도시한다.
도 1은 개략적 분해도로서, 본 발명에 따라 설계된 차량 좌석 운동 시스템(K)의 구성 요소를 도시한다. 운동 시스템(K)은 상단 피봇(pivot) 핀을 중심으로 시트백(seatback)과 함께 회전하는 등받이 피팅(backrest fitting)(10)을 회전시키기 위한 등받이 피봇팅 조인트(backrest pivoting joint)(GL)를 포함한다.
등받이 피봇팅 조인트(GL)의 회전 운동을 풀 암(full arm)(2)에 전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등받이 피봇팅 조인트(GL)는 풀 암(2)과 기계적으로 연결(couple)된다.
운동 시스템(K)은 풀 암(2)을 매개로 하여 작동할 수 있도록 등받이 피봇팅 조인트(GL)와 연결된 릴리즈 부재(release member)(3)를 더 포함한다.
하단 피봇팅 조인트(GU)는 하단 피팅(40)에 대해 회전되지 않도록 하단 피팅(40)에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하단 피팅(40)은 차량 몸체에 대해 고정되고, 상기 하단 피팅(40) 상에는 예시적으로 도 3에 도시된 것처럼, 시트(seat) 부분(4)이 장착된다.
운동 시스템(K)은 하단 피봇팅 조인트(GU)의 해제 가능한 잠금을 위한 하단 잠금 유닛(VU)을 더 포함한다. 계속해서 잠금 유닛(VU)은 릴리즈 암(release arm)(30), 록킹 캠(locking cam)(31) 및 록킹 클로(locking claw)(32)를 포함한다. 상단 잠금 유닛(VL)에 의해, 피팅(10) 및 시트백은 중간 부분에 대해 고정될 수 있다.
슬라이딩 스트럿(sliding strut)(5)에는 릴리즈 암(30)을 안내하기 위한 가이드 슬롯(guide slot)이 제공된다.
도 2의 개략적인 단면도는 이동에 있어서 차량 승객에 유리한 사용 위치에 있는, 차량 좌석(F)의 기본 구조(B)를 도시한다. 기본 구조(B)는 등받이 피봇팅 조인트(GL)를 매개로 중간 부분(6)과 분절식(articulated manner)으로 연결된 등받이 피팅(10)을 포함한다. 중간 부분(6)은 하단 피봇팅 조인트(GU)를 통해 하단 피봇 핀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하부 피팅(40)에 분절식으로 연결된다.
기본 구조(B)는 등받이 피봇팅 조인트(GL)의 해제 가능한 잠김을 위한 상단 잠금 장치 및 하단 피봇팅 조인트(GU)의 해제 가능한 잠김을 위한 하단 잠금 장치를 포함한다.
등받이 피봇팅 조인트(GL)는 이동 중 차량 승객에 유리한, 기본 구조(B)의 이러한 사용 위치에서 해제(unlocked)되어 있는 반면 하단 피봇팅 조인트(GU)는 잠긴다. 이러한 결과로 안락함 조정을 위해, 시트백은 그 기울기 각도(
Figure 112012017953945-pct00001
)에 변화를 줄 수 있다.
풀 암(2)의 제어 슬롯(20)은 릴리즈 부재를 이동가능하게 안내하는 기능을 하므로, 상기와 같은 안락함 조정 동안 상단 잠금 장치 또는 하단 잠금 장치(V)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지 않으면서 시트백(1)의 안락함 조정을 위한 특정 피봇팅 범위 내에서 등받이 피팅(10)의 피봇팅 될 수 있게 한다. 록킹 캠(31)은 록킹 클로(32)의 멈춤 럭(lug)(33)을 누르고 록킹 클로(32)에 제공된 제1 톱니(toothed)부분(34)이 하단 피봇팅 조인트(GU)에 작동하도록 연결된 제2 톱니 부분(35)과 맞물리는 위치에서 록킹 클로(32)를 유지시키며, 결국 이와 같은 방식으로 하단 피봇팅 조인트(GU)를 잠근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기본 구조(B)의 사용 위치와 상응하는, 좌석의 사용 위치에 있는 차량좌석(F)을 상당히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차량 좌석(F)은 좌석 부분(4) 및 중간 부분(6)을 매개로 좌석 부분(4)과 연결되고 등받이 피팅(10)과 함께 회전하는 시트백(1)을 포함한다.
도 4는, 도 2에 비해서 등받이 피팅(10)이 기울기 각도(
Figure 112012017953945-pct00002
)만큼 앞으로 약간 접힌 상태인, 도 2의 기본 구조(B)를 도시한다. 앞서 등받이 피봇팅 조인트(GL)는 해제되는 반면, 하단 피봇팅 조인트(GU)는 여전히 잠겨있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기본 구조(B)의 위치와 상응하는, 좌석 위치에 있는 차량 좌석(F)을 상당히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6은 등받이 피팅(10)이 앞으로 보다 큰 기울기 각도(
Figure 112012017953945-pct00003
)로 더 접힌 상태인, 도 4의 기본 구조(B)를 도시한다. 앞서와 같이 등받이 피봇팅 조인트(GL)는 해제되는 반면, 하단 피봇팅 조인트(GU)는 여전히 잠겨있다.
도 7은 도 6에 도시된 기본 구조(B)의 위치와 상응하는, 좌석 위치에 있는 차량 좌석(F)을 상당히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8은 등받이 피팅(10)이 훨씬 큰 기울기 각도(
Figure 112012017953945-pct00004
)로 앞으로 훨씬 더 접힌 상태인, 도 6의 기본 구조(B)를 도시한다. 등받이 피팅(10)의 이와 같은 위치로부터, 등받이 피봇팅 조인트(GL)에 작동가능하게 연결되는 풀 암(2)은 릴리즈 부재에 작동하게 되고, 이는 계속해서 릴리즈 암(30)에 제공된 핀이 슬라이딩 스트럿의 안내 슬롯으로 들어가도록 힘을 가한다. 이와 같은 결과로, 릴리즈 암(30)은 록킹 캠(31)이 록킹 클로(32)에 제공된 록킹 리세스(locking recess)(36)에 들어가도록하단 잠금 장치(V)에 대해 작용하며, 그 결과 록킹 클로(32)는 하단 피봇팅 조인트(GU)로부터 떨어져 후방으로 젖혀질 수 있으며, 그에 따라 제1 톱니 부분(34)이 제2 톱니 부분(35)과의 맞물림 영역을 벗어나기 시작하여 하단 피봇팅 조인트(GU)를 잠김 상태에서 해제 상태로 이동시키게 된다.
도 9는 도 8에 도시된 기본 구조(B)의 위치와 상응하는, 좌석 위치에 있는 차량 좌석(F)을 상당히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10은 등받이 피팅(10)이 훨씬 큰 기울기 각도(
Figure 112012017953945-pct00005
)로 앞으로 훨씬 더 접힌 상태인, 도 8의 기본 구조(B)를 도시한다. 록킹 캠(31)은 록킹 리세스(36) 내부로 훨씬 깊게 들어와 있고, 이로 인해 록킹 클로(32)는 훨씬 더 후방으로 젖혀질 수 있게 되었다.
도 11은 도 10에 도시된 기본 구조(B)의 위치와 상응하는, 좌석 위치에 있는 차량 좌석(F)을 상당히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12는 등받이 피팅(10)이 훨씬 큰 기울기 각도(
Figure 112012017953945-pct00006
)로 앞으로 훨씬 더 접힌 상태인, 도 10의 기본 구조(B)를 도시한다. 록킹 캠(31)이 이제 록킹 리세스(36) 내부로 완전히 들어가게 되고, 록킹 클로(32)는 훨씬 더 후방으로 젖혀짐으로서 제1 톱니 부분과 제2 톱니 부분이 이제 완전히 해제 되고, 그에 따라 하단 피봇팅 조인트(GU)가 해제된다. 등받이 피봇팅 조인트(GL)는 여전히 슬라이더에 의해 해제된 상태로 유지되어 있지만, 이제 등받이 피팅(10)은 잠금 직전 위치(ready-to-lock positon)에 놓인다. 하단 피봇팅 조인트(GU)가 해제된 후, 중간 부분(6)은 하단 피봇 핀을 중심으로 등받이 피팅(10)과 함께 회전한다.
도 13은 도 12에 도시된 기본 구조(B)의 위치와 상응하는, 좌석 위치에 있는 차량 좌석(F)을 상당히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14는 등받이 피팅(10)이 훨씬 큰 기울기 각도(
Figure 112012017953945-pct00007
)로 앞으로 훨씬 더 접힌 상태인, 도 12의 기본 구조(B)를 도시한다. 초기에 하단 피봇팅 조인트(GU)는 여전히 해제된 상태로 유지되며, 이후 등받이의 계속된 움직임에 의해 두 번째 잠금 위치(각도 (
Figure 112012017953945-pct00008
)의 변화)로 이동된다. 그러나 이와 같은 두 번째 잠금 위치에 도달 하기전, 먼저 최초 등받이의 움직임에 의해 잠금 장치(V)가 잠금 직전 위치로 이송되고, 다음으로 하단 피봇핀을 중심으로 하는 중간 부분(6)의 회전이 제2 정지부에 의해 제한된다. 이와 같은 경우, 제2 정지부에 도달한 후에 각각의 경우에 할당된 잠금 장치에 의해 등받이 피봇팅 조인트(GL) 및 하단 피봇팅 조인트(GU) 모두가 오직 자동적으로 잠기도록 운동 시스템(K)이 설계된다. 중간 부분에 대한 하단 피팅(40)의 상대적 움직임에 동조되어 있는 슬라이더는 뒤로 움직이고, 그에 의해 등받이 피봇팅 조인트(GL)는 잠금 위치로 회전을 시작한다. 이제 등받이 피팅(10)은, 등받이 피팅(10) 및 시트백(1)의 추가적인 전진 운동을 차단하기 위해, 제1 정지부에 인접하게 된다.
도 15는 도 14에 도시된 기본 구조(B)의 위치와 상응하는 좌석 위치에 있는 차량 좌석(F)을 상당히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16은 등받이 피팅(10)이 훨씬 큰 기울기 각도(
Figure 112012017953945-pct00009
)로 앞으로 훨씬 더 접힌 상태인 도 14의 기본 구조(B)를 도시한다. 슬라이더는 훨씬 더 뒤쪽으로 이동되었고 등받이 피봇팅 조인트(GL)는 그 잠금 위치로 다시 회전한다.
도 17은 도 16에 도시된 기본 구조(B)의 위치와 상응하는 좌석 위치에 있는 차량 좌석(F)을 상당히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18은 등받이 피팅(10)이 수평한 최종 위치까지 앞으로 더 접힌 상태인 도 16의 기본 구조(B)를 도시한다. 여기서 등받이 피봇팅 조인트(GL) 및 하단 피봇팅 조인트(GU) 모두는 각각 잠금 위치에 잠겨져 있다(latched).
이러한 차량 좌석(F)의 최종 위치에서 등받이 피봇팅 조인트(GL) 및 하단 피봇팅 조인트(GU)의 잠금을 해제하기 위해서는, 사용자가 예를 들어 수동적으로 또는 임의의 작동장치를 매개로, 하단 피봇팅 조인트(GU)의 잠금을 해제하여야 하고, 상기 해제 후에 좌석은 다시 초기 위치 즉 사용 위치로 조정할 수 있다. 상부 피봇팅 조인트(GL)는 시트백의 후방이동에 의해 자동적으로 해제된다.
도 19는 도 18에 도시된 기본 구조(B)의 최종 위치와 상응하는 최종 좌석 위치에 있는 차량 좌석(F)을 상당히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위치가 잠겨져 있는 시트백(1)은 여기서 시트부분(seat part)(4)위에 대략 수평상태로 배열된다. 시트백(1)의 앞면 및 시트부분의 상부면은 서로 마주한다.
도 20
본 발명의 바람직한 또는 추가적인 실시예가 도 20에 도시되어 있는데, 이러한 실시예에서 시트백(1)은, 사용 위치로부터 보관 위치로 앞으로 접힐 때 짧아지고/짧아지거나, 반대의 경우에 있어서는 길어지게 된다. 특히 하단 피봇팅 조인트(GU) 주위에서의 제2 구성요소(6)의 회전에 의해서, 시트백(1)을 앞으로 이동시킴으로써 힘 전달 수단(8)(본 실시예의 경우에는 톱니 벨트)이 구동되고, 이러한 힘 전달 수단은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힘 또는 토크를 기어 장치(9)(본 실시예의 경우에는 베벨 기어 장치)로 전달하고, 이러한 기어 장치는 시트백(1)의 종방향 길이를 조정한다.
전술한 도 1 내지 도 20에 따르는 예시적인 실시예에 있어서는, 오직 기계적 구성요소만이 운동 시스템에서 사용되었다. 그러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자에게, 상기한 본 발명의 필수 기능들이 예를 들어 매커트로닉스(mechatronics) 시스템과 같은 다른 장치들에 의해서도 구현될 수 있음은 물론 자명하다.
1 제1 구성요소, 시트백
2 풀 암
3 릴리즈 부재
4 베이스 부분(base part), 시트 부분
5 슬라이딩 스트럿
6 제2 구성요소, 중간 부분
7 잠금 수단, 록킹(locking) 캠
8 힘 전달 수단, 톱니형 벨트
9 기어 장치
10 등받이 피팅
11 조인트
30 릴리즈 암
31 잠금 수단, 록킹 캠
32 록킹 클로
33 멈춤 럭(lug)
34 톱니 부분
35 톱니 부분
36 록킹 리세스(recess)
40 피팅
B 기본 구조
F 차량 좌석
GL 제1 회전 수단, 등받이 피봇팅 조인트
GU 제2 회전 수단, 피봇팅 조인트
VL 제1 회전 수단의 잠금 장치
VU 제2 회전 수단의 잠금 장치
Figure 112012017953945-pct00010
제1 구성요소와 제2 구성요소 사이 각도
Figure 112012017953945-pct00011
제2 구성요소와 베이스 부분 사이 각도

Claims (13)

  1. 기부 부분(4)에 대해 제1 및 제2 구성요소(1, 6)를 이동시키기 위한 방법으로서,
    상기 제1 및 제2 구성요소(1, 6)는 각각 제1 회전 수단(GL)에 의해 서로 연결되어 있으며, 제2 구성요소(6) 및 기부 부분(4)은 각각 제2 회전 수단(GU)에 의해 서로 연결되는,
    기부 부분(4)에 대해 제1 및 제2 구성요소(1, 6)를 이동시키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회전 수단(GL, GU)은 제2 구성요소(6)에 대한 제1 구성요소(1)의 위치 및 기부 부분(4)에 대한 제2 구성요소(6)의 위치 중 하나 이상에 따라서 자동적으로 잠기고 해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부 부분(4)에 대해 제1 및 제2 구성요소(1, 6)를 이동시키기 위한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제1 위치에서, 상기 제1 구성요소(1)는 상기 제2 구성요소에 대하여 이동하며, 제2 구성요소는 제1 위치에서 상기 기부 부분에 대해 잠긴 상태로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부 부분(4)에 대해 제1 및 제2 구성요소(1, 6)를 이동시키기 위한 방법.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구성요소(1)를 특정 각도(α) 너머로 회전시켰을 때, 상기 제2 회전 수단(GU)이 자동적으로 해제되거나, 상기 제1 구성요소(1)가 상기 제2 구성요소(6)에 제공된 정지부와 접촉하게 되거나 또는 상기 제2 회전 수단(GU)이 자동적으로 해제되고 상기 제1 구성요소(1)가 상기 제2 구성요소(6)에 제공된 정지부와 접촉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부 부분(4)에 대해 제1 및 제2 구성요소(1, 6)를 이동시키기 위한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구성요소(6)와 상기 기부 부분(4) 사이의 상대적인 운동에 의해서, 상기 제1 구성요소(1)의 잠금 수단(VL)이 잠금 가능 위치로 자동적으로 이동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부 부분(4)에 대해 제1 및 제2 구성요소(1, 6)를 이동시키기 위한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구성요소(6)의 잠금 수단(VU) 또한, 제2 잠금 가능 위치로 자동적으로 이동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부 부분(4)에 대해 제1 및 제2 구성요소(1, 6)를 이동시키기 위한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제1 구성요소(1) 및 제2 구성요소(6)는, 상기 제1 구성요소(1)가 그 최종 위치에 도달한 이후에, 이들 각각의 위치에서 자동적으로 잠기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부 부분(4)에 대해 제1 및 제2 구성요소(1, 6)를 이동시키기 위한 방법.
  7.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래칭 수단에 의해서 잠금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부 부분(4)에 대해 제1 및 제2 구성요소(1, 6)를 이동시키기 위한 방법.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구성요소(6)는, 수동적으로 또는 전동 방식(motorized manner)으로 해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부 부분(4)에 대해 제1 및 제2 구성요소(1, 6)를 이동시키기 위한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구성요소(1)의 잠금은, 상기 제2 구성요소(6) 및 상기 기부 부분(4)의 서로에 대한 운동에 의해 자동적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부 부분(4)에 대해 제1 및 제2 구성요소(1, 6)를 이동시키기 위한 방법.
  10.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구성요소(1) 및 제2 구성요소(6)의 서로에 대한 운동에 의해서, 상기 기부 부분(4)에 대한 제2 구성요소(6)의 운동에 의해서, 또는 상기 제1 구성요소(1) 및 제2 구성요소(6)의 서로에 대한 운동 및 상기 기부 부분(4)에 대한 제2 구성요소(6)의 운동에 의해서 상기 제1 구성요소(1)가 자동적으로 짧아지거나 길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부 부분(4)에 대해 제1 및 제2 구성요소(1, 6)를 이동시키기 위한 방법.
  11.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구성요소(1)로서 시트백이 제공되고, 상기 기부 부분(4)으로서 차량 좌석의 시트 부분이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부 부분(4)에 대해 제1 및 제2 구성요소(1, 6)를 이동시키기 위한 방법.
  12. 시트백(1), 중간 부분(6) 및 기부 부분(4)을 포함하는 차량 좌석으로서,
    상기 시트백(1) 및 상기 중간 부분(6)은 각각 제1 회전 수단(GL)에 의해서 서로 연결되며, 상기 중간 부분(6) 및 상기 기부 부분(4)은 각각 제2 회전 수단(GU)에 의해 서로 연결되며, 상기 제1 회전 수단 및 제2 회전 수단은 각각 잠금 수단(VL, VU)에 의해서 하나 이상의 위치에서 잠길 수 있는, 차량 좌석에 있어서,
    상기 잠금 수단(VL, VU)은, 시트백(1)과 중간 부분(6) 사이의 상대적 운동(α)에 의해서, 중간 부분(6)과 기부 부분(4) 사이의 상대적 운동(β)에 의해서, 또는 시트백(1)과 중간 부분(6) 사이의 상대적 운동(α) 및 중간 부분(6)과 기부 부분(4) 사이의 상대적 운동(β)에 의해서 하나 이상의 잠금 수단(VL, VU)이 자동적으로 잠기고 해제되도록, 수단(5)에 의해 작동가능하게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좌석.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수단(5)은 순수한 병진운동 방식으로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좌석.
KR1020127005873A 2009-08-05 2010-07-30 차량 좌석 및 사용 위치에서 보관 위치까지 시트백을 이동시키는 방법 KR10134567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09036138 2009-08-05
DE102009036138.3 2009-08-05
DE102010023765.5 2010-06-15
DE102010023765.5A DE102010023765B4 (de) 2009-08-05 2010-06-15 Verfahren zur Überführung einer Rückenlehne von der Gebrauchs- in eine Verstaustellung und Kraftfahrzeugsitz
PCT/EP2010/004667 WO2011015315A1 (de) 2009-08-05 2010-07-30 Kraftfahrzeugsitz und verfahren zur überführung einer rückenlehne von der gebrauchs- in eine verstauposition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49328A KR20120049328A (ko) 2012-05-16
KR101345678B1 true KR101345678B1 (ko) 2013-12-30

Family

ID=434484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7005873A KR101345678B1 (ko) 2009-08-05 2010-07-30 차량 좌석 및 사용 위치에서 보관 위치까지 시트백을 이동시키는 방법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8974001B2 (ko)
EP (1) EP2462002B1 (ko)
JP (1) JP5674784B2 (ko)
KR (1) KR101345678B1 (ko)
CN (1) CN102548793B (ko)
DE (1) DE102010023765B4 (ko)
IN (1) IN2012DN00993A (ko)
WO (1) WO201101531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2012983B4 (de) * 2012-06-29 2014-04-24 Isringhausen Gmbh & Co. Kg Fahrzeugsitz mit Rückenlehnenneigungseinstellung sowie Schulteranpassung
US9085252B2 (en) * 2013-05-02 2015-07-21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Vehicle seat assembly with dual locked seating positions and method of adjusting a vehicle seat
EP3048004B1 (en) * 2013-09-18 2018-04-04 TS Tech Co., Ltd. Vehicle seat
US9622593B2 (en) * 2014-01-14 2017-04-18 Artsana Usa, Inc. Pinch free folding lock
US10149552B2 (en) 2015-01-06 2018-12-11 Artsana Usa, Inc. Pinch free folding lock
JP6871506B2 (ja) * 2017-02-08 2021-05-12 テイ・エス テック株式会社 中折れシートバック及び中折れシートバックを有する車両用シート
CN110920738B (zh) * 2018-09-19 2022-07-26 明门瑞士股份有限公司 转动安全机构及具有该机构的座椅
US11833937B2 (en) * 2021-09-08 2023-12-05 Faurecia Automotive Seating, Llc Occupant support
CN114290967B (zh) * 2022-01-10 2023-07-04 浙江吉利控股集团有限公司 座椅骨架、座椅及车辆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91936B1 (ko) * 1997-08-30 2001-11-26 이계안 승합차량용좌석의리클라이너닝과회전연동장치
KR20030023774A (ko) * 2001-07-05 2003-03-19 카이퍼 게엠베하 운트 코. 카게 차량 시트용 피팅 장치
JP2005505459A (ja) * 2001-10-10 2005-02-24 ジョンソン・コントロールズ・ゲー・エム・ベー・ハー 回動可能背もたれを備えた車両座席
WO2009072321A1 (ja) * 2007-12-03 2009-06-11 Toyota Boshoku Kabushiki Kaisha 車両用シート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663898A (en) * 1924-09-18 1928-03-27 Frank C Bitzenburger Yieldable back support for seats
EP0410814B1 (en) 1989-07-28 1995-09-13 Fuji Kiko Company Limited Automotive seat with walk-in mechanism
CN2093112U (zh) * 1991-03-23 1992-01-15 施克礼 双关节汽车座椅调角器
FR2799420B1 (fr) * 1999-10-08 2002-01-04 Faure Bertrand Equipements Sa Siege de vehicule
US6513876B1 (en) * 2000-11-17 2003-02-04 Gayle D. Agler Multiple function boat seat
CA2390667C (en) * 2001-06-15 2006-01-03 Faurecia Automotive Seating Canada Limited Improved vehicle seat hinge mechanism with reclining with forward dumping, memory return and fold-flat functionality
KR100461102B1 (ko) * 2002-08-08 2004-12-13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리어시트의 리클라이닝 장치
FR2899161B1 (fr) * 2006-03-30 2009-03-20 Renault Sas Siege de vehicule automobile repliable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91936B1 (ko) * 1997-08-30 2001-11-26 이계안 승합차량용좌석의리클라이너닝과회전연동장치
KR20030023774A (ko) * 2001-07-05 2003-03-19 카이퍼 게엠베하 운트 코. 카게 차량 시트용 피팅 장치
JP2005505459A (ja) * 2001-10-10 2005-02-24 ジョンソン・コントロールズ・ゲー・エム・ベー・ハー 回動可能背もたれを備えた車両座席
WO2009072321A1 (ja) * 2007-12-03 2009-06-11 Toyota Boshoku Kabushiki Kaisha 車両用シー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1015315A1 (de) 2011-02-10
KR20120049328A (ko) 2012-05-16
CN102548793B (zh) 2015-05-20
JP2013500896A (ja) 2013-01-10
US20120139317A1 (en) 2012-06-07
DE102010023765A1 (de) 2011-02-17
IN2012DN00993A (ko) 2015-04-10
JP5674784B2 (ja) 2015-02-25
EP2462002A1 (de) 2012-06-13
DE102010023765B4 (de) 2018-04-26
US8974001B2 (en) 2015-03-10
CN102548793A (zh) 2012-07-04
EP2462002B1 (de) 2016-09-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45678B1 (ko) 차량 좌석 및 사용 위치에서 보관 위치까지 시트백을 이동시키는 방법
CN104553899B (zh) 车辆座椅
JP6391065B2 (ja) 子供用安全シート
CN111601732B (zh) 便捷进入的车辆座椅
JP4499109B2 (ja) 進入/退出位置及び積荷フロア位置を備える車輌シートシステム
KR101204559B1 (ko) 시트 및 시트 제어 방법
US8845027B2 (en) Easy entry recliner
JP5169146B2 (ja) 車両用シート装置
US7134725B2 (en) Motor vehicle seat
US8702172B2 (en) Vehicle seat for a motor vehicle
US20200001742A1 (en) Automotive vehicle seat
KR20160091417A (ko) 차량 시트용 전방 피봇 기구 및 차량 시트
KR101884741B1 (ko) 래치회동형 리어시트 슬라이딩 장치
CN111051125A (zh) 能前摆转的车辆座椅
EP2786893A2 (en) Electric release manual seat
US7252337B2 (en) Seat arrangement for a motor vehicle seat
EP2815915B1 (en) Vehicle seat apparatus with middle return slide walk in
JP4672878B2 (ja) 自動車用シート装置
WO2008032808A1 (fr) Siège de véhicule
KR101607206B1 (ko) 비대칭 트랙의 워크인 메모리장치
WO2022270608A1 (ja) 車両用シート
CN215621542U (zh) 一种角度及旋转一体式调节机构及儿童座椅
KR101337941B1 (ko) 차량용 시트의 워크인 장치
JP2009035197A (ja) 車両用シート
GB2171899A (en) Vehicle sea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0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0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12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