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45063B1 - 니켈 함유 합금철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니켈 함유 합금철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45063B1
KR101345063B1 KR1020117018746A KR20117018746A KR101345063B1 KR 101345063 B1 KR101345063 B1 KR 101345063B1 KR 1020117018746 A KR1020117018746 A KR 1020117018746A KR 20117018746 A KR20117018746 A KR 20117018746A KR 101345063 B1 KR101345063 B1 KR 10134506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ickel
raw material
ore
producing
intermediate produ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70187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104116A (ko
Inventor
뚜오모 메?레
뻬까 니에멜레
Original Assignee
오또꿈뿌 오와이제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또꿈뿌 오와이제이 filed Critical 오또꿈뿌 오와이제이
Publication of KR201101041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0411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450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4506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18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 C22C38/4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nickel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1/00Making non-ferrous alloys
    • C22C1/02Making non-ferrous alloys by melting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BPRODUCTION AND REFINING OF METALS; PRETREATMENT OF RAW MATERIALS
    • C22B1/00Preliminary treatment of ores or scrap
    • C22B1/11Removing sulfur, phosphorus or arsenic other than by roasting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BPRODUCTION AND REFINING OF METALS; PRETREATMENT OF RAW MATERIALS
    • C22B1/00Preliminary treatment of ores or scrap
    • C22B1/14Agglomerating; Briquetting; Binding; Granulating
    • C22B1/16Sintering; Agglomerating
    • C22B1/20Sintering; Agglomerating in sintering machines with movable grates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BPRODUCTION AND REFINING OF METALS; PRETREATMENT OF RAW MATERIALS
    • C22B1/00Preliminary treatment of ores or scrap
    • C22B1/14Agglomerating; Briquetting; Binding; Granulating
    • C22B1/24Binding; Briquetting ; Granulating
    • C22B1/242Binding; Briquetting ; Granulating with binders
    • C22B1/243Binding; Briquetting ; Granulating with binders inorganic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BPRODUCTION AND REFINING OF METALS; PRETREATMENT OF RAW MATERIALS
    • C22B23/00Obtaining nickel or cobalt
    • C22B23/02Obtaining nickel or cobalt by dry processes
    • C22B23/023Obtaining nickel or cobalt by dry processes with formation of ferro-nickel or ferro-cobalt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19/00Alloys based on nickel or cobalt
    • C22C19/03Alloys based on nickel or cobalt based on nickel
    • C22C19/05Alloys based on nickel or cobalt based on nickel with chromium
    • C22C19/051Alloys based on nickel or cobalt based on nickel with chromium and Mo or W
    • C22C19/052Alloys based on nickel or cobalt based on nickel with chromium and Mo or W with the maximum Cr content being at least 40%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27/00Alloys based on rhenium or a refractory metal not mentioned in groups C22C14/00 or C22C16/00
    • C22C27/06Alloys based on chromium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0/00Alloys containing less than 50% by weight of each constituent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3/00Making ferrous alloys
    • C22C33/04Making ferrous alloys by melting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5/00Master alloys for iron or steel
    • C22C35/005Master alloys for iron or steel based on iron, e.g. ferro-alloy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chemistry & Mineralogy (AREA)
  • Geolog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Manufacture And Refinement Of Metals (AREA)
  • Powder Metallurgy (AREA)
  • Manufacture Of Ir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니켈 함유 합금철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철과 크롬을 함유하는 미분쇄 원료 및 니켈을 함유하는 원료로부터, 바인더제와 함께 혼합물이 형성되고, 혼합물은 응집되어, 희망하는 크기의 먼저 형성된 물체가 획득된다. 물체를 강화시키기 위해 물체를 열처리하여, 열처리된 물체는 운반가능하게 되고, 제련 노에 로딩될 수 있다. 또한, 적어도 철, 크롬 및 니켈을 포함하는 희망하는 조성의 합금철인 페로크롬니켈을 획득하기 위해, 물체는 환원성 환경 하에서 제련된다.

Description

니켈 함유 합금철의 제조 방법{METHOD FOR PRODUCING FERROALLOY CONTAINING NICKEL}
본 발명은 니켈 함유 합금철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방법에서, 철함유 크로마이트 정광 및 니켈 광석 및/또는 니켈 정광, 및/또는 니켈 광석 및/또는 니켈 정광의 침출 및 침출액 (leach liquor) 으로부터의 중간 생성물의 침전에 의해 생성되는 니켈함유 중간 생성물을 함유하는 펠릿이 소결되고, 소결된 재료가 환원되고, 페로크롬니켈로서 제련되는 때, 페로크롬니켈이 획득되고, 스테인리스강과 같은 금속을 위한 원료로서 이용된다.
프라이머리 (primary) 스테인리스강의 제조에 필요한 니켈은, 최종 전환 단계에서 스테인리스강 스크랩으로서, 페로니켈로서, 니켈 제조로부터 얻어지는 니켈 캐소드로서, 또는 니켈을 함유하는 브리켓 (briquette) 으로서 니켈을 첨가함으로써, 통상적으로 제조 프로세스의 최종 단계쪽으로 제조 프로세스에 첨가된다. 니켈은 황화 (sulphidic) 및 홍토 (lateritic) 광석으로부터 생산되고, 홍토 광석은 주로 산화 홍토 광석으로 구성된다. 니켈 제조에서 홍토 광석의 비가 크게 증가하고 있다. 니켈 함유 합금철인 페로니켈은 회전로/전기로 프로세스에서 환원성 조건 하에서 주원료로부터 생산되며, 회전로는 하소 및 예비환원은 위해 이용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생산된 페로니켈에는 불순물이 남고, 따라서 불순물 제거 처리가 필요할 수 있다. 페로니켈 재료는 주물로서 주조되거나 또는 과립화되고, 그에 따라 생성되는 주물 또는 과립 제품이 스테인리스강의 제조에서와 같이 페로니켈의 분야에 이용된다.
주원료로부터 페로니켈 제조 외에, US 특허출원 제 2008/0011126 호로부터, 니켈함유 광석 또는 정광의 침출로부터 얻어지는 니켈 수산화물 중간 생성물이 원료로서 이용되는 페로니켈의 제조 방법이 공지되어 있다. 수산화물 중간 생성물로부터, 바인딩제와 함께 펠릿이 형성되고, 펠릿은 110 ℃의 온도에서 건조되어, 산화성 조건의 1000 ~ 1300 ℃ 의 온도에서의 하소를 위해 노 (furnace) 에 공급된다. 따라서, 펠릿에 포함된 수분은 400 ℃ 의 온도에서 이미 제거된다. 또한, 펠릿에 포함된 황은 1100 ℃ 의 온도에서 2 시간의 처리 후에 이산화황으로서 또는 삼산화황으로서 거의 완전히 제거된다. 로에서부터 얻어지는 펠릿은 다공성 복합 니켈 철 산화물이다. 이 다공성 복합 니켈 철 산화물 펠릿은 충전층 (packed bed) 에서 800 ~ 1000 ℃ 의 온도 범위에서 환원성 가스의 존재 하에서 더 처리되어, 펠릿은 페로니켈 펠릿으로 환원된다. 이 US 특허출원 제 2008/0011126 호의 일 실시형태는, 제조된 페로니켈 펠릿이 제련되고 정련되어, 낮은 레벨의 황 및 탄소를 함유하는 페로니켈 제품으로 되는 것이다.
WO 특허출원 제 97/20954 호에는, 직접 제련을 통해 페로니켈, 니켈철 및 스테인리스강을 제조하기 위한 니켈 광석 및/또는 니켈 정광의 프로세싱이 기재되어 있다. 제련 프로세스의 공급물은, 필요하다면 철 광석과 또한 선택적으로는 크롬 소스로서 크로마이트뿐만 아니라, 건조 및/또는 하소된 황화 및/또는 홍토 니켈 광석 및/또는 니켈 정광으로 구성된다. WO 특허출원 제 97/20954 호에 따르면, 원하지 않는 재료 성분을 제거하기 위해, 재료 공급물에 전처리가 행해질 수 있다. 다른 전처리로는, 공급물에서 황 및 결정질 수화물 워터 바운드 (crystalline hydrate water bound) 를 제거하기 위해, 재료 공급물의 건조 및 하소가 포함될 수 있다. 유동층 노에서 또는 회전로에서 하소가 행해질 수 있다. 환원성 조건에서의 제련으로부터 얻어지는 생성물은 페로니켈, 페로크롬 또는 니켈함유 철이고, 이들은 스테인리스강을 제조하기 위해 AOD 컨버터에서 더 처리될 수 있다. WO 특허출원 제 97/20954 에 따르면, 건조 및 하소된 니켈 광석 및/또는 니켈 정광과 함께 크로마이트를 제련 프로세스에 공급할 가능성이 있고, 이 부분 공급물 재료 성분은 제련 노에 각각 공급된다.
CA 특허 제 972165 호는 철, 크롬 및 니켈을 함유하는 환원된 펠릿에 관한 것이고, 목적은 용융 스테인리스강의 제조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 펠릿을 이용하는 것이다. 원료로서, CA 특허 제 972165 호는 니켈 규산염 광석, 크롬 철 광석, 홍토 광석 및 철 광석을 언급하고 있다. 필수 원료 로딩의 조성은 크롬 철 광석, 및 가변의 그리고 낮은 레벨 니켈 함량의 채굴된 (run-of-mine) 니켈 규산염 광석을 포함한다. 펠릿의 높은 철 농도를 원한다면, 충분한 산화철 로딩을 제공하기 위해, 시작 조성물에 철 광석 및 홍토 광석이 첨가될 필요가 있다. 환원제, 코크스가 첨가되고, 혼합물이 펠릿화된 후, 환원된 펠릿을 형성하기 위해, 펠릿이 건조 및 소성 (firing) 된다. 또한, 환원된 펠릿은 철 합금을 생성하기 위해 침적 (submerged) 아크로에 고온 장입된다. 이 CA 특허 제 972165 호에서 언급된 철 합금의 조성은 15.2 ~ 17.7 중량% 크롬 및 16.3 ~ 15.8 중량% 니켈을 포함한다. 따라서, 니켈 및 크롬 함량은 동일한 오더의 크기를 갖는다. 이러한 종류의 재료는 스테인리스강의 제조에 직접 적합하지 않은데, 상업적 그레이드의 스테인리스강이 니켈보다 훨씬 더 많은 크롬을 포함하기 때문이다. 스테인리스강 제조에 CA 특허 제 972165 호의 제품을 이용하는 경우, 페로크롬 형태로 강 용융 프로세스에서 크롬 유닛의 많은 첨가가 요구된다. 그리고, CA 특허 제 972165 호가 관련된 프로세스는 제조되는 금속 합금의 유닛당 에너지 소비가 큰데, 이는 주로 공급물 조성이 본질적으로 낮은 니켈 함량의 채굴된 니켈 규산염 광석에 기초한다는 사실 (이는 또한 다량의 규산염-산화물 슬래그가 처리되어야 함을 의미한다) 에 기인한다. 강 멜트에서 금속 합금에 크롬 유닛을 보충할 필요성, 에너지 강도 및 금속 합금 제조 프로세스의 금속 합금-슬래그 비의 조합이 스테인리스강 제조 프로세스에서 유리하지 않으며 비용 효과적이지 않다.
프라이머리 스테인리스강의 제조에서 주 성분인 철 및 크롬은 철함유 크롬 광석 또는 크롬 정광으로부터 강 제조 프로세스를 위해 획득되고, 이로부터 전기로에서의 제련에 의해 페로크롬이 제조되고, 유리한 펠릿화 및 소결 단계가 선행된다.
이른바 표준 제품을 제조할 때, 스테인리스강 중 니켈의 양이 최종 제품으로서 제조되는 스테인리스강으로부터 계산된 10 ~ 12 중량% 까지 이르는 경우, 스테인리스강의 제조에 이용되는 니켈의 병행 생산 (parallel production) 이 그렇게 비용 효과적이거나 환경 방출에 대해 친환경적이지 않다.
본 발명의 목적은, 종래 기술의 일부 단점을 제거하는 것과, 스테인리스강과 같은 금속의 제조를 위한 원료로서 이용될 수 있는, 소결 생성물로서 니켈 함유 합금철인 페로크롬니켈을 획득하기 위해, 니켈 광석 및/또는 니켈 정광 또는 니켈 광석 및/또는 니켈 정광으로부터의 침출과 침전에 의해 생성되는 니켈함유 중간 생성물이 페로크롬의 제조로부터 알려진 펠릿화 및 소결과 같은 제조 단계와 관련하여 이용될 수 있는 방법을 달성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징은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니켈 광석 및/또는 니켈 정광 또는 니켈 광석 및/또는 니켈 정광으로부터의 침출 및 침전에 의해 생성되는 중간 생성물이, 철 및 크롬 함유 크로마이트 정광 및 바인더와 함께, 희망하는 형태 및 크기의 공급 재료 물체를 제조하기 위해 니켈 함유 펠릿으로서 제조 프로세스에서 응집되고, 소결 프로세스로 알려져 있는 펠릿의 1단계 열처리와 관련하여 1단계 열처리 중에 니켈, 철 및 크롬을 함유하는 재료 물체의 건조 및 하소가 행해지고 이루어진다. 펠릿의 열처리 동안, 물체는 강화되어서, 열처리된 물체를 희망하는 때에 본질적으로 온전한 (unbroken) 형태로 개별 프로세스 단계 사이에서 운반할 수 있다. 필요한 때 그리고 필요하다면, 소결 전에 펠릿을 예열할 수 있다. 열처리된 물체는, 희망하는 때, 본질적으로 온전한 형태로 개별 프로세스 유닛 사이에서 운반될 수 있다. 열처리된 물체는, 희망하는 때 그리고 희망한다면, 개별 프로세스 단계 또는 프로세스 유닛 사이에서 물체를 운반할 때 소형화될 수 있다. 소결된, 따라서 강화된 펠릿은 환원성 조건의 소결 프로세스를 위한 원료로서 이용되며, 이 경우 소결 생성물로서 니켈을 함유하는 합금철, 즉 페로크롬니켈이 획득된다. 이 획득되는 페로크롬니켈은 스테인리스강과 같은 합금철 제품을 제조하기 위한 원료로서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에서 이용되는 니켈함유 원료는 광산 또는 다른 습식제련 프로세스로부터의 니켈함유 수산화물 중간 생성물인 것이 유리하고, 이 중간 생성물은 홍토 및/또는 황화 니켈 광석 및/또는 니켈함유 정광 또는 홍토 니켈 광석의 프로세스 침전물 또는 황화 니켈 광석의 프로세스 침전물의 침출 처리에 의해 생성되는 침출액 용액으로부터 침전된다. 이들 종류의 니켈함유 수산화물 중간 생성물은 예컨대, 니켈함유 재료의 용매 추출 프로세스나 이온 교환 프로세스로부터 얻어지는 용매 추출 용액, 스트리핑 용액 또는 정제 용액의 침전된 생성물뿐만 아니라, 홍토 및/또는 황화 니켈 광석 및/또는 니켈 정광의 가압 침출, 대기압 침출 또는 퇴적 침출로부터의 중간 생성물이다. 또한, 본 발명의 방법에서, 탄산염 또는 황산염 니켈 재료가 원료로서 이용될 수 있다. 또한, 습식제련으로 침전된 니켈 황화물 중간 생성물이 본 방법을 위한 원료로서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방법에서, 니켈함유 미분쇄 재료가 미분쇄 철함유 크로마이트 정광 및 희망하는 바인더와 먼저 혼합된다. 혼합물 중 니켈함유 재료의 비는 혼합물 중량의 10 ~ 25 중량%, 유리하게는 15 ~ 20 중량% 이다. 바인더를 갖는 이 혼합물로부터 5 ~ 15 ㎜ 의 직경을 갖는 펠릿이 형성되는 것이 유리하다. 그렇게 형성된 펠릿은 산화 소결부로 더 운반되고, 그곳에서 펠릿은 고온 순환 가스 (펠릿에 포함된 탄소, 그리고 필요하다면, 다른 연료 (프로판 등) 에 의해 담지됨) 에 의해 1150 ~ 1400 ℃ 의 온도 범위까지 가열된다. 소결 프로세스와 관련하여, 니켈함유 재료 물체는 하소되게 되고, 또한 펠릿에 포함된 황은 소결 프로세스의 배기 가스로 제거되게 되며, 배기 가스는 가스 스크러빙 장치에서 정화된다. 소결된 펠릿의 강도 특성은 요구되는 후 처리를 견디기에 충분하다. 펠릿은 하소된 형태의 니켈 원료를 포함하고, 펠릿은 유리하게는 예열 유닛을 통해 전기로로 더 운반되고, 전기로에서는 환원성 조건 하에서 제련이 이루어진다. 그에 따라 생성되는 제련 생성물은 1.5 ~ 5, 유리하게는 2.0 ~ 3.1 의 크롬 대 니켈 비를 갖는 금속성 페로크롬니켈이다. 그에 따라 생성되어 전기로로부터 획득되는 페로크롬니켈은 스테인리스강의 제조에 이용되기 위해 제련된 상태로 운반되는 것이 유리하다. 또한, 전기로로부터 획득되는 제련된 페로크롬니켈은 고형물 형태로 과립화될 수 있고, 그에 따라 생성된 과립 제품을 스테인리스강 제조에서 이용할 수 있다. 따라서, 제련된 상태 또는 과립 제품으로 전기로로부터 획득되는 페로크롬니켈은 몇몇의 다른 최종 제품을 위해서도 또한 이용될 수 있고, 이 경우 적어도 철, 크롬 및 니켈을 함유하는 원료가 필요하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은 에너지 효율적인데, 니켈 함유 재료 및 철 함유 크로마이트 정광으로 형성되는 펠릿 혼합물이 소결 프로세스와 관련하여 소결 프로세스 중에 동시에 하소 및 탈황처리될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소결로부터 양호한 환원능 (reductibility) 특성을 갖는 펠릿이 획득되고, 따라서 환원성 조건 하에서의 제련에 더 도움이 된다. 더욱이, 제련으로 운반되는 펠릿의 예열을 이용함으로써, 제련을 위해 이용되는 제련 노에서 생성물 유닛당 전기의 이용이 줄어든다. 또한, 펠릿의 환원 및 제련이 유리하게는 폐쇄 침적 전기 아크로에서 행해지는 때, 환원 및 제련에서 생성되는 일산화탄소 가스는 한편으로, 예컨대 제련에서 그리고 펠릿의 가능한 예열에서 그리고 다른 한편으로, 예컨대 합금철 제련 생성물인 페로크롬니켈로부터 생성되는 스테인리스강을 위한 제조 체인의 순차적인 단계에서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의 에너지 효율은, 펠릿에 포함된 니켈이 펠릿 내 크롬의 환원을 촉진하고 따라서 합금철 생성에서 환원제, 유리하게는 탄소의 비 (specific) 소비를 감소시킨다는 점에 의해서도 또한 강화된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에서 원료의 펠릿화를 위해 임의의 공지된 펠릿화 방법이 이용될 수 있지만, 유리하게는 예컨대 드럼에서의 펠릿화가 이용될 수 있다. 펠릿화 대신, 예컨대 단광제조 (briquetting) 가 이용될 수 있고, 또는 본 발명에 따른 원료 혼합물이 이후의 프로세스 단계에서 처리되는 것을 용이하게 하는 해당 방법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소결은 임의의 공지된 소결 방법에 의해 행해질 수 있고, 유리하게는 예컨대 본질적으로 연속적으로 작동되는 벨트 소결부에 의해 행해질 수 있다. 또한, 소결은 다른 임의의 공지된 가열 처리에 의해 대체될 수 있는데, 가열 처리의 생성물은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의 최종 생성물, 즉 페로크롬니켈을 획득하기 위해 용이하게 더 처리될 수 있어야 한다.
본 발명에 따라 처리되는 재료의 제련은 침적 전기 아크로와 같은 전기로를 이용하여 행해지는 것이 유리하다. 또한, 제련은 희망하는 최종 생성물인 페로크롬니켈을 생성하기 위한 환원성 조건을 달성하는 것이 가능한, 유도로 (induction furnace) 와 같은 다른 공지된 제련 장치에 의해 행해질 수 있다.
이하에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더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형태의 개략적인 순서도이다.
도 1 에 따르면, 혼합 장치 (4) 에 수용되는 혼합물로부터 미분쇄 니켈 재료 (2) 의 비가 혼합물의 중량으로부터 4 ~ 18 중량% 가 되도록, 미분쇄 철 함유 크로마이트 정광 (1), 미분쇄 니켈 수산화물 (2) 및 펠릿화를 위한 바인더 (3) 가 혼합 장치 (4) 에 공급된다. 그에 따라 생성되는, 철, 크롬 및 니켈을 포함하는 혼합물이 펠릿화를 위해 회전 드럼 (5) 으로 운반된다. 드럼 (5) 으로부터 획득되는 펠릿이 본질적으로 연속적으로 작동되는 벨트 소결부 (6) 로 더 운반되고, 펠릿의 본질적으로 균일한 재료 층이 본질적으로 연속적으로 작동되는 소결 벨트에 배치된다. 소결 단계에서, 고온 순환 가스가 재료 층 및 소결 벨트를 통해 안내되고, 이 가스 및 일부 여분의 연료에 의해, 재료의 온도가 1150 ~ 1400 ℃ 의 범위까지 상승하게 된다. 소결 단계 동안, 펠릿으로부터 수분이 제거되고 또한 니켈 수산화물이 유리하게는 하소되고, 따라서 니켈 수산화물로부터 물이 제거되고 또한 내부에서 결정질 수화물 워터 바운드가 제거된다. 소결 단계 동안, 다양한 성분에서의 황 바운드가 혼합물로부터 제거된다. 소결된 펠릿은 슬래그 형성제 및 환원제와 함께 예열부 (8) 를 통해 또는 예열없이 직접 침적 전기 아크로 (7) 에 운반되어 제련된다. 제련 노 (7) 로부터 획득되는 용융 페로크롬니켈은 스테인리스강을 생성하기 위해 강 제련소 (9) 로 운반되거나, 또는 용융 페로크롬니켈은 후 가공을 위해 과립화된다.
예 1
재료에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을 적용하였는데, 니켈 수산화물 중간 생성물이 침전에 의해 침출 프로세스로부터 획득되는 황산염 니켈 수산화물 Ni(OH)x(SO4)y 로서 존재하였고, 니켈 함량은 40 ~ 50 중량%, 황 함량은 5 중량% 미만이었다.
크롬 및 철의 원료로서 이용된 크로마이트 정광의 크롬 함량은 30 ~ 31 중량% 에서 변하였고, 정광의 크롬/철 비는 1.6 ~ 1.8 사이에서 변하였다.
혼합물에서 황산염 니켈 수산화물의 비가 혼합물의 최종 중량으로부터 계산하였을 때 20 중량% 가 되도록, 황산염 니켈 수산화물을 크로마이트 정광, 및 바인더로서 이용된 벤토나이트와 혼합하였다. 혼합물을 회전 드럼에 공급하여, 혼합물로부터 5 ~ 15 ㎜ 의 직경을 갖는 펠릿을 형성하였다. 드럼으로부터 획득되는 펠릿을 본질적으로 연속적으로 작동되는 벨트 소결부의 소결 벨트에 본질적으로 고르게 퍼진 펠릿 층으로서 공급하였다. 소결 동안, 황산염 니켈 수산화물을 하소하기 위해 그리고 황산염 니켈 수산화물에 포함된 황을 소결의 배기 가스 (배기 가스는 이산화황을 제거하기 위해 임의의 공지된 방법에 의해 처리될 수 있음) 로 제거하기 위해, 필요시 그리고 필요하다면, 다른 에너지원을 적용하면서 펠릿 층을 통해 또한 소결 벨트의 구멍을 통해 고온 가스가 안내된다. 소결된 펠릿의 강도 특성은 크로마이트 펠릿, 텀블러 (tumbler) 3 ~ 5 % 의 내마모성에 해당하고, 압축 강도는 140 ~ 160 ㎏/㎠ 에 해당한다.
환원제로서 이용되는 코크스, 슬래그 형성제로서 이용되는 규암, 및 제련 생성물에서 희망하는 크롬 및 철 함량을 획득하기 위한 조절제로서 이용되는 괴상 (lumpy) 크로마이트와 함께, 소결로부터 획득되는 펠릿을 먼저 제련 노의 예열 유닛에 공급하였고, 그로부터 제련 노 자체에 공급하였다. 획득되는 제련 생성물인 페로크롬니켈은 과립화되었고, 40 ~ 45 중량% 크롬, 18 ~ 24 중량% 니켈 및 3 ~ 5 중량% 탄소를 포함하였고, 잔부는 철 및 불가피한 불순물이었다.
예 2
상이한 양의 중간 생성물 재료를 크로마이트 정광과 혼합함으로써, 본 발명의 방법에 따라, 예 1 에 기재된 동일한 중간 생성물 재료의 펠릿 및 소결 특성을 시험하였다. 중간 생성물 재료의 양은, 혼합물의 중량으로부터 계산하였을 때, 10 중량%, 15 중량%, 20 중량% 이었다. 혼합물은, 바인더제로서, 벤토나이트 및 석회석 또는 규회석, 규산칼슘을 또한 포함하였다.
5 ~ 15 ㎜ 의 직경을 갖는 펠릿을 형성하기 위해, 크로마이트 정광, 니켈 수산화물 및 바인더제를 포함하는 혼합물을 펠릿화 드럼에 공급하였다. 펠릿을 소결 벨트에 공급하였고, 펠릿은 벨트 소결기에서 소결되었다. 수정 텀블러법 및 내마모성, 압축 강도, 열간 로딩 온도 (hot loading temperature), 다공성, 화학 조성, 및 미세구조에 관한 다른 산업 표준 분류법을 이용하여, 소결된 펠릿을 시험하였다.
텀블러법 결과, 10 중량% 니켈 수산화물을 갖는 소결된 펠릿의 경우 순수 크로마이트 펠릿과 유사한 값이 얻어졌다. 석회석 대신에 규회석을 이용했을 때 압축 강도가 꽤 높고 내마모성이 향상되었지만, 혼합물 내 20 중량% 니켈 수산화물의 레벨에서, 펠릿의 내마모성이 저하되었다. 펠릿의 다공성이 높았기 때문에, 20 중량% 니켈 수산화물의 첨가에 대한 텀블러 값은 높았다. 20 중량% 니켈 수산화물에서의 다공성은 15 중량% 니켈 수산화물에서의 다공성보다 더 높았다. 그러나, 15 중량% 니켈 수산화물을 갖는 펠릿의 압축 강도는 제련 노에서의 후 가공을 하기에 충분히 높았다. 따라서, 니켈함유 중간 생성물로서 10 중량%, 15 중량% 또는 20 중량% 니켈 수산화물을 갖는 혼합물로부터 생성되는 모든 펠릿이 페로크롬니켈을 제조하기 위해 제련 노에서 제련되기에 무난하였다. 본래 10 중량%, 15 중량% 또는 20 중량% 니켈 수산화물을 갖는 혼합물에 기초한 펠릿을, 페로크롬니켈을 위해 개별적으로 제련하였고 또한 과립화하였다. 각 혼합물에 기초한 페로크롬니켈에서의 크롬 대 니켈의 비는 다음과 같았다: 본래 10 중량% 니켈 수산화물을 갖는 혼합물의 경우 4.8, 본래 15 중량% 니켈 수산화물을 갖는 혼합물의 경우 3.05, 및 본래 20 중량% 니켈 수산화물을 갖는 혼합물의 경우 2.1.

Claims (24)

  1. 니켈 함유 합금철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페로크롬의 제조에서 철과 크롬을 함유하는 미분쇄 원료 및 니켈을 함유하는 미분쇄 원료로부터, 바인더 재료와 함께, 혼합물을 형성한 후 응집시켜서, 제 1 단계에서 희망하는 크기의 물체 (object) 를 형성한 후, 그 물체를 강화시키기 위해 물체를 열처리하고, 그리고 나서 니켈함유 원료의 하소를 행하여, 열처리된 물체는 운반가능하게 되고,
    상기 물체는 1.5 ~ 5 의 크롬 대 니켈의 중량비를 갖는 합금철인 페로크롬니켈을 획득하기 위해 환원성 조건 하에서 제련되고,
    응집 및 제련된 페로크롬니켈이 40 ~ 45 중량% 크롬, 18 ~ 24 중량% 니켈, 3 ~ 5 중량% 탄소, 및 잔부로 철과 불가피한 불순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니켈 함유 합금철의 제조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응집 단계는 펠릿화 및 소결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니켈 함유 합금철의 제조 방법.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원료로서, 철 및 크롬을 함유하는 크로마이트 정광을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니켈 함유 합금철의 제조 방법.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니켈을 함유하는 원료로서 사용되는 것이, 홍토 니켈 광석 및/또는 니켈함유 정광 또는 홍토 니켈 광석의 프로세스 침전물의 습식야금 프로세스의 침출액으로부터 침전된 니켈함유 수산화 중간 생성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니켈 함유 합금철의 제조 방법.
  5. 제 4 항에 있어서, 니켈을 함유하는 원료로서 사용되는 것이, 홍토 니켈 광석 및/또는 니켈함유 정광 또는 홍토 니켈 광석의 프로세스 침전물의 가압 침출의 중간 생성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니켈 함유 합금철의 제조 방법.
  6. 제 4 항에 있어서, 니켈을 함유하는 원료로서 사용되는 것이, 홍토 니켈 광석 및/또는 니켈함유 정광 또는 홍토 니켈 광석의 프로세스 침전물의 대기압 침출로부터 얻어지는 중간 생성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니켈 함유 합금철의 제조 방법.
  7. 제 4 항에 있어서, 니켈을 함유하는 원료로서 사용되는 것이, 홍토 니켈 광석 및/또는 니켈함유 정광 또는 홍토 니켈 광석의 프로세스 침전물의 퇴적 침출로부터 얻어지는 중간 생성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니켈 함유 합금철의 제조 방법.
  8. 제 4 항에 있어서, 니켈을 함유하는 원료로서 사용되는 것이, 홍토 니켈 광석 및/또는 니켈함유 정광 또는 홍토 니켈 광석의 프로세스 침전물의 용매 추출 프로세스로부터 얻어지는 중간 생성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니켈 함유 합금철의 제조 방법.
  9. 제 4 항에 있어서, 니켈을 함유하는 원료로서 사용되는 것이, 홍토 니켈 광석 및/또는 니켈함유 정광 또는 홍토 니켈 광석의 프로세스 침전물의 이온 교환 프로세스로부터 얻어지는 중간 생성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니켈 함유 합금철의 제조 방법.
  10. 제 4 항에 있어서, 니켈을 함유하는 원료로서 사용되는 것이, 홍토 니켈 광석 및/또는 니켈함유 정광 또는 홍토 니켈 광석의 프로세스 침전물의 정련 프로세스로부터 얻어지는 중간 생성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니켈 함유 합금철의 제조 방법.
  11.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니켈을 함유하는 원료로서 사용되는 것이, 황화 니켈 광석 및/또는 니켈함유 정광 또는 황화 광석의 프로세스 침전물의 습식야금 프로세스의 침출액으로부터 침전된 니켈함유 수산화 중간 생성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니켈 함유 합금철의 제조 방법.
  12. 제 11 항에 있어서, 니켈 함유 원료로서 사용되는 것이, 황화 니켈 광석 및/또는 니켈함유 정광 또는 황화 광석의 프로세스 침전물의 가압 침출로부터 얻어지는 중간 생성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니켈 함유 합금철의 제조 방법.
  13. 제 11 항에 있어서, 니켈 함유 원료로서 사용되는 것이, 황화 니켈 광석 및/또는 니켈함유 정광 또는 황화 광석의 프로세스 침전물의 대기압 침출로부터 얻어지는 중간 생성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니켈 함유 합금철의 제조 방법.
  14. 제 11 항에 있어서, 니켈 함유 원료로서 사용되는 것이, 황화 니켈 광석 및/또는 니켈함유 정광 또는 황화 광석의 프로세스 침전물의 퇴적 침출로부터 얻어지는 중간 생성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니켈 함유 합금철의 제조 방법.
  15. 제 11 항에 있어서, 니켈 함유 원료로서 사용되는 것이, 황화 니켈 광석 및/또는 니켈함유 정광 또는 황화 광석의 프로세스 침전물의 용매 추출 프로세스로부터 얻어지는 중간 생성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니켈 함유 합금철의 제조 방법.
  16. 제 11 항에 있어서, 니켈 함유 원료로서 사용되는 것이, 황화 니켈 광석 및/또는 니켈함유 정광 또는 황화 광석의 프로세스 침전물의 이온 교환 프로세스로부터 얻어지는 중간 생성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니켈 함유 합금철의 제조 방법.
  17. 제 11 항에 있어서, 니켈 함유 원료로서 사용되는 것이, 황화 니켈 광석 및/또는 니켈함유 정광 또는 황화 광석의 프로세스 침전물의 정련 프로세스로부터 얻어지는 중간 생성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니켈 함유 합금철의 제조 방법.
  18.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니켈 함유 원료로서 사용되는 것이 탄산 니켈 재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니켈 함유 합금철의 제조 방법.
  19.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니켈 함유 원료로서 사용되는 것이 황산 니켈 재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니켈 함유 합금철의 제조 방법.
  20.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니켈 함유 원료로서 사용되는 것이 황화 니켈 재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니켈 함유 합금철의 제조 방법.
  21.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응집되는 혼합물 내 니켈함유 원료의 비가 10 ~ 25 중량%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니켈 함유 합금철의 제조 방법.
  22.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응집과 관련하여 응집 중에 혼합물의 황 제거가 행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니켈 함유 합금철의 제조 방법.
  23. 삭제
  24. 삭제
KR1020117018746A 2009-02-11 2010-02-11 니켈 함유 합금철의 제조 방법 KR10134506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FI20090045 2009-02-11
FI20090045A FI127721B (fi) 2009-02-11 2009-02-11 Menetelmä nikkeliä sisältävän ferroseoksen valmistamiseksi
PCT/FI2010/050085 WO2010092234A1 (en) 2009-02-11 2010-02-11 Method for producing ferroalloy containing nickel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04116A KR20110104116A (ko) 2011-09-21
KR101345063B1 true KR101345063B1 (ko) 2013-12-26

Family

ID=404045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7018746A KR101345063B1 (ko) 2009-02-11 2010-02-11 니켈 함유 합금철의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16)

Country Link
US (2) US8696789B2 (ko)
EP (1) EP2396438B1 (ko)
JP (1) JP5538433B2 (ko)
KR (1) KR101345063B1 (ko)
CN (2) CN104278190B (ko)
AP (1) AP3208A (ko)
AU (1) AU2010212733B2 (ko)
BR (1) BRPI1008640B1 (ko)
CA (1) CA2749680C (ko)
EA (1) EA021212B8 (ko)
ES (1) ES2717203T3 (ko)
FI (1) FI127721B (ko)
MY (1) MY157630A (ko)
TR (1) TR201904223T4 (ko)
WO (1) WO2010092234A1 (ko)
ZA (1) ZA201105213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I127721B (fi) * 2009-02-11 2019-01-15 Outokumpu Oy Menetelmä nikkeliä sisältävän ferroseoksen valmistamiseksi
FI123241B (fi) * 2011-06-13 2013-01-15 Outokumpu Oy Menetelmä pelkistymisasteen parantamiseksi ferroseosta sulatettaessa
JP5622061B2 (ja) 2013-03-26 2014-11-12 住友金属鉱山株式会社 製鉄用ヘマタイトの製造方法
JP5772869B2 (ja) 2013-04-24 2015-09-02 住友金属鉱山株式会社 製鉄用ヘマタイトの製造方法
JP5679372B2 (ja) 2013-07-03 2015-03-04 住友金属鉱山株式会社 製鉄用ヘマタイトの製造方法
CN103498064A (zh) * 2013-10-22 2014-01-08 连云港市东茂矿业有限公司 红土镍矿冶炼用复合助熔剂和应用
JP5776913B2 (ja) * 2014-01-17 2015-09-09 住友金属鉱山株式会社 製鉄用ヘマタイトの製造方法
JP5858101B2 (ja) * 2014-07-15 2016-02-10 住友金属鉱山株式会社 ペレットの製造方法、ニッケル酸化鉱の製錬方法
JP5858105B1 (ja) * 2014-08-01 2016-02-10 住友金属鉱山株式会社 ニッケル酸化鉱の製錬方法
CA3029892C (en) * 2016-07-11 2024-03-26 Outotec (Finland) Oy Process for manufacturing chromium and iron bearing agglomerates with different addition of manganese, nickel and molybdenum bearing materials
BR112019000146A2 (pt) * 2016-07-11 2019-04-24 Outotec Finland Oy processo para fabricar liga de ferrocromo com teor desejado de manganês, níquel e molibdênio
FI128814B (fi) 2016-12-30 2020-12-31 Outotec Finland Oy Menetelmä nikkeliä sisältävien kovetettujen kromiittipellettien tuottamiseksi, menetelmä ferrokrominikkeliseoksen tuottamiseksi ja kovetettu kromiittipelletti
FI127664B (en) 2017-10-20 2018-11-30 Crisolteq Ltd Process for recovery of components from a pickle acid regeneration residue
FI129345B (en) 2019-12-19 2021-12-15 Crisolteq Ltd A method for treating a pickling acid regeneration precipitate
CN113249540B (zh) * 2021-05-14 2022-08-23 山西太钢不锈钢股份有限公司 使用aod炉以氢氧化镍为原料冶炼镍系不锈钢的生产方法
CN113355475B (zh) * 2021-05-26 2022-08-23 山东墨龙石油机械股份有限公司 一种利用低品位镍料高效冶炼含镍铁水的方法及其应用
CN115356343A (zh) * 2022-10-21 2022-11-18 北京科技大学 一种炼钢用铁合金品质的检测方法及系统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847601A (en) 1972-05-29 1974-11-12 Nippon Yakin Kogyo Co Ltd Reduced pellets for making alloys containing nickel and chromium
WO1997020954A1 (en) 1995-12-06 1997-06-12 Wmc Resources Ltd. Simplified duplex processing of nickel ores and/or concentrates for the production of ferronickels, nickel irons and stainless steels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401644A (en) * 1932-02-11 1933-11-16 Krupp Ag Improvements in chromium cast iron alloys
US2763918A (en) * 1953-06-05 1956-09-25 Chromium Mining & Smelting Cor Process of making a ferroalloying material and product obtained thereby
US2772961A (en) * 1955-05-16 1956-12-04 Quebec Metallurg Ind Ltd Method of smelting
US3874601A (en) 1973-05-18 1975-04-01 Jr Floyd R Swanson Apparatus for storing, transporting, mixing and delivering blasting material
JPS51149117A (en) * 1975-06-17 1976-12-21 Katsutoshi Ono Treatment of ni ores
CA1143166A (en) * 1979-12-20 1983-03-22 John K. Pargeter Recovery of nickel and other metallic values from waste
FI93975C (fi) 1990-06-05 1995-06-26 Outokumpu Oy Menetelmä seosainekomponentin valmistamiseksi
ZA935789B (en) * 1992-08-11 1994-03-03 Mintek The production of stainless steel.
US5722929A (en) * 1994-08-26 1998-03-03 Southwind Enterprises Inc. Particle agglomeration with acidic sulphate
CA2137124C (en) * 1994-12-01 1999-03-16 Tao Xue Pressure leaching of nickel and cobalt sulphides with chlorine under controlled redox potential conditions
US5567224A (en) * 1995-06-06 1996-10-22 Armco Inc. Method of reducing metal oxide in a rotary hearth furnace heated by an oxidizing flame
RU2247169C1 (ru) 2003-06-23 2005-02-27 Рябчиков Иван Васильевич Способ получения комплексного кремнистого ферросплава
JP2008533294A (ja) * 2004-11-17 2008-08-21 ビーエイチピー・ビリトン・エスエスエム・テクノロジー・ピーティーワイ・リミテッド ニッケル及びコバルトを含有する鉱石の連続浸出または同時浸出
DOP2006000048A (es) 2005-02-24 2006-08-31 Bhp Billiton Ssm Dev Pty Ltd Production of ferronickel (producción de ferroniquel)
CN1847440A (zh) * 2006-04-25 2006-10-18 吴江市东大铸造有限公司 镍铬铁合金及生产方法
CN100532579C (zh) * 2007-04-30 2009-08-26 郑州永通特钢有限公司 使用含镍、铬的低品位褐铁矿冶炼低磷不锈钢基料的方法
US8147782B2 (en) * 2007-09-28 2012-04-03 Vale Inco Limited Producing nickel hydroxide suitable for pelletization with iron-containing ore and for stainless steel manufacture
CN101469391B (zh) * 2007-12-29 2010-11-03 中冶东方工程技术有限公司上海分公司 一种含Ni不锈钢冶炼方法
FI127721B (fi) * 2009-02-11 2019-01-15 Outokumpu Oy Menetelmä nikkeliä sisältävän ferroseoksen valmistamiseksi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847601A (en) 1972-05-29 1974-11-12 Nippon Yakin Kogyo Co Ltd Reduced pellets for making alloys containing nickel and chromium
WO1997020954A1 (en) 1995-12-06 1997-06-12 Wmc Resources Ltd. Simplified duplex processing of nickel ores and/or concentrates for the production of ferronickels, nickel irons and stainless steel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396438A4 (en) 2017-08-02
EA201190107A1 (ru) 2012-02-28
BRPI1008640B1 (pt) 2021-04-27
US8696789B2 (en) 2014-04-15
WO2010092234A1 (en) 2010-08-19
AP2011005806A0 (en) 2011-08-31
EA021212B8 (ru) 2016-07-29
JP5538433B2 (ja) 2014-07-02
AP3208A (en) 2015-03-31
JP2012517523A (ja) 2012-08-02
EP2396438A1 (en) 2011-12-21
AU2010212733A1 (en) 2011-08-04
CN102317487A (zh) 2012-01-11
CN104278190A (zh) 2015-01-14
ES2717203T3 (es) 2019-06-19
FI127721B (fi) 2019-01-15
TR201904223T4 (tr) 2019-05-21
ZA201105213B (en) 2012-09-26
AU2010212733B2 (en) 2016-03-17
EP2396438B1 (en) 2019-01-02
KR20110104116A (ko) 2011-09-21
FI20090045A (fi) 2010-08-12
US20140109724A1 (en) 2014-04-24
FI20090045A0 (fi) 2009-02-11
BRPI1008640A2 (pt) 2016-03-08
MY157630A (en) 2016-07-15
US20110308352A1 (en) 2011-12-22
CA2749680C (en) 2019-01-29
EA021212B1 (ru) 2015-04-30
CN104278190B (zh) 2018-08-17
CA2749680A1 (en) 2010-08-19
US9598748B2 (en) 2017-03-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45063B1 (ko) 니켈 함유 합금철의 제조 방법
JP5518837B2 (ja) 金属水酸化物、金属酸化物および/または金属炭酸塩を使用するニッケルおよびコバルトの製造方法
CN110114481B (zh) 用于制备含镍的固结铬铁矿球团的方法、用于制备铬铁镍合金的方法和固结的铬铁矿球团
EP3084019B1 (en) Method for producing manganese containing ferroalloy
RU2399680C2 (ru) Способ металлизации титаномагнетитовых концентратов с получением железных гранул и титанованадиевого шлака
CA2565643C (en) Operation method of copper smelting
KR20150017054A (ko) 니켈광석으로부터 니켈과 철을 분리하는 방법
WO2024018692A1 (ja) 含ニッケル酸化鉱石の製錬方法
KR101714920B1 (ko) 니켈 함유강의 제조 방법 및 니켈 함유강 제조용 페로니켈 케이크
BR112019000149B1 (pt) Processo para fabricar aglomerados contendo cromo e ferro com diferente adição de materiais contendo manganês, níquel e molibdênio
KR101630953B1 (ko) 스테인레스강의 제조 방법
JP2021004397A (ja) 酸化鉱石の製錬方法
BR112019012882B1 (pt) Método para produzir pelotas de cromita endurecidas contendo níquel, método para produzir liga de níquel ferrocromo e pelota de cromita endurecida
WO2014193299A1 (en) Iron and tungsten containing briquettes
AU2009201931A1 (en) Production of nickel produc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0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0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0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05

Year of fee payment: 7